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257A - 차단벽을 갖는 광전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단벽을 갖는 광전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257A
KR20200068257A KR1020180154998A KR20180154998A KR20200068257A KR 20200068257 A KR20200068257 A KR 20200068257A KR 1020180154998 A KR1020180154998 A KR 1020180154998A KR 20180154998 A KR20180154998 A KR 20180154998A KR 20200068257 A KR20200068257 A KR 20200068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electric
wall film
unit
opening window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6505B1 (ko
Inventor
위엔-치 리
치아-밍 리
위-슌 팅
위-šœ 팅
Original Assignee
유니플렉스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잉크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플렉스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잉크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유니플렉스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68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e.g.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one or more electric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nd electrically or optically coupled theret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46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01L31/055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where light is absorbed and re-emitted at a different wavelength by the optical element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by using luminescent material, fluorescent concentrators or up-convers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Photo Coupler, Interrupter, Optical-To-Optical Conversion Devices (AREA)

Abstract

차단벽을 갖는 광전소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일종의 차단벽의 가공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가공 비용을 낮출 수 있는 광전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기판, 차단벽 필름을 그 기판에 적층하는 작업면을 포함하며, 그 차단벽 필름은 그 작업면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창을 갖고, 및 그 적어도 하나의 개구창 내에 적어도 하나의 광전 유닛을 설치하며, 그 광전 유닛은 발광 유닛 및 감광성 유닛 중의 하나이고, 그 차단벽 필름은 그 광전 유닛보다 높다.

Description

차단벽을 갖는 광전소자의 제조 방법{Production method for a photoelectric mechanism having a blocking wall}
본 발명은 일종의 광전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일종의 광전소자에 차단벽을 형성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센서는 발광 유닛 및 감광성 유닛을 포함하며, 발광 유닛이 발산한 광이 검출물에 반사되면, 감광성 유닛이 감지 신호를 수신해서 출력할 수 있다. 발광 유닛이 발산한 광이 직접 감광성 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광센서는 발광 유닛과 감광성 유닛 사이에 차단벽을 설치해서 발광 유닛이 일정한 방향으로만 광을 발산하고, 감광성 유닛이 일정한 방향에서의 광만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광센서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종래의 광센서 차단벽은 대부분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 등의 몰딩 방식으로 형성되지만, 그 제조 과정은 (1)오버플로우 문제로 인한 수율 감소, (2)몰드 변형(mold shift)에 의한 정확도 영향 및 소형화 불리, (3) 서로 다른 차단벽 모양에 따른 별도의 몰드 제작으로 인해 비용 상승 등의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일종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비용을 낮추는 광전소자의 제조 공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종의 차단벽을 갖는 광전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기판, 차단벽 필름을 그 기판에 적층하는 작업면을 포함하며, 그 차단벽 필름은 그 작업면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창을 갖고, 및 그 작업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전 유닛이 설치되며, 그 적어도 하나의 광전 유닛은 그 적어도 하나의 개구창 내에 위치하고, 그 광전 유닛은 발광 유닛 및 감광성 유닛 중의 하나이며, 그 차단벽 필름은 그 광전 유닛보다 높다.
상기 방법에 따라 형성된 차단벽은 정확도가 높고 가공 비용이 감소되며, 광전소자의 회로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고, 비록 개구창의 위치나 모양이 변경되더라도, 종래 기술처럼 몰드를 다시 제작하거나 수정할 필요가 없다.
도 1에서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조 방법 결선도,
도 6에서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제조 방법 결선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제조된 광전소자의 조감도이다.
본 발명은 일종의 차단벽을 갖는 광전소자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광전소자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광센서와 같은 발광 장치, 감광성 장치 또는 발광 및 감광성 기능을 동시에 갖는 장치일 수 있고, 상기 광센서는 원격제어기, 거리측정기에 활용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 2,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중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기판 10, 상기 기판 10은 미리 제작된 회로의 회로기판이나 LED용 리드 프레임일 수 있고, 예를들어, 기판 10은 절연 소지 및 절연 소지에 형성되는 회로 구조와 전기 접점을 가지며, 상기 절연 소지는 예를 들면 에폭시, 유리섬유(woven glass), 폴리에스터 또는 기타 회로기판 소지 제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질이다. 이어서, 차단벽 필름 20을 기판 10에 적층하는 작업면 11, 그 차단벽 필름 20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창 21을 가지며 (본 실시예의 개구창은 두 개이다), 개구창 21은 차단벽 필름 20이 기판 10에 적층된 후, 레이저 절삭 방식으로 형성되고, 작업면 11은 개구창 21을 통해 노출되며, 개구창 21 내에 상기 회로 구조 또는 전기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실시방식 중에서, 차단벽 필름 20의 주요 성분은 에폭시이며, 차단벽 필름 20이 기판 10에 적층되기 전에 전체는 일부 경화 상태이고(partial curing stage), 즉, 차단벽 필름 20 중의 고분자 일부는 아직 교차 결합되지 않았으며, 차단벽 필름 20이 기판 10에 적층된 후에야 열 경화, 광 경화를 통해 차단벽 필름 20을 완전 경화 상태(full curing stage)로 변환시켜서, 차단벽 필름 20의 내의 고분자가 실질적으로 완전 교차 결합되며, 완전 경화 상태인 차단벽 필름은 앞에 설명된 광센서의 차단벽과 유사한 광 차단 기능을 갖는다. 가능한 실시방식 중에서, 일부 경화 상태인 차단벽 필름 20은 기판 10에 적층되기 전에 캐리어 필름에 형성되고, 캐리어 필름은 차단벽 필름 20이 기판 10에 적층된 후 제거되며, 상기 캐리어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기타 폴리에스터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스타이렌 필름일 수 있다. 가능한 실시방식 중에서, 차단벽 필름 20은 검은색이며 대부분의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각 개구창 21 내에는 광전 유닛 30이 있고, 광전 유닛 30은 발광 유닛 및 감광성 유닛 중의 하나이며, 본 실시예 중에서, 도 4의 우측에 있는 광전 유닛은 발광 유닛이고, 도 4의 좌측에 있는 광전 유닛은 감광성 유닛이며, 차단벽 필름 20은 광전 유닛보다 높아서 광을 차단하고, 필요한 경우 광전 유닛 30은 기판 10의 회로 구조 또는 전기 접점과 전기적 연결되며, 상기 전기적 연결은 예를 들면 와이어 본딩(wire bonding)을 통해 구현된다. 광전 유닛은 플립 칩 LED 또는 기타 적절한 상황에서 와이어 본딩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발광 유닛은 예를 들면 LED이고, 감광성 유닛은 예를 들면 CCD 또는 CMOS이며, 발광 유닛은 광을 발산하고, 감광성 유닛은 광을 감지하며, 상기 광은 적외선 같은 가시광 또는 비가시광일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개구창 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콜로이드 40은 투명 접착제 또는 형광 접착제와 같은 광투과성 콜로이드로서, 상기 광전 유닛의 보호 및/또는 미리 선택된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데에 사용된다. 즉, 제조된 광전소자는 기판 10, 적어도 하나의 개구창 21을 갖는 차단벽 필름 20이 기판 10에 적층되는 작업면 11, 작업면 11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개구창 21 내에 있는 광전 유닛 30, 및 개구창 21 내에 형성되는 콜로이드 40을 포함한다.
도 6에서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중에서, 상기 제조 방법과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차단벽 필름 20이 기판 10에 적층되기 전에 완전 경화 상태인 일부 22와 일부 경화 상태인 일부 23을 가지며, 완전 경화 상태인 일부 22는 이어서 작업면 11에 접촉되지 않고, 일부 경화 상태인 일부 23은 적층된 후 작업면 11에 접촉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차단벽 필름 20이 기판 10에 적층되기 전에, 드릴링이나 기타 방식을 이용해 상기 개구창 21을 형성하고, 개구창 21은 완전 경화 상태인 일부 22 및 일부 경화 상태인 일부 23을 관통한다. 차단벽 필름 20이 기판 10에 적층된 후에만 열 경화, 광 경화를 통해 일부 경화 상태인 23을 완전 경화 상태(full curing stage)로 변환시킨다. 본 실시예 중에서, 일부 경화 상태인 일부는 접착제와 같은 기능을 가져서 열 경화, 광 경화 과정 중 차단벽 필름 20을 기판 10에 고정시킨다. 가능한 실시방식 중에서, 완전 경화 상태인 일부 22, 일부 경화 상태인 일부 23 및 기판 10의 절연 소지는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짐에 따라, 기판 10과 차단벽 필름 20이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가져서, 후속 열처리 시에 발생하는 크래킹(cracking)을 유익하게 방지하고, 제조 과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기판 10 작업면 11
차단벽 필름 20 개구창 21
완전 경화 상태의 일부 22 일부 경화 상태의 일부 23
광전 유닛 30 콜로이드 40

Claims (6)


  1. 기판,
    차단벽 필름을 상기 기판에 적층하는 작업면, 상기 차단벽 필름은 상기 작업면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창을 가지며,
    상기 작업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전 유닛,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전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창 내에 위치하며, 상기 광전 유닛은 발광 유닛 및 감광성 유닛 중의 하나이고, 상기 차단벽 필름은 상기 광전 유닛보다 높은 ,
    차단벽을 갖는 광전소자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 필름이 상기 작업면에 적층될 때, 상기 차단벽 필름의 적어도 일부분은 일부 경화 상태이고. 상기 차단벽 필름의 일부 경화 상태인 일부가 상기 작업면을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을 갖는 광전소자의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그 중 상기 차단벽 필름이 상기 작업면에 적층될 때, 상기 차단벽 필름의 일부분은 완전 경화 상태이고, 상기 차단벽 필름의 완전 경화 상태인 일부가 상기 작업면에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을 갖는 광전소자의 제조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그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창은 상기 차단벽 필름이 상기 작업면에 적층되기 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을 갖는 광전소자의 제조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그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창은 상기 차단벽 필름이 상기 작업면에 적층된 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을 갖는 광전소자의 제조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그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창 내에 상기 광전 유닛이 설치되면, 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창 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을 갖는 광전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180154998A 2018-11-13 2018-12-05 차단벽을 갖는 광전소자의 제조 방법 KR102236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7140201A TWI668877B (zh) 2018-11-13 2018-11-13 具有擋牆的光電機構的製作方法
TW107140201 2018-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257A true KR20200068257A (ko) 2020-06-15
KR102236505B1 KR102236505B1 (ko) 2021-04-06

Family

ID=6705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998A KR102236505B1 (ko) 2018-11-13 2018-12-05 차단벽을 갖는 광전소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46669B2 (ko)
KR (1) KR102236505B1 (ko)
CN (1) CN209056486U (ko)
TW (1) TWI6688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9203B (zh) * 2019-09-27 2021-03-09 深圳赛意法微电子有限公司 一种敞开式心电图感应器封装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6462A (ja) * 2006-12-28 2008-07-17 Nichia Chem Ind Ltd 発光装置
KR20100089115A (ko) * 2009-01-23 2010-08-12 주식회사 두성에이텍 발광 다이오드 유닛의 제조 방법과,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발광 다이오드 유닛
KR20130096094A (ko) * 2012-02-21 2013-08-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발광 소자 패키지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시스템
KR20180004421A (ko) * 2016-07-04 2018-01-12 대덕지디에스 주식회사 캐비티기판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745Y2 (ja) * 1990-05-31 1996-03-21 タキロン株式会社 ドットマトリクス発光表示体
JPH0654081U (ja) * 1992-12-21 1994-07-22 タキロン株式会社 発光表示体
JP2001085748A (ja) * 1999-09-14 2001-03-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発光装置
TWI290763B (en) * 2006-01-18 2007-12-01 Siliconware Precision Industries Co Ltd Semiconductor device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TWI305036B (en) * 2006-09-28 2009-01-01 Siliconware Precision Industries Co Ltd Sensor-type package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10199706A (ja) * 2009-02-23 2010-09-09 Sharp Corp 照度検知機能付き近接センサおよび電子機器
WO2017080461A1 (zh) * 2015-11-10 2017-05-18 亿光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装置与其制作方法
TWM548360U (zh) * 2017-01-13 2017-09-01 李玟慧 高導熱發光二極體封裝結構
TWI733289B (zh) * 2017-04-20 2021-07-11 億光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感測模組及其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6462A (ja) * 2006-12-28 2008-07-17 Nichia Chem Ind Ltd 発光装置
KR20100089115A (ko) * 2009-01-23 2010-08-12 주식회사 두성에이텍 발광 다이오드 유닛의 제조 방법과,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발광 다이오드 유닛
KR20130096094A (ko) * 2012-02-21 2013-08-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발광 소자 패키지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시스템
KR20180004421A (ko) * 2016-07-04 2018-01-12 대덕지디에스 주식회사 캐비티기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80295A (ja) 2020-05-28
CN209056486U (zh) 2019-07-02
TWI668877B (zh) 2019-08-11
KR102236505B1 (ko) 2021-04-06
TW202018960A (zh) 2020-05-16
JP6746669B2 (ja)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2992B2 (en) Image module package having glass filter secured by transparent adhesive
CN107564924B (zh) 包括形成在图像传感器裸片中的空腔的光学传感器封装体
TWI641158B (zh) 光學裝置、光學模組結構及光學裝置之製造程序
TWI691044B (zh) 半導體封裝裝置及製造半導體封裝裝置之方法
KR101659677B1 (ko) 광원 일체형 광센서 및 광원 일체형 광센서의 제조방법
US11837686B2 (en) Optical device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521671B (zh) The package structure of the optical module
US11114573B2 (en) Optoelectronic modul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CN110718543A (zh) 光学设备及其制造方法
KR102236505B1 (ko) 차단벽을 갖는 광전소자의 제조 방법
KR101457500B1 (ko) 근접 조도 센서의 제작 방법
CN111180346B (zh) 具有挡墙的光电机构的制作方法
US11264778B2 (en) Quad flat no-leads package for side emitting laser diode
TWI784175B (zh) 以雷射開窗形成光學擋牆的方法及光學擋牆結構
TWM588205U (zh) 光學擋牆結構
CN209963083U (zh) 光学挡墙结构
TWM590214U (zh) 光學擋牆結構
CN112216599A (zh) 多次光固化一次蚀刻形成光学挡墙的方法及光学挡墙结构
CN209963020U (zh) 光学挡墙结构
TWI699568B (zh) 以多次光固化一次蝕刻形成光學擋牆的方法
KR102277242B1 (ko) Pcb와 구리 합금 기판을 일체화하여 멀티칩 어레이 적용이 가능한 광센서용 기판장치
CN112133807A (zh) 以雷射开窗形成光学挡墙的方法及光学挡墙结构
US10422877B2 (en) Substrate embedded time of flight sensor packaging
KR20160116484A (ko) 인쇄회로기판
JP3075673U (ja) 光電モジュ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