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888A -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888A
KR20200066888A KR1020180153577A KR20180153577A KR20200066888A KR 20200066888 A KR20200066888 A KR 20200066888A KR 1020180153577 A KR1020180153577 A KR 1020180153577A KR 20180153577 A KR20180153577 A KR 20180153577A KR 20200066888 A KR20200066888 A KR 20200066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olasses
parts
extract
fe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환
김지우
엄은지
Original Assignee
김승환
엄은지
김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환, 엄은지, 김지우 filed Critical 김승환
Priority to KR1020180153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6888A/ko
Publication of KR20200066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88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한약재 부산물 100 중량부, 혼합 추출물 30~150 중량부, 주정 5~20 중량부 및 당밀 발효물 5~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한약재 부산물은 망개(Smilax china) 뿌리, 우엉(Arctium lappa) 및 대추(Zizyphus jujuba Mill)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 추출물은 감귤(Citrus unshiu) 추출물,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당밀 발효물은 당밀(molasses) 및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균을 포함하는 당밀 혼합물을 30~35℃에서, 30 시간 이상 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발효액을 건조하여 제조된다.

Description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FOR FUNCTIONAL FEED COMPOSITION}
본 발명은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료는 가축을 기르고, 달걀, 고기, 우유 및 털과 같은 축산물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영양분을 가지고 있는 물질을 말한다. 사료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통상 농후사료(濃厚飼料, concentrated feed stuff), 조사료(粗飼料, roughage) 및 보충사료(補充飼料, supplement feed)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농후사료는, 곡류, 겨류 및 깻묵류 등으로, 단백질 및 가용 무질소물의 함량이 높은 사료이며, 보충사료는 항산화제, 비타민제 및 호르몬제 등과 같이, 소량 사용하여 특정 영양소를 집중적으로 공급하는 사료이다. 또한 조사료는, 영양소 공급능력에 의해 부피가 크고, 섬유소 함량이 높은 사료(조섬유 함량 18% 이상)를 의미한다.
한편, 조류 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는 닭, 오리 등의 조류에 주로 발병하는 전염성 호흡기 질환으로서, 발병시 조류의 치사율이 매우 높은 가축전염병 중 하나에 속한다. 이러한 조류 인플루엔자는, 높은 전염성 및 치사율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함께, 인체에 감염되지 않는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인체에 감염되는 다른 고병원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패키징 되어, 전혀 다른 항원성의 인플루엔자가 발생할 위험성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조류 인플루엔자는, 철새의 배설물 등의 경로를 통해 조류에 감염이 되어, 전파 속도가 빠르고 전염성이 강한 특징이 있다. 이에 대하여, 조류 등 가축에 항생제를 투약하여 사육하는 대책이 있으나, 가축에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박테리아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축을 섭취하는 경우 항생제 내성을 갖는 박테리아에 감염되어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가축에 항생제를 투약하지 않으면서, 가축의 면역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한편, 가축에 있어서 한약재의 급여는 사료 효율개선, 증체량 증가, 소화효소 분비의 활성화, 면역력 증가, 번식 생산성 개선, 항균화, 항산화 등의 여러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약재는 가축 사료 또는 식품에서 항생제를 대체하여 안전한 축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것이나, 생리학적 약리학적 고찰이 없이 무모한 한방원료의 사용은 오히려 생산성을 저해하는 현상을 가져올 수 있다.
망개뿌리는 청미래 덩굴(smilax china)의 뿌리 부위이며, 이뇨, 해독 및 거풍 등의 효능이 있으며, 토복령(土茯)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청미래 덩굴의 열매는 망개라고도 한다.
대추(Zizyphus jujuba Mill)는 대추 나무의 과실로서, 표면이 적갈색이고 길이 1.5~2.5cm이며, 빨갛게 익으면 단맛이 있다. 과실은 생식하거나, 말려서 견과로서 과자, 요리 및 약리용으로 사용하며, 이뇨, 강장 및 완화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엉(arctium lappa)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 풀로서, 높이가 50~150cm이며, 이뇨제와 발한제로 사용되며, 인후통과 독충에 대한 해독제로도 사용된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은 체내에 열이 과다하게 쌓여서 일어나는 안구충혈과 동통을 제거하고, 찬 약성으로 열을 내리는 효과가 있고, 항염증반응, 항병원 미생물작용, 해열, 이뇨, 혈압강하작용, 혈당 및 고지혈증 강하, 담즙 분비 촉진, 진정 작용 등의 효과가 있는 생약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143941호(2014.12.18 공개, 발명의 명칭: 녹각교를 포함하는 개 영양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가축의 면역력 증진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달걀, 고기, 우유 등 축산물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성물의 혼합성, 사료의 기호성, 소취 효과, 가축 사육장 내 진드기 등 해충 방제 및 기생충 구제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축 체내의 중금속 배출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제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내 유산균 증진으로 인한, 소화 흡수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한약재 부산물 100 중량부, 혼합 추출물 30~150 중량부, 주정 5~20 중량부 및 당밀 발효물 5~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한약재 부산물은 망개(Smilax china) 뿌리, 우엉(Arctium lappa) 및 대추(Zizyphus jujuba Mill)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 추출물은 감귤(Citrus unshiu) 추출물,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당밀 발효물은 당밀(molasses) 및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균을 포함하는 당밀 혼합물을 30~35℃에서, 30 시간 이상 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발효액을 건조하여 제조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주정 및 당밀 발효물은 1:2~1:5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 상기 혼합물을 30~40℃에서 5~10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가축의 면역력 증진 효과가 우수하며, 달걀, 고기, 우유 등 축산물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고, 사료의 기호성과, 가축 사육장 내 소취 효과가 우수하며, 가축 사육장 내 사료 방치시, 진드기 등의 해충 방제 및 기생충 구제 효과가 우수하며, 가축 체내의 중금속 배출 효과가 우수하고, 장내 유산균 증진으로 인한, 소화 흡수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혼합물 제조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상기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한약재 부산물 100 중량부, 혼합 추출물 30~150 중량부, 주정 5~20 중량부 및 당밀 발효물 5~3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한약재 부산물은 망개(Smilax china) 뿌리, 우엉(Arctium lappa) 및 대추(Zizyphus jujuba Mill)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 추출물은 감귤(Citrus unshiu) 추출물,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당밀 발효물은 당밀(molasses) 및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균을 포함하는 당밀 혼합물을 30~35℃에서, 30 시간 이상 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발효액을 건조하여 제조된다.
제1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단계는 한약재 부산물 100 중량부, 혼합 추출물 30~150 중량부, 주정 5~20 중량부 및 당밀 발효물 5~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하, 상기 제1 혼합물의 구성 성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약재 부산물
한 구체예에서 상기 한약재 부산물은, 상기 망개 뿌리, 우엉 및 대추를 탕전 등의 방법으로 추출물을 수득한 후의 잔여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망개 뿌리는, 청미래 덩굴(smilax china)의 뿌리를 사용한다. 상기 우엉은, 우엉의 뿌리 및 줄기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추는, 대추 나무의 열매 부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종류의 한약재 부산물을 포함시, 조류 및 가축의 체내 중금속 배출 효과와, 조류 및 가축 장내 유산균 증진으로 인한 소화 흡수율 개선 및 면역력 증진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한약재 부산물은 망개 뿌리(smilax china), 우엉(arctium lappa) 및 대추(Zizyphus jujuba Mill)를 1:2~3:1~2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범위로 포함시 상기 한약재 부산물 성분 사이에 예측할 수 없는 상승효과가 발생하여, 가축의 면역력 증진 효과가 우수하며, 달걀, 고기, 우유 등 축산물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고, 가축 사육장 내 사료 방치시, 진드기 등의 해충 방제 및 기생충 구제 효과가 우수하며, 가축 체내의 중금속 배출 효과가 우수하고, 장내 유산균 증진으로 인한, 소화 흡수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건조는, 상기 한약재 부산물을 65~90℃의 온도에서 5~20시간 동안 열풍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건조시 살균 효과 및 분쇄 효율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건조시, 상기 한약재 부산물은 최초 100 중량% 기준으로, 35~50 중량% 감소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한약재 부산물의 크기는 0 초과 300㎛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크기는, 상기 한약재 부산물의 "최대 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크기에서, 사료로 사용되기 적합하며, 사료 조성물 제조시 성형성 및 혼합성이 우수할 수 있다.
혼합 추출물
상기 혼합 추출물은 감귤(Citrus unshiu) 추출물,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혼합 추출물을 사료에 적용시, 사육장 내 소취 효과가 우수하고,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 등의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하며, 잔류활성이 강하여 항균 지속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감귤, 황금 및 커피박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다음,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감귤, 황금 및 커피박을 혼합한 다음,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감귤은 감귤 나무 열매의 껍질 부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황금은 황금의 줄기, 꽃 및 뿌리 부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커피박은 커피 열수 추출물의 제조공정에서 생기는 추출 잔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귤 및 황금은 해당 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활용 후에 남은 잔사인, 감귤박 및 황금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귤박 및 황금박을 사용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초음파 추출, 열수 추출, 발효 추출 및 용매 추출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용매 추출은 감귤, 황금 및 커피박 각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추출용매 10~1000 중량부를 투입하고, 40~90℃에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헥산 및 탄소수 1~10의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수 1~10의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펜탄올, 헥사놀 등의 저급 1가 알코올, 1,2-펜탄디올, 1,5-펜탄디올, 헥산디올, 헵탄디올, 옥탄디올, 데칸디올 등의 중급 2가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저급 3가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추출물은 1~10 bar의 압력 조건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조건으로 제조시 상기 감귤, 황금 및 커피박에 함유된 유용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혼합 추출물은 감귤, 황금 및 커피박을 각각 세절하여 분쇄물을 제조한 다음,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하고, 상기 농축물을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물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감귤 추출물은 리모넨(d-limonene) 화합물 등을 포함하고 있어, 상쾌한 향기와 함께 항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감귤피에 포함된 잔여의 폴리페놀 화합물, 정유 성분, 에스테르 성분, 카로티노이드, 폴라보노이드 및 각종 비타민 등에 의한 생리기능활성 효과 또한 우수할 수 있다. 또한, 감귤피 추출물은 정유 성분 등에 의해 잔류 활성이 강하여, 사료 조성물 섭취시 가축의 면역력 증진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황금은 커피박 고유의 커피향이 불쾌한 화독향(탄냄새)으로 변질되는 것을 저감하며, 사료 조성물을 섭취시 가축의 면역력 증진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커피박은 카페인 및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 소취 효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황색 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에 대해 특히 우수한 항균력을 구현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한약재 부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150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혼합 추출물을 3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항균 효과가 미미하며, 15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더 이상의 항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사료 조성물 제조시 혼합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황금 추출물, 커피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1:1~5:5~10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범위로 포함시, 상기 사료 조성물의 소취 효과 및 가축의 면역력 증진 상승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주정
상기 주정은 곡류 또는 당분을 발효하여 제조되며, 알코올 성분(에탄올)을 95 중량% 이상 100 중량% 미만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가축 사료 조성물에 포함시, 체내 무해하면서, 기호성과 체내 면역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 발효는 곡류 또는 당분(설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당분에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효모균을 이용하여 알코올 발효액을 제조한 다음, 균체를 제거하고 알코올 발효액이 알코올 성분을 95% 내지 99%가 되도록 증류 농축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곡류로서 감(persimmon)을 효모를 사용하여 발효 및 여과하여 제조한 감식초를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주정은 상기 한약재 부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20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주정을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사료 조성물의 기호성과, 항균 및 소취 효과가 미미하며,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더 이상의 항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사료 조성물 제조시 혼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당밀 발효물
한 구체예에서 상기 당밀 발효뮬은 당밀(molasses) 및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균을 포함하는 당밀 혼합물을 30~35℃에서, 30 시간 이상 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발효액을 건조하여 제조된다.
상기 당밀은 사탕수수 및 사탕무를 설탕으로 가공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물질이며, 상기 당밀을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균을 접종하여 발효시, 사료 조성물의 혼합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고, 조류 인플루엔자 방제 효과가 우수하며, 가축 사육장 내 사료 방치시, 진드기 등의 해충 방제 및 기생충 구제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당밀과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균을 포함하는 당밀 혼합물을 30~35℃에서 30~48시간 동안 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발효액을 건조기에 투입하고 건조하여 균분리를 하여 당밀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당밀 발효물 제조시 조류 인플루엔자 방제 효과가 우수하며, 가축 사육장 내 사료 방치시, 진드기 등의 해충 방제 및 기생충 구제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당밀 및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균은, 5:1~15:1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사료 조성물의 혼합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고, 조류 인플루엔자 방제 효과가 우수하며, 가축 사육장 내 사료 방치시, 진드기 등의 해충 방제 및 기생충 구제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제1 혼합물을 30℃ 미만의 온도로 발효시, 발효 효율성이 저하되며, 35℃를 초과하여 발효시, 발효 효율성이 저하되어 진드기 등의 해충 방제 및 기생충 구제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당밀 발효물은 상기 한약재 부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30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당밀 발효물을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사료 조성물의 기호성과, 해충 방제 및 기생충 구제 효과가 미미하며,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더 이상의 조류 인플루엔자 방제 효과, 기생충 구제 및 해충 방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생산 비용의 증가 및 조성물 제조시 혼합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주정 및 당밀 발효물은 1:2~1:5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범위로 포함시, 상기 성분 사이의 상승 효과가 우수하여, 사료 조성물의 기호성 및 가축 섭취시 면역력 강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 조성물은 가축의 면역력 증진 효과가 우수하며, 달걀, 고기, 우유 등 축산물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고, 사료의 기호성과, 가축 사육장 내 소취 효과가 우수하며, 가축 사육장 내 사료 방치시, 진드기 등의 해충 방제 및 기생충 구제 효과가 우수하며, 가축 체내의 중금속 배출 효과가 우수하고, 장내 유산균 증진으로 인한, 소화 흡수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물을 30~40℃에서 5~10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숙성시 가축의 면역력 증진 효과가 우수하며, 달걀, 고기, 우유 등 축산물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사료 조성물은, 닭 등의 가금류 용도로 사용되기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을 통하여 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농후사료 또는 조사료(roughage)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비교예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성분은 하기와 같다.
(1) 한약재 부산물 제조: 망개(smilax china) 뿌리, 우엉(arctium lappa)(우엉의 뿌리 및 줄기 부위) 및 대추(Zizyphus jujuba Mill)(대추의 종자 부위)를 탕전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남은 부산물을 준비하고, 상기 망개 뿌리, 우엉 및 대추를 포함하는 한약재 부산물을 건조기에서 70℃에서 10시간 동안 열풍 건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한약재 부산물을 분쇄하여, 망개 뿌리, 우엉 및 대추를 1:3:1 중량비로 포함하며, 분쇄물 크기가 100㎛인 한약재 부산물을 제조하였다.
(2) 혼합 추출물 제조: 감귤(Citrus unshiu)의 껍질을 건조 후 0.1mm 크기로 분쇄하여 감귤 분쇄물을 준비하고,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의 뿌리를 건조 후 0.1mm 크기로 분쇄하여, 황금 분쇄물을 준비하고, 커피원두를 0.1mm 크기로 분쇄한 커피원두 분쇄물을 열수 추출한 다음, 남은 부산물을 건조하여 커피박 분쇄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감귤 분쇄물, 황금 분쇄물 및 커피박 분쇄물 각 100 중량부를 용매(에탄올) 300 중량부에 투입한 다음, 70℃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액을 각각 제조하였다. 상기 각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하고, 상기 농축물을 동결건조하여 동결 건조물 형태의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황금 추출물, 커피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1:3:8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3) 주정 제조: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 Saccharomyces cerevisiae)의 알코올 발효에 의해 제조된 알코올 성분을 99 중량% 포함하는 주정을 준비하였다.
(4) 당밀 발효물 제조: 당밀(molasses) 및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균을 10:1 중량비로 포함하는 당밀 혼합물을 30~35℃에서, 48시간 동안 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발효액을 건조하여 균분리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
하기 표 1에 개시된 성분 및 함량의 구성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40℃에서 5일 동안 숙성하여 사료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상기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 사료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1) 생육 촉진 평가: 부화 후 3일령 된 육계(병아리)에 50마리를 1개 그룹으로 지정하고, 대두박 및 옥수수를 포함하는 사료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사료를 1일 2회 4주 동안 각각 급여하여 사육하였고, 출하수, 초기중량 및 4주 후 평균 중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에서, 대조군은 실시예 및 비교예 사료를 급여하지 않은 그룹을 의미한다.
(2) 산란율 평가: 30 주령 산란계에 대하여, 대두박 및 옥수수를 포함하는 사료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사료를 1일 2회 1개월 동안 각각 급여하여 사육하였으며, 처리구별로 총 산란수를 사육두수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에서, 대조군은 실시예 및 비교예 사료를 급여하지 않은 산란계 그룹의 산란률을 나타낸 것이다.
(3) 소취효과: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사료를 급여하여 산란률 평가시, 사육장 내부의 악취 개선 여부를 하기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매우 우수 ○: 일부 개선됨 △: 거의 개선되지 않음 X: 개선되지 않음)
(4) 기호도: 30 주령 산란계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사료 조성물을 동시에 급여시, 상대적인 선호도를 하기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매우 높음 ○: 높음 △: 중간 X: 낮음)
(5) 항균 활성 시험: 항균활성 평가 방법으로 원형여과지법(paper disc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표준시험균주(식약처 및 MIC test guide line)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를 한국미생물자원센터(KCTC, Korea)와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Korea)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상기 표준시험균주 배양에는 TSA 배지(Tryptic Soy Agar) 배지를 사용하였다.
[최소 성장 억제농도 시험(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 test)]: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독립적인 영양배지(Nutrient Broth)를 준비한 후, 상기에서 준비한 각 표준 시험균주를 3 x 105 cfu/㎖의 양으로 접종하였다. 상기 실시예 중 비교예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시험 농도 1%, 0.5%, 0.25%, 0.125%, 0.0625%, 0.03125%, 0.015625%, 0.0078125% 농도로 조절하고 시험균주의 single colony 이용하여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흡광도(600nm)를 측정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는 최저 농도로 항균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6) 사료 조성물 혼합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사료 조성물 제조시, 혼합성을 하기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매우 우수 ○: 우수 △: 분리 발생 X: 혼합 불량)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적용한 실시예 1~2의 경우, 비교예 1~3 보다 조성물의 혼합성이 우수하였으며, 육계의 생육 촉진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산란율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육장 내부의 악취 개선 효과가 우수하였고, 사료의 기호도 또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는 비교예 1~2 보다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및 녹농균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3)

  1. 한약재 부산물 100 중량부, 혼합 추출물 30~150 중량부, 주정 5~20 중량부 및 당밀 발효물 5~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한약재 부산물은 망개(Smilax china) 뿌리, 우엉(Arctium lappa) 및 대추(Zizyphus jujuba Mill)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 추출물은 감귤(Citrus unshiu) 추출물,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추출물 및 커피박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당밀 발효물은 당밀(molasses) 및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균을 포함하는 당밀 혼합물을 30~35℃에서, 30 시간 이상 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발효액을 건조하여 제조된 것인,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정 및 당밀 발효물은 1:2~1:5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물을 30~40℃에서 5~10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80153577A 2018-12-03 2018-12-03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 KR202000668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577A KR20200066888A (ko) 2018-12-03 2018-12-03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577A KR20200066888A (ko) 2018-12-03 2018-12-03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888A true KR20200066888A (ko) 2020-06-11

Family

ID=71070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577A KR20200066888A (ko) 2018-12-03 2018-12-03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68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206B1 (ko) 2020-08-20 2020-12-15 주은바이오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감귤박의 수분함량을 조절하는 신규 발효공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된 사료 조성물
KR20220079774A (ko) 2020-12-04 2022-06-14 주은바이오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맥주박의 수분함량을 조절하는 신규 발효공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된 사료 조성물
KR20220089557A (ko) * 2020-12-21 2022-06-28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감귤 부산물을 이용한 돼지 증체용 사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206B1 (ko) 2020-08-20 2020-12-15 주은바이오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감귤박의 수분함량을 조절하는 신규 발효공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된 사료 조성물
KR20220079774A (ko) 2020-12-04 2022-06-14 주은바이오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맥주박의 수분함량을 조절하는 신규 발효공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된 사료 조성물
KR20220089557A (ko) * 2020-12-21 2022-06-28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감귤 부산물을 이용한 돼지 증체용 사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105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518987B (zh) 一种玉米蛋白鸡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222658A (zh) 一种药用蚂蟥营养饲料及其制备方法
KR20200066888A (ko)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1956516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7841A (ko) 면실류, 미강, 비트펄프 및 유황이 함유된 참나무톱밥 배지에서 생산한 느타리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이용한 굼벵이 양식용 사료 제조방법
KR20200003993A (ko) 쪽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400133B1 (ko)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71207A (ko)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갈색거저리 전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갈색거저리의 사육방법
KR101335081B1 (ko) 강황과 캡사이신을 사과부산물과 함께 발효하여 항바이러스와 항균력이 있는 항생제 대체용 기능성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KR101426501B1 (ko) 쇠비름 및 미강을 함유하는 발효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82813B1 (ko) 면역력 증강 천연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963185B1 (ko) 굼벵이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굼벵이 사육 방법
KR20100027280A (ko) 식품폐기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사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발효사료
KR102315313B1 (ko) 면역력 증진 및 악취제거용 애완동물 보조사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2134543B1 (ko) 닭사료 조성물
KR102017341B1 (ko) 육돈용 사료 조성물
RU2751227C2 (ru) Корм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101950337B1 (ko) 유황오리를 이용한 약간장 제조방법
KR102365311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령견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6274B1 (ko) 매실을 이용한 장어 양식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장어의 양식방법
KR20200066887A (ko) 기능성 사료 조성물
KR102108686B1 (ko) 스테비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양파껍질 효소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2684B1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을 함유하는 조미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료
Biswas et al. The Miracle Plant—Moring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