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1642A - 플라스틱 복합물로 구성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복합물로 구성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1642A
KR20200051642A KR1020207007351A KR20207007351A KR20200051642A KR 20200051642 A KR20200051642 A KR 20200051642A KR 1020207007351 A KR1020207007351 A KR 1020207007351A KR 20207007351 A KR20207007351 A KR 20207007351A KR 20200051642 A KR20200051642 A KR 20200051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body
holding
conveying device
manufacturing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293B1 (ko
Inventor
아르노 프리드리히스
Original Assignee
아르노 프리드리히스 하르트메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노 프리드리히스 하르트메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아르노 프리드리히스 하르트메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200051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66Means for allowing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apparatus parts, e.g. for twisting the extruded article or for moving the die along a surface to be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55Conveyors for extru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5/00Removing work or waste from extruding presses; Drawing-off extruded work; Cleaning dies, ducts, containers, or mandrels
    • B21C35/02Removing or drawing-off work
    • B21C35/023Work treatment directly following extrusion, e.g. further deformation or surfac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5Making tubes of special shape; Making tube fittings
    • B21C37/20Making helical or similar guides in or on tubes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by drawing same over mandrels, by pushing same through dies ; Making tubes with angled walls, ribbed tubes and tubes with decorated walls
    • B21C37/202Making helical or similar guides in or on tubes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by drawing same over mandrels, by pushing same through dies ; Making tubes with angled walls, ribbed tubes and tubes with decorated walls with guides parallel to the tub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5Making tubes of special shape; Making tube fittings
    • B21C37/20Making helical or similar guides in or on tubes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by drawing same over mandrels, by pushing same through dies ; Making tubes with angled walls, ribbed tubes and tubes with decorated walls
    • B21C37/207Making helical or similar guides in or on tubes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by drawing same over mandrels, by pushing same through dies ; Making tubes with angled walls, ribbed tubes and tubes with decorated walls with helical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1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comprising two or more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honeycom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14Twi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14Making other products
    • B21C23/147Making drill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085Velo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114Dimensions
    • B29C2948/92123Diameter or circumfer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323Location or phase of measurement
    • B29C2948/92361Extrusion unit
    • B29C2948/92409Die; Nozzle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58Velo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58Velocity
    • B29C2948/9259Angular velo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58Velocity
    • B29C2948/926Flow or feed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복합물로 구성되고 내부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내부 리세스를 갖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가진다:
- 플라스틱 복합물로 구성되고 내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의 내부 리세스를 갖는 원통형 본체 (4) 를 압출 성형 다이 (1) 에 의해서 제조하는 단계,
- 상기 압출 성형 다이 (1) 로부터 상기 원통형 본체 (4) 를 비틀림 섹션 (7) 을 통해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상으로 배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는 상기 원통형 본체 (4) 를 유지 및 운반하도록 구성되고 그 종축 (2i) 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상기 배출하는 단계,
- 상기 원통형 본체 (4) 가 내부에 유지되고 운반되는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회전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내부 리세스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비틀림 섹션 (7) 에서 상기 원통형 본체 (4) 를 비트는 단계, 및
- 내부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내부 리세스 (9) 를 갖는 원통형 본체 (4) 를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로부터 디포짓 디바이스 (3) 상으로 배출하는 단계.

Description

플라스틱 복합물로 구성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본 발명은 플라스틱 매스 (mass) 로 구성되는 원통형 (circularly cylindrical)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매스, 특히 소결된 금속 블랭크로 구성되고 본체의 내부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내부 리세스를 가진 실질적으로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가 EP 1 230 046 B1 에 공지되어 있다. 본체는 초기에 내부 리세스의 실질적으로 직선의 코스로 제조되고, 예를 들어 압출된다. 특정 길이로 절단된 본체는, 그 이후에, 마찰 표면 배열체와의 지지체상에서 전체 길이에 걸쳐 지지되면서, 본체의 길이에 걸쳐 선형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변하는 속도로 롤링 운동을 하게 되고, 그 결과 본체는 균일하게 비틀려진다.
플라스틱 매스로 구성되고 본체의 내부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내부 리세스를 가진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추가의 방법 및 추가의 디바이스가 EP 2 313 218 B1 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본체는 초기에 내부 리세스의 직선의 코스로 제조된다. 특정 길이로 절단된 본체는, 그 후에, 지지체상에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지지되면서, 마찰 표면을 지지체에 평행하게 배열한 상태에서,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유사하게 인접한 마찰 표면 배열체에 의해서, 롤링 공정을 받게 된다. 이러한 롤링 공정은 여러 단계들로 수행되는데, 제 1 단계에서 마찰 표면 배열체의 제 1 회전축을 사용하여 롤링 운동이 수행되고, 제 2 단계에서 마찰 표면 배열체의 제 1 회전축과 다른 제 2 회전축을 사용하여 롤링 운동이 수행되며, 회전축들은 지지체 또는 마찰 표면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이상의 나선형 내부 리세스들을 갖는 플라스틱 매스로 구성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나선형 내부 리세스의 제조가 단순화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특징들을 갖는 방법 및 청구항 9 에 기재된 특징들을 갖는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들 및 개량들은 종속항들에 개시되어 있다.
플라스틱 매스로 구성되고 내부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내부 리세스를 갖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이하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 플라스틱 매스로 구성되고 내부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의 내부 리세스를 갖는 원통형 본체를 압출 공구에 의해서 제조하는 단계,
- 상기 압출 공구로부터 상기 원통형 본체를 비틀림 섹션을 통해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상으로 배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는 상기 원통형 본체를 유지 및 운반하도록 구성되고 그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상기 배출하는 단계,
- 상기 원통형 본체가 내부에 유지되고 운반되는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의 회전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내부 리세스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비틀림 섹션상에서 상기 원통형 본체를 비트는 단계, 및
- 내부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내부 리세스를 갖는 원통형 본체를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로부터 디포짓 디바이스상으로 배출하는 단계.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형태에 따라서,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는 2 개의 모터들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2 개의 모터들 중 하나는 회전가능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에서 상기 원통형 본체의 전진율을 제어하는 공급 모터이고, 상기 2 개의 모터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원통형 본체의 종방향으로의 전진과 동시에,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회전 모터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형태에 따라서, 상기 원통형 본체는 운반 벨트들에 의해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내에 유지되고 그 종축 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형태에 따라서, 운반 벨트들은 편향 롤러들상에 장착되고, 상기 편향 롤러들의 주행 속도는 상기 원통형 본체의 전방 이동을 위해 공급 모터에 의해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형태에 따라서, 상기 원통형 본체는 균일한 주행 속도로 이동되는 2 개, 3 개 또는 4 개의 운반 벨트들에 의해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내에 유지되고 그 종축 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형태에 따라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의 전진율 및 회전 속도는 제어 신호를 공급 모터 및 회전 모터에 공급하는 제어 유닛에 의해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형태에 따라서, 상기 압출 공구로부터 원통형 본체의 배출률은 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고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에서 목표 전진율로서 설정된다.
운반 벨트의 속도 및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의 회전 속도는, 각각의 설정된 피치 사양을 준수하도록, 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배출률 및/또는 압출 공구로부터 발생하는 플라스틱 원통형 본체의 로드 직경으로 연속적으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형태에 따라서, 상기 원통형 본체는 절단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정해진 길이로 절단되고, 길이 절단은 상기 압출 공구와 회전가능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사이에서 또는 회전가능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와 상기 디포짓 디바이스 사이에서 수행된다.
플라스틱 매스로 구성되고 내부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리세스를 갖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로서,
- 플라스틱 매스로 구성되고 내부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의 내부 리세스를 갖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도록 구성된 압출 공구,
- 압출 공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원통형 본체를 유지 및 운반하도록 구성되고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유지 및 운반 본체,
- 상기 원통형 본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디포짓 디바이스로서, 상기 원통형 본체는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로부터 배출되고 내부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내부 리세스를 가지는, 상기 디포짓 디바이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형태에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는 회전가능한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에서 상기 원통형 본체의 전진율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공급 모터, 및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회전 모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형태에 따라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는 상기 원통형 본체를 유지하고 그리고 이를 종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운반 벨트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형태에 따라서, 상기 운반 벨트들은 편향 롤러들상에 장착되고, 상기 편향 롤러들의 주행 속도는 공급 모터에 의해 설정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형태에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원통형 본체의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2 개, 3 개 또는 4 개의 운반 벨트들을 포함하고, 벨트들은 바람직하게는 등간격으로 분포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형태에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공급 모터 및 상기 회전 모터에 전진율 및 회전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형태는, 상기 원통형 본체를 길이 절단하기 위한 절단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로 구성되고, 절단 디바이스는 상기 압출 공구와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사이에 또는 회전가능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와 상기 디포짓 디바이스 사이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특히 플라스틱 매스로 구성되는 원통형 본체의 비틀림에는 매우 적은 크기의 공간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는, 압출 공구와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사이에 제공된 비틀림 섹션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이러한 비틀림 섹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압출 공구와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사이에 아주 작은 크기의 공간만이 필요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비틀림 공정 동안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의 회전 속도의 변화를 통해, 원통형 본체의 내부에서 연장되는 나선형 내부 리세스의 피치 각도가 변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비교적 밀집된 냉각 채널들이 절단 영역에 존재하는 경질 금속 드릴용 블랭크들을 제조할 수 있어서, 공구 절단기는 최적의 구성으로 될 수 있고, 더 큰 피치 간격으로 공구 스와프 챔버의 추가 과정에서 스와프 제거가 개선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들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가 공간 절약형 구성일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특징은 도면에 기초한 그의 예시적인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도 1 은, 플라스틱 매스로 구성되고 내부에 하나 이상의 나선형 내부 리세스들을 가지는 원통형 본체를 비틀림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비틀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비틀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 2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비틀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 3 도를 도시한다.
도 5 는 비틀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 4 도를 도시한다.
도 6 은 비틀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 5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 은 비틀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 6 도를 도시한다.
도 1 은, 플라스틱 매스로 구성되고 내부에 하나 이상의 나선형 내부 리세스들을 가지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플라스틱 매스로 구성되는 이러한 원통형 본체는, 예를 들어 혼련된 바인더 또는 접착제를 갖는 경질 금속 분말로 구성되는 특히 소결된 금속 블랭크이다. 이러한 소결된 금속 블랭크는 비교적 연성의 일관성을 가지므로, 블랭크의 비가역적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이의 취급, 예를 들어 운반은 매우 신중하게 수행되어야 한다.
소결된 금속 블랭크들은, 특히 경질 금속, 강 또는 세라믹 재료들로부터 드릴링 및 밀링 공구들 또는 드릴링 공구 비트들을 제조하는데 필요하다. 완성된 드릴링 공구에서, 절단 영역으로 냉각제 또는 윤활제를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리세스의 나선형 코스로 인해, 드릴링 공구에는, 이의 외주부에, 나선형 스와프 플루트들이 제공될 수 있고, 이 나선형 스와프 플루트들은 종종 보다 유리하게는 절삭 및 가공 특성들을 제공하는데 유리하고 이에 따라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구 블랭크들을 제조할 때,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내부 리세스의 피치 각도는 블랭크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밀접한 공차 한계내에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그 중에서, 소결 공정 후 공구 블랭크에 규칙적인 스와프 플루트들이 연삭되기 때문에 필요하다. 이러한 연삭은 대부분 자동화된 기계에 의해 수행되므로, 나선형 내부 리세스들을 덜 정확하게 제조하는 경우에, 높은 불량률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내부 리세스의 피치 각도를 블랭크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밀접한 공차 범위내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디바이스는 압출 공구 (1) 를 포함하고, 이 압출 공구는, 이의 출구에서, 플라스틱 매스로 구성되고 내부에 하나 이상의 직선으로 연장되는 내부 리세스들을 가지는 원통형 본체 (4) 를 배출한다.
압출 공구 (1) 로부터 배출된 이러한 원통형 본체 (4) 는, 압출 공구 (1) 의 출구에서부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입구까지 연장되는 비틀림 섹션 (7) 에 의해, 이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까지 유도된다.
추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는 단단히 유지되고 계속 운반된다. 원통형 본체 (4) 의 이러한 추가 운반 동안, 종방향 중심축 (2i) 을 중심으로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회전이 실시된다.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내에서 원통형 본체 (4) 의 계속적인 운반과 동시에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이러한 회전에 의해, 비틀림 섹션 (7) 상에서, 즉 압출 공구 (1) 와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사이의 영역에서 원통형 본체 (4) 의 비틀림이 실시된다.
이러한 추가의 운반 및 비틀림은 원통형 본체 (4) 가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출구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길이 절단은 원하는 길이로 수행된 후, 내부에 하나 이상의 나선형 내부 리세스들을 갖는 원통형 본체의 형태로 배출되고 디포짓 디바이스 (3) 에 공급된다.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내부 리세스를 갖는 원통형 본체를 디포짓 디바이스 (3) 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원통형 본체 (4) 를 디포짓 디바이스 (3) 로부터 제거하고 이를 저장 디바이스 (13) 에 공급하는 추출 로봇 (12) 이 사용된다. 원통형 본체의 중간 저장은, 거기에서 수행되거나 또한 추가 처리, 예를 들어 소결 공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원하는 길이로 원통형 본체의 설명된 길이 절단은 절단 디바이스 (11) 의 사용으로 수행되고, 이 절단 디바이스는 압출 공구 (1) 와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사이의 비틀림 섹션 (7) 의 영역에 또는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와 디포짓 디바이스 (3) 사이의 영역에 배열된다.
더욱이, 도 1 에 도시된 디바이스는 속도 센서 (14) 를 포함하고, 이 속도 센서는, 압출 공구 (1) 의 출구와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사이에 배열되고 그리고 압출 공구 (1) 를 나오는 원통형 본체 (4) 의 배출 속도를 측정한다. 추가로, 도 1 에 도시된 디바이스는 직경 센서 (15) 를 포함하고, 이 직경 센서는, 압출 공구 (1) 의 출구와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사이에 유사하게 배열되고 그리고 압출 공구를 나오는 원통형 본체 (4) 의 직경을 측정한다.
이들 센서들로부터 유도된 신호들 (s1 및 s2) 은 제어 유닛 (10) 에 공급된다. 이는, 이에 공급된 센서 신호를 미리 정해진 목표 피치값과 일치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되고, 이 미리 정해진 목표 피치값은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의 운반 속도 및 회전 속도로 인한 것이다.
운반 속도는, 이러한 경우에, 속도 센서에 의해 결정된 배출률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의 회전 속도 (ω) 는 다음 식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ω = 360°/tst;
tst = lst/vp
lst = d·π/tan(sw)
이러한 경우에:
ω 는 회전 속도이고,
tst 는 피치 시간이며,
lst 는 피치 길이이고,
vp 는 배출률이며,
d 는 압출 공구로부터 배출된 본체의 직경이고,
sw 는 피치 각도이며,
tan(sw) 는 피치 각도의 접선이다.
피치 길이 (lst) 는, 원통형 본체의 중심축을 따른 피치 기간의 길이와 관련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피치 각도는 원통형 본체의 중심축과 피치 코스 사이의 각도이다. 피치 시간은 피치 길이의 압출에 필요한 시간이다.
추가로, 제어 신호 (st2) 를 가진 제어 유닛 (10) 에 의해 작동되는 회전 모터 (6) 가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 모터 (6) 는 제어 유닛 (10) 에 의해 미리 정해진 회전 속도에서 회전가능한 유지 운반 디바이스 (2) 의 회전을 발생시킨다. 회전가능한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회전 속도는 회전 모터 (6) 의 변경된 작동에 의해 필요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내부 리세스들의 피치 각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 내부 리세스들은, 원통형 본체의 길이에 걸쳐 변하는 피치 각도를 가진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내부 리세스를 갖는, 플라스틱 매스로 구성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기 위해, 원통형 본체의 길이에 걸쳐 원통형 본체의 내부에서 연장된다.
더욱이, 도 1 에 도시되지 않고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회전 속도 센서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속도 센서로부터 도출된 회전 속도 센서 신호는 제어 유닛 (10) 에 공급된다. 이는, 이에 공급된 회전 속도 측정 신호를 미리 정해진 목표 회전 속도 신호와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다. 측정된 회전 속도가 목표 회전 속도로부터 벗어나면, 제어 유닛 (10) 은, 회전 모터 (6) 가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회전 운동 속도를 적응시키거나 조절하는 그러한 종류의 제어 신호 (st2) 를 회전 모터 (6) 에 제공한다. 이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원통형 본체의 내부에서 연장되는 내부 리세스들의 정확성 및 그에 따른 품질을 증가시킨다.
도 2 는 압출 공구 (1) 로부터 배출된 원통형 본체 (4) 의 비틀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사시도를 도시한다. 압출 공구 (2) 의 노즐 (1a) 로부터 배출된 이러한 원통형 본체는, 압출 공구 (1) 의 노즐 (1a) 의 출구에서부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입구까지 연장되는 비틀림 섹션 (7) 을 통하여 안내되고 그리고 편향 롤러들 (2a, 2c) 상에서 안내되는 운반 벨트 (2e, 2f) 에 의해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내에 파지되고 운반 벨트들 사이에서 단단히 유지된다. 편향 롤러들 (2a, 2c) 의 화살표로 도시된 회전으로 인해, 원통형 본체 (4) 는 전방 방향으로 계속 운반된다.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내에서 원통형 본체 (4) 의 이러한 전방 이동과 동시에, 종축 (2i) (도 2 에 도시되지 않음) 을 중심으로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회전이 실시된다. 이러한 회전은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원주 방향으로 배향된 화살표로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도 3 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비틀림 섹션 (7) 상의 원통형 본체 (4) 의 비틀림은,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회전과 동시에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내에서 원통형 본체 (4) 의 설명된 전방 이동을 통하여 실시된다.
더욱이, 도 2 에 도시된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는 추가의 편향 롤러 (2b) 를 포함하고, 이미 언급된 운반 벨트 (2e) 는 편향 롤러들 (2a 및 2b) 주위에 놓인다.
추가로, 도 2 에 도시된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는 추가의 편향 롤러 (2d) 를 포함하고, 이미 언급된 운반 벨트 (2f) 는 편향 롤러들 (2c 및 2d) 주위에 놓인다. 편향 롤러들 (2a, 2b, 2c 및 2d) 은 편향 롤러 장착부로서 기능하는 회전 프레임 (2g) 상에 장착된다.
2 개의 운반 벨트들 (2e, 2f) 사이에 고정 유지되고 전방 방향으로 계속 운반되는 원통형 본체 (4) 는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출구에서 배출되고 디포짓 디바이스 (3) 로 간다.
더욱이,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회전 프레임 (2g) 은 운반 롤러들 (2a 및 2c) 사이의 간격 및 운반 롤러들 (2b 및 2d)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 수단 (2h) 을 포함한다. 이는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가 또한 더 크거나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 본체를 제공하는 다른 압출 공구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3 은 압출 공구 (1) 로부터 배출된 원통형 본체 (4) 의 비틀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 2 사시도를 도시한다. 2 개의 운반 벨트들 (2e 및 2f) 사이에 유지되는 원통형 본체 (4) 는 도 2 와 비교하여 이미 실시한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회전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었고 그리고 비틀림 섹션에서 원통형 본체 (4) 의 비틀림이 이미 실시되어 원통형 본체의 내부에 제공되는 내부 리세스들 (9) 이 비틀림을 또한 가지는 것이 도 3 으로부터 특히 명백하다.
이러한 비틀림은, 원통형 본체가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로부터 최종적으로 배출되고 디포짓 디바이스 (3) 에 디포짓될 때까지,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의 추가 회전과 동시에,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내에서 원통형 본체의 추가의 전방 이동에 의해 추가로 계속된다.
디포짓 디바이스 (3) 로부터 플라스틱 매스로 구성되는 원통형 본체의 제거를 위해 추출 로봇 (12) 이 제공되고, 이 추출 로봇은 디포짓 디바이스 (3) 로부터 원통형 본체를 제거하고 이를 원통형 본체 (4) 의 추가 처리, 예를 들어 소결이 또한 수행될 수 있는 저장 디바이스 (13) 에 공급한다.
도 4 는 비틀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 3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회전 프레임 (2g), 이 회전 프레임에 체결된 편향 롤러들 (2a 및 2c), 이러한 편향 롤러들 주위에 놓이고 이에 의해 이동되는 운반 벨트들 (2e 및 2f) 및 운반 벨트들에 의해 유지되고 내부 리세스들 (9) 과 함께 전방으로 운반되는 원통형 본체 (4) 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의, 도면 평면에서 연장되는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도 4 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회전을 나타내는 화살표 (P2) 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는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지 않은 비틀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제 4 개략도를 도시한다. 편향 롤러들 (2a, 2c), 이러한 편향 롤러들 주위에 놓이고 이에 의해 이동되는 운반 벨트들 (2e, 2f), 및 운반 벨트들에 의해 유지되고 내부 리세스들 (9) 과 함께 전방으로 운반되는 원통형 본체 (4) 가 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더욱이,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의, 도면 평면에서 연장되는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도 5 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회전을 나타내는 화살표 (P2) 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은 비틀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 5 사시도를 도시한다. 압출 공구의 노즐 (1a), 속도 센서 (14), 내부 리세스들 (9) 을 가진 원통형 본체 (4), 편향 롤러들 (2a, 2b) 및 이 편향 롤러들 주위에 놓이고 그 위에서 운반되는 운반 벨트 (2e) 및 편향 롤러들 (2c, 2d) 및 이 편향 롤러들 주위에 놓이고 그 위에서 운반되는 운반 벨트 (2f) 가 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내부에 유지되고 운반되는 원통형 본체 (4) 와 함께,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에 속하는 구성요소들의 회전을 나타내는 화살표 (P2) 가 도시되어 있다. 더욱이,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에 유지되는 원통형 본체 (4) 의 전방 이동 방향을 도시하는 화살표 (P1) 가 도시되어 있다. 더욱이, 편향 롤러 (2a) 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P3), 편향 롤러 (2c) 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P4), 편향 롤러 (2b) 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P5) 및 편향 롤러 (2d) 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P6) 가 도 6 에 도시되어 있다. 더욱이, 원통형 본체 (4) 는 도 2 및 도 3 과 비교하여 이미 추가로 운반된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내의 위치에서 도 6 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이미 추가로 운반된 위치에서, 원통형 본체의 내부 리세스들은 이미 여러번 나선형으로 비틀려져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도 7 은 비틀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 6 도를 도시한다. 압출 공구의 노즐 (1a), 속도 센서 (14), 내부 리세스들 (9) 을 가진 원통형 본체 (4), 편향 롤러들 (2a, 2b) 및 이 편향 롤러들 주위에 놓이고 그 위에서 운반되는 운반 벨트 (2e) 및 편향 롤러들 (2c, 2d) 및 이 편향 롤러들 주위에 놓이고 그 위에서 운반되는 운반 벨트 (2f) 가 이 도면에 또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에 유지되는 원통형 본체 (4) 의 전방 이동 방향을 도시하는 화살표 (P1) 가 도시되어 있다. 더욱이, 편향 롤러 (2a) 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P3), 편향 롤러 (2c) 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P4), 편향 롤러 (2b) 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P5) 및 편향 롤러 (2d) 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P6) 가 도 6 에 도시되어 있다. 더욱이, 원통형 본체 (4) 는 도 2 및 도 3 과 비교하여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내의 이미 추가로 운반된 위치에서 도 7 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이미 추가로 운반된 위치에서, 원통형 본체의 내부 리세스들은 이미 여러번 나선형으로 비틀려져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추가로,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뒤에 위치된 디포짓 디바이스 (3) 가 도 7 에 도시되어 있다.
1 : 압출 공구
1a : 노즐
2 :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a : 편향 롤러
2b : 편향 롤러
2c : 편향 롤러
2d : 편향 롤러
2e : 운반 벨트
2f : 운반 벨트
2g : 회전 프레임, 편향 롤러 장착부
2h : 간격 조절 수단
2i :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의 종방향 중심축
3 : 디포짓 디바이스
4 : 원통형 본체
5 : 공급 모터
6 : 회전 모터
7 : 비틀림 경로
9 : 내부 리세스
10 : 제어 유닛
11 : 절단 디바이스
12 : 추출 로봇
13 : 저장 디바이스
14 : 속도 센서
15 : 직경 센서
P1,..., P6 : 방향 화살표들
s1 : 속도 센서 신호
s2 : 직경 센서 신호
st1 : 제어 신호
st2 : 제어 신호

Claims (15)

  1. 플라스틱 매스 (mass) 로 구성되고 내부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내부 리세스를 갖는 원통형 (circularly cylindrical)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 플라스틱 매스로 구성되고 내부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의 내부 리세스를 갖는 원통형 본체 (4) 를 압출 공구 (1) 에 의해서 제조하는 단계,
    - 상기 압출 공구 (1) 로부터 상기 원통형 본체 (4) 를 비틀림 섹션 (7) 을 통해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상으로 배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는 상기 원통형 본체 (4) 를 유지 및 운반하도록 구성되고 그 종축 (2i) 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상기 배출하는 단계,
    - 상기 원통형 본체 (4) 가 내부에 유지되고 운반되는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내부 리세스 (9) 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비틀림 섹션 (7) 에서 상기 원통형 본체 (4) 를 비트는 단계, 및
    - 내부에서 연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내부 리세스 (9) 를 갖는 상기 원통형 본체 (4) 를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로부터 디포짓 디바이스 (3) 상으로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는 2 개의 모터들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2 개의 모터들 중 하나는 회전가능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에서 상기 원통형 본체의 전진율을 제어하는 공급 모터 (5) 이고, 상기 2 개의 모터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원통형 본체의 종방향으로의 전진과 동시에,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속도를 제어하는 회전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본체 (4) 는 운반 벨트들 (2e, 2f) 에 의해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내에 유지되고 그 종축 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반 벨트들 (2e, 2f) 은 편향 롤러들 (2a, 2b, 2c, 2d) 상에 장착되고, 상기 편향 롤러들의 주행 속도는 상기 원통형 본체 (4) 의 전방 이동을 위해 공급 모터 (5) 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본체 (4) 는, 균일한 속도로 이동되는 2 개, 3 개 또는 4 개의 운반 벨트들에 의해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내에 유지되고 그 종축 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전진율 및 회전 속도는 공급 모터 (5) 및 회전 모터 (6) 에 제어 신호 (st1, st2) 를 공급하는 제어 유닛 (10) 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공구 (1) 로부터 상기 원통형 본체 (4) 의 배출률은 속도 센서 (14) 에 의해 측정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압출 공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원통형 본체 (4) 의 직경은 직경 센서 (15) 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본체 (4) 는 절단 디바이스 (11) 에 의해 미리 정해진 길이로 길이 절단되고, 상기 길이 절단은 상기 압출 공구 (1) 와 회전가능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사이에서 또는 회전가능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와 상기 디포짓 디바이스 (3) 사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
  9. 플라스틱 매스로 구성되고 내부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리세스를 갖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디바이스로서,
    - 플라스틱 매스로 구성되고 내부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의 내부 리세스를 갖는 원통형 본체 (4) 를 제조하도록 구성된 압출 공구 (1),
    - 상기 원통형 본체 (4) 를 유지 및 운반하도록 구성되고 종축 (2) 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유지 및 운반 본체,
    -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로부터 배출되고 내부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내부 리세스 (9) 를 가지는 상기 원통형 본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디포짓 디바이스 (3)
    를 포함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 회전가능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에서 상기 원통형 본체 (4) 의 전진율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공급 모터 (5), 및
    -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회전 모터 (6) 를 더 포함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디바이스.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는 상기 원통형 본체 (4) 를 유지하고 이를 종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운반 벨트들 (2e, 2f)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벨트들 (2e, 2f) 은 편향 롤러들 (2a, 2b, 2c, 2d) 상에 장착되고, 상기 편향 롤러들의 주행 속도는 공급 모터 (5) 에 의해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디바이스.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원통형 본체 (4) 의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바람직하게는 등간격으로 분포된 2 개, 3 개 또는 4 개의 운반 벨트들 (2e, 2f)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디바이스.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공급 모터 (5) 및 상기 회전 모터 (6) 에 전진율 및 회전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 (st1, st2) 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 제어 유닛 (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디바이스.
  15.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원통형 본체 (4) 를 길이 절단하기 위해서, 상기 압출 공구 (1) 와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사이에 또는 회전가능한 상기 유지 및 운반 디바이스 (2) 와 상기 디포짓 디바이스 (3) 사이에 배열되는 절단 디바이스 (1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디바이스.
KR1020207007351A 2017-09-21 2018-06-08 플라스틱 복합물로 구성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452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1940.4 2017-09-21
DE102017121940.4A DE102017121940A1 (de) 2017-09-21 2017-09-21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aus plastischer Masse bestehenden kreiszylindrischen Körpers
PCT/EP2018/065186 WO2019057351A1 (de) 2017-09-21 2018-06-08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aus plastischer masse bestehenden kreiszylindrischen körp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642A true KR20200051642A (ko) 2020-05-13
KR102452293B1 KR102452293B1 (ko) 2022-10-06

Family

ID=62631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351A KR102452293B1 (ko) 2017-09-21 2018-06-08 플라스틱 복합물로 구성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00331184A1 (ko)
EP (1) EP3684585B1 (ko)
JP (1) JP7280249B2 (ko)
KR (1) KR102452293B1 (ko)
CN (1) CN111148617A (ko)
DE (1) DE102017121940A1 (ko)
IL (1) IL273462B2 (ko)
RU (1) RU2760145C2 (ko)
WO (1) WO20190573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87963B (zh) * 2020-11-16 2022-08-26 安徽寒锐新材料有限公司 二次塑形的输送机构以及钴粉加工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6915A1 (de) * 1983-07-26 1985-02-0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innenbeschichtung eines langgestreckten hohlelementes
US4673540A (en) * 1984-12-17 1987-06-16 Societa' Cavi Pirelli S.P.A.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re provided with open helical grooves for receiving optical fibers
WO1988006089A2 (fr) * 1987-02-18 1988-08-25 S.A. Raccords Et Plastiques Nicoll Dispositif pour la fabrication en continu par extrusion d'un tube pourvu de filets helicoidaux
JPH02138404A (ja) * 1989-09-08 1990-05-28 Toshiba Tungaloy Co Ltd 押出し成形機
JPH08127056A (ja) * 1994-11-01 1996-05-21 Sekisui Chem Co Ltd 押出成形合成樹脂管用引取機
EP1230046B1 (de) * 1999-09-09 2003-07-23 Arno Friedrich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sintermetall-rohlings mit innenliegenden, wendelförmigen ausnehmungen
DE10260136A1 (de) * 2002-12-19 2004-07-01 Gühring, Jörg, Dr. Strangpressverfahren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r Sinterrohling bzw. Werkzeugkörp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0681A1 (de) * 1985-10-31 1987-05-07 Krupp Gmbh Hartmetall- oder keramikbohrerrohling sowie verfahren und strangpresswerkzeug zu seiner herstellung
US6250112B1 (en) * 1999-06-03 2001-06-26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controlling an extrusion of glass to make an optical fiber
SE516268C2 (sv) * 1999-06-03 2001-12-10 Seco Tools Ab Metod och anordning med radiellt rörliga backar för strängpressning av roterande verktyg
US8186991B2 (en) * 2004-02-27 2012-05-29 Jmp Industries, Inc. Extruder system and cutting assembly
DE102007042279A1 (de) * 2007-09-06 2009-03-12 Komet Group Holding Gmbh Bohrwerkzeug für Werkzeugmaschinen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08033413A1 (de) 2008-07-16 2010-01-21 Arno Friedrich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aus plastischer Masse bestehenden kreiszylindrischen Körpers mit innenliegenden wendelförmigen Ausnehmungen
JP2010158708A (ja) 2009-01-09 2010-07-22 Showa Denko Kk 押出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1161456A (ja) 2010-02-05 2011-08-25 Ube Machinery Corporation Ltd 押出プレス及び押出制御方法
JP5917819B2 (ja) 2011-03-28 2016-05-18 株式会社工販 回転引き取り式押し出し成形方法およびその成形方法を可能とする押出成形装置およびその成形方法で製作したチューブ管壁に螺旋状の独立管腔を設けたチューブ体
RU2528265C2 (ru) * 2012-12-29 2014-09-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ашспецстрой"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ержневых изделий
CN106270504B (zh) * 2016-09-18 2018-06-29 辽宁科技大学 一种微钻头的微挤压装置及微型钻头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6915A1 (de) * 1983-07-26 1985-02-0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innenbeschichtung eines langgestreckten hohlelementes
US4673540A (en) * 1984-12-17 1987-06-16 Societa' Cavi Pirelli S.P.A.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re provided with open helical grooves for receiving optical fibers
WO1988006089A2 (fr) * 1987-02-18 1988-08-25 S.A. Raccords Et Plastiques Nicoll Dispositif pour la fabrication en continu par extrusion d'un tube pourvu de filets helicoidaux
JPH02138404A (ja) * 1989-09-08 1990-05-28 Toshiba Tungaloy Co Ltd 押出し成形機
JPH08127056A (ja) * 1994-11-01 1996-05-21 Sekisui Chem Co Ltd 押出成形合成樹脂管用引取機
EP1230046B1 (de) * 1999-09-09 2003-07-23 Arno Friedrich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sintermetall-rohlings mit innenliegenden, wendelförmigen ausnehmungen
DE10260136A1 (de) * 2002-12-19 2004-07-01 Gühring, Jörg, Dr. Strangpressverfahren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r Sinterrohling bzw. Werkzeugkör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20114086A (ru) 2021-10-22
KR102452293B1 (ko) 2022-10-06
DE102017121940A1 (de) 2019-03-21
RU2760145C2 (ru) 2021-11-22
WO2019057351A1 (de) 2019-03-28
JP2020535309A (ja) 2020-12-03
EP3684585A1 (de) 2020-07-29
IL273462A (en) 2020-05-31
JP7280249B2 (ja) 2023-05-23
RU2020114086A3 (ko) 2021-10-22
EP3684585B1 (de) 2021-10-27
IL273462B2 (en) 2023-12-01
US20200331184A1 (en) 2020-10-22
CN111148617A (zh) 2020-05-12
IL273462B1 (en)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0523B2 (en) Machining tool
EP3048181B1 (de) Anlage und Verfahren zur metallischen Beschichtung eines Werkstücks
US200801524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rotary tool for chip removing machining
TWI695567B (zh) 製造定子或機械加工定子內壁的方法及裝置
SE516268C2 (sv) Metod och anordning med radiellt rörliga backar för strängpressning av roterande verktyg
CN103100949A (zh) 在实心碳化物工具中同时成形多个槽的系统和方法
KR20120083232A (ko) 정밀 보링과 호닝을 결합한 가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의 실시를 위한 가공 장치
KR102452293B1 (ko) 플라스틱 복합물로 구성되는 원통형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01801569B (zh) 用于棒、管或类似阔椭圆形产品的剥皮机械
US66994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sintered metal blank with internally disposed helical recesses
US8931981B2 (en) Pull reamer
US8850861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circularly cylindrical body, which consists of deformable material, with internally disposed helical recesses
DE102011000348A1 (de) Verfahren zur kombinierten Feinbohr- und Honbearbeitung sowie Bearbeitungs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EP3681669A1 (de) Aufrauwerkzeu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WO2019057351A5 (ko)
CN210231384U (zh) 一种三轴滚丝机的上下料装置
CN213915912U (zh) 一种自动化滚螺牙机构
WO2021239182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onen von tonnenrollen
US20070251067A1 (en) Swarf cutter
CN101927437A (zh) 可控旋转径向进给装置
SE526937C2 (sv) Roterbart verktyg samt ämne till verktyg försett med spolkanaler i varierande vinklar
JPH10175109A (ja) 螺旋状孔を有する長尺棒材、その押出成形装置およ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