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4559A -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4559A
KR20200054559A KR1020180137982A KR20180137982A KR20200054559A KR 20200054559 A KR20200054559 A KR 20200054559A KR 1020180137982 A KR1020180137982 A KR 1020180137982A KR 20180137982 A KR20180137982 A KR 20180137982A KR 20200054559 A KR20200054559 A KR 20200054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boot
plate
shelf
transfer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0824B1 (ko
Inventor
박광서
김태한
Original Assignee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에이치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에이치엔티 filed Critical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37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8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4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05Sealing 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5/00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부 원주방향 중 적어도 한 곳에 스틸 소재의 링이 매립된 더스트부트가 상하로 적층되며, 최상층의 더스트부트를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기 위한 공급리프트; 공급리프트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일정 높이의 선반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며, 최상층의 더스트부트를 순차적으로 그립하여 선반의 상면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공급로더; 선반의 상면에 지지되며, 선반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더스트부트를 선반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씩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유닛; 및 이송유닛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이송유닛에 의해 일정거리씩 이동되는 더스트부트를 검사하여 정상제품과 불량제품을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검사유닛;을 포함하는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대량의 제품을 자동화로 검사함으로써 작업효율 및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 {Apparatus for testing badness of dust boot}
본 발명은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 재질로 제작되는 더스트부트는 볼 조인트에 소켓을 밀봉하도록 사용되어 오염물질이 소켓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윤활제가 소켓으로부터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때, 소켓은 하우징 및 스터드를 포함하는데, 스터드는 넓은 운동(움직임) 범위를 통해 하우징에 대해 피봇가능하다. 또한, 더스트부트는 하우징과 스터드 간에 대한 전체 운동 범위에 걸쳐 밀봉을 유지해야 하므로 탄성과 함께 형상의 유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더스트부트에는 상하부의 원주방향 중 적어도 한 곳에 스틸 소재의 링이 매립되어 제작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대량으로 생성된 더스트부트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외형적인 불량을 검사함으로써 작업 피로도가 높고 납품 수량을 충족시키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제품 특성상 매립된 링이 고무 소재에 덮여 있는 상태이므로 육안으로 링의 매립 유무를 판단하기 어려우며, 작업자의 가압력 등 감각에 의존하므로 검사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4935호 (공고일자: 2017년 06월 08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더스트부트에 대한 육안 검사를 자동화 검사로 대체할 수 있는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는, 상하부 원주방향 중 적어도 한 곳에 스틸 소재의 링이 매립된 더스트부트가 상하로 적층되며, 최상층의 더스트부트를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기 위한 공급리프트; 공급리프트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일정 높이의 선반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며, 최상층의 더스트부트를 순차적으로 그립하여 선반의 상면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공급로더; 선반의 상면에 지지되며, 선반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더스트부트를 선반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씩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유닛; 및 이송유닛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이송유닛에 의해 일정거리씩 이동되는 더스트부트를 검사하여 정상제품과 불량제품을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검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에 있어 공급리프트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 일정높이로 기립설치되는 포스트; 포스트의 일측에 포스트의 기립 방향으로 설치되는 LM가이드; LM가이드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송스크류; 포스트의 하단에 지지되어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공급모터; 일측이 LM가이드에 지지되고 타측이 이송스크류가 수직 관통되어 상하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럭; 및 이송블럭의 상면에 일정 높이로 기립되어 복수의 더스트부트가 관통 적층될 수 있는 적층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에 있어 공급로더는,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로더브라켓; 로더브라켓의 상측에 선반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로드; 수평로드가 관통되어 수평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가능한 대차; 대차의 상측에 기립되어 로드바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공급실린더; 일단이 로드바의 상측에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 및 연결플레이트의 타단 하부에 설치되어 최상층의 더스트부트를 그립 및 그립해제시킬 수 있는 그리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에 있어 이송유닛은, 선반의 상면에 선반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며, 선단 상면에 그리퍼에 그립된 더스트부트가 공급되는 마찰저감플레이트; 마찰저감플레이트의 상면에 얹혀지며 마찰저감플레이트의 선단 상면에 차례로 공급되는 더스트부트를 구획하여 일정거리씩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플레이트; 및 이송플레이트를 마찰저감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씩 수평 이송시킨 후, 마찰저감플레이트의 측면으로 후진하여 원위치시킬 수 있는 이송실린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에 있어 검사유닛은, 마찰저감플레이트의 선단 상면에서 이송플레이트에 의해 1차 이동된 위치의 마찰저감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홀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더스트부트의 상하부 링을 감지하기 위한 링감지센서부; 및 이송플레이트에 의해 2차 이동된 위치의 마찰저감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홀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더스트부트의 상하부 링 중 적어도 하나가 매립되지 않은 더스트부트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링검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에 있어 검사유닛은, 이송플레이트에 의해 3차 이동된 위치의 마찰저감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홀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더스트부트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감지센서부; 및 이송플레이트에 의해 4차 이동된 위치의 마찰저감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홀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더스트부트의 중량이 초과 또는 미달시 더스트부트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중량검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에 의하면, 대량의 제품을 자동화로 검사함으로써 작업효율 및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화를 통해 다품종 소량의 제품에 대한 정밀 검사까지 가능함으로 검사시간 단축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후방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급리프트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반 하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공급로더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이송유닛을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검사유닛을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중량감지센서부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후방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공급리프트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반 하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공급로더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이송유닛을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검사유닛을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의 중량감지센서부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는, 공급리프트(110); 지지프레임(120); 공급로더(130); 이송유닛(140); 검사유닛(150); 에어펌프(160); 및 제어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리프트(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원주방향 중 적어도 한 곳에 스틸 소재의 링(도시 생략)이 매립된 더스트부트(DB)가 상하로 적층되며, 공급로더(130)와 대응될 수 있도록 최상층의 더스트부트(DB)를 일정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급리프트(110)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1)와, 베이스플레이트(111)의 상측에 일정높이로 기립설치되는 포스트(112)와, 포스트(112)의 일측에 포스트(112)의 기립 방향으로 설치되는 LM가이드(113)와, LM가이드(113)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송스크류(114)와, 포스트(112)의 하단에 지지되어 이송스크류(114)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공급모터(115)와, 일측이 LM가이드(113)에 지지되고 타측이 이송스크류(114)가 수직 관통되어 상하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럭(116)과, 이송블럭(116)의 상면에 일정 높이로 기립되어 복수의 더스트부트(DB)가 관통 적층될 수 있는 적층봉(117)과, 적층봉(117)의 양측에 적층된 복수의 더스트부트(DB) 중 최상측과 최하측의 더스트부트(DB)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118)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1)는 사각 형상으로 그 하부 모서리에 고정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바닥면의 일정 높이에 견고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포스트(112)는 그 높이가 후술할 지지프레임(120)의 선반(121)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기립되며, 그 상측에 이송스크류(11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베어링플레이트(112-1)가 마련될 수 있다. 또, 포스트(112)의 상하 측면에는 이송블럭(116)을 감지하여 이송블럭(116)의 상하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상하 리미트센서(112-2)(112-3)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LM가이드(113)는 포스트(112)의 일측에 포스트(112)의 높이 방향으로 매립될 수 있다.
이송스크류(114)는 공급모터(115)의 구동력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외주에 마련된 너트(도시 생략)를 상하 이송시킴으로써 이송블럭(116)을 상하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스크류(114)의 하단에는 제1풀리(114-1)가 연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공급모터(115)는 포스트(112)의 타측 하부에 LM가이드(113)와 대향되게 설치되며, 모터축이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공급모터(115)의 모터축에는 이송스크류(114)의 제1풀리(114-1)와 밸트(B)를 통해 연결되는 제2풀리(115-1, 도 1 참조)가 결합된다.
이송블럭(116)은 그 내측에 이송스크류(114)의 외주에 마련된 너트가 결합되어 상하 이송될 수 있다. 이송블럭(116)의 측면에는 상하 리미트센서(112-2)(112-3)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돌출부(116-1)가 설치된다.
적층봉(117)은 하단이 베이스플레이트(111)에 고정 및 이송블럭(116)의 상하 이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이송블럭(116)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이송블럭(116)의 이동시 적층된 복수의 더스트부트(DB)를 함께 이송시킬 수 있다. 또, 적층봉(117)의 상단 높이는 이송스크류(114)보다 낮게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위치감지센서(118)는 적층봉(117)을 사이에 두고 하단이 베이스플레이트(111)에 고정되는 한 쌍의 기립봉(118-1)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프레임(120)은 공급리프트(110)에 인접하게 바닥에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 일정 높이의 플렛형 선반(121)이 설치될 수 있다. 선반(12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플레이트(142)에 의해 1차 내지 4차 이동된 위치의 마찰저감플레이트(141)에 형성되는 홀과 각각 대응되는 제1관통홀(121a) 내지 제4관통홀(121d)이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제2관통홀(121b) 및 제4관통홀(121d)과 대응되는 선반(121)의 하부에는 더스트부트(DB)의 배출을 가이드하기 위한 배출가이드(125)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선반(121)에는 더스트부트(DB)가 투입됨을 감지할 수 있는 소재감지센서(12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공급로더(130)는 지지프레임(120)에 지지되며, 최상층의 더스트부트(DB)를 순차적으로 그립하여 선반(121)의 상면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설치된다. 이를 위해 공급로더(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20)에 지지되는 로더브라켓(131)과, 로더브라켓(131)의 상측에 선반(12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로드(132)와, 수평로드(132)가 관통되어 수평로드(132)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가능한 대차(133)와, 대차(133)의 상측에 기립되어 로드바(134-1)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공급실린더(134)와, 일단이 로드바(134-1)의 상측에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135)와, 연결플레이트(135)의 타단 하부에 설치되어 최상층의 더스트부트(DB)를 그립 및 그립해제시킬 수 있는 그리퍼(136)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로드(132)는 한 쌍의 로드블럭(132-1)에 양단이 지지되며, 대차(133)는 수평로드(132) 상에서 왕복이동될 수 있다.
공급실린더(134)에는 에어펌프(160)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으며, 로드바(134-1)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135)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대차(133)의 이동이 지지프레임(120)의 외측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퍼(136)는 그 상부로 에어펌프(160)의 에어가 공급되며, 이에 따라 하부의 척(136-1)이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좁혀지거나 벌어짐으로써 더스트부트(DB)를 그립 또는 그립해제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송유닛(140)은 선반(121)의 상면에 지지되며, 선반(121)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더스트부트(DB)를 선반(12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씩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이송유닛(1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121)의 상면에 선반(121)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며, 선단 상면에 그리퍼(136)에 그립된 더스트부트(DB)가 공급되는 마찰저감플레이트(141)와, 마찰저감플레이트(141)의 상면에 얹혀지며 마찰저감플레이트(141)의 선단 상면에 차례로 공급되는 더스트부트(DB)를 구획하여 일정거리씩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플레이트(142)와, 이송플레이트(142)를 마찰저감플레이트(14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씩 수평(도 6의 우측 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마찰저감플레이트(141)의 외측으로 후진하여 원위치(좌측 및 전진)시킬 수 있는 이송실린더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저감플레이트(141)에는 길이방향으로 더스트부트(DB)의 하부와 접촉면적을 최소화하도록 복수의 홈(141a)이 마련될 수 있다. 마찰저감플레이트(14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더스트부트(D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벽(141-1)이 설치될 수 있다.
이송플레이트(142)는 마찰저감플레이트(141)의 타측에 위치하여 이송실린더부(143)부에 의해 전후좌우 이동될 수 있으며, 마찰저감플레이트(141)의 복수의 홈(141a)을 가로지르도록 일정간격의 구획바(142-1)가 복수로 설치되어 복수의 더스트부트(DB)를 서로 구획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실린더부(143)는 이송플레이트(142)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된 연결판(143-1)과, 연결판(143-1)을 전후진시키기 위한 제1이송실린더(143-2)와, 제1이송실린더(143-2)의 선단에 결합되는 지지판(143-3)과, 지지판(143-3)의 양측과 연결판(143-1)을 연결하여 연결판(143-1)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한 쌍의 제1안내바(143-4)와, 지지판(143-3)이 안착되는 안착판(143-5)과, 안착판(143-5)을 좌우 이동시키기 위한 제2이송실린더(143-6)와, 안착판(143-5)의 하부를 연결하여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한 쌍의 제2안내바(14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송실린더(143-2)와 제2이송실린더(143-6)에는 에어펌프(160)가 각각 공급되어 각 피스톤로드(부호 생략)를 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제2이송실린더(143-6) 및 각 제2안내바(143-7)의 양측은 선반(121)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검사유닛(150)은 이송유닛(140)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이송유닛(140)에 의해 일정거리씩 이동되는 더스트부트(DB)를 검사하여 정상제품과 불량제품을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검사유닛(1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저감플레이트(141)의 선단 상면에서 이송플레이트(142)에 의해 1차 이동된 위치의 마찰저감플레이트(141)에 형성되는 홀(도시 생략)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더스트부트(DB)의 상하부 링을 감지하기 위한 링감지센서부(151)와, 이송플레이트(142)에 의해 2차 이동된 위치의 마찰저감플레이트(141)에 형성되는 홀(141b)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더스트부트(DB)의 상하부 링 중 적어도 하나가 매립되지 않은 더스트부트(DB)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링검증부(152)와, 이송플레이트(142)에 의해 3차 이동된 위치의 마찰저감플레이트(141)에 형성되는 홀(도시 생략)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더스트부트(DB)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감지센서부(153)와, 이송플레이트(142)에 의해 4차 이동된 위치의 마찰저감플레이트(141)에 형성되는 홀(141c)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더스트부트(DB)의 중량이 초과 또는 미달시 더스트부트(DB)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중량검증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링감지센서부(151)는 더스트부트(DB)가 1차 이동된 위치의 마찰저감플레이트(141) 직상방에 위치하도록 브라켓(부호 생략)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링감지센서(151-1)와, 상부 링감지센서(151-1)와 대향되게 선반(121)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링감지센서(151-2, 도 4 참조)를 포함한다. 이때, 하부 링감지센서(151-2)는 선반(121)의 제1관통홀(121a) 및 1차 이동된 위치의 마찰저감플레이트(141)에 형성되는 홀을 통해 더스트부트(DB)의 하부 링을 감지할 수 있다.
링검증부(152)는 지지프레임(120)의 측면에 지지되는 제1측면브라켓(152-1)과, 제1측면브라켓(152-1)의 상측에 지지되는 제1검증실린더(152-2)와, 제1검증실린더(152-2)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검증로드바(152-3)와, 선반(121)의 제2관통홀(121b) 및 제1검증로드바(152-3)의 단부에 마찰저감플레이트(141)의 홀(141b)을 개폐하도록 결합되는 제1개폐플레이트(15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검증실린더(152-2)는 에어펌프(160)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으며, 제1검증로드바(152-3)를 마찰저감플레이트(141)의 폭 방향으로 전후진시킬 수 있다.
중량감지센서부(153)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스트부트(DB)가 3차 이동된 위치의 마찰저감플레이트(141)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선반(121) 하부에 지지되는 고정판(153-1)와, 선반(121)의 제3관통홀(121c) 및 3차 이동된 위치의 마찰저감플레이트(141)에 형성되는 홀을 통해 상면에 더스트부트(DB)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블럭(153-2)과, 고정판(153-1)과 안착블럭(153-2)을 연결하며 더스트부트(DB)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153-3)을 포함한다. 이때, 로드셀(153-3)의 상면에는 마찰저감플레이트(141)의 홈(141a)과 대응되는 또 다른 홈(153-3a)이 형성될 수 있다.
중량검증부(154)는 지지프레임(120)의 측면에 지지되는 제2측면브라켓(154-1)과, 제2측면브라켓(154-1)의 상측에 지지되는 제2검증실린더(154-2)와, 제2검증실린더(154-2)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검증로드바(154-3)와, 선반(121)의 제4관통홀(121d) 및 제2검증로드바(154-3)의 단부에 마찰저감플레이트(141)의 홀(141c)을 개폐하도록 결합되는 제2개폐플레이트(15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검증실린더(154-2)는 에어펌프(160)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으며, 제2검증로드바(154-3)를 마찰저감플레이트(141)의 폭 방향으로 전후진시킬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위치감지센서(118)에 의해 공급리프트(110)의 적층봉(117)에 적층된 복수의 더스트부트(DB)가 감지되면, 제어부(170)는 공급로더(130)를 작동시킨다. 이동된 공급로더(130)에 의해 최상측의 더스트부트(DB)가 그리퍼(136)의 척(136-1)에 의해 그립된 후, 일정 높이로 상승된다.
이후, 대차(133)가 수평로드(132)를 따라 이동되어 더스트부트(DB)를 마찰저감플레이트(141)의 선단 상면 일정 높이에 위치하며, 그리퍼(136)의 척(136-1)이 로드바(134-1)에 의해 하강한 후 척(136-1)의 그립이 해제됨으로써 마찰저감플레이트(141)의 선단 상면에 더스트부트(DB)가 공급될 수 있다.
다음, 소재감지센서(122)에 의해 더스트부트(DB)의 공급이 감지되면, 제어부(170)는 제2이송실린더(143-6)를 제어하여 이송플레이트(142)를 일정 간격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이후, 이송플레이트(142)는 후진 및 반대로 수평 이동한 후 전진하여 원위치되며, 또 다른 더스트부트(DB)가 마찰저감플레이트(141)의 선단 상면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공정은 반복되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송플레이트(142)에 의해 최초 공급된 더스트부트(DB)가 1차 이동되면 링감지센서부(151)가 더스트부트(DB)의 상하부 링을 감지하여 링의 매립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만일, 최초 공급된 더스트부트(DB)가 더스트부트(DB)의 상하부 링 중 어느 하나가 매립되지 않은 제품으로 판단될 경우, 2차 이동직후 제어부(170)에 의해 제1개폐플레이트(152-4)가 도 7과 같이 이동하여 마찰저감플레이트(141)에 형성된 홀(141b)을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링 불량 제품은 홀(141b) 아래로 떨어져 배출가이드(1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계속하여 최초 공급된 더스트부트(DB)가 3차 이동되어 중량감지센서부(153)의 안착블럭(153-2)에 안착되면 중량이 감지되는데 더스트부트(DB)의 중량이 초과 또는 미달로 확인시 4차 이동직후 제어부(170)에 의해 제2개폐플레이트(154-4)가 도 7과 같이 이동하여 마찰저감플레이트(141)에 형성된 홀(141C)을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중량 불량 제품은 홀(141C) 아래로 떨어져 또 다른 배출가이드(1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링 및 중량이 정상인 더스트부트(DB)는 앞서 홀(141b)(141C)들을 무사히 통과하여 5차 이동되며, 이송플레이트(142)의 추가 이동시 별도의 저장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에 의하면, 대량의 제품을 자동화로 검사함으로써 작업효율 및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화를 통해 다품종 소량의 제품에 대한 정밀 검사까지 가능함으로 검사시간 단축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공급리프트
120: 지지프레임
130: 공급로더
140: 이송유닛
150: 검사유닛
160: 에어펌프
170: 제어유닛
DB: 더스트부트

Claims (6)

  1. 상하부 원주방향 중 적어도 한 곳에 스틸 소재의 링이 매립된 더스트부트가 상하로 적층되며, 최상층의 더스트부트를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기 위한 공급리프트;
    상기 공급리프트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일정 높이의 선반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최상층의 더스트부트를 순차적으로 그립하여 상기 선반의 상면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공급로더;
    상기 선반의 상면에 지지되며, 상기 선반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더스트부트를 상기 선반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씩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일정거리씩 이동되는 상기 더스트부트를 검사하여 정상제품과 불량제품을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검사유닛;
    을 포함하는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리프트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 일정높이로 기립설치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일측에 상기 포스트의 기립 방향으로 설치되는 LM가이드;
    상기 LM가이드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송스크류;
    상기 포스트의 하단에 지지되어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공급모터;
    일측이 상기 LM가이드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이송스크류가 수직 관통되어 상하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럭; 및
    상기 이송블럭의 상면에 일정 높이로 기립되어 상기 복수의 더스트부트가 관통 적층될 수 있는 적층봉;
    을 포함하는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더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로더브라켓;
    상기 로더브라켓의 상측에 상기 선반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로드;
    상기 수평로드가 관통되어 상기 수평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가능한 대차;
    상기 대차의 상측에 기립되어 로드바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공급실린더;
    일단이 상기 로드바의 상측에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타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최상층의 더스트부트를 그립 및 그립해제시킬 수 있는 그리퍼;
    를 포함하는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선반의 상면에 상기 선반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며, 선단 상면에 상기 그리퍼에 그립된 상기 더스트부트가 공급되는 마찰저감플레이트;
    상기 마찰저감플레이트의 상면에 얹혀지며 상기 마찰저감플레이트의 선단 상면에 차례로 공급되는 상기 더스트부트를 구획하여 일정거리씩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플레이트; 및
    상기 이송플레이트를 상기 마찰저감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씩 수평 이송시킨 후, 상기 마찰저감플레이트의 외측으로 후진하여 원위치시킬 수 있는 이송실린더부;
    를 포함하는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마찰저감플레이트의 선단 상면에서 상기 이송플레이트에 의해 1차 이동된 위치의 상기 마찰저감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홀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더스트부트의 상하부 링을 감지하기 위한 링감지센서부; 및
    상기 이송플레이트에 의해 2차 이동된 위치의 상기 마찰저감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홀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더스트부트의 상하부 링 중 적어도 하나가 매립되지 않은 상기 더스트부트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링검증부;
    를 포함하는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이송플레이트에 의해 3차 이동된 위치의 상기 마찰저감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홀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더스트부트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감지센서부; 및
    상기 이송플레이트에 의해 4차 이동된 위치의 상기 마찰저감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홀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더스트부트의 중량이 초과 또는 미달시 상기 더스트부트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중량검증부;
    를 더 포함하는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
KR1020180137982A 2018-11-12 2018-11-12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 KR102120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982A KR102120824B1 (ko) 2018-11-12 2018-11-12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982A KR102120824B1 (ko) 2018-11-12 2018-11-12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559A true KR20200054559A (ko) 2020-05-20
KR102120824B1 KR102120824B1 (ko) 2020-06-10

Family

ID=70919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982A KR102120824B1 (ko) 2018-11-12 2018-11-12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8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7653A (zh) * 2020-09-21 2022-03-29 新疆石河子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汽车零件的具备防水防尘的高效检测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570B1 (ko) * 2015-02-04 2015-11-27 주식회사 마이크로비전 베어링 케이지 검사장치
KR101573485B1 (ko) * 2015-06-17 2015-12-02 유정정공 주식회사 단차 측정 자동화장치
KR101744935B1 (ko) 2016-08-23 2017-06-08 (주) 대원씨앤알 타이로드용 더스트 커버의 링 검사장치
KR101851599B1 (ko) * 2016-11-28 2018-04-24 김보경 더스트 커버용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570B1 (ko) * 2015-02-04 2015-11-27 주식회사 마이크로비전 베어링 케이지 검사장치
KR101573485B1 (ko) * 2015-06-17 2015-12-02 유정정공 주식회사 단차 측정 자동화장치
KR101744935B1 (ko) 2016-08-23 2017-06-08 (주) 대원씨앤알 타이로드용 더스트 커버의 링 검사장치
KR101851599B1 (ko) * 2016-11-28 2018-04-24 김보경 더스트 커버용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7653A (zh) * 2020-09-21 2022-03-29 新疆石河子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汽车零件的具备防水防尘的高效检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824B1 (ko) 202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273B1 (ko) 풀리 자동검사장치
KR101573485B1 (ko) 단차 측정 자동화장치
CN101871491B (zh) 汽车第二代轮毂单元装配线
TWI631065B (zh) 檢測系統及檢測方法
CN101858387A (zh) 汽车第一代轮毂轴承装配线
KR102120824B1 (ko)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
KR101572570B1 (ko) 베어링 케이지 검사장치
KR101102566B1 (ko) 부품이송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비전검사기
CN109404425A (zh) 一种圆柱滚子轴承全自动装配生产线
CN109382329B (zh) 一种方板尺寸和重量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596311B1 (ko) 파이프형 로드 널링장치
KR101309168B1 (ko) 환봉 직진도 검사장치
CN106081581A (zh) 一种用于码垛的自动升降装置
CN201705819U (zh) 汽车第一代轮毂轴承装配线
CN108145558B (zh) 一种汽车制动支架检测系统
KR20150119666A (ko) 파이프형 로드 널링방법
KR102469325B1 (ko) 누액 검사장비
KR100961507B1 (ko) 벤딩물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
KR100914918B1 (ko) 비전 검사 장치
KR100734572B1 (ko) 아이들러 조립장치
KR20190053375A (ko) 볼 베어링 불량선별을 위한 회전식 검사장치
KR20090056461A (ko) 크랭크샤프트 기종검사장치
KR101183873B1 (ko) 부품회전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비전검사기
KR100734573B1 (ko) 아이들러 조립방법
JP2019064765A (ja) トレイ配置部および搬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