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860A -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860A
KR20200060860A KR1020180145961A KR20180145961A KR20200060860A KR 20200060860 A KR20200060860 A KR 20200060860A KR 1020180145961 A KR1020180145961 A KR 1020180145961A KR 20180145961 A KR20180145961 A KR 20180145961A KR 20200060860 A KR20200060860 A KR 20200060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fiber web
double
sided screen
release paper
woven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0564B1 (ko
Inventor
정승혁
Original Assignee
정승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혁 filed Critical 정승혁
Priority to KR1020180145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5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0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제조방법은, 검은색 무광 글라스파이버를 열융착으로 접합한 정사각 패턴의 직조메쉬 위에 나노파이버를 전기방사하여 상기 직조메쉬 위에 나노파이버웹을 형성하여 가공된 직조메쉬를 제조하는 단계; 이형지를 수지전사용 롤러에 통과시켜, 상기 이형지에 접착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무광 투명재질의 수지코팅층을 서로 연결된 연속무늬패턴으로 전사하여 가공된 이형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가공된 직조메쉬와 상기 가공된 이형지를 가압접착롤러에 통과시켜 접착시켜 이형지접착메쉬를 제조한 다음, 상기 이형지접착메쉬에서 상기 이형지를 박리함으로써, 상기 직조메쉬 위에 상기 나노파이버웹 및 상기 수지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양면스크린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면스크린의 전방에서 영사기기에서 영사광이 투사되면, 상기 나노파이버웹에 영상이 맺혀 상기 양면스크린의 전후방 모두에서 나노파이버웹에 맺힌 영상을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transflective front and rear screen using nanofiber web as image forming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투과형 양면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미홀로그램용 스크린은 영사기기를 통해 투사되는 영상광에 응답하여 홀로그램영상을 스크린의 전방으로 제공하느냐 아니면 스크린의 후방으로 제공하느냐에 따라 프론트스크린과 리어스크린으로 구분된다. 프론트스크린의 경우에는 영사기기로부터 투사된 영상광 중에서 일부는 스크린을 통과하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되어 스크린 전방의 관람자가 영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리어스크린은 스크린이 후면에서 영사광을 투사하여 전면에서 영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설계된 스크린이다.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양면스크린, 즉 스크린의 전방에서도 영상을 관람할 수 있고 스크린의 후방에서도 영상을 관람할 수 있는 스크린이 개발되어 있으나, 두 방향에서의 영상을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많이 들며, 그 제조공정 역시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시 공간활용률이 높으며,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불량가능성이 낮고 생산효율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은, 검은색으로 무광 글라스파이버를 직조한 다음 글라스파이버의 교차부분을 열융착으로 접합한 정사각 패턴의 직조메쉬; 상기 직조메쉬 위에 전기방사로 형성된 투명재질의 나노파이버웹; 및 상기 나노파이버웹 위에 서로 연결된 연속늬패턴으로 접착된 무광 투명재질의 수지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에서 영사기기에서 영사광이 투사되면, 상기 나노파이버웹에 영상이 맺혀 전후방 모두에서 나노파이버웹에 맺힌 영상을 볼 수 있다.
상기 글라스파이버의 직경은, 0.15mm 내지 0.2mm이고, 상기 직조메쉬의 정사각 패턴의 공극의 직경은, 4.5mm 내지 10.0mm일 수 있다.
상기 나노파이버웹은, 500nm 내지 1000nm 직경의 나노파이버를 2g/m2 내지 5g/m2로 전기방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코팅층은, 투명재질의 변성우레탄에 소광제 및 접착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수지코팅층의 면적이 상기 양면스크린 전체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커버팩터(cover factor)는, 10%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제조방법은, 검은색 무광 글라스파이버를 열융착으로 접합한 정사각 패턴의 직조메쉬 위에 나노파이버를 전기방사하여 상기 직조메쉬 위에 나노파이버웹을 형성하여 가공된 직조메쉬를 제조하는 단계; 이형지를 수지전사용 롤러에 통과시켜, 상기 이형지에 접착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무광 투명재질의 수지코팅층을 서로 연결된 연속무늬패턴으로 전사하여 가공된 이형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가공된 직조메쉬와 상기 가공된 이형지를 가압접착롤러에 통과시켜 접착시켜 이형지접착메쉬를 제조한 다음, 상기 이형지접착메쉬에서 상기 이형지를 박리함으로써, 상기 직조메쉬 위에 상기 나노파이버웹 및 상기 수지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양면스크린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면스크린의 전방에서 영사기기에서 영사광이 투사되면, 상기 나노파이버웹에 영상이 맺혀 상기 양면스크린의 전후방 모두에서 나노파이버웹에 맺힌 영상을 볼 수 있다.
상기 글라스파이버의 직경은, 0.15mm 내지 0.2mm이고, 상기 직조메쉬의 정사각 패턴의 공극의 직경은, 4.5mm 내지 10.0mm일 수 있다.
상기 나노파이버웹은, 500nm 내지 1000nm 직경의 나노파이버를 2g/m2 내지 5g/m2로 전기방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코팅층은, 투명재질의 변성우레탄에 소광제 및 접착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수지코팅층의 면적이 상기 양면스크린 전체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커버팩터(cover factor)는, 10% 내지 3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반투과형 양면스크린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사용시 공간활용률이 높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반투과형 양면스크린은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불량가능성이 낮고 생산효율이 높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제조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스크린 제조방법에 따라 나노파이버웹 형성을 위한 전기방사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스크린 제조방법에 따라 가공된 이면지 및 양면스크린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스크린 제조방법에 따라 가공된 이면지에 전사되는 수지코팅층의 연속무늬 패턴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스크린 제조방법에 따라 직조메쉬가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스크린 제조방법에 따라 직조메쉬가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반투과형 양면스크린의 이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 또는 기능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반투과형 양면스크린 제조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스크린 제조방법에 따라 나노파이버웹 형성을 위한 전기방사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스크린 제조방법에 따라 가공된 이면지 및 양면스크린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개념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하여 검은색 무광 글라스파이버를 열융착으로 접합한 정사각형 패턴의 직조메쉬(mesh) 위에 나노파이버를 방사하여 가공된 직조메쉬를 제조한다(S100). 직조메쉬를 구성하는 글라스파이버는 검은색의 무광 글라스파이버인데 이는 직조메쉬에 의한 영사광의 반사를 방지하여 선명한 영상을 제공하고, 스크린의 뒷배경을 보다 선명하게 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검은색을 사용하지 않거나 무광이 아닌 기존의 제품의 경우에는 메쉬자체의 반사로 인하여 영상의 선명도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스크린 뒷배경도 흐릿하게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전기방사 단계(S100)는 하향식 전기방사장치(10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방사장치(100)는 나노파이버 폴리머 용액이 저장되는 저장조(110), 나노파이버 폴리머 용액이 방사되는 방사부(120), 및 메쉬가 배치되는 콜렉터(130, collector)를 포함한다.
상기 방사부(120) 및 상기 콜렉터(130) 사이에는 고압(High Voltage)이 가해진다. 상기 저장조(110)에는 나노파이버 폴리머 용액의 교반을 위한 모터(M)와 프로펠러로 구성된 교반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조(110)에 저장된 나노파이버 폴리머 용액은 펌프(P)에 의하여 펌핑되어 상기 방사부(120)의 방사 노즐(121)을 통하여 상기 콜렉터(130) 위의 메쉬로 방사되며 에어분사구(122)로는 압축공기가 분사된다.
그러면, 상기 콜렉터(130) 위에 위치한 메쉬 위에 나노파이버가 방사되어 나노파이버웹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기방사장치(100)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스템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 공기 유입으로 인한 배관이나 분사 노즐에서 수지 경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한다. 직조메쉬를 구성하는 글라스파이버의 직경은 0.15mm 내지 0.2mm이고, 직조메쉬의 공극의 직경은 4.5mm 내지 10.0mm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기방사되는 나노파이버의 직경은 500nm 내지 1000nm이고 나노파이버의 방사밀도는 2g/m2 내지 5g/m2임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러한 수치한정의 의미에 대해 살펴본다.
직조메쉬를 구성하는 글라스파이버의 직경은 0.15mm 내지 0.2mm이다. 글라스파이는 영상제공에 직접적으로 관여되는 부분은 아니므로 그 직경은 가능한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나, 그러나 어느 정도의 강도와 내구성이 요구되고, 전기방사되는 나노파이버 및 수지코팅층을 지지하는 베이스 역할을 해야 하므로 글라스파이버의 직경은 상술한 범위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직조메쉬의 정사각 패턴의 공극의 직경은 1mm 내지 5mm이다. 공극의 직경이 1mm 미만이면 영상이 맺히는 나노파이버웹의 면적이 좁아져 영상의 밝기나 선명도가 구현되기 어렵고, 공극의 직경이 5mm를 초과하면 영상의 밝기나 선명도는 향상될 수 있으나, 수지코팅층에 의하여 코팅되는 부분을 제외하더라도, 노출되는 나노파이버웹 부분이 증가하여 내구성이 낮아질 수밖에 없어, 직조메쉬의 정사각 패턴의 공극의 직경은 상술한 범위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나노파이버웹을 형성하는 나노파이버의 직경은 500nm 내지 1000nm인데, 이로 인하여 나노파이버 자체에 일정한 강도가 담보되며, 직조메쉬 위에 나노파이버를 방사하는 과정에서 나노파이버가 메쉬 사이로 빠져 나가는 양이 감소되어 균일한 나노파이버 도포에도 도움이 된다.
한편, 나노파이버의 방사밀도는 2g/m2 내지 5g/m2인데, 이는 방사밀도가 2g/m2 미만이면 나노파이버웹이 지나치게 엉성하여 나노파이버웹에 맺히는 영상의 밝기가 제한될 수밖에 없으며, 5g/m2을 초과하면 나노파이버들 사이의 간격이 지나치게 좁아지거나 나노파이버들이 뭉쳐져 영상의 선명도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나노파이버의 직경이 1000nm를 초과하게 되면 방사되는 나노파이버들이 뭉쳐져 덩어리를 이루게 되어 균일한 나노파이버 도포가 어려워지며 결과적으로는 이로 인하여 나노파이버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가 낮아질 위험성이 있다. 그리고 나노파이버는 투명재질임이 바람직하며, 대표적으로 PVDF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공된 직조메쉬가 제조되면,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제조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수지코팅장치(2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는 이형지(release paper) 제조단계(S110), 이형지접착메쉬 제조단계(S120) 및 양면스크린 제조단계(S130)를 수행한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그 과정을 살펴본다.
이형지를 수지전사용 그라비아롤러인 전사용롤러(210)에 통과시키면, 접착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무광 투명재질의 수지코팅층이 서로 연결된 연속무늬패턴으로 이형지에 전사되어 가공된 이형지가 제조된다(S110). 상기 수지코팅층은 단순한 코팅수지가 아니라 변성우레탄에 소광제와 접착제가 포함되어 있는 접착코팅제인데, 단순한 코팅수지를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내구성이나 견뢰도 등 물리적 특성이 더 우수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앙면스크린은 단수한 코팅용 수지로 코팅된 것에 비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마찰로부터 더 강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가공된 이형지 제조단계(S110)에 따라 가공된 이형지가 제조된 다음에는, 이를 건조장치(220)를 이용하여 건조한 다음, 상기 가공된 메쉬의 나노파이버웹 방사면과 상기 가공된 이형지의 수지코팅층 전사면을 맞대어, 가압첩착롤러(230)를 통과시켜 이형지접착메쉬를 제조한다(S120). 상기 건조 장치(220)를 통과하면 용매가 증발되고 코팅 수지는 나노파이버에 접착되기 적절한 점도로 건조될 수 있다. 한편, 건조단계는 선택적 공정일 수 있다.
상기 가압접착롤러(230)에 가해지는 압력은 0.4MPa 내지 0.8MPa일 수 있는데, 압력이 0.4MPa 이하인 경우에는 이형지에 전사된 수지코팅층의 나노파이버 웹 대한 접착력이 약할 수 있고, 압력이 0.8MPa를 넘으면 나노파이버웹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가압접착롤러(230)는 수지코팅층이 나노파이버웹에 잘 접착될 수 있도록 90℃ 내지 100℃로 가열된 상태에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면 실제 직조메쉬에는 약 80℃ 이하의 열이 전달되는데 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지코팅층에 접착제가 함유되어 있어 80℃ 미만의 저온에서도 코팅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저온 코팅이 가능한데, 이로 인하여 열로 인하여 직조메쉬 및 나노파이버웹이 물리/화학적으로 약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양면스크린의 내구성이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지전사용롤러(210)에 가해지는 압력은 0.2MPa 내지 0.4MPa로 상기 가압접착롤러(230)에 가해지는 압력의 1/2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수지전사용롤러(210)에 상기 가압접착롤러(230)에 가해지는 압력과 동일한 압력을 가하여 수지코팅층을 이형지에 전사하는 경우에는, 수지코팅층이 지나치게 눌러져 상기 가압접착롤러(230)를 통과할 때, 이형지에 전사된 수지코팅층이 직조메쉬 위에 형성된 나노파이버웹에 완벽하게 접착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이형지접착메쉬가 제조된 다음에는, 상기 이형지접착메쉬를 10 시간 가량 숙성시킨 다음, 상기 이형지접착메쉬로부터 이형지를 박리하여 수지코팅층이 연속 무늬 패턴으로 코팅된 양면스크린 제조단계가 수행된다(S130). 상기 이형지접착메쉬의 숙성은 40℃ 내지 50℃에서 10시간 내지 24 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온 이상의 온도에서 수지코팅층이 숙성되면서 수지코팅층이 안정적으로 나노파이버웹에 접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술한 숙성단계는 선택적 과정일 수 있다.
한편, 최종적으로 제조된 양면스크린은 전체 양면스크린의 면적에 대하여 코팅 수지가 차지하는 면적인 커버 팩터(cover factor)가 10% 내지 30%인데, 이는 커버 팩터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나노파이버웹이 외부의 힘이나 마찰이 과도하게 노출되어 손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며, 커버 팩터가 30%를 넘게 되면 수지코팅층에 의하여 나노파이버웹이 가려지는 부분이 많아져 영상의 밝기가 제한될 수 있고 영상의 선명도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제조방법은 나노파이버웹에 수지코팅층을 직접적으로 코팅할 경우 나노파이버웹이 손상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형지에 수지코팅층을 먼저 전사한 다음 이형지에 전사된 수지코팅층을 직조메쉬의 나노파이버웹 방사면에 접착시키는 2 단계 코팅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코팅 과정에서 나노파이버웹이 직조메쉬로부터 분리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스크린 제조방법에 따라 가공된 이면지에 전사되는 수지코팅층의 연속무늬 패턴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수지전사용롤러(210)의 표면에는 이형지에 코팅 수지를 서로 연결된 육각형의 연속 무늬를 전사하기 위한 육각형 연속 무늬가 새겨져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수지전사용롤러(210)의 표면에는 이형지를 코팅 수지를 서로 연결된 사각형의 연속 무늬를 전사하기 위한 사각형 연속 무늬가 새겨져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도 4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수지전사용롤러(210)의 표면에는 서로 연결된 삼각형의 연속 무늬를 전사하기 위한 삼각형 연속 무늬가 새겨져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도 4의 (d)를 참조하면 상기 수지전사용롤러(210)의 표면에는 서로 연결된 원형의 연속 무늬를 전사하기 위한 원형 연속 무늬가 새겨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이형지에 코팅 수지를 연속무늬 패턴으로 전사하기 위하여 상기 수지전사용롤러(210)에 새겨진 무늬가 상술한 정형화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비정형의 연속 무늬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양면스크린은, 나노파이버웹 위에 코팅용 수지가 서로 연결된 연속 무늬로 코팅되어 있으므로 나노파이버의 손상과 박리가 방지되어 내구성이 높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스크린 제조방법에 따라 직조메쉬가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스크린 제조방법에 따라 직조메쉬가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5 및 도 6의 (a)는 검은색 무광 글라스파이버 직조메쉬가 준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글라스파이버의 교차부분은 열융착방식에 따라 서로 접합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의 (b)는 글라스파이버 직조메쉬 위에 나노파이버웹이 전기방사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한편, 도 5의 (b)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도면의 간략화를 위하여 나노파이버웹 부분을 명암처리하였다. 나노파이버웹을 형성하는 나노파이버에는 영상이 맺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의 (c)는 직조메쉬위에 형성된 나노파이버웹 위에 정육각형이 서로 연결된 연속무늬 패턴의 수지코팅층이 접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수지코팅층은 외력에 의하여 영상이 맺히는 나노파이버웹의 나노파이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반투과형 양면스크린의 이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참고로 도 7a는 상기 반투과형 양면스크린에 영사광을 투사하고 있으나 조명이 켜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7b는 도 7a 상태에서 주명을 꺼서 선명한 영상이 맺히는 상기 반투과형 양면스크린의 전면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7c는 도 7a 상태에서 주명을 꺼서 선명한 영상이 맺히는 상기 반투과형 양면스크린의 후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양면스크린은 영상을 나노파이버웹에 맺음으로써 선명한 영상을 스크린 앞뒤에서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영사광의 일부는 상기 양면스크린의 나노파이버웹에 맺히나 나머지는 상기 양면스크린의 공극사이로 빠져나가므로, 상기 양면스크린 뒷면의 배경이 함께 보일 수 있다.
상기 양면스크린이 야외에 설치된다면, 영사광이 나노파이버웹에 맺히는 영상과 양면스크린 뒤쪽의 배경이 함께 보이게 되는데, 관람자는 나노파이버웹에 맺힌 영상과 움직이지 않는 상기 양면스크린 뒤쪽의 배경 사이에 착시화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양면스크린을 이용하여 광고영상이나 홍보영상을 제공하면 아주 쉽게 지나가는 관람자의 시선과 호기심을 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반투과형 양면스크린을 상점 앞에 설치하여 홍보연상을 제공한다면 지나가는 행인은 홍보영상을 보면서 상점 내부까지 볼 수 있게 되어 뛰어난 홍보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반투과형 양면스크린을 상점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점방문객은 제공되는 홍보영상과 함께 양면스크린 뒤의 상점내부를 함께 볼 수 있어 효과적인 홍보 및 마케팅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전기방사장치 110: 저장조
120: 방사부 130: 콜렉터
200: 수지코팅장치 210: 수지전사용 롤러
200: 건조장치 230: 가압접착 롤러
240: 분리장치

Claims (8)

  1. 검은색으로 무광 글라스파이버를 직조한 다음 글라스파이버의 교차부분을 열융착으로 접합한 정사각 패턴의 직조메쉬;
    상기 직조메쉬 위에 전기방사로 형성된 투명재질의 나노파이버웹; 및
    상기 나노파이버웹 위에 서로 연결된 연속늬패턴으로 접착된 무광 투명재질의 수지코팅층을 포함하며,
    전방에서 영사기기에서 영사광이 투사되면, 상기 나노파이버웹에 영상이 맺혀 전후방 모두에서 나노파이버웹에 맺힌 영상을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파이버의 직경은,
    0.15mm 내지 0.2mm이고,
    상기 직조메쉬의 정사각 패턴의 공극의 직경은,
    4.5mm 내지 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파이버웹은,
    500nm 내지 1000nm 직경의 나노파이버를 2g/m2 내지 5g/m2로 전기방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코팅층은,
    투명재질의 변성우레탄에 소광제 및 접착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수지코팅층의 면적이 상기 양면스크린 전체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커버팩터(cover factor)는,
    10%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5. 검은색 무광 글라스파이버를 열융착으로 접합한 정사각 패턴의 직조메쉬 위에 나노파이버를 전기방사하여 상기 직조메쉬 위에 나노파이버웹을 형성하여 가공된 직조메쉬를 제조하는 단계;
    이형지를 수지전사용 롤러에 통과시켜, 상기 이형지에 접착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무광 투명재질의 수지코팅층을 서로 연결된 연속무늬패턴으로 전사하여 가공된 이형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가공된 직조메쉬와 상기 가공된 이형지를 가압접착롤러에 통과시켜 접착시켜 이형지접착메쉬를 제조한 다음, 상기 이형지접착메쉬에서 상기 이형지를 박리함으로써, 상기 직조메쉬 위에 상기 나노파이버웹 및 상기 수지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양면스크린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양면스크린의 전방에서 영사기기에서 영사광이 투사되면, 상기 나노파이버웹에 영상이 맺혀 상기 양면스크린의 전후방 모두에서 나노파이버웹에 맺힌 영상을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파이버의 직경은,
    0.15mm 내지 0.2mm이고,
    상기 직조메쉬의 정사각 패턴의 공극의 직경은,
    4.5mm 내지 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파이버웹은,
    500nm 내지 1000nm 직경의 나노파이버를 2g/m2 내지 5g/m2로 전기방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코팅층은,
    투명재질의 변성우레탄에 소광제 및 접착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수지코팅층의 면적이 상기 양면스크린 전체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커버팩터(cover factor)는,
    10%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제조방법.
KR1020180145961A 2018-11-23 2018-11-23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102120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961A KR102120564B1 (ko) 2018-11-23 2018-11-23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961A KR102120564B1 (ko) 2018-11-23 2018-11-23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860A true KR20200060860A (ko) 2020-06-02
KR102120564B1 KR102120564B1 (ko) 2020-06-16

Family

ID=7109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961A KR102120564B1 (ko) 2018-11-23 2018-11-23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5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8451A (ja) * 2004-02-02 2007-10-11 ナノシス・インク. ナノファイバーを含む多孔性の基板、物品、システム及び組成物、並びにそれらの使用及び製造方法
JP4630436B2 (ja) * 2000-09-19 2011-02-09 株式会社ジャムコ 投影スクリーン
KR20150130694A (ko) * 2014-05-14 2015-11-24 주식회사 홀로티브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
JP2017194613A (ja) * 2016-04-22 2017-10-26 株式会社Wonder Wall 投映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映方法
KR101884365B1 (ko) * 2018-03-15 2018-08-01 주식회사 웰테크글로벌 정전기적 포집과 물리적 포집을 동시 적용하여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가시광선 투과성 및 고내구성의 다층구조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0436B2 (ja) * 2000-09-19 2011-02-09 株式会社ジャムコ 投影スクリーン
JP2007528451A (ja) * 2004-02-02 2007-10-11 ナノシス・インク. ナノファイバーを含む多孔性の基板、物品、システム及び組成物、並びにそれらの使用及び製造方法
KR20150130694A (ko) * 2014-05-14 2015-11-24 주식회사 홀로티브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
JP2017194613A (ja) * 2016-04-22 2017-10-26 株式会社Wonder Wall 投映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映方法
KR101884365B1 (ko) * 2018-03-15 2018-08-01 주식회사 웰테크글로벌 정전기적 포집과 물리적 포집을 동시 적용하여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가시광선 투과성 및 고내구성의 다층구조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564B1 (ko)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35716A1 (en) Projection Graphics Using One-Way Vision Screens
JPH11125703A (ja) 平面型レンズの製造方法
CN105246704B (zh) 热转印标签及其制造方法
KR102120564B1 (ko) 나노파이버웹을 영상맺힘 매개체로 이용하는 반투과형 양면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JP3829358B2 (ja) 平面型レンズとその製造方法
CN108351546A (zh) 用于显示投影屏幕的改进的聚合物分散液晶(pdlc)
WO2013033976A1 (zh) 一种内贴透视膜及其制造方法
JP2007225972A (ja) 光拡散フィルム、光学部材、背面投射型スクリーン及び背面投射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H0675301A (ja) 反射型映写スクリーンとその製造方法
JPS60203494A (ja) 感熱転写記録方法
WO2013033977A1 (zh) 一种内贴透视广告膜及其制造方法
KR20070099401A (ko) 재귀 반사성을 갖는 현수막용 원단
JP3684840B2 (ja) 光拡散フィルムと光学部材
JP2010085959A (ja) 裏張りミクロ吸盤表示物
JP3157740U (ja) 布製粘着シート
KR102103650B1 (ko) 반투과형 메쉬타입 반사스크린 제조방법
JP2528772B2 (ja) プリント・サブストレ―ト処理方法
CN110007382A (zh) 一种抗划伤扩散膜及其加工工艺
KR20070007459A (ko) 광고용 실사스크린
JP2934948B2 (ja) 画像付きフイルムの作成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熱転写用積層フイルム
CN206322428U (zh) 一种大视角显示屏幕
CN209231702U (zh) 高清幕布
JP4580523B2 (ja) 透視可能な化粧スクリーンによる化粧方法、並びに基材シート、化粧スクリーン及び接着シート
CN217739708U (zh) 银幕修补片
JP3816849B2 (ja)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