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519A -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 - Google Patents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519A
KR20200050519A KR1020180133170A KR20180133170A KR20200050519A KR 20200050519 A KR20200050519 A KR 20200050519A KR 1020180133170 A KR1020180133170 A KR 1020180133170A KR 20180133170 A KR20180133170 A KR 20180133170A KR 20200050519 A KR20200050519 A KR 20200050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film
resin
layer
embosse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5510B1 (ko
Inventor
김정섭
구본일
최성환
이문선
김지성
송종율
Original Assignee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3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5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50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Landscapes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 일면에 형성된 적외선 차단 코팅층; 상기 기재필름 타면에 형성된 착색층; 상기 착색층 타면에 엠보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타면에 부착되는 이형지를 포함하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Infrared blocking film with embossed pattern adhesive layer}
본 발명은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적외선 차단 필름에 엠보패턴을 가지는 점착층을 적용하여 시공 시 공기 배출이 용이하여 시공 편리성과 부착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에어프리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이나 건물의 유리창에는 다양한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어 사용되었다. 이들 필름이 제공하는 기능은 예를 들어, 실내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의 피부노화나 실내 용품의 탈색, 변색등을 일으킬 수 있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 실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외선을 차단하는 기능, 또는 외부충격으로 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막아주거나 파손된 유리가 비산하지 않도록 하는 안전 기능, 또는 적정한 착색을 이용해 실내 생활 공간에 대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기능 등 다양하다. 이러한 기능성 필름은 다층의 필름들 사이에 여러가지 물질이 코팅된 적층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472861호(발명의 명칭: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은 질소를 함유하는 무기화합물 입자를 포함하는 차폐층과, 상기 차폐층의 일면에 위치하여 상기 차폐층을 지지하는 지지층을 포함하는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열차단점착필름은 필름과 피착면의 두 층 사이에 공기를 제거하기가 어려웠다. 공기가 남아있지 않도록 시공하려면 시공 전문가이거나 일반인의 경우 상당한 주의와 노력이 필요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필름은 유리창 등의 기재에 부착되는데 있어서 필름과 기재 사이에 쉽게 공기층이 형성되어 시간이 지날 시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형성된 공기층을 그대로 두기에는 미관상으로 문제가 있었으며, 공기층을 제거하기 위해 필름에 흠집을 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흠집부분이 벌어져 하자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적외선 차단 필름에 엠보패턴을 가지는 점착층을 적용하여 시공 시 공기 배출이 용이하여 시공 편리성과 부착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에어프리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은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 일면에 형성된 적외선 차단 코팅층; 상기 기재필름 타면에 형성된 착색층; 상기 착색층 타면에 엠보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타면에 부착되는 이형지를 포함하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재필름은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 폴리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층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안티몬 주석 산화물(ATO), 알루미늄 아연 산화물(AZO), 세라믹, 플루오린 주석 산화물(FTO), NIR Dyes, 유기산화물 및 무기산화물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색층은 베이스 수지에 염료 또는 안료를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수지는 멜라민 수지, 우레탄 수지 및 아크릴 수지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착층은 실리콘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올레핀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중 하나의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점착제가 음각형태의 패턴롤에 채워져 착색층이 형성된 기재필름이 패턴롤과 고무롤 사이를 지날 때 착색층에 전사되고 양각형태로 형상화 되어 엠보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착층은 말레익 무수수화물 중합 폴리프로필렌 및 실란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인 점착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층은 황산칼륨 및 호박산이나트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은 적외선 차단 필름에 엠보패턴을 가지는 점착층을 적용하여 필름부착 시 에어프리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즉, 필름부착 시 점착층의 엠보패턴에 따라 기포가 제거되어, 기재와 필름 사이에 국소적으로 공기층이 잔류하지 않도록 하여 부착성을 높이고 시공의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의 점착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의 점착층의 엠보패턴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의 점착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의 점착층의 엠보패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은 기재필름(10), 적외선 차단 코팅층(20), 착색층(30), 점착층(40) 및 이형지(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재필름(10)은 투명, 반투명, 불투명 필름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필름(10)은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 폴리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PC) 중 하나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트라이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터설폰,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수지, 폴리에스터, 폴리술폰, 폴리메틸펜텐, 폴리에터케톤, 다이아세틸렌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뷰틸레이트셀룰로오스, (메타)아크릴나이트릴 등의 플라스틱 필름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재필름(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100중량부에 대하여 TPAE(Thermoplastic Polyamide Elastomers) 5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TPAE의 배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의 성형성에 대한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와 혼용성이 떨어져 기재필름(10)이 가지고 있는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기재필름(10)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비될 시 세라믹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표면이 수분을 배척하는 소수성을 형성하며, 통기성이 좋지 못한 플라스틱의 특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필름에 세라믹을 첨가함으로써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친수성과 통기성이 향상된 플라스틱 필름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세라믹은 이산화규소, 이산화 타이타늄, 운모, 점토, 황토, 제올라이트 중 하나의 입자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 세라믹, 상용화제의 비율은 8:1:1 내지 5:4:1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용화제는 항상 1의 비율을 유지하며, 5:4:1의 비율로 근접할수록 친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하게 형성된다)
또한, 세라믹은 향균성을 가미하기 위하여 플라스틱과의 혼합 전에 은이 함유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세라믹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플라스틱 필름은 친수성과 통기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향균성도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재필름(10)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될 시에 적외선 차단 코팅층(20) 및 착색층(30)이 보다 잘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재필름(10)은 30㎛ 내지 20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사용자가 취급하기에 가장 바람직하다.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은 기재필름(10) 일면에 형성되어 적외선 차단 필름을 적외선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안티몬 주석 산화물(ATO), 알루미늄 아연 산화물(AZO), 세라믹, 플루오린 주석 산화물(FTO), NIR Dyes, 유기산화물 및 무기산화물 중 하나 이상의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은 10㎛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의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 적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50㎛를 초과할 경우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은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의 조성물에 아크릴 수지, 세리아(ceria) 및 이트리아(yttri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리아(ceria) 및 이트리아(yttria)는 희토류 혼합 산화물로서, 세리아는 세륨산화물이 주성분이며, 이트리아(yttria)는 이트륨산화물이 주성분이다.
이와 같이,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은 아크릴 수지, 세리아(ceria) 및 이트리아(yttria)를 더 포함함으로써, 경화 시 차단 등의 특성 변화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의 조성물 100중량부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 250 내지 400중량부, 세리아(ceria) 0.1 내지 10 및 이트리아(yttria) 0.1 내지 1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은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의 조성물에 블록이소시아네이트(blocked isocyan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록이소시아네이트(blocked isocyanate)는 디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와 블록킹제(blocking agent)를 반응시켜 제조한 것이다.
여기서, 디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TDI), 이소프렌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naphthalene diisocyanate, NDI)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록킹제(blockingagent)는 페놀(phenol), e-카프로락탐(e-caprolactam), 2-부타논 옥심(2-butanone oxime), 아세톤 옥심(acetone oxime), 디메틸 피라졸(dimethyl pyrazole), 벤조페논 옥심(benzophenone oxime), 디이소프로필 아민(diisopropyl amine), 1,2,4-트리아졸(1,2,4-triazole)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을 기재필름(10)에 코팅하는데,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의 조성물이 자연스럽게 경화가 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충분한 물성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블록이소시아네이트(blocked isocyanate)는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의 조성물 100중량부에 있어서, 10 내지 15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고 1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때, 블록이소시아네이트가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경화가 미미하고, 1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경화로 인하여 유연성이 떨어져 적외선 차단 필름을 기재에 부착할 때 작업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은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의 조성물에 Monom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onomer는 코팅공정 시 점도 조절을 위한 것으로,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에 더 포함되어 희석용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Monomer는 2관능 또는 3관능 저점도 Monomer일 수 있다.
여기서, Monomer는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의 조성물 100중량부에 있어서 16 내지 18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고, 18중량부가 바람직히다.
이때, Monomer가 16중량부 미만일 경우 점도 조절이 미미할 수 있고, 18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코팅하기에 오히려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은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의 조성물에 불포화 칼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불포화 칼슘은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의 경도를 높여 내스크레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적외선 차단 코팅층(20)의 조성물 100중량부에 있어서, 5 내지 1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중량부가 포함될 있다.
이때, 불포화 칼슘이 5중량부 미만일 경우 경도 증가 효과가 미미하며,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제품의 제조단가가 상승하며 크랙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착색층(30)은 기재필름(10) 타면에 형성되어, 소비자 기호에 맞게 가시광선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내부에 침투하는 빛에 대한 차폐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착색층(30)은 베이스 수지에 염료 또는 안료를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수지는 멜라민 수지, 우레탄 수지 및 아크릴 수지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착색층(30)은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있어서, 염료 또는 안료 5 내지 7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염료 또는 안료가 5중량부 미만일 경우 착색층(30)으로 차단기능을 하는데 있어서 빛 차단기능이 미흡할 수 있고, 7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재필름(10)에 착색층(30)의 밀착력이 저하되어 분리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착색층(30)은 황산칼륨 및 호박산이나트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황산칼륨은 착색층(30)의 경화시간을 단축하고 강도를 높여줄 수 있으며, 호박산이나트륨은 착색층(30)과 기재필름(10) 및 점착층(40) 간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이러한 황산칼륨 및 호박산이나트륨은 착색층(30)에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있어서, 70 내지 80중량부 및 40 내지 50중량부가 더 포함 될 수 있다.
이때, 황산칼륨이 70중량부 미만일 경우 경화시간 단축 및 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8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유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호박산이나트륨이 40중량부 미만일 경우 부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5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경화 시 주름 등 컬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착색층(30)은 베이스 수지가 아크릴 수지일 경우, 히드라진 유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드라진 유도체는 아크릴의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와 가교반응하여 착색층(30)을 치밀하게 형성시켜 착색층(30)과 기재필름(10) 및 점착층(40) 간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며, 착색층(30)의 내수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아크릴은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실 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틸메타아클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히드라진 유도체는 착색층(30)에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있어서, 2.5 내지 3.5중량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2.5중량부 미만일 경우 밀착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3.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유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착색층(30)은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단량체인 비닐아세테이트(Vinyl <21> acetate)에, 비닐버사테이트(Vinyl versatate),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iso-butyl acrylate),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라우릴아크릴레이트(Lauryl acrylate), 에틸렌(Ethylene) 등의 공단량체를 중합하여 선형의 중합구조를 지니도록 합성된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착색층(30)의 점도를 조절하여 유연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코팅 후 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g)는 -5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이때, 유리전이온도(Tg)가 -5℃ 미만일 경우 점도가 너무 증가하여 잉크 수용층(500)의 경화 및 물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0℃를 초과할 경우 컬 현상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착색층(30)에서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있어서, 10 내지 12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때,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가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컬 현상 방지 기능이 미미하고, 12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너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착색층(30)은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는 착색층(30)의 수용성을 향상시키고, 내마모성,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중 하나의 군일 수 있다.
또한,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는 착색층(30)에서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있어서, 10 내지 12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때,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가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수용성 향상 후 안전성이 떨어지며,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1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내수성, 건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착색층(30)은 2 내지 1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2㎛ 미만일 경우 가시광선의 투과율에 대한 조절 기능을 할 수 없고, 10㎛를 초과할 경우 투명성을 떨어뜨리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점착층(40)은 착색층(30) 타면에 엠보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접착기능을 하며 에어프리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40)이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질 경우, 점착층(40)은 점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점착제는 실리콘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올레핀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중 하나일 수 있고, 아크릴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한 것은 복원력이 낮아 엠보패턴을 형성하고 유지시키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또한, 점착층(40)은 말레익 무수수화물 중합 폴리프로필렌 및 실란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인 점착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착촉진제는 점착제 100중량부에 있어서, 5 내지 9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점착촉진제가 5중량부 미만일 경우 점착층(40)의 접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9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착촉진제가 변질되거나 석출되어 이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점착기능을 하는 점착층(40)에 점착촉진제가 더 포함되어, 점착층(40)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착색층(30) 및 기재와의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점착층(40)은 콜라겐, 젤라틴, 알기네이트, 알긴산, 히알루론산, 키틴 및 키토산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착층(40)의 유연성 및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점착층(40)의 에어프리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층(40)의 조성물은 분자량이 500,000내지 1,250,000일 수 있다.
이때, 분자량이 500,000 미만일 경우 점착성의 유지력이 낮아 착색층(30)에서 분리될 수 있고, 1,250,000을 초과할 경우 원하는 점착층(40)으로써의 접착력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착제로 형성되는 점착층(40)은 착색층(30)에 양각형태로 형성되어 엠보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착층(40)은 그라비어 코팅 방식을 통해 착색층(30) 타면에 10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점착층(40)의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 접착력이 저하되어 접착이 용이하지 않고 에어프리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50㎛를 초과할 경우 적외선 차단 필름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점착층(40)의 코팅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비어 코팅 방식으로, 그라비어 사라(100)에서 점착제(A)가 공급되어 점착제(A)가 음각형태의 그라비어 패턴롤(200)에 채워지고 착색층(30)이 형성된 기재필름(10)이 그라비어 패턴롤(200)과 고무롤(300) 사이를 지날 때 착색층(30)에 전사되어 양각형태로 입체 형상화됨으로써, 엠보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그라비어 패턴롤(200)에 나이프(N)가 구비되어 음각형태의 패턴롤(200)에 점착제(A)를 균일하게 채울 수 있어 형성된 엠보패턴이 전체적으로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음각형태의 패턴롤(200)의 패턴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점착층(40)의 엠보패턴을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엠보패턴이 형성된 점착층(40)이 형성되어, 에어프리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형상은 예시에 불과하며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엠보패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기재필름(10)에 엠보패턴을 형성하여 기재필름(10)의 종류가 한정되거나, 기재필름(10)과 점착층(40)의 기재 부착력이 저하되어 추가 공정이 필요하였는데, 이와 같이 점착층(40)을 형성함으로써 기재필름(10)의 종류가 한정되지 않고 추가 공정이 필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형지(50)는 점착층(40) 타면에 부착되어 외부로부터 점착층(40)의 접착력이 저하되거나 엠보패턴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았다.
이러한 이형지(50)는 에폭시계, 에폭시-멜라민계, 아미노알키드계, 아크릴계, 멜라민계, 실리콘계, 불소계, 셀룰로오스계, 요수 수지계, 폴리올레핀계, 파라핀계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1㎛ 내지 2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형지(50)의 두께가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 너무 얇거나 두꺼울 경우에는 취급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은 적외선 차단 필름에 엠보패턴을 가지는 점착층을 적용하여 필름부착 시 에어프리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즉, 필름부착 시 점착층의 엠보패턴에 따라 기포가 제거되어, 기재와 필름 사이에 국소적으로 공기층이 잔류하지 않도록 하여 부착성을 높이고 시공의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기재필름 일면상은 적외선 차단 코팅층을 형성하고, 다른 일면상에는 착색층을 형성한 후, 실리콘계 점착제로 엠보패턴을 가지는 점착층을 25㎛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으로 자외선 차단 시트를 제작하였다.
이때, 점착층은 기재필름에 형성된 착색층에 음각형태의 패턴롤과 고무롤 사이를 지나면서 음각형태의 패턴롤에 채워진 점착제가 전사되고 양각형태로 입체 형상화되어 형성되었다.
[실시예 2]
기재필름 일면상은 적외선 차단 코팅층을 형성하고, 다른 일면상에는 착색층을 형성한 후, 실리콘계 점착제로 엠보패턴을 가지는 점착층을 45㎛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으로 자외선 차단 시트를 제작하였다.
이때, 점착층은 기재필름에 형성된 착색층에 음각형태의 패턴롤과 고무롤 사이를 지나면서 음각형태의 패턴롤에 채워진 점착제가 전사되고 양각형태로 입체 형상화되어 형성되었다.
[비교예 1]
기재필름 일면상은 적외선 차단 코팅층을 형성하고, 다른 일면상에는 착색층을 형성한 후, 실리콘계 점착제를 25㎛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자외선 차단 시트를 제작하였다.
[ 실험예 ] 점착력 및 에어프리기능 평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점착력 및 기재부착 시 에어프리기능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자외선 차단 필름을 MD 방향으로 25mm * 120mm로 절단하고 시편 각각을 Polyimide 필름(Apical 25NPI)에 부착한 후 무게 4kgf/cm 압력으로 합지하고, 23℃, 50%RH의 분위기에서 60분간 방치한 후 상기의 시료를 박리각도 180˚, 박리속도 300mm/min로 박리시 이에 대한 응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 : 뛰어남, ○ : 우수, △ : 보통, X : 나쁨)
점착층 두께(㎛) 점착력(g/25mm) 에어프리기능
실시예 1 25 25
실시예 2 45 40
비교예 1 25 50 X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 및 2는 우수한 에어프리 기능을 나타내나 비교예 1는 에어프리 기능을 나타내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점착력은 비교예 1보다 다소 낮으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기재필름
20: 적외선 차단 필름
30: 착색층
40: 점착층
50: 이형지
100: 그라비어 사라
200: 그라비어 패턴롤
300: 고무롤
A: 점착제

Claims (7)

  1.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 일면에 형성된 적외선 차단 코팅층;
    상기 기재필름 타면에 형성된 착색층;
    상기 착색층 타면에 엠보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타면에 부착되는 이형지를 포함하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층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안티몬 주석 산화물(ATO), 알루미늄 아연 산화물(AZO), 세라믹, 플루오린 주석 산화물(FTO), NIR Dyes, 유기산화물 및 무기산화물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은,
    베이스 수지에 염료 또는 안료를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수지는,
    멜라민 수지, 우레탄 수지 및 아크릴 수지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실리콘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올레핀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중 하나의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점착제가 음각형태의 패턴롤에 채워져 착색층이 형성된 기재필름이 패턴롤과 고무롤 사이를 지날 때 착색층에 전사되고 양각형태로 형상화 되어 엠보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말레익 무수수화물 중합 폴리프로필렌 및 실란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인 점착촉진제를 더 포함하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은,
    황산칼륨 및 호박산이나트륨을 더 포함하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
KR1020180133170A 2018-11-01 2018-11-01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 KR102135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170A KR102135510B1 (ko) 2018-11-01 2018-11-01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170A KR102135510B1 (ko) 2018-11-01 2018-11-01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519A true KR20200050519A (ko) 2020-05-12
KR102135510B1 KR102135510B1 (ko) 2020-07-20

Family

ID=7067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170A KR102135510B1 (ko) 2018-11-01 2018-11-01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508A (ko) * 2020-11-20 2022-05-27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패턴 인쇄를 통해 부착이 용이한 ir 차단 윈도우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249B1 (ko) * 2021-07-13 2023-05-16 주식회사 대성메디칼 침대시트 커버 및 그 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9396A (ko) * 1992-03-07 1993-10-18 랑핑어, 방에르트 시이트 복합재
JPH09156025A (ja) * 1995-11-30 1997-06-17 Toppan Printing Co Ltd 赤外線遮蔽フィルム
KR20080090880A (ko) * 2007-04-06 2008-10-09 이해욱 다층 점착 칼라 필름
KR20090009389U (ko) * 2008-03-14 2009-09-17 (주)엘지하우시스 이형지 및 이를 포함한 점착 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9396A (ko) * 1992-03-07 1993-10-18 랑핑어, 방에르트 시이트 복합재
JPH09156025A (ja) * 1995-11-30 1997-06-17 Toppan Printing Co Ltd 赤外線遮蔽フィルム
KR20080090880A (ko) * 2007-04-06 2008-10-09 이해욱 다층 점착 칼라 필름
KR20090009389U (ko) * 2008-03-14 2009-09-17 (주)엘지하우시스 이형지 및 이를 포함한 점착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508A (ko) * 2020-11-20 2022-05-27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패턴 인쇄를 통해 부착이 용이한 ir 차단 윈도우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510B1 (ko) 202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453B1 (ko) 자동차 및 인테리어용 필름
JP4240897B2 (ja) 化粧シート
EP3254844B1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member provided with decorative sheet
JP6459340B2 (ja) 鏡面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鏡面化粧板
JP6760459B2 (ja) 化粧シート
KR102135510B1 (ko)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적외선 차단 필름
JP5315885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2015086682A (ja) 化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板
JP6191110B2 (ja) 化粧シート
JP2015034462A (ja) 床用化粧材の製造方法
JP6969704B2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材、並びに表面保護層用樹脂組成物
TWI761369B (zh) 黏著片材積層體、賦形黏著片材積層體及其製造方法
JP5287420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5499430B2 (ja) 床材用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724468B2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形品
JP4617515B2 (ja) 三次元成形品加飾用積層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JP6809317B2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形品
WO2020203956A1 (ja) 化粧シート、化粧材及び樹脂組成物
JP4277650B2 (ja) 水圧転写用フィルムおよび水圧転写体
CN109997060B (zh) 具有防反射功能和红外线屏蔽功能的层压膜
KR102473642B1 (ko) 패턴 인쇄를 통해 부착이 용이한 ir 차단 윈도우필름
JP4359766B2 (ja) 化粧シート
JPH10157026A (ja) 化粧シート
JP6467784B2 (ja) 転写フィルムおよび加飾成形品
JP2017159650A (ja) 加飾成形品、転写シート及び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