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626A -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626A
KR20200074626A KR1020180163231A KR20180163231A KR20200074626A KR 20200074626 A KR20200074626 A KR 20200074626A KR 1020180163231 A KR1020180163231 A KR 1020180163231A KR 20180163231 A KR20180163231 A KR 20180163231A KR 20200074626 A KR20200074626 A KR 20200074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dust
wood
peracetic acid
pine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0300B1 (ko
Inventor
이종우
Original Assignee
미래에코시스템연구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에코시스템연구소(주) filed Critical 미래에코시스템연구소(주)
Priority to KR1020180163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3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4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40Cultiv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01G18/22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culture media, e.g. bott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30Accessories for use before inoculation of spawn, e.g. steril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34Organic impregn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85Thermal treatments, i.e. involving chemical modification of wood at temperatures well over 100°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6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of wood powder or saw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40/00Purpose of the treatment
    • B27K2240/20Removing fungi, molds or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되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하여 복령을 재배함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에 대해 과초산을 이용한 화학처리 후 열처리를 수행하여 복령 재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Method for cultivating poria cocos using tree died by pine wilt disease}
본 발명은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되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하여 복령을 재배함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에 대해 과초산을 이용한 화학처리 후 열처리를 수행하여 복령 재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에 대한 것이다.
소나무는 겉씨식물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으로, 북부 고원지대를 제외한 한국 전역에 걸쳐 자라고 있는데, 소나무 재선충병에 의해 많은 피해를 보고 있다. 소나무 재선충병은 소나무 등에 기생해 나무를 갉아먹는 선충인 소나무재선충에 의해 생기는 병이며, 상기 소나무재선충은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 등의 매개충에 기생하며 매개충을 통해 나무에 옮겨진다. 하지만, 소나무 재선충병은 현재까지 치료 방법이 없고 그 감염 여부를 육안으로만 확인할 수 있어, 많은 소나무가 소나무 재선충병에 의해 고사되고 있다. 따라서, 소나무 재선충병에 의해 고사된 소나무를 이용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시도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하기의 특허문헌처럼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열처리를 하여 소나무재선충을 사멸시킨 후 고사목을 이용하게 된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1397호(2009. 02. 02. 공개)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목 및 의심목의 재활용 방법"
하지만,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처리하는 종래의 방법은 열처리를 통해 소나무재선충을 사멸시키는 것에만 주안점을 두어, 열처리 후 고사목의 이용에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하여 복령을 재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폐기되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하여 복령을 재배함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에 대해 과초산을 이용한 화학처리 후 열처리를 수행하여, 소나무 재선충 및 복령의 생장을 저해하는 곰팡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복령 재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은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에서 얻은 톱밥을 화학 처리후 열처리하여 복령 종균 배양을 위한 톱밥배지를 형성하는 톱밥배지형성단계와, 상기 톱밥배지에 복령 종균을 접종한 후 배양하여 톱밥배양종균을 형성하는 종균배양단계와,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화학 처리후 열처리하여 톱밥배양종균을 접종하기 위한 자목을 형성하는 자목형성단계와, 상기 자목에 톱밥배양종균을 접종한 후 배양하여 복령을 생산하는 복령배양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은 곰팡이류에 의해 2차 감염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톱밥배지형성단계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분쇄하여 톱밥을 얻는 톱밥수득단계와, 상기 톱밥수득단계에서 얻은 톱밥에 과초산 희석액을 처리하는 화학처리단계와, 상기 화학처리단계 후 톱밥을 과초산 희석액에서 꺼내 건조시켜 상기 톱밥에 잔류하는 과초산 희석액을 제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톱밥에 열을 가해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톱밥배지형성단계는 상기 열처리단계에서 열처리된 톱밥에 미강 및 칼슘을 섞어 톱밥배지를 형성하는 혼합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학처리단계는 과초산을 물에 섞어 0.8 내지 1.2%농도를 가지도록 한 과초산 희석액을 준비하고, 톱밥을 상기 과초산 희석액에 25 내지 35초 동안 침지하여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단계는 고압의 스팀을 건조된 톱밥에 가해 115 내지 130℃로 70 내지 120분 동안 열처리하여, 열처리 후 톱밥의 함수율이 50 내지 70%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목형성단계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절단하여 원목을 수득하는 원목수득단계와, 상기 원목에 과초산 희석액을 처리하는 화학처리단계와, 상기 화학처리단계에서 화학처리된 원목을 건조시켜 상기 원목에 잔류하는 과초산 희석액을 제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원목에 열을 가해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학처리단계는 과초산을 물에 섞어 0.8 내지 1.2%농도를 가지도록 한 과초산 희석액을 준비하고, 원목을 상기 과초산 희석액에 25 내지 35초 동안 침지하거나, 원목에 상기 과초산 희석액을 25 내지 35초 동안 분무하여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단계는 고압의 스팀을 건조된 원목에 가해 115 내지 130℃로 100 내지 150분 동안 열처리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폐기되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하여 복령을 재배함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에 대해 과초산을 이용한 화학처리 후 열처리를 수행하여, 소나무 재선충 및 복령의 생장을 저해하는 곰팡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복령 재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톱밥배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톱밥배지의 오염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사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자목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목의 오염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목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목에 복령 종균이 활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령의 재배방법에 의해 재배된 복령을 나타내는 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을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복령의 재배방법은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에서 얻은 톱밥을 화학 처리후 열처리하여 복령 종균 배양을 위한 톱밥배지를 형성하는 톱밥배지형성단계와, 상기 톱밥배지에 복령 종균을 접종한 후 배양하여 톱밥배양종균을 형성하는 종균배양단계와,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화학 처리후 열처리하여 톱밥배양종균을 접종하기 위한 자목을 형성하는 자목형성단계와, 상기 자목에 톱밥배양종균을 접종한 후 배양하여 복령을 생산하는 복령배양단계 등을 포함한다. 상기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은 소나무 재선충병에 걸려 벌체된 소나무를 의미하며, 대부분 푸른곰팡이, 푸사리움(Fusarium)속 등의 곰팡이류에 의해 2차 감염이 되어 있다. 상기 복령은 죽은 소나무에서 자생하는데,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종래처럼 단순 열처리하여 이용하는 경우 소나무재선충의 사멸을 가능하나 복령의 재배가 불가능한 바, 본 발명은 곰팡이류에 의해 2차 감염되어 있는 일반적인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하여 복령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완성되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톱밥배지형성단계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에서 얻은 톱밥을 화학 처리후 열처리하여 복령 종균 배양을 위한 톱밥배지를 형성하는 단계로, 톱밥수득단계, 화학처리단계, 건조단계, 열처리단계, 혼합단계 등을 포함한다.
상기 톱밥수득단계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분쇄하여 톱밥을 얻는 단계로, 나무를 분쇄하여 톱밥을 얻는 종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처리단계는 상기 톱밥수득단계에서 얻은 톱밥에 과초산 희석액을 처리하는 단계로(에컨대, 상기 톱밥을 과초산 희석액에 일정 시간 침지함), 과초산을 물에 섞어 0.8 내지 1.2%농도를 가지도록 한 과초산 희석액이 사용되며 25 내지 35초 동안 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화학처리단계 후 톱밥을 과초산 희석액에서 꺼낸 후 건조시키는 단계로, 예컨대 50℃로 설정된 오븐을 이용하여 160 내지 200분 동안 건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에서 상기 톱밥이 제대로 건조되지 않으면 상기 톱밥에 과초산 희석액이 잔류하여 상기 복령 종균의 배양을 저해하게 된다.
상기 열처리단계는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톱밥에 열을 가해 처리하는 단계로, 고압의 스팀을 건조된 톱밥에 가해 115 내지 130℃로 70 내지 120분 동안 열처리하여 열처리 후 톱밥의 함수율이 50 내지 70%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처리단계에서는 스팀을 이용하여 열처리를 수행하므로 톱밥이 복령 종균의 배양이 가능한 함수율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단계는 예컨대 오토클레이브(autoclave)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혼합단계는 상기 열처리단계에서 열처리된 톱밥에 미강, 칼슘 등을 섞어 톱밥배지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분쇄하여 얻은 톱밥에 대해 바로 상기 열처리단계를 수행하여 소나무재선충을 사멸시킬 수 있으나 복령 종균의 배양은 불가능한 바, 본 발명은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에 얻은 톱밥에 대해 과초산 용액을 처리하고 건조 후 열처리를 수행하여 복령 종균의 배양이 가능한 톱밥배지를 수득하게 된다.
상기 종균배양단계는 상기 톱밥배지형성단계에서 얻은 상기 톱밥배지에 복령 종균을 접종한 후 배양하여 톱밥배양종균을 형성하는 단계로, 죽은 소나무로부터 얻은 톱밥배지에 복령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종래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톱밥배지를 용기에 넣고 액상의 복령 종균을 넣고 24 내지 28℃의 온도로 2 내지 3주 동안 유지하여 톱밥배양종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목형성단계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화학 처리후 열처리하여 톱밥배양종균을 접종하기 위한 자목을 형성하는 단계로, 원목수득단계, 화학처리단계, 건조단계, 열처리단계 등을 포함한다.
상기 원목수득단계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절단하여 일정 직경과 길이를 가지는 원목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화학처리단계는 상기 원목수득단계에서 얻은 원목에 과초산 희석액을 처리하는 단계호, 예컨대 상기 원목에 과초산 희석액을 분무하거나 상기 원목을 과초산 희석액에 일정 시간 침지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과초산을 물에 섞어 0.8 내지 1.2%농도를 가지도록 한 과초산 희석액이 사용되며 25 내지 35초 동안 분무하거나 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화학처리단계에서 화학처리된 원목을 건조시키는 단계로, 예컨대 50℃로 설정된 오븐을 이용하여 160 내지 400분 동안 건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에서 상기 원목이 제대로 건조되지 않으면 상기 원목에 과초산 희석액이 잔류하여 상기 복령의 재배를 저해하게 된다.
상기 열처리단계는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원목에 열을 가해 열처리하여 자목을 얻는 단계로, 고압의 스팀을 건조된 원목에 가해 115 내지 130℃로 100 내지 150분 동안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처리단계에서는 스팀을 이용하여 열처리를 수행하므로 원목이 복령 재배가 가능한 함수율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단계는 예컨대 오토클레이브(autoclave)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절단하여 얻은 원목에 대해 바로 상기 열처리단계를 수행하여 소나무재선충을 사멸시킬 수 있으나 복령 재배는 불가능한 바, 본 발명은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에 얻은 원목을 과초산 용액으로 처리하고 건조 후 열처리를 수행하여 복령 재배가 가능한 자목을 수득하게 된다.
상기 복령배양단계는 상기 자목형성단계에서 얻은 자목에 상기 종균배양단계에서 얻은 톱밥배양종균을 접종한 후 배양하여 복령을 생산하는 단계로, 죽은 소나무로부터 얻은 자목에 톱밥배양종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종래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밥배양종균을 자목에 접종하고 24 내지 28℃의 온도로 5 내지 7개월 유지하여 복령을 수득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톱밥시료의 준비
1. 푸른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을 분쇄하여 톱밥을 수득하고, 상기 톱밥을 1% 과초산 수용액에 30초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50℃로 설정된 오븐을 이용하여 180분 동안 건조하고, 건조된 상기 톱밥을 오토크래이브를 이용하여 고압 스팀으로 121℃에서 1시간 30분 동안 처리하여, 톱밥시료 1을 얻었다.
2. 푸른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을 분쇄하여 톱밥을 수득하고, 상기 톱밥을 1% 과초산 수용액에 30초 동안 침지한 후 꺼내 오토크래이브를 이용하여 고압 스팀으로 121℃에서 1시간 30분 동안 처리하여, 톱밥시료 2를 얻었다.
3. 푸른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을 분쇄하여 톱밥을 수득하고, 상기 톱밥을 오토크래이브를 이용하여 고압 스팀으로 121℃에서 1시간 30분 동안 열처리하고, 열처리된 톱밥을 1% 과초산 수용액에 30초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50℃로 설정된 오븐을 이용하여 180분 동안 건조하여, 톱밥시료 3을 얻었다.
4. 1% 과초산 수용액 대신에 0.5% 과초산 수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에 하여, 톱밥시료 4를 얻었다.
5. 1% 과초산 수용액 대신에 2% 과초산 수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에 하여, 톱밥시료 5를 얻었다.
6. 1% 과초산 수용액 대신에 0.3%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에 하여, 톱밥시료 6을 얻었다.
7. 정상적인 소나무(소나무 재선충병에 걸리지 않고 푸른곰팡이에 오염되지 않음)를 분쇄하여 얻은 톱밥을 오토크래이브를 이용하여 고압 스팀으로 121℃에서 1시간 30분 동안 처리하여, 톱밥시료 7을 얻었다.
8. 푸른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을 분쇄하여 톱밥을 수득하고, 상기 톱밥을 톱밥시료 8로 하였다.
9. 푸른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을 분쇄하여 톱밥을 수득하고, 상기 톱밥을 1% 과초산 수용액에 30초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50℃로 설정된 오븐을 이용하여 180분 동안 건조하여, 톱밥시료 9를 얻었다.
10. 푸른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을 분쇄하여 톱밥을 수득하고, 상기 톱밥을 오토크래이브를 이용하여 고압 스팀으로 121℃에서 1시간 30분 동안 처리하여, 톱밥시료 10을 얻었다.
<실시예 2> 톱밥시료의 오염 확인
1. 실시예 1에서 얻은 각 톱밥시료 10㎖ 및 멸균수 30㎖를 50ml Conical Tube에 넣어 vortex후 상층액 200㎕를 감자한천배지(PDA)에 도말하여 7일 후, 촬영하여 도 1 내지 3에 나타내었고(도 1의 경우 톱밥시료 1 사용, 도 2의 경우 톱밥시료 7 사용, 도 3의 경우 톱밥시료 10 사용), 또한 자라나는 Colony(오염)의 종류, Colony 개수, 오염 면적을 기록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2. 도 1 내지 3 및 표 1을 보면, 푸른 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에서 얻은 톱밥에 대해 1% 과초산 수용액을 이용한 화학처리 및 열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오염이 발생하지 않은데 반해, 화학처리나 열처리 중 어느 하나만 수행하거나, 과초산 수용액의 농도가 낮은 경우 오염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olony 종류 Colony 개수 오염 면적(%)
톱밥시료 1 0 0 0
톱밥시료 2 0 0 0
톱밥시료 3 0 0 0
톱밥시료 4 1 2 6
톱밥시료 5 0 0 0
톱밥시료 6 0 0 0
톱밥시료 7 0 0 0
톱밥시료 8 2 10 100
톱밥시료 9 1 5 30
톱밥시료 10 1 4 15
<실시예 3> 톱밥시료를 이용한 복령 종균 배양
1. 각 톱밥시료 10㎤당 열처리한 미강 2㎤, Ca 0.03g를 혼합한 후 용기에 담고 액상의 복령 종균 0.07g을 접종하여 26℃에서 7일 동안 배양한 후, 종균의 활착정도를 확인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톱밥시료에 아무것도 자라지 않으면 X로 평가하고, 톱밥시료에 자라는 복령 종균과 다른 곰팡이의 비율에 따라 1 내지 5로 평가하였으며, 복령 종균만 자라면 1로 평가하고 복령 종균이 다른 곰팡이보다 많이 자라면 2, 복령 종균과 다른 곰팡이가 비슷하면 3, 복령 종균이 다른 곰팡이보다 적게 자라면 4, 다른 곰팡이만 자라면 5로 평가하였다.
2. 표 2를 보면, 푸른 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에서 얻은 톱밥에 대해 1% 과초산 수용액을 이용한 화학처리 후 열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복령 종균이 잘 자라나, 화학처리 후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거나 고농도의 과초산을 사용하는 경우 다른 곰팡이뿐만 아니라 복령 종균도 자리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초산의 농도가 너무 낮거나 열처리만 한 경우 복령 종균뿐만 아니라 다른 곰팡이도 자라게 되며, 화학처리만 하거나, 열처리 후 화학처리를 하는 경우 톱밥배지의 환경이 복령 종균에 생육에 접합하지 못해 복령 종균이 자라지 못하며, 과산화수소의 경우 저농도로 사용하였음에도 복령 종균의 배양에는 유해한 것을 알 수 있다.
톱밥시료 1 톱밥시료 2 톱밥시료 3 톱밥시료 4 톱밥시료 5
활착정도 1 X X 3 X
톱밥시료 6 톱밥시료 7 톱밥시료 8 톱밥시료 9 톱밥시료 10
활착정도 X 1 5 X 3
<실시예 4> 톱밥시료에 존재하는 재선충 확인
톱밥시료 1, 7 및 8에 대하여 Baerman Funnel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을 검출한 결과, 톱밥시료 1 및 7에는 소나무재선충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톱밥시료 8에서는 재선충이 검출되었다. 이를 통해, 푸른 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에서 얻은 톱밥을 1% 과초산 수용액을 이용한 화학처리 후 열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소나무 재선충을 사멸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자목 시료의 준비
1. 푸른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절단하여 직경 15cm, 길이 20cm를 가지는 원목을 준비하고, 상기 원목을 1% 과초산 수용액에 30초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50℃로 설정된 오븐을 이용하여 250분 동안 건조하고, 건조된 상기 원목을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봉지로 포장하고(입봉 부분은 통기필터를 장착한 복령 재배용 캡으로 봉함) 오토크래이브를 이용하여 고압 스팀으로 121℃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하여, 자목시료 1을 얻었다.
2. 푸른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절단하여 직경 15cm, 길이 20cm를 가지는 원목을 준비하고, 상기 원목을 1% 과초산 수용액에 30초 동안 침지한 후 꺼내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봉지로 포장하고(입봉 부분은 통기필터를 장착한 복령 재배용 캡으로 봉함) 오토크래이브를 이용하여 고압 스팀으로 121℃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하여, 자목시료 2를 얻었다.
3. 푸른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절단하여 직경 15cm, 길이 20cm를 가지는 원목을 준비하고, 상기 원목을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봉지로 포장하고(입봉 부분은 통기필터를 장착한 복령 재배용 캡으로 봉함) 오토크래이브를 이용하여 고압 스팀으로 121℃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고, 상기 봉지에서 원목을 꺼내 1% 과초산 수용액에 30초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50℃로 설정된 오븐을 이용하여 250분 동안 건조하고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봉지로 다시 포장하여(입봉 부분은 통기필터를 장착한 복령 재배용 캡으로 봉함), 자목시료 3을 얻었다.
4. 1% 과초산 수용액 대신에 0.5% 과초산 수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2의 1과 동일하에 하여, 자목시료 4를 얻었다.
5. 1% 과초산 수용액 대신에 2% 과초산 수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2의 1과 동일하에 하여, 자목시표 5을 얻었다.
6. 푸른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절단하여 직경 15cm, 길이 20cm를 가지는 원목을 준비하고, 상기 원목을 80% 메탄올 수용액에 30초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50℃로 설정된 오븐을 이용하여 300분 동안 충분히 건조하고, 건조된 상기 원목을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봉지로 포장하고(입봉 부분은 통기필터를 장착한 복령 재배용 캡으로 봉함) 오토크래이브를 이용하여 고압 스팀으로 121℃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하여, 자목시료 6을 얻었다.
7. 정상적인 소나무(소나무 재선충병에 걸리지 않고 푸른곰팡이에 오염되지 않음)를 절단하여 직경 15cm, 길이 20cm를 가지는 원목을 준비하고, 상기 원목을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봉지로 포장하고(입봉 부분은 통기필터를 장착한 복령 재배용 캡으로 봉함) 오토크래이브를 이용하여 고압 스팀으로 121℃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하여, 자목시료 7을 얻었다.
8. 푸른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절단하여 직경 15cm, 길이 20cm를 가지는 원목을 준비하고, 상기 원목을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봉지로 포장하여(입봉 부분은 통기필터를 장착한 복령 재배용 캡으로 봉함) 자목시료 8로 하였다.
9. 푸른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절단하여 직경 15cm, 길이 20cm를 가지는 원목을 준비하고, 상기 원목을 1% 과초산 수용액에 30초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50℃로 설정된 오븐을 이용하여 250분 동안 건조하고,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봉지로 포장하여(입봉 부분은 통기필터를 장착한 복령 재배용 캡으로 봉함) 자목시료 9를 얻었다.
10 푸른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절단하여 직경 15cm, 길이 20cm를 가지는 원목을 준비하고, 상기 원목을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봉지로 포장하고(입봉 부분은 통기필터를 장착한 복령 재배용 캡으로 봉함) 오토크래이브를 이용하여 고압 스팀으로 121℃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하여, 자목시료 10을 얻었다.
<실시예 6> 자목시료의 오염확인
1. 실시예 5에서 얻은 각 자목시료에 대하여 드릴을 이용하여 구멍(25cm2)을 형성하여, 상면으로부터 10cm 깊이까지 톱밥을 채취한 후, 각 톱밥 10㎖ 및 멸균수 30㎖를 50ml Conical Tube에 넣어 vortex후 상층액 200㎕를 감자한천배지(PDA)에 도말하여 7일 후, 촬영하여 도 4 내지 6에 나타내었고(도 4의 경우 자목시료 1로부터 얻은 톱밥 사용, 도 5의 경우 자목시료 7로부터 얻은 톱밥 사용, 도 6의 경우 자목시료 10으로부터 얻은 톱밥 사용), 또한 자라나는 Colony(오염)의 종류, Colony 개수, 오염 면적을 기록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2. 도 4 내지 6 및 표 3을 보면, 푸른 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에서 얻은 자목에 대해 1% 과초산 수용액을 이용한 화학처리 및 열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오염이 발생하지 않은데 반해, 화학처리나 열처리 중 어느 하나만 수행하거나, 과초산 수용액의 농도가 낮은 경우 오염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olony 종류 Colony 개수 오염 면적(%)
자목시료 1 0 0 0
자목시료 2 0 0 0
자목시료 3 0 0 0
자목시료 4 1 5 10
자목시료 5 0 0 0
자목시료 6 0 0 0
자목시료 7 0 0 0
자목시료 8 1 50 90
자목시료 9 1 17 45
자목시료 10 2 13 30
<실시예 7> 자목시료를 이용한 복령 배양
1. 톱밥시료(실시예 1의 1에서 얻은 톱밥시료 1 사용) 10㎤당 열처리한 미강 2㎤, Ca 0.03g를 혼합한 후 용기에 담고 액상의 복령 종균 0.07g을 접종하여 26℃에서 2주 동안 배양한 후 얻은 톱밥배양종균 5g을 각 자목시료에 접종하고 26℃에서 7일 동안 배양한 후, 촬영하여 도 7에 나타내었고(도 7의 경우 자목시료 1 사용), 또한 복령 종균의 활착정도를 확인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자목시료에 아무것도 자라지 않으면 X로 평가하고, 자목시료에 자라는 복령 종균과 다른 곰팡이의 비율에 따라 1 내지 5로 평가하였으며, 복령 종균만 자라면 1로 평가하고 복령 종균이 다른 곰팡이보다 많이 자라면 2, 복령 종균과 다른 곰팡이가 비슷하면 3, 복령 종균이 다른 곰팡이보다 적게 자라면 4, 다른 곰팡이만 자라면 5로 평가하였다.
2. 표 4를 보면, 푸른 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에서 얻은 원목에 대해 1% 과초산 수용액을 이용한 화학처리 후 열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복령 종균이 자목에 잘 활착되나(도 7을 통해서도 복령 종균이 자목에 잘 활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화학처리 후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거나 고농도의 과초산을 사용하는 경우 다른 곰팡이뿐만 아니라 복령 종균도 자목에서 자리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초산의 농도가 너무 낮거나 열처리만 한 경우 복령 종균뿐만 아니라 다른 곰팡이도 자목에서 자라게 되며, 화학처리만 하거나 열처리 후 화학처리를 하는 경우 자목의 환경이 복령 종균에 생육에 접합하지 못해 복령 종균이 자목에 활착되지 못하며, 메탄올을 이용하여 화학처리하는 경우 복령 종균이 자목에 잘 활작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톱밥시료 1 톱밥시료 2 톱밥시료 3 톱밥시료 4 톱밥시료 5
활착정도 1 X X 4 X
톱밥시료 6 톱밥시료 7 톱밥시료 8 톱밥시료 9 톱밥시료 10
활착정도 X 1 5 X 3
<실시예 8> 자목시료에 존재하는 재선충 확인
실시예 6에서 얻은 자목시료 1, 7 및 8에 대한 톱밥에 대하여 Baerman Funnel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을 검출한 결과, 자목시료 1 및 7의 톱밥에서는 소나무재선충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자목시료 8의 톱밥에서는 재선충이 검출되었다. 이를 통해, 푸른 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에서 얻은 원목을 1% 과초산 수용액을 이용한 화학처리 후 열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소나무 재선충을 사멸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
톱밥시료(실시예 1의 1에서 얻은 톱밥시료 1 사용) 10㎤당 열처리한 미강 2㎤, Ca 0.03g를 혼합한 후 용기에 담고 액상의 복령 종균 0.07g을 접종하여 26℃에서 2주 동안 배양한 후 얻은 톱밥배양종균 5g를, 실시예 5에서 얻은 각 자목시료에 접종하고 26℃에서 6개월 동안 배양하여 복령을 재배한 후, 촬영하여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소나무 재선충변 고사목을 이용하여, 톱밥배지, 자목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도 복령이 잘 재배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에서 얻은 톱밥을 화학 처리후 열처리하여 복령 종균 배양을 위한 톱밥배지를 형성하는 톱밥배지형성단계와, 상기 톱밥배지에 복령 종균을 접종한 후 배양하여 톱밥배양종균을 형성하는 종균배양단계와,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화학 처리후 열처리하여 톱밥배양종균을 접종하기 위한 자목을 형성하는 자목형성단계와, 상기 자목에 톱밥배양종균을 접종한 후 배양하여 복령을 생산하는 복령배양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은
    곰팡이류에 의해 2차 감염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톱밥배지형성단계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분쇄하여 톱밥을 얻는 톱밥수득단계와, 상기 톱밥수득단계에서 얻은 톱밥에 과초산 희석액을 처리하는 화학처리단계와, 상기 화학처리단계 후 톱밥을 과초산 희석액에서 꺼내 건조시켜 상기 톱밥에 잔류하는 과초산 희석액을 제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톱밥에 열을 가해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톱밥배지형성단계는
    상기 열처리단계에서 열처리된 톱밥에 미강 및 칼슘을 섞어 톱밥배지를 형성하는 혼합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처리단계는
    과초산을 물에 섞어 0.8 내지 1.2%농도를 가지도록 한 과초산 희석액을 준비하고, 톱밥을 상기 과초산 희석액에 25 내지 35초 동안 침지하여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단계는
    고압의 스팀을 건조된 톱밥에 가해 115 내지 130℃로 70 내지 120분 동안 열처리하여, 열처리 후 톱밥의 함수율이 50 내지 70%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목형성단계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절단하여 원목을 수득하는 원목수득단계와, 상기 원목에 과초산 희석액을 처리하는 화학처리단계와, 상기 화학처리단계에서 화학처리된 원목을 건조시켜 상기 원목에 잔류하는 과초산 희석액을 제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원목에 열을 가해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처리단계는
    과초산을 물에 섞어 0.8 내지 1.2%농도를 가지도록 한 과초산 희석액을 준비하고, 원목을 상기 과초산 희석액에 25 내지 35초 동안 침지하거나, 원목에 상기 과초산 희석액을 25 내지 35초 동안 분무하여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단계는
    고압의 스팀을 건조된 원목에 가해 115 내지 130℃로 100 내지 150분 동안 열처리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
KR1020180163231A 2018-12-17 2018-12-17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 KR102220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231A KR102220300B1 (ko) 2018-12-17 2018-12-17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231A KR102220300B1 (ko) 2018-12-17 2018-12-17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626A true KR20200074626A (ko) 2020-06-25
KR102220300B1 KR102220300B1 (ko) 2021-02-26

Family

ID=7140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231A KR102220300B1 (ko) 2018-12-17 2018-12-17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2530A (zh) * 2022-08-22 2022-10-11 湖南省林业科学院 一种松材线虫疫木的处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859U (ko) * 2013-11-07 2015-05-18 경상북도(승계청:경상북도농업기술원,관리청:경상북도 도지사) 소나무 원목에 복령 종균을 접종한 후 배양된 복령재배용 배양완료 원목배지
KR20170024290A (ko) * 2015-08-25 2017-03-0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복령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
KR20170075326A (ko) * 2015-12-23 2017-07-0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목질원료를 활용한 토양개량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859U (ko) * 2013-11-07 2015-05-18 경상북도(승계청:경상북도농업기술원,관리청:경상북도 도지사) 소나무 원목에 복령 종균을 접종한 후 배양된 복령재배용 배양완료 원목배지
KR20170024290A (ko) * 2015-08-25 2017-03-0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복령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
KR20170075326A (ko) * 2015-12-23 2017-07-0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목질원료를 활용한 토양개량제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agdale GB, et al., Pest Management Science 58:451~458(2002.05.)*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2530A (zh) * 2022-08-22 2022-10-11 湖南省林业科学院 一种松材线虫疫木的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300B1 (ko) 202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271B1 (ko) 버섯의재배방법및이것의목질계배지
Mejía et al. Heat treatment of wheat straw by immersion in hot water decreases mushroom yield in Pleurotus ostreatus
KR101479209B1 (ko) 표고버섯 배양물 제조방법
KR20150001859U (ko) 소나무 원목에 복령 종균을 접종한 후 배양된 복령재배용 배양완료 원목배지
KR20210047456A (ko) 자마의 속성 재배 방법
Barklund et al. Infection experiments with Gremmeniella abietina on seedlings of Norway spruce and Scots pine
Sieber et al. Simultaneous stimulation of endophytic Cryptodiaporthe hystrix and inhibition of Acer macrophyllum callus in dual culture
KR20200074626A (ko)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의 재배방법
Anikwe et al. Dieback of cocoa (Theobroma cacao L.) plant tissues caused by the brown cocoa mirid Sahlbergella singularis Haglund (Hemiptera: Miridae) and associated pathogenic fungi
KR102111068B1 (ko)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 재배용 자목의 제조방법
CN106588187A (zh) 一种段木银耳废菌棒的处理方法
KR102220299B1 (ko) 소나무 재선충병 고사목을 이용한 복령 종균 배양용 톱밥배지의 제조방법
US4833821A (en) Mushroom cultivation
JPS6317629A (ja) 食用木材腐朽菌類の栽培方法
KR100674123B1 (ko) 흰점박이 꽃무지 풍뎅이유충을 기주로 한밀리타리스동충하초의 인공 재배방법
CN104026008A (zh) 一种抑制漆树外植体污染和褐变的方法
KR102498902B1 (ko) 표고버섯 참나무톱밥배지에 발생하는 푸른곰팡이 방제방법
CN107400634B (zh) 一种抑菌棉片及其在食用菌菌种组织分离或纯化中的应用
Rahmat et al. Production and Fungicidal Activity Assesment of Wood-waste Liquid Smoke
CN111937885A (zh) 吡啶-2,3-二羧酸的应用
KR20200137620A (ko) 느타리버섯 재배방법과 느타리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CN1288976C (zh) 一种松材线虫杀虫杀线剂
JP5590194B1 (ja) キノコの除染材及びそれを用いたキノコの人工栽培方法
Ypema et al. Black rot of stentlings of roses: a disease caused by various soil fungi
KR101651571B1 (ko) 복령 원균 생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