KR200451020Y1 -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 Google Patents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020Y1
KR200451020Y1 KR20100004641U KR20100004641U KR200451020Y1 KR 200451020 Y1 KR200451020 Y1 KR 200451020Y1 KR 20100004641 U KR20100004641 U KR 20100004641U KR 20100004641 U KR20100004641 U KR 20100004641U KR 200451020 Y1 KR200451020 Y1 KR 2004510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support
brackets
holes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04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인숙
김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김용선
홍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김용선, 홍인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Priority to KR20100004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0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0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0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66C23/2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constructed to operate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 B66C23/283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constructed to operate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with frameworks composed of assembl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후방향으로 위치된 한쌍의 직선형 프레임으로 각종 반도체 생산설비 등의 운반물의 폭에 부합되게 좌우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이격설치되며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복수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면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부가이드공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한쌍의 하부이동지지대와, 상기 각 하부이동지지대의 상부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전후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조립설치되며 하부붐대와 상부붐대로 이루어져 운반물의 높이에 부합되게 상기 상부붐대가 상하높이조절되고 상기 하부붐대의 하단부에는 하부가이드돌기가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가이드공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며 상부붐대의 상단부에는 상부가이드공이 천공되어 있는 좌우측 수직붐대와, 상기 각 좌우측 수직붐대의 상단부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조립설치되며 하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후크가 좌우 위치이동되게 설치되어 있고 좌우양측끝단 하면부에는 상부가이드돌기가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가이드공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는 상부연결지지대로 구성되어 있어 운반물의 폭과 높이에 맞게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연결지지대의 후크에 운반물을 걸어 수동식으로 운반물을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A prefabricated gantry crane}
본 고안은 반도체, LCD, PDP, LED, 태양전지, 2차전지 생산설비 등과 같은 대형 운반물을 엄격한 청결조건을 요하는 크린룸(clean room)으로 반입 및 반출시 운반물의 폭과 높이에 맞게 조립설치되어 수동식으로 운반물을 이송하는 갠트리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방향으로 위치된 한쌍의 직선형 프레임으로 운반물의 폭에 부합되게 좌우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이격설치되며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복수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면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부가이드공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한쌍의 하부이동지지대와, 상기 각 하부이동지지대의 상부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전후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조립설치되며 하부붐대와 상부붐대로 이루어져 운반물의 높이에 부합되게 상기 상부붐대가 상하높이조절되고 상기 하부붐대의 하단부에는 하부가이드돌기가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가이드공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며 상부붐대의 상단부에는 상부가이드공이 천공되어 있는 좌우측 수직붐대와, 상기 각 좌우측 수직붐대의 상단부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조립설치되며 하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후크가 좌우 위치이동되게 설치되어 있고 좌우양측끝단 하면부에는 상부가이드돌기가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가이드공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는 상부연결지지대로 구성되어 있어 운반물의 폭과 높이에 맞게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연결지지대의 후크에 운반물을 걸어 수동식으로 운반물을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LCD, PDP, LED, 태양전지, 2차전지 생산설비 등은 엄격한 청결조건을 요하는 크린룸(clean room)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크린룸에는 통상의 지게차나 크레인 장비 등이 투입될 수 없어 종래에는 무게가 대략 수톤 내지 수십톤정도로 대형이면서 무거운 하중을 지닌 각종 생산설비를 크린룸에 반입 또는 반출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운반가능한 소형크기로 각종 생산설비를 분해, 해체하여 이동하거나, 또는 운반물의 크기에 부합되는 크기로 하부에 복수개의 바퀴가 설치된 대형크기의 운반카트를 제작하여 상기 운반카트위에 운반물을 올려놓고 여러명의 인원이 운반카트 위의 운반물을 밀어 이동시키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운반카트를 이용한 방법은 운반물의 크기에 부합되는 운반카트를 구비해야만 안전한 운반이 가능하므로 운반시마다 운반물에 부합되는 크기의 운반카트를 직접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하중이 크고 대형인 운반물의 경우 외부에서 크린룸으로 반입시에는 통상의 지게차나 크레인 등으로 운반물을 운반카트에 올려 운반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크린룸으로부터 운반물을 반출시에는 통상의 지게차나 크레인 등이 크린룸으로 투입될 수 없어 작업자가 운반카트에 대형의 운반물을 올려놓지 못해 결국 소형크기로 해체 작업 후 운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이면서 수톤 내지 수십톤의 하중을 지닌 각종 반도체 생산설비 등과 같은 운반물을 크린룸으로 반입 및 반출시 각 운반물의 폭과 높이에 부합되게 조립설치되면서 상부연결지지대에 구비된 후크에 운반물을 걸어 수동식으로 운반물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동시키도록 하며, 조립설치시 수직붐대의 상부붐대와 하부이동지지대에 각각 형성된 상,하부가이드공에 상부연결지지대와 수직붐대의 하부붐대에 돌출형성된 상,하부가이드돌기가 각각 부합되게 끼움결합되면서 수직붐대 및 상부연결지지대가 조립설치과정에서 외력이나 충격에 의해 쉽게 낙하되지 않아 안전한 조립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후방향으로 위치된 한쌍의 직선형 프레임으로 운반물의 폭에 부합되게 좌우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이격설치되며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복수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면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부가이드공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한쌍의 하부이동지지대와, 상기 각 하부이동지지대의 상부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전후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조립설치되며 하부붐대와 상부붐대로 이루어져 운반물의 높이에 부합되게 상기 상부붐대가 상하높이조절되고 상기 하부붐대의 하단부에는 하부가이드돌기가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가이드공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며 상부붐대의 상단부에는 상부가이드공이 천공되어 있는 좌우측 수직붐대와, 상기 각 좌우측 수직붐대의 상단부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조립설치되며 하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후크가 좌우 위치이동되게 설치되어 있고 좌우양측끝단 하면부에는 상부가이드돌기가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가이드공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는 상부연결지지대로 구성되어 있어 운반물의 폭과 높이에 맞게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연결지지대의 후크에 운반물을 걸어 수동식으로 운반물을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대형이면서 수톤 내지 수십톤의 하중을 지닌 각종 반도체 생산설비 등과 같은 운반물을 크린룸으로 반입 및 반출시 각 운반물의 폭과 높이에 부합되게 조립설치되면서 상부연결지지대에 구비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후크에 운반물을 걸어 수동식으로 운반물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조립설치시 수직붐대의 상부붐대와 하부이동지지대에 각각 형성된 상,하부가이드공에 상부연결지지대와 수직붐대의 하부붐대에 돌출형성된 상,하부가이드돌기가 각각 부합되게 끼움결합되면서 수직붐대 및 상부연결지지대가 조립설치과정에서 외력이나 충격에 의해 쉽게 낙하되지 않아 안전한 조립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이 운반물의 폭에 맞게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이 운반물의 폭과 높이에 맞게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의 후크에 운반물을 걸어 이동시키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의 상부붐대에 상부보조지지대가 조립설치되고 상부브라켓의 외주면에 이탈방지턱이 돌출형성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의 하부이동지지대의 전후방 상면부에 각각 안전연결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1)은 도 1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LCD, PDP, LED, 태양전지, 2차전지 생산설비 등과 같은 대형 운반물을 엄격한 청결조건을 요하는 크린룸(clean room)으로 반입 및 반출시 운반물의 폭과 높이에 맞게 간편하게 조립설치되면서 수동식으로 운반물을 이송하는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위치된 한쌍의 직선형 프레임으로 운반물의 폭에 부합되게 좌우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이격설치되며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복수개의 바퀴(3a)(3b)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면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부가이드공(4a)(4b)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한쌍의 하부이동지지대(2a)(2b)와, 상기 각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상부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전후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조립설치되며 하부붐대(10a)(10b)와 상부붐대(11a)(11b)로 이루어져 운반물의 높이에 부합되게 상기 상부붐대(11a)(11b)가 상하높이조절되고 상기 하부붐대(10a)(10b)의 하단부에는 하부가이드돌기(12a)(12b)가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가이드공(4a)(4b)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며 상부붐대(11a)(11b)의 상단부에는 상부가이드공(13a)(13b)이 천공되어 있는 좌우측 수직붐대(9a)(9b)와, 상기 각 좌우측 수직붐대(9a)(9b)의 상단부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조립설치되며 하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후크(29)가 좌우 위치이동되게 설치되어 있고 양측끝단 하면부에는 상부가이드돌기(30a)(30b)가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가이드공(13a)(13b)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는 상부연결지지대(2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하부이동지지대(2a)(2b)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물의 폭에 부합되게 좌우 일정간격으로 이격설치되면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부분으로, 전후수평방향으로 위치된 한쌍의 직선형 프레임으로 되어 있으며 운반물의 폭에 부합되게 좌우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이격설치되고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복수개의 바퀴(3a)(3b)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면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부가이드공(4a)(4b)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어 상기 수직붐대(9a)(9b)의 하부붐대(10a)(10b) 하단부에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된 하부가이드돌기(12a)(12b)가 부합되게 끼움결합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붐대(9a)(9b)가 일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하부이동지지대(2a)(2b)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이드공(4a)(4b)이 천공된 부분의 상면부에 각각 하부체결브라켓(5a)(5b)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하부체결브라켓(5a)(5b)의 가운데부분에는 하부가이드공(4a)(4b)과 상하 연통되게 구멍이 천공되어 있으며 외곽에도 복수개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수직붐대(9a)(9b)의 하부붐대(10a)(10b) 하단부에 고정부착된 하부브라켓(20a)(20b)이 하부체결브라켓(5a)(5b)과 상하 부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하부브라켓(20a)(20b)에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된 하부가이드돌기(12a)(12b)가 하부가이드공(4a)(4b)에 부합되게 삽입되고 상기 하부체결브라켓(5a)(5b)의 외곽에 천공된 복수개의 구멍과 하부브라켓(20a)(20b)의 외곽에 천공된 복수개의 구멍에는 통상의 볼트 및 너트 등이 상하로 삽입체결되어 각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상부에 수직붐대(9a)(9b)가 수직으로 안정되게 세워진 상태로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하부이동지지대(2a)(2b)는 하면부에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1)이 지면위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위치고정대(6a)(6b)가 하나 또는 복수개 설치되어 있되, 상기 각 위치고정대(6a)(6b)는 일측끝단이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하면부에 설치된 회전축(7a)(7b)에 의해 축설되어 90°범위에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타측끝단에는 나사체결식으로 풀거나 조여 상하높이조절되는 지면고정축(8a)(8b)이 설치되어 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위치고정대(6a)(6b)를 회전축(7a)(7b)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면고정축(8a)(8b)을 풀거나 조여 그 하단부가 지면위에 맞닿아 각 하부이동지지대(2a)(2b)가 수직으로 조립설치되는 수직붐대(9a)(9b)의 하중에 의해 좌우측으로 쓰러지지 않고 고정지지되면서 위치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바퀴(3a)(3b)는 통상의 브레이크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어 조립설치과정에서는 브레이크수단에 의해 구름이동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운반시에는 브레이크수단이 해제되어 구름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수직붐대(9a)(9b)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상부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전후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조립설치되면서 운반물의 높이에 부합되게 높이조절되는 부분으로, 대략 그 높이가 2 ~ 5m 정도로 되어 있으며 각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조립설치되는 하부붐대(10a)(10b)와 상기 하부붐대(10a)(10b)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하높이조절되는 상부붐대(11a)(11b)로 이루어져 있어 운반물의 높이에 부합되게 상기 상부붐대(11a)(11b)가 상하높이조절되도록 되어 있되, 좌측의 하부이동지지대(2a)에 조립설치되는 수직붐대(9a)와 우측의 하부이동지지대(2b)에 조립설치되는 수직붐대(9b)는 서로 대향(對向)되어 마주보게 위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붐대(10a)(10b)는 하단부에 하부가이드돌기(12a)(12b)가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각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하부가이드공(4a)(4b)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붐대(9a)(9b)가 일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붐대(11a)(11b)의 상단부에는 상부가이드공(13a)(13b)이 천공되어 있어 상부연결지지대(28)의 좌우양측끝단 하면부에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상부가이드돌기(30a)(30b)가 상부가이드공(13a)(13b)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상부연결지지대(28)가 조립설치과정에서 외력이나 충격에 의해 낙하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하부붐대(10a)(10b)는 내부가 빈 파이프형상으로 일측면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높이조절공(14a)(14b)이 천공되어 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개방된 상부에 상부붐대(11a)(11b)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외측면 하부에는 윈치(15a)(15b)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윈치(15a)(15b)에 감겨있는 와이어로프(17a)(17b)의 끝단은 하부붐대(10a)(10b)의 외측면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축(16a)(16b)을 거쳐 하부붐대(10a)(10b)의 내측으로 투입되면서 상기 하부붐대(10a)(10b)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된 상부붐대(11a)(11b)의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윈치(15a)(15b)를 조작하여 와이어로프(17a)(17b)를 감거나 풀면 상기 와이어로프(17a)(17b)의 견인작동에 의해 하부붐대(10a)(10b)의 내측에 삽입된 상부붐대(11a)(11b)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부붐대(11a)(11b)의 하부에는 관통홀(18a)(18b)이 천공되어 있어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붐대(11a)(11b)가 일정높이로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붐대(10a)(10b)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높이조절공(14a)(14b)에 상부붐대(11a)(11b)의 관통홀(18a)(18b)을 부합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핀(19a)(19b)을 관통체결하여 운반물의 높이에 맞게 높이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하부붐대(10a)(10b)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하부브라켓(20a)(20b)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하부브라켓(20a)(20b)의 가운데부분에 수직하방으로 하부가이드돌기(12a)(12b)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브라켓(20a)(20b)의 외곽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하부체결브라켓(5a)(5b)과 하부브라켓(20a)(20b)이 상하 부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하부가이드돌기(12a)(12b)가 하부가이드공(4a)(4b)에 부합되게 삽입되고 상기 하부체결브라켓(5a)(5b)의 외곽에 천공된 복수개의 구멍과 하부브라켓(20a)(20b)의 외곽에 천공된 복수개의 구멍에는 통상의 볼트 및 너트 등이 상하로 삽입체결되어 각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상부에 수직붐대(9a)(9b)가 수직으로 안정되게 세워진 상태로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상부붐대(11a)(11b)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이드공(13a)(13b)이 천공된 부분의 상면부에 각각 상부브라켓(21a)(21b)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상부브라켓(21a)(21b)의 가운데부분에는 상부가이드공(13a)(13b)과 상하 연통되게 구멍이 천공되어 있으며 외곽에도 복수개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상부연결지지대(28)의 좌우양측끝단 하면부에 고정부착된 상부체결브라켓(31a)(31b)이 상부브라켓(21a)(21b)과 상하 부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상부체결브라켓(31a)(31b)에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상부가이드돌기(30a)(30b)가 상부가이드공(13a)(13b)에 부합되게 삽입되고 상기 상부브라켓(21a)(21b)의 외곽에 천공된 복수개의 구멍과 상부체결브라켓(31a)(31b)의 외곽에 천공된 복수개의 구멍에는 통상의 볼트 및 너트 등이 상하로 삽입체결되어 각 상부붐대(11a)(11b)의 상단부 사이에 상부연결지지대(28)가 수평으로 안정되게 위치된 상태로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붐대(9a)(9b)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이동지지대(2a)(2b) 위에 전후로 복수개가 일렬로 설치되는 경우 전방과 후방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일렬로 위치된 수직붐대(9a)(9b)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가로연결대(22a)(22b)가 전후 수평방향으로 개재(介在)되면서 조립설치되어 전후로 위치된 수직붐대(9a)(9b)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고정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가로연결대(22a)(22b)는 전,후방에 위치된 상부붐대(11a)(11b)의 상부에 서로 대향되게 돌출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체결편(23a)(23b) 사이에 양끝단이 각각 삽입 개재(介在)된 상태로 통상의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조립체결되거나, 전,후방에 위치된 하부붐대(10a)(10b)의 상부에 서로 대향되게 돌출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체결편(23c)(23d) 사이에 양끝단이 각각 삽입 개재(介在)된 상태로 통상의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수직붐대(9a)(9b)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붐대(10a)(10b)의 전,후면 하부와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상면부 사이에 각각 대각선방향으로 세워진 하부보조지지대(24a)(24b)가 조립설치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하부붐대(10a)(10b)를 하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지지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하부보조지지대(24a)(24b)는 양끝단에 설치브라켓(25a)(25b)이 각각 고정부착되어 있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볼트 등으로 하부붐대(10a)(10b)와 하부이동지지대(2a)(2b) 사이에 간단하게 조립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붐대(11a)(11b)의 상단부에 고정부착된 상부브라켓(21a)(21b)의 외주면에 수직상방으로 이탈방지턱(26a)(26b)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부연결지지대(28)의 좌우양측끝단 하면부에 고정부착된 상부체결브라켓(31a)(31b)이 이탈방지턱(26a)(26b) 내측에 부합되게 삽입되면서 상부연결지지대(28)의 조립설치시 상부붐대(11a)(11b)의 상단부에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수직붐대(9a)(9b)는 상부붐대(11a)(11b)의 일측면 상부와 상부연결지지대(28)의 좌우양측 하면부 사이에 각각 대각선방향으로 세워진 상부보조지지대(27a)(27b)가 조립설치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부연결지지대(28)를 하부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지지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상부보조지지대(27a)(27b)는 양끝단에 설치브라켓(25c)(25d)이 각각 고정부착되어 있어 통상의 볼트 등으로 상부붐대(11a)(11b)와 상부연결지지대(28) 사이에 간단하게 조립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대체적으로 하중이 가벼운 운반물을 운반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상부 가운데부분에 하나씩의 수직붐대(9a)(9b)가 수직으로 조립설치되고 별도의 가로연결대(22a)(22b)는 조립설치되지 않으며 상기 수직붐대(9a)(9b)의 상부에는 상부연결지지대(28)가 연결설치되어 간단하게 조립설치되면서 가벼운 운반물을 운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연결지지대(28)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좌우측 수직붐대(9a)(9b)의 상단부 사이마다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운반물을 견인하여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이동되게 하는 부분으로, 좌우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직선형의 프레임이나 빔형상으로 운반물의 폭에 따라 이에 부합되는 길이를 지닌 상부연결지지대(28)가 선택적으로 조립설치되며 상기 좌측 수직붐대(9a)의 상부붐대(11a)와 우측 수직붐대(9b)의 상부붐대(11b) 상단부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되면서 조립설치되고 하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후크(29)가 좌우 위치이동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후크(29)에 운반물을 묶은 와이어나 끈을 걸고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에서 운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지지대(28)는 통상적으로 하중이 큰 운반물을 상부에서 견고하게 견인지지하기 위하여 중량이 대략 100 ~ 500kg 정도의 특수강이나 강철 등의 재질로 된 빔(Beam)이나 프레임으로 제작되며 이에 따라 수직붐대(9a)(9b)의 상부에 조립설치되는 과정에서 상부연결지지대(28)가 낙하하면 하부에 위치된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게 되는 위험이 있어 상부연결지지대(28)의 좌우양측끝단 하면부에는 상부가이드돌기(30a)(30b)가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각 상부붐대(11a)(11b)의 상단부에 천공된 상부가이드공(13a)(13b)에 상부가이드돌기(30a)(30b)가 부합되게 끼움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립설치과정에서 상기 상부연결지지대(28)가 수직붐대(9a)(9b)의 상부에 외력이나 충격에 의해 낙하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지지대(28)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양측끝단 하면부에 상부체결브라켓(31a)(31b)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상부체결브라켓(31a)(31b)의 가운데부분에 수직하방으로 상부가이드돌기(30a)(30b)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체결브라켓(31a)(31b)의 외곽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상부붐대(11a)(11b)의 상부브라켓(21a)(21b)과 상부체결브라켓(31a)(31b)이 상하 부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상부가이드돌기(30a)(30b)가 상부가이드공(13a)(13b)에 부합되게 삽입되고 상기 상부체결브라켓(31a)(31b)의 외곽에 천공된 복수개의 구멍과 상부브라켓(21a)(21b)의 외곽에 천공된 복수개의 구멍에는 통상의 볼트 및 너트 등이 상하로 삽입체결되어 각 상부붐대(11a)(11b)의 상부에 상부연결지지대(28)가 수평으로 안착된 상태로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후크(29)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연결지지대(28)의 하부에 가이드결합되어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블럭(32)의 하부에 연결설치되거나, 또는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연결지지대(28)에 감겨진 상태로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로프(33)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운반물의 폭에 따라 좌우 위치를 조절하여 운반물을 견인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물이 상부연결지지대(28)의 후크(29)에 견인지지된 상태에서 좌우측 하부이동지지대(2a)(2b) 사이의 전,후방에는 각각 안전연결대(34a)(34b)가 좌우 수평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조립설치되어 운반과정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하부이동지지대(2a)(2b)사이가 벌어지거나 좁아져 운반물이 지면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전,후방 상면부에는 각각 연결대설치브라켓(35a)(35b)(35c)(35d)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안전연결대(34a)(34b)의 좌우양측끝단 하면부에는 각각 연결대브라켓(36a)(36b)(36c)(36d)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연결대설치브라켓(35a)(35b)(35c)(35d)과 연결대브라켓(36a)(36b)(36c)(36d)이 상하 부합되게 맞닿으면서 통상의 볼트 및 너트로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1)을 이용하여 반도체, LCD, PDP, LED, 태양전지, 2차전지 생산설비 등과 같은 대형이면서 하중이 큰 운반물을 엄격한 청결조건을 요하는 크린룸(clean room)으로 반입 및 반출하는 경우에는, 먼저 운반물의 폭에 부합되게 좌우 일정간격으로 한쌍의 하부이동지지대(2a)(2b)을 지면위에 설치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하면부에 설치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위치고정대(6a)(6b)를 회전축(7a)(7b)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90°회전시킨 상태에서 지면고정축(8a)(8b)을 풀거나 조여 그 하단부가 지면위에 맞닿아 고정지지되면서 각 하부이동지지대(2a)(2b)가 위치고정되게 하며, 상기 각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상면부에 천공된 하부가이드공(4a)(4b)에는 각각 수직붐대(9a)(9b)의 하부붐대(10a)(10b) 하단부에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된 하부가이드돌기(12a)(12b)를 끼움결합하고 상하 맞닿은 상태로 위치되는 상기 하부붐대(10a)(10b)의 하부브라켓(20a)(20b)과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하부체결브라켓(5a)(5b)에 통상의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여 각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상면부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수직붐대(9a)(9b)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조립설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각 수직붐대(9a)(9b)의 상부붐대(11a)(11b) 상단부 사이에는 이에 부합되는 길이를 지닌 상부연결지지대(28)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위치시켜 각각 조립설치하되, 상기 상부연결지지대(28)의 좌우양측끝단 하면부에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상부가이드돌기(30a)(30b)를 상부붐대(11a)(11b)의 상단부에 천공된 상부가이드공(13a)(13b)에 끼움결합하여 조립설치과정에서 하중이 큰 상부연결지지대(28)가 낙하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하 맞닿은 상태로 위치되는 상기 상부연결지지대(28)의 상부체결브라켓(31a)(31b)과 상부붐대(11a)(11b)의 상부브라켓(21a)(21b)에 통상의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여 각 상부붐대(11a)(11b) 사이의 상단부에 상부연결지지대(28)가 좌우 수평방향으로 안정되게 조립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전후로 위치된 복수개의 수직붐대(9a)(9b) 사이에는 가로연결대(22a)(22b)를 전후 수평방향으로 조립설치하여 복수개의 수직붐대(9a)(9b)가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연결지지대(28) 및 가로연결대(22a)(22b)가 각 수직붐대(9a)(9b)에 조립설치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붐대(9a)(9b)를 조작하여 운반물의 높이보다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 상부연결지지대(28)가 위치되도록 높이조절하는데, 상기 하부붐대(10a)(10b)의 하부 외측면에 설치된 윈치(15a)(15b)를 조작하여 와이어로프(17a)(17b)를 감거나 풀면 상기 와이어로프(17a)(17b)의 견인작동에 의해 하부붐대(10a)(10b)의 내측에 삽입된 상부붐대(11a)(11b)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기 상부붐대(11a)(11b)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부붐대(11a)(11b)의 하부에 천공된 관통홀(18a)(18b)과 하부붐대(10a)(10b)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높이조절공(14a)(14b)을 상하 부합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핀(19a)(19b)을 관통체결하여 운반물의 폭과 높이에 맞게 조절된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1)의 조립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1)의 조립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물을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1)의 내측에 위치시키고 운반물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들어올린 상태에서 운반물에 감겨진 로프나 와이어를 각 상부연결지지대(28)에 설치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후크(29)에 걸어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견인되도록 하며, 상기 각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하면부에 설치된 위치고정대(6a)(6b)의 지면고정축(8a)(8b)을 풀고 위치고정대(6a)(6b)를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하면부쪽으로 위치시켜 상기 각 하부이동지지대(2a)(2b)에 설치된 복수개의 바퀴(3a)(3b)에 의해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1)이 이동되도록 하여 운반물의 운반이 이루지게 된다.
1.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2a, 2b. 하부이동지지대
3a, 3b. 바퀴 4a, 4b. 하부가이드공
5a, 5b. 하부체결브라켓 6a, 6b. 위치고정대
7a, 7b. 회전축 8a, 8b. 지면고정축
9a, 9b. 수직붐대 10a, 10b. 하부붐대
11a, 11b. 상부붐대 12a, 12b. 하부가이드돌기
13a, 13b. 상부가이드공 14a, 14b. 높이조절공
15a, 15b. 윈치 16a, 16b. 가이드축
17a, 17b. 와이어로프 18a, 18b. 관통홀
19a, 19b. 고정핀 20a, 20b. 하부브라켓
21a, 21b. 상부브라켓 22a, 22b. 가로연결대
23a, 23b, 23c, 23d. 체결편 24a, 24b. 하부보조지지대
25a, 25b, 25c, 25d. 설치브라켓 26a, 26b. 이탈방지턱
27a, 27b. 상부보조지지대 28. 상부연결지지대
29. 후크 30a, 30b. 상부가이드돌기
31a, 31b. 상부체결브라켓 32. 가이드블럭
33. 연결로프 34a, 34b. 안전연결대
35a, 35b, 35c, 35d. 연결대설치브라켓
36a, 36b, 36c, 36d. 연결대브라켓

Claims (10)

  1. 전후방향으로 위치된 한쌍의 직선형 프레임으로 운반물의 폭에 부합되게 좌우 일정간격 이격설치되며 하부에는 복수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있고 상면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부가이드공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한쌍의 하부이동지지대와, 하부붐대와 상부붐대로 이루어져 운반물의 높이에 부합되게 상부붐대가 상하높이조절되고 상기 하부붐대의 하단부에는 하부가이드돌기가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가이드공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는 좌우측 수직붐대와, 상기 각 좌우측 수직붐대의 상단부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하부에 운반물을 거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후크가 좌우 위치이동되게 설치된 상부연결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는 갠트리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수직붐대(9a)(9b)는 각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상부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전후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조립설치되며 상기 각 하부붐대(10a)(10b)는 내부가 빈 파이프형상으로 일측면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높이조절공(14a)(14b)이 천공되어 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개방된 상부에 상부붐대(11a)(11b)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외측면 하부에는 윈치(15a)(15b)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윈치(15a)(15b)에 감겨있는 와이어로프(17a)(17b)의 끝단은 하부붐대(10a)(10b)의 외측면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축(16a)(16b)을 거쳐 하부붐대(10a)(10b)의 내측으로 투입되면서 상기 하부붐대(10a)(10b)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된 상부붐대(11a)(11b)의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윈치(15a)(15b)에 의해 하부붐대(10a)(10b)의 내측에 삽입된 상부붐대(11a)(11b)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기 상부붐대(11a)(11b)의 상단부에는 상부가이드공(13a)(13b)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연결지지대(28)는 양측끝단 하면부에 상부가이드돌기(30a)(30b)가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가이드공(13a)(13b)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면서 운반물의 폭과 높이에 맞게 조립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하부이동지지대(2a)(2b)는 하면부에 위치고정대(6a)(6b)가 하나 또는 복수개 설치되어 있되, 상기 각 위치고정대(6a)(6b)는 일측끝단이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하면부에 설치된 회전축(7a)(7b)에 의해 축설되어 90°범위에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타측끝단에는 나사체결식으로 풀거나 조여 상하높이조절되는 지면고정축(8a)(8b)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각 위치고정대(6a)(6b)를 회전축(7a)(7b)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면고정축(8a)(8b)을 풀거나 조여 그 하단부가 지면위에 맞닿아 각 하부이동지지대(2a)(2b)가 고정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붐대(9a)(9b)는 좌측의 하부이동지지대(2a)에 조립설치되는 수직붐대(9a)와 우측의 하부이동지지대(2b)에 조립설치되는 수직붐대(9b)는 서로 대향되어 마주보게 위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부붐대(11a)(11b)의 하부에는 관통홀(18a)(18b)이 천공되어 있어 상부붐대(11a)(11b)가 일정높이로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붐대(10a)(10b)의 높이조절공(14a)(14b)에 상부붐대(11a)(11b)의 관통홀(18a)(18b)을 부합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핀(19a)(19b)을 관통체결하여 운반물의 높이에 맞게 높이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하부붐대(10a)(10b)는 하단부에 하부브라켓(20a)(20b)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하부브라켓(20a)(20b)의 가운데부분에 수직하방으로 하부가이드돌기(12a)(12b)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브라켓(20a)(20b)의 외곽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하부가이드공(4a)(4b)이 천공된 부분에 고정설치된 하부체결브라켓(5a)(5b)과 하부브라켓(20a)(20b)이 상하 부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하부가이드돌기(12a)(12b)가 하부가이드공(4a)(4b)에 부합되게 삽입되고 상기 하부체결브라켓(5a)(5b)의 외곽에 천공된 복수개의 구멍과 하부브라켓(20a)(20b)의 외곽에 천공된 복수개의 구멍에는 통상의 볼트 및 너트가 상하로 삽입체결되어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상부붐대(11a)(11b)는 상부가이드공(13a)(13b)이 천공된 부분의 상면부에 각각 상부브라켓(21a)(21b)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상부브라켓(21a)(21b)의 가운데부분에는 상부가이드공(13a)(13b)과 상하 연통되게 구멍이 천공되어 있으며 외곽에도 복수개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상부연결지지대(28)의 좌우양측끝단 하면부에 고정부착된 상부체결브라켓(31a)(31b)이 상부브라켓(21a)(21b)과 상하 부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상부체결브라켓(31a)(31b)에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상부가이드돌기(30a)(30b)가 상부가이드공(13a)(13b)에 부합되게 삽입되고 상기 상부브라켓(21a)(21b)의 외곽에 천공된 복수개의 구멍과 상부체결브라켓(31a)(31b)의 외곽에 천공된 복수개의 구멍에는 통상의 볼트 및 너트가 상하로 삽입체결되어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붐대(9a)(9b)는 하부이동지지대(2a)(2b)위에 전후로 복수개가 일렬로 설치되는 경우 전방과 후방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일렬로 위치된 수직붐대(9a)(9b)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가로연결대(22a)(22b)가 전후 수평방향으로 개재되면서 조립설치되어 전후로 위치된 수직붐대(9a)(9b) 사이를 연결고정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가로연결대(22a)(22b)는 전,후방에 위치된 상부붐대(11a)(11b)의 상부에 서로 대향되게 돌출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체결편(23a)(23b) 사이에 양끝단이 각각 삽입 개재된 상태로 통상의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조립체결되거나, 전,후방에 위치된 하부붐대(10a)(10b)의 상부에 서로 대향되게 돌출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체결편(23c)(23d) 사이에 양끝단이 각각 삽입 개재된 상태로 통상의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직붐대(9a)(9b)는 하부붐대(10a)(10b)의 전,후면 하부와 하부이동지지대(2a)(2b)의 상면부 사이에 각각 대각선방향으로 세워진 하부보조지지대(24a)(24b)가 조립설치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하부붐대(10a)(10b)를 하부에서 고정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붐대(11a)(11b)는 상단부에 고정부착된 상부브라켓(21a)(21b)의 외주면에 수직상방으로 이탈방지턱(26a)(26b)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부연결지지대(28)의 좌우양측끝단 하면부에 고정부착된 상부체결브라켓(31a)(31b)이 이탈방지턱(26a)(26b) 내측에 부합되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9.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직붐대(9a)(9b)는 상부붐대(11a)(11b)의 일측면 상부와 상부연결지지대(28)의 좌우양측 하면부 사이에 각각 대각선방향으로 세워진 상부보조지지대(27a)(27b)가 조립설치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부연결지지대(28)를 하부에서 고정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후크(29)는 상부연결지지대(28)의 하부에 가이드결합되어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블럭(32)의 하부에 연결설치되거나 또는 상부연결지지대(28)에 감겨진 상태로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로프(33)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운반물의 폭에 따라 좌우 위치조절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좌우측 하부이동지지대(2a)(2b) 사이의 전,후방에는 각각 안전연결대(34a)(34b)가 좌우 수평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조립설치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하부이동지지대(2a)(2b)는 전,후방 상면부에 각각 연결대설치브라켓(35a)(35b)(35c)(35d)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안전연결대(34a)(34b)는 좌우양측끝단 하면부에 각각 연결대브라켓(36a)(36b)(36c)(36d)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연결대설치브라켓(35a)(35b)(35c)(35d)과 연결대브라켓(36a)(36b)(36c)(36d)이 상하 부합되게 맞닿으면서 통상의 볼트 및 너트로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KR20100004641U 2010-05-03 2010-05-03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KR2004510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4641U KR200451020Y1 (ko) 2010-05-03 2010-05-03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4641U KR200451020Y1 (ko) 2010-05-03 2010-05-03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020Y1 true KR200451020Y1 (ko) 2010-11-18

Family

ID=4587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04641U KR200451020Y1 (ko) 2010-05-03 2010-05-03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020Y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006Y1 (ko) * 2011-05-06 2011-10-07 맹수영 거더보강받침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KR101270190B1 (ko) * 2012-11-13 2013-05-31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포스트안전지지수단이 구비된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KR101283500B1 (ko) * 2012-12-28 2013-07-12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휠스타트유닛이 구비된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KR101307979B1 (ko) * 2013-02-13 2013-09-13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정밀설비물류용 안전스태커
KR101385406B1 (ko) 2013-01-07 2014-04-29 김근수 모노레일식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
KR101441659B1 (ko) * 2013-12-31 2014-09-23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CN107572424A (zh) * 2017-10-30 2018-01-12 广西万山香料有限责任公司 用于蒸馏釜的龙门吊
KR102013575B1 (ko) * 2018-12-17 2019-08-23 현대엠지(주) 유압식 갠트리 크레인
KR20200075494A (ko) 2018-12-18 2020-06-26 삼보씨엠씨 주식회사 유압식 갠트리
KR20220017130A (ko) 2020-08-04 2022-02-11 (주)신우기전 고정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KR20220017126A (ko) 2020-08-04 2022-02-11 (주)신우기전 이동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KR102358526B1 (ko) 2020-08-04 2022-02-11 주식회사 푸른종합건설 외팔보형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7078U (ja) * 1982-02-19 1983-08-29 三井造船株式会社 ガントリ−クレ−ン
KR200369117Y1 (ko) * 2004-09-14 2004-12-03 손대성 옷걸이 행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7078U (ja) * 1982-02-19 1983-08-29 三井造船株式会社 ガントリ−クレ−ン
KR200369117Y1 (ko) * 2004-09-14 2004-12-03 손대성 옷걸이 행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006Y1 (ko) * 2011-05-06 2011-10-07 맹수영 거더보강받침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KR101270190B1 (ko) * 2012-11-13 2013-05-31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포스트안전지지수단이 구비된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KR101283500B1 (ko) * 2012-12-28 2013-07-12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휠스타트유닛이 구비된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KR101385406B1 (ko) 2013-01-07 2014-04-29 김근수 모노레일식 자립이동형 갠트리 크레인
KR101307979B1 (ko) * 2013-02-13 2013-09-13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정밀설비물류용 안전스태커
KR101441659B1 (ko) * 2013-12-31 2014-09-23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CN107572424A (zh) * 2017-10-30 2018-01-12 广西万山香料有限责任公司 用于蒸馏釜的龙门吊
KR102013575B1 (ko) * 2018-12-17 2019-08-23 현대엠지(주) 유압식 갠트리 크레인
KR20200075494A (ko) 2018-12-18 2020-06-26 삼보씨엠씨 주식회사 유압식 갠트리
KR20220017130A (ko) 2020-08-04 2022-02-11 (주)신우기전 고정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KR20220017126A (ko) 2020-08-04 2022-02-11 (주)신우기전 이동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KR102358526B1 (ko) 2020-08-04 2022-02-11 주식회사 푸른종합건설 외팔보형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020Y1 (ko)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KR200453747Y1 (ko) 기어높이조절식 갠트리 크레인
KR200456006Y1 (ko) 거더보강받침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US8469209B2 (en) Removal apparatus for a torque converter and a starting motor from an auxiliary compartment on a gas turbine
CN101434366B (zh) 立柱构件的吊装机具及吊装方法
KR102009781B1 (ko) 조립식 건축용 사전제작 부품 운송 장치
KR101283500B1 (ko) 휠스타트유닛이 구비된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US9592998B2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commercial and industrial appliance units
CN112431399A (zh) 一种建筑外墙用吊篮及其安装方法
KR101307979B1 (ko) 정밀설비물류용 안전스태커
KR101374128B1 (ko) 물류운반용 접이식 안전곤돌라
CN105621280A (zh) 安装和拆卸起重臂的装置和方法
KR200466880Y1 (ko) 포스트안전장치가 구비된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KR101270190B1 (ko) 포스트안전지지수단이 구비된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JP2010228827A (ja) 移動式搬送装置
JP7062279B2 (ja) 墜落防止器具
CN116022633A (zh) 多级联动平衡及自调节系统模块安装结构及工艺
CN213865195U (zh) 一种输电线路铁塔作业电动升降装置
RU2727300C2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гондолы в верхней части башни
CN210825133U (zh) 电缆沟盖板提升装置
CN102425713B (zh) 风力发电机机舱安装运输的临时支撑装置及方法
CN207267787U (zh) 电动葫芦提升安装装置
US8474633B2 (en) Methods of removing a torque converter and a starting motor from an auxiliary compartment of a gas turbine
KR101782936B1 (ko) 수평조절기능을 지닌 접이식 안전곤돌라
CN208022591U (zh) 轨道梁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