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442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442B1
KR102466442B1 KR1020210110409A KR20210110409A KR102466442B1 KR 102466442 B1 KR102466442 B1 KR 102466442B1 KR 1020210110409 A KR1020210110409 A KR 1020210110409A KR 20210110409 A KR20210110409 A KR 20210110409A KR 102466442 B1 KR102466442 B1 KR 102466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ub
paragraph
width
function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휘
김경래
고명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0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442B1/ko
Priority to EP22191055.7A priority patent/EP4140387A1/en
Priority to US17/891,710 priority patent/US20230068193A1/en
Priority to KR1020220143445A priority patent/KR102633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442B1/ko
Priority to KR1020240012905A priority patent/KR202400178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72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3Door seal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74Arrange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e.g. control unit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브의 개방된 전면의 상측을 보강하는 프런트어퍼프레임에 별도의 기능모듈이 기능모듈이 배치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기능모듈을 위한 전용의 고정프레임을 생략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프런트어퍼프레임과 터브의 개방된 측면을 보강하는 프런트사이드프레임 사이에 상호결합구조를 형성하여 상호간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구현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터브의 개방된 전면의 상측을 보강하는 프런트어퍼프레임에 별도의 기능모듈이 기능모듈이 배치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기능모듈을 위한 전용의 고정프레임을 생략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인 식기, 조리기구 등에 물과 같은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 때,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에는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터브의 내부에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납부,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및 물을 저장하고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식사 후 식기 등과 같은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설거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세척행정, 세척대상물에 대한 행굼을 진행하는 행굼행정, 세척 및 행굼이 완료된 세척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세척행정, 행굼행정 및 건조행정 등은 모두 터브의 내부에서 진행된다.
특히, 당업계에 터브로 알려져 있는 터브는 내부에 세척공간을 형성하되, 전면을 통한 세척대상물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전면은 전체적으로 개방되는 상태가 되며, 전면을 제외한 상하면, 좌우면 및 후면은 대체로 막혀있는 상태가 되도록 제조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강성이 부족하게 되는 터브의 전면에 대한 보강을 위해서 터브의 전면의 상측에 어퍼프레임이 배치되고, 터브의 전면의 양측면에 사이드프레임이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어퍼프레임은 터브의 전면의 상측 모서리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사이드프레임은 터브의 전면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9-0127373호 (선행문헌 001)에는, 터브의 전면 측에 배치되는 어퍼프레임 및 사이드프레임을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식기세척기의 어퍼프레임은, 개방된 터브의 전면의 상측을 보강할 뿐 다른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구조를 갖고 있다. 즉, 도어의 잠금기능, 도어의 위치감지기능 또는 도어의 자동개방기능 등을 수행하는 기능모듈들은 일반적으로 터브의 전면 측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선행문헌 001의 어퍼프레임은 이들 기능모듈들을 수용 또는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이들 기능모듈들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용 프레임이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선행문헌 001의 어퍼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은, 이들의 상호간 결합구조를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어퍼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을 터브에 결합하는 조립공정 시에 어퍼프레임의 위치결정을 위한 수단 및 사이드프레임의 위치결정을 위한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며, 이들을 터브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각각 별개로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27373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터브의 개방된 전면의 상측을 보강하는 프런트어퍼프레임에 도어의 잠금기능, 도어의 위치감지기능 또는 도어의 자동개방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기능모듈이 배치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기능모듈을 위한 전용의 고정프레임을 생략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브의 개방된 전면의 상측을 보강하는 프런트어퍼프레임과, 터브의 개방된 측면을 보강하는 프런트사이드프레임 사이에 상호결합구조를 형성하여 상호간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구현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이들의 터브에 대한 체결수단을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전면이 개방된 세척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의 상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방된 전면을 향해 근접해서 배치되는 프런트어퍼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어퍼프레임은, 상기 터브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터브의 좌측면으로부터 우측면까지 상기 터브를 좌우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수평연장부; 상기 수평연장부의 좌측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상기 터브의 좌측면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수직연장부; 및 상기 수평연장부의 우측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상기 터브의 우측면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수직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수직연장부는 상기 수평연장부의 좌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직연장부는 상기 수직연장부의 우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연장부는, 상기 터브의 상면에 나란하게 연장되며, 전후방향으로의 폭이 좌우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작은 평판형상을 갖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방 모서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프런트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리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플레이트와 상기 리어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의 개방된 전면의 상단모서리에는, 상기 터브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향연장면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연장부의 프런트플레이트와 상기 상향연장면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좌측단부와 상기 우측단부 사이의 중간 위치에 구비되는 미드플레이트; 상기 미드플레이트와 상기 좌측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레프트사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미드플레이트와 상기 우측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라이트사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미드플레이트는 전후방향으로의 폭이 제1 폭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레프트사이드플레이트와 상기 라이트사이드플레이트는 전후방향으로의 폭이 제2 폭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2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드플레이트와 상기 레프트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미드플레이트와 상기 레프트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레프트커넥팅플레이트; 상기 미드플레이트와 상기 라이트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미드플레이트와 상기 라이트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라이트커넥팅플레이트; 상기 레프트커넥팅플레이트와 상기 라이트커넥팅플레이트는 상기 제1 폭으로부터 제2 폭으로 전후방향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전방 모서리에는 상기 프런트플레이트가 형성되지 않고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전방노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후방 모서리에는 상기 리어플레이트가 형성되지 않고 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후방노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노치부의 좌우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전방노치부의 좌우방향으로의 폭보다 더 크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잠금기능, 상기 도어의 위치감지기능 또는 상기 도어의 자동개방기능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모듈은 상기 미드플레이트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모듈은, 상기 잠금기능 또는 상기 위치감지기능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구현하는 제1 기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모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방노치부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모듈은, 상기 자동개방기능을 구현하는 제2 기능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능모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후방노치부를 통해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능모듈은, 상기 제2 기능모듈을 상기 프런트어퍼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해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리어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후크가 삽입되는 걸림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직연장부와 상기 제2 수직연장부는 각각 상기 수평연장부의 베이스플레이트에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장플레이트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에는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은 전후방향으로의 폭이 상하방향으로의 폭보다 더 크게 되는 트랙 형상의 장홀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플레이트에는 상기 장홀보더 더 큰 면적을 갖는 4각 형상의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은 상기 장홀보다 더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상단 모서리는, 상기 수평연장부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를 지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까지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의 좌측면에 상기 개방된 전면을 향해 근접해서 배치되는 제1 프런트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터브의 우측면에 상기 개방된 전면을 향해 근접해서 배치되는 제2 프런트사이드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런트와 상기 제2 프런트사이드프레임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위치결정비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런트사이드프레임은, 상기 터브의 좌측면에 체결되는 평판형상의 제1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방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터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프런트플레이트 및 제1 리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런트사이드프레임은, 상기 터브의 좌측면에 체결되는 평판형상의 제2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방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터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프런트플레이트 및 제2 리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단부와 상기 제2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단부는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여 상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터브의 좌측면을 커버하는 제1 사이드케이스; 및 상기 터브의 우측면을 커버하는 제2 사이드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런트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리어플레이트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사이드케이스에 계합하여 적어도 중력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1 사이드케이스를 지지하고, 상기 제2 프런트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리어플레이트의 상단부는, 상기 제2 사이드케이스에 계합하여 적어도 중력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2 사이드케이스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터브의 개방된 전면의 상측을 보강하는 프런트어퍼프레임에 도어의 잠금기능, 도어의 위치감지기능 또는 도어의 자동개방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기능모듈이 배치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기능모듈을 위한 전용의 고정프레임을 생략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터브의 개방된 전면의 상측을 보강하는 프런트어퍼프레임과, 터브의 개방된 측면을 보강하는 프런트사이드프레임 사이에 상호결합구조를 형성하여 상호간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구현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이들의 터브에 대한 체결수단을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도어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브와 터브프레임을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4에 도시된 터프프레임 중에서 프런트어퍼프레임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은 프런트어퍼프레임에 제1 기능모듈 및 제2 기능모듈이 배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프런트어퍼프레임과 제1 프런트사이프레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은 제1 사이드케이스와 제2 사이드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B-B방향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식기세척기의 전반적 구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전반적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이 세척되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0)와,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및 배수하는 구동부(40)와, 터브(20)의 내부 세척공간(2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척 대상물이 안착되는 수납부(50)와, 수납부(50)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60)를 구비한다.
이 때, 수납부(50)에 안착되는 세척 대상물은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등의 식기, 및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이하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세척 대상물을 식기로 지칭하기로 한다.
터브(20)는, 전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위 터브로 알려져 있는 구성이다.
터브(20)의 내부에는 세척공간(21)이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터브(20)는, 고온과 수분에 강한 금속판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브(2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수납부(50), 분사부(60) 등과 같은 기능 구성들이 터브(20)의 내부에서 지지되고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다수의 브라켓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40)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1)와, 섬프(41)를 터브(20)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와, 외부로부터 섬프(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43)와, 섬프(4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와, 섬프(41)의 세척수를 분사부(60)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45) 및 공급유로(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섬프 커버(42)는 섬프(41)의 상측에 배치되며, 터브(20)와 섬프(41)를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부(60)를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섬프(41)로 회수하기 위한 복수의 회수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부(60)에서 식기를 향해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섬프(41)로 회수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섬프(41)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세척수를 가압하여 분사부(6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급수펌프(45)의 일단은 섬프(4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45)의 내부에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섬프(41)의 세척수가 가압된 후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부(6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공급유로(46)는 급수펌프(45)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부(6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공급유로(46)는 하부 분사암(61)에 연결되는 제1 공급유로(461), 상부 분사암(62) 및 탑 노즐(63)에 연결되는 제2 공급유로(463)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유로(46)에는 공급유로들(461, 46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4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분사부(60)는 수납부(50)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는, 분사부(60)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 랙(51)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암(61)과,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 랙(51)과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암(6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탑 랙(53) 또는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 노즐(63)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부 분사암(61)과 상부 분사암(62)은 터브(20)의 세척공간(21)에 구비되어 수납부(50)의 식기를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1)은 하부 랙(51)의 하부에서 하부 랙(51)을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섬프 커버(42)의 상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부 분사암(62)은 분사암 홀더(467)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터브(20)의 하면(25)에는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하부 분사암(61)으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방향(U-방향)으로 전환하는 반사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60)에 관한 세부 구성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구성이 적용 가능한 바, 이하에서는 분사부(60)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세척공간(21)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50)는 터브(20)의 내부에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도 2에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대형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하부 랙(51)과, 하부 랙(51)의 상측에 위치하고 중형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상부 랙(5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소형 식기 등이 수납될 수 있는 탑 랙(53)을 포함하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수납부(50)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은 각각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브(2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양측벽에는 가이드 레일(54)이 구비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가이드 레일(54)은 상부레일(541), 하부레일(542), 및 탑레일(5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 하부에는 각각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을 터브(20)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이들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용이하게 이들로부터 꺼낼 수 있다.
가이드 레일(54)은 분사부(6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단순 레일 형태의 고정 가이드 레일 또는 분사부(60)의 인출 및 수납을 안내하며 분사부(60)의 인출에 따라 인출 거리가 증가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로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는 상술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통상적으로 개방된 전면의 하부에 도어(30)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도어(30)는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도어(30)가 개방된다.
여기서, 도어(30)의 외측면에는 도어(30)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31) 및 식기세척기(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32)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32)에는 식기세척기의 현재 작동 상태 등에 관한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3)와,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입력되는 선택버튼 및 식기세척기의 전을 온-오프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전원버튼 등을 포함하는 버튼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의 내측면은 도어(30)의 폐쇄시 터브(20)의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30)의 개방시 수납부(50)의 하부 랙(51)이 지지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도어(30)가 풀-개방될 경우 도어(30)의 내측면은 하부 랙(51)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54)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의 내부로 고온 건조풍을 생성하고 공급하기 위한 건조풍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20)의 우측면 또는 좌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건조풍공급부에서 생성된 고온 건조풍이 터브의 내부로 도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풍공급홀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 및 터브프레임의 세부 구성]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터브(20) 및 터브프레임(7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식기세척기(1)의 세척공간(21)을 형성하는 터브(20)는 복수 개의 파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는 3개의 파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터브(20)가 3개의 파트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터브(20)가 3개의 파트로 구성되는 경우에, 터브(20)는 상면(24)을 형성하는 어퍼 터브(20a)와, 터브(20)의 하면(25)을 형성하는 바텀 터브(20c)와, 어퍼 터브(20a) 및 바텀 터브(20c)의 사이에 배치되며 이들에 각각 결합되는 미드 터브(20b)가 포함될 수 있다.
터브(20)의 상면(24)을 형성하는 어퍼 터브(20a)는, 소정의 내열성과 내부식성을 갖는 금속 판재,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미드 터브(20b)에 결합되는 어퍼 터브(20a)의 양측면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어퍼 터브(20a)는 터브(20)의 개방된 전면(22)의 상단 모서리를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의 개방된 전면(22)은 상대적으로 강도가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면(22)의 상단 모서리를 형성하는 어퍼 터브(20a)의 전방 모서리에는 플랜지 형상으로 연장되는 상향연장면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20)의 하면(25)을 형성하는 바텀 터브(20c)는, 어퍼 터브(20a)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내열성과 내부식성을 갖는 금속 판재,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미드 터브(20b)와 결합하는 바텀 터브(20c)의 양측면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텀 터브(20c)의 중심부에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가 장착되기 위한 섬프홀(252)이 형성될 수 있고, 측면에는 하부 랙이 지지되는 안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터브(20c)의 하부 측에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베이스가 결합될 수 있다.
어퍼 터브(20a) 및 바텀 터브(20c)와 마찬가지로, 터브의 양측면(26, 27) 및 후면(23)을 형성하는 미드 터브(20b)는 소정의 내열성과 내부식성을 갖는 금속 판재,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터브(20a)의 양측면 모서리 및 후면 모서리는 미드 터브(20b)의 상단 모서리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텀 터브(20c)의 양측면 모서리 및 후면 모서리는 미드 터브(20b)의 하단 모서리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하고 상호간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 어퍼 터브(20a)와 미드 터브(20b), 미드 터브(20b)와 바텀 터브(20c)는 서로 용접에 의해서, 예시적으로 심용접(seam welding)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심용접은 전기저항 용접의 일종으로서, 롤러모양의 전극으로 연속적 점용접을 하는 것이며, 주로 기밀과 수밀을 요하는 이음매에 이용되는 용접방식이다.
터브(20)의 형성을 위해 어퍼 터브(20a)와, 미드 터브(20b) 및 바텀 터브(20c)의 세 파트로 나뉘어지게 되지만, 심용접 방식을 이용하게 되면 용접 라인이 동일 평면상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용접작업에 소요되는 가공 시간은 다른 용접 방식에 비해서 감소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터브(2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터브프레임(70)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프레임(70)은 터브(20)의 개방된 전면(22)에 인접하여 터브(20)의 상면(24)에 부착되는 프런트어퍼프레임(71)과, 터브(20)의 개방된 전면(22)에 인접하여 터브(20)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과, 터브(20)와 베이스를 상호간 체결하는 서포트프레임과, 터브(20)의 후면(23)에 인접해서 터브(20)의 상면(24)에 부착되는 리어어퍼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어퍼프레임(71)은, 터브(20)의 상면(24)에 배치되며 터브(20)의 개방된 전면(22)의 상단 모서리 측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는 프런트어퍼프레임(71)은, 터브(20)의 좌측면(26)으로부터 우측면(27)까지 터브(20)를 좌우방향(Le-Ri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수평연장부(711)와, 수평연장부(711)의 좌측 단부로부터 하측방향(D-방향)으로 터브(20)의 좌측면(26)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수직연장부(712)와, 수평연장부(711)의 우측 단부로부터 하측방향(D-방향)으로 터브(20)의 우측면(27)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수직연장부(7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직연장부(712)와 제2 수직연장부(713)는 수평연장부(7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수직연장부(712)와 제2 수직연장부(713)는 소정의 강도와 두께를 갖는 금속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수평연장부(7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수직연장부(712)와 제2 수직연장부(713)는 각각 수평연장부(711)의 좌측 단부 부위와 우측 단부 부위를 하측방향(D-방향)으로 절곡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연장부(711)는, 터브(20)의 개방된 전면(22)의 상단 모서리 측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수평연장부(711)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 빔(beam)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연장부(711)는 터브(20)의 상면(24)에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ㄷ자 형상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711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7111)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의 우측면(27)으로부터 좌측면(26)까지 터브(20)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평탄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베이스플레이트(7111)에는 자체 강도보강을 위한 비드포밍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빔 형태를 구현하기 위해서 베이스플레이트(7111)는 전후방향(F-R방향)으로의 폭이 좌우방향(Le-Ri방향)의 길이보다 훨씬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터브(20)의 강도보강을 위해, 베이스플레이트(7111)는 터브(20)의 상면(24)에 개방된 전면(22)의 상단 모서리에 최대한 근접해서 배치되며, 상단 모서리에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견고하게 터브(20)에 고정될 수 있다. 후술하는 가조립 상태와 구별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7111)를 터브(20)에 직접 고정시키는 것을 본조립으로 칭하기로 한다.
베이스플레이트(7111)가 터브(20)의 개방된 전면(22)의 상단 모서리에 최대한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수평연장부(711)의 전방면을 구성하는 프런트플레이트(7112)는 전술한 터브(20)의 상향연장면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직선형태로 좌우방향(Le-Ri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향연장면에 대응하여 베이스플레이트(7111)의 전방 모서리는 좌우방향(Le-Ri방향)으로 따라 직선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7111)의 전후방향(F-R방향)으로의 폭은 좌우방향(Le-Ri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가변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베이스플레이트(7111)의 중간 영역은, 좌측 및 우측 영역에 비해서 전후방향(F-R방향)으로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 영역에 구비되며 전후방향(F-R방향)으로의 폭(W12)이 가장 크게 형성되는 부분은 미드플레이트(7111a)로 지칭될 수 있다.
미드플레이트(7111a)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기능모듈(M1) 및 제2 기능모듈(M2)이 배치되고 고정된다. 따라서 미드플레이트(7111a)의 전후방향(F-R방향)으로의 폭(W12) 및 좌우방향(Le-Ri방향)으로의 폭(W11)은 제1 기능모듈(M1) 및 제2 기능모듈(M2)의 사이즈 및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미드플레이트(7111a)가 좌우방향(Le-Ri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전후방향(F-R방향)으로의 폭(W12)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직사각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1 기능모듈(M1)과 제2 기능모듈(M2)의 형상 및 배치관계에 따라 미드플레이트(7111a)의 외형은 변형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7111)의 좌측 단부 측 및 우측 단부 측에는, 전후방향(F-R방향)으로의 폭이 미드플레이트(7111a)의 전후방향(F-R방향)으로의 폭(W12)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레프트사이드플레이트(7111b)와 라이트사이드플레이트(7111c)가 구비될 수 있다.
미드플레이트(7111a)와 유사하게, 레프트사이드플레이트(7111b)와 라이트사이드플레이트(7111c)의 전후방향(F-R방향)으로의 폭은 좌우방향(Le-Ri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미드플레이트(7111a)와 레프트사이드플레이트(7111b)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레프트커넥팅플레이트(7111d)가 구비될 수 있고, 미드플레이트(7111a)와 라이트사이드플레이트(7111c)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라이트커넥팅플레이트(7111e)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프트커넥팅플레이트(7111d)와 라이트커넥팅플레이트(7111e)는, 미드플레이트(7111a)를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전후방향(F-R방향)으로의 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한편, 수평연장부(711)는 베이스플레이트(7111)의 전방 모서리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프런트플레이트(7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플레이트(7112)는 베이스플레이트(71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ㄷ자 형상의 전방면을 구성할 수 있다.
프런트플레이트(7112)는 베이스플레이트(7111)의 전방 모서리를 따라 좌우방향(Le-Ri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측방향(U-방향)으로 돌출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연장부(711)의 전방면을 구성하는 프런트플레이트(7112)는 터브(20)의 상향연장면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배치되며, 수평연장부(711)의 전후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기준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미드플레이트(7111a)의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플레이트(7112)가 형성되지 않고, 전방을 향해 개방되는 구간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런트플레이트(7112)가 형성되지 않는 구간은 전방노치부(7112a)로서 지칭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방노치부(7112a)를 통해서 제1 기능모듈(M1)의 전방 단부 측이 전방을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전방노치부(7112a)의 좌우방향(Le-Ri방향)으로의 폭(Wn1)은 제1 기능모듈(M1)의 전방 단부의 좌우방향(Le-Ri방향)의 폭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노치부(7112a)의 좌우방향(Le-Ri방향)으로의 폭(Wn1)은 제1 기능모듈(M1)이 전후방향(F-R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치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수평연장부(711)는 베이스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리어플레이트(7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7113)는 베이스플레이트(71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ㄷ자 형상의 후방면을 구성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7113)는 베이스플레이트(7111)의 후방 모서리를 따라 좌우방향(Le-Ri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측방향(U-방향)으로 돌출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리어플레이트(7113)의 돌출높이는 프런트플레이트(7112)의 돌출높이와 동일한 수준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미드플레이트(7111a)의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플레이트(7113)가 형성되지 않고, 후방을 향해 개방되는 구간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어플레이트(7113)가 형성되지 않는 구간은 후방노치부(7113a)로서 지칭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방노치부(7113a)를 통해서 제2 기능모듈(M2)의 후방 단부 측이 후방을 향해 노출 및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후방노치부(7113a)의 좌우방향(Le-Ri방향)으로의 폭(Wn2)은 제2 기능모듈(M2)의 후방 단부의 좌우방향(Le-Ri방향)의 폭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방노치부(7113a)의 좌우방향(Le-Ri방향)으로의 폭(Wn2)은 제2 기능모듈(M2)의 후방 단부가 전후방향(F-R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치수로 결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능모듈(M2)의 후방 단부 측의 좌우방향 폭이 제1 기능모듈(M1)의 전방 단부 측의 좌우방향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후방노치부(7113a)의 좌우방향(Le-Ri방향)으로의 폭(Wn2)이 전방노치부(7112a)의 좌우방향(Le-Ri방향)으로의 폭(Wn1)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후방노치부(7113a)를 사이에 두고 리어플레이트(7113)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홈은 후술하는 제2 기능모듈(M2)의 걸림후크(M22)가 삽입되며, 걸림후크(M22)를 고정시키는 고정홀로서 기능하게 된다. 걸림홈에 관한 구성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수평연장부(711)의 베이스플레이트(7111)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는 제1 수직연장부(712)와 제2 수직연장부(713)는 직접적으로 터브(20)에 접촉되거나 고정되지는 않고, 후술하는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에 대한 연결 기능 및 프런트어퍼프레임(71)의 가조립 상태 설정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연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직연장부(712)의 제1 연장플레이트(7121)에는, 전후방향(F-R방향)으로의 폭이 상하방향(U-D방향)으로의 폭보다 더 크게 되는 가이드홀(712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이드홀(7125)은 트랙 형상의 장홀이 될 수 있다.
제1 연장플레이트(7121)의 가이드홀(7125)에는 후술하는 제1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1)의 제1 베이스플레이트(7211)에 구비되는 위치결정비드(7211b)가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위치결정비드(7211b)는 가이드홀(7125)의 상하방향(U-D방향)으로의 폭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형비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1)과 프런트어퍼프레임(71)의 결합 시에 제1 수직연장부(712)의 상하방향(U-D방향) 위치가 가이드홀(7125) 및 위치결정비드(7211b)에 의해서 안내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수직연장부(712)의 제1 연장플레이트(7121)에는, 가이드홀(7125)보다 더 큰 면적을 갖는 삽입홀(712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어퍼프레임(71)이 터브(20)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삽입홀(7124)은 가이드홀(7125)보다 더 상측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예시적으로 삽입홀(7124)은 대략 4각 형상의 관통홀이 될 수 있다.
4각 형상의 관통홀의 하단 모서리는 가이드홀(7125)에 근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홀(7125)에 나란하게 전후방향(F-R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관통홀의 상단 모서리는 수평연장부(711)의 베이스플레이트(7111)의 좌측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관통홀의 전방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는 각각 제1 수직연장부(712)의 프런트플레이트(7112) 및 리어플레이트(7113)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되며, 프런트플레이트(7112)와 리어플레이트(7113)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의 전방 모서리와 후방 모서리 사이의 간격 또는 폭은 제1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1)의 제1 베이스플레이트(7211)의 상단부(7211a)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 베이스플레이트(7211)의 상단부(7211a)의 전후방향 폭보다 크거나 같게 되는 치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평연장부(711)의 베이스플레이트(7111)의 우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수직연장부(713)는, 전술한 미드플레이트(7111a)를 중심으로 제1 수직연장부(712)와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직연장부(713)에는 제1 수직연장부(712)와 대칭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을 갖는 삽입홀(7134) 및 가이드홀(7135)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형상을 갖는 프런트플레이트(7132)와 리어플레이트(7133)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연장플레이트(7131), 프런트플레이트(7132) 및 리어플레이트(7133)에 대한 세부 형상도 동일하게 제1 수직연장부(712)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제1 수직연장부(712)와 달리 제2 수직연장부(713)는 제2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2)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 수직연장부(713)에 구비되는 가이드홀(7135)에는 제2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2)의 위치결정비드가 삽입될 수 있고, 제2 수직연장부(713)에 구비되는 삽입홀(7134)에는 제2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2)의 제2 베이스플레이트(7221)의 상단부(7221a)가 통과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직연장부(712)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런트어퍼프레임(71)의 수평연장부(711)는, 터브(20)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 이외에 제1 기능모듈 및 제2 기능모듈(M2)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더불어 수행할 수 있다.
제1 기능모듈(M1)과 제2 기능모듈(M2)은 도어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도어에 관련된 기능은 도어의 잠금기능, 도어의 위치감지기능, 도어의 자동개방기능 및 기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기능모듈(M1)은 도어의 잠금기능과 도어의 위치감지기능을 수행하는 복합모듈이 될 수 있다. 이 때, 제2 기능모듈(M2)은 도어의 자동개방기능 및 기타 기능을 구현하는 복합모듈이 될 수 있다.
이들 도어의 잠금기능, 도어의 위치감지기능, 도어의 자동개방기능 등을 구현하기 위한 세부 구성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구성이 적용 가능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 기능모듈(M1)은 도어의 잠금기능과 도어의 위치감지기능을 수행하고, 제2 기능모듈(M2)이 도어의 자동개방기능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기능모듈(M1)과 제2 기능모듈(M2)은 모두 프런트어퍼프레임(71)의 수평연장부(711)에 배치되고, 보다 상세히는 수평연장부(711)의 미드플레이트(7111a)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될 수 있다.
제2 기능모듈(M2)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더 작고, 도어의 후면 상단의 중앙 측에 더 근접해서 배치될 필요가 있는 제1 기능모듈(M1)은 좌우방향(Le-Ri방향)을 기준으로 미드플레이트(7111a)의 중앙 측에 배치된다.
이 때, 도어의 위치감지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기능모듈(M1)의 전방 단부는 도어에 최대한 근접해서 배치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위치감지수단이 구비되는 제1 기능모듈(M1)의 전방 단부는 전방노치부(7112a)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기능모듈(M1)의 후방 단부는 미드플레이트(7111a)의 후방 모서리를 지나 후방노치부(7113a)를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2 기능모듈(M2)은 제1 기능모듈(M1)과는 별개로 제조되어 미드플레이트(7111a)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기능모듈(M1)을 회피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기능모듈(M2)은 중앙 측 부분이 제1 기능모듈(M1)을 회피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휘어진 회피부(M21)와, 회피부(M2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능모듈(M2)이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1 기능모듈(M1)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회피부(M21)는 후방노치부(7113a)를 통해 대부분 미드플레이트(7111a)를 벗어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좌측 및 우측의 연장부는 각각 전체적으로 미드플레이트(7111a), 프런트플레이트(7112) 및 리어플레이트(7113)에 의해서 형성되는 ㄷ자 형상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다. 즉, 실질적으로 제2 기능모듈(M2)은 좌측 및 우측의 연장부가 프런트어퍼프레임(71)의 수평연장부(711)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드플레이트(7111a)의 좌우방향 폭(W11)은 제2 기능모듈(M2) 전체의 좌우방향 폭보다는 더 크거나 적어도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드플레이트(7111a)의 전후방향 폭(W12)는 제2 기능모듈(M2)의 연장부의 전후방향 폭보다는 더 크거나 적어도 같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기능모듈(M2)을 프런트어퍼프레임(71)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걸림후크(M22)가 제2 기능모듈(M2)의 연장부에 구비될 수 있다.
걸림후크(M22)는,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의 후면으로부터 각각 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걸림후크(M22)는, 전술한 수평연장부(711)의 한 쌍의 걸림홀(7113b)에 삽입되면서 제2 기능모듈(M2)의 연장부의 후방 측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삽입 과정에서 걸림홀(7113b)에 대한 삽입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후크(M22)의 선단부 측의 단면은 좁게 형성되고, 후단부 측으로 진행하면서 단면이 점차 확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걸림후크(M22)의 상단면은 평단면으로 구성되고 하단면은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과정에서 제2 기능모듈(M2)의 연장부의 후면을 전면보다 더 아래로 향하게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걸림후크(M22)를 걸림홀(7113b)에 진입시키고, 연장부의 전면을 걸림후크(M22)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걸림홀(7113b)에 걸림후크(M22)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후크(M22)가 걸림홀(7113b)에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체결볼트를 통해 연장부의 하면을 미드플레이트(7111a)와 체결시키게 되면, 제2 기능모듈(M2)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체결볼트는 연장부의 전면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연장부의 후면은 걸림후크(M22)를 통해 고정되기 때문에 연장부에 대한 상하방향 이탈방지 기능이 전후방향(F-R방향)으로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좌측 연장부와 우측 연장부에 대해서 각각 1개의 모듈체결볼트만이 요구되기 때문에 제2 기능모듈(M2)의 고정을 위한 체결볼드의 수량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체결볼트는 터브(20)의 상면(24)을 관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듈체결볼트는 통해서 프런트어퍼프레임(71)을 터브(2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터브(20)의 개방된 전면(22)에 인접하여 터브(20)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은, 터브(20)의 좌측면(26)에 배치되는 제1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1)과, 터브(20)의 우측면(27)에 배치되는 제2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1)은 터브(20)의 좌측면(26)에 배치되며 터브(20)의 개방된 전면(22)의 좌측 모서리 측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제2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2)은 터브(20)의 우측면(27)에 배치되며 터브(20)의 개방된 전면(22)의 우측 모서리 측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1)과 제2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2)은, 프런트어퍼프레임(71)과 유사하게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 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1)과 제2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2)은 각각 터브(20)의 좌측면(26)과 우측면(27)에 부착되며 터브(20)의 개방된 전면(22)을 보강하는 기능 이외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부재들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구체적인 형상에 있어서는 피부착 부재들의 종류 및 위치에 따라서 서로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프런트어퍼프레임(71)의 제1 수직연장부(712)와 제2 수직연장부(713)가 각각 결합되는 제1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1)의 상단부(7211a)와 제2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2)의 상단부(7221a)의 형상은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1)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1)은 터브(20)의 좌측면(26)에 체결되는 평판형상의 제1 베이스플레이트(7211)와, 제1 베이스플레이트(7211)의 전방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고 터브(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프런트플레이트(7212) 및 제1 리어플레이트(7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플레이트(7211)는 ㄷ자 형상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터브(20)의 좌측면(26)에 직접 부착되고 고정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다만, 전술한 제1 수직연장부(712)에 결합되는 제1 베이스플레이트(7211)의 상단부(7211a) 측은 터브(20)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플레이트(7211)의 상단부(7211a)에 인접한 위치에는, 제1 수직연장부(712)의 가이드홀(7125)이 삽입되는 위치결정비드(7211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플레이트(7211)의 상단부(7211a)는, 제1 수직연장부(712)의 삽입홀(7124)을 통과 가능할 정도로 전후방향 폭을 갖는 돌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돌기 형태의 제1 베이스플레이트(7211)의 상단부(7211a)는, 제1 프런트플레이트(7212)와 제1 리어플레이트(7213) 사이의 폭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프런트플레이트(7212)와 제1 리어플레이트(7213)는 제1 베이스플레이트(7211)에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 ㄷ자 형상의 전방면 및 후방면을 형성한다.
이 때, 제1 프런트플레이트(7212)의 상단부(7212a)와 제1 리어플레이트(7213)의 상단부(7213a) 사이의 폭은, 제1 수직연장부(712)의 프런트플레이트(7122)와 리어플레이트(7123) 사이의 폭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프런트사이드플레이트의 상단부(7212a)와 제1 리어플레이트(7213)의 상단부(7213a) 사이의 폭을 규정함으로써 제1 수직연장부(712)의 결합 시에 제1 수직연장부(712)의 상하방향(U-D방향) 이동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어퍼프레임(71)은, 제1 프런트사이드플레이트 및 제2 프런트사이드플레이트가 먼저 터브(20)에 조립된 상태에서 터브(20)에 조립될 수 있다.
제1 프런트사이드플레이트 및 제2 프런트사이드플레이트가 터브(20)에 조립 및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수직연장부(712)의 하단부는 제1 프런트사이드플레이트의 제1 프런트플레이트(7212)와 제1 리어플레이트(7213) 사이로 삽입되고, 제2 수직연장부(713)의 하단부는 제2 프런트사이드플레이트의 제2 프런트플레이트(7222)와 제2 리어플레이트(7223)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수직연장부(712)의 하단부와 제2 수직연장부(713)의 하단부의 삽입과정에 프런트어퍼프레임(71)은 전체적으로 하측방향(D-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제1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1)과 제2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2)에 의해서 안내될 수 있다.
프런트어퍼프레임(71)의 수평 이동이 개시되면, 다음으로 제1 베이스플레이트(7211)의 상단부(7211a)와 제2 베이스플레이트(7221)의 상단부(7221a)가 각각 삽입홀(7124, 7134)을 통과하게 된다.
제1 베이스플레이트(7211)의 상단부(7211a)와 제2 베이스플레이트(7221)의 상단부(7221a)가 삽입홀(7124, 7134)을 통과한 이후에는 추가적으로 프런트어퍼프레임(71)이 하측방향(D-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되면 가이드홀(7125, 7135)에 위치결정비드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통해서 가이드홀(7125, 7135)과 위치결정비드 사이의 결합까지 진행되면, 프런트어퍼프레임(71)의 상하방향(U-D방향) 위치가 정확히 설정될 수 있으며 프런트어퍼프레임(71)의 가조립 상태가 완료될 수 있다.
가조립 상태가 완료되면, 프런트어퍼프레임(71)의 전후방향(F-R방향) 위치설정이 진행될 수 있고, 전후방향(F-R방향) 위치설정이 완료되면 프런트어퍼프레임(71)과 터브(20) 사이에 본 조립이 진행될 수 있다. 본 조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 등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은, 식기세척기(1)의 외면을 형성하는 케이스(10)를 지지하는 기능을 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은 터브(20)의 양측면을 각각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제1 사이드케이스(11)와 제2 사이드케이스(12)를 중력방향에 대해서 지지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이드케이스(11)는 터브(20)의 좌측면(26)을 커버하는 것으로, 제2 사이드케이스(12)는 터브(20)의 우측면(27)을 커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이드케이스에 대한 지지구조에 관해서, 제2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2)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제1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1)에 대해서 중복되는 내용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2 프런트사이드프레임(722)의 제2 프런트플레이트(7222)의 상단부(7222a) 및 제2 리어플레이트(7223)의 상단부(7223a)는, 제2 사이드케이스(12)에 직접 접촉하여 제2 사이드케이스(12)를 중력방향에 대해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런트플레이트(7222)의 상단부(7222a)는 좌우방향(Le-Ri방향)으로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단면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2 리어플레이트(7223)의 상단부(7223a)는 좌우방향(Le-Ri방향)으로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단면을 구비한다.
즉, 제2 프런트플레이트(7222)의 상단면과 제2 리어플레이트(7223)의 상단면은 서로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이 때, 제2 프런트플레이트(7222)의 상단면과 제2 리어플레이트(7223)의 상단면은 상하방향(U-D방향)으로 높이가 서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사이드케이스(12)의 상단 모서리에는, 제2 프런트플레이트(7222)의 상단면과 제2 리어플레이트(7223)의 상단면에 계합하는 상단걸림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걸림부(121)는 제2 사이드케이스(12)의 상단 모서리로부터 터브(20)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걸림부(1211)와, 수평걸림부(1211) 중 적어도 일부를 하측방향(D-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수직걸림부(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런트플레이트(7222)의 상단면과 제2 리어플레이트(7223)의 상단면은, 수평걸림부(1211)의 하측면에 직접 접촉하게 되며, 이를 통해 제2 사이드케이스(12)를 중력방향으로 지지하는 2점 지지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프런트플레이트(7222)의 상단면과 제2 리어플레이트(7223)의 상단면은 함께 제2 사이드케이스(12)를 지지하는 제2 사이드케이스지지부(7224)를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 프런트플레이트(7212)의 상단면과 제1 리어플레이트(7213)의 상단면은 함께 제1 사이드케이스(11)를 지지하는 제1 사이드케이스지지부(7214)로 구별하여 칭할 수 있다.)
상단걸림부(121)의 수직걸림부(1212)는, 제2 사이드케이스(12)가 제2 프런트플레이트(7222) 및 제2 리어플레이트(7223)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다시 말하면 터브(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런트플레이트(7222)의 상단부(7222a) 및 제2 리어플레이트(7223)의 상단부(7223a)는 제2 베이스플레이트(7221)로부터 분리 또는 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2 프런트플레이트(7222)의 상단부(7222a)의 좌측 모서리는 프런트어퍼프레임(71)의 수평연장부(711)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리어플레이트(7223)의 상단부(7223a)의 좌측 모서리는 프런트어퍼프레임(71)의 수평연장부(711)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들 이격 공간은 서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단걸림부(121)의 수직걸림부(1212)는 이들 이격 공간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단걸림부(121)의 수직걸림부(1212)가 이격 공간의 내부로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2 사이드케이스(12)는 좌측방향(Le-방향)으로의 이동은 제2 프런트플레이트(7222)의 상단부(7222a)의 우측 모서리 및 제2 리어플레이트(7223)의 상단부(7223a)의 우측 모서리에 의해서 차단되고, 제2 사이드케이스(12)는 우측방향(Ri-방향)으로의 이동은 제2 프런트플레이트(7222)의 상단부(7222a)의 좌측 모서리 및 제2 리어플레이트(7223)의 상단부(7223a)의 좌측 모서리에 의해서 차단되는 상태가 된다.
즉, 제2 프런트플레이트(7222)의 상단부(7222a) 및 제2 리어플레이트(7223)의 상단부(7223a)는 제2 사이드케이스(12)의 좌우방향(Le-Ri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하게 된다.
한편, 제2 프런트플레이트(7222)의 상단부(7222a)의 좌측 모서리 및 제2 리어플레이트(7223)의 상단부(7223a)의 좌측 모서리는, 상단걸림부(121)의 수직걸림부(1212)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경사면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경사면은 하측방향(D-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터브(20)를 향해 근접하게 되는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기세척기 10: 케이스
20: 터브 30: 도어
40: 구동부 50: 수납부
60: 분사부 70: 터브프레임
90: 베이스

Claims (20)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전면이 개방된 세척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상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방된 전면을 향해 근접해서 배치되는 프런트어퍼프레임;
    상기 터브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잠금기능, 상기 도어의 위치감지기능 또는 상기 도어의 자동개방기능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어퍼프레임은,
    상기 터브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터브의 좌측면으로부터 우측면까지 상기 터브를 좌우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수평연장부;
    상기 수평연장부의 좌측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상기 터브의 좌측면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수직연장부; 및
    상기 수평연장부의 우측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상기 터브의 우측면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수직연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모듈은 상기 수평연장부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2. 제1 항에서,
    상기 제1 수직연장부는 상기 수평연장부의 좌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직연장부는 상기 수직연장부의 우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3. 제1 항에서,
    상기 수평연장부는,
    상기 터브의 상면에 나란하게 연장되며, 전후방향으로의 폭이 좌우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작은 평판형상을 갖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방 모서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프런트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리어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플레이트와 상기 리어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4. 제3 항에서,
    상기 터브의 개방된 전면의 상단 모서리에는, 상기 터브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향연장면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연장부의 프런트플레이트와 상기 상향연장면은 서로 밀착되는 식기세척기.
  5. 제4 항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좌측단부와 상기 우측단부 사이의 중간 위치에 구비되는 미드플레이트;
    상기 미드플레이트와 상기 좌측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레프트사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미드플레이트와 상기 우측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라이트사이드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미드플레이트는 전후방향으로의 폭이 제1 폭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레프트사이드플레이트와 상기 라이트사이드플레이트는 전후방향으로의 폭이 제2 폭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식기세척기.
  6. 제5 항에서,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2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7. 제5 항에서,
    상기 미드플레이트와 상기 레프트사이드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미드플레이트와 상기 레프트사이드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레프트커넥팅플레이트;
    상기 미드플레이트와 상기 라이트사이드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미드플레이트와 상기 라이트사이드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라이트커넥팅플레이트;
    상기 레프트커넥팅플레이트와 상기 라이트커넥팅플레이트는, 상기 미드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전후방향으로의 폭이 상기 제1 폭으로부터 제2 폭으로 전후방향 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식기세척기.
  8. 제6 항에서,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전방 모서리에는 상기 프런트플레이트가 형성되지 않고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전방노치부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9. 제8 항에서,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후방 모서리에는 상기 리어플레이트가 형성되지 않고 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후방노치부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0. 제9 항에서,
    상기 후방노치부의 좌우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전방노치부의 좌우방향으로의 폭보다 더 크게 되는 식기세척기.
  11. 제10 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모듈은 상기 미드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2. 제11 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모듈은, 상기 잠금기능 또는 상기 위치감지기능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구현하는 제1 기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모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방노치부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는 식기세척기.
  13. 제12 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모듈은, 상기 자동개방기능을 구현하는 제2 기능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능모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후방노치부를 통해 후방으로 노출되는 식기세척기.
  14. 제13 항에서,
    상기 제2 기능모듈은, 상기 제2 기능모듈을 상기 프런트어퍼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해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리어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후크가 삽입되는 걸림홀이 관통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5. 제3 항에서,
    상기 제1 수직연장부와 상기 제2 수직연장부는 각각 상기 수평연장부의 베이스플레이트에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장플레이트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에는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6. 제15 항에서,
    상기 가이드홀은 전후방향으로의 폭이 상하방향으로의 폭보다 더 크게 되는 트랙 형상의 장홀이 되는 식기세척기.
  17. 제16 항에서,
    상기 연장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홀보더 더 큰 면적을 갖는 4각 형상의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은 상기 가이드홀보다 더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상단 모서리는, 상기 수평연장부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를 지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까지 확장되는 식기세척기.
  18. 제17 항에서,
    상기 터브의 좌측면에 상기 개방된 전면을 향해 근접해서 배치되는 제1 프런트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터브의 우측면에 상기 개방된 전면을 향해 근접해서 배치되는 제2 프런트사이드프레임;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런트와 상기 제2 프런트사이드프레임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위치결정비드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9. 제18 항에서,
    상기 제1 프런트사이드프레임은,
    상기 터브의 좌측면에 체결되는 평판형상의 제1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방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터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프런트플레이트 및 제1 리어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런트사이드프레임은,
    상기 터브의 좌측면에 체결되는 평판형상의 제2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방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터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프런트플레이트 및 제2 리어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단부와 상기 제2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단부는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여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식기세척기.
  20. 제19 항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터브의 좌측면을 커버하는 제1 사이드케이스; 및
    상기 터브의 우측면을 커버하는 제2 사이드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런트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리어플레이트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사이드케이스에 계합하여 적어도 중력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1 사이드케이스를 지지하고,
    상기 제2 프런트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리어플레이트의 상단부는, 상기 제2 사이드케이스에 계합하여 적어도 중력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2 사이드케이스를 지지하는 식기세척기.
KR1020210110409A 2021-08-20 2021-08-20 식기세척기 KR102466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409A KR102466442B1 (ko) 2021-08-20 2021-08-20 식기세척기
EP22191055.7A EP4140387A1 (en) 2021-08-20 2022-08-18 Dish washer
US17/891,710 US20230068193A1 (en) 2021-08-20 2022-08-19 Dish washer
KR1020220143445A KR102633902B1 (ko) 2021-08-20 2022-11-01 식기세척기
KR1020240012905A KR20240017878A (ko) 2021-08-20 2024-01-29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409A KR102466442B1 (ko) 2021-08-20 2021-08-20 식기세척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445A Division KR102633902B1 (ko) 2021-08-20 2022-11-01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442B1 true KR102466442B1 (ko) 2022-11-11

Family

ID=8300489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409A KR102466442B1 (ko) 2021-08-20 2021-08-20 식기세척기
KR1020220143445A KR102633902B1 (ko) 2021-08-20 2022-11-01 식기세척기
KR1020240012905A KR20240017878A (ko) 2021-08-20 2024-01-29 식기세척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445A KR102633902B1 (ko) 2021-08-20 2022-11-01 식기세척기
KR1020240012905A KR20240017878A (ko) 2021-08-20 2024-01-29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68193A1 (ko)
EP (1) EP4140387A1 (ko)
KR (3) KR1024664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28165A1 (en) * 2012-07-24 2014-01-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Dishwasher, in particular domestic dishwasher
KR20190127373A (ko) 2018-05-04 2019-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0436A (en) * 1996-07-31 1999-01-19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Offset leg
DE19736807C1 (de) * 1997-08-23 1998-12-03 Whirlpool Co Geschirrspülmaschine mit aus horizontalen und vertikalen Rahmenschenkeln zusammengesetzter Tragkonstruktion
US6666531B2 (en) * 2001-11-26 2003-12-23 Maytag Corporation Single piece tub frame and support
EP2451334B1 (en) * 2009-07-07 2013-06-05 Arç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with automatically opening door
PL2515739T3 (pl) * 2009-12-23 2014-03-31 Arcelik As Zmywarka do naczyń mająca pojedynczy przycisk
US9155443B2 (en) * 2011-09-21 2015-10-13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multi-piece tub
KR20140028165A (ko) * 2011-10-21 2014-03-10 주식회사 소셜로그 통신망 상에서 상품 정보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357899B2 (en) * 2012-10-23 2016-06-07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support structures
DE102015216228A1 (de) * 2015-08-25 2017-03-02 BSH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insbesondere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KR102491589B1 (ko) * 2017-08-31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가전제품
CN107348927B (zh) * 2017-09-20 2023-05-12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及其内胆与底座的插装结构
CN107970013A (zh) * 2017-12-29 2018-05-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系列洗碗机的加强框结构的制造方法及加强框结构
CN112515601B (zh) * 2020-11-10 2022-04-01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洗碗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28165A1 (en) * 2012-07-24 2014-01-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Dishwasher, in particular domestic dishwasher
KR20190127373A (ko) 2018-05-04 2019-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902B1 (ko) 2024-02-05
KR20240017878A (ko) 2024-02-08
EP4140387A1 (en) 2023-03-01
KR20230028193A (ko) 2023-02-28
US20230068193A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6634B1 (en) Dishwasher
US9226643B2 (en) Silverware basket for a dishwasher appliance
US20140000663A1 (en) Dishwasher appliance with rack assembly projections
KR102466442B1 (ko) 식기세척기
KR102486273B1 (ko) 식기세척기
CN113677249A (zh) 洗碗机
JP2008119204A (ja) 食器洗浄機
KR102627641B1 (ko) 식기세척기
RU275719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CN111050624A (zh) 洗碗机
US20220142451A1 (en) Dishwasher
EP3597095B1 (en) Dishwasher
JP3249462B2 (ja) 食器洗い機
US8613289B2 (en) Dishwasher with a reinforcement member
AU2020224973A1 (en) Dishwasher
US11330961B1 (en) Dishwasher appliance with stemware holder assembly
KR20230109422A (ko) 식기세척기
KR102334623B1 (ko) 식기 세척기
US11412915B2 (en) Dish washer with loading frame
US20240065522A1 (en) Ware rack for supporting wares and related warewash machine and methods
JP4746957B2 (ja) 食器洗浄機
KR20240076959A (ko) 식기세척기
US7426934B2 (en) Angular support element for a dish-washing machine
KR101069999B1 (ko) 식기 세척기의 탑랙 구조
KR100194152B1 (ko) 식기세척기용 식기바스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