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516A - 비상용 휠 - Google Patents

비상용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516A
KR20200060516A KR1020207013467A KR20207013467A KR20200060516A KR 20200060516 A KR20200060516 A KR 20200060516A KR 1020207013467 A KR1020207013467 A KR 1020207013467A KR 20207013467 A KR20207013467 A KR 20207013467A KR 20200060516 A KR20200060516 A KR 20200060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vehicle wheel
attachment
initial mounting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8558B1 (ko
Inventor
콘스탄틴 치베리디스
Original Assignee
지브이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브이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지브이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60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1/00Units comprising multiple wheels arranged side by side; Wheels having more than one rim or capable of carrying more than one tyre
    • B60B11/10Emergenc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5/00Wheels or wheel attachments designed for increasing traction
    • B60B15/26Auxiliary wheels or rings with traction-increasing surface attachable to the main wheel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5/00Wheels or wheel attachments designed for increasing traction
    • B60B15/26Auxiliary wheels or rings with traction-increasing surface attachable to the main wheel body
    • B60B15/263Traction increasing surface being located axially beside t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41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characterised by coupling or locking means between rim and support
    • B60C17/042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characterised by coupling or locking means between rim and support preventing sliding or rotation between support and ri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43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made-up of an annular metallic sh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30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 B60B2310/305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30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 B60B2310/306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by clamping or wedging, e.g. by clamping inserts as jo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기능이 저하된 상태로 주행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휠(1)용 부착물(14), 그리고 차량 휠(1)의 부착물(14) 및 림(2)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용 휠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타이어 기능이 저하된 상태로 주행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독립적으로, 부착물과 차량 휠의 림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 휠은 자동차의 차량 휠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타이어 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의 주행 작업은, 타이어가 보통의 도로 조건과 보통의 타이어 조건에서 나타내는 특성으로 작동될 수 없을 때의 주행 작업을 의미한다. 이는, 예를 들어 바람 빠진 타이어로의 주행 또는 도로가 얼거나 눈이 오는 조건에서의 차량의 작동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적용 분야는 바람 빠진 타이어를 가지고도 운전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축 방향은 차량 휠의 회전 축 방향을 의미한다. 반경 방향은 차량 휠의 회전 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차량 휠의 타이어는 차량 휠의 림으로부터 보았을 때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차량 휠의 중앙 개구는 림의 볼트 서클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며, 본 명세서에서 차량 휠의 볼트 서클은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중앙 개구를 포함한 림에 있는 홀들의 배열을 의미한다. 원주(peripheral) 방향은 차량 휠의 둘레를 따른, 즉 트레드 표면을 따른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하고 안전하게 장착될 수 있는 차량 휠용 부착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특히 부착물은 오장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부착물과, 상기 부착물이 단순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림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림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부착물에 의해 달성된다. 또 다른 목적은 제17항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은 타이어 기능이 저하된 상태로의 주행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로, 상기 부착물은 부착물의 트레드 표면을 포함하는 트레드 부분을 구비하고, 초기 장착 부분을 구비하며, 초기 장착 부분은 부착물에 장착 시, 트레드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배치되고, 초기 장착 부분은 차량 휠의 림의 볼트 서클의 영역에서 차량 휠에 체결되도록, 특히 림의 볼트 서클 영역에서의 형태-맞춤 결합을 통해 및/또는 림의 볼트 서클 영역에서의 연결부, 바람직하게는 마찰-기반 연결부를 통해 림의 볼트 서클에서 차량 휠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을 이용하면, 림의 볼트 서클의 영역에 초기 장착 부분을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옵션적으로, 부착물, 특히 트레드 부분은 다른 방식으로 차량 휠, 또는 차량 휠의 림에 추가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옵션적으로, 초기 장착 부분은 림에 있는 개구, 바람직하게는 원형 개구와의 그립 장치의 형태-형성 결합 및/또는 마찰-기반 결합을 통해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구는 볼트 서클의 영역에 배치되고, 개구는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stay bolt)를 수용하기 위해 림에 제공되는 홀들로부터 이격되도록 림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개구는 림의 중앙 개구이거나, 림의 회전 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어떤 경우에서도, "볼트 서클의 영역에 배치된다"라는 것은 개구가 림의 스포크들 사이에 있는 갭과는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개구는 특히 소위 폴리컨트롤(polycontrol)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히 그립 장치가 림의 중앙 개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그립 장치는 슬롯형(slotted) 슬리브 형태일 수 있다. 슬롯형 슬리브의 내부에는, 상기 슬롯형 슬리브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변의 반경 크기를 갖는 요소, 특히 원추형 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요소의 축 방향 이동으로 인해, 슬롯형 슬리브가 벌어져(spread), 중앙 개구에 마찰-기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소는 나사에 의해 벌어지는 슬리브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슬롯형 슬리브는 벌어질 수 있는 복수의 암을 의미할 수 있다.
옵션적으로, 그립 장치는 초기 장착 부분의 일부분으로서 구성된다. 환언하면, 그립 장치는 분리 불가능한 방식으로 초기 장착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립 장치는 후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연장부, 특히 로드-형 연장부의 형태일 수 있으며, 연장부는 개구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후크 영역은 확장 가능한 또는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개구를 통해 안내되었을 때 림의 뒤에 형태-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후크 영역은 압축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후크 영역은 개구를 통해 안내되면서 직경이 감소될 수 있고, 개구를 통해 안내되고 나면 자동적으로 벌어져 거의 자동으로 림의 뒤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후크 영역은, 예를 들어 회복 가능하게(reversibly) 압축 가능, 탄성적 및/또는 스프링-장착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립 장치는 볼트 서클의 영역에 있는 개구의 뒤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확장 가능한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확장 가능한 부분은, 예를 들어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후크 영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 장치는 벌어지는 요소, 예를 들어 나사에 나사조임함으로써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벌어지는 2개의 후크 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립 장치는 특히 중공 로드 형태일 수 있으며, 그립 장치는 내부에 벌리는 요소(spreading element), 특히 나팔 모양(flared) 요소를 포함하는데, 벌리는 요소는 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확장 가능한 부분을 넓힌다. 다수의 그립 장치가 초기 장착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그립 장치가 방금 설명한 것과 같은 중공 로드 형태일 경우, 옵션적으로 존재하는 나팔 모양 로드 또는 벌리는 요소는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확장 가능한 부분을 넓히기 위해 작동 유닛(예를 들어, 나사 형태)에 의해 축 방향으로 공동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부에는 램프-형 경사부에서 연장하는 원호 형상의 슬롯들이 제공될 수 있다. 작동부의 회전에 의해, 벌리는 요소들이 램프-형 경사부를 따라 활주함으로써 그립 장치 내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그립 장치가 벌어진다. 작동부의 회전은 예를 들어, 대응하는 핸들을 통해 수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작동부는 초기 장착 부분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작동부의 이동에 의해, 벌리는 요소들의 이동을 야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옵션적으로, 초기 장착 부분은 클램핑 장치를 통해 차량 휠의 휠 볼트들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클램핑 장치는 클램핑하는 방식으로 휠 볼트에 결합하여 휠 볼트를 파지하도록, 또는 적어도 2개의, 바람직하게는 모든 휠 볼트에 공동으로 결합하여 이들을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클램핑 장치가 클램핑하는 방식으로 휠 볼트에 결합하여 이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클램핑 장치는 예를 들어, 반경이 조정가능한 슬리브를 통해 휠 볼트 또는 다수의 휠볼트의 각각에 개별적으로 결합하여 이들을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반경이 조정 가능한 슬리브는 휠 볼트의 볼트 헤드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슬리브의 반경이 감소되어, 이로 인해 휠 볼트가 파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반경의 조정성은, 예를 들어 슬리브 내에 있는 슬롯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데, 슬롯들에 의해 이격되어 있는 슬리브의 개별 파트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 또는 구부러져, 선회 가능한 또는 구부러질 수 있는 암을 형성한다. 클램핑 장치가 단일 휠 볼트에 클램핑 방식으로 결합하여 이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휠 볼트의 헤드에 있는 개구 내에 삽입되어 그 개구를 벌려, 개구에 꽉 끼도록(jammed) 구성될 수 있다. 단일 휠 볼트에 결합하여 이를 파지하는 전술한 클램핑 장치는 각각의 휠 볼트 당 하나씩 제공될 수 있다.
클램핑 장치가 적어도 2개의 휠 볼트에 클램핑하는 방식으로 결합하여 이들을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클램핑 장치는 예를 들어 반경이 조정 가능한 슬리브를 통해 다수의 휠 볼트에 공동으로 결합하여 이들을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반경이 조정 가능한 슬리브는 클램핑 장치의 예시적인 형태일 뿐이다. 통상적으로, 반경이 조정 가능한 슬리브는, 모든 휠 볼트의 볼트 헤드 위에 끼워질 수 있을 만큼, 그리고 이로 인해 슬리브의 반경이 감소되어 휠 볼트가 파지될 수 있을 만큼 넓다. 그러면, 슬리브는 휠 볼트의 반경 방향 외측면에 대항하여 클램핑한다. 클램핑 장치는 펼쳐질 수 있는 요소도 포함할 수 있는데, 벌어질 수 있는 요소는 휠 볼트들 사이에 배치되어, 반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휠 볼트에 접촉하여 휠 볼트 사이에 꽉 끼워지거나 결합하여 이들을 파지하기 위해 벌어진다. 클램핑 장치는 또한 적어도 2개의 체결 요소,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휠 볼트당 하나의 체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요소는 휠 볼트의 헤드에 있는 개구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결 요소가 휠 볼트의 헤드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이때 볼트 헤드를 수용하는 체결 요소의 부분은 휠 볼트의 헤드의 외측 윤곽(일반적으로 육각형임)에 상호 보완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볼트 헤드를 수용하는 체결 요소의 부분이 나사 헤드에 대한 체결 요소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종 방향 홈을 내측 면에 구비한다. 클램핑 장치는, 휠 볼트의 헤드 위에 배치되었을 때 또는 휠 볼트의 헤드에 있는 개구에 삽입되었을 때, 적어도 2개의 체결 요소, 바람직하게는 모든 체결 요소를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구부리도록 구성되는 굽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체결 요소들을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부림으로써, 체결 요소들이 서로에 대해 조여진다(braced). 그 결과, 클램핑 장치가 휠 볼트들을 공통으로 클램핑 하는 방식으로 결합하여, 클램핑 방식으로 이들을 파지한다.
굽힘 장치는, 예를 들어 나사에 의해 초기 장착 부분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초기 장착 부분을 향해 또는 초기 장착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체결 요소들을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굽힘 장치의 경사진 표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굽힘 장치가 텐션 링의 형태인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굽힘 장치가 스프링에 의해 초기 장착 부분을 향해 또는 초기 장착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편향되고, 나사에 의해 스프링의 편향 방향에 대항하여 이동될 수 있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굽힘 장치는 또한, 원형 경로로부터 전체적으로 벗어나 있는 아치형 슬롯응ㄹ 구비하는 플레이트-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굽힘 장치는, 체결 요소들이 슬롯을 통해 연장하도록, 슬롯과 함께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굽힘 장치의 회전은, 슬롯들이 원형 경로로부터 전체적으로 벗어나 있는 방향에 따라, 체결 요소들이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또는 서로를 향해 구부러지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드 부분은 옵션적으로, 초기 장착 부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초기 장착 부분은 차량 휠의 림에 체결될 수 있으며, 트레드 부분은 후속하여 초기 장착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트레드 부분이 연결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연결 부분은 트레드 부분이 초기 장착 부분에 체결될 때, 볼트 서클의 영역 위에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연결 부분은, 예를 들어 나사 조임에 의해 단순한 방식으로 트레드 부분이 초기 장착 부분에 연결될 수 있도록,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초기 장착 부분에 중첩하도록 구성된다.
트레드 부분이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 및/또는 선회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초기 장착 부분에 연결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초기 장착 부분은 차량 휠의 림에 체결될 수 있으며, 후속하여 트레드 부분은 림을 향해 가압 및/또는 선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레드 부분이 장착 부분에 대해 고정 또는 잠금될 수 있다.
옵션적으로, 트레드 부분은 체결 장치를 통해 초기 장착 부분에 특히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체결되거나, 분리 불가능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체결 장치는, 초기 장착 부분에 체결될 때 트레드 부분이 림을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체결 장치는 웹-형 스트럿과 나사의 형태일 수 있으며, 스트럿이 트레드 부분에 제공되고, 예를 들어 나사 수용을 위한 개구를 구비하며, 초기 장착 부분 내로 나사 고정(screw)될 수 있다. 따라서, 트레드 부분이 초기 장착 부분에 나사 고정될 수 있고, 나사를 조일 때에 트레드 부분은 림을 향해 이동한다.
옵션적으로, 트레드 부분은, 작동 장치, 바람직하게는 공압식 및/또는 스프링-평향 작동 장치에 의해 초기 장착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초기 장착 부분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이동성은 특히 림을 향하는 트레드 부분과의 접촉 부분과 함께 유리하다. 특히, 트레드 부분이 축 방향으로 병진함으로써 초기 장착 부분을 향해 이동 가능한 경우 유리하다. 예를 들어, 작동 장치는, 트레드 부분을 초기 장착 부분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해, 압력 매체가 가해질 수 있는 압력 실린더 형태일 수 있다.
옵션적으로, 트레드 부분은 다중-부품 형태, 특히 원주 방향으로 다중-부품 형태이며, 바람직하게는 트레드 부분은 특히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및/또는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 또는 변위 가능한 적어도 2개의 원주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부착물의 차량 휠로의 장착이 용이해질 수 있다.
트레드 부분이 제1 원주 세그먼트와 제2 원주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원주 세그먼트가 180°이상의 원주 크기, 특히 190°이상의 원주 크기를 구비하고, 제2 원주 세그먼트는 제1 원주 세그먼트에 분리 가능하게 또는 선회 가능하게 또는 변위 가능한 경우도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 이로 인해 부착물이 차량 휠에 특히 손쉽게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시에 초기 장착 부분이 먼저 차량 휠에 체결될 수 있다. 그 다음, 트레드 부분 또는 트레드 부분의 원주 세그먼트가 초기 장착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세그먼트들이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한 경우, 장착 시에, 제1 원주 세그먼트가 차량 휠에 부착될 때, 제2 원주 세그먼트는 처음에는 제1 원주 세그먼트에 대해 선회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원주 세그먼트가 트레드 표면과 도로 표면이 접촉하도록 차량 휠이 이동될 수 있다. 그 다음, 제2 원주 세그먼트는 손쉽게 상향으로 선회되어, 바람직하게는 잠금 메커니즘을 통해, 작동을 위한 의도된 위치에 잠금될 수 있다.
옵션적으로, 제2 원주 세그먼트는 정렬 장치, 바람직하게는 선회 가능한 형태의 정렬 장치를 통해 제1 원주 세그먼트에 대해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 장치는 전술한 잠금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원주 세그먼트의 180°가 넘는 또는 190°가 넘는 원주 크기는, 제1 원주 세그먼트가 원주 방향으로 부착물의 대부분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단순한 방식으로 차량 휠에 안전하게 부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특히, 제1 원주 세그먼트는 아치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현(chord) 방식으로 연장하는 스트럿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특히 높은 안정성 및 부착물의 차량 휠로의 단순한 부착이 달성된다. 제1 원주 세그먼트와 제2 원주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이러한 부착물은 림을 향해 배치되는 접촉 부분들도 포함할 수 있다.
옵션 적으로, 트레드 부분은, 원주 방향으로 끊어지지 않고 외측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측 부분은 원주 방향으로 갭이 있도록 구성되며, 외측 부분은 삽입 부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삽입 부분은 부착물이 차량 휠에 장착된 상태에 있을 때 외측 부분이 폐쇄형 원형 트레드 표면을 형성하도록, 갭에 수용된다. 외측 부분이 원주 방향으로 갭을 구비하기 때문에, 차량으로부터 차량 휠을 제거하거나 카 잭(car jack)을 이용하여 차량을 들어올리지 않고도, 차량 휠에 초기 장착 부분과 삽입 부분이 없는 트레드 부분을 끼우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초기 장착 부분은 예를 들어, 전술한 방식 중 하나로 차량 휠에 체결될 수 있다. 그러면, 트레드 부분의 외측 부분에 있는 갭이 지면을 향해 배향되고, 트레드 부분이 초기 장착 부분에 체결된다. 초기 장착 부분과 트레드 부분이 차량 휠에 부착되고 나면, 차량이 약간 이동될 수 있다. 차량 휠이 회전한 결과, 갭이 지면을 향한 배향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예를 들어, 차량은 차량 휠의 반바퀴만큼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러면 갭이 더이상 지면을 향해 배향되지 않고 위를 향한다. 그러면, 삽입 부분이 갭 내에 삽입 또는 수용될 수 있다. 그러면, 부착물이 원주 방향으로 폐쇄된 원형 트레드 표면을 구비하게된다. 부착물의 장착은 이렇게 완성될 수 있고, 또는 추가적인 수단(예를 들어, 브레이싱 수단)을 통해 부착물이 차량 휠에 추가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옵션적으로, 트레드 부분은, 차량 휠의 림의 일부분, 특히 림 플랜지의 뒤에서 후크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브레이싱 수단을 포함한다. 트레드 부분은 이로 인해, 차량 휠에 특히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옵션적으로, 부착물은 접촉 부분을 구비하는 브레이싱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브레이싱 메커니즘은, 접촉 부분이 작동되었을 때, 특히 가압되었을 때, 후크 부분이 립의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림 플랜지의 일부분 뒤에 결합하게 만들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림 플랜지의 뒤에서의 결합이 단순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옵션적으로, 브레이싱 메커니즘은, 부착물이 차량 휠에 부착되고 차량 휠이 회전할 때, 접촉 부분과 도로 표면을 접촉시켜, 접촉 부분을 작동시키도록, 특히 가압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접촉 부분은 공간적으로, 특히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부착물의 트레드 표면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접촉 부분은 전개된 상태에서 부착물의 트레드 표면과 동일한 평면이 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부착물이 부착되어 있는 차량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브레이싱 수단의 작동, 그리고 이로 인해 림 플랜지의 뒤에서의 결합이 보장된다.
접촉 부분은 자유휠 장치를 구비하는 압력 전달 장치를 통해 브레이싱 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자유휠 장치는, 브레이싱 수단을 더 이동시키지 않고 접촉 부분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브레이싱 수단이 충분이 이동되거나 의도한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접촉 부분이 브레이싱 수단에 계속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방지된다.
자유휠 장치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는 압력 전달 수단은 홀딩 메커니즘도 포함할 수 있다. 홀딩 메커니즘은, 접촉 부분이 더이상 가압되지 않을 때, 브레이싱 수단이 림 또는 일 플랜지의 일부분 뒤로의 결합으로부터 벗어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브레이싱 메커니즘은, 트레드 부분이 초기 장착 부분에 체결될 때, 차량 휠, 특히 림과 접촉하도록 또는 접촉 부분을 갖는 초기 장착 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접촉 부분을 작동시키도록, 특히 접촉 부분이 가압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접촉 부분은 림을 향하는 부착물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옵션적으로, 브레이싱 수단의 후크 부분은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반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바람직하게는 선형 또는 아치형 방식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며, 브레이싱 수단은, 브레이싱 수단이 작동되어 브레이싱 수단이 림을 향해, 특히 림 플랜지를 향해 이동할 때, 후크 부분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 특히 변위되고, 후크 부분의 이동의 결과로서 트레드 부분이 림을 향해 축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브레이싱 수단이 림 플랜지 뒤에 결합할 때, 트레드 부분은 림을 향해 당겨지고, 특히 트레드 부분의 안전한 체결이 보장된다.
옵션적으로, 부착물은, 부착물의 부착 시 및/또는 트레드 부분의 초기 장착 부분으로의 체결 시 및/또는 브레이싱 수단의 작동 시, 림 플랜지로부터 멀어지도록 축 방향으로 타이어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되는 타이어 변위 장치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브레이싱 수단은 림 플랜지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
옵션적으로, 타이어 변위 장치는 브레이싱 수단과 별도로 구성된다. 타이어 변위 장치가 브레이싱 수단 또는 브레이싱 수단에 의해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옵션적으로, 부착물은 고정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를 포함하며,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는 고정 위치에서, 브레이싱 수단 wkwarma 장치가 고정 위치에 있는 한 후크 부분이 차량 휠의 림 부분 뒤에서의 결합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이동할 수 없도록, 특히 형태-맞춤 잠금에 의해 브레이싱 수단ㅇ늘 잠금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적으로,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는,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가 고정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림의 일부분 뒤에 결합되어 있는 브레이싱 수단의 후크를 추가적으로 림의 일부분에 대해 조이도록, 브레이싱 수단에 대해 구성 및 배치된다.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가 브레이싱 수단의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돌출-형(특히 핀-형) 부분의 뒤에 결합하여,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가 고정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브레이싱 수단의 후크 부분이 차량 휠의 림의 일부분 뒤로 결합된 위치로 가압되도록 또는 후크 부분이 결합 위치로 조여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를 가압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는, 이동 가능한 브레이싱 표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는 작동 부분과 커플링되되, 작동 부분이 작동되었을 때, 특히 가압되었을 때, 브레이싱 잠금 장치가 고정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커플링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부분은 트레드 표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부분은 고무 재료로 만들어진 또는 고무 재료를 포함하는 접촉 표면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표면이 트레드 표면에 배치되고, 접촉 표면이 도로 표면과 접촉할 때 도로와 동일한 평면 상으로 연장하도록 마모되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다양한 형태의 브레이싱 수단, 브레이싱 메커니즘,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가 설명되었다. 이러한 형태들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의 실시예들과 관련된다.
트레드 표면을 갖는 베이스 본체를 구비하는 부착물로, 전술한 하나 이상의 브레이싱 수단의 실시예와, 특히 브레이싱 메커니즘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와, 바람직하게는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부착물 또한 독립적인 발명이다. 따라서, 이러한 부착물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트레드 부분과 초기 장착 부분을 포함할 필요는 없다. 특히, 트레드 표면을 갖는 베이스 본체를 구비하는 부착물이 독립적인 발명이며, 상기 부착물은 차량 휠의 림(특히, 림 플랜지)의 일부분의 뒤에 후크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하나(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브레이싱 수단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부착물은 접촉 부분을 구비하는 브레이싱 메커니즘을 포함하되, 접촉 부분이 작동될 때(특히, 가압될 때), 브레이싱 수단을 작동시켜, 후크 부분이 림(바람직하게는 림 플랜지)의 일부분 뒤에 결합하게 만들도록 구성되는 브레이싱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브레이싱 메커니즘은 차량 휠(특히, 림)에 접촉하도록, 또는 트레드 부분이 초기 장착 부분에 체결되었을 때 접촉 부분을 갖는 초기 장착 부분과 접촉하여 접촉 부분을 작동시키도록(특히 가압되게 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접촉 부분이 림을 향하는 부착물의 측면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브레이싱 수단의 후크 부분이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바람직하게는 선형 또는 아치 방식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고, 브레이싱 수단은, 브레이싱 수단이 작동되었을 때 후크 부분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특히, 변위되어) 브레이싱 수단이 림을 향해(특히, 림 플랜지를 향해) 이동하고, 후크 부분의 이동에 의해 부착물이 림을 향해 축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부착물이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는 특히 수동적으로 및/또는 작동 부분에 의해 고정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작동 부분은 부착물이 장착된 상태에 있을 때에 도로와 접촉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는 고정 위치에서,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가 고정 위치에 있는 한 후크 부분이 차량 휠의 림의 일부부 뒤에서의 결합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도록 브레이싱 수단을 (특히, 형태-맞춤 잠금에 의해) 잠금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는, 브레이싱 수단 잠금 위치가 고정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림의 일부분 뒤에 결합되어 있는 브레이싱 수단의 후크 부분을 림의 일부분에 대해 추가적으로 조이도록, 브레이싱 수단에 대해 구성 및 배치된다. 이러한 부착물은 차량 휠에 특히 단단하게 체결될 수 있다.
부착물과 차량 휠의 림을 포함하는 시스템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며, 부착물은 선행하는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에 따라 구성되고, 림은 볼트 서클의 영역에서 림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개구를 구비하며, 개구(또는 개구들)는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홀들로부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림의 중앙 개구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개구 또는 개구들은 림의 스포크 사이에 있는 갭과는 다르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들은 소위 폴리컨트롤 보어이다.
옵션적으로, 시스템에서, 개구들의 중심(mid-point)은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홀들의 중심을 통과하여 연장하는 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및/또는 개구들의 중점은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모든 홀에 외접하는 가장 작은 원을 형성하는 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부착물, 특히 트레드 부분은 차량의 타이어를 물어(bite) 타이어 재료를 클램핑하거나 타이어 재료에 침투하도록 구성되는 타이어 그립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타이어가 부착물에, 특히 트레드 부분에 체결될 수 있고, 운전 중에 떨어지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타이어 기능이 저하된 상태로 주행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로, 상기 부착물은 부착물의 트레드 표면을 포함하는 트레드 부분을 구비하고, 차량 휠의 타이어를 물어, 타이어 재료를 클램핑하거나 타이어 재료에 침투하도록 구성되는 그립핑 장치를 포함하는 부착물 또한 독립적인 발명이다. 바람직하게는, 타이어 그립핑 장치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타이어 재료에 침투하도록 구성되는 치-형 돌출부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부착물이 차량 휠의 타이어에 직접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타이어 그립핑 장치를 통해 타이어에 먼저 체결되는 환형 요소로, 바람직하게는 타이어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하는 환형 요소가 제공되는 것 또한 독립적인 발명이다. 이때, 트레드 부분은 초반부에 설명한 바와 같이, 환형 요소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발명에서는, 타이어 그립핑 장치를 통해 체결된 환형 요소가 초기 장착 부분의 대체물을 형성할 수 있다.
타이어 그립핑 장치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흡입 요소 또는 접착 요소가 사용되는 것 또한 고려할 수 있다. 타이어 재료와의 화학 반응을 통해 타이어와 재료-결합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학 체결 요소의 사용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전술한 변형예들에서, 추가적으로 부착물을 체결하거나 및/또는 운전 중에 타이어가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흡입 요소, 화학 체결 요소 및/또는 접착 요소를 통해 타이어에 먼저 체결되는 환형 요소로, 바람직하게는 타이어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하는 환형 요소가 제공되는 것 또한 독립적인 발명이다. 그 다음에, 초반부에 설명한 것과 같이 환형 요소 위에 트레드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발명에서는, 타이어 그립핑 장치를 통해 체결된 환형 요소가 초기 장착 부분의 대체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가능한 적용예 및 이점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며, 특징들은 다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더라도, 자체적으로나 다양한 조합으로 본 발명의 핵심이 될 수 있다.
도 1은 축 방향에서 본 차량 휠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차량 휠의 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부착물의 장착을 나타낸다.
도 5는 브레이싱 수단은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의 부착물의 조립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 10은 브레이싱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도 11은 그립 장치를 이용한 초기 장착 부분의 체결을 도시한다.
도 12는 그립 장치를 이용한 초기 장착 부분의 또 다른 대안적인 체결을 도시한다.
도 13은 그립 장치를 이용한 초기 장착 부분의 EH 다른 대안적인 체결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림을 나타낸다.
도 15는 초기 장착 부분을 나타낸다.
도 16은 초기 장착 부분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7은 중앙 개구를 통해 체결하기 위한 초기 장착 부분을 나타낸다.
도 18은 그립 장치들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9는 굽힘 장치를 구비하는 초기 장착 부분을 나타낸다.
도 20은 체결 요소의 다양한 가능한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21은 트레드 부분과 초기 장착 부분 사이의 가능한 연결 방법을 나타낸다.
도 22는 부착물의 체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흡입 컵을 나타낸다.
도 23은 독립적인 발명에 따른 그립핑 장치와 부착물을 나타낸다.
도 24는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의 세부사항을 나타낸다.
다음의 도면에서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들과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명확성을 위해, 모든 도면에서 모든 도면부호가 반복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차량 휠(1)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차량 휠(1)은 림(2)과, 림(2)에 부착되는 타이어(3)를 포함한다. 림(2)은 도 2에 타이어(3) 없이 자체로서 도시되어 있다.
원주(peripheral) 방향이 도면부호가 U인 화살표로서 표시되어 있다. 축 방향은 도면부호가 A인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도 2). 반경 방향은 도면부호가 R인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반경 방향으로 내부에서, 림(2)은 차량 휠(1)의 볼트 서클(4)을 포함한다. 볼트 서클(4)의 중심에는 축 방향(A)으로 연장하는 차량 휠(1)의 회전 축(5) 둘레(about)에 소위 중앙 개구(6)가 배치되며, 이는 종종 허브 보어 홀 또는 중앙 홀 센터링으로서 지칭되기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볼트 서클(4)은 5개의 볼트 홀(7)을 포함하며, 그 중 2개에 도면부호가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차량 휠(1)에서, 5개의 스포크(8)가 볼트 서클(4)의 영역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한다.
림(2)은 림 웰(rim well)(9)과 림 플랜지(10)를 포함하며, 중앙 개구(6)는 오목한 주위 홈(12)을 포함한다.
림(2)은 볼트 서클(4)의 영역에 배치되는 다수의 개구(13)를 포함한다. 개구(13)들은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볼트 홀(7), 즉 홀(7)들로부터, 그리고 림(2)의 중앙 개구(6)로부터 이격되도록 림(2)에 배치된다. 개구(13)들은 폴리컨트롤(polycontrol) 보어의 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를 통해 차량 휠(1)의 액슬의 액슬 간격이 측정될 수 있다.
차량 휠의 타이어(3)가 펑크난 경우, 타이어 안의 공기가 빠져나와, 차량 휠(1)의 타이어 기능이 저하된다. 이러한 경우에 운전 작업을 계속해서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14)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물의 예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부착물(14)은 부착물(14)의 트레드 표면(18)을 포함하는 트레드 부분(16)과, 부착물(14)의 장착 시 트레드 표면(18)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배치되는 초기 장착 부분(20)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트레드 부분(16)은 초기 장착 부분(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초기 장착 부분(20)은 차량 휠(1)의 림(2)의 볼트 서클(4)의 영역에서 차량 휠(1)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데, 특히 형태-맞춤 결합 및/또는 연결부, 특히 림(2)의 볼트 서클(4)의 영역에서 마찰-기반 연결부를 통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예시에서, 형태-맞춤 결합은 하나 또는 다수의 그립 장치(22)에 의해 달성된다. 본 예시에서, 그립 장치(22)는 확장 가능한 부분(23)을 포함한다. 본 예시에서, 그립 장치(22)는 볼트와 같은 형태로, 초기 장착 부분(20)의 체결 홀(26)에 삽입될 수 있다. 확장 가능한 부분(24)은 그립 장치(22)가 삽입되고 난 이후에 펼쳐질 수 있다.
트레드 부분(16)은 체결 장치(28)를 통해 초기 장착 부분(20)에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체결 장치(28)는 중앙 나사 장치(30)의 형태이다. 체결 장치(28)는, 트레드 부분(16)이 초기 장착 부분(20)에 체결될 때, 트레드 부분이 축 방향(A)으로 초기 장착 부분(20)을 향해, 그리고 초기 장착 부분(20)이 이미 림(2)에 부착되어 있을 때에는 림(2)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트레드 부분(16)은 원주 방향(U)으로 다중-부품 형태이며, 바람직하게는 트레드 부분(16)은 제1 원주 세그먼트(32)와 제2 원주 세그먼트(34)를 포함한다. 제2 원주 세그먼트(34)는 분리 가능한 경첩 장치(36)를 통해 제1 원주 세그먼트(32)에 분리 가능하게, 그리고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경첩 장치(36)는 분리 불가능한 형태일 수도 있다.
제2 원주 세그먼트(34)는 2개의 정렬 장치(38)를 통해 제1 원주 세그먼트에 대해 정렬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에서 정렬 장치들은 선회 가능한 형태이다.
정렬될 수 있다는 것은, 제2 원주 세그먼트(34)가 제1 원주 세그먼트(32)에 대해 의도된 위치로 정렬 장치(38)를 통해 가압될 수 있고, 정렬 장치(38)를 통해 그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정렬 장치(38)는, 제1 원주 세그먼트(32)에 대한 제2 원주 세그먼트(34)의 위치가 잠길 수 있도록 하는 잠금 메커니즘의 형태일 수도 있다.
초기 장착 부분(20)을 체결하기 위해, 체결 홀(26)들이 림(2)의 개구(13)들 위에 위치 설정된다(도 4a). 그 다음, 그립 장치(22)가 체결 홀(26) 내로 삽입되어, 림(2)의 개구(13) 내로 가압된다. 체결 장치(22)가 완전히 개구(13)를 통해 가압되면, 확장 가능한 부분(24)이 펼쳐져, 림(2) 내에서 개구(13) 뒤쪽에 결합된다(도 4b).
초기 장착 부분(20)이 차량 휠에 체결되고 나면(도 4b), 다음 단계에서 트레드 부분(16)이 초기 장착 부분(20)에 체결된다(도 4c). 이러한 목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트레드 부분(16)은 체결 장치(28)를 통해 초기 장착 부분(20)에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 작업 중에, 트레드 부분(16)은 차량 휠(1)을 향해 축 방향(A)으로 이동한다.
트레드 부분(16)을 초기 장착 부분(20)에 체결할 때, 제1 원주 세그먼트(32)가 먼저 체결 장치(28)를 통해 초기 장착 부분(20)에 체결된다. 따라서, 제2 원주 세그먼트(34)는 아직, 정렬 장치(38)에 의해 제1 원주 세그먼트(32)에 대해 정렬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제2 원주 세그먼트(34)는 제1 원주 세그먼트(32)에 대해 여전히 선회 가능하다. 따라서, 단순한 방식으로 제1 원주 세그먼트(32)를 초기 장착 부분(20)에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원주 세그먼트(32)가 초기 장착 부분(20)에 연결되고 나면, 제2 원주 세그먼트(34)가 더이상 도로 표면(F)을 향하도록 배향되지 않고, 상향으로 배향되도록 차량 휠(1)이 반바퀴 만큼 이동될 수 있다. 제2 원주 세그먼트(34)는 정렬 장치(38)를 통해 제1 원주 세그먼트(32)에 대해 정렬될 수 있고, 옵션적으로는 잠금될 수 있다(도 4d).
그러면 체결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하지만, 트레드 부분(16)이 차량 휠(1)에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되는 브레이싱 수단을 통해) 추가적으로 체결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의미 내에 있다. 이는,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트레드 부분(16)은, 차량 휠(1)의 림(2)의 부분(11), 본 실시예의 경우 림 플랜지(10)의 뒤에 있는 후크 부분(42)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브레이싱 수단(40)을 포함할 수 있다. 림 플랜지(10) 뒤에서의 브레이싱 수단(40)의 이러한 결합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싱 수단(40)은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또는 선회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브레이싱 수단(40)은 작동되었을 때, 브레이싱 수단이 림(2)의 일부분(11), 특히 림 플랜지(10)의 뒤에서 결합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도 5에서, 브레이싱 수단(40)은 작동 나사(44)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 작동 나사(44)는 반대-부재(46) 내로 결합하고, 작동 나사(44)가 조여지면, 브레이싱 수단(40)이 도 5에 도시된 결합 위치까지 반경 방향으로 림 플랜지(10)를 향해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브레이싱 수단(40)의 후크 부분(42)은 축 방향(A)으로 보았을 때, 바람직하게는 선형 또는 아치형 방식으로,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며(도 5에 도시되어 있음), 브레이싱 수단(40)은, 브레이싱 수단(40)이 작동되어 브레이싱 수단(40)이 림(2)을 향해, 특히 림 플랜지(10)를 향해 이동될 때, 후크 부분(42)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 특히 변위되고, 후크 부분(42)이 이동한 결과, 트레드 부분(16)이 림(2)을 향해 축 방향(A)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14)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트레드 부분(16)의 형상은 환형이다. 한편, 초기 장착 부분(20)은 원형 디스크 형상을 갖는 부분(47)과 그로부터 돌출하는 암(48)을 구비한다. 트레드 부분(16)은 대응하는 체결 장치(28)를 통해 암(48)에 체결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트레드 부분(16)은 단일의 경첩 장치(16)만을 구비하며, 제2 원주 세그먼트(34)에서 그 반대쪽에는 더브테일과 같은 결합 구조(49)를 구비한다.
도 6의 실시예에서, 트레드 부분(16)은 다수의 접촉 부분(50)을 구비한다. 접촉 부분(50)은 브레이싱 메커니즘(52)의 각각의 부분이다. 접촉 부분(50)은 그와 관련된 브레이싱 수단(40)을 활성화하고, 접촉 부분(50)이 특히 가압되도록(subjected) 작동되었을 때, 후크 부분(42)이 림(2)의 부분(11), 바람직하게는 림 플랜지(10)의 뒤에서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의 브레이싱 메커니즘(52)은, 부착물(14)이 차량 휠(1)에 부착되어 차량 휠(1)이 회전하고, 이로 인해 접촉 부분(50)이 특히 가압되도록 작동될 때, 접촉 부분(50)이 도로 표면(F)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접촉 부분(50)은, 특히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공간적으로 부착물(14)의 트레드 표면(18)에 배치된다.
도 7은, 단일-조각 형태이며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의 초기 장착 부분(20)과 조합될 수 있는 트레드 부분(16)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의 초기 장착 부분(20)과 조합될 수 있는 트레드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의 트레드 부분(16)은 원주 방향(U)으로 끊겨있지 않고 외측 부분(56)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배치되는 내측 부분(54)을 포함하며, 외측 부분(56)은 원주 방향으로 갭(58)을 갖도록 구성되고, 외측 부분(56)은 삽입 부분(6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삽입 부분(60)은 부착물(14)이 차량 휠(1)에 장착된 상태에 있을 때, 갭(58) 내에 수용되어, 외측 부분(56)이 폐쇄된 원형 트레드 표면(18)을 갖도록 한다(도 9).
도 8은 외측 부분(56)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는 삽입 부분(60)을 나타내고, 도 9는 갭(58)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의 삽입 부분(60)을 나타낸다.
트레드 부분(16)을 초기 장착 부분(20)에 장착하기 위해서, 갭(58)이 먼저 도로 표면(F)을 향해 배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착 중에 차량 휠(1)이 도로 표면(F)과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다음, 차량 휠(1)은, 갭(58)이 도로 표면(F)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그 다음, 삽입 부분(60)이 갭(58)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실시예는, 모든 브레이싱 수단(40)의 작동 또는 이동을 함께 결합하는 커플링 메커니즘(62)도 포함한다. 이러한 커플링 메커니즘(62)은 브레이싱 수단(40)의 모든 실시예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링 메커니즘(62)은, 모든 브레이싱 수단(40)이 균일하고 고르게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풀(cable-pull) 장치의 형태일 수 있다.
도 8에서, 그리고 도 9의 좌측에 있는 구상에서, 트레드 부분(16)은 차량 휠(1)로부터 멀어지는 쪽에서 보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우측에 있는 구상에서, 트레드 부분(16)은 차량 휠(1)을 향하는 쪽에서 보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두 경우는 트레드 부분(16)이 모두 차량 휠(1)에 장착된 상태를 기반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의 트레드 부분(16)은, 도 9의 우측에 있는 구상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레드 부분(16)이 초기 장착 부분(20)에 체결되어, 접촉 부분(50)을, 특히 가압되도록 작동시켰을 때, 초기 장착 부분(20)을 접촉 부분(50)과 접촉시키도록 구성되는 브레이싱 메커니즘(52)을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접촉 부분(50)은, 도 9의 우측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착물(14)의 측면 중 림(2)을 향하는 측에 배치된다.
도 10은 도 6 또는 도 7에서와 같이 배치되는 접촉 부분(50)과 브레이싱 수단(40)의 커플링을 도시한다.
접촉 부분(50)은 자유 휠 장치(66)를 구비하는 압력 전달(pressure transmission) 장치(64)를 통해 브레이싱 수단(40)에 연결될 수 있다. 자유 휠 장치(66)는 제1 실린더 부(70)와 제2 실린더 부(72)를 구비하는 압력 실린더(68)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싱 수단(40)은 자유 휠 장치(66)를 통해 접촉 부분(50)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는, 접촉 부분(50)의 이동에 의해 힘이 자유 휠 장치(66)로부터 브레이싱 수단(40)으로 전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부착물(14)이 부착되어 있는 차량 휠(1)이 굴러갈 때, 접촉 부분(50)들은 도로와 접촉한 결과로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전술된 구성의 브레이싱 수단(40)이 작동되거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서는 힘이 브레이싱 수단(40)으로 전달된다. 브레이싱 수단(40)은 이러한 힘에 의해 림(2) 또는 림 플랜지(10)를 향해 가압된다. 브레이싱 수단(40)은 작동되었을 때에, 림 플랜지(10)의 뒤에 결합한다. 모든 브레이싱 수단(40)이 림 플랜지(10)의 뒤에 결합하면, 부착물(14)이 차량 휠에 체결된다. 전술된 힘 전달 중에, 브레이싱 수단(40)이 림 플랜지(10)를 향해 가압되는 특정한 힘 또는 제한된 압력이 초과되는 경우, 두 개의 실린더 부(70, 72)가 서로 가압된다. 이는, 예를 들어 접촉 부분(50)이 아직 종단(end)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지만, 후크 부분(42)은 이미 림 플랜지(10)의 뒤에 완전하게 결합되어 그 위에 놓였을 때에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 부분(50)은, 원주 방향(U)으로 만곡되어, 트레드 본체(74)의 일부분을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강 시트(73)의 형태이다. 따라서, 트레드 본체(74)의 이러한 부분은 트레드 본체(74)의 나머지 부분의 환형 형태로부터 비적재(unloaded) 상태로 벗어나고, 차량이 도로 표면(F)을 굴러갈 때에 내측으로 가압되며, 힘이 압력 전달 장치(64)와 자유 휠 장치(66)를 통해 브레이싱 수단(40)으로 전달된다.
자유 휠 장치(66)를 갖는 압력 전달 장치(64)는 홀딩 메커니즘(78)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홀딩 메커니즘(78)은, 접촉 부분(50)이 트레드 표면(18)으로 완전히 진입하면, 두 개의 실린더 부(70, 72)를 함께 잠금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형태의 홀딩 메커니즘(78)이 고려될 수 있다. 홀딩 메커니즘(78)은, 접촉 부분(50)이 더 이상 도로 표면(F)에 있지 않거나, 더 이상 가압되지 않을 경우, 브레이싱 수단(40)이 램(10)의 부분(11) 또는 림 플랜지(10)의 뒤와의 결합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자유 휠 장치(66) 및/또는 홀딩 메커니즘(78)을 갖는, 매우 다양한 구성의 대응하는 압력 전달 장치(63)가 모든 종류의 접촉 부분(50), 특히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차량 휠(1)을 향하는 트레드 부분(16) 측에 배치되는 접촉 부분(50)과 조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그립 장치(22)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1a 및 도 11b의 실시예에서, 그립 장치(22)의 확장 가능한 부분(24)을 나타내는 펼쳐질 수 있는 슬리브(80)가 개구(13) 내에 삽입된다. 초기 장착 부분(20)을 체결하기 위해, 초기 장착 부분은, 초기 장착 부분의 체결 홀(26)이 개구 (13)들 위에 놓이도록 위치 설정된다. 그러면, 펼쳐지는(spreading) 요소(82)를 나타내는 나사가 펼쳐질 수 있는 슬리브(80) 내에 나사 조임되고, 이로 인해 슬리브가 멀리 펼쳐져서 확장된다. 확장된 상태에서, 슬리브(80)는 개구(13)의 측벽들과, 그리고 이로 인해 림(2)과도 마찰-기반 연결을 형성한다. 슬리브(80)는 분리 불가능한 방식으로 초기 장착 부분(20)에 연결될 수도 있는데, 이는 분리 불가능한 방식으로 초기 장착 부분(20)에 연결된 그립 장치(22)의 일부분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1c는 그립 장치(22)의 개구(13) 뒤에서의 형태-맞춤 결합의 한 예시를 도시한다. 나사(84)가 개구(13)의 측벽에 제공되는 나삿니(86)에 나사 결합되어, 그 나삿니 뒤에 형태-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나삿니가 없는(thread-free) 개구(13) 뒤에 형태-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거나 나삿니가 없는 개구(13)에 마찰-기반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는 그립 장치(22)가 초기 장착 부분(20)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의 실시예에는, 그립 장치(22)의 압축 가능한 부분(90)을 포함하는 압축 가능한 슬리브(88)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압축 가능한 슬리브(88)가 어떻게 개구(13)에 삽입되는 지를 도시한다.
도 12b는 압축 가능한 슬리브(88)를 개구(13)에 삽입하는 것을 도시한다. 압축 가능한 부분(90)은 후크 영역(92)을 포함하며, 이는 개구(13)를 통해 안내될 때 내측으로 움직이고, 개구(13)를 통해 안내되고 나면 압축되지 않는 상태로 확장되어, 개구(13) 뒤에 형태-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초기 장착 부분(20)은 스프레딩 요소(82)를 나타내는 나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도 12c).
압축 가능한 슬리브(88)는 분리 불가능한 방식으로 초기 장착 부분(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예(version)가 도 13에 개략적으로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3의 변형예에서, 나삿니 부분(16)은 대응하는 홀(94)을 통해 초기 장착 부분(20)에 체결되며, 나삿니 부분은 펼쳐지는 요소(82)와 함께 체결 장치(28)를 형성한다. 초기 장착 부분(20)은 거기에 연결(본 실시예의 경우, 분리 불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압축 가능한 슬리브(88)를 통해 개구(13) 내로 클립되는 것처럼 될 수 있다. 압축 가능한 슬리브(88)는 압축 가능한 부분(90)을 포함하고, 그립 장치(22)에 해당한다. 그러면, 나삿니 부분(16)은 펼쳐지는 요소(82)를 통해 초기 장착 부분(20)에 체결될 수 있고, 펼쳐지는 요소(82)는 체결되는 작업 중에 축 방향(A)으로 림(2)을 향해 이동한다.
부착물(14)과 차량 휠(1)의 림(2)을 포함하는 시스템도 본 발명의 사상 내에 있으며, 부착물(14)은 다음의 청구항들 중 하나에 따라, 특히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라 구성되고, 림(2)은 상기 림(2)의 볼트 서클(4)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의 개구(13)를 구비하며, 개구(들)(13)은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홀(7)로부터, 그리고 림(2)의 중앙 개구(6)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14는 이러한 시스템의 림(2)의 예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4의 림(2)은 5개의 개구(13)를 구비한다. 하지만, 더 많거나 더 적은 개구(13)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3)의 중점(99)이,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홀(7)의 중점(101)을 통과하여 연장하는 원(1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개구(13)들의 중점(99)이,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홀(7) 모두를 외접(circumscribe)하는 가장 작은 원을 형성하는 원(10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13)들의 위치와 관련된 위의 설명은 축 방향(A)으로의 관찰 방향과 연관된다.
바람직하게는, 개구(13)들은 원(101, 102)들 사이에 배치되는데, 개구들의 단면 대부분이, 바람직하게는 단면 전체가 원들 사이에 있도록 배치된다.
도 15는 초기 장착 부분(20)(도 15a)과, 초기 장착 부분을 차량 휠(1) 또는 차량 휠(1)의 림(2)에 체결하는 것(도 15b 및 도 15c)을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는, 중공 로드 형태 또는 펼쳐질 수 있는 슬리브(80) 형태의 그립 장치(22)들을 포함한다. 중공 로드 형태의 그립 장치(22)는 각각 확장 가능한 부분(24)을 구비한다. 후크형 돌출부(104)가 확장 가능한 부분(24)에 배치된다. 후크형 돌출부(24)는 림(2)에 있는 개구(13)들 뒤에 형태-맞춤 방식으로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초기 장착 부분(20)은 스페이서(106)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106)는 림(2)에 대해 정의되는 거리를 특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스페이서(106)들은 슬리브 형태이다. 스페이서(106)들은 휠 볼트(15)들 또는 그들의 헤드에 끼워지도록(fitted)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b에는, 초기 장착 부분(20)을 림에 장착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초기 장착 부분(20)은,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플레이트 형태로, 펼쳐지는 요소(82)가 부착되는 작동부(108)(actuating part)를 포함한다. 작동부(108)는, 펼쳐지는 요소(82)가 중공 로드 형태의 그립 장치(22) 내에 배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중앙 나사(110)를 통해 초기 장착 부분(20)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할 가능할 수 있다. 작동부(108)와 초기 장착 부분(20)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다른 이동 가능한 연결 또한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 구조가 도 15b에 도시되어 있다. 중앙 나사(110)가 나사 조임되면, 작동부(108)가 초기 장착 부분(20)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펼쳐지는 요소(82)들이 중공 로드 형태의 그립 장치(22) 내로 이동되어, 각각의 확장 가능한 부분(24)이 넓어지고, 그 위에 배치된 후크형 돌출부(24)가 개구(13)의 뒤에 형태-맞춤 방식으로 단단하게 결합한다.
초기 장착 부분(20)은,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 부분(16)이 초기 장착 부분(2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 장치(28)를 구비한다. 도 15에 도시된 체결 장치(28)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림(112)(limb)을 2개 구비하며, 각각의 림은 대응하는 나사(116)가 나사 조임될 수 있는 나삿니를 구비하는 홀(114)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로 인해 트레드 부분(16)이 초기 장착 부분(2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6a는 도 15의 초기 장착 부분(20)을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16b는 대안적인 형태의 초기 장착 부분(20)을 나타낸다. 도 16의 초기 장착 부분(20)에서, 작동부(108)에는 램프(ramp)형 경사부(128)로 연장하는(run on) 원호 형상의 슬롯이 제공된다. 작동부(108)의 회전에 의해, 펼쳐지는 요소(82)가 램프형 경사부를 따라 활주함으로써 그립 장치(22) 내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그립 장치가 펼쳐진다. 작동부(108)의 회전은 대응하는 핸들(130)을 통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설명된 작동부(108)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작동부(108)는, 그립 장치(22)가 대응하는 개구(13)의 뒤에서 형태-맞춤 결합을 이루도록, 특히 그립 장치(22)의 확장 가능한 부분(24)이 넓어지거나 펼쳐지도록, 초기 장착 부분(20)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작동부(108)의 이동에 의해 펼쳐지는 요소(82)의 이동을 유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7은 초기 장착 부분(20)의 또 다른 가능한 형태를 도시한다. 이때, 체결 장치(28)는 도 15의 체결 장치(28)의 형태에 대응한다. 트레드 부분(16)을 체결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체결 장치(28)도 가능하다.
도 17에 도시된 초기 장착 부분(20)은 그립 장치(22)를 구비한다. 초기 장착 부분(20)은 그립 장치(22)의 림(2)의 중앙 개구(6)와의 마찰-기반 결합에 의해, 차량 휠(1)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립 장치(22)가 중앙 개구(6)에 형태-맞춤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17의 예시에서, 그립 장치(22)는 슬롯형 또는 펼쳐질 수 있는 슬리브(80) 형태이다. 슬롯형 또는 펼쳐질 수 있는 슬리브(80) 내부에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원뿔 요소(120) 형태의 반경 크기가 변하는 요소(118)가 배치된다(요소(118)는 원추형 부분(122)을 구비한다). 반경 크기가 변하는 요소(118)는 슬롯형 또는 펼쳐질 수 있는 슬리브(80)에 대해 축 방향(A)으로 이동할 수 있다. 요소(118)를 축 방향(A)으로 슬롯형 또는 펼쳐질 수 있는 슬리브(8)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해, 초기 장착 부분(20)은 브레이싱 나사(124)를 구비한다. 요소(118)의 (도 17a의 도면에서 상향으로의) 축 방향 이동의 결과, 슬롯형 또는 펼쳐질 수 있는 슬리브(80)가 펼쳐져, 중앙 개구(6) 내에 마찰-기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는 슬리브가 중앙 개구(6) 내로 연장하여 바찰-기반 방식으로 내부로부터 결합하거나 내부로부터 중앙 개구(6)의 벽에 놓이는 것을 의미한다. 슬롯형 슬리브(80)는 복수의 펼쳐질 수 있는 암(126)을 구비한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특히 구부릴 수 있는 암(126)들은 확장 가능한 부분(24)을 나타낸다. 암(126)들은 도 17b에 도시된 것보다 서로로부터 실질적으로 더 멀리 이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서로 반대쪽에 배치되는 2개의 펼쳐질 수 있는 암(126) 만이 존재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암(126) 또는 일반적으로는 확장 가능한 부분(24)에 돌출부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들은 대응하는 홈 내로 또는 일반적으로는 중앙 개구(6) 내에 있는 오목부 내로 결합할 수 있다. 체결은 형태-맞춤 결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은 림(2)의 개구(13)들 내로, 바람직하게는 폴리-컨트롤 보어 내로 삽입될 수 있고, 형태-맞춤 결합 또는 마찰-기반 결합에 의해 체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그립 장치(22)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8a에 도시되어 있는 변형예는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하지만, 도 18a의 그립 장치(22)의 변형예는 압축 가능한 부분(90)에 해당하는 다수의 후크 영역(92)을 구비하는 로드-형 요소에 의해서만 형성된다. 도 18a의 변형예는 펼쳐지는 요소(82)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8a에 따른 그립 장치(22)로, 초기 장착 부분(20)은 개구(들)(13) 또는 폴리-컨트롤 보어(들)에 거의 직접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립 장치(22)들은 초기 장착 부분(20)에 (도 13과 유사하게) 고정되게 부착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또는 초기 장착 부분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8b에 도시된 그립 장치(22)의 변형예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그립 장치(22)의 변형예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도 18b의 그립 장치(22)는 형태-맞춤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18c에 도시된 그립 장치(22)의 변형예는 마찰-기반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그립 장치(22)는,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 가능한 슬리브(132)에 의해 형성되는 확장 가능한 부분(24)을 구비한다. 압축 가능한 슬리브(132)는 축 방향 길이가 감소되었을 때 반경 방향 크기(extent)가 증가하는 슬리브를 의미한다. 펼쳐지는 요소(82)가, 본 실시예의 경우 너트(136)를 통해 조여지면, 압축 가능한 슬리브(132)의 축 방향 길이가 감소되고, 압축 가능한 슬리브(132)의 반경 방향 크기는 증가한다. 이로 인해, 압축 가능한 슬리브(132)가 개구(13)의 내측 벽에 대해 마찰-기반 방식으로 놓여지게 되고, 마찰-기반 결합이 형성된다.
도 18d에 도시된 그립 장치(22)의 변형예는 형태-맞춤 결합을 하도록 구성된다. 도 18d의 변형예에서, 그립 장치(22)는 나사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개구부(13)가 나삿니를 구비하거나, 나사가 나사 고정될 수 있는 개구 뒤에 결합되도록 하는 대응하는(mating) 나삿니를 구비해야 한다.
그립 장치(22)는 개구(13)에 나삿니-없이 형태-맞춤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개구(13)가 나삿니를 구비하지 않고, 그립 장치(22)가 결합될 수 있는 개구 뒤에 대응하는 나삿니가 배치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나삿니는, 재료가 개구(13) 내에 도입되었을 때, 나사가 나삿니를 자동적으로 절단할 수 있거나, 이러한 재료가 개구(13) 뒤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하지만, 나삿니-절단 나사와 함께 이러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내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립 장치(22) 자체에 나삿니가 없다. 따라서, 형태-맞춤 결합을 생성하기 위해 나삿니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그립 장치(22)를 이동시키기 위해 나삿니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b의 실시예는 나삿니가 없는 그립 장치(22)를 구비한다.
도 19는 클램핑 장치(140)를 통해 차량 휠(1)의 휠 볼트(15)들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초기 장착 부분(20)을 도시하며, 클램핑 장치(140)는 적어도 2개의 휠 볼트(15)를 클램핑 방식으로 함께 결합하여 휠 볼트들을 파지(grasp)하도록 구성된다. 클램핑 장치(140)는 적어도 2개의 체결 요소(142)를 구비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휠 볼트(15)당 하나의 체결 요소를 구비한다. 체결 요소(142)는 휠 볼트(15)의 헤드에 있는 개구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20c). 체결 요소(142)가 휠 볼트(15)의 헤드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며(도 19a 내지 도 19c, 도 20a 및 도 20b), 이때 체결 요소(142)는 볼트 헤드를 수용하는 부분으로, 휠 볼트(15)의 헤드의 외부 윤곽(보편적으로는 육각형임)에 상호보완적인 부분(144)을 갖도록 구성되거나, 볼트 헤드를 수용하는 체결 요소(142)의 부분(144)이 체결 요소(142)의 볼트 헤드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에 종 방향 홈을 구비할 수 있다.
클램핑 장치(140)는 굽힘(bending) 장치(144)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굽힘 장치(146)는 체결 요소(142),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체결 요소(142)가 휠 볼트(들)(15)들의 헤드 위에 배치되었을 때(도 19a 내지 도 19c, 도 20a 및 도 20b) 또는 휠 볼트(15)의 헤드에 있는 개구 내에 삽입되었을 때(도 20c), 체결 요소들이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체결 요소들을 구부리도록 구성된다.
굽힘 장치(146)는 또한, 이들이 휠 볼트(들)(15)의 헤드 위에 배치되었을 때(도 19a 내지 도 19c, 도 20a 및 도 20b) 또는 휠 볼트(15)의 헤드에 있는 개구 내에 삽입되었을 때(도 20c), 체결 요소(142)들을 서로를 향해 구부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예시에서, 굽힘 장치(146)는, 굽힘 장치가 나사(150)를 통해 체결 요소(142)를 향해 이동될 때, 체결 요소(142)들을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부린다. 체결 요소(142)들을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부린 결과, 체결 요소들이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braced). 결과적으로, 클램핑 장치(140)는 휠 볼트(15)들에 클램핑 방식으로 함께 결합하고, 클램핑 방식으로 휠 볼트들을 파지한다.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굽힘 장치(146)는, 예를 들어 나사(150)에 의해 초기 장착 부분(20)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또는 체결 요소(142)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초기 장착 부분(20)을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도록, 또는 체결 요소(142)를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도록 축 방향으로 이동되면, 체결 요소(142)들이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부러진다. 이는,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굽힘 장치(146)의 비스듬한 표면(154)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9b는 고정되지 않은(unbraced) 상태에 있는 체결 요소(142)들을 나타내고, 도 19c는 고정되어 있는 상태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부러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굽힘 장치(146)가 체결 요소(142)를 둘러싸서 직경이 감소될 수 있거나, 체결 장치 요소(142)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확장될 수 있는 텐션 링(도시되지 않음)의 형태도 생각해볼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힘 장치(146)가 스프링(158)에 의해 초기 장착 부분(20)을 향해 또는 체결 요소(142)를 향해, 또는 초기 장착 부분이나 체결 요소들로부터 멀어지도록 편향되는 것이 가능하다. 굽힘 장치(146)는 나사(150)를 통해 스프링(158)의 편향 방향에 대항하여 이동될 수 있다.
굽힘 장치(146)는 전체가 원형 경로에서 벗어난(deviate) 아치형 슬롯들을 구비하는 (도 16b의 원호 형상의 슬롯들을 갖는 작동부(108)와 유사한) 요소,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형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요소는 경사부(128)를 구비하지 않고, 원호 형상의 슬롯들은 도 16b와는 다르게 전체가 원형 경로에서 연장하는 것이 아니라, 그로부터 벗어나 있다. 따라서, 요소가 회전할 때, 원호 형상의 슬롯들이 위치되어 있는 체결 요소(142)는, 원형 경로로부터 슬롯들이 벗어나 있는 방향에 따라, 내측 또는 외측으로 구부러진다.
도 20은, 체결 요소(142), 특히 볼트 헤드를 수용하는 부분(144)의 가능한 다양한 종류들을 도시한다. 볼트 헤드를 수용하는 부분(144)은 휠 볼트(15)의 헤드의 외측 윤곽(일반적으로 육각형임)에 상호 보완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20a). 또한, 볼트 헤드를 수용하는 체결 요소(142)의 부분(144)은, 볼트 헤드에 대한 체결 요소(142)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면에 종방향 홈(166)을 구비할 수도 있다(도 20b). 도 20c는 체결 요소(142)가 볼트 헤드의 내측 오목부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종류의 체결 요소(142)를 나타낸다.
도 21은 트레드 부분(16)이 작동 장치(162)를 통해 초기 장착 부분(20)에 대해 축 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트레드 부분(16)과 초기 장착 부분(20)을 연결하는 가능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21a는 축 방향에서 본 초기 장착 부분(20)을 나타낸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초기 장착 부분(20)은 트레드 부분(16)에 부착하기 위한 2개의 돌출 장착 암(164)을 구비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초기 장착 부분(20)을 또한, 각각이 장착 요소(168)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2개의 수용부(receiver)(166)를 구비한다. 장착 요소(168)에 대해서는 도 21b와 함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장착 암(164)들은 하나의(one-part) 트레드 부분(16)이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장착 암(164)은, 제1 원주 세그먼트(32)와 제2 원주 세그먼트(34)를 구비하는 트레드 부분(16)이 초기 장착 부분(20)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 시에, 초기 장착 부분(20)은 먼저, 림(2)의 볼트 서클(4)의 영역에서 형태-맞춤 결합을 통해 및/또는 림(2)의 볼트 서클(4)의 영역에서의 연결, 바람직하게는 마찰-기반 연결을 통해 볼트 서클(4)의 영역에서 림(2)에 체결되고, 예를 들어 전술된 방식들 중 하나의 방식으로 림의 볼트 서클(4)의 영역에서 차량 휠(1)에 체결될 수 있다.
그 다음, 제1 원주 세그먼트(32)가 초기 장착 부분(20) 위에 놓여지고, 작동 장치(162)를 작동시킴으로써, 작동 장치(162)를 통해 초기 장착 부분(20)을 향해 축 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레드 부분(16)은 차량(1)의 림(2)의 부분(11),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림 플랜지(10)의 뒤에서 후크 부분(42)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브레이싱 수단(40)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부착물(14)은, 트레드 부분(16) 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접촉 부분(50)을 구비하는 브레이싱 메커니즘(52)을 포함하며, 접촉 부분(40)은 차량 휠(1)을 향하는 부착물(14)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부분(50)은, 트레드 부분(16)이 작동 장치(162)에 의해 초기 장착 부분(20)에 대해 축 방향(A)으로 이동될 때, 접촉 부분(50)이 차량 휠(1) 및/또는 초기 장착 부분(20)에 접촉하여 작동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부착물 또는 각각의 원주 세그먼트(32, 34)는 작동 장치(162)의 작동 시에 림 플랜지(10)의 뒤에서 브레이싱 수단(40)과 거의 자동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공압식 작동 장치(162)가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작동 장치(162)는 순수하게 기계적인, 특히 스프링-편향된 형태일 수도 있다. 스프링 편향과 함께 공압식으로 작동하는 작동 장치(162)가 제공되는 것 또한 생각해볼 수 있다. 전기 작동 장치(162) 또한 가능하다.
작동 장치(162)의 동작(functioning)과 관련하여, 원주 세그먼트(32, 34)가 장착 암(164) 위에 놓여진다. 장착 요소(168)가 초기 장착 부분(20)에 있는 수용부(166) 내에 삽입된다. 장착 요소(168)는 트레드 부분(16)의 원주 세그먼트(32, 34)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장착 요소(168)는 피스톤 부분(170)과 함께 압력 챔버(172) 내로 연장한다. 압력 챔버(172)는 밸브(176)를 구비하는 압력 매체 연결부(174)를 구비한다. 압력 매체 공급원(178)이 압력 매체 연결부(17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매체 공급원(178)은 예를 들어 자전거 타이어의 수리용 세트로부터 공지되어 있는 것과 같은 소형 가스 카트리지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압력 매체 공급원(178)은 충분한 공기압을 가진 차량의 또 다른 타이어일 수도 있다. 압축기를 사용하는 것 또한 생각해볼 수 있다.
압력 매체 공급원이 압력 매체 연결부(174)에 연결되는 경우, 밸브(176)가 개방되어, 압력 매체가 압력 챔버(172)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면, 피스톤 부분(170)이 압력 챔버(172) 내로 이동하는데, 트레드 부분(16)이, 또는 다중-부품 트레드 부분(16)의 경우 각각의 원주 세그먼트(32, 34)가 축 방향(A)으로 초기 장착 부분(20)을 향해 또는 차량 휠(1)을 향해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이 도 21b에 화살표(179)로써 도시되어 있다.
“트레드 부분(16)이 초기 장착 부분(20)에 대해 축 방향(A)으로 작동 장치(162)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초기 장착 부분(20)에 연결된다 또는 될 수 있다”는 것은 트레드 부분(16), 특히 원주 세그먼트(32, 3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초기 장착 부분(20)에 대해 축 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트레드 부분(16) 전체 또는 모든 원주 세그먼트(32, 34)가 작동 장치(162)를 통해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부착물, 특히 트레드 부분(16)은, 초기 장착 부분(20)에 대한 의도된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초기 장착 부분(20)에 대한 위치에 트레드 부분(16)(또는 각각의 원주 세그먼트(32, 34))를 잠금하는 잠금 메커니즘(180)을 구비한다. 도 21b는 잠금 메커니즘(180)의 예시로서 스프링-편향된 로드를 도시하는데, 트레드 부분(160)이 초기 장착 부분(20)을 향해 이동되었을 때, 상기 로드가 장착 요소(168)에 있는 오목부 내에 걸린다(latch).
장착 요소(168)가 압력 매체에 의해 이동되는 것 대신, 또는 추가적으로 압력 매체에 의해 이동되는 것 대신, 트레드 부분(16)의 장착 시 잠금 해제되어, 트레드 부분(16)이 초기 장착 부분(20)을 향해 이동하도록 장착 요소(168)를 이동시키는 편향된 스프링, 특히 압축 스프링을 통해 이동되는 것 또한 생각해볼 수 있다. 작동 시, 트레드 부분(16)과 초기 장착 부분(20) 사이의 상대 이동을 야기하는 작동 장치(162)의 다른 형태들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장치(162)는 작동 장치(162)가 작동되었을 때, 트레드 부분(16)이 초기 장착 부분(20)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21c는 작동 장치(162)의 또 다른 가능한 형태를 나타낸다. 도 21c의 실시예에서, 트레드 부분(16)의 2개의 원주 세그먼트(32, 34)는 초기 장착 부분(20)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다. 작동 장치(162)의 작동 시, 원주 세그먼트(32, 34)들은 차량 휠(1)을 향해 선회된다.
초기 장착 부분(20)과 트레드 부분(16) 또는 그 원주 세그먼트(32, 34)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작동 장치(162)를 포한하는 부착물(14)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트레드 부분(16)은 작동 장치(162)에 의해 초기 장착 부분(20)에 대해 축 방향(A)으로 병진 및 선회 가능하게(도 21c의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음)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흡입 컵(182, 184)이 부착물(14)의 체결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초기 장착 부분(20)이 흡입 컵(182)에 의해, 특히 차량 휠(1)의 림(2)의 볼트 서클(4)의 영역에서 차량 휠(1) 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음압에 의해 림(2)에 흡착되도록 구성되는 흡입 컵(182)이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흡착 컵(182)은 초기 장착 부분(20)의 부착을 위해, 특히 나삿니를 구비하는 로드-형 연장부(186)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트레드 부분(16)은 흡입 컵(182)을 통해 림(2)에 및/또는 추가적인 흡입 컵(184)을 통해 타이어(3)에 체결될 수 있다.
특히, 재료-결합식(material-bonded) 연결, 특히 접착식(adhesive) 연결에 의해, 특히 차량 휠(1)의 림(2)의 볼트 서클(4)의 영역에서 차량 휠(1)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재료-결합식 또는 접착식 연결은 특히 접착제로 코팅된 흡입 컵(188)을 통해 달성될 수 있는데, 이때 접착제가 코팅된 흡입 컵(188)이 음압을 유지할 필요는 없다. 타이어(3)의 고무에 결합하는 조성이 사용되는 것 또한 고려할 수 있다. 특히, 흡입 컵(190)들이 이러한 조성으로 코팅될 수 있다. 그러면, 흡입 컵(190)은 타이어(3)와의 화학 반응에 기초하여 타이어와의 재료-결합식 연결에 진입할 수 있다.
흡입 컵(184, 190)은 한편으로는 부착물(14)을 차량 휠(1)에 체결하기 위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타이어가 운전 중에 확실하게 유지되어(held) 림(2)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도록 차량 휠(1)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부착물(14)이 타이어(3)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부착물(14)이 타이어(3)를 부착물(14)에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는 타이어 홀딩 장치(192)를 구비하는 것이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 이러한 종류의 가능한 홀딩 장치(192)는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전술한 흡입 컵(184, 190)이다. 이러한 타이어 홀딩 장치(192)의 또 다른 가능성이 도 23a에 도시되어 있으며, 차량 휠(1)의 타이어(3)를 물어(bite) 타이어 재료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타이어 그립핑 장치(194)로써 주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타이어 그립핑 장치(194)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타이어(3)의 재료에 침투하도록 구성되는 치-형 돌출부(198)들을 구비한다.
타이어 기능이 저하된 상태로의 주행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휠(1)용 부착물(14)은 독립적인 발명으로, 상기 부착물은 부착물(14)의 트레드 표면(18)을 포함하는 트레드 부분(16)을 구비하고, 부착물(14)은 차량 휠(1)의 타이어(3)를 물어 타이어 재료를 클램핑하도록, 또는 차량 휠(1)의 타이어(3)를 물어 타이어 재료에 침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 그립핑 장치(194)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독립적인 발명이 도 23b 및 도 23c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타이어 기능이 저하된 상태로 주행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휠(1)용 부착물(14)에 관한 것으로, 부착물은 부착 장치(198), 특히 흡입 컵(182, 183, 188, 190)을 포함하는 초기 장착 부분(20)을 구비하고, 부착물은 부착 장치에 의해 차량 휠(1), 특히 림(2)에 부착되되, 바람직하게는 림(2)의 반경 방향 외측 영역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부착물은 부착물(14)의 트레드 표면(18)을 구비하는 트레드 부분(16)을 포함하고, 트레드 부분(16)은 연결 장치(200)(예를 들어, 전술된 작동 장치(162)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음)를 통해 초기 장착 부분(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트레드 부분(16)은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 그립핑 장치(194) 및/또는 타이어 홀딩 장치(19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트레드 부분(16)이 적어도 2개의 원주 세그먼트(32, 34)를 포함한다.
도 23d는 타이어 그립핑 장치(184)의 또 다른 가능한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23d에 도시된 변형예는, 타이어 재료(도 23d에서 우측)를 그립핑하기 위해 타이어 재료를 통해 선회 가능한 후크-형 그립핑 요소(202)들을 포함한다. 후크-형 그립핑 요소(202)들은 차량 휠(1)의 타이어(3) 재료를 물어 타이어 재료에 침투한다.
도 24a 및 도 24b는 고정(securing) 위치(SP)로 이동될 수 있는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를 포함하는 부착물(14)의 일부분을 도시하며,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는 고정 위치(SP)에서 특히 형태-맞춤 잠금(도 24b 참조)에 의해 브레이싱 수단(40)을 잠금하되,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가 고정 위치(SP)에 있는 한, 후크 부분(42)이 차량 휠(1)의 림(2)의 부분(10) 위와의 결합으로부터 이동될 수 없도록 잠금한다.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와 브레이싱 수단(40)을 보다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착물은 도 24a에 일부분만 도시되어 있고, 특히 트레드 부분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예시에서, 고정 위치(SP)에서의 잠금은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의 이동 가능한 브레이싱 표면(208)이 본 예시에서는 핀 형태인 돌출부(210)의 뒤에 형태-맞춤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보장한다. 하지만, 브레이싱 표면(108)은 브레이싱 수단(40)의 다른 부분의 뒤에 형태-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본 예시에서, 핀 형태의 돌출부(210)들은 브레이싱 수단(40)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한다. 이러한 돌출부(210)와 브레이싱 표면(208)은 브레이싱 수단(40)의 양 측면에 존재한다.
부착물(14)은 일반적으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변위 장치(206) 또한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림 플랜지(10)의 뒤에서의 브레이싱 수단(4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림 플랜지(10)로부터 타이어(3)를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도시되어 있는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는, 고정 위치(SP)로 이동되었을 때(이러한 이동은 도 24a에서 화살표(212)로써 도시되어 있다),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가 추가적으로, 림(2)의 부분(10, 11) 뒤에 결합되어 있는 브렝싱 수단(40)의 후크 부분(42)을 림(2)의 부분(10, 11)에 대해 버티게(brace) 하도록 구성 및, 브레이싱 수단(40)에 대해 배치된다. 이는, 브레이싱 표면(208)이 경사지게(beveled) 구성되어,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 또는 상기 장치의 브레이싱 표면(208)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할 때, 돌출부(210)들을 통해 브레이싱 수단(40)을 결합 위치로 더 버티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 또는 상기 장치의 브레이싱 표면(208)들의 이동은 작동 부분(214)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작동 부분(214)은, 작동 부분(214)이 특히 가압되도록 작동될 때,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가 고정 위치(SP)로 이동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와 커플링될 수 있다.
작동 부분(214)은 트레드 표면(18)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부분(214)은 고무 재료로 만들어진 또는 고무 재료를 포함하는 접촉 표면(216)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표면(216)이 트레드 표면(18)에 배치되고, 도로 표면과 접촉하였을 때, 트레드 표면(18)과 동일 평면으로 연장하게 마모되도록 또는 닳도록 구성된다.
작동 부분(214)은 가변적인 부분(220)을 통해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와 기계적으로 커플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변적인 부분(220)은 반경 방향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도 24a의 예시에서, 이는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에 있는 대응하는 오목부(222) 내로 가압될 수 있는 립(rib)-형 돌출부(221)를 구비한 가변적인 부분(220)에 의해 달성된다.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림 플랜지(10) 뒤에서의 브레이싱 수단(40)의 결합 후 또는 결합 중에, 부착물(14)이 회전되어 트레드 표면(18)이 도로 표면 위를 굴러간다. 이로 인해, 작동 부분(214)이 도로 표면에 접촉한다. 작동 부분(214)은 이로 인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된다. 작동 부분(214)의 이동은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의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와의 기계적 커플링으로 변환된다.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브레이싱 표면(208)이 브레이싱 수단(40)에 있는 돌출부(210) 뒤에 결합한다. 이로 인해, 브레이싱 표면(208)이 돌출부(10)들을 변위시키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축 방향(A)으로 변위시켜, 브레이싱 수단(40)이, 상기 브레이싱 수단(40)에 연결되는 돌출부(210)를 통해 림 플랜지(10)에 대항하여 버텨진다. 이로 인해, 브레이싱 수단(40)이 형태-맞춤 방식으로 잠금되고, 동시에 특히 그 후크 부분(42)이 림 플랜지(10)에 대항하여 버텨진다. 브레이싱 수단(40)은 더 이상 림 플랜지(10) 뒤의 결합된 위치에서 선회하여 빠져나올 수 없다.
하지만,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는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특히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는 수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는 고정 위치(SP)에 걸린다.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가 고정 위치(SP)로 편향, 특히 스프링-편향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브레이싱 수단(40), 브레이싱 메커니즘(52), 및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는 다양한 형태로 전술되었다. 이러한 형태들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14)의 실시예들에 특히 관련된다. 트레드 표면(18)을 갖는 베이스 본체를 구비하는 부착물(14)로, 전술한 브레이싱 수단(40)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 그리고 특히 브레이싱 메커니즘(52)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부착물(14) 또한 독립적인 발명이다.

Claims (20)

  1. 타이어 기능이 저하된 상태로 주행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휠(1)용 부착물(14)로, 상기 부착물(14)은 부착물(14)의 트레드 표면(18)을 포함하는 트레드 부분(16)을 구비하고, 부착물(14)의 장착 시에 트레드 표면(18)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배치되는 초기 장착 부분(20)을 구비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에 있어서,
    초기 장착 부분(20)은 차량 휠(1)의 림(2)의 볼트 서클(4) 영역에서 차량 휠(1)에 체결되도록, 특히 림(2)의 볼트 서클(4)의 영역에서의 형태-맞춤 결합을 통해 및/또는 림(2)의 볼트 서클(4)의 영역에서의 연결, 바람직하게는 마찰-기반 연결을 통해, 림(2)의 볼트 서클(4)의 영역에서 차량 휠(1)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2. 제1항에 있어서,
    초기 장착 부분(20)은 림(2)에 있는 개구(13), 바람직하게는 원형 개구와의 그립 장치(22)의 형태-맞춤 결합 및/또는 그립 장치(22)의 마찰-기반 결합을 통해 차량 휠에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구는 볼트 서클(4)의 영역에 배치되며, 개구(13)는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를 수용하기 위해 림(2)에 제공되는 홀(7)들로부터 이격되도록 림(2)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개구가 림(2)의 중앙 개구(6)이거나 림(2)의 회전 축(5)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그립 장치(22)가, 바람직하게는 볼트 서클(4)의 영역에서 개구(13)의 뒤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확장 가능한(expandable) 부분(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립 장치(22)가, 압축된 상태에서 볼트 서클(4)의 영역에 있는 개구(13)를 통해 안내되어, 개구(13)를 통해 안내되고 나면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확장되도록 구성되는 압축 가능한(compressible) 부분(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기 장착 부분(20)은 클램핑 장치(140)를 통해 차량 휠(1)의 휠 볼트(15)에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클램핑 장치(140)는 클램핑 방식으로 휠 볼트(140)에 결합하여 이를 파지하도록 또는 적어도 2개의 훌 볼트(15)에 함께 클램핑 방식으로 결합하여 이들을 파지(grasp)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립 장치(22)의 일부분이 어떠한 경우에도 분리 불가능한 방식으로 초기 장착 부분(20)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레드 부분(16)이 초기 장착 부분(2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8.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트레드 부분(16)이 체결 장치(28, 30)를 통해 초기 장착 부분(20)에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거나 분리 불가능한 방식으로 체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체결 장치(28, 30)가, 초기 장착 부분(20)에 체결될 때 트레드 부분(16)이 축 방향(A)으로 림(2)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9.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트레드 부분(16)이 작동 장치(162), 바람직하게는 공압식 및/또는 스프링-편향식 작동 장치를 통해 초기 장착 부분(20)에 대해 축 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초기 장착 부분(20)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레드 부분(16)이 다중-부품 형태, 특히 원주(peripheral) 방향(U)으로 다중-부품 형태이고, 바람직하게는 트레드 부분(16)이, 특히 서로로부터 분리 가능하거나 및/또는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거나 변위 가능한 적어도 2개의 원주 세그먼트(32, 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1. 선행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레드 부분(16)이 원주 방향(U)으로 끊어지지 않는 내측 부분(54)으로, 외측 부분(56)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부분(54)을 포함하고, 외측 부분(56)은 원주 방향(U)으로 갭(58)을 갖도록 구성되며, 외측 부분(56)은 삽입 부분(6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삽입 부분은, 부착물(14)이 차량 휠(2)에 장착된 상태에 있을 때, 외측 부분(56)이 폐쇄된 원형 트레드 표면(18)을 구비하도록, 갭(58)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레드 부분(16)이, 차량 휠(1)의 림(2)의 부분(10, 11), 특히 림 플랜지(10)의 뒤에서 후크 부분(42)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브레이싱(bracing) 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3.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부착물(14)은 접촉 부분(50)을 구비하는 브레이싱 메커니즘(52)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 부분은 브레이싱 수단(40)을 작동시켜, 접촉 부분(50)이 특히 가압되도록(subjected to pressure) 작동되었을 때, 후크 부분(42)이 림(2)의 부분(10, 11), 특히 림 플랜지(10)의 뒤에 결합하도록 만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4.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브레이싱 메커니즘(52)은, 부착물(14)이 차량 휠(1)에 부착되고 차량 휠(1)이 회전할 때, 접촉 부분(50)이 도로 표면(F)에 접촉하도록, 그리고 이로 인해 접촉 부분(50)을 작동시키도록, 특히 가압되게 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접촉 부분(50)이 특히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공간적으로 부착물(14)의 트레드 표면(18)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접착 부분(50)이 전개된 상태에서 부착물(14)의 트레드 표면(18)과 동일 표면이 되도록(flush) 원주 방향(U)으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5. 제13항에 있어서,
    브레이싱 메커니즘(52)은 차량 휠(1), 특히 림(2)에 접촉하도록, 또는 트레드 부분(16)이 초기 장착 부분(20)에 체결될 때, 또는 초기 장착 부분(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초기 장착 부분(20)을 향해 이동될 때, 접촉 부분(50)을 갖는 초기 장착 부분(2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이로 인해 접촉 부분(40)을 작동시켜, 특히 접촉 부분이 가압되게 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접촉 부분(50)이 림(2)을 향하는 부착물(14)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싱 수단(40)의 후크 부분(42)은 축 방향(A)으로 보았을 때, 반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바람직하게는 선형 또는 아치형 방식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며, 브레이싱 수단(40)은, 브레이싱 수단(40)이 작동되어 브레이싱 수단(40)이 림(2)을 향해, 특히 림 플랜지(10)를 향해 이동할 때에 후크 부분(42)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 특히 변위되도록, 그리고 후크 부분(42)의 이동 결과로서, 트레드 부분(16)이 림(2)을 향해 축 방향(A)으로 가압(urged)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7. 부착물(14)은, 고정(securing) 위치(SP)로 이동될 수 있는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로, 고정 위치(SP)에서 특히 형태-맞춤 잠금에 의해 브레이싱 수단(40)을 잠금하되,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가 고정 위치(SP)에 있는 한, 후크 부분(42)이 차량 휠(1)의 림(2)의 부분(10, 11) 뒤에서의 결합으로부터 빠지도록 이동될 수 없도록 하는 방식으로 브레이싱 수단(40)을 잠금하도록 구성되는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8.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204)가 고정 위치(SP)로 이동될 때, 브레이싱 수단 잠금 장치가 림(2)의 부분(10, 11) 뒤에 결합되어 있는 브레이싱 수단(40)의 후크 부분(42)을 림(2)의 부분(10, 11)에 대해 추가적으로 조이도록(brace) 구성 및 브레이싱 수단(40)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휠용 부착물.
  19. 부착물(14)과 차량 휠(1)의 림(2)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부착물(14)은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과 같이 구성되고, 림(2)은, 볼트 서클(4)의 영역에서 림(2)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3),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개구(13)를 구비하며, 개구(들)(13)은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stay bolt)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홀(7)들로부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림(2)의 중앙 개구(6)들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개구(13)들의 중심(mid-point)(99)은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홀(7)들의 중심(101)을 통해 연장하는 원(1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개구(13)들의 중심(99)은 휠 볼트 또는 스테이 볼트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홀(7)들에 외접하는 최소의 원을 형성하는 원(10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207013467A 2017-10-10 2018-10-08 비상용 휠 KR102588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3513.2A DE102017123513A1 (de) 2017-10-10 2017-10-10 Notlaufrad
DE102017123513.2 2017-10-10
PCT/EP2018/077353 WO2019072775A1 (de) 2017-10-10 2018-10-08 Notlaufr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516A true KR20200060516A (ko) 2020-05-29
KR102588558B1 KR102588558B1 (ko) 2023-10-12

Family

ID=6401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467A KR102588558B1 (ko) 2017-10-10 2018-10-08 비상용 휠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780264B2 (ko)
EP (1) EP3694728B1 (ko)
JP (1) JP7170719B2 (ko)
KR (1) KR102588558B1 (ko)
CN (1) CN111295295B (ko)
AU (1) AU2018348662B2 (ko)
CA (1) CA3077354A1 (ko)
DE (1) DE102017123513A1 (ko)
ES (1) ES2906387T3 (ko)
MX (1) MX2020003835A (ko)
RU (1) RU2770719C2 (ko)
WO (1) WO2019072775A1 (ko)
ZA (1) ZA2020020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5184A1 (de) * 2017-07-06 2019-01-10 Gv Engineering Gmbh Notlaufrad mit Selbstverspannung
DE102017115182A1 (de) * 2017-07-06 2019-01-10 Gv Engineering Gmbh Notlaufrad mit Montageelement
DE102018111492A1 (de) * 2018-01-22 2019-07-25 Gv Engineering Gmbh Notlaufrad
DE102018010081A1 (de) * 2018-12-20 2020-06-25 Juliane Tsiberidou Notrad
CN114728543A (zh) * 2019-12-03 2022-07-08 赫尔穆特·施利茨 用于汽车车轮的备用胎
CN111923665B (zh) * 2020-08-06 2022-04-19 青岛格力普轮胎科技有限公司 一种防爆汽车轮胎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54923A (en) * 1946-02-20 1948-11-30 Jr Alleyne C Howell Emergency wheel
US2989347A (en) * 1958-04-26 1961-06-20 Porsche Kg Auxiliary vehicle supporting device
US4666216A (en) * 1985-08-16 1987-05-19 Irving Smith Emergency wheel mountable on vehicle wheel and method of use
JPS62122802A (ja) * 1985-11-25 1987-06-04 Takeshi Ikeda 自動車タイヤ用すべり止め装置
JPS62105802U (ko) * 1985-12-25 1987-07-06
JPH09300927A (ja) * 1996-05-08 1997-11-25 Mitsuo Baba 直径と平行な直線で切断した半月状の応急用タイヤ
US6068346A (en) * 1996-05-28 2000-05-30 Pender; David R. Add-on spare tire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6217125B1 (en) * 1999-02-16 2001-04-17 Louis Raymond Tubetto Safety wheel assembly
WO2006123044A2 (fr) * 2005-05-17 2006-11-23 Philippe Biesse Jante anti-enlisement
JP2016107768A (ja) * 2014-12-04 2016-06-20 Agcオートモーティブウィンドウ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ラス支持具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9267A (en) * 1970-08-14 1972-07-25 Octave B Zachmann Spare wheel for automobile
US3770323A (en) * 1971-09-14 1973-11-06 Gen Motors Corp Vehicle jack
US3815958A (en) * 1973-01-18 1974-06-11 Dietrich Mfg Inc Assembly for attaching auxiliary wheels to a tractor
GB1535272A (en) * 1976-01-10 1978-12-13 Nielsen K Coupling device for twin wheels
FR2647715B1 (fr) * 1989-06-01 1991-08-23 Michelin & Cie Roue auxiliaire a jumeler temporairement a une roue de vehicule, dispositif de roulage ainsi obtenu
IL104368A (en) * 1993-01-12 1996-03-31 Feldman Joseph Accessory for car wheels
CN2481541Y (zh) * 2000-11-23 2002-03-13 翟华 安全辅助轮防爆安全车轮
CN1365902A (zh) * 2001-01-16 2002-08-28 杜正林 一种遥感电动伸缩辅助轮防爆安全车轮
CN1789022A (zh) * 2005-12-14 2006-06-21 毛登科 汽车爆胎后能维持其临时继续使用的车轮辅助装置
EP2048003B1 (en) * 2007-10-10 2012-01-25 King Saud University A supplementary and/or backup wheel system for an automobile and method of lifting an automobile in the area of a wheel
CN101214774B (zh) * 2008-01-03 2010-06-09 王宝根 防车胎瘪后外胎摩擦损坏的轮毂
US7731299B2 (en) * 2008-04-28 2010-06-08 Torek Thompkins Spare tire assembly
CN101570115A (zh) * 2009-06-11 2009-11-04 李日出 安全车轮
CA2823968C (en) * 2011-01-06 2016-01-12 Lixin Zhou Self-locking device and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thereof
CN102582374A (zh) * 2012-02-15 2012-07-18 绍兴文理学院 一种汽车主辅双车轮装置
DE102017101664A1 (de) * 2017-01-27 2018-08-02 Gv Engineering Gmbh Aufsatz für ein Fahrzeugrad
DE102017103101A1 (de) * 2017-02-15 2018-08-16 Gv Engineering Gmbh Notlaufaufsatz für ein Fahrzeugrad
DE102017115182A1 (de) * 2017-07-06 2019-01-10 Gv Engineering Gmbh Notlaufrad mit Montageelement
DE102018111492A1 (de) * 2018-01-22 2019-07-25 Gv Engineering Gmbh Notlaufrad
DE102018010081A1 (de) * 2018-12-20 2020-06-25 Juliane Tsiberidou Notrad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54923A (en) * 1946-02-20 1948-11-30 Jr Alleyne C Howell Emergency wheel
US2989347A (en) * 1958-04-26 1961-06-20 Porsche Kg Auxiliary vehicle supporting device
US4666216A (en) * 1985-08-16 1987-05-19 Irving Smith Emergency wheel mountable on vehicle wheel and method of use
JPS62122802A (ja) * 1985-11-25 1987-06-04 Takeshi Ikeda 自動車タイヤ用すべり止め装置
JPS62105802U (ko) * 1985-12-25 1987-07-06
JPH09300927A (ja) * 1996-05-08 1997-11-25 Mitsuo Baba 直径と平行な直線で切断した半月状の応急用タイヤ
US6068346A (en) * 1996-05-28 2000-05-30 Pender; David R. Add-on spare tire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6217125B1 (en) * 1999-02-16 2001-04-17 Louis Raymond Tubetto Safety wheel assembly
WO2006123044A2 (fr) * 2005-05-17 2006-11-23 Philippe Biesse Jante anti-enlisement
JP2016107768A (ja) * 2014-12-04 2016-06-20 Agcオートモーティブウィンドウ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ラス支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348662B2 (en) 2023-12-14
JP2020536790A (ja) 2020-12-17
CN111295295A (zh) 2020-06-16
EP3694728A1 (de) 2020-08-19
AU2018348662A1 (en) 2020-04-23
ZA202002045B (en) 2021-07-28
CA3077354A1 (en) 2019-04-18
RU2020114651A (ru) 2021-11-12
CN111295295B (zh) 2021-05-11
DE102017123513A1 (de) 2019-04-11
MX2020003835A (es) 2020-08-06
RU2020114651A3 (ko) 2022-02-28
US20210039432A1 (en) 2021-02-11
JP7170719B2 (ja) 2022-11-14
EP3694728B1 (de) 2021-12-08
KR102588558B1 (ko) 2023-10-12
ES2906387T3 (es) 2022-04-18
BR112020006971A2 (pt) 2020-10-06
US11780264B2 (en) 2023-10-10
RU2770719C2 (ru) 2022-04-21
WO2019072775A1 (de)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0516A (ko) 비상용 휠
JP7351965B2 (ja) 車両ホイールの緊急操作用アタッチメント
CN111032368B (zh) 具有安装元件的备用轮
US6415491B1 (en) Device for replacing toothed belt pulleys on motor vehicle engines
US20060196029A1 (en) Device for extracting and pressing in a wheel bearing that is closed in the rear
CN101121272A (zh) 手持式链锯的链轮罩系统
CN111094011B (zh) 用于车轮的附接件
EP2050590B1 (en) Snow chains mounted from the outside, with a device for fastening to the wheel
US10639949B2 (en) Apparatus for securing and sealing a pneumatic tire to a wheel
US20050284555A1 (en) Quick-fit anti-skid system for vehicle wheels and associated device for fixing to the wheel
US8250714B2 (en) Handgrip for handlebar
BR112020006971B1 (pt) Afixação para uma roda de veículo, e, sistema compreendendo uma afixação e um aro de uma roda de veículo
JPS5948164B2 (ja) チュ−ブタイヤにリムを取り付けるための道具
US6220572B1 (en) Quick adjusting envelope spreader arm
KR200468672Y1 (ko) 차량 바퀴의 미끄럼 방지 시스템을 위한 안전 연결 장치
ITSV20010047A1 (it)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o smontaggio del tamburo o dei frenidi autoveicoli,o simi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