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126A - 이동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 Google Patents

이동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126A
KR20220017126A KR1020200097241A KR20200097241A KR20220017126A KR 20220017126 A KR20220017126 A KR 20220017126A KR 1020200097241 A KR1020200097241 A KR 1020200097241A KR 20200097241 A KR20200097241 A KR 20200097241A KR 20220017126 A KR20220017126 A KR 20220017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antry crane
support
steel fram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용
윤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신우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기전 filed Critical (주)신우기전
Priority to KR1020200097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7126A/ko
Publication of KR20220017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6/00Girders, or track-suppor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200kg 적재하중이 가능하도록 경량 파이프와 철골프레임이 조합된 구조를 이루어서 전체적인 장비의 중량을 경량화 함과 함께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바퀴(11)가 구비된 상태에서 하부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성되는 하부 철골프레임(10)과; 상기 하부 철골프레임(10)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형태로 연결 구성되는 수직 경량파이프(20)와; 상기 수직 경량파이프(20)를 상부에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구성되는 상부 파이프(30)와; 상기 수직 경량파이프(20)의 지지를 위해 양측에 연결 구성되는 지지와이어(40)와; 상기 지지와이어(40)의 하단부에 연결 구성되어 하부 철골프레임(10)과 연결이 이루어짐과 함께 인장력 조절이 이루어지는 턴버클(41)과; 상기 수직 경량파이프(20)의 중단에 고정되어 지지와이어(40)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고정구(21)와; 상기 상부 파이프(3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동롤러(50)와; 상기 이동롤러(50)에 연결 구성되는 체인블럭(6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Movable type Multi-purpose Mini Gantry Crane}
본 발명은 갠트리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공장에서 200kg 적재하중 기준 화물의 적재 및 하역시 사용이 이루어지는 갠트리 크레인의 제작비용을 절감시킴과 함께 취급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선된 구조를 이루는 이동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Crane)이란 대상물을 들어 올려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물체의 이동 양상에 따라 회전 크레인과 수평 크레인으로 구분되고, 고정 여부에 따라 고정식 크레인과 이동식 크레인으로 구분되고 있다.
갠트리 크레인은 수평 크레인의 일종으로, 주로 실외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갠트리 크레인은 지상에 주행레일을 설치하고,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다리 구조물을 세운 후 그 위에 거더(Girder)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실외의 넓은 작업공간에 설치하나 부두 등에서 하역작업을 위해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갠트리 크레인은 주로 컨테이너 터미널에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선적하거나 하역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캔티레버(Canti-lever)를 추가로 부착하여 레일의 바깥쪽으로도 작업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갠트리 크레인은 일반적으로 한 쌍의 지지다리와, 한 쌍의 지지다리에 수평방향으로 지지되는 거더와, 거더에 설치되는 권상유니트를 포함하며, 리프팅 대상이 되는 물체의 크기와 중량에 따라 소형, 중형, 대형으로 제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종래 소형 크레인의 경우 H빔 등과 같은 철골프레임으로 제작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대부분 용접에 따른 크레인의 높이 및 폭이 고정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타 작업장에 사용시 수정(개조) 작업이 수반되어지며, 또한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고중량으로 인해 이동 및 설치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054177호(2019.12.04.등록)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451020호(2010.11.12.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경량의 파이프와 철골을 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개선된 소형 구조의 갠트리 크레인을 제공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시킴과 함께 이동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갠트리 크레인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바퀴가 구비된 상태에서 하부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성되는 하부 철골프레임과; 상기 하부 철골프레임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형태로 연결 구성되는 수직 경량파이프와; 상기 수직 경량파이프를 상부에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구성되는 상부 파이프와; 상기 수직 경량파이프의 지지를 위해 양측에 연결 구성되는 지지와이어와; 상기 지지와이어의 하단부에 연결 구성되어 하부 철골프레임과 연결이 이루어짐과 함께 인장력 조절이 이루어지는 턴버클과; 상기 수직 경량파이프의 중단에 고정되어 지지와이어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고정구와; 상기 상부 파이프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동롤러와; 상기 이동롤러에 연결 구성되는 체인블럭;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미니 갠트리 크레인은, 경량 파이프와 철골프레임이 조합된 구조를 이루어서 전체적인 장비의 중량을 경량화 함과 함께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장비의 높이와 폭 조절이 용이하여 소형공장(야드)에서 화물의 적재 및 하역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이동이 가능한 가운데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되어 장비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 정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 갠트리 크레인 측면 구조도.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갠트리 크레인에 상부 보강지지대가 조립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갠트리 크레인에 하부 보강지지대 조립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이동롤러 설치부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보강지지대 상세 구조도.
도 8은 도 7의 B부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갠트리 크레인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바퀴(11)가 구비된 상태에서 하부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성되는 하부 철골프레임(10)과, 상기 하부 철골프레임(10)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형태로 연결 구성되는 수직 경량파이프(20)와, 상기 수직 경량파이프(20)를 상부에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구성되는 상부 파이프(30)와, 상기 수직 경량파이프(20)의 지지를 위해 양측에 연결 구성되는 지지와이어(40)와, 상기 지지와이어(40)의 하단부에 연결 구성되어 하부 철골프레임(10)과 연결이 이루어짐과 함께 인장력 조절이 이루어지는 턴버클(41)과, 상기 수직 경량파이프(20)의 중단에 고정되어 지지와이어(40)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고정구(21)와, 상기 상부 파이프(3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동롤러(50)와, 상기 이동롤러(50)에 연결 구성되어 화물의 적재가 이루어지는 체인블럭(60)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수직 경량파이프(20) 하부에는 필요에 따라 삼각형상의 보강 지지대(70)가 조립 구성되는데, 상기 보강 지지대(70)의 일측에는 일정 길이를 이루는 스크류봉(71)이 나사 체결되어 스크류봉(71) 회전에 따른 승하강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스크류봉(71)의 하단부에는 지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가압판(72)이 일체로 연결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 경량파이프(20) 상부에도 필요에 따라 삼각형상의 보강 지지대(80)가 조립 구성되고, 상기 보강 지지대(80)의 일측에는 일정 길이를 이루는 스크류봉(81)이 나사 체결되어 스크류봉(81) 회전에 따른 승하강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스크류봉(81)의 하단부에는 천정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가압판(82)이 일체로 연결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철골프레임(10)은 상부가 개방된 "ㄷ"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루고, 수직 경량파이프(20) 상단에는 길이의 가변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장파이프(22)가 내장된 2중 구조를 이루는 것을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1은 이동롤러(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롤러 가이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미니 갠트리 크레인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갠트리 크레인은 수직 경량파이프(20)와 상부 파이프(30)가 경량형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무게가 경량화를 이루는 가운데 이동바퀴(11)에 의한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서 소형공장 또는 야드에서 화물의 적재 및 하역작업에 효과적인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체인블럭(60)에 화물의 하중 적재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부 이동롤러(50)를 이용한 수평 이동 및 적재상태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수직 경량파이프(20)는 턴버클(41)에 의해 인장력 조절이 가능한 지지와이어(40)에 의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안정적인 하중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보강지지대(70,80)를 수직 경량파이프(20)의 상부 및 하부에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각각 조립하게 되면 바닥면과 천정면과의 가압 지지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어 갠트리 크레인의 하중 지지력이 극대화 되고, 이에 따른 작업 과정에서 안전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 과정에서 수직 경량파이프(20)의 높이를 조절코자 하는 경우에는 연장 파이프(22)에 의한 길이 가변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인양 높이의 연장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식 갠트리 크레인은, 경량 파이프와 철골프레임이 조합된 구조를 이루어서 전체적인 장비의 중량을 경량화 함과 함께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장비의 높이와 폭 조절이 용이하여 소형공장(야드)에서 화물의 적재 및 하역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이동이 가능한 가운데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되어 장비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보강 지지대(80)에는 스크류봉(81)을 일정 탄성력으로 가압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83)이 내장 구성되되, 상기 탄성스프링(83) 선단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가압구(84)가 구형상을 이루어 연결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판(82)에는 천정면과의 마찰력 증대를 위한 탄성재질의 마찰패드(86)가 도 8에서와 같이 구성된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의 마찰패드(86)는 우레탄 40~60중량%, 실리콘수지 10~30중량%, 버미큘라이트 10~20중량%, 스티렌 모노머 1~10중량% 및 알콕시 실란 1~10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스크류봉(81)이 탄성스프링(83) 및 가압구(84)에 의한 가압 지지가 이루어지게 되어 자중 또는 진동으로 인한 스크류봉(81)의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압판(82)에 구비된 탄성 재질의 마찰패드(86)는 우레탄, 실리콘수지 외에도 버미큘라이트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패드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크랙 발생이 방지되고, 스티렌 모노머는 우레탄의 경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알콕시 실란은 실리콘수지의 활성화를 통한 내열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표면 벽색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미니 갠트리 크레인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보강지지대(70,80)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조립 설치된 상태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보강지지대(70,80) 구조물은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일측에만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하부 철골프레임 11 : 이동바퀴
20 : 수직 경량파이프 21 : 고정구
22 : 연장 파이프 30 : 상부 파이프
40 : 지지와이어 41 : 턴버클
50 : 이동롤러 51 : 롤러가이드
60 : 체인블럭 70,80 : 보강지지대
71,81 : 스크류봉 72,82: 가압판

Claims (5)

  1.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바퀴(11)가 구비된 상태에서 하부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성되는 하부 철골프레임(10)과;
    상기 하부 철골프레임(10)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형태로 연결 구성되는 수직 경량파이프(20)와;
    상기 수직 경량파이프(20)를 상부에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구성되는 상부 파이프(30)와;
    상기 수직 경량파이프(20)의 지지를 위해 양측에 연결 구성되는 지지와이어(40)와;
    상기 지지와이어(40)의 하단부에 연결 구성되어 하부 철골프레임(10)과 연결이 이루어짐과 함께 인장력 조절이 이루어지는 턴버클(41)과;
    상기 수직 경량파이프(20)의 중단에 고정되어 지지와이어(40)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고정구(21)와;
    상기 상부 파이프(3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동롤러(50)와;
    상기 이동롤러(50)에 연결 구성되는 체인블럭(60);
    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경량파이프(20) 하부에는 삼각형상의 보강 지지대(70)가 조립 구성되고, 상기 보강 지지대(70)의 일측에는 일정 길이를 이루는 스크류봉(71)이 나사 체결되며, 상기 스크류봉(71)의 하단부에는 지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가압판(72)이 일체로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경량파이프(20) 상부에는 삼각형상의 보강 지지대(80)가 조립 구성되고, 상기 보강 지지대(80)의 일측에는 일정 길이를 이루는 스크류봉(81)이 나사 체결되며, 상기 스크류봉(81)의 하단부에는 천정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가압판(82)이 일체로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철골프레임(10)은 "ㄷ"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루고, 수직 경량파이프(20) 상단에는 길이의 가변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장파이프(22)가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 지지대(80)에는 스크류봉(81)을 일정 탄성력으로 가압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83)이 내장 구성되되, 상기 탄성스프링(83) 선단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가압구(84)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가압판(82)에는 천정면과의 마찰력 증대를 위한 마찰패드(86)가 구성되며, 상기 마찰패드(86)는 우레탄, 실리콘수지, 버미큘라이트, 스티렌 모노머 및 알콕시 실란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KR1020200097241A 2020-08-04 2020-08-04 이동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KR20220017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241A KR20220017126A (ko) 2020-08-04 2020-08-04 이동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241A KR20220017126A (ko) 2020-08-04 2020-08-04 이동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126A true KR20220017126A (ko) 2022-02-11

Family

ID=8026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241A KR20220017126A (ko) 2020-08-04 2020-08-04 이동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712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020Y1 (ko) 2010-05-03 2010-11-18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KR102054177B1 (ko) 2018-12-05 2019-12-10 김성구 갠트리 크레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020Y1 (ko) 2010-05-03 2010-11-18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KR102054177B1 (ko) 2018-12-05 2019-12-10 김성구 갠트리 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808161U (zh) 集装箱吊具及起重机
CN105000482A (zh) 带行走机构的塔吊
CN204960281U (zh) 一种自动升降式脚手架
KR20220017126A (ko) 이동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CN106049843A (zh) 一种悬挂式防晃施工平台及其安装方法
KR102358526B1 (ko) 외팔보형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CN109928315A (zh) 一种钢结构施工用起吊装置
CN101927955B (zh) 桥式、门式起重机主梁制造或改造的方法
CN213679511U (zh) 一种便于移动的起重机
CN213387550U (zh) 一种具有缓冲结构的起重机用支腿结构
CN112299283A (zh) 一种应用于门式起重机的液压升降平台
KR20220017130A (ko) 고정식 다목적 미니 갠트리 크레인
CN204624957U (zh) 一种吊装工装
CN103274318B (zh) 一种平台结构及工程机械设备
CN206751239U (zh) 一种安全便捷减震型起重机支脚
CN216689084U (zh) 一种节段梁架设施工中用到的小型安全装置
CN205527397U (zh) 无轨门式起重机
CN204661183U (zh) 辊轮装置、一体化安装运输托架及起重机
CN103332615B (zh) 张紧装置及具有该张紧装置的起重机
CN220300131U (zh) 一种钢管吊装装置
CN216687243U (zh) 塔式起重机用新型超负荷装置
CN219449065U (zh) 一种自卸车大箱专用吊具装置
CN203486763U (zh) 一种新型防爆起重小车
CN216637792U (zh) 门式刮板取料机门架安全顶升装置
CN209396775U (zh) 一种电动单梁起重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