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219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219B1
KR102512219B1 KR1020180051923A KR20180051923A KR102512219B1 KR 102512219 B1 KR102512219 B1 KR 102512219B1 KR 1020180051923 A KR1020180051923 A KR 1020180051923A KR 20180051923 A KR20180051923 A KR 20180051923A KR 102512219 B1 KR102512219 B1 KR 102512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ir
support
bracket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373A (ko
Inventor
김진두
정진일
최현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1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219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2Loading doors, e.g. door latches, inflatable door seal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 지지장치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도어 지지장치의 이송 스크류를 지지하는 이송 브래킷은 이송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와, 지지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절개홀과, 절개홀 인접부로부터 연장된 홀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이송 브래킷에 있어서 절개홀이 형성된 부위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도어를 지지하기 위한 도어 지지장치를 갖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투입된 식기에 물을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장치이다.
식기 세척기는 전면이 개방되어 세척실이 마련된 마련된 본체와, 하단이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척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도어를 지지하여 외력이 전달될 경우에만 도어가 회전하도록 하는 도어 지지장치를 포함한다.
근래 이러한 식기 세척기 중에는 싱크대의 하부장에 설치되는 식기 세척기가 있는데, 이러한 식기 세척기의 경우, 식기 세척기가 싱크대의 하부장과 동일한 형태의 디자인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의 도어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은 싱크대의 하부장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데, 도어의 무게는 프론트 패널의 재질에 따라 변경되므로, 도어의 무게에 따라 도어 지지장치를 조절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 도어 지지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의 좌우 폭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전면이 개방되어 세척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 지지장치와, 상기 도어 지지장치를 지지하는 이송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지지장치는 전후로 연장되며 상기 이송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브래킷은 전후로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이송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 브래킷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들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홀들과, 상기 한 쌍의 절개홀들의 인접부로부터 일 측방으로 일체로 연장된 한 쌍의 홀 보강리브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홀 보강리브들은 상기 절개홈들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이송 브래킷의 하단은 역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 브래킷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들 사이에 전후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비딩부와, 전후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절개홀 및 상기 제 1 비딩부의 하측에 마련된 제 2 비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비딩부는 상하로 평행하게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비딩부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 브래킷의 하단은 역 V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비딩부의 하단은 상기 이송 브래킷의 하단과 대응하도록 역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 브래킷은 상단으로부터 일 측방을 향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보강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전면 양측을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들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 브래킷은 전단부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도어 지지장치는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스프링을 연결하는 상부 로프와, 상기 스프링과 상기 도어를 연결하는 하부 로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지지장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로프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프 홀더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프 홀더는 상기 사이드프레임에 설치되는 장착부와, 상기 상부 로프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는 상기 장착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돌기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향 경사지게 오목 형성되며 상하로 복수개 마련된 걸림홈들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걸림홈들과 대응하는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며 상하로 복수 개 마련된 걸림돌기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들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걸림홈들의 개수 보다 많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걸림홈들과 대응하는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전면이 개방되어 세척실을 형성하는 마련된 본체와,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 지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지지장치는 전후로 연장된 이송 스크류와, 상기 이송 스크류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스프링을 연결하는 상부 로프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로프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프 홀더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이송 프레임의 절개홀 인접부로부터 연장된 홀 보강리브를 포함하므로, 이송 프레임에 있어서 절개홀이 형성된 부위의 강도를 홀 보강리브를 통해 보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도어 지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도어 지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적용된 도어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적용된 이송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적용된 로프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적용된 도어 지지장치의 동작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관통부 및 이송 스크류를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어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도어 지지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도어 지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되어 내부가 세척실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세척실(12a)를 개폐하는 도어(20)와, 도어(20)를 지지하는 도어 지지장치(30)를 포함하다.
본체(10)는 그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11)과, 하우징(11) 내부에 배치되어 세척실(12a)을 형성하는 세척조(12)와, 하우징(11)의 전단 및 세척조(12)의 전단이 결합되어 하우징(11)의 전면 외곽측을 형성하는 프론트 프레임(13U, 13S)을 포함한다.
프론트 프레임(13U, 13S)은 본체(10)의 전면 상부를 형성하는 어퍼 프레임(13U)과, 본체(10)의 전면 양측을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3S)들을 포함한다. 두 사이드 프레임(13S)들의 하부에는 힌지 브래킷(16)이 각각 설치되어 도어(20)가 회전 가능 설치되는 힌지 브래킷(16)이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어퍼 프레임(13U)과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3S)들은 별도의 부품으로 각각 형성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퍼 프레임(13U)과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3S)들이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이드 프레임(13S)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U자 형상의 평 단면을 갖도록 밴딩되며, 본체(10)의 전면 외곽측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랜지부(131)와, 프론트 플랜지부(131)의 후방측에 평행하게 마련된 리어 플랜지부(132)와, 프론트 플랜지부(131)와 리어 플랜지부(132)를 연결하는 연결부(133)를 포함한다. 연결부(133)는 세척조(12)의 측면과 대향 배치되며, 프론트 플랜지부(131)와 리어 플랜지부(132)는 연결부(133)의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하우징(11)의 내부 측면을 향해 연장된다.
도어 지지장치(30)는 도어(20)를 지지하여 도어(20)가 자중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도어(20)를 일부만 개방한 상태에서 도어(20)를 놓더라도 도어(20)가 개방되지 않고 일부만 개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어 지지장치(30)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3S)의 상부 후방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도어 지지장치(30)를 포함하여, 도어(20)의 양측이 한 쌍의 도어 지지장치(30)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도 4에는 본체(10)의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3S) 및 도어 지지장치(3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사이드 프레임(13S) 및 도어 지지장치(30)는 본체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다.
본체(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두 사이드 프레임(13S)의 상부에 고정되어 후술할 도어 지지장치(30)가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이송 브래킷(15)과, 사이드 프레임(13S)들의 하부에 고정되어 도어(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 브래킷(16)들을 포함한다.
한 쌍의 힌지 브래킷(16)들은 사이드 프레임(13S)들의 하부에 각각 고정되며, 그 전방측 단부에 마련되어 도어(20)의 힌지 브래킷(1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돌기(16a)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도 1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연장되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3S)의 전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트림부재(14)들을 포함한다. 트림부재(14)들은 수지나 실리콘과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도어(20)는 그 후면을 형성하며 세척실(12a)를 폐쇄하는 도어 프레임(21)과, 도어 프레임(21)의 전방측에 고정되어 도어(2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22)과, 도어(20)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도어 브래킷(23)을 포함한다.
도어 프레임(21)은 세척실(12a)의 전방측을 덮어 폐쇄한다.
프론트 패널(22)은 식기 세척기가 매립 설치되는 싱크대 하부장의 도어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로 형성되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식기 세척기가 싱크대의 일부로 인식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어(20)의 전체 하중은 프론트 패널(22)의 종류에 따라 변경된다.
한 쌍의 도어 브래킷(23)은 프론트 패널(22)의 후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상술한 힌지 브래킷(1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어 브래킷(2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돌기(16a)가 설치되는 힌지홈(23a)과, 상하로 연장되어 프론트 패널(22)이 고정되는 패널 고정부(23b)와, 패널 고정부(23b)의 하부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도어 지지장치(30)에 의해 지지되는 연장부(23c)를 포함한다. 힌지홈(23a)은 패널 고정부(23b)와 연장부(23c) 사이에 마련되며, 연장부(23c)의 후단에는 후술할 도어 지지장치(30)의 하부 로프(35L)가 연결된다.
도어 지지장치(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로 연장된 이송 스크류(31)와, 이송 스크류(31)의 회전에 따라 진퇴 이동하는 이동부재(32)와,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33)을 포함한다. 스프링(33)은 상단이 후술할 상부 로프(35U)를 통해 제 1 이동부재(32)에 연결되고 하단이 후술할 하부 로프(35L)를 통해 도어(20)의 연장부(23c)에 연결되어 도어(20)를 탄성 지지한다.
스프링(33)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스프링(33)의 상단이 이동부재(32)측에 연결되고, 스프링(33)의 하단이 도어(20)측에 연결된다.
또한, 도어 지지장치(30)는 이동부재(32)와 스프링(33)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로프(35U)와, 도어(20)의 연장부(23c)와 스프링(33)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 로프(35L)를 포함하여, 상부 로프(35U)를 통해 이동부재(32)와 스프링(33)의 상단이 연결되고, 하부 로프(35L)를 통해 도어(20)의 연장부(23c)와 스프링(33)의 하단이 연결된다.
이송 스크류(31)는 전방측에 마련된 헤드부(31a)와,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이송부(31b)를 포함한다.
이송 브래킷(15)은 그 전단부가 사이드 프레임(13S)에 고정된 외팔보 형태로 사이드 프레임(13S)에 고정되고, 이송 브래킷(15)의 후단부는 사이드 프레임(13S)의 후방측으로 돌출된다.
이송 브래킷(15)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로 서로 이격 배치되며 이송 스크류(3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15a)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부(15a)들은 이송부(31b)가 관통 설치되는 스크류 지지홀(15a-1)을 각각 포함한다. 여기서 스크류 지지홀(15a-1)은 이송 스크류(31)의 헤드부(31a)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이송 스크류(31)의 이송부는 관통하되 헤드부(31a)는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송 브래킷(15)은 좌우 양측의 사이드 프레임(13S)들에 공용으로 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전방측 단부와 후방측 단부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송 브래킷(15)은 그 하단이 완만한 경사의 역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이송 브래킷(15)의 후단측에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이러한 힘이 이송 브래킷(15)에 전체적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송 브래킷(15)은 금속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다. 이송 브래킷(15)에 마련된 한 쌍의 지지부(15a)들은 프레스 가공을 통해 이송 브래킷(15)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이송 브래킷(15)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지지부(15a)들은 금속 판재의 일부가 절개 및 밴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이송 브래킷(15)에는 지지부(15a)들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지지부(15a)들의 양측에 절개홀(15b)이 각각 형성된다.
이송 브래킷(15)은 절개홀(15b) 인접부로부터 일측방을 향해 일체로 연장된 홀 보강리브(15c)와, 한 쌍의 지지부(15a)들 사이에 마련된 제 1 비딩부(15d)와, 이송 브래킷(15)의 하부에 마련된 제 2 비딩부(15e)와, 이송 브래킷(15)의 상단으로부터 일 측방을 항해 연장된 복수의 브래킷 보강리브(15f)들을 포함한다.
홀 보강리브(15c)는 이송 브래킷(15)에 있어서 절개홀(15b)이 형성된 부위의 강도를 보강한다. 홀 보강리브(15c)는 절개홀(15b)을 따라 연장되며 지지부(15a)에 연결되어, 지지부(15a)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제 1 비딩부(15d)와 제 2 비딩부(15e)는 금속 판재를 비딩(beading) 가공하여 형성된다.
제 1 비딩부(15d)는 이송 브래킷(15)에 있어서 두 지지부(15a)들 사이의 강도를 보강한다. 제 1 비딩부(15d)는 상하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 1 비딩부(15d)를 포함한다.
제 2 비딩부(15e)는 제 1 비딩부(15d)들 및 두 절개홀(15b)들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전후로 길게 연장되어 이송 브래킷(15) 하부의 강도를 전체적으로 보강한다. 제 2 비딩부(15e)의 하단은 이송 브래킷(15)의 하단 형상과 대응하도록 완만한 경사의 역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송 브래킷(15)에 상기와 같은 보강 구조들을 적용하여 이송 브래킷(15)이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하면서도 이송 브래킷(15)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도어 지지장치(30)가 설치되는 공간의 좌우 폭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지지장치(30)가 설치되는 공간의 좌우 폭이 줄어든 만큼 세척실(12a)의 좌우 폭을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송 브래킷(15)의 후방측에는 상부 로프(35U)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상부 풀리(3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힌지 브래킷(16)의 후방측에는 하부 로프(35L)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두 개의 하부 풀리(3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부재(32)는 한 쌍의 지지부(15a)들 사이에 배치되며, 그 상부 중앙에 설치된 너트(32a)를 포함한다. 이송 스크류(31)의 이송부(31b)는 이동부재(32)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되, 이동부재(32)의 중앙에 마련된 너트(32a)에 관통 체결된다. 여기서 너트(32a)는 이송 스크류(31)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사각 너트로 형성된다. 이동부재(32)의 하부에는 상부 로프(35U)의 상단이 고정된다.
따라서, 이송 스크류(31)를 회전시키면 이동부재(32)는 이송 스크류(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한 쌍의 지지부(15a)들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한다.
도어 지지장치(30)는 상부 로프(35U)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프 홀더(34)를 포함한다.
로프 홀더(34)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사이드 프레임(13S)에 설치되며, 상부 로프(35U)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스프링(33)의 탄성 복원력의 일부가 사이드 프레임(13S)으로 분산되도록 한다. 즉, 로프 홀더(34)는 이송 브래킷(15)에 작용하는 힘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이송 브래킷()을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로프 홀더(34)는 도어 지지장치(30)가 설치되는 공간의 좌우 폭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로프 홀더(34)는 사이드 프레임(13S)에 설치되는 장착부(34a)와, 상부 로프(35U)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돌기(34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프 홀더(34)는 장착부(34a)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마련된 한 쌍의 지지돌기(34b)를 포함하여, 로프 홀더(34)가 본체(10)의 전면 양측을 형성하는 두 사이드 프레임(13S)들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부 로프(35U)는 두 지지돌기(34b) 중 후방측에 위치한 지지돌기(34b)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장착부(34a)는 측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오목 형성된 걸림홈(34c)들 포함하며, 프론트 프레임(13U, 13S)은 리어 플랜지부(132)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걸림홈(34c)에 삽입되는 걸림돌기(132a)를 포함한다. 걸림홈(34c)과 걸림돌기(132a)는 서로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마련된다. 따라서 로프 홀더(34)는 장착부(34a)를 통해 리어 플랜지부(132)에 설치된다. 걸림홈(34c)은 장착부(34a)에 상하로 복수개가 마련되며, 걸림돌기(132a)는 리어 플랜지부(132)에 상하로 복수 개 마련된다.
로프 홀더(34)에 마련된 지지돌기(34b)는 로프 홀더(34)를 제조하는 금형을 고려하여 걸림홈(34c)과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로프 홀더(34)는 걸림돌기(132a) 및 걸림홈(34c)은 동일하게 두 개씩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걸림돌기(132a)들의 개수가 걸림홈(34c)들의 개수 보다 많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로프 홀더(34)의 설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로프 홀더(34)의 상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걸림돌기(132)와 상부 로프(35U)의 접촉 면적 및 상부 로프(35U)의 경로 길이가 변경되므로, 이를 통해서도 스프링(33)의 탄성 복원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체(10)는 전면에 이송 스크류(31)의 헤드부(31a)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관통부(13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부(13a)는 프론트 프레임(13U, 13L) 중 하나인 사이드 프레임(13S)의 프론트 플랜지부(131) 일측에 오목하게 마련된 홈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관통부(13a)는 프론트 플랜지부(131)에 홈의 형태로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홀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관통부(13a)는 사이드 프레임(13S)에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부(13a)가 어퍼 프레임(13U)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 지지장치(30)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3S) 후방측에 각각 배치되므로, 관통부(13a)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3S)들에 각각 마련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트림부재(14)는 상기와 같이 관통부(13a)가 마련된 프론트 플랜지부(131) 전면에 설치되면서 관통부(13a)를 덮어 가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트림부재(14)는 탄성 변형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트림부재(14)의 상부 일부 구간을 프론트 플랜지부(131)로부터 분리한 후, 관통부(13a)를 통해 스크류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삽입하여 이송 스크류(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가 싱크대의 하부장에 매립 설치된 상태에서도 관통부(13a)을 통해 도어 지지장치(30)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도어 지지장치를 조절하는 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프론트 패널(22)이 가벼운 재질로 형성될 경우, 도어(20)가 일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20)의 자중에 의해 작용하는 힘보다 스프링(33)의 탄성복원력이 크다. 따라서 도어(2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실(12a)을 폐쇄한다.
이러한 경우, 관통부(13a)를 통해 스크류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삽입하여 이동부재(32)가 후방측으로 이동하도록 이송 스크류(31)를 회전시킨다.
이동부재(32)가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프링이 탄성 복원되면서 스프링(33)의 탄성복원력이 감소한다.
반대로 프론트 패널(22)이 무거운 재질로 형성될 경우, 도어(20)가 일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20)의 자중에 의해 작용하는 힘보다 스프링(33)의 탄성복원력이 작다. 따라서, 도어(20)가 자중에 의해 낙하하면서 세척실(12a)이 완전히 개방된다.
이러한 경우, 관통부(13a)를 통해 스크류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삽입하여 이동부재(32)가 전방측으로 이동하도록 이송 스크류(31)를 회전시킨다.
이동부재(32)가 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프링(33)이 탄성 변형되면서 스프링(33)의 탄성복원력이 증가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부재(32)를 전후로 이동시키면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증가 또는 감소한다. 따라서 이송 스크류(31)를 회전시켜 도어(20)의 자중에 의해 작용하는 힘과 스프링(33)의 탄성복원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 이동부재(32)가 위치하도록 하면, 도어(20)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로프 홀더(34)는 걸림홈(34c) 및 걸림돌기(132a)를 통해 리어 플랜지부(132)에 설치되나, 이는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기 위한 것으로, 로프 홀더(34)가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 지지장치(30)는 로프 홀더(34)를 포함하여 스프링(33)의 탄성 복원력 일부가 사이드 프레임(13S)으로 분산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무거운 도어(20)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20)의 무게가 가벼울 경우에는 로프 홀더(34)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 지지장치(30)는 도어(20)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나, 이는 일례를 보인 것으로, 도어 지지장치(30)를 조절하여 도어(20)가 스프링(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서서히 닫히도록 하거나, 도어(20)가 자중에 의해 서서히 낙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설명한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본체 11: 하우징
12: 세척조 13S: 사이드 프레임
13a: 관통부 14: 트림부재
15: 이송 브래킷 16: 힌지 브래킷
20: 도어 21: 도어 프레임
22: 프론프 패널 23: 도어 브래킷
30: 도어 지지장치 31: 이송 스크류
32: 이동부재 33: 스프링
34: 로프 홀더 35U: 상부 로프
35L: 하부 로프

Claims (20)

  1. 전면이 개방되어 세척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 지지장치와,
    상기 도어 지지장치를 지지하는 이송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지지장치는 전후로 연장되며 상기 이송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브래킷은 전후로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이송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브래킷의 하단은 역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브래킷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들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홀들과, 상기 한 쌍의 절개홀들의 인접부로부터 일 측방으로 일체로 연장된 한 쌍의 홀 보강리브들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보강리브들은 상기 절개홈들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식기세척기.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브래킷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들 사이에 전후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비딩부와, 전후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절개홀 및 상기 제 1 비딩부의 하측에 마련된 제 2 비딩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비딩부는 상하로 평행하게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비딩부들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브래킷의 하단은 역 V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비딩부의 하단은 상기 이송 브래킷의 하단과 대응하도록 역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기 세척기.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브래킷은 상단으로부터 일 측방을 향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보강리브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면 양측을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들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 브래킷은 전단부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식기 세척기.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지지장치는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스프링을 연결하는 상부 로프와, 상기 스프링과 상기 도어를 연결하는 하부 로프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지지장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로프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프 홀더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홀더는 상기 사이드프레임에 설치되는 장착부와, 상기 상부 로프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는 상기 장착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돌기들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향 경사지게 오목 형성되며 상하로 복수개 마련된 걸림홈들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걸림홈들과 대응하는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며 상하로 복수 개 마련된 걸림돌기들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들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걸림홈들의 개수 보다 많은 식기세척기.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걸림홈들과 대응하는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식기세척기.
  17. 전면이 개방되어 세척실을 형성하는 마련된 본체와,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 지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지지장치는 전후로 연장된 이송 스크류와, 상기 이송 스크류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스프링을 연결하는 상부 로프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로프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프 홀더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면 양측을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들을 포함하며,
    상기 로프 홀더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는 장착부와, 상기 상부 로프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는 상기 장착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돌기들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향 경사지게 오목 형성되며 상하로 복수개 마련된 걸림홈들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걸림홈들과 대응하는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며 상하로 복수 개 마련된 걸림돌기들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80051923A 2018-05-04 2018-05-04 식기 세척기 KR102512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923A KR102512219B1 (ko) 2018-05-04 2018-05-04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923A KR102512219B1 (ko) 2018-05-04 2018-05-04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373A KR20190127373A (ko) 2019-11-13
KR102512219B1 true KR102512219B1 (ko) 2023-03-22

Family

ID=6853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923A KR102512219B1 (ko) 2018-05-04 2018-05-04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2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442B1 (ko) 2021-08-20 2022-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837B1 (ko) * 2011-08-12 2017-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373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8102B2 (en) Dishwasher with tension adjustment system
EP319022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detergent insert door
US10309141B2 (en) Domestic appliance and hinge of a domestic appliance
US20130038186A1 (en) Dishwasher
KR102512219B1 (ko) 식기 세척기
US10077526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dispenser
EP0859079B1 (en) Hinge for electrical appliance door, particularly for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US20230062504A1 (en) Dishwasher
EP1529482A1 (en) Built-in domestic appliance with decorative panel applied to the door
KR102607019B1 (ko) 가전 기기
EP0744521B1 (en) Hinge with movable axis of rotation in particular for the panel-finished doors of built-in dish washing machines
US11950741B2 (en) Dishwasher
US20220142451A1 (en) Dishwasher
EP3081136A1 (en) Household appliance, preferably a built-in dishwasher, with a door and a sliding panel arranged on the door
US7578566B2 (en) Ribbed escutcheon for appliance door assembly
EP3337373B1 (en) Weight balance of dishwasher
KR20210059274A (ko) 식기 세척기
KR101238079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구조
KR101193262B1 (ko) 식기 세척기
KR100989796B1 (ko) 도어스토퍼
US11412915B2 (en) Dish washer with loading frame
KR20210153887A (ko) 식기세척기 및 가전기기
KR20090090837A (ko) 도어힌지
US20050274154A1 (en) Appliance wire harness clip
KR200371628Y1 (ko) 상향식 도어 개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