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396A - 피혁풍 시트 및 피혁풍 표시 부재 - Google Patents

피혁풍 시트 및 피혁풍 표시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396A
KR20200070396A KR1020207015419A KR20207015419A KR20200070396A KR 20200070396 A KR20200070396 A KR 20200070396A KR 1020207015419 A KR1020207015419 A KR 1020207015419A KR 20207015419 A KR20207015419 A KR 20207015419A KR 20200070396 A KR20200070396 A KR 20200070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sheet
resin layer
colored resin
mai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이치 하야시
아키라 데라오카
고지 구보
Original Assignee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7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8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echnique
    • D06N3/0088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echnique by directly applying the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urethanes
    • D06N3/145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urethanes two or more layers of polyureth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5Acrylic resin particles, e.g. polymethyl methacrylate or ethylene-acrylate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7Ceramic
    • B32B2264/108Carbon, e.g. graphi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3/00Macromolecular materials of the coating layers
    • D06N2203/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N2203/068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materials
    • D06N2205/10Particulate form, e.g. powder, gran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피혁과 유사한 고급 외관을 유지하면서, 표시된 정보가 선명히 비추어지는 피혁풍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의 제공. 발광 부재를 덮도록 배치되는 착색 수지층을 갖는 피혁풍 시트로서, 발광 부재측의 표면을 제 1 주면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제 2 주면으로 하여, 제 2 주면측에서 바라본 전광선 투과율이 3 ∼ 10 % 의 범위이고, 헤이즈가 99 % 이하이고, 또한 그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 섬유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피혁풍 시트.

Description

피혁풍 시트 및 피혁풍 표시 부재
본 발명은, 각종 가전 제품이나 자동차의 인디케이터 등의 표시 패널 등의 표면 의장성 소재로서 사용되는, 광 투과성의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피혁풍 시트의 배면으로부터 백라이트를 조사하며, 투광부의 문자나 모양을 표시하여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은, 생포 (生布) 에,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피층을 적층하고, 부분적으로 380 ∼ 780 ㎚ 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0.10 ∼ 11.90 % 로 하는 합성 피혁 및 그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발광 부재를 덮도록 배치되어, 면내의 적어도 한 영역에 형성된 투광부로부터 상기 발광 부재의 발광을 투과시키는, 섬유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투과성 피혁풍 시트 및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777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81817호
최근의 각종 가전 제품이나 자동차의 인디케이터 등의 표시 패널은 매우 복잡하게 되어 있고, 그것에 수반하여 이용자는 조작 미스가 일어나기 쉬워지고 있다. 이용자의 조작 미스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그 때에 필요한 정보만을 이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이 유효하고, 그러한 관점에서 전술한 합성 피혁이나 피혁풍 시트를 사용할 수 없는지 연구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표시 패널에 비추는 정보를 필요한 것으로 좁혔다고 해도, 비추어야만 하는 정보의 수는 많고, 또 비추어진 정보가 무엇인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그러한 다량의 정보를 취급하기에는, 전술한 합성 피혁이나 피혁풍 시트로는 불충분하였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과제는, 피혁과 유사한 고급 외관을 유지하면서, 표시된 정보가 선명히 비추어지는 피혁풍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종래부터 합성 피혁이나 인공 피혁이라고 하면, 피혁에 가깝게 하기 위해서 동일한 적층 구조가 되도록 섬유 기재를 형성하는 것이 당연했다. 그러나, 그것으로는 은폐성과 선명성을 고도로 양립시킬 수 없어, 본 발명자들은 섬유 기재를 형성한다는 기성 개념의 프레임을 제거한 결과, 전광선 투과율과 헤이즈를 특정한 범위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 부재를 덮도록 배치되는 착색 수지층을 갖는 피혁풍 시트로서,
발광 부재측의 표면을 제 1 주면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제 2 주면으로 하여, 제 2 주면측에서 바라본 전광선 투과율이 3 ∼ 10 % 의 범위이고, 헤이즈가 99 % 이하이고, 또한 그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 섬유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피혁풍 시트 및, 발광 부재와 그 표면에 상기 피혁풍 시트가 첩합 (貼合) 된 피혁풍 표시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는, 은폐성이 우수하면서도, 배면으로부터 백라이트 등으로 표시했을 때의 선명성도 우수한 점에서, 피혁과 유사한 고급 외관을 유지하면서, 표시된 정보가 선명히 비추어지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의 두께 방향 단면의 모식도의 예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의 두께 방향 단면의 모식도의 다른 예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를 구비한 표시 장치의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는 착색 수지층을 갖고, 발광 부재를 덮도록 배치되고, 그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 섬유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에 대해, 발광 부재측의 표면을 제 1 주면, 그 반대측을 제 2 주면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는, 제 2 주면측에서 바라본 전광선 투과율이 3 ∼ 10 % 의 범위이다. 전광선 투과율은 은폐성의 관점에서 10 % 이하일 필요가 있고, 한편 선명성의 관점에서 3 %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바람직한 전광선 투과율의 하한은 4 %,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특히 바람직하게는 5.5 % 이다. 한편, 바람직한 전광선 투과율의 상한은 9 %,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이란, 파장 380 ∼ 780 ㎚ 의 광선에 대한 평균 투과율이다. 이와 같은 전광선 투과율은 후술하는 착색 수지층의 층 구성이나 수지층에 함유시키는 안료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는, 제 2 주면측에서 바라본 헤이즈가 99 %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전광선 투과율이 동일해도 헤이즈를 99 % 이하로 함으로써, 종래의 피혁풍 s- 에서는 달성할 수 없었던 선명성을 발현할 수 있다. 바람직한 헤이즈의 상한은 98.5 %, 더욱 바람직하게는 98 % 이다. 한편, 헤이즈의 하한은 선명성의 관점에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또 한편, 은폐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70 %, 8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헤이즈란, 파장 380 ∼ 780 ㎚ 의 광선에 대한 확산광을 직선광의 비율로 나눈 값이다. 이와 같은 헤이즈는, 섬유 기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도달하지 못하고, 섬유 기재를 개재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한 다음, 후술하는 착색 수지층의 층 구성이나 수지층에 함유시키는 안료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피혁풍 시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섬유 기재를 개재하지 않고 착색 수지층에 형성된 것이며, 착색 수지층은 전술한 전광선 투과율과 헤이즈를 만족시키고, 피혁풍의 외관을 발현하는 것이면 제한은 되지 않지만, 손으로 만졌을 때의 촉감으로부터, 엘라스토머에 안료를 함유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엘라스토머로는, 그 자체로 공지된 것을 채용할 수 있고, 전술한 광학 특성, 촉감, 내구성 등의 관점에서, 우레탄 수지, 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우레탄 수지를 주된 엘라스토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우레탄 수지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락톤계 폴리우레탄 등의 공지된 합성 피혁용 표피의 모두가 사용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탄은, 내구성이나 내열성에 있어서 우수하고, 차량용 혹은 가구용의 합성 피혁의 표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표피층으로서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이면,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 수지에, 천연 고무, 클로로프렌, SBR,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수지, 염화비닐 등의 고분자 중합체를 첨가·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착색 수지층은, 전술한 광학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안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는 그 자체로 공지된 것을 채용할 수 있고, 카본 블랙, 산화물계의 흑색 안료, 프탈로시아닌계, 안트라퀴논계, 디옥사진계, 벤즈이미다졸론계 등 여러 가지의 착색 안료를 사용할 수 있고, 그것들 중에서도 내광성 등의 관점에서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고, 산화물계의 흑색 안료, 프탈로시아닌계, 안트라퀴논계, 디옥사진계, 벤즈이미다졸론계 등 여러 가지의 착색 안료를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안료의 첨가량에 대해서는, 얻어지는 합성 피혁의 전광선 투과율이 3 ∼ 10 % 의 범위 내가 되도록 적절히 선택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착색 수지층의 두께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착색 수지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5 ∼ 10 중량%, 0.5 ∼ 5 중량% 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착색 수지층 중에 존재하는 안료는, 지나치게 많으면, 합성 피혁으로서의 텍스처를 저해시키기 쉽다.
상기 착색 수지층에는, 안료 외에, 필요에 따라, 난연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가수 분해 방지제 등, 합성 피혁의 폴리우레탄 수지층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착색 수지층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지나치게 많으면 (지나치게 두꺼우면) 투과시키는 화상의 선명성이 저해되기 쉽고, 지나치게 적으면 (지나치게 얇으면), 은폐성이 저해되어, 피혁풍로서의 질감이나 텍스처가 더욱 열등한 것이 되기 쉬워져, 섬유 기재가 없는 것에 의한 취급성의 저하가 현저하게 커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착색 수지층의 두께는, 5 ∼ 200 ㎛ 정도, 10 ∼ 150 ㎛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는, 이형지 등의 엠보스 무늬면에, 상기한 표피층용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닥터 나이프 코터, 콤마 닥터 코터, 그 밖에 통상적인 도포 수단으로 도포하고, 가열 건조시킴으로써 제조해도 되고, 착색 수지층을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용융 압출하거나, 후술하는 투명 수지층으로서 투명 필름을 준비하고, 거기에 압출 라미네이션으로 착색 수지층을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착색 수지층은, 발광 부재를 덮도록 배치하기 위해서, 다시 접착층을 추가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으로는, 예를 들어, 2 액형의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습기 경화 핫멜트형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등을 사용하면 되는데, 선명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광학적으로 투명성이 높은 접착제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광학적으로 투명성이 높은 접착제로는, 아크릴계나 우레탄계의 접착제를 예시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테르계 및 폴리카보네이트계의 우레탄 접착제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접착제층은, 단일의 접착제층이어도 되고, 핫멜트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제 1 접착제층을 미리 형성하고, 그것을 부재와 핫멜트 등을 적층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제 1 접착제층 및 제 2 접착제층의 두께는 각각 10 ∼ 200 ㎛, 15 ∼ 150 ㎛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는 착색 수지층을 갖고, 발광 부재를 덮도록 배치되고, 그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 섬유 기재가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헤이즈를 99 % 이하로 한 것에 특징이 있고, 그러한 관점에서 착색 수지층 및 그 두께 방향에 있는 각 층은, 발포 등에 의해 형성된 광의 산란을 크게 하는 공극 함유층, 예를 들어 발포 수지층 등은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공극 함유층이란, 단면을 관찰했을 때에 5 % 이상의 면적을 차지하는 공극이 존재하는 층을 의미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상의 면적을 차지하는 공극이 존재하는 층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는, 헤이즈를 낮게 억제하는 관점에서, 착색 수지층, 제 1 주면측 혹은 제 2 주면측 중 어느 것에 투명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취급성의 관점에서 착색 수지층이 투명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투명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보다 투과광의 확산을 억제하여 헤이즈를 낮게 억제하기 쉽다. 투명 입자의 비율은 원하는 헤이즈나 전광선 투과율의 관계에서 적절히 조정하면 되는데, 착색 수지층에 함유시키는 경우, 착색 수지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 20 중량%, 1 ∼ 10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명 입자로는, 굴절률이 1.4 ∼ 1.8 정도인 투명한 입자상의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리 비드나 아크릴 비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투명 입자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투과광의 확산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부정형인 것보다, 구상, 주발상 (구를 무게 중심을 통과하여 2 개로 재단한 형상), 삼각 기둥, 사각 기둥, 삼각추 등의 정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구상 혹은 주발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입자의 입경은, 체적으로부터 구로 환산했을 때의 입경으로, 1 ∼ 20 ㎛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 ∼ 12 ㎛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는, 착색 수지층의 제 2 주면측에 투명 수지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투명 수지층을 가짐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됨과 함께 깊이가 있는 의장성이 얻어진다. 투명 수지층으로는 착색 수지층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수지를 예시할 수 있고, 보다 경도가 높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의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두께는 1 ∼ 50 μ 이다.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는, 그 제 2 주면측에 피혁풍의 요철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요철은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으로 부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요철이 부여된 롤로 협지하여 요철을 전사시키는 것에 의해 부여할 수도 있고, 후술하는 캐리어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캐리어 필름에 미리 요철을 부여해 두고, 그것을 전사시킴으로써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철의 최대 높이 Rz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μ ∼ 1000 ㎛ 정도이다.
또, 착색 수지층 및 투명 수지층은 1 층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형성해도 되고, 예를 들어 전술한 착색 수지층 및 투명 수지층의 적층체 위에, 그라비아 코터 등으로 얇은 착색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은, 표면의 텍스처를 보다 높이기 쉽고, 또 시인성과 은폐성을 보다 고도로 양립시키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텍스처의 관점에서는 표면에 위치하는 수지층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리카 입자 등의 무기 입자를 함유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는, 예를 들어 10 ㎝ × 10 ㎝ 의 범위에서 보았을 때의 면내 방향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가 1.0 % 이하, 0.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차가 작은 피혁풍 시트로 함으로써, 발광 부재를 덮을 때에, 어느 부분에서 덮어도 시인성과 은폐성을 양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 부재와 그 표면에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를 첩합함으로써, 피혁풍 표시 부재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혁풍 표시 부재에 대해, 도 1 ∼ 3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피혁풍 표시 부재는, 전술한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의 제 1 주면측으로부터 제 2 주면측을 향하여 조사하는 광 (이하, 「광원」이라고도 한다) 을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의 두께 방향 단면의 모식도의 예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의 두께 방향 단면의 모식도의 다른 예로서,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혁풍 시트는 성형 부재 (5) 에 첩합되고, 광원 (6) 은, 피혁풍 시트의 제 1 주면측에 배치되어, 온 (점등), 오프 (소등) 혹은 점멸시켜 사용한다. 광원 (6) 으로는, LED, 형광등, 백열등, HID (고휘도 방전등) 등을 들 수 있고, 형상이나 사이즈에 제한은 없지만, 전력을 절약하는 점에서 LED 가 바람직하다. 이 때, 광원과 피혁풍 시트 사이에 표시하고자 하는 문자 등의 인쇄층 (4) 을 형성하고, 표시하고자 하는 지점의 광원 (6) 을 점등 혹은 점멸시킴으로써, 필요한 정보만을 운전자 등의 사람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 휘도, 광색, 점멸 등을 적절히 컨트롤함으로써, 정보를 보다 선택적으로 인식시킬 수도 있다.
즉, 특정한 전광선 투과율과 헤이즈를 만족시키는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에서는, 제 1 주면측으로부터 제 2 주면측을 향해 조사된 광원 (6) 으로부터의 광이, 착색 수지층 (2) 을 통하여, 그 광원측에 있는 인쇄된 문자 등을 시인할 수 있다. 이 광원 (6) 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30 ∼ 200 cd/㎡ 정도의 밝기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예의 피혁풍 시트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인공 피혁의 제조 방법에서는, 부직포를 제조하고, 거기에 고분자 탄성체를 함침하여, 응고시키는 공정을 실시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부직포 등의 섬유 기재를 개재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캐리어 필름에, 착색 수지층을 형성하는 도액으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NBR, SBR, 아크릴 등의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수지에 안료를 함유시킨 수계의 수분산체 또는 용액을 준비하고, 이것을 도포하여 건조시켜 고화시키면 된다. 건조 온도는 사용하는 도제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70 ℃ 이상 1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90 ℃ 이상 130 ℃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얻어진 착색 수지층의 내광성, 내열성, 내수성, 내용제성 등의 각종 내구성을 개선할 목적에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가수 분해 방지제 등의 안정제나,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폴리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등의 가교제를 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안료는 각종 무기, 유기 안료를 배합할 수 있다. 또, 실리콘계, 불소계 등의 각종 발수제나,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친수성의 제 (劑) 를 첨가하여, 피혁풍 시트의 유연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
캐리어 필름에 대한 도포 방법은,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방법이면 어느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코팅법, 스프레이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캐리어 필름에 피혁풍 시트의 텍스처나 시각 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해서 엠보스 등의 요철이 부여된 이형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층을 형성하는 시트를 미리 제조해 두고, 그것들을 적층하여 열압착 혹은 열융착시켜도 된다. 또, 얻어진 착색 수지층 혹은 그 위에 형성된 투명 수지층 위에, 그라비아 코터 등의 코팅 처리로 추가로 착색 수지층이나 투명 수지층을 형성해도 된다. 전술에서 형성한 접착제층 위에, 다시 핫멜트 등의 다른 접착제층을 추가로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는 은폐성이 우수하면서도, 배면으로부터 백라이트 등으로 표시했을 때의 선명성도 우수한 점에서, 피혁과 유사한 고급 외관을 유지하면서, 표시된 정보가 선명히 비추어지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에 대해, 이하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서술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각종 특성은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
얻어진 각 피혁풍 시트에 대해, JIS K7361 에 준하여, 헤이즈 측정기 (닛폰 전색 공업사 제조의 상품명 「NDH-2000」) 를 사용하여, 전광선 투과율, 헤이즈를 각각 측정하였다.
(2) 두께
얻어진 각 피혁풍 시트를 재단하고, 단면을 현미경 관찰하여, 전체의 두께 및 각 층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3) 시인성
토시바 주식회사 제조 노트 PC dynabook R731/D 에 있어서, 휘도 레벨 4 에서, 부속 소프트인 메모장을 기동시켜, 「중요 정보」라는 문자를, MS 명조로 폰트 사이즈 12, 14, 16, 18, 20, 24, 28, 36 으로 표시시키고, 그 표시면에 얻어진 각 피혁풍 시트를 첩합하고, 피혁풍 시트 아래의 「중요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시인성
◎ : 모든 폰트 사이즈에서 문자를 명료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 : 폰트 사이즈 24 이상에 대해 표시되는 문자를 인식할 수 있었다.
△ : 폰트 사이즈 36 에서 대부분의 문자는 인식할 수 있었지만, 일부의 문자에 대해 인식할 수 없었다.
× : 폰트 사이즈 36 에서도 대부분의 문자를 인식할 수 없었다.
(4) 은폐성
백색 용지에 「중요 정보」라는 문자를, MS 명조로 인자 후의 문자 사이즈 4 ㎜, 6 ㎜, 10 ㎜ 로 흑색으로 인쇄한 후에, 얻어진 각 피혁풍 시트를 첩합하고, 토요타 자동차 주식회사 제조 알파드의 2 열째 시트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 정오 (正午) 에 직접 외광이 닿지 않는 상태에서 피혁풍 시트 아래의 「중요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지에 의해,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은폐성
◎ : 모든 문자가 존재조차 확인할 수 없었다.
○ : 문자의 존재는 확인할 수 있지만, 무엇이 기재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없다.
△ : 대부분의 문자는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일부 확인할 수 없는 문자가 있었다.
× : 모든 문자가 무엇이 기재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엠보스 모양이 부여된 이형지 종이 위에, 실리콘 변성 폴리카보네이트계 우레탄 (다이니치 정화사 제조, 상품명 : 레자민 NES-9900NT) 100 중량부,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5 중량부를 혼합한 도액 (2) 을, 겉보기 중량 120 g/㎡ 로 도포하였다. 도포 후, 110 ℃ 에서 2 분간 건조시켜 두께 10 ㎛ 의 고분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투명 수지층 (2) 을 형성하였다.
추가로 상기 투명 수지층 (2) 의 이형지와 접하고 있지 않은 표면에, 실리콘 변성 폴리카보네이트계 우레탄 (다이니치 정화사 제조, 레자민 NES-9900NT, 고형분 20 중량%) 100 중량부,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5 중량부, 카본 블랙 안료 5 중량부 (고형분 15 중량% 이고, 용매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를 혼합한 도액 (1) 을 겉보기 중량 150 g/㎡ 로 도포하였다. 도포 후, 110 ℃ 에서 2 분간 건조시켜 두께 40 ㎛ 의 고분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착색 수지층 (1) 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착색 수지층 (1) 의 투명 수지층 (2) 과 접하고 있지 않은 표면에,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다이니치 정화 공업사 제조, 상품명 : 레자민 UD8373BL) 100 중량부, 가교제 (다이니치 정화사 제조, 상품명 : 레자민 NE 가교제) 10 중량부,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중량부, 메틸에틸케톤 10 중량부를 혼합 한 도액 (3) 을 겉보기 중량 150 g/㎡ 로 도포하였다. 도포 후, 90 ℃ 에서 2 분간 건조시켜 두께 40 ㎛ 의 접착층 (3) 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접착층 (3) 의 착색 수지층 (1) 과 접하고 있지 않은 표면에, HOTMELT 시트 (3') (SAMBU FINE CHEMICAL 사 제조, 상품명 NASA-T1) 를 중첩하고, 온도 110 ℃ 의 가열 실린더 표면 상에서 0.3 ㎜ 의 간극의 롤에 통과시켜 압착시켜, 두께 150 ㎛ 의 접착층 (3') (HOTMELT 층) 을 형성하였다.
그 후, 온도 70 ℃ 의 분위기 하에서 2 일간 방치한 후, 이형지를 벗겨내고, 이형지로부터 박리한 표면 (엠보스 모양이 부여된 면) 에, 표면 처리제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실리카 (다이니치 정화 공업사 제조, 상품명 : 레자로이드 LU-4305NT), DMF 를 15 중량부를 혼합한 도액 (1') 을 그라비아 코터에 의해 도포하였다. 도포 후, 120 ℃ 에서 3 분간 건조시켜, 두께 5 ㎛ 의 착색 수지층 (1') 을 형성하여, 피혁풍 시트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피혁풍 시트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각 층의 두께 및 착색 수지층 중의 카본 블랙 안료의 함유량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피혁풍 시트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그리고 비교예 1 ∼ 3]
그라비아 코터에 의한 착색 수지층 (1') 을 형성하지 않았던 것, 실리콘 변성 폴리카보네이트계 우레탄 (다이니치 정화사 제조, 상품명 : 레자민 NES-9900 NT) 대신에, 폴리카보네이트계 우레탄 (DIC 제조, 상품명 : 크리스본 NY-393) 을 사용한 것, 각 층의 두께 및 착색 수지층 중의 카본 블랙 안료의 함유량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피혁풍 시트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각 층의 두께 및 착색 수지층 중의 카본 블랙 안료의 함유량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고, 착색 수지층 중에 구상 아크릴 비드 입자 (네가미 공업사 제조, 상품명 : 아트펄 G-800, 평균 입경 6 ㎛) 를 1 중량% 함유시킨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피혁풍 시트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그라비아 코터에 의한 착색 수지층 (1') 을 형성하지 않았던 것 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피혁풍 시트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6 ∼ 8]
실시예 5 에 있어서, 각 층의 두께 및 착색 수지층 중의 카본 블랙 안료의 함유량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고, 착색 수지층 중에 함유시키는 구상 아크릴 비드 입자를, 형상이 주발상인 아크릴 비드 입자 (DIC 사 제조, 상품명 : DILAC POWDER L-7419, 평균 입경이 10 ㎛) 로 변경하고, 그 함유량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피혁풍 시트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실시예 6 에 있어서, 착색 수지층 중에 함유시키는 구상 아크릴 비드 입자를, 소입경의 구상 아크릴 비드 입자 (네가미 공업사 제조, 상품명 : 아트 펄 J-4P, 평균 입경이 2.2 ㎛) 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피혁풍 시트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실시예 6 에 있어서, 착색 수지층 중에 함유시키는 구상 아크릴 비드 입자를, 편평 입자 (네모토·루미 머테리얼사 제조, 상품명 : DSN-30, 평균 입경이 5 ㎛) 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피혁풍 시트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실시예 5 에 있어서, 각 층의 두께 및 착색 수지층 중의 카본 블랙 안료의 함유량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고, 착색 수지층 중에 구상 아크릴 비드 입자를 함유시키지 않았던 것 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피혁풍 시트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실시예 2 의 피혁풍 시트의 HOTMELT 층측의 표면에, 부직포 기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 (평균 단사 섬도 : 2.2 dtex, 평균 섬유 길이 : 51 ㎜) 를 니들 펀치로, 두께 0.55 ㎜, 밀도 0.302 g/㎤ 의 부직포로 한 것) 를 적층하고, 온도 120 ℃ 의 가열 실린더 표면 상에서 롤과의 간극을 통과시켜 압착시켰다.
얻어진 피혁풍 시트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비교예 4 에 있어서, 그라비아 코터에 의한 착색 수지층 (1') 을 형성하지 않았던 것 외에는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피혁풍 시트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실시예 4 의 피혁풍 시트의 HOTMELT 층측의 표면에, 부직포 기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 (평균 단사 섬도 : 2.2 dtex, 평균 섬유 길이 : 51 ㎜) 를 니들 펀치로, 두께 1.35 ㎜, 밀도 0.332 g/㎤ 의 부직포로 한 것) 를 적층하고, 온도 120 ℃ 의 가열 실린더 표면 상에서 롤과의 간극을 통과시켜 압착시켰다.
얻어진 피혁풍 시트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피혁풍 시트는, 은폐성이 우수하면서도, 배면으로부터 백라이트 등으로 표시했을 때의 선명성도 우수한 점에서, 피혁과 유사한 고급 외관을 유지하면서, 표시된 정보가 선명히 비추어지는 표시 장치로서, 차량의 내장 등에 사용할 수 있다.
1, 1' : 착색 수지층
2, 2' : 투명 수지층
3, 3' : 접착층
4 : 인쇄층
5 : 성형 부재
6 : 광원

Claims (12)

  1. 발광 부재를 덮도록 배치되는 착색 수지층을 갖는 피혁풍 시트로서,
    발광 부재측의 표면을 제 1 주면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제 2 주면으로 하여, 제 2 주면측에서 바라본 전광선 투과율이 3 ∼ 10 % 의 범위이고, 헤이즈가 99 % 이하이고, 또한 그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 섬유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혁풍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착색 수지층이 엘라스토머에 안료를 함유시킨 수지층인, 피혁풍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안료로서 카본 블랙 안료를 함유하는, 피혁풍 시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엘라스토머가 우레탄 수지, 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피혁풍 시트.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색 수지층이 안료 외에 투명 입자를 함유하는, 피혁풍 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투명 입자의 입경이 1 ∼ 20 ㎛ 의 범위인, 피혁풍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착색 수지층이 그 두께 방향에 공극을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피혁풍 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착색 수지층의 제 1 주면측에 접착층을 갖는, 피혁풍 시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착색 수지층의 제 2 주면측에 투명 수지층을 갖는, 피혁풍 시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주면측에 피혁풍의 요철이 부여되어 있는, 피혁풍 시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면내 방향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가 1.0 % 이하인, 피혁풍 시트.
  12. 발광 부재와 그 표면에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혁풍 시트가 첩합된 피혁풍 표시 부재.
KR1020207015419A 2017-10-30 2018-10-26 피혁풍 시트 및 피혁풍 표시 부재 KR202000703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09306 2017-10-30
JP2017209306A JP6955962B2 (ja) 2017-10-30 2017-10-30 皮革調シートおよび皮革調表示部材
PCT/JP2018/039796 WO2019087949A1 (ja) 2017-10-30 2018-10-26 皮革調シートおよび皮革調表示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396A true KR20200070396A (ko) 2020-06-17

Family

ID=6633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419A KR20200070396A (ko) 2017-10-30 2018-10-26 피혁풍 시트 및 피혁풍 표시 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332461A1 (ko)
EP (1) EP3705774A4 (ko)
JP (1) JP6955962B2 (ko)
KR (1) KR20200070396A (ko)
CN (1) CN111279118A (ko)
MX (1) MX2020003860A (ko)
WO (1) WO20190879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8470B2 (ja) * 2019-04-18 2021-04-14 Nissha株式会社 加飾成形品
JP7404709B2 (ja) * 2019-08-22 2023-12-26 東レ株式会社 光透過型表示機材用人工皮革
KR102337915B1 (ko) * 2019-10-02 2021-12-10 (주) 정산인터내셔널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
DE112020006366T5 (de) 2019-12-27 2022-10-06 Alps Alpine Co., Ltd. Zierflächenkörper und Anzeigeeinheit
JP2023537791A (ja) * 2020-03-30 2023-09-06 カナディアン ジェネラル-タワー(チャンシュー)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光半透明の人工・合成皮革の一種とその調製方法、複合・合成皮革の一種、および自動車のインテリア
US20230313447A1 (en) * 2020-09-29 2023-10-05 Toray Industries, Inc. Artificial leather and light-transmitting device fabricated using the same
WO2023058633A1 (ja) * 2021-10-06 2023-04-13 株式会社クラレ 皮革調発光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7714A (ja) 2012-02-29 2013-09-09 Achilles Corp 合成皮革
JP2016081817A (ja) 2014-10-21 2016-05-16 株式会社クラレ 光透過性皮革調シート、皮革調発光シート、及び皮革調発光ベル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4403B2 (ja) * 1993-03-29 2001-07-30 凸版印刷株式会社 内部に凹凸感のある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485770B2 (ja) * 1997-09-25 2004-01-13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着色剤
JP5212229B2 (ja) * 2009-04-03 2013-06-19 株式会社デンソー 操作スイッチ装置
CN102024590A (zh) * 2009-09-16 2011-04-20 毅嘉科技股份有限公司 按键键帽、按键结构、面板及机壳的制法
CN102198749B (zh) * 2010-03-25 2014-10-01 三芳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有发光视觉效果的结构体、其包括的能透光片材及其制法
JP6709018B2 (ja) * 2015-02-04 2020-06-1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加飾フィルム及びそれと一体化した物品
KR101680627B1 (ko) * 2016-03-18 2016-11-30 대원화성 주식회사 투광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우레탄 인조피혁 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7714A (ja) 2012-02-29 2013-09-09 Achilles Corp 合成皮革
JP2016081817A (ja) 2014-10-21 2016-05-16 株式会社クラレ 光透過性皮革調シート、皮革調発光シート、及び皮革調発光ベル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55962B2 (ja) 2021-10-27
JP2019083107A (ja) 2019-05-30
US20200332461A1 (en) 2020-10-22
WO2019087949A1 (ja) 2019-05-09
CN111279118A (zh) 2020-06-12
MX2020003860A (es) 2020-10-28
EP3705774A1 (en) 2020-09-09
EP3705774A4 (en)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0396A (ko) 피혁풍 시트 및 피혁풍 표시 부재
CN106687832B (zh) 二合一的半透明着色膜
JP5976338B2 (ja) 合成皮革
KR102449562B1 (ko) 자동차 내장부품용 투광성 부재
JP2009018747A (ja) 自動車内装用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内装用照明システム
KR101680627B1 (ko) 투광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우레탄 인조피혁 시트
CN111032346A (zh) 可透光多层复合膜
JP2008541170A (ja) 基板の製造方法
JP2008511866A (ja) 複数の画像を有する基材
WO2019031281A1 (ja) 加飾部材及び加飾部材の製造方法
JP7093514B2 (ja) 化粧シート及び該化粧シートを備える化粧部材
JP2008511863A (ja) 多数の画像を有する基材
WO2020213293A1 (ja) 加飾成形品
US20190157024A1 (en) Capped keyboard apparatus
US20190157025A1 (en) Capped keyboard apparatus
CN211390476U (zh) 具有透光效果的汽车内饰表皮
WO2023058633A1 (ja) 皮革調発光表示装置
CN113552963B (zh) 触控显示皮革及其皮革结构
KR102659684B1 (ko) 조명 장치
WO2023190260A1 (ja) 加飾シートおよび内装部材
CN217047816U (zh) 一种可透光饰件
JP2023072301A (ja) 光透過性意匠材および照明付き装飾品
TWI735211B (zh) 觸控顯示皮革及其皮革結構
KR20040014770A (ko) 반사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JP6518962B2 (ja) 加飾照光部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