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195A -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2) - Google Patents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2)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195A
KR20140132195A KR1020130051415A KR20130051415A KR20140132195A KR 20140132195 A KR20140132195 A KR 20140132195A KR 1020130051415 A KR1020130051415 A KR 1020130051415A KR 20130051415 A KR20130051415 A KR 20130051415A KR 20140132195 A KR20140132195 A KR 20140132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tree
fruit
horizontal rod
water tank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2867B1 (ko
Inventor
권혁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보지에스
권혁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보지에스, 권혁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보지에스
Priority to KR1020130051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867B1/ko
Publication of KR20140132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은 (ⅰ)수조에서 과수나무가 용이하게 고정되며, (ⅱ) 과수나무의 생육에 필요한 작업이 매우 수월하게 수행되며, (ⅲ)하우스 내에서 과수나무의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ⅳ)과수나무의 고정, 이동, 및 생육에 필요한 작업을 위한 위치변경에 대한 자동화 및 원격제어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무인 자동화시스템에 의해 과수의 수경재배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2){Machinery and management systems for water culture of fruit tree(2)}
본 발명은 과수나무의 고정, 이동, 및 생육에 필요한 작업을 위한 위치변경에 대한 자동화 및 원격제어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무인 자동화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적합한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구의 기후변화는 더욱 가속화되는 추세이며 이로 인한 가뭄, 폭우, 폭설, 일조부족, 지진, 토양의 유실 및 오염 등이 더욱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적으로 막대한 사회, 경제적 피해가 야기되고 있으며, 특히 기후 의존적 산업인 농업에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즉, 이러한 기후변화는 농작물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생산량을 감소시키므로 이로 인한 세계적 애그플레이션(Agflation)이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 경우도 최근 이상 기온에 따라 강수 패턴이 바뀌어 가고 있다. 예전에는 6월 말부터 7월 중순까지의 장마기에 연중 강수량의 70% 이상이 내렸는데, 최근에는 장마기에는 비가 적게 내리고 오히려 장마가 끝난 8월과 9월에 비가 집중되고 있다.
이렇게 비가 많이 내리면서 과일의 이상 낙과와 과피 이상 얼룩 증상과 같이 전에는 잘 나타나지 않았던 병에 의한 피해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상 기온의 영향으로 봄의 개화기에 발생하는 늦서리에 의한 피해도 더 자주 나타나고 있다.
한편, 토양의 오염도 과일의 생산에 중요한 저해요인을 제공하고 있다. 예컨대, 일본 후쿠시마 근처의 경우, 토양이 방사능에 오염되어 농산물의 재배가 불가능한 상태이며, 해일에 의해 피해를 입은 토양이나, 간척지 등도 토양의 염도가 높아서 농산물의 재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현재의 기후변화 및 토양의 오염에 대응하고, 기후를 비롯하여 다가올 지구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미래에 안정적으로 과일과 같은 농산물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의 연구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제한된 공간에서 농산물의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기술은 인류의 미래를 위하여 반드시 확보하여야 하는 기술로 생각되고 있다.
한편, 시설 재배는 상기와 같은 과제에 대하여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방법으로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왜냐하면, 시설재배의 경우 온실에서 농산물을 재배하므로 기후의 변화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병해의 주원인이 되는 습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병해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작물의 뿌리 부근에만 오염되지 않은 토양을 공급하여 작물을 재배하거나, 수경재배를 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수경재배의 경우 토양이 오염된 경우 대체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양액에 의해 직접적으로 식물의 뿌리에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경재배에 있어서, 복숭아, 사과, 배 등 과수의 경우 과수나무의 뿌리가 수조 바닥으로부터 적당한 높이로 떠 있는 상태로 수조에 고정되어야 하므로 과수나무의 고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과수나무의 생육에 필요한 작업 시 수조에서의 작업이 번거롭고, 과수나무의 크기가 커서 이동에 어려움이 있는 등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과수나무의 수경재배에 관한 종래 기술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ⅰ)수조 위에 과수나무를 용이하게 고정시키며, (ⅱ)과수나무의 생육에 필요한 작업이 매우 수월하게 수행되게 하며, (ⅲ)하우스 내에서 과수나무의 이동을 간편하게 하며, (ⅳ)과수나무의 고정, 이동, 및 생육에 필요한 작업을 위한 위치변경에 대한 자동화 및 원격제어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무인 자동화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적합한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온실 바닥에 수조를 설치하고, 양액을 채우는 단계;
(b) 과수나무를 뿌리가 수조바닥에 닿지 않도록 세워서 지지하는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에 과수나무를 지지시켜서 상기 수조 내부의 양액에 과수나무 뿌리를 담그는 단계; 및
(c) 온실 내부의 온도 및 양액의 온도를 과수나무의 생육조건에 맞게 조절하면서 과수나무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과수나무 지지장치는
상단면 또는 하단면의 수직중심축을 지나는 상단면 또는 하단면의 최단거리가 두께의 2~10배인 다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태이며, 레일 또는 바닥에서 이동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바퀴를 구비한 수평지지수단;
상기 수평지지수단 위에 수직으로 세워서 고정되고, 상단부에 수평로드 결합수단이 마련되고 수평로드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로드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평로드 승하강수단을 구비한 수직지지수단;
상기 수평로드 승하강수단의 수평로드 결합수단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수평방향으로 0.5~1.5 m 연장되며, 상기 타단부에 과수 원줄기 흉고 홀더가 결합되는 수평로드; 및
상기 수평로드에 결합되는 과수 원줄기 흉고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발명은
냉온풍기; 제습 및 가습기; 조명램프; 수조; 및 상기 수조에 설치되는 히터 및 양액순환수단을 구비한 온실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에 따라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의 유압식승하강기, 동력발생장치 및 회전관절을 원격제어 하여 과수를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및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은 (ⅰ)수조 위에 과수나무를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고정시키며, (ⅱ) 과수나무의 생육에 필요한 작업이 매우 수월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ⅲ) 하우스 내에서 과수나무의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ⅳ)과수나무의 고정, 이동, 및 생육에 필요한 작업을 위한 위치변경에 대한 자동화 및 원격제어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무인 자동화시스템에 의해 과수의 수경재배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기후에 상관 없이 고품질의 과일을 대량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미래에 다가올 지구의 환경변화와 관계 없이 안정적으로 식량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온실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을 모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을 모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온실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을 모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는 냉온풍기(500); 제습 및 가습기(600); 조명램프(700); 수조(200); 및 상기 수조에 설치되는 히터(미도시) 및 양액순환수단(미도시)을 구비한 온실에서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100)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은 수조 주변에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100)가 이동할 수 있는 레일(160)을 깔고,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구성하는 유압식승하강기(도3, 150), 동력발생장치(도4, 114) 및 회전관절(도3, 131)을 원격조정센서에 의해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설치하면, 원격제어에 의한 과수의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100)의 형태는 도 3 내지 도 6에 예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100)는
상단면 또는 하단면의 수직중심축을 지나는 상단면 또는 하단면의 최단거리가 두께의 2~10배인 다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태이며, 레일 또는 바닥에서 이동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바퀴를 구비한 수평지지수단(110);
상기 수평지지수단(110) 위에 수직으로 세워서 고정되고, 상단부에 수평로드 결합수단(도3, 151)이 마련되고 수평로드(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로드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평로드 승하강수단(150)을 구비한 수직지지수단(100);
상기 수평로드 승하강수단(150)의 수평로드 결합수단(151)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수평방향으로 0.5~1.5 m 연장되며, 상기 타단부에 과수 원줄기 흉고(胸高) 홀더(140)가 결합되는 수평로드(130); 및
상기 수평로드에 결합되는 과수 원줄기 흉고 홀더(1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수평지지수단(110)은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평지지수단(110)은 수평로드(130)의 끝부분에 결합된 과수 원줄기 흉고 홀더(140)에 의해 세워서 고정되는 과수나무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형태라면, 상기 다각기둥 또는 원기둥의 변형된 형태라도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과수나무의 무게를 견디기 위해서 금속 등 중량이 큰 소재로 제조되는 경우 안정적으로 과수나무를 고정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 3에서는 수평지지수단(110) 중 과수나무의 반대편 쪽에 해당하는 부분에 무게추(113)가 형성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수평지지수단(110)은 레일(도2, 160) 또는 바닥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레일을 통하여 이동하는 경우, 다양한 형태로 바퀴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일레일(도2, 160)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수평지시수단(110)의 하단면을 음각하고, 상기 음각된 부분에 바퀴(111)을 장착할 수 있다. 이 때 바퀴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수평지지수단(110)에 가해지는 중량 및 동력전달의 용이성을 고려할 경우 긴 원통형의 바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일은 2개의 레일이 한쌍이 되는 레일(미도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바퀴(115)를 구비하고 그러한 바퀴가 수용될 수 있는 단면이 U자 형태인 한쌍의 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수단(110)이 바닥을 통하여 이동하는 경우,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바퀴(1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수단(110)의 바퀴(도3, 111, 도4, 115)에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동력발생장치가 다양한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 등의 에너지에 의해 쉽게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조향장치(미도시) 및 원격제어센서(미도시)를 구비하는 경우 원격제어에 의해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100)를 이동 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수단(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수평로드 결합수단(도3, 151)이 마련되고 수평로드(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로드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평로드 승하강수단(15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평로드 결합수단(150)은 막대형태의 수평로드(130)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수평로드(130)을 안정적으로 고정해야 하므로, 수평로드(130)와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평로드 승하강수단(150)은 수평로드(13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수단도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예시된 유압식 승하강수단(150)은 과수나무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수평로드(130)을 무리 없이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수단(120)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수단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에는 수평로드(130)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는 홈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평로드(130)는 과수나무의 무게를 지지하면서 상수평로드 승하강수단(150)에서 전달되는 상승 또는 하강의 힘을 과수나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3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로드(130)가 회전관절(131)을 구비하는 경우, 회전관절에 의해 과수 원줄기 흉고(胸高) 홀더(140)를 좌우로 90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원줄기 흉고(胸高) 홀더(140)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서 고정되어 있는 과수나무를 90도 좌우로 회전시켜 작업자가 편리한 위치에서 작업(도2 참조)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과수 원줄기 흉고(胸高) 홀더(140)는 과수나무를 고정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수평로드(130)의 말단에 결합되며,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형태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수 원줄기 흉고(胸高) 홀더(140)는 원통형 관을 반으로 쪼갠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쪼개진 각각의 일변은 접철식 힌지(141)에 의해 결합되고, 각각의 타변에는 잠금수단(142)이 구비되며, 과수나무와 접촉하는 내측에는 완충쿠션(144)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100)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에 있어서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100)는 수평로드 승하강수단(150)을 구비하므로, 먼저, 작업장으로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100)를 이동시키고, 상기 승하강수단 예컨대, 유압식승하강기의 유압을 제거하여 아래로 하강시킨 후, 수평로드(130)에 결합된 과수 원줄기 흉고(胸高) 홀더(140)에 과수나무의 흉고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유압식승하강기에 유압을 공급하여 수평로드(130)를 상승시켜 과수 원줄기 흉고(胸高) 홀더(140)에 고정시킨 과수나무를 들어올린다. 이 상태에서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100)를 과수나무가 수조(200)의 식재 위치에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동시킨 후, 유압식승하강기의 유압을 제거하여 과수나무 뿌리를 수조(200)의 양액(210) 속에 담근다. 이 때 과수나무는 뿌리가 수조 바닥에 닿지 않을 정도로 양액(210) 속에 잠겨야 한다. 이렇게 과수나무를 수조에 식재하고 여러 가지 생육에 필요한 조건들을 맞추어 과수나무를 성장시키게 된다.
이후에, 과수나무에 생육에 필요한 작업이 발생하거나 성숙한 과일을 수확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조(200) 속에서 과수나무를 들어올려 작업장으로 이동시킨다. 작업장의 작업 위치에 도착시킨 후, 수평로드(130)에 구비된 회전관절(131)을 작동시켜서 수직으로 세워서 고정된 과수나무를 작업이 필요한 부분이 작업대(도2, 300) 쪽으로 90도 정도로 기울여지게 한다. 이와 같이 과수나무를 기울여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예컨대, 수평로드 승하강수단(150)을 유압식승하강기로 구성하고, 바퀴(111)를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게 하며(도5, 111), 수평로드(130)에 구비된 회전관절(131)을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게 구성하고, 상기 유압식승하강기 및 바퀴 및 회전관절에 연결된 동력발생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는 원격조정센서를 설치할 경우, 상기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의 유압식승하강기, 바퀴 및 회전관절을 원격조정함으로써 모든 작업을 원격제어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퀴가 레일 위에서 운행되는 것이 아니고 바닥에서 운행되는 경우, 원격제어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조향장치를 더 설치함으로써 모든 작업이 원격제어에 의해 수행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온실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냉온풍기(500); 제습 및 가습기(600); 조명램프(700)는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조명램프(700)의 경우는 태양광과 유사한 광을 조사하는 고압나트륨 램프와 메탈할라이드 램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고압나트륨 램프와 메탈할라이드 램프를 4:6~6:4의 비율로 구성한 광원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온실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에서 수조는 과수나무의 뿌리가 잠길 수 있는 깊이를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수조의 넓이가 과수나무의 뿌리의 폭에 비하여 너무 넓으면 많은 량의 양액이 필요하게 되므로 수조의 넓이는 과수나무 뿌리 폭보다 1.2~2.5배 정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실 바닥면 위에 형성할 수 있으며, 온실 바닥면을 수조(200)의 넓이만큼 파내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조(200)는 과수나무의 재배시 근권부에 빛이 들어가지 않도록 평상시에는 수조(200) 윗면을 덮개로 덮어 놓아야 한다. 과수나무의 이동시에는 덮개를 걷고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100)를 통하여 과수나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200)에는 양액(210)을 가열하여 근권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에 의해 온도가 조절된 양액이 수조 내부로 순환될 수 있게 하는 양액순환수단(미도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 및 양액순환수단은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에 있어서, 1년 다기작의 등의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과수나무의 재배조건은 자연재배조건 또는 하우스 재배조건과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양액은 수확기 이전과 수확기 이후로 나누어서 과수 종의 특성 및 생육단계에 따라 공급할 수 있다.
100: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 110: 수평지지수단
111, 115: 바퀴 112: 바퀴 홀더
113: 무게추 114: 동력발생장치
120: 수직지지수단 130: 수평로드
131: 회전관절 140: 과수 원줄기 흉고 홀더
141: 접철식 힌지 142: 잠금장치
143: 나사체결공 144: 완충쿠션
150: 승하강수단 151: 수평로드 결합수단
160: 레일 200: 수조
210: 양액 300: 작업대
500: 냉온풍기 500: 제습 및 가습기
700: 조명램프 800: 온실

Claims (11)

  1. (a) 온실 바닥에 수조를 설치하고, 양액을 채우는 단계;
    (b) 과수나무를 뿌리가 수조바닥에 닿지 않도록 세워서 지지하는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에 과수나무를 지지시켜서 상기 수조 내부의 양액에 과수나무 뿌리를 담그는 단계; 및
    (c) 온실 내부의 온도 및 양액의 온도를 과수나무의 생육조건에 맞게 조절하면서 과수나무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과수나무 지지장치는
    상단면 또는 하단면의 수직중심축을 지나는 상단면 또는 하단면의 최단거리가 두께의 2~10배인 다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태이며, 레일 또는 바닥에서 이동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바퀴를 구비한 수평지지수단;
    상기 수평지지수단 위에 수직으로 세워서 고정되고, 상단부에 수평로드 결합수단이 마련되고 수평로드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로드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평로드 승하강수단을 구비한 수직지지수단;
    상기 수평로드 승하강수단의 수평로드 결합수단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수평방향으로 0.5~1.5 m 연장되며, 상기 타단부에 과수 원줄기 흉고 홀더가 결합되는 수평로드; 및
    상기 수평로드에 결합되는 과수 원줄기 흉고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의 수평로드는 과수 원줄기 흉고 홀더에 수직으로 세워 고정된 과수나무를 좌우로 90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관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의 수평로드 승하강수단은 유압식승하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의 과수 원줄기 흉고 홀더는 원통형 관을 반으로 쪼갠 형태를 가지며, 상기 쪼개진 각각의 일변은 접철식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각각의 타변에는 잠금수단이 구비되며, 과수나무와 접촉하는 내측에는 완충쿠션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의 바퀴는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에 있어서 수평로드 승하강수단은 유압식승하강기고, 바퀴는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며, 수평로드는 과수 원줄기 흉고 홀더에 수직으로 세워 고정된 과수나무를 좌우로 90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관절을 구비하며,
    상기 유압식승하강기, 동력발생장치 및 회전관절은 원격조정센서에 의해 원격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에 있어서 바퀴에는 더 조향장치가 구비되어 원격조정센서에 의해 원격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8. 청구항 2에 있어서,
    과수나무의 생육에 필요한 작업 및 과일 수확 작업 시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에 의해 과수나무를 수조로부터 작업대 쪽으로 이동시키고, 수직으로 세워 고정된 과수나무를 회전관절에 의해 수평으로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은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 위로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10. 냉온풍기; 제습 및 가습기; 조명램프; 수조; 및 상기 수조에 설치되는 히터 및 양액순환수단을 구비한 온실을 구비하고, 청구항 6의 방법으로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의 유압식승하강기, 동력발생장치 및 회전관절을 원격제어 하여 과수를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조 가에 레일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
KR1020130051415A 2013-05-07 2013-05-07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2) KR101582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415A KR101582867B1 (ko) 2013-05-07 2013-05-07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415A KR101582867B1 (ko) 2013-05-07 2013-05-07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195A true KR20140132195A (ko) 2014-11-17
KR101582867B1 KR101582867B1 (ko) 2016-01-07

Family

ID=5245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415A KR101582867B1 (ko) 2013-05-07 2013-05-07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2)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8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4071A (zh) * 2015-12-16 2016-04-20 李胜龙 一种种植箱
CN110583466A (zh) * 2019-09-27 2019-12-20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水培绑蔓装置
KR20200022081A (ko) 2018-08-22 2020-03-03 고요한 자동화 수직형 식물재배장치
KR20200057210A (ko) 2018-11-16 2020-05-26 이무우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KR20200092671A (ko) * 2019-01-25 2020-08-0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온실내 고상작물의 자율형 지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679A (ko) 2022-09-29 2024-04-05 올레팜 주식회사 Agv를 활용한 작물재배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660A (ja) * 1992-12-03 1994-06-21 Fujita Corp 人工育成する樹木の固定方法と固定装置
JPH07298799A (ja) * 1994-05-11 1995-11-14 Furuta Denki Kk 樹木の土なし栽培への環境設定方法と、その環境設定方法等に使用するノズル付き保持具及びその装置
JPH09140283A (ja) * 1995-11-17 1997-06-03 Hidetoshi Kobayashi 根が付いた植物の固定装置と根が付いた植物の固定方法
JP2007082414A (ja) * 2005-09-20 2007-04-05 Masayoshi Yamane 水耕栽培方法及び水耕栽培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660A (ja) * 1992-12-03 1994-06-21 Fujita Corp 人工育成する樹木の固定方法と固定装置
JPH07298799A (ja) * 1994-05-11 1995-11-14 Furuta Denki Kk 樹木の土なし栽培への環境設定方法と、その環境設定方法等に使用するノズル付き保持具及びその装置
JPH09140283A (ja) * 1995-11-17 1997-06-03 Hidetoshi Kobayashi 根が付いた植物の固定装置と根が付いた植物の固定方法
JP2007082414A (ja) * 2005-09-20 2007-04-05 Masayoshi Yamane 水耕栽培方法及び水耕栽培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4071A (zh) * 2015-12-16 2016-04-20 李胜龙 一种种植箱
KR20200022081A (ko) 2018-08-22 2020-03-03 고요한 자동화 수직형 식물재배장치
KR20200057210A (ko) 2018-11-16 2020-05-26 이무우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KR20200092671A (ko) * 2019-01-25 2020-08-0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온실내 고상작물의 자율형 지지대
CN110583466A (zh) * 2019-09-27 2019-12-20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水培绑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867B1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867B1 (ko)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장치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수경재배 자동화 시스템(2)
US7694458B2 (en) Variable and efficient space utilization type cultivation method
KR20160122780A (ko) 회전가능한 랙 시스템
JP6462867B2 (ja) 人工水耕栽培装置
CN106852275A (zh) 一种阶梯状草莓立体无土栽培装置
KR20160027868A (ko) 온실 분무경 시스템
CN205567241U (zh) 一种可移动育苗床
CN105875391A (zh) 一种箱式框架植物种植系统
KR20090088668A (ko) 트롤리컨베이어를 이용한 새싹재배장치
CN205756209U (zh) 一种箱式框架植物种植系统
KR200327215Y1 (ko)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CN208739709U (zh) 一种种植用可拼接的环保型黄瓜架
CN206078442U (zh) 新型多排多层吊挂升降式栽培系统
KR101507045B1 (ko) 이동식 과수나무 지지대를 이용한 과수의 수경재배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수경재배 시스템
RU192890U1 (ru) Автономная ферма
CN209732121U (zh) 一种智能花卉培育温室
CN107148891A (zh) 一种酿酒葡萄栽植方法
CN208317681U (zh) 一种适合北方葡萄防日灼的栽培架
CN207543937U (zh) 草莓无土种植箱
CN216415288U (zh) 一种花卉苗木栽培用育苗喷水养护治具
CN106342650B (zh) 一种简易架密植葡萄树形及其构建方法
CN205961955U (zh) 一种园林花圃高效修剪装置
KR102161045B1 (ko) 비닐하우스 재배 자동화 시스템
KR101860305B1 (ko) 하우스용 대량재배형 양액재배시설장치
CN214676522U (zh) 设施农业蔬菜钵苗移栽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