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210A -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 Google Patents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210A
KR20200057210A KR1020180141269A KR20180141269A KR20200057210A KR 20200057210 A KR20200057210 A KR 20200057210A KR 1020180141269 A KR1020180141269 A KR 1020180141269A KR 20180141269 A KR20180141269 A KR 20180141269A KR 20200057210 A KR20200057210 A KR 20200057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uit trees
unit
moving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4629B1 (ko
Inventor
이무우
Original Assignee
이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우 filed Critical 이무우
Priority to KR1020180141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6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57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02A40/26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수목을 블록화된 화분에 식재하여 일정영역 내에서 고정 및 이동을 통해 재배 및 수확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과수목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MOVE TO THE POSITION OF FRUIT TREES, CULTIV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수목을 블록화된 화분에 식재하여 일정영역 내에서 고정 및 이동을 통해 재배 및 수확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과수목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은 일정크기 이상의 토지에서 집단으로 과수목을 재배하며, 도난, 풍해, 짐승 등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며 과수를 수확할 수 있는 재배환경을 조성한다.
따라서 과수목을 재배하여 과수를 수확하기 위해 관리자는 넓은 부지를 이동하여 각각의 과수목을 관리하고 있어 많은 시간 및 인건비를 투자하고 있는 실정이나, 과수원의 관리가 쉽지 않으며,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짐승, 조류, 도난 등에 의한 인위적인 피해와, 풍해, 병충해 등에 의한 자연적인 피해가 발생하여 수확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넓은 지역을 이동하기 어려우며, 과수목에 따라 불편한 자세로 오랜시간 작업을 진행하여 관리자의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제시된 "과수원용 다목적 이동 대치"는 지면에 레일을 설치한 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면서 편리하게 과수의 관리 및 수확작업을 편리한 자세에서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종래기술로 제시된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은 수경재배를 통해 재배하는 과수나무를 지지장치를 통해 지지하며, 지지장치에 의해 과수목의 위치이동 과 회동시켜 생육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여 생산성 향상을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작업자가 탑승하여 직접적으로 이동하여 과수목를 관리하거나, 과수나무를 고정한 지지장치를 이동시켜 과수나무의 이동을 통해 작업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하지만, 과수나무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수경재배가 가능한 품종에 따라 한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과수나무를 직접 지지하여 과수나무의 성장 시 지지가 어렵거나, 과수나무에 안좋은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과수나무는 설치된 레일을 따라 동일한 이동만 가능하여, 성장에 필요한 햇빛, 영양분을 제대로 공급하여 관리하기 어려운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수조 내에서 다수개의 과수나무를 한번에 수경재배가 이루어져 풍해, 병충해 등과 같이 피해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68317호(2014.11.26.)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32195(2014.11.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과수원에서 재배하는 과수목을 개별적인 화분에 심어 햇빛, 풍양 등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여 재배환경을 과수목에 맞춰 조절하여 성장시키며, 과수 등의 재배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과수목을 개별적으로 이동시켜 과수목의 관리 및 과수를 편리하게 수확할 수 있는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별적으로 심어진 화분에 맞춰 비닐하우스를 설치하여 태풍, 눈, 비 등의 자연적인 피해와 병충해 및 동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과수목에 맞춰 비료, 농약, 양액 등을 살포하여 개별적으로 관리가 가능하여, 서로 다른 품종의 과수목을 동시에 재배 및 관리할 수 있는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과수목의 수분, 영양 및 농약 등의 공급량과 내부 온도/습도의 조절, 과실의 수확 시기 등의 정보를 통해 재배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과수목이 심어진 화분이 안착되며, 하부에 이동체가 형성된 다수개의 베이스; 상기 이동체가 안착되며, 다수개의 상기 베이스가 경로에 따라 배치되어 이동 및 고정되는 운송부; 상기 운송부의 어느 한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운송부를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에 안착된 과수목을 관리하는 관리부; 상기 베이스, 상기 운송부 및 상기 관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화분에는 과수목을 보호하는 비닐하우스가 설치되되, 상기 비닐하우스는, 상기 화분 또는 베이스에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개폐가능한 차폐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닐하우스의 상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농약을 분사하는 농약분사노즐이 형성되며, 상기 비닐하우스 또는 상기 화분에는 외부에서 영양분을 공급하는 영양공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송부는 지면에 배치되며, 다수개의 상기 베이스를 일정한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레일에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다수개 설치된 안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운송부 또는 상기 이동체 중 어느 한군데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를 이동시키는 동력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송부는 지면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상기 베이스가 안착되어 일정한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컨베이어벨트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체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상기 베이스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컨트롤러와 컨트롤러에 의해 입력된 내용과 상기 과수목, 상기 이동부, 상기 베이스 및 상기 관리부를 확인하는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농약, 약액 및 비료의 살포량, 분사량을 제어하며, 상과 과수목의 재배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에 따르면, 과수원에서 재배하는 다수의 과수목을 개별적인 화분에 심어 햇빛, 풍양 등에 따라 용이하게 위치를 이동하여 재배환경에 맞춰 성장시키며, 과수 등의 재배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수목을 개별적으로 이동시켜 과수목의 관리 및 과수를 편리하게 수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적으로 심어진 화분에 맞춰 비닐하우스를 설치하여 태풍, 눈, 비 등의 자연적인 피해와 병충해 및 동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수목에 맞춰 비료, 농약, 양액 등을 개별적으로 살포하여 관리가 가능하며, 서로 다른 품종의 과수목을 동시에 재배 및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과수목의 수분, 영양 및 농약 등의 공급량과 내부 온도/습도의 조절, 과실의 수확 시기 등의 정보를 통해 재배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편리하게 과수목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과수목의 관리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를 통한 운송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내의 과수목의 관리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를 통한 운송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수목을 블록화된 화분에 식재하여 일정영역 내에서 고정 및 이동을 통해 재배 및 수확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과수목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과수목을 이동 및 고정하여 용이하게 관리 및 수확할 수 있도록 베이스(10), 운송부(20), 관리부(30) 및 제어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0)는 과수목이 심어진 화분(100)이 안착되며, 하부에 이동체(11)가 형성된 다수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분(100)은 과수목 심어져 재배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화분(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는 과수목의 갯수에 맞춰 다수개를 배치하여 상기 베이스(10)당 과수목을 안착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10)는 식물이 심을 수 있도록 화분이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과수목은 품종 및 크기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화분(100)에는 작은 크기의 과수목을 소량으로 심어 재배하거나, 큰 크기의 과수목을 하나 심어 재배할 수 있는데 상기 베이스(10)에는 하나의 과수목을 안착시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송부(20)는 상기 이동체(11)가 안착되며, 다수개의 상기 베이스(10)가 경로에 따라 배치되어 이동 및 고정한다.
즉, 상기 운송부(20)는 가수원의 환경 및 구조에 맞춰 지면에 일정한 경로를 가지도록 설치하여 상기 베이스(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운송부(20)는 레일,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상기 베이스(10)를 이동하되, 상기 운송부(20), 상기 베이스(10) 또는 외부동력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운송부(20)를 따라 이동 및 특정 위치에 고정하여 과수목을 위치와 과수목과 상기 과수목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운송부(20)는 아래와 같이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운송부(20)가 레일로 이루어진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운송부(20)는 지면에 배치되며, 다수개의 상기 베이스를 일정한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레일(21)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11)는 상기 레일(21)에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10)의 하부에 다수개 설치된 안착부재(12)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안착부재(12)는 레일(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바퀴, 가이드부재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레일(21)은 가수원의 지면 및 상기 과수목의 품종 및 재배환경에 맞춰 원형, 격자 등의 다양하게 형식으로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 또는 상기 이동체(11) 중 어느 한군데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10)를 이동시키는 동력부(13)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부(13)는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바퀴의 회전 및 정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동력부(13)에 의해 상기 베이스(10)가 이동 및 정지한다.
아울러 상기 동력부(13)는 상기 이동체(11)에 동력을 전달하여 이동하는 구성으로 기재하였으나, 상기 레일(21) 상에 벨트 기어 등을 구성한 후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베이스를 이동 및 정기할 수 있도록 설계 변경이 가능하며, 관리기 등의 외부동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부(13)는 관리자가 상기 동력부(13)를 직접 작동하거나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작동할 수 있어 상기 베이스(10)를 개별 또는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10)에는 상기 제어부(3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번호, 문자 등을 통해 표시하여 심어진 과수목의 품종, 상태 등을 편리하게 관리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운송부(20)가 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진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운송부(20)는 지면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상기 베이스(10)가 안착되어 일정한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컨베이어벨트(22)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체(11)는 상기 컨베이어벨트(22)에 상기 베이스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벨트(22)는 동력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베이스(10)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베이스(10) 또는 관리기 등에 의해 힘을 받아 이동하는 상기 베이스를 가이드한다.
아울러 상기 컨베이어벨트(22)는 가수원의 지면 및 과수목의 품종 및 재배환경에 맞춰 원형, 격자 등의 다양하게 형식으로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4)는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베이스(10)가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밀착 또는 고정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벨트(22) 및 상기 베이스(10)는 관리기를 통해 관리자가 직접적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베이스(10)를 이동시켜 상기 베이스(10)를 개별 또는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운송부(20)는 상기 레일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22)에 의한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베이스(10)를 이동 및 특정 위치에 고정하여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0)의 위치에 따라 다수개의 상기 과수목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30)는 상기 운송부(20)의 어느 한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운송부(20)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베이스(10)에 안착된 과수목을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부(30)는 관리자가 상기 운송부(20)를 따라 이동된 과수목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관리부(30)에는 관리자의 자세와 상기 과수목의 높이에 따라 이동하여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작업기구 등을 보관하여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베이스(10), 상기 운송부(20) 및 상기 관리부(30)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관리부(30)에 구성되며, 관리자의 조작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41), 디스플레이(42)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베이스(10) 및 상기 운송부(20)의 이동 및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관리부(30)에서 과수목을 관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10) 및 상기 운송부(20)에는 이동 및 고정과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관리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어부(30)에서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부(30)에서는 다수개의 과수목 상태, 수확량 등의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제어부(30)를 통해 다수개의 상기 과수목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관리/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 또는 상기 화분(100)에는 과수목을 보호하는 비닐하우스(50)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비닐하우스(50)는 상기 화분(100) 또는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된 프레임(51)과, 상기 프레임(51)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개폐가능한 차폐막(5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51)은 가로, 세로방향의 격자구조로 설치하며, 상기 차폐막(52)은 PVC 비닐재인 널리사용되는 구성을 통해 통상적인 비닐하우스의 구성을 소영화하여 설치한다.
또한, 상기 비닐하우스(50)는 과수목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각각 설치되어 풍해, 병충해 등의 피해를 방지하고 재배환경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막(52)은 지퍼, 벌크로 테입 등의 구성을 일정구역에 설치하여 관리자가 수동으로 여닫을 수 있으며, 지퍼, 벌크로 테입과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모터, 벨트 등의 구성을 통해 자동으로 작동하되,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어 다수개의 과수목을 개별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차폐막(52)을 개폐하여 재배환경을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부(30)에서 관리자가 편리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비닐하우스(50)의 온도, 통풍 등의 환경 다양하게 조성할 수 있고 상기 관리부(30)에 용이하게 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화분(100)에 심어진 과수목은 상기 비닐하우스(50) 내에서 재배가 이루어져, 상기 화분(100)의 잡초 등에 의해 발생하는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닐하우스(50)의 상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농약 및 양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53)이 형성되며, 상기 비닐하우스(50) 또는 상기 화분에는 외부에서 영양분을 공급하는 영양공급부(5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53)은 외부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 농약 및 양액을 공급받으며, 공급량을 조절하여 과수목에 분사하며, 상기 영양공급부(54)는 외부에 연결된 호스 또는 관리자의 수작업을 통해 화분에 비료를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53) 및 상기 영양공급부(54)를 통해 공급되는 농약, 양액 및 비료는 상기 제어부(30)를 통해 관리하여 분사량, 공급량을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는 분사량, 공급량을 확인하여 직간접적으로 농약, 양액 및 비료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수치로 표현하여 관리자가 다수개의 상기 과수목을 한눈에 쉽게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측면에 연결고리(15)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15)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6)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재(16)는 다수개의 상기 베이스(10)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을 통해 연결된 다른 상기 베이스(10)와 같이 이동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관리기 등의 장비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16)로 상호 연결된 다수개의 상기 베이스(10)를 동시에 이동시키거나, 하나의 상기 동력부(13)를 작동하여 연결된 상기 베이스(10)를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과수목의 품종 및 상태에 맞춰 상호 연결하여 동시에 이동시켜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베이스(10), 상기 운송부(20) 및 상기 관리부(30)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과수원의 지면에 상기 운송부(20)를 설치한다.
그리고 과수목이 심어진 상기 화분(100)을 상기 베이스(10)에 안착시키며,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운송부(20)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0) 또는 상기 화분(100)에는 상기 비닐하우스(50)를 설치하여 과수목에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화로 예방한다.
이와 같이 상기 운송부(20)에 안착 배치된 과수목에 농약, 양액, 비료 등을 공급하여 장기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과수목의 관리가 필요하면 관리자가 직접 이동하여 과수목을 관리하거나 상기 운송부(20)를 통해 이동시켜 상기 관리부(30)에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과수목에서 과수를 수확할 때, 상기 관리부(30)에 사람을 배치한 후 상기 운송부(20)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과수목에서 과실을 수확할 수 있다.
여기서 과수목은 관리기 및 별도의 외부장치를 통해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상기 동력부 등과 같이 구비된 구성을 통해 자동으로 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과수원에 설치된 상기 운송부(20)에 다수개의 과수목을 이동 및 배치할 수 있고, 상기 관리부(30)에서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닐하우스(50)가 과수목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풍해, 폭우, 폭설 등의 기상조건에 의해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화 하고, 병충해, 조류, 짐승 등에 의해 과수의 피해를 방지하여 과수의 품질향상과 수확량 증가시키고 과수목의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상기 베이스(10), 상기 운송부(20) 및 상기 관리부(30)의 제어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관리자는 상기 디스플레이(42)를 통해 확인하며, 상기 컨트롤러(41)를 조작해서 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 베이스(10)의 위치이동, 배치 등의 위치관계를 제어 및 확인, 과수목에 공급되는 농약, 양액, 비료, 물 등의 살포량 및 공급량을 제어 및 확인하여 한눈에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과수목의 품종 및 재배 기간 등의 정보에 따라 농약, 양액, 비료 등의 공급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공급한다.
또한, 과수목의 품종에 따른 수확시기, 개별적인 과수목의 내부온도/습도 제어 및 확인 등의 부가적인 재배환경을 쉽게 판단 할 수 있어 초보자도 쉽게 과수목을 관리 및 재배한다.
즉, 상기 비닐하우스(50)를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차폐막(52)의 개폐에 따라 내부 온도/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수확시기에 따라 과수목을 확인하여 상기 관리부(30)로 이동시켜 수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인원절감, 생상성 향상과 더불어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베이스 11: 이동체
12: 안착부재 13: 동력부
14: 고정부재 15: 연결고리
16: 연결부재 20: 운송부
21: 레일 22: 컨베이어벨트
30: 관리부 40: 제어부
41: 컨트롤러 42: 디스플레이
50: 비닐하우스 51: 프레임
52: 차폐막 53: 분사노즐
54: 영양공급부 100: 화분

Claims (7)

  1. 과수목이 심어진 화분(100)이 안착되며, 하부에 이동체(11)가 형성된 다수개의 베이스(10);
    상기 이동체(11)가 안착되며, 다수개의 상기 베이스(10)가 경로에 따라 배치되어 이동 및 고정되는 운송부(20);
    상기 운송부(20)의 어느 한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운송부(20)를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10)에 안착된 과수목을 관리하는 관리부(30);
    상기 베이스(10), 상기 운송부(20) 및 상기 관리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 또는 상기 화분(100)에는 과수목을 보호하는 비닐하우스(50)가 설치되되,
    상기 비닐하우스(50)는 상기 화분(100) 또는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된 프레임(51)과, 상기 프레임(51)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개폐가능한 차폐막(5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50)의 상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농약 또는 양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53)이 형성되며, 상기 비닐하우스(50) 또는 상기 화분에는 외부에서 영양분을 공급하는 영양공급부(54)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측면에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15)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6)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부(20)는 지면에 배치되며, 다수개의 상기 베이스(10)를 일정한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레일(21)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레일(21)에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10)의 하부에 다수개 설치된 안착부재(12)로 이루어지되,
    상기 운송부(20) 또는 상기 이동체(11) 중 어느 한군데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10)를 이동시키는 동력부(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부(20)는 지면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상기 베이스(10)가 안착되어 일정한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컨베이어벨트(22)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체(11)는 상기 컨베이어벨트(22)에 상기 베이스(1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컨트롤러(41)와 상기 컨트롤러(41)에 의해 입력된 내용과 과수목, 상기 이송부(20), 상기 베이스(10) 및 상기 관리부(30)를 확인하는 디스플레이(4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30)는 농약, 약액 및 비료의 살포량, 분사량을 제어하 과수목의 재배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KR1020180141269A 2018-11-16 2018-11-16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KR102134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269A KR102134629B1 (ko) 2018-11-16 2018-11-16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269A KR102134629B1 (ko) 2018-11-16 2018-11-16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210A true KR20200057210A (ko) 2020-05-26
KR102134629B1 KR102134629B1 (ko) 2020-07-16

Family

ID=7091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269A KR102134629B1 (ko) 2018-11-16 2018-11-16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6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483B1 (ko) 2021-05-17 2023-03-06 (주)수프로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282A (ko) * 2010-07-16 2012-01-30 (주)서일 난방이 가능한 과수 재배용 상자
KR20120112986A (ko) * 2011-04-04 2012-10-12 현진조명 주식회사 재배공간 확장형 식물재배장치
KR20140132195A (ko) 2013-05-07 2014-11-17 주식회사 동보지에스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2)
KR101468317B1 (ko) 2013-07-02 2014-12-02 김윤규 과수원용 다목적 이동 대차
JP2016182040A (ja) * 2015-03-25 2016-10-20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作物栽培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282A (ko) * 2010-07-16 2012-01-30 (주)서일 난방이 가능한 과수 재배용 상자
KR20120112986A (ko) * 2011-04-04 2012-10-12 현진조명 주식회사 재배공간 확장형 식물재배장치
KR20140132195A (ko) 2013-05-07 2014-11-17 주식회사 동보지에스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2)
KR101468317B1 (ko) 2013-07-02 2014-12-02 김윤규 과수원용 다목적 이동 대차
JP2016182040A (ja) * 2015-03-25 2016-10-20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作物栽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629B1 (ko)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4116B2 (en) Central processing horticulture
US11129344B2 (en) Central processing horticulture
KR101022025B1 (ko) 식물 재배 장치
US201901330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ydroponic plant growth
JP2004329130A (ja) 植物栽培システム
KR101643553B1 (ko)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AU2013100358A4 (en) Modular Garden Planter
KR102134629B1 (ko)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KR200327215Y1 (ko)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KR101033007B1 (ko) 양액 재배판
KR101178837B1 (ko) 잡초제거장치
KR101780467B1 (ko) 농작물 지지대
JP2018164441A (ja) 園芸作物の温室栽培方法およびその栽培装置
JPH0530861A (ja) 植物の栽培方法と栽培装置
CN213245925U (zh) 一种林木幼苗培育装置
RU2717999C1 (ru) Способ полев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миниклубней из микрорастений картофеля в защищенной среде
CN2432777Y (zh) 多层式水耕栽培盆
KR101757216B1 (ko) 카트리지형 수경재배겸용 생물사육기
KR20170124230A (ko) 토양재배 자동화 시스템
KR200463775Y1 (ko) 농작물 재배장치
KR102601685B1 (ko) 두릅단마디 촉성 재배장치
US20240000028A1 (en) Growing tray system, method and farming system
JP2832733B2 (ja) 園芸用多目的走行台車及び該走行台車の走行レール支持ブロック
KR102601926B1 (ko) 시설 원예용 화분 재배 시스템
CN210746535U (zh) 一种番茄连栋大棚无土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