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296A - 전기 전도체들을 포함하고 제어된 접힘 가능성을 갖는 안경 프레임,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전도체들을 포함하고 제어된 접힘 가능성을 갖는 안경 프레임,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296A
KR20200070296A KR1020207013120A KR20207013120A KR20200070296A KR 20200070296 A KR20200070296 A KR 20200070296A KR 1020207013120 A KR1020207013120 A KR 1020207013120A KR 20207013120 A KR20207013120 A KR 20207013120A KR 20200070296 A KR20200070296 A KR 20200070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curvature
frame
spectacle frame
radi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도빅 쥬와
마흐 레뇨
로익 바이론
Original Assignee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filed Critical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ublication of KR20200070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72Hinges without well-defined pivot axi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3Measuring during assembly or fitting of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부분(2), 적어도 제2 부분(4), 제2 부분(4)이 각각의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제1 부분(2)에 대하여 제2 부분(4)을 접고 펼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1 부분(2)에 제2 부분(4)을 접합시키는 접합부(5, 29, 33, 34), 제1 부분(2)과 제2 부분(4) 사이의 전기 연결을 가능하게 하도록 접합부(5, 29, 33, 34)를 통해 배열되는 적어도 전기 배선(8)을 포함하는 안경 프레임(1)에 관한 것으로, 접합부(5, 29, 33, 34)는 미리 정해진 최소 곡률 반경값보다 더 큰 곡률 반경값들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Description

전기 전도체들을 포함하고 제어된 접힘 가능성을 갖는 안경 프레임,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광학 기기 구성 부분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발명은 전기 배선, 특히 전기 와이어를 포함하고, 제어된 접힘 가능성을 갖는 안경 프레임을 갖는 기계 광학 기기 구성 부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프린팅 과정을 고려하여 안경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현대 전자 기기의 크기의 감소 및 소비로 인해, 점점 더 많은 전자 디바이스가 안경 프레임에 포함된다. 전자 기기란 표현은 전자 부품, 프로세서, 배터리와 같은 전원 공급기, 배선, 트랜스듀서, 안테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그리고 전자 기기의 예상된 작동에 필요한 것은 무엇이든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넓은 의미로 여기서 취해진다.
문서 US20140293215, US20140028966, US6099117 및 US6163926은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안경 또는 안경에 대한 힌지 수단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는 안경의 상이한 부분들에 분배되고 전기 배선은 와이어,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형태로 그러한 부분들 사이에 배열된다. 특히, 전자 기기는 프레임의 전단부와 안경 다리들 중 하나 또는 2개의 안경 다리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의 전단부와 2개의 안경 다리 사이의 연결부는 안경 프레임을 접고 펼칠 수 있도록 힌지식이다. 관련된 힌지는 전기 배선에 대한 응력 지점이고 반복된 접힘 및 펼쳐짐, 또는 과도한 접힘 또는 펼쳐짐은 전기 배선의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특히 적층 제조 기술 또는 이벤트 절삭 기술(예를 들어, 밀링)의 도움으로 안경 프레임에서의 전자 기기의 통합을 최적화하고 파손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특히, 3차원 프린팅 기술이 본 발명의 안경 프레임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 제1 부분,
- 제2 부분,
- 제2 부분이 각각의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제1 부분에 대하여 제2 부분을 접고 펼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1 부분에 제2 부분을 접합시키는 접합부,
-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전기 연결을 가능하게 하도록 접합부를 통해 배열되는 적어도 전기 배선을 포함하는 안경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합부는 미리 정해진 최소 곡률 반경값보다 더 큰 곡률 반경값들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즉, 탄성적 변형의 덕분으로, 가요성인 접합부의 제1 부분에 대하여 제2 부분의 접음/폐쇄 상태/위치에서, 접합부는 따라서 굽혀지며, 접합부에 있는 배선은 심한 압력을 받지 않는다. 이는 또한 제2 부분을 굽히는 구부림으로 제2 부분이 접혀질/폐쇄될 때 얻을 수 있는 최소 곡률 반경값이 미리 정해진 최소 곡률 반경값보다 더 큰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최소 얻을 수 있는 곡률 반경 미만에서는, 프레임 및/또는 배선의 무결성은 파괴될 공산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이하의 수단이 또한 사용된다:
- 접합부는 외부 힘이 접합부에 인가될 때만 변형 가능하며,
- 접합부는 외부 힘이 억제될 때, 접합부가 결정된 위치 또는 형상을 회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적 특성들을 가지며,
- 제1 부분은 프레임의 제1 부분이고 제2 부분은 프레임의 제2 부분이며,
- 제1 부분은 전단부이고 제2 부분은 안경 다리이며,
-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동일한 안경 다리에 위치되며,
- 제1 부분은 안경 다리의 앞쪽 부분이고 제2 부분은 동일한 안경 다리의 뒤쪽 부분이며,
-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동일한 전단부에 위치되며,
- 제1 부분은 전단부의 좌측 부분이고 제2 부분은 동일한 전단부의 우측 부분이며,
- 제1 부분은 코 받침대이고 제2 부분은 전단부이며,
-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동일한 코 받침대에 위치되며,
- 곡률 반경을 갖는 탄성적 변형은 각이 아닌 둥그스럼을 형성하며,
- 안경 프레임은 2개의 안경 다리를 포함하며,
- 접합부는 연장 가능하지 않으며,
- 접합부는 가요성이며,
- 접합부는 그것만으로 일체화되거나 일체화되지 않으며,
- 접합부만으로 일체화되지 않는 접합부에서, 접합부는 함께 통합되는 요소들로 만들어지며,
- 접합부는 안경 다리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일체화되며,
- 접합부는 전단부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일체화되며,
- 접합부는 안경 다리 및 전단부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일체화되며,
- 접합부는 안경 다리 및 전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안경 다리 및 전단부에 통합되는 분리된 요소이며,
- 부분적으로만 일체화되는 접합부에서, 접합부의 일체화되지 않은 부분은 전단부에 일체화되는 부분이며,
- 부분적으로만 일체화되는 접합부에서, 접합부의 일체화되지 않은 부분은 안경 다리에 일체화되는 부분이며,
- 안경 다리 및 전단부는 함께 통합되는 분리된 요소들이며,
- 접합부를 통해 배열되는 전기 배선은 적어도 안경 다리의 디바이스를 전단부의 다른 디바이스 및/또는 다른 안경 다리의 다른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 안경 프레임의 전단부는 안경 프레임의 착용자의 안면 및 눈들의 앞에 수직 전단 평면을 한정하며, 안경 다리는 대략 수평인 축, 및 펼쳐진/개방된 상태/위치에서, 전단 평면에 또한 대략 수직이고 전단 평면의 후방을 향하는 축으로서, 상기 축은 그 때 착용자의 안경 다리에 측면인 축, 및 접혀진/폐쇄된 상태/위치에서, 전단 평면에 또한 대략 평행한 축을 한정하며,
- 게다가, 안경 다리는 수평으로 구부림 가능하며, 상기 수평 구부림은 탄성적이 아니어서 영속적 변형을 야기하며,
- 게다가, 안경 다리는 수직으로 구부림 가능하며, 상기 수직 구부림은 탄성적이 아니어서 영속적 변형을 야기하며,
- 접합부는 접힘의 곡률 중심을 향하는 접합부의 측부 상의 내부면 및 내부면에 맞은편의 외부면을 갖고 수직 슬롯들은 접합부의 외부면에 배열되며, 상기 슬롯들은 펼침/개방 상태에서 현저히 폐쇄되며,
- 접합부의 내부면은 안경 프레임의 착용자의 머리의 측면 부분을 향하며,
- 접합부는 접힘의 곡률 중심을 향하는 접합부의 측부 상의 내부면 및 내부면에 맞은편의 외부면을 갖고 수직 슬롯들은 접합부의 내부면에 배열되며, 상기 슬롯들은 펼침/개방 상태에서 넓으며,
- 접합부는 접힘의 곡률 중심을 향하는 접합부의 측부 상의 내부면을 갖고 돌출 요소들은 상기 내부면 상에 배열되며,
- 접합부는 접힘의 곡률 중심을 향하는 접합부의 측부 상의 내부면 및 내부면에 맞은편의 외부면을 갖고 돌출 요소들은 상기 외부면 상에 배열되며,
- 접합부는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가지며,
- 안경 다리는 안경 프레임의 착용자의 머리의 측면 부분을 향하는 내부면, 및 내부면에 맞은편의 외부면, 그리고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4개의 면을 가지며,
- 안경 프레임에서, 적어도 접합부는 플라스틱들로 만들어지며,
- 접합부는 적어도 2개의 재료로 만들어지며, 재료들 중 하나는 재료들 중 다른 하나보다 더 경질이며,
- 경질의 재료는 가요성이 아니며,
- 가요성 재료는 전기 배선에 일체화되며,
- 가요성 재료 및 경질의 재료는 전기 배선에 일체화되며,
- 전기 배선은 인쇄 회로 기판이고 안경 프레임은 인쇄 회로 기판으로 만들어지며,
- 가요성 재료는 가열될 때, 증대된 가요성을 가지며,
- 가요성 재료는 가열될 때, 증대된 가요성을 가지며,
- 가요성 재료는 60 ℃ 초과의 온도로 가열될 때, 증대된 가요성을 가지며,
- 가요성 재료는 60 ℃ 미만의 온도에 있을 때, 더 작은 가요성을 가지며,
- 가요성 재료는 60 ℃ 미만의 온도에 있을 때, 거의 가요성이 아니며,
- 가요성 재료는 실온에 있을 때, 거의 가요성이 아니며,
- 경질의 재료는 60 ℃ 초과이고 150 ℃ 미만의 온도로 가열될 때, 여전히 가요성이 아니며,
- 접합부는 적어도 2개의 재료로 만들어지며, 재료들 중 하나는 재료들 중 다른 하나보다 덜 가요성이며,
- 접합부는 고유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접합부는 다수의 요소의 상이한 형상들로 인해 상이한 가요성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요소를 포함하며,
- 접합부는 고유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접합부는 다수의 부분의 상이한 형상들로 인해 상이한 경질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부분을 포함하며,
- 접합부는 경질의 재료 및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 경질의 재료 및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진 접합부에서, 경질의 재료는 가요성 재료의 경질보다 엄밀히 우월한 경질을 가지며,
- 경질의 재료 및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진 접합부에서, 가요성 재료는 접합부의 하나의 단부에서 다른 단부까지 연속적이고 경질의 재료는 하나가 (예를 들어, 안경 다리측 상의) 하나의 단부에 일체화되고 다른 하나가 (예를 들어, 전단부측 상의) 다른 단부에 일체화되고, 양단부 사이에서 각이 지고 가능하게는, 슬라이딩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단편의 형태로 분리된다,
- 경질의 재료 및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진 접합부에서, 가요성 재료는 접합부의 하나의 단부에서 다른 단부까지 연속적이고 경질의 재료는 하나가 (예를 들어, 안경 다리측 상의) 하나의 단부에 일체화되고 다른 하나가 (예를 들어, 전단부측 상의) 다른 단부에 일체화되고 양단부 사이에서 각이 질 수 있는 2개의 단편 사이에서 힌지에 의해 분리되며, 바람직하게는, 접합부의 하나의 단부에서 다른 단부까지 연속적인 가요성 재료는 배선을 포함하는 튜브이다,
- 경질의 재료는 가요성 재료의 모체에 삽입되거나 가요성 재료는 경질의 재료의 모체에 삽입되어 가요성 재료는 접합부의 가요성을 보장하는 반면에, 경질의 재료는 접합부의 곡률 반경값이 미리 정해진 최소 곡률값보다 더 큰 것을 보장하며,
- 가요성 재료 및 경질의 재료의 사용은 형상에 따라 상이한 변형성들 또는 강성도들 또는 가요성들을 부여하는 상이한 형상들을 갖는 고유한 재료의 사용과 동등하며, 가요성 재료 및 경질의 재료의 사용은 또한 상이한 형상들을 갖는 다수의 요소의 사용과 동등하며,
- 접합부는 고유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 접합부는 다수의 요소의 상이한 형상들로 인해 상이한 가요성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요소를 포함하며,
- 다수의 요소는 복수의 돌출 요소를 포함하며,
- 다수의 요소는 접합부의 단면을 감소시키도록 의도되는 복수의 공극을 포함하며,
- 접합부는 전단부와 안경 다리 사이에 복수의 돌출 요소를 포함하며,
- 돌출 요소들은 접합부에서의 전단부와 안경 다리 사이에서 서로로부터 규칙적인 간격들로 배열되며,
- 접합부는 접힘의 곡률 중심을 향하는 접합부의 측부 상의 내부면을 갖고 돌출 요소들은 상기 내부면 상에 배열되며,
- 정반대로, 돌출 요소들은 접합부의 외부면 상에 배열되며,
- 접합부는 전단부와 안경 다리 사이의 접합부의 단면을 감소시키도록 의도되는 복수의 공극을 포함하며,
- 공극들은 접합부에서의 전단부와 안경 다리 사이에서 서로로부터 규칙적인 간격들로 배열되며,
- 접합부는 접힘의 곡률 중심을 향하는 접합부의 측부 상의 내부면을 갖고 공극들은 상기 내부면 상에 배열되며,
- 정반대로, 공극들은 접합부의 외부면 상에 배열되며,
- 접합부는 접힘의 곡률 중심을 향하는 접합부의 측부 상의 내부면 및 내부면에 맞은편의 외부면을 가지며, 돌출 요소들 및/또는 공극들은 접합부의 내부면 및/또는 외부면 상에 배열되며,
- 접합부는 안경 다리가 한정된 접음/폐쇄 상태/위치를 넘어서는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되는 적어도 하나의 멈춤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 접합부는 접힘의 제한된 곡률 반경의 넘어섬을 방지하도록 의도되는 적어도 하나의 멈춤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 접합부는 제1 부분에 대하여 제2 부분을 펼칠 때, 접합부의 곡률 반경값들이 미리 정해진 최대 곡률 반경값보다 더 큰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되는 제1 멈춤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 접합부는 전단부에 대하여 안경 다리를 펼칠 때, 접합부의 곡률 반경값들이 미리 정해진 최대 곡률 반경값보다 더 큰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되는 제1 멈춤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 미리 정해진 최소 곡률 반경값은 미리 정해진 최대 곡률 반경값보다 더 작으며,
- 돌출 요소들은 제1 멈춤 디바이스를 형성하며, 돌출 요소들은 접합부의 외부면 상에 배열되며, 각각의 돌출 요소는 스템(stem) 및 스템의 단부를 형성하는 확장된 헤드를 가지며, 헤드들은 제2 부분이 접혀질 때, 갭들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갭들은 제2 부분이 펼쳐질 때, 헤드들이 함께 접경하므로, 펼쳐짐에 대한 멈춤부를 생성하고 미리 정해진 최대 곡률 반경값의 넘어섬을 방지할 때까지 감소하며,
- 돌출 요소들은 제1 멈춤 디바이스를 형성하며, 돌출 요소들은 접합부의 외부면 상에 배열되며, 각각의 돌출 요소는 스템 및 스템의 단부를 형성하는 확장된 헤드를 가지며, 헤드들은 안경 다리가 접혀질 때, 갭들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갭들은 안경 다리가 펼쳐질 때, 헤드들이 함께 접경하므로, 펼쳐짐에 대한 멈춤부를 생성하고 미리 정해진 최대 곡률 반경값의 넘어섬을 방지할 때까지 감소하며,
- 접합부는 접합부의 곡률 반경값이 미리 정해진 최소 곡률 반경값보다 더 큰 한정된 폐쇄된 위치를 제2 부분이 넘어서는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되는 제2 멈춤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 접합부는 접합부의 곡률 반경값이 미리 정해진 최소 곡률 반경값보다 더 큰 한정된 폐쇄된 위치를 안경 다리가 넘어서는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되는 제2 멈춤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 돌출 요소들은 제2 멈춤 디바이스를 형성하며, 돌출 요소들은 접합부의 내부면 상에 배열되며, 각각의 돌출 요소는 스템 및 스템의 단부를 형성하는 확장된 헤드를 가지며, 헤드들은 제2 부분이 펼쳐질 때, 갭들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갭들은 제2 부분이 접혀질 때, 헤드들이 함께 접경하므로, 접힘에 대한 멈춤부를 생성하고 제2 부분이 한정된 폐쇄된 위치를 넘어서는 것을 방지할 때까지 감소하며,
- 돌출 요소들은 제2 멈춤 디바이스를 형성하며, 돌출 요소들은 접합부의 내부면 상에 배열되며, 각각의 돌출 요소는 스템 및 스템의 단부를 형성하는 확장된 헤드를 가지며, 헤드들은 안경 다리가 펼쳐질 때, 갭들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갭들은 제2 부분이 접혀질 때, 헤드들이 함께 영속하므로, 접힘에 대한 멈춤부를 생성하고 안경 다리가 한정된 폐쇄된 위치를 넘어서는 것을 방지할 때까지 감소하며,
- 접합부는 제1 및 제2 멈춤 디바이스들을 형성하는 가교 부분, 교대 부분 및 슬라이딩 부분을 포함하며, 가교 부분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가교부를 생성하도록 제1 부분 및 제2 부분에 일체화되며, 상기 가교 부분은 가요성이며, 교대 부분은 제1 부분에 일체화되고 가교 부분보다 덜 가요성이며, 슬라이딩 부분은 제2 부분에 일체화되고 가교 부분보다 덜 가요성이며, 슬라이딩 부분은 가교 부분과 교대 부분 사이에 위치되며, 가교 부분은 접힘의 곡률 중심을 향하여 위치되어, 제2 부분이 접혀질 때, 슬라이딩 부분이 교대 부분 상에서 지탱하고 슬라이딩하고 접힘에 반대하는 강도를 생성하며,
- 접합부는 제1 및 제2 멈춤 디바이스들을 형성하는 가교 부분, 교대 부분 및 슬라이딩 부분을 포함하며, 가교 부분은 전단부와 안경 다리 사이에 가교부를 생성하도록 전단부 및 안경 다리에 일체화되며, 상기 가교 부분은 가요성이며, 교대 부분은 전단부에 일체화되고 가교 부분보다 덜 가요성이며, 슬라이딩 부분은 안경 다리에 일체화되고 가교 부분보다 덜 가요성이며, 슬라이딩 부분은 가교 부분과 교대 부분 사이에 위치되며, 가교 부분은 접힘의 곡률 중심을 향하여 위치되어, 안경 다리가 접혀질 때, 슬라이딩 부분이 교대 부분 상에서 지탱하고 슬라이딩하고 접힘에 반대하는 강도를 생성하며,
- 가교 부분, 교대 부분 및 슬라이딩 부분을 갖는 제1 및 제2 멈춤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접합부의 경우에, 접합부는 안경 프레임의 제1 부분에 일체화되는 잠금 부분을 더 포함하며, 슬라이딩 부분은 교대 부분과 잠금 부분 사이에 위치되며, 슬라이딩 부분의 단부는 펼쳐진 상태에서 잠금 부분의 기반의 리세스로 잠겨질 수 있는 확장된 헤드를 포함하며,
- 가교 부분, 교대 부분 및 슬라이딩 부분을 갖는 제1 및 제2 멈춤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접합부의 경우에, 접합부는 안경 프레임의 전단부에 일체화되는 잠금 부분을 더 포함하며, 슬라이딩 부분은 교대 부분과 잠금 부분 사이에 위치되며, 슬라이딩 부분의 단부는 펼쳐진 상태에서 잠금 부분의 기반의 리세스로 잠겨질 수 있는 확장된 헤드를 포함하며,
- 가교 부분, 교대 부분, 슬라이딩 부분 및 잠금 부분을 갖는 제1 및 제2 멈춤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접합부의 경우에, 슬라이딩 부분의 단부는 확장된 헤드를 포함하며, 교대 부분은 확장된 헤드가 멈출 수 있는 노치들의 세트를 포함하고 접힘 및 펼쳐짐의 중간 위치의 표시를 생성하며,
- 가교 부분, 교대 부분, 슬라이딩 부분 그리고 가능하게는 잠금 부분을 갖는 제1 및 제2 멈춤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접합부의 경우에, 슬라이딩 부분의 단부는 가능하게는 확장된 헤드를 포함하며, 교대 부분은 교대 부분의 단부에서 접합부의 내부 쪽으로 지향되고 확장된 헤드 또는 확장된 헤드가 생략되는 경우에, 슬라이딩 부분의 단부가 제2 부분, 예를 들어 안경 다리가 폐쇄/접음 위치/상태에 있을 때, 접경하는 숄더를 포함하며,
- 가교 부분, 교대 부분, 슬라이딩 부분 및 잠금 부분을 갖는 제1 및 제2 멈춤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접합부의 경우에, 슬라이딩 부분의 단부는 확장된 헤드를 포함하며, 교대 부분은 교대 부분의 단부에서 노치, 및 접합부의 내부 쪽으로 지향되고 확장된 헤드가 제2 부분, 예를 들어 안경 다리가 폐쇄/접음 위치/상태에 있을 때, 접경하는 숄더를 포함하며, 확장된 헤드는 제2 부분, 예를 들어 안경 다리가 폐쇄/접음 위치/상태에 있을 때, 노치로 잠겨지며,
- 접합부는 멈춤 디바이스들의 세트를 포함하며, 접합부는 접힘의 곡률 중심을 향하는 접합부의 측부 상의 내부면을 갖고 돌출 요소들은 상기 내부면 상에 배열되며, 상기 돌출 요소들은 곡률 중심 쪽으로 확장된 단부 헤드들을 가지며, 헤드들은 제2 부분, 예를 들어 안경 다리가 펼침일/개방될 때, (슬롯들과 동등한) 갭들에 의해 분리되며, (슬롯들과 동등한) 상기 갭들은 제2 부분, 예를 들어 안경 다리가 접혀질/폐쇄될 때, 헤드들이 함께 접경하므로, 접힘/폐쇄에 대한 멈춤부를 생성하고 접힘의 곡률 반경을 제한할 때까지 감소하며,
- 접합부는 멈춤 디바이스들의 세트를 포함하며, 접합부는 접힘의 곡률 중심을 향하는 접합부의 측부 상의 내부면 및 내부면에 맞은편의 외부면을 갖고 돌출 요소들은 상기 외부면 상에 배열되며, 상기 돌출 요소들은 외부 쪽으로 확장된 단부 헤드들을 가지며, 헤드들은 제2 부분, 예를 들어 안경 다리가 접음일/폐쇄될 때, (슬롯들과 동등한) 갭들에 의해 분리되며, (슬롯들과 동등한) 상기 갭들은 제2 부분, 예를 들어 안경 다리가 펼쳐질/개방될 때, 헤드들이 함께 접경하므로, 펼쳐짐/개방에 대한 멈춤부를 생성할 때까지 감소하며,
- 접합부는 접합부의 내부 및 외부면들 둘 다에서 슬롯들 및/또는 돌출 요소들 및/또는 갭들을 가지며,
- 접합부의 최소 곡률 반경은 전기 배선의 최소 허용 곡률 반경보다 엄밀히 우월하며,
- 전기 배선의 최소 허용 곡률 반경은 즉각 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복될 때, 배선의 열화를 야기하는 배선의 구부림에 상응하며,
- 안경 프레임은 전자 디바이스들 그리고, 특히 센서들 및/또는 전원 공급기를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또는 공동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안경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안경 프레임은 3차원 프린팅 과정이 안경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사용되는 안경 프레임과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이하의 수단이 또한 사용된다:
- 3차원 프린팅 과정으로 제조되는 안경 프레임의 부분은 제1 부분, 제2 부분, 접합부 및/또는 앞선 부분들 중 하나의 하위 부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며,
- 방법은 착용자의 요구들에 따라 안경 다리와 함께 전단부의 조립을 포함하며,
- 방법은 주어진 착용자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접합부에서의 하우징의 생성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배선 및 궁극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수용하도록 의도되며,
- 주어진 착용자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코의 높이에서의 각도들, 안경 다리의 길이, 눈들의 위치, 안면의 곡선을 이루는 윤곽 등과 같은 적어도 착용자의 형태학적 특성들과 관련되며,
- 주어진 착용자의 데이터는 또한 착용자의 심미적 바램들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안경 프레임들 내에 내장될 수 있는 전자 기기에 의해 주어지는 부가 기능들을 갖는 안경 프레임들의 3차원 프린팅에 관하여 특히 관심을 보인다. 본 발명의 덕분으로, 내장된 구성 요소들, 특히 배선의 수명을 증가시키고/시키거나 안경 프레임의 조립 과정을 단순화할 힌지들을 창안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3차원 프린팅은 각각의 착용자에 대한 전자 기기의 통합의 맞춤화를 단순화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예를 들어, 안경 프레임에서의 센서의 특정 위치는 센서에 의해 수집되는 데이터의 정확성을 위해 중대할 수 있고 3차원 프린팅은 각각의 착용자에 대한 센서 통합의 맞춤화를 단순화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가능한 다른 이점들은 안경 프레임 및 배선의 더 양호한 미학, 증가된 신뢰성(가요선/케이블/와이어의 최소 곡률 반경, 작은 인장 응력), 제조의 단순화(감소된 양의 부품, 감소된 체적, 조립 과정의 단순화 등), 3차원 프린팅의 덕분으로 무장비 비용 그리고 보다 일반적으로, 제조의 맞춤화의 용이함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방법의 양호한 이해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표시들은 유사한 요소들을 지정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추가 이점들이 도면들에 관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고 펼쳐진/개방된 상태에서의 전단부 및 2개의 접합부와 상호 연결되는 2개의 안경 다리를 포함하는 안경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펼쳐진/개방된 상태에서의 상기로부터의 그리고 도 1의 안경 프레임의 투명성을 갖는 부분도이다.
도 3은 펼쳐진/개방된 상태에서의 도 1의 안경 프레임의 접합부의 상기로부터의 확대 단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버튼 전지들/배터리들을 포함하는 안경 다리들의 단부들의 투명성을 갖는 사시도들이다.
도 6, 도 7, 도 8은 각각이 상이한 가요성을 갖는 재료들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접합부의 다른 실시예들의 도면들이다.
도 9는 펼쳐진/개방된 상태에서의(좌측면도) 그리고 접혀진/폐쇄된 상태에서의(우측면도) 도 1의 안경 프레임의 접합부로부터 끌어내어지는 접합부의 상기로부터의 확대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펼쳐진/개방된 상태에서의(좌측면도) 그리고 접혀진/폐쇄된 상태에서의(우측면도) 상이한 가요성을 갖는 재료들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접합부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들이다.
도 11은 펼쳐진/개방된 상태에서의(평면도) 그리고 접혀진/폐쇄된 상태에서의(저면도) 블레이드들의 형태의 부분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접합부의 다른 실시예들의 도면들이다.
도 12는 배선을 수용하는 프레임의 전단부와 코 받침대들 사이의 접합부의 다른 적용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를 포함하는 안경 다리의 다른 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를 포함하는 안경 다리의 추가 예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다른 예이다.
본 발명은 상세하게는 3차원 프린팅 과정 가능성들을 고려하여 설계되는 전자 기기 프레임들을 다룬다. 주목적은 적층 제조 기술의 도움으로 프레임에서의 전자 기기의 통합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절삭 제조 기술을 적층과의 조합으로 또는 그 자체 상에서 이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지만, 이는 제조 과정에 일부 복잡성을 더한다.
이하의 예들에서, 전체 안경 프레임은 3차원 과정으로 프린팅된다. 전체 안경 프레임은 전자 부품들을 수용하고 전체 안경 프레임의 구조를 통한 연결의 전개를 단순화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 프레임의 힌지 부분의 설계에 대해 관심을 보인다. 바람직하게는, 힌지는 적층 제조 기술, 즉 3차원 프린팅에 의해 제조된다. 추가 상세들로, 프레임은 힌지들의 표준 특정성을 포함하도록 설계되는 특정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형상은 사용되지 않을 때, 프레임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저장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머리에서의 조여짐의 편안한 레벨(제 위치에 유지하는 것 대 고통을 주는 강도)을 보장하도록 착용자의 머리에서의 프레임의 인체 공학적 설계를 제공한다.
특정 형상은 3차원 프린팅 기술들에 의해 가져오게 되는 가능성들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특정 형상은 변형 및 응력 변형의 레벨이 안경 프레임에 사용되는 재료들의 탄성적 영역에 머무르는 것을 보장하도록 또한 최적화된다. 이러한 특정 형상은 또한 하나 또는 수개의 전기 전도성 요소(케이블, 와이어, 가요성 인쇄 회로 등)를 내장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특정 형상의 설계는 이하의 진술: 미리 정해진 최소 곡률 반경보다 엄밀히 우월한 구부림 반경, 환경을 향한 전기 전도체의 보호(먼지, 물, 열, 자외선 등에 대한 보호), 심미적 설계, 착용자의 보호(착용자에서의 안경 프레임의 최소 접촉, 더 적은 열), 전도체에 대한 제약들의 감소(없을 만큼 작은 인장 응력, 최적화된 마찰 계수 등) 중 하나 또는 수개를 보장할 것이다. 전자 프레임은: 능동 렌즈(전기 변색 렌즈 등), 센서(광, 자외선, 가속도계, 관성 측정 장치, 카메라, 근접, 깜박임, 눈 추적기 등), 능동 구성 요소(LED, 블루투스, 전화기, 햅틱 디바이스,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등), 전원 공급기(배터리, 전지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덕분으로, 전자 기능들 및 구성 요소들은 안경 프레임에서의 임의의 위치: 전단부, 안경, 안경 다리, 코 등에서 설치될 수 있다.
특정 형상의 실현을 통해, 3차원 프린팅 과정은: 심미적 설계 상의 제품의 개인화(색상, 추가 장식, 전반적 형상 등), 개인화 인체 공학적 설계(전체 크기, 코 받침대 배향, 안경 다리 길이 등), 센서 이식의 개인화(센서 배향, 신체 또는 피부에 대한 센서 위치 등)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수개의 이점을 또한 가져와, 전자 기기의 통합을 용이하게 하며, 다수의 부분의 경우에 조립 과정을 용이하게 하며, 설계 제약을 감소시킨다.
안경 프레임 그리고, 특히 접힘 및 펼쳐짐을 가능하게 하는 접합부를 제조하기 위해, 융합 증착 모델링(FDM), 스테레오리소그래피(SLA), 스테레오 제트 프린팅, 디지털 광 프로세싱(DLP), 선택적 레이저 용융(SLM), 선택적 레이저 소결(SLS), 직접적 금속 레이저 소결(DMLS), 적층 대상 제조(LOM)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하나 또는 2개 또는 3개 이상의 재료로의 임의의 유형의 3차원 프린팅 기술 또는 파생물(4차원, 5차원 등의 프린팅)이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
도 1의 예에서, 안경 프레임(1)은 제2 부분에 상응하는 안경 다리들(4)이 안경 프레임(1)의 제1 부분에 상응하는 전단부(2)에 대략 수직인 펼쳐진 상태 또는 개방된 상태로 있다. 전단부(2)는 전단부(2)가 한정하는 2개의 테두리에서 2개의 렌즈(3)를 수용한다. 전단부는 리세스들/공동들로 인한 그리고 커버 부분으로 폐쇄되는/커버되는 중공의 요소일 수 있다. 안경 다리(4)가 전단부(2)에 부착되는 영역은 접힘 가능하고 펼쳐짐 가능하고 안경 다리(4)를 전단부(2)에 접합시켜 안경 다리가 전단부와 관련되는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전단부와 관련되는 안경 다리를 접고 펼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접합부(5)의 위치이다.
도 2에서, 접합부(5)가 더 양호하게 보여지며, 안경 프레임은 투명하게 나타내어진다. 이는 배선(8)이 접합부(5)를 통한 전단부(2)와 안경 다리(4) 사이의 와이어들로서 보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배선(8)은 배선이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접합부 내에 내장되거나 적어도 배열된다. 접합부(5)는 안경 프레임의 착용자를 향하고 있는 내부면 그리고 내부면에 맞은편에 외부면을 갖는다. 접합부의 외부면은 중심이 지점(C)로 도식화되는 곡률 반경으로 접합부의 나머지가 구부려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슬롯들(6)로 그리고 내부적으로 공극들(7)로 구조화된다. 안경 다리(4)가 접혀질 때, 접합부가 구부려지고 슬롯들(6)이 개방되고 넓어진다는 것은 분명하다. 다른 경우들에서, 공극들(7)은 안경 프레임(1)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들)의 가요성에 의존하여 감소되거나 억제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은 안경 다리의 펼쳐짐/개방에 대한 멈춤부인 제1 타입의 멈춤부를 생성하므로 최대 곡률 반경값이 미리 정해진 최대 곡률 반경값을 넘어서는 것을 회피한다.
도 3에서, 안경 프레임의 펼쳐진/개방된 상태/위치에서의 접합부(5)의 공극들(7) 및 슬롯들(6)이 더 양호하게 보여진다. (토우(toe)들이라 일컬어질 수 있는) 확장된 헤드들(25)을 갖는 돌출 요소들(24)이 슬롯들 사이에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공극들(7)은 전기 또는 전자 부품들을 위치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탄성적인, 특히 발포체의 재료로 충전될 수 있다.
다른 공동들이, 특히 센서들 또는 다른 전자 부품들을 내장하기 위해 3차원 프린팅된 힌지식의 접합부를 통한 또는 다른 장소들에서의 통행을 생성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응력 변형 게이지 센서들은 정지 마찰력 또는 굴곡 응력 변형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는 널리 알려진 구성 요소들이다. 그러한 응력 변형 게이지는 안경 알/안경이 착용되는지 아니면 착용되지 않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안경 다리들의 상태/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가요성 케이블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슬롯들이 접합부의 외부면 상에 있고 슬롯들이 이러한 제1 타입의 멈춤부에서의 안경 프레임의 펼쳐진/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을 접합부의 내부측 상의 슬롯들로 반전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그러한 경우에, 슬롯들은 안경 다리가 접혀질 때, 슬롯들이 완전히 폐쇄될 때까지 슬롯들이 감소하므로, 접힘의 미리 정해진 최소 곡률 반경값의 넘어섬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때문에, 펼쳐진/개방된 상태에서 넓어야 한다. 그러한 정반대 구성은 안경 다리의 접힘/폐쇄에 대한 멈춤부인 제2 타입의 멈춤부를 생성하므로 최소 곡률 반경값이 미리 정해진 최소 곡률 반경값을 넘어 내려가는 것을 회피한다.
접합부(5)의 재료(들)의 유사한 형상이 슬롯들(6)이 돌출 요소들(24)의 확장된 헤드들(25) 사이의 갭들인 도 9에서 나타내어진다. 도 9의 좌측 상에서, 상태는 펼쳐져/개방되어 있고 슬롯들(6)은 폭이 널로 감소되고 우측 상에서 넓은 폭들의 슬롯들을 갖는 접혀진/폐쇄된 상태이다. 도 2, 도 3의 이전 예에 관해 말하자면, 접합부(5)의 외부면 상의 돌출 요소들(24)의 배열은 접합부의 내부면 상에서 정반대로 배열될 수 있으므로, 구부림 제한을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돌출 요소들(24)의 확장된 헤드들(25)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생략될 수 있다. 보다 전반적으로, 접합부의 재료(들)의 다른 형상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설계는 힌지 영역을 형성하는 접합부 상의 안경 다리의 단면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안경 다리의 외부 또는 내부측 상에 슬롯들 및 공극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단면의 감소는 또한 비틀림에 대한 저항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경 다리는 안경 다리의 말단 상에 인가되는 압력 또는 토크로 이러한 영역에 집중되는 탄성적 변형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압력 또는 토크가 소거되자마자, 안경 다리는 안경 다리의 안정된 위치로 복귀할 것이다. 개방되거나 폐쇄된 이러한 안정된 위치는 초기 프린팅 위치에 의존할 것이거나, 일부 재료,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 PA12 등의 경우, 도중에, 이러한 안정된 위치는 열로 안경 다리를 성형할 때, 변경될 수 있다.
접합부가 만들어지는 재료는 접합부의 기계적 특성들의 현저한 저하 없이 가요성으로 인한 접합부의 탄성적 구부림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구부러지는 접합부의 부분의 형상, 특히 접합부의 감소된 두께(들)에 의해 그리고/또는 적절한 기계적 특성들, 즉 적절한 가요성을 갖는 재료 또는 재료들의 사용에 의해 얻어진다. 가요성은 강성에 반대하고 접합부에 대해 고려되는 가요성은 탄성적 가요성이다.
슬롯들이 접합부에 배열되는 경우에, 슬롯들이 환경 그리고 특히, 슬롯들에서 잡혀질 수 있는 착용자의 머리털들에 노출되지 않도록 탄성적 재료를 갖는 접합부를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서, 배터리들은 착용자의 귀 뒤에 가리워지는 것이 당연한 안경 다리의 단부에서 투명성에 의해 보여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배선(8)은 안경 프레임의 전단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수개의 재료를 사용할 가능성은 그러한 수개의 재료의 조도 및 탄성을 설계자가 작업 대상으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 경질의 재료 또는 적어도 덜 가요성의 재료는 강성이 필요한 축(들)에서의 시스템에 강도 및 강성을 제공할 것이다. 다른 편에서, 더 가요성의 재료는 시스템이 용이하게 변형되고 더 가요성의 재료가 필요한 예상된 만곡부를 따르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부수적으로, 가요성 재료는 또한 시스템의 불침투성을 증가시킬 가능성을 가져올 것이다.
도 6, 도 7 및 도 10은 구부러질 수 있는 접합부들의 다른 예들을 나타내고 상기 접합부들은 상이한 가요성 레벨들을 갖는 2가지의 타입의 재료들로 만들어진다. 재료들 중 하나는 재료들 중 다른 하나보다 본질적으로 더 가요성이다. 가요성 재료는 가요성 재료가 외부 강도 또는 힘을 받지 않을 때, 가요성 재료의 초기 형상을 가요성 재료가 회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적/탄력 있는 특성들을 갖는다.
접합부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합부는 외부 힘이 억제되었을 때, 접합부가 가졌던 지난 형상을 유지하고, 다른 실시예들에서, 접합부는 접합부를 변형시켰던 외부 힘이 억제될 때, 미리 결정된 형상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다른 형상을 회복한다. 따라서, 접합부는 전체로서, 탄성적 특성들을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접합부의 변형은 외부 힘들의 인가 또는 무인가와 관련하여 영속적이거나 반영속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재료가 경질의 재료인 것으로 말할 때, 이는 가요성이 아닌 것으로 이해될 것이고 이는 가요성 재료의 정반대로서 이해된다.
도 6 및 도 7의 2개의 예에서, 가요성 부분들(10, 12)은 시스템의 가요성을 보장할 것인 반면에, 강성의 부분들(11, 13)은 곡률을 제한하고 배선을 보호하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비교를 통한 방식으로, 시스템은 강성의 부분들(11, 13)로서 뼈들을 갖는 척추, 가요성 부분들(10, 12)로서 추간판들을 갖는 추간 관절들, 그리고 배선인 신경계로 작동할 것이다.
도 10의 예에서, 경질의 재료(22) 및 가요성 재료(23) 부분들은 개재되고, 접혀진/폐쇄된 상태를 갖는 도면의 우측 측부 상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요성 재료 부분들은 압축되고 안경 다리들은 접혀진/폐쇄된 상태에서 유지될 힘을 받는다. 도면의 좌측 측부 상에서, 안경 다리는 자유롭게 남겨졌고 안경 다리는 어떤 힘도 받지 않는 펼쳐진/개방된 상태의 안경 다리의 초기 형상을 회복하였다. 정반대의 실시예에서, 펼쳐진/개방된 상태는 안경 다리가 개방되게 유지될 힘을 받을 상태이며, 안경 프레임은 자유로울, 즉 힘을 받지 않을 때, 자동적으로 접힌다/폐쇄된다.
3차원 프린팅 과정들은 또한 부품들 내부의 부품들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 때 모두 한꺼번에 프린팅되고 이미 조립되는 구조체에 직접 삽입되는 일련의 관절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의 2개의 예에서, 부품들은 제한된 각도까지 제1 예에 대해 14 및 15, 또는 제2 예에 대해 15 및 16인, 서로 주변을 회전할 수 있다. 일련으로서의 이러한 패턴의 반복으로, 미리 정해진 최소 곡률 반경을 갖는 힌지식의 접합부가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중선 공동 내부에 설치되는 배선을 손상시키는 것을 회피할 것이다.
안경 다리의 접혀진/폐쇄된 상태에서의 과도한 구부림에 대한 배선의 보호를 위한 미리 정해진 최소 곡률 반경의 값은, 특히 안경 다리가 접혀질 때, 또는 가능하게는, 안경 다리가 펼쳐질 때, 파손에 대한 저항력의 면에서 상기 배선의 기계적 특성들에 따라 선택된다.
힌지식의 접합부의 복잡성에서 더 나아가기 위해, 안경 다리들에 대한 쌍안정이거나 더 많은 위치: 개방 및 폐쇄 그리고 가능하게는, 일부 중간 위치(들)를 가져올 특수 형상들을 3차원 프린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가지의 가능성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들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일 것이다. 그러한 블레이드들은 캠 또는 다른 기계 원리로 대체될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11에서, 접합부(5)는 가교 부분(19), 교대 부분(17), 슬라이딩 부분(18) 및 잠금 부분(21)을 갖는 멈춤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부분(18)의 단부는 안경 프레임의 펼쳐진 상태에서 잠금 부분(21)의 기반의 리세스(21)로 잠겨질 수 있는 확장된 헤드(20)를 포함한다. 가교 부분(19)은 교대(17), 슬라이딩(18) 및 잠금(21) 부분들보다 더 가요성이고 이는 다른 부분들(17, 18, 21)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갖는 가교 부분(19)으로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들(17, 18, 21)에 대해서와 가교 부분(19)에 대해 상이한 재료들을 사용해서도 얻어질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 제1 타입의 멈춤부가 안경 다리를 펼칠 때/개방할 때, 최대 곡률 반경값이 미리 정해진 최대 곡률 반경값을 넘어서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제2 타입의 멈춤부가 안경 다리를 접을 때/폐쇄할 때, 최소 곡률 반경값이 미리 정해진 최소 곡률 반경값을 넘어 내려가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타입들의 멈춤부들이 생성된다.
안경 프레임에서의 접합부의 다른 적용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투명한 도면인 도 12에서, 접합부(29)는 코 받침대(27)와 안경 프레임의 전단부(2) 사이에 배열된다. 코 받침대는 전단부(2) 내에 위치되는 전기 배선(8)을 수용하고 접합부(29)의 변형 가능성은 배선(8)의 파괴를 위태롭게 하지 않고 착용자의 코 및 안면에 맞도록 코 받침대들이 교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자 구성 요소들, 또는 다른 전기 또는 전자 물품들이 코 받침대들(27) 내에 위치될 수 있고, 본 예에서, 이들은 배선(8)에 연결되는 센서들(28)이다. 그러한 센서들은 여전히 본 예에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단순한 전기 전도체 패드들/전극들이다.
부분적으로 투명한 도면인 도 13에서, 안경 다리(4)는 안경 다리(4)의 단부 쪽으로 접합부(33)를 포함한다. 접합부(33)는 접합부(33)가 지탱하는 착용자의 귀의 근저에 관하여 위치된다. 귀의 근저의 형태 및 위치에 따라 변형될 수 있는 접합부의 덕분으로, 착용자에 대한 안경의 완벽한 유지 및 맞춤이 있을 수 있다. 전기 배선(8)은 안경 다리(4) 내에 배열되고 전기 배선(8)은 안경 다리의 단부에서 배열되는 전기 또는 전자 물품, 이러한 경우에, 접합부(33)의 덕분으로 완벽하게 위치될 수 있는 센서(32)에 연결된다. 안경 다리는 덮개 재료로 커버되는 금속 코어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조합이거나, 심지어 고유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부림 가능한 접합부(33)는 갭들(30)에 의해 분리되고 곡률 중심을 향하는 안경 다리의 측부 상에 배열되는 돌출 요소들(31)로 형성된다.
특히 연장된 길이를 갖는 접합부들의 경우, 변형의 형상이 단순한 원형 또는 오목한 형상, 보다 일반적으로 고유한 곡률 중심 쪽으로의 곡률(변형은 평면으로 있음)보다 더 복잡하게 렌더링될 수 있고, 그러한 더 복잡한 형상들에서, 변형이 3차원으로 행해질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될 수 있다. 그러한 3차원 변형은 본 예의 경우에, 안경 다리의 하부면 상만이 아닌 안경 다리의 상이한 면들 상에 배열되는 돌출 요소들(31) 및 갭들(30)이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쪽 돌출 요소들(31) 및 갭들(30)은 안경 다리의 하부면 상에 배열될 수 있는 반면에, (센서(32)에 가장 가까운) 뒤쪽 돌출 요소들(31) 및 갭들(30)은 안경 다리의 더 많은 면 상에 또는 모든 면 상에서도 배열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투명한 도면인 도 14에서, 안경 다리(4)는 안경 다리(4)의 단부 쪽으로 접합부(34)를 포함한다. 접합부(34)는 접합부(34)가 지탱하는 착용자의 귀의 근저에 관하여 위치된다. 본 경우에, 배터리(37)는 안경 다리(4)의 단부에서 위치되고 전기 배선(8)에 연결된다. 접합부(34)는 강성이고 가요성의 재료들(35, 36)의 체커보드같이 병치이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재료의 가요성은 재료의 온도와 함께 증가되고, 실온에서, 가요성은 많이 감소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매우 작고, 그러한 경우에, 강성의 재료는 탄성적 재료로 대체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접합부는 전기 감응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5에서, 프레임(38)은 강성이고 가요성의 재료들의 병치들인 다수의 접합부: 프레임의 코 근저 구역(39)에서, 전단 안경 다리 연결 구역(40)에서, 그리고 안경 다리의 귀 구역의 근저에서의 각각의 안경 다리 상에서 2개(41, 42)를 갖는다. 이들은 착용자에 대해 프레임을 완벽하게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조정은 영속적이거나 병치된 재료들에 의존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가 실온에서 가요성이거나 탄성적이면, 조정은 마음대로 변경될 수 있고, 재료가 가열될 때만 가요성이면, 조정은 실온 조건들 하에서 영속적일 것이다.
프레임의 각각의 세트, 즉 제1 부분, 접합부 및 제2 부분이 단독으로 존재하거나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이는 이들이 서로에 일체화되거나 부분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으며, 즉 제1 부분을 갖는 접합부 또는 제2 부분을 갖는 접합부 또는 임의의 다른 가능한 조합이 이들이 일체화되거나, 하나가 다른 것(들)과 일체화되지 않는 것의 의미로 독립적이기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안경 프레임(1)의 부분들/요소들을 제조하는 데 3차원 프린팅을 사용하는 것에 더하여, 전자 기기 및 배선이 3차원 프린팅 기술들로 제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제트 기술(AJT)이 안경 프레임 그리고 또한 동일한 과정 상에서 전기 전도체들을 프린팅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그러한 제품 설계는 이하의 요소를 포함하지만, 이는 임의의 진보된 안경류 기술 및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 하나의 부분으로 프린팅되는 전단부, 접합부 및 안경 다리들을 갖는 하나의 메인 안경 프레임,
- 안경 프레임의 전단부를 커버하는 하나의 전단 커버,
- 프레임이 개방되는 경우, 프레임을 폐쇄하는 데 사용되는 적어도 2개의 커버 구성 요소,
- 전자 기능 옵션들을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카드,
- 가능하게는, 프레임의 각각의 측부 상의 2개의 센서,
- 하나 또는 2개의 버튼 배터리,
- 전자 카드에 배터리들을 연결시키기 위해 좌측으로부터 우측 안경 다리로 프레임을 따라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로서, 센서들은 이러한 가요성 케이블 상에 직접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케이블.
안경 프레임은 이러한 예에서, 하나의 부분으로 프린팅되지만 조립되는 수개의 부분으로서 안경 프레임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안경 다리들의 말단들, 코 받침대들 등이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별도로 3차원 프린팅될 수 있다.
그러한 제품 설계로, 메인 프레임은 3차원 프린팅 과정에 의해 투명하게 유지되는 안경 프레임의 개구부들 내부에 삽입될 가요성 케이블을 내장하도록 설계되었다. 가요성 케이블이 삽입되었으면, 직접 또는 부가 연결 디바이스들을 통해 전자 카드 및 배터리들에 가요성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들)이 행해지면, 커버들은 배선 및 전자 기기를 감추고 착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안경 다리들을 폐쇄할 수 있다. 커버들을 삽입하기 전에, 배선 및 전자 카드를 시일링하거나 팟팅(potting)하므로 방수 억제를 보장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예에서, 배선을 위한 공동이 적어도 안경 다리들을 따라 만들어지고 배선을 위한 공동이 결국 커버되지만, 안경 다리(4)를 따라 그리고 가능하게는 접합부(5) 및 전단부(2)를 따라 터널을 3차원 프린팅으로 직접 구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터널은 터널의 말단들에서 개방된다. 배선은 터널의 말단 개구부들 중 하나를 통해 터널에 도입될 수 있다. 형상은 힌지에서 곡선의 터널일 수 있다. 이러한 터널은 하나의 안경 다리의 말단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안경 다리의 말단으로 이어질 수 있어, 힌지식의 접합부 및 안경 프레임의 안면부를 통과한다. 이는 방수 전자 프레임의 실현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3차원 프린팅을 사용하는 것의 다른 이점은 변형 가능 프레임의 중성 파이버를 따라 배선을 배열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고 예를 들어, 정지 마찰력 및 배선 상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한 요소 분석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모든 착용자가 상이하고 특히 눈에 대하여 상이한 위치에서 안경을 착용함에 따라, 3차원 프린팅 과정 및 캐드 도안 파라미터들은 양호한 데이터로, 각각의 착용자 인체에 프레임을 적용시킬 가능성을 제공한다. 일 예는 착용자 머리의 폭에 의존하여 확장된 헤드들(토우들)의 폭의 조정, 그리고 전단부(2)에 대한 안경 다리(4)의 각 위치의 펼침/개방 상태에서의 폭의 조정일 수 있다.
더욱이, 전단면 상의 각각의 센서는 착용자의 시계 축에 있도록 특수 배향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가변 파라미터들의 3차원 프린팅 과정은 또한 착용자의 요구들에 센서들의 위치를 적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센서의 이러한 조정 가능한 위치의 다른 적용은 피부와 접촉할 필요가 있는 임의의 센서에 의할 것이다.

Claims (15)

  1. - 제1 부분(2);
    - 제2 부분(4);
    - 상기 제2 부분(4)이 각각의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부분(2)에 대하여 상기 제2 부분(4)을 접고 펼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제1 부분(2)에 상기 제2 부분(4)을 접합시키는 접합부(5, 29, 33, 34);
    - 상기 제1 부분(2)과 상기 제2 부분(4) 사이의 전기 연결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접합부(5, 29, 33, 34)를 통해 배열되는 적어도 전기 배선(8)을 포함하며,
    상기 접합부(5, 29, 33, 34)는 미리 정해진 최소 곡률 반경값보다 더 큰 곡률 반경값들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안경 프레임(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5, 29, 33, 34)는 고유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안경 프레임(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5, 29, 33, 34)는 다수의 요소의 상이한 형상들로 인한 상이한 가요성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요소를 포함하는, 안경 프레임(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요소는 복수의 돌출 요소(24), 및/또는 상기 접합부(5, 29, 33, 34)의 단면을 감소시키도록 의도되는 복수의 공극(7)을 포함하는, 안경 프레임(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5, 29, 33, 34)는 접힘의 곡률 중심(C)을 향하는 상기 접합부의 측부 상의 내부면 및 상기 내부면에 맞은편의 외부면을 가지며, 상기 돌출 요소들(24) 및/또는 상기 공극들(7)은 상기 접합부(5, 29, 33, 34)의 상기 내부면 및/또는 상기 외부면 상에 배열되는, 안경 프레임(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5, 29, 33, 34)는 상기 제1 부분(2)에 대하여 상기 제2 부분(4)을 펼칠 때, 상기 접합부(5, 29, 33, 34)의 상기 곡률 반경값들이 미리 정해진 최대 곡률 반경값보다 더 큰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되는 제1 멈춤 디바이스(6, 7, 24, 25)를 포함하는, 안경 프레임(1).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요소들(24)은 상기 제1 멈춤 디바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 요소들(24)은 상기 접합부(5, 29, 33, 34)의 상기 외부면 상에 배열되며, 각각의 돌출 요소(24)는 스템(26) 및 상기 스템(26)의 단부를 형성하는 확장된 헤드(25)를 가지며, 상기 헤드들(25)은 상기 제2 부분이 접혀질 때, 갭들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갭들은 상기 제2 부분이 펼쳐질 때, 상기 헤드들(25)이 함께 접경하므로, 펼쳐짐에 대한 멈춤부를 생성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최대 곡률 반경값의 넘어섬을 방지할 때까지 감소하는, 안경 프레임(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5, 29, 33, 34)는 상기 접합부의 상기 곡률 반경값이 상기 미리 정해진 최소 곡률 반경값보다 더 큰 한정된 폐쇄된 위치를 상기 제2 부분이 넘어서는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되는 제2 멈춤 디바이스(6, 7, 17, 18, 20, 21)를 포함하는, 안경 프레임(1).
  9. 제4항,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요소들(24)은 상기 제2 멈춤 디바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 요소들(24)은 상기 접합부(5, 29, 33, 34)의 상기 내부면 상에 배열되며, 각각의 돌출 요소(24)는 스템(26) 및 상기 스템(26)의 단부를 형성하는 확장된 헤드(25)를 가지며, 상기 헤드들(25)은 상기 제2 부분이 펼쳐질 때, 갭들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갭들은 상기 제2 부분이 접혀질 때, 상기 헤드들이 함께 접경하므로, 접힘에 대한 멈춤부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한정된 폐쇄된 위치를 넘어서는 것을 방지할 때까지 감소하는, 안경 프레임(1).
  10.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5, 29, 33, 34)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멈춤 디바이스들을 형성하는 가교 부분(19), 교대 부분(17) 및 슬라이딩 부분(18)을 포함하며,
    상기 가교 부분(19)은 상기 제1 부분(2)과 상기 제2 부분(4) 사이에 가교부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1 부분(2) 및 상기 제2 부분(4)에 일체화되며, 상기 가교 부분(19)은 가요성이며,
    상기 교대 부분(17)은 상기 제1 부분(2)에 일체화되고 상기 가교 부분(19)보다 덜 가요성이며,
    상기 슬라이딩 부분(18)은 상기 제2 부분(4)에 일체화되고 상기 가교 부분(19)보다 덜 가요성이며,
    상기 슬라이딩 부분(18)은 상기 가교 부분(19)과 상기 교대 부분(17)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가교 부분(19)은 접힘의 상기 곡률 중심(C)을 향하여 위치되어, 상기 제2 부분(4)이 접혀질 때, 상기 슬라이딩 부분(18)이 상기 교대 부분(17) 상에서 지탱하고 슬라이딩하고 접힘에 반대하는 강도를 생성하는, 안경 프레임(1).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5, 29, 33, 34)는 경질의 재료(11, 13, 22) 및 가요성 재료(10, 12, 23)로 만들어지는, 안경 프레임(1).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의 재료(11, 13, 22)는 상기 가요성 재료(10, 12, 23)의 모체에 삽입되거나 상기 가요성 재료(10, 12, 23)는 상기 경질의 재료(11, 13, 22)의 모체에 삽입되어 상기 가요성 재료(10, 12, 23)는 상기 접합부(5, 29, 33, 34)의 가요성을 보장하는 반면에, 상기 경질의 재료(11, 13, 22)는 상기 접합부(5, 29, 33, 34)의 상기 곡률 반경값이 미리 정해진 최소 곡률값보다 더 큰 것을 보장하는, 안경 프레임(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2)은 상기 프레임(1)의 제1 부분이고 상기 제2 부분(4)은 상기 프레임(1)의 제2 부분인, 안경 프레임(1).
  14. 안경 프레임이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고 3차원 프린팅 과정이 상기 안경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사용되는 안경 프레임(1)을 제조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주어진 착용자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접합부(5, 29, 33, 34)에서의 하우징의 생성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배선(8) 및 궁극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안경 프레임(1)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207013120A 2017-11-08 2018-11-08 전기 전도체들을 포함하고 제어된 접힘 가능성을 갖는 안경 프레임, 제조 방법 KR202000702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306546.7A EP3483647B1 (en) 2017-11-08 2017-11-08 Spectacle frame comprising electrical conductors and having a controlled foldability, method of manufacturing
EP17306546.7 2017-11-08
PCT/EP2018/080646 WO2019092121A1 (en) 2017-11-08 2018-11-08 Spectacle frame comprising electrical conductors and having a controlled foldability, method of manufactu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296A true KR20200070296A (ko) 2020-06-17

Family

ID=6040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120A KR20200070296A (ko) 2017-11-08 2018-11-08 전기 전도체들을 포함하고 제어된 접힘 가능성을 갖는 안경 프레임,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68954B2 (ko)
EP (1) EP3483647B1 (ko)
JP (1) JP7399087B2 (ko)
KR (1) KR20200070296A (ko)
CN (1) CN111386489B (ko)
WO (1) WO20190921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7127A1 (de) * 2019-11-06 2021-05-0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unktionsbauteil-Pakets
IT201900025189A1 (it) * 2019-12-23 2021-06-23 Luxottica Srl Cerniera di tipo flex per occhiali.
KR20220113434A (ko) * 2019-12-23 2022-08-12 룩소티카 에스.알.엘 안경을 위한 플렉스 타입의 힌지
US11604367B2 (en) * 2020-04-08 2023-03-14 Facense Ltd. Smartglasses with bendable temples
USD1022005S1 (en) * 2021-03-08 2024-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42876A (en) * 1939-07-03 1942-01-30 Giuseppe Ratti Improvements in spectacle frames
US3052160A (en) * 1959-01-26 1962-09-04 Giuseppe Ratti Ind Italiana Oc Spectacle frame with flexible portions
FR2046100A5 (ko) 1969-05-28 1971-03-05 Ratti Ind Ottica Spa
AT308423B (de) * 1969-05-28 1973-05-15 Giuseppe Ratti Ind Ottica Turi Unterteilter seitenbuegel fuer brillengestelle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IT1211182B (it) 1987-07-07 1989-10-12 Ratti Ind Ottica Spa Montatura flessibile per occhiali
US6099117A (en) 1998-12-15 2000-08-08 Ppg Industries Ohio, Inc. Hinge with wire extending therethrough
US6163926A (en) 1999-11-12 2000-12-26 Ppg Industries Ohio, Inc. Split-pin hinge with wire extending therethrough
CN2532504Y (zh) * 2002-01-29 2003-01-22 深圳市龙岗区横岗镇观达五金加工厂 眼镜弹弓腿
DE10226103C1 (de) * 2002-06-12 2003-10-23 Eye Systems Gmbh Chur Anordnung mit einer Backe, einem Bügel und einem Gelenk für eine Brille
US8783861B2 (en) 2010-07-02 2014-07-22 Pixeloptics, Inc. Frame design for electronic spectacles
WO2011117909A1 (ja) * 2010-03-24 2011-09-29 株式会社シャルマン 眼鏡
EP2834059A1 (en) * 2012-04-03 2015-02-11 LUXeXcel Holding B.V.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custom-made spectacles
CN202693916U (zh) * 2012-05-25 2013-01-23 朱成明 一种无铰链的镜腿可折叠眼镜架
US9442305B2 (en) 2012-06-14 2016-09-13 Mitsui Chemicals, Inc. Electronic eyeglass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US20150127132A1 (en) 2013-11-01 2015-05-07 West Coast Vision Labs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custom-fit eye wear geometry for printing and fabrication
CN204331175U (zh) * 2014-12-30 2015-05-13 玉环博士眼镜制造有限公司 一种眼镜脚
NL1041388B1 (nl) * 2015-07-02 2017-01-30 Mat Nv Bril, samenstel van zo een bril en zuurstoftoedieningsmiddelen, tevens werkwijze voor het opbouwen van zo een samenstel en hulpmiddel voor gebruik daarbij.
US10139650B2 (en) * 2015-07-15 2018-11-27 Timothy James One piece eyewear with concealed hinges
US9709817B2 (en) * 2015-12-07 2017-07-18 Oakley, Inc. Eyewear retention devices and methods
WO2017110908A1 (ja) 2015-12-22 2017-06-29 三井化学株式会社 電子眼鏡
CN205581433U (zh) 2015-12-31 2016-09-14 全舜光学科技有限公司 外环弹片式枢接结构
DE202016002203U1 (de) * 2016-04-08 2016-07-11 Powder & Heat scope for design GmbH & Vollmer GbR (vertretungsberechtigter Gesellschafter: Georg Vollmer, 70193 Stuttgart) Brillengele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02595A (ja) 2021-01-28
EP3483647A1 (en) 2019-05-15
US20200355944A1 (en) 2020-11-12
WO2019092121A1 (en) 2019-05-16
JP7399087B2 (ja) 2023-12-15
CN111386489B (zh) 2022-09-02
EP3483647B1 (en) 2024-02-21
US11668954B2 (en) 2023-06-06
CN111386489A (zh)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0296A (ko) 전기 전도체들을 포함하고 제어된 접힘 가능성을 갖는 안경 프레임, 제조 방법
ES2599396T3 (es) Brazos de patilla para un módulo de visualización montable en la cabeza para proporcionar compresión hacia la cabeza de un usuario
US20170248801A1 (en) Heat sink configuration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RU2538442C2 (ru) Очки без дужек
ATE537717T1 (de) Schutzbrillen
CN109923464B (zh) 眼镜的镜圈和镜腿之间的铰链
CN108139594B (zh) 电子眼镜架
EP2592463A1 (en) Lens receptor lock for glasses
WO2006055181A1 (en) Comfort headband
US9753306B2 (en) Eyewear with flexible bridge
US20040181841A1 (en) Combination eye and ear protection apparatus
US10598959B1 (en) Eyewear lens attachment system
CN108139595B (zh) 用于光学设备的电子镜架以及包括这样的镜架的光学设备
IL153549A0 (en) Spectacles with wire-like branches
KR20120021660A (ko) 자외선 차단용 마스크
JP3177906U (ja) 弾性片を具有するめがね
US20220113561A1 (en) Single unit comprising electronics for smart glasses
CN203673158U (zh) 一种眼镜
CN110383146A (zh) 眼镜
JP7349718B2 (ja) 隻眼者用眼鏡
KR20100137143A (ko) 안경다리를 위한 탄성 연결부를 구비한 안경테
WO2023028463A1 (en) Dual-axis hinge mechanism
JP2005107472A (ja) 眼鏡用防塵具
CH718397B1 (it) Asta per un occhiale per ciechi o ipovedenti.
CN114402250A (zh) 用于眼镜的鼻部支撑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