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918B1 - 비전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비전 검사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918B1
KR100914918B1 KR1020070068612A KR20070068612A KR100914918B1 KR 100914918 B1 KR100914918 B1 KR 100914918B1 KR 1020070068612 A KR1020070068612 A KR 1020070068612A KR 20070068612 A KR20070068612 A KR 20070068612A KR 100914918 B1 KR100914918 B1 KR 100914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main body
flow preventing
preventing memb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516A (ko
Inventor
김영춘
강상원
Original Assignee
김영춘
강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춘, 강상원 filed Critical 김영춘
Priority to KR1020070068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918B1/ko
Publication of KR20090005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9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팔레트(Pallet)에 수용되어 이송되는 복수의 물품을 카메라로 스캔하여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비전 검사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비전 검사 장치는 팔레트에 수용된 복수의 물품들 중, 불량으로 선별된 물품은 흡입노즐에 흡착되어 자동으로 배출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대단히 편리하다. 또한, 팔레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 1 및 제 2 유동방지부재중, 이송되어 오는 팔레트를 막아서 지지하는 제 2 유동방지부재가 팔레트의 상면과 접촉하였다가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면서 팔레트를 지지하므로, 팔레트가 붙어서 이송되어와도 항상 팔레트의 이송을 막은 후, 지지한다. 그러므로, 불량 여부의 검사 없이 통과하는 팔레트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회전속도가 빠른 롤러군에 의하여 팔레트는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빨리 이송되므로, 본체의 내부로 이송된 팔레트는 항상 간격을 가진다. 그러므로, 팔레트는 항상 제 1 및 제 2 유동방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불량 여부의 검사 없이 통과하는 팔레트는 더욱 존재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비전 검사 장치 {VISION INSPECT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팔레트(Pallet)에 수용되어 이송되는 복수의 물품을 카메라로 스캔하여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비전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팔레트에 수용되어 이송되는 복수의 물품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종래의 비전 검사 장치는, 팔레트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홈에 검사하고자 하는 물품의 부위를 상측으로 향하게 삽입한 다음, 상기 팔레트의 상측에서 검사하고자 하는 상기 물품의 부위를 카메라 스캔한다.
그러면, 카메라에서 스캔된 검사하고자 하는 상기 물품의 부위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물품의 불량 여부를 선별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불량으로 판별된 물품을 상기 팔레트에서 찾아 수작업으로 빼내에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전 검사 장치는 불량으로 판별된 물품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제거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불량으로 판별된 물품을 자동으로 배출함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리한 비전 검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전 검사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 외측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한 후, 상기 본체의 타측면 외측을 향하여 설치되며 검사하고자 하는 물품이 수용된 팔레트가 탑재되어 이송되는 이송레일; 상기 팔레트의 이송방향 및 상기 팔레트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팔레트에 수용된 상기 물품을 스캔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스캔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카메라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와 동일하게 운동함과 동시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을 통하여 불량으로 선별된 상기 물품을 흡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입노즐;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면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팔레트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팔레트를 지지하는 제 1 유동방지부재; 상기 제 1 유동방지부재와 대향되게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면측에 승강가능함과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팔레트의 타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팔레트를 지지하는 제 2 유동방지부재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전 검사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전 검사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불량 여부를 검사하고자 하는 물품을 탄환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전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전면판을 제거한 상태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비전 검사 장치는 본체(110)를 가지고, 본체(110)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122)를 포함하는 제어부(120)가 설치된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향하는 이송레일(130)이 설치되는데, 이송레일(130)의 일단부측은 본체(110)의 일측면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단부측은 본체(110)의 타측면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송레일(130)에는 팔레트(Pallet)(50)가 탑재되어 이송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50)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홈(51)에는 불량 여부를 검사하고자 하는 물품인 탄환(60)이 각각 삽입되어 지지된다. 탄환(60)은 탄피(61)의 저면에 형성된 뇌관(63)이 주요 부위로서, 일반적으로 탄환(60)의 불량 여부를 검사함에 있어서는 뇌관(63) 부위의 불량 여부를 검사한다. 그러므로, 탄환(60)은 뇌관(63)이 상측을 향하도록 팔레트(50)에 삽입된다. 이송레일(130)에는 팔레트(50)의 저면 및 측면을 지지하여 팔레트(50)의 원활한 이송을 안내하는 롤러(133,135)(도 1 참조)가 설치된다.
탄환(60)이 수용된 팔레트(50)가 이송레일(130)의 일단부측에 탑재되어 본체(110)의 내부로 이송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140)가 팔레트(50)의 이송방향 및 팔레트(50)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팔레트(50)에 수용된 뇌관(63)을 스캔한다.
카메라(140)가 운동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후면판에는 제 1 지지부재(151)가 팔레트(50)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제 1 지지부재(151)에는 팔레트(50)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 2 지지부재(155)의 일단부측이 지지된다.
이때, 제 1 지지지재(151)의 내부에는 스크류(미도시)가 팔레트(50)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제 2 지지부재(155)의 일단부측에는 제 1 지지지재(151)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스크류와 맞물리는 기어(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제 1 지지지재(151)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스크류와 제 2 지지부재(155)의 일단부측에 설치된 상기 기어와의 작용에 의하여 제 1 지지지재(151)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스크류가 정역회전하면, 제 2 지지부재(155)가 팔레트(50)의 이송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 2 지지부재(155)의 내부에는 스크류(미도시)가 팔레트(50)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카메라(140)의 일측에는 제 2 지지지재(155)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스크류와 맞물리는 기어(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제 2 지지부재(155)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스크류와 카메라(140)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기어와의 작용에 의하여 제 2 지지부재(155)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스크류가 정역회전하면, 카메라(140)가 팔레트(50)의 이송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것이다.
카메라(140)에 의하여 스캔된 영상들은 디스플레이부(122)(도 1 참조)에 표시되고, 디스플레이부(122)에 표시된 영상들은 미리 설정된 영상들과의 대비에 의하여 불량 여부가 선별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량으로 선별된 탄환(60)은 카메라(140)와 동일하게 운동함과 동시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흡입노즐(166)에 흡착되어 제거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카메라(140)의 일측에는 제 1 실린더(161)가 설치되고, 제 1 실린더(161)에는 승강가능하게 제 1 피스톤(163)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실린더(161)의 하측으로 노출된 제 1 피스톤(163)의 하단부에 흡입노즐(166)이 설치된다. 그러므로, 흡입노즐(166)은 카메라(140)와 동일하게 팔레트(50)의 이송방향 및 팔레트(50)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운동함과 동시에 상하로 승강한다.
그리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탄환(60)의 위치 중, 불량으로 선별된 탄환(60)의 직상방에 흡입노즐(166)이 위치되도록 제 2 지지부재(155)와 카메라(140)를 이동시킨 다음, 흡입노즐(166)이 불량인 탄환(60)과 접촉하도록 제 1 실린더(161)의 일측으로 유압을 공급하여 제 1 피스톤(163)을 하강시킨다. 그후, 흡입노즐(166)로 진공압을 공급하면 불량인 탄환(60)이 흡입노즐(166)에 흡착된다. 흡입노즐(166)에 탄환(60)이 흡착되면, 제 1 실린더(161)의 타측으로 유압을 공급하여 제 1 피스톤(163)을 상승시키고, 흡입노즐(166)이 본체(110)의 내부 일측에 마련된 배출공간 직상방에 위치되도록 제 2 지지부재(155)와 카메라(140)를 이동시킨다. 그후, 흡입노즐(166)에 공급되는 진공압을 차단하면, 탄환(60)이 배출된다.
카메라(140)가 팔레트(50)를 스캔하는 도중에는 팔레트가(50)가 유동하지 않아야, 정확하게 스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호 대향되게 제 1 및 제 1 유동방지부재(171,175)가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유동방지부재(171,175)는 팔레트(50)의 이송방향을 향하는 팔레트(50)이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접촉되어 팔레트(50)를 지지한다. 이때, 제 1 유동방지부재(171)는 팔레트(50)가 유입되는 본체(110)측에 설치되고, 제 2 유동방지부재(175)는 팔레트(50)가 배출되는 본체(110)측에 설치된다.
본체(110)에는 제 2 및 제 3 실린더(181a,181b)가 설치되고, 제 2 및 제 3 실린더(181a,181b)에는 제 2 및 제 3 피스톤(183a,183b)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2 및 제 3 실린더(181a,181b)의 상측으로 노출된 제 2 및 제 3 피스톤(183a,183b)의 상단부에는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85a,185b)가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유동방지부재(171,175)는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85a,185b)에 각각 설치되어 승강되는데, 이는 팔레트(50)의 원활한 이송 및 지지를 위함이다.
제 1 및 제 2 유동방지부재(171,175)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유동방지부재(171)는 제 1 연결부재(185a)에 상단부측이 결합된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제 1 아암(172), 제 1 아암(172)의 하단부측에 결합된 제 1 지지봉(173) 및 제 1 지지봉(17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 1 롤러(174)를 가진다. 제 1 유동방지부재(171)가 승강함에 따라 제 1 롤러(174)는 팔레트(50)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팔레트(50)를 제 2 유동방지부재(175)측으로 지지한다.
제 2 유동방지부재(175)는 제 2 연결부재(185b)에 고정된 고정봉(185bb)에 상단부측이 지지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제 2 아암(176), 제 2 아암(176)의 하단부측에 결합된 제 2 지지봉(177), 제 2 지지봉(17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 2 롤러(178) 및 제 2 아암(176)을 하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179)를 가진다. 제 2 유동방지부재(175)가 하강된 최초의 상태에서는 하강된 제 2 롤러(178)에 팔레트(50)의 타측면이 접촉되어 지지되나, 제 2 유동방지부재(175)가 상승한 후 하강하는 경우에는 제 2 롤러(178)가 팔레트(50)의 상면과 접촉되었다가 이송되어 오는 팔레트(50)의 타측면을 지지한다.
즉, 제 2 유동방지부재(175)는 팔레트(50)가 본체(110)의 외측으로 배출되면, 상승한 후 하강하여 배출되는 팔레트(50)의 상면에 제 2 롤러(178)가 접촉된다. 그러면, 제 2 아암(176)은 하부측이 고정봉(185bb)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동한다. 그후, 팔레트(50)가 완전히 배출되면, 탄성부재(179)에 의하여 제 2 아암(176)이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면서 새로 이송되어 오는 팔레트(50)의 타측면이 제 2 롤러(178)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이는, 팔레트(50)가 붙여서 이송되어도, 항상 팔레트(50)의 타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팔레트(5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팔레트(50)의 중심측으로 함몰된 함몰로(53)(도 2참조)가 형성되는데, 함몰로(53)는 팔레트(50)가 붙어서 이송되어도 함몰로(53)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 제 1 및 2 롤러(174,178)가 삽입되어 제 1 및 2 롤러(174,178)가 팔레트(50)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항상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팔레트(50)의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팔레트(50)의 이송속도를 증가시키는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수단은 각각 이송레일(130)에 결합되고 벨트(191)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며 동일한 직경으로 마련되어 연동하고 복수의 롤러로 구성되어 팔레트(50)를 탑재시켜 이송시키는 복수의 롤러군(193)과 팔레트(50)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어 각 롤러군(193)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기어(195)로 마련된다. 이때, 각 롤러군(193)을 구성하는 각 롤러들의 직경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군(193)이 3개, 기어(195)가 3개 마련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 1 롤러군(193a)은 팔레트(50)가 유입되는 본체(110)측 이송레일(1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기어(195a)는 제 1 롤러군(193a)의 롤러 중 어느 하나의 롤러와 동심을 이루면서 연결된다. 제 2 롤러군(193b)은 제 1 유동방지부재(171)와 제 2 유동방지부재(175) 사이의 이송레일(1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 기어(195b)는 제 2 롤러군(193b)의 롤러 중 어느 하나의 롤러와 동심을 이루면서 연결된다. 제 3 롤러군(193c)은 팔레트(50)가 배출되는 본체(110)측 이송레일(1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3 기어(195c)는 제 3 롤러군(193c)의 롤러 중 어느 하나의 롤러와 동심을 이루면서 연결된다.
이때, 제 1 롤러군(193a)과 제 2 롤러군(193b) 및 제 3 롤러군(193c)의 각 롤러는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어 벨트(191)에 의하여 각각 연동한다. 제 2 기어(195b)는 제 1 기어(195a) 보다 작은 직경이며, 제 3 기어(195c)는 제 2 기어(195b) 보다 작은 직경이다. 그리고, 제 1 기어(195a)와 제 2 기어(195b)와 제 3 기어(195c)는 모터(210)에 연결된 벨트(215)에 각각 연결된다. 그러므로, 모터(210)에 의하여 제 1, 2 및 3 기어(195a,195b,195c)가 회전하면, 제 1, 2 및 3 롤러군(193a,193b,193c)도 제 1, 2 및 3 기어(195a,195b,195c)에 의하여 각각 회전한다. 그런데, 직경의 크기는 제 1 기어 (195a) > 제 2 기어(195b) > 제 3 기어(195c)의 순이므로, 회전속도는 제 1 기어 (195a) < 제 2 기어(195b) < 제 3 기어(195c)의 순이다. 따라서, 제 1 롤러군(193a) < 제 2 롤러군(193b) <제 3 롤러군(193c)의 순으로 롤러군(193)도 회전하므로, 유입되는 팔레트(50)의 속도 보다 배출되는 팔레트(50)의 속도가 더 빠르다. 이는, 팔레트(50)가 붙어서 이송레일(130)에 공급되더라도, 제 1 및 제 2 유동방지부재(171,175)측으로 팔레트(50)가 이송될 때 및 본체(110)의 외측으로 팔레트(50)가 배출될 때는 팔레트(50)가 상호 이격되어 이송되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면, 팔레트(50)가 상호 붙어서 제 1, 2 유동방지부재(171,175)측으로 이송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호 붙어서 본체(110)의 외측으로 이송되지 않으므로, 제 1 및 제 2 유동방지부재(171,175)에 의하여 항상 팔레트(50)가 지지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k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비전 검사 장치의 동작을 보인 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탄환(60)에 대해서는 도 5e 및 도 5f에서만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유동방지부재(171,175)가 하강된 상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도 5a에 도시된 상태에서, 탄환(60)이 수용된 팔레트(50)를 이송레일(130)의 롤러(133)에 탑재시킨 후, 롤러(133)를 회전시키면 팔레트(50)가 본체(110)의 내부로 이송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50)가 제 1 유동방지부재(171)측으로 이송되면, 제 2 실린더(181a)의 일측으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제 2 피스톤(183a)이 상승하고, 이로인해 제 1 유동방지부재(171)가 상승한다.
제 1 유동방지부재(171)가 상승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어(195a)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 1 롤러군(193a)에 탑재된 팔레트(50)가 제 2 기어(195b)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 2 롤러군(193b)에 탑재되어 제 1 유동방지부재(171)와 제 2 유동방지부재(175) 사이로 이송된다. 그러면, 제 2 유동방지부재(175)의 제 2 롤러(178)에 팔레트(50)의 타측면이 지지되어 팔레트(50)는 더 이상 이송되지 않는다. 이때, 제 2 롤러군(193b)의 회전속도가 제 1 롤러군(193a)의 회전속도 보다 빠르므로, 상호 인접하는 팔레트(50)와 팔레트(50) 사이의 간격은 제 2 유동방지부재(175)측으로 갈수록 넓어진다.
제 2 유동방지부재(175)의 제 2 롤러(178)에 팔레트(50)의 타측면이 지지되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린더(181a)의 타측으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제 2 피스톤(183a)이 하강한다. 그러면, 제 1 유동방지부재(171)가 하강하고, 이로인해 제 1 유동방지부재(171)의 제 1 롤러(174)가 팔레트(50)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팔레트(50)를 지지한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유동방지부재(171,175)에 의하여 팔레트(50)가 지지된 상태에서는 롤러(133), 제 1 내지 제 3 롤러군(193a,193b,193c)은 회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 지지부재(151)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미도시)를 회전시켜 제 2 지지부재(155)를 팔레트(50)의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 2 지지부재(155)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미도시)를 회전시켜 카메라(140)를 팔레트(50)의 이송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팔레트(50)에 수용된 탄환(60)을 스캔한다.
그러면, 카메라(140)에서 스캔된 영상들은 디스플레이부(122)(도 1 참조)에 표시되고,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데이타와의 비교에 의하여 탄환(60)의 불량 여부를 선별한다. 제어부(120)에는 복수의 탄환(60)들의 각 위치가 입력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탄환(60)들 중 불량으로 판별된 탄환(60)의 위치를 입력하면,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지지부재(155) 및 카메라(140)의 이동에 의하여 흡입노즐(166)이 불량인 탄환(60)의 직상방에 위치된다. 그후, 제 1 실린더(161)의 일측으로 유압을 공급하면, 제 1 피스톤(163)이 하강하여 흡입노즐(166)이 불량인 탄환(60)에 접촉한다. 그리고, 흡입노즐(166)로 공급되는 진공압에 의하여 불량인 탄환(60)은 흡입노즐(166)에 흡착된다.
그후,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린더(161)의 타측으로 유압이 공급되면 제 1 피스톤(163)이 상승하면서 흡입노즐(166)이 상승한다. 그러면, 불량인 탄환(60)이 흡입노즐(166)에 흡착되어 상승하고, 제 2 지지부재(155) 및 카메라(140)의 이동에 의하여 흡입노즐(166)이 불량인 탄환(60)을 배출시키기 위한 공간으로 이동한다. 흡입노즐(166)이 불량인 탄환(60)의 배출 공간으로 이동되면, 흡입노즐(166)에 공급되는 진공압이 차단되고, 이로인해 불량인 탄환(60)이 하측으로 낙하되어 배출된다.
모든 불량인 탄환(60)의 배출이 완료되면,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유동방지부재(171,175)가 상승하고, 모터(210)의 구동에 의하여 제 1, 2 및 3 롤러군(193a,193b,193c)이 회전하면서,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50)를 본체(110)의 타측으로 이송시킨다.
팔레트(50)의 이송이 다시 시작된 후, 불량인 탄환(60)이 모두 배출되어 작업 완료된 팔레트(50)가 제 2 유동방지부재(175)의 하측에 위치되면,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유동방지부재(175)가 하강한다. 그러면, 제 2 롤러(178)는 배출되는 팔레트(50)의 상면에 접촉되므로, 제 2 아암(177)의 하부측은 고정봉(185bb)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 롤러(178)가 접촉된 팔레트(50)가 완전히 배출되면, 도 5j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79)에 의하여 제 2 아암(177)이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고, 이로인해 새로 이송된 팔레트(50)의 타측면이 제 2 롤러(178)에 의하여 접촉 지지된다.
팔레트(50)의 타측면이 제 2 롤러(178)에 접촉 지지되면, 도 5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동방지부재(171)가 하강하고, 이로인해 팔레트(50)의 일측면이 제 1 롤러(174)에 접촉 지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되는 팔레트(50)와 팔레트(50)의 사이의 간격은 제 1, 2 및 3 롤러군(193a,193b,193c)의 회전속도 차이로 인하여 본체(110)의 일측에서 타측, 즉 팔레트(50)의 이송방향측으로 갈수록 넓어진다. 그러므로, 이송레일(130)의 일단부측에 탑재된 팔레트(50)의 경우에는 팔레트(50)와 팔레트(50)가 붙어 있을 수도 있으나, 본체(110)의 내부로 이송된 팔레트(50)의 경우에는 상호 붙어서 이송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그리고, 팔레트(50)가 붙어서 이송되어도, 전술한 제 2 유동방지부재(175)의 작용에 의하여 제 2 유동방지부재(175)측으로 이송되는 팔레트(50)의 타측면은 항상 제 2 롤러(178)에 접촉 지지된다. 또한, 제 2 유동방지부재(175)에 타측면이 지지된 팔레트(50)의 일측면에 다른 팔레트(50)의 타측면이 붙어 있어도, 팔레트(50)의 측면에 형성된 함몰로(53)(도 2참조)로 인하여 공간이 형성되므로, 제 1 유동방지부재(171)의 제 1 롤러(174)는 하강하면서 함몰로(53)와 함몰로(53)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제 2 유동방지부재(175)에 지지된 팔레트(50)의 일측면을 지지한다. 이때, 상호 붙어 있는 팔레트(50)의 함몰로(53)와 함몰로(53)의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은 제 1 및 제 2 롤러(174,178)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전 검사 장치는 팔레트에 수용된 복수의 물품들 중, 불량으로 선별된 물품은 흡입노즐에 흡착되어 자동으로 배출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대단히 편리하다.
또한, 팔레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 1 및 제 2 유동방지부재중, 이송되어 오는 팔레트를 막아서 지지하는 제 2 유동방지부재가 팔레트의 상면과 접촉하였다가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면서 팔레트를 지지하므로, 팔레트가 붙어서 이송되어와도 항상 팔레트의 이송을 막은 후, 지지한다. 그러므로, 불량 여부의 검사 없이 통과하는 팔레트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회전속도가 빠른 롤러군에 의하여 팔레트는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빨리 이송되므로, 본체의 내부로 이송된 팔레트는 항상 간격을 가진다. 그러므로, 팔레트는 항상 제 1 및 제 2 유동방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불량 여부의 검사 없이 통과하는 팔레트는 더욱 존재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전 검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전면판을 제거한 상태의 개략 정면도.
도 5a 내지 도 5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전 검사 장치의 동작을 보인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본체 120 : 제어부
122 : 디스플레이부 130 : 이송레일
140 : 카메라 166 : 흡입노즐
171 : 175 : 제 1,2 유동방지부재 193 : 롤러군
195 : 기어

Claims (6)

  1.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 외측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한 후, 상기 본체의 타측면 외측을 향하여 설치되며 검사하고자 하는 물품이 수용된 팔레트가 탑재되어 이송되는 이송레일;
    상기 팔레트의 이송방향 및 상기 팔레트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팔레트에 수용된 상기 물품을 스캔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스캔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카메라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와 동일하게 운동함과 동시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을 통하여 불량으로 선별된 상기 물품을 흡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입노즐;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면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팔레트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팔레트를 지지하는 제 1 유동방지부재;
    상기 제 1 유동방지부재와 대향되게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면측에 승강가능함과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팔레트의 타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팔레트를 지지하는 제 2 유동방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검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동방지부재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으로 마련되며 상단부측이 상기 본체측에 지지되어 승강하는 한쌍의 제 1 아암, 상기 제 1 아암의 하단부측에 결합된 제 1 지지봉, 상기 제 1 지지봉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팔레트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팔레트를 상기 제 2 유동방지부재측으로 지지하는 제 1 롤러를 가지고,
    상기 제 2 유동방지부재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으로 마련되며 상단부측이 본체측에 지지되어 승강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측에 결합된 상단부측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제 2 아암, 상기 제 2 아암의 하단부측에 결합된 제 2 지지봉, 상기 제 2 지지봉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팔레트의 타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팔레트를 상기 제 1 유동방지부재측으로 지지하는 제 2 롤러, 상기 제 2 아암의 하단부측을 하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검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작업 완료되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상기 팔레트가 배출되면 상승된 상기 제 2 유동방지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제 2 롤러가 작업 완료된 상기 팔레트의 상면과 접촉하고,
    작업 완료된 상기 팔레트가 상기 제 2 유동방지부재의 외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 2 아암이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면서 상기 제 2 롤러가 새로이 이송되어 오는 상기 팔레트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검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팔레트의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팔레트의 이송속도를 증가시키는 수단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검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이송레일에 각각 결합되고 동일한 직경으로 마련되어 연동하는 복수의 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팔레트를 각각 탑재시켜 이송시키는 복수의 롤러군과 상기 팔레트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각 롤러군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기어로 마련되며,
    상기 각 롤러군의 각 롤러는 모두 동일한 직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검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군은 상기 팔레트가 유입되는 상기 본체의 내측 상기 이송레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1 롤러군과 상기 제 1 유동방지부재와 상기 제 2 유동방지부재 사이의 상기 이송레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2 롤러군 및 상기 팔레트가 배출되는 상기 본체의 내측 상기 이송레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3 롤러군을 가지고,
    상기 기어는 상기 제 1 롤러군의 롤러 중 어느 하나의 롤러와 동심을 이루면서 연결된 제 1 기어와 상기 제 2 롤러군의 롤러 중 어느 하나의 롤러와 동심을 이루면서 연결되며 상기 제 1 기어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된 제 2 기어 및 상기 제 3 롤러군의 롤러 중 어느 하나의 롤러와 동심을 이루면서 연결되며 상기 제 2 기어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된 제 3 기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검사 장치.
KR1020070068612A 2007-07-09 2007-07-09 비전 검사 장치 KR100914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612A KR100914918B1 (ko) 2007-07-09 2007-07-09 비전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612A KR100914918B1 (ko) 2007-07-09 2007-07-09 비전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516A KR20090005516A (ko) 2009-01-14
KR100914918B1 true KR100914918B1 (ko) 2009-09-01

Family

ID=4048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612A KR100914918B1 (ko) 2007-07-09 2007-07-09 비전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472B1 (ko) * 2014-12-11 2016-11-09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성형물 제품의 외관 검사장치
KR101710424B1 (ko) * 2014-12-11 2017-02-27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성형물 제품의 외관 검사방법
CN108275303A (zh) * 2018-02-08 2018-07-13 苏州公高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ic视觉包装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334B1 (ko) * 2003-03-19 2005-07-27 (주)바른기술 비젼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부품 검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334B1 (ko) * 2003-03-19 2005-07-27 (주)바른기술 비젼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부품 검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516A (ko)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903B1 (ko)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139371B1 (ko) 기판 클램핑 장치, 이송장치 및 그 검사장치
KR100923273B1 (ko) 풀리 자동검사장치
KR101954416B1 (ko) 검사 장치
CN1646400A (zh) 衬底输送装置
CN210294107U (zh) 电路板缺陷检测装置
KR100914918B1 (ko) 비전 검사 장치
CN107655897B (zh) 一种产品内观自动检测装置
JP4780984B2 (ja) 基板搬送装置
KR101577767B1 (ko) 인라인 무빙 스테이지 장치
KR100892088B1 (ko) 에어 플로팅을 이용한 비접촉식 필름 검사장치
KR20130006221A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CN108956646A (zh) Tp外观检测设备
KR101610316B1 (ko) 백라이트유닛 검사장치
TWI599769B (zh) 外觀檢查裝置及外觀檢查方法
KR101516642B1 (ko) 투헤드 타입 재료 두께측정 및 fpcb 이중가접 검사장치와 검사방법
KR101848477B1 (ko) 물품의 자동 이동 장치
CN109031578B (zh) 一种用于光学镜头的自动组立装置
KR100676071B1 (ko) 백라이트유닛의 이송용 트레이 자동 이송시스템
JP5387156B2 (ja) 基板搬送装置及び基板検査装置
KR102120824B1 (ko) 더스트부트 불량 검사 장치
JP4243837B2 (ja) 透明基板の表面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KR100200062B1 (ko) 로딩수단을 구비한 이송장치
TWI392047B (zh) 用於移置以矩形結構配置的電子零件之方法和裝置
TWM449265U (zh) 具有翻轉裝置的檢測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