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483B1 -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483B1
KR102506483B1 KR1020210063313A KR20210063313A KR102506483B1 KR 102506483 B1 KR102506483 B1 KR 102506483B1 KR 1020210063313 A KR1020210063313 A KR 1020210063313A KR 20210063313 A KR20210063313 A KR 20210063313A KR 102506483 B1 KR102506483 B1 KR 102506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ing medium
container
seedling
seedlings
p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5729A (ko
Inventor
윤택승
안태원
김준기
Original Assignee
(주)수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프로 filed Critical (주)수프로
Priority to KR1020210063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48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5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1Devices for filling-up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3Devices for setting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6Devices for repo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40Afforestation or reforest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거치대를 중심으로 묘목 식재 공정에 소요되는 각각의 모듈이 장착되어 컨테이너에 묘목을 식재하는 공정을 수행하는데, 즉, 컨베이어 거치대는 컨테이너 적재대에서 배출된 컨테이너를 고정해 순차 이동시키고, 생육상토 호퍼부를 통해 1차 생육상토를 채우며, 식혈기를 통해 구덩이를 파고, 묘목 적재대에서 투입되는 묘목을 묘목 식재기에 의해 구덩이에 묘목을 식재하며, 생육상토 채움기를 통해 2차 생육상토를 채우고, 생육상토 다짐기를 통해 2차 채워진 생육상토를 다지는 과정을 통해 컨테이너에 묘목을 자동으로 식재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기에 인건비가 급격하게 절감되고 이에 따라 생산원가도 절감되며, 자동화 공정을 통해 작업속도가 매우 빠르고, 균일한 묘목 식재가 가능하여 컨테이너 조경수의 대량생산사업을 실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Seedling planting system for Container Landscape tree}
본 발명은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거치대를 중심으로 묘목 식재 공정에 소요되는 각각의 모듈이 장착되어 컨테이너에 묘목을 식재하는 공정을 수행하는데, 즉, 컨베이어 거치대는 컨테이너 적재대에서 배출된 컨테이너를 고정해 순차 이동시키고, 생육상토 호퍼부를 통해 1차 생육상토를 채우며, 식혈기를 통해 구덩이를 파고, 묘목 적재대에서 투입되는 묘목을 묘목 식재기에 의해 구덩이에 묘목을 식재하며, 생육상토 채움기를 통해 2차 생육상토를 채우고, 생육상토 다짐기를 통해 2차 채워진 생육상토를 다지는 과정을 통해 컨테이너에 묘목을 자동으로 식재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기에 인건비가 급격하게 절감되고 이에 따라 생산원가도 절감되며, 자동화 공정을 통해 작업속도가 매우 빠르고, 균일한 묘목 식재가 가능하여 컨테이너 조경수의 대량생산사업을 실현할 수 있는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조경수 생산을 위한 과정에서 컨테이너(식재용기)에 묘목을 이식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는 묘목은 인력에 의해 하나씩 식재를 하고 있는데, 식재시기가 농번기 시점과 겹치다보니 일손을 구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게다가 최근에는 인건비가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어 생산원가도 증가하고 있다. 인력에 의한 식재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속도 차이가 매우 크고, 생육상토 채움량, 식재 깊이, 다짐 강도 등이 천차만별이어서 균일성을 유지하는데 애로가 있다.
또한, 묘목 반입 후 식재완료까지 시간이 지체될 경우는 반입한 묘목의 뿌리가 손상을 입어 활착률도 떨어진다. 이에 인력에 의한 식재를 기계화하는 컨베이어식재 시스템 및 장치를 개발함으로써 상기한 애로점을 해결하면서 컨테이너 조경수 대량생산사업이 필요한 사항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4629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컨베이어 거치대를 중심으로 묘목 식재 공정에 소요되는 각각의 모듈이 장착되어 컨테이너에 묘목을 식재하는 공정을 수행하는데, 즉, 컨베이어 거치대는 컨테이너 적재대에서 배출된 컨테이너를 고정해 순차 이동시키고, 생육상토 호퍼부를 통해 1차 생육상토를 채우며, 식혈기를 통해 구덩이를 파고, 묘목 적재대에서 투입되는 묘목을 묘목 식재기에 의해 구덩이에 묘목을 식재하며, 생육상토 채움기를 통해 2차 생육상토를 채우고, 생육상토 다짐기를 통해 2차 채워진 생육상토를 다지는 과정을 통해 컨테이너에 묘목을 자동으로 식재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기에 인건비가 급격하게 절감되고 이에 따라 생산원가도 절감되며, 자동화 공정을 통해 작업속도가 매우 빠르고, 균일한 묘목 식재가 가능하여 컨테이너 조경수의 대량생산사업을 실현할 수 있는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상부에 지지한 뒤,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벨트가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면에는 지지되는 컨테이너를 고정하는 요철부가 돌출 형성되는 컨베이어 거치대와;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의 전방 상측부에 형성되되, 다수개의 컨테이너가 상측으로 적층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적층된 다수개의 컨테이너를 컨베이어 벨트의 요철부 내에 투입시키는 컨테이너 적재대와;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의 상측부에 형성되되, 내부에 채워진 생육상토를 공급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동되는 컨테이너 내에 n차로 생육상토를 채워주는 생육상토 호퍼부와;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1차 생육상토가 채워진 컨테이너가 아래에 위치하면 하측으로 구동되어 컨테이너에 채워진 생육상토에 묘목 식재 구덩이를 파면서 생육상토를 다져주는 식혈기와;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의 타단부에 형성되되, 다수개의 묘목이 배치된 상태에서 묘목을 1주씩 식재기에 투입하는 묘목 적재대와;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의 상측부에 형성되되, 상기 묘목 적재대에서 투입되는 묘목을 받쳐준 상태에서 상기 묘목 식재 구덩이가 파진 컨테이너가 아래에 위치하면 하측으로 구동되어 받쳐둔 묘목을 구덩이에 식재하는 묘목 식재기와;
상기 묘목 식재기의 외부에 감싸지도록 형성되어 생육상토 호퍼부에서 공급되는 생육상토가 채워지고, 상기 묘목 식재기가 구덩이에 묘목을 식재할 때 동시에 구동되어 식재된 묘목의 뿌리측 구덩이에 생육상토를 2차 채워주는 생육상토 채움기와;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의 후방 상측부에 형성되되, 생육상토 채움기를 통해 채워진 생육상토의 상부를 다져주는 생육상토 다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거치대의 요철부는 컨테이너 적재대를 통해 컨테이너가 투입되면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컨테이너의 외부를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생육상토 호퍼부는 내부에 채워진 생육상토가 뭉쳐지지 않도록 교반기가 설치되고, 상기 생육상토 호퍼부의 일측에는 컨테이너 적재대를 통해 컨베이어 벨트의 요철부에 투입된 컨테이너 내에 1차 생육상토를 공급하는 1차 공급기와, 상기 생육상토 채움기에 생육상토를 공급하는 2차 공급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묘목 식재기는 깔대기 형태의 몸통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묘목 적재대에서 투입되는 묘목을 받쳐주고, 상기 묘목 식재기의 깔대기 몸통은 곡선진 역삼각형의 다수개 조각들이 합쳐진 상태로 묘목을 받쳐둔 묘목 식재기가 구덩이에 이동되면 합쳐진 다수개의 조각들은 분리되면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이동되어 묘목이 구덩이에 식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생육상토 채움기는 묘목 식재기의 외부를 감싸도록 깔대기 형태의 몸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생육상토 채움기의 깔대기 몸통은 곡선진 역삼각형의 다수개 조각들이 합쳐진 상태로 묘목 식재기와 동시에 구덩이에 이동되며, 상기 생육상토 채움기는 묘목 식재기의 다수개 조각들이 분리되어 상측으로 경사지게 이동된 후에 생육상토 채움기의 다수개 조각들도 분리되어 상측으로 경사지게 이동되어 묘목이 식재된 구덩이에 생육상토를 2차 채워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은 컨베이어 거치대를 중심으로 묘목 식재 공정에 소요되는 각각의 모듈이 장착되어 컨테이너에 묘목을 식재하는 공정을 수행하는데, 즉, 컨베이어 거치대는 컨테이너 적재대에서 배출된 컨테이너를 고정해 순차 이동시키고, 생육상토 호퍼부를 통해 1차 생육상토를 채우며, 식혈기를 통해 구덩이를 파고, 묘목 적재대에서 투입되는 묘목을 묘목 식재기에 의해 구덩이에 묘목을 식재하며, 생육상토 채움기를 통해 2차 생육상토를 채우고, 생육상토 다짐기를 통해 2차 채워진 생육상토를 다지는 과정을 통해 컨테이너에 묘목을 자동으로 식재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기에 인건비가 급격하게 절감되고 이에 따라 생산원가도 절감되며, 자동화 공정을 통해 작업속도가 매우 빠르고, 균일한 묘목 식재가 가능하여 컨테이너 조경수의 대량생산사업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거치대의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묘목 식재기와 생육상토 채움기의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거치대의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묘목 식재기와 생육상토 채움기의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은 컨베이어 거치대(10)와, 컨테이너 적재대(20)와, 생육상토 호퍼부(30)와, 식혈기(40)와, 묘목 적재대(50)와, 묘목 식재기(60)와, 생육상토 채움기(70)와, 생육상토 다짐기(80)와, 제어부(100)로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1)를 상부에 지지한 뒤,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벨트(11)가 모터, 피스톤,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1)의 상부면에는 지지되는 컨테이너(1)를 고정하는 요철부(12)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철부(12)는 컨베이어 벨트(11)의 상부면 중 양측면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10)의 컨베이어 벨트(11)에 형성된 요철부(12)는 컨테이너 적재대(20)를 통해 컨테이너(1)가 투입되면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컨테이너(1)의 외부를 잡아준다.
또한, 상기 요철부(12)의 내측면 즉 상호 대응되는 일면에는 수평으로 지지돌기(13)가 요철부(1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13)가 사이에 컨테이너(1)가 투입되어 요철부(12)의 구동에 의해 요철부(12) 사이가 좁혀지면서 지지돌기(13)도 컨테이너(1)의 일측을 지지해준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1)는 컨테이너(1) 크기에 맞도록 간격을 조정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컨테이너(1)를 수용할 수 있으며, 식재과정 동안 충격에 의해 컨테이너(1)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10)의 바닥면 즉, 컨베이어 벨트(11)의 하측에는 다수개의 롤러(미도시)로 이뤄져 있어 컨베이어 벨트(11)의 구동과 컨테이너(1)의 이동을 수월하게 하고, 상기 롤러 하부에는 사면 받침대(미도시)가 있고 롤러들 사이의 틈으로 넘친 생육상토가 아래로 떨어져 모아진 후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적재대(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거치대(10)의 전방 상측부에 형성되되, 다수개의 컨테이너(1)가 상측으로 적층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적층된 다수개의 컨테이너(1)를 컨베이어 벨트(11)의 요철부(12) 내에 투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적재대(20)는 적층한 컨테이너(1)가 다수 열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열 측이 가장 낮고 제2열, 제3열 등의 순으로 점점 수직으로 높아지면서 비스듬하게 뉘어진 경사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1열의 컨테이너(1)가 배출되어 일정 수량보다 적어지면 제2열에 적층된 컨테이너(1)가 제1열 컨테이너(1) 위에 추가로 적층되어 연속성을 유지하고, 상기 제1열의 컨테이너(1) 아래쪽에는 컨테이너(1)를 1개씩 분리할 수 있도록 배출장치(21)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출장치(21)는 차단막이 열렸다 닫혔다 하면서 컨테이너(1)가 1개 낙하되면 내부 센서에 의해 차단막이 닫혀서 더 이상 컨테이너(1)가 낙하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나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과 구조로 컨테이너(1)가 1개씩 낙하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장치(21)에 의해 제1열에 적재된 컨테이너(1)가 1개씩 낙하되고 유도관을 따라 이동되어 컨베이어 거치대(10)에 투입되고, 상기 배출장치(21)는 컨베이어 거치대(10)가 시작하는 부분에 위치하며, 컨베이어 벨트(11)가 회전해 이동하는 방향으로는 열려있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 적재대(20)에서 분리 배출된 컨테이너(1)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1)의 요철부(12) 내에 투입된 뒤 요철부(12)에 물려진 상태로 1차 생육상토 공급기의 아래로 이동된다.
상기 생육상토 호퍼부(3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거치대(10)의 상측부에 형성되되, 내부에 채워진 생육상토를 공급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1)를 통해 이동되는 컨테이너(1) 내에 n차로 생육상토를 채워준다.
여기서, 상기 생육상토 호퍼부(30)는 내부에 채워진 생육상토가 뭉쳐지지 않도록 교반기(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생육상토 호퍼부(30)의 일측에는 컨테이너 적재대(20)를 통해 컨베이어 벨트의 요철부에 투입된 컨테이너(1) 내에 1차 생육상토를 공급하는 1차 공급기(미도시)와, 상기 생육상토 채움기(70)에 생육상토를 공급하는 2차 공급기(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1)에 의해 이송된 컨테이너(1)가 1차 공급기 아래에 도달되면, 1차 공급기는 통의 아랫부분을 열어 미리 제어부에서 설정된 양으로 채워진 생육상토를 컨테이너(1) 안으로 투하한다. 이때, 상기 투하되는 생육상토의 양은 컨테이너(1)의 용적과 식재할 묘목의 뿌리분 크기를 반영해 설정하며, 그에 따라 1차 공급기 통의 용량을 조절한다.
상기 식혈기(4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거치대(10)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1차 생육상토가 채워진 컨테이너(1)가 아래에 위치하면 하측으로 구동되어 컨테이너(1)에 채워진 생육상토에 묘목 식재 구덩이를 파면서 생육상토를 다져준다.
여기서, 상기 식혈기(40)는 머리부가 거꾸로 된 원뿔모양이고, 상기 식혈기(40)의 크기는 묘목의 뿌리분과 식재기 크기를 반영해 설정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1)에 의해 이송된 컨테이너(1)가 식혈기 아래에 도달되면, 상기 식혈기(40)는 아래로 이동해 미리 설정된 일정 크기의 식재 구덩이를 파면서 1차로 채워진 상토를 살짝 다져주는 역할도 담당한다. 즉, 상기 식혈기는 아래로 이동하면서 컨테이너(1)에 채워진 생육상토의 상부를 눌러주어 구덩이를 형성하면서 상토를 다져주는 것이다.
상기 묘목 적재대(5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거치대(10)의 타단부에 형성되되, 다수개의 묘목이 배치된 상태에서 묘목을 1주씩 식재기(60)에 투입하는 장치로써, 상기 묘목 적재대(50)는 묘목이 다수 열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열 측이 가장 낮고 제2열, 제3열 등의 순으로 점점 높아지는 비스듬하게 뉘어진 경사 구조이다. 이때, 묘목은 순차적으로 요철 모양의 벨트에 의해 이송되어 1주씩 투하되고 유도관을 따라 낙하되어 식재기(60)에 수직으로 얹힌다.
상기 묘목 식재기(6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거치대(10)의 상측부에 형성되되, 상기 묘목 적재대(50)에서 투입되는 묘목을 받쳐준 상태에서 상기 묘목 식재 구덩이가 파진 컨테이너(1)가 아래에 위치하면 하측으로 구동되어 받쳐둔 묘목을 구덩이에 식재한다.
여기서, 상기 묘목 식재기(60)는 깔대기 형태의 몸통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묘목 적재대(50)에서 투입되는 묘목을 받쳐주고, 상기 묘목 식재기(60)의 깔대기 몸통은 곡선진 역삼각형의 다수개 조각들이 합쳐진 상태로 묘목을 받쳐둔 묘목 식재기(60)가 구덩이에 이동되면 합쳐진 다수개의 조각들은 분리되면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이동되어 묘목이 구덩이에 식재된다.
상기 생육상토 채움기(7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묘목 식재기(60)의 외부에 감싸지도록 형성되어 생육상토 호퍼부(30)에서 공급되는 생육상토가 채워지고, 상기 묘목 식재기(60)가 구덩이에 묘목을 식재할 때 동시에 구동되어 식재된 묘목의 뿌리측 구덩이에 생육상토를 2차 채워준다.
여기서, 상기 생육상토 채움기(70)는 묘목 식재기(60)의 외부를 감싸도록 깔대기 형태의 몸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생육상토 채움기(70)의 깔대기 몸통은 곡선진 역삼각형의 다수개 조각들이 합쳐진 상태로 묘목 식재기(60)와 동시에 구덩이에 이동된다.
또한, 상기 생육상토 채움기(70)는 묘목 식재기(60)의 다수개 조각들이 분리되어 상측으로 경사지게 이동된 후에 생육상토 채움기(70)의 다수개 조각들도 분리되어 상측으로 경사지게 이동되어 묘목이 식재된 구덩이에 생육상토를 2차 채워준다.
그리고, 상기 생육상토 호퍼부(30)에 장착된 2차 공급기는 통을 열어 미리 설정된 양으로 채워진 생육상토를 유도관에 투하한다. 이 생육상토는 유도관을 따라 생육상토 채움기(70)에 산포된다.
한편, 상기 생육상토 채움기(70)는 묘목 식재기(60)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데, 가장 외곽에는 묘목 식재기와 생육상토 채움기(70)를 장착해 일체화시키는 프레임(미도시)이 구성된다. 상기 이 프레임은 컨베이어 벨트 이동 방향과 위와 아래가 각각 열려있는 ‘ㄷ’형태의 구조로서 식재된 묘목이 프레임에 걸리지 않고 다음 공정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11)에 의해 이송된 컨테이너(1)가 묘목 식재기(60) 및 생육상토 채움기(70) 아래에 도달되면, 상기 프레임이 수직 아래로 이동해 컨테이너(1) 안에 묘목을 식재기와 함께 앉힌다. 이후 식재기(60)를 구성하는 각 조각들은 사선방향 위쪽(식재기 날의 경사와 평행)으로 움직여 식재기(60)에서 묘목이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묘목 식재기(60)가 이동됨에 따라 생육상토 채움기(70)와의 사이에 틈이 생기고 컨테이너(1) 내부로 생육상토가 낙하된다. 이때 상기 묘목 식재기(60) 날 외부에 달려있는 날개는 생육상토가 아래로 내려가게 조력한다.
그 다음에는 생육상토 채움기(70) 역시 사선방향 위쪽으로 움직여 컨테이너(1)와 분리되고 다음 공정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식재된 컨테이너(1)가 이동된 이후에 프레임은 수직 위로, 식재기(60)와 채움기(70)는 사선방향 아래로 각각 움직여 초기 위치로 돌아온다.
상기 생육상토 다짐기(8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거치대(10)의 후방 상측부에 형성되되, 생육상토 채움기(70)를 통해 채워진 생육상토의 상부를 다져준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11)에 의해 이송된 컨테이너(1)가 생육상토 다짐기(80)의 아래에 도달되면, 사방에 위치한 다짐기가 사선방향 아래로 움직여 흐트러진 생육상토를 다져준다. 즉, 상기 생육상토 다짐기(80)의 날은 삼각뿔이 여러 개 달린 모양으로서 마치 컨테이너(1)와 뿌리 분 사이에 손가락을 질러 넣는 방식으로 다지는 것이다.
한편, 이상의 과정을 거쳐 컨테이너(1)에 묘목 식재가 완성되면,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고정되어 이동되던 컨테이너(1)가 분리되고 가드레일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이후 이들은 용기받침대에 배치되어 생육온실로 이동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거치대(10)와, 컨테이너 적재대(20)와, 생육상토 호퍼부(30)와, 식혈기(40)와, 묘목 적재대(50)와, 묘목 식재기(60)와, 생육상토 채움기(70)와, 생육상토 다짐기(80)를 전기 신호에 의해 제어하는 컨트롤러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는 식재하는 묘목에 따라 따로 설정한 데이터 값에 의해 컨베이어 거치대(10)와, 컨테이너 적재대(20)와, 생육상토 호퍼부(30)와, 식혈기(40)와, 묘목 적재대(50)와, 묘목 식재기(60)와, 생육상토 채움기(70)와, 생육상토 다짐기(80)를 제어한다.
10 : 컨베이어 거치대 11 : 컨베이어 벨트
12 : 요철부 13 : 지지돌기
20 : 컨테이너 적재대 21 : 배출장치
30 : 생육상토 호퍼부 40 : 식혈기
50 : 묘목 적재대 60 : 묘목 식재기
70 : 생육상토 채움기 80 : 생육상토 다짐기
100 : 제어부

Claims (5)

  1. 컨테이너(1)를 상부에 지지한 뒤,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벨트(11)가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1)의 상부면에는 지지되는 컨테이너(1)를 고정하는 요철부(12)가 돌출 형성되는 컨베이어 거치대(10)와;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10)의 전방 상측부에 형성되되, 다수개의 컨테이너(1)가 상측으로 적층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적층된 다수개의 컨테이너(1)를 컨베이어 벨트(11)의 요철부(12) 내에 투입시키는 컨테이너 적재대(20)와;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10)의 상측부에 형성되되, 내부에 채워진 생육상토를 공급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1)를 통해 이동되는 컨테이너(1) 내에 생육상토를 채워주는 생육상토 호퍼부(30)와;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10)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1차 생육상토가 채워진 컨테이너(1)가 아래에 위치하면 하측으로 구동되어 컨테이너(1)에 채워진 생육상토에 묘목 식재 구덩이를 파면서 생육상토를 다져주는 식혈기(40)와;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10)의 타단부에 형성되되, 다수개의 묘목이 배치된 상태에서 묘목을 1주씩 식재기(60)에 투입하는 묘목 적재대(50)와;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10)의 상측부에 형성되되, 상기 묘목 적재대(50)에서 투입되는 묘목을 받쳐준 상태에서 상기 묘목 식재 구덩이가 파진 컨테이너(1)가 아래에 위치하면 하측으로 구동되어 받쳐둔 묘목을 구덩이에 식재하는 묘목 식재기(60)와;
    상기 묘목 식재기(60)의 외부에 감싸지도록 형성되어 생육상토 호퍼부(30)에서 공급되는 생육상토가 채워지고, 상기 묘목 식재기(60)가 구덩이에 묘목을 식재할 때 동시에 구동되어 식재된 묘목의 뿌리측 구덩이에 생육상토를 2차 채워주는 생육상토 채움기(70)와;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10)의 후방 상측부에 형성되되, 생육상토 채움기(70)를 통해 채워진 생육상토의 상부를 다져주는 생육상토 다짐기(8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묘목 식재기(60)는 깔대기 형태의 몸통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묘목 적재대(50)에서 투입되는 묘목을 받쳐주고, 상기 묘목 식재기(60)의 깔대기 몸통은 곡선진 역삼각형의 다수개 조각들이 합쳐진 상태로 묘목을 받쳐둔 묘목 식재기(60)가 구덩이에 이동되면 합쳐진 다수개의 조각들은 분리되면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이동되어 묘목이 구덩이에 식재되며,
    상기 생육상토 채움기(70)는 묘목 식재기(60)의 외부를 감싸도록 깔대기 형태의 몸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생육상토 채움기(70)의 깔대기 몸통은 곡선진 역삼각형의 다수개 조각들이 합쳐진 상태로 묘목 식재기와 동시에 구덩이에 이동되며,
    상기 생육상토 채움기(70)는 묘목 식재기(60)의 다수개 조각들이 분리되어 상측으로 경사지게 이동된 후에 생육상토 채움기(70)의 다수개 조각들도 분리되어 상측으로 경사지게 이동되어 묘목이 식재된 구덩이에 생육상토를 2차 채워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거치대(10)의 요철부(12)는 컨테이너 적재대(20)를 통해 컨테이너(1)가 투입되면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컨테이너(1)의 외부를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육상토 호퍼부(30)는 내부에 채워진 생육상토가 뭉쳐지지 않도록 교반기가 설치되고,
    상기 생육상토 호퍼부(30)의 일측에는 컨테이너 적재대(20)를 통해 컨베이어 벨트(11)의 요철부(12)에 투입된 컨테이너(1) 내에 1차 생육상토를 공급하는 1차 공급기와, 상기 생육상토 채움기에 생육상토를 공급하는 2차 공급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63313A 2021-05-17 2021-05-17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 KR102506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313A KR102506483B1 (ko) 2021-05-17 2021-05-17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313A KR102506483B1 (ko) 2021-05-17 2021-05-17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729A KR20220155729A (ko) 2022-11-24
KR102506483B1 true KR102506483B1 (ko) 2023-03-06

Family

ID=84235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313A KR102506483B1 (ko) 2021-05-17 2021-05-17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48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849B1 (ko) * 2008-05-19 2011-03-09 오창준 자동 파종 시스템
KR20180105299A (ko) * 2017-03-14 2018-09-28 영 성 왕 식용식물 및 관상용 식물의 생육증진낭을 제조하기 위한 자동화장치
KR102134629B1 (ko) 2018-11-16 2020-07-16 이무우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729A (ko)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60101B (zh) 育苗播种机及育苗播种方法
US9661800B2 (en) Independently automated mechanical transplanter
CA2157381C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lanting plantlets
CN210298634U (zh) 全自动化林业育苗系统
CN109874456A (zh) 一种烟草漂浮育苗盘的播种装置
AU2007100035A4 (en) Transplanting apparatus
US3815524A (en) Mulch pot planter
KR102506483B1 (ko) 컨테이너 조경수용 묘목 식재시스템
CN109005813A (zh) 一种农业机械禾苗快速移栽种植装置
CN110476660B (zh) 一种育苗用营养钵自动播种装填装置
CN209693412U (zh) 一种烟草漂浮育苗盘的播种装置
US20230276744A1 (en) Large plant bagging and plan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CN112136414A (zh) 水稻组合式条播播种带在水稻种质资源播种中的应用
US5315810A (en) Method for filling seed trays
KR200220743Y1 (ko) 자동 토입기
CN2744139Y (zh) 塑盘育苗自动播种机
CN205946561U (zh) 多垄密植自走式移栽机
US6539883B1 (en) Handling and planting plants
CN112825760B (zh) 一种花生芽生产工艺
CN115413435B (zh) 一种具有连续供种和精准种植的甘蔗横向种植机
JP3423969B2 (ja) 花卉植生用鉢の製造装置
CN218977463U (zh) 育苗袋装填与移栽穴成型生产线
CN217790706U (zh) 一种羊肚菌播种设备
CN217509399U (zh) 一种复合式山药旋耕播种机
RU226081U1 (ru) Сеялка для крупноплодных семя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