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478A - 탈착식 프레싱모듈을 포함하는 프레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탈착식 프레싱모듈을 포함하는 프레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478A
KR20200067478A KR1020180154386A KR20180154386A KR20200067478A KR 20200067478 A KR20200067478 A KR 20200067478A KR 1020180154386 A KR1020180154386 A KR 1020180154386A KR 20180154386 A KR20180154386 A KR 20180154386A KR 20200067478 A KR20200067478 A KR 20200067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ressing module
plate
connection plate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9185B1 (ko
Inventor
이영배
Original Assignee
이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배 filed Critical 이영배
Priority to KR1020180154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1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7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30B15/026Mounting of dies, platens or press ram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프레싱모듈을 포함하는 프레스 어셈블리는, 상부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상형, 상기 상형과의 상대 거리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와 대향되는 하부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형,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 또는 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탈착플레이트와,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에 구비되어 프레스대상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1프레싱모듈 및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 또는 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탈착플레이트와, 상기 가압부에 대응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제2프레싱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탈착식 프레싱모듈을 포함하는 프레스 어셈블리{Press Assembly Having Detachable Pressing Module}
본 발명은 프레싱 작업을 수행하는 프레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한 프레싱모듈을 포함하는 프레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프레스장치는 소정 프레스 대상을 가압하여 형태를 변형시키거나, 타공을 수행하는 등 다양한 공정에 활용되고 있다.
상기 프레스장치는 시계,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정밀부품에서부터 자동차의 차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적용되며, 그 재료로서는 강판, 동판(銅板), 황동판, 알루미늄판은 물론 플라스틱, 섬유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스장치는 대상을 특별히 가열하지 않고도 가공이 가능하며, 단시간 내에 정확한 치수 및 모양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교환성이 있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프레스 가공의 종류에는 커터(Cutter)로 소정의 모양으로 절단하는 절단가공, 다이(Die)와 펀치(Punch)로 필요한 모양을 따내는 따내기가공, 재료를 필요한 모양으로 구부리는 굽힘가공, 원통/각통 등과 같은 바닥이 있고 이음매가 없는 용기를 만드는 드로잉 가공 등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프레스장치는 일반적으로 대상물을 고정시키는 하형과, 대상물을 가압하도록 상하 이동하는 상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다양한 가공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형 및 하형이 해당 가공 공정에 적합한 형태로 형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경우, 수행하고자 하는 가공 공정에 적합한 형태로 형성된 금형을 구비하여야 하며, 다른 가공 공정을 수행할 경우에는 금형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새로운 가공 공정이 요구될 경우에는 금형을 새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금형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금형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므로 공간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가공 공정의 종류에 따라 금형 전체를 교체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이를 통해 비용적 부담의 최소화하고, 작업 능률 및 공간 효율의 극대화 등 다양한 부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착식 프레싱모듈을 포함하는 프레스 어셈블리는, 상부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상형, 상기 상형과의 상대 거리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와 대향되는 하부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형,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 또는 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탈착플레이트와,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에 구비되어 프레스대상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1프레싱모듈 및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 또는 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탈착플레이트와, 상기 가압부에 대응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제2프레싱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대응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싱모듈은 상기 관통홀 및 상기 대응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압부의 고정 위치를 안내하는 위치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위치안내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프레싱모듈은 상기 제2프레싱모듈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싱모듈은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프레싱모듈은 제1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프레싱모듈을 고정시키는 제1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싱모듈은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2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프레싱모듈을 고정시키는 제2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착식 프레싱모듈을 포함하는 프레스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체 금형을 교체할 필요 없이 프레싱모듈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프레스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이에 따라 작업 능률 및 공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프레싱모듈은 전체 금형에 비해 부피가 작고 중량이 가벼우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운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새로운 프레싱모듈의 제작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프레스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프레싱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프레싱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2프레싱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프레싱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프레싱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프레싱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프레스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장치는 프레스 어셈블리 및 댐핑 어셈블리(3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스 어셈블리는 상대 거리 가변에 의해 프레스대상(T)에 프레싱 작업을 수행하는 상형(10) 및 하형(20)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하형(20)이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상형(10)이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상기 상형(10)이 고정되고 상기 하형(20)이 상하 이동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상형(10) 및 상기 하형(20)이 모두 상하 이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스 어셈블리는 프레스대상(T)의 프레스 가공을 위한 제1프레싱모듈(100) 및 제2프레싱모듈(2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싱모듈(100)은 상기 상형(10)에 구비되는 상부 연결플레이트(12)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프레싱모듈(200)은 상기 하형(20)에 구비되는 하부 연결플레이트(22)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핑 어셈블리(300)는 상기 프레스 어셈블리의 구동에 따른 운동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스 어셈블리의 후방에 구비된다.
상기 댐핑 어셈블리(300)는 상기 프레스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상하이동유닛(310)과, 상기 상하이동유닛(310)이 하향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유닛(310)에 접촉되어 운동에너지를 저감시키는 댐핑유닛(320)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핑 어셈블리(300)는 상기 댐핑유닛(320)과 함께 상기 상하이동유닛(310)의 운동에너지를 보조적으로 저감시키는 보조댐핑유닛(330)과, 상기 댐핑 어셈블리(300)의 각 구성요소와 연동되어 프레스대상(T)을 이송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롤러(34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스유닛의 전방에는 상기 프레스대상(T)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5)를 더 포함하며, 이와 같은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프레스 어셈블리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어셈블리는 상형(10)과, 하형(20)과, 제1프레싱모듈(100)과, 제2프레싱모듈(200)을 포함한다.
상기 상형(10)은 상부 연결플레이트(1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12)는 상기 제1프레싱모듈(100)과 상호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형(20)은 상기 상형(10)과의 상대 거리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12)와 대향되는 하부 연결플레이트(2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22)는 상기 제2프레싱모듈(200)과 상호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프레싱모듈(100)이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12)에 연결되고, 상기 제2프레싱모듈(200)이 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22)에 연결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본 실시예만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반대로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프레싱모듈(100)이 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22)에 연결되고, 상기 제2프레싱모듈(200)이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12)에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제1프레싱모듈(100)과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12), 그리고 상기 제2프레싱모듈(200)과 상기 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22)는 서로 다양한 방법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프레싱모듈(100)과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12), 그리고 상기 제2프레싱모듈(200)과 상기 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22)는 서로 접착성이 있는 양면테이프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같은 방법 외에도 특정한 체결 구조를 통해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제1프레싱모듈(100)은 제1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12)는 상기 제1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프레싱모듈(100)을 고정시키는 제1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싱모듈(200)은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22)는 상기 제2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프레싱모듈(200)을 고정시키는 제2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싱모듈(100)과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12), 그리고 상기 제2프레싱모듈(200)과 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22)의 다양한 연결 구조인 제1연결부, 제2연결부,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예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프레싱모듈(100)은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12) 또는 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22)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탈착플레이트(110)와,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110)에 구비되어 프레스대상(T, 도 1 참조)을 가압하여 타공하는 가압부(112)와, 상기 제2프레싱모듈(200)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1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싱모듈(200)은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12) 또는 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22) 중 상기 제1프레싱모듈(100)이 연결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탈착플레이트(210)와, 상기 가압부(112)에 대응되는 함몰부(212)와, 상기 가이드돌기(114)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110) 및 상기 제2탈착플레이트(2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12) 또는 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22)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112) 및 상기 함몰부(212)는 상형(10) 및 하형(20)의 프레싱에 의해 서로 맞물리게 되어 프레스대상(T)에 대응되는 형상의 타공홀을 형성한다.
또한 이와 같은 프레싱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돌기(114)는 상기 가이드홈(214)에 삽입되며 상기 제1프레싱모듈(100) 및 상기 제2프레싱모듈(200)의 맞물림 위치를 가이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프레싱모듈(100)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싱모듈(100)은 제1탈착플레이트(110)와, 가압부(112)와, 가이드돌기(11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압부(112)는 프레스대상(T)에 형성될 타공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제1탈착플레이트(110)에 다양한 형태의 가압부(112)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압부(112)를 용이하게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12)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수행할 공정에 따라 제1프레싱모듈(100) 전체를 매번 교체할 필요 없이 상기 가압부(112)의 형상 및 위치만을 바꿔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110)에는 복수의 관통홀(111a)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112)에는 상기 관통홀(111a)에 대응되는 대응홀(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프레싱모듈(100)은 상기 관통홀(111a) 및 상기 대응홀(113)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112)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15)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고정부재(115)는 일부가 상기 관통홀(111a)에 삽입되며, 다른 일부가 상기 대응홀(113)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가압부(112)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110)의 양측에 보조관통홀(111b)이 더 형성된다. 상기 보조관통홀(111b)은 전술한 가이드돌기(1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홀(111a) 및 상기 보조관통홀(111b)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115) 및 상기 가이드돌기(114) 역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2프레싱모듈(2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2프레싱모듈(200)은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12, 도 2 참조) 또는 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22, 도 2 참조) 중 상기 제1프레싱모듈(100)이 연결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탈착플레이트(210)와, 상기 제1프레싱모듈(100)의 가압부(112)에 대응되는 형상 및 배열을 가지는 함몰부(21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각 가압부(112)는 대응되는 함몰부(212)에 삽입됨으로써 프레스대상에 타공홀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프레싱모듈(200)은 상기 가이드돌기(114)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14)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이드돌기(114)는 고정부재(115)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가이드홈(214) 역시 제1프레싱모듈(100)의 상기 관통홀(111a) 및 상기 보조관통홀(111b)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돌기(114)의 외주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관통홀(111a) 및 상기 보조관통홀(111b)에 비해 다소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상부 연결플레이트(12)가 상기 제1프레싱모듈(100)을 고정시키는 제1체결부(14)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22)는 상기 제2프레싱모듈을(200)을 고정시키는 제2체결부(24)를 포함한다.
또한 제1프레싱모듈(100)은 상기 제1체결부(14)에 대응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며, 제2프레싱모듈(200)은 상기 제2체결부(24)에 대응되는 제2연결부(2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체결부(14)와 제1연결부, 그리고 제2체결부(24)와 제2연결부(220)는 자력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체결부(14)와 제1연결부 중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체결부(24)와 제2연결부(220) 역시 동일한 사항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프레싱모듈(100)의 제1연결부는 가압부(112)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15) 자체인 것으로 하였다. 즉 상기 고정부재(115)가 상기 제1체결부(14)에 대응되도록 자석 또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싱모듈(100)을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프레싱모듈(100)과 상부 연결플레이트(12), 그리고 제2프레싱모듈(200)과 하부 연결플레이트(22)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로 탈착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프레싱모듈(100) 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제1프레싱모듈(100)의 제1탈착플레이트(110)와 가압부(112)의 탈착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110)의 내측에는 제1결합부재(116a)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112)의 내측에는 제2결합부재(116b)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들 중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자성체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압부(112)의 탈착 구조가 자력에 의한 결합 방식을 가지며, 이에 따라 신속하고 용이하게 가압부(112)의 분리 및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프레싱모듈(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전술한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110)의 내측에는 제1결합부재(116a)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112)의 내측에는 제2결합부재(116b)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들 중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자성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가압부(112)의 탈착 구조가 자력에 의한 결합 방식을 가진다는 것이 제3실시예와 동일하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110)에는 상기 가압부(112)의 고정 위치를 안내하는 위치안내홈(117a)이 제1결합부재(116a)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112)에는 상기 위치안내홈(117a)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17b)가 더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상기 가압부(112)를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의 정확한 위치에 어긋나지 않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110)에 상기 위치안내홈(117a)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112)에 상기 삽입돌기(117b)가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110)에 상기 삽입돌기(117b)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112)에상기 위치안내홈(117a)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프레싱모듈(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상기 가압부(112)의 탈착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압부(112)에는 끼움돌기(118b)가 형성되며,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110)에 끼움홈(118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112)는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11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5: 가이드롤러 10: 상형
12: 상부 연결플레이트 14: 제1체결부
20: 하형 22: 하부 연결플레이트
24: 제2체결부 100: 제1프레싱모듈
110: 제1탈착플레이트 111a: 관통홀
111b: 보조관통홀 112: 가압부
113: 대응홀 114: 가이드돌기
115: 고정부재 116a: 제1결합부재
116b: 제2결합부재 117a: 위치안내홈
117b: 삽입돌기 118a: 끼움홈
118b: 끼움돌기 200: 제2프레싱모듈
210: 제2탈착플레이트 212: 함몰부
214: 가이드홈 220: 제2연결부
300: 댐핑 어셈블리 310: 상하이동유닛
320: 댐핑유닛 330: 보조댐핑유닛
340: 이송롤러

Claims (6)

  1. 상부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상형;
    상기 상형과의 상대 거리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와 대향되는 하부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형;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 또는 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탈착플레이트와,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에 구비되어 프레스대상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1프레싱모듈; 및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 또는 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탈착플레이트와, 상기 가압부에 대응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제2프레싱모듈;
    을 포함하는 프레스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스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대응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싱모듈은 상기 관통홀 및 상기 대응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프레스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탈착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압부의 고정 위치를 안내하는 위치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위치안내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프레스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싱모듈은 상기 제2프레싱모듈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싱모듈은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프레스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싱모듈은 제1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프레싱모듈을 고정시키는 제1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싱모듈은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2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프레싱모듈을 고정시키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프레스 어셈블리.
KR1020180154386A 2018-12-04 2018-12-04 탈착식 프레싱모듈을 포함하는 프레스 어셈블리 KR102129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386A KR102129185B1 (ko) 2018-12-04 2018-12-04 탈착식 프레싱모듈을 포함하는 프레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386A KR102129185B1 (ko) 2018-12-04 2018-12-04 탈착식 프레싱모듈을 포함하는 프레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478A true KR20200067478A (ko) 2020-06-12
KR102129185B1 KR102129185B1 (ko) 2020-07-01

Family

ID=7108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386A KR102129185B1 (ko) 2018-12-04 2018-12-04 탈착식 프레싱모듈을 포함하는 프레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1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765B1 (ko) * 2020-11-18 2022-05-10 김호민 자성 유닛을 이용한 압형 제작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1504A (ja) * 2004-02-12 2009-03-26 Kimata:Kk プレス金型装置
KR20120009719A (ko) * 2010-07-20 2012-02-02 삼일테크(주) 과부하 및 편심하중 방지를 위한 미캐니컬식 프레스쿠션장치
KR101121650B1 (ko) * 2010-08-18 2012-03-09 윤지훈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킨 프레스 금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1504A (ja) * 2004-02-12 2009-03-26 Kimata:Kk プレス金型装置
KR20120009719A (ko) * 2010-07-20 2012-02-02 삼일테크(주) 과부하 및 편심하중 방지를 위한 미캐니컬식 프레스쿠션장치
KR101121650B1 (ko) * 2010-08-18 2012-03-09 윤지훈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킨 프레스 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185B1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57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knuckle bracket
CN203804021U (zh) 一种冷冲模侧冲孔冲头导向限位结构
JP6792121B2 (ja) プレス金型用ストリッピング装置
CN109483121B (zh) 一种焊接夹具和焊接工装
KR102129185B1 (ko) 탈착식 프레싱모듈을 포함하는 프레스 어셈블리
CN106311904A (zh) 车门内板翻孔冲压模具
US8240182B2 (en) Stamping die
CN204486547U (zh) 高效钢片落料贴胶模具及装置
CN204430014U (zh) 一种模具定位机构
CN110548803A (zh) 凹模底座以及冲压机
KR20170136948A (ko) 보조리턴장치를 구비한 금형용 캠 유니트
CN107252847B (zh) 一种冲压上模
CN105408048B (zh) 用于设置多个电阻焊元件的工具
CN207343535U (zh) 一种高精度折弯成型冲压装置
CN102248063B (zh) 一种冲孔模具的冲孔机构
CN204262156U (zh) 斜楔机构
CN216965974U (zh) 一种坡口冲压成型模具
CN210333948U (zh) 一种压料板内藏式冲孔斜楔结构组件
JPWO2006008861A1 (ja) シャーシ及びシャーシの製造方法並びにシャーシの製造金型
CN211437841U (zh) 一种物联智能燃气表壳体冲压组合模具送料装置
CN215745795U (zh) 一种适用于铜带类钣金件的成形工装
CN211564189U (zh) 板材冲孔模具
CN214977120U (zh) 大面积环形器盖板冲压模具
CN210547366U (zh) 灯具支撑片冲孔定位模具
CN111633115B (zh) 一种可实现多种冲压工艺切换的板材回弹实验的模具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