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332A -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332A
KR20200056332A KR1020190145044A KR20190145044A KR20200056332A KR 20200056332 A KR20200056332 A KR 20200056332A KR 1020190145044 A KR1020190145044 A KR 1020190145044A KR 20190145044 A KR20190145044 A KR 20190145044A KR 20200056332 A KR20200056332 A KR 20200056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support
cell culture
sp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8115B9 (ko
KR102318115B1 (ko
Inventor
장선호
한경구
서인용
서동식
박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PCT/KR2019/01549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01376A1/ko
Priority to US17/293,741 priority patent/US20220002654A1/en
Priority to CN201980075020.6A priority patent/CN113015785A/zh
Publication of KR20200056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115B1/ko
Publication of KR10231811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11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C12M41/14Incubators; Climatic cha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34Internal compartments or part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0Material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48Holding appliances; Racks; Sup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58Reaction vessels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02Membranes;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10Rotating vesse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14Rotation or movement of the cells support, e.g. rotated hollow fi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4Filters; Permeable or porous membranes or plates, e.g. 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3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 C12M41/34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of g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대량 세포배양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량 세포배양 시스템은 세포가 안정적으로 배양될 수 있는 배양 환경을 제공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인큐베이터;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세포배양을 위한 복수 개의 지지체가 내부에 배치된 세포배양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세포배양부 측으로 공급되는 배지가 일정량 저장된 배지공급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세포배양부 및 배지공급부와 각각 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배지공급부에 저장된 배지가 상기 세포배양부 측으로 공급된 후 상기 배지공급부 측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지를 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세포배양부의 내부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다.

Description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Cell culture system}
본 발명은 세포배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번의 공정을 통해 대량의 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포배양은 다세포생물의 개체로부터 조직편을 떼어낸 후 용기 내에서 떼어낸 조직편에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세포를 배양 또는 증식하는 방법이다.
1980년대 이후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생명공학분야에서 생물의약품의 산업화와 관련하여 동물세포배양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1980년대 중반부터 동물세포 대량배양 기술은 그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인간 혹은 동물의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동물세포들은 배지 내에서 부유시키거나 또는 담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배양될 수 있다. 주로 혈구유래의 세포들(조혈줄기세포 포함)이 부유성 세포이고, 피부, 간 또는 폐 같은 조직 유래의 세포들과 배아줄기세포 또는 중간엽 줄기세포 등은 부착성 세포이다. 부유성 세포는 세포가 단독으로 배지 중에 부유한 상태에서 증식할 수 있으나, 부착성 세포는 지지체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만 증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포의 scale-up 시 단위 부피당 최고의 세포 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부유성 세포가 유리하므로 세포의 대량 배양 방법은 주로 부유성 세포를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을 뿐, 부착성 세포에 대한 대량 배양을 위한 방법이나 장치에 대한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부착성 세포를 한번의 공정을 통해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포가 안정적으로 배양될 수 있는 배양 환경을 제공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인큐베이터;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세포배양을 위한 복수 개의 지지체가 내부에 배치된 세포배양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세포배양부 측으로 공급되는 배지가 일정량 저장된 배지공급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세포배양부 및 배지공급부와 각각 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배지공급부에 저장된 배지가 상기 세포배양부 측으로 공급된 후 상기 배지공급부 측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지를 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세포배양부의 내부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지체는 단백질 모티프 코팅된 판상의 나노섬유 멤브레인과,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일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된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지지체는 플라즈마 처리된 판상의 필름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은 온도가 항온으로 유지하면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일정수준으로 유지되는 하나의 내부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세포배양부 및 배지공급부는 상기 하나의 내부공간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인큐베이터는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를 항온으로 유지하고 상기 세포배양부 및 펌프가 배치되는 항온챔버와, 상기 항온챔버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일정수준으로 유지되는 이산화탄소 공급챔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지공급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챔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배양부는, 배지가 채워지는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형상의 배양하우징과, 세포가 배양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다단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체 및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가 상기 배양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서로 대면하는 두 개의 지지체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부재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격부재는 복수 개의 지지바 및 스페이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슬롯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이격부재는 지지바, 스페이서 및 가이드부재가 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지유입구 및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된 지지체 사이에는 상기 배지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배지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분산판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지공급부는 상기 배지가 일정량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갖추고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의 배지하우징과, 상기 배지를 상기 저장공간 측으로 회수하거나 상기 세포배양부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배지가 유,출입되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유출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는 상기 배지하우징의 반대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배지하우징은 일단부가 상기 배지하우징의 내측면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배지하우징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다른 내측면과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상기 배지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격벽을 매개로 상기 배지유입구와 연결되는 배지회수공간과 상기 배지유출구와 연결되는 배지공급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는 상기 배지하우징의 동일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지공급부는 상기 배지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필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산화탄소는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후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배지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은, 상기 세포배양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세포배양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통해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회전과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회전이 모두 가능하도록 상기 인큐베이터의 내부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번의 공정을 통해 대량의 세포를 동시에 배양할 수 있음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시키며 품질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세포배양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분리도,
도 5는 도 3의 A-A 방향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세포배양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분리도,
도 8은 도 6의 B-B 방향단면도,
도 9는 도 6의 C-C 방향단면도,
도 10은 도 6의 변형예,
도 11은 도 10의 분리도,
도 12는 도 10의 D-D 방향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세포배양부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의 분리도,
도 15는 도 13의 결합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부에 적용될 수 있는 지지체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부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지지체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배양부에 적용될 수 있는 분산판을 나타낸 도면,
도 19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배지공급부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도 19의 E-E 방향 결합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배지공급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도 21에서 배지하우징의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4는 도 23에서 세포배양부가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25는 도 23에서 세포배양부가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100,200)은 도 1, 도 2,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큐베이터(110,210), 세포배양부(120,220,320,420), 배지공급부(140,240) 및 펌프(150)를 포함한다.
상기 인큐베이터(110,210)는 지지체(130,230)에 부착된 세포가 안정적으로 배양될 수 있는 배양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큐베이터(110,210)는 내부공간(S)을 갖는 챔버일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S)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이산화탄소의 농도 역시 일정한 농도로 유지되는 공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큐베이터(110,210)는 상기 내부공간(S)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공조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를 상기 내부공간(S)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공급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S)에 배치된 배지공급부(140,240)는 상기 내부공간(S)으로부터 이산화탄소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S)으로부터 유입된 이산화탄소는 상기 배지공급부(140,240)에 저장된 배지에 용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배지공급부(140,240)는 일정한 PH를 가지는 배지가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 측으로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에 포함된 세포는 원활하게 배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큐베이터(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내부공간(S)을 가지는 챔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내부공간(S)은 상술한 공조시스템을 통해 온도가 항온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공급수단을 통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일정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S)에는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 배지공급부(140,240) 및 펌프(150)가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인큐베이터(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챔버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인큐베이터(210)는 상기 내부공간(S)의 온도를 항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항온챔버(111)와, 상기 항온챔버(111)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일정수준으로 유지되는 이산화탄소 공급챔버(1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배지공급부(140,240)는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챔버(1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배지공급부(140,2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일례로, 세포배양부(120,220,320,420) 및 펌프(150) 등은 상기 항온챔버(111)의 내부공간(S)에 배치되되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챔버(11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항온챔버(111)는 내부온도를 항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공조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챔버(112)는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공급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의 인큐베이터(210)는 도 1의 인큐베이터(110)에 비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챔버(112)의 내부에 국한된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 대해서만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더라도 세포의 배양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2의 인큐베이터(210)를 채용한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200)은 도 1의 인큐베이터(110)를 채용한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100)에 비하여 상기 배지공급부(140,24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보다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배지공급부(140,240)로부터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 측으로 공급되는 배지는 더욱 균일한 이산화탄소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세포배양을 위한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가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에 부착된 세포들이 배양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연결관(161,162,163)을 매개로 상기 배지공급부(140,24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 측에는 배양될 세포들이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130,230)에 부착된 세포들은 후술하는 수용공간(S1)에 채워진 배지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에 부착된 세포들은 배지로부터 공급되는 영양분을 통해 원활하게 배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판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적어도 일부가 다른 지지체(130,230)들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S1)에 다단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상기 수용공간(S1)에 배치된 지지체(130,230)들의 집적도를 높여줄 수 있음으로써 한 번의 배양공정을 통해 대량의 세포를 배양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하나의 장치에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이 다단으로 배열된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대량의 세포배양이 가능하면서도 전체 설비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체(130,230)는 판상의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세포의 부착이 용이한 것이라면 공지의 세포 배양시 사용되는 다양한 재질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지지체(130,230)는 나노섬유가 전기방사를 통하여 3차원 네트워크 구조로 형성된 나노섬유 멤브레인(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지지체(13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132)과 더불어 접착층(134)을 매개로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132)의 일면에 부착되는 지지부재(136)를 더 포함하는 3층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36)는 판상의 필름부재일 수 있으며,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132)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132)이 유연성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지지부재(136)를 통해 지지될 수 있음으로써 휘어짐이나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의 수용공간(S1)에 배치된 지지체(130,230)는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세포가 원활하게 배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지지체(23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의 필름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체(130,230)는 배양될 세포가 원활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표면이 개질된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체(130)가 나노섬유 멤브레인(132)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132)은 나노 섬유의 표면이 motif 코팅된 멤브레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230)가 판상의 필름부재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필름부재는 플라즈마 처리된 필름부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체(130,230)의 표면에는 배양될 세포가 원활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배양될 세포는 상기 지지체(130,230)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배지로부터 공급되는 영양분을 통해 배양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체(130,230)의 종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판상의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세포의 부착이 용이한 것이라면 공지의 세포 배양시 사용되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상기 인큐베이터(110,210)의 내부공간(S)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의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상기 배지공급부(140,240)와 각각 직렬로 연결될 수도 있고,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직병렬이 혼합된 형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내부에 배치된 지지체(130,230)들의 일면이 상기 인큐베이터(110,210)의 바닥면과 서로 평행하도록 상기 인큐베이터(110,210)에 배치될 수도 있고 내부에 배치된 지지체(130,230)들의 일면이 상기 인큐베이터(110,21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상기 인큐베이터(110,21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도 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양하우징(121,221,321,421), 상술한 지지체(130,230) 및 이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양하우징(121,221,321,421)은 세포배양을 위한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이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에 부착된 세포들이 배양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배양하우징(121,221,321,421)의 수용공간(S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배지가 상기 수용공간(S1)에 채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배양하우징(121,221,321,421)은 수용공간(S1)을 갖는 함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양하우징(121)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S1)을 갖는 함체형상의 몸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몸체(122)의 전면과 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지유입구(124) 및 배지유출구(125)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S1)은 상기 배양하우징(121)에 결합되는 덮개(123)를 통해 밀폐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배양하우징(221,321,421)은 도 6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수용공간(S1)을 갖는 함체형상의 몸체(222,322,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몸체(222,322,422)의 개방된 전면과 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지유입구(124)가 형성된 제1캡부(223a) 및 적어도 하나의 배지유출구(125)가 형성된 제2캡부(223b)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배양하우징(121,221,321,421)으로 공급되는 배지는 상기 배지유입구(124)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S1)을 채울 수 있으며, 세포 배양이 완료된 후 상기 수용공간(S1)에 채워진 배지는 상기 배지유출구(1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S1)에 배치된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상기 수용공간(S1)을 채우는 배지에 잠길 수 있으며, 각각의 지지체(130,230)에 부착된 세포들은 세포 배양시 필요한 영양분을 배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배양하우징(121,221,321,421)의 폭방향, 좌,우방향 및 측면은 도 3, 도 6, 도 10 및 도 13에서 X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규정될 수 있고, 상기 배양하우징(121,221,321,421)의 길이방향, 전,후 방향, 전면 및 후면은 도 3, 도 6, 도 10 및 도 13에서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규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배양하우징(121,221,321,421)의 높이 방향, 상,하방향, 상면 및 하면은 도 3, 도 6, 도 10 및 도 13에서 Z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S1)에 다단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을 서로 이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S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상기 수용공간(S1)에 배치된 지지체(130,230)들의 집적도를 높이면서도 한 번의 배양공정을 통해 대량의 세포를 원활하게 배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수용공간(S1)에 다단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의 집적도를 높이면서도 지지체(130,230)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격부재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양하우징(121)의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이 다단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적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격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지지바(126)와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12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상기 지지바(126)에 각각 끼워지는 방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126)들은 상기 수용공간(S1)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126)들은 하부단이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지지판(128)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판(128)에 하부단이 고정된 복수 개의 지지바(126)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126)들은 하부단이 상기 지지판(128)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S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양하우징(121)의 수용공간(S1) 측에는 바닥면으로부터 복수 개의 지지바(126)들이 소정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126)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된 복수 개의 통과공(131)을 통하여 상기 지지바(126)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높이를 갖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127)들이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126)들에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스페이서(127)들과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각각의 지지바(126)에 교번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페이서(127)는 상기 배양하우징(12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두 개의 지지체(130,230)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126)들을 통하여 판상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두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스페이서(127)를 통해 서로 이격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지지체(130,230)들은 양면이 상기 수용공간(S1)에 채워진 배지와 원활하게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양하우징(121)의 바닥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126)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깊이 인입되는 안착홈(12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123)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126)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과공(123a)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126)들이 상기 수용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지지바(126)의 하부단은 상기 안착홈(122a)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지지바(126)의 상부단은 상기 덮개(123)가 수용공간(S1)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통과공(123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통과공(123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지지바(126)의 상부단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C)와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세포배양부(120)는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 및 스페이서(127)가 복수 개의 지지바(126)에 교번적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123)를 통해 개방된 수용공간(S1)의 상부가 밀폐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126)의 상부단이 덮개(123)의 외측으로 돌출된 후 체결부재(C)와 체결됨으로써 밀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126)들의 하부단을 고정하는 판상의 지지판(128)은 생략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배양하우징(121)은 상부가 개방되고 별도의 덮개(123)를 통해 개방된 상부가 밀폐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배양하우징(121)과 덮개(12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이격부재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격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갖추고 상기 배양하우징(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공간(S1)에 삽입되는 두 개의 가이드부재(22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상기 두 개의 가이드부재(226)에 양측단부가 각각 슬라이딩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 개의 가이드부재(226)는 일면이 서로 대면하도록 상기 수용공간(S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가이드부재(226)는 서로 대면하는 대향면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입형성된 복수 개의 슬롯홈(22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슬롯홈(227)은 상기 가이드부재(226)의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개의 가이드부재(226)는 상기 배양하우징(221)의 내면 중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내면과 일면이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두 개의 가이드부재(226)는 상기 슬롯홈(227)이 형성된 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수용공간(S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슬롯홈(227)이 형성되지 않은 반대면이 상기 배양하우징(221)의 내면 중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내면과 각각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두 개의 가이드부재(226)가 상기 수용공간(S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지지체(130,230)의 양측단부를 상기 두 개의 가이드부재(226)에 각각 형성된 슬롯홈(227)에 삽입하면, 상기 지지체(130,230)의 양측단부는 상기 두 개의 가이드부재(2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각의 지지체(130,230)는 상기 슬롯홈(227)을 통해 양측단부가 구속되어 수평한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S1)에 배치될 수 있음으로써 판상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배양하우징(221)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각각의 지지체(130,230)들은 가이드부재(226)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두 개의 슬롯홈(227) 사이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S1)에 다단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양면이 상기 수용공간(S1)에 채워진 배지와 원활하게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130,230)에 부착된 세포들은 상기 배지로부터 공급되는 영양분을 통해 원활하게 배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포배양부(220)는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이 슬라이딩 방식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부재(226)에 결합될 수 있음으로써 조립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별도의 지그나 가고정물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그나 가고정물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공간(S1)에 한 번에 삽입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격부재가 슬롯홈(227)을 포함하는 가이드부재(226)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는 적어도 3개 이상이 사용됨으로써 집적도를 더욱 높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배양부(32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슬롯홈(227)이 형성된 4개의 가이드부재(226)를 포함할 수 있으며, 4개의 가이드부재(226)는 서로 쌍을 이루도록 상기 수용공간(S1)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4개의 가이드부재(226)는 상기 배양하우징(321)의 내면과 일면이 접하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제1가이드부재(226a)와, 상기 두 개의 제1가이드부재(226a) 사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2가이드부재(226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마주하는 제1가이드부재(226a) 및 제2가이드부재(226b)는 서로 쌍을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서로 쌍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4개의 가이드부재(226)를 통하여 상기 배양하우징(321)의 폭방향을 따라 수평한 방향으로 각각 2개씩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부재(226)에 형성된 슬롯홈(227)을 통해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포배양부(320)는 지지체(130,230)들의 집적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더욱 많은 양의 세포를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두 개의 제2가이드부재(226b)는 양면에 각각 슬롯홈(227)이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부재(226)의 전체개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체(130,230)의 전체개수에 따라 4개 이상의 가이드부재(226)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쌍을 이루는 방식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수용공간(S1) 역시 서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가이드부재(226)가 한 쌍씩 개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이격부재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방식과 슬롯방식이 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격부재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지지바(126)와 도 6 내지 도 에 도시된 가이드부재(226)가 상호 조합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격부재는 일면에 복수 개의 슬롯홈(227)이 형성된 4개의 가이드부재(226)와 2개의 지지바(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4개의 가이드부재(226)는 복수 개의 슬롯홈(227)이 형성된 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수용공간(S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4개의 가이드부재(226)는 상기 배양하우징(421)의 내면 중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내면과 일면이 각각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지지바(126)는 일면이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가이드부재(226)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공간(S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4개의 모서리 중 두 개의 모서리 측이 가이드부재(226)에 형성된 슬롯홈(227)에 삽입될 수 있으며, 나머지 두 개의 모서리 측이 상기 지지바(126)에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상기 가이드부재(226)에 형성된 슬롯홈(227)과 지지바(126)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양하우징(421)은 서로 마주하는 상면 및 바닥면 측에 상기 2개의 지지바(126)들이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깊이 인입되는 안착홈(42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두 개의 지지체(130,230)가 상기 배양하우징(421)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지지체(130,230)는 단부를 포함하는 일부의 면적이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분(A1)을 형성하도록 상기 배양하우징(421)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측이 일정면적 중첩되면서 서로 직접 밀착되도록 지그재그방식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서로 중첩되지 않는 타단부 측이 상기 4개의 가이드부재(226)에 각각 형성된 슬롯홈(227)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지지바(126)들은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30,230)들이 일정면적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분(A1)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서로 중첩되고 직접 적층된 부분이 상기 지지바(126)에 체결될 수 있으며, 서로 중첩되지 않는 나머지 두 개의 모서리 측이 상기 가이드부재(226)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모서리측이 슬롯홈(227)을 통해 4개의 가이드부재(226)가 결합되고 상기 중첩부분(A1)에 2개의 지지바(126)들이 결합된 조립체의 상태에서 상기 배양하우징(421)의 수용공간(S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서로 중첩된 중첩부분(A1) 및 가이드부재(226)를 통하여 판상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두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상기 두 개의 지지체(130,230) 사이에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된 다른 지지체(130,230)의 두께를 통해 서로 이격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양면이 상기 수용공간(S1)에 채워진 배지와 원활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은 4개의 가이드부재(226) 및 2개의 지지바(126)들을 통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각각 2개씩 배치될 수 있음으로써 집적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더욱 많은 양의 세포를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경우 별도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두 개의 지지체(130,230)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집적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격부재가 4개의 가이드부재(226) 및 두 개의 지지바(126)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부재(226) 및 지지바(126)의 개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226)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두 개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체(130,230)의 한 변이 슬롯홈(227)에 끼워질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양하우징(121,221,321,421)은 상기 배지공급부(140,240)에서 공급된 배지를 상기 수용공간(S1)의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수용공간(S1)에 채워진 배지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지유입구(124) 및 배지유출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지유입구(124) 및 배지유출구(12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양하우징(121)의 몸체(122)에 직접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배양하우징(221,321,421)의 몸체(222,322,422)와 결합되는 별도의 캡부(223a,223b)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양하우징(121)의 몸체(122)가 전면,후면 및 측면이 밀폐된 함체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배지유입구(124) 및 배지유출구(125)는 상기 몸체(122)의 전,후면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양하우징(221,321,421)의 몸체(222,322,422)가 전,후면이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구비되고 몸체(222,322,422)의 전,후면 측에 결합되는 별도의 캡부(223a,223b)를 통해 밀폐되는 경우, 상기 배지유입구(124) 및 배지유출구(125)는 상기 캡부(223a,223b)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지공급부(140,240)로부터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 측으로 공급되는 배지는 상기 배지유입구(124)를 통해 수용공간(S1)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배지유출구(125)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S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지유입구(124)가 형성된 캡부(223a)의 내면 또는 상기 배지유입구(124)가 형성된 몸체(122)의 전면의 내면은 상기 배지유입구(124)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지유입구(124)가 형성된 캡부(223a)의 내면 또는 상기 배지유입구(124)가 형성된 몸체(122)의 전면의 내면은 상기 배지유입구(124)의 단부로부터 배지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서서히 증가하는 원뿔 또는 사각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지유입구(124)의 단부가 상기 원뿔 또는 사각뿔 형상의 중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배지유입구(124)가 형성된 캡부(223a)의 내면 또는 상기 배지유입구(124)가 형성된 몸체(122)의 전면의 내면은 상기 배지유입구(124)를 중심으로 상기 배지의 유입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지유입구(124)를 통해 상기 배지공급부(140,240)로부터 유입되는 배지는 상기 수용공간(S1) 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지유입구(124) 및 상기 수용공간(S1)에 배치된 지지체(130,230) 사이에는 상기 배지유입구(124)를 통해 유입된 배지를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판(129,229)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분산판(129,229)은 상기 수용공간(S1)에 배치된 지지체(130,230)의 단부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산판(129,229)은 상기 배지유입구(124)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배지가 곧바로 상기 수용공간(S1)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지유입구(124)를 통해 상기 배지공급부(140,240)부터 유입되는 배지는 상기 분산판(129,229)과 부딪혀 고르게 퍼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분산판(129,229)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고르게 분산된 배지는 상기 수용공간(S1)에 배치된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의 위치와 상관없이 각각의 지지체(130,230)들 사이의 공간으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배지가 각각의 지지체(130,230) 측으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분산판(129,229)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의 몸체(129a)와, 상기 몸체(129a)에 관통형성된 복수 개의 통공(129b)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판상의 메쉬망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분산판(129,229)은 상기 배지유입구(124)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배지가 상기 수용공간(S1)의 내부로 곧바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해수단(129c,229c)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해수단(129c,229c)은 상기 배지유입구(12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해수단(129c)은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지가 상기 몸체(129a)를 곧바로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29a)의 일면에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부재일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방해수단(229c)은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29a)로부터 상기 배지유입구(124) 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돌출부는 일단부가 상기 배지유입구(124)의 단부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배지유입구(124)로부터 유입된 배지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부딪힐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배지유입구(124)를 통해 유입된 배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
상기 배지공급부(140,240)는 내부에 세포배양시 필요한 영양분을 함유하고 있는 배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지공급부(140,240)는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와 연결관(161,162,163)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내부에 저장된 배지를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배지공급부(140,240)는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지를 일정량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S2)을 가지는 함체형상의 배지하우징(141,2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배지하우징(141,241)은 상기 저장공간(S2)에 저장된 배지를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 측으로 공급한 후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배지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유입구(146) 및 유출구(14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146)는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의 배지유출구(125)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유출구(145)는 펌프(150)를 매개로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의 배지유입구(124)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S2)에 저장된 배지는 상기 펌프(150)의 작동을 통해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 측으로 공급된 후 상기 배지공급부(140,240) 측으로 회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지공급부(140,2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인큐베이터(110)의 내부공간(S)에 배치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공급챔버(1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지공급부(140,240)는 상기 배지에 용존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배지의 PH를 세포 배양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지는 세포배양부(120,220,320,420)로 이동한 후 상기 유입구(146)를 통해 저장공간(S2) 측으로 회수되는 과정에서 용존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묽어지더라도 상기 배지공급부(140,240)의 저장공간(S2) 측으로 회수된 후 상기 인큐베이터(110)의 내부공간(S) 또는 이산화탄소 공급챔버(112)에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를 통해 세포배양에 필요한 적정한 PH로 변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배지는 상기 펌프(150)를 통해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 및 배지공급부(140,240)를 반복적으로 순환하더라도 상기 지지체(130,230)에 부착된 세포는 배양에 적합한 상태의 배지를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음으로써 배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배지하우징(141,241)은 외부의 이산화탄소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일 수 있다. 이때, 판상의 필터부재(143)는 상기 배지하우징(141,241)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프레임(144)을 통해 상기 배지하우징(141,241)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재(143)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도 이산화탄소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지는 상기 필터부재(143)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원활하게 공급받으면서도 다른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됨으로써 다른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지공급부(140,240)는 상술한 세포배양부(120,220,320,420)의 전체 개수에 따라 적절한 개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지공급부(140,240)의 유입구(146)는 유출구(145)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지하우징(141,241)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출구(145)는 상기 유입구(146)보다 상기 배지하우징(141,241)의 바닥면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지하우징(141,24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146)는 상기 유출구(145)보다 상기 배지하우징(141,241)의 바닥면과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의 수용공간(S1)으로부터 상기 유입구(146)를 통하여 저장공간(S2) 측으로 유입된 배지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된 유출구(145)를 통해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배지가 연결관(161,162,163)을 따라 순환하는 과정이나 상기 유입구(146)를 통해 저장공간(S2) 측으로 회수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기포를 포함하더라도 상기 배지에 포함된 기포는 상기 배지가 상기 유입구(146)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된 유출구(145)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부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유출구(145)를 통해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 측으로 공급되는 배지는 기포를 포함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체(130,230)에 부착된 세포는 기포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음으로써 배지로부터 영양분을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100,200)에 적용될 수 있는 배지공급부(240)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가 저장되는 저장공간(S2)이 적어도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배지공급부(240)는 배지하우징(241)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2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지하우징(241)에 형성된 저장공간(S2)은 상기 격벽(242)을 매개로 배지회수공간(S21)과 배지공급공간(S2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242)은 일단부가 상기 배지하우징(241)의 내측면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배지하우징(241)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다른 내측면과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상기 배지하우징(241)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지회수공간(S21) 및 배지공급공간(S22)은 상기 격벽(242)의 단부와 마주하는 배지하우징(241)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연통로(S23)를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유입구(146)는 상기 배지회수공간(S21)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출구(145)는 상기 배지공급공간(S22)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유출구(14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46)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지하우징(241)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출구(145)는 상기 유입구(146)보다 상기 배지하우징(141,241)의 바닥면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면서 상기 배지공급공간(S22)과 연통되도록 배지하우징(24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146)는 상기 유출구(145)보다 상기 배지하우징(141,241)의 바닥면과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위치하면서 상기 배지회수공간(S21)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로부터 배지공급부(240)로 유입된 배지는 전술한 형태의 배지공급부(14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긴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지공급부(240)로 유입된 배지는 배지회수공간(S21)으로 유입된 후 연통로(S23)를 거쳐 배지공급공간(S22)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유출구(1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까지의 이동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배지는 상기 유입구(146)에서 유출구(145)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용존될 수 있는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배지가 기포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배지에 포함된 기포는 배지회수공간(S21)에서 연통로(S23)를 거쳐 배지공급공간(S22)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부력에 의해 부상하여 배지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유출구(145)를 통해 세포배양부(120,220,320,420) 측으로 공급되는 배지는 기포를 포함하지 않는 최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체(130,230)에 부착된 세포는 배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100,200)은 배지공급부(140,240), 펌프(150) 및 세포배양부(120,220,320,420)가 밀폐된 인큐베이터(110,2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배지가 펌프(150)를 통해 배지공급부(140,240) 및 세포배양부(120,220,320,420)를 순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밀폐된 순환 시스템(closed circulation system)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100,200)은 상기 인큐베이터(110,210)를 통해 일정 농도의 이산화탄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해 줌으로써 상기 배지공급부(140,240), 펌프(150) 및 세포배양부(120,220,320,420)를 순환하는 배지가 세포 배양에 적합한 일정 PH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100,200)은 세포 배양시 필요한 배지의 재사용이 가능함으로써 배지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100,200)에서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가 수용공간(S1)에 다단으로 배열된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세포배양부(120,220,320,420)의 전체사이즈를 줄이더라도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측에 대량의 세포가 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체설비의 사이즈를 소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대량의 세포를 안정적으로 배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100,200)은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수용공간(S1)에 배치된 지지체(130,230)의 일면이 인큐베이터(110,21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수직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배지에 포함된 세포를 지지체(120,220)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세포들이 지지체(120,220)의 전면적에 골고루 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부는 제어부를 통해 전반적인 구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를 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과 Z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이 모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와 더불어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100,200) 전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는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을 위한 제1모터(181)와 상기 제2회전을 위한 제2모터(187)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큐베이터(110,210)의 외측에는 제1모터(18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인큐베이터(110,210)의 내부에는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가 고정되는 장착판(184)과 더불어 상기 장착판(184)을 상기 인큐베이터(110,2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시키기 위한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인큐베이터(110,210)의 내부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지지대(18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회전대(183)가 X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두 개의 지지대(18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판(184)은 결합부(185)를 매개로 상기 회전대(18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대(183)는 풀리(186)를 매개로 상기 제1모터(18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모터(181)가 구동되면 상기 풀리(186)를 통해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대(183)는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대(183)의 회전을 통해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를 Z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모터(187)는 상기 장착판(184)의 하부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판(184)은 상기 제2모터(187)의 구동을 통해 Z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부(185)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대(183)에 고정결합된 제1결합부(185a)와 상기 장착판(184)에 고정결합된 제2결합부(185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결합부(185b)는 제1결합부(185a)에 대해서 Z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모터(187)의 구동력은 서로 대응되는 기어부(188)를 통해 상기 제2결합부(185b) 측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모터(187)의 구동을 통해 상기 제2결합부(185b)는 제1결합부(185a)에 대해서 Z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어부(188)는 상기 제2모터(187)에 축결합된 웜(188b)과 상기 제2결합부(185b)에 고정결합된 웜휠(188a)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모터(187)가 구동되면 상기 기어부(188)를 통해 구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2결합부(185b)는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결합부(185b)의 회전을 통해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Z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을 상술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장착판(184)을 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면서 Z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면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100,200)은 세포의 부착, 배양 및 회수를 포함하는 세포배양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100,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 펌프(150) 및 배지공급부(140,240)가 복수 개의 연결관(161,162,163)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펌프(150)의 구동을 통해 배지가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 및 배지공급부(140,240)를 반복적으로 순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연결관(161,162,163) 측에는 복수 개의 개폐밸브(171,172,17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공급라인(164), 제2공급라인(165) 및 배출라인(166)이 상기 복수 개의 연결관(161,162,163)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지공급부(140,240)는 유출구(145)가 제1연결관(161)을 매개로 펌프(150)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펌프(150)는 제2연결관(162)을 매개로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의 배지유입구(124)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의 배지유출구(125)는 제3연결관(163)을 매개로 상기 배지공급부(140,240)의 유입구(146)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관(161) 상에는 제1개폐밸브(17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연결관(162) 상에는 제2개폐밸브(17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연결관(163) 상에는 제3개폐밸브(17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관(162)은 상기 제2개폐밸브(172)와 세포배양부(120,220,320,420) 사이에서 제4개폐밸브(174)를 매개로 제1공급라인(164)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관(162)은 상기 제2개폐밸브(172)와 세포배양부(120,220,320,420) 사이에서 제5개폐밸브(175)를 매개로 제2공급라인(165)이 연결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3연결관(163)은 상기 제3개폐밸브(173)와 배지공급부(140,240) 사이에서 제6개폐밸브(176)를 매개로 배출라인(166)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공급라인(164) 또는 제2공급라인(165)은 제7개폐밸브(177)를 매개로 기체공급라인(167)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공급라인(164)은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 측으로 세척액을 공급하거나 배양될 세포가 포함된 배지가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제2공급라인(165)은 상기 지지체(130,230)에 부착된 세포를 지지체(130,230)로부터 화학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트립신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기체공급라인(167)은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 측으로 고압의 기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연결관(163) 상에는 상기 제3개폐밸브(173) 및 세포배양부(120,220,320,420)의 배지유출구(125) 사이에 센서(178)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복수 개의 개폐밸브 및 센서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개폐밸브(171), 제2개폐밸브(172) 및 제3개폐밸브(173)는 NC밸브일 수 있으며, 상기 제4개폐밸브(174), 제5개폐밸브(175) 및 제6개폐밸브(176)는 NO밸브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개폐밸브들의 개폐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세포배양시 상기 인큐베이터(110,210)의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체(130,230)의 일면이 수평하도록 배치될 수 있지만, 상기 인큐베이터(110,210)의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체(130,230)의 일면이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배지유입구(124) 및 배지유출구(125)가 배양하우징(121,221,321,221)의 반대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세포가 배양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지유입구(124)는 하방을 향하고 상기 수용공간(S1)에 수용된 지지체(130,230)들은 일면이 상기 인큐베이터(110,21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배지공급부(140)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배지공급부(140)의 저장공간(S2)에는 배지가 일정량 저장되고,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상기 제1모터(181)의 구동을 통해 X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배지유입구(124)가 하방을 향하면서 상기 지지체(130,230)의 일면이 상기 인큐베이터(110,21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가 되도록 배치된다(도 24의 은선 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개폐밸브(172)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4개폐밸브(174)가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 다음, 배양될 세포가 포함된 배지는 상기 제1공급라인(164)을 통해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 측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배지에 포함된 세포는 배지와 함께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의 수용공간(S1) 측으로 이동한 후 각각의 지지체(130,230)들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제1공급라인(164))을 통해 공급된 배지가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의 수용공간(S1)을 완전히 채운 후 상기 제3연결관(163) 측으로 유입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178)를 통해 배지가 상기 제3연결관(163)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감지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개폐밸브(173) 및 제4개폐밸브(174)를 닫힘 상태로 변경하여 상기 제1공급라인(164)으로부터 공급되는 배지의 공급을 중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공급라인(164)으로부터 배지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각각의 지지체(130,230) 측에 세포가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지지체(130,230)의 일면이 상기 인큐베이터(110,210)의 바닥면과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1모터(181)의 구동을 통해 X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도 23 및 도 24의 실선 참조).
이때,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상기 수용공간(S1)에 채워진 배지가 상기 지지체(130,230)의 전체면적에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상기 제2모터(187)의 구동을 통해 Z축을 중심으로 정,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지에 포함된 세포들은 상기 지지체(130,230)의 전체면적 중 일부면적에 집중되어 부착되지 않고 전체면적에 대해서 고르게 부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지지체(130,230) 측에 세포가 안정적으로 부착되면,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제1모터(181)의 구동을 통해 X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배지유입구(124)가 하방을 향하는 원상태로 변경된다(도 24의 은선 참조).
여기서, 상기 제4개폐밸브(174)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개폐밸브(171) 및 제2개폐밸브(172)는 열림상태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지공급부(140,240)에 저장된 배지는 상기 펌프(150)의 구동을 통해 상기 배지공급부(140,240) 및 세포배양부(120,220,320,420) 사이에서 순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지공급부(140,240)에서 세포배양부(120,220,320,420)로 공급된 후 다시 배지공급부(140,240)로 회수된 배지는 이산화탄소의 유입을 통해 세포 배양에 적합한 PH로 변경된 후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 측으로 재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체(130,230)에 부착된 세포는 배양에 적합한 PH의 배지를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음으로써 원활하게 배양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지지체(130,230)에 부착된 세포의 배양이 완료되면, 상기 제2개폐밸브(172)는 닫힘 상태로 변경되고 상기 제6개폐밸브(176)는 열린 상태로 변경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기체공급라인(167)을 통해 고압의 기체가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에 채워진 배지는 상기 고압의 기체를 통해 제3연결관(163)을 따라 이동한 후 상기 배출라인(16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상기 제1모터(181)의 구동을 통해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배지유출구(125)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에 채워진 배지는 고압의 기체를 통해 제3연결관(163)을 따라 이동한 후 상기 배출라인(166)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의 수용공간(S1)에 채워진 배지가 완전히 제거되면, 상기 제1개폐밸브(171)를 개방상태로 변경하고 제1공급라인(164)을 통해 세척액을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 측으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세척액은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에 장착된 복수 개의 지지체(130,230)들을 세척한 후 제3연결관(163)을 경유하여 상기 배출라인(16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는 상기 배지유입구(124)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배지유출구(125)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배지유입구(124)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가 변경된 상태에서 제4개폐밸브(174)는 닫힘 상태로 변경되고 제5개폐밸브(175)는 열림 상태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 측에는 제2공급라인(165)을 통해 트립신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공급라인(165)을 통해 세포배양부(120,220,320,420) 측으로 공급된 트립신은 상기 지지체(130,230)에 부착된 세포를 화학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세포배양부(120,220,320,420)를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100,200)으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하면 상기 지지체(130,230)로부터 분리된 세포들을 대량으로 회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200 :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110, 210 : 인큐베이터
S : 내부공간 111 : 항온챔버
112 : 이산화탄소 공급챔버 120,220,320,420 : 세포배양부
121,221,321,421 : 배양하우징 S1 : 수용공간
122,222,322,422 : 몸체 122a : 안착홈
123 : 덮개 223a,223b : 캡부
124 : 배지유입구 125 : 배지유출구
126 : 지지바 127 : 스페이서
128 : 지지판 C : 체결부재
226,326 : 가이드부재 227 : 슬릿홈
129,229 : 분산판 129a : 몸체
129b : 통공 129c,229c : 방해수단
A1 : 중첩부분 130,230 : 지지체
131 : 통과공 132 : 나노섬유 멤브레인
134 : 접착층 136 : 지지부재
140,240 : 배지공급부 141,241 : 배지하우징
242 : 격벽 S2 : 저장공간
S21 : 배지회수공간 S22 : 배지공급공간
143 : 필터부재 144 : 고정프레임
145 : 유출구 146 : 유입구
150 : 펌프
161 ~ 163 : 제1 내지 제3연결관 164 : 제1공급라인
165 : 제2공급라인 166 : 배출라인
167 : 기체공급라인
171 ~ 177 : 제1개폐밸브 내지 제7개폐밸브

Claims (19)

  1. 세포가 안정적으로 배양될 수 있는 배양 환경을 제공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인큐베이터;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세포배양을 위한 복수 개의 지지체가 내부에 배치된 세포배양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세포배양부 측으로 공급되는 배지가 일정량 저장된 배지공급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세포배양부 및 배지공급부와 각각 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배지공급부에 저장된 배지가 상기 세포배양부 측으로 공급된 후 상기 배지공급부 측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지를 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세포배양부의 내부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단백질 모티프 코팅된 판상의 나노섬유 멤브레인과,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일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플라즈마 처리된 판상의 필름부재인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은 온도가 항온으로 유지하면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일정수준으로 유지되는 하나의 내부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세포배양부 및 배지공급부는 상기 하나의 내부공간에 함께 배치되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큐베이터는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를 항온으로 유지하고 상기 세포배양부 및 펌프가 배치되는 항온챔버와, 상기 항온챔버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일정수준으로 유지되는 이산화탄소 공급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지공급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배양부는,
    배지가 채워지는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형상의 배양하우징과, 세포가 배양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다단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체 및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가 상기 배양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서로 대면하는 두 개의 지지체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갖추고 상기 수용공간에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바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지지체를 서로 이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에 각각 체결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수용공간에 일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삽입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가이드부재는 서로 마주하는 일면에 상기 지지체의 단부측이 각각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인입형성된 복수 개의 슬롯홈을 포함하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수용공간에 일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삽입되고 서로 마주하는 일면에 상기 지지체의 단부측이 각각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인입형성된 복수 개의 슬롯홈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부재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체는 상기 배양하우징의 폭방향을 따라 단부를 포함하는 일부면적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열되는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체는 일단부측이 상기 두 개의 가이드부재 중 제1가이드부재의 슬롯홈에 삽입되고 타단부 측이 상기 제2지지체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지지체는 일단부측이 상기 두 개의 가이드부재 중 제2가이드부재의 슬롯홈에 삽입되고 타단부 측이 상기 제1지지체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가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분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하우징은 상기 배지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배지를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양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지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지유입구가 형성된 부분의 배양하우징의 내면은 상기 배지유입구를 중심으로 상기 배지의 유입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유입구 및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된 지지체 사이에는 상기 배지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배지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분산판이 배치되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판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관통형성된 복수 개의 통공 및 상기 배지유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배지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배지의 흐름을 방해하는 방해수단을 포함하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수단은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배지유입구 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이거나, 상기 몸체의 일면에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부재인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공급부는 상기 배지가 일정량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갖추고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의 배지하우징과, 상기 배지를 상기 저장공간 측으로 회수하거나 상기 세포배양부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배지가 유,출입되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유출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지하우징에 형성되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하우징은 일단부가 상기 배지하우징의 내측면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배지하우징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다른 내측면과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상기 배지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격벽을 매개로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는 배지회수공간과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는 배지공급공간으로 구획되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공급부는 상기 배지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산화탄소는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후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배지 측으로 공급되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은, 상기 세포배양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배양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통해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회전과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회전이 모두 가능하도록 상기 인큐베이터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KR1020190145044A 2018-11-14 2019-11-13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KR102318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5499 WO2020101376A1 (ko) 2018-11-14 2019-11-14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US17/293,741 US20220002654A1 (en) 2018-11-14 2019-11-14 Large-scale cell culture system
CN201980075020.6A CN113015785A (zh) 2018-11-14 2019-11-14 细胞大规模培养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40008 2018-11-14
KR1020180140008 2018-11-14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332A true KR20200056332A (ko) 2020-05-22
KR102318115B1 KR102318115B1 (ko) 2021-10-27
KR102318115B9 KR102318115B9 (ko) 2022-06-10

Family

ID=709142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044A KR102318115B1 (ko) 2018-11-14 2019-11-13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KR1020190145042A KR102332822B1 (ko) 2018-11-14 2019-11-13 세포배양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042A KR102332822B1 (ko) 2018-11-14 2019-11-13 세포배양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02654A1 (ko)
KR (2) KR102318115B1 (ko)
CN (1) CN1130157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6028A1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
WO2023204638A1 (ko) * 2022-04-20 2023-10-2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세포외 소포체 생산 시스템 및 세포외 소포체 생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608B1 (ko) * 2020-06-05 2023-04-2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세포배양기
KR102523609B1 (ko) * 2020-06-19 2023-04-2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세포배양기
KR102523612B1 (ko) * 2020-06-19 2023-04-2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세포배양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763A (ja) * 2000-10-10 2002-04-16 Nipro Corp 細胞培養容器
US20130157366A1 (en) * 2009-02-18 2013-06-20 Terumo Bct, Inc. Rotation System for Cell Growth Chamber of a Cell Expansion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for
KR20140052286A (ko) * 2012-10-24 2014-05-07 비전과학(주) 가스유입조절수단이 구비된 세포배양 인큐베이터
KR20170008024A (ko) * 2015-07-13 2017-01-23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3차원 조직 재생을 위한 적층 가능한 세포배양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
JP2018023289A (ja) * 2016-08-08 2018-02-15 株式会社カネカ 細胞培養容器、これを用いた細胞培養システム、および細胞培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848A (ko) * 2001-05-21 2002-11-29 (주)코아바이오텍 세포배양관 및 이를 이용한 대량 세포배양기
KR100946643B1 (ko) * 2007-11-30 2010-03-09 코아스템(주) 세포배양장치 및 이를 구비한 대용량 자동화 세포배양기
KR101011154B1 (ko) * 2009-01-30 2011-01-26 한국과학기술원 세포배양 복합자극챔버와 이를 이용한 세포배양장치
KR101412083B1 (ko) * 2012-07-24 2014-06-26 주식회사 새한마이크로텍 세포 배양 유닛, 세포 배양 장치 및 세포 배양 시스템
US10294449B2 (en) * 2012-08-21 2019-05-21 Nanofiber Solutions, Llc Fiber scaffolds for enhancing cell proliferation in cell culture
KR102250589B1 (ko) * 2014-03-25 2021-05-1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줄기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하이브리드 멤브레인, 이를 이용한 줄기세포 배양기 및 줄기세포의 배양 방법
KR101614151B1 (ko) * 2014-07-01 2016-04-22 한국화학연구원 흡입 독성 시험용 폐 모델 장치
CN108026501A (zh) * 2015-07-06 2018-05-11 株式会社朝日橡胶 细胞保持容器及使用该细胞保持容器的细胞培养方法
KR102119514B1 (ko) * 2016-05-31 2020-06-05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세포배양용 또는 조직공학용 지지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763A (ja) * 2000-10-10 2002-04-16 Nipro Corp 細胞培養容器
US20130157366A1 (en) * 2009-02-18 2013-06-20 Terumo Bct, Inc. Rotation System for Cell Growth Chamber of a Cell Expansion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for
KR20140052286A (ko) * 2012-10-24 2014-05-07 비전과학(주) 가스유입조절수단이 구비된 세포배양 인큐베이터
KR20170008024A (ko) * 2015-07-13 2017-01-23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3차원 조직 재생을 위한 적층 가능한 세포배양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
JP2018023289A (ja) * 2016-08-08 2018-02-15 株式会社カネカ 細胞培養容器、これを用いた細胞培養システム、および細胞培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6028A1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
WO2023204638A1 (ko) * 2022-04-20 2023-10-2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세포외 소포체 생산 시스템 및 세포외 소포체 생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115B9 (ko) 2022-06-10
KR102332822B1 (ko) 2021-11-30
KR102318115B1 (ko) 2021-10-27
US20220002654A1 (en) 2022-01-06
KR20200056331A (ko) 2020-05-22
CN113015785A (zh)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8115B1 (ko)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KR102441836B1 (ko) 모듈형 세포배양장치
US10144910B2 (en) Cell culture apparatus for co-culture of cells
JP3420615B2 (ja) 微生物を培養しおよびその代謝を利用し及び/又は維持するためのモジュール、モジュールの作動方法、肝臓維持システム、バイオリアクター、及び生物細胞生成物を製造する方法
US7374928B2 (en) Bio-reactor for the cultivation of micro-organism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20040029265A1 (en) Cell culture case
US10344257B2 (en) Horizontally rocked bioreactor system
WO2023174444A1 (zh) 一种杂合式光生物反应器
KR102411446B1 (ko) 세포배양장치
KR102417445B1 (ko) 세포배양장치
CN110055178B (zh) 细胞培养方法及细胞培养系统
JP7408778B2 (ja) 培養装置及び培養方法
CN111115998B (zh) 一种生物反应器装置
KR20230040774A (ko) 포터블 바이오리액터
US20090061508A1 (en) Laminar flow reactor
KR20240056088A (ko) 바이오리액터 시스템
CN216972485U (zh) 一种生物培养装置
KR102523608B1 (ko) 세포배양기
CN214571049U (zh) 一种高效生物固定床反硝化滤池
US9057044B2 (en) Laminar flow reactor
KR20240056089A (ko) 바이오리액터
WO2023089732A1 (ja) 微生物観察用デバイス
JPH1156343A (ja) 動物細胞培養用固定床リアクター及び細胞の播種方法
CN118109295A (zh) 一种微流控生物反应芯片
KR20230048921A (ko) 부유 세포용 바이오리액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