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137B1 -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 - Google Patents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137B1
KR102335137B1 KR1020200129769A KR20200129769A KR102335137B1 KR 102335137 B1 KR102335137 B1 KR 102335137B1 KR 1020200129769 A KR1020200129769 A KR 1020200129769A KR 20200129769 A KR20200129769 A KR 20200129769A KR 102335137 B1 KR102335137 B1 KR 102335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ail
rail part
attachmen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필
Original Assignee
(주)로멕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멕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로멕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00129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자동작업로봇 또는 자동용접기 등의 자동작업장비가 작업을 진행하면서 레일도 함께 자동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작업을 완전하게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하되, 수행되는 작업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연속자동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AUTO MOVING RAIL FOR AUTOMATIC WORK CONTINUSLY}
본 발명은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자동작업로봇 또는 자동용접기 등의 자동작업장비가 작업을 진행하면서 레일도 함께 자동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작업을 완전하게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하되, 수행되는 작업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연속자동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에 관한 것이다.
지티티(GTT)사의 설계도에 따라서 제조되는 엘인지(LNG)선에 설치되는 LNG탱크의 내부에는 급격한 온도변화에 따른 환경에 적합하도록 주름판재를 형성하여 벽면의 수축 및 이완에 대응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LNG탱크의 내부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주름을 형성한 다수개의 주름판재를 서로 연결하여 연결부를 용접하여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주름판재는 도 1과 같이 주름부(2)가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각 주름부(2)가 교차하는 부분에는 교차주름부(3)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주름판재(1)는 여러개의 주름판재(1)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서로 포개져서 연결되는 부분을 용접하는 용접부(W)가 형성된다.
상기 용접부(W)를 용접하기 위해서는 자동용접장치가 이송될 수 있도록 베드(7)가 레일(5)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주름판재의 용접부(W)를 자동으로 용접하는 자동용접장치에 대한 개발은 일본국 특허청에 특허출원되어 공개된 특개소50-80942호,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5017호, 등록특허공보 제732311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주름판재를 자동용접하기 위한 용접장치는 도 2와 같이 레일(1)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부착되고, 이동방향에 따라 전후, 좌우로 이송됨과 동시에 주름부분에서 회동하면서 용접할 수 있는 용접토오치부(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접토오치부(20)는 본체(10)의 전방에 형성된 볼스크류(22)와 수평가이드(22a)를 따라 이송가능한 작동몸체(21)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몸체(21)의 상단과 틸팅구(24)의 틸팅상부몸체(24a)와 연결되는 로테이션링크(23)가 형성되며, 상기 틸팅구(24)의 하부에 부착된 틸팅하부몸체(24b)의 가운데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토오치(25)로 구성된다.
상기 주름판재의 용접부를 용접하기 위해서는 주름부(2)를 반드시 용접해야 하는데, 이렇게 주름부(2)를 용접하기 위해서 토오치(25)가 용접면에 수직되도록 하면서 용접해야하므로 딜팅구(24)에 의해서 토오치(25)의 각도가 조절된다.
종래의 자동용접장치가 주름판재를 용접하기 위해서 주름판재의 교차주름부를 파지할 수 있는 클램프가 하단에 설치된 레일을 설치해야하고, 일정길이 이상으로 설치할 수 없으므로, 용접도중 레일이 끝나가면 레일을 수동으로 이송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용접용레일이 자동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915514호, 공개특허공보 제2020-0060133호 및 공개특허공보 제2006-0026329호(자동이송용접로봇)에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공개특허공보에 자동이송용접로봇에 적용되는 레일은 도 3과 같이, 주름판재의 주름부에 레일이 설치되는데, 상기 레일에는 각각 이송가능한 4개의 파지유닛이 주름판재(1)의 교차주름부(3)를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종래의 자동이송로봇의 레일의 이동은 3개의 파지유닛이 고정되고, 자동용접장치가 용접하면서 이동하는동안 하나씩 교차하여 이동시켜 인접한 교차주름부(3)를 파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으로 이송가능한 레일 또는 자동이송로봇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주름판재의 두께가 얇아서 이송할 때 여러개가 지지하고 있지 않으면 자동용접장치가 용접하면서 이동할 때 흔들려서 용접점이 정확하지 못하여 용접불량이 발생한다.
(2) 직선부와 주름부를 용접할 때 각각 용접작업의 속도가 달라져서 베드의 이동속도가 달라져야 하는데, 레일이 이를 보상해주지 못하여 용접불량이 많이 발생한다.
(3) 주름판재에 형성되는 일방향의 주름부와 직교하는 타방향의 주름부의 폭이 서로 달라지기 때문에 주름부를 용접할 때의 속도가 서로 달라지고, 폭이 달라지기 때문에 별도의 파지유닛을 사용해야 하므로 작업이 어렵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가운데에 제2축레일부를 중심으로 전방에 제1축레일부와 후방에 제3축레일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축레일부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단 좌우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이송축과; 상기 각 이송축에 적어도 2개가 형성되는 볼스크류와; 전체 볼스크류의 상단에 고정되어 볼스크류와 함께 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드와; 상기 몸체프레임의 전방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좌우측내벽을 관통하여 전방가이드홀이 각각 형성되며, 가운데에 전방몸체스크류가 형성되고, 좌측으로 돌출되어 몸체전방부착부가 형성되는 전방몸체와; 상기 몸체프레임의 후방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좌우측내벽을 관통하여 후방가이드홀이 각각 형성되며, 가운데에 후방몸체스크류가 형성되고, 좌측으로 돌출되어 몸체후방부착부가 형성되는 후방몸체와; 상기 몸체프레임의 우측으로 돌출되는 제2축고정돌출구와; 상기 제2축고정돌출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몸체중앙부착구로 구성되고,
상기 제1축레일부는 좌측은 전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축몸체와; 상기 제1축몸체의 좌측끝단에 형성되는 제1축좌부착부와; 상기 제1축전방몸체의 우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1축우부착부와; 상기 제1축몸체의 후방양측으로 제2축레일부의 전방몸체에 형성된 전방가이드홀을 따라 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전방가이드홀을 각각 관통하여 끝단이 서로 제1축연결구로 결합되는 제1가이드축과; 상기 제1축몸체의 후방가운데에서 모터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며, 제2축레일부의 전방몸체의 전방몸체볼스크류와 맞물려 회전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이송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3축레일부는 좌측은 후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은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3축몸체와; 상기 제3축몸체의 좌측끝단에 형성되는 제3축좌부착부와; 상기 제3축몸체의 우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3축우부착부와; 상기 제3축몸체의 후방양측으로 제2축레일부의 후방몸체에 형성된 후방가이드홀을 따라 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후방가이드홀을 각각 관통하여 끝단이 서로 제3축연결구로 결합되는 제3가이드축과; 상기 제3축몸체의 후방가운데에서 모터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며, 제2축레일부의 전방몸체의 후방몸체볼스크류와 맞물려 회전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3이송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축레일부, 제2축레일부 및 제3출레일부는 일체로 이송되고, 베드는 몸체프레임을 따라 속도를 달리하여 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레일이 이동될 때 적어도 4개을 흡착판이 넓게 지지할 수 있어서 레일이 흔들리지 않아서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2) 직선부와 주름부를 용접할 때 각각 용접작업의 속도가 달라지는데, 이때, 제2레일부의 이송속도와 베드의 이동속도를 달리할 수 있어서 작업의 속도를 맞출 수 있다.
(3) 주름판재에 형성되는 일방향의 주름부와 직교하는 타방향의 주름부의 폭이 서로 달라져도 흡착부를 사용하기 때문에 큰 차이가 없고, 주름부를 용접할 때의 속도를 제2레일부에서 베드 속도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방향으로든지 작업이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주름판재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주름판재용 자동용접장치의 개념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레일이 자동으로 이송가능한 자동이송로봇의 이동개념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의 평면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의 작동평면개념도.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방향(도 4의 표시 참조)은 A4용지의 우측을 전방, 좌측을 후방, 상단을 좌측, 하단을 우측이라고 하고, 용어를 통일한다.
본 발명은 가운데에 제2축레일부(200)를 중심으로 전방에 제1축레일부(100)와 후방에 제3축레일부(30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축레일부(200)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몸체프레임(210)과; 상기 몸체프레임(210)의 상단 좌우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이송축(220)과; 상기 각 이송축(220)에 적어도 2개가 형성되는 볼스크류(230)와; 전체 볼스크류(230)의 상단에 고정되어 볼스크류(230)와 함께 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드(400)와; 상기 몸체프레임(210)의 전방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좌우측내벽을 관통하여 전방가이드홀(241)이 각각 형성되며, 가운데에 전방몸체스크류(243)가 형성되고, 좌측으로 돌출되어 몸체전방부착부(246)가 형성되는 전방몸체(240)와; 상기 몸체프레임(210)의 후방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좌우측내벽을 관통하여 후방가이드홀(251)이 각각 형성되며, 가운데에 후방몸체스크류(253)가 형성되고, 좌측으로 돌출되어 몸체후방부착부(256)가 형성되는 후방몸체(250)와; 상기 몸체프레임(210)의 우측으로 돌출되는 제2축고정돌출구(260)와; 상기 제2축고정돌출구(26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몸체중앙부착부(270)로 구성되고,
상기 제1축레일부(100)는 좌측은 전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축몸체(110)와; 상기 제1축몸체(110)의 좌측끝단에 형성되는 제1축좌부착부(120)와; 상기 제1축몸체(110)의 우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1축우부착부(130)와; 상기 제1축몸체(110)의 후방양측으로 제2축레일부(200)의 전방몸체(240)에 형성된 전방가이드홀(241)을 따라 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전방가이드홀(241)을 각각 관통하여 끝단이 서로 제1축연결구(142)로 결합되는 제1가이드축(140)과; 상기 제1축몸체(110)의 후방가운데에서 모터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며, 제2축레일부(200)의 전방몸체(240)의 전방몸체(240)볼스크류(230)와 맞물려 회전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이송축(1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3축레일부(300)는 좌측은 후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은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3축몸체(310)와; 상기 제3축몸체(310)의 좌측끝단에 형성되는 제3축좌부착부(320)와; 상기 제3축몸체(310)의 우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3축우부착부(330)와; 상기 제3축몸체(310)의 후방양측으로 제2축레일부(200)의 후방몸체(250)에 형성된 후방가이드홀(251)을 따라 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후방가이드홀(251)을 각각 관통하여 끝단이 서로 제3축연결구(342)로 결합되는 제3가이드축(340)과; 상기 제3축몸체(310)의 후방가운데에서 모터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며, 제2축레일부(200)의 전방몸체(240)의 후방몸체(250)볼스크류(230)와 맞물려 회전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3이송축(35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축레일부(100), 제2축레일부(200) 및 제3출레일부는 일체로 이송되고, 베드(400)는 몸체프레임(210)을 따라 속도를 달리하여 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축레일부(200)는 가운데가 비어있는 몸체프레임(210)이 형성되는데, 상기 몸체프레임(210)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프레임(210)의 전방으로 전방몸체(240)와, 후방몸체(250)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프레임(210)의 가운데에는 제1축레일부(100)의 제1축연결구(142)와 제1가이드축(140)이 이송되어 포함되거나, 제3축레일부(300)의 제3축연결구(342)와 제3가이드축(340)이 이송되어 포함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프레임(210)의 우측에는 제2축고정돌출구(26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축고정돌출구(260)에는 적어도 하나의 몸체중앙부착부(270)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중앙부착부(270)는 2개가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몸체중앙부착부(270)는 상단에 실린더가 형성되고, 하단에 바닥에 부착할 수 있는 흡착판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모든 부착부, 몸체중앙부착부(270), 몸체전방부착부(246), 몸체후방부착부(256), 제1축좌부착부(120), 제1축우부착부(130), 제3축좌부착부(320) 및 제3축우부착부(330)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제1축레일부(100)가 제2축레일부(200)를 끌어당기면서 이송시킬 때에는 제1축좌부착부(120)와 제1축우부착부(130) 및 제3축좌부착부(320)와 제3축우부착부(330)의 흡착판들이 모두 판재에 부착되어 있고, 몸체중앙부착부(270)와 몸체전방부착부(246) 및 몸체후방부착부(256)는 흡착부가 떨어져서 몸체프레임(210)이 이동한다.
이하, 흡착판들이 작동하는 것을 분리, 접착이라고 표현하고, '제2축레일부(200)의 각 부착부들이 분리되고, 제1축레일부(100)과 제3축레일부(300)의 각 부착부들은 접착된 상태이다' 라고 표현한다.
상기 몸체프레임(210)의 좌우프레임의 상단에는 이송축(220)이 구성되고, 상기 이송축(220)을 따라서 이송가능한 각각 한쌍식 형성되는 볼스크류(230) 4개가 형성된다.
상기 볼스크류(230)는 베드(400)에 형성되는 모터에 의해서 작동되는데, 상기 베드(400)의 상단에 장치를 올린 상태에서 몸체프레임(210)의 이동과 관계없이 베드(400)가 별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방몸체(240)에는 좌,우측에 관통되는 전방가이드홀(241)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가이드홀(241)에는 제1축레일부(100)의 제1가이드축(140)이 각각 삽입되어 몸체프레임(210)과 제1축몸체(110)가 이송되는 가이드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방몸체(250)에는 좌,우측을 관통하는 후방가이드홀(251)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가이드홀(251)에는 제3축레일부(300)의 제3가이드축(340)이 각각 삽입되어 몸체프레임(210)과 제3축몸체(310)가 이송될 때 가이드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축레일부(100)의 제1축몸체(110)는 가운데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좌측은 경사부가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성되고, 우측은 경사부가 형성되어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좌측과 우측이 각각 전,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좌측끝단과 우측끝단에 각각 제1축좌부착부(120)와 제1축우부착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축몸체(110)의 후방의 양측으로는 제1가이드축(140)이 각각 형성되고, 제1가이드축(140)의 끝단은 서로 연결되도록 제1축연결구(142)가 형성된다.
제3축레일부(300)는 제1레일부와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3축몸체(310)가 형성된다.
상기 제3축몸체(310)는 가운데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좌측은 경사부가 형성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성되고, 우측은 경사부가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좌측과 우측이 각각 후,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좌측끝단과 우측끝단에 각각 제3축좌부착부(320)와 제3축우부착부(330)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의 작동과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작업을 시작할 때, 제2축레일부(200)의 몸체프레임(210)의 내부로 제3가이드축(340)이 모두 삽입되어 제3축몸체(310)가 후방몸체(250)에 가깝게 위치하고, 제1가이드축(140)인 모두 전방으로 돌출되어 제1축몸체(110)가 전방몸체(240)에 멀리 위치한다(도 5의 a).
이후, 베드(400)위에 용접기 등의 작업장치를 올려놓고, 용접과 같은 작업이 수행된다.
본 발명은 주름판재를 용접하는 용접장치의 토오치가 이동되면서 작업하는 것을 개념으로 설명한다.
제2축레일부(200)는 작업이 시작하면 움직이기 시작하고, 제3축레일부(300)의 부착부들을 모두 분리하여 제3축몸체(310)가 후방몸체(250)로부터 가장 먼곳까지 이송된 후 제3축레일부(300)의 부착부들을 모두 접착하게 된다(도 5의 b)).
이때, 제2축레일부(200)의 모든 부착부들과 제1축의 모든 부착부들은 접착된 상태이고, 몸체프레임(210)의 상부를 베드(400)가 이송하면서 작업을 수행한다.
계속하여 베드(400)는 이송되면서 작업을 수행하고, 제3축레일부(300)의 모든 부착부들이 접착되면, 제1축레일부(100)의 모든 부착부들을 분리하여 제1축몸체(110)를 제2축레일부(200)의 전방몸체(240)와 가깝게 위치시킨 후 제1축몸체(110)의 모든 부착부들을 부착시킨다(도 5의 c).
이후, 제2축레일부(200)의 모든 부착부들을 분리시키고, 몸체프레임(210)을 이송시키는데, 이때는 주름판재를 용접할 경우에 주름부를 용접하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느려져야 하기 때문에 몸체프레임(210)의 이동방향과 베드(400)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효과가 발생한다(도 5의 d).
상기와 같이 제2축레일부(200)가 제3축몸체(310)에 가까이 가게되면 제2축레일부(200)의 모든 부착부가 접착되어 처음과 같은 상태가 된다(도 5의 e).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작업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제1축레일부(100), 제2축레일부(200) 및 제3레일부들이 각각 이송될 때 적어도 4개의 부착부가 작업판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축레일부(200)가 이동될 때에는 베드(400)는 속도를 천천히하여 마치 뒤로 가는 것 같이 연속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의 속도가 느려지는 구간에는 베드(400)의 역주행으로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에 의하면 레일이 이동될 때 적어도 4개을 흡착판이 넓게 지지할 수 있어서 레일이 흔들리지 않아서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직선부와 주름부를 용접할 때 각각 용접작업의 속도가 달라지는데, 이때, 제2레일부의 이송속도와 베드의 이동속도를 달리할 수 있어서 작업의 속도를 맞출 수 있으며, 주름판재에 형성되는 일방향의 주름부와 직교하는 타방향의 주름부의 폭이 서로 달라져도 흡착부를 사용하기 때문에 큰 차이가 없고, 주름부를 용접할 때의 속도를 제2레일부에서 베드 속도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방향으로든지 작업이 용이한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0 : 제1축레일부
110 : 제1축몸체 120 : 제1축좌부착부 130 : 제1축우부착부
140 : 제1가이드축 142 : 제1축연결구
150 : 제1이송축
200 : 제2축레일부
210 : 몸체프레임 220 : 이송축 230 : 볼스크류,
240 : 전방몸체
241 : 전방가이드홀 243 : 전방몸체스크류 246 : 몸체전방부착부
250 : 후방몸체
251 : 후방가이드홀 253 : 후방몸체스크류, 256 : 몸체후방부착부
260 : 제2축고정돌출구 270 : 몸체중앙부착부
300 : 제3축레일부
310 : 제3축몸체 320 : 제3축좌부착부 330 : 제3축우부착부
340 : 제3가이드축 342 : 제3축연결구
350 : 제3이송축

Claims (3)

  1. 제1축레일부와 제2축레일부 및 제3축레일부가 각각 형성되되, 제2축레일부의 상부에는 베드가 별도이송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제1축레일부의 제1가이드축이 제2축레일부의 전방몸체에 가이드되며, 제3축레일부의 제3축가이드축이 제2축레일부의 후방몸체에 가이드되도록 형성되는데,
    제1축레일부에는 제1축좌부착부와 제1축우부착부가 형성되고, 제2축레일부에는 몸체전방부착부, 몸체후방부착부 및 몸체중앙부착부가 형성되며, 제3축레일부에는 제3축좌부착부와 제3축우부착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
  2. 가운데에 제2축레일부를 중심으로 전방에 제1축레일부와 후방에 제3축레일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축레일부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단 좌우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이송축과; 상기 각 이송축에 적어도 2개가 형성되는 볼스크류와; 전체 볼스크류의 상단에 고정되어 볼스크류와 함께 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드와; 상기 몸체프레임의 전방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좌우측내벽을 관통하여 전방가이드홀이 각각 형성되며, 가운데에 전방몸체스크류가 형성되고, 좌측으로 돌출되어 몸체전방부착부가 형성되는 전방몸체와; 상기 몸체프레임의 후방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좌우측내벽을 관통하여 후방가이드홀이 각각 형성되며, 가운데에 후방몸체스크류가 형성되고, 좌측으로 돌출되어 몸체후방부착부가 형성되는 후방몸체와; 상기 몸체프레임의 우측으로 돌출되는 제2축고정돌출구와; 상기 제2축고정돌출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몸체중앙부착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축레일부는 좌측은 전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축몸체와; 상기 제1축몸체의 좌측끝단에 형성되는 제1축좌부착부와; 상기 제1축몸체의 우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1축우부착부와; 상기 제1축몸체의 후방양측으로 제2축레일부의 전방몸체에 형성된 전방가이드홀을 따라 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전방가이드홀을 각각 관통하여 끝단이 서로 제1축연결구로 결합되는 제1가이드축과; 상기 제1축몸체의 후방가운데에서 모터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며, 제2축레일부의 전방몸체의 전방몸체볼스크류와 맞물려 회전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이송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3축레일부는 좌측은 후방으로 돌출되고, 우측은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3축몸체와; 상기 제3축몸체의 좌측끝단에 형성되는 제3축좌부착부와; 상기 제3축몸체의 우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3축우부착부와; 상기 제3축몸체의 후방양측으로 제2축레일부의 후방몸체에 형성된 후방가이드홀을 따라 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후방가이드홀을 각각 관통하여 끝단이 서로 제3축연결구로 결합되는 제3가이드축과; 상기 제3축몸체의 후방가운데에서 모터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며, 제2축레일부의 전방몸체의 후방몸체볼스크류와 맞물려 회전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3이송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축레일부, 제2축레일부 및 제3출레일부는 일체로 이송되고, 베드는 몸체프레임을 따라 속도를 달리하여 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는 제2축레일부의 상부에서 몸체프레임의 이동과 별도로 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
KR1020200129769A 2020-10-08 2020-10-08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 KR102335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769A KR102335137B1 (ko) 2020-10-08 2020-10-08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769A KR102335137B1 (ko) 2020-10-08 2020-10-08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137B1 true KR102335137B1 (ko) 2021-12-06

Family

ID=78936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769A KR102335137B1 (ko) 2020-10-08 2020-10-08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1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798U (ko) * 2008-09-01 2010-03-10 (주)로멕스테크놀로지 자동이송장치용 레일의 연결구
KR20140001225U (ko) * 2012-08-21 2014-03-03 (주)로멕스테크놀로지 레이지드 에지 자동용접장치
KR101398864B1 (ko) * 2012-07-19 2014-05-27 한국기계연구원 푸시 풀 방식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송축 처짐 방지 장치
KR20180043623A (ko) * 2016-10-20 2018-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용 레일
KR20200060133A (ko) * 2018-11-22 2020-05-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798U (ko) * 2008-09-01 2010-03-10 (주)로멕스테크놀로지 자동이송장치용 레일의 연결구
KR101398864B1 (ko) * 2012-07-19 2014-05-27 한국기계연구원 푸시 풀 방식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송축 처짐 방지 장치
KR20140001225U (ko) * 2012-08-21 2014-03-03 (주)로멕스테크놀로지 레이지드 에지 자동용접장치
KR20180043623A (ko) * 2016-10-20 2018-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용 레일
KR20200060133A (ko) * 2018-11-22 2020-05-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동용접장치 주행용 레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0827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KR200460819Y1 (ko) 멀티패스 자동용접로봇
KR102335137B1 (ko)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
WO2017047394A1 (ja) ガントリ型搬送装置および加工ライン
GB2312414A (en) Industrial Robot
JP2009061908A (ja) 自動搬送装置
KR102339840B1 (ko) 연속자동작업용 자동이송레일
WO2019039592A1 (ja) 曲げ加工装置
JP4614225B2 (ja) 片面溶接装置
JPWO2007142114A1 (ja) 包装装置
JP2007246215A (ja) 搬送車
JP5848659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2002126961A (ja) 自動工具交換装置
JPH11221726A (ja) 板状ワークの加工装置
JP2985310B2 (ja) ダブルハルブロックの建造方法
JP3085193B2 (ja) 自動車のメインボディ組立て装置
KR102309299B1 (ko) 인쇄회로기판 반입/반출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반입/반출 장치
JP2953069B2 (ja) 船殻ブロックの建造方法
KR20010103332A (ko) 강교구조물의 보강재 용접장치
KR20190032541A (ko) 로봇 및 그 운전 방법
JP2001071453A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の被印刷物搬送装置
JP2022030117A (ja) 隅肉溶接台車
JP2020142280A (ja) 走行台車
KR950003261B1 (ko) 중형굴삭기의 하부 사이드프레임 직선용접장치
JP3526506B2 (ja) 曲り板の片面溶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