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4607A - 피처리물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피처리물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4607A
KR20200054607A KR1020180138101A KR20180138101A KR20200054607A KR 20200054607 A KR20200054607 A KR 20200054607A KR 1020180138101 A KR1020180138101 A KR 1020180138101A KR 20180138101 A KR20180138101 A KR 20180138101A KR 20200054607 A KR20200054607 A KR 20200054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unit
treatment liquid
injection unit
process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필
양승래
Original Assignee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8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4607A/ko
Publication of KR20200054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경로를 따라 피처리물을 이송시키는 과정;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피처리물에 복수개의 분사부가 선택적으로 처리액을 분사하는 과정; 및 상기 피처리물에 분사된 처리액을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이송되는 피처리물에 처리액을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처리물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OBJECT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피처리물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되는 피처리물에 처리액을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는 피처리물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 전자(Printed Electronics) 기술은 인쇄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전자 부품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기존의 유리 기판과는 달리 플라스틱, 섬유, 종이 등 다양한 소재들을 기판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 범위가 매우 넓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전자 회로, 센서, 전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 다양한 전자 소자들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인쇄 전자 기술은 롤투롤(Roll to Roll) 인쇄장치로 수행될 수 있다. 롤투롤 인쇄장치는 인쇄 방식에 따라, 접촉식 인쇄장치와 비접촉식 인쇄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접촉식 인쇄장치는 소재에 스크린을 접촉시켜 인쇄작업을 수행한다. 하지만, 인쇄작업을 수행할 때마다 롤들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를 정지시켜야 하고, 소재를 정지시키거나 스크린을 소재에 접촉시킬 때 장력변화로 소재의 위치가 틀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접촉식 인쇄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인쇄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인쇄작업의 정밀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비접촉식 인쇄장치는 롤들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에 노즐로 용액을 분사하여 비접촉식으로 인쇄작업을 수행한다. 이에, 소재를 이송시키면서 인쇄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인쇄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비접촉식으로 인쇄작업을 수행하여 소재에 장력변화가 없기 때문에 인쇄작업의 정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비접촉식 인쇄장치에 구비되는 노즐을 장시간 사용하거나 노즐에 이상이 발생하면 노즐이 막히거나 노즐에 용액이 맺힐 수 있다. 이에, 노즐에서 용액이 분사되지 않아 인쇄작업이 중단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KR 2013-0019298 A
본 발명은 이송되는 피처리물에 처리액을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는 피처리물 처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처리하는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처리물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송경로를 따라 피처리물을 이송시키는 과정;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피처리물에 복수개의 분사부가 선택적으로 처리액을 분사하는 과정; 및 상기 피처리물에 분사된 처리액을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가 선택적으로 처리액을 분사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 중 일 분사부를 선택하여 처리액을 분사시키는 과정; 상기 일 분사부의 사용시간을 측정하는 과정; 및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일 분사부, 또는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 중 타 분사부를 선택하여 처리액을 분사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일 분사부의 사용시간을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시간과,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시간이 설정시간보다 크면, 상기 일 분사부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가 선택적으로 처리액을 분사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 중 일 분사부를 선택하여 처리액을 분사시키는 과정; 상기 피처리물에 분사된 처리액의 상태를 검사하는 과정; 및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일 분사부, 또는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 중 타 분사부를 선택하여 처리액을 분사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피처리물에 분사된 처리액의 상태를 검사하는 과정은, 상기 피처리물에 분사된 처리액의 형상 및 두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처리액의 형상 또는 두께를, 미리 설정된 설정 형상 또는 설정 두께와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처리액의 형상 또는 두께와, 상기 설정 형상 또는 설정 두께가 다르면, 상기 일 분사부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일 분사부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 후, 상기 일 분사부의 처리액 분사를 중지시키는 과정; 및 상기 일 분사부를 세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가 선택적으로 처리액을 분사하는 과정은, 상기 일 분사부 대신 상기 타 분사부를 선택하여 처리액을 분사한 후, 상기 타 분사부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타 분사부 대신 상기 세척된 일 분사부를 선택하여 처리액을 분사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피처리물은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피처리물에 처리액을 분사하는 과정은, 분리막 상에 상기 피처리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처리액들을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물에 분사된 처리액을 건조시킨 후, 상기 처리액이 건조되어 형성된 처리액막 상에 양극판 또는 음극판을 설치하고, 상기 분리막과 상기 양극판 사이, 또는 상기 분리막과 상기 음극판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처리액막 상에 양극판 또는 음극판을 설치한 후, 상기 틈새로 전해액을 침투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송경로를 따라 피처리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부; 상기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는 건조부; 및 상기 건조부를 통과하기 전의 피처리물에 선택적으로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분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부의 처리액 분사구를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경로 외측에 설치되는 세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송경로 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분사부는,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는 복수개의 분사부재; 및 상기 분사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분사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 중 처리액을 분사하도록 선택된 분사부의 사용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시간측정부; 및 상기 시간측정부의 측정결과에 따라 피처리물에 처리액을 분사할 분사부를 변경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피처리물에 분사된 처리액의 상태를 검사하도록, 상기 건조부와 상기 분사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검사부; 및 상기 검사부의 검사결과에 따라 피처리물에 처리액을 분사할 분사부를 변경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수개의 분사부가 연속적으로 피처리물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처리물에 처리액을 분사하던 분사부에 문제가 발생하여 처리액을 분사하지 못하는 경우, 다른 분사부로 교체하여 중단없이 피처리물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피처리물에 처리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해줄 수 있기 때문에, 피처리물을 처리하는 공정의 효율성과, 피처리물을 처리하여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피처리물이 분리막인 구비하는 경우, 피처리물 상에 처리액을 분사하고 경화시킬 수 있다. 경화된 처리액 상에 양극판 또는 음극판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분리막과 양극판 사이, 또는 분리막과 음극판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기 때문에, 전해액을 공급하면 양극판과 분리막 사이, 또는 음극판과 분리막 사이에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액의 흡수율이 증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사부와 세정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사부와 세정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피처리물 처리장치(100)는 피처리물에 처리액을 도포하는 장치이다. 피처리물 처리장치(100)는 이송부(110), 건조부(120), 및 분사부(130)를 포함한다.
이송부(110)는 이송경로를 따라 피처리물(50)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피처리물(50)은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송부(110)는 제1 롤러(111)와 제2 롤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111)와 제2 롤러(112)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롤러(111)와 제2 롤러(112)에 피처리물(50)이 감기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롤러(111)와 제2 롤러(112)가 회전하면, 제1 롤러(111)에 감긴 피처리물(50)이 풀려 제2 롤러(112)에 감길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50)이 제1 롤러(111)에서 제2 롤러(112)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110)는 이송롤러(113)와 텐션롤러(11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송롤러(113)와 텐션롤러(114)에 피처리물(50)이 감겨 이송될 수 있다.
이송롤러(113)는 복수개가 배치되어 제1 롤러(111)와 제2 롤러(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송롤러(113)들은 피처리물(50)의 이송방향을 변경해줄 수 있다. 이에, 이송롤러(113)들에 의해 피처리물(50)이 제1 롤러(111)에서 제2 롤러(112)까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텐션롤러(114)는 이송롤러(113)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텐션롤러(114)의 이동에 의해 피처리물(50)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텐션롤러(114)가 이송롤러(113)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피처리물(50)이 텐션롤러(114)에 의해 당겨져 피처리물(50)의 장력이 증가하고, 텐션롤러(114)가 이송롤러(113)들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피처리물(50)의 장력이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제1 롤러(111)와 제2 롤러(112) 사이에서 이송되는 피처리물(50)이 이송 중에 사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송부(110)는 사행감지기(115)와 사행조절기(11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행감지기(115)는 피처리물(50)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행감지기(115)는 카메라일 수 있고, 이송되는 피처리물(50)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50)이 이송경로를 벗어나면, 피처리물(50)이 사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사행조절기(116)는 피처리물(50)이 사행되었다고 판단되면 피처리물(50)의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사행조절기(116)는 롤러 형태로 형성되어 피처리물(50)이 감길 수 있고, 피처리물(50)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사행조절기(116)의 위치를 조절하여 이송경로를 벗어난 피처리물(50)을 이송경로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행조절기(116)는 피처리물(50)이 사행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피처리물(50)이 사행조절기(116)에 의해 이송경로 내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건조부(120)는 피처리물(50)에 도포된 처리액을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건조부(120)는 제1 롤러(111)와 제2 롤러(112) 사이에 위치하여, 피처리물(50)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피처리물(50)이 건조부(120)를 통과할 수 있다. 건조부(120)는 챔버와 가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는 사각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챔버의 내부에는 피처리물(50)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챔버의 일측(또는, 전면)에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또는, 후면)에는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챔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피처리물(50)이 통과할 수 있다.
가열기는 챔버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기는 챔버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기일 수 있다. 이에, 가열기에 의해 챔버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챔버의 내부를 통과하는 피처리물 상의 처리액이 건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열기로 램프나 열선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분사부(130)는 건조부(120)를 통과하기 전의 피처리물(50) 상에 처리액을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분사부(130)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피처리물(50)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분사부(130)들은 선택적으로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사부(130a)와 제2 분사부(130b)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분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분사부(130a)는 건조부(120)의 일측(또는,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분사부(130a)는 건조부(120)로 진입하려는 피처리물(50) 상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분사부(130a)에서 분사된 처리액이 피처리물(50)과 함께 건조부(120) 내부를 통과하여 건조될 수 있다. 제1 분사부(130a)는 분사부재(131)와 지지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부재(131)는 노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부재(131)의 하부에 처리액이 분사되는 분사구가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재(131)는 피처리물(5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분사부재(131)는 하측에서 이송되는 피처리물(50)의 상부면으로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분사부재(131)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피처리물(50)의 이송방향(또는, 전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또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분사부재(131)들은 피처리물(50)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지지부재(132)는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32)는 피처리물(50)의 이송방향(또는, 전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재(132)에는 분사부재(131)들이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분사부재(131)들이 지지부재(132)의 연장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32)는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지지부재(132)는 피처리물(50)의 이송경로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분사부재(131)들이 지지부재(132)에 지지되기 때문에, 지지부재(132)가 이동하면 분사부재(131)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할 때는 지지부재(132)가 분사부재(131)들을 피처리물(50) 상에 위치시키고, 분사하지 않을 때는 지지부재(132)가 분사부재(131)들을 피처리물(50)의 이송경로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 분사부(130a)는 적어도 일부가 피처리물(50)의 이송경로 내외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32)는 상하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132)를 상하로 이동시켜, 분사부재(131)의 상하방향 위치도 조절할 수 있다.
제2 분사부(130b)는 건조부(120)와 제1 분사부(13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분사부(130b)는 건조부(1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1 분사부(130a)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2 분사부(130b)는 제1 분사부(130a) 대신 선택되어 건조부(120)에 진입하려는 피처리물(50) 상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분사부(130b)에서 분사된 처리액도 피처리물(50)과 함께 건조부(120) 내부를 통과하여 건조될 수 있다. 제2 분사부(130b)는 제1 분사부(130a)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분사부재(131)와 지지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분사부(130b)가 제1 분사부(130a)의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처리액을 분사하던 제1 분사부(130a)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제2 분사기(130b)로 처리액을 분사하여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하는 공정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분사부(130b)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분사부(130a)의 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분사부(130a) 및 제2 분사부(130b)에 구비되는 분사부재(131)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분사액을 분사시킨 후 분사부재(131)를 오랜 시간 대기시키면, 분사부재(131)의 분사구에 처리액이 맺히거나 분사구가 건조된 처리액에 의해 막힐 수 있다. 따라서, 피처리물 처리장치(100)가 세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정부(140)는 분사부재(131)의 분사구를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세정부(140)는 피처리물(50)의 이송경로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분사부재(131)가 지지부재(132)에 의해 피처리물(50)의 이송경로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 세정부(140)로 분사부재(131)의 분사구를 세척할 수 있다. 세정부(140)는 제1 회전부재(141), 제2 회전부재(142), 및 세정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부재(141)와 제2 회전부재(142)는 롤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부재(141)와 제2 회전부재(142)는 피처리물(50)의 이송경로 외측(예를 들어, 피처리물 이송경로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전부재(141)와 제2 회전부재(142)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제1 회전부재(141)와 제2 회전부재(142)에 세정부재(143)가 감길 수 있다.
세정부재(143)는 헝겊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세정부재(143)의 일부는 제1 회전부재(141)에 감겨있고, 다른 일부는 제2 회전부재(142)에 감겨질 수 있다. 이에, 제1 회전부재(141)와 제2 회전부재(142)가 회전하면, 세정부재(143)가 제1 회전부재(141)와 제2 회전부재(142)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부재(143)에 분사부재(131)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세정부재(143)를 이동시키면, 세정부재(143)가 분사부재(131)의 분사구를 닦아줄 수 있다.
또한, 세정부재(143)의 좌우방향 길이는, 제1 분사부(130a) 또는 제2 분사부(130b)에 구비되는 분사부재(131)들이 좌우방향으로 이격되는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이에,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분사부재(131)들이 하나의 세정부재(143)와 접촉할 수 있고, 하나의 세정부재(143)가 복수개의 분사부재(131)를 함께 세척할 수 있다.
세정부(14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세정부(140)는 분사부(130)가 구비되는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제1 분사부(130a)와 제2 분사부(130b)가 구비되는 경우, 제1 세정부(140a)와 제2 세정부(140b)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세정부(140a)는 제1 분사부재(131)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위치하여 제1 분사부(130a)의 분사부재(131)를 세척하고, 제2 세정부(140b)는 제2 분사부재(131)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위치하여 제2 분사부(130b)의 분사부재(131)를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세정부는 하나가 구비되어, 제1 분사부(130a)와 제2 분사부(130b)의 분사부재(131)들을 모두 함께 세척할 수도 있다. 이때, 세정부에 구비되는 제1 회전부재와 제2 회전부재의 전후방향 이격거리는, 제1 분사부(130a)와 제2 분사부(130b)의 전후방방향 이격거리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부재와 제2 회전부재에 감겨있는 세정부재에, 제1 분사부(130a)와 제2 분사부(130b)의 분사부재들이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제1 회전부재와 제2 회전부재를 이용하여 세정부재를 이동시키면, 세정부재가 제1 분사부(130a)와 제2 분사부(130b)의 분사부재들 모두의 분사구를 닦아줄 수 있다. 그러나 세정부의 구조 및 세정부재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분사부(130a)와 제2 분사부(130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하던 분사부에 문제가 발생하여 처리액을 분사하지 못하는 경우, 다른 분사부를 선택하여 중단없이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해줄 수 있기 때문에, 피처리물(50)을 처리하는 공정의 효율성과, 피처리물(50)을 처리하여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한 후 이상이 발생된 분사부는 피처리물(50)의 이송경로 외측으로 이동하여, 세정부(140)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이에, 세척된 분사부를 다시 사용하여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할 때, 분사부가 막히지 않고 안정적으로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부들을 연속적으로 사용할 때, 분사부들에 문제가 발생하여 분사부들의 분사구가 막히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피처리물 처리장치(100)는 시간측정부(151)와 제어부(15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정해진 시간마다 자동으로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할 분사부를 변경할 수 있다.
시간측정부(151)는 제1 분사부(130a)와 제2 분사부(130b)의 사용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사용시간은 제1 분사부(130a) 또는 제2 분사부(130b)가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하는 작업을 수행한 시간일 수 있다. 이에, 시간측정부(151)는 제1 분사부(130a) 또는 제2 분사부(130b)가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할 때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53)는 시간측정부(151)와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된다. 이에, 제어부(153)는 제1 분사부(130a) 또는 제2 분사부(130b)의 사용시간 정보를 시간측정부(151)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3)는 시간측정부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분사부 대신 상기 제2 분사부를 선택하여 처리액을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3)는 제1 분사부(130a) 또는 제2 분사부(130b)의 측정된 사용시간과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이에, 사용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처리액을 분사하던 분사기를, 대기하고 있던 다른 분사기와 교체할 수 있다. 즉, 처리액을 분사하던 분사기는 처리액 분사를 중지하고, 대기하고 있던 분사기로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때, 도 2와 같이 처리액 분사를 중지한 분사부는 피처리물(50) 이송경로 외측으로 이동한 후, 세정부(140)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분사부(130a)와 제2 분사부(130b) 중 어느 하나가 처리액을 분사하는 동안, 다른 하나는 세정부(140)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이후, 처리액을 분사하던 분사부(130)의 사용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세척된 분사부(130)와 교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제1 분사부(130a)와 제2 분사부(130b)를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분사구가 막히거나 처리액이 맺히기 전에 분사부들을 자동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처리액을 분사할 분사부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사용하므로, 피처리물(50)에 더 안정적으로 끊임없이 처리액을 공급해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피처리물 처리장치(100)가 검사부(152)와 제어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50)에 분사된 처리액의 상태에 따라 분사부들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검사부(152)는 피처리물(50)에 분사된 처리액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검사부(152)는 카메라일 수 있고, 피처리물(50)의 상측 및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위치에서 피처리물(50) 상의 처리액 두께나 형상을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부(152)는 처리액의 상태가 양호한지 또는 불량인지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부(152)가 피처리물(50) 상의 처리액 두께를 측정하는 경우, 검사부(152)가 측정된 두께와, 미리 설정된 설정 두께를 비교할 수 있다. 이에, 측정된 두께가 설정 두께보다 작은 경우, 처리액의 상태가 불량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분사부에 이상이 발생하여, 피처리물(50) 상으로 분사부가 충분한 양의 처리액을 분사하지 못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검사부(152)가 피처리물(50) 상의 처리액 형상을 측정하는 경우, 처리액의 형상을 입체적인 3D로 감지할 수 있다. 이에, 검사부(152)는 처리액의 실제 형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검사부(152)에는 이전 공정에서 처리액이 정상적으로 도포되었을 때 형상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검사부(152)는 감지된 처리액의 형상과, 저장된 처리액의 형상(또는, 설정 형상)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부(152)는 두 형상이 일치한지 비교할 수 있고, 두 형상의 일치율이 70% 미만이면 처리액의 상태가 불량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분사부에 이상이 발생하여, 피처리물(50) 상으로 분사부가 충분한 양의 처리액을 분사하지 못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일치율의 기준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분사부는 피처리물(50) 상에 처리액을 전후방향으로 이격시켜 도포할 수 있다. 이에, 검사부(152)는 처리액들 사이의 전후방향 이격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처리액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미리 설정된 설정 거리보다 큰 경우, 분사부에 이상이 발생하여, 처리액이 분사되어야 하는 부분에 처리액이 분사되지 않았기 때문에, 처리액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멀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검사부(152)는 건조부(120)와 제2 분사부(13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분사부(130a) 또는 제2 분사부(130b)에서 분사된 처리액이 건조부(120)로 진입하기 전에, 검사부(152)가 처리액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제어부(153)는 검사부(152)의 검사결과에 따라 제1 분사부(130a) 대신 제2 분사부(130b)를 선택하여 처리액을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부(152)가 제1 분사부(130a)에서 분사되는 처리액의 상태가 불량이라고 판단하면, 제어부(153)는 제1 분사부(130a)에서 처리액을 분사하는 것을 중지시키고, 제2 분사부(130b)를 선택하여 처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이때, 도 2와 같이, 제1 분사부(130a)는 피처리물(50) 이송경로 외측으로 이동한 후, 세정부(140)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따라서, 교대된 제2 분사부(130b)가 처리액을 분사하는 동안, 제1 분사부(130a)는 세정부(140)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이후, 제2 분사부(130b)에서 분사된 처리액의 상태가 불량이면, 제2 분사부(130b)를 세척된 제1 분사부(130a)와 교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피처리물(50) 상의 처리액 상태에 따라 제1 분사부(130a)와 제2 분사부(130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처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즉, 피처리물(50) 상의 처리액 상태를 검사하여, 제1 분사부(130a)나 제2 분사부(130b)에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분사부(130a)와 제2 분사부(130b)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면, 다른 하나를 이용하여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할 분사부를 선택(또는, 교체)할 타이밍을 더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피처리물 처리방법은 피처리물에 처리액을 분사하는 방법일 수 있다. 피처리물 처리방법은, 이송경로를 따라 피처리물을 이송시키는 과정,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피처리물에 복수개의 분사가 선택적으로 처리액을 분사하는 과정, 및 피처리물에 분사된 처리액을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도 5와 같이 피처리물(50)은 양극판(60)과 음극판(70) 사이를 차단하는 분리막일 수 있다. 그러나 피처리물(5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우선, 도 1과 같이 제1 롤러(111)와 제2 롤러(112)에 피처리물(50)을 감고, 제1 롤러(111)와 제2 롤러(1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50)이 제1 롤러(111)와 제2 롤러(112)에 의해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즉, 도 6과 같이 피처리물(50) 제1 롤러(111)에서 풀리고 제2 롤러(112)에 감기면서 이송될 수 있다.(S110)
피처리물(50)의 이송경로 상에는 복수개의 분사부가 설치되어 교대로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사부(130a)와 제2 분사부(130b)가 구비되는 경우, 두 분사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처리액을 분사시키고, 다른 하나는 대기시킬 수 있다.(S120)
이때, 분사부는 피처리물(50)의 상부로 처리액을 분사한다. 피처리물(50)이 전후방향으로 이송되기 때문에, 분사부에서 분사한 처리액들이 전후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피처리물(50)의 이송방향을 따라 처리액들이 이격되어 피처리물(50) 상에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처리액들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사부들은 피처리물(50)의 상측에 이격되어,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분사부들이 비접촉식으로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공급하기 때문에, 이송되는 피처리물(50)에 용이하게 처리액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작업을 신속학 수행할 수 있고, 롤러들에 의해 이송되는 피처리물(50)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작업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분사부(130a)와 제2 분사부(130b) 중 선택되어 처리액을 분사하는 분사부의 사용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분사부(130a)로 처리액을 분사하고, 제2 분사부(130b)를 대기시키는 경우, 제1 분사부(130a)가 처리액을 분사한 사용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제1 분사부(130a)의 사용시간과,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S130) 제1 분사부(130a)의 사용시간이 설정시간보다 크면, 제1 분사부(130a)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부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처리액을 분사하던 분사부를 오랜 시간 대기시키면, 분사부의 처리액 분사구가 막히거나 분사구에 처리액이 맺힐 수 있다. 이에, 분사부에서 처리액이 분사되지 않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부가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해서 사용되면, 분사부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다른 분사부로 처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제1 분사부(130a)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측정결과에 따라 제1 분사부(130a)로 계속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S140) 이후, 피처리물(50)을 건조부(120)에 통과시켜, 피처리물(50) 상의 처리액을 건조시킬 수 있다.(S160) 이에, 처리액이 경화될 수 있다.
제1 분사부(130a)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측정결과에 따라 제1 분사부(130a)의 처리액을 분사를 중지시키고, 제2 분사부(130b)를 선택하여 제1 분사부(130a) 대신 처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S150) 이에, 제1 분사부(130a)가 처리액 분사를 중지해도, 제2 분사부(130b)에 의해 피처리물(50)에 연속적으로 처리액이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제2 분사부(130b)가 처리액을 분사하는 동안, 제1 분사부(130a)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피처리물(50)의 이송경로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32)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되는 한 쌍의 분사부재(131)들을 피처리물(50)의 이송경로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분사부재(131)들은 세정부(140)에 구비되는 세정부재(14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부(140)로 분사부재(131)들의 분사구를 세척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부재(143) 상의 위치한 지지부재(132)가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분사부재(131)들이 세정부재(143)와 접촉할 수 있다. 분사부재(131)와 접촉한 상태에서 세정부재(143)를 이동시키면, 세정부재(143)가 분사부재(131)들의 분사구를 닦아, 분사구에 맺힌 처리액이나, 분사구에서 건조되어 분사구를 막고 있는 처리액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분사부(130a)가 세척될 수 있다.
제1 분사부(130a)의 세척이 완료되면, 지지부재(132)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지지부재(132)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분사부재(131)들을 피처리물(50)의 이송경로 상에 다시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분사부(130a)가 피처리물(50) 상에서 대기할 수 있다.
이때, 제2 분사부(130b)의 사용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제2 분사부(130b)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분사부(130b) 대신 세척된 제1 분사부(130a)를 선택하고, 제1 분사부(130a)에서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제1 분사부(130a)가 처리액을 분사하는 동안 제2 분사부(130b)에 대한 세척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분사부들을 교대로 사용하여 중단없이 이송되는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피처리물(50) 상에 분사된 처리액은, 피처리물(50)이 건조부(120) 내부를 통과할 때 건조될 수 있다.(S160) 이에, 처리액이 경화될 수 있다. 이후, 피처리물(50)은 제2 롤러(112)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제1 분사부(130a)와 제2 분사부(130b)를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분사구가 막히거나 처리액이 맺히기 전에 분사부들을 자동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처리액을 분사할 분사부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사용하므로, 피처리물(50)에 더 안정적으로 끊임없이 처리액을 공급해줄 수 있다.
한편, 도 5의 (a)와 같이 처리액은 건조되어 경화되면 처리액막(I)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액막(I) 상에 양극판 또는 음극판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b)와 같이 한 쌍의 처리액막(I) 상에 하나의 음극판(70)을 설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처리액막(I) 상에 음극판(70)이 설치되면, 도 5의 (c)와 같이 피처리물(50)을 접어 음극판(70)과 접촉하지 않았던 한 쌍의 처리액막(I)을 음극판(70)의 상부면과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50)과 음극판(70)은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피처리물(50)과 음극판(70) 사이에 틈새(또는, 갭(Gap))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도 5의 (d)와 같이 음극판(70)과 접촉하지 않은 처리액막(I) 상에 양극판(60)을 설치하고 피처리물(50)이 양극판(60)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다. 따라서, 피처리물(50)과 양극판(60)은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피처리물(50)과 양극판(60) 사이에 틈새(또는, 갭(Gap))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50) 사이사이에 양극판(60)과 음극판(70)이 적층될 수 있다. 그러나 피처리물(50)에 설치되는 양극판(60)과 음극판(7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그 다음, 양극판(60)과 음극판(70)이 설치된 피처리물(50)을, 전해액이 담긴 용기(미도시) 내부에 침지시킬 수 있다. 처리액막(I)에 의해 피처리물(50)과 양극판(60) 사이, 및 피처리물(50)과 음극판(70)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기 때문에, 전해액이 틈새들로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다. 따라서, 틈새로 인해 전해액의 흡수율이 향상되어, 양극판(60), 음극판(70), 및 피처리물(50)에 의해 제조되는 2차 전지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과 같이 제1 롤러(111)와 제2 롤러(112)에 피처리물(50)을 감고, 제1 롤러(111)와 제2 롤러(1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50)이 제1 롤러(111)와 제2 롤러(112)에 의해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이 피처리물(50) 제1 롤러(111)에서 풀리고 제2 롤러(112)에 감기면서 이송될 수 있다.(S210)
피처리물(50)의 이송경로 상에는 복수개의 분사부가 설치되어 교대로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사부(130a)와 제2 분사부(130b)가 구비되는 경우, 두 분사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처리액을 분사시키고, 다른 하나는 대기시킬 수 있다.(S220)
한편, 제1 분사부(130a)와 제2 분사부(130b)를 교대로 사용하기 위해 피처리물(50)에 분사된 처리액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제1 분사부(130a)로 처리액을 분사하고, 제2 분사부(130b)를 대기시키는 경우, 검사부(152)로 제1 분사부(130a)가 피처리물(50)에 분사한 처리액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부(152)로 피처리물(50) 상의 처리액의 두께를 측정하고, 측정된 두께가 미리 설정된 설정두께보다 작은지 비교할 수 있다.(S230)
이때, 제1 분사부(130a)에서 분사된 처리액의 두께가 설정 두께보다 작으면, 제1 분사부(130a)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사부(130a)의 분사구가 막히거나 분사구에 처리액이 맺히는 경우, 제1 분사부(130a)가 피처리물(50)로 처리액을 원활하게 분사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피처리물(50)로 분사되는 처리액의 양이 감소하여, 피처리물(50) 상의 처리액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처리액의 두께를 통해 제1 분사부(130a)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피처리물(50) 상의 처리액 형상을 측정하고, 미리 설정된 설정 형상과 비교하여 분사부의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측정된 형상과, 설정 형상의 일치율에 따라 제1 분사부(130a)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처리액들 사이의 이격거리를 측정하고, 미리 설정된 설정 거리값과 비교하여 분사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1 분사부(130a)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측정결과에 따라 제1 분사부(130a)로 계속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S240) 이후, 피처리물(50)을 건조부(120)에 통과시켜, 피처리물(50) 상의 처리액을 건조시킬 수 있다.(S260) 이에, 처리액이 경화될 수 있다.
제1 분사부(130a)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검사결과에 따라 제1 분사부(130a)의 처리액을 분사를 중지시키고, 제2 분사부(130b)를 제1 분사부(130a)와 교체하여 처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S250) 이에, 제1 분사부(130a)가 처리액 분사를 중지해도, 제2 분사부(130b)에 의해 피처리물(50)에 연속적으로 처리액이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제2 분사부(130b)가 처리액을 분사하는 동안, 제1 분사부(130a)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피처리물(50)의 이송경로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32)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되는 한 쌍의 분사부재(131)들을 피처리물(50)의 이송경로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분사부재(131)들은 세정부(140)에 구비되는 세정부재(14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부(140)로 이상이 발생한 분사부재(131)들의 분사구를 세척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분사부(130a)의 세척이 완료되면, 제1 분사부(130a)를 피처리물(50) 상 대기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분사부(130b)에서 분사된 처리액의 두께가 설정 두께보다 작으면, 제2 분사부(130b)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분사부(130b)를 세척된 제1 분사부(130a)와 교대시키고, 제1 분사부(130a)에서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제1 분사부(130a)가 처리액을 분사하는 동안 제2 분사부(130b)에 대한 세척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분사부들을 교대로 사용하여 중단없이 이송되는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피처리물(50) 상에 분사된 처리액은, 피처리물(50)이 건조부(120) 내부를 통과할 때 건조될 수 있다.(S240) 따라서, 처리액이 경화될 수 있다. 이후, 피처리물(50)은 제2 롤러(112)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피처리물(50) 상의 처리액 상태에 따라 제1 분사부(130a)와 제2 분사부(130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처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즉, 피처리물(50) 상의 처리액 상태를 검사하여, 제1 분사부(130a)나 제2 분사부(130b)에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분사부(130a)와 제2 분사부(130b)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면, 다른 하나를 이용하여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50)에 처리액을 분사할 분사부를 선택(또는, 교체)할 타이밍을 더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피처리물 처리장치 110: 이송부
111: 제1 롤러 112: 제2 롤러
120: 건조부 130: 분사부
130a: 제1 분사부 130b: 제2 분사부
140: 세척부 151: 시간측정부
152: 검사부 153: 제어부

Claims (14)

  1. 이송경로를 따라 피처리물을 이송시키는 과정;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피처리물에 복수개의 분사부가 선택적으로 처리액을 분사하는 과정; 및
    상기 피처리물에 분사된 처리액을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가 선택적으로 처리액을 분사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 중 일 분사부를 선택하여 처리액을 분사시키는 과정;
    상기 일 분사부의 사용시간을 측정하는 과정; 및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일 분사부, 또는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 중 타 분사부를 선택하여 처리액을 분사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일 분사부의 사용시간을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시간과,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시간이 설정시간보다 크면, 상기 일 분사부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가 선택적으로 처리액을 분사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 중 일 분사부를 선택하여 처리액을 분사시키는 과정;
    상기 피처리물에 분사된 처리액의 상태를 검사하는 과정; 및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일 분사부, 또는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 중 타 분사부를 선택하여 처리액을 분사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에 분사된 처리액의 상태를 검사하는 과정은,
    상기 피처리물에 분사된 처리액의 형상 및 두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처리액의 형상 또는 두께를, 미리 설정된 설정 형상 또는 설정 두께와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처리액의 형상 또는 두께와, 상기 설정 형상 또는 설정 두께가 다르면, 상기 일 분사부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방법.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일 분사부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한 후,
    상기 일 분사부의 처리액 분사를 중지시키는 과정; 및
    상기 일 분사부를 세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가 선택적으로 처리액을 분사하는 과정은,
    상기 일 분사부 대신 상기 타 분사부를 선택하여 처리액을 분사한 후, 상기 타 분사부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타 분사부 대신 상기 세척된 일 분사부를 선택하여 처리액을 분사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은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피처리물에 처리액을 분사하는 과정은, 분리막 상에 상기 피처리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처리액들을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물에 분사된 처리액을 건조시킨 후, 상기 처리액이 건조되어 형성된 처리액막 상에 양극판 또는 음극판을 설치하고, 상기 분리막과 상기 양극판 사이, 또는 상기 분리막과 상기 음극판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처리액막 상에 양극판 또는 음극판을 설치한 후,
    상기 틈새로 전해액을 침투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방법.
  10. 이송경로를 따라 피처리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부;
    상기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는 건조부; 및
    상기 건조부를 통과하기 전의 피처리물에 선택적으로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분사부;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의 처리액 분사구를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경로 외측에 설치되는 세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송경로 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처리물 처리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는 복수개의 분사부재; 및
    상기 분사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분사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 중 처리액을 분사하도록 선택된 분사부의 사용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시간측정부; 및
    상기 시간측정부의 측정결과에 따라 피처리물에 처리액을 분사할 분사부를 변경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피처리물에 분사된 처리액의 상태를 검사하도록, 상기 건조부와 상기 분사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검사부; 및
    상기 검사부의 검사결과에 따라 피처리물에 처리액을 분사할 분사부를 변경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장치.
KR1020180138101A 2018-11-12 2018-11-12 피처리물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20200054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101A KR20200054607A (ko) 2018-11-12 2018-11-12 피처리물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101A KR20200054607A (ko) 2018-11-12 2018-11-12 피처리물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607A true KR20200054607A (ko) 2020-05-20

Family

ID=7091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101A KR20200054607A (ko) 2018-11-12 2018-11-12 피처리물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460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298A (ko) 2011-08-16 2013-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롤투롤 인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298A (ko) 2011-08-16 2013-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롤투롤 인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9289B2 (ja) 塗布装置
JP5841449B2 (ja) 拭き取りパッド及びこのパッドを用いたノズルメンテナンス装置並びに塗布処理装置
KR20160083420A (ko) 기판 처리 장치, 토출량 측정 유닛, 그리고 기판 처리 방법
TW201402223A (zh) 網板塗佈裝置
EP2595814A1 (en) Printing head nozzle evaluation
EP3403835A1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ifference in belt moving amount
CN113840953A (zh) 数字化纺织品印刷的方法和设备
KR20200054607A (ko) 피처리물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101635996B1 (ko) 도금 장치 및 도금 방법
KR101053144B1 (ko) 처리액 도포 장치 및 방법
KR20110007866A (ko) 처리액 도포 장치 및 방법
CN102658257A (zh) 一种成卷基材双面一次性涂布装置
KR101387613B1 (ko) 디스플레이 기판 세정장치
TWI404573B (zh) Coating device
KR20140094061A (ko) 연속 도금 장치 및 연속 도금 방법
KR20130057042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6150179A (ja) 成膜装置及び成膜方法
JP2022155714A (ja) 塗布装置
TW512399B (en) Coating apparatus
KR102507387B1 (ko) 양면 동시 코팅이 가능한 막-전극 접합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6723000B2 (ja) 基板処理装置
KR102379012B1 (ko) 기판 처리 장치, 토출량 측정 유닛, 그리고 기판 처리 방법
KR101827364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517035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JP6045969B2 (ja) 表面処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