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133A -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 - Google Patents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133A
KR20200060133A KR1020180145727A KR20180145727A KR20200060133A KR 20200060133 A KR20200060133 A KR 20200060133A KR 1020180145727 A KR1020180145727 A KR 1020180145727A KR 20180145727 A KR20180145727 A KR 20180145727A KR 20200060133 A KR20200060133 A KR 20200060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welding
welding device
frame
rail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1667B1 (ko
Inventor
김동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5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66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0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23K37/0217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the guide member being fixed to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8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t least two picking-up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에 관한 것으로, 자동용접기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레일, 가이드 레일을 상부에 구비하는 제1 프레임, 제1 프레임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모재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부, 복수개의 고정부에 각각 연결되는 공기 이송부, 공기 이송부를 통해 복수개의 고정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 및 가이드 레일의 일단에 구비되어 공기 흡입부로 이송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Rail for automatic welding device driving}
본 발명은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용접 시스템은 레일에 의한 궤도운행 또는 휠에 의한 주행을 수행하는 이동 캐리지에 용접토치등과 같은 용접장비를 탑재하여, 용접작업 대상물 상에서 일정구간을 이동 캐리지에 의해 이동하며 용접을 수행하는 무인화 작업 시스템이다.
특히, 이와 같은 무인화 작업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자동용접장치들이 쓰이고 있다.
이때, 다양한 자동용접장치들 중에서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레일주행형 자동용접장치는 직선방향으로 진행하여 안정된 용접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직선방향으로 진행하여 안정된 용접품질을 얻을 수 있는 한 방법으로는, 용접될 철판 경로에 레일이 배치되도록 하고, 그 레일 위에 자동용접장치가 결합된 다음, 레일과 자동용접장치가 상호 기어 맞물림으로 자동주행하면서 용접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레일주행형 자동용접장치에는 용접모재에 진공 흡착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흡착패드가 구성되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레일주행형 자동용접장치, 정확하게는 자동용접장치가 주행하도록 제공된 레일의 흡착패드는 재질이 고무로 이루어짐에 따라,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자동용접장치의 용접 수행시 흡착패드에 진동이 전달되어 흡착해드가 유동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용접장치의 진동이 레일에 전달되더라도 레일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pinion)을 포함하는 자동용접 캐리지가 주행되는 레일에 있어서, 양측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자동용접 캐리지의 피니언에 맞물리게 결합된 랙(rack)이 설치된 주행 몸체, 주행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저면에 복수로 설치되되, 저면에는 진공홀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진공관, 복수의 진공관 사이를 연결하며, 진공홀을 통해 진공 흡입력을 발생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진공유로관, 진공관의 진공홀에 대응되는 흡입공이 형성되며, 용접모재에 진공흡착되는 고무 재질의 흡착패드, 흡착패드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진공관에 나사 결합된 금속의 유동방지캡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레일을 따라 주행하면서 용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용접장치의 진동이 레일에 전달되더라도 레일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용접 결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자동용접장치의 진동이 레일에 전달되더라도 레일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용접 결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자동용접장치의 무게로 인해 레일이 기울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안정적인 용접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2013-0005269호 (2013.09.05. 공개)(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비철금속 특성의 용접모재에도 고정이 가능한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자동용접 시 안정적인 용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은 가이드 레일, 제1 프레임, 복수개의 고정부, 공기 이송부, 공기 흡입부 및 밸브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자동용접기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부에 구비한다.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는 상기 제1 프레임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모재에 고정된다. 상기 공기 이송부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공기 이송부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밸브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로 이송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에 의하면, 고정부로 인해, 비철금속 특성의 용접모재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설치의 제한성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프레임을 더 구비하여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이 한쪽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자동용접 시 안정적인 용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환경에 따라 굴곡진 모재와 지면에 지지된 다른 모재를 용접하는 경우, 그립부를 사용하여 굴곡진 모재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자동용접 시 안정적인 용접을 수행함과 아울러, 모재의 굴곡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부가 모재에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을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을 B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을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제1 실시 예는 고정부(130)를 이용하여 비철금속 특성의 용접모재(도면 미도시, 이하 모재)에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100)을 고정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100)은 가이드 레일(110), 제1 프레임(120), 고정부(130), 공기 흡입부(140) 및 밸브부(150)를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110)은 자동용접장치(도면 미도시)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 레일(110)은 상부에 자동용접장치(도면 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110)은 자동용접장치(도면 미도시)가 주행할 수 있는 통상적인 레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레일(110)의 상부에 마련된 자동용접장치(도면 미도시)는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직선으로 형성된 용접 부위에 대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자동용접장치(도면 미도시)는 선박의 화물창 내에 구비된 모재(도면 미도시)를 다른 모재(도면 미도시)와 결합시키기 위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자동용접장치(도면 미도시)는 인접한 모재(도면 미도시)간의 경계 라인에 대한 용접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가이드 레일(110)은 모재(도면 미도시)간의 경계 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120)은 단면이 옴형상의 홈이 복수형성된 프레임으로, 일반적인 20mmX40mm 규격 또는 30mmX60mm규격의 알루미늄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프레임(120)은 상부에 가이드 레일(110)을 지지한다. 즉, 제1 프레임(120)은 상부에 형성된 제1 결합홈(121) 및 제2 결합홈(122)에 가이드 레일(110)이 통상적인 볼트와 너트의 결합방식 또는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결합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프레임(120)은 상부에 가이드 레일(110)을 지지함에 따라, 가이드 레일(110)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도면에는 제1 프레임(120)의 상부에 가이드 레일(110)이 마련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례일뿐, 제1 프레임(120)을 사용하지 않고 가이드 레일(110)만 사용하여 자동용접장치(도면 미도시)를 주행하도록 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한편, 제1 프레임(120)은 20mmX40mm 규격 또는 30mmX60mm규격의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일례일뿐, 낮은 규격(예컨대 30mmX30mm)의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가이드 레일(110)의 처짐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프레임(120)은 사용환경에 따라 구간별로 나뉘어 사용할 수도 있다. 즉, 고정부(130)를 통해 가이드 레일(110)을 지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프레임만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20)은 가이드 레일(110)의 처짐이 심하지 않은 곳이라면 길이가 짧은 프레임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부(130)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제1 프레임(120) 하부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진공 흡착 방식으로 모재(도면 미도시)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부(130)는 결합 몸체(131), 지지기둥(132), 공기 배출 소켓(133), 공기 이송부(134) 및 흡착 패드(135)로 이루어진다.
결합 몸체(131)는 제1 프레임(120)의 하부에 형성된 제6 결합홈(126)에 통상적인 볼트와 너트의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몸체(131)의 하부에는 지지기둥(132)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기둥(132)은 결합 몸체(131)와 흡착 패드(135)를 연결하면서, 외주면에 공기 배출 소켓(133)이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기둥(132)은 결합 몸체(131)와 흡착 패드(135)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지지기둥(132)은 제1 프레임(120)이 모재(도면 미도시) 상에서 수평이 되도록 하기 위해, 같은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지지기둥(132)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공기 이송부(134)는 일단이 지지기둥(132)의 외주면에 구비된 공기 배출 소켓(133)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공기 흡입부(140)와 연결되어 흡착 패드(135)의 하부면에 구비된 공기를 공기 흡입부(140)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흡착 패드(135)의 하부면에는 공기의 유입을 위한 공기 흡입홀(도면 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흡착 패드(135)는 모재(도면 미도시)에 밀착한 상태에서 흡착 패드(135)와 모재(도면 미도시) 사이에 구비된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진공 흡착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흡착 패드(135)는 일 실시 예로, 30kg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직경이 80ø인 흡착 패드(134)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프레임(120)의 하중에 따라 다양한 직경의 흡착 패드(135)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용접 시 모재(도면 미도시)의 온도는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흡착 패드(135)는 높은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착 패드(135)는 모재(도면 미도시)에 흡착될 수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례일뿐, 모재와 접촉없이 지면에도 흡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130)는 진공 흡착 방식으로 제1 프레임(120)을 모재(도면 미도시)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부(130)는 경제성과 흡착력을 고려하였을 때, 효율적인 배치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1 프레임(120)의 길이를 3M라고 가정한 경우, 5개의 고정부(130)를 500mm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때, 도면에는 고정부(130)를 제1 프레임(120)의 하부에 5개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고정부(130)는 자동용접장치(도면 미도시), 가이드 레일(110) 및 제1 프레임(120)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버틸 수 있는 개수이면 몇개이던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는 고정부(130)를 제6 결합홈(126)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는 제5 결합홈(125)에도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기 흡입부(140)는 공기 이송부(134)를 통해 고정부(130)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공기 흡입부(140)는 통상적인 진공펌프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공기 흡입부(140)는 진공 펌프에 한정되지 않고, 장비의 간소화를 위해 이젝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젝터는 흡착 패드(135)에서 공기 이송부(134)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없으므로, 진공의 흡착력을 저하하는 요인이 된다. 이로 인해, 공기 흡입부(140)는 진공펌프와 필터를 장착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흡입부(140)는 진공펌프를 사용하는 경우, 공기 배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용량이 큰 진공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고정부(130)의 특정부분에서 누설이 발생한 경우, 흡착패널의 흡착력이 약해지므로, 공기 흡입부(140)를 교차로 두어 연결하여 사용함에 따라, 안전사고에 대처할 수도 있다.
밸브부(150)는 가이드 레일(120)의 일단에 구비되어 공기 흡입부(140)로 이송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밸브부(150)는 일반적인 핸드밸브(hand valve)로 이루어져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100)은 고정 시킬 방법이 없거나 비철금속인 경우에도 고정부(130)를 통해 부착 및 고정하여 자동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을 B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제1 실시 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100)은 제2 프레임(220)을 더 구비하여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100)이 한쪽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100)은 제2 프레임(220)을 더 포함한다.
제2 프레임(220)은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100)이 고정부(130)를 통해 비철금속 특성의 모재(도면 미도시)에 고정된 경우,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프레임(220)은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략 'ㄴ'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 프레임(220)은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 프레임(120)에 형성된 제4 결합홈(124)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2 프레임(220)은 제4 결합홈(124)에 통상적인 볼트와 너트의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방식이면 어떠한 방식을 사용하던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2 프레임(220)은 제4 결합홈(124)에 통상적인 나사결합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프레임(2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일측에 상술한 고정부(1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220)과 고정부(1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은 고정부(130)가 제1 프레임(120)과 결합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프레임(220)의 하부 일측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프레임(220)의 하부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부(130)는 공기 이송부(134)를 통해 공기 흡입부(14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는 제2 프레임(220)이 제4 결합홈(124)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2 프레임(220)의 결합 위치는 제1 프레임(120)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부(130)의 결합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130)가 제6 결합홈(126)에 결합된 경우, 제2 프레임(220)은 제3 결합홈(123)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100)은 제2 프레임(220)을 더 구비함에 따라,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100)이 한쪽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100)은 사용환경에 따라 굴곡진 모재(M1)와 지면에 지지된 다른 모재(M2)를 용접하는 경우, 그립부(300)를 사용하여 굴곡진 모재(M1)를 지지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100)은 그립부(300)를 더 포함한다.
그립부(300)는 자동용접장치(도면 미도시)가 굴곡진 모재(M1)와 지면에 지지된 다른 모재(M2)를 결합시키기 위한 용접을 수행할 때, 굴곡진 모재(M1)를 그립(grip)하여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그립부(300)는 일반적인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제1 프레임(120)에 형성된 제5 결합홈(125)에 통상적인 볼트와 너트의 결합방식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그립부(300)의 타측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진 모재(M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굴곡진 모재(M1)를 그립(grip)한다.
한편, 그립부(300)는 굴곡진 모재(M1)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굴곡진 모재(M1)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 그립부(300)의 크기도 크게 형성하여 제1 프레임(120)과 결합 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그립부(300)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제1 내지 제6 결합홈(121~126)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굴곡진 모재(M1)를 그립할 수 있다. 예컨대, 그립부(300)는 제2 프레임(220)이 제3 결합홈(123)에 결합된 경우, 제5 결합홈(125)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그립부(300)는 사용환경에 따라 효율적으로 설치되는 위치이면 어느 위치이던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그립부(300)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그립부(300)는 제5 결합홈(125)에 적어도 하나 이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복수개의 그립부(300)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5 결합홈(125)에 각각 결합된 후, 굴곡진 모재(M1)의 일측과 타측을 그립(grip)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100)은 그립부(300)를 통해 굴곡진 모재(M1)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아울러, 자동용접장치(도면 미도시)는 흔들림 및 기울어짐 없이 굴곡진 모재(M1)를 다른 모재(M2)와 결합시키기 위한 용접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100)은 고정부(130)로 인해, 비철금속 특성의 용접모재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설치의 제한성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100)은 제2 프레임(220)을 더 구비하여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100)이 한쪽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자동용접 시 안정적인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100)은 사용환경에 따라 굴곡진 모재(M1)와 지면에 지지된 다른 모재(M2)를 용접하는 경우, 그립부(300)를 사용하여 굴곡진 모재(M1)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자동용접 시 안정적인 용접을 수행함과 아울러, 모재의 굴곡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100)은 고정부(130)가 모재(도면 미도시)에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
110: 가이드 레일
120: 제1 프레임
130: 고정부
134: 공기 이송부
140: 공기 흡입부
150: 밸브부
220: 제2 프레임
300: 그립부

Claims (3)

  1. 자동용접기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부에 구비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모재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부;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에 각각 연결되는 공기 이송부;
    상기 공기 이송부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로 이송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일면에 복수개의 제2 프레임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프레임은,
    하부 일측에 상기 고정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
  3.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프레임은,
    하부에 복수개의 그립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
KR1020180145727A 2018-11-22 2018-11-22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 KR102591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727A KR102591667B1 (ko) 2018-11-22 2018-11-22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727A KR102591667B1 (ko) 2018-11-22 2018-11-22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133A true KR20200060133A (ko) 2020-05-29
KR102591667B1 KR102591667B1 (ko) 2023-10-20

Family

ID=70911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727A KR102591667B1 (ko) 2018-11-22 2018-11-22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6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137B1 (ko) * 2020-10-08 2021-12-06 (주)로멕스테크놀로지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
KR102355413B1 (ko) 2020-11-23 2022-02-07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멤브레인 용접용 주행레일 자율이송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618B1 (ko) * 2005-12-22 2007-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마크 자동 용접 장치
KR20120046842A (ko) * 2010-10-28 2012-05-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곡블럭 용접용 탄성레일
KR101256398B1 (ko) * 2011-09-30 2013-04-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레일 마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용접 캐리지용 레일의 고정장치
KR20130005269U (ko) 2012-02-28 2013-09-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
KR20180043623A (ko) * 2016-10-20 2018-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용 레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618B1 (ko) * 2005-12-22 2007-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마크 자동 용접 장치
KR20120046842A (ko) * 2010-10-28 2012-05-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곡블럭 용접용 탄성레일
KR101256398B1 (ko) * 2011-09-30 2013-04-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레일 마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용접 캐리지용 레일의 고정장치
KR20130005269U (ko) 2012-02-28 2013-09-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
KR20180043623A (ko) * 2016-10-20 2018-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용 레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137B1 (ko) * 2020-10-08 2021-12-06 (주)로멕스테크놀로지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
KR102355413B1 (ko) 2020-11-23 2022-02-07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멤브레인 용접용 주행레일 자율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667B1 (ko)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0133A (ko)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
JP4543338B2 (ja) 天井走行車システムとそのバッファの施工方法
CN106494588A (zh) 一种适用于多种工况下的可调式线型坞墩
CN106379360A (zh) 重型设备底架吊挂梁结构
CN105436809A (zh) 一种主管的水平支撑装置
CN107818712A (zh) 一种用于焊工培训及考核的多功能操作平台及使用方法
CN112388214A (zh) 筒体加强圈双枪焊接设备
JP3726605B2 (ja) エレベータ用駆動装置の支持装置
CN100525992C (zh) 大弯头纵向拱形缝自动焊接设备
KR20130005269U (ko)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
CN106315405B (zh) 一种多驱动方式的侧围输送设备
CN100340448C (zh) 车体装配方法
CN205950315U (zh) 一种电动车前叉固定装置
CN102601173A (zh) 焊接锥形钢管校正装置
KR20090021652A (ko) 원형 소재 용접 장치
CN209035023U (zh) 一种用于液压管道冲洗设备的框架
KR20170031414A (ko) 파이프 적입 장치
US10370032B2 (en) Dual rubber body mount
JP2006183415A (ja) ハンドレール装置
CN210172920U (zh) 一种用于中小口径管焊接的调节固定装置
CN106312399B (zh) 一种自动焊接车的焊接导轨夹持装置
CN107554546A (zh) 一种转向架构架及具有该转向架构架的转向架
CN105752628A (zh) 一种侧围输送车升降机构
JP6430924B2 (ja) 保守作業用移動ラック装置
CN103863348B (zh) 一种100%低地板轻轨列车动力转向架构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