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659B1 -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659B1
KR101441659B1 KR1020130169143A KR20130169143A KR101441659B1 KR 101441659 B1 KR101441659 B1 KR 101441659B1 KR 1020130169143 A KR1020130169143 A KR 1020130169143A KR 20130169143 A KR20130169143 A KR 20130169143A KR 101441659 B1 KR101441659 B1 KR 101441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reflector
support
moving
vertical support
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Priority to KR1020130169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6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63J5/04Arrangements for making sound-effects

Landscapes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향반사판의 접힘부를 상단에 거치가능한 높이를 가지며, 음향반사판의 좌, 우측패널을 경사지게 거치가능하게 상부보다 하부가 확장된 형상을 가지는 거치부와, 거치부보다 큰 폭을 가지고 거치부 하부에 연결되며, 지면과 평행을 이루며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향반사판 이동장치{SHIFTER FOR SOUND REFRECTION BOARD}
본 발명은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향반사판을 거치시킨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한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반사판은 콘서트홀, 극장, 무대, 공연장 등에서 공연되는 교향악 등의 음향을 청중이 앉아 있는 객석에 보다 원음에 가깝게 전달하기 설치된다.
음향반사판을 영구적인 형태로 무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무대를 다양한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없으므로, 음향반사판을 철거 가능하게 설치한 후, 공연이 끝난 후에는 설치되었던 음향 반사판을 철거하여 보관 장소나 다음 무대의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39255호(2004.01.08.등록, 고안의 명칭 : 음향반사판 이송용 고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음향반사판은 3m~10m에 이르는 대형의 폭을 가지므로, 음향반사판을 직립시키거나 눕혀서 운반장치를 이용해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운반장치의 미세 요동에도 큰 폭으로 요동하게 되어 쉽게 넘어지거나 운반장치에서 이탈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운반장치나 음향반사판이 요동되는 과정에서 음향반사판의 패널이 운반장치와의 마찰 접촉, 충격력 등에 의해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대형의 폭을 가지는 음향반사판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운반할 수 있으면서도 운반장치의 요동에 따른 음향반사판의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음향반사판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는, 음향반사판의 접힘부를 상단에 거치가능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음향반사판의 좌, 우측패널을 경사지게 거치가능하게 상부보다 하부가 확장된 형상을 가지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기 거치부 하부에 연결되며, 지면과 평행을 이루며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이동부 상부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 상부에 상기 음향반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며, 상기 음향반사판의 상부가 거치되는 상부지지대; 및 상기 상부지지대 하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대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이동부에 고정되는 경사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지지대는,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는 하부수직지지대; 및 상기 하부수직지지대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에 상기 상부지지대가 설치되는 상부수직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상부지지대 하측에서 상기 수직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음향반사판의 좌, 우측패널의 중간부에 횡방향으로 접촉되는 중간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간지지대는, 상기 음향반사판의 좌, 우측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는 중간지지바; 및 상기 수직지지대로부터 이격되는 횡방향으로 상기 중간지지바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지지수단은, 상기 수직지지대와 연결되는 고정구; 일측부가 상기 중간지지바와 연결되며, 타측부가 상기 고정구에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구; 및 상기 고정구와 상기 이동구 둘레에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대에 접하고, 타단부가 상기 중간지지바에 접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상부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향 회동되어 상기 상부지지대와 수평을 이루거나 상기 상부지지대 보다 높게 위치되는 회동지지대; 및 상향 회동된 상기 회동지지대를 하단 지지하는 받침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동지지대는, 일단부가 상기 상부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결바; 상기 제1연결바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바; 및 상기 제2연결바의 단부에 상기 음향반사판의 좌, 우측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는 연장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바는, 상기 수직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향 회동된 단부가 상기 회동지지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경사진 형태로 상기 회동지지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거치부보다 큰 폭을 가지며, 지면과 평행을 이루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는 휠홀더; 상기 휠홀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휠; 및 상기 베이스의 좌, 우측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음향반사판의 좌, 우측패널의 하단부가 접촉되어 구속되는 하부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휠홀더는, 상기 베이스에 하향 돌출되게 연결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스토퍼가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구; 일측부에 상기 스토퍼가 끼워지는 슬릿이 형성되고, 중간부가 상기 걸림구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슬릿의 폭에 대응되는 회전 변위를 가지며, 타측부에 상기 휠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구; 및 상기 연결구에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구의 타단부를 탄성적으로 하향 가압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연결구 또는 상기 베이스에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는 돌출구; 상기 돌출구의 단부에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가 상기 회전구에 접촉되는 승강구; 및 상기 돌출구와 상기 승강구 둘레에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연결구에 접하고, 타단부가 상기 승강구 또는 상기 회전구 접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대형의 폭을 가지는 음향반사판을 하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거치부 및 이동부상에 견고하고 안정되게 거치,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향반사판을 ∧ 또는 ∩형상으로 접은 상태로 거치부에 거치하여 상부지지대, 중간지지대, 하부걸림턱으로 음향반사판의 상부, 중간부, 하부를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음향반사판의 거치가 상협하광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운반 시 지면의 요철 등에 의해 요동되더라도 일측으로 중량일 쏠려 기울어지거나 넘어지지 않아 그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지지대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음향반사판의 크기(하측으로 접은 상태에서의 상단 위치)에 따라 상부지지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음향반사판의 상, 하부를 거치부와 이동부에 안정되게 거치시킬 수 있다.
휠이 지면의 요철부를 통과하더라도, 완충수단의 작용에 의해 휠만이 유연하게 승강 이동되고 휠 상측의 베이스는 그 위치(위상)가 요동 없이 그대로 유지되므로, 휠의 요동에 따른 음향반사판의 요동,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2개의 판면을 가지는 음향반사판을 이송시키는 경우 회동지지대를 하향 이동시켜 상부 너비를 축소시키고, 3개의 판면을 가지는 음향반사판을 이송시키는 경우 회동지지대를 상향 이동시켜 상부 너비를 확장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판면을 가지는 음향반사판, 개의 판면을 가지는 음향반사판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음향반사판을 안정되게 거치시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에 음향반사판을 거치하는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에 음향반사판을 거치시킨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에 음향반사판을 거치시킨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에 음향반사판을 거치시킨 다른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의 휠홀더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의 휠홀더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의 휠홀더의 작용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에 음향반사판을 거치시킨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에 음향반사판을 거치시킨 다른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에 음향반사판을 거치하는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에 음향반사판을 거치시킨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는, 거치부(200)와 이동부(300)를 포함한다.
거치부(200)는 ∧ 또는 ∩형상으로 접힌 음향반사판(10)의 접힘부(15)를 상단에 거치가능한 높이를 가지며, 음향반사판(10)의 좌, 우측패널(11, 13)을 경사지게 거치가능하게 상부보다 하부가 확장된 형상을 가진다.
이때, 음향반사판(10)은 상호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는 좌, 우측패널(11, 13)을 포함하며, 좌, 우측패널(11, 13)의 이동(회동)에 의해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된다.
음향반사판(10)이 거치부(2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좌, 우측패널(11, 13)간 연결부(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접힘부(15)'라 한다)는 상부 중앙에 위치되며, 좌, 우측패널(11, 13)은 접힘부(15) 하측에서 거치부(200)의 좌,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거치부(200)는, 수직지지대(210), 상부지지대(220), 경사지지대(230), 중간지지대(240)를 포함한다.
수직지지대(210)는 직선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이동부(300) 상부에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부지지대(220)는 수직지지대(210) 상부에 음향반사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며, 음향반사판(10)의 상부, 즉, 접힘부(15)가 상단에 거치된다.
상부지지대(220)에는 음향반사판(10)의 접힘부(15)의 내면 형상에 대응되는 외면형상을 가지는 보조결합구(51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부지지대(220)는 사각형 단면형상을 가지며, 보조결합구(510)는 상부지지대(220)의 외면에 대응되는 하향 개방된 ㄷ자 형상의 결합부(도면부호 미표기)와, 결합부로부터 접힘부(15)의 내부 상단까지 1자로 상향 연장되게 형성된 수직연장부(도면부호 미표기)로 이루어진다.
다양한 사양의 음향반사판(10)의 접힘부(15) 각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보조결합구(510)를 상부지지대(220)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상부지지대(220)가 일정한 형상을 가지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에 다양한 사양의 음향반사판(10)을 거치시켜 운반할 수 있다.
경사지지대(230)는 상부지지대(220) 하측에 상협하광의 형태를 이루며 경사지게 설치된다.
경사지지대(230)의 상단부는 수직지지대(210)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이동부(300)에 고정되어, 경사지지대(230)는 이동부(300)와의 연결부를 기준으로 하나의 상부지지대(220)를 좌, 우측에서 각각 지지하게 된다.
중간지지대(240)는 상부지지대(220) 하측에서 수직지지대(210), 또는 경사지지대(230)의 좌, 우측에 설치된다.
중간지지대(240)는 수직지지대(210)에 좌, 우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반사판(10)이 거치된 상태에서 음향반사판(10)의 좌, 우측패널(11, 13)의 중간부에 횡방향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동부(300)는 거치부(200)보다 큰 폭을 가지고 거치부(200) 하부에 연결되며, 지면(30)과 평행을 이루며 이동되면서 상측의 거치부(200)에 거치된 상태의 음향반사판(10)을 목적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이동부(300)는, 베이스(310), 휠홀더(320), 휠(330), 하부걸림턱(340)을 포함한다.
베이스(310)는 거치부(200)보다 큰 폭을 가지며, 지면(30)과 평행을 이루는 복수개의 수평프레임(도면부호 미표기)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결되는 복수개의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의 베이스(31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베이스(310)는 패널형상을 가지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휠홀더(320)는 베이스(310) 하부에 하향 돌출되게 설치된다.
휠(330)은 휠홀더(3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이동된다.
하부걸림턱(340)은 베이스(310)의 좌, 우측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하부걸림턱(3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반사판(10)이 거치된 상태에서 음향반사판(10)의 좌, 우측패널(11, 13)의 하단부보다 좌, 우측에 위치하게 되며, 좌, 우측패널(11, 13)의 하단부는 하부걸림턱(340)에 접촉되어 걸리면서 베이스(310) 외측(좌, 우측)으로의 이동(이탈)이 구속된다.
상부지지대(220), 하부걸림턱(340) 중 음향반사판(10)과의 접촉부에는 고무, 스펀지와 같은 쿠션부재로 이루어진 완충패드(410)가 부착된다.
이에 따라, 거치부(200), 이동부(300)의 진동, 요동이 완충패드(410)에 의해 감쇄되어 음향반사판(10)측으로 전달되므로, 거치부(200), 이동부(300)의 진동, 요동으로 인한 음향반사판(10)의 진동, 요동 및 이에 따른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음향반사판(10)은 ∧ 또는 ∩형상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접힘부(15)가 상부지지대(220)에 거치된다.
이때, 좌, 우측패널(11, 13)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처진 형태, 즉, 상협하광의 형태가 되며, 좌, 우측패널(11, 13)의 중간부는 중간지지대(240)에 의해 횡방향으로 받쳐지게 되고, 좌, 우측패널(11, 13)의 하단부는 하부걸림턱(340)에 구속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중간지지대(240)는 좌, 우측패널(11, 13)을 수직지지대(210)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좌, 우측패널(11, 13)에 접하게 되며, 하부걸림턱(340)은 좌, 우측패널(11, 13)을 수직지지대(210)측으로 구속하게 된다.
즉, 중간지지대(240)와 하부걸림턱(3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측패널(11, 13) 각각을 좌, 우측 양방향에서 접촉,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대형의 폭을 가지는 음향반사판(10)을 하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좌, 우측패널(11, 13)을 거치부(200) 및 이동부(300)상에 견고하고 안정되게 거치,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음향반사판(10)이 상협하광의 형태(예를 들어, 삼각형)로 거치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운반 시 지면의 요철 등에 의해 요동되더라도 일측으로 중량일 쏠려 기울어지거나 넘어지지 않아 그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에 음향반사판을 거치시킨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에 음향반사판을 거치시킨 다른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의 휠홀더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의 휠홀더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의 휠홀더의 작용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거치부(200)와 이동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거치부(200)는 수직지지대(210), 상부지지대(220), 경사지지대(230), 중간지지대(240)를 포함하며, 이동부(300)는 베이스(310), 휠홀더(320), 휠(330), 하부걸림턱(34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비교해, 수직지지대(210), 중간지지대(240), 휠홀더(32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수직지지대(210)는 하부수직지지대(211)와 상부수직지지대(212)를 포함한다.
하부수직지지대(211)는 하부가 이동부(300) 상부에 고정되며, 상하로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부수직지지대(212)는 하부수직지지대(211)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에 상부지지대(220)가 설치된다.
하부수직지지대(211)에는 상부수직지지대(212)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의 홀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상부수직지지대(212)는 하부수직지지대(211)의 홀부의 내면에 가이드되며 상하로 승강이동된다.
상부수직지지대(212)의 상향 이동 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210)의 길이가 길어지고 수직지지대(210) 상부에 설치된 상부지지대(220)의 위치가 상향 이동된다.
상부수직지지대(212)의 하향 이동 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210)의 길이가 짧아지고 상부지지대(220)의 위치가 하향 이동된다.
도 5에 도시된 좌, 우측패널(11, 13)과 비교하여, 음향반사판(10)이 보다 확장된 좌, 우측패널(11, 13) 폭을 가지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대(220)를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음향반사판(10)의 하단부가 이동부(3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접힘부(15)를 안정되게 거치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좌, 우측패널(11, 13)과 비교하여, 음향반사판(10)이 보다 축소된 좌, 우측패널(11, 13) 폭을 가지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대(220)를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음향반사판(10)의 하단부가 이동부(3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접힘부(15)를 안정되게 거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직지지대(210)의 길이를 신장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폭(사이즈)을 가지는 음향반사판(10)을 안정되게 거치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하부수직지지대(211)상에 제1관통홀부(도면부호 미표기)를 홀부까지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부수직지지대(212)상에 복수개의 제2관통홀부를 상하로 배치되게 형성하면, 제1관통홀부와 제2관통홀부를 걸쇠부재(도면부호 미표기)로 관통하여 체결함으로써 상부수직지지대(212)를 하부수직지지대(211)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부수직지지대(212)를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한 높이에 위치시킨 후에는, 걸쇠부재를 동축상에 위치된 제1관통홀부와 제2관통홀부를 관통시켜 체결함으로써 상부수직지지대(212)를 목적한 높이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중간지지대(240)는 중간지지바(243), 탄성지지수단(244)을 포함한다.
중간지지바(243)는 직선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음향반사판(10)의 좌, 우측패널(11, 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다.
탄성지지수단(244)은 수직지지대(210)로부터 이격되는 횡방향으로 중간지지바(243)를 탄성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수단(244)은, 고정구(245), 이동구(246), 제1탄성부재(247)를 포함한다.
고정구(245)는 횡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고 수직지지대(210)에 고정되며, 이동구(246)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의 홀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동구(246)는 일측부가 중간지지바(243)와 연결되며, 타측부가 고정구(245)의 홀부에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탄성부재(247)는 고정구(245)와 이동구(246) 둘레에 끼워져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제1탄성부재(247)의 일단부는 수직지지대(210)에 접하고, 타단부는 중간지지바(243)에 접하여, 중간지지바(243)를 수직지지대(210)로부터 이격되는 횡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수직지지대(210)의 길이를 신장 조정하는 경우, 거치부(200)에 거치된 음향반사판(10)이 기울기, 즉 좌, 우측패널(11, 13)과 중간지지대(240)간의 접촉 위치 또한 달라지게 된다.
중간지지바(243)가 상기와 같이 탄성지지수단(244)에 의해 좌, 우측패널(11, 13)을 탄성지지하게 되므로, 좌, 우측패널(11, 13)의 기울기, 위치가 상기와 같이 변하더라도 중간지지바(243)가 좌, 우측패널(11, 13)에 연동하여 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되면서 좌, 우측패널(11, 13)에 안정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휠홀더(230)는 연결구(321), 걸림구(322), 회전지지구(324), 완충수단(326)을 포함한다.
연결구(321)는 베이스(310)에 하향 돌출되게 연결된다.
연결구(321)는 베이스(310)의 저면에 결합되는 베이스결합부(도면부호 미표기)와, 베이스(310) 하측으로 하향돌출되는 회전축결합부(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한다.
걸림구(322)는 연결구(321) 하부 즉, 회전축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회전축결합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서 횡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연장되게 형성되는 스토퍼(323)를 포함한다.
회전지지구(324)는 일측부에 스토퍼(323)가 끼워지는 슬릿(325)이 형성되고, 중간부가 걸림구(322)에 힌지결합되어 슬릿(325)의 폭에 대응되는 회전 변위를 가진다.
회전지지구(324)의 타측부에는 휠(33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완충수단(326)은 연결구(321)에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며, 휠(330)이 결합되는 회전지지구(324)의 타단부를 탄성적으로 하향 가압한다.
도 7,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수단(326)은, 돌출구(327), 승강구(328), 제2탄성부재(329)를 포함한다.
돌출부(327)는 연결구(321) 또는 베이스(310)에 하향 돌출되게 설치된다.
승강구(328)는 돌출구(327)의 단부에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가 회전지지구(324)의 타단부의 상면에 접촉된다.
제2탄성부재(329)는 돌출구(327)와 승강구(328) 둘레에 끼워져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부가 연결구(321)에 접하고, 하단부가 승강구(328) 둘레에 확장형성된 단턱부(도면부호 미표기) 또는 회전지지구(324)에 접한다.
음향반사판(10)과 거치부(200), 베이스(310)의 하중은 연결구(321), 걸림구(322), 회전지지구(324)를 통해 휠(330)로 전달되므로, 휠(330)은 음향반사판(10)과 거치부(200), 베이스(31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걸림구(322)에 형성된 스토퍼(323)는 회전지지구(324)에 형성된 슬릿(325)의 상면에 접촉되어 휠(330)의 상향 이동을 구속한다.
제2탄성부재(329)의 탄성력보다 큰 하중(음향반사판(10)과 거치부(200), 베이스(310)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휠(330)은 스토퍼(323)가 슬릿(325)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위치하게 되는 수직 높이상에 위치된 상태를 지속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330)이 지면(30)의 오목한 요철부를 통과하는 경우, 연결구(321)의 위치, 즉, 베이스(310)의 위치는 그대로 유지되면서, 제2탄성부재(329)에 의해 하향 가압력을 받는 휠(330)의 위치만이 순간적으로 하향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완충수단(326)의 작용에 의해 휠(330)이 지면(30)의 요철부를 통과하더라도, 연결구(321), 베이스(310)의 위치를 요동 없이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휠(330)의 요동에 따른 음향반사판(10)의 요동,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2탄성부재(329)의 탄성력에 따라,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용과 다르게 휠(330)의 높이가 이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향반사판(10), 거치부(200), 베이스(310)의 하중보다 제2탄성부재(329)의 탄성력이 큰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지면(30)의 볼록한 요철부를 통과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에 음향반사판을 거치시킨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에 음향반사판을 거치시킨 다른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향반사판 이동장치는, 본 발명의 제1,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거치부(200)와 이동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거치부(200)는 수직지지대(210), 상부지지대(220), 경사지지대(230), 중간지지대(240)를 포함하며, 이동부(300)는 베이스(310), 휠홀더(320), 휠(330), 하부걸림턱(34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제1, 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비교해, 회동지지대(250)와 받침바(260)를 더 포함하는 차이점을 가진다.
회동지지대(250)는 일단부가 상부지지대(2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부가 상향 회동되어 상부지지대(220)와 수평을 이루거나 상부지지대(220) 보다 높게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대(250)는, 제1연결바(251), 제2연결바(252), 연장바(253)를 포함한다.
제1연결바(251)는 일단부가 상부지지대(2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연결바(252)는 제1연결바(251)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연장바(253)는 제2연결바(252)의 단부에 음향반사판의 좌, 우측패널(11, 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다.
음향반사판(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패널(11), 우측패널(13), 하나의 접힘부(15)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패널(11), 중간패널(12), 우측패널(13), 2개의 접힘부(15)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회동지지대(250)를 도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음향반사판(10)을 ∧ 또는 ∩형상으로 접은 상태로 거치부(200)에 거치하여 상부지지대(220), 중간지지대(240), 하부걸림턱(340)으로 음향반사판(10)의 상부, 중간부, 하부를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제1연결바(251)와 상부지지대(220)간 연결부를 기준으로 연장바(253)를 상향 이동시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반사판(10)을 ∩, Π형상으로 접은 상태로 거치부(200)에 거치하여 회동지지대(250), 하부걸림턱(340)으로 음향반사판(10)의 상부, 하부를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제1연결바(251)와 제2연결바(252)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제2연결바(252)의 위치에 따라 제1연결바(261)와 제2연결바(252)가 연속하여 이루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패널(12) 폭에 따라 제1연결바(261)와 제2연결바(252)가 연속하여 이루는 길이를 조정하면서 좌, 우측 한쌍의 연장바(253)로 좌, 우측 한쌍의 접힘부(15)를 안정되게 하단지지할 수 있다.
받침바(260)는 상향 회동된 회동지지대(250)를 하단 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바(260)는, 회동지지대(250)의 제1, 2연결바(251, 252)의 구성, 작용효과와 마찬가지로, 길이 조정이 가능한 구성을 가지고, 수직지지대(2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받침바(260)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회동지지대(250)의 회동 각도, 즉, 연장바(253)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받침바(260)의 길이 조정가능한 구성에 대해서는 회동지지대(250)의 제1, 2연결바(251, 252)에 관한 설명을 따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의 중복을 생략한다.
받침바(26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회동된 단부가 회동지지대(250)에 형성된 걸림턱(254)에 걸려 경사진 형태로 회동지지대(250)상의 지정위치상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음향반사판 11 : 좌측패널
12 : 중간패널 13 : 우측패널
15 : 접힘부 30 : 지면
200 : 거치부 210 : 수직지지대
211 : 하부수직지지대 212 : 상부수직지지대
220 : 상부지지대 230 : 경사지지대
240 : 중간지지대 243 : 중간지지바
244 : 탄성지지수단 245 : 고정구
246 : 이동구 247 : 제1탄성부재
250 : 회동지지대 251 : 제1연결바
252 : 제2연결바 253 : 연장바
254 : 걸림턱 260 : 받침바
300 : 이동부 310 : 베이스
320 : 휠홀더 321 : 연결구
322 : 걸림구 323 : 스토퍼
324 : 회전지지구 325 : 슬릿
326 : 완충수단 327 : 돌출구
328 : 승강구 329 : 제2탄성부재
330 : 휠 340 : 하부걸림턱
410 : 완충패드 510 : 보조결합구

Claims (12)

  1. 음향반사판의 접힘부를 상단에 거치가능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음향반사판의 좌, 우측패널을 경사지게 거치가능하게 상부보다 하부가 확장된 형상을 가지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기 거치부 하부에 연결되며, 지면과 평행을 이루며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음향반사판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이동부 상부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 상부에 상기 음향반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며, 상기 음향반사판의 상부가 거치되는 상부지지대; 및
    상기 상부지지대 하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대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이동부에 고정되는 경사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는,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는 하부수직지지대; 및
    상기 하부수직지지대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에 상기 상부지지대가 설치되는 상부수직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상부지지대 하측에서 상기 수직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음향반사판의 좌, 우측패널의 중간부에 횡방향으로 접촉되는 중간지지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대는,
    상기 음향반사판의 좌, 우측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는 중간지지바; 및
    상기 수직지지대로부터 이격되는 횡방향으로 상기 중간지지바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수단은,
    상기 수직지지대와 연결되는 고정구;
    일측부가 상기 중간지지바와 연결되며, 타측부가 상기 고정구에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구; 및
    상기 고정구와 상기 이동구 둘레에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대에 접하고, 타단부가 상기 중간지지바에 접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상부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향 회동되어 상기 상부지지대와 수평을 이루거나 상기 상부지지대 보다 높게 위치되는 회동지지대; 및
    상향 회동된 상기 회동지지대를 하단 지지하는 받침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대는,
    일단부가 상기 상부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결바;
    상기 제1연결바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바; 및
    상기 제2연결바의 단부에 상기 음향반사판의 좌, 우측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는 연장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바는,
    상기 수직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향 회동된 단부가 상기 회동지지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경사진 형태로 상기 회동지지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10.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거치부보다 큰 폭을 가지며, 지면과 평행을 이루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는 휠홀더;
    상기 휠홀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휠; 및
    상기 베이스의 좌, 우측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음향반사판의 좌, 우측패널의 하단부가 접촉되어 구속되는 하부걸림턱;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휠홀더는,
    상기 베이스에 하향 돌출되게 연결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스토퍼가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구;
    일측부에 상기 스토퍼가 끼워지는 슬릿이 형성되고, 중간부가 상기 걸림구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슬릿의 폭에 대응되는 회전 변위를 가지며, 타측부에 상기 휠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구; 및
    상기 연결구에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구의 타단부를 탄성적으로 하향 가압하는 완충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연결구 또는 상기 베이스에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는 돌출구;
    상기 돌출구의 단부에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가 상기 회전구에 접촉되는 승강구; 및
    상기 돌출구와 상기 승강구 둘레에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연결구에 접하고, 타단부가 상기 승강구 또는 상기 회전구 접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KR1020130169143A 2013-12-31 2013-12-31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KR101441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143A KR101441659B1 (ko) 2013-12-31 2013-12-31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143A KR101441659B1 (ko) 2013-12-31 2013-12-31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659B1 true KR101441659B1 (ko) 2014-09-23

Family

ID=5176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143A KR101441659B1 (ko) 2013-12-31 2013-12-31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6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7403A (ja) * 1993-10-19 1995-05-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キャスタの構造
JPH0741596U (ja) * 1993-12-27 1995-07-21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音響反射板装置
KR200339255Y1 (ko) * 2003-10-22 2004-01-24 주식회사 조은테크닉스앤아트 음향반사판 이송용 고정장치
KR200451020Y1 (ko) * 2010-05-03 2010-11-18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7403A (ja) * 1993-10-19 1995-05-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キャスタの構造
JPH0741596U (ja) * 1993-12-27 1995-07-21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音響反射板装置
KR200339255Y1 (ko) * 2003-10-22 2004-01-24 주식회사 조은테크닉스앤아트 음향반사판 이송용 고정장치
KR200451020Y1 (ko) * 2010-05-03 2010-11-18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7947B2 (en) Mobile power tool stand
JP2001092364A (ja) 卓上型lcdコンピュータのベアリング構造
CN207916910U (zh) 玻璃运输架
JP3823302B2 (ja) 移動式の破砕機の振動フィーダに用いる運送時の固定構造
US20050193520A1 (en) Door stop
KR101441659B1 (ko) 음향반사판 이동장치
TWI485343B (zh) 理線架
JP3154296U (ja) スロープ装置
JP5356682B2 (ja) 折り畳みテーブル
KR101848739B1 (ko) 완강기 지지대
KR200494846Y1 (ko) 상자 접이 장치
JP3580800B2 (ja) 傾斜角度調整台
KR20160056421A (ko) 책상상판의 각도조절가능한 책상
CN214565404U (zh) 轮毂搬运装置
KR100785407B1 (ko) 독서대 스탠드와 이에 마련되는 독서대
KR200423259Y1 (ko) 독서대 스탠드와 이에 마련되는 독서대
JP3300678B2 (ja) 車両用荷物支持装置
KR101463143B1 (ko) 이동이 용이한 사무용 가구
JP2004261305A (ja) 補助天板装置
CN213126330U (zh) 一种舞台音响专用支架
CN218463696U (zh) 运输平台
CN210456190U (zh) 撑靠机构、夹紧装置及基板输送设备
JP3382571B2 (ja) 床用目地装置
CN211163837U (zh) 一种可任意调节角度的支腿
JP2677123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カートン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