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915B1 -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915B1
KR102337915B1 KR1020190122347A KR20190122347A KR102337915B1 KR 102337915 B1 KR102337915 B1 KR 102337915B1 KR 1020190122347 A KR1020190122347 A KR 1020190122347A KR 20190122347 A KR20190122347 A KR 20190122347A KR 102337915 B1 KR102337915 B1 KR 102337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layer
skin film
artificial leath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9740A (ko
Inventor
성호동
백태균
김구환
Original Assignee
(주) 정산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정산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 정산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90122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915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21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esters, polycarbonates, alkyds
    • D06N3/123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esters, polycarbonates, alkyds with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8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two layers of different macromolecular materials
    • D06N3/183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two layers of different macromolecular materials the layers are one next to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스킨 필름층; 상기 스킨 필름층의 일면에 특정 글자 또는 모양을 인쇄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과 합포된 베이스 기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킨 필름층은 테레프탈산과 1,4 부탄디올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축합 중합하여 제조된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에 분체(Powder), 첨가제및 안료가 함께 분쇄되어 형성된 미세 구형 입자가 분산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Transparent polyester artificial leath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면에 조명장치를 비추었을 때 특정 모양과 글자의 광학적 표현이 가능한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광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주로 유리나 투명한 플라스틱 등과 같이 투광성 소재를 사용하고 후면부에 조명장치(Back Light)를 사용하여, 이 조명장치가 꺼져 있을 때는 아무런 글자나 모양이 표현되지 않고 대체로 소재 고유의 색상으로 보이다가, 후면의 조명장치가 켜지면 그 빛에 의하여 특정한 글자나 모양이 투과되어 표면에 나타나게 구현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리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변형성이 없는 투광성 소재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하면 다양한 패턴이나 부드러운 질감, 자유로운 변형성 및 충격완화 기능을 구현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폴리우레탄 수지로 된 인조피혁 시트를 사용하면 다양한 패턴이나 부드러운 질감, 자유로운 변형성 및 충격완화 기능은 구현할 수 있으나 투광성이 떨어져 그 표면에 특정한 글자나 모양을 표현할 수 없게 된다. 다시 말하면, 일반적인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인조피혁 시트는 투광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 제조 과정에 폴리우레탄과 유기용제(DMF, MEK)가 혼합된 수지를 이용하게 되어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고, 이 기공들로 인해 빛이 흡수되거나 투과율이 낮아져 투광 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일반적인 폴리우레탄 인조피혁 시트 후면에 조명장치를 설치하더라도 디스플레이 효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폴리우레탄 인조피혁은 제조공정에서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잔류 유해 용제 물질 검출 문제가 있다.
이러한 선행문헌으로서, 등록특허 제1680627호(발명의 명칭: 투광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우레탄 인조피혁 시트)는 폴리우레탄 수지에 광학작용을 통해 빛을 투과시키는 기능성 안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투광성 폴리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투광성 문제를 일부 개선하였으나, 여전히 투광 기능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80627호(2016.11.2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가죽과 같은 패턴, 주름 효과 및 충만감을 가지면서, 다양한 제품 표면을 감쌀 수 있는 변형성, 내구성, 내광성, 내후성,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으며, 후면에 조명장치를 제공하면 표면으로 특정 글자나 모양을 표현할 수 있는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스킨 필름층; 상기 스킨 필름층의 일면에 특정 글자 또는 모양을 인쇄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과 합포된 베이스 기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킨 필름층은 테레프탈산과 1,4 부탄디올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축합 중합하여 제조된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에 분체(Powder), 첨가제및 안료가 함께 분쇄되어 형성된 미세 구형 입자가 분산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은 상기 인쇄층의 일면에 수계 폴리우레탄계 고분자 수지 또는 수계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수지를 도포하여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기재층과 인쇄층을 접합시키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은 상기 스킨 필름층의 상부에 수계 고분자 수지를 도포하여 형성된 표면 처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에 있어서, 상기 투광 안료는 0.1 ~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에 있어서, 상기 스킨 필름층의 두께는 100 ~ 25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용융점(Tm) 150 ~ 190℃, 경도 20 ~ 30D (SHORE D 경도계), 용융 흐름 지수(MI) 10 ~ 50 g/10min (220℃/2.16 kg) 및 회복율 (RESILIENCE) 50 ~ 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의 제조방법은, 스킨 필름층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스킨 필름층의 일면에 특정 글자 또는 모양을 인쇄한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층의 하부에 베이스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킨 필름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테레프탈산과 1,4 부탄디올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축합 중합하여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에 분체(Powder), 첨가제 및 안료가 함께 분쇄되어 형성된 미세 구형 입자를 분산 혼합하여 필름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의 제조방법은, 상기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인쇄층의 일면에 수계 폴리우레탄계 고분자 수지 또는 수계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수지를 도포하여 상기 베이스 기재층과 인쇄층을 접합시키는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의 제조방법은, 상기 스킨 필름층의 상부에 수계 고분자 수지를 도포하여 표면 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광 안료는 0.1 ~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킨 필름층의 두께는 100 ~ 25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용융점(Tm) 150 ~ 190℃, 경도 20 ~ 30D (SHORE D 경도계), 용융 흐름 지수(MI) 10 ~ 50 g/10min (220℃/2.16 kg) 및 회복율 (RESILIENCE) 50 ~ 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은 조명이 없을 때 천연가죽과 같은 심미적 효과를 나타내고, 후면에 조명장치를 비추었을 때 특정 모양과 글자의 광학적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투광성이 있으면서 변형성, 내구성, 내광성, 내후성,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내장제, 인테리어용 자재, 가전제품 외피재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의 제조 단계를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필름층에 사용된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의 단면 사진이다.
도 4는 스킨필름층에 사용된 종래의 폴리우레탄 수지의 단면 사진이다.
도 5는 조명장치가 점등되지 않은 상태의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시트의 표면 사진이다.
도 6은 조명장치가 점등된 상태의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시트의 표면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은 스킨 필름층(20), 인쇄층(30) 및 베이스 기재층(50)을 포함한다.
스킨 필름층(20)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블록(BLOCK) 공중합체를 이용한 인조피혁의 표면층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서, 상기 스킨 필름층(20)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에 분체(Powder), 첨가제 및 안료가 함께 분쇄되어 형성된 미세 구형 입자가 분산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과 1,4 부탄디올,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축합 중합하여 제조된 블록(BLOCK) 공중합체이다. 상기 공중합체는 용융점(Tm) 130 ~ 220℃, 바람직하게는 150~190℃, 경도 20~30 D (경도계 SHORE D) 용융 흐름 지수(MI) 10~50 g/10min(온도 220 ℃/2.16kg), 회복율 (RESILIENCE) 50~80%, 파단신율 400~1000%일 수 있다.
스킨 필름층(20)에 적용되는 안료는 무기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분체(powder)와 가공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제를 첨가하고 분쇄(milling)한다. 분쇄된 안료 입자는 첨가제가 흡착(COATING)된 미세한 구슬 형상이 되고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다. 미세 구형 입자의 크기는 무기 및 금속의 분체가 가진 기본적인 크기 및 색상에 따라 0.01 ~ 4 ㎛ 의 크기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안료의 양이 0.1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스킨 필름층(20)의 투광성이 높아져 후면에 조명장치가 제공되지 않아도 인쇄층(30)의 특정 패턴 및 글자가 드러나 보여 천연가죽과 같은 질감을 나타내지 않는다. 안료의 양이 2.0 중량% 초과 첨가될 경우에는 후면에 조명장치를 제공하여도 인쇄층(30)의 특정 패턴 및 글자가 나타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광 안료는 0.1 ~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층(30)은 상기 스킨 필름층(20)의 일면에 특정 글자 또는 모양을 인쇄한 층이다. 열 전사기를 통하여 특정 디자인이 인쇄된 전사 필름을 스킨 필름층(20) 일면에 열 압착하여 스킨 필름층(20)에 전사시켜 인쇄층(30)이 형성된다.
이러한 인쇄층(30)으로 인하여 조명장치가 없을 때는 외관이 인조가죽과 같고, 조명장치가 공급되면 인쇄된 패턴이 나타나게 된다.
베이스 기재층(50)은 인조피혁의 기본이 되는 부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단일 성분의 경편 기모지, 환편 기모지, 부직포 또는 폴리에스테르 해도형 극세사 부직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기재층(50)은 상기 인쇄층(3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30)과 합포된다.
베이스 기재층(50)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인조피혁의 용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인조피혁은 그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기계적 물성을 달리하기 때문에, 특성을 고려하여, 베이스 기재층(50)을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인조피혁이 부드러운 질감을 갖기 위해서, 베이스 기재층(50)은 볼륨감(VOLUME), 부드러움, 충만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경편 기모지, 극세사 부직포지, 고밀도 부직포지, 환편 기모지, 또는 수지 충진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기재층(50)은 핫멜트(HOT MELT) 접착층과 접합하거나, 인조피혁의 엠보작업 과정에서 인조피혁이 온도와 압력에 의해 압착되더라도 물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은 스킨 필름층(20), 인쇄층(30) 및 베이스 기재층(50)을 포함하고, 상기 스킨 필름층(20)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에 분체(Powder), 첨가제 및 안료가 함께 분쇄되어 형성된 미세 구형 입자가 분산 혼합되어 기존의 폴리우레탄 인조피혁보다 우수한 투광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은 표면 처리층(10), 스킨 필름층(20), 인쇄층(30), 접착층(40) 및 베이스 기재층(50)을 포함한다.
표면처리층은 상기 스킨 필름층(20)의 상부에 수계 고분자 수지 코팅액을 그라비아롤로 30g/sqm 만큼 도포하고, 120℃ 열풍 챔버에서 건조하여 형성된다. 표면 처리층(10)의 상기 수계 고분자 수지는 83 내지 99.95 중량%의 수계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수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일 수 있다. 또한 실리콘계 슬립제인 마모 강도 증진제가 첨가될 수 있다.
표면 처리층(10)의 두께는 1 ~ 30 ㎛ 인 것이 바람직하며, 1 ㎛ 미만일 경우 강도가 약한 문제가 있고, 30 ㎛ 초과일 경우 터치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접착층(40)은 상기 인쇄층(30)의 일면에 수계 폴리우레탄계 고분자 수지 또는 수계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수지를 도포하여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기재층(50)과 인쇄층(30)을 접합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우레탄계 접착용 수지는 알리파틱(aliphatic)계 이소시아네트 및 에스테르계 폴리올의 중합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및 에테르계 폴리올의 중합물이며, 수계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용 수지는 테레프탈산 (TPA) 및 에틸렌 글리콜의 중합체이다.
접착층(40)의 두께는 20 ~ 150 ㎛ 이며, 20 ㎛ 미만일 경우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150 ㎛ 초과일 경우 감성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스킨 필름층(20), 인쇄층(30) 및 베이스 기재층(5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의 제조 단계를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다.
먼저, 스킨 필름층(20)을 제조하는 단계(S10)는 인조피혁의 표면층인 스킨 필름층(20)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스킨 필름층(20)을 제조하는 단계(S10)는 테레프탈산과 1,4 부탄디올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축합 중합하여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S12); 및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에 분체(Powder), 첨가제 및 안료가 함께 분쇄되어 형성된 미세 구형 입자를 분산 혼합하여 필름층을 제조하는 단계(S14)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소재의 분산성을 위한 용융 혼합 공정을 거쳐 필름 압출 성형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와 투광 안료(분체, 첨가제 및 안료가 함께 분쇄되어 형성된 미세 구형 입자)를 트윈 스크류 압출기로 컴파운드(용융 혼합)를 하여 투광 안료가 상기 공중합체 내에 높은 분산성을 가지도록 가공한다. 컴파운드 시 투광 안료는 공중합체 대비 0.1 ~ 2.0 중량%로 첨가하며 압출기 실린더의 가공온도는 170 ~ 220℃로 유지한다.
미세한 입자 형태로 혼합된 안료입자는 입사광이 내부로 들어오면 입자와 입자 사이에 굴절되고 내부 반사되어 통과한다. 이러한 광학적 특성(빛에 대한 굴절, 흡수, 산란, 반사 등)으로 인해 부드러운 느낌의 투광성을 가지게 되다. 이 때 안료의 분쇄를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는 아크릴계, 광확산제계, 실리콘계, 탄산칼슘계. 분산제 및 형광안료계, 증백제계, 티타늄계, 소광제 계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각 색상의 안료 구조 특성에 따라 달리 투입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컴파운드된 소재(안료를 첨가한 공중합체)를 T-Die 압출기를 통하여 필름 형태로 제조한다. T-Die 압출기의 가공온도는 170 ~ 220℃로 유지되며, 스킨 필름층(20)의 두께는 100 ~ 250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킨 필름층(20)의 두께는 포함되는 안료의 함량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100㎛ 미만일 때는 은폐력이 낮아져 인쇄층(30)의 패턴 및 글자가 쉽게 드러나는 문제점과 후공정에서의 가공 어려움이 있고, 250㎛ 초과일 경우 조명을 제공하여도 인쇄층(30)의 패턴과 글자가 나타나지 않고 감성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인쇄층(30)을 형성하는 단계(S20)는 상기 스킨 필름층(20)의 일면에 특정 글자 또는 모양을 인쇄하여 인쇄층(30)을 형성하는 것이다.
스킨 필름층(20) 일면에 특정 패턴이나 글자를 인쇄하는 방법으로는 전사 필름, 그라비아 및 디지털프린트 세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캐리어 필름과 그 위에 특정 디자인이 인쇄된 전사 필름을 적용 할 수 있다. 열 전사기를 통하여 특정 디자인이 인쇄된 전사 필름을 스킨 필름층(20) 일면에 열 압착하여 인쇄층(30)을 스킨 필름층(20)에 전사 시킨다. 스킨 필름층(20)과 전사 필름이 접착된 원단을 상온에서 5 ~ 24시간 숙성 후 전사 필름의 캐리어 필름을 제거한다. 이러한 공정을 통하여 인쇄층(30)이 스킨 필름층(20) 일면에 긴밀하게 고착된다.
그리고, 접착층(40)을 형성하는 단계(S30)는 상기 인쇄층(30)을 형성하는 단계(S20) 이후에, 상기 인쇄층(30)의 일면에 수계 폴리우레탄계 고분자 수지 또는 수계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수지를 도포하여 상기 베이스 기재층(50)과 인쇄층(30)을 접합시키는 것이다.
이때, 인쇄층(30) 일면에 상기 수계 고분자 수지를 나이프 코팅 방식 또는 그라비아 코팅 방식으로 도포한다. 코팅액의 도포량은 50 ~ 300g/sqm 이며, 베이스 기재층(50)과 접착 시, 70 ~ 150℃의 열풍으로 건조하여 접착하는 방법 또는 베이스 기재층(50)과 접착 전 70 ~ 150℃에서 일부 건조시겨 수계 접착층의 점착 포인트를 맞추어 베이스 기재층(50)과 접착하고 80 ~ 150℃의 열풍으로 경화하는 방법이 있다. 접착된 이후 완전한 접착력을 얻기 위해 70 ~ 100℃ 숙성실에서 5 ~ 24 시간 동안 방치하여 충분한 경화 반응을 유도한다.
베이스 기재층(50)을 형성하는 단계(S40)는 상기 인쇄층(30)의 하부에 베이스 기재층(50)을 형성한다.
이후, 표면 처리층(10)을 형성하는 단계(S50)는 상기 스킨 필름층(20)의 상부에 수계 고분자 수지를 도포하여 표면 처리층(10)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단계는 스킨 필름층(20)을 제조하는 단계(S10) 이후 또는 베이스 기재층(50)을 형성하는 단계(S40) 이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조명장치가 점등되지 않은 상태의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시트의 표면 사진이고, 도 6은 조명장치가 점등된 상태의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시트의 표면 사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 미세 기공이 형성되지 않아 투광 기능이 개선됨으로써, 조명이 없을 때 천연가죽과 같은 심미적 효과를 나타내고, 특히 후면에 조명장치를 비추었을 때 종래의 폴리우레탄 수지에 광학작용을 통해 빛을 투과시키는 안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경우에 비하여 투광성이 현저히 개선되어 특정 모양과 글자의 광학적 표현에 있어서 보다 선명하고 명확한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투광성이 있으면서 동시에 변형성, 내구성, 내광성, 내후성,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내장재, 인테리어용 자재, 가전제품 외피재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과율과 대비하기 위하여, 비교예로서 상기 본 발명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상기 스킨 필름층(20)을 제조하는 단계(S10)에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 대신 폴리우레탄을 제조하여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필름층에 사용된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의 단면 사진이고, 도 4는 스킨필름층에 사용된 종래의 폴리우레탄 수지의 단면 사진이다.
구분 본 발명 비교예
스킨필름층의 소재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미세기공 크기 미세기공 없음 가로 약 150㎛, 세로 약 55㎛
전광투과율(%)
(Tt : Total Transmitted Light)
1.2 0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에 안료를 혼합한 스킨필름층의 경우 미세 기공이 형성되어 투과율이 매우 낮은 반면, 본 발명의 경우 투과율이 1.2%로서 상대적으로 현저히 우수한 투과율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표면 처리층 20: 스킨 필름층
30: 인쇄층 40: 접착층
50: 베이스 기재층

Claims (12)

  1.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스킨 필름층;
    상기 스킨 필름층의 일면에 특정 글자 또는 모양을 인쇄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과 합포된 베이스 기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킨 필름층은 테레프탈산과 1,4 부탄디올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축합 중합하여 제조된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에 분체(Powder), 첨가제 및 안료가 함께 분쇄되어 형성된 미세 구형 입자가 분산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미세 구형 입자의 크기는 0.01 ~ 4 ㎛ 의 크기이고,
    상기 안료는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0.1 ~ 2.0 중량% 이고,
    상기 스킨 필름층의 두께는 100 ~ 250 ㎛이고,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용융점(Tm) 150 ~ 190℃경도 20 ~ 30D (SHORE D 경도계), 용융 흐름 지수(MI) 10 ~ 50 g/10min (220℃및 회복율 (RESILIENCE) 50 ~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의 일면에 수계 폴리우레탄계 고분자 수지 또는 수계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수지를 도포하여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기재층과 인쇄층을 접합시키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 필름층의 상부에 수계 고분자 수지를 도포하여 형성된 표면 처리층;을 더 포함하는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스킨 필름층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스킨 필름층의 일면에 특정 글자 또는 모양을 인쇄한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층의 하부에 베이스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킨 필름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테레프탈산과 1,4 부탄디올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축합 중합하여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에 분체(Powder), 첨가제 및 안료가 함께 분쇄되어 형성된 미세 구형 입자를 압출기로 용융 혼합하여 필름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 구형 입자의 크기는 0.01 ~ 4 ㎛ 의 크기이고,
    상기 안료는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0.1 ~ 2.0 중량% 이고,
    상기 스킨 필름층의 두께는 100 ~ 250 ㎛이고,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용융점(Tm) 150 ~ 190℃경도 20 ~ 30D (SHORE D 경도계), 용융 흐름 지수(MI) 10 ~ 50 g/10min (220℃및 회복율 (RESILIENCE) 50 ~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인쇄층의 일면에 수계 폴리우레탄계 고분자 수지 또는 수계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수지를 도포하여 상기 베이스 기재층과 인쇄층을 접합시키는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 필름층의 상부에 수계 고분자 수지를 도포하여 표면 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122347A 2019-10-02 2019-10-02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37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347A KR102337915B1 (ko) 2019-10-02 2019-10-02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347A KR102337915B1 (ko) 2019-10-02 2019-10-02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740A KR20210039740A (ko) 2021-04-12
KR102337915B1 true KR102337915B1 (ko) 2021-12-10

Family

ID=7543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347A KR102337915B1 (ko) 2019-10-02 2019-10-02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9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35211B (zh) * 2020-04-24 2021-08-0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皮革及其皮革結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2127A (ja) 2013-01-07 2014-07-17 Hiraoka & Co Ltd 合成皮革
JP2014173203A (ja) 2013-03-08 2014-09-22 Sakaiya:Kk 光透過性を有する人工皮革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合成樹脂成形品
KR101680627B1 (ko) * 2016-03-18 2016-11-30 대원화성 주식회사 투광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우레탄 인조피혁 시트
JP2019083107A (ja) * 2017-10-30 2019-05-30 帝人株式会社 皮革調シートおよび皮革調表示部材
KR102011097B1 (ko) 2018-05-14 2019-08-1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투광성 인조가죽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314B1 (ko) * 2015-08-10 2017-03-21 (주) 정산인터내셔널 폴리에스터를 이용한 인조피혁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2127A (ja) 2013-01-07 2014-07-17 Hiraoka & Co Ltd 合成皮革
JP2014173203A (ja) 2013-03-08 2014-09-22 Sakaiya:Kk 光透過性を有する人工皮革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合成樹脂成形品
KR101680627B1 (ko) * 2016-03-18 2016-11-30 대원화성 주식회사 투광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우레탄 인조피혁 시트
JP2019083107A (ja) * 2017-10-30 2019-05-30 帝人株式会社 皮革調シートおよび皮革調表示部材
KR102011097B1 (ko) 2018-05-14 2019-08-1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투광성 인조가죽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740A (ko)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734519U (zh) 耐磨微球制品
CN104159741B (zh) 微球制品和转移制品
CN109153241B (zh) 装饰材料
KR101680627B1 (ko) 투광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우레탄 인조피혁 시트
CN105992694A (zh) 装饰片材以及使用其的装饰部件
CN104853931A (zh) 可热成形的微球制品
KR20110041794A (ko) 디지털 인쇄층을 구비하는 금속 질감을 갖는 투명 장식 패널
CN111556805B (zh) 装饰材料
KR102337915B1 (ko) 투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인조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62162A (ko) 수압 전사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20200070396A (ko) 피혁풍 시트 및 피혁풍 표시 부재
JP7327618B2 (ja) 化粧材
JP2739435B2 (ja) 皮革様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153240B (zh) 装饰材料
KR20100128682A (ko) 입체적 무늬가 형성된 자동차 시트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KR102550515B1 (ko) 화장재
JP6094123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加飾成形品及び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692279B1 (ko) 연질 열가소성수지 소재 및 천연가죽의 상온 전사인쇄를 위한 전사액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쇄제작물
KR101692281B1 (ko) 경질 열가소성수지 소재의 상온 전사인쇄를 위한 전사액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쇄제작물
JP6098086B2 (ja) 炭素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用積層シート、積層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12199A (ja) Uvオフセット印刷層とuv補強層を有する転写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67016B2 (ja) 合成皮革
JP7323321B2 (ja) フィルム
JP7081214B2 (ja) 接着剤硬化物、加飾シート及び加飾成形体
JP7343291B2 (ja) オーバー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グラフィック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