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602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602A
KR20210091602A KR1020200004987A KR20200004987A KR20210091602A KR 20210091602 A KR20210091602 A KR 20210091602A KR 1020200004987 A KR1020200004987 A KR 1020200004987A KR 20200004987 A KR20200004987 A KR 20200004987A KR 20210091602 A KR20210091602 A KR 20210091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tub
fastened
cov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4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1602A/ko
Priority to PCT/KR2020/000965 priority patent/WO2021145496A1/ko
Priority to EP20913134.1A priority patent/EP4091522A4/en
Priority to US17/792,907 priority patent/US20230062504A1/en
Publication of KR20210091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5Arrangements of door covering/decoration panels or plinths, e.g. for integrated dishwash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dish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식기를 세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방된 터브와, 상기 터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베이스와, 상기 터브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고정되게 체결되고, 상기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브라켓와, 상기 도어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을 커버하고, 상기 도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커버판넬와, 상기 도어의 회전시, 상기 커버판넬을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링크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식기세척기는, 상기 커버판넬의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도어브라켓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홀더와, 상기 상부홀더에서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어 상기 커버판넬의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도어브라켓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브라켓는, 상기 상부홀더의 이동을 가이하는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상부가이드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부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전방으로 커버판넬이 장착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분사암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나 조리도구 등(이하, '세척대상')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오물이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터브의 내측공간에서 세척대상을 세척할 수 있다. 터브의 전면은 개방되어, 도어의 개폐로 커버될 수 있으며, 도어의 전면에는,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판넬이 장착될 수 있다.
커버판넬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주변가구와의 인테리어 통일 등을 고려하여, 하나의 커버판넬을 선택하여, 도어에 장착할 수 있다. 커버판넬은 재질에 따라 하중의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밀도가 큰 재질을 선택하는 경우, 장착되는 도어에 작용하는 하중의 영향으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하중이 큰 커버판넬의 경우, 도어에 장착되는 부분에서 커버판넬의 하중이 집중되어, 커버판넬이 도어에 장착되는 부분에서 도어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군다나, 커버판넬이 도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경우, 커버판넬의 이동시 도어에 작용하는 하중이 가중되므로, 커버판넬이 도어에 장착되는 부분에서 도어가 구조적으로 변형되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유럽등록특허 EP2407723B1에서는, 판넬이 장착되는 부분에서, 커버판넬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의 개시 내용만으로는, 여전히, 커버판넬이 장착되는 도어가 커버판넬의 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개시되지 않아, 상기의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또한, 선행문헌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커버판넬의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커버판넬 후방에 주로 배치되는 아우터 도어 이외에, 아우터 도어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커버도어로, 커버판넬을 장착할 수 있다. 다만, 아우터도어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커버판넬의 경우, 컨트롤 패널 등이 배치되는 구성으로, 아우터 도어에 비해 약한 강도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측커버도어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파손 및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측커버도어의 구성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한 가루 등이 사용자에게 노출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커버판넬이 도어에 작용하는 하중을 최소화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어에 작용하는 커버판넬의 하중을 분산하거나, 커버판넬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간단한 구조로 커버판넬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커버판넬의 하중으로 파손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를 세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방된 터브와, 상기 터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베이스와, 상기 터브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고정되게 체결되고, 상기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브라켓와, 상기 도어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을 커버하고, 상기 도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커버판넬와, 상기 도어의 회전시, 상기 커버판넬을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링크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식기세척기는, 상기 커버판넬의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도어브라켓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홀더와, 상기 상부홀더에서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어 상기 커버판넬의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도어브라켓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브라켓는, 상기 상부홀더의 이동을 가이하는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상부가이드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부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커버판넬을 도어의 전방에서 이동시키고, 도어브라켓이 커버판넬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터브의 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터브의 개구된 부분을 폐쇄하는 이너도어와, 상기 이너도어의 전방에서 상기 이너도어와 체결되는 아우터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브라켓의 상기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상기 이너도어와 상기 아우터도어 사이에 배치되어, 커버판넬의 하중을 지지하는 도어브라켓이 이너도어와 아우터도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브라켓은, 일측에서 상기 이너도어에 체결되고, 타측에서 상기 아우터도어에 체결되어, 커버판넬의 하중을 이너도어와 아우터도어로 분산할 수 있다.
상기 도어브라켓은, 상기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하부가이드부가 배치되는 브라켓전방면과, 상기 브라켓전방면의 상부에서 상기 이너도어에 체결되는 이너도어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도어체결부는, 상기 상부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상기 브라켓전방면의 일측에서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이너도어에 체결되어, 이너도어로 커버판넬의 하중을 분산할 수 있다.
상기 이너도어의 전면에는, 후방방향으로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도어브라켓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도어체결부는 상기 도어브라켓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이너도어에 체결되어, 도어브라켓이 이너도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전방면는, 상기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하부가이드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도어에 체결되는 아우터도어체결부를 포함하여, 도어브라켓에 작용하는 하중을 아우터도어로 분산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도어에는, 상기 상부가이드부의 전방에서 상기 커버판넬의 이동범위로 개방되는 상부홀과, 상기 하부가이드부의 전방에서 상기 커버판넬의 이동범위로 개방되는 하부홀이 형성되어, 커버판넬이 도어의 전방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부에는, 상기 상부홀더가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상부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가이드부에는, 상기 하부홀더가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하부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상부홀더와 하부홀더가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홀은, 상기 상부홀더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상부가이드홀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홀은, 상기 하부홀더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하부가이드홀보다 크게 형성되어, 커버판넬의 이동시 도어와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도어브라켓은, 상기 이너도어에 체결되고, 상기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도어브라켓과, 상기 제1도어브라켓과 연결되고, 상기 아우터도어에 체결되는 제2도어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제2도어브라켓은, 상기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하부가이드부가 배치되는 브라켓전방면과, 상기 브라켓전방면의 하부에서 상기 제1도어브라켓과 체결되는 제2브라켓체결부와, 상기 브라켓전방면의 상부에서 상기 이너도어에 체결되는 이너도어체결부를 포함하여, 제2도어브라켓이 도어와 터브로 커버판넬의 하중을 분산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브라켓은, 상단부에서 상기 이너도어와 체결되고, 하단부에서 상기 제1도어브라켓을 통해 상기 이너도어와 체결되어, 커버판넬의 하중을 도어의 상하방향으로 분산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브라켓은, 상기 터브의 하단부에서, 상기 터브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터브연결부와, 상기 터브연결부에서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너도어와 체결되는 도어체결부와, 상기 터브연결부로부터 상기 도어의 폭방향 후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커버판넬을 이동시키는 상기 링크모듈이 연결되는 링크연결부를 포함하여,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상기 상부가이드부 또는 상기 하부가이드부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 이상으로 이격배치되어, 커버판넬의 하중을 넓은 범위로 분산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부에는, 상기 상부홀더가 삽입되는 상부삽입홀과, 상기 상부삽입홀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부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가이드부에는, 상기 하부홀더가 삽입되는 하부삽입홀과, 상기 하부삽입홀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부가이드홀이 형성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도어에 고정되고,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커버판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배치되고, 도어에 고정배치되고, 터브브라켓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도어브라켓을 통해 커버판넬의 하중이 도어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버판넬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브라켓은, 다양한 부분에서, 이너도어, 아우터도어, 및 터브에 고정배치되므로, 커버판넬의 하중을 분산하여, 안정적으로 커버판넬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하나의 도어브라켓에 상부가이드부와 하부가이드부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커버판넬에 장착되는 상부홀더와 하부홀더를 지지 및 가이드할 수 있어, 간단한 브라켓구조가 추가됨으로, 커버판넬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브라켓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부가이드부와 하부가이드부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커버판넬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커버판넬의 후방으로 배치되는 아우터도어와, 상측커버판넬의 구성 중에서, 아우터도어 내부로 도어브라켓을 배치하고, 도어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가이드부를 설치하여, 커버판넬의 하중을 분산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재질로 형성되는 상측커버판넬에는, 별도의 가이드부를 구성하지 않으므로, 상측커버판넬의 파손 등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관련 구성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와 커버판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브라켓, 도어브라켓, 및 링크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브라켓, 도어브라켓, 및 링크모듈의 일측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링크모듈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되거나 닫히는 상태에서 링크모듈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링크모듈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판넬이 제거된 식기세척기의 전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아우터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전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브라켓의 전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홀더, 하부홀더 및 커버판넬 체결부재가 장착된 커버판넬의 전방사시도이다.
도 1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판넬 체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홀더가 하부가이더 및 제2도어브라켓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a 내지 도 5, 도 7a 내지 도 9에서 사용되는 상(U), 하(D), 좌(Le), 우(Ri), 전(F), 후(R)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면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a 내지 도 6b, 도 10a 내지 14을 참조하면, 도어(100)의 회전에 따라 배치가 변경되는, 도어(100), 도어브라켓(160a, 160b) 및 커버판넬(200)은, 도어 길이방향(Lu-Ld), 도어 두께방향(Tf-Tr) 및 도어 폭방향(Le-Ri)을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어 길이방향의 경우, 도어(100)가 터브(10)를 폐쇄할 때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도어 길이방향의 상하방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두께방향의 경우, 도어(100)가 터브(10)를 폐쇄할 때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을 도어 두께방향의 전후방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어 폭방향(Le-Ri)은, 도어(100)의 배치변경과 상관없이 일정하므로, 식기세척기(1)의 좌우방향(Le-Ri)과 동일하다.
이러한, 방향 설정은, 도어(100)의 배치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100)의 배치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도어(100) 및 도어브라켓(160a, 160b)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기세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체구성>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는, 주방 등의 공간에서 빌트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식기세척기(1)는, 터브(10)의 외측을 커버하는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1b와 같이,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8)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a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링크모듈(300a, 300b)과 도어(100) 및 커버판넬(200)의 관계는, 도 1b의 케이스(18)가 구비된 식기세척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내부에 세척실(10a)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방된 터브(10),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되고, 터브(10)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베이스(70), 터브(10) 하측에 배치되고, 터브(10)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섬프(20), 터브(10)의 하단부에서 터브(1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터브(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00), 도어(100)와 베이스(70)를 커버하고, 도어(10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커버판넬(200), 및 도어(100)가 회전할 때, 커버판넬(200)을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링크모듈(300a, 300b)을 포함한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실(10a) 내부에 배치되고, 세척대상인 식기를 거치하는 랙(22a, 22b), 세척실(10a)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24a, 24b, 24c),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섬프(20)에 저장된 세척수를 복수의 분사노즐(24a, 24b, 24c)로 압송하는 세척펌프(30)와, 세척펌프(30)에서 압송되는 세척수를 복수의 분사노즐(24a, 24b, 24c) 중 적어도 하나로 보내는 절환밸브(40), 및 절환밸브(40)와 복수의 분사노즐(24a, 24b, 24c) 각각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26a, 26b, 26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펌프(30)는, 세척펌프 하우징(32) 내부에 배치된 임펠러(34)를 세척모터(36)를 이용하여, 회전시키고, 섬프(20)에 저장된 세척수를 터브(10)로 공급할 수 있다. 세척펌프(30) 내부에는, 세척펌프 하우징(32) 내측에 존재하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38)는, 세척펌프(30)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히터(38)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터브(10) 내부로 보내는 스팀노즐(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섬프(20)와 세척펌프(30)를 연결하는 세척펌프유입관(44), 세척펌프(30)와 절환밸브(40)를 연결하는 세척펌프 배출관(46), 세척펌프(30)와 스팀노즐(42)을 연결하는 스팀배출관(48)을 포함할 수 있다.
섬프(20)에는, 터브(10)에서 유입되는 세척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64)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섬프(20)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관(50)과, 급수관(50)을 개폐하는 급수밸브(52), 섬프(20)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54)과 배수펌프(56)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0)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을 가질 수 있다. 터브(10)는 하측으로 섬프(20)와 연결될 수 있다. 터브(10)는 하측으로 섬프(20)와 연결되는 섬프홀(20a)이 형성될 수 있다. 터브(10)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실(10a)에는, 복수의 랙(22a, 22b)이 배치될 수 있다.
터브(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실(10a)에는, 복수의 분사노즐(24a, 24b, 24c)이 배치된다. 복수의 분사노즐(24a, 24b, 24c)은, 랙(22a, 22b) 또는 터브(10)의 내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터브(10)의 전방측에는, 터브(1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배치된 터브프레임(16)이 배치될 수 있다. 터브프레임(16)은, 터브(10)의 상면(12)과, 양측면(14a, 14b)에서, 터브(10)에 체결될 수 있다.
터브(10)는 전방 하단부에서 도어(10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터브(10)는, 도어(100)와 힌지연결될 수 있다. 즉, 도어(100)는, 터브(10)의 전방 하단부에 배치되는 도어 회전축(100a)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베이스(70)는,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되어, 터브(10)를 지지한다. 베이스(70)는 터브(10)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 내측으로 섬프(20)와, 세척펌프(3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70)의 내측에는, 세척펌프(30) 등의 작동을 조절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수용되는 제어박스(60)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70)의 전방단부(72)는, 터브(10)의 전방단부(15)보다 후방으로 이격배치된다. 베이스(70)는, 도어(100)의 회전으로 커버판넬(200)이 이동할 때, 커버판넬(20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터브(10)보다 후방에서 배치된다.
베이스(70)의 전방단부(72)는, 커버판넬(200)의 이동을 고려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터브(10)는, 베이스(70)와 체결되어, 베이스(70)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터브(10)는, 베이스(70)와,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터브(10)는, 이하에서 설명할 터브브라켓(80a, 80b)을 통해 베이스(70)와 결합될 수 있다. 터브(10)와 베이스(70)는, 후방측에서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되고, 전방측에서 터브브라켓(80a, 80b)으로 체결될 수 있다.
<터브브라켓>
이하에서는, 도 3, 도 5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브라켓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터브(10)의 하부에 고정 배치되고, 도어(10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터브브라켓(80a, 8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브라켓(80a, 80b)은, 터브(10)와 베이스(70)를 체결할 수 있다. 터브브라켓(80a, 80b)은, 터브(10)를 베이스(70)의 상측으로 고정하고, 도어(100)를 터브(10)의 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는, 터브(10)에 체결되는 터브브라켓(80a, 80b)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브라켓(80a, 80b)에는, 도어(100)에 고정되는 도어브라켓(160a, 160b)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터브브라켓(80a, 80b)은, 터브(10)의 양측면에 각각 한 쌍이 배치된다. 터브브라켓(80a, 80b)은, 터브(10)의 좌측면에 배치되는 제1터브브라켓(80a)과, 터브(10)의 우측면에 배치되는 제2터브브라켓(80b)을 포함한다. 제1터브브라켓(80a)과 제2터브브라켓(80b)은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고, 터브(10)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제1터브브라켓(80a)과, 제2터브브라켓(80b) 각각은, 터브(10)의 전방측과, 베이스의 전방측을 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터브브라켓(80a, 80b)의 구체적인 구성 및 형태를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b에서는 제1터브브라켓(80a)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상기의 구성과 형태는, 제2터브브라켓(80b)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터브브라켓(80a, 80b)은, 터브(10)와 베이스(70)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터브브라켓(80a, 80b)은, 터브(10)와 체결되는 터브체결부(82)와, 베이스(70)에 체결되는 베이스체결부(84) 및 도어브라켓(160a, 160b)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연결부(86)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체결부(82)는, 터브(10)의 일 측면에 체결된다. 터브체결부(82)는, 터브(10)의 일측면의 전방단부에 배치된다. 터브체결부(82)는, 볼트 등의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으로 터브(10)에 체결될 수 있다.
도어연결부(86)에는, 도어브라켓(160a, 160b)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힌지홀(86a)이 형성된다. 도어연결부(86)는 도어브라켓(160a, 160b)과 별도의 힌지부재(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어연결부(86)는, 터브체결부(82)의 하측에 배치된다. 도어연결부(86)에 형성되는 힌지홀(86a)은, 터브(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가 회전하는 도어 회전축(100a)은, 터브(10)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체결부(84)는, 도어연결부(86)의 후방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체결부(84)는, 베이스(70)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베이스체결부(84)는, 베이스(70)와 후크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체결부(84)에는, 베이스(70)와 결합되는 후크부(84a)가 형성된다. 베이스체결부(84)의 후크부(84a)는, 베이스(70)의 대응구조에 후크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터브브라켓(80a, 80b)은, 링크모듈(300a, 300b)의 일측을 고정하는 링크체결부(88) 더 포함한다. 링크체결부(88)는, 터브브라켓(80a, 80b)이 형성하는 면과 수직하게 절곡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링크체결부(88)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링크모듈(300a, 300b)의 링크브라켓(350)이 체결 및 고정된다. 링크체결부(88)에는, 링크브라켓(350)의 링크브라켓-체결부(356)가 별도의 체결부재(358)로 체결된다.
<링크 및 도어의 이동>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모듈과, 링크모듈의 작동을 설명한다.
링크모듈(300a, 300b)은, 도어(100)가 회전할 때, 도어(100)의 전방에 배치된 커버판넬(200)을 도어의 길이방향(Lu-Ld)으로 이동시킨다. 링크모듈(300a, 300b)은, 도어(100)가 회전하는 힘을 이용하여, 커버판넬(200)을 직선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모듈(300a, 300b)은, 도어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모듈(300a, 300b)은, 도어(10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1링크모듈(300a)과, 도어(10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2링크모듈(300b)을 포함한다. 제1링크모듈(300a)과 제2링크모듈(300b)은 동일한 구성을 기능을 가진 형태로 도어의 좌우측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b을 참조하여, 제1링크모듈(300a)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제1링크모듈(300a)은, 제2링크모듈(300b)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모듈(300a, 300b)은, 도어브라켓(160a, 160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310), 터브브라켓(80a, 80b)과 제1링크(3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320), 제1링크(310)와 커버판넬(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모듈(300a, 300b)은, 제2링크(320)와 터브브라켓(80a, 80b)을 연결하는 링크브라켓(350)과, 제3링크(330)와 커버판넬(200)을 연결하는 링크홀더(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310)는, 제1링크바디(312), 제1링크바디(312)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제2링크(32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1연결부(314), 제1링크바디(312)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제3링크(33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2연결부(316), 및 제1링크-1연결부(314)와 제1링크-2연결부(316) 사이에 배치되고, 도어브라켓(160a, 160b)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브라켓연결부(318)를 포함한다.
제2링크(320)는, 제2링크바디(322), 제2링크바디(322)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제1링크(31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1연결부(324), 제2링크바디(322)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터브브라켓(80a, 80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2연결부(326)를 포함한다. 제2링크-2연결부(326)는, 링크브라켓(350)을 통해 터브브라켓(80a, 80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링크-2연결부(326)는, 터브브라켓(80a, 80b)에 체결되는 링크브라켓(350)의 링크브라켓-연결부(35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링크(330)는, 제3링크바디(332), 제3링크바디(332)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제1링크(31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1연결부(334), 제3링크바디(332)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커버판넬(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2연결부(336)를 포함한다. 제3링크-2연결부(336)는, 링크홀더(340)를 통해 커버판넬(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제3링크-2연결부(336)는, 커버판넬(200)에 체결되는 링크홀더(340)의 링크홀더-연결부(34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브라켓(350)은, 일측이 터브브라켓(80a, 80b)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2링크(32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링크브라켓(35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320)의 제2링크-2연결부(326)는 위치가 고정된다.
링크브라켓(350)은, 링크브라켓바디(352), 링크브라켓바디(352)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제2링크(32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브라켓-연결부(354), 링크브라켓바디(352)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터브브라켓(80a, 80b)에 고정되는 링크브라켓-체결부(356)를 포함한다.
링크브라켓-체결부(356)는 터브브라켓(80a, 80b)의 일측에 체결되어 배치가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브라켓-체결부(356)는, 별도의 체결부재(358)를 통해 터브브라켓(80a, 80b)에 체결된다. 링크브라켓-체결부(356)는, 터브브라켓(80a, 80b)에 고정되어, 링크브라켓(350)의 배치를 고정한다. 따라서, 도어(100)가 회전하더라도, 제2링크(32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브라켓-연결부(354)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링크홀더(340)는, 링크홀더바디(342), 링크홀더바디(342)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제3링크(33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홀더-연결부(344), 링크홀더바디(342)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커버판넬(200)에 체결되는 링크홀더-체결부(346)를 포함한다. 링크홀더(340)는, 커버판넬(200)에 체결되는 커버판넬 체결부재(220)를 통해 커버판넬(200)과 연결된다. 링크홀더(340)는, 커버판넬 체결부재(220)에 체결되어 배치가 고정된다.
링크홀더(340)는, 커버판넬(200)과 링크모듈(300a, 300b)이 체결되는 위치를 터브(10)의 하측으로 배치할 수 있다. 링크홀더(340)의 링크홀더-체결부(346)는, 아우터도어(120)의 하단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100)가 폐쇄될 때, 링크홀더(340)의 링크홀더-체결부(346)는, 아우터도어(120)의 하단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즉, 커버판넬(200)에 장착된 커버판넬 체결부재(220)와, 링크홀더(340)의 링크홀더-체결부(346)가 터브(10)의 하측공간에서 체결될 수 있어, 사용자가 커버판넬(200)을 링크모듈(300a, 300b)에 조립할 수 있다. 링크홀더-체결부(346)는, 커버판넬 체결부재(220)에 고정되게 체결되므로, 링크홀더(340)의 배치가 커버판넬(200)과의 관계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도어(100)의 회전에 따라 링크모듈(300a, 300b)의 배치가 변경되고, 도어(10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커버판넬(200)이 이동한다.
도어(100)가 개방되면, 도어 회전축(100a)을 기준으로, 도어(100)가 회전함에 따라, 링크축(300c)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링크축(300c)은, 도어 회전축(100a)의 후방(R)에서 도어 회전축(100a)의 상측(U)으로 이동한다. 도어(100)가 개방될 때, 링크축(300c)이 이동하므로, 제1링크(310)는, 제3링크(330)를 전방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커버판넬(200)은, 도어(100)가 회전할 때, 제3링크(330)에 의해 도어의 길이방향 상측(Lu)으로 동할 수 있다.
반대로, 도어(100)가 닫히면, 도어 회전축(100a)을 기준으로 도어(100)가 회전함에 따라 링크축(300c)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링크축(300c)은, 도어 회전축(300c)의 상측(U)에서 도어 회전축(100a)의 후방(R)으로 이동한다. 도어(100)가 폐쇄될 때, 링크축(300c)이 이동하므로, 제1링크(310)는, 제3링크(330)를 후방으로 끌어당긴다. 따라서, 커버판넬(200)은, 도어(100)가 회전할 때, 제3링크(330)에 의해 도어의 길이방향 하측(Td)으로 동할 수 있다.
<도어 및 도어브라켓>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와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브라켓을 설명한다.
도어(100)는, 터브(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는, 터브(10)의 전면과 접촉하여, 터브(10)의 개구된 부분을 폐쇄하는 이너도어(110)와, 이너도어(110)의 전방에서 이너도어(110)와 체결되는 아우터도어(120), 및 아우터도어(120) 상측에 배치되고, 이너도어(110)와 체결되는 상측커버도어(140)을 포함한다.
이너도어(110)는, 터브(10)의 개구된 전방부에 위치하여, 터브(10)를 폐쇄할 수 있다. 이너도어(110)의 전방에는, 상측커버도어(140)와, 아우터도어(120)가 장착된다. 이너도어(110)는, 대략 사각형을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너도어(110)에는, 터브(10) 내부로 공급되는 세제 등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디스펜서(6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너도어(110)는, 디스펜서(62)가 장착되는 디스펜서 장착부(112)를 포함한다. 디스펜서(62)는, 이너도어(110)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배치된다.
이너도어(110)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도어브라켓(162)의 일부가 수용되는 도어브라켓 체결홈(114a, 114b)이 형성된다. 도어브라켓 체결홈(114a, 114b)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어브라켓 체결홈(114a, 114b)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이너도어체결부(190)가 삽입된다.
도어브라켓 체결홈(114a, 114b)은, 제1도어브라켓(162)이 장착되는 전면에서 후방방향으로 오목한 홈을 형성한다. 제1도어브라켓(162)은, 도어브라켓 체결홈(114a, 114b)에 삽입되고,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이너도어(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너도어(110)에는, 한 쌍의 제1도어브라켓(162)이 장착되는 한 쌍의 도어브라켓 체결홈(114a, 114b)이 형성된다. 한 쌍의 도어브라켓 체결홈(114a, 114b) 각각은, 이너도어(110) 전면의 양측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도어(110)의 전면에는, 아우터도어(120)와 상측커버도어(140)가 체결된다. 아우터도어(120)와 상측커버도어(140)은, 이너도어(110)의 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아우터도어(120)는, 이너도어(1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아우터도어(120)는, 상측커버도어(14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도어(120)의 후방에는, 이너도어(110)가 배치되고, 아우터도어(120)의 전방에는, 커버판넬(200)이 배치된다.
아우터도어(120)는, 전면판(120a)과, 전면판(120a)의 둘레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120b)를 포함한다. 전면판(120a)은,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제2도어브라켓(180)의 전방으로 한 쌍의 상부홀(122)과 한 쌍의 하부홀(124)이 형성된다. 테둘리부(120b)는, 전면판(120a)의 양측 둘레에서 이너도어(110)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이너도어(110)와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으로 체결될 수 있다.
아우터도어(120)에는, 커버판넬(200)이 도어(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아우터도어(120)는, 상단의 일부가 상측커버도어(140)의 하부에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우터도어(120)는, 아우터도어(120)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측커버도어(140)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상측 체결부(134a, 134b)를 포함한다. 상측 체결부(134a, 134b)는, 상측커버도어(140)의 하측 체결부(152a, 152b)와 체결된다. 상측 체결부(134a, 134b)와 하측 체결부(152a, 152b)는 후크방식으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아우터도어(120)에는, 커버판넬(200)의 이동범위로 개방되는 한 쌍의 상부홀(122)과 한 쌍의 하부홀(124)이 형성된다. 상부홀(122)은 이하에서 설명할 제2도어브라켓(180)의 상부가이드부(184)의 전방에 배치된다. 하부홀(124)은 이하에서 설명할 제2도어브라켓(180)의 하부가이드부(186)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부홀(122)은, 제2도어브라켓(180)의 상부가이드부(184)에 형성되는 상부삽입홀(184a)과 상부가이드홀(184b)을 합친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하부홀(124)은, 제2도어브라켓(180)의 하부가이드부(186)에 형성되는 하부삽입홀(186a)과 하부가이드홀(186b)을 합친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부홀(122)과 하부홀(124)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홀(122) 각각은, 한 쌍의 하부홀(124) 각각의 상측에 배치된다.
아우터도어(120)에 형성되는 상부홀(122)과 하부홀(124)의 아우터도어후방으로 제2도어브라켓(180)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도어(120)의 일측에는, 제2도어브라켓(180)이 배치된다. 제2도어브라켓(180)은, 아우터도어(120)의 후방면에 배치된다.
아우터도어(120)에는, 제2도어브라켓(180)과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로 체결되는 체결홈(132a, 132b)이 형성된다. 체결홈(132a, 132b)은, 상부홀(122)과 하부홀(12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홀(122)과 하부홀(124)은, 도어의 길이방향(Lu-Ld)으로 형성된다.
제2도어브라켓(180)에 형성되는 상부가이드부(184)에 형성되는 홀과 하부가이드부(186)에 형성되는 홀은, 아우터도어(120)에 형성되는 상부홀(122)과 하부홀(124)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도어(120)에는, 커버판넬 체결부재(220)가 이동하는 도어의 길이방향(Lu-Ld)으로 형성된 체결부재 이동홈(128a, 128b)이 형성된다. 체결부재 이동홈(128a, 128b)은, 커버판넬 체결부재(220)가 이동하는 가이드구조를 가진다. 체결부재 이동홈(128a, 128b)는 아우터도어(120)의 하단에서 도어의 길이방향 상측(Lu)으로 형성된다. 커버판넬 체결부재(220)는, 체결부재 이동홈(128a, 128b)를 따라 이동하며, 커버판넬(200)을 도어의 길이방향(Lu-Ld)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측커버도어(140)은, 이너도어(110)의 전방면에 체결된다. 상측커버도어(140)은, 아우터도어(12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측커버도어(140)의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식기세척기(1)를 조작하도록 형성되는 조작버튼(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고, 상측커버도어(140)의 내부에는, 조작버튼과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측커버도어(140)의 전방에는, 커버판넬(200)이 도어의 길이방향(Lu-Ld)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측커버도어(140)에는, 커버판넬(200)이 장착되지 않는다.
상측커버도어(140)의 하부에는, 상측커버도어(140)의 하측에 배치되는 아우터도어(120)와 체결되는 하측 체결부(152a, 152b)가 배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도어에 고정되게 체결되고, 터브(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브라켓(160a, 160b)을 더 포함한다.
도어브라켓(160a, 160b)은, 도어(100)에 고정 연결되고, 터브(10)에 고정 연결되는 터브브라켓(80a, 80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어브라켓(160a, 160b)은, 도어(100)가 터브(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회동시킬 수 있다. 도어브라켓(160a, 160b)은 일부가, 이너도어(110)와 아우터도어(120) 사이에 배치된다.
도어브라켓(160a, 160b)은, 이너도어(110)에 체결되고, 터브(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도어브라켓(162)과, 제1도어브라켓(162)과 연결되고, 아우터도어(120)에 체결되는 제2도어브라켓(180)을 포함한다.
제1도어브라켓(162)은, 도어(100)에 체결되는 도어체결부(164), 터브(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터브연결부(166), 이하에서 설명한 제1링크(31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연결부(16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도어브라켓(162)은, 일부 개방된 도어(100)의 배치를 유지하는 도어고정부(380)와 연결되는 도어고정부-연결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체결부(164)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가지고, 도어(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어체결부(164)는, 이너도어(110)의 도어브라켓 체결홈(114a, 114b)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도어체결부(164)는, 이너도어(110)의 도어브라켓 체결홈(114a, 114b)에 삽입되고,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로 체결될 수 있다.
터브연결부(166)는, 도어체결부(164)의 하측에 배치된다. 터브연결부(166)는, 터브(10)의 측면의 외측에 배치된다. 터브연결부(166)는, 터브(10)의 측면에 배치되는 터브브라켓(80a, 80b)의 외측에 배치된다. 터브연결부(166)는, 터브(10)에 체결되는 터브브라켓(80a, 80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터브연결부(166)는, 터브브라켓(80a, 80b)과 별도의 힌지부재(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연결부(166)에는, 상기 힌지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힌지홀(166a)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홀(166a)은, 제1도어브라켓(162)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힌지홀(166a)은, 제1도어브라켓(162)의 전방 하측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도어브라켓(162)은, 힌지가 연결된 터브브라켓(80a, 80b)에 힌지홀(166a)을 통해 끼우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힌지홀(166a)의 상측은, 터브브라켓(80a, 80b)에 장착된 힌지 두께의 크기로 형성되어, 제1도어브라켓(162)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터브연결부(166)는, 도어(100)가 회전하는 도어 회전축(100a) 상에 배치되므로, 도어(100)의 개방 또는 폐쇄로 인해 도어(100)의 배치가 변경되더라도, 위치가 고정된다.
링크연결부(168)는, 터브연결부(166)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링크연결부(168)는, 도어(100)가 회전할 때, 터브연결부(166)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연결부(168)는, 터브연결부(166)로부터 도어의 두께방향(Tf-Tr) 후방(Tr)에 배치될 수 있다. 링크연결부(168)에는, 링크모듈(300a, 300b)의 제1링크(31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연결부(168)는, 제1링크(310)의 제1링크-브라켓연결부(318)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연결부(168)는, 제1링크(310)와 힌지부재 및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어(100)가 회전할 때, 제1링크(310)의 제1링크-브라켓연결부(318)는, 링크연결부(168)를 따라 이동한다.
도어고정부-연결부(170)는, 터브연결부(166)로부터 도어의 두께방향(Tf-Tr)의 후방(Tr)에 배치된다. 도어고정부-연결부(170)는, 도어(100)에서 도어의 두께방향(Tf-Tr) 후방(Tr)으로 연장되고, 단부에서, 도어고정부(380)의 연결클립(386)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고정부-연결부(170)의 단부는, 후크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클립(386)이 상기의 후크형상으로 형성된 도어고정부-연결부(170)에 체결되어, 제1도어브라켓(162)과 도어고정부(380)가 연결될 수 있다.
도어체결부(164)는, 터브연결부(166)를 기준으로, 도어의 길이방향(Lu-Ld)의 상향(Lu)으로 연장되며, 도어(100)에 체결된다. 도어고정부-연결부(170)는, 터브연결부(166)를 기준으로, 도어의 두께방향(Tf-Tr)의 후방(Tr)으로 연장되며, 단부에서 도어고정부(380)와 연결된다.
제1도어브라켓(162)은, 제2도어브라켓(180)과 체결되는 제1브라켓체결부(172)를 포함한다. 제1브라켓체결부(172)는, 아우터도어(120)에 체결되는 제2도어브라켓(180)의 제2브라켓체결부(194)와 체결부재(174)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제1브라켓체결부(172)는, 도어체결부(164)의 도어의 두께방향(Tf-Tr)의 전방(Tf)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도어브라켓(162)는, 터브브라켓(80a, 80b)과 링크모듈(300a, 300b) 사이에 배치된다.
제2도어브라켓(180)은, 이너도어(110)와 아우터도어(120) 사이에 배치된다. 제2도어브라켓(180)은, 도어의 두께방향(Tf-Tr)으로 아우터도어(120)의 후방에서 아우터도어(120)에 체결된다. 제2도어브라켓(180)은, 일측에서 제1도어브라켓(162)과 체결 및 고정되고, 타측에서 아우터도어(120)와 체결 및 고정된다.
제2도어브라켓(180)은, 도어의 길이방향(Lu-Ld)으로 제1도어브라켓(162)의 상하로 배치되어, 커버판넬(200)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을 제1도어브라켓(162)으로 분산할 수 있다. 제2도어브라켓(180)는,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을 가진다.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제2도어브라켓(180)은, 상부홀더(210au, 210bu)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부가이드부(184)와, 하부홀더(210ad, 210bd)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부가이드부(186)를 포함한다.
상부가이드부(184)에는, 상부홀더(210au, 210bu)가 삽입되는 상부삽입홀(184a)과, 상부삽입홀(184a)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부홀더(210au, 210bu)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부가이드홀(184b)이 형성된다. 상부삽입홀(184a)은, 상부홀더(210au, 210bu) 전체가 관통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부삽입홀(184a)의 하단부는, 상부가이드홀(184b)로 연결되며, 상부가이드홀(184b)로 이어지는 부분에서 홀의 크기가 줄어드는 형태를 가진다. 상부가이드홀(184b)의 양측으로는, 상부홀더(210au, 210bu)의 가이드홈(214)이 삽입된다.
하부가이드부(186)에는, 하부홀더(210ad, 210bd)가 삽입되는 하부삽입홀(186a)과, 하부삽입홀(186a)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부홀더(210ad, 210bd)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부가이드홀(186b)이 형성된다. 하부삽입홀(186a)과 하부가이드홀(186b) 각각은, 상부삽입홀(184a)과 상부가이드홀(184b)과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부가이드부(184)와 하부가이드부(186)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가이드부(184)와 하부가이드부(186)는, 상부가이드부(184) 또는 하부가이드부(186)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 이상으로 이격배치된다. 상부가이드부(184)와 하부가이드부(186) 사이의 간격은, 상부가이드부(184)가 형성하는 상부삽입홀(184a)과 상부가이드홀(184b)이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길이 이상으로 이격배치된다.
제2도어브라켓(180)은, 상부가이드부(184)와 하부가이드부(186)가 배치되는 브라켓전방면(182)과, 브라켓전방면(182)의 하부에서 제1도어브라켓(162)과 체결되는 제2브라켓체결부(194)와, 브라켓전방면(182)의 상부에서 이너도어(110)에 체결되는 이너도어체결부(190)를 포함한다.
브라켓전방면(182)에는, 상부가이드부(184)와 하부가이드부(186)가 배치된다. 브라켓전방면(182)은, 상부가이드부(184)와 하부가이드부(186)의 사이에 아우터도어(120)와 체결되는 아우터도어체결부(188)가 배치된다. 아우터도어체결부(188)는,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아우터도어(120)와 체결될 수 있다.
제2도어브라켓(180)은, 상부가이드부(184)와 하부가이드부(186)의 사이부분에서 아우터도어(120)와 체결되고, 상단부에서 이너도어(110)와 체결되며, 하단부에서 제1도어브라켓(162)을 통해 이너도어(110)와 체결될 수 있다. 즉, 제2도어브라켓(180)은, 상부가이드부(184)와 하부가이드부(186)에서 발생하는 커버판넬(200)의 하중을 아우터도어(120)와 이너도어(110)로 분산할 수 있다.
제2브라켓체결부(194)는, 하부가이드부(186)가 형성되는 브라켓전방면(182)의 일측에서 제1도어브라켓(162)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너도어체결부(190)는, 상부가이드부(184)가 형성되는 브라켓전방면(182)의 일측에서 도어의 두께방향(Tf-Tr)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이너도어(110)에 체결된다. 이너도어체결부(190)는 도어브라켓 체결홈(114a, 114b)에 삽입되어, 이너도어(110)에 체결될 수 있다. 제2브라켓체결부(194)는 브라켓전방면(182)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1도어브라켓(162)와 체결된다. 제2브라켓체결부(194)에는, 제1도어브라켓(162)과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으로 체결되는 체결홀(194a)이 형성된다.
이너도어체결부(190)는, 제2도어브라켓(18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너도어체결부(190)는, 도어의 두께방향(Tf-Tr)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이너도어(110)의 도어브라켓 체결홈(114a, 114b)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너도어체결부(190)는,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을 통해, 이너도어(110)에 체결될 수 있다. 제2도어브라켓(180)은, 아우터도어(120)와, 이너도어(110)에 각각 체결되므로, 커버판넬(200)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이 분산될 수 있다.
<도어고정부>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고정부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터브(10)로부터 개방되는 도어(100)의 배치를 유지하는 도어고정부(3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고정부(380)는, 도어(100)의 배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어고정부(380)는, 도어브라켓(160a, 160b)과 연결되어, 도어(100)가 개방되는 반대방향으로 도어(100)에 탄성력을 가한다.
도어고정부(380)는, 도어(100)에 후방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382)와, 탄성부재(382)와 도어(100)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84), 및 연결부재(384)의 단부에 배치되고, 도어브라켓(160a, 160b)의 도어고정부-연결부(170)에 체결되는 연결클립(386)을 포함한다.
도어고정부(380)는, 연결부재(384)에 마찰력을 가하는 마찰부재(3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부재(388)는, 연결부재(384)가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마찰을 가하여, 탄성부재(382)와 커버판넬(200)이 장착된 도어(100) 사이에서 발생하는 힘의 평행관계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무게를 가지는 커버판넬(200)이 장착된 도어(100)가 터브(10)로부터 일정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어고정부(380)는, 도어(100)에 고정되는 제1도어브라켓(162)의 도어고정부-연결부(170)와 연결된다. 제1도어브라켓(162)은, 도어(100)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도어고정부-연결부(170)는, 도어(100)에 도어의 두께방향(Tf-Td) 후방(Td)에 배치된다. 제1도어브라켓(162)에 연결되는 도어고정부(380)는, 제1도어브라켓(162)의 후방단부에 형성되는 도어고정부-연결부(170)를 하측(D) 후방(R)으로 힘을 가한다.
<커버판넬>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판넬을 설명한다.
커버판넬(200)은, 도어(100)의 전방에서 도어의 길이방향(Lu-Ld)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판넬(200)은, 도어(100)가 회전할 때, 도어(100)의 길이방향(Lu-Ld) 상하로 이동한다. 커버판넬(200)은, 사각형의 판형상을 가지고, 도어(100)와 베이스(70)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커버판넬(200)에는, 링크모듈(300a, 300b)의 일측에 장착되어 커버판넬(200)을 이동시키는 커버판넬 체결부재(220)와, 도어(100)에 장착되어, 커버판넬(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홀더(210au, 210bu, 210ad, 210bd)가 체결된다. 커버판넬(200)의 후방면에는, 복수의 홀더(210au, 210bu, 210ad, 210bd)와, 복수의 커버판넬 체결부재(220)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더(210au, 210bu, 210ad, 210bd)와, 상기 복수의 커버판넬 체결부재(220a, 220b)는, 커버판넬(200)의 후방면에 체결된다.
홀더(210au, 210bu, 210ad, 210bd)는, 제2도어브라켓(180)의 상부가이드홀(184b)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홀더(210au, 210bu)와, 제2도어브라켓(180)의 하부가이드홀(186b)을 따라 이동하는 아우터도어하부홀더(210ad, 210bd)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홀더(210au, 210bu)와 하부홀더(210ad, 210bd) 각각은 한 쌍의 제2도어브라켓(180) 각각에 장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상부홀더(210au, 210bu)와 한 쌍의 하부홀더(210ad, 210bd)는,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상부홀더(210au, 210bu)와 한 쌍의 하부홀더(210ad, 210bd)는, 커버판넬(200)에 체결되는 배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b를 참조하면, 홀더(210au, 210bu, 210ad, 210bd)는, 양측으로 가이드홈(214)을 형성하는 홀더바디(212)로 구성된다. 홀더바디(212)는, 커버판넬(200)에 접촉하는 면을 형성하는 전면바디(212a), 전면바디(212a)에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후면바디(212b), 및 전면바디(212a)와 후면바디(212b)를 연결하는 연결바디(212c)를 포함한다. 연결바디(212c)는, 전면바디(212a)와 후면바디(212b)보다 좁은 폭을 가지므로, 전면바디(212a)와 후면바디(212b) 사이에 가이드홈(214)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바디(212c)의 양측으로 가이드홈(21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14)은,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홀더바디(212)의 양측에 형성된다.
도 12a를 참조하면, 연결바디(212c)의 상측과 하측으로 고정홈(215)이 형성된다. 연결바디(212c)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는 고정홈(215)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커버판넬(200)과 결합과정에서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면바디(212a)와 후면바디(212b)는, 연결바디(212c)의 상측과 하측으로 연장되어, 그 사이로 고정홈(215)을 형성한다. 전면바디(212a)와 후면바디(212b)는, 연결바디(212c)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이격된 간격이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연결바디(212c)는 상단부(212c1)와 하단부(212c2)에서 중심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홀더(210au, 210bu, 210ad, 210bd)가 커버판넬(200)에 일부 기울어진 상태로 체결되더라도, 상부가이드부(184) 또는 하부가이드부(186)에 장착되어, 도어의 길이방향(Lu-Ld)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바디(212c)의 내측에는, 커버판넬(200)과 체결을 위한 체결홀(216)이 형성되고, 체결홀(216)의 주위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강도리브(218)가 형성될 수 있다.
전면바디(212a)는, 후면바디(212b)에 비해 좁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바디(212a)의 두께가 좁을수록 커버판넬(200)과 아우터도어(12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후면바디(212b)의 내측에는, 중공의 후면바디홈(212d)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을 참조하면, 홀더(210au, 210bu, 210ad, 210bd)의 가이드홈(214)에는, 아우터도어 제2도어브라켓(180)이 삽입된다. 아우터도어제2도어브라켓(180)은, 하부홀더(210ad, 210bd)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214)에 삽입된다.
제2도어브라켓(180)은, 제1도어브라켓(162)과 체결되고, 제1도어브라켓(162)은, 터브(10) 및 도어고정부(380)로 연결되므로, 커버판넬(2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커버판넬 체결부재(220a, 220b)는, 한 쌍의 링크모듈(300a, 300b)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커버판넬 체결부재(220a, 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판넬 체결부재(220a, 220b)는,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커버판넬(200)의 후방면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커버판넬 체결부재(220a, 220b)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링크홀더(340)의 링크홀더-체결부(346)와 체결될 수 있다. 커버판넬 체결부재(220a, 220b)는, 링크모듈(300a, 300b)이 배치변경에 따라 커버판넬(2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커버판넬 체결부재(220a, 220b)는, 커버판넬(200)에 대향하는 면을 형성하고,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으로 커버판넬(200)에 체결되는 판넬체결바디(222)와, 판넬체결바디(222)의 커버판넬(200)에 체결되는 면에 수직한 면을 형성하고, 링크홀더(340)와 체결되는 링크체결바디(224)를 포함한다.
판넬체결바디(222)는, 별도의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판넬체결바디홀(222a)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체결바디(224)는, 판넬체결바디(222)의 후방으로 형성되고, 링크홀더(340)와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으로 체결되도록 형성된 링크체결바디홀(224a)이 형성된다.
커버판넬 체결부재(220a, 220b)는, 아우터도어(120)의 하측에 배치되거나, 아우터도어(120)에 형성된 체결부재 이동홈(128a, 128b)을 따라 도어의 길이방향(Lu-Ld)으로 이동한다. 커버판넬 체결부재(220a, 220b)는, 도어(100)의 회전에 따라 변경되는 링크모듈(300a, 300b)의 배치변경에 따른 힘을 커버판넬(200)로 전달한다. 커버판넬(200)은, 커버판넬 체결부재(220)에 의해 이동할 때, 제2도어브라켓(180)의 상부가이드부(184) 및 하부가이드부(186)에 장착되는 상부홀더(210au, 210bu) 및 하부홀더(210ad, 210bd)에 의해 도어의 길이방향(Lu-Ld)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터브 10a : 세척실
70 : 베이스 80a, 80b : 터브브라켓
82 : 터브체결부 84 : 베이스체결부
86 : 도어연결부 88 : 링크체결부
100 : 도어 110 : 이너도어
120 : 아우터도어 120a : 전면판
120b : 테두리부 122: 상부홀
124 : 하부홀 140 : 상측커버도어
160a, 160b : 도어브라켓 162 : 제1도어브라켓
164 : 도어체결부 166 : 터브연결부
168 : 링크연결부 170 : 도어고정부-연결부
180 : 제2도어브라켓 184 : 상부가이드부
186 : 하부가이드부 200 : 커버판넬
210au, 210bu : 상부홀더 210ad, 210bd : 하부홀더
220 : 커버판넬체결부재 300a, 300b : 링크모듈
310 : 제1링크 320 : 제2링크
330 : 제3링크 390 : 도어고정부

Claims (17)

  1. 식기를 세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방된 터브;
    상기 터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베이스;
    상기 터브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고정되게 체결되고, 상기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브라켓;
    상기 도어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을 커버하고, 상기 도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커버판넬;
    상기 도어의 회전시, 상기 커버판넬을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링크모듈;
    상기 커버판넬의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도어브라켓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홀더; 및
    상기 상부홀더에서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어 상기 커버판넬의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도어브라켓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브라켓는, 상기 상부홀더의 이동을 가이하는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상부가이드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부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터브의 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터브의 개구된 부분을 폐쇄하는 이너도어와, 상기 이너도어의 전방에서 상기 이너도어와 체결되는 아우터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브라켓의 상기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상기 이너도어와 상기 아우터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브라켓은, 일측에서 상기 이너도어에 체결되고, 타측에서 상기 아우터도어에 체결되는 식기세척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브라켓은,
    상기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하부가이드부가 배치되는 브라켓전방면;
    상기 브라켓전방면의 상부에서 상기 이너도어에 체결되는 이너도어체결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도어체결부는, 상기 상부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상기 브라켓전방면의 일측에서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이너도어에 체결되는 식기세척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도어의 전면에는, 후방방향으로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도어브라켓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도어체결부는 상기 도어브라켓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이너도어에 체결되는 식기세척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전방면는, 상기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하부가이드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도어에 체결되는 아우터도어체결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도어에는, 상기 상부가이드부의 전방에서 상기 커버판넬의 이동범위로 개방되는 상부홀과, 상기 하부가이드부의 전방에서 상기 커버판넬의 이동범위로 개방되는 하부홀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부에는, 상기 상부홀더가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상부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가이드부에는, 상기 하부홀더가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하부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은, 상기 상부홀더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상부가이드홀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홈은, 상기 하부홀더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하부가이드홀보다 크게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브라켓은, 상기 이너도어에 체결되고, 상기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도어브라켓과, 상기 제1도어브라켓과 연결되고, 상기 아우터도어에 체결되는 제2도어브라켓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브라켓은,
    상기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하부가이드부가 배치되는 브라켓전방면과, 상기 브라켓전방면의 하부에서 상기 제1도어브라켓과 체결되는 제2브라켓체결부와, 상기 브라켓전방면의 상부에서 상기 이너도어에 체결되는 이너도어체결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브라켓은, 상단부에서 상기 이너도어와 체결되고, 하단부에서 상기 제1도어브라켓을 통해 상기 이너도어와 체결되는 식기세척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브라켓은,
    상기 터브의 하단부에서, 상기 터브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터브연결부;
    상기 터브연결부에서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너도어와 체결되는 도어체결부; 및
    상기 터브연결부로부터 상기 도어의 폭방향 후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커버판넬을 이동시키는 상기 링크모듈이 연결되는 링크연결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상기 상부가이드부 또는 상기 하부가이드부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 이상으로 이격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부에는, 상기 상부홀더가 삽입되는 상부삽입홀과, 상기 상부삽입홀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부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가이드부에는, 상기 하부홀더가 삽입되는 하부삽입홀과, 상기 하부삽입홀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부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7.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커버판넬 후방에서 상기 아우터도어 상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이너도어와 체결되는 상측커버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브라켓은, 상기 상측커버도어 하측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KR1020200004987A 2020-01-14 2020-01-14 식기세척기 KR20210091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987A KR20210091602A (ko) 2020-01-14 2020-01-14 식기세척기
PCT/KR2020/000965 WO2021145496A1 (ko) 2020-01-14 2020-01-20 식기세척기
EP20913134.1A EP4091522A4 (en) 2020-01-14 2020-01-20 DISHWASHER
US17/792,907 US20230062504A1 (en) 2020-01-14 2020-01-20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987A KR20210091602A (ko) 2020-01-14 2020-01-14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602A true KR20210091602A (ko) 2021-07-22

Family

ID=7686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987A KR20210091602A (ko) 2020-01-14 2020-01-14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62504A1 (ko)
EP (1) EP4091522A4 (ko)
KR (1) KR20210091602A (ko)
WO (1) WO20211454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0984B2 (en) * 2021-05-11 2024-03-1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ing appliance having a door linkage assembly
WO2023159740A1 (zh) * 2022-02-22 2023-08-3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门体组件和具有其的电器
DE102022104266A1 (de) * 2022-02-23 2023-08-24 Miele & Cie. Kg Haushaltsgerät, insbesondere Geschirrspül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408A (ja) * 1991-10-29 1993-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用扉装置
ATE349179T1 (de) * 2003-11-07 2007-01-15 Bonferraro Spa Eingebautes haushaltsgerät mit an die tür angebrachter dekorativer vorsatzplatte
EP2110064B1 (en) * 2008-04-16 2011-03-30 Whirlpool Corporation Slidable fixation for the aesthetic panel on a dishwasher door
EP2482703B1 (en) * 2009-09-30 2014-03-12 Arçelik Anonim Sirketi A built-in dishwasher comprising a decorative panel on its door
PL2407723T3 (pl) 2010-07-14 2018-03-3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Zawias przesuwny do urządzenia gospodarstwa domowego
CN203122330U (zh) * 2012-12-27 2013-08-14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嵌入式洗碗机及其门体
SI24962A (sl) * 2015-04-16 2016-10-28 BlaĹľ Zmazek Gospodinjski aparat, prednostno vgradni pomivalni stroj, z vrati in drsnim panelom, nameščenim na vratih
EP3108791B1 (en) * 2015-06-26 2017-11-08 Whirlpool EMEA S.p.A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and hinge for a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BR112018076268A2 (pt) * 2016-06-30 2019-03-26 Electrolux Appliances AB máquina de lavar louça
CN110151086B (zh) * 2018-02-13 2022-04-22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嵌入式洗碗机
KR102607019B1 (ko) * 2018-11-15 2023-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91522A1 (en) 2022-11-23
EP4091522A4 (en) 2024-01-17
WO2021145496A1 (ko) 2021-07-22
US20230062504A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1602A (ko) 식기세척기
KR101159039B1 (ko) 식기 세척기
US11950741B2 (en) Dishwasher
US20220000332A1 (en) Rack assembly and dishwasher having same
US20220142451A1 (en) Dishwasher
US10420452B2 (en) Dish washing machine
EP3945979B1 (en) Dishwasher
EP3597095B1 (en) Dishwasher
US11959507B2 (en) Taper pin for an appliance housing
CN111565616A (zh) 洗碗机
JP4412083B2 (ja) 食器洗浄機の設置方法
KR102627641B1 (ko) 식기세척기
JP2001061745A (ja) 食器洗浄機
KR20240002885A (ko) 식기 세척기
KR20210059274A (ko) 식기 세척기
KR20220059738A (ko) 식기 세척기
KR20220020303A (ko) 식기 세척기
KR100556797B1 (ko) 증기발생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JP2000287905A (ja) 食器洗い機のアームの取付構造
KR20200137440A (ko) 식기 세척기
KR20070078125A (ko) 빌트인용 식기 세척기의 도어 커버 결합 구조
KR20060098834A (ko) 드럼 세탁기의 탑 플레이트 장착 구조
KR20030060546A (ko) 드럼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