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141A -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141A
KR20200069141A KR1020180156342A KR20180156342A KR20200069141A KR 20200069141 A KR20200069141 A KR 20200069141A KR 1020180156342 A KR1020180156342 A KR 1020180156342A KR 20180156342 A KR20180156342 A KR 20180156342A KR 20200069141 A KR20200069141 A KR 20200069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ring
bush
arm
arm assembly
right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3489B1 (ko
Inventor
박준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6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489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1)는 좌우측 엔드 날개(13-1,13-2)의 부시 결합공(19)에 지지부 버링(17)을 갖는 양단 버링 암(10), 상기 좌우측 엔드 날개(13-1,13-2)에 압입되는 부시(20), 상기 양단 버링 암(10)과 상기 부시(20)의 압입부위로 구비되어 상기 양단 버링 암(10)에 대한 상기 부시(20)의 부시 이탈력을 강화시켜 주는 이탈력 강화 링(30)을 포함함으로써 서스펜선(1-1)의 시스템 특성상 요구되는 부시이탈력을 충족하여 잠재적인 차량이상거동 문제를 방지하는 특징이 구현된다.

Description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Dual Burring Arm Assembly}
본 발명은 양단 버링 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시 종류 구분 없이 부시 이탈력을 높여 부시로 인한 차량이상거동이 방지되는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시는 연결 부품의 상대 움직임을 위해 고무가 적용된 탄성체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대 움직임이 요구되는 크로스맴버(또는 서브프레임)나 스텝 바(또는 스테빌라이저 바)나 서스펜션 암(또는 로어 암, 어퍼 암) 등이 적용된 차량은 부시를 적용한 체결부가 요구되고, 부시의 적용은 차량의 R&H(Riding and Handling)와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및 내구(Durability)를 향상시켜 준다.
특히 경량화를 위하여 평판을 벤딩하여 제작한 양단 버링 암에 적용된 부시는 일반통형 부시 및 절개형 부시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양단 버링 암은 그 형상이 중앙에는 몸체부와 몸체부 양측에 날개부가 일체 형성되고, 일측 날개부에서 몸체부 그리고 타측 날개부로 이어진 길이방향으로 속이 비어 있는 중공형상이 되며, 날개부에는 부쉬를 결합하기 위한 부쉬 결합공이 버링 가공된다.
일례로 상기 일반통형 부시는, 양단 버링 암에 압입되기 이전에 부시 러버에 사전 압축량을 주어 차량 거동시 부시의 러버에 발생되는 인장력에 크랙발생이 없도록 또는 내구수명을 높이기 위해 부시 외철을 전 둘레로 압착하는 스웨징 공정으로 경을 축소시킨 다음, 암 하우징 직경보다 약 Φ1.0 정도 큰 값을 가지고 양단 버링 암에 압입된다.
일례로 상기 절개형 부시는. 부시 러버에 사전 압축량을 주는 스웨징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부시러버의 내구수명을 높이기 위한 스웨징 공정을 대체하여 암하우징 직경보다 약 Φ3.0 정도 큰 값을 가지고 양단 버링 암에 압입된다.
그러므로 상기 일반통형 부시 및 상기 절개형 부시는 양단 버링 암에 부시 압입과 동시 스웨징됨으로써 차량 주행중 발생되는 하중에서도 부시이탈로 이어지는 부시 이탈력 부족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주행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주행중 차량의 이상 거동 발생을 방지하여 준다.
국내등록특허 10-14165480000(2014.07.01)
하지만 상기 양단버링암은 단판 스틸을 성형하여 경량화 및 용접제거로 부식성능 개선 및 원가절감 효과를 가지나 부시 하우징부가 양단 버링 타입으로 성형 되어있어 파이프 타입의 부시하우징을 갖는 용접파이프타입 스틸 암 또는 알루미늄 암 대비 부시를 지지해주는 면적이 현저하게 부족하며, 부시를 받쳐주는(또는 지지하는) 구조 또한 외팔보 형상으로 부시이탈력 관련 하여 서는 일반 파이프 타입의 암보다 구조적으로 불리 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하여 양단 버링 암+일반통형 부시 조합의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 또는 양단 버링 암+절개형 부시 조합의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는 시스템 상에서 요구되는 부시 이탈력 1,000kgf를 만족 시키는데 구조적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특히 상기 구조적 한계는 차량 주행시 부시 이탈로 인한 이상 거동의 잠재적 문제발생의 요인을 가지므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시스템 상 부시이탈력 요구 충족으로 잠재적인 차량이상거동 문제를 방지하고, 특히 일반통형 부시와 절개형 부시의 구분 없이 부시이탈력 요구 충족이 가능한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는 양단 버링 암, 상기 양단 버링 암에 압입되는 부시, 상기 양단 버링 암과 상기 부시의 압입부위에서 상기 양단 버링 암에 대한 상기 부시의 부시 이탈력 강화가 이루어지도록 가압구간을 형성시켜주는 이탈력 강화 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압입부위는 상기 양단 버링 암의 양쪽 끝단에서 상기 부시가 압입되는 좌측 엔드 날개와 우측 엔드 날개로 형성된다. 상기 좌측 엔드 날개와 상기 우측 엔드 날개에 형성된 개방 슬롯의 공간으로 상기 이탈력 강화 링이 위치되어 상기 가압구간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가압구간은 상기 좌측 엔드 날개와 상기 우측 엔드 날개의 지지부 버링과 상기 부시를 상기 이탈력 강화 링이 동시 가압하고, 상기 동시 가압은 상기 이탈력 강화 링이 상기 부시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 버링의 일부부위에 걸쳐져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결합은 상기 부시의 부시 외철의 전 둘레에 파여진 파이프 홈으로 상기 이탈력 강화 링이 끼워지는 끼움구조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부시는 일반통형 부시 또는 절개형 부시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이탈력 강화 링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갖거나 또는 양단이 분리된 원형으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는 일반통형 부시와 절개형 부시의 구분 없이 시스템 상에서 요구되는 부시이탈력을 충족함으로써 주행시 잠재적인 차량이상거동 문제를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의 조립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1)는 양단 버링 암(10), 부시(20) 및 이탈력 강화 링(30)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단 버링 암(10)은 소정 길이의 암 하우징(11), 암 하우징(11)의 양단을 형성하는 좌우측 엔드 날개(13-1,13-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양단 버링 암(10)은 좌우측 엔드 날개(13-1,13-2)의 각각에 개방 슬롯(15)이 형성되어 좌우측 엔드 날개(13-1,13-2)의 각각을 상하부위로 구분하고, 좌우측 엔드 날개(13-1,13-2)의 각각에 뚫려진 부시 결합공(19)에 지지부 버링(17)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좌측 엔드 날개(13-1)는 멤버(도 3의 서스펜션(1-1))측으로 상기 우측 엔드 날개(13-2)는 액슬측으로 조립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 버링(17)은 개방 슬롯(15)의 안쪽으로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시(20)는 일반통형 부시(20-1) 또는 절개형 부시(20-2)로 구분된다. 일례로 상기 일반통형 부시(20-1)는 좌우측 엔드 날개(13-1,13-2)의 각각에 뚫려진 부시 결합공(19)에 압입시 부시 외철을 전 둘레로 압착하는 스웨징 공정으로 경을 축소시켜 압입되므로 통상적인 일반통형 부시와 동일하다. 일례로 상기 절개형 부시(20-2)는 좌우측 엔드 날개(13-1,13-2)의 각각에 뚫려진 부시 결합공(19)에 압입시 큰 부시 외철으로 부시 러버에 사전 압축량을 주어 스웨징 공정 없이 압입되므로 통상적인 절개형 부시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일반통형 부시(20-1)에는 부시 외철의 둘레를 따라 파여진 파이프 홈(21)이 형성되므로 통상적인 일반통형 부시와 구조 차이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절개형 부시(20-2)에는 부시 외철의 둘레를 따라 파여진 파이프 홈(21)이 형성되므로 통상적인 절개형 부시와 구조 차이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파이프 홈(21)은 일반통형 부시(20-1) 또는 절개형 부시(20-2)의 중간 부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탈력 강화 링(30)은 양단 버링 암(10)의 좌우측 엔드 날개(13-1,13-2)의 각각에 압입된 상기 일반통형 부시(20-1)의 파이프 홈(21)에 끼어지거나 또는 상기 절개형 부시(20-2)의 파이프 홈(21)에 끼어져 일반통형 부시(20-1) 또는 절개형 부시(20-2)에 일체화된다. 특히 상기 이탈력 강화 링(30)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이 분리된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1)의 조립은 양단 버링 암(10)의 좌우측 엔드 날개(13-1,13-2)의 각각에 형성된 지지부 버링(17)으로 이탈력 강화 링(30)을 걸어준다. 이어 상기 좌우측 엔드 날개(13-1,13-2)의 각각에 뚫려진 부시 결합공(19)으로 일반통형 부시(20-1) 또는 절개형 부시(20-2)를 압입시켜 준다. 이후 상기 일반통형 부시(20-1) 또는 상기 절개형 부시(20-2)의 파이프 홈(21)을 이용하여 이탈력 강화 링(30)을 걸어준 다음 이탈력 강화 링(30)의 양끝을 조여 줌으로써 조립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일반통형 부시(20-1)의 압입 공정은 부시 외철을 전 둘레로 압착하는 스웨징 공정으로 경을 축소시킨 상태에서 부시 결합공(19) 보다 약 Φ1.0 정도 큰 직경으로 압입된다. 상기 절개형 부시(20-2)의 압입 공정은 부시 결합공(19) 보다 약 Φ3.0 정도 큰 직경으로 압입된다.
그 결과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1)는 양단 버링 암(10)이 이탈력 강화 링(30)이 조립된 일반통형 부시(20-1) 또는 이탈력 강화 링(30)이 조립된 절개형 부시(20-2)와 일체화되어 완성된다.
특히 상기 이탈력 강화 링(30)이 양단 버링 암(10)의 좌우측 엔드 날개(13-1,13-2)의 각각에 압입된 일반통형 부시(20-1) 또는 절개형 부시(20-2)의 파이프 홈(21)과 엔드 날개(13-1,13-2)의 각각에 형성된 지지부 버링(17)의 끝단을 동시 지지함으로써 부시 이탈력 강화 효과를 발생 할 수 있게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1)는 서스펜션(1-1)과 액슬 사이로 위치되어 차량 주행 중 발생되는 과도한 하중(화살표 방향 참조)을 받지만 충분한 부시 이탈력이 유지됨으로써 일반통형 부시(20-1) 또는 절개형 부시(20-2)가 양단 버링 암(10)의 좌측 엔드 날개(13-1) 또는 우측 엔드 날개(13-2)에서 부시이탈을 발생시키지 않아 주행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주행 안정성 유지는 일반통형 부시(20-1) 또는 절개형 부시(20-2)에 파이프 홈(21)을 매개로 조립된 이탈력 강화 링(30)이 충분한 부시 이탈력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1)는 좌우측 엔드 날개(13-1,13-2)의 부시 결합공(19)에 지지부 버링(17)을 갖는 양단 버링 암(10), 상기 좌우측 엔드 날개(13-1,13-2)에 압입되는 부시(20), 상기 양단 버링 암(10)과 상기 부시(20)의 압입부위로 구비되어 상기 양단 버링 암(10)에 대한 상기 부시(20)의 부시 이탈력을 강화시켜 주는 이탈력 강화 링(30)을 포함함으로써 서스펜선(1-1)의 시스템 특성상 요구되는 부시이탈력을 충족하여 잠재적인 차량이상거동 문제를 방지한다.
1 :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 1-1 : 서스펜션
10 : 양단 버링 암 11 : 암 하우징
13-1,13-2 : 좌우측 엔드 날개
15 : 개방 슬롯 17 : 지지부 버링
19 : 부시 결합공
20 : 부시 20-1 : 일반통형 부시
20-2 : 절개형 부시 21 : 파이프 홈
30 : 이탈력 강화 링

Claims (9)

  1. 양단 버링 암,
    상기 양단 버링 암에 압입되는 부시,
    상기 양단 버링 암과 상기 부시의 압입부위에서 상기 양단 버링 암에 대한 상기 부시의 부시 이탈력 강화가 이루어지도록 가압구간을 형성시켜주는 이탈력 강화 링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위는 상기 양단 버링 암의 양쪽 끝단에서 상기 부시가 압입되는 좌측 엔드 날개와 우측 엔드 날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엔드 날개와 상기 우측 엔드 날개에 형성된 개방 슬롯의 공간으로 상기 이탈력 강화 링이 위치되어 상기 가압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압구간은 상기 좌측 엔드 날개와 상기 우측 엔드 날개의 지지부 버링과 상기 부시를 상기 이탈력 강화 링이 동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시 가압은 상기 이탈력 강화 링이 상기 부시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 버링의 일부부위에 걸쳐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은 끼움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조는 상기 부시의 부시 외철에 형성된 파이프 홈으로 상기 이탈력 강화 링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홈은 상기 부시 외철의 전 둘레로 파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력 강화 링은 양단이 분리된 원형으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
KR1020180156342A 2018-12-06 2018-12-06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 KR102563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342A KR102563489B1 (ko) 2018-12-06 2018-12-06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342A KR102563489B1 (ko) 2018-12-06 2018-12-06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141A true KR20200069141A (ko) 2020-06-16
KR102563489B1 KR102563489B1 (ko) 2023-08-04

Family

ID=7114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342A KR102563489B1 (ko) 2018-12-06 2018-12-06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4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637A (ko) * 2011-09-19 2013-03-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로어암
KR101416548B1 (ko) 2013-11-07 2014-07-09 주식회사 동양테크 버링 구조를 가지는 리어 어퍼 암 제조방법
WO2014147834A1 (ja) * 2013-03-22 2014-09-25 株式会社ヨロズ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及び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の製造方法
KR20160004669A (ko) * 2014-07-03 2016-01-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의 리어 어퍼암
KR20180068412A (ko) *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볼조인트의 장착구조 및 그 장착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637A (ko) * 2011-09-19 2013-03-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로어암
WO2014147834A1 (ja) * 2013-03-22 2014-09-25 株式会社ヨロズ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及び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の製造方法
KR101416548B1 (ko) 2013-11-07 2014-07-09 주식회사 동양테크 버링 구조를 가지는 리어 어퍼 암 제조방법
KR20160004669A (ko) * 2014-07-03 2016-01-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의 리어 어퍼암
KR20180068412A (ko) *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볼조인트의 장착구조 및 그 장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489B1 (ko) 2023-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08737B2 (en) Bar pin bushing for vehicle suspension and corresponding mounting method
CN101795827B (zh) 易于组装的轻量化重载轴套
US6572088B2 (en) Vibration isolating bushing
US20180141402A1 (en) Stabilizer bar bushing assembly having brackets integrated with rubbers and stabilizer bar assembly using the same
JP2002295560A (ja) 筒型ゴムマウント
JPH04320834A (ja) ゴム−金属ブッシュ及びその製造方法
JP4395760B2 (ja) 防振ブッシュ
KR102310502B1 (ko) 이중 압축율 형성 방식 부시 및 서스펜션 시스템
US2562381A (en) Resilient bush or bearing
KR20200069141A (ko) 양단 버링 암 어셈블리
JP3719030B2 (ja) リーフスプリング用ブッシュ及びその製造方法
JP4978840B2 (ja) ラバーブッシュ
JP2000110877A (ja) 弾性ブッシュ
JP2001165219A (ja) 防振ブッシュおよび防振ブッシュ組立体
JPH029144Y2 (ko)
KR102551641B1 (ko) 차량용 다이나믹 댐퍼
CN111836733A (zh) 用于车辆悬架的杆销轴套
CN218805173U (zh) 副车架与电机的装配结构及电动汽车
CN219076935U (zh) 一种改善隔振的后桥衬套
JPH11182599A (ja) 防振装置
CN210211933U (zh) 一种摆臂衬套及摆臂衬套组件
JP2012026507A (ja) 防振ブッシュ及び防振ブッシュ組付体の製造方法
JP2008082444A (ja) ブッシュ圧入構造及びこれを用いる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KR0151646B1 (ko) 자동차용 콘트롤 암의 부시 압입구조
KR20230154486A (ko) 서브 프레임 압입타입 부시마운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