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878A -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878A
KR20200053878A KR1020180137332A KR20180137332A KR20200053878A KR 20200053878 A KR20200053878 A KR 20200053878A KR 1020180137332 A KR1020180137332 A KR 1020180137332A KR 20180137332 A KR20180137332 A KR 20180137332A KR 20200053878 A KR20200053878 A KR 20200053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mps
failure
lamp
vehicle la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331B1 (ko
Inventor
이병상
남승윤
김혁
이주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보텍
Priority to KR1020180137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33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2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driver or the passengers
    • B60Q2300/23Driver's line of s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릴레이들은 입력단들이 차량 전원과 연결되고 출력단들이 차량 램프들과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단들을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음에 따라 차량 전원을 차량 램프들에 공급하도록 작동한다. 전류 센서들은 차량 램프들에 각각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진단 시작 신호에 따라 릴레이들의 각 제어단에 제어 신호를 출력해서 릴레이들을 작동시키며, 전류 센서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전류 신호를 입력 받아 차량 램프들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알림 수단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으로부터 차량 램프들의 고장 상태를 전달받아 외부로 알려준다.

Description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Apparatus for diagnosing fault of vehicle lamp}
본 발명은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어 야간에 운전자의 시야 등을 확보하는 기능을 하는 램프의 고장을 진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램프는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어 야간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기능은 물론, 운전자가 보행자 및 다른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이 용이하지 않은 악천후 등의 환경에서 주행 중일 때도 운전자의 시야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주행에 반드시 필요한 장치 중 하나이다. 차량 램프는 차량의 전방에 장착되는 헤드 램프와,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테일 램프와 브레이크 램프로 구성된다.
그런데, 안전 불감증으로 테일 램프나 브레이크 램프가 고장 난 사실을 신경 쓰지 못하고 방치하거나, 고의가 아니더라도 야간에 전조등을 점등하지 않고 주행하는 등의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현행법에 따라 범칙금이 부과된다.
또한, 사용자가 시동을 걸면 자동으로 켜지는 클러스터를 보고 헤드 램프가 켜진 것으로 착각함으로 인해, 헤드 램프를 켜지 않고 주행하는 차량, 일명 스텔스 차량이 흔하게 보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에 테일 램프나 브레이크 램프가 켜지지 않아, 후방 차량 운전자는 언제든지 아찔한 순간을 맞닥뜨리게 되어 교통사고가 유발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법규 준수와 안전한 야간 운전을 위해 차량 램프들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 주행 전에 차량 램프의 고장을 자동 진단하여 운전자가 차량 램프의 고장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는 릴레이들과, 전류 센서들과,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및 알림 수단을 포함한다. 릴레이들은 입력단들이 차량 전원과 연결되고 출력단들이 차량 램프들과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단들을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음에 따라 차량 전원을 차량 램프들에 공급하도록 작동한다. 전류 센서들은 차량 램프들에 각각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진단 시작 신호에 따라 릴레이들의 각 제어단에 제어 신호를 출력해서 릴레이들을 작동시키며, 전류 센서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전류 신호를 입력 받아 차량 램프들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알림 수단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으로부터 차량 램프들의 고장 상태를 전달받아 외부로 알려준다.
여기서, 알림 수단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으로부터 차량 램프들의 고장 상태 신호를 수신해서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차량 램프들의 고장 상태 신호를 수신해서 화면에 차량 램프들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주행 전에 차량 램프의 고장을 진단하여 운전자가 차량 램프의 고장을 쉽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안전 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릴레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에 의해 차량 램프의 고장을 진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릴레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100)는 릴레이(rely, 110)들과, 전류 센서(120)들과,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130), 및 알림 수단(140)을 포함한다.
릴레이(110)들은 입력단(111)들이 차량 전원(10)과 연결되고 출력단(113)들이 차량 램프(20)들과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단(114)들을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음에 따라 차량 전원(10)을 차량 램프(20)들에 공급하도록 작동한다. 여기서, 차량 램프(20)들은 차량의 전방에 장착되는 헤드 램프와,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테일 램프 및 브레이크 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차량 램프(20)는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의 램프 스위치 조작에 따라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기존 전원선(30)에 의해 차량 전원(10), 예컨대 차량 정션 박스의 전원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존 전원선(30)에 릴레이(110)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기존 전원선(30)은 절단되어 차량 전원(10)에 연결되는 제1 전원선(31)과, 차량 램프(20)에 연결되는 제2 전원선(32)으로 나뉜다. 여기서, 릴레이(110)의 제1 입력단(112)은 제1 전원선(31)에 연결되고, 릴레이(110)의 출력단(113)은 제2 전원선(32)에 연결된다. 릴레이(110)의 제2 입력단(111)은 신규 전원선(116)에 의해 차량 전원(10), 예컨대 차량 정션 박스의 다른 전원 출력단에 연결된다. 릴레이(110)의 제어단(114)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에 연결되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는다.
릴레이(110)는 제어단(114)을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 받지 않으면, 출력단(113)의 가동 접점(113a)을 제1 입력단(112)의 고정 접점(112a)에 접속시킨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차량 램프(20)가 기존 전원선(3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한다.
릴레이(110)는 제어단(114)을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 받으면, 출력단(113)의 가동 접점(113a)을 제2 입력단(111)의 고정 접점(111a)에 접속시키도록 작동함으로써, 차량 램프(20)가 신규 전원선(116)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차량 램프(20)의 고장 진단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에 의해 릴레이(110)를 작동시킴에 따라 차량 램프(20)를 점등시킬 수 있게 된다.
전류 센서(120)들은 차량 램프(20)들에 각각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 일 예로, 전류 센서(120)는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 효과란 자기장이 전류가 흐르는 도체를 쇄교할 때 그 도체의 양단에 전위차가 생기는 물리 현상을 가리킨다. 홀 소자는 홀 효과로 인해 전압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전압을 전류로 환산하여 전류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홀 센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으로부터 구동 전압을 인가 받으며, 차량 램프(2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해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으로 출력할 수 있다. 홀 센서는 제2 전원선(32) 또는 접지선에 설치되어 차량 램프(2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류 센서(120)는 저항 소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은 진단 시작 신호에 따라 릴레이(110)들의 각 제어단(114)에 제어 신호를 출력해서 릴레이(110)들을 작동시킨다. 여기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은 운전자가 차량을 시동할 때 출력되는 차량 시동 신호를 진단 시작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차량을 시동할 때마다 차량 램프(20)의 고장 진단이 자동 실행되므로, 차량 램프(20)의 고장 여부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운전자가 별도의 진단 시작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를 진단 시작 신호로 인식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은 전류 센서(120)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전류 신호를 입력 받아 차량 램프(20)들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은 전류 센서(12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신호를 기초로, 측정 전류값이 허용 오차 범위에서 영(zero)이라면 차량 램프(20)가 고장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측정 전류값이 허용 오차 범위에서 영(zero)이 아닌 기준 전류값이라면 차량 램프(20)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은 측정 전류값을 통해 차량 램프(20)의 점등 상태가 온(on)이면 하이(high) 값으로 판단하고, 차량 램프(20)의 점등 상태가 오프(off)이면 로우(low) 값으로 판단하여, 이러한 2가지 값을 XOR 연산하여 차량 램프(2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은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용 프로그램을 탑재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은 크리스탈 발진자(XTAL, 131)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132)와, 유아트(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 133), 및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134)를 포함할 수 있다.
크리스탈 발진자(131)는 진단 시작 신호에 따라 발진 신호를 생성해서 중앙처리장치(134)로 전송한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32)는 전류 센서(12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서 중앙처리장치(134)로 전송한다. 유아트(133)는 중앙처리장치(134)와 무선 통신 모듈(141)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중앙처리장치(134)로부터 처리된 차량 램프(20)의 고장 상태 데이터를 무선 통신 모듈(141)로 송신한다.
중앙처리장치(134)는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용 프로그램 명령어를 실행한다. 즉, 중앙처리장치(134)는 크리스탈 발진자(131)로부터 전송된 발진 신호에 따라 릴레이(110)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릴레이(110)들로 출력하고,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132)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따라 차량 램프(2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며, 차량 램프(20)가 고장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 램프(20)의 고장 상태 데이터를 유아트(133)를 통해 무선 통신 모듈(141)로 송신한다.
알림 수단(140)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으로부터 차량 램프(20)들의 고장 상태를 전달받아 외부로 알려준다. 따라서, 운전자는 알림 수단(140)을 통해 차량 램프(20)들의 고장 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알림 수단(140)은 무선 통신 모듈(141)과, 모니터링 디바이스(142)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41)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으로부터 차량 램프(20)들의 고장 상태 신호를 수신해서 외부로 송신하도록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에 의해 제어된다. 무선 통신 모듈(141)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니터링 디바이스(142)는 무선 통신 모듈(141)로부터 차량 램프(20)들의 고장 상태 신호를 수신해서 화면(142a)에 차량 램프(20)들의 고장 상태를 표시한다. 모니터링 디바이스(142)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워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램프 고장 진단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 램프(20)의 고장 상태를 화면(142a) 상의 팝업과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다른 예로, 알림 수단(140)은 경고음을 내거나 경고등을 점등시켜 차량 램프(20)의 고장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100)에 의해 차량 램프(20)의 고장을 진단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진단 시작 신호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으로 입력되어 차량 램프(20)의 고장 진단이 시작된다. 이때, 차량 시동 신호가 진단 시작 신호로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으로 입력될 수 있다.
그 다음,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은 진단 시작 신호에 따라 릴레이(110)들의 각 제어단(114)에 제어 신호를 출력해서 릴레이(110)들을 작동시켜 차량 전원(10)을 차량 램프(20)들에 공급한다. 그 다음, 전류 센서(120)들은 차량 램프(20)들에 각각 흐르는 전류를 측정해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으로 전송한다. 그 다음,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은 전류 센서(120)로부터 측정된 전류값을 통해 차량 램프(20)의 점등 상태를 판단하여 차량 램프(2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은 차량 램프(20)가 고장 상태로 판단되면, 알림 수단(140)을 통해 차량 램프(20)들의 고장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이때,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등의 무선 통신 모듈(141)을 통해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워치 등의 모니터링 디바이스(142)로 고장 상태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모니터링 디바이스(142)는 차량 램프(20)들의 고장 상태 신호를 수신해서 화면(142a)에 차량 램프(20)들의 고장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차량 램프(20)의 고장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30)은 차량 램프(20)가 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차량 램프(20)의 고장 진단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100)에 의하면, 차량 주행 전에 차량 램프(20)의 고장을 진단하여 운전자가 차량 램프(20)의 고장을 쉽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안전 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차량 전원
20..차량 램프
110..릴레이
120..전류 센서
130..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140..알림 수단
141..무선 통신 모듈
142..모니터링 디바이스

Claims (2)

  1. 입력단들이 차량 전원과 연결되고 출력단들이 차량 램프들과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단들을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음에 따라 차량 전원을 차량 램프들에 공급하도록 작동하는 릴레이들;
    상기 차량 램프들에 각각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들;
    진단 시작 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들의 각 제어단에 제어 신호를 출력해서 상기 릴레이들을 작동시키며, 상기 전류 센서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전류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차량 램프들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으로부터 상기 차량 램프들의 고장 상태를 전달받아 외부로 알려주는 알림 수단;
    를 포함하는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수단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으로부터 상기 차량 램프들의 고장 상태 신호를 수신해서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차량 램프들의 고장 상태 신호를 수신해서 화면에 상기 차량 램프들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
KR1020180137332A 2018-11-09 2018-11-09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 KR102147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332A KR102147331B1 (ko) 2018-11-09 2018-11-09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332A KR102147331B1 (ko) 2018-11-09 2018-11-09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878A true KR20200053878A (ko) 2020-05-19
KR102147331B1 KR102147331B1 (ko) 2020-08-24

Family

ID=7091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332A KR102147331B1 (ko) 2018-11-09 2018-11-09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0192A (zh) * 2021-11-04 2022-06-07 江苏叶迪电子有限公司 具有故障自动检测调节功能的汽车车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524U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상용차량용 인디케이터 램프 체크 장치
JP2001001833A (ja) * 1999-06-22 2001-01-09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ランプ回路
KR20020022187A (ko) * 2000-09-19 2002-03-27 정보영 자동차의 원격진단제어장치
KR20040040080A (ko) * 2002-11-06 200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ps를 이용한 스톱 및 테일 램프 고장 검출방법
KR20120134555A (ko) * 2011-06-02 2012-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램프의 잔여 수명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524U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상용차량용 인디케이터 램프 체크 장치
JP2001001833A (ja) * 1999-06-22 2001-01-09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ランプ回路
KR20020022187A (ko) * 2000-09-19 2002-03-27 정보영 자동차의 원격진단제어장치
KR20040040080A (ko) * 2002-11-06 200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ps를 이용한 스톱 및 테일 램프 고장 검출방법
KR20120134555A (ko) * 2011-06-02 2012-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램프의 잔여 수명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0192A (zh) * 2021-11-04 2022-06-07 江苏叶迪电子有限公司 具有故障自动检测调节功能的汽车车灯
CN114590192B (zh) * 2021-11-04 2023-08-08 江苏叶迪电子有限公司 具有故障自动检测调节功能的汽车车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331B1 (ko)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8648B2 (ja) 車両ブレーキ照明
JP2012509217A (ja) 電気装置を備えた車両、例えばハイブリッド自動車
CN103287338A (zh) 一种汽车灯故障监测装置
CN117087529A (zh) 尾转向灯
CN109923011B (zh) 开关电路及其故障检测方法以及控制装置
KR101592784B1 (ko) 램프의 단선감지 장치 및 방법
KR20200053878A (ko)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
CN110648487A (zh) 烟雾监测电路及显示屏
KR102213684B1 (ko)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
JP6140465B2 (ja) 中継コネクタ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
WO2019180639A4 (en) Failure detection circuit for hybrid turn signal lamps
US20140313027A1 (en) Headlight status display system for automobile
US10345334B2 (en) Electronic arrangement in a motor vehicle
KR101618452B1 (ko)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
TW201501967A (zh) 胎壓感測系統之中繼模組
CN210309935U (zh) 一种汽车仪表
WO2012035642A1 (ja) 警報センサシステム
TWI609808B (zh) 車況異常警示裝置及含有該裝置的車輛
KR101378277B1 (ko) 자동차용 ecu 외부제어장치
JP2019123310A (ja) ストップランプシステムの異常検出装置
KR101533805B1 (ko) 누설 전류 경고 시스템 및 방법
JP2012218585A (ja) 信号衝突検知装置、電子制御装置、及び、バスシステム
KR102434044B1 (ko) Led 고장 경고 장치
WO2020137718A1 (ja) 車両用音出力装置
US8508377B2 (en) Monitoring circuit for vehicular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