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478A - 추출 장치 및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추출 장치 및 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478A
KR20200056478A KR1020207013812A KR20207013812A KR20200056478A KR 20200056478 A KR20200056478 A KR 20200056478A KR 1020207013812 A KR1020207013812 A KR 1020207013812A KR 20207013812 A KR20207013812 A KR 20207013812A KR 20200056478 A KR20200056478 A KR 20200056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container
unit
opening
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2969B1 (ko
Inventor
가이슌 기하라
가이? 기하라
다이스케 도리즈
노부히로 노아케
가즈히로 아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트리 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트리 필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트리 필드
Publication of KR20200056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2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ai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23F5/262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the extraction liquid flows through a stationary bed of solid substances, e.g. in percolation colum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2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llowing a specific operational sequence, e.g. for improving the taste of the extraction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6Inverting 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water is boiled in the lower part and the apparatus is subsequently inverted to pass the water through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5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heat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Abstract

추출 대상으로부터 음료액을 추출하는 추출 장치는, 개구를 갖는 네크부와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 대상과 액체가 수용되는 추출 용기와, 상기 네크부의 상기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추출 대상의 누출을 규제하는 필터와, 상기 추출 용기의 자세를, 상기 네크부가 상측인 제1 자세로부터 상기 네크부가 하측인 제2 자세로 변화시키는 구동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추출 장치 및 추출 방법{EXTRACTION APPARATUS AND EXTRACTION METHOD}
본 발명은, 음료액(예를 들어 커피액)의 추출 장치 및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피액의 추출 방법으로서, 분쇄된 콩을 온수에 침지하는 침지식(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이나 분쇄된 콩에 온수를 투과하는 투과식(예를 들어 특허문헌 2)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평05-08154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2003-024703호 공보
종래의 침지식, 투과식 모두에서 보다 맛이 깊은 음료액(예를 들어 커피액)을 추출하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맛이 깊은 음료액을 추출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추출 대상(예를 들어 볶은 커피콩의 분쇄된 콩)으로부터 음료액(예를 들어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 장치로서,
상기 추출 대상과 액체가 수용되는 추출 용기와,
상기 추출 용기의 송출부의 개폐 조작을 행하는 조작 유닛과,
상기 추출 용기의 상기 송출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추출 용기의 자세를, 상기 송출부가 상측을 향하는 제1 자세로부터 상기 송출부가 하측을 향하는 제2 자세로 변화시키는 자세 변화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자세의 상기 추출 용기의 상기 송출부로부터 상기 음료액이 송출되고,
상기 추출 용기는, 상기 제2 자세에서는 상기 제1 자세보다 상기 추출 대상의 퇴적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추출 대상(예를 들어 볶은 커피콩의 분쇄된 콩)으로부터 음료액(예를 들어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 방법으로서,
제1 자세의 추출 용기에 있어서, 이 추출 용기에 제1 태양으로 퇴적된 상기 추출 대상을 액체에 침지하는 침지 공정과,
상기 추출 용기의 자세를 제1 자세로부터 제2 자세로 변화시키는 자세 변화 공정과,
상기 제2 자세의 상기 추출 용기의 송출부로부터 상기 음료액을 송출하는 송출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자세 변화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추출 용기는, 상기 송출부가 폐쇄된 상태이며,
상기 제2 자세의 상기 추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추출 대상이 제2 태양으로 퇴적되며,
상기 제2 태양은 상기 제1 태양보다 상기 추출 대상의 퇴적 두께가 두꺼운 태양이며,
상기 송출 공정에서는, 상기 제2 태양으로 퇴적되어 있는 상기 추출 대상을 통과시킨 상기 음료액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맛이 깊은 음료액을 추출 가능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음료 제조 장치의 개요도.
도 2는 도 1의 음료 제조 장치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콩 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분쇄 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분리 장치의 일부 파단 사시도.
도 6은 형성 유닛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형성 유닛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8은 단면적의 비교 설명도.
도 9는 다른 예의 설명도.
도 10은 구동 유닛 및 추출 용기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추출 용기의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0의 추출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상부 유닛 및 하부 유닛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덮개 유닛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상하 마개 부재의 개폐 태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중부 유닛의 모식도.
도 18은 중부 유닛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중부 유닛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도 2의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제어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1은 도 2의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제어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2는 도 2의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제어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3은 추출 용기의 자세 변화에 따른 온수 및 분쇄된 콩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중부 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5는 도 2의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제어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6은 도 2의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제어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7은 콩 처리 장치(2) 및 추출 장치(3)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흡인 유닛의 단면도.
도 29는 수평 이동 기구의 부분 사시도.
도 30은 아암 부재의 부분 사시도.
도 31은 캐니스터의 분해 사시도.
도 32는 캐니스터의 통부의 단면도.
도 33은 캐니스터의 구성 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 34는 장착 상태에서의 캐니스터 주변의 수직 단면도.
도 35는 장착 상태에서의 다른 예의 캐니스터 주변의 사시도.
도 36은 장착 상태에서의 다른 예의 캐니스터 주변을 위에서 본 도면.
도 37은 장착 상태에서의 다른 예의 캐니스터 주변을 아래에서 본 도면.
도 38은 장착 상태에서의 다른 예의 캐니스터 주변의 수직 단면도.
도 39는 다른 예의 캐니스터의 구성 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 40은 다른 예의 캐니스터의 구성 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 41은 다른 예의 캐니스터의 구성 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 42는 다른 예의 캐니스터의 구성 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 43은 다른 예의 캐니스터의 구성 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 44는 다른 예의 캐니스터의 구성 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 45는 다른 예의 캐니스터의 구성 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 46은 다른 예의 캐니스터의 구성 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 47은 다른 예의 캐니스터의 구성 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 48은 집합 반송로 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9는 집합 반송로 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0은 집합 반송로 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1은 집합 반송로 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2는 집합 반송로 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3은 집합 반송로 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4는 집합 반송로 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5는 하우징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6은 도 55의 하우징의 동작 설명도.
도 57은 하우징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8은 도 57의 하우징의 동작 설명도.
도 59는 추출 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0은 도 59의 예의 추출 용기의 안내 기능의 설명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1. 음료 제조 장치의 개요>
도 1은 음료 제조 장치(1)의 개요도, 도 2는 음료 제조 장치(1)의 제어 장치(11)의 블록도이다. 음료 제조 장치(1)는, 볶은 커피콩과 액체(여기서는 물)로부터 커피 음료를 자동 제조하는 장치로서, 1회의 제조 동작에 대해 컵 1잔의 커피 음료를 제조 가능하다. 음료 제조 장치(1)는 콩 처리 장치(2), 추출 장치(3) 및 제어 장치(11)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11)는 음료 제조 장치(1)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 장치(11)는, 처리부(11a), 기억부(11b) 및 I/F(인터페이스)부(11c)를 포함한다. 처리부(11a)는 예를 들어 CPU 등의 프로세서이다. 기억부(11b)는 예를 들어 RAM이나 ROM이다. I/F부(11c)는 외부 디바이스와 처리부(11a) 사이의 신호의 입출력을 행한다.
처리부(11a)는 기억부(11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조작 유닛(12)으로부터의 지시 혹은 센서군(13)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군(14)을 제어한다. 조작 유닛(12)은 사용자의 지시 입력을 접수하는 유닛으로, 예를 들어 터치 패널, 기계식 스위치이다. 사용자는 조작 유닛(12)을 통해 커피 음료의 제조를 지시 가능하다. 센서군(13)은 음료 제조 장치(1)에 설치된 각종 센서(예를 들어 온수의 온도 센서, 기구의 동작 위치 검출 센서, 압력 센서 등)이다. 액추에이터군(14)은 음료 제조 장치(1)에 설치된 각종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모터, 전자(電磁) 밸브, 히터 등)이다.
콩 처리 장치(2)는, 볶은 커피콩으로부터 분쇄된 콩을 생성한다. 추출 장치(3)는, 콩 처리 장치(2)로부터 공급되는 분쇄된 콩으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한다. 추출 장치(3)는, 유체 공급 유닛(7), 후술하는 구동 유닛(8), 추출 용기(9) 및 절환 유닛(10)을 포함한다. 콩 처리 장치(2)로부터 공급되는 분쇄된 콩은 추출 용기(9)에 투입된다. 유체 공급 유닛(7)은, 추출 용기(9)에 온수를 투입한다. 추출 용기(9) 내에서 분쇄된 콩으로부터 커피액이 추출된다. 추출된 커피액을 포함한 온수가 절환 유닛(10)을 통해 커피 음료로서 컵(C)에 송출된다.
<2. 유체 공급 유닛 및 절환 유닛>
유체 공급 유닛(7) 및 절환 유닛(10)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유체 공급 유닛(7)에 대해 설명한다. 유체 공급 유닛(7)은, 추출 용기(9)에 온수 공급이나 추출 용기(9) 내의 기압 제어 등을 행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기압을 숫자로 예시하고 있는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절대압을 의미하며, 게이지압이란 대기압을 0기압으로 하는 기압이다. 대기압이란, 추출 용기(9)의 주위 기압 또는 음료 제조 장치의 기압을 가리키고, 예를 들어 음료 제조 장치가 해발 0m의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국제 민간 항공 기관(=「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약어] ICAO〕)이 1976년에 제정한 국제 표준 대기(=「International Standard Atmosphere」〔[약어] ISA〕)의 해발 0m에서의 기준 기압(1013.25hPa)이다.
유체 공급 유닛(7)은 배관(L1~L3)을 포함한다. 배관(L1)은 공기가 유통하는 배관이며, 배관(L2)은 물이 유통하는 배관이다. 배관(L3)은 공기와 물이 둘 다 유통 가능한 배관이다.
유체 공급 유닛(7)은, 가압원으로서 컴프레서(70)를 포함한다. 컴프레서(70)는 대기를 압축하여 송출한다. 컴프레서(70)는 예를 들어 모터(도시생략)를 구동원으로서 구동된다. 컴프레서(70)로부터 송출되는 압축 공기는, 체크 밸브(71a)를 통해 리저브 탱크(어큐뮬레이터)(71)에 공급된다. 리저브 탱크(71) 내의 기압은 압력 센서(71b)에 의해 감시되어 소정의 기압(본 실시형태에서는 7기압(게이지압으로 6기압))으로 유지되도록, 컴프레서(70)가 구동된다. 리저브 탱크(71)에는 배수용 드레인(71c)이 설치되어 있고, 공기의 압축에 의해 발생하는 물을 배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물 탱크(72)에는 커피 음료를 구성하는 온수(물)가 축적된다. 물 탱크(72)에는, 물 탱크(72) 내의 물을 가온하는 히터(72a) 및 물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72b)가 설치되어 있다. 히터(72a)는 온도 센서(72b)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축적되는 온수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본 실시형태에서는 섭씨 120도)로 유지한다. 히터(72a)는 예를 들어 온수의 온도가 섭씨 118도에서 ON이 되고, 섭씨 120도에서 OFF가 된다.
또한, 물 탱크(72)에는 수위 센서(72c)가 설치되어 있다. 수위 센서(72c)는 물 탱크(72) 내의 온수의 수위를 검출한다. 수위 센서(72c)에 의해 소정의 수위보다 수위가 내려간 것이 검출되면, 물 탱크(72)에 물이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시하지 않은 정수기를 통해 수돗물이 공급된다. 정수기로부터의 배관(L2) 도중에는 전자 밸브(72d)가 설치되어 있고, 수위 센서(72c)에 의해 수위의 저하가 검출되면 전자 밸브(72d)가 개방되어 물이 공급되고,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면 전자 밸브(72d)가 폐쇄되어 물 공급이 차단된다. 이렇게 하여 물 탱크(72) 내의 온수가 일정한 수위로 유지된다. 또, 물 탱크(72)에의 급수는 1회 커피 음료의 제조에 사용하는 온수를 배출할 때마다 행해도 된다.
또한, 물 탱크(72)에는 압력 센서(72g)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 센서(72g)는 물 탱크(72) 내의 기압을 검출한다. 물 탱크(72)에는 압력 조절 밸브(72e) 및 전자 밸브(72f)를 통해 리저브 탱크(71) 내의 기압이 공급된다. 압력 조절 밸브(72e)는 리저브 탱크(71)로부터 공급되는 기압을 소정의 기압으로 감압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3기압(게이지압으로 2기압)으로 감압한다. 전자 밸브(72f)는 압력 조절 밸브(72e)로 압력 조절된 기압의 물 탱크(72)에의 공급과 차단을 절환한다. 전자 밸브(72f)는, 물 탱크(72)에 수돗물 공급시를 제외하고 물 탱크(72) 내의 기압이 3기압으로 유지되도록 개폐 제어된다. 물 탱크(72)에 수돗물 공급시에는, 수돗물의 수압에 의해 물 탱크(72)에 원활하게 수돗물이 보급되도록, 전자 밸브(72h)에 의해 물 탱크(72) 내의 기압을 수돗물의 수압보다 낮은 압력(예를 들어 2.5기압 미만)으로 감압한다. 전자 밸브(72h)는 물 탱크(72) 내를 대기에 해방할지 여부를 절환하고, 감압시에는 물 탱크(72) 내를 대기에 해방한다. 또한, 전자 밸브(72h)는 물 탱크(72)에 수돗물 공급시 이외에 물 탱크(72) 내의 기압이 3기압을 초과하는 경우에 물 탱크(72) 내를 대기에 해방하여, 물 탱크(72) 내를 3기압으로 유지한다.
물 탱크(72) 내의 온수는, 체크 밸브(72j), 전자 밸브(72i) 및 배관(L3)을 통해 추출 용기(9)에 공급된다. 전자 밸브(72i)를 개방함으로써 추출 용기(9)에 온수가 공급되고, 폐쇄함으로써 온수의 공급이 차단된다. 추출 용기(9)에 온수의 공급량은, 전자 밸브(72i)의 개방 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공급량을 계측하여 전자 밸브(72i)의 개폐를 제어해도 된다. 배관(L3)에는 온수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73e)가 설치되어 있어, 추출 용기(9)에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가 감시된다.
또한, 리저브 탱크(71)의 기압은 압력 조절 밸브(73a), 전자 밸브(73b)를 통해 추출 용기(9)에 공급된다. 압력 조절 밸브(73a)는 리저브 탱크(71)로부터 공급되는 기압을 소정의 기압으로 감압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5기압(게이지압으로 4기압)으로 감압한다. 전자 밸브(73b)는 압력 조절 밸브(73a)로 압력 조절된 기압의 추출 용기(9)에의 공급과 차단을 절환한다. 추출 용기(9) 내의 기압은 압력 센서(73d)로 검출된다. 추출 용기(9) 내의 가압시, 압력 센서(73d)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전자 밸브(73b)가 개방되고, 추출 용기(9) 내를 소정의 기압(본 실시형태의 경우, 최대 5기압(게이지압으로 4기압))으로 가압한다. 추출 용기(9) 내의 기압은 전자 밸브(73c)로 감압 가능하다. 전자 밸브(73c)는 추출 용기(9) 내를 대기에 해방할지 여부를 절환하고, 압력 이상시(예를 들어 추출 용기(9) 내가 5기압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출 용기(9) 내를 대기에 해방한다.
1회 커피 음료의 제조가 끝나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추출 용기(9) 내를 수돗물로 세정한다. 전자 밸브(73f)는 세정시에 개방되고, 추출 용기(9)에 수돗물을 공급한다.
다음에 절환 유닛(10)에 대해 설명한다. 절환 유닛(10)은, 추출 용기(9)로부터 송출되는 액체의 송출처를 주입부(10c)와 폐기 탱크(T) 중 어느 하나로 절환하는 유닛이다. 절환 유닛(10)은, 절환 밸브(10a)와 절환 밸브(10a)를 구동하는 모터(10b)를 포함한다. 절환 밸브(10a)는, 추출 용기(9) 내의 커피 음료를 송출하는 경우는 주입부(10c)로 유로를 절환한다. 커피 음료는 주입부(10c)로부터 컵(C)에 따라진다. 세정시의 폐액(수돗물) 및 잔사(분쇄된 콩)를 배출하는 경우는 폐기 탱크(T)로 유로를 절환한다. 절환 밸브(10a)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3포트의 볼 밸브이다. 세정시에는 절환 밸브(10a)를 잔사가 통과하기 때문에, 절환 밸브(10a)는 볼 밸브가 적합하고, 모터(10b)는 그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유로를 절환한다.
<3. 콩 처리 장치>
도 3을 참조하여 콩 처리 장치(2)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콩 처리 장치(2)의 사시도이다. 콩 처리 장치(2)는, 저류(貯留) 장치(4) 및 분쇄 장치(5)를 포함한다.
<3-1. 저류 장치>
저류 장치(4)는, 볶은 후의 커피콩이 수용되는 복수의 캐니스터(40)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캐니스터(40)는 3개 설치되어 있다. 3개의 캐니스터(40)를 구별하는 경우, 캐니스터(40A, 40B, 40C)라고 한다. 각 캐니스터(40A~40C)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볶은 커피콩을 수용하고, 조작 유닛(12)에 대한 조작 입력에 의해, 커피 음료의 제조에 이용하는 볶은 커피콩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종류가 다른 볶은 커피콩이란, 예를 들어 커피콩의 품종이 다른 볶은 커피콩이다. 또한, 종류가 다른 볶은 커피콩이란, 동일한 품종의 커피콩이지만 볶음 정도가 다른 볶은 커피콩이어도 된다. 또한, 종류가 다른 볶은 커피콩이란, 품종도 볶음 정도도 다른 볶은 커피콩이어도 된다. 또한, 3개의 캐니스터(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복수 종류의 품종의 볶은 커피콩이 혼합된 볶은 커피콩이 수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각 품종의 볶은 커피콩은 볶음 정도가 동일한 정도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캐니스터(40)를 설치하였지만, 하나의 캐니스터(40)만이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캐니스터(40)를 설치한 경우에, 동일한 종류의 볶은 커피콩이 전부 또는 복수의 캐니스터(40)에 수용되어도 된다.
각 캐니스터(40)에는, 개별적으로 컨베이어(41)가 설치되어 있다. 컨베이어(41)는, 캐니스터(40)에 수용된 소정의 양의 볶은 커피콩을 하류측으로 자동 송출하는 송출 기구(반송 기구)이다. 본 실시형태의 컨베이어(41)는 모터(41a)를 구동원으로 한 스크류 컨베이어이며, 볶은 커피콩을 자동 계량하는 계량 유닛이다. 모터(41a)의 회전량(스크류의 회전량)에 의해 볶은 커피콩의 송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각 컨베이어(41)는 하류측의 집합 반송로(42)에 볶은 커피콩을 배출한다. 집합 반송로(42)는 중공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컨베이어(41)마다의 투입구(42a)와 공통의 배출구(42b)를 포함하며, 공통의 배출구(42b)로부터 분쇄 장치(5)에 볶은 커피콩이 공급된다.
<3-2. 분쇄 장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분쇄 장치(5)를 설명한다. 도 4는 분쇄 장치(5)의 종단면도이다. 분쇄 장치(5)는, 그라인더(5A 및 5B) 및 분리 장치(6)를 포함한다. 그라인더(5A 및 5B)는, 저류 장치(4)로부터 공급되는 볶은 커피콩을 분쇄하는 기구이다. 그라인더(5A 및 5B)는, 콩을 분쇄하는 입도(粒度)가 다르다. 그라인더(5A)는 조(粗)분쇄용(거칠게 갈기용) 그라인더이고, 그라인더(5B)는 미(微)분쇄용(미세하게 갈기용) 그라인더이다.
<3-2-1. 그라인더>
그라인더(5A)는, 모터(52a) 및 본체부(53a)를 포함한다. 모터(52a)는 그라인더(5A)의 구동원이다. 본체부(53a)는 커터를 수용하는 유닛으로, 회전축(54a)이 내장되어 있다. 회전축(54a)에는 기어(55a)가 설치되어 있어, 모터(52a)의 구동력이 기어(55a)를 통해 회전축(54a)에 전달된다.
또한, 회전축(54a)에는 커터인 회전날(58a)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날(58a)의 주위에는 커터인 고정날(57a)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53a)의 내부는 투입구(50a) 및 배출구(51a)와 연통되어 있다. 집합 반송로(42)로부터 공급되는 볶은 커피콩은 본체부(53a)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50a)로부터 본체부(53a)로 가로방향으로 진입하고, 회전날(58a)과 고정날(57a)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분쇄된다. 회전축(54a)의 회전날(58a)보다 상측에는 억제판(56a)이 설치되어 있고, 억제판(56a)은 볶은 커피콩이 상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그라인더(5A)에서는 볶은 커피콩이 예를 들어 1/4 정도로 분쇄된다. 분쇄된 콩은 배출구(51a)로부터 분리 장치(6)로 배출된다.
또, 투입구(50a)에 공급된 볶은 커피콩은, 회전날(58a)의 상방으로부터가 아니라 측면에 닿는 높이로 공급되어도 된다. 그 경우는, 회전날(58a)에 의해 볶은 커피콩이 상측으로 유출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억제판(56a)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라인더(5A)는, 회전날(58a)의 회전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분쇄된 후에 배출되는 볶은 커피콩의 크기를 변화시켜도 된다. 또한, 회전날(58a)과 고정날(57a) 사이의 거리를 수동으로 조정함으로써 변화시켜도 된다.
분리 장치(6)는, 분쇄된 콩으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하는 기구이다. 분리 장치(6)는 그라인더(5A)와 그라인더(5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저류 장치(4)로부터 공급되는 볶은 커피콩은, 우선 그라인더(5A)에서 조분쇄되고, 그 조분쇄된 콩으로부터 분리 장치(6)에 의해 불요물이 분리된다. 불요물이 분리된 조분쇄된 콩은, 그라인더(5B)에 의해 미분쇄된다. 분리 장치(6)로 분리하는 불요물은 대표적으로 채프나 미분이다. 이들은 커피 음료의 맛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분리 장치(6)는 공기의 흡인력에 의해 불요물을 분리하는 기구로서, 그 상세는 후술한다.
그라인더(5B)는, 모터(52b) 및 본체부(53b)를 포함한다. 모터(52b)는 그라인더(5B)의 구동원이다. 본체부(53b)는 커터를 수용하는 유닛으로, 회전축(54b)이 내장되어 있다. 회전축(54b)에는 풀리(55b)가 설치되어 있어, 모터(52b)의 구동력이 벨트(59b) 및 풀리(55b)를 통해 회전축(54b)에 전달된다.
또한, 회전축(54b)에는 회전날(58b)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날(58b)의 상측에는 고정날(57b)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53b)의 내부는 투입구(50b) 및 배출구(51b)와 연통되어 있다. 분리 장치(6)로부터 낙하해 오는 분쇄된 콩은 투입구(50b)로부터 본체부(53b)에 진입하고, 회전날(58b)과 고정날(57b)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더욱 분쇄된다. 분말 형상으로 분쇄된 콩은 배출구(51b)로부터 배출된다. 또, 그라인더(5B)에서의 분쇄된 콩의 입도는, 회전날(58b)과 고정날(57b)의 간극을 조정함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볶은 커피콩의 분쇄는, 하나의 그라인더(1단계 분쇄)이어도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2개의 그라인더(5A, 5B)에 의한 2단계 분쇄로 함으로써, 분쇄된 콩의 입도가 가지런해지기 쉬워져서 커피액의 추출 정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콩의 분쇄시에는 커터와 콩의 마찰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2단계 분쇄로 함으로써, 분쇄시의 마찰에 의한 발열을 억제하여 분쇄된 콩의 열화(예를 들어 풍미가 떨어짐)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조분쇄→불요물 분리→미분쇄라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채프 등의 불요물을 분리할 때, 불요물과 분쇄된 콩(필요 부분)의 질량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는 불요물의 분리 효율을 올릴 수 있음과 아울러, 분쇄된 콩(필요 부분)이 불요물로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분쇄와 미분쇄의 사이에 공기의 흡인을 이용한 불요물 분리 처리가 개재됨으로써, 공랭에 의해 분쇄된 콩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분쇄된 콩의 열화(예를 들어 풍미가 떨어짐)를 방지할 수도 있다.
<3-2-2. 분리 장치>
다음에, 도 3~도 5를 참조하여 분리 장치(6)를 설명한다. 도 5는 분리 장치(6)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분리 장치(6)는, 흡인 유닛(6A) 및 형성 유닛(6B)을 포함한다. 형성 유닛(6B)은, 그라인더(5A)로부터 자유 낙하해 오는 분쇄된 콩이 통과하는 분리실(SC)을 형성하는 중공체이다. 흡인 유닛(6A)은, 분쇄된 콩의 통과 방향(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형태의 경우, 좌우 방향)으로 분리실(SC)과 연통하여 분리실(SC)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유닛이다. 분리실(SC) 내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채프나 미분 등의 경량의 물체가 흡인된다. 이에 의해, 분쇄된 콩으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할 수 있다.
흡인 유닛(6A)은 원심 분리 방식의 기구이다. 흡인 유닛(6A)은, 송풍 유닛(60A) 및 회수 용기(60B)를 포함한다. 송풍 유닛(60A)은 본 실시형태의 경우 팬 모터이며, 회수 용기(60B) 내의 공기를 상방으로 배기한다.
회수 용기(60B)는, 분리 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상부(61)와 하부(62)를 포함한다. 하부(62)는 상방이 개방된 바닥이 있는 통형을 이루고 있고, 불요물을 축적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부(61)는 하부(62)의 개구에 장착되는 덮개부를 구성한다. 상부(61)는, 원통 형상의 외주벽(61a)과, 이와 동축 상에 형성된 배기통(61b)을 포함한다. 송풍 유닛(60A)은 배기통(61b) 내의 공기를 흡인하도록 배기통(61b)의 상방에서 상부(6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61)는 지름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통형의 접속부(61c)를 포함한다. 접속부(61c)는 형성 유닛(6B)과 접속되어 분리실(SC)과 회수 용기(60B)를 연통시킨다. 접속부(61c)는 배기통(61b)의 측방에 개구되어 있다.
송풍 유닛(60A)의 구동에 의해, 도 5에서 화살표 d1~d3로 나타내는 기류가 발생한다. 이 기류에 의해, 분리실(SC)로부터 불요물을 포함한 공기가 접속부(61c)를 통과하여 회수 용기(60B) 내에 흡인된다. 접속부(61c)는 배기통(61b)의 측방에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불요물을 포함한 공기는 배기통(61b)의 주위를 선회한다. 공기 중의 불요물(D)은, 그 중량에 의해 낙하하여 회수 용기(60B)의 일부에 모아진다(하부(62)의 바닥면 상에 퇴적한다). 공기는 배기통(61b)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배기된다.
배기통(61b)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휜(61d)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휜(61d)은 배기통(61b)의 둘레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개개의 휜(61d)은, 배기통(61b)의 축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이러한 휜(61)을 설치함으로써, 불요물(D)을 포함한 공기의 배기통(61b) 주위의 선회를 촉진한다. 또한, 휜(61)에 의해 불요물(D)의 분리가 촉진된다. 이 결과, 흡인 유닛(6A)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억제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라인더(5A 및 5B)에 의한 분쇄된 콩의 낙하 경로에 형성 유닛(6B)을 배치하는 반면, 낙하 경로의 측방에 원심 분리 방식의 흡인 유닛(6A)을 배치하고 있다. 원심 분리 방식의 기구는 상하 방향으로 길어지기 쉬운데, 흡인 유닛(6A)을 낙하 경로로부터 어긋나게 하여 측방에 배치함으로써, 흡인 유닛(6A)을 그라인더(5A) 및 그라인더(5B)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병설(竝設)할 수 있다. 이는 장치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억제하는 것에 기여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2개의 그라인더(5A 및 5B)에 의해 2단계 분쇄를 행하는 경우, 장치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향이 되기 때문에, 흡인 유닛(6A)의 이러한 배치가 장치의 소형화에 유효하다.
도 3~도 9를 참조하여 형성 유닛(6B)을 설명한다. 도 6은 형성 유닛(6B)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형성 유닛(6B)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형성 유닛(6B)의 평면도로서, 단면적의 비교 설명도이다.
형성 유닛(6B)은,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하로 반으로 나눈 2부재를 결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형성 유닛(6B)은 관부(63) 및 분리실 형성부(64)를 포함하고, 평면에서 보아 스푼 형상을 가지고 있다. 관부(63)는, 흡인 유닛(6A)과의 연통로(63a)를 형성하는 통체로서, 가로방향(후술하는 중심선(C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분리실 형성부(64)는 관부(63)에 접속되어 분리실(SC)을 형성하는, 중앙이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원환 형상의 중공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쇄된 콩으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함에 있어서, 그라인더(5A)로부터 낙하해 오는 분쇄된 콩에 가로방향의 풍압을 작용시켜 불요물을 흡인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는, 원심 분리 방식보다 연직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분리실 형성부(6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통형부(65)를 포함한다. 통형부(65)는 그 상하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하부에 걸쳐 분리실(SC) 내에 돌출되어 있다. 통형부(65)는 상측의 일단에 개구부(65a)를 가지며, 개구부(65a)는 분리실(SC)에 연통한, 분쇄된 콩의 투입구를 형성하고 있다. 개구부(65a)는 분리실(SC) 밖에 위치하고 있고, 그라인더(5A)의 배출구(51a)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출구(51a)로부터 낙하하는 분쇄된 콩이 빠짐없이 분리실 형성부(64)에 도입된다. 통형부(65)는 하측의 타단에 개구부(65b)를 가진다. 개구부(65b)는 분리실(SC) 내에 위치하고 있다. 개구부(65b)가 분리실(SC)에 면하고 있기 때문에, 배출구(51a)로부터 낙하하는 분쇄된 콩이 빠짐없이 분리실(SC)에 도입된다.
통형부(65)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고, 개구부(65a) 및 개구부(65b)는 중심선(CL) 상에 위치하는 동일 중심의 원형상을 가진다. 이에 의해, 배출구(51a)로부터 낙하하는 분쇄된 콩이 통형부(65)를 통과하기 쉬워진다. 통형부(65)는,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개구부(65a) 측으로부터 개구부(65b) 측으로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다. 통형부(65)의 내벽이 깔때기 형상이 되기 때문에, 낙하해 오는 분쇄된 콩이 내벽에 충돌하기 쉬워진다. 그라인더(5A)로부터 낙하해 오는 분쇄된 콩은, 분말끼리 밀착되어 덩어리가 되어 낙하해 오는 경우가 있다. 분쇄된 콩이 덩어리 상태이면, 불요물의 분리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덩어리가 된 분쇄된 콩이 통형부(65)의 내벽에 충돌함으로써 덩어리를 부서뜨려 불요물을 분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분쇄된 콩의 덩어리를 부서뜨리는 점에서는, 통형부(65)의 내벽은 깔때기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형부(65)의 도중 부위에 개구부(65a)보다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작은 개소가 있고, 이에 의해, 중심선(CL)에 대해 경사진(수평이 아닌) 내벽이 있으면 덩어리와의 충돌을 촉진하면서 분쇄된 콩을 원활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통형부(65)는 분리실(SC) 내에 돌출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분리실 형성부(64)의 외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만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단, 통형부(65)를 분리실(SC) 내에 돌출시킴으로써, 통형부(65) 주위의 풍속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관부(63)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영역(R1)에서 풍압에 의한 불요물의 분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분리실 형성부(64)는, 불요물을 분리한 후의 분쇄된 콩이 배출되는, 분리실(SC)에 연통한 배출구(66)를 가진다. 배출구(66)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개구부(65b)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통형부(64)를 통과한 분쇄된 콩은 분리실(SC)을 통과하여 배출구(66)로부터 자유 낙하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배출구(66)는 중심선(CL) 상에 위치하는 원형 개구로서, 개구부(65a) 및 개구부(65b)와 동심원의 개구이다. 이 때문에, 분쇄된 콩이 분리실 형성부(64)를 자유 낙하에 의해 통과하기 쉬워지고, 분리실 형성부(64) 내에 분쇄된 콩이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개구부(65b)의 단면적(SC1)보다 배출구(66)의 단면적(SC2)이 크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개구부(65b)와 배출구(66)가 상하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따라서, 배출구(66)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개구부(65b)를 투영하면, 배출구(66)의 내측에 개구부(65b)가 들어가게 된다. 다시 말하면, 개구부(65b)는 배출구(66)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한 영역 내에 들어간다. 개구부(65b)와 배출구(66)가 동일 중심선 상에 없지만 겹쳐 있는 구성이나, 적어도 한쪽이 원형이 아니지만 겹쳐 있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단면적(SC2)에 대한 단면적(SC1)의 비율은, 예를 들어 95% 이하 혹은 85% 이하이고, 예를 들어 60% 이상 혹은 70% 이상이다. 개구부(65b), 배출구(66)는 동심원이기 때문에, 중심선(CL) 방향으로 보면 서로 겹쳐 있다. 이 때문에, 개구부(65b)로부터 자유 낙하하는 분쇄된 콩이 배출구(66)로부터 배출되기 쉬워진다. 또한, 낙하하는 분쇄된 콩이 배출구(66)의 가장자리에 충돌하여 관부(63) 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한 분쇄된 콩이 흡인 유닛(6A)에 흡인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배출구(예를 들어 66)의 개구 면적보다 일단 개구부(예를 들어 65a)의 개구 면적이 작다고 예시하였지만, 배출구(예를 들어 66)의 개구 면적과 일단 개구부(예를 들어 65a)의 개구 면적은 동일해도 되고, 배출구(예를 들어 66)의 개구 면적보다 일단 개구부(예를 들어 65a)의 개구 면적이 커도 된다. 배출구(예를 들어 66)의 개구 면적보다 타단 개구부(예를 들어 65b)의 개구 면적이 작다고 예시하였지만, 배출구(예를 들어 66)의 개구 면적과 타단 개구부(예를 들어 65b)의 개구 면적은 동일해도 되고, 배출구(예를 들어 66)의 개구 면적보다 타단 개구부(예를 들어 65b)의 개구 면적이 커도 된다. 흡인 유닛(예를 들어 6A)에 의해 배출구(66) 및 투입구(예를 들어 65a, 65a')로부터 공기가 흡인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투입구(예를 들어 65a, 65a')로부터 흡인되는 공기의 양보다 배출구(66)로부터 흡인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도록 해도 된다. 이는, 분리실 내에 타단 개구부(예를 들어 65b)가 돌출되어 있는 것이나, 일단 개구부(예를 들어 65a)의 개구 면적의 크기보다 배출구(66)의 단면적 크기가 큰 것으로 실현되어도 되고, 타단 개구부(예를 들어 65b)의 개구 면적의 크기보다 배출구(66)의 단면적 크기가 큰 것으로 실현되어도 되며, 일단 개구부(예를 들어 65a)로부터 분리실까지의 거리보다 배출구(66)로부터 분리실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실현되어도 되고, 일단 개구부(예를 들어 65a)로부터 배기통(61b)까지의 거리보다 배출구(66)로부터 배기통(61b)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실현되어도 되며, 일단 개구부(예를 들어 65a)로부터 송풍 유닛(60A)까지의 거리보다 배출구(66)로부터 송풍 유닛(60A)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형성 유닛(6B)이나 분리실(SC)을 구성하는 부재(63~65)의 내벽부 중 어느 하나나 통형부(65)나 타단 개구부(예를 들어 65b)인데, 그라인더(5A 및 5B 중 적어도 하나)와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이 그라인더의 회전에 의한 진동이 전해져서 진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의 음료 제조 장치(1)의 경우, 이들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그라인더의 동작 중에는 형성 유닛(6B)이나 분리실(SC)을 구성하는 부재(63~65)의 내벽부 중 어느 하나나 통형부(65)나 타단 개구부(예를 들어 65b)가 진동하고, 진동에 의해 상기 분리실(SC) 내에 발생하는 난류화된 공기에 의해, 타단 개구부(예를 들어 65b)로부터 분리실(SC)에 진입하는 가벼운 불요물에 제동을 가하여 이 불요물을 흡인 유닛(예를 들어 6A)에 의해 흡인하기 쉽게 하고 있다. 특히, 실시예에서의 음료 제조 장치(1)와 같이 형성 유닛(6B)은 그라인더(5A) 및 그라인더(5B) 중 그라인더(5A)와 직접 접촉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하나의 그라인더에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형성 유닛(6B)에 적당한 진동을 부여하여 가벼운 불요물을 흡인하기 쉽게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흡인 유닛(6A)에 의해 흡인되는 공기는 주로 배출구(66)로부터 흡인된다. 이 때문에, 배출구(66)와 그라인더(5B)의 투입구(50b)의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고, 공기의 흡인이 촉진된다. 화살표(d4)는 흡인 유닛(6A)에 의해 흡인되는 공기의 기류 방향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배출구(66)로부터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불요물이 배출구(66)로부터 배출되기 어려워지고, 분쇄된 콩과 불요물의 분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흡인 유닛(6A)에 의해 흡인되는 공기는 개구부(65a)로부터도 흡인된다.
배출구(66)를 획정하는 주위벽에는, 난류 촉진부(67)가 형성되어 있다. 난류 촉진부(67)는, 배출구(66)로부터 분리실(SC)로 흡인되는 공기에 난류를 발생시킨다. 난류 촉진부(67)를 형성함으로써, 특히 개구부(65b)와 배출구(66) 사이의 영역(R2)에서 난류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통형부(65)의 주위에서 풍속이 향상되므로, 영역(R2)에서의 난류 발생을 상승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투입구(65a)에 투입된 분쇄된 콩은 영역(R2)을 통과할 때에 난류의 영향을 받아 교반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특히 상기와 같이 개구부(65b)의 단면적(SC1)보다 배출구(66)의 단면적(SC2)이 크기 때문에, 분쇄된 콩은 영역(R2)을 반드시 통과한다. 난류에 의해, 채프나 미분 등의 불요물이 분쇄된 콩으로부터 분리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분리실(SC)이 작은 공간이어도 불요물의 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분리실(SC)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줄이는 것에 기여하며, 본 실시형태와 같이 2개의 그라인더(5A, 5B)로 2단계 분쇄를 행하는 경우의 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난류 촉진부(67)는 복수의 난류 촉진 요소(67a)를 포함한다. 난류 촉진 요소(67a)는, 상하 방향에서 하향으로 돌출된 돌기이다. 난류 촉진 요소(67a)의 돌출 방향은 아무 방향이어도 되지만, 분리실(SC) 내에 난류를 보다 발생시키기 쉽게 하는 점에서 하방향에서부터 지름 방향 내측 방향의 범위 내의 방향이 적합하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돌출 방향이 하방향이면, 낙하해 온 분쇄된 콩이 걸리는 일이 없어 보다 바람직하다.
난류 촉진 요소(67a)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의 사각기둥을 단면의 상부 바닥이 중심선(CL)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선단부의 내측에 모따기(67b)가 실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난류 촉진 요소(67a)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지만, 배출구(66)의 형상을 3차원적으로 복잡하게 하는 형상이 적합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난류 촉진 요소(67a)는, 배출구(66)의 주위 방향(d5)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영역(R)으로 여러 방향에서 공기가 불어와 난류의 발생이 촉진된다. 인접하는 난류 촉진 요소(67a)의 피치는 다른 피치로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등피치이다. 난류 촉진 요소(67a)는 12개 형성되어 있지만, 난류 촉진 요소(67a)의 수는 임의이다.
<3-2-3. 다른 구성예>
도 9를 참조하여 분리실 형성부(64)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난류 촉진 요소(67a)는, 돌기 외에 노치나 구멍이어도 된다. 도 9의 EX1의 예는, 난류 촉진 요소(67a)를 배출구(66)의 주위벽에 형성한 관통공으로 한 예를 예시한다. 이러한 구멍도 영역(R2)에서의 난류 발생을 촉진 가능하다.
도 9의 EX2의 예는, 통형부(65)를 마련하지 않은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도, 투입구(65a')의 단면적(SC1')보다 배출구(66)의 단면적(SC2)을 크게 한 구성이 적합하다.
통형부(65)의 개구부(65b)는 수평면 상의 개구가 아니라 경사면 상의 개구이어도 된다. 도 9의 EX3의 예는, 통형부(65)의 관부(63) 측의 하단이 반대측 하단보다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영역(R1) 측으로 분쇄된 콩이 안내되기 쉬워져서 분리실(SC)에서의 분쇄된 콩의 체류 시간을 길게 취할 수 있고 분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4. 구동 유닛 및 추출 용기>
<4-1. 개요>
추출 장치(3)의 구동 유닛(8) 및 추출 용기(9)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구동 유닛(8) 및 추출 용기(9)의 사시도이다.
구동 유닛(8)은 프레임(F)에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F)은, 상하 빔부(F1, F2) 및 빔부(F1, F2)를 지지하는 기둥부(F3)를 포함한다. 구동 유닛(8)은, 상부 유닛(8A), 중부 유닛(8B) 및 하부 유닛(8C)의 3개의 유닛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상부 유닛(8A)은 빔부(F1)에 지지되어 있다. 중부 유닛(8B)은 빔부(F1)와 빔부(F2)의 사이에서 빔부(F1)에 지지되어 있다. 하부 유닛(8C)은 빔부(F2)에 지지되어 있다.
추출 용기(9)는, 용기 본체(90) 및 덮개 유닛(91)을 포함하는 챔버이다. 추출 용기(9)를 챔버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중부 유닛(8B)은, 용기 본체(90)를 착탈이 자유롭게 보유지지하는 아암 부재(820)를 구비한다. 아암 부재(820)는, 보유지지 부재(820a)와,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축부재(820b)를 포함한다. 보유지지 부재(820a)는 C자형의 클립 형상으로 형성된 수지 등의 탄성 부재로서, 그 탄성력에 의해 용기 본체(90)를 보유지지한다. 보유지지 부재(82a)는 용기 본체(90)의 좌우 측부를 보유지지하여 용기 본체(90)의 전방 측을 노출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90)의 내부를 정면에서 볼 때 시인(視認)하기 쉬워진다.
보유지지 부재(820a)에 대한 용기 본체(90)의 착탈은 수동 조작으로 행하며, 보유지지 부재(820a)에 용기 본체(90)를 전후 방향 후방으로 눌러붙임으로써 용기 본체(90)가 보유지지 부재(820a)에 장착된다. 또한, 용기 본체(90)를 보유지지 부재(820a)로부터 전후 방향 전방으로 뽑아냄으로써 용기 본체(90)를 보유지지 부재(820a)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한 쌍의 축부재(820b)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로드로서, 보유지지 부재(820a)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부재(820b)의 수를 2개로 하였지만, 1개로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보유지지 부재(820a)는, 한 쌍의 축부재(820b)의 전방측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후술하는 기구에 의해, 한 쌍의 축부재(82b)는 전후 방향으로 진퇴하고, 이에 의해 보유지지 부재(820a)가 전후로 진퇴하며, 용기 본체(90)를 전후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는 이동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중부 유닛(8B)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추출 용기(9)의 상하를 반전시키는 회동 동작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4-2. 추출 용기>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추출 용기(9)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추출 용기(9)의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추출 용기(9)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추출 용기(9)는 중부 유닛(8B)에 의해 상하가 반전된다. 도 10 및 도 11의 추출 용기(9)는, 덮개 유닛(91)이 상측에 위치하는 기본 자세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하의 위치 관계를 말하는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은 기본 자세에서의 상하의 위치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용기 본체(90)는 바닥이 있는 용기로서, 네크부(90b), 어깨부(90d), 몸통부(90e) 및 바닥부(90f)를 갖는 보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용기 본체(90)의 전체 또는 일부는 투과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투과부는 무색 투명 또는 유색 투명 재료로 구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90)의 외부로부터 내부를 시인 가능해진다. 네크부(90b)의 단부(용기 본체(90)의 상단부)에는, 용기 본체(9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개구(90a)를 획정하는 플랜지부(90c)가 형성되어 있다.
네크부(90b) 및 몸통부(90e)는, 모두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네크부(90b)는, 내부 공간의 단면적 혹은 단면 형상이 동일한 영역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몸통부(90e)도 단면적 혹은 단면 형상이 동일한 영역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네크부(90b)보다 길다. 내부 공간의 단면적은, 네크부(90b)보다 몸통부(90e)가 크다. 몸통부(90e)에 대한 네크부(90b)의 단면적 비율은, 예를 들어 65% 이하, 50% 이하 혹은 35% 이하이며, 예를 들어 10% 이상 혹은 20% 이상이다. 어깨부(90d)는, 네크부(90b)와 몸통부(90e) 사이의 부분으로, 그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몸통부(90e) 측으로부터 네크부(90b) 측으로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네크부(90a)는 바닥부(90f)보다 개구(90a)에 가까운 위치에 대해 설명상 이름을 붙이는 것뿐으로, 반드시 내부 공간의 단면적은 네크부(90b)보다 몸통부(90e)가 큰 것에 한정되지 않고, 네크부(90a)를 몸통부(90e)의 일부로 해도 된다. 즉, 추출 용기(9)는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잘록한 부분을 갖는 형상이 아니어도 되고, 전체적으로 굵기가 동일한 형상, 또는 그러한 형상이면서 개구(90a) 또는 개구(90a)의 근방에 90c와 같은 플랜지부가 설치된 형상으로 해도 된다.
덮개 유닛(91)은, 개구(90a)를 개폐하는 유닛이다. 덮개 유닛(91)의 개폐 동작(승강 동작)은 상부 유닛(8A)에 의해 이루어진다.
용기 본체(90)는, 본체 부재(900) 및 바닥 부재(901)를 포함한다. 본체 부재(900)는 네크부(90b), 어깨부(90d), 몸통부(90e)를 형성하는 상하가 개방된 통부재이다. 바닥 부재(901)는 바닥부(90f)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본체 부재(900)의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체 부재(900)와 바닥 부재(901)의 사이에는 시일 부재(902)가 개재되고, 용기 본체(90) 내의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바닥 부재(901)의 중심부에는 볼록부(901c)가 설치되고, 이 볼록부(901c)에는 축구멍(90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구멍(901b)의 주위에는 복수의 연통공(901a)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공(901a)은 용기 본체(90) 내를 외부에 연통시키는 관통공으로, 주로 용기 본체(90) 내를 세정할 때의 폐액 및 잔사 배출에 이용된다.
축구멍(901b)은 바닥 부재(901)를 관통하고 있고, 여기에는 마개 부재(903)의 축(903a)이 삽입된다. 마개 부재(903)는, 용기 본체(90)의 내측으로부터 연통공(901a)을 개폐한다. 마개 부재(903)와 바닥 부재(901)의 내측면(상면) 사이에는 시일 부재(904)가 설치되어 있고, 마개 부재(903)의 폐쇄시에 용기 본체(90) 내의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바닥 부재(901)의 외측(하측)에 있어서, 축(903a)에는 코일 스프링(905), 원통형의 스프링 베어링(906)이 장착되고, 나아가 축(903a)의 단부에 E링(907)이 걸어맞춤된다. 코일 스프링(905) 및 스프링 베어링(906)은 바닥 부재(901)와 E링(907)의 사이에 보유지지되고, 코일 스프링(905)은 마개 부재(903)를 폐쇄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킨다. 볼록부(901c)에는 시일 부재(908)가 설치되어 있고, 시일 부재(908)는 상부 유닛(8A) 또는 하부 유닛(8B)과 바닥 부재(901)의 사이를 기밀하게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덮개 유닛(91)은, 모자형상의 베이스 부재(911)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911)는, 볼록부(911d) 및 폐쇄시에 플랜지부(90c)와 겹치는 차양부(911c)를 가진다. 베이스 부재(911)에는, 용기 본체(90)에서의 마개 부재(903)와 동일한 개폐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베이스 부재(911)의 중심부에는 축구멍(911b)이 형성되어 있고, 축구멍(911b)의 주위에는 복수의 연통공(911a)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공(911a)은 용기 본체(90) 내를 외부에 연통시키는 관통공으로, 주로 용기 본체(90) 내에 온수의 주입과 커피 음료의 송출에 이용되는 송출부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축구멍(911b)은 베이스 부재(911)를 관통하고 있고, 여기에는 마개 부재(913)의 축(913a)이 삽입된다. 마개 부재(913)는, 용기 본체(90)의 내측으로부터 연통공(911a)을 개폐한다. 마개 부재(913)와 베이스 부재(911)의 내측면 사이에는 시일 부재(914)가 설치되어 있고, 마개 부재(913)의 폐쇄시에 용기 본체(90) 내의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베이스 부재(911)의 외측(상측)에 있어서, 축(913a)에는 코일 스프링(915), 원통형의 스프링 베어링(916)이 장착되고, 나아가 축(913a)의 단부에 E링(917)이 걸어맞춤된다. 코일 스프링(915) 및 스프링 베어링(916)은 베이스 부재(911)와 E링(917)의 사이에 보유지지되고, 코일 스프링(915)은 마개 부재(913)를 폐쇄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킨다. 볼록부(911d)에는 시일 부재(918a), 링 스프링(918b)이 설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918a)는, 상부 유닛(8A) 또는 하부 유닛(8B)과 베이스 부재(911)의 사이를 기밀하게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링 스프링(918b)은, 덮개 유닛(91)의 개방시에 덮개 유닛(91)을 상부 유닛(8A)에 보유지지하기 위한 걸어맞춤 부재이다.
베이스 부재(911)의 내측(하측)에는 고정 부재(919)가 고정된다. 고정 부재(919)는, 필터(910) 및 보유지지 부재(910a)를 지지한다. 필터(910)는 커피 음료와 분쇄된 콩의 잔사를 분리하기 위한 필터로서, 예를 들어 금속 필터이다. 금속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커피 오일을 포함한 커피 음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보유지지 부재(910a)는, 필터(910)의 변형을 억제하는 다공 부재이다. 시일 부재(919a)는 고정 부재(919)에 지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고정 부재(919)는 탄성 부재이며, 고정 부재(919)와 시일 부재(919a)는 덮개 유닛(91)의 폐쇄시에 덮개 유닛(91)과 용기 본체(90)의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또, 플랜지부(90c)와 차양부(911c)를 기밀하게 접촉시킴으로써, 시일 부재(919a)를 이용하지 않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4-3. 상부 유닛 및 하부 유닛>
상부 유닛(8A) 및 하부 유닛(8C)에 대해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상부 유닛(8A) 및 하부 유닛(8B)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부 유닛(8A)은, 조작 유닛(81A)을 포함한다. 조작 유닛(81A)은, 용기 본체(90)에 대한 덮개 유닛(91)의 개폐 조작(승강) 및 마개 부재(903 및 913)의 개폐 조작을 행한다. 조작 유닛(81A)은, 지지 부재(800), 보유지지 부재(801), 승강축(802) 및 프로브(803)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800)는, 프레임(F)에 대한 상대 위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다. 보유지지 부재(801)를 수용하는 수용부(800b)를 포함한다. 수용부(800b)는 하방으로 개구되고 천정부가 폐쇄된 원통형 공간이다. 또한, 지지 부재(800)는, 배관(L3)과 수용부(800b) 내를 연통시키는 연통부(800a)를 구비한다. 배관(L3)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 수돗물 및 기압이 연통부(800a)를 통해 수용부(800b) 내에 도입된다.
보유지지 부재(801)는, 덮개 유닛(91)을 착탈이 자유롭게 보유지지하는 부재이다. 보유지지 부재(801)는, 덮개 유닛(91)의 볼록부(911d) 또는 바닥 부재(901)의 볼록부(901c)가 삽입되는 수용부(801b)를 포함한다. 수용부(801b)는 하방으로 개구되고 천정부가 폐쇄된 원통형 공간이다. 또한, 보유지지 부재(801)는, 수용부(800b)와 수용부(801b)를 연통시키는 연통부(801a)를 구비한다. 배관(L3)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 수돗물 및 기압이 연통부(800a) 및 연통부(801a)를 통해 수용부(801b) 내에 도입된다. 보유지지 부재(801)는, 수용부(800b) 내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설치된 가동 부재이다. 보유지지 부재(801)에는, 보유지지 부재(801)와 수용부(800b)의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801c)가 형성되어 있어, 보유지지 부재(801)의 슬라이드 중에도 수용부(800b) 내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수용부(801b) 내벽에는, 지름 방향 내측으로 융기된 걸어맞춤부(801d)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801d)와 덮개 유닛(91)의 링 스프링(918)이 걸어맞춤함으로써, 덮개 유닛(91)이 보유지지 부재(801)에 보유지지된다. 보유지지 부재(801)와 덮개 유닛(91)을 상하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링 스프링(918)의 탄성 변형에 의해, 걸어맞춤부(801d)와 링 스프링(918)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덮개 유닛(91)과 보유지지 부재(801)가 분리된다.
승강축(802)은, 그 축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승강축(802)은 지지 부재(800)의 천정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지지 부재(800)에 대해 상하로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800)에는, 승강축(802)이 통과하는 구멍의 부분에 시일 부재(800c)가 설치되어 있어, 승강축(802)의 슬라이드 중에도 수용부(800b) 내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승강축(802)의 하단부에는 보유지지 부재(801)의 천정부가 고정되어 있다. 승강축(802)의 승강에 의해 보유지지 부재(801)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볼록부(911d)나 볼록부(901c)에 대한 보유지지 부재(801)의 장착과 분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90)에 대한 덮개 유닛(91)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도 15는 덮개 유닛(91)이 개방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덮개 유닛(91)을 보유지지한 보유지지 부재(801)가 상승 위치에 있고, 보유지지된 덮개 유닛(91)이 용기 본체(90)의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또, 도 15는 일부 부품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승강축(802)의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류 기구를 구성하는 나사(80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802a)에는 너트(804b)가 나사 부착되어 있다. 상부 유닛(8A)은 모터(804a)를 구비하고, 너트(804b)는 모터(804a)의 구동력에 의해 그 자리에서(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된다. 너트(804b)의 회전에 따라 승강축(802)이 승강한다.
승강축(802)은, 중심축에 관통공을 갖는 관형상의 축으로, 이 관통공에 프로브(803)가 상하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프로브(803)는 보유지지 부재(801)의 천정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지지 부재(800) 및 보유지지 부재(801)에 대해 상하로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보유지지 부재(801)에는 프로브(803)가 통과하는 구멍의 부분에 시일 부재(801e)가 설치되어 있어, 프로브(803)의 슬라이드 중에도 수용부(801b) 내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프로브(803)는, 마개 부재(903)의 축(903a)(및 마개 부재(913)의 축(913a))과 동축 상에 설치되어 있다. 프로브(803)를 강하함으로써 마개 부재(903)의 축(903a)을 하방으로 압압하여, 마개 부재(903)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프로브(803)를 이용하지 않고, 추출 용기(9)에 공급하는 공기의 기압이나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마개 부재(903)를 압압하여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기압이나 수압을 코일 스프링(905)의 바이어스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하면 된다.
도 16은 마개 부재(903)(및 마개 부재(913))의 개폐 태양을 나타낸다. 보유지지 부재(801)가 강하 위치에 있고, 볼록부(911d)가 보유지지 부재(801)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브(803)(도 16에서 도시생략)의 강하에 의해 마개 부재(903)가 점선으로 나타내는 개방 상태로 변위 가능한 것이 이해된다. 추출 용기(9)의 상하가 반전된 경우, 마개 부재(913)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도 16은 일부 부품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프로브(803)의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류 기구를 구성하는 나사(80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803a)에는 너트(805b)가 나사 부착되어 있다. 상부 유닛(8A)은 모터(805a)를 구비하고, 너트(805b)는 모터(805a)의 구동력에 의해 그 자리에서(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너트(805b)의 회전에 따라 프로브(803)가 승강한다.
하부 유닛(8C)은, 조작 유닛(81C)을 포함한다. 조작 유닛(81C)은 조작 유닛(81A)을 상하로 반전시킨 구성으로, 마개 부재(903 및 913)의 개폐 조작을 행한다. 조작 유닛(81C)도 덮개 유닛(91)의 개폐가 가능한 구성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유닛(81C)을 덮개 유닛(91)의 개폐에는 이용하지 않는다.
이하, 조작 유닛(81A)의 설명과 거의 동일하지만, 조작 유닛(81C)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 유닛(81C)은 지지 부재(810), 보유지지 부재(811), 승강축(812) 및 프로브(813)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810)는, 프레임(F)에 대한 상대 위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다. 보유지지 부재(811)를 수용하는 수용부(810b)를 포함한다. 수용부(810b)는 상방으로 개구되고 바닥부가 폐쇄된 원통형 공간이다. 또한, 지지 부재(810)는, 절환 유닛(10)의 절환 밸브(10a)와 수용부(810b) 내를 연통시키는 연통부(810a)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90) 내의 커피 음료, 수돗물, 분쇄된 콩의 잔사가 연통부(810a)를 통해 절환 밸브(10a)에 도입된다.
보유지지 부재(811)는, 덮개 유닛(91)의 볼록부(911d) 또는 바닥 부재(901)의 볼록부(901c)가 삽입되는 수용부(811b)를 포함한다. 수용부(811b)는 상방으로 개구되고 바닥부가 폐쇄된 원통형 공간이다. 또한, 보유지지 부재(811)는, 수용부(810b)와 수용부(811b)를 연통시키는 연통부(811a)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90) 내의 커피 음료, 수돗물, 분쇄된 콩의 잔사가 연통부(810a 및 811b)를 통해 절환 밸브(10a)에 도입된다. 보유지지 부재(811)는, 수용부(810b) 내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설치된 가동 부재이다. 보유지지 부재(811)에는, 보유지지 부재(811)와 수용부(810b)의 사이를 실링하는 시일 부재(811c)가 형성되어 있어, 보유지지 부재(811)의 슬라이드 중에도 수용부(810b) 내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수용부(811b) 내벽에는, 지름 방향 내측으로 융기된 걸어맞춤부(801d)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811d)와 덮개 유닛(91)의 링 스프링(918)이 걸어맞춤됨으로써, 덮개 유닛(91)이 보유지지 부재(811)에 보유지지된다. 보유지지 부재(811)와 덮개 유닛(91)을 상하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링 스프링(918)의 탄성 변형에 의해, 걸어맞춤부(811d)와 링 스프링(918)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덮개 유닛(91)과 보유지지 부재(811)가 분리된다.
승강축(812)은 그 축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승강축(812)은 지지 부재(800)의 바닥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지지 부재(810)에 대해 상하로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810)에는, 승강축(812)이 통과하는 구멍의 부분에 시일 부재(810c)가 설치되어 있어, 승강축(812)의 슬라이드 중에도 수용부(810b) 내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승강축(812)의 하단부에는 보유지지 부재(811)의 바닥부가 고정되어 있다. 승강축(812)의 승강에 의해 보유지지 부재(811)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볼록부(901c)나 볼록부(911d)에 대한 보유지지 부재(811)의 장착과 분리를 행할 수 있다. 승강축(812)의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류 기구를 구성하는 나사(8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812a)에는 너트(814b)가 나사 부착되어 있다. 하부 유닛(8C)은 모터(814a)를 구비하고, 너트(814b)는 모터(814a)의 구동력에 의해 그 자리에서(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된다. 너트(814b)의 회전에 따라 승강축(812)이 승강한다.
승강축(812)은, 중심축에 관통공을 갖는 관형상의 축으로, 이 관통공에 프로브(813)가 상하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프로브(813)는 보유지지 부재(811)의 바닥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지지 부재(810) 및 보유지지 부재(811)에 대해 상하로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보유지지 부재(811)에는, 프로브(813)가 통과하는 구멍의 부분에 시일 부재(811e)가 설치되어 있고, 프로브(813)의 슬라이드 중에도 수용부(811b) 내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프로브(813)는, 마개 부재(913)의 축(913a)(및 마개 부재(903)의 축(903a))과 동축 상에 설치되어 있다. 프로브(813)를 상승함으로써 마개 부재(913)의 축(913a)을 상방으로 압압하여, 마개 부재(913)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프로브(813)를 이용하지 않고, 추출 용기(9)에 공급하는 공기의 기압이나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마개 부재(913)를 압압하여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기압이나 수압을 코일 스프링(915)의 바이어스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하면 된다. 예를 들어, 뜸들이기 위한 액체(예를 들어 온수)의 투입, 추출 용기(9)의 청소를 위한 액체(예를 들어 정수, 온수, 세제)의 투입 중 적어도 한쪽 또는 둘 다는, 액체의 투입부(마개 부재(913)나 마개 부재(903))를 미리 개방해 두고 액체를 압입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취향이거나, 투과부(101)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이는 방법이나 액체의 힘 정도를 통상과 다르도록 하기 위해, 투입부(마개 부재(913)나 마개 부재(903))를 폐쇄 또는 전체 개방보다 적은 개방으로 해 두고, 투입하는 액체의 수압으로 이 투입부를 개방시키는 것이 적합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순간적으로 추출 용기(9) 내에 액체가 진입하거나, 추출 용기(9)의 내벽부나 추출 대상(예를 들어, 볶은 커피의 분쇄된 콩)에 샤워 형상으로 쏟아지는 경우가 있다.
도 16은 마개 부재(913)(및 마개 부재(903))의 개폐 태양을 나타낸다. 보유지지 부재(811)가 상승 위치에 있고, 볼록부(901c)가 보유지지 부재(811)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브(813)(도 16에서 도시생략)의 상승에 의해 마개 부재(913)가 점선으로 나타내는 개방 상태로 변위 가능한 것이 이해된다. 추출 용기(9)의 상하가 반전된 경우, 마개 부재(903)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다.
프로브(813)의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류 기구를 구성하는 나사(81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813a)에는 너트(815b)가 나사 부착되어 있다. 하부 유닛(8C)은 모터(815a)를 구비하고, 너트(815b)는 모터(815a)의 구동력에 의해 그 자리에서(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너트(815b)의 회전에 따라 프로브(813)가 승강한다.
<4-4. 중부 유닛>
중부 유닛(8B)에 대해 도 10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중부 유닛(8B)의 모식도이다. 중부 유닛(8B)은, 추출 용기(9)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81B)을 포함한다. 지지 유닛(81B)은, 상술한 아암 부재(820) 외에 로크 기구(821)를 지지하는 유닛 본체(81B')를 포함한다.
로크 기구(821)는, 덮개 유닛(91)을 용기 본체(90)에 대해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기구이다. 로크 기구(821)는, 덮개 유닛(91)의 차양부(911c)와 용기 본체(90)의 플랜지부(90c)를 상하로 협지하는 한 쌍의 파지 부재(821a)를 포함한다. 한 쌍의 파지 부재(821a)는, 차양부(911c)와 플랜지부(90c)를 끼워넣어 끼워맞춤하는 C자형 단면을 가지고 있고, 모터(822)의 구동력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개폐된다. 한 쌍의 파지 부재(821a)가 폐쇄 상태인 경우, 도 17의 둘러싼 도면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파지 부재(821a)는 차양부(911c)와 플랜지부(90c)를 상하에 끼워넣도록 하여 이들에 끼워맞춤하여, 덮개 유닛(91)이 용기 본체(90)에 대해 기밀하게 잠겨진다. 이 로크 상태에서는, 보유지지 부재(801)를 승강축(802)에 의해 상승시켜 덮개 유닛(91)을 개방하고자 해도 덮개 유닛(91)은 이동하지 않는다(로크는 해제되지 않는다). 즉, 보유지지 부재(801)를 이용하여 덮개 유닛(91)을 개방하는 힘보다 로크 기구(821)에 의한 로크 힘이 강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상시에 용기 본체(90)에 대해 덮개 유닛(91)이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파지 부재(821a)가 개방 상태인 경우, 도 17의 둘러싼 도면에서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양부(911c)와 플랜지부(90c)로부터 각 파지 부재(821a)가 이격된 상태가 되고, 덮개 유닛(91)과 용기 본체(90)의 로크가 해제된다.
또, 파지 부재(821a)의 C자형 단면은, 도면의 예의 경우 직사각형상(상변과 하변이 평행)이지만, 개구단 측에서 단면적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차양부(911c)와 플랜지부(90c)를 보다 강고하게 잠글 수 있다.
보유지지 부재(801)의 걸어맞춤부(801d)와 덮개 유닛(91)의 링 스프링(918b)이 걸어맞춤 상태에 있고, 또한 보유지지 부재(801)를 강하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상승하는 경우, 한 쌍의 파지 부재(821a)가 개방 상태인 경우에는 용기 본체(90)로부터 덮개 유닛(91)이 분리된다. 반대로 한 쌍의 파지 부재(821a)가 개방 상태인 경우에는, 걸어맞춤부(801d)와 링 스프링(918b)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보유지지 부재(801)만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중부 유닛(8B)은, 모터(823)를 구동원으로 하여 아암 부재(820)를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기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아암 부재(820)에 지지된 용기 본체(90)를 후방측의 추출 위치(상태 ST1)와 전방측의 콩 투입 위치(상태 ST2)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18은 용기 본체(90)의 이동 태양을 나타낸다. 도 18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용기 본체(90)의 위치는 추출 위치를 나타내고, 점선으로 나타내는 용기 본체(90)의 위치는 콩 투입 위치이다. 콩 투입 위치는, 용기 본체(90)에 분쇄된 콩을 투입하는 위치이며, 덮개 유닛(91)이 분리된 용기 본체(90)의 개구(90a)에 그라인더(5B)로 분쇄된 콩이 투입된다. 추출 위치는, 용기 본체(90)가 조작 유닛(81A) 및 조작 유닛(81C)에 의한 조작이 가능해지는 위치이며, 프로브(803, 813)와 동축 상의 위치로서 커피액 추출을 행하는 위치이다. 도 10, 도 13~도 16은 모두 용기 본체(90)가 추출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분쇄된 콩의 투입과 커피액 추출 및 물 공급에서 용기 본체(90)의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커피액 추출시에 발생하는 증기가 분쇄된 콩의 공급부인 그라인더(5B)의 배출구(51b)에 부착되기 어려워지고, 증기의 수분으로 분쇄된 콩이 배출구(51b)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로 되돌아가, 중부 유닛(8B)은, 모터(824)를 구동원으로 하여 지지 유닛(81B)을 전후 방향의 축(825) 둘레로 회전시키는 기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90)(추출 용기(9))의 자세를 네크부(90b)가 상측인 정립 자세(상태 ST1)로부터 네크부(90b)가 하측인 도립(倒立) 자세(상태 ST3)로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3은 추출 용기(9)가 정립 자세 상태를 나타낸다. 도 19는 추출 용기(9)를 회동하여 그 자세를 변화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추출 용기(9)의 회동 중에는, 로크 기구(821)에 의해 용기 본체(90)에 덮개 유닛(91)이 잠겨진 상태가 유지된다. 도 19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추출 용기(9)는 도립 자세 상태를 나타내고, 점선으로 나타내는 추출 용기(9)는 정립 자세와 도립 자세의 중간 자세(회동 도중의 자세)를 나타낸다. 정립 자세와 도립 자세에서 추출 용기(9)는 상하가 반전된다. 정립 자세에서의 볼록부(901c)의 위치에, 도립 자세에서는 볼록부(911d)가 위치한다. 또한, 정립 자세에서의 볼록부(911d)의 위치에, 도립 자세에서는 볼록부(901c)가 위치한다. 이 때문에, 도립 자세에서는 마개 부재(903)에 대한 개폐 조작을 조작 유닛(81A)이 행할 수 있고, 또한, 마개 부재(913)에 대한 개폐 조작을 조작 유닛(81C)이 행할 수 있다.
또, 파지 부재(821a)에는 파지부 커버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 회전 동작시의 로크 기구(821) 전체의 회전 반경을 억제하기 위해, 회전면의 정면에서 보아 파지부 커버의 외측을 깎는 형상을 하고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막으면서 로크 기구의 보호가 가능해진다.
도 17의 예에서는 유닛 본체(81B')에 대해 아암 부재(820)가 전후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진퇴하는 기구로 하였지만, 도 24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 본체(81B')에 아암 부재(820)를 고정하는 기구도 채용 가능하다. 도 24의 예에서는, 모터(823)를 구동원으로 한 기구에 의해 유닛 본체(81B')를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아암 부재(820)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용기 본체(90)를 추출 위치와 콩 투입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5. 동작 제어예>
처리부(11a)가 실행하는 음료 제조 장치(1)의 제어 처리예에 대해 도 20~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1회의 커피 음료 제조 동작에 관한 제어예를 나타낸다. 제조 지시 전의 음료 제조 장치(1)의 상태를 대기 상태라고 부른다. 대기 상태에서의 각 기구의 상태는 이하와 같다.
추출 장치(3)는 도 10의 상태에 있다. 추출 용기(9)는 정립 자세로 추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로크 기구(821)는 폐쇄 상태이며, 덮개 유닛(91)은 용기 본체(90)의 개구(90a)를 폐쇄하고 있다. 보유지지 부재(801)는 강하 위치에 있고, 볼록부(911d)에 장착되어 있다. 보유지지 부재(811)는 상승 위치에 있고, 볼록부(901c)에 장착되어 있다. 마개 부재(903 및 913)는 폐쇄 상태에 있다. 절환 밸브(10a)는 조작 유닛(8C)의 연통부(810a)를 폐기 탱크(T)와 연통시킨다. 대기 상태는 도 10의 상태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추출 용기(9)는 정립 자세로 추출 위치에 위치하고, 로크 기구(821)는 개방 상태이며, 덮개 유닛(91)은 용기 본체(90)의 개구(90a)를 개방하고 있도록 해도 된다.
대기 상태에서 커피 음료의 제조 지시가 있으면, 도 20의 처리가 실행된다. S1에서는 예열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는, 용기 본체(90) 내에 온수를 주입하여 용기 본체(90)를 사전에 가온하는 처리이다. 우선, 마개 부재(903 및 913)를 개방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배관(L3), 추출 용기(9), 폐기 탱크(T)가 연통 상태가 된다.
전자 밸브(72i)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1500ms)만큼 개방한 후에 폐쇄한다. 이에 의해, 물 탱크(72)로부터 추출 용기(9) 내에 온수가 주입된다. 이어서 전자 밸브(73)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500ms)만큼 개방한 후에 폐쇄한다. 이에 의해, 추출 용기(9) 내의 공기가 가압되어 폐기 탱크(T)로의 온수 배출을 촉진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추출 용기(9)의 내부 및 배관(L2)이 예열되고, 이에 이어지는 커피 음료의 제조에 있어서 온수가 식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열 처리에서 온수가 추출 용기(9) 내에 주입될 때, 필터(910)를 온수가 통과한다. 전회 커피 음료의 제조에서 사용한 분쇄된 콩의 잔사나, 커피액 추출에 의해 발생한 오일이 필터(910)에 부착되어 있었다고 해도 이것이 씻겨 흘러가 배출된다.
S2에서는 그라인드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볶은 커피콩을 분쇄하고, 그 분쇄된 콩을 용기 본체(90)에 투입한다. 우선, 로크 기구(821)를 개방 상태로 하고, 보유지지 부재(801)를 상승 위치로 상승시킨다. 덮개 유닛(91)은 보유지지 부재(801)에 보유지지되어 보유지지 부재(801)와 함께 상승한다. 이 결과, 덮개 유닛(91)은 용기 본체(90)로부터 분리된다. 보유지지 부재(811)는 강하 위치로 강하한다. 용기 본체(90)를 콩 투입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저류 장치(4) 및 분쇄 장치(5)를 작동한다. 이에 의해, 저류 장치(4)로부터 1잔 분량의 볶은 커피콩이 그라인더(5A)에 공급된다. 그라인더(5A 및 5B)에서 볶은 커피콩이 2단계로 분쇄되고, 또한 분리 장치(6)에서 불요물이 분리된다. 분쇄된 콩은 용기 본체(90)에 투입된다.
용기 본체(90)를 추출 위치로 되돌린다. 보유지지 부재(801)를 강하 위치로 강하하여 용기 본체(90)에 덮개 유닛(91)을 장착한다. 로크 기구(821)를 폐쇄 상태로 하고, 덮개 유닛(91)을 용기 본체(90)에 기밀하게 잠근다. 보유지지 부재(811)는 상승 위치로 상승한다. 마개 부재(903, 913) 중에서, 마개 부재(903)는 개방 상태로 하고 마개 부재(913)는 폐쇄 상태로 한다.
S3에서는 추출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용기 본체(90) 내의 분쇄된 콩으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한다. 도 21은 S3의 추출 처리의 흐름도이다.
S11에서는, 추출 용기(9) 내의 분쇄된 콩을 뜸들이기 위해, 1잔 분량의 온수보다 적은 양의 온수를 추출 용기(9)에 주입한다. 여기서는, 전자 밸브(72i)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500ms) 개방하고 폐쇄한다. 이에 의해, 물 탱크(72)로부터 추출 용기(9) 내에 온수가 주입된다. 그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5000ms) 대기하고 S11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 처리에 의해 분쇄된 콩을 뜸들일 수 있다. 또, 이 처리 후의 추출 용기(9) 내의 압력 및 온도는 약간 상승하지만 처리 전과 큰 차이는 없다.
분쇄된 콩을 뜸들임으로써 분쇄된 콩에 포함되는 탄산가스를 방출시키고, 그 후의 추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분쇄된 콩 전체를 뜸들이기 위해, 뜸들임용 온수는 분쇄된 콩에 대해 균등하게 드는 양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뜸들임용 온수를 추출 용기(9) 내에 주입할 때에, 전자 밸브(72h)를 일시적으로 개방하여 물 탱크(72)를 감압하면서 주입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뜸들임용 온수의 기세를 떨어뜨려 콩에 대해 가능한 한 균등하게 온수를 주입하도록 할 수 있고 뜸들임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뜸들일 때의 추출 용기(9) 내의 기압은, 후술하는 그 후의 침지식 추출시(S14)의 기압보다 낮은 기압(온수가 비등하지 않는 기압)으로 행해도 된다. 이에 의해 탄산가스의 방출을 촉진할 수 있다. 액체(예를 들어 온수)에 분쇄된 콩을 접촉시킬 때, 예를 들어 뜸들일 때, 침지할 때 등에 이 분쇄된 콩으로부터 방출되는 탄산가스에 대해서는, 뜸들임 후에 한 번 해방 밸브(73c)를 개방하여 대기에 해방해도 되고, 해방하지 않고 나중에 분쇄된 콩을 액체(예를 들어 온수)에 침지할 때에 이 탄산가스의 압력도 더하여 침지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음료 제조 장치(1)의 경우, 2기압(절대압으로 3기압) 또는 0기압(절대압으로 1기압)으로 분쇄된 콩의 뜸들임을 행하고, 그 후 2기압(절대압으로 3기압)으로 1잔 분량의 액체(예를 들어 온수)를 추출 용기(9)에 주입하며, 4기압(절대압으로 5기압)으로 침지하고, 대기압(0기압(절대압으로 1기압))으로 돌비(突沸)시키며, 추출 용기(9)를 회전시킨 후, 추출 용기(9) 내에 압력을 0.7기압(절대압으로 1.7기압)을 부여하면서 침지나 추출 용기(9) 밖으로 송출을 행하지만, 분쇄된 콩으로부터 방출되는 탄산가스의 압력도 가미하여 분쇄된 콩의 뜸들임이나 침지나 송출을 행해도 되고, 뜸들임은 실행 전에 탄산가스를 대기에 방출하고 나서 행하거나, 4기압 침지 전에 탄산가스를 대기에 방출하거나, 이 4기압 전의 2기압 침지 전에 탄산가스를 대기에 방출하거나, 이 4기압 후의 0.7기압 침지나 송출 전에 탄산가스를 대기에 방출해도 된다. 뜸들임은 탄산가스의 압력도 플러스하여 행하거나, 4기압 침지를 탄산가스의 압력도 플러스하여 행하거나(예를 들어, 4기압+탄산가스의 압력으로 침지를 행하거나), 4기압 전의 2기압 침지를 탄산가스의 압력도 플러스하여 행하거나(예를 들어, 2기압+탄산가스의 압력으로 침지를 행하거나), 4기압 후의 0.7기압 침지를 탄산가스의 압력도 플러스하여 행해도(예를 들어, 0.7기압+탄산가스의 압력으로 침지를 행해도) 된다.
또, 뜸들임 유무를 설정에 의해 선택 가능해도 된다. 뜸들임을 행하지 않는 경우는, 물 주입이 한 번에 끝나기 때문에 커피 음료 제조 완료까지의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S12에서는, 1잔 분량의 온수가 추출 용기(9)에 수용되도록 나머지 양의 온수를 추출 용기(9)에 주입한다. 여기서는, 전자 밸브(72i)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7000ms) 개방하고 폐쇄한다. 이에 의해, 물 탱크(72)로부터 추출 용기(9) 내에 온수가 주입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수의 양을 전자 밸브(72i)의 개방 시간으로 관리하고 있지만, 온수 주입량을 유량계로 측정하는 것이나 다른 방법의 계량에 의해 관리해도 된다.
S12의 처리에 의해, 추출 용기(9) 내를 1기압에서 섭씨 100도를 초과하는 온도(예를 들어 섭씨 110도 정도)의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어서 S13에 의해 추출 용기(9) 내를 가압한다. 여기서는 전자 밸브(73b)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00ms) 개방하고 폐쇄하며, 추출 용기(9) 내를 온수가 비등하지 않는 기압(예를 들어 4기압 정도(게이지압으로 3기압 정도))으로 가압한다. 그 후, 마개 부재(903)를 폐쇄 상태로 한다.
이어서, 이 상태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7000ms) 유지하여 침지식 커피액 추출을 행한다(S14). 이에 의해 고온 고압 하에서 침지식에 의한 커피액 추출이 이루어진다. 고온 고압 하에서의 침지식 추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기대된다. 첫번째는, 고압으로 함으로써, 분쇄된 콩의 내부에 온수를 침투시키기 쉽게 하여 커피액 추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 두번째는, 고온으로 함으로써, 커피액 추출이 촉진된다. 세번째는, 고온으로 함으로써 분쇄된 콩에 포함되는 오일의 점성을 낮추어 오일 추출이 촉진된다. 이에 의해 향이 좋은 커피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 고온에서 커피액을 추출하면 알싸한 맛이 나오기 쉽다는 견해가 있는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리 장치(6)에서 알싸한 맛의 근원이 되는 채프 등의 불요물을 제거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고온에서 커피액을 추출한 경우이어도 알싸한 맛을 억제할 수 있다.
온수(고온수)의 온도는 섭씨 100도를 초과하면 되지만, 보다 고온인 것이 커피액 추출의 점에서 유리하다. 한편, 온수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비용 상승이 된다. 따라서, 온수의 온도는, 예를 들어 섭씨 105도 이상, 또는 섭씨 110도 이상, 혹은 섭씨 115도 이상으로 하고, 예를 들어 섭씨 130도 이하, 또는 섭씨 120도 이하로 해도 된다. 기압은 온수가 비등하지 않는 기압이면 된다.
S15에서는 추출 용기(9) 내를 감압한다. 여기서는, 추출 용기(9) 내의 기압을 온수가 비등하는 기압으로 절환한다. 구체적으로, 마개 부재(913)를 개방 상태로 하고, 전자 밸브(73c)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00ms) 개방하고 폐쇄한다. 추출 용기(9) 내가 대기에 해방된다. 그 후, 마개 부재(913)를 다시 폐쇄 상태로 한다.
추출 용기(9) 내가 비점압보다 낮은 기압으로 급격하게 감압되어 추출 용기(9) 내의 온수가 단숨에 비등한다. 추출 용기(9) 내의 온수, 분쇄된 콩은 추출 용기(9) 내에서 폭발적으로 비산한다. 이에 의해, 온수를 균일하게 비등시킬 수 있다. 또한, 분쇄된 콩의 세포벽 파괴를 촉진시킬 수 있고, 그 후의 커피액 추출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비등에 의해 분쇄된 콩과 온수를 교반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커피액 추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피액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해방 밸브(73C)의 개방에 의해, 추출 용기(9) 내의 기압을 급감압하고 있다. 급감압이란, 예를 들어 돌비 상태나 돌비에 가까운 상태 중 한쪽이 발생하는 속도로 감압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구체적으로 추출 용기(9) 내의 기압을 증기압(포화 수증기압, 평형 증기압 등으로 해도 됨) 미만의 압력까지 내리는 속도로 감압하는 것이나 추출 용기(9) 내의 액체(예를 들어, 온수나 온수와 커피액의 혼합물)를 비점을 초과한 온도로 갑자기 비등시키는 속도로 감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돌비(예를 들어, 비등하지 않은 액체(예를 들어 온수)가 비점을 초과한 온도로 갑자기 비등하는 현상 등)에 의해, 분쇄된 콩의 세포 파괴나 분쇄된 콩과 온수의 교반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S16에서는 추출 용기(9)를 정립 자세로부터 도립 자세로 반전한다. 여기서는, 보유지지 부재(801)를 상승 위치로, 보유지지 부재(811)를 강하 위치로 각각 이동시킨다. 그리고, 지지 유닛(81B)을 회전시킨다. 그 후, 보유지지 부재(801)를 강하 위치로, 보유지지 부재(811)를 상승 위치로 각각 되돌린다. 도 23은 반전 전후의 추출 용기(9) 내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3의 좌측은 정립 자세의 추출 용기(9)를 나타내고, 우측은 도립 자세의 추출 용기(9)를 나타낸다. 네크부(90b)나 필터(910)를 포함한 덮개 유닛(91)이 하측에 위치한다. 정립 자세로부터 도립 자세로의 반전이란, 추출 용기(9)의 회전을 수반하는 동작을 행함으로써, 추출 용기(9)를 180도 회전시키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180도 미만의 어떤 각도(예를 들어 170도)로 회전시키거나 180도를 초과하는 어떤 각도(예를 들어 190도)로 회전시키도록 해도 된다. 추출 용기(9)를 플러스 마이너스 90도 초과하는 각도까지 회전시키면 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정립 자세나 도립 자세에 대해서는, 추출 용기(9)의 개구(90a)를 구성하는 어떤 부위와 추출 용기(9)의 개구(90a)를 구성하지 않는 부위 중 그 어떤 부위로부터 가장 먼 부위에 대해, 정립 자세란 그 먼 부위보다 그 어떤 부위가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자세이며, 도립 자세란 그 먼 부위보다 그 어떤 부위가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자세로 해도 되고, 정립 자세란 그 먼 부위보다 그 어떤 부위가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로 정지한 자세이며, 도립 자세란 그 먼 부위보다 그 어떤 부위가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로 정지한 자세로 해도 된다. 또한, 정립 자세로부터 도립 자세로의 회전시에 소정의 횟수(예를 들어 1회, 복수회 등) 360도 회전하는 등, 정립 자세로부터 도립 자세의 자세 변화 동안에 어떠한 액션을 행해도 되고, 또한 단순한 회전이 아니라 정립 자세를 취하는 추출 용기(9)의 위치와 도립 자세를 취하는 추출 용기(9)의 위치가 전후 상하 좌우에서 다른 위치이어도 된다.
S17에서는, 투과식 커피액 추출을 행하여 컵(C)에 커피 음료를 송출한다. 여기서는, 절환 밸브(10a)를 절환하여 주입부(10c)와 조작 유닛(81C)의 개구부(810a)를 연통시킨다. 또한, 마개 부재(903, 913)를 모두 개방 상태로 한다. 나아가 전자 밸브(73b)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000ms) 개방하고, 추출 용기(9) 내를 소정 기압(예를 들어 1.7기압(게이지압으로 0.7기압))으로 한다. 추출 용기(9) 내에서, 커피액이 온수에 용해된 커피 음료가 필터(910)를 투과하여 컵(C)에 송출된다. 필터(910)는 분쇄된 콩의 잔사가 누출되는 것을 규제한다. S14에서 침지식 추출과 S17에서 투과식 추출을 병용함으로써 커피액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추출 처리가 종료된다. 여기서는, 투과식 커피액 추출 전에 상기 탄산가스에 의한 압력을 대기 해방하지 않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투과식 커피액 추출 전에 해방 밸브(73c)를 개방하여 추출 용기(9) 내의 분쇄된 콩으로부터 방출된 탄산가스를 대기에 해방함으로써, 상기 탄산가스에 의한 압력을 대기에 해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S17에서의 투과식 커피액 추출시에는, 마개 부재(903)만을 개방 상태로 하고, 한 번 대기압에 개방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침지식 추출 중간에 발생한 탄산가스에 의해 상승한 추출 용기(9) 내의 기압을 내릴 수 있다. 이 동작을 행한 후에, 마개 부재(913)를 개방 상태로 하고, 전자 밸브(73b)를 개방함으로써 커피액을 추출하도록 해도 된다.
추출 처리의 종료 판단은, 추출 처리 중인 추출 용기(9)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판단해도 된다. 예를 들어, 1.7기압을 유지하기 위해 1.7기압을 밑돈 경우에 전자 밸브(73b)의 개폐에 의해 가압을 행하여, 가압으로부터 다음 가압까지의 시간 간격이 송출 개시시로부터 절반 이하가 된 경우에 송출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추출 처리를 종료해도 된다. 또한, 단위시간당 가압 횟수가 증가함으로써 판단을 행해도 된다.
여기서, 도 23을 참조하여 S16의 반전 동작과 S17의 투과식 커피액 추출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추출 용기(9)가 정립 자세 상태에서는, 분쇄된 콩이 몸통부(90e)로부터 바닥부(90f)에 걸쳐 퇴적된다. 한편, 추출 용기(9)가 도립 자세 상태에서는, 분쇄된 콩이 어깨부(90d)로부터 네크부(90b)에 걸쳐 퇴적된다. 네크부(90b)의 단면적(SC12)보다 몸통부(90e)의 단면적(SC11)이 크고, 도립 자세에서 분쇄된 콩의 퇴적 두께(H2)는 정립 자세에서 퇴적 두께(H1)보다 두꺼워진다. 즉, 분쇄된 콩은 추출 용기(9)가 정립 자세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얇고 넓게 퇴적되고, 도립 자세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두껍고 좁게 퇴적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S14의 침지식 추출은 추출 용기(9)가 정립 자세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온수와 분쇄된 콩을 광범위에 걸쳐 접촉시킬 수 있어 커피액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이 경우는 온수와 분쇄된 콩이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S17의 투과식 추출은 추출 용기(9)가 도립 자세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온수가 보다 많은 분쇄된 콩과 접촉하면서 퇴적된 분쇄된 콩을 통과하게 된다. 온수가 보다 남김없이 분쇄된 콩과 접촉하게 되어 커피액 추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추출 용기(9)의 내부 공간의 단면적을 개구(90a) 측에서 작게 함에 있어서, 개구(90a)까지 서서히 좁히는(연속적으로 경사진) 형상이 되도록 네크부(90b)를 형성해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네크부(90b)가 단면적이 일정해지는 개소가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분쇄된 콩의 단위부피당 투과하는 온수의 양을 균일하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과추출을 막으면서 투과식에 의한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추출 용기(9)의 단면 형상은 원통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각통 형상 등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함으로써 커피액을 보다 균일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 용기(9)를 반전할 때에는 온수와 분쇄된 콩이 교반되므로, 커피액 추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어깨부(90d)가 몸통부(90e)와 네크부(90b)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전시에 분쇄된 콩을 몸통부(90)로부터 네크부(90b)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감압 후 추출 용기(9) 내의 교반을 목적으로 하여 추출 용기(9)를 흔드는 동작을 행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30도의 범위 내에서 추출 용기(9)의 자세를 기울여 되돌리는 동작을 복수회 반복해도 된다. 이 흔드는 동작은 추출 용기(9)의 반전 전에 행해도 되고 반전 후에 행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압 전에 S14에서 침지식 추출을 행하고 있지만, 감압 후에 침지식 추출을 행하도록 해도 되고, 이 경우 S14의 처리를 삭제해도 되고, S14의 처리도 행하여 감압 전후로 침지식 추출을 행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S15의 감압 방법으로서 추출 용기(9) 내를 대기에 해방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추출 용기(9) 내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대기압 이상 혹은 대기압 이하)의 용기와 도통(導通)시키는 방식 등 어떠한 방식을 채용해도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방식이 그 후의 추출에서의 온도, 송출되는 커피 음료의 온도, 감압하기 쉬움, 감압 폭 측면에서 유리하다. 물론 해방 밸브(73c)의 개방 시간을 조정하여 감압 후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높은 어떤 압력(예를 들어 1.1기압 등)이 되도록 해도 된다. 감압 후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낮은 어떤 압력(예를 들어 0.9기압 등)이 되도록 해도 된다. 물론 감압 후의 압력을 대기압이 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추출 용기(9) 내를 고온 고압의 상태로 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온 고압의 온수를 추출 용기 내에 주입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추출 용기(9) 내에 물 또는 원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수를 주입한 후에 가압, 가열하는 방식을 채용해도 된다.
도 20으로 되돌아가, S3의 추출 처리 후는 S4의 배출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추출 용기(9) 내의 청소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도 22는 그 흐름도이다.
S21에서는, 추출 용기(9)를 도립 자세로부터 정립 자세로 반전시킨다. 여기서는, 우선 마개 부재(903, 913)를 폐쇄 상태로 한다. 보유지지 부재(801)를 상승 위치로, 보유지지 부재(811)를 강하 위치로 각각 이동시킨다. 그리고, 지지 유닛(81B)을 회전시킨다. 네크부(90b)나 필터(910)를 포함한 덮개 유닛(91)이 상측에 위치한다. 그 후, 보유지지 부재(801)를 강하 위치로, 보유지지 부재(811)를 상승 위치로 각각 되돌린다. 필터(910)를 분리하지 않고 추출 용기(9) 내의 청소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추출 용기(9)의 반전시 진동 혹은 반전 완료시 충격으로, 필터(910)에 부착된 분쇄된 콩의 잔사가 필터(910)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S22에서는, 마개 부재(913)를 개방 상태로 한다. 전자 밸브(73f)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2500ms) 개방하고 폐쇄한다. 이에 의해, 수돗물(정수)이 추출 용기(9) 내에 주입된다. 청소에는 물 탱크(72)의 온수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온수를 소비하면 커피 음료의 연속 제조 성능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돗물(정수)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청소에는 물 탱크(72)의 온수나 도시하지 않은 세제 탱크로부터 송출되는 세제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910) 측의 단부 부근(네크부(90b))에 단면 외형이 일정해지는 개소가 있다. 이 때문에, 청소용 물을 추출 용기(9) 내에 주입할 때에 추출 용기(9)의 벽면을 따라 물을 흘려보낼 수 있어 청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S22의 물 주입 전 또는 S21의 반전 전에 추출 용기(9) 내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500ms 등)만큼 대기에 해방해도 된다. 추출 용기(9) 내의 잔압을 뺄 수 있어 S22의 물 주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 용기(9) 내를 대기에 해방한 경우, 추출 용기(9) 내가 게이지압으로 0기압이 된다. 따라서, 물 주입시에는, 수압으로 마개 부재(913)가 자동으로 개방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마개 부재(913)를 개방 상태로 하는 처리는 필요 없다. 수압으로 마개 부재(913)를 개방 상태로 한 경우, 마개 부재(913)가 폐쇄 상태로 복귀하는 힘과 수압의 균형에 따라, 물이 추출 용기(9)의 내벽면 등을 타고 흐르기 쉬워지고 추출 용기(9)의 내부 전체에 물이 공급되기 쉬워진다.
S23에서는, 마개 부재(903)를 개방 상태로 한다. 절환 밸브(10a)는 조작 유닛(8C)의 연통부(810a)를 폐기 탱크(T)와 연통시킨다. 이에 의해, 배관(L3), 추출 용기(9), 폐기 탱크(T)가 연통 상태가 된다. 전자 밸브(73b)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00ms) 개방하고 폐쇄한다. 이에 의해 추출 용기(9) 내가 가압되고, 추출 용기(9) 내의 물이 분쇄된 콩의 잔사와 함께 폐기 탱크(T)로 배출된다. 그 후, 마개 부재(903, 913)를 폐쇄 상태로 하여 처리가 종료된다.
청소에 이용한 물이 커피 음료의 송출용 연통공(911a)과는 다른 연통공(901a)으로부터 송출되기 때문에, 연통공(911a)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연통공(901a)은 연통공(911a)보다 커도 되고, 이에 의해 잔사 등을 배출하기 쉬워진다. 또한, 추출 용기(9) 내의 가압은 S22의 물 주입 도중에 개시해도 된다. 이에 의해, S23에서 물이나 잔사의 배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출 용기(9) 내의 가압은, 예를 들어 5기압(게이지압으로 4기압) 정도로 단숨에 가압함으로써 잔사를 보다 힘차게 배출할 수 있고, 또한 추출 용기(9) 내에서 물이 날아올라가 추출 용기(9) 내의 구석구석에 물을 공급하여 내부 전체의 세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S23의 처리 종료 후에 마개 부재(903, 913)를 폐쇄 상태로 하지 않고 개방 상태인 채로 해도 된다.
이상에 의해 1회의 커피 음료 제조 처리가 종료된다. 이후, 마찬가지의 처리가 제조 지시마다 반복된다. 1회의 커피 음료 제조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예를 들어 60~90초 정도이다.
<제2 실시형태>
추출 용기(9)의 청소에 관한 다른 처리예에 대해 설명한다.
<배출 처리>
도 22에 예시한 배출 처리에서는, S22 및 S23의 물 주입, 물 및 잔사의 배출을 1회만 행하도록 하였지만, 복수회 행해도 된다. 이에 의해 추출 용기(9) 내를 보다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25는 도 22의 배출 처리를 대신하는 배출 처리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의 S21~S23의 처리는 도 22의 S21~S23의 처리와 동일하다. S23의 처리 후, S24에서는 규정 횟수의 청소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규정 횟수란 예를 들어 2회이다. 완료되지 않은 경우는 S22로 되돌아가서 S22 및 S23의 처리를 다시 실행한다. 완료되어 있는 경우는 1회의 배출 처리를 종료한다.
또, S22 및 S23의 처리를 반복함에 있어서, 물의 양이나 가압 정도 혹은 타이밍을 변경해도 된다.
또한, S22의 물 주입시에 마개 부재(903)를 폐쇄 상태로 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추출 용기(9) 내에 물을 모아 마개 부재(913)도 폐쇄 상태로 하고, 추출 용기(9)의 반전 동작을 1회 또는 복수회 행해도 된다. 이에 의해 추출 용기(9) 내의 세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 25의 예와 같이 S22의 물 주입 처리를 복수회 행하는 경우, 2회째 이후의 물 주입 처리에 있어서 이러한 추출 용기(9)의 반전 동작을 행해도 된다. 첫회는 추출 용기(9) 내에 잔존하는 잔사의 양이 많아 용기 내에서 그 비산을 회피하기 위해서이다.
<재청소 처리>
커피액 추출 후 이외의 타이밍에서 추출 용기(9)의 청소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대기 상태에 행할 수 있다. 혹은, 사용자가 조작 유닛(12)으로부터 지시한 경우에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피액 추출 직후 이외의 타이밍에서 행하는 추출 용기(9)의 청소 처리를 재청소 처리라고 한다. 도 26은 재청소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31에서는 물 주입 처리를 행한다. S22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S32에서는 S31에서 주입한 물의 배수를 행한다. S23과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이상에 의해 1단위의 처리가 종료된다.
또, S31의 물 주입시에 마개 부재(903)를 폐쇄 상태로 하고 있어도 된다. 도 22나 도 25의 배출 처리의 경우는, 물 주입시에 마개 부재(903)를 폐쇄 상태로 하지 않고, 도 26의 재청소 처리의 경우만 물 주입시에 마개 부재(903)를 폐쇄 상태로 해도 된다. 혹은, 도 22나 도 25의 배출 처리의 경우도 물 주입시에 마개 부재(903)를 폐쇄 상태로 하지만, 배출 처리의 경우와 재청소 처리의 경우에 물 주입량을 다르게 해도 된다. 나아가 물 주입량은 사용자가 조작 유닛(12)으로부터 지시 가능해도 된다.
또한, 재청소 처리는 추출 용기(9)가 정립 자세인 경우에 실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추출 용기(9)를 반전시켜 도립 자세로 하여 실행해도 된다.
또한, 커피 음료의 제조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물탱크(72)의 온수를 이용한 재세정 처리를 자동으로 행해도 된다. 이 동작을 행함으로써, 유로 내에 차가워져 굳어진 커피액의 기름 성분 등을 씻어 흘려보낼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콩 처리 장치(2) 및 추출 장치(3)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또는 기능이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각 구성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 또는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서도 콩 처리 장치(2)의 하측에 추출 장치(3)가 배치되어 있고, 기본적인 구조는 공통되어 있다. 콩 처리 장치(2)는 저류 장치(4), 분쇄 장치(5)를 포함한다. 분쇄 장치(5)는 조립(粗粒)용 그라인더(5A), 미립(微粒)용 그라인더(5B) 및 이들의 사이에서 불요물을 분쇄된 콩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장치(6)를 포함한다.
분리 장치(6)의 형성 유닛(6B)과 그라인더(5B)의 사이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경사 하방으로 연장되는 반송관(50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분리 장치(6)에서 불요물이 제거된 분쇄된 콩은, 반송관(500)을 통과하여 그라인더(5B)에 공급된다(실질적으로 자연 낙하).
그라인더(5B)에는 노즐 타입의 송출관(501)이 설치되어 있다. 그라인더(5B)에서 미립화된 분쇄된 콩은 송출관(501)을 통과하여 배출된다. 송출관(501)은, 그 출구가, 용기 본체(90)가 콩 투입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딱 용기 본체(90)의 개구(90a)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7의 태양은, 용기 본체(90)가 추출 위치에 위치하고, 송출관(501)의 출구는 용기 본체(90)의 전방에서 약간 상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추출 위치에서의 용기 본체(90)는, 그라인더(5B)의 바로 아래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송출관(501)을 만곡시켜 그라인더(5B)의 바로 아래로부터 어긋난 위치로 분쇄된 콩을 송출하도록 한다.
본체부(53)에는, 분쇄된 콩의 입도를 조정하는 기어(53b')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53b')는 도시하지 않은 입도 조정 기구에 의해 조작된다.
<흡인 유닛>
도 27과 도 28을 참조하여 흡인 유닛(6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8은 흡인 유닛(6A)의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흡인 유닛(6A)은, 제1 실시형태의 흡인 유닛(6A)과 마찬가지로 원심 분리 방식의 기구이다. 기본적인 동작도 마찬가지이다. 즉, 송풍 유닛(60A)에 의해 회수 용기(60B) 내의 공기를 상방으로 배기한다. 이에 의해, 접속부(61c)를 통해 형성 유닛(6B)으로부터 불요물을 포함한 공기가 배기통(61b)의 주위를 선회하고, 불요물(D)이 그 중량에 따라 회수 용기(60B)에 낙하한다. 공기가 배기통(61b)의 주위를 선회할 때, 휜(61d)에 의해 공기의 선회와 불요물(D)의 분리가 가속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회수 용기(60B)의 하부(62)가 상측의 만곡부(62A)와 하측의 회수부(62B)를 포함하고, 이들은 분리 가능하게 걸어맞춤된다. 만곡부(62A)는, 상부(6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후 전방측으로 굴곡된 원통체이다.
회수부(62B)는 굴곡이 없는 곧은 바닥이 있는 원통체로서, 만곡부(62A)의 하단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수부(62B)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하측에 비스듬하게 경사져 장착되어 있다. 불요물(D)은 회수부(62B)의 일부에 모아진다(바닥부에 퇴적된다). 불요물(D)을 폐기하는 경우, 회수부(62B)를 만곡부(62A)로부터 분리한다. 그 때, 회수부(62B)를 전방 하방으로 뽑아내면 되므로, 사용자가 장치 정면으로부터 회수부(62B)의 분리 작업을 행하기 쉽다.
회수 용기(60B)의 상부(61)는, 원심 분리를 위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곡부(62A)를 설치함으로써, 원심 분리 성능과 회수부(62B)의 착탈 용이성을 양립할 수 있다.
회수 용기(60B)의 하부(62)는, 외부로부터 내부가 시인 가능한 투과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혹은, 만곡부(62A)는 비투과성 부재로 하고, 회수부(62B)만을 투과성을 갖는 부재로 해도 된다. 어떤 경우든 사용자가 불요물(D)의 퇴적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중부 유닛>
도 27,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여 중부 유닛(8B)의 구성, 특히 용기 본체(9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 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9는 중부 유닛(8B)이 구비하는 수평 이동 기구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30은 아암 부재(820)의 부분 사시도이다.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아암 부재(820)는 보유지지 부재(820a)와,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축부재(820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축부재(820b)는, 유닛 본체(81B')에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안내되면서 지지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부재(820b)의 수를 2개로 하였지만, 1개로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한 쌍의 축부재(820b)의 후단부에는 각각 랙(820c)이 설치되어 있다. 이 랙(820c)은, 모터(823)(도 17)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이 맞물려서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아암 부재(8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 범위는, 랙(820c)의 전후단이 다른 구성(예를 들어 유닛 본체(81B')의 전방측 원판부 등)과 간섭함으로써 제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랙-피니언 기구에 의해 아암 부재(820)를 수평 이동시켰지만, 볼 나사 기구 등 다른 구동 기구를 이용해도 된다.
보유지지 부재(820a)는, 한 쌍의 축부재(820b)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보유지지 부재(820a)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수지 등의 탄성 부재로서, 그 탄성력에 의해 용기 본체(90)를 보유지지한다. 보유지지 부재(820a)에 대한 용기 본체(90)의 착탈은 수동 조작으로 행하여, 보유지지 부재(820a)에 용기 본체(90)를 전후 방향 후방으로 눌러붙임으로써 용기 본체(90)가 보유지지 부재(820a)에 장착된다. 또한, 용기 본체(90)를 보유지지 부재(820a)로부터 전후 방향 전방으로 뽑아냄으로써 용기 본체(90)를 보유지지 부재(820a)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보유지지 부재(820a)는, 바닥부(BP), 좌우 측부(SP), 상부(UP) 및 좌우 걸어멈춤부(EP)를 일체로 포함하는 환상의 틀을 구성한다. 보유지지 부재(820a)를 환상의 틀로 함으로써, 그 탄성 변형을 허용하면서 전체적으로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바닥부(BP)는 평면에서 보아 전방측이 열린 C자형을 가지고 있고, 용기 본체(90)는 바닥부(BP) 상에 탑재된다. 좌우 측부(SP)는 바닥부(BP)의 후방측의 좌우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한 쌍의 축부재(820b)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용기 본체(90)를 보유지지한 상태에서, 좌우 측부(SP)는 용기 본체(90)의 바로 옆보다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부(UP)는 좌우 측부(SP)의 상단부 사이를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방으로 볼록형의 아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용기 본체(90)를 보유지지한 상태에서, 상부(UP)는 용기 본체(90)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어깨부(90d)에 아치 부분이 약간 겹친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90)가 부주의하게 위로 변위하는 것이 억제된다.
좌우 걸어멈춤부(EP)는, 좌우 측부(SP)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약간 내측으로 향해 있다. 용기 본체(90)를 보유지지한 상태에서, 좌우 걸어멈춤부(EP)는 용기 본체(90)의 측방으로부터 전방측에 걸쳐 위치하고, 그 선단부는 네크부(90b)를 전방측으로부터 누른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90)가 보유지지 부재(820a)로부터 전방측으로 탈락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보유지지 부재(820a)는, 용기 본체(90)를 보유지지한 상태에서, 정면으로부터 용기 본체(90)의 전방측이 시인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용기 본체(90)의 동작을 확인하기 쉽다. 또한, 용기 본체(90)의 전체 또는 일부가 투과부를 갖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그 내부가 정면으로부터 보기 쉬워져서 커피액의 추출 상황을 시인하기 쉽다.
유닛 본체(81B')의 후방측에는 롤러(RL)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RL)는, 유닛 본체(81B')가 회전할 때에 본체 프레임에 설치된 원형의 가장자리를 미끄러지게 되어 있다. 롤러(RL)는, 유닛 본체(81B')의 원주를 따라 120도마다 3개나 90도마다 4개 설치해도 된다. 유닛 본체(81B')가 어느 회전 각도이어도, 이 롤러(RL) 중 적어도 하나는 본체 프레임의 원형의 가장자리에 의해 그 무게를 지지하게 되어 있다. 롤러(RL)로부터 보유지지 부재(820a)까지의 거리가, 유닛 본체(81B')의 후방에서 지지하는 부분으로부터의 거리보다 짧게 함으로써, 상하 방향의 휨을 경감할 수도 있다.
<저류 장치>
<캐니스터 및 그 착탈 구조(제1예)>
도 27과 도 31~도 34를 참조하여 저류 장치(4)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니스터(40)가 홀더 유닛(43)에 착탈이 자유로운 카트리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볶은 커피콩의 종류 교환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도 31은 캐니스터(40)의 분해 사시도, 도 32는 캐니스터(40)의 통부의 단면도, 도 33은 캐니스터(40)의 구성 부품의 동작 설명도, 도 34는 장착 상태에서의 캐니스터(40) 주변의 수직 단면도이다.
홀더 유닛(43)은, 복수의 장착부(44)를 포함한다. 하나의 장착부(44)에 하나의 캐니스터(40)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홀더 유닛(43)은 3개의 장착부(44)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시에 3개의 캐니스터(40)를 장착할 수 있다. 3개의 캐니스터(40)를 구별하는 경우, 캐니스터(40A, 40B, 40C)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의 캐니스터(40)는, 볶은 커피콩을 수용하는 가늘고 긴 중공의 콩 용기이다. 캐니스터(40)는 통부(401), 덮개부(402), 접속부(403), 패킹(404), 출구 형성부(405) 및 출구 개폐부(408)의 각 부재를 포함한다.
통부(401)는, 양단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고, 볶은 커피콩의 수용 공간을 획정한다. 통부(401)의 양단부는, 모두 볶은 커피콩의 출입이 가능한 입구를 구성한다. 통부(401)의, 덮개부(402)측 단부의 입구는, 캐니스터(40)로부터 음료 제조 장치(1) 내로(컨베이어(41)로) 볶은 커피콩이 이동할 때에는 볶은 커피콩이 통과하지 않는 입구로서, 덮개부(402)를 개방하고 볶은 커피콩을 보충하는 경우에 볶은 커피콩이 통과하는 입구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통부(401)는 투과성을 갖는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용되어 있는 볶은 커피콩의 잔량을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통부(401)의 둘레벽에는, 스케일(SC)이 그 축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설치되어 있다. 스케일(SC)에는, 볶은 커피콩의 잔량의 기준이 되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도 32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일(SC)은, 통부(401)를 형성하는 판형 재료의 단부를 접속하는 접속 부분으로서도 기능한다.
통부(401)의 한쪽 단부에는, 환상의 패킹(404)을 통해 원통 형상의 접속부(403)가 끼워맞춤된다. 패킹(404)은 접속부(403)의 플랜지부와 통부(401)의 끝 가장자리 사이를 실링하지만, 생략해도 된다. 접속부(403)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402)는 이 암나사에 나사 맞춤되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접속부(403)에 대해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니스터(40)를 장착부(44)에 장착한 상태로 덮개부(402)를 돌려 분리하고 볶은 커피콩을 보충할 수도 있다.
덮개부(402)는 반구의 껍데기 형상을 가지고 있고, 통부(401)의 한쪽 단부를 폐쇄한다. 덮개부(402)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어 덮개부(402)를 돌리기 쉽게 되어 있다.
출구 형성부(405)는, 통부(401)의 다른 쪽 단부에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된다. 출구 형성부(405)는 상방으로 개방된 컵 형상의 부재로서, 그 둘레벽에는 출구(405a)가 형성되어 있다. 출구(405a)는 볶은 커피콩의 출입이 가능한 것이며, 통부(401)에 수용되는 볶은 커피콩은 출구(405a)로부터 외부로 배출 가능하다. 즉, 출구(405a)는, 캐니스터(40)로부터 음료 제조 장치(1) 내로(컨베이어(41)로) 볶은 커피콩이 이동할 때에 볶은 커피콩이 통과하는 것으로, 분쇄 장치(5)에의 콩 공급용이다.
또한, 출구 형성부(405)에는 돌기부(405b)가 형성되어 있어, 통부(401)의 개구부(401a)를 통과하여 통부(401)의 둘레벽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돌기부(405b)에는 장착부(44)에 대한 캐니스터(40)의 장착 방향을 나타내는 마크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출구 형성부(405)에는 돌기부(405b)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검지편(405c)이 형성되어 있고, 검지편(405c)도 개구부(401a)를 통과하여 통부(401)의 둘레벽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검지편(405c)은, 장착부(44)에 대한 캐니스터(40)의 장착 유무를 검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출구 형성부(405)의 바닥부에는 코일 스프링(40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출구 형성부(405)의 바닥부에는 고정 부재(406)가 조립된다. 도 31은 출구 형성부(405)에 고정 부재(406)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출구 형성부(405)에 출구 개폐부(408)가 장착되고 나서, 출구 형성부(405)와 고정 부재(406)에서 출구 개폐부(408)를 끼워넣도록 하여 출구 형성부(405)에 고정 부재(406)가 조립된다.
출구 개폐부(408)는, 출구 형성부(405)를 받아들이는 상방으로 개방된 컵 형상의 부재로서, 출구(405a)를 개폐하는 덮개 기구 혹은 덮개 부재를 구성한다. 출구 개폐부(408)의 둘레벽에는 개구부(408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408a)가 출구(405a)와 겹치면 출구(405a)가 개방 상태가 되고, 출구 개폐부(408)의 둘레벽이 출구(405a)와 겹치면 출구(405a)가 폐쇄 상태가 된다. 즉, 출구 개폐부(408)는, 통부(401)의 중심축선 둘레로 출구 형성부(40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출구 형성부(405)에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출구 개폐부(408)는, 후술하는 장착부(44) 측의 기구에 의해 조작되어 출구(405a)를 개폐한다.
출구 개폐부(408)의 바닥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통부(408b)가 설치되고, 이 통부(408b)의 내측 공간(408b')은 코일 스프링(407)이 배치되는 오목부를 형성한다. 상술한 고정 부재(406)는, 통부(408b)를 삽입 통과하여 출구 형성부(405)에 조립된다. 코일 스프링(407)은, 출구 개폐부(408)를 출구 형성부(405)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시(常時) 바이어스시킨다.
통부(408b)의 주위에는 돌기(408c)가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고정 부재(406)에 형성된 후크부(406a)가 걸어맞춤되는 노치(408d)가 형성되어 있다.
도 33을 참조하여 출구 개폐부(408)의 회전 규제 상태 및 회전 허용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3은 출구 형성부(405), 출구 개폐부(408) 및 고정 부재(406)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태(ST11)는 캐니스터(40)를 장착부(44)에 미장착 상태에서의, 출구 형성부(405) 및 출구 개폐부(408) 등을 2방향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노치(408d)에 후크부(406a)가 걸어맞춤되어 있고, 통부(401)의 중심축선 둘레로 출구 형성부(405)에 대해 출구 개폐부(408)가 회전하는 것이 규제된다. 출구(405a)는 폐쇄 상태에 있다. 코일 스프링(407)의 바이어스에 의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구 개폐부(408)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출구 형성부(405)가 바이어스되어 있다. 이에 의해, 노치(408d)와 후크부(406a)의 걸어맞춤이 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노치(408d)와 후크부(406a)는,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출구 개폐부(408)가 출구(405a)를 개방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로서 기능한다.
상태(ST12)는 캐니스터(40)를 장착부(44)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출구 형성부(405) 및 출구 개폐부(408) 등을 2방향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장착부(44)에는 출구 개폐부(408)와 접촉하는 접촉부(후술하는 셔터부(443))가 설치되어 있고, 장착부(44)에 대한 캐니스터(40)의 장착에 의해, 코일 스프링(407)의 바이어스에 저항하여 출구 개폐부(408)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구 개폐부(408) 측으로 출구 개폐부(408)가 상대 변위한다.
이에 의해, 노치(408d)가 후크부(406a)로부터 이격되어 양자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통부(401)의 중심축선 둘레로 출구 형성부(405)에 대해 출구 개폐부(408)가 회전하는 것이 허용된다. 도 33의 상태(ST22)에서는 출구(405a)는 폐쇄 상태에 있지만, 출구 개폐부(408)를 회전시킴으로써 출구(405a)를 개방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4는, 캐니스터(40)를 장착부(44)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그 주변 구조도 포함한 수직 단면도이다. 장착부(44)는, 캐니스터(40)의 단부가 삽입되는 컵 형상의 본체부(441)를 포함한다. 본체부(441)는 그 전방측이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여기에 캐니스터(40)의 통부(401)의 단부, 출구 형성부(405) 및 출구 개폐부(408)가 수용되고, 그 후방측은 격자 형상(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441)의 둘레벽의 끝 가장자리에는, 돌기부(405b)가 걸어맞춤되는 홈(44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441a)에 인접하여, 검지편(405c)을 검지하는 센서(441b)가 배치되어 있다. 센서(441b)는 예를 들어 포토 인터럽터이며, 센서(441b)가 검지편(405c)을 검지하면, 캐니스터(40)가 장착되었다고 처리부(11a)는 인식한다. 센서(441b)가 검지편(405c)을 검지하지 못하면, 캐니스터(40)가 장착되되지 않았다고 처리부(11a)는 인식한다.
또한, 본체부(441)의 둘레벽에는, 캐니스터(40)로부터 볶은 커피콩을 받아들이는 받아들임부(44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받아들임부(442)는 컨베이어(41)의 내부에 연통한 개구이다. 캐니스터(40)의 출구(405a)로부터 배출되는 볶은 커피콩은, 받아들임부(442)를 통과하여 컨베이어(41)로 도출된다.
본체부(441) 내에는, 출구 개폐부(408)의 외형에 피트하는 컵 형상을 갖는 부재인 셔터부(443)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부(443)는, 본체부(441) 내에서 캐니스터(40)의 중심축선 둘레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받아들임부(442)를 개폐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본체부(441)의 둘레벽에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롤러(441d)가 배치되어 있다(도 27 참조). 본체부(441)의 둘레벽에는, 롤러(441d)를 내부로 노출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롤러(441d)는, 캐니스터(40)의 지름 방향과 평행한 축둘레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셔터부(443)는 그 외주면이 본체부(441)의 내부에서 복수의 롤러(441d)에 접촉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캐니스터(40)가 미장착인 경우, 셔터부(443)는 받아들임부(442)를 폐쇄하여 컨베이어(41) 내에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4는 셔터부(443)가 받아들임부(442)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다. 캐니스터(40)가 장착된 후, 모터(41a)의 구동에 의해 셔터부(443)를 회전하여 받아들임부(442)를 개방할 수 있다.
셔터부(443)는 회전 부재(444)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 부재(444)는 출구 개폐부(408)를 조작하여 회전시켜 출구(405a)를 개폐한다. 회전 부재(444)는 구동축(445)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축(445)은, 캐니스터(40)가 장착된 경우에 그 중심축선과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모터(41a)의 구동력을 회전 부재(444)에 전달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회전 부재(444)는 전방측 상방으로 개구된 원통형 부재이다. 회전 부재(444)의 둘레벽의 끝 가장자리에는 홈(44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444a)에는 출구 개폐부(408)의 돌기(408c)가 걸어맞춤된다. 이 걸어맞춤에 의해, 회전 부재(444)를 회전하면 출구 개폐부(408)도 회전하여 출구(405a)를 개폐하게 된다. 도 34는 출구 개폐부(408)가 출구(405a)를 폐쇄 상태로 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회전 부재(444)의 회전에 따라, 셔터부(443)가 받아들임부(442)를 폐쇄하면서 출구 개폐부(408)가 출구(405a)를 폐쇄 상태로 한 상태(도 34의 상태. 폐쇄 상태라고 칭함)와, 셔터부(443)가 받아들임부(442)를 개방하면서 출구 개폐부(408)가 출구(405a)를 개방 상태로 한 상태(볶은 커피콩을 장치 내에 공급하는 상태. 개방 상태라고 칭함)로 저류 장치(4)의 상태를 절환할 수 있다. 이들 상태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셔터부(443)의 회전 위치를 검지함으로써 처리부(11a)에 인식할 수 있다(피드백 제어). 다른 예로서, 모터(41a)로서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고, 그 제어량(스텝수)으로 저류 장치(4)의 상태 인식과 절환을 행해도 된다(오픈루프 제어).
구동축(445)에는 베벨 기어(445a)가 설치되어 있고, 베벨 기어(445a)는 구동축(46)에 설치한 베벨 기어(445b)와 맞물려 있다.
구동축(46)은, 모터(41a)의 출력축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45a)와 맞물리는 톱니바퀴(45b)가 설치되어 있어, 모터(41a)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구동축(46)과 베벨 기어(445b)의 사이에는 원웨이 클러치(445c)가 개재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445c)는, 구동축(446)의 한쪽 방향의 회전만 베벨 기어(445b)에 전달한다. 즉, 모터(41a)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는, 모터(41a)의 구동력이 베벨 기어(445b), 베벨 기어(445a), 구동축(445)의 경로로 회전 부재(444)에 전달되지만, 모터(41a)를 이와는 반대인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는 전달되지 않는다.
컨베이어(41)는, 캐니스터(40)로부터의 볶은 커피콩을 반송하는 반송 기구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컨베이어(41)는 캐니스터(40) 측이 아니라 장착부(44) 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컨베이어(41)는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장착부(44) 측에 남도록 설치되어 있다. 캐니스터(40)와 컨베이어(41)를 일체로 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다른 몸체로 구성함으로써 캐니스터(40)의 간략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컨베이어(41)의 스크류축은, 원웨이 클러치(47a)를 통해 구동축(46)에 연결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47a)의 구동 전달 방향은, 원웨이 클러치(445c)와 반대 방향이다. 즉, 모터(41a)를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는, 모터(41a)의 구동력이 스크류축(47)에 전달되어 볶은 커피콩이 반송되지만, 모터(41a)를 이와는 반대인 일방향으로 회전한 경우는 전달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41a)의 회전 방향을 정역으로 절환함으로써, 회전 부재(444)의 회전(즉,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의 회전)과 스크류축(47)의 회전을 배타적으로 행할 수 있다.
캐니스터(40)의 장착 및 분리에 관한 처리부(11a)의 제어예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에 장착되면, 센서(441b)에 의해 이것이 검지된다. 처리부(11a)는 모터(41a)를 구동하여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를 개방 상태로 한다. 돌기(408c)는, 본체부(441)의 내주벽에 설치된 스토퍼(441c)와 캐니스터(40)의 축선 방향으로 걸어맞춤되어, 사용자가 손을 놓아도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로부터 탈락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돌기(408c)는, 출구 개폐부(408)가 출구(405a)를 개방하고 있는 경우에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출구(405a)가 개방된 채로 캐니스터(40)가 분리되어 캐니스터(40) 내의 볶은 커피콩이 흘러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가 개방 상태가 됨으로써, 캐니스터(40) 내의 볶은 커피콩이 받아들임부(442)를 통과하여 컨베이어(41) 내에 도입된다. 이 상태로 대기한다.
커피 음료의 제조시에는, 모터(41a)를 구동하여 스크류축(47)을 회전하고 정지한다. 이에 의해 집합 반송로(42)로 볶은 커피콩이 반송된다. 스크류축(47)의 회전량에 의해, 커피 음료의 제조에 이용하는 볶은 커피콩의 양이 자동 계량된다. 1회 커피 음료의 제조에서 복수의 볶은 커피콩을 블렌드하여 커피 음료의 제조를 행하고자 하는 경우는, 캐니스터(40) 사이에 컨베이어(41)에 의한 집합 반송로(42)로의 반송량 비율을 바꾸어도 된다. 이에 의해, 복수 종류의 볶은 커피콩이 블렌드된 분쇄된 콩을 추출 용기(9)에 공급할 수 있다.
캐니스터(40)를 교환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 유닛(12)으로부터 교환 지시를 행한다. 처리부(11a)는, 모터(41a)를 구동하여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를 폐쇄 상태로 되돌린다. 사용자는 장착부(44)로부터 캐니스터(40)를 분리할 수 있다.
<캐니스터 및 그 착탈 구조(제2예)>
도 31~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예의 캐니스터(40) 및 장착부(44)와 부분적으로 다른 제2예의 캐니스터(40) 및 장착부(44)에 대해 도 35~도 4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예의 각 구성 중에서 제1예와 동일한 구성 또는 기능이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예에서의 각 구성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 또는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5~도 37은, 제2예의 캐니스터(40) 및 장착부(44)를 여러 방향에서 본 외관도를 나타낸다. 제1예의 장착부(44)의 본체부(441)에 있어서 그 후방측이 격자 형상(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하였는데, 제2예의 본체부(441)의 마찬가지 구성이며, 그 구조가 도 36 등으로부터 이해된다. 본체부(441)의 후방측은 복수의 리브(441e)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내측의 회전 부재(444) 등이 시인 가능해진다.
회전 부재(444)에는, 그 둘레방향으로 180도 이격된 2개의 검지편(444b)을 가지고 있다. 포토 인터럽터 등의 센서(441f)가 2개 설치되어 있고, 이들은 2개의 검지편(444b)을 검지한다. 처리부(11a)는, 센서(441f)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회전 부재(444)의 회전 위치를 인식한다. 즉, 제1예에서 서술한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가 폐쇄 상태에 있는지 개방 상태에 있는지를 인식한다.
도 38은, 캐니스터(40)를 장착부(44)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그 주변 구조도 포함한 수직 단면도이다. 제2예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제1예와 동일하지만, 출구(405a)의 주연(周緣)에 있어서 출구 형성부(405)의 둘레벽에 탄성 변형부(405d)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변형부(405)는, 출구(405a)의 주연으로부터 출구 형성부(405)의 둘레벽에 평행한 슬릿을 넣어 형성한 부분이며, 이에 의해 그 주위의 부위보다 변형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탄성 변형부(405d)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예는, 출구 개폐부(408)의 회전 규제 및 회전 허용에 관한 구성이 제1예와 다르다. 이 점을 도 39, 도 4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9의 상태 ST1은 출구 개폐부(408)가 회전 규제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39의 상태 ST22는 출구 개폐부(408)가 회전 허용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 40은 도 39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이 도면의 상태 ST21, ST22는 도 39의 상태 ST21, ST22에 대응한다.
제2예에서는, 제1예에서의 출구 형성부(405)의 코일 스프링(407), 고정 부재(406)의 후크부(406a)가 설치되지 않고, 출구 형성부(405)에 대해 출구 개폐부(408)가 통부(401)의 축방향으로 상대 변위하는 구성이 아니라 이 축둘레로 상대 회전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예의 스케일(SC)은 홈(GR)을 가지며, 여기에 슬라이더(409)가 조립되어 있다. 슬라이더(409)는 스케일(SC)의 표면측 부재와 이면측 부재를 2개의 볼트로 체결하여 구성되어 있고, 홈(GR)을 따라 스케일(SC)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제1예의 돌기부(405b), 검지편(405c)에 상당하는 구성으로서, 슬라이더(409)는 돌기부(405b'), 검지편(405c')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409)는,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NB)도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409)는, 스케일(SC)에 형성된 오목부(CT1, CT2) 중 어느 하나와 걸어맞춤 가능한 볼록부(409a)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409)는, 볼록부(409a)가 오목부(CT1)와 걸어맞춤하는 제1 위치와, 볼록부(409a)가 오목부(CT2)와 걸어맞춤하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다. 상태 ST21이나 상태 ST22는 슬라이더(409)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40의 상태 ST23은 슬라이더(409)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슬라이더(409)는 기본적으로 제1 위치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볶은 커피콩의 물림(biting) 해제시에 제2 위치에 수동으로 슬라이드된다.
제2예의 스케일(SC)의 단부에는, 출구 형성부(405) 측으로 개구된 통형의 지지부(SC')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SC')에는, 제1예의 코일 스프링(407), 후크부(406a)를 대신하는 코일 스프링(407'), 가동 부재(406a')가 지지되어 있다. 출구 개폐부(408)의 끝 가장자리에는, 제1예의 노치(408d)를 대신하는 노치(408d')가 형성되어 있다. 상태 ST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406a')가 노치(408d')와 걸어맞춤함으로써 통부(401)의 중심축선 둘레로 출구 형성부(405)에 대해 출구 개폐부(408)가 회전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 때, 출구(405a)는 폐쇄 상태에 있다. 코일 스프링(407')에 의해, 가동 부재(406a')가 노치(408d') 측으로 상시 바이어스된다. 이에 의해, 노치(408d')와 가동 부재(406a')의 걸어맞춤이 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노치(408d')와 가동 부재(406a')는,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출구 개폐부(408)가 출구(405a)를 개방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로서 기능한다.
캐니스터(40)를 장착부(44)에 장착하면, 상태 ST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부(443)의 끝 가장자리에 가동 부재(406a')가 접촉하고, 코일 스프링(407')의 바이어스에 저항하여 지지부(SC') 내로 밀어넣어진다. 이에 의해 가동 부재(406a')와 노치(408d')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통부(401)의 중심축선 둘레로 출구 형성부(405)에 대해 출구 개폐부(408)가 회전하는 것이 허용된다.
제2예에서의, 캐니스터(40)의 장착 및 분리에 관한 처리부(11a)의 제어예에 대해 주로 도 38~도 4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에 장착되면, 셔터부(443)의 끝 가장자리에 가동 부재(406a')가 접촉하고, 이에 의해 가동 부재(406a')와 노치(408d')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상태 ST22의 상태).
캐니스터(40)의 장착이 센서(441b)에 의해 검지되고, 처리부(11a)는 모터(41a)를 구동하여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를 개방 상태로 한다. 도 41의 상태 ST31은 출구 개폐부(408)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상태 ST32는 상태 ST31로부터 출구 개폐부(408)가 개방 상태로 이행한 경우를 예시한다.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가 개방 상태가 되면, 돌기(408c)는, 본체부(441)의 내주벽에 설치된 스토퍼(441c)와 캐니스터(40)의 축선 방향으로 걸어맞춤되어, 사용자가 손을 놓아도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로부터 탈락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돌기(408c)는, 출구 개폐부(408)가 출구(405a)를 개방하고 있는 경우에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출구(405a)가 개방된 채로 캐니스터(40)가 분리되어 캐니스터(40) 내의 볶은 커피콩이 흘러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가 개방 상태가 됨으로써, 캐니스터(40) 내의 볶은 커피콩이 받아들임부(442)를 통과하여 컨베이어(41) 내에 도입된다. 이 상태로 대기한다.
커피 음료의 제조시에는, 모터(41a)를 구동하여 스크류축(47)을 회전시키고 정지한다. 이에 의해 집합 반송로(42)로 볶은 커피콩이 반송된다. 스크류축(47)의 회전량에 따라, 커피 음료의 제조에 이용하는 볶은 커피콩의 양이 자동 계량된다.
받아들임부(442)의 밑에는, 콩 잔량 검지 센서(SR)가 설치되어 있다. 콩 잔량 검지 센서(SR)는, 예를 들어 투과식 센서(포토 인터럽터)이다. 이 위치에서 콩이 없다고 검지되고 나서 소정 횟수(예를 들어 2잔분)의 커피 음료의 제조를 행하면, 캐니스터(40)의 속이 비어 있음을 통지해도 된다.
캐니스터(40)를 교환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는 조작 유닛(12)으로부터 교환 지시를 행한다. 처리부(11a)는, 모터(41a)를 구동하여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를 폐쇄 상태로 되돌린다. 도 41의 상태 ST33은, 상태 ST32로부터 출구 개폐부(408)가 폐쇄 상태로 되돌아가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가 폐쇄 상태가 되면, 돌기(408c)와 스토퍼(441c)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사용자는 장착부(44)로부터 캐니스터(40)를 분리할 수 있다. 장착부(44)로부터 캐니스터(40)를 분리하면, 코일 스프링(407')의 바이어스에 의해 다시 가동 부재(406a')가 노치(408d')와 걸어맞춤한다(상태 ST21의 상태). 이에 의해, 통부(401)의 중심축선 둘레로 출구 형성부(405)에 대해 출구 개폐부(408)가 회전하는 것이 다시 규제되고, 부주의하게 출구(405a)로부터 캐니스터(40)에 잔류한 볶은 커피콩이 흘러넘치는 것이 방지된다.
<물림의 대책>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되돌리는 경우, 출구(405a)의 노출 정도(개구 면적)가 출구 개폐부(408)의 둘레벽과 겹침에 따라 서서히 좁아진다. 도 41의 점선보다 하측에는, 출구 개폐부(408)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되돌리는 과정에서 출구(405a)의 노출 정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출구 형성부(405)의, 출구(405a)를 획정하는 둘레벽의 가장자리(ED1)와, 출구 개폐부(408)의, 개구부(408a)를 획정하는 둘레벽의 가장자리(ED2)는, 모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이 되고, 또한 통부(401) 측에서 출구(405a)의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장자리(ED1)와 가장자리(ED2)의 사이에 위치하는 볶은 커피콩이 통부(401) 측으로 밀려나오기 쉬워지고, 복수의 지점에서 콩의 물림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가장자리(ED1 및 ED2)를 볼록한 형상으로 하지 않고, 직선 형상으로 하면서 통부(401) 측에서 출구(405a)의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해도 된다.
가장자리(ED1)의 단부는 탄성 변형부(405d)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출구(405a)의 폐쇄 직전에 볶은 커피콩을 탄성 변형부(405d)와 가장자리(ED2)의 사이에서 물림이 된 경우에, 탄성 변형부(405d)가 변형되어 콩이 튀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볶은 커피콩의 물림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볶은 커피콩의 물림 방지에 관한 제어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2~도 44는 캐니스터(40)의 지름 방향의 단면도로서, 수용되는 볶은 커피콩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 42~도 44는 캐니스터(40)의 장착으로부터 분리까지의 제어를 예시한다.
도 42는, 장착부(44)에 캐니스터(40)가 장착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가 폐쇄 상태에 있다. 도 43은, 도 42의 상태로부터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가 개방 상태로 절환된 상태를 나타낸다. 출구(405a) 및 받아들임부(442)가 개방되어 컨베이어(41) 내에 볶은 커피콩이 유출된다.
도 44는, 다시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를 폐쇄 상태로 되돌리는 상태를 나타낸다. 출구(405a)가 완전히 폐쇄되기 전에 한 번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의 회전을 정지한다. 출구(405a)는 그 일부가 폐쇄된 상태가 되고, 예를 들어 볶은 커피콩이 한 알 통과 가능할 정도로 개방해 둔다. 모터(41a)가 스테핑 모터인 경우, 그 제어량(스텝수)으로 출구(405a)의 개방도 제어가 가능하다.
이 상태로 컨베이어(41)를 구동하여 받아들임부(442)의 주변으로부터 볶은 커피콩을 제거한다. 그 후, 컨베이어(41)를 정지하고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를 전부 폐쇄하여 폐쇄 상태로 완전히 되돌린다. 이에 의해, 볶은 커피콩을 물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42~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 형성부(405), 출구 개폐부(408) 및 셔터부(443)의 끝 가장자리의 단면 형상은 쐐기 형상 혹은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볶은 커피콩과 끝 가장자리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므로, 그 물림 방지에 기여한다.
또한, 도 34나 도 38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아들임부(442)의 주변 공간은 후방측보다 전방측이 용적을 크게 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되돌리는 경우에, 서서히 좁아지는 출구(405a)의 주변 공간을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고, 볶은 커피콩의 물림을 방지할 수 있다. 후방측을 좁힘으로써, 여기에 잔류하는 볶은 커피콩을 줄일 수 있고, 도 44의 상태로 컨베이어(41)를 구동할 때, 컨베이어(41)에 의해 반출되는 볶은 커피콩(예를 들어 폐기됨)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도 45~도 47도 캐니스터(40)의 지름 방향의 단면도로서, 수용되는 볶은 커피콩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 45~도 47은, 비교적 대량의 볶은 커피콩이 받아들임부(442) 및 캐니스터(40)에 잔류되어 있는 상태에서,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되돌리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45는,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가 개방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비교적 대량의 볶은 커피콩이 출구(405a)나 받아들임부(442) 부근에 체류되어 있다.
도 46은,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를 폐쇄 상태로 되돌리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4의 예와 마찬가지로 출구(405a)가 완전히 폐쇄하기 전에 한 번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의 회전을 정지한다. 이 상태로 컨베이어(41)를 구동하여 받아들임부(442)의 주변으로부터 볶은 커피콩을 제거한다. 그 후, 컨베이어(41)를 정지하고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를 폐쇄 상태로 완전히 되돌린다. 그러나,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볶은 커피콩을 물리는 경우가 있다.
처리부(11a)는, 예를 들어 소정 시간 내에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가 폐쇄 상태로 되돌아왔음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물림의 발생을 통지한다. 볶은 커피콩의 물림은, 출구(405a)를 약간 넓혀 주면 해소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수동으로 출구 형성부(405)(통부(401))를 약간 돌려 출구(405a)를 약간 넓혀 주면 된다. 그러나, 캐니스터(40)가 장착부(44)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돌기부(405b')와 홈(441a)의 걸어맞춤에 의해 출구 형성부(405)(통부(401))를 수동으로 회전할 수 없다.
그래서, 도 40의 상태 ST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슬라이더(409)를 제2 위치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해 돌기부(405b')가 홈(441a)으로부터 이탈하여 양자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출구 형성부(405)(통부(401))를 수동으로 회전하여 물림을 해소할 수 있다. 그 후는 사용자가 슬라이더(409)를 제1 위치로 수동으로 되돌리고, 조작 유닛(12)으로부터 폐쇄 상태로의 동작 재개를 지시한다. 처리부(11a)는, 모터(41a)를 구동하여 셔터부(443) 및 출구 개폐부(408)를 폐쇄 상태로 완전히 되돌린다.
<받아들임부 및 집합 반송로>
저류 장치(4)는, 장착부(44)마다의 받아들임부(442)와는 별도로 장착부(44)와는 다른 부위에 받아들임부를 구비해도 된다. 그 구성예에 대해 다시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7의 예에서는, 받아들임부(442)와는 다른 받아들임부(42c)가 설치되어 있다. 받아들임부(42c)는, 집합 반송로(42)의 전방측 벽부에 형성된 개구부이다. 사용자는, 이 받아들임부(42c)로부터 볶은 커피콩을 손으로 혹은 깔때기 형상의 기구를 이용하여 집합 반송로(42) 내에 투입할 수 있다. 투입된 볶은 커피콩은 자중으로 배출구(42b)로부터 분쇄 장치(5)에 공급되어 그 커피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받아들임부(42c)는, 예를 들어 캐니스터(40)에 수용되지 않은 특별한 볶은 커피콩을 이용하여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특별한 한 잔의 커피 음료의 제조에 이용하는 제조 처리 프로그램은 선택 가능해도 되고, 사용자가 설정한 제조 조건으로 동작하는 제조 처리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니스터(40)로부터 볶은 커피콩의 공급을 받는 받아들임부(442)와, 개별적으로 볶은 커피콩의 공급을 받는 받아들임부(42c)를 설치함으로써, 받아들임부(442)에 의해 동종의 커피 음료의 양산성을 확보하면서, 받아들임부(42c)에 의해 개별적인 요구에 대응 가능한 음료 제조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받아들임부(442)로부터 분쇄 장치(5)(특히 조립 그라인더(5A))까지의 공급 경로(RT1)(도 27 외, 도 34도 참조)보다 받아들임부(42c)로부터 분쇄 장치(5)(특히 조립 그라인더(5A))까지의 공급 경로(RT2)가 경로 길이가 짧다. 받아들임부(42c)로부터 볶은 커피콩을 투입하면, 대체로 직접 배출구(42b)로 낙하하여 분쇄 장치(5)에 공급된다. 이는, 투입된 볶은 커피콩의 전량을 보다 확실히 분쇄 장치(5)에 공급할 수 있어 콩의 낭비나 계량 오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공급 경로(RT2)는, 공급 경로(RT1)의 도중에 합류한 경로이다. 각각 완전히 독립한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보다 구조를 간소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공급 경로(RT2) 상에는 컨베이어(41)가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받아들임부(42c)로부터 투입된 볶은 커피콩은 자동 계량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자유롭게 계량하여 원하는 양의 볶은 커피콩을 받아들임부(42c)로부터 투입함으로써 커피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공급 경로(RT2) 상에 볶은 커피콩을 자동 계량하는 기구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집합 반송로(42)는, 그 전방벽이 전방 상방으로 경사져 있어 전체적으로 경사진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기울임으로써, 받아들임부(42c)에서 볶은 커피콩을 받기 쉬워지고, 또한 컨베이어(41)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볶은 커피콩도 분쇄 장치(5)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받아들임부(42c)는 개구부이므로, 받아들임부(42c)를 통해 컨베이어(41)의 상태를 육안으로 점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받아들임부(42c)는 점검창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집합 반송로(42) 및 받아들임부(42c)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8의 예는, 받아들임부(42c)를 2개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받아들임부(42c)는 복수 설치해도 된다. 한쪽의 받아들임부(42c)에는 힌지(42e)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덮개(42d)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받아들임부(42)를 덮개(42d)로 폐쇄해 둠으로써 집합 반송로(42)에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힌지(42e)를 설치하는 부위는 덮개(42d)의 상측, 하측, 이면측, 표면측 어느 것이라도 된다. 다른 쪽의 받아들임부(42c)는, 호퍼 형상의 관부재(42f)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관부재(42f)는,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합 반송로(42)로부터 분리 가능해도 된다. 개구부(42g)는, 관부재(42f)의 장착용 구멍이다. 이 개구부(42g)는, 집합 반송로(42)의 내부나 컨베이어(41)를 육안 점검하는 점검구멍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9는 좌우에 벽부를 구비하는 덮개(42d)를 예시한다. 좌우 벽부를 구비함으로써, 개방하여 볶은 커피콩을 투입할 때에 덮개(42d) 옆으로 흘러넘치기 어려워진다. 받아들임부(42c)를 통해 육안으로 시인 가능한 것은, 컨베이어(41)의 상태뿐만 아니라 받아들임부(442)로부터 받아들인 볶은 커피콩의 상태나 받아들임부(442)로부터 받아들인 볶은 커피콩이 기계 내로 송출되는 상태나 받아들임부(442)로부터 받아들인 볶은 커피콩이 기계 내로 송출되는 동작이 이루어져 있거나 송출되는 것을 지령하는 조작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송출되지 않은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받아들임부(442)로부터 받아들인 볶은 커피콩이 하류(예를 들어 밀측)로 흐르는 상태를 육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받아들임부(442)로부터 받아들인 볶은 커피콩이 하류(예를 들어 밀측)로 흐르는 것을 사용자가 받아들임부(42c)를 통해 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도 된다. 받아들임부(42c)로부터 받아들인 볶은 커피콩을 받아들임부(442)로부터 시인 불가능하게 해도 된다.
도 50의 구성예 EX11은, 배출구(42b)가 받아들임부(42c) 혹은 집합 반송로(42)의 좌우 방향 폭의 중심선(CL)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집합 반송로(42)의 좌측 바닥부(LB)와 우측 바닥부(RB)에서 경사가 다르다. 좌우 비대칭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집합 반송로(42) 내의 특정 부위에 볶은 커피콩이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도 50의 구성예 EX12는, 분쇄 장치(5)(특히 조립 그라인더(5A))의 측부에 배출구(42b)를 연결하여 볶은 커피콩을 공급하는 예를 나타낸다. 그라인더의 구성에 따라서는, 커터의 측방으로부터 볶은 커피콩이 공급되는 것이 위로부터 공급되는 경우보다 원활하게 동작하는 경우가 있다. 배출구(42b)의 위치는, 집합 반송로(42)의 바닥부 외에 좌우 측부, 전방부 또는 후방부이어도 된다.
도 51의 예는, 복수의 배출구(42b)를 설치하고, 또한 집합 반송로(42) 내에 볶은 커피콩을 어느 하나의 배출구(42b)로 배분하는 배분 기구(42h)를 설치한 예를 나타낸다. 도 51의 예는 2개의 배출구(42b)가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어 한쪽은 분쇄 장치(5)에 접속되고 다른 쪽은 폐기 상자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41)에 잔류한 볶은 커피콩을 폐기하는 경우, 배분 기구(42h)에 의해 집합 반송로(42)에 도입되는 볶은 커피콩을 폐기 상자측 배출구(42b)로 배분한다. 또한, 예를 들어, 받아들임부(42c)(도 51에는 도시생략)를 통해 투입된 볶은 커피콩을 분쇄 장치(5) 측의 배출구(42b)로 배분한다.
도 52~도 54는, 저류 장치(4)를 덮는 하우징(1a)의 예를 예시한다. 하우징(1a)은 음료 제조 장치(1)의 외장을 형성한다. 도 52는 캐니스터(40)를 장착한 상태로의 하우징(1a)의 사시도, 도 53은 하우징(1a)의 정면도, 도 54는 도 53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하우징(1a)은, 힌지부(1c)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본체 하우징에 대해 개폐가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은 하우징(1a)이 폐쇄 상태인 경우의 설명이다. 또한, 하우징(1a)에는 전원 스위치(1b)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a)에는 받아들임부(42c)가 형성되어 있고, 받아들임부(42c)는 덮개(42d)에 의해 개폐된다. 받아들임부(42c)의 개구 윤곽은, 상측이 덮개(42d)에 의해, 하측이 하우징(1a)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아들임부(42c)의 배후에는 집합 반송로(42)가 배치되어 있고, 받아들임부(42c)는 집합 반송로(42)와 연통한다. 덮개(42d)를 개방하여 받아들임부(42c)에 볶은 커피콩을 투입하면,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합 반송로(42)에 볶은 커피콩이 안내되고, 집합 반송로(42)로부터 도 54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분쇄 장치(5)로 배출된다. 받아들임부(42c)의 내주벽은 집합 반송로(42) 전면으로 향하여 경사진 깔때기 형상을 가지고 있고, 투입된 볶은 커피콩이 집합 반송로(42)에 원활하게 안내된다.
집합 반송로(42)의 투입구(42a)는 집합 반송로(42)의 후방벽에 형성되어 있다. 캐니스터(40)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컨베이어(41)를 통해 반송되는 볶은 커피콩은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합 반송로(42)에 도입되고, 도 54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분쇄 장치(5)로 배출된다. 덮개(42d)를 개방하면, 받아들임부(42c)를 통해 내부의 컨베이어(41)(도시생략)를 시인할 수 있고 그 점검을 행할 수 있다.
힌지(42e)의 근방에는 자석(42e')이 배치되어 있다. 덮개부(42d)에는 개방시에 자석(42e')에 접촉하는 부위에 금속 플레이트(42d')가 설치되어 있고, 자석(42e')이 금속 플레이트(42d')를 흡착함으로써, 덮개부(42d)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42d)의 선단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오목부에 손가락을 걸기 쉬워 덮개부(42d)를 조작하기 쉽게 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
음료 제조 장치(1)의 외장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하우징 구성예 1>
도 55는, 하우징(100)으로 내부 기구가 둘러싸인 음료 제조 장치(1)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하우징(100)은, 전방벽, 후방벽, 상벽, 좌우 측벽을 포함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벽에는 캐니스터(40)가 배치되고, 또한 받아들임부(42c)가 배치되어 있다. 전방벽의 하방에는 취출구(104)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놓인 컵에는 커피 음료가 주입된다.
전방벽에는, 하우징(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투과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투과부(101)를 설치함으로써, 음료 제조 장치(1)의 전방측으로부터 내부 기구를 시인할 수 있고 그 동작 확인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커피 음료의 제조 과정을 커피 음료의 구입자 등이 관찰할 수도 있다. 하우징(100)에 있어서, 투과부(101) 이외의 부위는 기본적으로 비투과부이지만, 다른 투과부를 포함해도 된다.
투과부(101)는, 관통공 또는 투명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유리나 아크릴 수지 등의 투명 부재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100) 내의 증기 등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투명 부재는, 무색 투명이어도 되고 유색 투명이어도 된다. 증기를 하우징(100) 밖으로 송출하는 증기 경로를 마련해도 되고, 이러한 증기 경로는 예를 들어 하우징 내의 소정 장소에 설치된 증기 입구, 음료 제조 장치(1)의 배면부에 증기 출구, 증기 입구 및 증기 출구를 연결하는 증기관, 증기 출구 또는 증기 출구 근방의 증기 경로의 공기나 증기를 음료 제조 장치(1) 밖으로 송출하는 증기 송출용 팬으로 구성해도 된다. 증기 입구는, 그라인더(5A)의 입구 근방, 출구 근방, 그라인더(5B)의 입구 근방, 출구 근방, 콩 투입 위치에 위치하는 추출 용기(9)의 개구(90a) 근방이나 콩 투입 위치에 위치하는 추출 용기(9)의 개구(90a) 근방 등의 어느 하나의 위치, 또는 복수의 위치에 설치해도 되는 투과부(101)를 투명 부재로 구성하고, 이 투과부(101)에 증기가 유출되는 구멍이나 노치를 마련하거나, 하우징에 구멍이나 노치나 간극 등을 마련하여 구성되는 증기 유출부를 탑재하는 경우는, 증기 유출부는 콩 투입 위치에 위치하는 추출 용기(9)가 증기 입구보다 가까워지는 위치 관계로 해도 되고, 증기 유출부는 추출 위치에 위치하는 추출 용기(9)가 증기 입구보다 가까워지는 위치 관계로 해도 되며, 증기 유출부는 그라인더(예를 들어 그라인더 5A나 5B 중 적어도 한쪽)가 증기 입구보다 가까워지는 위치 관계로 해도 되고, 증기 유출부는 콩 투입 위치에 위치하는 추출 용기(9)가 증기 입구보다 멀어지는 위치 관계로 해도 되며, 증기 유출부는 추출 위치에 위치하는 추출 용기(9)가 증기 입구보다 멀어지는 위치 관계로 해도 되고, 증기 유출부는 그라인더(예를 들어 그라인더 5A나 5B 중 적어도 한쪽)가 증기 입구보다 멀어지는 위치 관계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투과부(101)는 판형의 투명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힌지(102)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투과부(101)를 개방하면 내부 기구에 액세스할 수 있고 그 유지보수도 가능해진다. 도 56은 투과부(101)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다.
투과부(101)의 하부에는 손잡이(103)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03)를 파지함으로써, 용이하게 투과부(101)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투과부(101)로 개폐되는 개구부(105)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손잡이(10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투과부(101)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105a)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투과부(101)의 개방 방향은 상방향이지만, 힌지(102)를 투과부(101)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하방향으로 해도 된다. 또한, 투과부(101)의 개폐 방향은 상하 방향이 아니라 좌우 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투과부(101)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기구를 설치해도 되고, 이러한 기구는 예를 들어 힌지(102)에 설치해도 된다. 투과부(101)는, 측벽이나 상벽에도 설치해도 된다.
<하우징 구성예 2>
하우징(100)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7은, 다른 구성예의 하우징(100)으로 내부 기구가 둘러싸인 음료 제조 장치(1)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구성예 2의 하우징(100)에 대해, 도 55 및 도 56의 하우징(100)과 동일한 구성 또는 기능이 공통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우징(100)은, L자형 본체(110)와, 본체(110)의 스테이지(111) 상에 배치된 내부 기구(IM)를 둘러싸는 투과부(101)를 포함한다. 투과부(101)는 껍데기 형상의 투명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 표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투과부(101)는 내부 기구(IM)의 전방측, 좌우 측방, 상방에 걸쳐 연장 설치되어 있고, 음료 제조 장치(1)의 전방, 측방 및 상방으로부터 내부 기구(IM)를 시인 가능하다.
내부 기구(IM)의 발열이나 증기에 의해 투과부(101)가 흐려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투과부(101)의 내측 부위에 있어서, 배판(112)에는 환기부(112a)가 형성되어 있다. 환기부(112a)는 외기에 연통한 구멍이어도 되고, 덕트이어도 된다. 환기부(112a)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부와 하부에 복수 설치되어 있지만, 그 배치는 도시한 형태 이외의 배치도 채용 가능하다.
내부 기구(IM)의 증기나 누수에 의해 스테이지(111) 상이 젖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스테이지(111)에는 배수부(111a)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부(111a)에는, 도시하지 않은 폐기 탱크에 접속되는 파이프가 접속된다.
상술한 구성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예 2도 투과부(101)는 힌지(102)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투과부(101)를 개방하면 내부 기구(IM)에 액세스할 수 있고 그 유지보수도 가능해진다. 투과부(101)의 하부에는 손잡이(103)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03)를 파지함으로써, 용이하게 투과부(101)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스테이지(111)의 전단에 있어서, 손잡이(10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손잡이(103)와 접촉하는 스토퍼(105a)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103)와 스토퍼(105a)는 자력에 의해 흡착하는 금속판 및 자석을 설치해도 된다.
도 58은, 투과부(101)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다. 도 58의 상측에 나타내는 폐쇄 상태에서는, 내부 기구(IM)의 부분을 제외하고 투과부(101)를 통과하여 음료 제조 장치(1)의 일 측방으로부터 타 측방까지를 볼 수도 있다. 구성예 2에서는 힌지(102)가 투과부(101)의 상부에서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투과부(101)의 개방 방향은 상방향이지만, 힌지(102)를 투과부(101)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앞쪽 방향으로 해도 된다. 또한, 투과부(101)의 개폐 방향은 상하 방향이 아니라 좌우 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투과부(101)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기구를 설치해도 되고, 이러한 기구는 예를 들어 힌지(102)에 설치해도 된다. 투과부(101)의 개폐를 검지하는 센서를 마련하여, 투과부(101)의 개방 조작이 검지되면 커피 음료의 제조 동작을 중지하는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한, 투과부(101)의 개폐를 규제하는 로크 기구를 마련하여, 커피 음료의 제조 동작 중에는 로크 기구를 작동하여 투과부(101)의 개방을 금지하는 제어를 행해도 된다.
<하우징에 둘러싸인 기구와 시인 가능한 기구>
구성예 1이나 구성예 2에서 나타낸 하우징(100)에 둘러싸이는 기구는, 콩 처리 장치(2) 및 추출 장치(3)의 전부 또는 일부이어도 된다. 구성예 1과 같이 캐니스터(40)는 그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취출구(104)는 하우징(100)의 외측에 있어도 되고 내측에 있어도 된다. 그라인더(5A)로부터 송출되는 분쇄된 콩은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하지 못하고, 그라인더(5B)로부터 송출되는 분쇄된 콩은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투과부(101)를 통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내부 기구로서는, 저류 장치(4), 분쇄 장치(5), 추출 장치(3)의 전부 또는 일부를 들 수 있다. 가능한 한 많은 기구가 음료 제조 장치(1)의 정면측으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기구가 좌우로 어긋나 배치되어도 된다.
분쇄 장치(5)에 대해 추가로 말하면, 분리 장치(6)의 전부 또는 일부를 들 수 있다.
분리 장치(6) 중에서는, 특히 회수 용기(62B)의 전부 또는 일부가 투과부(101)를 통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면, 회수 용기(62B) 내의 불요물을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시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수 용기(62B) 내의 불요물이 송풍 유닛(60A)의 송풍으로 흩날리는 상태를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8의 구성예의 경우, 점선(L11)보다 전방측 부분만이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하는 것도 가능해도 된다.
또한, 분쇄 장치(5)에 대해 추가로 말하면, 조립 그라인더(5A)나 미립 그라인더(5B)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하는 것도 가능해도 된다.
추출 장치(3)에 대해 추가로 말하면, 추출 용기(9)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하는 것도 가능해도 된다. 추출 용기(9)의 반전 동작 등의 추출 용기(9)의 자세 변화나, 추출 용기(9)(용기 본체(90))의 전후 방향의 수평 이동 등의 동작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하는 것도 가능해도 된다. 추출 용기(9) 내의 제1 마개 부재(예를 들어 913)의 개폐를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할 수 있도록 해도 되고 시인할 수 없도록 해도 된다. 추출 용기(9) 내의 제2 마개 부재(예를 들어 903)의 개폐를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할 수 있도록 해도 되고 시인할 수 없도록 해도 된다. 추출 용기(9) 내의 덮개 유닛(예를 들어 91)의 개폐를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투과부(101)를 통해 시인할 수 있도록 해도 되고 시인할 수 없도록 해도 된다.
<제5 실시형태>
추출 용기(9)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9는 본 실시형태의 추출 용기(9)의 단면도로서, 파지 부재(821a)로 잠겨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60은, 용기 본체(90)와 덮개 유닛(91)을 자동적으로 센터링하는 안내 기능의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추출 용기(9)는, 차양부(911c)와 플랜지부(90c)에 각각 안내부(911e)와 안내부(90g)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안내부(911e)와 안내부(90g)는, 덮개 유닛(91)이 개구(90a)를 막을 때에, 한쪽이 다른 쪽을 안내하여 용기 본체(90)와 덮개 유닛(91)을 자동적으로 센터링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안내부(911e)는 차양부(911c)의 전체둘레에 걸쳐 형성된 환상의 홈이다. 이 홈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이며, 하향으로(용기 본체(90) 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안내부(90g)는, 플랜지부(90c)의 전체둘레에 걸쳐 형성된 환상의 리브이다. 이 리브는 플랜지부(90c)로부터 상향으로(덮개 유닛(91) 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안내부(911e)의 내면 경사에 대응하여 경사져 있다.
도 60은, 덮개 유닛(91)이 개구(90a)로부터 이격된 상태로부터 개구(90a)를 막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60의 예의 경우, 용기 본체(90)의 중심선(CLc)으로부터 덮개 유닛(91)이 미소량만큼 어긋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 덮개 유닛(91)의 중심은 축(913a)의 축심이다.
도 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90)의 중심선(CLc)으로부터 덮개 유닛(91)이 어긋나 있으면, 차양부(911c)와 플랜지부(90c)가 겹쳐질 때에, 안내부(90g)가 안내부(911e)의 지름 방향 내측의 경사면과 접촉하고, 그 안내에 의해 용기 본체(90)의 중심선(CLc)에 덮개 유닛(91)의 중심이 맞도록 적어도 어느 한쪽이 가로방향으로 미소 변위한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90)와 덮개 유닛(91)을 자동으로 센터링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부(911e)를 홈으로 하고 안내부(90g)를 리브로 하였지만, 이들은 반대 관계이어도 된다. 또한, 안내부(911e)나 안내부(90g)의 형상도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파지 부재(821a)의 단면 형상은 도 17의 예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상이 되고, 단면 형상의 상변을 이루는 상측 내면(US)과, 단면 형상의 하변을 이루는 하측 내면(LS)은 서로 평행이다. 로크 상태에서, 상측 내면(US)은 차양부(911c)의 상면 일부(접촉면)(911c')와 접촉하고, 하측 내면(LS)은 차양부(911c)의 하면 일부(접촉면)(90c')와 접촉한다. 로크 상태에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측 내면(US), 하측 내면(LS), 접촉면(911c'), 접촉면(90c')은 서로 평행이며 중심선(CLc)과 직교한다. 추출 용기(9) 내를 가압한 경우, 덮개 유닛(91)과 용기 본체(90)에는 상하 방향(보다 정확하게는 중심선(CLc) 방향)으로 이들을 서로 분리하는 힘이 작용한다. 상측 내면(US), 하측 내면(LS), 접촉면(911c'), 접촉면(90c')이 서로 평행함으로써, 이 분리하는 힘의 분력으로서 한 쌍의 파지 부재(821a)를 좌우로 개방하는 방향으로의 분력이 작용하기 어려워지고 로크 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상술한 각 실시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오로지 커피 음료를 대상으로 하였지만, 일본차, 홍차 등의 차, 스프 등의 각종 음료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추출 대상으로서 커피콩, 커피의 생콩, 커피콩의 분쇄된 콩, 볶은 커피콩, 볶은 커피콩의 분쇄된 콩, 볶지 않은 커피콩, 볶지 않은 커피콩의 분쇄된 콩 등, 분말의 커피콩, 인스턴트 커피, 포트에 넣은 커피 등을 예시하고, 음료로서 커피 음료 등을 예시하며, 음료액으로서 커피액을 예시하였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 대상으로서 일본차, 홍차, 우롱차 등의 찻잎, 분쇄된 찻잎, 야채, 분쇄된 야채, 과일, 분쇄된 과일, 곡물, 분쇄된 곡물, 표고버섯 등의 버섯류, 표고버섯 등의 버섯류를 분쇄한 것, 표고버섯 등의 버섯류를 가열 후에 건조시킨 것, 표고버섯 등의 버섯류를 가열 후에 건조시킨 것을 분쇄한 것, 가다랑어 등의 어류, 가다랑어 등의 어류를 분쇄한 것, 가다랑어 등의 물고기를 가열 후에 건조시킨 것, 가다랑어 등의 물고기를 가열 후에 건조시킨 것을 분쇄한 것, 다시마 등의 해조류, 다시마 등의 해조류를 분쇄한 것, 다시마 등의 해조류를 가열 후에 건조시킨 것, 다시마 등의 해조류를 가열 후에 건조시킨 것을 분쇄한 것, 소, 돼지, 새 등의 고기를 가열 후에 건조시킨 것, 이 고기 등을 가열 후에 건조시킨 것을 분쇄한 것, 소뼈, 돼지뼈, 새뼈 등의 고기를 가열 후에 건조시킨 것, 이 뼈 등을 가열 후에 건조시킨 것을 분쇄한 것 등의 추출 재료이면 되고, 음료로서 일본차, 홍차, 우롱차, 야채 주스, 과일 주스, 국, 국물, 스프 등 음료이면 되고, 음료액으로서 일본차 진액, 홍차 진액, 우롱차 진액, 야채 진액, 과일 진액, 버섯 진액, 물고기 등의 진액, 고기 진액, 뼈 진액 등의 진액류이면 된다. 또, 실시예 중에서 물, 수돗물, 정수, 온수, 세정수라고 기재되어 있는 곳이 있지만, 예를 들어 물을 온수와 치환하거나 온수를 물과 치환해도 되는 등 어느 하나의 기재를 다른 기재로 치환해도 되고, 모두 액체, 수증기, 고온수, 냉각수, 냉수 등과 치환해도 된다. 예를 들어 추출 대상(예를 들어, 볶은 커피콩의 분쇄된 콩)과 온수를 추출 용기(9)에 넣는다고 하는 기재이면, 추출 대상(예를 들어, 볶은 커피콩의 분쇄된 콩)과 냉수(단지 물로도 됨)를 추출 용기(9)에 넣는다고 하는 기재로 치환해도 되고, 이 경우이면 콜드 브루 커피 등의 추출 방법이나 음료 제조 장치로서 파악해도 된다.
<실시형태의 정리>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의 장치 또는 방법을 적어도 개시한다.
A1. 볶은 커피콩의 분쇄된 콩으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하는 분리 장치(예를 들어 6)로서,
상기 분쇄된 콩이 통과하는 분리실(예를 들어 SC)을 형성하는 형성 유닛(예를 들어 6B)과,
상기 분쇄된 콩의 통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분리실과 연통하며 이 분리실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 유닛(예를 들어 6A)을 구비하고,
상기 형성 유닛은,
상기 분리실과 연통한, 상기 분쇄된 콩의 투입구(예를 들어 65a, 65a')와,
상기 분리실과 연통한, 상기 분쇄된 콩의 배출구(예를 들어 66)를 가지며,
상기 흡인 유닛의 흡인에 의해,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분리실로 공기가 흡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A2. 상기 배출구의 개구 면적(예를 들어 SC2)은, 상기 투입구의 개구 면적(예를 들어 SC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A3. 상기 형성 유닛은 통형부(예를 들어 65)를 구비하고,
상기 통형부의 일단 개구부(예를 들어 65a)는 상기 투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통형부의 타단 개구부(예를 들어 65b)는 상기 분리실에 면하고,
상기 배출구의 개구 면적은, 상기 타단 개구부의 개구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A4. 상기 통형부의 내부 공간은, 그 단면적이 상기 일단 개구부 측으로부터 상기 타단 개구부 측으로 향하여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예를 들어 도 6)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A5. 상기 통형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상기 통형부의 상기 흡인 유닛 측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는, 반대측 하단의 적어도 일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예를 들어 도 9, EX3)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A6. 상기 흡인 유닛의 흡인에 의해, 상기 투입구로부터 상기 분리실로 공기가 흡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A7. 상기 통형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타단 개구부는, 상기 배출구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한 영역 내에 들어가는(예를 들어 도 8)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A8. 상기 일단 개구부, 상기 타단 개구부 및 상기 배출구는 모두 원형이며, 또한 동일 중심선(예를 들어 CL) 상에 배치되어 있는(예를 들어 도 8)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A9. 상기 형성 유닛은,
상기 동일 중심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흡인 유닛과의 연통로를 형성하는 관부(예를 들어 63)와,
상기 관부에 접속되며 상기 분리실을 형성하는 분리실 형성부(예를 들어 64)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실 형성부는, 상기 동일 중심선을 중심으로 한 원환 형상을 가지고 있는(예를 들어 도 8)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A10. 상기 배출구의 주위벽에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분리실로 흡인되는 공기에 난류를 발생시키는 난류 촉진부(예를 들어 6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A11. 상기 난류 촉진부는, 복수의 난류 촉진 요소(예를 들어 67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A12. 상기 복수의 난류 촉진 요소는, 상기 배출구의 주위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A13. 상기 복수의 난류 촉진 요소는, 복수의 돌기, 복수의 노치 또는 복수의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A14. 상기 통형부는 상기 분리실 내에 돌출되어 있고,
상기 통형부의 상기 일단 개구부는 상기 분리실 밖에 위치하며,
상기 통형부의 상기 타단 개구부는 상기 분리실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A15. 볶은 커피콩을 거칠게 분쇄하는 제1 그라인더(예를 들어 5A)와,
상기 제1 그라인더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된 콩으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하는 상기 분리 장치와,
상기 분리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된 콩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제2 그라인더(예를 들어 5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장치(예를 들어 5).
A16. 상기 분쇄 장치와,
상기 분쇄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된 콩으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 장치(예를 들어 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예를 들어 1).
B1. 볶은 커피콩의 분쇄된 콩으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 방법으로서,
상기 분쇄된 콩과 액체가 수용된 추출 용기 내를 제1 기압으로부터 상기 제1 기압보다 낮은 제2 기압으로 절환하는 감압 공정(예를 들어 S15)과,
상기 분쇄된 콩으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 공정(예를 들어 S17)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압은 소정의 온도의 상기 액체가 비등하지 않는 기압이고,
상기 제2 기압은 상기 제1 기압에서 비등하지 않았던 상기 액체가 비등하는 기압이며,
상기 제1 기압으로부터 상기 제2 기압으로의 절환은, 상기 추출 용기 내의 기압을 해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방법.
B2. 상기 추출 공정에서는, 상기 추출 용기로부터 이 추출 용기 내의 액체를 배출하면서 투과식에 의해 커피액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방법.
B3. 상기 추출 공정에서는, 상기 추출 용기 내에서 침지식에 의해 커피액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방법.
B4. 상기 액체란 고온수가고,
상기 소정의 온도란 상기 액체의 상기 제1 기압에서의 비점 이상의 온도이며,
상기 제1 기압이란 대기압을 초과하는 기압이고,
상기 제2 기압이란 대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방법.
B5. 상기 추출 용기에 공급되는 액체는 가온된 액체이며, 또한 이 액체가 비등하지 않는 제3 기압으로 상기 추출 용기에 압송되고,
상기 제3 기압은 상기 제1 기압보다 낮고 상기 제2 기압보다 높은 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방법.
B6. 상기 감압 공정 전에, 상기 추출 용기에 공급되는 액체에 의해 상기 분쇄된 콩을 뜸들이는 뜸들임 공정(예를 들어 S11)을 포함하고,
상기 뜸들임 공정에서는, 상기 추출 용기 내의 기압을 상기 제3 기압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방법.
B7. 상기 감압 공정 전에, 상기 추출 용기 내에서 침지식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는 공정(예를 들어 S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방법.
B8. 볶은 커피콩의 분쇄된 콩으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 장치(예를 들어 3)로서,
추출 용기(예를 들어 9)와,
상기 추출 용기에 액체 및 공기압을 공급하는 공급 유닛(예를 들어 7)과,
상기 공급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예를 들어 11)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분쇄된 콩과 상기 액체가 수용된 상기 추출 용기 내를 제1 기압으로부터 상기 제1 기압보다 낮은 제2 기압으로 절환하는 감압 제어를 실행하며(예를 들어 S15),
상기 제1 기압은 소정의 온도의 상기 액체가 비등하지 않는 기압이고,
상기 제2 기압은 상기 제1 기압에서 비등하지 않았던 상기 액체가 비등하는 기압이며,
상기 제1 기압으로부터 상기 제2 기압으로의 절환은, 상기 추출 용기 내의 기압을 해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C1. 볶은 커피콩의 분쇄된 콩으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 장치(예를 들어 3)로서,
개구(예를 들어 90a)를 갖는 네크부(예를 들어 90b)와 몸통부(예를 들어 90e)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된 콩과 액체가 수용되는 추출 용기(예를 들어 9)와,
상기 네크부의 상기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된 콩의 누출을 규제하는 필터(예를 들어 910)와,
상기 추출 용기의 자세를, 상기 네크부가 상측인 제1 자세로부터 상기 네크부가 하측인 제2 자세로 변화시키는 구동 유닛(예를 들어 8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C2. 상기 추출 용기는, 상기 필터를 포함한 덮개 유닛(예를 들어 91)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 유닛은,
상기 추출 용기에 대해 상기 분쇄된 콩을 투입하는 경우(예를 들어 S2)에 상기 개구를 개방하고,
상기 추출 용기 내에서 커피액을 추출하는 경우에 상기 개구를 덮는(예를 들어 S3)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C3. 상기 제1 자세에서 상기 분쇄된 콩이 상기 몸통부에 퇴적하고,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분쇄된 콩이 상기 네크부에 퇴적하며,
상기 추출 용기는, 상기 제2 자세에서는 상기 제1 자세보다 상기 분쇄된 콩의 퇴적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C4. 상기 네크부는, 상기 몸통부보다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C5. 상기 추출 용기는, 상기 몸통부와 상기 네크부 사이의 어깨부(예를 들어 90d)를 가지며,
상기 어깨부는 상기 네크부로 향하여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C6. 상기 네크부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C7. 상기 제1 자세는, 적어도 미리 정한 침지 시간 동안 유지되는(예를 들어 S14)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C8. 상기 제2 자세는, 적어도 미리 정한 투과 시간 동안 유지되는(예를 들어 S17)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C9. 볶은 커피콩의 분쇄된 콩으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 방법으로서,
제1 자세의 추출 용기 내에서, 이 추출 용기에 제1 태양으로 퇴적된 상기 분쇄된 콩을 액체에 침지하는 침지 공정(예를 들어 S14)과,
상기 추출 용기의 자세를 제1 자세로부터 제2 자세로 반전시켜, 상기 분쇄된 콩을 제2 태양으로 퇴적시키는 반전 공정(예를 들어 S16)과,
상기 제2 자세의 상기 추출 용기로부터 상기 액체를 송출하는 투과 공정(예를 들어 S17)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태양은 상기 제1 태양보다 상기 분쇄된 콩의 퇴적 두께가 두꺼운 태양이며,
상기 투과 공정에서는, 상기 제2 태양으로 퇴적되어 있는 상기 분쇄된 콩을 통과시켜 상기 액체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방법.
C10. 상기 추출 용기는 굵은 부분(예를 들어 90e)과 가는 부분(예를 들어 90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세에서는 상기 굵은 부분에 상기 분쇄된 콩이 퇴적하고,
상기 제2 자세에서는 상기 가는 부분에 상기 분쇄된 콩이 퇴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방법.
D1. 볶은 커피콩의 분쇄된 콩으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하는 분리 장치(예를 들어 6)와,
상기 분리 장치에 의해 상기 불요물이 분리된 상기 분쇄된 콩으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 장치(예를 들어 3)를 구비하는 음료 제조 장치(예를 들어 1)로서,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외장을 형성하는 하우징(예를 들어 100)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외부로부터 상기 분리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제1 투과부(예를 들어 1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D2. 볶은 커피콩의 분쇄된 콩으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 장치(예를 들어 3)를 구비하는 음료 제조 장치(예를 들어 1)로서,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외장을 형성하는 하우징(예를 들어 100)을 구비하고,
상기 추출 장치는, 상기 분쇄된 콩과 액체가 수용되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 용기(예를 들어 9)와, 커피액을 추출할 때에 이 추출 용기를 움직이는 구동 유닛(예를 들어 8B)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외부로부터 상기 추출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제1 투과부(예를 들어 1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D3.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불요물이 수용되는 회수 용기(예를 들어 60B)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 용기는, 수용되어 있는 상기 불요물을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2 투과부(예를 들어 6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투과부 및 상기 제2 투과부를 통해 상기 회수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불요물을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D4.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회수 용기 내의 공기를 배기하는 송풍 유닛(예를 들어 60A)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유닛과 상기 회수 용기는, 상기 불요물을 이 회수 용기의 일부에 모으는 원심 분리 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D5. 상기 회수 용기가 상기 분리 장치에 착탈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D6. 볶은 커피콩을 거칠게 분쇄하는 제1 그라인더(예를 들어 5A)와,
볶은 커피콩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제2 그라인더(예를 들어 5B)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제1 그라인더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된 콩으로부터 상기 불요물을 분리하며,
상기 제2 그라인더는, 상기 분리 장치에 의해 상기 불요물이 분리된 상기 분쇄된 콩을 미세하게 분쇄하고,
상기 제2 그라인더는, 상기 제1 투과부를 통해 상기 제2 그라인더의 적어도 일부가 시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D7. 상기 제1 투과부는, 개폐가 자유롭게 구성되는(예를 들어 도 56, 도 58)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D8. 상기 제1 투과부는, 적어도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전방 및 측방으로부터 이 장치의 내부를 시인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예를 들어 도 58)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D9. 상기 제1 투과부는, 곡면을 포함하는(예를 들어 도 58)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D10.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에 의해 커피액의 추출시에 상기 추출 용기의 자세가 변화하고,
상기 제1 투과부를 통해 상기 추출 용기의 자세 변화를 시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E1. 볶은 커피콩을 원료로 한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 장치(예를 들어 1)로서,
볶은 커피콩을 수용한 콩 용기(예를 들어 40)와,
상기 콩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부(예를 들어 44)와,
상기 볶은 커피콩을 받아들이는 제1 받아들임부(예를 들어 442)와,
상기 볶은 커피콩을 받아들이는 제2 받아들임부(예를 들어 42c)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받아들임부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콩 용기로부터 상기 볶은 커피콩을 받아들이고,
상기 제2 받아들임부는, 상기 장착부와는 다른 부위에 형성된 개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E2. 상기 제1 받아들임부에 받아들여진 소정의 양의 볶은 커피콩을 하류측으로 자동 송출하는 송출 유닛(예를 들어 41)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받아들임부에 받아들여진 볶은 커피콩은, 상기 송출 유닛에 의해 자동 송출되지 않고 음료의 제조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E3. 볶은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예를 들어 5A)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받아들임부 또는 상기 제2 받아들임부에서 받아들여진 볶은 커피콩은, 상기 그라인더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E4. 상기 제1 받아들임부로부터 상기 그라인더까지의 볶은 커피콩의 공급 경로(예를 들어 RT1)보다, 상기 제2 받아들임부로부터 상기 그라인더까지의 볶은 커피콩의 공급 경로(예를 들어 RT2)가 경로 길이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E5. 상기 제1 받아들임부에 받아들여진 볶은 커피콩이 통과하는 제1 공급 경로(예를 들어 RT1)와,
상기 제2 받아들임부에 받아들여진 볶은 커피콩이 통과하는 제2 공급 경로(예를 들어 RT2)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공급 경로는, 상기 제1 공급 경로의 도중에 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E6. 상기 송출 유닛은, 스크류 컨베이어이며, 스크류축(예를 들어 47)의 회전량에 따라 소정의 양의 상기 볶은 커피콩의 송출을 행하는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E7. 상기 개구부(예를 들어 42c)를 통해 상기 송출 유닛을 시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E8. 상기 콩 용기는, 상기 제1 받아들임부에 대한 볶은 커피콩의 출구(예를 들어 405a)와, 이 출구를 개폐하는 덮개 기구(예를 들어 408)를 구비하고,
상기 음료 제조 장치는, 상기 덮개 기구를 조작하여, 상기 장착부에 대한 상기 콩 용기의 장착 후에 상기 출구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자동 개방하는 구동 기구(예를 들어 41a, 444, 445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E9.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덮개 기구를 조작하여, 상기 출구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자동 폐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F1. 볶은 커피콩의 분쇄된 콩으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 장치(예를 들어 3)로서,
상기 분쇄된 콩과 액체가 수용되며 상기 분쇄된 콩으로부터 커피액이 추출되는 용기(예를 들어 90)와,
상기 용기를, 이 용기에 상기 분쇄된 콩을 공급하는 분쇄된 콩 공급 위치(예를 들어 도 9의 점선의 콩 투입 위치)와, 이 용기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위치(예를 들어 도 9의 실선의 추출 위치)로 이동하는 구동 유닛(예를 들어 8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F2. 상기 추출 장치의 외장을 형성하는 하우징(예를 들어 100)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외부로부터 상기 용기의 이동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투과부(예를 들어 1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F3.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용기를 상기 분쇄된 콩 공급 위치와 상기 액체 공급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예를 들어 도 9)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F4.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용기를 수평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는(예를 들어 도 9)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F5.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예를 들어 8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F6.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용기를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 부재(예를 들어 820a)와,
상기 보유지지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재(예를 들어 820b)를 포함하고,
상기 보유지지 부재는, 상기 용기의 이동 방향을 상기 용기의 정면-배면 방향으로 한 경우, 상기 용기의 좌우의 각 측부 및 바닥부에 걸쳐 연장 설치되며(예를 들어 도 29, 도 30),
상기 축부재는, 상기 용기의 상기 각 측부에서 상기 보유지지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축부재는 상기 이동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F7. 상기 분쇄된 콩 공급 위치에서 상기 용기에 상기 분쇄된 콩이 공급된 후, 상기 액체 공급 위치에서 상기 용기에 액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F8. 상기 액체 공급 위치에서 상기 용기에 예열용 액체가 공급된 후, 상기 분쇄된 콩 공급 위치에서 상기 용기에 상기 분쇄된 콩이 공급되고, 그 후 상기 액체 공급 위치에서 상기 용기에 액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F9. 상기 용기의 이동 방향을 상기 용기의 정면-배면 방향으로 한 경우, 상기 투과부를 통해 상기 용기의 정면이 시인 가능하고, 또한 상기 액체 공급 위치는 상기 분쇄된 콩 공급 위치보다 안쪽 위치인(예를 들어 도 9)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F10. 상기 액체 공급 위치에서 상기 용기의 개구(예를 들어 90a)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덮개 유닛(예를 들어 91)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 유닛은, 상기 용기 내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구멍(예를 들어 911a)을 포함하며,
상기 액체 공급 위치에서 상기 개구에 상기 덮개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용기 내에 액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F11. 상기 액체 공급 위치에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덮개 유닛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가 상기 분쇄된 콩 공급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 내에 상기 분쇄된 콩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F12.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액체 공급 위치에서 상기 덮개 유닛이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자세와,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자세로 상기 용기 및 상기 덮개 유닛을 반전하는 기구와, 상기 구멍을 개폐하는 마개 부재(예를 들어 91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세에서 상기 용기 내에 액체가 공급되며,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마개 부재는 상기 구멍을 개방하고, 이 구멍을 통해 커피 음료가 상기 용기로부터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G1. 볶은 커피콩의 분쇄된 콩으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 장치(예를 들어 3)로서,
상기 분쇄된 콩과 액체가 수용되며 상기 분쇄된 콩으로부터 커피액이 추출되는 추출 용기(예를 들어 9)와,
상기 추출 용기에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예를 들어 7)을 구비하고,
상기 추출 용기는,
상기 추출 용기 내의 커피 음료가 송출되는 제1 구멍(예를 들어 911a)과,
상기 추출 용기 내의 청소에 이용한 액체가 송출되는 제2 구멍(예를 들어 90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G2. 상기 추출 용기의 자세를 제1 자세와 제2 자세로 반전시키는 구동 유닛(예를 들어 8B)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멍은 상기 제1 자세에서 상기 추출 용기의 하단부에,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추출 용기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제1 자세에서 상기 추출 용기의 상단부에,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추출 용기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G3. 상기 추출 용기가 상기 제1 자세의 상태에서 상기 추출 용기 내의 커피 음료가 상기 제1 구멍을 통해 송출된 후,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상기 추출 용기가 상기 제2 자세로 변화되고, 상기 제1 구멍을 통해 상기 공급 유닛에 의해 청소용 액체가 상기 추출 용기 내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G4. 상기 제1 구멍으로부터 상기 추출 용기 내의 상기 분쇄된 콩이 누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필터(예를 들어 9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G5. 상기 필터는 금속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G6. 상기 금속 필터는, 상기 제1 자세에서 상기 추출 용기의 상기 하단부 측에,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추출 용기의 상기 상단부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G7. 상기 추출 용기는, 상기 제1 구멍을 개폐하는 제1 마개 부재(예를 들어 913)와, 상기 제2 구멍을 개폐하는 제2 마개 부재(예를 들어 9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G8. 상기 추출 용기는, 그 내부를 시인 가능한 투과부(예를 들어 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G9. 상기 제2 구멍이 상기 제1 구멍보다 크고,
상기 제1 구멍으로부터 상기 청소용 액체가 상기 추출 용기 내에 공급될 때에, 상기 제1 구멍으로부터 공기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H1. 볶은 커피콩을 원료로 한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 장치(예를 들어 1)로서,
볶은 커피콩을 수용한 콩 용기(예를 들어 40)와,
상기 콩 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예를 들어 44)와,
상기 콩 용기로부터 상기 볶은 커피콩을 반송 가능한 반송 기구(예를 들어 41)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콩 용기가 상기 장착부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상기 장착부 측에 남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H2. 상기 콩 용기는,
상기 볶은 커피콩의 출입이 가능한 제1 입구(예를 들어 통부(401)의 단부)와,
상기 볶은 커피콩의 출입이 가능한 제2 입구(예를 들어 405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구는, 상기 콩 용기로부터 상기 음료 제조 장치 내로 상기 볶은 커피콩이 이동할 때에 통과하지 않는 입구이며,
상기 제2 입구는, 상기 콩 용기로부터 상기 음료 제조 장치 내로 상기 볶은 커피콩이 이동할 때에 통과하는 입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H3. 상기 콩 용기는, 상기 제2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예를 들어 4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H4. 상기 콩 용기는,
통부(예를 들어 401)와,
상기 통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입구를 형성하는 형성 부재(예를 들어 405)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통부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형성 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H5.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개폐 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제2 입구를 개방 가능한 구동 기구(예를 들어 41a, 444, 445c)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H6.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개폐 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제2 입구를 폐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H7.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제2 입구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콩 용기의 분리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예를 들어 408c)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H8. 상기 반송 기구는, 받아들임부(예를 들어 442)에 받아들여진 상기 볶은 커피콩을 반송하고,
상기 받아들임부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콩 용기로부터 상기 볶은 커피콩을 받아들이며,
상기 개폐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입구를 일부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반송 기구를 구동하고(예를 들어 도 44), 그 후 상기 개폐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입구를 전부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H9. 상기 반송 기구는, 받아들임부(예를 들어 442)에 받아들여진 상기 볶은 커피콩을 반송하고,
상기 받아들임부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콩 용기로부터 상기 볶은 커피콩을 받아들이며,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받아들임부를 개폐하는 셔터(예를 들어 44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H10. 상기 콩 용기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2 입구를 개방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예를 들어 406a, 408d, 406a', 408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I1. 볶은 커피콩의 분쇄된 콩으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추출 장치(예를 들어 3)로서,
상기 분쇄된 콩과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예를 들어 90)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예를 들어 90a)를 막는 덮개(예를 들어 91)와,
상기 덮개가 상기 개구를 막은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를 잠그는 로크 기구(예를 들어 8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I2.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개구를 획정하는 주연부(예를 들어 90c)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주연부와 겹치는 차양부(예를 들어 911c)를 포함하며,
상기 로크 기구는, 서로 겹쳐진 상기 주연부와 상기 차양부를 끼워넣도록 하여 이들에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부(예를 들어 8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I3. 상기 끼워맞춤부는,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주연부와 접촉하는 제1면(예를 들어 LS)과, 상기 차양부와 접촉하는 제2면(예를 들어 US)을 포함하고,
상기 주연부는 상기 제1면과 접촉하는 제3면(예를 들어 90c')을 포함하며,
상기 차양부는 상기 제2면과 접촉하는 제4면(예를 들어 911c')을 포함하고,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제1면 내지 상기 제4면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I4. 상기 덮개를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예를 들어 801)와,
상기 보유지지부를, 상기 덮개가 상기 개구를 막는 제1 위치와, 상기 덮개가 상기 개구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구동 수단(예를 들어 8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I5. 상기 차양부와 상기 주연부는, 상기 차양부와 상기 주연부가 겹쳐질 때에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의 위치가 맞도록 서로를 안내하는 안내부(예를 들어 90g, 911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I6. 상기 덮개는,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의 사이를 실링하는 시일 부재(예를 들어 919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I7. 상기 로크 기구가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를 잠그고 있는 경우, 상기 구동 수단을 구동해도 상기 덮개를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I8.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를 관통하는 구멍(예를 들어 911a)과,
상기 구멍을 개폐하는 마개 부재(예를 들어 913)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가 상기 로크 기구에 의해 잠겨진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 내에는 상기 구멍을 통해 대기압보다 높은 기압의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I9. 상기 마개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 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기압에 의해 개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I10.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를 관통하는 구멍(예를 들어 911a)과,
상기 구멍을 개폐하는 마개 부재(예를 들어 913)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가 상기 로크 기구에 의해 잠겨진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 내에는 상기 구멍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I11. 상기 마개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 내에 공급되는 액체의 액압에 의해 개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공표하기 위해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Claims (5)

  1. 추출 대상으로부터 음료액을 추출하는 추출 방법으로서,
    제1 자세의 추출 용기에 있어서, 이 추출 용기에 제1 태양으로 퇴적된 상기 추출 대상을 액체에 침지하는 침지 공정과,
    상기 추출 용기의 자세를 제1 자세로부터 제2 자세로 변화시키는 자세 변화 공정과,
    상기 제2 자세의 상기 추출 용기의 송출부로부터 상기 음료액을 송출하는 송출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자세 변화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추출 용기는, 상기 송출부가 폐쇄된 상태이며,
    상기 제2 자세의 상기 추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추출 대상이 제2 태양으로 퇴적되며,
    상기 제2 태양은 상기 제1 태양보다 상기 추출 대상의 퇴적 두께가 두꺼운 태양이며,
    상기 송출 공정에서는, 상기 제2 태양으로 퇴적되어 있는 상기 추출 대상을 통과시킨 상기 음료액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기는 굵은 부분과 가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세에서는 상기 굵은 부분에 상기 추출 대상이 퇴적하고,
    상기 제2 자세에서는 상기 가는 부분에 상기 추출 대상이 퇴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료액은 커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방법.
  4. 추출 대상으로부터 음료액을 추출하는 추출 장치로서,
    상기 추출 대상과 액체가 수용되는 추출 용기와,
    상기 추출 용기의 송출부의 개폐 조작을 행하는 조작 유닛과,
    상기 추출 용기의 상기 송출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추출 용기의 자세를, 상기 송출부가 상측을 향하는 제1 자세로부터 상기 송출부가 하측을 향하는 제2 자세로 변화시키는 자세 변화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자세의 상기 추출 용기의 상기 송출부로부터 상기 음료액이 송출되고,
    상기 추출 용기는, 상기 제2 자세에서는 상기 제1 자세보다 상기 추출 대상의 퇴적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음료액은 커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 장치.
KR1020207013812A 2017-08-07 2017-08-07 추출 장치 및 추출 방법 KR102252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7021834A KR102157110B1 (ko) 2017-08-07 2017-08-07 추출 장치 및 추출 방법
PCT/JP2017/028624 WO2019030806A1 (ja) 2017-08-07 2017-08-07 抽出装置及び抽出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834A Division KR102157110B1 (ko) 2017-08-07 2017-08-07 추출 장치 및 추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478A true KR20200056478A (ko) 2020-05-22
KR102252969B1 KR102252969B1 (ko) 2021-05-17

Family

ID=652313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812A KR102252969B1 (ko) 2017-08-07 2017-08-07 추출 장치 및 추출 방법
KR1020187021834A KR102157110B1 (ko) 2017-08-07 2017-08-07 추출 장치 및 추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834A KR102157110B1 (ko) 2017-08-07 2017-08-07 추출 장치 및 추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694884B2 (ko)
EP (2) EP3895586B1 (ko)
JP (1) JP6471304B1 (ko)
KR (2) KR102252969B1 (ko)
CN (1) CN109640753B (ko)
CA (1) CA3076797A1 (ko)
DK (1) DK3536200T3 (ko)
ES (1) ES2881432T3 (ko)
TW (1) TWI688357B (ko)
WO (1) WO20190308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65342A1 (en) * 2017-06-05 2018-12-13 Keurig Green Mountain, Inc. Vent orifice and filter for beverage machine
DK3536157T3 (da) 2017-08-07 2022-06-13 Daito Giken Inc Separationsindretning, pulveriseringsindretning og drikfremstillingsindretning
DE102018007750A1 (de) * 2018-10-02 2020-04-02 Spengler Gmbh & Co. Kg Verfahren zur Ausgabe eines Heißgetränks
JP7149597B2 (ja) * 2019-07-10 2022-10-07 株式会社大都技研 抽出装置
JP7429427B2 (ja) * 2020-01-31 2024-02-08 株式会社大都技研 抽出装置
KR20210119670A (ko) * 2020-03-25 202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추출장치
JP7158066B2 (ja) * 2021-03-19 2022-10-21 株式会社大都技研 コーヒーマシン
EP4205608A4 (en) * 2021-11-16 2024-01-03 Daito Giken Inc COFFEE MACHI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1985U (ko) * 1973-10-11 1975-06-06
JPH0581544A (ja) 1991-07-24 1993-04-02 Fuji Electric Co Ltd 飲料抽出装置
JP2003024703A (ja) 2001-07-13 2003-01-28 Fuji Electric Co Ltd 飲料抽出装置
JP3154415U (ja) * 2009-07-30 2009-10-15 染谷 和夫 水出しコーヒーフィルター装置
WO2012098726A1 (ja) * 2011-01-17 2012-07-2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US9668496B1 (en) * 2008-05-23 2017-06-06 Food Equipment Technoloigies Company, Inc. Method of brewing a beverage with an electric, automatic beverage make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3528A (en) * 1939-10-06 1941-03-04 Heaton Dwight Ruggles Perry Device for making coffee or the like
US2874629A (en) * 1955-12-21 1959-02-24 Mortimer J Kahan Coffee extracting apparatus
US2903163A (en) * 1957-04-03 1959-09-08 Charles H Newman Automatic coffee maker
US3047194A (en) * 1958-04-03 1962-07-31 Automatic Canteen Co Dispenser for a coffee brewing apparatus
GB1318865A (en) * 1969-06-09 1973-05-31 Parr D C Method and apparatus for tea or coffee dispensing
JPS5061985A (ko) * 1973-09-29 1975-05-27
US3941042A (en) * 1974-03-01 1976-03-02 Farmer Bros. Co. Automatic coffee brewing system
US4143590A (en) * 1978-02-21 1979-03-13 Sam Kasakoff Coffee maker assembly
JPS5524200U (ko) * 1978-12-12 1980-02-16
JPH03730A (ja) 1989-02-03 1991-01-07 Fuji Photo Film Co Ltd ポリピロール系水分散液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導電性高分子材料
JPH037310A (ja) * 1989-06-05 1991-01-14 Alps Electric Co Ltd 成形品突き出し装置
JPH0383088U (ko) * 1989-12-08 1991-08-23
JP3154415B2 (ja) 1991-03-21 2001-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量子細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75575A (ja) * 2005-08-19 2007-03-29 Sanden Corp 飲料生成装置及び飲料生成方法
CN1915152A (zh) * 2005-08-19 2007-02-21 三电有限公司 饮料生成装置和饮料生成方法
DE112010002600T5 (de) * 2010-07-20 2012-08-23 Tsung-Hsi Liu GetränkezubereitungsbehäIter
US8479642B2 (en) * 2010-08-02 2013-07-09 Han Tsung Chen Tea pot with internal valve
US8516949B2 (en) * 2010-08-02 2013-08-27 Han Tsung Chen Tea pot with check valve
EP3175744B1 (en) * 2010-12-16 2023-11-29 Briggo,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brewed and espresso drink generation
JP5922590B2 (ja) 2011-01-17 2016-05-24 サントリー食品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コーヒー抽出液の製造方法
US8763517B2 (en) * 2011-12-26 2014-07-01 Han Tsung Chen Tea pot with one-way valve
TWM477239U (zh) 2013-10-24 2014-05-01 Gino Creation Co Ltd 沖煮浸泡裝置
TWI624237B (zh) * 2014-12-08 2018-05-21 Shiu Cheng Yang Magnetic and buoyancy effect brewing structure
US20160316957A1 (en) * 2015-04-29 2016-11-03 Saigon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cold brewed beverage from unfiltered water
CN206166635U (zh) 2016-06-17 2017-05-17 广东德豪润达电气股份有限公司 咖啡机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1985U (ko) * 1973-10-11 1975-06-06
JPH0581544A (ja) 1991-07-24 1993-04-02 Fuji Electric Co Ltd 飲料抽出装置
JP2003024703A (ja) 2001-07-13 2003-01-28 Fuji Electric Co Ltd 飲料抽出装置
US9668496B1 (en) * 2008-05-23 2017-06-06 Food Equipment Technoloigies Company, Inc. Method of brewing a beverage with an electric, automatic beverage maker
JP3154415U (ja) * 2009-07-30 2009-10-15 染谷 和夫 水出しコーヒーフィルター装置
WO2012098726A1 (ja) * 2011-01-17 2012-07-2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76797A1 (en) 2019-02-14
EP3895586A1 (en) 2021-10-20
US20190038064A1 (en) 2019-02-07
EP3895586C0 (en) 2023-11-01
TWI688357B (zh) 2020-03-21
KR102157110B1 (ko) 2020-09-17
WO2019030806A1 (ja) 2019-02-14
KR102252969B1 (ko) 2021-05-17
DK3536200T3 (da) 2021-08-30
EP3536200A1 (en) 2019-09-11
EP3895586B1 (en) 2023-11-01
EP3536200A4 (en) 2019-11-27
ES2881432T3 (es) 2021-11-29
TW201909798A (zh) 2019-03-16
JP6471304B1 (ja) 2019-02-20
US10694884B2 (en) 2020-06-30
KR20190084206A (ko) 2019-07-16
JPWO2019030806A1 (ja) 2019-11-07
CN109640753A (zh) 2019-04-16
EP3536200B1 (en) 2021-06-30
CN109640753B (zh) 202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579B1 (ko) 추출 방법 및 추출 장치
KR102082818B1 (ko) 분쇄 방법, 분쇄 장치 및 음료 제조 장치
KR20200056478A (ko) 추출 장치 및 추출 방법
KR20200038958A (ko) 음료제조장치
JP2019030433A (ja) 粉砕装置及び飲料製造装置
KR102501400B1 (ko) 음료제조장치
KR20200038499A (ko) 음료제조장치
JP2019030437A (ja) 飲料製造装置
JP6984892B2 (ja) 抽出方法
JP2019030428A (ja) 抽出装置
JP2019030435A (ja) 送液量調節装置
JP6653926B2 (ja) 抽出装置及び抽出方法
JP7048970B2 (ja) グラインダユニット
JP7187075B2 (ja) 抽出装置
JP2019030427A (ja) 飲料製造装置
JP6960664B2 (ja) 飲料製造装置
JP2019076782A (ja) 飲料製造装置
JP2019030429A (ja) 抽出装置
JP2019030432A (ja) 飲料製造装置
JP2019030434A (ja) 抽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