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202A -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202A
KR20200065202A KR1020180151328A KR20180151328A KR20200065202A KR 20200065202 A KR20200065202 A KR 20200065202A KR 1020180151328 A KR1020180151328 A KR 1020180151328A KR 20180151328 A KR20180151328 A KR 20180151328A KR 20200065202 A KR20200065202 A KR 20200065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interface
interface device
current collector
rapid charging
automatic rap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1078B1 (ko
Inventor
오용국
황현철
곽재호
이수형
박성원
남성원
김형진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51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0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1DC charging controlled by the charging station, e.g. mode 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5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without mechanical contact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power supply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6Suspension ins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8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60Y2200/912Electric vehicles with power supply external to vehicle, e.g. trolley buses or t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가선 트램 등 무가선 교통 시스템의 충전을 위하여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차량측 집전설비의 간소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 및 운영이 간결하도록 하는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가선 교통 시스템의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무가선 차량에 설치되는 집전부와, 상기 집전부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급전부와, 상기 급전부와 집전부의 접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quick charging interface system}
본 발명은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가선 트램 등 무가선 교통 시스템의 충전을 위하여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차량측 집전설비의 간소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 및 운영이 간결하도록 하는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이 설정된 궤도 위를 주행하는 교통 시스템에 있어서, 가선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지 않고 주행하는 전기 차량을 사용한 무가선 교통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무가선 교통 시스템의 전기 차량은 축전 장치를 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무가선 교통 시스템의 전기차량의 축전 장치는 차체에 기존의 팬터그래프 장치와 동일한 장치를 구비하여 에너지를 공급받고 있으나, 이 방식은 차량 내 불필요한 공간의 점유 및 고율 충전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 전 세계적인 친환경 수송시스템의 보급 정책에 따라 교통시스템을 위한 대용량 자동충전공급방식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개념들은 무가선 트램에서 요구하는 매체의 고용량, 고출력 특성 및 휠-레일 구동방식에 따른 정밀정차 성능에 부합하지 않아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역팬터그래프 장치가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역팬터그래프 장치는 차량과의 접촉력을 유지하기 위한 힘의 방향이 수직방향으로만 제한되기 때문에 차량 진입방향으로 접촉력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있으며, 차량이 정확히 접촉지점에 정밀 정차할 시에만 사용 가능한 단점이 있으며, 역팬터그래프 방식 또한 기존의 팬터그래프의 기계적 구조를 그대로 활용하는데, 이는 동적으로 움직이는 차량의 상하 진동 환경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93159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101566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7007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가선 트램 등 무가선 교통 시스템의 충전을 위하여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차량측 집전설비의 간소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 및 운영이 간결하도록 하는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 무인 급속충전장치 도입을 통해 차량 운영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가선 교통 시스템의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무가선 차량에 설치되는 집전부와, 상기 집전부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급전부와, 상기 급전부와 집전부의 접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집전부는 무가선 차량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집전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전부는 "X"자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설치부재와, 상기 설치부재의 하단에 설치되는 급전판과, 상기 설치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는 전자석 커플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급전판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부재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전부의 전자석 커플링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집전부는 무가선 차량의 상단에 구비되는 절연애자와, 상기 애자의 상단에 구비되는 집전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급전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 설치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하단에 구비되는 급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기어박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어박스와 로드의 사이에는 댐퍼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로드가 가이드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면 및 로드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무가선 트램 등 무가선 교통 시스템의 충전을 위하여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차량측 집전설비의 간소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 및 운영이 간결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 무인 급속충전장치 도입을 통해 차량 운영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의 일 실시 예의 충전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충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의 일 실시 예의 충전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충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무가선 트램 등 무가선 교통 시스템의 충전을 위하여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차량측 집전설비의 간소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 및 운영이 간결하도록 하는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무가선 차량(10)에 설치되는 집전부(110)와, 상기 집전부(110)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급전부(120)와, 상기 급전부(120)와 집전부(110)의 접촉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집전부(110)는 무가선 차량(10)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집전판(112)으로 이루어져 무가선 차량(10)에 구비되는 충전전원(미도시)에 연결되는 것으로, 후술할 급전부(120)와의 접촉 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전원(미도시)에 충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집전판(112)은 상기 무가선 차량(10)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 설치될 수도 있고, 무가선 차량(10)의 상부면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할 제어부(130)로부터 충전신호가 발생될 때만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집전판(112)은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하중이나 휠의 마모 상태에 따른 무가선 차량(10)의 높낮이 오차를 극복하여 후술할 급전부(120)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급전부(120)는 상하이동가능하게 지주(미도시)에 설치되는 것으로, "X"자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는 설치부재(122)와, 상기 설치부재(122)의 하단에 설치되는 급전판(124)과, 상기 설치부재(122)의 상단에 구비되는 전자석 커플링(1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설치부재(122)는 서로 교차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전자석 커플링(126)에 전원이 인가되면 그 인력에 의해 전자석 커플링(126)이 접촉되면서 설치부재(122)의 양 단부가 서로 맞닿게 되고, 그에 따라 설치부재(122)의 하단에 구비되는 급전판(124)이 집전부(110)의 집전판(112)의 양 측면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자석 커플링(126)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집전판(112)과 급전판(124)이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하게 됨으로써 충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급전판(124)은 무가선 차량(1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됨으로써 무가선 차량(10)이 충전을 위해 정위치 정차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집전부(110)의 집전판(112)과 급전부(120)의 급전판(124) 사이에 접촉이 가능하도록 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부재(122)의 사이에는 탄성부재(128)가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부재(128)는 설치부재(122)가 "X"자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전자석 커플링(126)에 인가되는 전원의 차단시 응축되어 있던 탄성력에 의해 설치부재(122)를 다시 "X"자로 복귀시켜 자동으로 급전판(124)과 집전판(112)의 접촉을 해제하여 충전이 종료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무선 통신에 의해 무가선 차량(10)이 충전장소에 진입 시 급전판(124)을 집전판(112)에 접촉시키기 위해 전자석 커플링(126)에 전원을 공급하여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제어하고, 충전 완료시에는 전자석 커플링(126)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충전이 종료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급속충전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다른 실시 예예 의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전부(210)는 무가선 차량(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절연애자(212)와, 상기 절연애자(212)의 상단에 구비되는 집전판(214)으로 이루어져 무가선 차량(10)에 구비되는 충전전원(미도시)에 연결되는 것으로, 후술할 급전부(220)와의 접촉 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전원(미도시)에 충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집전판(214)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무가선 차량(10)이 충전을 위해 정위치 정차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집전부(210)의 집전판(214)과 급전부(220)의 급전판(228) 사이에 접촉이 가능하도록 하여 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급전부(220)는 상하이동가능하게 지주(미도시)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222)와, 상기 본체(222)의 내측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224)와 상기 동력전달부(224)에 연결 설치되는 로드(226)와, 상기 로드(226)의 하단에 구비되는 급전판(2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224)는 모터(224a)와 상기 모터(224a)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박스(224b)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어박스(224b)와 로드(226)의 사이에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댐퍼부재(229)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222)에는 상기 로드(226)가 가이드되는 가이드부(222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222a)의 내주면 및 로드(226)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부(224)의 모터(224a)가 구동되면 기어박스(224b)에 의해 상기 댐퍼부재(229) 및 로드(226)에 회전력이 전달되며, 로드(226)가 회전하며 가이드부(222a)에 의해 가이드되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댐퍼부재(229)는 인장되고, 급전판(228)은 집전판(214)에 접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급전판(228)이 하향 이동하게 되므로, 하중이나 휠의 마모 상태에 따른 무가선 차량(10)의 높낮이 오차를 극복할 수 있으며, 댐퍼부재(229)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급전판(228)을 집전판(214)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충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30)는 무선 통신에 의해 무가선 차량(10)이 충전장소에 진입 시 급전판(226)을 집전판(214)에 접촉시키기 위해 모터(224a)에 전원을 공급하여 정회전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로드(226)가 하향 이동되도록 제어하여 급전판(226)이 집전판(214)에 접촉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충전 완료시에는 모터(224a)를 역회전 구동하여 로드(226)를 상향 이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급전판(226)과 집전판(214)의 접촉을 해제하여 충전이 종료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급속충전 인터페이스 장치(100,200)에 의하면, 무가선 트램 등 무가선 교통 시스템의 충전을 위하여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차량측 집전설비의 간소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 및 운영이 간결하도록 하며, 자동 무인 급속충전장치 도입을 통해 차량 운영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가선 트램 등 무가선 교통 시스템의 충전을 위하여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차량측 집전설비의 간소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 및 운영이 간결하도록 하는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10: 무가선 차량
100, 200: 자동 급속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110,210: 집전부 112,214:집전판
120,220: 급전부 122: 설치부재
124: 급전판 126: 전자석 커플링
128: 탄성부재 130,230: 제어부
212: 절연애자 222: 본체
222a: 가이드부 224: 동력전달부
224a: 모터 224b: 기어박스
226: 로드 228: 급전판
229: 댐퍼부재

Claims (11)

  1. 무가선 교통 시스템의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무가선 차량에 설치되는 집전부와,
    상기 집전부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급전부와,
    상기 급전부와 집전부의 접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부는 무가선 차량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집전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X"자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설치부재와,
    상기 설치부재의 하단에 설치되는 급전판과,
    상기 설치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는 전자석 커플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판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전부의 전자석 커플링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부는 무가선 차량의 상단에 구비되는 절연애자와,
    상기 애자의 상단에 구비되는 집전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 설치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하단에 구비되는 급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기어박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어박스와 로드의 사이에는 댐퍼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로드가 가이드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면 및 로드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180151328A 2018-11-29 2018-11-29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KR102151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328A KR102151078B1 (ko) 2018-11-29 2018-11-29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328A KR102151078B1 (ko) 2018-11-29 2018-11-29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202A true KR20200065202A (ko) 2020-06-09
KR102151078B1 KR102151078B1 (ko) 2020-09-03

Family

ID=71082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328A KR102151078B1 (ko) 2018-11-29 2018-11-29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0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4288A (zh) * 2020-06-28 2021-12-28 通号轨道车辆有限公司 一种有轨电车地面充电系统及有轨电车的地面充电方法
KR20220101824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펌프킨 전기차 충전을 위한 곡선 이동식 팬터그래프 자동 충전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499A (ko) * 2007-02-27 2009-03-18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무가선 교통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KR20120101566A (ko) 2009-12-23 2012-09-13 프로테라 인크 전기 차량용 충전소
CN106602682A (zh) * 2016-12-27 2017-04-26 张煌辉 电动汽车无线充电自动对焦下伸式调节器
CN106809039A (zh) * 2015-11-30 2017-06-09 天津市松正电动汽车技术股份有限公司 智能充电机构
KR20170070078A (ko) 2014-09-30 2017-06-21 블루트램 재충전 스테이션에 대한 전기 자동차의 위치설정 지원 방법 및 시스템, 이 방법을 구현하는 재충전 스테이션 및 전기 자동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499A (ko) * 2007-02-27 2009-03-18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무가선 교통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KR100993159B1 (ko) 2007-02-27 2010-11-09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무가선 교통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KR20120101566A (ko) 2009-12-23 2012-09-13 프로테라 인크 전기 차량용 충전소
KR20170070078A (ko) 2014-09-30 2017-06-21 블루트램 재충전 스테이션에 대한 전기 자동차의 위치설정 지원 방법 및 시스템, 이 방법을 구현하는 재충전 스테이션 및 전기 자동차
CN106809039A (zh) * 2015-11-30 2017-06-09 天津市松正电动汽车技术股份有限公司 智能充电机构
CN106602682A (zh) * 2016-12-27 2017-04-26 张煌辉 电动汽车无线充电自动对焦下伸式调节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4288A (zh) * 2020-06-28 2021-12-28 通号轨道车辆有限公司 一种有轨电车地面充电系统及有轨电车的地面充电方法
CN113844288B (zh) * 2020-06-28 2024-05-28 通号轨道车辆有限公司 一种有轨电车地面充电系统及有轨电车的地面充电方法
KR20220101824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펌프킨 전기차 충전을 위한 곡선 이동식 팬터그래프 자동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078B1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2790B2 (en) Vehicle charging system
WO2015068221A1 (ja) 電動車両の接触充電方法及び接触充電システム
KR20200065202A (ko) 자동급속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JP2013233037A (ja) 電動車両の接触充電方法及び接触充電システム
JP2018534896A (ja) 誘導的なエネルギー伝送方法、及び、誘導的なエネルギー伝送装置を駆動する装置
CN104029686A (zh) 一种磁悬浮列车的轨道组件
JP5759575B2 (ja) 電動車両及び電動車両の接触充電システム
WO2015118574A1 (ja) 列車エネルギー制御システム、地上装置、車上装置
CN102271955B (zh) 用于对无接触线的交通工具进行充电的方法和系统
US20150031306A1 (en) Rail system having a wired communication zone
CN105052012A (zh) 供电装置、受电装置及供电系统
KR100381343B1 (ko) 경량전철용 횡방향형 제3궤조 집전장치
CN103660956A (zh) 煤矿开采的运输系统
KR101828160B1 (ko) 무가선 노면 전차 시스템
US11241974B2 (en) Interchangeable energy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102031545B1 (ko) 전기구동체의 무선충전 시스템
CN103496425A (zh) 自行车在下坡时发电补充飞轮电池能量的装置及使用方法
JP5883464B2 (ja) 乗用電動車両及び乗用電動車両の接触充電システム
JP2019118239A (ja) 充電システム
CN109229113B (zh) 一种直线电机轨道驱动式井下磁悬浮列车
KR102561273B1 (ko) 컨택트바 접촉력 조절장치
KR102658349B1 (ko) 전기차량용 무선 충전시스템
CN112297853B (zh) 用于轨道交通系统的充电系统和轨道交通系统
CN210707704U (zh) 一种自动引导运输车用减震底盘
KR20170112412A (ko) 배터리 교환식 노면전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