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703A - 항산화능이 향상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산화능이 향상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703A
KR20200048703A KR1020180131079A KR20180131079A KR20200048703A KR 20200048703 A KR20200048703 A KR 20200048703A KR 1020180131079 A KR1020180131079 A KR 1020180131079A KR 20180131079 A KR20180131079 A KR 20180131079A KR 20200048703 A KR20200048703 A KR 20200048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mushroom
parts
je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5801B1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한국상황버섯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한국상황버섯 (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한국상황버섯 (주)
Priority to KR1020180131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8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1/10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23L31/15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8Vitamin 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자실체 추출물; 상황버섯 식초; 곤약분말; 구연산나트륨; 무수구연산;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항산화능이 향상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를 제공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젤리는 항암, 항염, 항균, 항산화, 면역력 강화 등의 건강기능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곤약을 사용하여 칼로리를 낮추면서 식이섬유 함량이 높아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항산화능이 향상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 및 그의 제조방법{JELLY COMPRISING Phellinus linteus EXTRACT IMPROVED ANTIOXIDANT ACTIVI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황버섯, 당귀 및 곤약분말을 이용하여 건강기능성이 향상시키고 항산화능이 향상되고, 식이섬유 함량이 높으며 기호성이 향상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못된 생활습관, 운동부족, 환경오염, 잘못된 식습관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인체에 치명적인 암, 비만, 심장병, 당뇨병 등 질병이 발생될 수 있다. 건강에 해를 주는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면역기능은 현저히 저하되고, 인체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으면 각종 질병에 노출되기 쉽고, 삶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
한편, 성인병의 발병률이 높아지는 한편, 안정적인 경제발전과 가계소득이 증대됨에 따라 건강에 대한 기대욕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일례로 식품과학 (Food Technology)의 발달, 생물소재 규명 등 농생물산업(BT)의 발전에 기인한 건강 기능화 식품개발과 식품시장의 활성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발맞춰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기 위한 건강 보조 식품이 급속히 제안 및 출시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건강 식품은 특정 성인병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형태별로는 음료, 캡슐, 환, 젤리 등이 있다.
한편, 상황버섯은 목질진흙버섯이라고 불리우기도 하며 뽕나무에서만 자생하며, 학명은 Phellinus linteus 이다. 상황버섯은 뽕나무의 그루터기에 자생하는 버섯으로 그 모양은 초기에는 노란 진흙 덩이가 뭉친 것 같은 형태를 유지하다가 다 자란 후의 형태는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이라고도 한다. 혓바닥같은 형태의 윗부분이 상황의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나지만 진흙과 같은 색깔을 나타내기도 하고, 감나무의 표피와 같이 검게 갈라진 모습 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상황버섯의 약리작용은 소화기 계통의 암인 위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결장암, 직장암을 비롯한 간암의 절제 수술후 화학요법을 병행할 때 면역기능을 항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자궁출혈 및 대하, 월경불순, 장출혈, 오장 및 위장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해독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상황버섯을 젤리의 성분으로 포함시켜 항암, 항염, 항균, 면역력 강화 등의 기능성을 최대화할 뿐 아니라, 기호도를 높여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젤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4516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황버섯 추출물, 상황버섯 배양액을 이용한 식초, 당귀를 포함시켜 항암, 항염, 항균, 항산화, 면역력 강화 등의 건강기능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곤약을 사용하여 칼로리를 낮추면서 식이섬유 함량을 높인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자실체 추출물; 상황버섯 식초; 곤약분말; 구연산나트륨; 무수구연산;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가 제공된다.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는 비타민 C 및 효소처리 스테비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는,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황버섯 식초 2 내지 6중량부; 당귀 추출물 2 내지 6중량부; 곤약분말 0.5 내지 1.2중량부; 구연산나트륨 0.08 내지 0.2중량부; 무수구연산 0.02 내지 0.1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10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황버섯 식초는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 후 수득된 상황버섯 배양액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는, 상기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C 0.08 내지 0.2중량부; 및 효소처리 스테비아 0.01 내지 0.05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는 당도가 8 내지 12 brix 일 수 있다.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는 pH 3.5 내지 4.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a)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자실체 추출물과 당귀 추출물을 물에 침지시키고 가열시켜 상황버섯/당귀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상황버섯/당귀 혼합 추출액에 곤약분말과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하고 교반한 후 냉각시켜 냉각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냉각 혼합액에 상황버섯 식초, 구연산나트륨 및 무수구연산을 혼합한 후 소정의 형태로 굳혀 젤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단계 (a)의 상기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자실체 추출물 또는/및 당귀 추출물은,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자실체 또는/및 당귀의 건조분말에 10 내지 10배의 물을 가하고, 0.8 내지 1.2 kg/cm2의 압력을 가하여 30 내지 90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단계 (a)의 상기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자실체 추출물 또는/및 당귀 추출물은,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자실체 또는/및 당귀의 건조분말에 10 내지 10배의 50 내지 75% 에탄올 수용액 또는 메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4 내지 7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단계 (a)에서, 상기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과 당귀 추출물의 혼합물, 및 물은 3:1 내지 1:1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단계 (a)에서, 상기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자실체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당귀 추출물 2 내지 4중량부로 혼합할 수 있다.
단계 (b)에서, 상기 교반은 20 내지 6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단계 (b)에서 상기 냉각은 50 내지 60℃가 되도록 수행할 수 있다.
단계 (b)에서, 상기 상황버섯/당귀 혼합 추출액에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곤약분말 0.5 내지 1.2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10 내지 15중량부의 함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단계 (c)에서, 상기 냉각 혼합액에 상기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황버섯 식초 2 내지 6중량부; 구연산나트륨 0.08 내지 0.2중량부; 및 무수구연산 0.02 내지 0.1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단계 (c)에서, 상기 냉각 혼합액에 비타민 C 및 효소처리스테비아를 추가로 혼합할 수 있다.
단계 (c)에서, 상기 냉각 혼합액에 상기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C 0.08 내지 0.2중량부; 및 효소처리 스테비아 0.01 내지 0.05중량부;를 추가로 혼합할 수 있다.
단계 (c)의 상기 상황버섯 식초는, 소정의 배지에 상황버섯 균사체를 접종하여 배양된 상황버섯 배양액을 준비하는 단계; 소정의 배지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전배양(pre-cultivation) 함으로써 전배양 초산균을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전배양 초산균을 상기 상황버섯 배양액에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상황버섯 식초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는 상황버섯 추출물, 상황버섯 배양액을 이용한 식초, 당귀를 포함시켜 항암, 항염, 항균, 항산화, 면역력 강화 등의 건강기능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곤약을 사용하여 칼로리를 낮추면서 식이섬유 함량이 높아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각각 제조된 젤리 샘플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는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자실체 추출물, 및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 후 수득된 상황버섯 배양액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상황버섯 식초를 포함하는 상황버섯 혼합 추출물; 당귀 추출물; 곤약분말; 구연산나트륨; 무수구연산;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는 비타민 C 및 효소처리 스테비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의 성분 함량은,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황버섯 식초 2 내지 6중량부; 당귀 추출물 2 내지 6중량부; 곤약분말 0.5 내지 1.2중량부; 구연산나트륨 0.08 내지 0.2중량부; 무수구연산 0.02 내지 0.1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10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는, 상기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C 0.08 내지 0.2중량부; 및 효소처리 스테비아 0.01 내지 0.05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는 당도가 8 내지 12 brix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1 brix.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brix 일 수 있다.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는 pH 3.5 내지 4.0 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황버섯( Phellinus linteus ) 자실체 추출물과 당귀 추출물을 물에 침지시키고 가열시켜 상황버섯/당귀 혼합 추출액을 제조한다(단계 a).
상기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자실체 추출물은 아래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함으로써 항산화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방법으로는, 상황버섯 자실체를 건조하여 17 내지 20메쉬(mesh)로, 바람직하게는 20메쉬로 분쇄하여 상황버섯 분말을 제조한다. 이후, 상기 상황버섯 분말의 중량대비 10 내지 15배 이하의 물을 가하고 90 내지 100℃에서 4 내지 7시간 추출하거나, 0.8 내지 1.2kg/cm2 압력을 가하여 끓는점이 110 내지 130℃가 되도록 하여 30 내지 90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는, 상황버섯 분말의 중량대비 10 내지 15배 이하의 50 내지 75 % 에탄올 수용액 또는 메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50 내지 70℃에서 4 내지 7시간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당귀 추출물은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가열은 상황버섯/당귀 혼합 추출액이 90 내지 110℃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과 당귀 추출물의 혼합물, 및 물은 3:1 내지 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젤리의 식감을 부드럽게 하는 경우 물의 함량을 높이고, 쫄깃한 식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물의 함량을 상대적으로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자실체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당귀 추출물 2 내지 4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상황버섯/당귀 혼합 추출액에 곤약분말과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하고 교반한 후 냉각시켜 냉각 혼합액을 제조한다(단계 b).
상기 교반은 20 내지 6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은 50 내지 60℃가 되도록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황버섯/당귀 혼합 추출액에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곤약분말 0.5 내지 1.2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10 내지 15중량부의 함량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냉각 혼합액에 상황버섯 식초, 구연산나트륨 무수구연산을 혼합한 후 소정의 형태로 굳혀 젤리를 제조한다(단계 c).
상기 냉각 혼합액에 상기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황버섯 식초 2 내지 6중량부; 구연산나트륨 0.08 내지 0.2중량부; 및 무수구연산 0.02 내지 0.1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냉각 혼합액에 비타민 C 및 효소처리 스테비아를 추가로 혼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 혼합액에 상기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C 0.08 내지 0.2중량부; 및 효소처리 스테비아 0.01 내지 0.05중량부;를 추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황버섯 식초는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 후 수득된 상황버섯 배양액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래의 단계에 따라 상황버섯 식초를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소정의 배지에 상황버섯 균사체를 접종하여 배양된 상황버섯 배양액을 준비한다. 상기 배양은 25 내지 35℃에서 40 내지 8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황버섯 배양액은 배양된 상황버섯 균사체를 분리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분리된 상황버섯 균사체는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젤리에 추출물 형태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상황버섯 배양액에 알코올을 첨가하여 알코올 함량이 2 내지 10wt%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소정의 배지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전배양(pre-cultivation) 함으로써 전배양 초산균을 배양한다.
상기 전배양은 25 내지 35℃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지는 TSA(trypticase soy agar) 배지, TSB(trypticase soy broth) 배지,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 YMA (yeast-malt agar) 배지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전배양 초산균을 상기 상황버섯 배양액에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상황버섯 식초를 제조한다. 상기 발효는 25 내지 35℃에서 40 내지 8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를 제공한다.
[실시예]
제조예 1: 상황버섯 열수추출물 제조
1kg의 상황버섯 자실체를 건조하여 20메쉬(mesh)로 분쇄하고, 상황버섯 분말의 중량대비 15배 이하의 물을 가하고 1kg/cm2 압력을 가함으로써 끓는점이 121 ℃가 되도록 하여 1시간 동안 추출하여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당귀 열수추출물 제조
상황버섯 자실체 대신에 당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당귀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상황버섯 배양액 식초 제조
PDB(potato dextros broth) 배양액에 전배양한 상황버섯 균사체 1wt%를 접종하여 30℃에서 60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황버섯 배양액을 분리하였다. 한편, 별도의 PDB 배양액에 초산균 1wt%를 접종하여 30℃에서 30시간 동안 전배양하여 전배양 초산균을 준비하였다. 이후, 상기 상황버섯 배양액에 에탄올을 6wt%로 첨가하고, 여기에 전배양 초산균을 1wt%로 접종하여 30℃, 60시간 동안 발효시킴으로써 상황버섯 식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 젤리 제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상황버섯 열수추출물,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당귀 추출물을 혼합하고, 혼합물의 중량과 동일한 중량의 물에 넣어 약 100℃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상황버섯/당귀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곤약분말과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하여 30분 동안 교반하면서 55℃까지 냉각시켰다. 이후, 냉각된 혼합물에 상황버섯 식초, 구연산나트륨, 무수구연산, 비타민 C 및 효소처리스테비아를 넣고 혼합하고 스틱형 틀에 부어 젤리를 제조하였다.
아래의 표 1에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젤리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함량을 정리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원재료명 함량(%) 배합량(g) 함량(%) 배합량(g) 함량(%) 배합량(g) 함량(%) 배합량(g)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액 80.054 400.270 80.154 400.770 80.254 401.270 80.354 401.770
상황버섯 식초 4.000 20.000 4.000 20.000 4.000 20.000 4.000 20.000
당귀 추출액 4.000 20.000 4.000 20.000 4.000 20.000 4.000 20.000
곤약분말 0.800 4.000 0.700 3.500 0.600 3.000 0.500 2.500
구연산나트륨 0.010 0.050 0.010 0.050 0.010 0.050 0.010 0.050
비타민C 0.080 0.400 0.080 0.400 0.080 0.400 0.080 0.400
무수구연산 0.040 0.200 0.040 0.200 0.040 0.200 0.040 0.200
효소처리스테비아 0.016 0.080 0.016 0.080 0.016 0.080 0.016 0.080
올리고당 11.000 55.000 11.000 55.000 11.000 55.000 11.000 55.000
합계 100 500 100 500 100 500 100 500
- 항 목 배합액 항 목 배합액 항 목 배합액 항 목 배합액
당도 Brix 9.20 Brix 10.5 Brix 10.3 Brix 9.5
pH pH 3.51 pH 3.59 pH 3.41 pH 3.37
비교예 1
상황버섯 식초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젤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당귀 추출액 대신에 오가피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젤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당귀 추출액 대신에 감초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젤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황버섯추출액 대신에 인삼추출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젤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면역력 활성 시험
흰쥐용 고형사료를 기본식이로 하여 면역력 활성 동물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젤리를 매일 1g씩 경구투여하고, 물 투여군은 양성 대조군으로 하고, 면역주사 처리군은 음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동물시험용 흰쥐는 생후 4주령(평균체중 약 24g)인 마우스(Balb/c) 70수로 하였고, 각 처리군당 10마리씩 배치하여 8주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온도 조건은 18 내지 20℃, 조명주기는 12시간으로 조절하였으며 물과 기본 식이는 자유급이 시켰다. 면역처리는 젤리 투여 2주 후에 SRBC(양적혈구)를 3, 24, 48시간 간격으로 발바닥에 피하 주사하였다.
전반적인 면역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양적혈구 항원에 대한 적혈구응집소가 시험은 총 항체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채혈한 마우스의 혈청을 분리하여 적혈구 응집소가를 측정하였다. 미세적정 트레이의 각혈에 55℃에서 고정시킨 혈청에 같은 양의 0.5% 양적혈구 부유액을 혼합하여 37℃에서 1시간 방치한 후, 용집을 일으킨 혈청의 최고 희석도를 항체가로 판독하여 아래의 표 2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처리군 상황버섯 식초 당귀추출물 오가피추출물 감초추출물 인삼추출물 응집소가 (Log2)
4주 8주
실시예 2 х х х 4.3±0.45 6.2±0.44
비교예 1 х х х х 2.1±0.65 3.8±1.23
비교예 2 х х х 4.2±0.04 6.0±0.48
비교예 3 х х х 2.4±0.87 5.9±0.28
비교예 4 х х х 2.7±0.66 4.1±0.36
양성 대조군 - - - - 1.8±0.45 2.2±1.05
음성 대조군 - - - 2.4±0.60 3.0±0.83
표 2에 따르면, 상황버섯 식초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젤리와 상황버섯 추출액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4의 처리군이 상대적으로 면역기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황버섯 추출액과 상황버섯 식초를 포함하는 실시예 2,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젤리는 당귀, 오가피, 감초 추출물 중 어느 것을 포함하는지와 관련없이 유사한 수준의 면역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2: 항산화 활성 시험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젤리에 대하여 DPPH를 이용하여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홀전자(odd electron)로 인해 517 nm 부근에서 흡광도가 극대화되며 DPPH 분자 내의 질소가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쉽게 전자를 받아들이는 성질이 있다. 또한, 시스테인, 글루타치온과 같은 함황 아미노산과 토코페롤, 비타민 C, 폴리히드록시 방향족, 방향족 아민류 등의 항산화 물질과 반응하여 전자를 받게 되면 히드라진 형태의 안정한 분자로 환원되며 짙은 자색이 탈색되므로 탈색 정도가 항산화 물질의 전자공여능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시험예에서는 젤리를 액체상태로 녹인 시료 1g과 0.4 mM DPPH 용액 1㎖를 혼합하여 1 시간 동안 반응시켜 517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래의 표 3에 측정된 전자공여능(EDA)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처리군 상황버섯 식초 당귀추출물 오가피추출물 감초추출물 EDA (%)
실시예 2 х х 59.2
비교예 1 х х х 46.1
비교예 2 х х 57.2
비교예 3 х х 58.3
비교예 4 х х х 48.7
표 3에 따르면,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젤리의 항산화 기능은 상술한 면역 기능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나 상황버섯 식초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과 상황버섯 추출액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4의 젤리의 경우 상대적으로 항산화 기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3: 관능평가
20명의 평가 요원을 선정하여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젤리에 대해 9점 척도법으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 평가는 맛, 향,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 4개 항목으로 실시하였으며, 각 검사 항목별로 1점은 매우 나쁨을 나타내고, 9점은 매우 좋음을 표시한다.
구분 조직감 전체적 기호도
실시예 1 7.2 7.5 6.5 7.0
실시예 2 7.5 7.6 8.5 8.0
실시예 3 7.7 7.5 8.0 7.8
실시예 4 7.0 7.7 6.3 6.8
비교예 1 7.7 7.6 8.6 8.0
비교예 2 3.5 3.8 7.9 4.2
비교예 3 4.2 4.5 8.0 4.7
비교예 4 7.5 7.9 8.2 8.0
표 4에 따르면, 당귀 추출물 대신에 오가피나 감초가 포함된 비교예 2와 비교예 3에서 맛과 향의 평가가 낮고, 전체적 기호도도 낮게 평가되었다. 다시 말해, 당귀 추출물이 젤리에 포함되어 맛과 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자실체 추출물; 상황버섯 식초; 곤약분말; 구연산나트륨; 무수구연산;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는,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황버섯 식초 2 내지 6중량부;
    당귀 추출물 2 내지 6중량부;
    곤약분말 0.5 내지 1.2중량부;
    구연산나트륨 0.08 내지 0.2중량부;
    무수구연산 0.02 내지 0.1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10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버섯 식초는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 후 수득된 상황버섯 배양액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는 비타민 C 및 효소처리 스테비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는,
    상기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C 0.08 내지 0.2중량부; 및
    효소처리 스테비아 0.01 내지 0.05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
  6. (a)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자실체 추출물과 당귀 추출물을 물에 침지시키고 가열시켜 상황버섯/당귀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상황버섯/당귀 혼합 추출액에 곤약분말과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하고 교반한 후 냉각시켜 냉각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냉각 혼합액에 상황버섯 식초, 구연산나트륨 및 무수구연산을 혼합한 후 소정의 형태로 굳혀 젤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의 제조방법.
KR1020180131079A 2018-10-30 2018-10-30 항산화능이 향상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35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079A KR102135801B1 (ko) 2018-10-30 2018-10-30 항산화능이 향상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079A KR102135801B1 (ko) 2018-10-30 2018-10-30 항산화능이 향상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703A true KR20200048703A (ko) 2020-05-08
KR102135801B1 KR102135801B1 (ko) 2020-07-20

Family

ID=7067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079A KR102135801B1 (ko) 2018-10-30 2018-10-30 항산화능이 향상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8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888B1 (ko) * 2022-09-14 2023-09-04 방광덕 상황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추출물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202B1 (ko) * 1996-12-20 1999-06-15 윤영달 버섯추출물을 함유하는 과자류의 제조방법
KR100445169B1 (ko) 2002-04-26 2004-08-21 (주)한미식품 조미곤약 젤리포의 제조방법
KR100448009B1 (ko) * 2001-10-11 2004-09-08 강명화 생약추출물 함유 기능성 젤리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기능성 젤리
KR100783258B1 (ko) * 2007-05-28 2007-12-06 강용수 버섯식초를 이용한 시럽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101778044B1 (ko) * 2015-06-08 2017-09-15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천마 함유 신맛 오렌지 젤리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202B1 (ko) * 1996-12-20 1999-06-15 윤영달 버섯추출물을 함유하는 과자류의 제조방법
KR100448009B1 (ko) * 2001-10-11 2004-09-08 강명화 생약추출물 함유 기능성 젤리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기능성 젤리
KR100445169B1 (ko) 2002-04-26 2004-08-21 (주)한미식품 조미곤약 젤리포의 제조방법
KR100783258B1 (ko) * 2007-05-28 2007-12-06 강용수 버섯식초를 이용한 시럽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101778044B1 (ko) * 2015-06-08 2017-09-15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천마 함유 신맛 오렌지 젤리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888B1 (ko) * 2022-09-14 2023-09-04 방광덕 상황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추출물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801B1 (ko) 202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66723C (zh) 衍生自壳斗植物的糖酶抑制剂及其应用
KR101514918B1 (ko) 도라지와 배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배-도라지청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757651B (zh) 一种富硒及富花青素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958588B (zh) 一种以神秘果叶作为主要原料的组合物及其作为药物或保健品的应用
Basharat et al.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file of carob bean (Ceratonia siliqua): A comprehensive review
JP2018519337A (ja) 便秘及び疲労回復の改善機能を有する発酵ミネラル生食丸剤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発酵ミネラル生食丸剤
Ikram et al. Nutritional, biochemical,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carob: A review
KR102135801B1 (ko) 항산화능이 향상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21530B1 (ko)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104651A (ko) 마(산약)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16708A (ko) 발효홍국 가바찰곤약쌀의 제조방법
KR101350046B1 (ko) 항비만 효능을 갖는 복합 생약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240115644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gastritis or peptic ulcer comprising extract of cinnamomum cassia, fraction of said extract, isolate of said fraction or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US10183052B2 (en) Mutant tomatoes and use thereof for preventing weight gain and/or treating obesity-related conditions
JP2007195444A (ja) ダイエット飲食品
AU2013303289B2 (en) Mutant tomatoes and use thereof for preventing weight gain and/or treating obesity-related conditions
KR102133015B1 (ko) 당뇨병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30128066A (ko) 민들레를 이용한 기능성 발효음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민들레를 이용한 기능성 발효음료
KR101901764B1 (ko) 유산균환의 제조방법
KR101026523B1 (ko) 흑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조절 및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첨가물
KR101219779B1 (ko) 체중 및 체지방 감소 효과가 있는 다이어트용 양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00584B1 (ko) 발효 당침지 검정콩 스낵의 제조방법
KR102597975B1 (ko) 항산화능이 향상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어린이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77106A (ko) 지각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또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482895B1 (ko) 황토 지장수와 과일 발효액을 이용한 생식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