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974A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974A
KR20200055974A KR1020180139724A KR20180139724A KR20200055974A KR 20200055974 A KR20200055974 A KR 20200055974A KR 1020180139724 A KR1020180139724 A KR 1020180139724A KR 20180139724 A KR20180139724 A KR 20180139724A KR 20200055974 A KR20200055974 A KR 20200055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vehicle
user
authentication method
connected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7633B1 (ko
Inventor
천창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9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633B1/ko
Priority to US16/291,131 priority patent/US11696126B2/en
Priority to DE102019203176.5A priority patent/DE102019203176A1/de
Priority to CN201910228535.7A priority patent/CN111193693B/zh
Publication of KR20200055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3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ith more than one way to gain acc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04L63/083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using one-time-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5Multiple levels of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3Multi-level security, e.g. mandatory access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복수 개의 좌석; 사용자와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행부; 및 상기 인증 수행부의 인증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착석한 좌석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좌석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인증 수행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개시된 실시예는, 차량의 좌석을 구분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실행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커넥티드카는 정보통신기술과 차량을 연결시킨 것으로, 양방향 인터넷 및 모바일 서비스 등이 가능한 차량을 말한다.
커넥티드 카는 임베디드 방식 및 미러링 방식으로 구분되며, 임베디드 방식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이동 통신과 차량 안에 탑재된 모뎀을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미러링 방식은 사용자 단말과 와이파이(WiFi)로 차량 안에 마련된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를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방식을 통해 연결된 차량은 사용자 단말과 결합하여 여러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차량이 제공하는 다양한 인포테인먼트를 커넥티드카 서비스라 지칭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하는 인터넷 및 모바일 서비스는 이미 개인 보호 및 결제와 같은 서비스 진행에 강한 보안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커넥티드카 서비스는 여전히 운전자 중심의 인증이 이뤄지면, 간단한 보안 인증을 통해 사용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각각의 좌석에서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티드카 서비스에서도 여전히 개별적인 인증이 이뤄지지 않아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좌석 별로 인증 수행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사용 환경에 적합한 인증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 인증의 보안 강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복수 개의 좌석; 사용자와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행부; 및 상기 인증 수행부의 인증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착석한 좌석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좌석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인증 수행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좌석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상기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좌석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좌석 및 상기 요청된 커넥티드카 서비스에 기초하여 보안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안 강도에 따른 제1 인증 방법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인증 방법의 인증 완료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증 방법보다 보안 강도가 낮은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인증의 인증 완료 후, 도어 이벤트 발생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이벤트 발생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구분된 좌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인증 잠금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인증 방법의 인증 완료 후, 인증 유지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인증 방법의 인증 완료된 후, 시동 오프 여부에 기초하여 계정 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계정 연동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인증 방법의 인증 완료된 후, 로그 아웃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증 방법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스템 온 명령이 수신된 후,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인증 방법에 관한 인증 완료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도어 이벤트 또는 시동 온 여부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요청 시 상기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커넥티드카 서비스 요청 시 상기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복수 개의 좌석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좌석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좌석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좌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개별적으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의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구분된 좌석 및 상기 요청된 커넥티드카 서비스에 기초하여 보안 강도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행하는 것은, 상기 보안 강도에 따른 제1 인증 방법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인증 방법의 인증 완료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증 방법보다 보안 강도가 낮은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1인증의 인증 완료 후, 도어 이벤트 발생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행하는 것은, 상기 도어 이벤트 발생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구분된 좌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인증 잠금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1 인증 방법의 인증 완료 후, 인증 유지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1 인증 방법의 인증 완료된 후, 시동 오프 여부에 기초하여 계정 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계정 연동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증 방법의 인증 완료된 후, 로그 아웃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증 방법을 해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시스템 온 명령이 수신된 후,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인증 방법에 관한 인증 완료 여부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은, 차량의 좌석 별로 인증 수행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사용 환경에 적합한 인증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은 사용자 인증의 보안 강도를 적절히 유지하면서 동시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드카 서버스를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도 2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예에 따라 저장부가 저장한 보안 강도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4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라 인증을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인증 잠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라 인증이 해제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사용자가 차량의 탑승 전, 사전 인증을 수행하는 실시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하는 경우 일어날 수 있는 실시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운전석의 인증이 수행된 후 도어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수행되는 인증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드카 서버스를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시된 시스템(1)은, 차량(100)과 차량(100)과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10), 기지국(50) 및 차량(100), 사용자 단말(10) 및 기지국(50) 중 적어도 하나와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서버(7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은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100)과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0) 중 스마트 폰을 사용자가 휴대하여 차량(100) 내부로 탑승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사용자 단말(10)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지국(50)은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을 통해 차량(100) 및 여러 디바이스들과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 가능하다. 또한,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은 전파를 전송하는 방향 외의 방향으로 유출되는 전파를 최소화하여 노이즈를 감소시킴으로써, 송신 품질 향상과 전력량의 감소를 함께 도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지국(50)은 일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차량(1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기지국(50)과 시간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과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등의 제2 세대(2G) 통신 방식,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과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과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와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의 3세대(3G) 통신 방식, 엘티이(Long Term Evolution: LTE)와 와이브로 에볼류션(Wireless Broadband Evolution) 등 4세대(4G) 통신 방식으로 기지국(5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차량(100)은 5세대(5G) 통신 방식을 채용하여 기지국(5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5G 통신방식은 직교주파수 분할(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방식을 통해 송신 신호를 변조하는 기존과 달리, 비직교 다중접속(Non-Orthogonal Multiplexing Access, NOMA) 방식을 통해 변조한 무선 신호를 기지국(50)으로 전송한다.
인증 서버(70)는 차량(100)이 전달하는 사용자의 인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인증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증 서버(70)가 금융 결제와 관련된 서버이면, 차량(100)이 전달하는 인증 완료 정보를 수신한 후, 금융 결제와 관련된 데이터를 차량(100)으로 전달한다.
인증 서버(70)는 기지국(50)을 통해 차량(100)으로부터 인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 단말(10)을 통해서 사용자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10)이 차량(100)과 연결된 커넥티드카에 관한 것이므로, 이하의 대부분의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10)이 차량(100)을 통해 결제 서비스와 같은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차량(100)은 인증 서버(70)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인증 수행을 대신 제공하며, 차량(100)은 각 좌석의 점유 여부 및 차량(100)의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인증 수행의 보안 강도 및 종류를 조절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차량(100)은 내부에 마련된 AVN 장치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61, 162, 163) 및 스티어링 휠(104) 및 좌석(101, 102, 103) 주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121, 122) 및 사용자의 홍채, 지문 등 인증에 필요한 정보 및 좌석의 착석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 장치(131, 132, 133) 및 사용자에게 소리, 경고음, 재생 음악을 제공하는 스피커(171)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각각의 구성은, 차량(100) 내부에서 하드웨어적 장치이며, 이하의 도2 에서 설명할 각 구성이 수행하는데 동작을 구현한다. 일 예로, 차량(100)의 대시보드에 마련되는 메인 디스플레이(161)는 운전석(101) 및 보조석(102)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인증 수행 및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디스플레이(161)는 표시부(160)가 제어부(150)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를 시각적 신호로 변환하고 출력하는 장치이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161)는 각각의 픽셀을 통해 빛을 발광시키는 형태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100)의 도어(105)에 마련된 스피커(171)는 인증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소리 및 안내 음성을 진동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차량(100)의 내부는 사용자의 인증 및 커넥티드카 서비스에 필요한 다양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0) 및 차량(100)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0), 사용자의 입력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120), 사용자가 좌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130), 인증 서버(70)와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행부(140),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160), 인터페이스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소리 출력부(170) 및 보안 강도 및 인증 방법을 저장하는 저장부(180) 및 전술한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10), 기지국(50) 및 인증 서버(7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일 예로 개시된 통신부(110)는 인증 수행부(140)가 인증 서버(70)와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로부터 전달받은 암호 및 그와 관련된 전기적 신호를 인증 서버(70)로 전달한다. 또한, 통신부(110)는 인증 서버(70)로부터 인증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여 인증 수행부(140)로 전달한다.
이외에도 통신부(110)는 차량(100)이 주행 중 다른 차량과 통신을 위해 필요한 신호 및 위성으로 전달받을 수 있는 GPS 신호 등을 포함한 다양한 신호를 수신하고, 외부로 다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및 송신기(Transmitt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는 무선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무선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입력 명령을 수신한다.
일 예로, 입력부(120)는 뒷좌석(103)에 착석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과 블루투스 페어링을 위한 시작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페어링을 위해서 입력해야 하는 암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부(120)는 차량(100)의 제어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표시부(16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센서부(130)는 차량(100)에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되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다. 일 예로, 좌석에 마련된 무게 감지 센서(131)는 사용자의 착석에 따른 무게를 감지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GPS, 자이로 및 가속도 센서는 차량(100)의 주행에 필요한 다양한 신호를 생성한다.
센서부(130)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100)의 외부 및 내부를 촬영하여 생성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센서부(130)는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다양한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센세부(130)는 좌석 주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홍채 및 지문을 인식하는 장치(132, 133)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을 구분하는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인증 수행부(140)는 입력부(120) 및 센서부(140)가 전달하는 사용자가 전달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실행에 필요한 인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인증 수행부(140)는 사용자가 선택한 커넥티드카 서비스에 필요한 인증 방법에 따라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인증을 수행하면, 인증 수행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해 인증 서버(70)로 인증 완료 여부를 제공한다.
인증 수행부(140)는 사용자가 착석한 좌석, 보안 강도 및 커넥티드카 서비스에 따라 다양한 인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인증 수행부(140)는 사용자 단말(50)과 연결되어 개인적 서비스에 해당하는 이메일 검색에 관한 커넥티드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 일반적인 날씨 및 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보다 높은 보안 강도의 인증을 수행한다.
다른 예로, 인증 수행부(140)는 동일한 보안 강도로 구분될 수 있는 개인적 서비스를 운전석(101)에서 수행하더라도, 뒷좌석(103)에 다른 동승자의 탑승여부에 기초하여 보안 강도가 높은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인증 수행부(140)는 동일한 좌석에서 수행되는 동일한 커넥티드카 서비스라도, 차량(100)의 탑승 전 사용자가 미리 인증을 수행한는지 여부에 따라 보안 강도가 다른 인증 방법을 수행한다.
전술한 예시 이외에도, 인증 수행부(140)는 좌석에 따라 개별적인 인증을 수행한다. 즉, 차량(100)에 여러 사용자가 탑승한 경우, 인증 수행부(140)는 다중 개인 인증을 진행할 수 있으며, 각 좌석의 위치 및 수행될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각각 다른 인증 방법을 포함한 인증을 수행한다.
한편, 개시된 인증 수행부(14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는 제어부(150)와 구분되어 도시되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50)와 일체로 구성되어 보안 강도에 따른 인증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표시부(16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시된 표시부(160)는 차량(100)의 속도 정보, 다양한 차량 상태를 제공하는 계기판과 같은 디스플레이 이외에도, 운전석(101)의 전방에 마련된 전면 쉴드에 속도 정보 등을 표시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미 도시), AVN 장치가 제공하는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161) 및 운전석(101) 및 보조석(102)의 후면에 마련되어 뒷좌석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뒷좌석 디스플레이(162) 등 다양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한편, 표시부(160)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소리 출력부(170)는 차량(100)의 주행 상태를 경고하는 경고음 뿐만 아니라,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다양한 소리를 출력한다. 일 예로, 소리 출력부(170)는 인증 수행부(140)가 인증이 완료 여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소리 및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소리 출력부(170)는 좌석에 따라 개별적인 인증 방법 및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복수 개의 스피커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비스 별로 다른 소리 및 음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진행 중인 출력을 중단하고, 하나의 통일된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전술한 차량(100)의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인증의 수행여부를 판단하고, 차량(100)의 커넥티드카 서비스가 어느 좌석에서 수행되는지 여부에 따라 필요한 인증 방법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차량(100)의 주행 상황, 동승자의 탑승 상황, 사용자가 미리 인증을 수행한지 여부 및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보안 강도를 결정하고, 보안 강도에 따른 인증을 수행하도록 인증 수행부(140)를 제어한다. 제어부(150)의 제어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의 다른 도면을 통해 후술한다.
저장부(180)는 전술한 제어부(15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80)는 센서부(130) 및 입력부(120) 등 구성 요소가 수신한 다양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시부(160) 및 소리 출력부(170)가 출력한 데이터 또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80)는 도 3에서 후술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분류, 보안 강도 및 인증 방법의 관계를 저장하고, 제어부(150)가 인증 방법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저장부(180)는 차량(100)의 주행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하는 데이터의 종류 및 크기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저장부(18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는 제어부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차량(1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다양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커넥티드카 서비스에 필요한 다양한 구성을 전부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예에 따라 저장부가 저장한 보안 강도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개시된 저장부(180)는 다양한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도 3과 같이 분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보안 강도 및 인증 방법을 구분할 수 있다.
일 예로, 커넥티드카 서비스는 계정 생성, 차량 제어, 제1 개인화 서비스, 제2 개인화 서비스 및 실시간 정보 서비스로 구분될 수 있다.
계정 생성은 텔레메틱스 서비스 가입 및 차량 등록과 같은 커넥티드카 서비스 실행에 필요한 최초 인증에 사용되는 인증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계정 생성은 공인인증서 및 SMS 인증과 같이, 개인 신원 확인이 필요한 인증 방법이 수행되며, 이러한 계정 생성은 보안 강도가 최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차량 제어는, 차량(100)과 관련된 커넥티드카 서비스에 필요한 인증 방법이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는, 주행, 원격 제어, 고장 진단, 자동사고 알림 및 SOS(Save Our Ship)서비스와 같은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제어와 같은 커넥티드카 서비스는 사용자의 안전과 연결되는 것으로, 개인 계정 확인과 같이 보안 강도가 '상'인 인증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개인 계정 확인에 수행되는 인증 방법은, 패스워드 로그인, 이메일 인증, 홍채 및 지문과 같은 생체 인증, 보안코드 및 OTP(One Time Password)와 같은 인증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개인화 서비스는 개인의 사생활 정보가 포함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개인화 서비스는 이메일 로그인, 결제 서비스, 발렛모드, IOT 서비스, 위치 공유 서비스 및 개인 계정 권한 설정을 포함하는 제1 개인화 서비스와 차량(100) 내에 착석한 사용자가 라디오 설정 변경, 최근 목적지 조회, 음성인식 서비스 및 즐겨 찾기 변경과 같은 제2 개인화 서비스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개인화 서비스는 전술한 개인 계정 생성 및 차량 사용 인증보다 낮은 보안 강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서비스 특성 상, 제1 개인화 서비스가 제2 개인화 서비스보다 높은 보안 강도 '중'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보안 강도 '중'은, 서비스 사용 확인에 필요한 인증 방법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패턴 인증, 얼굴 인식, 음성 화자 인식 및 블루투스 페어링과 같은 인증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개인화 서비스는, 보안 강도 '하'로 구분될 수 있으며, 차량(100)의 도어가 오픈되거나 도어에 착석하였는지 여부 등 좌석의 점유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보안 강도 '하'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한 위치 확인만으로도 인증이 완료될 수 있다.
커넥티드카 서비스에서 공지사항 전달, 날씨, 뉴스 및 교통 정보와 같은 실시간 정보서비스는 보안 강도가 제2 개인화 서비스와 같이 '하'로 구분될 수 있다.
개시된 차량(100)은 다양한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분류하여 각각의 보안 강도를 저장한다. 이를 사용하여 차량(100)은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른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실행하기 전, 입력된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분류에 따른 인증을 수행한다. 인증이 완료되어야만 차량(100)은 입력된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실행한다.
한편, 전술한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분류, 보안 강도 및 인증 방법은 미리 설정된 일 예에 불과하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4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좌석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요청을 수신한다(200).
구체적으로 개시된 차량(100)은 종래 일반적인 커넥티드카 서비스와 달리, 복수의 좌석에 마련된 센서부(130)로부터 검출된 좌석의 점유 상태를 요청된 커넥티드카 서비스와 함께 수신한다.
차량(100)은 좌석의 위치 정보 및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분류에 따라 보안 강도를 결정한다(210).
일 예로, 차량(100)은 운전석(101)에서 제1 개인화 서비스에 분류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0)은 저장부(180)에 미리 설정된 대로, 제1 개인화 서비스의 인증 방법을 보안 강도 '중'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로, 운전석(101) 및 뒷좌석(103)에 복수의 사용자가 착석한 상황에서 차량(100)은 운전석에서 제1 개인화 서비스에 분류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100)은 운전석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보안 강도를 '중'에서 '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개시된 차량(100)은 사용자가 착석한 복수의 좌석에 따라 개별적인 보안 강도 및 그에 따른 인증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보안 강화를 추구한다.
각 좌석에 따라 보안 강도가 결정되면, 차량(100)은 구분된 좌석에서 사용자와 개별적으로 인증을 수행한다(220).
종래 일반적인 커넥티드카 서비스 및 인증 방법은 운전석에 마련된 단일 시스템에서 한번의 인증이 수행되면, 선택된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차량(100) 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었다. 개시된 차량(100)은 구분된 좌석에 따라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인증 방법을 각각 달리하고, 동일한 커넥티드카 서비스가 선택되더라도 서로 다른 인증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은 결정된 보안 강도에 따른 인증 방법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30).
만약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100)은 선택된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실행한다(240). 그러나 인증이 완료되지 않으면, 차량(100)은 선택된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실행하지 않는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라 인증을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개시된 차량(100)은 사용자가 차량(100)의 내부로 진입하기 전, 미리 인증을 수행하였는지 여부 및 어느 좌석에 탑승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인증을 유지할지 또는 보안 강도가 낮은 인증 방법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최초 인증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300).
여기서 최초 인증은, 보안 강도가 '최상'인 계정 생성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최초 인증이 이미 수행된 경우, 차량(100)은 도어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310).
여기서 도어 이벤트는, 차량(100)의 도어 잠금이 해제되고, 사용자가 도어를 오픈한 경우를 의미한다.
그러나 최초 인증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차량(100)은 사용자가 탑승 후 입력한 커넥티드카 서비스에 따라 보안 강도를 결정한다(320).
만약 보안 강도가 '중' 이상인 경우, 차량(100)은 도 4에서 전술한 탑승 좌석에 기초하여 높은 보안 강도에 따른 인증 방법(이하 제1 인증 방법)을 수행한다(321). 그러나 선택된 커넥티드카 서비스가 보안 강도가 '중' 미만인 경우, 차량(100)은 탑승된 좌석에 기초하여 낮은 보안 강도에 따른 인증 방법(이하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한다(322).
인증이 완료된 경우, 차량(100)은 인증을 유지(서비스를 실행)한다(323).
한편, 최초 인증이 수행된 후 도어 이벤트가 발생하면, 차량(100)은 최초 인증이 완료된 후 도어 이벤트가 발생되기 전까지 경과된 시간을 확인한다(311).
최초 인증이 완료된 후 도어 이벤트가 발생되기 전까지 경과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유지 시간 이내이면, 차량(100)은 최초 인증이 완료되었으므로, 추가적인 인증을 수행하지 않는다(323).
그러나 인증 시간이 미리 설정된 유지 시간을 경과하면, 차량(100)은 보안 강도가 낮은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한다(312).
즉, 최초 인증이 수행된 경우, 차량(100)은 사용자의 신원을 미리 확보한 경우이므로, 커넥티드카 서비스가 선택되면 미리 설정된 보안 강도의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간편한 인증 방법만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인증 잠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주행 중에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400).
차량(100)은 좌석 위치 및 수신된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분류에 따른 보안 강도를 결정하기 전, 사용자의 계정이 잠금(인증 잠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410).
도 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 이벤트가 발생한 후 미리 설정된 유지 시간이 도과하면, 인증 잠금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이전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사용한 후, 사용한 서비스의 계정에 로그 아웃을 한 경우, 인증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다.
만약 인증 잠금이 아니면, 차량(100)은 사용 요청에 따라 곧바로 서비스를 수행한다(420).
그러나 만약 인증 잠금 상태라면, 차량(100)은 결정된 보안 강도보다 낮은 인증 방법(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한다(421).
도 6과 같은 실시예는, 이미 인증이 수행된 후 인증 잠금이 발생된 상황이다. 즉, 이전에 이미 인증이 수행된 경우이므로, 개시된 차량(100)은 결정된 인증 방법보다 낮은 보안 강도의 인증 방법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라 인증이 해제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인증이 해제되는 상황은, 차량(100)의 시동이 오프되거나(510), 현재 수행 중인 커넥티드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이 로그 아웃되는 것(5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시동이 오프되면, 차량(100)은 현재 수행 중인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계정이 유지되어야 하는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511).
즉. 차량(100)은 시동이 오프되면, 사용자에게 현재 실행 중인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계정을 유지시켜 다음 차량(100)의 시동에도 사용할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사용자를 유도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현재 수행 중인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진행하기를 선택한 경우, 차량(100)은 다음 시동 온 상황에서, 현재 수행 중인 커넥티드카 서비스보다 낮은 보안 강도의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한다(512).
만약 계정 유지가 아닌 경우, 차량(100)은 인증을 해제하고(521), 수행 중에 저장된 개인 데이터를 삭제한다(522).
사용자가 로그 아웃을 지시한 상황도 마찬가지로, 차량(100)은 인증을 해제하고(521), 수행 중에 저장된 개인 데이터를 삭제한다(522).
도 8은 사용자가 차량의 탑승 전, 사전 인증을 수행하는 실시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현재 시동 오프를 포함한 차량 시스템 전체의 오프상태이다(600).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등을 이용하여 인증 서버(70)로 커넥티드카 서비스에 로그 인을 수행한다(610).
또한, 사용자는 인증 서버(70)를 이용해서 차량 원격 사용의 등록을 요청한다(620).
인증 서버(70)는 주기적으로 차량(100)으로 로그-인된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계정 정보를 전달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도 계속해서 차량(100)이 차량 시스템 오프상태이면, 인증 실패로 간주되고, 인증 서버(70)에 인증 실패를 송신한다(680).
만약 차량(100)이 차량 시스템 온 상태로 변경(630)되면, 차량(100)은 도어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640).
도어 이벤트가 발생하면, 차량(100)은 시동이 온 때까지 대기한다(650).
만약 차량 시스템이 온 되더라도, 도어 이벤트 및 시동 온이 미리 설정된 시간까지 수행되지 않으면, 차량(100)은 인증 실패를 인증 서버(70)에 송신 한다(680).
그러나 도어 이벤트 및 시동 온이 미리 설정된 시간까지 수행되면, 차량(100)은 제1 인증 방법이 인증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660).
여기서 제1 인증 방법의 인증 완료는 사용자가 차량(100)의 사용 전 사용자 단말(10) 등을 통해서 로그 인함으로써 수행되었다. 따라서 차량(100)은 차량 시스템이 온 된 후, 인증 서버(70)로부터 인증 완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도어 이벤트 및 시동 온 되면, 요청된 커넥티드카 서비스에 필요한 인증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이 후, 사용자의 재 사용 요청 등이 발생하면, 차량(100)은 좌석 위치 및 서비스 분류에 따른 제2 인증을 수행한다(670).
즉, 개시된 차량(100)은 이미 차량(100)의 사용 전에도, 원격으로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시 재 인증이 필요한 경우에도 제1 인증 방법보다는 낮은 보안 강도의 제2 인증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도 9는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하는 경우 일어날 수 있는 실시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차량(100)과 탑승 전 미리 설정된 거리 밖에서 차량(100)의 차량 시스템을 온 시킬 수 있으며, 시동은 오프될 수 있다(700).
이하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서 차량 시스템만을 온 시키고, 시동이 오프시킬 수 없는 상황을 실시예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서 시스템 온 및 시동 온을 수행할 수도 있다.
차량 시스템이 온 된 경우, 차량(100)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710).
여기서 미리 설정된 거리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센서부(130)가 레이저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고, 통신부(110)가 리모트 컨트롤러 및 사용자 단말(10)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차량(100)에 접근하면, 차량(100)은 인증 정보를 텔레메틱스 서버(미도시)로 요청한다(720).
도 8과 달리, 사용자는 미리 인증 서버(70)와 인증을 수행하지 않은 상황이므로, 차량(100)은 텔레메틱스 서버로 먼저 인증 완료 여부의 확인을 구할 수 있다.
차량(100)은 텔레메틱스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개인화 등록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730).
여기서 개인화 등록자는, 텔레메틱스 서비스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차량(100)가 관련된 일체의 인증 여부를 미리 수행한 사용자를 의미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메틱스 서버는 개인화 등록자와 인증 서버(70)의 인증 수행을 대행해 준다.
만약 사용자가 개인화 등록자라면, 차량(100)은 인증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인증 서버(70)로 인증 완료에 관한 신호를 인증 서버(70)로 전송한다(740).
만약 사용자가 개인화 등록자가 아니라면, 차량(100)은 도 4 등에서 전술한 개별적인 인증을 수행한다(750).
도 10은 운전석의 인증이 수행된 후 도어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수행되는 인증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현재 운전석(101)에 운전자가 착석한 상황이고, 시스템 온 상태이다(800).
만약 운전석 이외의 좌석에서 도어 이벤트가 발생(810)하면, 차량(100)은 선택된 커넥티드카 서비스에 따른 인증 방법보다 높은 수준의 보안 강도를 가진 인증 방법(제1 인증 방법)을 수행한다(820).
이를 통해서 개시된 차량(100)은 뒷좌석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운전석에 착석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도어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고 동시에 운전자가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요청하면, 차량(100)은 서비스 종류 및 운전석에 따른 보안 강도의 인증 방법으로 인증을 수행한다(840).
제1 인증 방법이 수행되었으나 운전자가 인증에 실패한 경우, 차량(100)은 도어 이벤트 후 다른 사용자가 착석한 좌석의 위치 및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보안 강도를 선택하고, 그에 따른 인증 방법을 수행한다(840).
또한, 차량(100)은 운전석 이외의 좌석에 착석한 사용자가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요청이 있으면, 개별적인 인증을 수행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개시된 차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다른 추가적인 변형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개시된 차량(100)은 차량의 좌석 별로 인증 수행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사용 환경에 적합한 인증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의 보안 강도를 적절히 유지하면서 동시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사용자 단말 50: 기지국
70: 인증 서버 100: 차량

Claims (20)

  1. 복수 개의 좌석;
    사용자와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행부; 및
    상기 인증 수행부의 인증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착석한 좌석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좌석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인증 수행부를 제어하는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좌석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상기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좌석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좌석 및 상기 요청된 커넥티드카 서비스에 기초하여 보안 강도를 결정하는 차량.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안 강도에 따른 제1 인증 방법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인증 방법의 인증 완료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증 방법보다 보안 강도가 낮은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인증의 인증 완료 후, 도어 이벤트 발생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이벤트 발생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구분된 좌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인증 잠금을 수행하는 차량.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인증 방법의 인증 완료 후, 인증 유지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인증 방법의 인증 완료된 후, 시동 오프 여부에 기초하여 계정 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계정 연동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인증 방법의 인증 완료된 후, 로그 아웃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증 방법을 해제하는 차량.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스템 온 명령이 수신된 후,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인증 방법에 관한 인증 완료 여부를 수신하는 차량.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도어 이벤트 또는 시동 온 여부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요청 시 상기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커넥티드카 서비스 요청 시 상기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
  12. 복수 개의 좌석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좌석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좌석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좌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개별적으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의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된 좌석 및 상기 요청된 커넥티드카 서비스에 기초하여 보안 강도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것은,
    상기 보안 강도에 따른 제1 인증 방법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인증 방법의 인증 완료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증 방법보다 보안 강도가 낮은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1인증의 인증 완료 후, 도어 이벤트 발생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것은,
    상기 도어 이벤트 발생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구분된 좌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인증 잠금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1 인증 방법의 인증 완료 후, 인증 유지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1 인증 방법의 인증 완료된 후, 시동 오프 여부에 기초하여 계정 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계정 연동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증 방법의 인증 완료된 후, 로그 아웃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증 방법을 해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스템 온 명령이 수신된 후,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인증 방법에 관한 인증 완료 여부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80139724A 2018-11-14 2018-11-14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657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724A KR102657633B1 (ko) 2018-11-14 2018-11-14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6/291,131 US11696126B2 (en) 2018-11-14 2019-03-04 Vehicle having connected car ser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E102019203176.5A DE102019203176A1 (de) 2018-11-14 2019-03-08 Fahrzeug mit vernetztem fahrzeugservice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selben
CN201910228535.7A CN111193693B (zh) 2018-11-14 2019-03-25 具有联网车辆服务的车辆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724A KR102657633B1 (ko) 2018-11-14 2018-11-14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974A true KR20200055974A (ko) 2020-05-22
KR102657633B1 KR102657633B1 (ko) 2024-04-17

Family

ID=7046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724A KR102657633B1 (ko) 2018-11-14 2018-11-14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96126B2 (ko)
KR (1) KR102657633B1 (ko)
CN (1) CN111193693B (ko)
DE (1) DE1020192031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583B1 (ko) * 2022-07-08 2023-07-24 포티투닷 주식회사 차량 운행 서비스를 위한 접속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41534A (ja) * 2020-03-09 2021-09-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載装置および車載システム
WO2023047559A1 (ja) * 2021-09-27 2023-03-30 日本電気株式会社 車載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DE102022103570A1 (de) 2022-02-16 2023-08-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nmelden eines Nutzers an ein Fahrzeug, computerlesbares Medium, System, und Fahrzeug
DE102022103571A1 (de) 2022-02-16 2023-08-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nmelden eines Nutzers an ein Fahrzeug, computerlesbares Medium, System, und Fahrzeu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8513A (ja) * 2001-08-08 2003-02-18 Mazda Motor Corp 自動車用個人認証用サーバ、自動車用個人認証方法、自動車用個人認証用プログラム、及び、車載個人認証用装置
JP2007145200A (ja) * 2005-11-28 2007-06-14 Fujitsu Ten Ltd 車両用認証装置及び車両用認証方法
US20140309806A1 (en) * 2012-03-14 2014-10-16 Flextronics Ap, Llc Intelligent vehicle for assisting vehicle occupants
KR20150115506A (ko) * 2014-04-04 2015-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인증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20150138632A (ko) * 2014-06-02 2015-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7133226A (ja) * 2016-01-27 2017-08-0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両ドアロック制御装置及び車両ドアロック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01547D0 (en) * 2002-01-24 2002-03-13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Vehicle access control and start system
US9348492B1 (en) * 2011-04-22 2016-05-24 Angel A. Penilla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ccess to specific vehicle controls, functions, environment and applications to guests/passengers via personal mobile devices
KR101425711B1 (ko) 2011-10-13 2014-08-04 (주) 아이씨티케이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의 정보 보안 시스템
US20140222298A1 (en) * 2013-02-03 2014-08-07 Michael H. Gurin Systems For a Shared Vehicle
US9868449B1 (en) * 2014-05-30 2018-01-16 Leap Motion, Inc. Recognizing in-air gestures of a control object to control a vehicular control system
WO2015198306A1 (en) * 2014-06-22 2015-12-30 Saverone 2014 Ltd. System and methods to facilitate safe driving
KR101575266B1 (ko) * 2014-09-17 2015-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자동 제어방법, 및 차량용 인포테인먼트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CN105346502B (zh) 2015-10-22 2018-10-12 科世达(上海)管理有限公司 一种车辆无钥匙进入方法及系统
CN106652124A (zh) 2016-11-08 2017-05-10 云蜂汽车有限公司 一种车门的控制方法及云服务平台
US10367934B2 (en) * 2017-06-13 2019-07-30 Edward Villaume Motor vehicle safe driving and operating devices, mechanisms, systems, and methods
CN107521435A (zh) 2017-08-04 2017-12-29 安徽创融增材制造技术有限公司 基于车联网的驾驶员个性化设置系统
KR102369955B1 (ko) * 2017-10-03 2022-03-04 구글 엘엘씨 차량 환경에서의 다중 인자 인증 및 액세스 제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8513A (ja) * 2001-08-08 2003-02-18 Mazda Motor Corp 自動車用個人認証用サーバ、自動車用個人認証方法、自動車用個人認証用プログラム、及び、車載個人認証用装置
JP2007145200A (ja) * 2005-11-28 2007-06-14 Fujitsu Ten Ltd 車両用認証装置及び車両用認証方法
US20140309806A1 (en) * 2012-03-14 2014-10-16 Flextronics Ap, Llc Intelligent vehicle for assisting vehicle occupants
KR20150115506A (ko) * 2014-04-04 2015-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인증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20150138632A (ko) * 2014-06-02 2015-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7133226A (ja) * 2016-01-27 2017-08-0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両ドアロック制御装置及び車両ドアロック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583B1 (ko) * 2022-07-08 2023-07-24 포티투닷 주식회사 차량 운행 서비스를 위한 접속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93693A (zh) 2020-05-22
US20200154273A1 (en) 2020-05-14
CN111193693B (zh) 2023-09-05
DE102019203176A1 (de) 2020-05-14
US11696126B2 (en) 2023-07-04
KR102657633B1 (ko) 202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6126B2 (en) Vehicle having connected car ser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57979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0665090B2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0616755B2 (en) Mobile terminal
KR101878811B1 (ko) 실시간 지도 생성을 위한 v2x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EP2945137A1 (en) Mobile terminal and vehicle control
KR101641489B1 (ko) 이동단말기 및 차량
KR20170025179A (ko)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20200322337A1 (en) Vehicle,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704396B2 (en) Vehicle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mobile device used for vehicle authentication, vehicle authentication system, and vehicle authentication method
KR20190029878A (ko) 차량, 차량과 통신하는 단말기, 및 차량의 제어 방법
US9120437B2 (en) Vehicle component control
WO2016033252A2 (en) Transportation-related mobile device context inferences
KR102642242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859043B1 (ko) 이동단말기,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US20230382349A1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7874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55804B1 (ko) 모바일 단말기의 기능 제한 장치 및 그 방법
US20240098471A1 (en) Terminal, a vehicle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and a vehicle control system
KR101892498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CN111970341B (zh) 基于车联网的账号免密切换方法、装置、汽车及介质
KR101450079B1 (ko) 위기 관리 기능을 구비한 안전 귀가 서비스 방법
US20230322251A1 (en) Terminal and server communicating therewith
KR10222036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28807A (ko) 차량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