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367A -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367A
KR20200061367A KR1020207011605A KR20207011605A KR20200061367A KR 20200061367 A KR20200061367 A KR 20200061367A KR 1020207011605 A KR1020207011605 A KR 1020207011605A KR 20207011605 A KR20207011605 A KR 20207011605A KR 20200061367 A KR20200061367 A KR 20200061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van
skin
galloyl group
aquapori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미 나카무라
유코 후쿠이
다카츠구 츠치야
레이코 이즈미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61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3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쿠아포린 3의 발현을 촉진하는 특정 조성물 및 그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용도
본 발명은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피부 고민, 미용에 관한 요구는 피부의 보습이나 촉촉함에 관한 것이 많아, 피부의 촉촉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피부의 촉촉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백질로서 아쿠아포린(Aquaporin, AQP)이 알려져 있다.
AQP은 물을 빠르게 대량으로 통과시키는 채널로서 1992년에 발견된 단백질이며, 인간에게서는 13 종류(AQP0-AQP12)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들 AQP은 세포나 조직의 종류에 따라서 특이적으로 분포된다. AQP은 인간의 거의 모든 장기에 분포하며, 신장 등의 물 수송이 활발한 장기에는 특히 많고, 각각이 협조적으로 기능하여, 뇨의 산생, 소화액의 분비, 건조로부터의 보호, 나아가서는 세포끼리의 결합을 포함하는 다채로운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비특허문헌 1).
피부는 표면에서부터 표피, 진피 및 피하 조직의 3층 구조를 취하고 있다. 표피는 각층(角層), 과립층(顆粒層), 유극층(有棘層), 기저층(基底層)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층은 대기 중으로의 수분 증산(蒸散)을 막는 기능이 있고, 또한 외기나 피부 내부의 물을 받아들이는 능력과 그 수분을 유지하는 능력이 있다. 각층에는 물의 공급원인 혈관이 존재하지 않지만, 아쿠아포린 3(AQP3)이 세포막에 발현하여 세포 간극의 물 분자를 받아들임으로써 물의 통로가 되어 각질에 물을 골고루 퍼지게 할 수 있다. 실제로 AQP3을 결손시킨 마우스의 피부에서는, 야생형 마우스의 피부와 비교하여, 각층 수분량과 피부의 탄력성이 현저히 저하하는 점에서 봤을 때도 피부의 촉촉함 유지에 AQP3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 또한, 피부 거칠음 등의 창상(創傷)을 입은 경우의 회복능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봤을 때도 AQP3 산생을 증강함으로써 다양한 피부 트러블을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왔다(비특허문헌 2).
피부 상피세포에 있어서는 AQP3이 발현하고 있고, AQP3의 발현량이 증가하면, 피부 조직의 함수량이 증가하여, 피부가 젊어 보이고, 피부 탄력성이 증가하고, 창상 치유 능력이 높아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3). 한편, AQP3의 발현이 결손되면, 피부 조직의 탄력성 저하 및 건조를 초래하고, 또한 상처의 치유가 늦어진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4).
또한, AQP3은 글리세롤의 수송체로서의 기능도 가져, 각층의 글리세롤을 늘릴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비특허문헌 5).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3-87058호 공보
비특허문헌 1: 물과 아쿠아포린의 생물학 2008년, 사사끼 마코토 편집, 나카야마쇼텐 비특허문헌 2: Roles of Aquaporin-3 in the Epidermis. Hara-Chikuma M. and Verkman AS, J Invest Dermatol(2008) 128:2145-2151 비특허문헌 3: Hydrating skin by stimulation biosynthesis of aquaporins. Dumas M., et al., J Drugs Dermatol.(2007) 6:s20-4 비특허문헌 4: Aquaporin-3 facilites epidermal cell migration and proliferation during wound healing. Hara-Chikuma M. and Verkman AS., J Mol Med.(2008) 86:221-231 비특허문헌 5: Expression and function of aquaporins in human skin: Is aquaporin-3 just a glycerol transporter? Boury-Jamot M., et al., Biochim Biophys Acta.(2006) 1758:1034-1042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아쿠아포린의 산생 증강 제제가 기재되어 있고, 포도잎 등의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아쿠아포린의 산생을 증강하는 유효 성분은 구체적으로 특정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을 뿐이다. 여기서, 식물의 추출물에는 여러 가지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음식품,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 등에 함유시키기 위해서는, 타겟으로 하는 아쿠아포린의 산생을 증강하는 성분을 특정할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쿠아포린 3의 발현을 촉진하는 특정 조성물 및 그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수행한 결과, 후술하는 특정 포도 유래의 원료가 피부의 촉촉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후술하는 특정 포도 유래의 원료가 피부 상피세포의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고, 포도 유래 원료에 포함되는 성분 중에서도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올리고메릭 프로안토시아니딘(OPC))가 특히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9)에 관한 것이다.
(1) 유효 성분으로서,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용 조성물.
(2) 상기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상기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는 포도 유래 원료에 포함되는 것인 상기 (1)에 기재한 조성물.
(3) 상기 포도 유래 원료는, 포도의 과피, 과실 및 종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원료, 상기 생원료의 발효물, 이들의 추출물 및 이들의 가공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상기 (2)에 기재한 조성물.
(4) 상기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또는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조성물.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5) 상기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는,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또는 하기 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조성물.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6) 음식품,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인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조성물.
(7) 피부 촉촉함의 개선, 피부의 수분 보급, 피부의 수분 유지, 피부의 보습, 피부의 건조 완화, 피부 상태 개선, 피부의 배리어 기능을 높임, 피부 거칠음 예방, 피부 거칠음 개선, 피부 기능 유지, 피부 기능 개선 및 상처의 치유 촉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용도에 이용되는 상기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조성물.
(8)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의,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을 위한 용도.
(9)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의, 아쿠아포린 3의 발현 촉진에 의한 피부의 촉촉함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도.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는 아쿠아포린 3의 발현을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유효 성분으로서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유효 성분으로서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쿠아포린 3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피부의 촉촉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피부 촉촉함 평가 시험에 있어서의 피험자의 각층의 함수량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b)는 피부 촉촉함 평가 시험에 있어서의 피험자의 각층의 함수량의 변화량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1∼실시예 2-8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한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2-6에 따른 조성물의 획분을 이용한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1∼실시예 3-4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한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1∼실시예 4-4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한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1∼실시예 5-2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한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을 이 실시형태에만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함하고,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을 위해서」 또는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에 의한 피부의 촉촉함 향상을 위해서」 사용된다.
피부의 촉촉함 향상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이다. 또한,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에 공통된 구성 등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을 합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라고도 기재한다.
상기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란, 카테킨이나 에피카테킨 등으로 대표되는 플라반-3-올에 갈로일기가 결합한 것인데, 그 결합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플라반 골격에 결합되어 있어도 좋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는, 플라반 골격의 3 위치의 수산기에 갈로일기가 결합한 것, 즉, 플라반 골격의 3 위치의 수산기가 몰식자산과 에스테르 결합한 화합물이라도 좋다.
상기 플라반-3-올의 3 위치의 수산기에 갈로일기가 결합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즉, 카테킨갈레이트, 에피카테킨갈레이트나,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갈로카테킨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피카테킨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반-3-올 중합체는 플라반-3-올을 구성 단위로 하며, 플라반-3-올이 4-6 위치 또는 4-8 위치에서 결합한 2량체 이상의 중합체이다. 플라반-3-올 중합체는 폴리페놀의 일종이며, 축합형 탄닌이라고도 불리고 있는 화합물이다.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는, 갈로일기로 수식된 플라반-3-올을 적어도 하나의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는 플라반-3-올 중합체이다. 구성 단위의 플라반-3-올에 있어서의 갈로일기의 결합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는, 플라반 골격의 3 위치의 수산기에 갈로일기가 결합한 플라반-3-올(플라반 골격의 3 위치의 수산기가 몰식자산과 에스테르 결합한 플라반-3-올)을 구성 단위에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는 중합도 등이 다른 2종 이상의 중합체의 혼합물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플라반-3-올 중합체는, 구성 단위인 플라반-3-올이 4-8 위치에서 결합한 2량체 이상의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4-6 위치에서 결합한 플라반-3-올 2량체와, 4-8 위치에서 결합한 플라반-3-올 2량체에서는, 4-8 위치에서 결합한 플라반-3-올 2량체 쪽이 포도 등의 천연물에 있어서의 함유량이 많아, 아쿠아포린 3의 발현을 촉진하기 위한 충분한 양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플라반 골격의 3 위치의 수산기에 갈로일기가 결합한 플라반-3-올을 구성 단위에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로서는, 예컨대 상기 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는, 음식품,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에 적용되는 조성물이라는 관점에서, 1량체부터 3량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량체 및/또는 3량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량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경구 섭취되는 경우, 플라반-3-올 모노머 및 2량체의 플라반-3-올 중합체는 체내에의 흡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외용제로서 이용되는 경우, 아쿠아포린 3의 발현하는 케라티노사이트에의 흡수 침투를 고려하면, 플라반-3-올 모노머 2 및/또는 3량체의 플라반-3-올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카테킨, 에피카테킨 등의 플라반-3-올 모노머, 2량체 및/또는 3량체의 플라반-3-올 중합체는,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 또는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에 의한 피부의 촉촉함 향상」 작용이 낮지만, 갈로일기를 가지면 그 작용이 향상된다. 특히 2량체 및/또는 3량체의 플라반-3-올 중합체에서는, 갈로일기를 가짐으로써 상기 작용이 현저히 향상된다. 따라서,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2량체 및 3량체의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은, 혈중을 순환하여, 케라티노사이트에 흡수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작용이 높은 조성물로 될 수 있다. 또한,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 작용의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이용되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카테킨-(-)-에피카테킨-3-O-갈레이트(이하, C-ECG라고도 기재한다.), (-)-에피카테킨-(-)-에피카테킨-3-O-갈레이트(이하, EC-ECG라고도 기재한다.) 등의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2량체, (+)-카테킨-(+)-카테킨-(-)-에피카테킨-3-O-갈레이트(이하, C-C-ECG라고도 기재한다) 등의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3량체 등이 바람직하다.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는, 그 유래나 제조 방법에 따라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식물로부터 추출한 식물 유래인 것을 이용하여도 좋고, 합성법에 의해서 얻어진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는, 예컨대 포도, 차나무 등의 식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또한,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는, 예컨대 포도, 서양배, 리치 등의 식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예컨대 포도 종자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가 포함되어 있다(참조문헌 1: “Comparative flavan-3-ol composition of seeds from different grape varieties” Food Chemistry 53(1995) 197-201, 참조문헌 2: “PROCYANIDIN DIMERS AND TRIMERS FROM GRAPE SEEDS” Phytochemistry Vol. 30. No. 4, pp 1259-12641991, 참조문헌 3: “「포도 종자 폴리페놀」 기능성의 응용” NEW FOOD INDUSTRY Vol. 43 No. 11(2001) 별책).
피부 촉촉함 향상용 및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 증가의 관점에서, 상기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는, 포도 유래 원료에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포도 유래 원료에 포함되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는 안전성의 관점에서 적합하다.
포도 유래 원료는, 포도의 과피, 과실 및 종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원료, 상기 생원료의 발효물, 이들의 추출물 및 이들의 가공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포도 유래 원료는, 포도의 과피 및/또는 종자, 포도의 과피 및/또는 종자의 발효물, 이들의 추출물 및 이들의 가공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포도 유래 원료는 포도의 생원료로서 포도의 과피 및/또는 종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함하는 상기한 포도 유래 원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생원료의 추출물」이란, 생원료로부터 얻어지는 일부의 성분을 의미한다.
생원료의 추출물로서는, 예컨대 과즙(스트레이트 과즙 및 농축 과즙) 등을 들 수 있다.
생원료의 발효물로서는, 예컨대 와인 등을 들 수 있다.
생원료의 발효물의 추출물로서는, 예컨대 와인 발효 잔사의 물 또는 에탄올 등의 용매로 추출한 것을 들 수 있다.
생원료의 발효물의 가공물로서는, 예컨대 와인의 농축물, 희석물이나 특정 성분을 농축 또는 제거한 것을 들 수 있고, 와인으로부터 알코올분을 유거(留去)한 것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원료의 추출물은 식물 성분의 추출에 이용되는 통상의 추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추출 방법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추출 조건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포도의 과피, 과실 및 종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원료를 상온, 가온 또는 저온 하에서 용매로 추출하여도 좋다.
또한, 추출을 행하는 경우, 생원료를 분쇄하여도 좋다.
분쇄 방법으로서는, 일본 특허 제4892348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이 생원료를 액체 질소 속에서 분쇄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생원료의 추출물을 추출액 형태로 얻는 경우에는, 예컨대 용매 중에 생원료를 가하고, 적절하게 가열, 교반 등을 행하여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생원료의 추출물을 얻더라도 좋다.
추출에 이용하는 용매(추출 용매)로서는, 물,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매로서는, 예컨대 에탄올, 1,3-부틸렌글리콜(표시 명칭: BG), 1,2-펜탄디올(표시 명칭: 펜탄디올), 프로판-1,2-디올(표시 명칭: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표시 명칭: 펜탄디올), 스쿠알란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용매는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도 좋다.
추출함에 있어서 산 또는 알칼리를 첨가하여 추출 용매의 pH를 조정하여도 좋다.
추출 시에는 적절하게 가압하여도 좋다. 추출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0∼130℃가 바람직하고, 20∼100℃가 보다 바람직하고, 50∼100℃가 더욱 바람직하고, 70∼95℃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 온도는 용매의 비점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시간은 추출 온도 등의 추출 조건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추출 후에는 얻어진 추출물로부터 추출 잔사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여과, 원심분리 등의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에 의해 얻어진 추출액을 포도 유래 원료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추출액을 적절한 용매로 희석하여 포도 유래 원료로 하여도 좋고, 이 추출액에 농축 또는 건조 공정을 행하여 농축물이나 건조물로 하여도 좋다. 농축 방법, 건조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동결 건조, 분무 건조 등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물의 형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액상, 분말형, 페이스트형으로 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 추출물을, 추가로 적당한 정제 방법 또는 분리 방법(예컨대 액액 추출(액액 분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활성이 높은 획분을 정제 또는 분획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포도 유래 원료는, 상기와 같은 추출 방법으로 얻어진 각종 용매 추출액, 그 희석액, 그 농축물, 그 건조물, 이들의 정제 획분을 포함한다.
상기 생원료의 발효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효모에 의한 발효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효모로서는 예컨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 Saccharomyces cerevisiae )를 이용할 수 있다.
발효 조건은 효모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포도 유래 원료의 유래가 되는 포도의 품종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와인의 원료가 되는 품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와인의 원료가 되는 품종으로서는, 적와인의 원료가 되는 품종, 백와인의 원료가 되는 품종을 들 수 있다.
또한, 적와인의 원료가 되는 품종으로서는, 메를로( Merlot ), 가르나차 틴토레라( Garnacha Tintorera ), 안첼로타( Ancellotta ), 모나스트렐( Monastrell ), 템프라니요( Tempranillo ), 까베르네 쏘비뇽( Cabernet Sauvignon ), 피노 누아( Pinot Noir ), 뮈스카 베일리 A( Muscat Bailey A ) 및 콩코드( Concord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와인의 원료가 되는 샤도네이( Chardonnay ), 샤블리( Chablis ), 코슈( Koshu )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품종으로부터의 포도 유래 원료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우수한 피부 촉촉함 향상 효과를 보이고, 우수한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 증가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는, 상기 포도 유래 원료로부터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도 유래 원료로부터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분획 방법 등을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 이용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포도 종자로부터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추출 및 정제하는 경우는, 포도 종자를 함수 알코올로 추출한 후, 얻어지는 추출액을 여과, 농축하여 알코올을 제거한 후, 컬럼 정제 등의 정제를 행함으로써,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함하는 포도 종자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얻어진 포도 종자 추출물을 추가로 정제하여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의 순도를 높일 수도 있다.
또한,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는, 포도 외에 차나무 유래 원료로부터 얻어지며, 예컨대 녹차잎으로부터 추출하여 정제를 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플라반-3-올의 모노머 및 중합체가 갈로일기를 갖는 것은, 예컨대 상기 플라반-3-올의 모노머 및 중합체를 탄나아제 처리 또는 산 가수분해 처리한 경우에, 몰식자산이 생성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처리에 의해 몰식자산을 생성하는 플라반-3-올의 모노머 및 중합체는 갈로일기를 갖는다.
몰식자산이 생성되었음의 확인은, 플라반-3-올의 모노머 및 중합체에 관해서, 탄나아제 처리 또는 산 가수분해 처리의 처리 전과 후의 몰식자산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 처리 후의 플라반-3-올의 모노머 및 중합체에 있어서의 몰식자산의 양이, 처리 전의 플라반-3-올의 모노머 및 중합체에 있어서의 몰식자산의 양과 비교하여 많은 경우는, 상기 처리에 의해 몰식자산이 생성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음식품,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음식품,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들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상기 포도 유래 원료를 배합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들 음식품,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 등의 원료로서 이용되는 원료용 조성물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의 촉촉함 개선, 피부의 수분 유지, 피부의 수분 보급, 피부의 보습, 피부의 건조 완화, 피부의 배리어 기능을 높임, 피부 상태 개선, 피부 거칠음 예방, 피부 거칠음 개선, 피부 기능 유지, 피부 기능 개선 및 상처의 치유 촉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용도로 이용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음식품」은 고체, 유동체 및 액체,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이며, 경구 섭식 가능한 것의 총칭이다.
음식품의 예로서는, 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보조식품, 건강식품, 기능성 표시 식품, 유아용 식품, 유아용 조제유, 미숙아용 조제유, 노인용 식품 등을 들 수 있다.
특정 보건용 식품이란, 일본 건강증진법 제26조 제1항의 허가 또는 동법 제29조 제1항의 승인을 받아, 식생활에 있어서 특정 보건의 목적으로 섭취를 하는 자에 대하여, 그 섭취에 의해 해당 보건의 목적을 기대할 수 있는 취지의 표시를 하는 식품을 의미한다.
영양보조식품이란, 특정 영양 성분이 강화되어 있는 식품을 말한다. 건강식품이란, 건강적인 또는 건강에 좋다고 여겨지는 식품을 말하며, 영양보조식품, 자연식품, 다이어트식품 등을 포함한다.
기능성 표시 식품이란, 과학적 근거를 기초로 기능성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 소비자청에 신고된 식품을 말한다.
유아용 식품이란, 약 6세까지의 아이에게 주기 위한 식품을 말한다.
유아용 조제유란, 약 1세까지의 아이에게 주기 위한 조제유를 말한다.
미숙아용 조제유란, 미숙아가 생후 약 6개월이 될 때까지 주기 위한 조제유를 말한다.
노인용 식품이란, 무처리 식품과 비교하여 소화 및 흡수가 용이하도록 처리된 식품을 말한다.
또한, 음식품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서는, 예컨대 음료, 과자류, 서플리먼트 등을 들 수 있다.
음료는 알코올 음료 및 무알코올 음료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무알코올 음료로서는, 예컨대 차 계통 음료, 커피 음료, 탄산 음료, 기능성 음료, 과실·야채 계통 음료, 유류 음료, 두유 음료, 플레이버 워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알코올 음료에는 알코올 1% 미만의 음료도 포함되며, 예컨대 무알코올 맥주, 무알코올 와인, 무알코올 칵테일 등도 포함된다.
차 계통 음료로서는 홍차 음료, 무가당 차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무가당 차 음료로서는, 녹차 음료, 우롱차 음료, 보리차 음료, 현미차 음료, 율무차 음료, 무가당 홍차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커피 음료로서는, 용기에 담은 커피 또는 리퀴드 커피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탄산 음료로서는, 콜라 플레이버 음료, 투명 탄산 음료, 진저에일, 과즙 계통 탄산 음료, 유류 함유 탄산 음료, 무가당 탄산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기능성 음료로서는, 미용 드링크, 스포츠 드링크, 에너지 드링크, 건강 서포트 음료, 파우치 젤리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과실·야채 계통 음료로서는, 과실 음료, 과실 함유 음료, 저과즙 함유 청량 음료, 과립(果粒) 함유 과실 음료, 과육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유류 음료로서는, 우유, 드링크 요구르트, 유산균 음료, 유류 함유 청량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두유 음료로서는 두유, 대두 음료 등이 포함된다.
음료가 수용되는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용기에 담은 음료로 할 수 있다. 용기에 담은 음료의 용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느 형태 및 재질의 용기를 이용하여도 좋으며, 예컨대 알루미늄 캔, 스틸 캔 등의 금속제 용기; 페트병 등의 수지제 용기; 종이팩 등의 종이 용기; 유리병 등의 유리제 용기; 배럴통 등의 목제 용기 등의 통상 이용되는 용기 중 어느 것이나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기에 음료를 충전 및 밀폐함으로써, 용기에 담은 음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에 담은 음료는, 용기로부터 직접 음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예컨대 백인 박스(back-in box) 등의 벌크 용기 혹은 포션 용기(Potion container) 등에 충전한 것을 음용 시에 별도 용기에 부음으로써 음용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농축액을 음용에 제공할 때에 희석할 수도 있다.
알코올 음료로서는, 맥주, 맥주 계통 음료, 와인, 소주, 츄하이, 리큐어, 칵테일, 스프리츠, 위스키, 브랜디 등을 들 수 있다.
맥주 계통 음료에는 발포주 또는 제3의 맥주, 과실이나 과즙이 들어간 맥주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음식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음식품에는, 스테비아 추출물, 아세설팜칼륨이나 수크랄로스 등의 감미료, 자당 등의 당질, 사과산이나 무수시트르산 등의 유기산, 난소화성 덱스트린 등의 식물 섬유, 향료, 착색료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음식품인 경우, 피부를 튼튼하게 유지하여 피부질 자체를 정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스킨케어용 음식품이라도 좋다. 이러한 음식품 형태로서는, 예컨대 음료, 서플리먼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화장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피부외용 조성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피부외용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테이프제, 연고제, 세안료(세수용 화장료), 화장수, 팩, 맛사지 크림, 밀키로션, 유액, 크림, 에센스(미용액) 등의 스킨케어 화장료,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스크린 크림, 선오일, 데오토란트 스프레이, 바디로션, 바디크림, 핸드크림 등의 바디케어 화장료로서 조제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는 화장료에 사용할 수 있는 담체나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의 투여 경로로서는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비경구 투여의 예로서는, 경피, 국소, 경비, 설하, 경폐, 경장, 경점막, 주사 등에 의한 투여를 들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의 제형으로서는, 액제, 정제, 산제, 환제, 세립제, 과립제, 당의정, 캡슐제, 현탁액, 유제, 시럽제, 엑기스제, 에멀젼, 마이크로캡슐제, 트로키제, 캔디제, 버컬제, 츄어블제 등을 들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의 제형으로서는, 에어로졸제, 주사제, 점적, 흡입제, 수액제, 좌약, 경피흡수제, 점비제, 점안제, 습포제, 찜질제, 크림, 겔, 로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다른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과 병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은, 의약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완충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항산화제, 착색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일례로서 제(劑) 형태로 사용하여도 좋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 제를 그대로 조성물로서 사용하여도 좋고, 이 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유효 성분으로서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함한다. 또한,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는 포도 유래 원료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함하는 포도 유래 원료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의 포도 유래 원료의 함유량(건조물 환산)은 1∼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는, 유효 성분으로서 포도 유래 원료에 포함되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포도 유래 원료에 포함되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도 유래 OPC」, 포도 유래 원료에 포함되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갈로일기를 갖는 포도 유래 OPC」라고 약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음식품, 화장료, 의약품, 의약부외품 등의 원료로서 이용되는 원료용 조성물인 경우, 상기 원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포도 유래 OPC의 농도는, 100 ppm 이상, 200 ppm 이상, 500 ppm 이상, 1,000 ppm 이상 또는 2,000 pp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포도 유래 OPC의 농도는, 50,000 ppm 이하가 바람직하고, 25,000 pp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포도 유래 OPC의 농도는, 예컨대 100∼50,000 ppm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25,000 pp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20,000 pp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서, 500∼50,000 pp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25,000 pp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0∼20,000 pp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갈로일기를 갖는 포도 유래 OPC의 농도는, 1.0 ppm 이상, 2.0 ppm 이상, 5.0 ppm 이상, 10.0 ppm 이상 또는 20.0 pp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갈로일기를 갖는 포도 유래 OPC의 농도는, 5,000 ppm 이하가 바람직하고, 2,500 pp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갈로일기를 갖는 포도 유래 OPC의 농도는, 예컨대 1.0∼5,000 ppm인 것이 바람직하고, 2.0∼2,500 pp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2,000 pp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서, 5.0∼5,000 pp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2,500 pp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2,000 pp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음식품,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포도 유래 OPC의 농도는, 0.001 mg/mL 이상이 바람직하고, 0.01 mg/mL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mg/mL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포도 유래 OPC의 농도는, 100.0 mg/mL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 mg/mL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포도 유래 OPC의 농도는, 조성물 중에 0.001∼100.0 mg/mL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10.0 mg/m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서, 0.01∼100.0 mg/mL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0.0 mg/m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갈로일기를 갖는 포도 유래 OPC의 농도는, 0.00001 mg/mL 이상이 바람직하고, 0.0001 mg/mL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1 mg/mL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갈로일기를 갖는 포도 유래 OPC의 농도는, 10.0 mg/mL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mg/mL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갈로일기를 갖는 포도 유래 OPC의 농도는, 조성물 중에 0.00001∼10.0 mg/mL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1∼1.0 mg/m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서, 0.0001∼10.0 mg/mL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1.0 mg/m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포도 유래 OPC의 농도는, 일본 특허 제4659407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양을 한 번에 사용하여도 좋고, 여러 번으로 나눠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갈로일기를 갖는 포도 유래 OPC의 함량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LC-MS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경구로 섭취하는 경우, 1일 당 포도 유래 OPC의 섭취량은, 10∼2000 mg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400 m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1일 당 갈로일기를 갖는 포도 유래 OPC의 섭취량은, 0.1∼200 mg인 것이 바람직하고, 1.0∼40.0 m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피부외용 조성물 등의 외용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1일 당 포도 유래 OPC의 사용량(건조물 환산)은, 0.01∼100.0 mg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0.0 m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1일 당 갈로일기를 갖는 포도 유래 OPC의 사용량(건조물 환산)은, 0.0001∼10.0 mg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1.0 m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을 한 번에 사용하여도 좋고, 여러 번으로 나눠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인간에게 적합하게 사용된다. 일 양태에서, 아쿠아포린 3의 발현의 증가를 원하는 또는 필요로 하는 대상이나, 피부 촉촉함의 향상을 원하는 또는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포도 유래의 안토시아닌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포도 유래의 총 폴리페놀은, 조성물 중에 500∼50000 mg/mL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0∼20000 mg/mL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포도 유래의 총 폴리페놀은 폴린티오칼토법(Folin-Ciocalteu method)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예컨대 이하의 (1)∼(3)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1) 폴리페놀을 많이 포함하는 와인을 적당한 농도로 조정하여 알코올을 포함하는 와인 비슷한 음료로 하고, 이것을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하는 방법.
(2) 폴리페놀을 많이 포함하는 와인을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을 유거시킴으로써 무알코올의 가공물을 제조하고, 이것을 적당한 농도로 조정하여 무알코올 음료로 하고, 이것을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하는 방법.
(3) 포도의 생원료를 분쇄(예컨대 액체 질소 속에서 분쇄)하고, 분쇄물을 에탄올을 0∼100% 포함하는 수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이것을 적당한 농도로 조정하여 음료로 하고, 이것을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하는 방법.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은, 유효 성분인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 외에도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얻어진 조성물을 추가로 분획 등을 함으로써, 포도 유래의,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높게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 즉, 유효 성분으로서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며, 상기 조성물은 아쿠아포린 3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의 촉촉함을 향상시키는 것인 피부 촉촉함 향상용 조성물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경구 섭취에 의해 체내에 받아들이더라도 좋고, 도포 등에 의해 피부에 적용하여도 좋다.
이들 중에서는 경구 섭취에 의해 체내에 받아들이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피부의 촉촉함」이란, 각층의 수분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피부의 촉촉함을 향상시킨다」란, 각층의 수분 함수량을 증가시키는 것, 피부의 수분의 증산을 막는 것 및/또는 각층에 수분을 받아들이는 것을 증가시킴으로써 각층의 수분량 저하를 막아, 각층의 수분이 적절하게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각층의 함수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은, 아쿠아포린 3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각층의 함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나, 피부의 수분의 증산을 막기 위해서나, 각층에의 수분 취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섭취자의 피부 촉촉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층의 함수량의 측정 방법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예에서는, 얼굴의 일부의 함수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지만, 각층의 함수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이하의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팔의 각층에 있어서의 함수량을 측정하여도 좋다.
(각층의 함수량 측정 방법)
화장료의 클렌징 및 세수를 끝낸 피험자를, 항온항습실(온도: 21±1℃, 습도: 50±5%)로 옮겨, 안정적인 상태에서 20분 순화시킨다.
이어서, 눈꼬리 및 콧방울의 교점이 되는 부위를 측정 부위로서 정하고, 매회 같은 위치를 측정한다. 측정은 Corneometer CM825(Courage+Khazaka사 제조)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부위(동일 부위)의 각층의 함수량을 5회 측정한다.
얻어진 수치의 최상치 및 최하치를 삭제하고, 나머지 3회의 측정치의 평균을 「각층의 함수량」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의 촉촉함 개선, 피부의 보습, 피부의 건조 완화, 피부의 배리어 기능을 높임, 피부 상태의 개선, 피부 거칠음 방지, 피부 거칠음 개선, 피부 기능 유지, 피부 기능 개선 및 상처의 치유 촉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용도로 이용하여도 좋다.
이들은 각층의 함수량이 증가함에 따른 결과로서 생기는 효과이다.
각층의 함수량이 증가하는 효과의 한 요인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가 피부 상피세포의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을 증가시킴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아쿠아포린 3은 물의 수송체이며, 피부 상피세포의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각층에 물을 받아들이는 것이 증가하여, 각층의 함수량이 증가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2).
또한, 아쿠아포린 3은 글리세롤의 수송체로서의 기능도 가져, 각층의 글리세롤을 늘릴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비특허문헌 5). 각층의 글리세롤이 증가하면, 수분이 각층으로부터 증산하는 것을 막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피부의 촉촉함 개선, 피부의 보습 및 피부의 건조 완화는, 모두 각층의 함수량이 증가함으로써 달성되기 때문에, 이들 효과는 상술한 각층의 함수량 측정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혹은, 상기 효과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자가 실감하는 것, 또는 피부과의사 등의 피부 조직 전문가가 판단하는 것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다.
피부 상태 개선, 피부 거칠음 예방, 피부 거칠음 개선, 피부 기능 유지 및 피부 기능 개선은 모두 피부 거칠음의 증상이 개선되거나 혹은 피부 거칠음의 증상을 예방하는 효과를 의미한다.
피부 거칠음의 증상은, 피부의 홍조, 가려움, 건조, 뽀루지, 피지의 과잉 분비 및 피지 분비의 저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가리킨다.
피부 거칠음 증상은, 피부의 보습력(배리어 기능)을 높이거나, 피부의 촉촉함을 유지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
피부 상태 개선, 피부 거칠음 예방, 피부 거칠음 개선, 피부 기능 유지 및 피부 기능 개선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자가 실감하는 것, 또는 피부과의사 등의 피부 조직 전문가가 판단하는 것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다.
상처의 치유 촉진은, 상처 부근의 각층의 피부 상피 조직의 탄성이 향상함으로써 달성되는데, 피부 상피 조직의 탄성은 피부 상피 조직의 함수량이 증가함으로써 향상된다. 이 효과는 상처의 치유 프로세스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상처의 치유 프로세스는, 육아(肉芽) 조직이 반흔(瘢痕) 조직으로 변화되는 프로세스를 가리킨다. 상처의 치유 프로세스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자가 실감하는 것, 또는 피부과의사 등의 피부 조직 전문가의 판단하는 것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 즉, 유효 성분으로서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며,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용 조성물에 관해서 설명한다.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에는,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 예컨대 피부 상피세포의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 때문에,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아쿠아포린 3의 발현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피부 상피세포에 있어서의 아쿠아포린 3의 발현 촉진을 위해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이란, 단백질로서의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 및 아쿠아포린 3을 코드하는 유전자의 발현량 양쪽을 의미한다. 따라서,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은 단백질 레벨 및 유전자 레벨(예컨대 mRNA 레벨) 중 어느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아쿠아포린 3은 물의 수송체이며, 피부 상피세포의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각층에 물을 받아들이는 것이 증가하여, 각층의 함수량이 증가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2).
또한, 아쿠아포린 3은 글리세롤의 수송체로서의 기능도 가져, 각층의 글리세롤을 늘릴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비특허문헌 5). 각층의 글리세롤이 증가하면, 수분이 각층으로부터 증산하는 것을 막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인간의 아쿠아포린 3의 염기 서열이나 아미노산 서열(ORF)은 공지이며, 그 「Genbank 수탁 번호」는 이하와 같다.
mRNA 서열: NM_004925
단백질로서의 아쿠아포린 3은, 질량 분석, 각종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각종 면역화학 어세이 등에 의해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중에서는, 항아쿠아포린 3 항체를 이용한 면역화학 어세이에 의해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역화학 어세이의 구체예로서는, 효소결합 면역흡착 측정(ELISA), 웨스턴 블로팅, 프로테인 칩 어세이, 플로우 사이토메트리 등을 들 수 있다.
아쿠아포린 3을 코드하는 유전자는, 노던 블로팅, PCR, 마이크로어레이, 형광 프로브를 이용한 라이브 이미징 등에 의해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PCR에 의해 아쿠아포린 3을 코드하는 유전자를 측정하는 경우, 리얼타임 PCR(RT-PCR)에 의해 측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경구 섭취에 의해 체내에 받아들이더라도 좋고, 도포 등에 의해 피부에 적용하여도 좋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도 포함한다.
피부 상피세포의 아쿠아포린 3의 발현을 촉진하기 위한 상기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의 용도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이다.
또한, 피부의 촉촉함 개선, 피부의 수분 보급, 피부의 보습, 피부의 건조 완화, 피부 상태 개선, 피부의 배리어 기능을 높임, 피부 거칠음 예방, 피부 거칠음 개선, 피부 기능 유지, 피부 기능 개선 및 상처의 치유 촉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용도에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도 본 발명의 일 양태이다.
또한, 상기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의,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에 의한 피부의 촉촉함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도도 본 발명의 일 양태이다. 상기 용도는 치료적 용도라도 좋고, 비치료적 용도라도 좋다. 상기 용도는 인간에게 있어서의 용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 및 그 바람직한 양태는 상술한 것과 같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포도 추출물(포도 유래 원료)의 제조 방법)
적와인을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을 유거한 것을 포도 추출물로 한다. 이 포도 추출물의 OPC 농도는 15,000 ppm이었다.
여기서, 와인 등의 포도 종자를 포함하는 포도 유래 원료의 추출물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프로시아니딘 B2-3'-O-갈레이트(이하, EC-ECG),프로시아니딘 B4-3'-O-갈레이트(이하, C-ECG) 등) 및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에피카테킨갈레이트(이하, ECG) 등)가 포함된다(참조문헌 1:“Comparative flavan-3-ol composition of seeds from different grape varieties” Food Chemistry 53(1995) 197-201, 참조문헌 2:“PROCYANIDIN DIMERS AND TRIMERS FROM GRAPE SEEDS” Phytochemistry Vol. 30. No. 4, pp 1259-1264 1991, 참조문헌 3: “「포도 종자 폴리페놀」 기능성의 응용” NEW FOOD INDUSTRY Vol. 43 No. 11 (2001) 별책)).
(시험 음료의 제조 방법)
표 1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상기 포도 추출물 및 그 밖의 물질을 물에 가하여 혼합하여,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시험 식품)을 제조했다.
Figure pct00005
(비교예 1)
표 1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각 물질을 혼합하여, 비교예 1에 따른 조성물(대조 식품)을 제조했다.
(피부의 촉촉함 평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인간에 대한 시험을 행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조성물의 피부 촉촉함에 관한 효과를 평가했다. 또한, 본 시험은 헬싱키 선언의 정신에 따라 충분한 배려 하에 실시했다.
(시험 디자인)
본 시험은 단일 시설, 플라세보 대조 랜덤화 이중맹검 병행군 사이 비교 시험에 의해 행했다.
(UMIN 시험 ID: UMIN000024478)
(피험자)
30세 이상, 60세 미만의 건강한 일반 여성으로서, 일광성 기미이며 또한 판정 가능한 볼의 기미가 있다고 책임의사 또는 분담의사에 의해 진단된 사람 100명을 피험자로 했다.
피험자를 무작위로 2군으로 나눠, 한쪽을 시험 식품 섭취군(50명)으로 하고, 또 한쪽을 대조 식품 섭취군(50명)으로 했다.
본 시험의 해석을 행함에 있어서, 기각 기준에 해당하는 피험자가 3 예 인정되었기 때문에, 이 3 예는 제외하고, 97 예(시험 식품 섭취군 50 예, 대조 식품 섭취군 47 예)를 해석 대상으로 했다.
(시험 식품의 섭취 방법)
시험 식품 섭취군의 피험자는, 하루 한 번, 임의의 시기에 시험 식품(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을 섭취하는 것을 12주간 반복했다.
또한, 시험 식품을 마시기 시작하고 나서 다 마실 때까지의 섭취 시간은 1시간 이내로 했다.
대조 식품 섭취군의 피험자는, 하루 한 번, 임의의 시기에 대조 식품(비교예 1에 따른 조성물)을 섭취하는 것을 12주간 반복했다.
또한, 대조 식품을 마시기 시작하고 나서 다 마실 때까지의 섭취 시간은 1시간 이내로 했다.
(각층의 함수량 측정)
0주, 4주, 8주 및 12주에 이하의 방법으로 피험자의 각층의 함수량(AU: arbitrary unit)을 측정했다.
화장료의 클렌징 및 세수를 끝낸 피험자를, 항온항습실(온도: 21±1℃, 습도: 50±5%)로 옮겨, 안정적인 상태에서 20분 순화시켰다.
이어서, 눈꼬리 및 콧방울의 교점이 되는 부위를 측정 부위로 정하고, 매회 동일한 위치를 측정했다.
이어서, Corneometer CM825(Courage+Khazaka사 제조)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부위(동일 개소)의 각층의 함수량을 5회 측정했다.
얻어진 수치의 최상치 및 최하치를 삭제하고, 나머지 3회의 측정치의 평균을 「각층의 함수량」으로 했다.
결과를 도 1의 (a) 및 (b), 그리고 표 2에 나타낸다.
도 1(a)는 피부의 촉촉함 평가 시험에 있어서의 피험자의 각층의 함수량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b)는 피부의 촉촉함 평가 시험에 있어서의 피험자의 각층의 함수량의 변화량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또한, 본 시험에서는, IBM SPSS Statistics 24를 이용하여 통계 해석을 행하며, 통계학적 유의차 검정에 t 검정을 이용하고, 유의 수준은 5%(양측)로 했다.
또한, 도 1의 (a) 및 (b) 중의 에러 바는 표준오차(SE)를 나타내고, 부호「*」는 p치가 0.05 미만임(p<0.05)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6
섭취 후 12주에 시험 식품 섭취군은 대조 식품 섭취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각층의 함수량이 많고, 변화량에 의한 해석에 있어서 섭취 후 4주, 8주, 12주에 시험 식품 섭취군은 대조 식품 섭취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각층의 함수량이 많았다.
또한, 4주, 8주, 12주의 시험 식품 섭취군의 각층의 함수량은 0주의 시험 식품 섭취군의 각층의 함수량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실시예 2-1∼실시예 2-8)
표 3에 나타내는 품종, 생산지의 와인을 실시예 2-1∼실시예 2-8에 따른 조성물로 했다.
Figure pct00007
(토탈 폴리페놀 및 OPC의 측정)
실시예 2-1∼실시예 2-8에 따른 조성물의 토탈 폴리페놀의 양을, 폴린티오칼토법으로 측정하고, OPC의 양을 일본 특허 제4659407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이, 와인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EC-ECG, C-ECG 등) 및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ECG)가 포함된다.
실시예 2-1∼실시예 2-8에 따른 조성물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피부 상피세포에 작용시켜,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을 측정했다.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 평가 방법)
(1) 시험용 샘플의 조정
실시예 2-1∼실시예 2-8에 따른 조성물을 동결 건조하고, 그 후, 50% 에탄올로 용해하여 시험용 샘플을 준비했다.
또한, 컨트롤로서 50% 에탄올을 준비했다.
또한, 포지티브 컨트롤로서 레티노산을 준비했다. 레티노산은 피부 상피세포의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물질로서 공지된 것이다.
(2) 피부 상피세포의 배양
정상 인간 표피 각화세포(Human Epidermal Keratinocyte; NHEK(AD))를 21 ㎠ 디쉬에 있어서 정상 인간 표피 각화세포 증식용 무혈청 액체 배지(HuMedia-KG2; Kurabo사 제조)로 37℃, 5% CO2 조건 하에서 전배양하고, 하위융합(subconfluent)이 될 때까지 배양했다.
이어서, 각 시험용 샘플을 배양액에 첨가했다. 와인은, 배양액 중에서의 농도가 원래의 각 조성물(와인)의 1/400 상당량이 되도록 각 시험용 샘플을 배양액에 첨가했다.
각 시험용 샘플을 첨가한 후, 37℃, 5% CO2 조건 하에서 24시간 배양했다.
또한, 컨트롤로서 각 시험용 샘플 대신에 50% 에탄올을 배양액 5 mL에 대하여 0.0125 mL 첨가했다.
또한, 포지티브 컨트롤로서, 각 시험용 샘플 대신에, 배양액 중에서의 농도가 2 μM가 되도록 레티노산을 배양액에 첨가했다.
각 컨트롤이 되는 조성물을 첨가한 후, 37℃, 5% CO2 조건 하에서 24시간 배양했다.
(3)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 측정
상기 「(2) 피부 상피세포의 배양」에 있어서의 피부 상피세포의 배양 후, ISOGEN(가부시키가이샤닛폰진 제조)를 이용하여 각 배양 세포로부터 RNA를 추출했다.
얻어진 RNA 1 μg으로부터 Superscript VILO Master Mix(Invitrogen사 제조)를 이용하여 cDNA 합성을 했다. 그 후, 표 4에 나타내는 프라이머(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염기 서열을 갖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리얼타임 PCR를 행하여 아쿠아포린 3(Genbank 수탁 번호 NM_004925)의 발현을 검출했다.
PCR에는 KOD SYBR qPCR Mix(TOYOBO사 제조)를 이용하고, 반응 조건은, 열변성은 98℃에서 10초, 어닐링은 60℃에서 10초, 신장 반응은 68℃에서 30초로 했다.
증폭 과정의 형광 강도를 정량 PCR 장치 StepOnePlus(Applied Biosystems사 제조)에 의해 일정한 형광 강도를 얻을 때까지의 사이클수를 모니터링하여, 아쿠아포린 3의 사이클수로부터 스탠다드법을 이용하여 발현량을 산출했다.
또한, 리얼타임 PCR에 의해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을 검출함과 동시에, 표 4에 나타내는 프라이머(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의 염기 서열을 갖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하우스 키핑 유전자인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데히드로게나제(GAPDH)(Genbank 수탁 번호 NM_002046)의 발현량도 측정했다.
Figure pct00008
각 배양 세포의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을, GAPDH의 발현량으로 보정한 후, 컨트롤에 있어서의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을 1.0으로 하여 상대적인 발현량을 산출했다.
또, 본 시험에서는 최저 표본수를 3으로 했다.
결과를 도 2 및 표 5에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1∼실시예 2-8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한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또, 본 시험에서는, 엑셀을 이용하여 통계 해석을 행하며, 통계학적 유의차 검정에 t 검정을 이용하고, 유의 수준은 5%(양측)로 했다.
또한, 도 2 중의 에러 바는 표준오차(SE)를 나타내고, 부호「*」는 p치가 0.05 미만임(p<0.05)을 나타내고, 부호「**」는 p치가 0.01 미만임(p<0.01)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9
도 2 및 표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실시예 2-1∼실시예 2-8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피부 상피세포의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이 증가했다.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분획)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화합물을 검색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2-6에 따른 조성물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분획했다.
우선, 12 L의 실시예 2-6에 따른 조성물을 감압 농축에 의해 에탄올을 유거했다.
그 후, 에탄올 유거한 조성물을, 물로 평형화한 10 L의 HP-2MG(Supelco사 제조, USA) 컬럼에 부하하여, 20 L의 증류수로 세정한 후, 30 L의 70% 에탄올로 용출했다.
70% 에탄올 용출 획분을 감압 농축, 동결 건조를 행했다.
이 건조물 500 mg을 Sephadex LH-20(1 L, GE healthcare) 컬럼에 부하하고, 각각 4 L의 1% 포름산을 포함하는 10%, 20%, 30%, 40%, 50% 및 60% 메탄올/물로 용출하여, 6개의 획분으로 분획했다. 50% 메탄올 획분에는 갈로일기를 포함하는 플라반-3-올 2량체(다이머)가, 60% 메탄올 획분에는 갈로일기를 포함하는 플라반-3-올 3량체(트리머)가 존재하고 있었다.
각 시험용 샘플 대신에, 각 분획을 배양액 5 mL에 대하여 0.0125 mL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 평가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피부 상피세포의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을 측정했다.
또, 본 시험에서는 표본수를 3으로 했다.
결과를 도 3 및 표 6에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2-6에 따른 조성물의 획분을 이용한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또, 본 시험에서는, 엑셀을 이용하여 통계 해석을 행하며, 통계학적 유의차 검정에 t 검정을 이용하고, 유의 수준은 5%(양측)로 했다.
또한, 도 3 중의 에러 바는 표준오차(SE)를 나타내고, 부호「*」는 p치가 0.05 미만임(p<0.05)을 나타내고, 부호「**」는 p치가 0.01 미만임(p<0.01)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10
도 3 및 표 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피부 상피세포의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갖는 화합물은, 20% 메탄올/물의 획분 및 60% 메탄올/물의 획분에 많이 포함되는 것이 시사되었다.
<제조예 1>
하기 방법에 의해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하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중합체를 준비했다.
EC-ECG, EC-CG의 합성은 논문(Food chem., 2018, Takahiro Fujimaki et. al 248, P61-69)에 따라서 얻어진 것을 이용했다.
프로시아니딘 B3(이하, C-C), 프로시아니딘 B4(이하, C-EC), C-ECG 및 C-C-ECG의 합성은 논문(Food chem., 2018, Takahiro Fujimaki et. al 248, P 61-69)에 준하여 이하와 같이 행했다.
C-C; (+)-탁시폴린(Extrasynthese사 제조) 500 mg을 에탄올 50 ml에 용해하고, NaBH4를 200 mg 가하여 45분간 실온에서 교반했다. 이 용액에 (+)-카테킨(C)(Sigma Aldrich사 제조), 1 g을 가하여 용해한 후, HCl(0.1 N)를 60 ml 가하여 1시간 교반했다. 반응물을 역상의 HPLC로 정제하여, C-C를 200 mg과 C-C-C 트리머를 1 mg 얻었다.
C-EC; (+)-탁시폴린 500 mg을 에탄올 50 ml에 용해하고, NaBH4를 200 mg 가하여 45분간 실온에서 교반했다. 이 용액에 (-)-에피카테킨(EC)(Sigma Aldrich사 제조) 1 g을 가하여 용해한 후, HCl(0.1 N)을 60 ml 가하여 1시간 교반했다. 반응물을 역상의 HPLC로 정제하여, C-EC 200 mg을 얻었다.
C-ECG 및 C-C-ECG; (+)-탁시폴린, 350 mg(1.15 mmol)을 에탄올 20 ml에 용해하고, NaBH4를 70 mg 가하여 45분간 실온에서 교반했다. 이 용액에 (-)-에피카테킨-3-O-갈레이트(ECG), 420 mg(0.95 mmol, 후지필름와코쥰야쿠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가하여 용해한 후, HCl(0.1 N)를 40 ml 가하여 1시간 교반했다. 반응물을 역상의 HPLC로 정제하여, C-ECG를 96 mg, C-C-ECG을 34 mg 얻었다.
프로시아니딘 B1(이하, EC-C)는 Extrasynthese사 제조, 프로시아니딘 B2(이하, EC-EC)는 Tront Research Chemicals Inc.사 제조, 프로시아니딘 C1(PC1)은 Sigma Aldrich사 제조를 이용했다.
(참고예 1 및 2, 실시예 3-1∼3-4, 비교예 2-1∼2-4)
표 7에 나타내는 카테킨(C)(비교예 2-1, 2-2), 에피카테킨(EC)(비교예 2-3, 2-4), 에피카테킨갈레이트(ECG)(실시예 3-1, 3-2),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GCG)(실시예 3-3, 3-4)에 관해서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 활성을 측정했다.
EGCG는 후지필름와코쥰야쿠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했다.
참고예 1로서 세포 배양액을 컨트롤로 하고, 참고예 2(포지티브 컨트롤)로서 레티노산(RA)(Sigma Aldrich사 제조)을 이용했다.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 평가 방법)
각 화합물을 정상 인간 표피 각화세포 증식용 무혈청 액체 배지(HuMedia-KG2; Kurabo사 제조)로 용해하여 시험용 샘플을 준비했다. 상기한 것 이외에는 상술한 실시예 2-1∼2-2와 같은 식으로 하여, 참고예 1 및 2, 실시예 3-1∼3-4 및 비교예 2-1∼2-4에 따른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을 평가했다. 또한, 실시예 3-1∼3-4 및 비교예 2-1∼2-4에서는, 화합물의 배양액 중의 농도가 30 μM 또는 50 μM가 되도록 각 시험용 샘플을 배양액에 첨가했다. 컨트롤은 배양액으로 했다.
결과를 표 7 및 도 4에 나타낸다.
도 4는 참고예 1 및 2, 실시예 3-1∼3-4 및 비교예 2-1∼2-4에 따른 화합물을 이용한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또, 본 시험에서는, 엑셀을 이용하여 통계 해석을 행하며, 통계학적 유의차 검정에 t 검정을 이용하고, 유의 수준은 5%(양측)로 했다.
또한, 도 4 중의 에러 바는 표준오차(SE)를 나타내고, 부호「*」는 p치가 0.05 미만임(p<0.05)을 나타내고, 부호「**」는 p치가 0.01 미만임(p<0.01)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11
(참고예 3 및 4, 실시예 4-1∼4-4 및 비교예 3-1∼3-8)
카테킨 등의 플라반-3-올 모노머 대신에, 표 8에 나타내는 EC-C(비교예 3-1 및 3-2), EC-EC(비교예 3-3, 3-4), C-C(비교예 3-5 및 3-6) 및 C-EC(비교예 3-7 및 3-8)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비교예 2-1∼2-4와 같은 식으로 하여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 활성을 측정했다.
또한,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2량체로서, 표 8에 나타내는 C-ECG(PB4-GA)(실시예 4-1 및 4-2), EC-CG(실시예 4-3 및 4-4)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1∼3-4와 같은 식으로 하여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 활성을 측정했다.
또한, 참고예 3으로서 세포 배양액을 컨트롤로 하고, 참고예 4(포지티브 컨트롤)로서 레티노산(RA)을 이용했다. 측정 결과를 표 8 및 도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2
(참고예 5 및 6, 실시예 5-1∼5-2 및 비교예 4-1∼4-4)
카테킨 등의 플라반-3-올 모노머 대신에, 표 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플라반-3-올 3량체(EC-EC-EC(PC1)(비교예 4-1, 4-2), C-C-C(비교예 4-3, 4-4))를 비교예로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비교예 2-1∼2-4와 같은 식으로 하여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 활성을 측정했다.
또한,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3량체로서, 표 9에 나타내는 C-C-ECG(실시예 5-1, 5-2)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1∼3-4와 같은 식으로 하여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 활성을 측정했다.
또한, 참고예 5로서 세포 배양액을 컨트롤로 하고, 참고예 6(포지티브 컨트롤)로서 레티노산(RA)을 이용했다. 측정 결과를 표 9 및 도 6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3
상기 표 6∼9 및 도 4∼6의 결과로부터, 플라반-3-올 모노머 및 2량체 이상의 플라반-3-올 중합체로, 갈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즉,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은, 아쿠아포린 3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의 촉촉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피부 상피세포의 아쿠아포린 3의 발현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SEQUENCE LISTING <110> Suntory Holdings Limited <120> COMPOSITION FOR PROMOTING EXPRESSION OF AQUAPORIN 3, AND USE THEREOF <130> SP2018-0084 <150> JP2017-191860 <151> 2017-09-29 <160> 4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QP3 Forward primer <400> 1 ctggggaccc tcatcctggt gatg 24 <210> 2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QP3 Reverse primer <400> 2 cacgataagg gaggctgtgc ctatg 25 <210> 3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GAPDH Forward primer <400> 3 actggtgtct tcaccaccat ggagaaggc 29 <210> 4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GAPDH Reverse primer <400> 4 catgaggtcc accaccctgt tgctgtagc 29

Claims (9)

  1. 유효 성분으로서,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상기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는 포도 유래 원료에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 유래 원료는, 포도의 과피, 과실 및 종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원료, 상기 생원료의 발효물, 이들의 추출물 및 이들의 가공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또는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조성물.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는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또는 하기 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조성물.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식품,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의 촉촉함의 개선, 피부의 수분 보급, 피부의 수분 유지, 피부의 보습, 피부의 건조 완화, 피부 상태 개선, 피부의 배리어 기능을 높임, 피부 거칠음 예방, 피부 거칠음 개선, 피부 기능 유지, 피부 기능 개선 및 상처의 치유 촉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용도에 이용되는 조성물.
  8.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의,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을 위한 용도.
  9.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모노머 및/또는 갈로일기를 갖는 플라반-3-올 중합체의,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에 의한 피부의 촉촉함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도.
KR1020207011605A 2017-09-29 2018-09-28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용도 KR202000613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91860 2017-09-29
JPJP-P-2017-191860 2017-09-29
PCT/JP2018/036448 WO2019066031A1 (ja) 2017-09-29 2018-09-28 アクアポリン3発現促進用組成物及びその使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367A true KR20200061367A (ko) 2020-06-02

Family

ID=6590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605A KR20200061367A (ko) 2017-09-29 2018-09-28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00281834A1 (ko)
EP (1) EP3689156A4 (ko)
JP (2) JPWO2019066031A1 (ko)
KR (1) KR20200061367A (ko)
CN (1) CN111182798A (ko)
AU (1) AU2018342572A1 (ko)
SG (1) SG11202002242QA (ko)
TW (1) TW201919610A (ko)
WO (1) WO201906603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7058A (ja) 2011-10-13 2013-05-13 Ichimaru Pharcos Co Ltd アクアポリン産生増強製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4625A1 (de) * 1999-09-17 2001-03-22 Beiersdorf Ag Antitranspirierend wirkend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Modulatoren von Aquaporinen
US6375992B1 (en) * 2000-02-23 2002-04-23 The Procter & Gamble Co. Methods of hydrating mammalian skin comprising oral administration of a defined composition
JP2004131500A (ja) * 2002-09-19 2004-04-30 Fancl Corp 皮膚老化防止剤又は改善剤
JP2004269433A (ja) * 2003-03-10 2004-09-30 Rasheru Seiyaku Kk 化粧料組成物
EP1792974B1 (en) 2004-07-23 2017-05-17 Suntory Holdings Limited Alcohol-dipped material, food or drink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659407B2 (ja) 2004-07-29 2011-03-30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オリゴメリック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opc)の分析方法
KR100659138B1 (ko) * 2005-09-16 2006-12-19 (주)아모레퍼시픽 유효성분으로 갈로카테킨 갈레이트를 함유하는 보습용피부외용제 조성물
EP2291191A4 (en) * 2008-05-09 2014-01-22 Sinai School Medicine METHOD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JP2010241777A (ja) * 2009-04-10 2010-10-28 Ichimaru Pharcos Co Ltd アクアポリン産生増強製剤及びその方法
BRPI1014606A2 (pt) * 2009-07-01 2015-08-25 Amano Enzyme Inc Maltotriosil transferase, processo para produção e uso da mesma
KR101914157B1 (ko) * 2011-08-24 2018-12-31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3095667A (ja) * 2011-10-28 2013-05-20 Ichimaru Pharcos Co Ltd アクアポリン産生増強製剤
JP2014009198A (ja) * 2012-06-29 2014-01-20 Uha Mikakuto Co Ltd ヒアルロニダーゼ活性阻害剤組成物
MY179576A (en) * 2013-08-09 2020-11-11 Suntory Holdings Limted Agent for promoting in vivo absorption of hydroxytyrosol and derivatives thereof and use of same
JP7239127B2 (ja) * 2015-09-09 2023-03-14 丸善製薬株式会社 新規エラジタンニンおよび口腔用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7058A (ja) 2011-10-13 2013-05-13 Ichimaru Pharcos Co Ltd アクアポリン産生増強製剤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물과 아쿠아포린의 생물학 2008년, 사사끼 마코토 편집, 나카야마쇼텐
비특허문헌 2: Roles of Aquaporin-3 in the Epidermis. Hara-Chikuma M. and Verkman AS, J Invest Dermatol(2008) 128:2145-2151
비특허문헌 3: Hydrating skin by stimulation biosynthesis of aquaporins. Dumas M., et al., J Drugs Dermatol.(2007) 6:s20-4
비특허문헌 4: Aquaporin-3 facilites epidermal cell migration and proliferation during wound healing. Hara-Chikuma M. and Verkman AS., J Mol Med.(2008) 86:221-231
비특허문헌 5: Expression and function of aquaporins in human skin: Is aquaporin-3 just a glycerol transporter? Boury-Jamot M., et al., Biochim Biophys Acta.(2006) 1758:1034-104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342572A1 (en) 2020-04-02
EP3689156A1 (en) 2020-08-05
JP2023123798A (ja) 2023-09-05
EP3689156A4 (en) 2021-06-30
WO2019066031A1 (ja) 2019-04-04
SG11202002242QA (en) 2020-04-29
CN111182798A (zh) 2020-05-19
TW201919610A (zh) 2019-06-01
JPWO2019066031A1 (ja) 2020-10-22
US20200281834A1 (en)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58155B (zh) 具有改善的生物利用度的绿茶提取物
CA2732306C (en) Muscadine compositions with improved anti-oxidant activity
CA2732426C (en) Method of preparing a muscadine pomace extract
KR20150057916A (ko) 피부 재생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US20140148504A1 (en) Novel use of flavone-based compound
JP2001270881A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組成物
KR101973639B1 (ko) 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TWI784229B (zh) 金銀花發酵物的製備方法及其改善皮膚外觀與抗老化的用途
JP4456585B2 (ja) 細胞賦活剤、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美白剤、抗酸化剤、抗炎症剤、アロマターゼ活性促進剤、プロテアーゼ活性促進剤、皮膚外用剤及び食品
CN106852725A (zh) 用于改善皮肤的组合物
KR10191444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450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1367A (ko) 아쿠아포린 3 발현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용도
JP7124145B2 (ja) Tie2活性化用組成物
KR101685829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겨우살이 추출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039608B1 (ko) 미도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672841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10004158A (ko)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557210B1 (ko) 데쿠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화용 조성물
KR102512643B1 (ko) 바이오황 함유 여액 분획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4960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940055B1 (ko) 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20180060726A (ko) 올레안드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1513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80094A (ko) 4-(4-하이드록시페닐)-2-부타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