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665A - 열가변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변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665A
KR20200060665A KR1020180145780A KR20180145780A KR20200060665A KR 20200060665 A KR20200060665 A KR 20200060665A KR 1020180145780 A KR1020180145780 A KR 1020180145780A KR 20180145780 A KR20180145780 A KR 20180145780A KR 20200060665 A KR20200060665 A KR 20200060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poly
inorganic hybrid
temperature
coat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1089B1 (ko
Inventor
유중환
송정섭
박상휘
송민우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엔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엔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엔더블유
Priority to KR1020180145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089B1/ko
Publication of KR20200060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09D133/2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an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5/08Copolymers with vinyl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을 스마트 윈도우 등 유리창에 코팅하는 경우, 가시광선은 통과하면서, 적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실내 온도조절에 용이하다.

Description

열가변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Thermotropic Organic-Inorganic Hybrid Co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에 사용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란, 태양광의 투과율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창문을 말한다. 스마트 윈도우를 사용하면 집안으로 투과된 태양광으로부터 열 교환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조절 또는 가열을 통한 불필요한 에너지 사용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름철에는 건물에 조사되는 많은 태양광을 반사시킴으로써 건물 내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겨울에는 태양열을 흡수하여 방 온기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과거 대부분의 태양광 투과율 조절기술은 특정 투과율을 가진 필름을 윈도우 상에 장착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스마트 윈도우는 태양광의 투과율을 요구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여 윈도우에 삽입함으로써 필름을 장착하는 방식에 비해 태양광의 투과율 조절 효율이 대폭 상향되고, 동시에 사용자에게 고도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장점에 힘입어, 스마트 윈도우는 현재 건축분야, 정보표시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주로 주택창호, 베란다 등 주택인테리어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일본,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 등에서는 지속적으로 스마트 윈도우의 용도 개발을 하고 있으며, 일부 분야에서는 실제로 상용화되어 향후 급속한 시장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스마트 윈도우에 사용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temperature-responsive polymer)는 온도의 변화에 반응하여 화학적·물리적으로 가역적인 특성을 가진 물질이다. 대표적인 온도감응성 고분자로는 폴리(N-아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가 있다. 이 물질은 온도의 상승에 따라 고분자 사슬의 친수성·소수성 균형의 변화로 인해 최저임계용액온도(LCST,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부근에서 급격히 상변화가 일어나는 물질로, 기온이 LCST 온도보다 높을 경우, 고분자와 물 사이의 수소결합이 끊어져 고분자끼리 뭉쳐 불투명한 상태의 형태를 띄게 되고, LCST 온도보다 낮을 경우, 수소결합을 유지하여 투명한 상태의 형태를 띄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49205호
본 발명자들은 스마트 윈도우에 사용되는 열선 차단 효과가 향상된 코팅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온도감응성 액상 고분자에 무기나노입자를 첨가·분산하였을 때 상온에서 코팅액의 열선 차단 효능이 향상됨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분산된 온도감응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나노입자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스마트 윈도우에 사용되는 열선 차단 효과가 향상된 코팅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온도감응성 액상 고분자에 무기나노입자를 첨가, 분산하였을 때 상온에서 코팅액의 열선 차단 효능이 향상됨을 규명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온도감응성 고분자’란, 외부 온도에 따라서 그 성질이 바뀌는 고분자로서 특정 온도에서 가역적인 졸-겔 상전이(sol-gel phasetransition) 또는 부피 상전이(volume phase transition)가 일어나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상기 온도 감응성 고분자의 이러한 상전이가 나타나는 온도를 임계 용해 온도(critical solution temperature)라 하고, 상전이에 대한 농도-온도 다이어그램에서 가장 낮은 상전이 온도를 하한임계용액온도(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LCST)라 한다.
본 발명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은 수분산된 온도 감응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나노입자 수용액을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용 조성물은 수분산된 온도감응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나노입자 수용액을 0.01 내지 4 중량부, 0.01 내지 3 중량부, 0.01 내지 2 중량부, 0.01 내지 1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 0.1 내지 4 중량부, 0.1 내지 3 중량부, 0.1 내지 2 중량부, 0.1 내지 1 중량부, 1 내지 5 중량부, 1 내지 4 중량부, 1 내지 3 중량부, 1 내지 2 중량부, 2 내지 5 중량부, 2 내지 4 중량부, 2 내지 3 중량부, 3 내지 5 중량부, 3 내지 4중량부, 또는 4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기나노입자 수용액이 수분산 온도감응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적외선 차단 효율이 불량해지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코팅 용액 조성물의 코팅 특성을 저해하며, 외관이 불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 중에 함유될 수 있는 용매는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GMEA),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PGME), 부틸셀로솔브(BC), 메틸셀로솔부(MC), 에틸렌글리콜(EG), 프로필렌글리콜(PG), N-메틸-2-피롤리돈(NMP),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PGDA), 프로필렌 글리콜 노멀프로필에테르(PnP),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톨루엔, 자일렌, 부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부톡시에탄올, 펜탄올, 옥탄올, 헥산, 헵탄, 에테르, 케톤 및 이들의 조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은 경화제, 이형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금속입자, 산화물입자 및 질화물입자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무기 하이브리드’란, 유기물과 무기물을 서로 혼합, 산출하여 원재료의 성질과 전혀 다른 특성을 구현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된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0.1 내지 20%(w/v)의 고분자 함량을 가진다. 다른 구체예에서 수분산된 온도감응성 고분자의 함량은 0.1 내지 15%(w/v), 0.1 내지 10%(w/v), 0.1 내지 8%(w/v), 0.1 내지 6%(w/v), 0.1 내지 5%(w/v), 0.1 내지 4%(w/v), 0.1 내지 3%(w/v); 0.5 내지 20%(w/v), 0.5 내지 15%(w/v), 0.5 내지 10%(w/v), 0.5 내지 8%(w/v), 0.5 내지 6%(w/v), 0.5 내지 5%(w/v), 0.5 내지 4%(w/v), 0.5 내지 3%(w/v); 1 내지 20%(w/v), 1 내지 15%(w/v), 1 내지 10%(w/v), 1 내지 8%(w/v), 1 내지 6%(w/v), 1 내지 5%(w/v), 1 내지 4%(w/v), 1 내지 3%(w/v); 2 내지 20%(w/v), 2 내지 15%(w/v), 2 내지 10%(w/v), 2 내지 8%(w/v), 2 내지 6%(w/v), 2 내지 5%(w/v), 2 내지 4%(w/v), 2 내지 3%(w/v); 또는 3 내지 20%(w/v), 3 내지 15%(w/v), 3 내지 10%(w/v), 3 내지 8%(w/v), 3 내지 6%(w/v), 3 내지 5%(w/v), 3 내지 4%(w/v)일 수 있고, 가장 구체적으로는 3%(w/v)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폴리(N-아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폴리(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폴리(N-에틸메타크릴아마이드), 폴리(메틸비닐에테르), 폴리(2-에톡시에틸비닐에테르), 폴리(N-비닐카프로락탐), 폴리(N-비닐아이소부티라마이드 및 폴리(N-비닐-n-부티라마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무기나노입자를 코팅용 조성물에 균일하게 포함함으로써 적외선 차단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온도감응성 고분자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세슘텅스텐산화물(Cesium Tungsten Oxide, CTO), 안티모니주석산화물(Antimony Tin Oxide, ATO),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상기 무기나노입자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500 nm, 1 내지 100 nm, 구체적으로는 1 내지 50 n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무기나노입자 수용액’은 0.01 내지 4%(w/v) 의 함량을 갖는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무기나노입자 수용액의 함량은 0.01 내지 3%(w/v), 0.01 내지 2%(w/v) 또는 0.01 내지 1%(w/v) 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4%(w/v), 0.1 내지 3%(w/v), 0.1 내지 2%(w/v), 0.1 내지 1%(w/v), 0.5 내지 4%(w/v), 0.5 내지 3%(w/v), 0.5 내지 2%(w/v), 0.5 내지 1%(w/v)이며, 가장 구체적으로는 0.8(w/v)이다.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은 특정 표면층에 도포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건물의 창, 차량용 창 및 썬루프 등의 스마트 윈도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안경, 선글라스,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표시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코팅용 조성물’은 적외선 차광용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긴 전자기파로서 일반적으로 780 내지 1500 nm인 전자기파를 의미하나, 반드시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범위의 전자기파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무기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은 가시광선 투과율은 우수하면서도 적외선 차광율이 뛰어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이 도포된 적외선 차광용 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코팅 필름은, 가시광선의 투과율은 우수하고, 적외선 차단률이 높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도포되어 있으므로 적외선 특이적 차광용도의 스마트 윈도우, 선글라스, 안경,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 등의 코팅 필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를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 윈도우는 상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므로 높은 가시광선 투과성을 나타내면서도, 우수한 적외선 차단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온도감응성 고분자와 무기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을 스마트 윈도우 등 유리창에 코팅하는 경우, 가시광선은 통과하면서, 적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실내 온도조절에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의 광투과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시예
제조예 1 내지 4: 열가변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액 제조
상온에서 온도감응성 액상 고분자인 3 %(w/v) 폴리(N-아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Poly(N-isopropylacrylamide); PNIPAm) 및 0.8 %(w/v) CTO(cesium tungsten oxide)/H2O (무기나노입자 수용액)을 표 1과 같이 일정 비율(w/w)을 반응기에 넣고 진동 3분 및 초음파 처리 30분을 진행하여 혼합하였다. 무기나노입자 첨가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폴리(N-아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로 구성된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PNIPAm에 CTO 첨가에 따른 가시광 및 열선 투과 효과
제조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의 가시광 및 열선 투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TO 첨가에 따른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광투과율은 UV-VIS-NIR 분광광도계 (V-770, JASCO社)를 이용하여 300~2500nm 파장영역에서 측정하였다.
표 1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기나노입자인 본 발명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은 CTO의 첨가율에 상관없이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90% 이상의 투과율이 나타났으나, 적외선 영역에서는 CTO의 첨가율이 높아질수록 투과율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은 가시광선의 투과율은 높으면서도 및 적외선(열선)을 차단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비교예 1
PNIPAm/CTO (w/w) 25 50 75 100 PNIPAm/
CTO 불포함

투과율
(%)
550nm
(가시광선)
90.1 91.5 92.3 92.2 92.1
1188nm
(적외선)
43.8 62.9 68.1 72.0 81.5

Claims (9)

  1. 수분산된 온도감응성 고분자(temperature-responsive polym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나노입자 수용액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된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0.1 내지 20%(w/v)의 고분자 함량을 갖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폴리(N-아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폴리(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폴리(N-에틸메타크릴아마이드), 폴리(메틸비닐에테르), 폴리(2-에톡시에틸비닐에테르), 폴리(N-비닐카프로락탐), 폴리(N-비닐아이소부티라마이드 및 폴리(N-비닐-n-부티라마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감응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세슘텅스텐산화물(Cesium Tungsten Oxide, CTO), 안티모니주석산화물(Antimony Tin Oxide, ATO) 및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IT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기나노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나노입자 수용액은 0.01 내지 4.00 %(w/v) 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용 조성물은 적외선 차광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이 도포된 적외선 차광용 코팅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이 도포된 스마트 윈도우.
  9. 제 7 항의 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KR1020180145780A 2018-11-22 2018-11-22 열가변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 KR102151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780A KR102151089B1 (ko) 2018-11-22 2018-11-22 열가변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780A KR102151089B1 (ko) 2018-11-22 2018-11-22 열가변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665A true KR20200060665A (ko) 2020-06-01
KR102151089B1 KR102151089B1 (ko) 2020-09-03

Family

ID=71083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780A KR102151089B1 (ko) 2018-11-22 2018-11-22 열가변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0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7017A1 (en) * 2020-07-27 2022-02-03 University Of Delaware Method to thermo-reversibly control light and heat flow with bicontinuous micro-domai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205A (ko) 2003-11-21 2005-05-25 제일모직주식회사 열방성 액정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 및 그 성형품
US20120107549A1 (en) * 2010-11-01 2012-05-03 Agiltron, Inc. Smart surfaces with temperature induced solar reflectance changes and making methods
KR20150101121A (ko) * 2014-02-26 2015-09-0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열전환물질을 함유하는 온도감응성 수화겔을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34621A1 (en) * 2016-08-19 2018-02-22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Composite film, device including,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205A (ko) 2003-11-21 2005-05-25 제일모직주식회사 열방성 액정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 및 그 성형품
US20120107549A1 (en) * 2010-11-01 2012-05-03 Agiltron, Inc. Smart surfaces with temperature induced solar reflectance changes and making methods
KR20150101121A (ko) * 2014-02-26 2015-09-0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열전환물질을 함유하는 온도감응성 수화겔을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34621A1 (en) * 2016-08-19 2018-02-22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Composite film, device including,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ACS APPL MATER INTERFACES.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7017A1 (en) * 2020-07-27 2022-02-03 University Of Delaware Method to thermo-reversibly control light and heat flow with bicontinuous micro-dom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089B1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9779B2 (ja) 熱線遮蔽透明樹脂成形体と熱線遮蔽透明積層体
JP3982466B2 (ja) 熱線遮蔽成分分散体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分散体を用いて得られる熱線遮蔽膜形成用塗布液と熱線遮蔽膜並びに熱線遮蔽樹脂成形体
WO2018020819A1 (ja) 近赤外線吸収微粒子分散液、近赤外線吸収微粒子分散体、近赤外線吸収透明基材、近赤外線吸収合わせ透明基材
JP2003327717A (ja) 熱線遮蔽樹脂シート材及びその製造用添加液
CN108811502B (zh) 热线屏蔽微粒、热线屏蔽微粒分散液、热线屏蔽膜、热线屏蔽玻璃、热线屏蔽分散体以及热线屏蔽夹层透明基材
WO2007058016A1 (ja) 熱線遮蔽膜形成基材の製法
JP6201152B2 (ja) 熱線遮蔽膜、熱線遮蔽透明基材、自動車および建造物
WO2017094909A1 (ja) 熱線遮蔽微粒子、熱線遮蔽微粒子分散液、熱線遮蔽フィルム、熱線遮蔽ガラス、熱線遮蔽分散体、および、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
CN111819160A (zh) 玻璃叠层体
KR20200065132A (ko) 스마트 창호용 금속 도핑 바나듐 산화물 하이드로겔
WO2016010156A1 (ja) 熱線遮蔽微粒子、熱線遮蔽微粒子分散液、熱線遮蔽フィルム、熱線遮蔽ガラス、熱線遮蔽分散体および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
JP2012082326A (ja) 高耐熱性熱線遮蔽成分含有マスターバ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高耐熱性熱線遮蔽透明樹脂成形体、並びに高耐熱性熱線遮蔽透明積層体
JP5898397B2 (ja) 近赤外線遮蔽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近赤外線遮蔽ポリエステル樹脂積層体、および、成形体とその製造方法
KR102151089B1 (ko) 열가변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용 조성물
KR101261204B1 (ko) 유리 코팅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16029165A (ja) 熱線遮蔽微粒子および熱線遮蔽微粒子分散液
Su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VC/CsxWO3 composite film with excellent near‐infrared light shielding and high visible light transmission
CN101805563B (zh) 偏光片用增硬防紫外线防眩光多功能涂料
WO2017033872A1 (ja) 熱線反射材料、窓、及び窓の断熱方法
JP2003201155A (ja) 日射遮蔽合わせガラス中間膜用塗布液及び日射遮蔽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これを用いた日射遮蔽合わせガラス
JP6171733B2 (ja) 熱線遮蔽分散体形成用塗布液および熱線遮蔽体
JP2003321218A (ja) 被覆六ホウ化物粒子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部材
JP2012136411A (ja) 合わせ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32399A (ja) 日射遮蔽用微粒子とこの微粒子を含有する日射遮蔽体並びに日射遮蔽複合体および日射遮蔽体または日射遮蔽複合体の製造に用いられる分散液
EP2778204A1 (en) Infrared reflective film, infrared reflective paint, and infrared ref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