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775A - 가전 기기 - Google Patents

가전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775A
KR20200056775A KR1020180140869A KR20180140869A KR20200056775A KR 20200056775 A KR20200056775 A KR 20200056775A KR 1020180140869 A KR1020180140869 A KR 1020180140869A KR 20180140869 A KR20180140869 A KR 20180140869A KR 20200056775 A KR20200056775 A KR 20200056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lder
fixer
wire
decorati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7019B1 (ko
Inventor
김진두
박기태
유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019B1/ko
Priority to PCT/KR2019/015622 priority patent/WO2020101418A1/en
Priority to EP19885851.6A priority patent/EP3863492A4/en
Priority to US16/684,957 priority patent/US11026558B2/en
Publication of KR20200056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5Arrangements of door covering/decoration panels or plinths, e.g. for integrated dishwash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 기기는 캐비티를 갖는 본체와, 캐비티를 개폐하도록 본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와, 도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와,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도록 홀더에 장착되는 장식판과, 도어의 개폐 정도에 따라 장력이 변화하도록 홀더와 본체의 사이에 연결되고 장력에 의해 홀더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전 기기{HOME APPLIANCE}
본 발명은 캐비티를 개폐하도록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를 갖는 가전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어를 회전 시에 상기 도어의 전면에 결합된 장식판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가전 기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 또는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공간을 갖는 조리 기기 등의 가전 기기에는 세척조 또는 조리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전 기기 중에 싱크대 또는 서랍장 등의 가구에 인접하도록 빌트인 방식으로 제공되는 가전 기기의 도어에는 주변 가구의 디자인에 따른 장식판이 부착될 수 있다.
가전 기기가 주변 가구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면 도어의 하단과 가전 기기가 설치된 바닥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고, 장식판은 이 단차를 커버하도록 그 하단이 도어의 하단 보다 더 아래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어를 열 때 장식판의 하단이 본체의 하부에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어를 열 때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장식판이 도어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장식판과 본체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도어를 닫을 때 장식판이 원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가전 기기를 개시한다.
도어의 전면에 장식판을 부착할 시에 스크류 등의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하고 용이한 방법으로 부착할 수 있는 가전 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가전 기기는 캐비티를 갖는 본체;과,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와, 상기 도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와,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홀더에 장착되는 장식판; 및 상기 도어의 개폐 정도에 따라 장력이 변화하도록 상기 홀더와 상기 본체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장력에 의해 상기 홀더를 이동시키는 와이어; 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와이어에 장력이 인가되고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상기 홀더가 상기 도어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도어에는 상기 홀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상기 홀더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방향 전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상기 와이어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와이어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안내 부재는 상기 도어의 회전 시에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장식판의 자중에 의해 상기 장식판이 상기 도어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홀더를 상기 도어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홀더에 연결되는 또 다른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상기 또 다른 와이어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또 다른 와이어에 연결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상기 탄성 부재를 커버하고 지지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설치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상기 장식판을 상기 홀더에 장착하도록 상기 장식판에 결합되는 픽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픽서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픽서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픽서가 상기 픽서 수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픽서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스토퍼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가전 기기는 캐비티를 갖는 본체;과,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와,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는 장식판;과, 상기 도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 및 상기 장식판을 상기 홀더에 장착하도록 상기 장식판에 결합되는 픽서;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픽서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되면서 장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픽서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픽서가 상기 픽서 수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픽서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픽서가 상기 픽서 수용홈에 삽입될 때 상기 스토퍼가 상기 픽서의 삽입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픽서의 삽입 방향에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스토퍼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도어를 열 때 도어의 전면에 부착된 장식판이 도어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장식판이 본체의 하부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장식판을 도어에 장착할 시에 별도의 체결 부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대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도어와 장식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도어 앞판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와이어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홀더와, 스토퍼와, 픽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홀더와, 스토퍼와, 픽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장식판을 도어에 부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설명 중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은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대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전면이 개방된 캐비티(11)를 갖는 본체(10)과, 캐비티(11)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20)를 갖는 일체의 가전 기기(1)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가전 기기(1)의 일 예로서,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에 대해 설명하지만, 가전 기기(1)는 식기 세척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식품에 열이나 전자기파를 가하여 식품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기기, 식품을 냉장 및 냉동 보관할 수 있는 냉장고, 의류를 세탁 및 건조할 수 있는 의류 처리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11)의 내부에는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바스켓(15)과, 바스켓(15)에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16)이 마련되고, 캐비티(11)의 하부에는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12)가 마련될 수 있다. 섬프(12)에 저수된 세척수는 순환 펌프(13)에 의해 노즐(16)로 안내되거나, 배수 펌프(14)에 의해 캐비티(1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캐비티(11)는 식기를 출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캐비티(11)의 개방된 전면은 도어(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20)는 도어(20)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캐비티(11)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20)의 하부에는 힌지 브라켓(26)이 결합되고, 본체(10)의 하부에는 고정 브라켓(18)이 결합되며, 회전축(27)은 힌지 브라켓(26)과 고정 브라켓(18)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18)에는 후술하는 제1와이어(70)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19)가 결합될 수 있다.
가전 기기(1)는 싱크대 또는 서랍장 등의 가구에 인접하도록 빌트인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어(20)의 전면에는 주변 가구의 디자인에 대응되는 디자인을 갖는 장식판(30)이 부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판(30)은 도어(20)와 바닥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그 하단이 도어(20)의 하단 보다 더 아래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가 전방으로 회전 시에 장식판(30)의 하단이 본체(10)의 하부에 간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20)의 회전 시에 장식판(30)의 하단이 본체(10)의 하부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장식판(30)은 도어(20)가 열릴 때 도어(20)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이하에서 이와 같이 도어(20)의 회전에 따라 장식판(30)이 이동하는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도어와 장식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도어 앞판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와이어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홀더와, 스토퍼와, 픽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홀더와, 스토퍼와, 픽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가전 기기(1)는 도어(2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40)와, 도어(20)의 회전에 따라 장력이 변화하도록 홀더(40)와 본체(10) 사이에 연결되고 장력에 의해 홀더(40)를 이동시키는 제1와이어(70)를 포함한다.
도어(20)는 도어 앞판(21)과 도어 뒷판(29)이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앞판(21)은 가이드 슬롯(23)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슬롯(23)은 홀더(4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슬롯(23)은 홀더(40)가 도어(2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어(20)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롯(23)은 도어 앞판(21)에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슬롯(23)은 4개가 마련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 슬롯(23)의 개수에 제한은 없다.
가이드 슬롯(23)은 도어 앞판(21)의 좌상부, 우상부, 좌하부, 우하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슬롯(23)의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가이드 슬롯(23) 중에 좌하부 및 우하부의 가이드 슬롯(23)에 홀더(40)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장식판(30)의 배면에는 픽서(60)와, 연결 부재(35)가 결합될 수 있다. 픽서(60)와, 연결 부재(35)는 각각 복수개로 마련되고, 복수의 가이드 슬롯(23)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장식판(3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픽서(60)가 좌하부와 우하부의 가이드 슬롯(23)에 대응되도록 장식판(30)의 배면 하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연결 부재(35)가 좌상부와 우상부의 가이드 슬롯(23)에 대응되도록 장식판(30)의 배면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픽서(60)는 가이드 슬롯(23)에 장착되어 있는 홀더(40)에 장착되고, 연결 부재(35)는 가이드 슬롯(23)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판(22)에는 가이드 슬롯(23)에 홀더(40)를 장착하도록 가이드 슬롯(23) 보다 큰 폭을 갖는 확장 슬롯(24)이 형성될 수 있다. 확장 슬롯(24)은 가이드 슬롯(23)의 상측에 가이드 슬롯(23)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더(40)를 가이드 슬롯(23)에 장착할 시에 홀더(40)를 먼저 확장 슬롯(24)에 삽입한 후에 홀더(40)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홀더(40)를 가이드 슬롯(23)에 장착할 수 있다.
홀더(40)와 본체(10)의 사이에는 도어(20)의 개폐 정도에 따라 장력이 변화하는 제1와이어(7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는 실, 철사, 벨트, 줄, 로프 등 장력이 걸릴 수 있는 유연한 재질의 연결 부재 일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70)의 일단부(71, 도 5)는 본체(10)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부재(19)에 결합되고, 제1와이어(70)의 타단부(72, 도 5)는 홀더(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와이어(70)의 일단부(71)는 본체(10)에 결합되고 타단부(72)는 도어(20)에 장착된 홀더(40)에 결합되므로, 도어(20)가 열릴 때 제1와이어(70)에 장력이 인가되어 제1와이어(70)가 팽팽해질 수 있다. 반대로, 도어(20)가 닫힐 때 제1와이어(70)에 인가된 장력이 제거되면서 제1와이어(70)가 느슨해질 수 있다. 도어(20)가 최대로 열렸을 때 제1와이어(70)에 인가되는 장력은 최대로 되고, 도어(20)가 완전히 닫혔을 때 제1와이어(70)에 인가되는 장력은 최소로 될 수 있다.
도어(20)가 열릴 때 제1와이어(70)에 인가된 장력에 의해 제1와이어(70)에 연결된 홀더(40)에 힘이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1)는 도어(20)가 열릴 때 제1와이어(70)의 장력에 의해 홀더(40)가 도어(20)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홀더(40)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 부재(25)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전환 부재(25)는 풀리, 도르래, 바퀴 등 힘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일체의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전환 부재(25)는 홀더(40) 보다 도어(2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와이어(70)의 장력에 의해 홀더(40)에는 도어(20)의 상측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다. 방향 전환 부재(25)는 도어 앞판(21)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와이어(70)는 방향 전환 부재(25)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전 기기(1)는 제1와이어(70)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와이어 안내 부재(28a, 28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안내 부재(28a, 28b)는 제1와이어(70)가 다른 부품에 간섭되지 않도록 적절하게 위치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안내 부재(28a, 28b)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있으나, 와이어 안내 부재(28a, 28b)의 개수에 제한은 없다.
와이어 안내 부재(28a, 28b)는 제1와이어(70)가 걸리도록 마련되는 돌기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풀리, 도르래, 바퀴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와이어 안내 부재(28a, 28b)는 제1와이어(70)의 위치를 안내할 뿐 아니라 도어(20)의 회전 시에 제1와이어(70)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와이어 안내 부재(28a, 28b)는 도어(20)가 열릴 때 제1와이어(70)에 더 큰 장력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안내 부재(28a, 28b)는 도어(20)가 열릴 때 제1와이어(70)의 큰 변위를 일으켜 제1와이어(70)에 더 큰 장력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와이어 안내 부재(28a, 28b)는 도어(20)에 결합된 힌지 브라켓(26)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가 회전하면 와이어 안내 부재(28a, 28b)도 도어(20)의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20)가 회전할 시에 와이어 안내 부재(28a, 28b)도 회전하므로 제1와이어(70)에 큰 변위가 발생할 수 있다.
홀더(40)는 홀더 몸체(42)와, 홀더 몸체(42)의 후방에 결합되는 홀더 커버(48)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몸체(42)와 홀더 커버(48)는 나사, 핀,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 몸체(42)와 홀더 커버(48)에는 각각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42a, 48a)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 몸체(42)는 제1와이어(70) 및 제2와이어(75)가 연결되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고리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커버(48)는 홀더 몸체(42)의 고리부(43)의 후방에 결합되는 고리부(49)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몸체(42)의 고리부(43)와 홀더 커버(48)의 고리부(49)가 결합되어 홀더(40)의 고리부를 형성할 수 있다.
홀더 몸체(42)는 도어 앞판(21)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23)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일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44)는 가이드 슬롯(23)에 삽입되는 레일 바디(44c)와, 레일 바디(44c)의 양 단부에서 각각 연장되는 레일 헤드(44b) 및 레일 베이스(44d)와, 레일 헤드(44b)와 레일 바디(44c)와 레일 베이스(44d)에 의해 형성되는 레일 홈(44a)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헤드(44b)와, 레일 바디(44c)와, 레일 베이스(44d)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 홈(44a)에는 가이드 슬롯(23) 주변의 가이드 판(22)이 삽입되고, 레일 헤드(44b)와 레일 베이스(44d)는 홀더 몸체(42)가 가이드 슬롯(23)에서 빠지지 않도록 가이드 판(22)에 지지될 수 있다.
홀더 몸체(42)는 픽서(60)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픽서 수용홈(45)을 포함할 수 있다. 픽서 수용홈(45)은 픽서(60)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장식판(30)을 도어(20)에 장착하고자 할 때, 장식판(30)의 배면에 픽서(60)를 결합한 후에 도어(20)에 장착된 홀더(40)의 픽서 수용홈(45)에 픽서(60)를 접근시킨 후에 내려 놓음으로써 장식판(30)을 도어(2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홀더(40)는 픽서(60)가 픽서 수용홈(4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픽서(60)에 결합되는 스토퍼(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 몸체(42)에는 스토퍼(50)가 수용되는 스토퍼 수용홈(46)이 형성되고, 픽서(60)에는 스토퍼(50)가 결합되는 락킹홈(6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스토퍼(50)가 하나만 도시되고 있으나, 스토퍼(50)는 홀더(40)의 좌우 양측에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홀더 몸체(42)의 스토퍼 수용홈(46)에 스토퍼(50)가 삽입된 상태에서 홀더 몸체(42)의 후방에 홀더 커버(48)가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50)는 스토퍼 수용홈(46)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스토퍼(50)는 픽서(60)가 픽서 수용홈(45)으로 삽입될 때 픽서(60)의 삽입 방향에 수직한 제1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토퍼(50)는 픽서(60)의 삽입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51)을 가질 수 있다.
홀더 몸체(42)에는 스토퍼(50)를 탄성 지지하도록 연장된 탄성 가압부(47)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 가압부(47)는 스토퍼(50)의 지지부(52)를 제1방향에 반대인 제2방향(D2)으로 가압할 수 있다.
탄성 가압부(47)는 픽서(60)가 픽서 수용홈(45)에 장착되는 도중에 제1방향(D1)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할 수 있다. 픽서(60)가 픽서 수용홈(45)에 장착 완료되면 탄성 가압부(47)가 원복하면서 스토퍼(50)가 픽서(60)의 락킹홈(63)에 삽입되도록 스토퍼(50)를 제2방향(D2)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픽서(60)가 픽서 수용홈(45)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결과적으로 장식판(30)이 도어(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반대로, 장식판(30)을 도어(2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스토퍼(50)를 락킹홈(63)에서 빼내야 하는바, 스토퍼(50)에는 스토퍼(50)를 잡아 당겨서 락킹홈(63)에서 빼낼 수 있는 분리 와이어 결합홈(53)이 형성될 수 있다.
분리 와이어 결합홈(53)에 와이어, 집게, 핀 등을 연결한 후에 탄성 가압부(47)의 탄성력 보다 큰 힘으로 잡아 당기면 스토퍼(50)를 락킹홈(63)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식판(30)을 도어(2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픽서(60)는 장식판(30)을 홀더(40)에 장착하기 위한 부품이다. 픽서(60)는 장식판(3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픽서(60)는 체결 부재를 통해 장식판(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픽서(60)에는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62)이 형성될 수 있다.
픽서(60)는 체결홀(62)과 락킹홈(63)이 형성된 픽서 바디(61)와, 픽서 바디(61)의 후단부에서 연장되는 픽서 날개(64)를 포함할 수 있다. 픽서 날개(64)는 픽서(60)가 홀더(40)의 픽서 수용홈(45)에 삽입될 시에 픽서(60)의 위치를 정확히 잡을 수 있도록 하고, 픽서(60)가 픽서 수용홈(45)에 삽입되면 픽서(60)가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20)가 열릴 때 제1와이어(70)에 장력이 인가되고, 제1와이어(70)의 장력에 의해 홀더(40)가 가이드 슬롯(23)을 따라 도어(20)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장식판(30)이 도어(20)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어(20)가 닫힐 때 도어(20)가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도어(20)의 전면에 배치된 장식판(30)은 자중에 의해 도어(20)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전 기기(1)는 도어(20)가 닫힐 때 홀더(40)를 도어(20)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홀더(40)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20)가 닫힐 때 장식판(30)이 자중에 의해 도어(20)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제2와이어(75)는 생략될 수 있다.
도어(20)에는 제2와이어(75)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80)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에는 탄성 부재(80)를 커버하고 탄성 부재(80)의 일단부(81)를 고정하는 설치 브라켓(85)이 마련될 수 있다. 탄성 부재(80)의 일단부(81)는 설치 브라켓(85)에 결합되고 타단부(82)는 제2와이어(75)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와이어(75)의 일단부(76)는 탄성 부재(80)에 결합되고 타단부(77)는 홀더(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어(20)가 열리면서 홀더(40)가 도어(20)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와이어(75)에 장력이 인가되고, 제2와이어(75)의 장력에 의해 탄성 부재(80)가 늘어날 수 있다. 도어(20)가 닫힐 때 탄성 부재(80)가 다시 수축되면서 제2와이어(75)를 잡아 당겨서 홀더(40)가 도어(20)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장식판을 도어에 부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장식판을 도어에 부착하는 동작과, 도어의 개폐 시에 장식판이 이동하는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판(30)을 도어(20)에 부착하기 위해 먼저 도어(20)의 가이드 슬롯(23)에 홀더(40)를 장착한다.
홀더(40)를 가이드 슬롯(23)에 장착할 시에 홀더(40)를 가이드 슬롯(23)의 상측에 연장 형성된 확장 슬롯(24)에 삽입한 후에 홀더(40)를 아래로 내리면 홀더(40)가 가이드 슬롯(23)에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장식판(30)의 배면에 픽서(60)를 고정시킨다. 픽서(60)는 체결 부재를 통해 장식판(30)의 배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장식판(30)에 고정된 픽서(60)를 홀더(40)를 향하는 방향(A)으로 접근시킨 후에 픽서(40)를 아래 방향(B)으로 이동시키면 픽서(60)가 홀더(40)의 픽서 수용홈(45)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픽서(60)가 홀더(40)의 픽서 수용홈(45)에 삽입 완료되면, 홀더(40)의 스토퍼(50)가 픽서(50)의 락킹홈(63)에 체결되어 픽서(50)가 홀더(4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도어(20)를 열 때, 홀더(40)와 본체(10) 사이에 연결된 제1와이어(70)에 장력이 인가되고, 제1와이어(70)의 장력에 의해 홀더(40)에 도어(20)의 상측 방향(C)으로 힘이 작용한다. 홀더(40)는 가이드 슬롯(23)을 따라 도어(20)의 상측 방향(C)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장식판(30)이 도어(20)의 상측 방향(C)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어(20)를 다시 닫을 때, 장식판(30)의 자중 및 제2와이어(75)의 장력에 의해 장식판(30)이 원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가전 기기 10 : 본체
11 : 캐비티 19 : 제1와이어 고정 부재
20 : 도어 21 : 도어 앞판
22 : 가이드 판 23 : 가이드 슬롯
24 : 확장 슬롯 25 : 방향 전환 부재
26 : 힌지 브라켓 27 : 회전축
28a, 28b : 와이어 안내 부재 29 : 도어 뒷판
30 : 장식판 40 : 홀더
42 : 홀더 몸체 45 : 픽서 수용홈
47 : 탄성 가압부 48 : 홀더 커버
50 : 스토퍼 51 : 경사면
60 : 픽서 61 : 픽서 바디
63 : 락킹 홈 70 : 제1와이어
75 : 제2와이어 80 : 탄성 부재
85 : 설치 브라켓

Claims (19)

  1. 캐비티를 갖는 본체;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상기 도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홀더에 장착되는 장식판; 및
    상기 도어의 개폐 정도에 따라 장력이 변화하도록 상기 홀더와 상기 본체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장력에 의해 상기 홀더를 이동시키는 와이어; 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와이어에 장력이 인가되고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제거되는 가전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상기 홀더가 상기 도어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전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홀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가전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상기 홀더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방향 전환 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와이어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안내 부재는 상기 도어의 회전 시에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가전 기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장식판의 자중에 의해 상기 장식판이 상기 도어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전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홀더를 상기 도어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홀더에 연결되는 또 다른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와이어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또 다른 와이어에 연결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를 커버하고 지지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설치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을 상기 홀더에 장착하도록 상기 장식판에 결합되는 픽서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픽서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픽서 수용홈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픽서가 상기 픽서 수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픽서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스토퍼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가압부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16. 캐비티를 갖는 본체;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는 장식판;
    상기 도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 및
    상기 장식판을 상기 홀더에 장착하도록 상기 장식판에 결합되는 픽서;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픽서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되면서 장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픽서 수용홈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픽서가 상기 픽서 수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픽서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픽서가 상기 픽서 수용홈에 삽입될 때 상기 스토퍼가 상기 픽서의 삽입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픽서의 삽입 방향에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가전 기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스토퍼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가압부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KR1020180140869A 2018-11-15 2018-11-15 가전 기기 KR102607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869A KR102607019B1 (ko) 2018-11-15 2018-11-15 가전 기기
PCT/KR2019/015622 WO2020101418A1 (en) 2018-11-15 2019-11-15 Home appliance
EP19885851.6A EP3863492A4 (en) 2018-11-15 2019-11-15 HOUSEHOLD APPLIANCE
US16/684,957 US11026558B2 (en) 2018-11-15 2019-11-15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869A KR102607019B1 (ko) 2018-11-15 2018-11-15 가전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775A true KR20200056775A (ko) 2020-05-25
KR102607019B1 KR102607019B1 (ko) 2023-11-29

Family

ID=7072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869A KR102607019B1 (ko) 2018-11-15 2018-11-15 가전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26558B2 (ko)
EP (1) EP3863492A4 (ko)
KR (1) KR102607019B1 (ko)
WO (1) WO2020101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602A (ko) * 2020-01-14 2021-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11849898B2 (en) * 2021-08-26 2023-12-26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door assembly
EP4298978A1 (en) * 2022-06-30 2024-01-03 Arç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comprising a decorative pan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9225A1 (en) * 2009-09-30 2011-04-07 Arcelik Anonim Sirketi A built-in dishwasher comprising a decorative panel on its door
WO2011080236A1 (en) * 2009-12-31 2011-07-07 Arcelik Anonim Sirketi A built-in dishwasher comprising a decorative panel on the door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408A (ja) 1991-10-29 1993-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用扉装置
SE9201868L (sv) 1992-06-17 1993-12-18 Electrolux Ab Anordning vid en diskmaskinslucka
JP3059862B2 (ja) 1993-07-19 2000-07-04 三洋電機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H08206051A (ja) 1995-02-02 1996-08-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KR0123375B1 (ko) 1995-10-30 1997-11-27 이영서 식기세척기용 도어장식판의 결합구조
IT1283441B1 (it) * 1996-07-17 1998-04-21 Smeg Spa Pannello decorativo dotato di dispositivo per lo scorrimento verticale lungo lo sportello chiuso di un elettrodomestico da
IT1291634B1 (it) 1997-04-22 1999-01-19 Smeg Spa Elettrodomestico dotato di dispositivo per spostare verticalmente un pannello decorativo applicato allo sportello
ES2215979T3 (es) 2002-05-15 2004-10-16 Bonferraro S.P.A. Aparato electrodomestico incorporado con panel decorativo aplicado a la puerta.
ATE349179T1 (de) 2003-11-07 2007-01-15 Bonferraro Spa Eingebautes haushaltsgerät mit an die tür angebrachter dekorativer vorsatzplatte
EP1875850A1 (en) 2006-07-07 2008-01-09 Bonferraro S.p.A. Built-in domestic appliance with decorative panel applied to the door
EP1894509B1 (en) 2006-08-31 2010-03-10 Bonferraro S.p.A. Built-in domestic appliance with decorative panel applied to the door
EP2110064B1 (en) * 2008-04-16 2011-03-30 Whirlpool Corporation Slidable fixation for the aesthetic panel on a dishwasher door
JP3149323U (ja) 2008-10-08 2009-03-26 静雄 大宮 練習用シャトル収納器具
WO2010076200A1 (en) 2008-12-30 2010-07-08 Arcelik Anonim Sirketi A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sliding decorative panel on its door
EP3061383A1 (en) * 2015-02-27 2016-08-31 Indesit Company S.p.A.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BR112018076268A2 (pt) 2016-06-30 2019-03-26 Electrolux Appliances AB máquina de lavar louça
US10390681B2 (en) * 2017-06-29 2019-08-27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door with movable decorative cover
US10470641B2 (en) * 2017-08-21 2019-11-12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having a decorative pa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9225A1 (en) * 2009-09-30 2011-04-07 Arcelik Anonim Sirketi A built-in dishwasher comprising a decorative panel on its door
WO2011080236A1 (en) * 2009-12-31 2011-07-07 Arcelik Anonim Sirketi A built-in dishwasher comprising a decorative panel on the door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54974A1 (en) 2020-05-21
KR102607019B1 (ko) 2023-11-29
EP3863492A4 (en) 2021-12-15
US11026558B2 (en) 2021-06-08
EP3863492A1 (en) 2021-08-18
WO2020101418A1 (en)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6775A (ko) 가전 기기
US11814779B2 (en) Washing machine
US9279205B2 (en) Washing machine
CA2711295C (en) Washing machine lid assembly
EP319022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detergent insert door
KR101362316B1 (ko)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
KR20170068293A (ko) 세탁기
KR102165604B1 (ko) 세탁기
US20120216580A1 (en) Washing machine
US20160324394A1 (en) Dish washer
KR100744767B1 (ko)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KR101175735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처짐 방지구조
KR102512219B1 (ko) 식기 세척기
KR20040046920A (ko) 드럼세탁기의 세제통 장착구조
KR100452375B1 (ko) 드럼세탁기의 탑 플레이트 조립용 스프링 홀더
US9474371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16814727U (zh) 具有走线模块的冰箱
KR102111743B1 (ko) 세탁기
KR10090805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413460B1 (ko) 서랍식 세탁기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KR101000058B1 (ko) 식기세척기
WO2020136257A1 (en) A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cable protector
KR20070078125A (ko) 빌트인용 식기 세척기의 도어 커버 결합 구조
KR20050123232A (ko) 드럼 세탁기
KR20000002180A (ko) 드럼세탁기의 상부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