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469A -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 - Google Patents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469A
KR20200055469A KR1020180139156A KR20180139156A KR20200055469A KR 20200055469 A KR20200055469 A KR 20200055469A KR 1020180139156 A KR1020180139156 A KR 1020180139156A KR 20180139156 A KR20180139156 A KR 20180139156A KR 20200055469 A KR20200055469 A KR 20200055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composition
beam projector
projector screen
liqui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8148B1 (ko
Inventor
김학정
Original Assignee
페인트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인트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페인트팜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8/01384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01054A1/ko
Priority to KR1020180139156A priority patent/KR1021781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1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61/00 - C09D177/00
    • C09D179/02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벽체나, 인테리어용 페인트, 혹은 도배 벽지 상에 도포함으로써, 빔 프로젝터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COATING COMPOSITION FOR MAKING A BEAM PROJECTOR SCREEN}
본 발명은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벽체나, 인테리어용 페인트, 혹은 도배 벽지 상에 도포함으로써, 빔 프로젝터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교실, 사무실, 학원, 가정 등에서는 교육, 회의, 등 다양한 목적으로 프리젠테이션이 행해지게 된다.
이 때 청자의 이해를 돕고,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프리젠테이션 부재가 사용된다.
과거에는 각종 도표나 정리된 요약 내용을 직접 지면에 표기한 차트 등을 가지고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하거나, 칠판에 직접 판서를 하면서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디지털 미디어 및 기기의 발달로, 스프레트시트 형태의 컴퓨터 파일이나, 문서 형태의 컴퓨터 파일로 자료를 준비하고, 이를 화상으로 구현하여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화상 구현을 위한 장치로는, 대형 LCD 디스플레이 등이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화상 구현 장치들은, 프리젠테이션 뿐 아니라, 옥외 광고판 등의 디지털 사이니지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격이 매우 비싸고, 이동성에 제약이 많으며, 특히,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화면의 크기가 커질수록 그 가격 및 이동성의 제약이 비약적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이를 대체하여 빔 프로젝터 및 이를 투사하기 위한 스크린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빔 프로젝터용 스크린으로는, 예로부터 극장 등에 사용되던, 흰색 천 형태의 스크린이 가장 많다. 빔 프로젝터 및 천 스크린을 이용하는 방법은, 위 LCD 혹은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비용 측면에서 매우 저렴하고, 간이 스크린 등을 사용할 수 있어, 이동성 역시 매우 우수하다.
그러나, 이러한 천 스크린은, 빔 프로젝터 투사 시 일정한 조도 확보를 위해, 비 사용 시에도 꾸준한 관리가 요구되는데,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보관 및 관리에 신경쓰기가 쉽지 않고, 이동식 스크린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설치할 수 있는 장소가 제한적이며, 특히 옥외 광고판 등의 용도로는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명세서는, 콘크리트 벽체나, 인테리어용 페인트, 혹은 도배용 벽지 등, 건축물의 벽체용 자재로 사용되는 다양한 대상물에 대하여 단순 도포함으로써, 빔 프로젝터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의 제1액 및 제2액을 포함하는,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이 제공된다.
a1) 에틸렌 옥사이드 변성 지방족 아민 수지, a2) 수 분산 우레탄 수지 및 a3) 진주 광택 분말을 포함하는, 제1액.
실란 변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제2액.
이 때, 상기 제2액에 대한, 상기 제1액의 비율은, 약 1:1 내지 약 5:1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3:1 내지 약 3.5:1일 수 있다.
상기 제1액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옥사이드 변성 지방족 아민 수지는,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 몰 수가 약 3 내지 약 7이고, 아민 가가 약 200 내지 약 400 mgKOH/g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에틸렌 옥사이드 변성 지방족 아민 수지는, 제1액 총 중량 대비, 약 70 내지 약 90 wt%, 바람직하게는, 약 75 내지 약 85 wt%로 포함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 분산 우레탄 수지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과; 폴리올에 의한 우레탄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수 분산 우레탄 수지는, 하드 세그먼트 비율이 약 30 내지 약 40 wt%,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35 wt%일 수 있고,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중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의 비율이 약 50 내지 약 60 wt%, 바람직하게는 약 55 내지 60 wt%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 분산 우레탄 수지는, 제1액 총 중량 대비, 약 1 내지 약 10 wt%,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7 wt%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주 광택 분말은, 제1액 총 중량 대비, 약 1 내지 약 10 wt%,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0 wt%로 포함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란 변성 에폭시 수지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및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비스페놀 F형 에폭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에폭시계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실란 커플링제에 의해 변성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상기 실란 변성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 당량이 300 내지 450 g/eq인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 요소, 이들의 조합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 층 또는 요소가 각 층들 또는 요소들의 "상에" 또는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각 층 또는 요소가 직접 각 층들 또는 요소들의 위에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거나, 다른 층 또는 요소가 각 층 사이, 대상체, 기재 상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존에는, 콘크리트 벽체나, 혹은 도배용 벽지 상에 빔 프로젝터용 스크린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흰색 천 형태의 스크린을 덧대거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무광의 흰색 페인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천 스크린이나, 단순 흰색 페인트에 의한 스크린은, 일정한 조도를 확보하기 어려웠고, 비 사용 시 관리가 어려웠으며, 특히, 페인트나 천 스크린 상에 보드 마카 등을 이용해 필기를 실시하는 경우, 혹은 오염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제거하기가 매우 어려워, 내부 프리젠테이션이나, 옥외 광고판 등의 용도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주제 및 경화제 성분으로, 특정 조성을 사용하는 경우, 영화관 스크린에 못지 않은 조도를 확보할 수 있고, 내수성 등이 우수하면서도, 특히, 보드 마카 등을 이용한 필기를 실시하거나, 오염이 발생하더라도, 그 제거가 매우 용이한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의 각 성분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의 제1액 및 제2액을 포함하는,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이 제공된다.
a1) 에틸렌 옥사이드 변성 지방족 아민 수지, a2) 수 분산 우레탄 수지 및 a3) 진주 광택 분말을 포함하는, 제1액.
실란 변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제2액.
이 때, 상기 제2액에 대한, 상기 제1액의 비율은, 약 1:1 내지 약 5:1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3:1 내지 약 3.5:1일 수 있다. 제1액 및 제2액은, 각각, 독립적으로, 코팅 조성물의 주제와 경화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코팅 도막의 경화가 충분하지 않아,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제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액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옥사이드 변성 지방족 아민 수지는,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 몰 수가 약 3 내지 약 7이고, 아민 가가 약 200 내지 약 400 mgKOH/g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에틸렌 옥사이드 변성 지방족 아민 수지는, 수 분산성을 가질 수 있으며, 복합 주제를 경화시키고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내용제성 및 내화학적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에틸렌 옥사이드 변성 지방족 아민 수지는, 아민 가가 약 200 내지 약 400mg KOH/g, 바람직하게는 약 250 내지 약 350mg KOH/g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에틸렌 옥사이드 변성 지방족 아민 수지는, 제1액 총 중량 대비, 약 70 내지 약 90 wt%, 바람직하게는, 약 75 내지 약 85 wt%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 에폭시 성분의 경화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아 부착성 및 내용제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 코팅 도막의 경성이 지나치게 높아지고, 상부 도막재의 침투가 어려워, 도막재와 층 간의 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 분산 우레탄 수지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과; 폴리올에 의한 우레탄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MDI), 또는,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TDI)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폴리올로는, 디올, 트리올, 또는 폴리올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탄소수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6 의 글리콜류,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10-데칸디올, 1,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네오펜틸 글리콜 히드록시피발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프로판,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및 메조-에리트리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디올 성분의 중합체라 볼 수 있는, 폴리에스터 폴리올이나, 폴리에테르 폴리올 등 역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형 폴리올은, 예를 들어,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글리콜 계열의 화합물,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 글리콜 등의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특징적인 분자 구성, 즉, 우레탄 반복 단위로 인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 분산 우레탄 수지는, 고분자 내에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게 되는데,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수 분산 우레탄 수지는, 하드 세그먼트 비율이 약 30 내지 약 40 wt%,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35 wt%일 수 있다.
하드 세그먼트의 비율이 너무 많아지는 경우, 코팅 조성물의 경화 건조성이 저하되고, 내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 분산 우레탄 수지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중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의 비율이 약 50 내지 약 60 wt%, 바람직하게는 약 55 내지 60 wt%일 수 있다.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비율이 너무 적어지는 경우, 도막 상에 보드 마카나 다른 오염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 분산 우레탄 수지는, 제1액 총 중량 대비, 약 1 내지 약 10 wt%,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7 wt%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주 광택 분말은, 제1액 총 중량 대비, 약 1 내지 약 10 wt%,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0 wt%로 포함될 수 있다.
진주 광택 분말은, 프로젝터용 스크린 형성 시, 광의 난반사를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크린의 시인성 및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진주 광택 분말이 지나치게 적게 사용되는 경우, 상술한 이로운 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진주 광택 분말이 지나치게 많이 사용되는 경우, 형성되는 빔 프로젝터용 스크린에서 브라이트 스팟이 발생하여, 오히려 시인성을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란 변성 에폭시 수지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및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비스페놀 F형 에폭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에폭시계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실란 커플링제에 의해 변성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상기 실란 변성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 당량이 300 내지 450 g/eq인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는, 전술한 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F형, 혹은 브롬화 비스페놀 A형 등의 에폭시 화합물에, 에틸렌옥사이드를 약 10 약 30 몰 부가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에폭시 수지에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실란 변성시킨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실란 변성 에폭시 수지는, 실란 작용기의 존재로 인하여, 코팅 조성물에 사용 시, 다양한 코팅 대상 면에 대한 우수한 부착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코팅 표면에 오염이 발생하였을 때, 오염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표면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액 및 상기 제2액은, 각각 독립적으로, 잔량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용매는, 상기 제1액 및 제2액의 제조에 있어서 반응성을 조절하거나, 저장성, 혼합성, 및 코팅성을 조절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매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의 수성 용매, 혹은, 아세톤,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유기 용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액 및 제2액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리카 입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리카 입자는, 코팅층 내, 혹은 코팅층의 표면에서, 요철을 제공하거나, 난반사 표면을 제공하고, 빛의 분산성을 증가시켜, 빔 프로젝터 광에 대한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켜줄 수 있다.
이러한 실리카 입자는, 제1, 혹은 제2액에 포함되었을 때, 제1, 혹은 제2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내지 약 10wt%로 사용될 수 있다.
실리카 입자가 너무 많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브라이트 스팟 현상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팅 조성물은, 안료, 소광제, 증점제, 분산제, 레벨링제, 소포제, 젖음성 향상제(웨팅제) 등의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 혹은 콘크리트나, 도배용 벽지 등에 사용되는 페인트 조성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첨가제나,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구체적으로는, 전체 코팅 조성물 중량 대비 1 내지 약 5 wt%의 범위에서 각 첨가제의 용도, 혹은 물성 조절의 측면에서 적량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콘크리트 벽체나, 인테리어용 페인트, 혹은 도배용 벽지 등, 건축물의 벽체용 자재로 사용되는 다양한 대상물에 대하여 도포성이 매우 우수하며, 도포 후 경화 시, 내구성, 내수성 및 내오염성이 매우 우수한 빔 프로젝터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2액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1액과 제2액의 배합 비율은, 중량비로, 3.3:1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제1액 조성:
a1) 에틸렌 옥사이드 변성 지방족 아민 수지: 폴리페론 사의 EHA-402P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몰 수: 약 5; 아민 가: 약 300mg KOH/g)
a2) 수 분산 우레탄 수지: PUA-111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 글리콜의 반응물로, 하드 세그먼트 비율: 32.9%,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비율: 56.4%)
a3) 진주 광택 분말: RCN1010S (BLACK PEARL); HYDROLAN SILVER PEARL701(WHITE PEARL)
제2액 조성:
실란 변성 에폭시 수지: 폴리페론 사의 EHB-007
첨가제:
실리카: SS-SIL
증점제: SF1-50(상온경화형 아크릴 에스터계 수용성 에멀젼)
증점제 및 소광제: S136 (메타크릴로일옥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소포제: NXZ
분산제: BYK192
레벨링제: BYK346
제1액
(단위: wt%)
실시예 1 실시예 2
EHA402P 80.41 75.75
PUW111 4.84 6.90
RCN1010S - 6.32
HYDROLAN SILVER PEARL701 6.43 1.48
SF1-50 2.0 2.13
SS-SIL 2.060 2.070
S136 3.2 3.31
NXZ 0.30 0.22
BYK192 0.13 1.10
BYK346 0.63 0.72
상기 표에서와 같은 조성으로, 제1액 및 제2액을 각각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기존의 에폭시/아민 계열 2액형 페인트와 동일한 방법으로, 콘크리트 벽면에 도포하고, 상온에서 약 1주일간 방치하여, 빔 프로젝터용 스크린을 제조하였다.
소광 평가
상기 스크린 표면에, 빔 프로젝터를 조사하고(PT-VX600, 파나소닉 사, 5500ANSI Lumens), 육안으로 관찰하여, 스크린 보드 중앙에 빛 쏠림 현상이 발생하여, 색상 및 필기 내용을 알아보기 힘든 경우, 빛 쏠림 현상은 발생하나, 필기 내용을 알아볼 수 있는 경우 △, 빛 쏠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로 평가하였다.
필기 및 지우기 평가(내오염성 테스트)
보드 마카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에 필기를 진행하였다.
필기 1 시간 경과 후, 보드 마카 지우개로, 별도 압력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10회 반복하여 필기 부분을 문지르면서, 필기가 완전히 지워졌을 때의 반복 횟수를 숫자로 기록하였다.
내수성 평가
상기 스크린에 대하여, 표면에 스포이드로 물을 1 방울 떨어뜨리고, 1 시간경과 후, 물의 흔적이 남아있거나, 표면 광택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 X, 물이 흔적이 없고, 표면 광택에 변화가 없는 경우, O 로 평가하였다.
평과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소광 평가 O O
필기 및 지우기 평가 2 2
내수성 평가 O O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실시예의 경우, 대체적으로, 스크린 성능이 우수하고, 필기 시, 필기 및 지우기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내수성 역시 우수한 것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스크린은, 스크린 보드 중앙 부분에 필기 내용을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빛 쏠림 현상, 즉, 브라이트 스팟 현상이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비해, 본원 실시예의 스크린은, 브라이트 스팟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기존의 일반적인 흰 색 페인트의 경우, 보드 마카를 이용하여 필기를 진행하면, 물이나 기타 용매를 이용하지 않고서는, 지우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광택을 가지거나, 방수 코팅 처리가 된 흰 페인트를 사용하는 경우, 보드 마카 필기를 지울 수 있으나, 이 경우, 광택에 의해, 스크린의 역할을 거의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은, 빔 프로젝터용 스크린으로서 훌륭하게 기능할 뿐 아니라, 동시에, 보드 마카 등에 대한 오염을 쉽게 제거할 수 있음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A)
    a1) 에틸렌 옥사이드 변성 지방족 아민 수지, a2) 수 분산 우레탄 수지 및 a3) 진주 광택 분말을 포함하는, 제1액; 및
    B)
    실란 변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제2액을;
    포함하는,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액에 대한, 상기 제1액의 비율이, 1:1 내지 5:1인,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옥사이드 변성 지방족 아민 수지는,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 몰 수가 3 내지 7이고, 아민 가가 200 내지 400 mgKOH/g인,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옥사이드 변성 지방족 아민 수지는, 제1액 총 중량 대비, 70 내지 90 wt%로 포함되는,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 분산 우레탄 수지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과;
    폴리올에 의한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 분산 우레탄 수지는, 하드 세그먼트 비율이 30 내지 40 wt%이고,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중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의 비율이 50 내지 60 wt%인,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 분산 우레탄 수지는, 제1액 총 중량 대비, 1 내지 10 wt%로 포함되는,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 광택 분말은, 제1액 총 중량 대비, 1 내지 10 wt%로 포함되는,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변성 에폭시 수지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및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비스페놀 F형 에폭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에폭시계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실란 커플링제에 의해 변성된 것인,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변성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 당량이 300 내지 450 g/eq인,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

KR1020180139156A 2018-11-13 2018-11-13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 KR102178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3844 WO2020101054A1 (ko) 2018-11-13 2018-11-13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
KR1020180139156A KR102178148B1 (ko) 2018-11-13 2018-11-13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156A KR102178148B1 (ko) 2018-11-13 2018-11-13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469A true KR20200055469A (ko) 2020-05-21
KR102178148B1 KR102178148B1 (ko) 2020-11-12

Family

ID=7073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156A KR102178148B1 (ko) 2018-11-13 2018-11-13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8148B1 (ko)
WO (1) WO20201010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916B1 (ko) * 2021-11-19 2022-05-17 구영모 이미지 형성용 코팅액 조성물 및 이미지 형성용 스크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8427B2 (en) * 2003-09-03 2006-06-27 Diy Theatre, Llc Projection screens, methods for forming a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creen kits
JP2011132052A (ja) * 2009-12-22 2011-07-07 Dyflex Corp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保護被覆材、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保護方法
KR20180052888A (ko) * 2016-11-11 2018-05-21 페인트팜 주식회사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도료 조성물 및 빔 프로젝터용 스크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2904A (ja) * 2004-12-27 2006-07-13 Nippon Polyurethane Ind Co Ltd ポリウレタン樹脂コーティング剤
KR101843812B1 (ko) * 2016-10-19 2018-03-30 페인트팜 주식회사 자성 스크린 보드 형성용 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8427B2 (en) * 2003-09-03 2006-06-27 Diy Theatre, Llc Projection screens, methods for forming a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creen kits
JP2011132052A (ja) * 2009-12-22 2011-07-07 Dyflex Corp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保護被覆材、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保護方法
KR20180052888A (ko) * 2016-11-11 2018-05-21 페인트팜 주식회사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도료 조성물 및 빔 프로젝터용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1054A1 (ko) 2020-05-22
KR102178148B1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74906B (zh) 包括硬质涂层的塑料薄板
US6620500B2 (en) Dry erase member
TW593617B (en) Curable compositions for display devices
US20100178475A1 (en) Multifunctional plastic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529963B2 (ja) 接着フィルム形成用組成物、光硬化前加工用粘着フィルム、接着フィルム及び電子ペーパー表示装置
WO2013046743A1 (ja) パターン印刷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78148B1 (ko) 빔 프로젝터 스크린 형성용 코팅 조성물
JP2007216525A (ja) 透明保護パネル
KR101843812B1 (ko) 자성 스크린 보드 형성용 도료 조성물
CN106536664B (zh) 遮光性两面粘着部件用丙烯类粘着剂组成物、遮光性两面粘着部件以及图像显示装置
JP6479518B2 (ja) 遮光性粘着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CN104151883A (zh) 固化性组合物和具有其固化被膜的物品
CN106232644A (zh) 具有亲水性基团的含氟共聚物及包含该共聚物的表面改性剂
JP4696659B2 (ja) 紫外線硬化性樹脂組成物
Li et al. Development of biobased polyol from epoxidized soybean oil for polyurethane anti‐smudge coatings
JP2010184998A (ja) 注型用活性エネルギー線重合性樹脂組成物、その硬化物
TWI609042B (zh) 聚合性樹脂、活性能量線硬化性組成物、物品及聚合性樹脂之製造方法
CN101509606B (zh) 自发光广告贴膜
US9868865B1 (en) Zero/low VOC dry erase coatings and other variations
KR20090095216A (ko) 친환경적이며 지움성이 우수한 무광보드 및 그 제조방법
JP2006274242A (ja) 紫外線硬化型導電性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導電性ロール
KR101885512B1 (ko) 전자칠판용 플라스틱 스크린의 제조방법
TW202045555A (zh) 可撓性硬塗覆用硬化性組成物
JP2010001414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ウレタン樹脂の製造方法
JP2009144065A (ja) 紫外線硬化型塗料組成物及びその塗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