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7935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7935A
KR20200047935A KR1020180129170A KR20180129170A KR20200047935A KR 20200047935 A KR20200047935 A KR 20200047935A KR 1020180129170 A KR1020180129170 A KR 1020180129170A KR 20180129170 A KR20180129170 A KR 20180129170A KR 20200047935 A KR20200047935 A KR 20200047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grain tank
exhaust gas
sorting device
com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원호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9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7935A/ko
Publication of KR20200047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05General auxiliary catalysts, e.g. upstream or downstream of the main catalyst
    • F01N3/106Auxiliary oxidation cataly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콤바인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좌, 우측 크롤러식 주행륜에 의해 전ㅇ후ㅇ좌ㅇ우로 기동 가능한 기체, 기체 전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기체 전진 이동 시 작물의 줄기 밑부분을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베어내는 예취수단, 기체 일측에 구비되며 예취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물로부터 곡물을 털어내는 탈곡부와 탈곡부 하방의 선별부로 구성된 탈곡ㅇ선별장치, 기체 타측에 상기 탈곡·선별장치와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선별부에 의해 선별 처리된 곡물의 낟알들을 저장하는 곡물탱크 및 탈곡ㅇ선별장치와 곡물탱크 사이의 소정의 공간부에 설치되며 배기가스 중의 유해물질을 저감시켜 대기중에 배출하는 배기가스 정화유니트를 포함하며, 탈곡ㅇ선별장치와 대면하는 곡물탱크의 측면부 일부는 배기가스 정화유니트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탈곡ㅇ선별장치 쪽으로 팽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화된 배기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배기가스 정화유니트가 탑재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Combine)은 강력한 힘을 필요로 하는 작업특성상 디젤엔진을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디젤엔진은 잘 알려진 것처럼 다른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에 비해 유해가스, 공해물질이 많이 배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배기가스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에서 그 규제를 총족시키기 위한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오염도를 낮추려는 시도로서 배기가스 정화처리를 위한 장치의 장착을 예로 들 수 있다. 배기가스 내 정화 대상물은 주로 질소 산화물(NOx)과 입자상 물질(이하 'PM'이라 함)이며, 이를 위해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디젤입자필터)나 NOx 촉매(DOC, Diesel Oxidation Catalyst)로 구성된 후처리 장치를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특히 최근 유럽이나 북미 등 선진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Tier 4 수준의 강력한 배기가스 규제를 총족시키기 위하여, 기존 대형트럭 등에나 적용되던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촉매 환원 장치)을 상기 콤바인에도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
참고로 SCR은 배기가스에 요소수(NH3 성분)를 분사하여 배기가스 중의 NOx를 인체에 무해한 질소(N2)d와 물(H2O)로 변환되는 원리를 이용한 배기가스 저감장치이다.
그러나 콤바인(combine)은 다른 농작업 차량과는 다르게 수확장치, 탈곡장치, 선별장치, 곡물탱크(grain tank) 등의 다양한 장치들이 하나의 기체에 탑재된 구성을 이룸에 따라 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며, 따라서 상기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를 추가 적용함에 있어 공간적인 제약이 상당이 클 수 밖에 없다.
전체적인 레이아웃 및 다른 장치들과의 간섭 등을 고려해 종래 기술로서, 상기 후처리 장치를 탈곡장치 상부 또는 주행기체의 하부 측에 배치시킨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후처리 장치 설치를 위한 지지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고, 특히 정비 측면에서 부적합한 구조이어서 장치 유지보수에 있어 곤란함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후처리 장치의 경우 처리 대상물인 질소 산화물을 고온환경에서 산화시켜 흡착, 연소처리하기 때문에 적절한 고온환경을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탈곡장치의 상부나 주행기체의 하부에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를 배치하게 되면 주변부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시키기 어려워 정화처리 성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지 못한다.
이에 제한된 공간(space)을 유효하게 활용하면서 정비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탈곡장치와 곡물탱크 사이의 공간에 후처리 장치를 장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 기술은 고온 환경으로 유지되는 엔진 근접 위치의 탈곡장치와 곡물탱크 사이에 후처리 장치가 배치됨으로써 배기가스 정화처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 설치된 부품들과의 간섭 때문에 주변 구성품에 대한 설계 변경 없이 탈곡장치와 곡물탱크 사이의 좁은 공간 안에 상기 후처리 장치를 추가로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며, 이를 위해서는 그나마 설계 변경이 용이한 곡물탱크의 형상을 불가피하게 바꿔야 하지만 이 과정에서 곡물탱크의 용량이 축소되는 문제가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8-031955호 (공개일 2008. 02. 1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곡물탱크의 용량 축소를 최소화 하면서 배기가스 정화유니트의 추가 설치에 있어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의 콤바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좌, 우측 크롤러식 주행륜에 의해 전ㅇ후ㅇ좌ㅇ우로 기동 가능한 기체;
상기 기체 전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기체 전진 이동 시 작물의 줄기 밑부분을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베어내는 예취수단;
상기 기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예취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물로부터 곡물을 털어내는 탈곡부와 탈곡부 하방의 선별부로 구성된 탈곡ㅇ선별장치;
상기 기체 타측에 상기 탈곡ㅇ선별장치와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선별부에 의해 선별 처리된 곡물의 낟알들을 저장하는 곡물탱크; 및
상기 탈곡ㅇ선별장치와 곡물탱크 사이의 소정의 공간부에 설치되며 배기가스 중의 유해물질을 저감시켜 대기중에 배출하는 배기가스 정화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탈곡ㅇ선별장치와 대면하는 곡물탱크의 측면부 중 일부가 상기 배기가스 정화유니트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탈곡ㅇ선별장치 쪽으로 팽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유니트는,
엔진 배기 측에 연결되며 상기 곡물탱크 하측 경사면 하부의 기체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DOC와;
상기 경사면 하부의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구조물에 의해 상기 DOC 상측의 탈곡·선별장치와 곡물탱크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SCR과;
상기 탈곡·선별장치와 곡물탱크 사이 공간부에 세로로 배치되며 상기 DOC와 SCR을 배기가스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와;
기체 후방을 향하여 상기 SCR의 배기가스 배출 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 파이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곡물탱크 전단 측면부 하부에 상기 DOC, 지지구조물, SCR에 대응하여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오목부 상부에는 상기 연결 파이프 상단 곡관부에 대응하여 제2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오목부 후방에는 상기 배출 파이프 일단 수직관부에 대응하여 제3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오목부가 제2, 제3 오목부에 비해 곡물탱크 내측으로 더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오목부와 제3 오목부 사이에 소정의 높이로 세로 팽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세로 팽출부보다 탈곡ㅇ선별장치 측으로 더 팽출되는 전방 가로 팽출부가 상기 세로 팽출부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가로 팽출부 후방에 후방 가로 팽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가로 팽출부 하부에는 상기 탈곡·선별장치에서 곡물탱크 측으로 돌출되는 구성품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제4 및 제5 오목부가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별부에 의해 선별 처리된 곡물의 낟알들을 곡물탱크로 공급하는 이송장치에 대응하여 탈곡ㅇ선별장치와 대면하는 곡물탱크의 측면부 중앙에 세로로 길게 중앙 세로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에 의하면, 탈곡ㅇ선별장치와 곡물탱크 사이에 배기가스 정화유니트가 배치됨에 따라, 여유공간의 유효한 활용이라는 공간적인 측면에서의 장점과 더불어, 강화된 배기가스 규제에 대응해 정화유니트를 추가 장착함에 있어 공간 확보나 레이아웃(ray-out) 변경을 위한 노력과 이에 수반되는 시간적 금전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배기가스 정화유니트에 대응하여 곡물탱크의 측면부가 다수의 오목부와 팽출부에 의해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배기가스 정화유니트 추가 적용을 위해 곡물탱크 형상을 일부 변경함에 있어 수반되는 곡물탱크의 용량 축소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배기가스 정화유니트의 장착이 용이하게 는 이루어질 수 있다는 구조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오목부와 팽출부에 의하여 배기가스 정화유니트가 형성하는 배기라인과 인접하는 곡물탱크의 면적이 크게 증대됨으로써, 곡물탱크 안에 들어있는 곡물 건조에 있어서도 유리한 효과가 발휘될 수 있고, 고온환경으로 유지되는 엔진 근접 위치에 배기가스 정화유니트가 배치됨에 따라 배기가스 정화처리 성능 또는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우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 개략도.
도 5는 곡물탱크 측에서 바라본 기체의 내측 측면도.
도 6은 탈곡·선별장치 측에서 바라본 기체의 내측 측면도.
도 7은 기체 위에서 바라본 기체의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기체를 콤바인 전방 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9는 곡물탱크를 기체 내측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을 우측과 좌측에서 각각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과 도 2를 통해 도시된 콤바인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전체적인 구성부터 먼저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은 크게, 기체(1)와, 기체(1) 전방의 예취부(3)로 구성된다. 기체(1)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좌, 우측 크롤러식 주행륜(2)을 갖고, 예취부(3)는 상기 주행기체(1) 전단에 설치되는 예취부 프레임(32)을 통해 상기 기체(1)의 전측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취부(3)는 작동방향이 상반되는 2조의 바리칸 타입(bariquant type)의 예취기를 구비한다. 예취기에 의해 베어진 작물은 예취부(3)를 구성하는 반송수단(부호 생략)을 통해 기체(1) 측의 공급체인(4)으로 안전하게 반송되고, 공급체인(4)에 의해 기체(1) 일측의 탈곡·선별장치(8)로 이동된다.
탈곡·선별장치(8)를 거치면서 작물 이삭에 대한 탈곡과 동시에, 탈곡 처리된 작물의 낟알과 함께 포함되어 있던 나락과 지푸라기 등을 걸러내는 선별작업이 수행되고, 선별작업을 거쳐 최종 선별된 낟알은 기체의 다른 측방 내측의 곡물탱크(9)로 반송되어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오거(auger, 6)를 통해 기체(1) 밖으로 배출된다.
예취부(3) 승강 및 기체 주행과 관련한 조작은 기체(1) 타측 전방에 마련되는 기체 조작부(7, 운전석)의 레버를 통해 수행되며, 기체 조작부(7) 즉, 운전석 하방과 곡물탱크(9) 사이의 여유공간에는 실질적으로 기체 주행 및 콤바인에 마련되는 다양한 장치 구동을 위한 출력을 발생시키는 엔진(10)이 배치된다.
기체 조작부(7)는 도면과 같이 외부에 노출된 구조 또는 캐빈에 의해 보호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엔진(10)은 그 출력축이 기체(1)의 좌우 폭방향을 향하도록 엔진 룸(부호 생략)에 횡행 탑재된다. 그리고 기체 조작부(7)와 곡물탱크(9) 사이의 개폐 가능한 방진커버어셈블리(11)가 엔진 룸을 측면에서 덮는다.
방진커버어셈블리(11)는 외기와 함께 도입되는 이물 여과를 위한 공지의 로터리 스크린 장치를 비롯해 엔진 냉각용 순환수와 유압장치 구동용 오일, 흡기 냉각을 위한 각종 냉각 유닛(인터쿨러(110), 오일쿨러(115), 라디에이터(미도시) 등, 도 5 참조)들을 모듈화한 구성일 수 있다.
도 4는 예취부로부터 제공되는 작물의 탈곡 및 선별을 위한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를 개략 도시한 개략도이다.
탈곡·선별장치(8)는 탈곡용 탈곡통(50)과, 탈곡통(50)의 하부를 둘러싸는 수망(54)으로 이루어진 탈곡부를 포함한다. 탈곡통(50)의 둘레면에는 작물 이삭에 붙은 낟알을 훑어 내는 급치(52)가 일정한 배열로 부착되어 있으며, 수망(54)은 상기 탈곡통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탈곡통의 하부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장착된다.
탈곡통(50)은 엔진 동력으로 회전되며, 탈곡통(50)의 회전에 따른 충격작용과, 급치(52)에 의한 훑음 작용, 그리고 탈곡통(50)과 수망(54) 사이에서의 마찰작용 등에 의해 탈곡부(5)로 반송된 작물에 대한 탈곡(脫穀)이 행해지고, 탈곡과정을 거쳐 탈곡된 낟알은 수망(54)을 통과해 그 하방의 선별부로 낙하 공급된다.
선별부는 상기 탈곡부를 통해 탈곡 처리된 곡물을 요동선별하는 요동선별체(80)와, 중량선별을 위해 바람을 일으키는 선별풍 발생기(85)를 포함한다. 요동선별체(80)는 쭉정이나 티클을 걸러낼 때 사용되는 도구인 키를 까부르는 듯이 상하 및 전후로 요동되며, 상기 선별풍 발생기(85)는 요동선별체(80)를 향해 선별을 위한 바람을 제공한다.
다단에 걸친 보다 정밀한 선별을 위해, 요동선별체(80)는 피드 팬(feed pan, 82)과, 피드 팬 후방으로 연속된 채프시브(chaff sieve, 83), 그리고 이들을 감싸는 시브 케이스(81)로 구성되며, 이때 피드 팬(82)은 곡물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진 쐐기형 요철편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채프시브(83)는 다수의 채프 핀을 구비한다.
채프시브(83)를 통과한 낟알 중 비중이 비교적 무거운 낟알은 상기 선별풍 발생기(85) 후방의 제1 이송스크류(87) 측으로 낙하되고 이를 통해 기체 다른 측방 내측의 상기 곡물탱크(9)로 반송되며, 채프시브(83)를 통과한 낟알 중 비교적 가벼운 낟알과 검불 등은 선별풍 발생기(85)가 일으키는 바람의 영향을 받아 제2 이송스크류(89) 쪽으로 날려진다.
제2 이송스크류(89)로 보내진 선별 대상물(낟알과 검불 등)은 상기 제2 이송 스크류(89)를 통해 상기 피드 팬(82)으로 다시 반송되며, 중량 선별과정에서 걸러진 나락이나 지푸라기와 같은 검불 등은 상기 탈곡부(5)의 후방에 배치된 배진 팬(86)에 흡입된 뒤 기체의 후방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해 기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5는 곡물탱크 측에서 바라본 기체의 내측 측면도이며, 도 6은 탈곡ㅇ선별장치 측에서 바라본 기체의 내측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기체 위에서 바라본 기체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기체를 콤바인 전방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기체(1)의 곡물탱크(9)와 탈곡·선별장치(8) 사이에는 배기가스 중의 유해물질을 저감시켜 대기중에 배출하는 배기가스 정화유니트(15)가 설치된다. 이때 배기가스 정화유니트(15)는 상기 곡물탱크(9)와 탈곡ㅇ선별장치(8)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DOC(16)와 SCR(18), 그리고 연결 파이프(17) 및 배출 파이프(19)를 포함한다.
엔진(10)은 배기 측 배기매니폴드(104)가 상기 배기가스 정화유니트(15)를 향하고 반대편 흡기매니폴드(102)가 기체 전방을 향하도록 곡물탱크 전방의 기체 프레임(14) 상에 탑재되며, 배기매니폴드(104)에는 배출 배기가스로 구동되어 흡기 측으로 도입될 외부공기를 압축시키는 터보차져(108, 사양에 따라 생략 가능)가 연결될 수 있다.
터보차져(108)에 의한 압축공기는 전술한 상기 인터쿨러(110)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압축과정에서 저하된 공기 밀도를 회복하며, 인터쿨러(110)와 엔진(10)의 흡기 측을 잇는 흡기라인(미도시)을 통해 엔진(10)의 상기 흡기매니폴드(102)로 공급된다. 그리고 흡기매니폴드(102)를 거쳐 엔진(10)의 각 실린더 내에 균등하게 배분된다.
터보차져(108)의 배출 측은 곡물탱크(9)와 탈곡·선별장치(8) 사이에 설치되는 배기가스 정화유니트(15)에 파이프(150)를 통해 배기가스가 유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터보차져(108)가 배출하는 배기가스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유니트(15)로 유입되고 일련의 처리를 거쳐 오염물질이 극히 저감된 상태로 대기중에 배출된다.
배기가스 정화유니트(15)을 구성하는 상기 DOC(16, 디젤 산화 촉매, Diesel Oxidation Catalyst)는 고온환경에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HC(탄화수소)를 연소시켜 흡착 제거함으로써 PM(입자상 물질)의 비율을 낮춘다. 그리고 SCR(18, 선택적 촉매,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은 질소 산화물(NOx)에 가수분해된 암모니아를 반응시켜 무해한 질소로 변환시킨다.
DOC(16)는 벌집 형태의 허니컴 담체(擔體)에 금속 촉매 예컨대, 백금(Pt)을 채워 SOF(Soluble Organic Fraction, 용해성 유기물질) 성분을 산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DOC(16)는 단면이 다각형인 복수의 통공을 갖는 셀 구조체와 이를 둘러싸는 외벽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배기가스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SCR(18)에 앞서 배치된다.
DOC(16)는 엔진(10) 인접 후방의 곡물탱크(9) 내측면 하측의 경사면 하부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엔진(10) 구동 시 진동에 의해 유발되는 오작동 방지를 위해, 엔진(10) 배기 측에 배치되는 상기 터보차져(108)보다 낮게 위치되는 중량체인 기체 프레임(14) 상에 브라켓(부호 생략)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SCR(18)은 DOC(16)의 배기가스 배출 측에서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파이프(17)를 통해 상기 DOC(16)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DOC(16)를 통해 1차 정화 처리된 배기가스는 연이어 SCR(18)로 흘러 들어가 2차 정화 처리를 거치게 되며, 최종 정화 처리된 배출 배기가스는 배출 파이프(19)를 통해 대기중에 배출된다.
SCR(18)은 탈곡·선별장치(8)와 곡물탱크(9) 사이의 공간부에 기체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상기 곡물탱크(9) 내측면 하측의 경사면 하부의 기체 프레임(14)에 결착되는 지지구조물(180)에 의해 상기 DOC(16) 상측의 상기 탈곡·선별장치(8)와 곡물탱크(9)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기체의 전후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SCR(18) 전단의 입구(부호 생략)에 상기 DOC(16)에서 연장된 연결 파이프(17)가 접속되고, 반대편 후단의 출구(부호 생략)에 상기 배출 파이프(19)가 배기가스 유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도면에는 원통모양으로 된 SCR(18)이 예시되어 있으나 길이나 형상에 있어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SCR(18) 배출 측에서 연장되는 배출 파이프(19)는 탈곡·선별장치(8)와 곡물탱크(9) 사이의 공간부를 따라 기체 후미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구성을 이룸으로써, 배출 배기가스의 엔진(10) 재유입 및 고온 배출 배기가스에 의한 화재가 방지될 수 있으며, 습전 작업 또는 우천 시 침수로부터 상기 배출 파이프(19)가 보호될 수 있다.
도 9는 곡물탱크를 기체 내측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앞선 도 6 내지 도 8과 함께 참조하면, 곡물탱크(9)는 기체 전방 또는 후방에서 보았을 때 그 하부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8 참조). 또한 도 9의 도시와 같이, 탈곡ㅇ선별장치(8)와 대면하는 곡물탱크(9)의 측면부 일부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유니트(15)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탈곡·선별장치(8) 쪽으로 팽출된다.
구체적으로, 낟알을 선별부에서 곡물탱크(9)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25, 도 7 참조)에 대응하여 곡물탱크(9)의 측면부 중앙부에는 세로로 길게 중앙 세로 오목부(91)가 형성된다. 중앙 세로 오목부(91)가 형성하는 오목한 경로를 따라 상기 이송장치(25)가 설치되며, 중앙 세로 오목부(91) 전후의 곡물탱크(9) 측면부 상부에는 전방 가로 팽출부(93)와 후방 가로 팽출부(97)가 형성된다.
탈곡ㅇ선별장치(8) 측으로 팽출되는 상기 전방 가로 팽출부(93)와 후방 가로 팽출부(97)에 의해 후술하는 제1 내지 제5 오목부로 인한 곡물탱크(9)의 용량 감소가 줄어들게 되고, 전방 가로 팽출부(93)의 중앙 하부에는 곡물탱크(9)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높이로 또 하나의 용량 증대용 세로 팽출부(95)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곡물탱크(9)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곡물탱크(9) 전단 측면부 하부에는 상기 DOC(16), 지지구조물(180), SCR(18)에 대응하여 이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제1 오목부(9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오목부(92) 상부에는 상기 연결 파이프(17) 상단의 곡관부(170)에 대응하여 제2 오목부(94)가 형성되며, 제2 오목부(94) 후방에는 상기 배출 파이프(19) 전단의 수직관부(190)에 대응하여 제3 오목부(96)가 형성된다.
제2 오목부(94)와 제3 오목부(96)로 인해 확보되는 곡물탱크(9)의 측면부 측부 공간에 의해 상기 곡관부(170)와 수직관부(190)가 곡물탱크(9)와 간섭 없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오목부(94)와 제3 오목부(96) 사이로 상기 세로 팽출부(95)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오목부(94)와 제3 오목부(96)로 인하여 줄어든 만큼의 곡물탱크(9) 용량 손실이 보상될 수 있다.
DOC(16), 지구조물(180), SCR(18)은 상기 곡관부(170)와 수직관부(190)에 비해 좀 더 큰 공간을 필요로 함에 따라 제1 오목부(92)가 상기 제2, 제3 오목부(94, 96)에 비해 곡물탱크(9) 내측으로 더 오목하게 형성되며, 후방 가로 팽출부(97) 하부에는 탈곡·선별장치(8)에서 곡물탱크(9) 측으로 돌출되는 부분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4 및 제5 오목부(98, 99)가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곡물탱크(9)의 측면부를 이와 마주하는 선별ㅇ탈곡장치(8)의 측부 형상에 최대한 근접하게 형성하면서 배기가스 정화유니트(15) 추가 장착을 위한 공간을 다수의 오목부(92, 94, 96, 98, 99)를 통해 확보함으로써, 배기가스 정화유니트(15)의 추가 적용에 따른 곡물탱크(9)의 용량 손실은 최소화하면서 배기가스 정화유니트(15) 추가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에 의하면, 탈곡ㅇ선별장치와 곡물탱크 사이에 배기가스 정화유니트가 배치됨에 따라, 여유공간의 유효한 활용이라는 공간적인 측면에서의 장점과 더불어, 강화된 배기가스 규제에 대응해 정화유니트를 추가 장착함에 있어 공간 확보나 레이아웃(ray-out) 변경을 위한 노력과 그에 따른 시간적 금전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배기가스 정화유니트에 대응하여 곡물탱크의 측면부가 다수의 오목부와 팽출부에 의해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배기가스 정화유니트 추가 적용을 위해 곡물탱크 형상을 일부 변경함에 있어 수반되는 곡물탱크의 용량 축소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배기가스 정화유니트의 장착이 용이하게 는 이루어질 수 있다는 구조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오목부와 팽출부에 의하여 배기가스 정화유니트가 형성하는 배기라인과 인접하는 곡물탱크의 면적이 크게 증대됨으로써, 곡물탱크 안에 들어있는 곡물 건조에 있어서도 유리한 효과가 발휘될 수 있고, 고온환경으로 유지되는 엔진 근접 위치에 배기가스 정화유니트가 배치됨에 따라 배기가스 정화처리 성능 또는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기체 2 : 주행륜
3 : 예취부 4 : 공급체인
6 : 오거 7 : 기체 조작부(운전석)
8 : 탈곡ㅇ선별장치 9 : 곡물탱크
10 : 엔진 11 : 방진커버어셈블리
14 : 기체 프레임 15 : 배기가스 정화유니트
16 : DOC 17 : 연결 파이프
18 : SCR 19 : 배출 파이프
91 : 중앙 세로 오목부 92 : 제1 오목부
93 : 전방 가로 팽출부 94 : 제2 오목부
95 : 세로 팽출부 96 : 제3 오목부
97 : 후방 가로 팽출부 98 : 제4 오목부
99 : 제5 오목부
102 : 흡기매니폴드 104 : 배기매니폴드
108 : 터보차져 110 : 인터쿨러
115 : 오일쿨러

Claims (7)

  1. 기체의 일측과 타측에 탈곡ㅇ선별장치와 곡물탱크가 대면 배치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탈곡ㅇ선별장치와 곡물탱크 사이에 배기가스 중의 유해물질을 저감시켜 대기중에 배출하는 배기가스 정화유니트가 설치되고, 탈곡ㅇ선별장치와 대면하는 곡물탱크의 측면부 일부가 상기 배기가스 정화유니트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탈곡ㅇ선별장치 측으로 팽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유니트는,
    엔진 배기 측에 연결되며 상기 곡물탱크 하측 경사면 하부의 기체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DOC와;
    상기 경사면 하부의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구조물에 의해 상기 DOC 상측의 탈곡·선별장치와 곡물탱크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SCR과;
    상기 탈곡·선별장치와 곡물탱크 사이 공간부에 세로로 배치되며 상기 DOC와 SCR을 배기가스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와;
    상기 SCR의 배기가스 배출 측에서 기체 후방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탱크 전단 측면부 하부에 상기 DOC, 지지구조물, SCR에 대응하여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파이프 상단의 곡관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오목부 상부에 제2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 파이프 일단의 수직관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오목부 후방에 제3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가 제2, 제3 오목부에 비해 곡물탱크 내측으로 더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와 제3 오목부 사이에 소정의 높이로 세로 팽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세로 팽출부보다 탈곡·선별장치 측으로 더 팽출되는 전방 가로 팽출부가 상기 세로 팽출부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가로 팽출부 후방에 후방 가로 팽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가로 팽출부 하부에는 상기 탈곡·선별장치에서 곡물탱크 측으로 돌출되는 부분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제4 및 제5 오목부가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선별부에 의해 선별 처리된 곡물의 낟알들을 곡물탱크로 공급하는 이송장치에 대응하여 탈곡ㅇ선별장치와 대면하는 곡물탱크의 측면부 중앙부에 세로로 길게 중앙 세로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80129170A 2018-10-26 2018-10-26 콤바인 KR202000479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170A KR20200047935A (ko) 2018-10-26 2018-10-26 콤바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170A KR20200047935A (ko) 2018-10-26 2018-10-26 콤바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935A true KR20200047935A (ko) 2020-05-08

Family

ID=7067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170A KR20200047935A (ko) 2018-10-26 2018-10-26 콤바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793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1955A (ja) 2006-07-31 2008-02-14 Iseki &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1955A (ja) 2006-07-31 2008-02-14 Iseki &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794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JP5140536B2 (ja) コンバイン
KR102519242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KR102095662B1 (ko) 콤바인
US7293408B2 (en)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and utility vehicle with an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TWI578895B (zh) Combine harvesters
JP2010063417A (ja) コンバイン
JP2010083331A (ja) コンバイン
JP2010051216A (ja) コンバイン
KR20150045926A (ko) 콤바인
KR20190140103A (ko) 콤바인
TW201904383A (zh) 聯合收割機
KR101993720B1 (ko) 콤바인
JP5085491B2 (ja) コンバイン
KR20150111174A (ko) 콤바인
KR102549840B1 (ko) 콤바인
JP2016029895A (ja) コンバイン
JP2014003961A (ja) コンバイン
KR20150083671A (ko) 콤바인
KR20200047935A (ko) 콤바인
KR20140014477A (ko) 콤바인
KR102385750B1 (ko) 콤바인
JP2016054742A (ja) コンバイン
JP6921887B2 (ja) コンバイン
JP7404189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