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46028A1 -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46028A1
WO2022146028A1 PCT/KR2021/020167 KR2021020167W WO2022146028A1 WO 2022146028 A1 WO2022146028 A1 WO 2022146028A1 KR 2021020167 W KR2021020167 W KR 2021020167W WO 2022146028 A1 WO2022146028 A1 WO 20221460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dium
space
bubble removal
removal devi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2016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선호
이승훈
서인용
김찬
한경구
김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US18/259,57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052281A1/en
Priority to CN202180087612.7A priority patent/CN116670263A/zh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9096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097300A/ko
Publication of WO20221460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460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63Regulation, control including valves and 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42Degasification of liquids modifying the liq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1Froth suppres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34Measuring or testing with condition measuring or sensing means, e.g. colony coun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20Degassing; Venting; Bubble tra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bble removal device for removing bubbles from a medium and a medium circulation type cell culture system including the same.
  • Cell culture refers to culturing and propagating tissue pieces by supplying nutrients to the tissue pieces removed from the individual of multicellular organisms in a container.
  • Animal cells derived from human or animal tissue may be cultured while suspended in a medium or attached to a support.
  • Mainly blood cell-derived cells including hematopoietic stem cells
  • cells derived from tissues such as skin, liver or lungs, and embryonic stem cells or mesenchymal stem cells, etc. are adherent cells.
  • Floating cells can be proliferated alone in a state in which cells are suspended in a medium, but adherent cells can proliferate only in a stat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 the adherent cells in order for the adherent cells to be smoothly cultured, it is important that the cells to be cultured are stab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 the seeding process of attaching these adherent cells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is performed by injecting a medium containing the cells to be cultur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n which the support is disposed. That is, the cultured cells included in the medium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when the medium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upport.
  • the air bubbles contained in the medium prevent the cells from being stab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 the cells are cultured in a state in which the cells are not stab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ells cannot be stably cultured.
  • air bubbles contained in the medium need to be removed not only in the seeding process of attaching the cells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but also in the process of culturing the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a bubble removal device for removing bubbles from a medium capable of supplying a medium in a bubble-removed state to the support side of the cell culture device, and a medium circulation type cell culture including the same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removing air bubbles from a medium, an internal space for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medium, an inlet through which the medium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to the inner space, and bubbles in the inner space a housing including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medium in the removed state; and a support part coupled to the housing so as to maintain the hous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inner space includes a first space filled with the medium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in which the medium is not filled, wherei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re air bubbles for removing air bubbles from the medium divided through the water level of the medium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through the inlet from the outside
  • a removal device is provided.
  • the inlet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to be positioned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outlet, and the outlet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to be position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pace, and the inlet is It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to be positioned at a position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e.
  • the second space may be a bubble separation space in which bubbles are separated while the medium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through the inlet falls into the first space.
  • the outlet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so as to be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 the bubble removal device for removing bubbles from the medium may further include a vent hole provided in the housing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pace.
  • the bubble removing device for removing air bubbles from the medium includes a pressure regulating means coupled to the vent so as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medium stored in the inner space by adjus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ner space.
  • a pressure regulating means coupled to the vent so as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medium stored in the inner space by adjus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ner space. may include more.
  • the housing may include a housing-shaped housing body having the inner space, and a cover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body to cover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 the bubble removal device for removing bubbles from the medium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includ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medium stored in a predetermined amount in the inner space.
  • the sen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H sensor for detecting the PH of the medium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medium.
  • the senor may be arranged so that a partial length including one end is submerged in the medium filled in the first space.
  • the sensing uni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 the medium may be a seeding medium containing cells to be cultured or a culture medium containing nutrient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ll culture apparatus in which at least one support to which the cells to be cultured are installed; a medium supply device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a culture medium for culturing the cells is stored therein; a cell supply source in which a certain amount of a seeding medium containing cells to be attached to the support is stored; a bubble removal device for removing air bubbles from the culture medium introduced from the medium supply device or from the seeding medium introduced from the cell supply source and then supplying to the cell culture device side; and a pump for circulating the culture medium, wherein the bubble removal device provides a medium circulation type cell culture system, which is a bubble removal device for removing bubbles from the above-described medium.
  • the seeding medium or culture medium may be supplied to the support included in the cell culture apparatus in a state in which air bubbles are removed.
  • the bubble removal device for removing air bubbles from the mediu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cells can be stab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and the cells to be cultured can be smoothly supplied with nutrients from the medium, resulting in stable cell culture. may be possible
  •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ubble removal device for removing bubbles from a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components are separated from FIG. 1;
  • FIG. 3 is a cutaway view of the housing of FIG. 1;
  •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edium is filled in the inner space in Figure 3, and,
  •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dium circulation type cell culture system to which a bubble removal device for removing bubbles from a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the bubble removal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bubble removal device') for removing bubbles from the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and a support unit 120 as shown in FIG. 1 . It can be done, and the medium introduced to the insid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 state in which air bubbles are removed.
  • the medium may be a seeding medium containing the cells to be cultured, or may be a culture medium containing nutrients required for cell culture.
  • the seeding medium may be a medium in which the cells to be cultured are included, and the culture medium may be a medium in which the cells to be cultured are not included while containing nutrients necessary for culturing the cells.
  • the bubble removal apparatus 100 may be applied to a medium circulation type cell culture system 1000 in which a medium is circulated as shown in FIG. 5 .
  • the seeding medium containing the cells to be cultured may be supplied from the cell supply source 200 to the cell culture apparatus 400 side, and the cells included in the seeding medium are provided in the cell culture apparatus 400 . It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supported support (not shown).
  • the culture medium containing nutrients required for cell culture may be sequentially circulated through the cell culture device 400 , the bubble removal device 100 , and the medium supply device 300 by driving the pump 500 .
  • the bubble removal device 100 removes bubbles from the culture medium introduced from the medium supply device 300 or the seeding medium introduced from the cell supply source 200, and then the bubbles are removed from the culture medium or seeds.
  • Ding medium may be supplied to the cell culture device 400 side.
  • the cells included in the seeding medium can be stab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not shown) provided in the cell culture apparatus 400, and the cells attached to the support are supplied from the culture medium. It can be cultured smoothly through nutrients.
  • the housing 110 may include an internal space 113 of a predetermined volume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medium supplied from the outside can be stored, and the housing 110 receives the medium from the outside into the internal space 113 .
  • ) may include an inlet 114 for inflow and an outlet 115 for discharging the medium stored in the inner space 113 to the outside.
  • the inlet 114 may be connected to the medium supply device 300 or the cell supply source 20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810 , and the outlet 115 may supply the medium through the connection pipe 820 . It may be connected to the device 300 .
  • the culture medium introduced from the medium supply device 300 through the inlet 114 and the connection pipe 810 or the seeding medium introduced from the cell supply source 200 is placed in the inner space 113 .
  • a certain amount may be stored, and the medium stored in the inner space 113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15 .
  • the medium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5 may move along the connection tube 820 to the cell culture apparatus 400 .
  • the housing 110 is a housing body 111 having a housing shape having the inner space 113 and one side of the housing body 111 so as to cover the open upper part of the inner space 113 . It may include a cover member 112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 the inlet 114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body 111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113
  • the outlet 115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body 111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113 . 111) may be provided.
  • cover member 11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body 111 through at least one fastening member 118 , 119 .
  • the fastening members 118 and 119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fastening member 118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119,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118 may be a known bolt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119 may be a known toggle clamp.
  • the toggle clamp may be a commercial name cicadas.
  • the cover member 112 is coupled to the housing body 111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118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119 to open the inner space 113 .
  • the upper part can be sealed.
  • the medium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113 in the bubble removing device 1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15 after the bubbles are removed.
  • the inner space 113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pace 113a filled with the medium and a second space 113b not filled with the medium, as shown in FIG. 4 , and the first The space 113a and the second space 113b may be divided through the water level of the medium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113, and the second space 113b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pace 113a. It can be formed to be positioned.
  • the inlet 114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110 to be positioned at a relatively higher position than the outlet 115 .
  • the outlet 115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1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space 113a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pace 113 , and the inlet 114 may be formed in the inner space. It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1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pace 113b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113 .
  • the outlet 115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110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space 113a while being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113 .
  • the medium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113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114 may move to the first space 113a through the second space 113b, and the first space 113a ) stored in the medium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15).
  • the second space 113b may serve as a bubble separation space for separating bubbles from the medium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113 through the inlet 114 .
  • the medium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113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114 may fall along the second space 113b, and air bubbles may be separated, and the air bubbles in the second space 113b may be separated.
  • the separated medium may move to the first space 113a.
  • the medium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113 can move to the first space 113a after air bubbles are removed from the second space 113b, and the medium filled in the first space 113a is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 state in which air bubbles are removed through the outlet 115 .
  • the medium supplied to the cell culture apparatus 400 may be a medium in which air bubbles are completely removed.
  • the medium in a bubble-free state can be supplied to the cell culture device 400 side, so the cells included in the seeding medium are It can be stab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 the cell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can receive nutrients from the medium while receiving minimal stress.
  • the bubble removal apparatus 100 may adjust the amount of the medium stored in the inner space 113 by adjus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ner space 113 .
  • the bubble removal device 100 may include a vent hole 116 provided in the housing 110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113 , and the vent hole 116 is a pressure adjusting means ( 130) can be connected.
  • vent hole 116 may be provided in the cover member 112 , and the vent hole 116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pace 113b.
  • the pressure regulating means 130 may include a vent filter 131 , and may serve as a vent means for discharging air bubbles separated from the medium and filled in the second space 113b to the outside. have.
  • the bubble removing device 100 can adjust the water level of the medium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113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ressure adjusting means 130, and the inner space ( 113) may be divided into the first space 113a and the second space 113b through the water level of the medium.
  • the level of the medium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113 may be changed or maintained through opening and closing of the pressure adjusting means 130 .
  • the level of the medium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113 may be adjusted through the pressure adjusting means 130 to be maintained at a position relatively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inlet 114 .
  • the medium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113 through the inlet 114 can always move to the first space 113a through the second space 113b, and at the inlet 114,
  • the medium moving to the first space 113a may be a medium in which air bubbles are separated from the second space 113b.
  • the medium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15 may always be in a state in which air bubbles are removed.
  • the support part 120 may support the housing 11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by a predetermined height.
  • the support part 120 may include a bottom plate 122 and a side plate 124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plate 122 , and the housing 110 has one side on the side plate 124 . can be combined.
  • the outlet 115 may be disposed to be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110 while the housing 110 is coupled to the support 120 .
  • the housing 110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120 such that the inlet 114 is positioned at a relatively higher position than the outlet 115 , and the outlet 115 is the housing 110 . Even if i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it may be arranged to mainta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122 by a predetermined height.
  • the outlet 115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space 113a. and the inlet 114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pace 113b.
  • the shape of the support part 120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long as it has a shape that can separate the housing 110 from the bottom by a predetermined height, it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 the bubble removal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140 including sensors 143 and 144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medium stored in the inner space 113 . .
  • the sensors 143 and 144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H sensor 143 for detecting the PH of the medium and a temperature sensor 144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medium.
  • the sensors 143 and 144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110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medium and the medium stored in the inner space 113 are in contact.
  • the sensors 143 and 144 may be disposed so that a partial length including one end is submerged in the medium filled in the first space 113a.
  • the bubble removal apparatus 100 can monitor the state of the medium before being supplied to the cell culture apparatus 400 through the sensors 143 and 144, so that the outlet ( 115),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medium supplied to the cell culture apparatus 400 in an optimal state.
  • the sensing unit 1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10 .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stopper 141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the stopper 141 is the sensor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coupling hole 142 for fixing the 143,144.
  • the stopper 14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117 formed through the cover member 112 , and the sensors 143 and 144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42 .
  • sensors 143 and 144 may be connected to a controller (not shown) through a cable.
  • the user can monitor and manage the status of the badge based on the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sensors 143 and 144 .
  • the type of the sensor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known sensors may be applied as long as it can measure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medium required for cell culture.
  • the bubble removal apparatus 100 may be applied to the medium circulation type cell culture system 1000 as described above.
  • the medium circulation type cell culture system 1000 includes a cell culture device 400 , a medium supply device 300 , a cell supply source 200 , and bubble removal. It may include device 100 and pump 500 .
  • the medium supply device 300 stores a certain amount of culture medium required for cell culture.
  • the cell supply source 200 may store a certain amount of the seeding medium required for cell culture.
  • the seeding medium stored therein may be moved to the bubble removal device 100 side through the injection of a gas having a predetermin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culture medium is the medium supply device 300 )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PH concentration required for cell culture.
  • the cell culture device 400, the medium supply device 300, the cell supply source 200, the bubble removal device 100, and the pump 500 may be interconnected via a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810,820,830,840,850. have.
  • the seeding medium stored in the cell supply source 200 or the culture medium stored in the medium supply device 300 is selectively supplied to the bubble removal device 100 through opening and closing of at least one valve 600 , 700 .
  • the culture medium stored in the medium supply device 300 is changed to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at least one valve 600 and 700 and the pump 500 is driven through the medium supply device 300, the bubble removal device ( 100) and the cell culture apparatus 400 may be sequentially cycled.
  • the culture medium may be supplied to the bubble removal device 100 from the medium supply device 300 , and the culture medium introduced into the bubble removal device 100 is the bubble removal device 100 . ) may be supplied to the cell culture device 400 side after the air bubbles are removed. In addition, the culture medium moved to the cell culture device 400 is recovered to the medium supply device 300 and restored to a constant PH concentration required for cell culture, it can be supplied to the bubble removal device 100 again. .
  • the seeding medium stored in the cell supply source 200 may be supplied to the bubble removal device 100 through opening and closing of the at least one valve 600 , 700 .
  • the seeding medium may be moved to the bubble removal device 100 by the injection pressure provided from the cell supply source 200 and then supplied to the cell culture device 400 side.
  • the seeding medium may be supplied to the cell culture device 400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bubbles are removed from the bubble removal device 100 .
  • the cells included in the seeding medium can be smoothly attach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accommodated in the cell culture apparatus 400, and the seeding medium moved to the cell culture apparatus 400 is the cell culture apparatus ( 400) may stay in the cell culture apparatus 400 without moving to the medium supply apparatus 300 side.
  • the cells included in the seeding medium supplied from the bubble removal apparatus 100 to the cell culture apparatus 400 can be smooth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in the cell culture apparatus 400 .
  • the above-described bubble removal device 100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applied to a circulation system in which the medium is circul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a stationary cell culture system in which the medium is not circulated.
  • the above-described bubble removal apparatus 100 may be applied to a process of seeding cells or a process of first injecting a medium in a stationary cell culture system.
  • the cells cultured in the cell culture apparatus 300 can be utilized as cells for producing a large amount of artificial nano-vesicles. That is, the cells cultured in the cell culture apparatus 300 may be converted into artificial nanovesicles through cell disrup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ll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는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배지를 일정량 저장하기 위한 내부공간과,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으로 상기 배지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내부공간에서 기포가 제거된 상태의 배지를 외부로 배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배지가 일정량 채워지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배지가 채워지지 않는 제2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은 외부로부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배지의 수위를 통해 구분된다.

Description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
본 발명은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포배양은 용기 내에서 다세포생물의 개체로부터 떼낸 조직편에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조직편을 배양, 증식하는 것을 말한다.
인간 혹은 동물의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동물세포들은 배지 내에서 부유되거나 또는 지지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배양될 수 있다. 주로 혈구유래의 세포들(조혈줄기세포 포함)은 부유성 세포이고, 피부, 간 또는 폐 같은 조직 유래의 세포들과 배아줄기세포 또는 중간엽 줄기세포 등은 부착성 세포이다.
부유성 세포는 세포가 단독으로 배지 중에 부유한 상태에서 증식될 수 있으나, 부착성 세포는 지지체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만 증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성 세포가 원활하게 배양되기 위해서는 배양될 세포가 지지체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부착성 세포를 지지체의 표면에 부착하는 씨딩 공정은 배양될 세포를 포함하는 배지를 지지체가 배치된 용기의 내부로 주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즉, 배지에 포함된 배양 세포는 배지가 지지체의 표면과 접촉할 때 지지체의 표면에 부착된다.
그러나 씨딩 공정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배지에 기포가 포함되면, 배지에 포함된 기포는 세포가 지지체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방해한다.
이에 따라, 세포가 지지체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세포가 배양되면 세포는 안정적으로 배양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세포 배양시 필요한 배양용 배지를 배지공급장치로부터 세포배양장치로 순환시키는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에서 기포가 포함된 상태의 배양용 배지가 세포배양장치로 공급되면 지지체에 부착된 세포는 기포에 의해 배지에 포함된 영양분을 원활하게 공급받지 못한다.
이에 따라, 배양용 배지로부터 영양분을 원활하게 공급받지 못한 세포는 원활하게 배양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지지체의 표면에 세포를 부착하는 씨딩 공정뿐만 아니라 세포를 배양하는 과정에서도 배지에 포함된 기포는 제거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포가 제거된 상태의 배지를 세포배양장치의 지지체 측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배지를 일정량 저장하기 위한 내부공간과,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으로 상기 배지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내부공간에서 기포가 제거된 상태의 배지를 외부로 배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배지가 일정량 채워지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배지가 채워지지 않는 제2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은 외부로부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배지의 수위를 통해 구분되는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유출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제1공간과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2공간과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공간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유입되는 배지가 상기 제1공간으로 낙하하면서 기포가 분리되는 기포분리공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구는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는, 상기 제2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벤트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는, 상기 내부공간의 내부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저장되는 상기 배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벤트구에 결합되는 압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형상의 하우징몸체와,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몸체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는, 상기 내부공간에 일정량 저장된 상기 배지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배지의 PH를 감지하기 위한 PH센서 및 상기 배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일단부를 포함하는 일부길이가 상기 제1공간에 채워진 배지에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지는 배양될 세포가 포함된 씨딩용 배지이거나 영양분을 포함하는 배양용 배지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배양될 세포가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가 설치되는 세포배양장치; 상기 세포의 배양을 위한 배양용 배지가 내부에 일정량 저장되는 배지공급장치; 상기 지지체에 부착될 세포를 포함하는 씨딩용 배지가 일정량 저장되는 세포공급원; 상기 배지공급장치로부터 유입된 상기 배양용 배지 또는 상기 세포공급원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씨딩용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한 후 상기 세포배양장치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및 상기 배양용 배지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기포제거장치는 상술한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인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씨딩용 배지 또는 배양용 배지는 기포가 제거된 상태에서 세포배양장치에 포함된 지지체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를 이용하면 지지체의 표면에 세포가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배양될 세포는 배지로부터 영양분을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음으로써 안정적인 세포 배양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에서 주요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하우징을 절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내부공간에 배지가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가 적용된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100)(이하, '기포제거장치'라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및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로 유입된 배지는 기포가 제거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지는 배양될 세포가 포함된 씨딩용 배지일 수도 있고, 세포 배양시 필요한 영양분을 포함하는 배양용 배지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씨딩용 배지는 배양될 세포가 포함된 상태의 배지일 수 있으며, 상기 배양용 배지는 세포의 배양시 필요한 영양분을 포함하면서 배양될 세포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의 배지일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가 순환되는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1000)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배양될 세포가 포함된 씨딩용 배지는 세포공급원(200)으로부터 세포배양장치(4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씨딩용 배지에 포함된 세포는 상기 세포배양장치(400)에 구비된 지지체(미도시)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세포배양시 필요한 영양분이 포함된 배양용 배지는 펌프(500)의 구동을 통해 세포배양장치(400), 기포제거장치(100) 및 배지공급장치(300)를 순차적으로 순환할 수 있다.
즉, 상기 기포제거장치(100)는 상기 배지공급장치(300)로부터 유입된 배양용 배지 또는 상기 세포공급원(200)으로부터 유입된 씨딩용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한 후 기포가 제거된 배양용 배지 또는 씨딩용 배지를 상기 세포배양장치(400)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씨딩용 배지에 포함된 세포는 상기 세포배양장치(400)에 구비된 지지체(미도시)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에 부착된 세포는 상기 배양용 배지로부터 공급되는 영양분을 통해 원활하게 배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1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배지가 일정량 저장될 수 있도록 소정 부피의 내부공간(1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은 외부로부터 상기 배지를 상기 내부공간(113)으로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114)와, 상기 내부공간(113)에 저장된 배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유입구(114)는 연결관(810)을 통해 상기 배지공급장치(300) 또는 세포공급원(2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유출구(115)는 연결관(820)을 통해 배지공급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114) 및 연결관(810)을 통해 상기 배지공급장치(300)로부터 유입된 배양용 배지 또는 상기 세포공급원(200)으로부터 유입된 씨딩용 배지는 상기 내부공간(113)에 일정량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113)에 저장된 배지는 상기 유출구(1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출구(115)를 통해 배출된 배지는 연결관(820)을 따라 이동하여 세포배양장치(400)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써,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내부공간(113)을 갖는 함체형상의 하우징몸체(111)와, 상기 내부공간(113)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몸체(111)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유입구(114)는 상기 내부공간(113)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몸체(111)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유출구(115)는 상기 내부공간(113)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몸체(111)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112)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재(118,119)를 통해 상기 하우징몸체(1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부재(118,119)는 제1체결부재(118)와 제2체결부재(11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체결부재(118)는 공지의 볼트부재일 수 있으며, 상기 제2체결부재(119)는 공지의 토글 클램프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토글 클램프는 상업명 매미고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덮개부재(112)는 상기 제1체결부재(118) 및 제2체결부재(1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몸체(11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113)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100)에서 상기 내부공간(113)으로 유입된 배지는 기포가 제거된 후 상기 유출구(1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내부공간(1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지가 채워지는 제1공간(113a)과 상기 배지가 채워지지 않는 제2공간(113b)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제1공간(113a) 및 제2공간(113b)은 상기 내부공간(113)으로 유입된 배지의 수위를 통해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공간(113b)은 상기 제1공간(113a)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114)는 상기 유출구(115)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출구(115)는 상기 내부공간(113) 중 하부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1공간(113a)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유입구(114)는 상기 내부공간(113) 중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공간(113b)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출구(115)는 상기 내부공간(113)의 바닥면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공간(113a)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114)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공간(113)으로 유입된 배지는 상기 제2공간(113b)을 거쳐 상기 제1공간(113a)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공간(113a)에 저장된 배지는 상기 유출구(1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2공간(113b)은 상기 유입구(114)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13)으로 유입되는 배지로부터 기포를 분리하는 기포분리공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구(114)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공간(113)으로 유입된 배지는 상기 제2공간(113b)을 따라 낙하하면서 기포가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공간(113b)에서 기포가 분리된 배지는 상기 제1공간(113a)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13)으로 유입된 배지는 상기 제2공간(113b)에서 기포가 제거된 후 상기 제1공간(113a)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공간(113a)에 채워진 배지는 상기 유출구(115)를 통해 기포가 제거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유출구(115)가 상기 세포배양장치(400)의 유입구와 연결되면 상기 세포배양장치(400)로 공급되는 배지는 기포가 완전히 제거된 상태의 배지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100)를 이용하면 기포가 제거된 상태의 배지가 세포배양장치(400) 측으로 배지가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씨딩용 배지에 포함된 세포는 지지체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기포가 제거된 상태의 배양용 배지가 세포배양장치(400) 측으로 공급되면, 지지체의 표면에 부착된 세포는 스트레스를 최소로 받으면서도 배지로부터 영양분을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100)는 상기 내부공간(113)의 내부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내부공간(113)에 저장되는 배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기포제거장치(100)는 상기 내부공간(113)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벤트구(1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벤트구(116)는 압력조절수단(130)과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벤트구(116)는 상기 덮개부재(11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벤트구(116)는 상기 제2공간(113b)과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압력조절수단(130)은 벤트필터(1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2공간(113b)에 채워진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벤트수단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100)는 상기 압력조절수단(130)의 개폐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13)으로 유입되는 배지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113)은 상기 배지의 수위를 통해 상기 제1공간(113a)과 제2공간(113b)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113)으로 유입된 배지의 수위는 상기 압력조절수단(130)의 개폐를 통해 변경되거나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13)으로 유입된 배지의 수위는 상기 유입구(114) 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압력조절수단(130)을 통해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114)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13)으로 유입된 배지는 항상 상기 제2공간(113b)을 거쳐 상기 제1공간(113a)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114)에서 제1공간(113a)으로 이동하는 배지는 상기 제2공간(113b)에서 기포가 분리된 상태의 배지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출구(1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배지는 항상 기포가 제거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10)을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부(120)는 바닥판(122)과 상기 바닥판(122)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는 측판(124)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10)은 일측이 상기 측판(124)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유출구(115)는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지지부(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유입구(114)가 상기 유출구(115)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유출구(115)는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측에 형성되더라도 상기 바닥판(122)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지지부(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간(113) 측으로 일정량의 배지가 유입되면, 상기 유출구(115)는 상기 제1공간(113a)과 연통될 수 있고 상기 유입구(114)는 상기 제2공간(113b)과 연통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부(120)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10)을 일정높이 이격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설계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100)는 상기 내부공간(113) 에 저장된 배지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143,144)를 포함하는 센싱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143,144)는 상기 배지의 PH를 감지하기 위한 PH센서(143) 및 상기 배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1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센서(143,14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113)에 저장된 배지와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143,144)는 일단부를 포함하는 일부길이가 상기 제1공간(113a)에 채워진 배지에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100)는 상기 센서(143,144)를 통해 상기 세포배양장치(400)로 공급되기 전 상태의 배지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유출구(115)를 통해 상기 세포배양장치(400)로 공급되는 배지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싱부(140)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싱부(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1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마개(141)는 상기 센서(143,144)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14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개(141)는 상기 덮개부재(112)에 관통형성되는 체결공(117)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143,144)는 상기 결합공(14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센서(143,144)는 케이블을 통해 컨트롤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센서(143,144)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센서의 종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세포 배양시 필요한 배지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다양한 센서들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1000)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1000)은 세포배양장치(400), 배지공급장치(300), 세포공급원(200), 기포제거장치(100) 및 펌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포배양장치(400)는 배양될 세포가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미도시)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배지공급장치(300)는 세포배양시 필요한 배양용 배지가 일정량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세포공급원(200)은 세포배양시 필요한 씨딩용 배지가 일정량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공급원(200)은 소정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가지는 가스의 주입을 통해 내부에 저장된 씨딩용 배지가 상기 기포제거장치(100) 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배양용 배지는 상기 배지공급장치(300)에서 세포 배양시 요구되는 일정한 PH 농도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세포배양장치(400), 배지공급장치(300), 세포공급원(200), 기포제거장치(100) 및 펌프(500)는 복수 개의 연결관(810,820,830,840,850)을 매개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공급원(200)에 저장된 씨딩용 배지 또는 상기 배지공급장치(300)에 저장된 배양용 배지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600,700)의 개폐를 통해 상기 기포제거장치(100)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지공급장치(300)에 저장된 배양용 배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600,700)의 개폐상태 변경 및 상기 펌프(500)의 구동을 통해 상기 배지공급장치(300), 기포제거장치(100) 및 세포배양장치(400)를 순차적으로 순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배양용 배지는 상기 배지공급장치(300)로부터 상기 기포제거장치(100)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기포제거장치(100)로 유입된 배양용 배지는 상기 기포제거장치(100)에서 기포가 제거된 후 상기 세포배양장치(4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세포배양장치(400)로 이동한 배양용 배지는 상기 배지공급장치(300)로 회수되어 세포배양시 필요한 일정한 PH 농도로 복원된 상태에서 다시 기포제거장치(1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세포공급원(200)에 저장된 씨딩용 배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600,700)의 개폐를 통해 상기 기포제거장치(1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씨딩용 배지는 상기 세포공급원(200)에서 제공되는 주입압력에 의해 상기 기포제거장치(100)로 이동한 후 상기 세포배양장치(4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씨딩용 배지는 상기 기포제거장치(100)에서 기포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세포배양장치(4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씨딩용 배지에 포함된 세포는 상기 세포배양장치(400) 내에 수용된 지지체 측에 원활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세포배양장치(400)로 이동한 씨딩용 배지는 상기 세포배양장치(400)에서 상기 배지공급장치(300) 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세포배양장치(400) 내에 머무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기포제거장치(100)로부터 상기 세포배양장치(400)로 공급된 씨딩용 배지에 포함된 세포는 상기 세포배양장치(400)에서 지지체의 표면에 원활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면과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포제거장치(100)가 배지가 순환되는 순환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배지가 순환하지 않는 정치형 세포배양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술한 기포제거장치(100)는 정치형 세포배양 시스템에서 세포의 씨딩공정이나 최초로 배지를 주입하는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세포배양장치(300)에서 배양된 세포는 대량의 인공나노소포체를 생산하기 위한 세포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세포배양장치(300)에서 배양된 세포는 세포 파쇄를 통해 인공나노소포체로 변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배지를 일정량 저장하기 위한 내부공간과,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으로 상기 배지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내부공간에서 기포가 제거된 상태의 배지를 외부로 배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배지가 일정량 채워지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배지가 채워지지 않는 제2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은 외부로부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배지의 수위를 통해 구분되는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유출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제1공간과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2공간과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간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유입되는 배지가 상기 제1공간으로 낙하하면서 기포가 분리되는 기포분리공간인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는,
    상기 제2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벤트구를 더 포함하는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는,
    상기 내부공간의 내부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저장되는 상기 배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벤트구에 결합되는 압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형상의 하우징몸체와,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몸체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는,
    상기 내부공간에 일정량 저장된 상기 배지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배지의 PH를 감지하기 위한 PH센서 및 상기 배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일단부를 포함하는 일부길이가 상기 제1공간에 채워진 배지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배양될 세포가 포함된 씨딩용 배지이거나 영양분을 포함하는 배양용 배지인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13. 배양될 세포가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가 설치되는 세포배양장치;
    상기 세포의 배양을 위한 배양용 배지가 내부에 일정량 저장되는 배지공급장치;
    상기 지지체에 부착될 세포를 포함하는 씨딩용 배지가 일정량 저장되는 세포공급원;
    상기 배지공급장치로부터 유입된 상기 배양용 배지 또는 상기 세포공급원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씨딩용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한 후 상기 세포배양장치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및
    상기 배양용 배지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기포제거장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인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
PCT/KR2021/020167 2020-12-30 2021-12-29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 WO2022146028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259,571 US20240052281A1 (en) 2020-12-30 2021-12-29 Air bubble removal device for removing air bubbles from medium and medium circulating cell cultiv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CN202180087612.7A CN116670263A (zh) 2020-12-30 2021-12-29 用于从培养基去除气泡的气泡去除装置及包括其的培养基循环式细胞培养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016 2020-12-30
KR20200187016 2020-12-30
KR1020210190962A KR20220097300A (ko) 2020-12-30 2021-12-29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
KR10-2021-0190962 2021-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6028A1 true WO2022146028A1 (ko) 2022-07-07

Family

ID=8226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20167 WO2022146028A1 (ko) 2020-12-30 2021-12-29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052281A1 (ko)
WO (1) WO202214602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062A (ko) * 2002-01-10 2003-07-18 설동근 가압식 세포 배양기
KR20160108844A (ko) * 2015-03-09 2016-09-21 김두현 세포배양기
KR20170020739A (ko) * 2014-06-24 2017-02-24 니혼샤신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배양 용기
JP2018038337A (ja) * 2016-09-08 2018-03-1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バッファタンクおよび培養システム
US20190010437A1 (en) * 2016-02-26 2019-01-10 Guangzhou Jet Bio-Filtration Co., Ltd. Cell culture apparatus and method
KR20200056332A (ko) * 2018-11-14 2020-05-2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062A (ko) * 2002-01-10 2003-07-18 설동근 가압식 세포 배양기
KR20170020739A (ko) * 2014-06-24 2017-02-24 니혼샤신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배양 용기
KR20160108844A (ko) * 2015-03-09 2016-09-21 김두현 세포배양기
US20190010437A1 (en) * 2016-02-26 2019-01-10 Guangzhou Jet Bio-Filtration Co., Ltd. Cell culture apparatus and method
JP2018038337A (ja) * 2016-09-08 2018-03-1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バッファタンクおよび培養システム
KR20200056332A (ko) * 2018-11-14 2020-05-2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52281A1 (en)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75808A1 (ko) 세포배양장치
EP1944358B1 (en) Cell culture apparatus, cell culture method, cell culture program and cell culture system
EP1944359B1 (en) Shaker for cell culture and shaken culture system in cell culture method
JP6666313B2 (ja) 微小流体システムにおける空気装置用コネクタ
WO2011052948A2 (ko) 재생성 세포 추출유닛 및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WO2014178692A1 (ko) 마이크로플루이딕 멀티-웰 기반의 세포배양검사 장치
WO2014062022A1 (ko) 이중구조 세포배양용기 및 이를 이용한 순환배양시스템
WO2022146028A1 (ko)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
WO2021177531A1 (ko) 고형화된 유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신속한 세포배양검사 장치
WO2021075806A1 (ko) 세포배양장치
WO2021141207A1 (ko) 세포 압출기 및 세포 압출방법
EP1268742B1 (en) Perfusion incubator
WO2021251688A1 (ko) 바이오 3차원 프린터용 챔버 환경 제어 장치
WO2022139389A1 (ko) 세포 배양 플레이트 적층 배열체
WO2010101358A2 (ko) 세포 또는 조직 배양용 기구
WO2018097510A1 (ko) 생물반응용기
WO2010123205A2 (ko) 항온 교반장치 및 항온 교반장치를 이용한 교반방법
WO2021256769A1 (ko) 세포배양기
WO2023043237A1 (ko) 포터블 바이오리액터
KR20220097300A (ko)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
WO2014017731A1 (ko) 멀티 마이크로플레이트 기반 광학 측정기
WO2023058925A1 (ko) 부유 세포용 바이오리액터
WO2021112546A1 (ko) 자력을 이용한 생물반응 교반기
WO2021187702A1 (ko) 섬 구조물을 포함하는 신속한 세포배양검사 장치
WO2018012790A1 (ko) 슬러리 제조용 믹서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158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0087612.7

Country of ref document: C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59571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158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