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4098A - 차량용 등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4098A
KR20200054098A KR1020190141792A KR20190141792A KR20200054098A KR 20200054098 A KR20200054098 A KR 20200054098A KR 1020190141792 A KR1020190141792 A KR 1020190141792A KR 20190141792 A KR20190141792 A KR 20190141792A KR 20200054098 A KR20200054098 A KR 20200054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ttachment
luminaire
organic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4106B1 (ko
Inventor
유야 가네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200054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7Discharg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5Surface emitters, e.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5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5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F21S41/55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3/145Surface emitters, e.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3/195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5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정한 배광 상태를 확보함과 더불어 소형화를 도모한다.
개구를 갖는 램프 하우징(4)과 개구를 폐색하는 커버(3)를 가지며 내부 공간이 등실(6a)로서 형성된 등기구 외측 케이스(6)와, 등실에 배치됨과 더불어 피부착부(23) 및 유지부(22)가 설치된 유지 부재(19)와 유지부에 유지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20)을 갖는 패널체(17)와, 등실에 배치되고 패널체가 부착된 부착체(7)를 구비하고, 부착체에 피부착부가 부착되는 부착부(12b)가 설치되고, 패널체가 부착체에 캔틸레버 상태로 부착되었다.

Description

차량용 등기구{VEHICLE LAMP}
본 발명은,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을 갖는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등기구에는 광원으로서 유기 EL 패널(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이 이용된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유기 EL 패널은 면발광하는 자발광형의 패널이며, 최근 유기 EL 패널에 관한 기술이 향상되고, 유기 EL 패널을 광원으로서 이용하는 차량용 등기구의 개발이 진전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 EL 패널은 램프 하우징과 커버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인 등실에서, 예컨대 부착체(특허문헌 1에서는 「지지 부재」)에 부착된 상태로 배치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7-208226호 공보
상기와 같이, 광원으로서 유기 EL 패널을 이용하는 차량용 등기구에서는, 유기 EL 패널이 부착체의 부착부에 부착되어 배치되지만, 유기 EL 패널이 면형 광원이므로, 광원으로서 이용되는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다른 광원과 비교하여 등실에서의 점유 공간이 커지기 쉬워지고, 그만큼 부착부의 크기도 커지기 쉽다.
따라서, 등실에서 부착부의 점유 공간도 커지고, 유기 EL 패널로부터 출사된 광이 부착부에서 반사되어 미광(迷光)이 생겨 배광 제어에 영향을 미치거나, 차량용 등기구의 대형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정한 배광 상태를 확보함과 더불어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는, 개구를 갖는 램프 하우징과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커버를 가지며 내부 공간이 등실로서 형성된 등기구 외측 케이스와, 상기 등실에 배치되고 피부착부 및 유지부가 설치된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부에 유지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을 갖는 패널체와, 상기 등실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체가 부착된 부착체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체에 상기 피부착부가 부착되는 부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패널체가 상기 부착체에 캔틸레버 상태로 부착된 것이다.
이것에 의해, 패널체가 캔틸레버 상태로 부착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부착부의 등실에서의 점유 공간의 크기가 작아도 된다.
둘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상기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선이 접속되고, 상기 부착부는 2개가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2개의 부착부 사이의 공간이 삽입 관통 공간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접속선이 상기 삽입 관통 공간에 삽입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에 접속된 접속선의 일부가 2개의 부착부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접속선의 배치 스페이스의 유효 활용이 도모됨과 더불어 접속선이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변위하기 어렵다.
셋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상기 부착체에 상기 부착부와 상기 피부착부를 상기 유지부측으로부터 차폐하는 차폐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부착부와 피부착부가 차폐부에 의해 차폐됨과 더불어 시인되지 않기 때문에,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로부터 출사된 광이 부착부나 피부착부에서 반사되지 않는다.
넷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상기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이 상기 유지부에, 두께 방향으로 만곡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만곡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로부터 광이 출사된다.
다섯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상기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의 적어도 일부가 하방으로 볼록한 상태로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변위하는 부분이 존재하고, 상방향으로의 충분한 시인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널체가 캔틸레버 상태로 부착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부착부의 등실에서의 점유 공간의 크기가 작아도 되고, 적정한 배광 상태를 확보할 수 있음과 더불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도 2 내지 도 14와 함께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도면은 차량용 등기구가 차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2는 차량용 등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4 내지 도 9와 함께 제1 등기구부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도면은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제1 등기구부의 사시도.
도 4는 제1 등기구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제1 등기구부의 단면도.
도 6은 제1 패널체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제2 패널체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제1 패널체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제2 패널체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11 내지 도 14와 함께 제2 등기구부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도면은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제2 등기구부의 사시도.
도 11은 제2 등기구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제2 등기구부의 단면도.
도 13은 패널체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패널체의 분해 사시도.
이하에, 본 발명 차량용 등기구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낸 실시형태는, 본 발명 차량용 등기구를 차체의 후단부에 배치된 테일 램프 등의 차량용 등기구에 적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 램프, 테일 램프, 클리어런스 램프, 턴시그널 램프, 스탑 램프, 데이타임 러닝 램프, 코너링 램프, 헤저드 램프, 포지션 램프, 백 램프, 포그 램프 또는 이들의 조합인 컴비네이션 램프 등의 각종 차량용 등기구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차량용 등기구가 차체의 후단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전후 상하 좌우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전후 상하 좌우의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관해서는, 이들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는, 광원으로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이 이용된 차량용 등기구의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에는 문자나 도형 등을 표시하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디스플레이도 포함된다.
<차량용 등기구의 전체 구성>
차량용 등기구(1, 1)는, 예컨대 차체(100)의 후단부에서의 좌우 양단부에 각각 부착되어 배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차량용 등기구(1)는, 예컨대 차체(100)의 본체부(101) 등의 비가동부에 배치된 제1 등기구부(2)와 트렁크 리드(102) 등의 가동부에 배치된 제2 등기구부(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등기구부(2)만으로 차량용 등기구가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제2 등기구부(3)만으로 차량용 등기구가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와 같이, 차량용 등기구(1)는 본체부(101)에 제1 등기구부(2)가 배치되고 트렁크 리드(102)에 제2 등기구부(3)가 배치되어 있고, 트렁크 리드(102)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 등기구부(2)와 제2 등기구부(3)가 인접하여 위치된다.
또한, 상기에는, 제1 등기구부(2)가 본체부(101) 등의 비가동부에 배치되고, 제2 등기구부(3)가 트렁크 리드(102) 등의 가동부에 배치된 예를 나타냈지만, 반대로 제1 등기구부(2)가 트렁크 리드(102) 등의 가동부에 배치되고, 제2 등기구부(3)가 본체부(101) 등의 비가동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1 등기구부(2)와 제2 등기구부(3)의 쌍방이 가동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제1 등기구부(2)와 제2 등기구부(3)의 쌍방이 비가동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1 등기구부의 구성>
제1 등기구부(2)는 후방으로 개구된 램프 하우징(4)과 램프 하우징(4)의 개구를 폐색하는 커버(5)를 구비하고 있다(도 2 참조). 램프 하우징(4)과 커버(5)에 의해 등기구 외측 케이스(6)가 구성되고, 등기구 외측 케이스(6)의 내부 공간이 등실(6a)로서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등실(6a)에는 제1 부착체(7)가 배치되고, 제1 부착체(7)는, 예컨대 램프 하우징(4)에 부착되어 있다(도 3 내지 도 5 참조). 제1 부착체(7)는 등실(6a)에 배치되는 구조물의 일부를 차폐하는 익스텐션으로서도 기능하고, 로어 패널(8)과 미들 패널(9)과 어퍼 패널(10)이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로어 패널(8)은 대략 상하 방향을 향하는 판형으로 형성된 베이스면부(11)와 베이스면부(11)의 앞가장자리에 연속된 결합부(12)를 갖고 있다. 결합부(12)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결합용 보스(12a, 12a)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12)의 좌우 방향에서의 일단 근처의 위치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1 부착부(12b, 12b)가 좌우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도 4 및 도 6 참조). 제1 부착부(12b)는, 예컨대 축방향이 상하 방향이 된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2)에는 제1 부착부(12b)의 근방에 상방으로 돌출된 위치 결정 핀(12c)이 설치되어 있다.
미들 패널(9)은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에 위치된 차폐부(13)와 차폐부(13)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연속되고 차폐부(13)에 대하여 각각 굴곡된 측부(14, 15)와 차폐부(13)에 대하여 굴곡된 절곡부(16)를 갖고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차폐부(13)는 대략 전후 방향을 향하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폐부(13)의 상단부에는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결합용 보스(13a, 13a)가 좌우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차폐부(13)에는 좌우 방향에서의 일단부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개구된 제1 삽입 관통용 절결(13b)이 형성되어 있다.
측부(14, 15)는 각각 대략 좌우 방향을 향하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부(14)는 차폐부(13)에 대하여 차량에서의 외측에 위치되고, 차폐부(13)에 대하여 전방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측부(15)는 차폐부(13)에 대하여 차량에서의 내측에 위치되고, 차폐부(13)에 대하여 후방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절곡부(16)는 차폐부(13)에서의 제1 삽입 관통용 절결(13b)의 바로 위의 위치로부터 약 90도 전방으로 절곡되어 설치되어 있다. 절곡부(16)의 후단부에는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제2 부착부(16a, 16a)가 좌우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도 4 및 도 7 참조). 제2 부착부(16a, 16a)는, 예컨대 축방향이 상하 방향이 된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폐부(13)의 절곡부(16)가 절곡된 부분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은 제2 삽입 관통용 절결(13c)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2 삽입 관통용 절결(13c)은 제1 삽입 관통용 절결(13b)의 바로 위에 위치되어 있다.
미들 패널(9)은 하단부가 로어 패널(8)에서의 베이스면부(11)의 전단부에 결합된다(도 3 내지 도 5 참조). 미들 패널(9)의 로어 패널(8)에 대한 결합은 미들 패널(9)의 각 일부가 결합용 보스(12a, 12a)에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행해진다.
미들 패널(9)이 로어 패널(8)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차폐부(13)의 전측에 로어 패널(8)의 결합부(12)가 위치된다. 따라서, 결합부(12)는 차폐부(13)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차폐된다.
어퍼 패널(10)은 상하 방향을 향하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로어 패널(8)에서의 베이스면부(11)와 대략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어퍼 패널(10)은 외주부의 일부가 미들 패널(9)에서의 차폐부(13)와 측부(14, 15)의 각 상단부에 결합된다. 어퍼 패널(10)의 미들 패널(9)에 대한 결합은 어퍼 패널(10)의 각 일부가 결합용 보스(13a, 13a)에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행해진다.
등실(6a)에는 제1 패널체(17)와 제2 패널체(18)가 각각 제1 부착체(7)에 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1 패널체(17)는 제1 유지 부재(19)에 제1 유기 EL 패널(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20)이, 예컨대 양면 테이프(21)에 의해 접착되어 구성되어 있다(도 8 참조). 제1 유지 부재(19)는 곡면형의 유지부(22)와 유지부(22)의 전단에 연속된 피부착부(23)가, 예컨대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유지부(22)는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상태로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피부착부(23)에는 좌우로 이격되어 위치된 나사 삽입 관통 구멍(23a, 23a)과 위치 결정 구멍(23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유기 EL 패널(20)은 일부가 양면 테이프(21)에 의해 제1 유지 부재(19)에서의 유지부(22)의 하면에 접착되고, 후단부와 후단부 이외의 부분의 좌우 양단부가 유지부(22)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온 상태로 되어 있다. 제1 유기 EL 패널(20)은 하면이 광출사면(20a)으로서 형성되고, 유지부(22)의 만곡 상태에 따라서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상태로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또한, 제1 유기 EL 패널(20)은 상면 중 유지부(22)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온 부분도 광출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1 유기 EL 패널(20)의 전단부에는 제1 접속선(24)이 접속되고, 제1 접속선(24)은 제1 유기 EL 패널(20)로부터 피부착부(23)의 하측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도출되어 있다.
제1 패널체(17)는 제1 유지 부재(19)의 피부착부(23)가 로어 패널(8)의 제1 부착부(12b, 12b)에 부착되어 있다(도 6 참조). 피부착부(23)는, 위치 결정 구멍(23b)에 위치 결정 핀(12c)이 삽입되어 결합부(12)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고, 나사 삽입 관통 구멍(23a, 23a)에 삽입 관통된 부착 나사(200, 200)가 각각 제1 부착부(12b, 12b)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1 부착부(12b, 12b)에 부착된다.
피부착부(23)는 제1 부착부(12b, 12b)에 부착된 상태에서, 하면이 제1 부착부(12b, 12b)의 상면에 면접촉된 상태가 된다. 피부착부(23)가 제1 부착부(12b, 12b)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1 유기 EL 패널(20)에 접속된 제1 접속선(24)은 제1 부착부(12b, 12b) 사이를 삽입 관통된다. 따라서, 제1 부착부(12b, 12b) 사이의 공간은 삽입 관통 공간(12d)이 된다. 제1 접속선(24)은 도시하지 않은 전원 회로에 접속되어 있고, 전원 회로로부터 제1 접속선(24)을 통해 제1 유기 EL 패널(20)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광출사면(20a)으로부터 광이 출사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용 등기구(1)에서는, 이격되어 위치된 2개의 제1 부착부(12b, 12b)가 설치되고, 제1 부착부(12b, 12b) 사이의 공간이 삽입 관통 공간(12d)으로서 형성되고, 제1 유기 EL 패널(20)에 접속되어 제1 유기 EL 패널(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접속선(24)이 삽입 관통 공간(12d)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유기 EL 패널(20)에 접속된 제1 접속선(24)의 일부가 제1 부착부(12b, 12b)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제1 접속선(24)의 배치 스페이스의 유효 활용이 도모됨과 더불어 제1 접속선(24)이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변위하기 어렵고, 제1 유기 EL 패널(20)이나 제1 부착체(7)에 간섭하기 어려워, 제1 접속선(24) 이외의 구성 부품의 배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1 접속선(24)을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선(24)의 상측에 피부착부(23)가 위치되기 때문에, 제1 접속선(24)의 상방에 대한 변위도 억제되어, 제1 접속선(24)을 한층 더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제1 유기 EL 패널(20)은 제1 부착부(12b, 12b)에 부착된 상태에서, 피부착부(23)보다 후측의 부분이 미들 패널(9)의 제1 삽입 관통용 절결(13b)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돌출되고, 제1 유지 부재(19)의 유지부(22)와 제1 유기 EL 패널(20)이 차폐부(13)의 후측에 위치된다(도 3 및 도 5 참조). 따라서, 피부착부(23)와 피부착부(23)가 부착된 제1 부착부(12b, 12b)는 차폐부(13)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차폐된다. 이 때 유지부(22)와 제1 유기 EL 패널(20)은 로어 패널(8)에는 접촉되지 않고, 로어 패널(8)로부터 상방으로 부유한 상태로 등실(6a)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부착체(7)에는 제1 부착부(12b, 12b)와 피부착부(23)를 유지부(22)측으로부터 차폐하는 차폐부(13)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부착부(12b, 12b)와 피부착부(23)가 차폐부(13)에 의해 차폐됨과 더불어 시인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유기 EL 패널(20)로부터 출사된 광이 제1 부착부(12b, 12b)나 피부착부(23)에서 반사되지 않고, 미광의 발생의 방지 및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기 EL 패널(20)이 로어 패널(8)로부터 부유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제1 유기 EL 패널(20)의 광출사면(20a)이 되는 부분의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휘도의 향상 및 배광 제어의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패널체(17)는 가장 전측에 위치된 피부착부(23)가 제1 부착부(12b, 12b)에 부착되고, 제1 부착부(12b, 12b)에 캔틸레버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제2 패널체(18)는 제2 유지 부재(25)에 제2 유기 EL 패널(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26)이, 예컨대 양면 테이프(27)에 의해 접착되어 구성되어 있다(도 9 참조). 제2 유지 부재(25)는 곡면형의 유지부(28)와 유지부(28)의 전단에 연속된 피부착부(29)가, 예컨대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유지부(28)는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상태로 만곡되고, 전측 대략 절반의 부분이 상방으로 볼록한 상태로 만곡되고, 후측 대략 절반의 부분이 하방으로 볼록한 상태로 만곡되어 있다. 피부착부(29)에는 좌우로 이격되어 위치된 나사 삽입 관통 구멍(29a, 29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유기 EL 패널(26)은 일부가 양면 테이프(27)에 의해 제2 유지 부재(25)에서의 유지부(28)의 상면에 접착되고, 후단부와 후단부 이외의 부분의 좌우 양단부가 유지부(28)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온 상태로 되어 있다. 제2 유기 EL 패널(26)은 상면이 광출사면(26a)으로서 형성되고, 유지부(28)의 만곡 상태에 따라서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상태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제2 유기 EL 패널(26)은 하면 중 유지부(28)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온 부분도 광출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2 유기 EL 패널(26)의 전단부에는 제2 접속선(30)이 접속되고, 제2 접속선(30)은 제2 유기 EL 패널(26)로부터 피부착부(29)의 상측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도출되어 있다.
제2 패널체(18)는 제2 유지 부재(25)의 피부착부(29)가 미들 패널(9)의 제2 부착부(16a, 16a)에 부착되어 있다(도 7 참조). 피부착부(29)는 나사 삽입 관통 구멍(29a, 29a)에 삽입 관통된 부착 나사(200, 200)가 각각 제2 부착부(16a, 16a)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2 부착부(16a, 16a)에 부착된다.
피부착부(29)는 제2 부착부(16a, 16a)에 부착된 상태에서, 하면이 제2 부착부(16a, 16a)의 상면에 면접촉된 상태가 된다. 피부착부(29)가 제2 부착부(16a, 16a)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2 유기 EL 패널(26)에 접속된 제2 접속선(30)은 피부착부(29)의 상측에서 부착 나사(200, 200) 사이로부터 전방으로 도출된다. 제2 접속선(30)은 도시하지 않은 전원 회로에 접속되어 있고, 전원 회로로부터 제2 접속선(30)을 통해 제2 유기 EL 패널(26)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광출사면(26a)으로부터 광이 출사된다.
제2 유기 EL 패널(26)은 제2 부착부(16a, 16a)에 부착된 상태에서, 피부착부(29)보다 후측의 부분이 미들 패널(9)의 제2 삽입 관통용 절결(13c)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돌출되고, 제2 유지 부재(25)의 유지부(28)와 제2 유기 EL 패널(26)이 차폐부(13)의 후측에 위치된다(도 3 및 도 5 참조). 따라서, 피부착부(29)와 피부착부(29)가 부착된 제2 부착부(16a, 16a)는 차폐부(13)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차폐된다. 이 때 유지부(28)와 제2 유기 EL 패널(26)은 로어 패널(8)에는 접촉되지 않고, 로어 패널(8)로부터 상방으로 부유한 상태에서 제1 패널체(17)의 상측에서 등실(6a)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부착체(7)에는 제2 부착부(16a, 16a)와 피부착부(29)를 유지부(28)측으로부터 차폐하는 차폐부(13)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부착부(16a, 16a)와 피부착부(29)가 차폐부(13)에 의해 차폐됨과 더불어 시인되지 않기 때문에, 제2 유기 EL 패널(26)로부터 출사된 광이 제2 부착부(16a, 16a)나 피부착부(29)에서 반사되지 않고, 미광의 발생의 방지 및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기 EL 패널(26)이 로어 패널(8)로부터 부유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제2 유기 EL 패널(26)의 광출사면(26a)이 되는 부분의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휘도의 향상 및 배광 제어의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기 EL 패널(20)과 제2 유기 EL 패널(26)이 각각 유지부(22, 28)에, 두께 방향으로 만곡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만곡된 제1 유기 EL 패널(20)과 제2 유기 EL 패널(26)로부터 광이 출사되어, 배광 제어의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기 EL 패널(20)과 제2 유기 EL 패널(26)은 적어도 일부가 각각 하방으로 볼록한 상태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변위하는 부분이 존재하고, 상방향으로의 충분한 시인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져, 배광 제어의 자유도를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등기구부의 구성>
제2 등기구부(3)는 후방으로 개구된 램프 하우징(31)과 램프 하우징(31)의 개구를 폐색하는 커버(32)를 구비하고 있다(도 2 참조). 램프 하우징(31)과 커버(32)에 의해 등기구 외측 케이스(33)가 구성되고, 등기구 외측 케이스(33)의 내부 공간이 등실(33a)로서 형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등실(33a)에는 제2 부착체(34)가 배치되고, 제2 부착체(34)는, 예컨대 램프 하우징(31)에 부착되어 있다(도 10 내지 도 12 참조). 제2 부착체(34)는 등실(33a)에 배치되는 구조물의 일부를 차폐하는 익스텐션으로서도 기능하고, 로어 패널(35)과 커버 패널(36)이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로어 패널(35)은 대략 상하 방향을 향하는 판형으로 형성된 베이스면부(37)와 베이스면부(37)의 앞가장자리에 연속된 결합부(38)를 갖고 있다. 결합부(38)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결합용 보스(38a, 38a)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38)에는 결합용 보스(38a, 38a)의 좌우에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2개씩의 부착부(38b, 38b, …)가 좌우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도 11 및 도 13 참조). 부착부(38b)는, 예컨대 축방향이 상하 방향이 된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38)에는 부착부(38b, 38b, …)의 근방에 상방으로 돌출된 위치 결정 핀(38c, 38c, …)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 패널(36)은 전후 방향을 향하는 차폐부(39)와 차폐부(39)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연속된 측부(40, 41)와 상하 방향을 향하는 커버부(42)를 갖고 있다(도 10 및 도 11 참조).
차폐부(39)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삽입 관통용 절결(39a, 39a, 39a)이 좌우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측부(40)는 차폐부(39)에 대하여 차량에서의 외측에 위치되고, 측부(41)는 차폐부(39)에 대하여 차량에서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다. 커버부(42)는 외주부가 차폐부(39)의 상단부와 측부(40, 41)의 상단부에 연속되어 있다.
커버 패널(36)은 하단부가 로어 패널(35)에서의 베이스면부(37)의 외주부에 결합된다(도 10 내지 도 12 참조). 커버 패널(36)의 로어 패널(35)에 대한 결합은 커버 패널(36)의 각 일부가 결합용 보스(38a, 38a)에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행해진다.
커버 패널(36)이 로어 패널(35)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차폐부(39)의 전측에 로어 패널(35)의 결합부(38)가 위치된다. 따라서, 결합부(38)는 차폐부(39)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차폐된다.
등실(33a)에는 패널체(43, 43, 43)가 각각 제2 부착체(34)에 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패널체(43)는 유지 부재(44)에 유기 EL 패널(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45)이, 예컨대 양면 테이프(46)에 의해 접착되어 구성되어 있다(도 14 참조). 유지 부재(44)는 곡면형의 유지부(47)와 유지부(47)의 전단에 연속된 피부착부(48)가, 예컨대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유지부(47)는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상태로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피부착부(48)에는 좌우로 이격되어 위치된 나사 삽입 관통 구멍(48a, 48a)과 위치 결정 구멍(48b)이 형성되어 있다.
유기 EL 패널(45)은 일부가 양면 테이프(46)에 의해 유지 부재(44)에서의 유지부(47)의 하면에 접착되고, 후단부와 후단부 이외의 부분의 좌우 양단부가 유지부(47)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온 상태로 되어 있다. 유기 EL 패널(45)은 하면이 광출사면(45a)으로서 형성되고, 유지부(47)의 만곡 상태에 따라서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또한, 유기 EL 패널(45)은 상면 중 유지부(47)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온 부분도 광출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유기 EL 패널(45)의 전단부에는 접속선(49)이 접속되고, 접속선(49)은 유기 EL 패널(45)로부터 피부착부(48)의 하측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도출되어 있다.
패널체(43)는 유지 부재(44)의 피부착부(48)가 로어 패널(35)의 부착부(38b, 38b)에 부착되어 있다(도 13 참조). 피부착부(48)는, 위치 결정 구멍(48b)에 위치 결정 핀(38c)이 삽입되어 결합부(38)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고, 나사 삽입 관통 구멍(48a, 48a)에 삽입 관통된 부착 나사(200, 200)가 각각 부착부(38b, 38b)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부착부(38b, 38b)에 부착된다.
피부착부(48)는 부착부(38b, 38b)에 부착된 상태에서, 하면이 부착부(38b, 38b)의 상면에 면접촉된 상태가 된다. 피부착부(48)가 부착부(38b, 38b)에 부착된 상태에서, 유기 EL 패널(45)에 접속된 접속선(49)은 부착부(38b, 38b) 사이를 삽입 관통된다. 따라서, 부착부(38b, 38b) 사이의 공간은 삽입 관통 공간(38d)이 된다. 접속선(49)은 도시하지 않은 전원 회로에 접속되어 있고, 전원 회로로부터 접속선(49)을 통해 유기 EL 패널(45)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광출사면(45a)으로부터 광이 출사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용 등기구(1)에서는, 이격되어 위치된 2개의 부착부(38b, 38b)가 설치되고, 부착부(38b, 38b) 사이의 공간이 삽입 관통 공간(38d)으로서 형성되고, 유기 EL 패널(45)에 접속되어 유기 EL 패널(4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선(49)이 삽입 관통 공간(38d)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따라서, 유기 EL 패널(45)에 접속된 접속선(49)의 일부가 부착부(38b, 38b)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접속선(49)의 배치 스페이스의 유효 활용이 도모됨과 더불어 접속선(49)이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변위하기 어렵고, 유기 EL 패널(45)이나 제2 부착체(34)에 간섭하기 어려워, 접속선(49) 이외의 구성 부품의 배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접속선(49)을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접속선(49)의 상측에 피부착부(48)가 위치되기 때문에, 접속선(49)의 상방으로의 변위도 억제되어, 접속선(49)을 한층 더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유기 EL 패널(45, 45, 45)은 부착부(38b, 38b, …)에 부착된 상태에서, 피부착부(48, 48, 48)보다 후측의 부분이 각각 커버 패널(36)의 삽입 관통용 절결(39a, 39a, 39a)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돌출되고, 유지 부재(44, 44, 44)의 유지부(47, 47, 47)와 유기 EL 패널(45, 45, 45)이 차폐부(39)의 후측에 위치된다(도 10 및 도 12 참조). 따라서, 피부착부(48, 48, 48)와 피부착부(48, 48, 48)가 부착된 부착부(38b, 38b, …)는 차폐부(39)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차폐된다. 이 때 유지부(47, 47, 47)와 유기 EL 패널(45, 45, 45)은 로어 패널(35)에는 접촉되지 않고, 로어 패널(35)로부터 상방으로 부유한 상태로 등실(33a)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패널체(43)는 가장 전측에 위치된 피부착부(48)가 부착부(38b, 38b)에 부착되고, 부착부(38b, 38b)에 캔틸레버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부착체(34)에는 부착부(38b, 38b)와 피부착부(48)를 유지부(47)측으로부터 차폐하는 차폐부(39)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부착부(38b, 38b)와 피부착부(48)가 차폐부(39)에 의해 차폐됨과 더불어 시인되지 않기 때문에, 유기 EL 패널(45)로부터 출사된 광이 부착부(38b, 38b)나 피부착부(48)에서 반사되지 않고, 미광의 발생의 방지 및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유기 EL 패널(45)이 로어 패널(35)로부터 부유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유기 EL 패널(45)의 광출사면(45a)이 되는 부분의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휘도의 향상 및 배광 제어의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유기 EL 패널(45)이 유지부(47)에, 두께 방향으로 만곡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만곡된 유기 EL 패널(45)로부터 광이 출사되어, 배광 제어의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유기 EL 패널(45)은 적어도 일부가 하방으로 볼록한 상태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변위하는 부분이 존재하고, 상방향으로의 충분한 시인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져, 배광 제어의 자유도를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정리>
이상에 기재한 바와 같이, 차량용 등기구(1)에서는, 제1 부착체(7), 제2 부착체(34)에 피부착부(23, 29, 48)가 부착되는 제1 부착부(12b), 제2 부착부(16a), 부착부(38b)가 설치되고, 제1 패널체(17), 제2 패널체(18), 패널체(43)가 제1 부착체(7), 제2 부착체(34)에 캔틸레버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패널체(17), 제2 패널체(18), 패널체(43)가 캔틸레버 상태로 제1 부착체(7), 제2 부착체(34)에 부착되기 때문에, 제1 부착부(12b), 제2 부착부(16a), 부착부(38b)의 등실(6a, 33a)에서의 점유 공간의 크기가 작아도 되고, 제1 유기 EL 패널(20), 제2 유기 EL 패널(26), 유기 EL 패널(45)로부터 출사된 광이 제1 부착부(12b), 제2 부착부(16a), 부착부(38b)에서 반사되기 어려워, 적정한 배광 상태를 확보할 수 있음과 더불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제1 등기구부(2)에 하나씩의 제1 패널체(17)와 제2 패널체(18)가 설치되고, 제2 등기구부(3)에 3개의 패널체(43)가 설치된 예를 나타냈지만, 제1 패널체(17)와 제2 패널체(18)와 패널체(43)의 수는 1개 또는 3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이다.
또한, 제1 패널체(17)와 제2 패널체(18)와 패널체(43)는 만곡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상방으로 볼록한 부분이나 측방으로 볼록한 부분을 갖도록 만곡되어 있어도 좋다.
1 : 차량용 등기구 4 : 램프 하우징
5 : 커버 6 : 등기구 외측 케이스
6a : 등실 7 : 제1 부착체
12b : 제1 부착부 12d : 삽입 관통 공간
13 : 차폐부 16a : 제2 부착부
17 : 제1 패널체 18 : 제2 패널체
19 : 제1 유지 부재 20 : 제1 유기 EL 패널
22 : 유지부 23 : 피부착부
24 : 제1 접속선 25 : 제2 유지 부재
26 : 제2 유기 EL 패널 28 : 유지부
29 : 피부착부 30 : 제2 접속선
31 : 램프 하우징 32 : 커버
33 : 등기구 외측 케이스 33a : 등실
34 : 제2 부착체 38b : 부착부
38d : 삽입 관통 공간 39 : 차폐부
43 : 패널체 44 : 유지 부재
45 : 유기 EL 패널 47 : 유지부
48 : 피부착부 49 : 접속선

Claims (5)

  1. 개구를 갖는 램프 하우징과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커버를 가지며 내부 공간이 등실로서 형성된 등기구 외측 케이스와,
    상기 등실에 배치되고 피부착부 및 유지부가 설치된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부에 유지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을 갖는 패널체와,
    상기 등실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체가 부착된 부착체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체에 상기 피부착부가 부착되는 부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패널체가 상기 부착체에 캔틸레버 상태로 부착된 것인 차량용 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선이 접속되고,
    상기 부착부는 2개가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2개의 부착부 사이의 공간이 삽입 관통 공간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접속선이 상기 삽입 관통 공간에 삽입 관통된 것인 차량용 등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체에 상기 부착부와 상기 피부착부를 상기 유지부측으로부터 차폐하는 차폐부가 설치된 것인 차량용 등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이 상기 유지부에, 두께 방향으로 만곡된 상태로 유지된 것인 차량용 등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의 적어도 일부가 하방으로 볼록한 상태로 만곡된 것인 차량용 등기구.
KR1020190141792A 2018-11-09 2019-11-07 차량용 등기구 KR102314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11136A JP2020077564A (ja) 2018-11-09 2018-11-09 車輌用灯具
JPJP-P-2018-211136 2018-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098A true KR20200054098A (ko) 2020-05-19
KR102314106B1 KR102314106B1 (ko) 2021-10-15

Family

ID=7055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792A KR102314106B1 (ko) 2018-11-09 2019-11-07 차량용 등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37616B2 (ko)
JP (1) JP2020077564A (ko)
KR (1) KR102314106B1 (ko)
CN (2) CN21126066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77564A (ja) * 2018-11-09 2020-05-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FR3129706B1 (fr) * 2021-11-30 2024-03-29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pour un vé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matrice d'éléments électroluminescen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2893A (ja) * 2014-09-15 2016-04-25 ヴァレオ ビジョンValeo Vision 弾性接続ブレードを有するoledダイオード支持体
KR20170080783A (ko) * 2015-12-30 2017-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의 램프 장치
JP2017208226A (ja) 2016-05-18 2017-11-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光源装置および車両用灯具
KR101827761B1 (ko) * 2016-07-29 2018-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1830662B1 (ko) * 2016-07-06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그것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4834B2 (en) * 2000-07-10 2003-08-12 Blake H. Kalana Electroluminescent surface illuminator device
US6527400B2 (en) * 2001-05-01 2003-03-04 Kirkwood Tierney Electroluminescent supplementary-lighting device having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US7364315B2 (en) * 2002-06-14 2008-04-29 Tseng-Lu Chien Tubular electro-luminescent panel(s) light device
FR2913751A1 (fr) * 2007-03-15 2008-09-19 Valeo Vision Sa Dispositif d'eclairage et/ou de signalisa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paroi externe pourvue d'une zone d'eclairage thermique.
US8292480B2 (en) * 2008-07-10 2012-10-23 Koito Manufacturing Co., Ltd. Lamp including main reflector, sub-reflector and LED assembly
JP6146995B2 (ja) * 2012-12-03 2017-06-1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6196086B2 (ja) * 2013-07-19 2017-09-1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有機elパネルおよび車両用灯具
JP6430719B2 (ja) * 2013-09-02 2018-11-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DE202013105597U1 (de) * 2013-12-10 2014-02-12 Odelo Gmbh Leuchtmittel und hiermit ausgestattete Kraftfahrzeugleuchte
JP6228863B2 (ja) * 2014-02-27 2017-11-0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US20150291085A1 (en) * 2014-04-10 2015-10-15 Kerry Manning Illuminated translucent body panels and methods therefor
US9758706B2 (en) * 2015-07-31 2017-09-12 The Boeing Company Encapsulated catalyst for aerospace grade resin systems
CZ2015769A3 (cs) * 2015-10-30 2016-12-14 Varroc Lighting Systems, s.r.o. Světelné zařízení, zejména signální svítilna pro motorová vozidla
US20170284623A1 (en) * 2016-03-31 2017-10-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e-form illumination assemblies
JP7018707B2 (ja) * 2016-04-07 2022-02-1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の光源装置および車両用灯具
FR3053839A1 (fr) * 2016-06-10 2018-01-12 Valeo Vision Module lumineux a diode electroluminescente organique flexible
EP3527874B1 (en) * 2016-10-17 2023-06-07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lamp fitting
CN107084354A (zh) * 2017-04-27 2017-08-22 上海小糸车灯有限公司 一种oled智能组合后灯
JP2020077564A (ja) * 2018-11-09 2020-05-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2893A (ja) * 2014-09-15 2016-04-25 ヴァレオ ビジョンValeo Vision 弾性接続ブレードを有するoledダイオード支持体
KR20170080783A (ko) * 2015-12-30 2017-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의 램프 장치
JP2017208226A (ja) 2016-05-18 2017-11-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光源装置および車両用灯具
KR101830662B1 (ko) * 2016-07-06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827761B1 (ko) * 2016-07-29 2018-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74170A (zh) 2020-05-19
US10837616B2 (en) 2020-11-17
JP2020077564A (ja) 2020-05-21
CN211260663U (zh) 2020-08-14
KR102314106B1 (ko) 2021-10-15
US20200149703A1 (en) 2020-05-14
CN111174170B (zh)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761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US9248776B2 (en) Vehicular light unit with multiple light sources
KR102314106B1 (ko) 차량용 등기구
US20180281674A1 (en) Courtesy lamp and courtesy logo lamp
JP2018037274A (ja) 車輌用灯具
US9451198B2 (en) Display device
JP2015069862A (ja) 照明装置
US8777467B2 (en) Vehicle interior lighting system
CN108025780B (zh) 摩托车的位置灯结构
JP6313563B2 (ja) 車輌用灯具
US11767958B2 (en) Vehicle lighting device
JP2016100257A (ja) 車両用灯具
US10935207B2 (en) Aircraft lamp
US9516954B2 (en) Showcase member with direct-mounted LED light source
JP6973273B2 (ja) 乗物用照明装置
JP6324017B2 (ja) 車輌用灯具
JP6164492B2 (ja) 車両用照明装置
JP2015009662A (ja) 車両用照明装置の取付構造
JP7232056B2 (ja) 航空機用室内灯
JP2023126605A (ja) 照明器具
JP6994893B2 (ja) 灯具
JP2017147089A (ja) 車両用灯具
US20140016341A1 (en) Turn lamp for door mirror
JP2020075672A (ja) 乗物用照明装置
JP2018104997A (ja) 照明装置付き建材および建築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