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750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750B1
KR102385750B1 KR1020140169894A KR20140169894A KR102385750B1 KR 102385750 B1 KR102385750 B1 KR 102385750B1 KR 1020140169894 A KR1020140169894 A KR 1020140169894A KR 20140169894 A KR20140169894 A KR 20140169894A KR 102385750 B1 KR102385750 B1 KR 102385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a water
threshing
gas
tank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640A (ko
Inventor
탁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40169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7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여유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에 공급될 요소수탱크를 추가 탑재한 콤바인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은, 하부에 크롤러 형태의 주행장치를 구비한 기체 프레임을 포함하고, 기체 프레임 상부에는 기체 좌, 우 폭방향에 대해 일측과 타측에 탈곡 및 선별장치와 곡물탱크가 대향 설치되며, 상기 탈곡 및 선별장치 후방의 기체 프레임 후단 상부에 연료탱크를 탑재하고 연료탱크 인접 측부에 요소수탱크를 배치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콤바인 {A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기가스 내 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및 배기가스 후처리용 요소수 수용을 위한 요소수탱크를 탑재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Combine)은 강력한 힘을 필요로 하는 작업특성상 디젤엔진을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디젤엔진은 잘 알려진 것처럼 다른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에 비해 유해가스, 공해물질이 많이 배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배기가스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에서 그 규제를 총족시키기 위한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오염도를 낮추려는 시도로서 배기가스 정화처리를 위한 장치의 장착을 예로 들 수 있다. 배기가스 내 정화 대상물은 주로 질소 산화물(NOx)과 입자상 물질(이하 ‘PM’이라 함)이며, 이를 위해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디젤입자필터)나 NOx 촉매(DOC, Diesel Oxidation Catalyst)로 구성된 후처리 장치를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특히 최근 유럽이나 북미 등 선진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Tier 4 수준의 강력한 배기가스 규제를 총족시키기 위하여, 기존 대형트럭 등에나 적용되던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촉매 환원 장치)을 상기 콤바인에도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 참고로 SCR은 배기가스에 요소수(NH3 성분)를 분사하여 NOx를 저감시켜주는 장치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콤바인(combine)의 경우 다른 농작업 차량과는 다르게, 수확장치, 탈곡장치, 선별장치, 곡물탱크(grain tank) 등의 다양한 장치들이 하나의 기체에 탑재된 구성을 이루는 관계로,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여 배기가스 후처리용 요소수를 저장하는 요소수탱크를 취부함에 있어 공간적 제약이 있을 수 밖에 없다.
전체적인 레이아웃 및 다른 장치들과의 간섭 등을 고려해 종래 기술로서, 후처리 장치 및 요소수탱크를 탈곡장치 상부 또는 주행기체의 하부 측에 취부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후처리 장치 및 요소수탱크 취부를 위한 지지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고, 특히 정비 측면에서 부적합한 구조이어서 장치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하다.
일본특허공개 제2008-031955호 (공개일 2008. 02. 1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콤바인의 제한된 스페이스(space)를 유효하게 활용하여 별도의 공간확보나 레이아웃(ray-out) 변경 없이도 요소수 탱크를 추가 탑재할 수 있는 구성의 콤바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부에 크롤러 형태의 주행장치를 구비한 기체 프레임을 포함하고, 기체 프레임 상부에는 기체 좌, 우 폭방향에 대해 일측과 타측에 탈곡 및 선별장치와 곡물탱크가 대향 설치되며, 상기 탈곡 및 선별장치 후방의 기체 프레임 후단 상부에는 연료탱크가 탑재되고 연료탱크 인접 측부에 요소수탱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서, 상기 탈곡 및 선별장치 후방의 기체 프레임 후단 상부 바깥쪽에 상기 요소수탱크가 배치되고, 상기 요소수탱크 안쪽의 기체 프레임 후단 상부 중앙에 연료탱크가 탑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료탱크의 연료 주입구와 요소수탱크의 요소수 주입구가 상기 탈곡 및 선별장치 후방의 기체 일 측면 외측을 향하여 동향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주입방향의 통일성과 주입의 용이함을 도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요소수탱크의 외면부 일부를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시켜 상기 연료탱크에서 연장된 연료 주입관이 지나가는 요입부를 형성함으로써, 연료 주입관을 기체 측부를 향해 배관함에 있어 공간소요나 다른 구성품과의 간섭에 따른 레이아웃 변경을 회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입부가 요소수탱크의 상부 일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탈곡 및 선별장치 후방의 기체 프레임 후단 상부 바깥쪽에 상기 연료탱크가 탑재되고, 상기 연료탱크 안쪽의 기체 프레임 후단 상부 중앙에 요소수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료탱크의 연료 주입구는 상기 탈곡 및 선별장치 후방의 기체 일 측면 외측을 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요소수탱크의 요소수 주입구는 상기 연료 주입구 반대편 요소수 탱크 일측에서 기체 후방을 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서는 또한, 상기 요소수 탱크의 일부가 상기 탈곡 및 선별장치와 마주하는 측 곡물탱크 일측벽 하류 측 경사부 하방에 형성되는 여유공간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여유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레이아웃 변경 없이도 요소수 탱크의 용량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에 의하면, 기체 후방 연료탱크 인접 측부의 여유공간에 요소수 탱크를 탑재한 구성을 이룸으로써, 여유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공간적인 측면에서 장점이 있고, 요소수 탱크의 추가 설치함에 있어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나 차량의 레이아웃(ray-out) 변경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우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을 구성하는 탈곡 및 선별장치의 개략도.
도 5는 곡물탱크를 생략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측면도.
도 6은 도 5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연료탱크와 요소수탱크가 설치된 기체 프레임 후방부를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8은 연료?v크와 요소수탱크가 설치된 기체 프레임 후방부를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기체 프레임 후방부를 기체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을 우측과 좌측에서 각각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과 도 2를 통해 도시된 콤바인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전체적인 구성부터 먼저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은 크게, 기체(1)와, 기체(1) 전방의 예취부(3)로 구성된다. 기체(1)는 크롤러 형태의 주행장치(2)를 갖고, 예취부(3)는 상기 주행기체(1) 전단에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예취부 프레임(32)을 매개로 주행기체(1)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취부(3)는 작동방향이 상반되는 2조의 바리칸 타입(bariquant type)의 예취기를 구비하며, 예취기에 의해 베어진 작물은 예취부(3)를 구성하는 반송수단(부호 생략)을 통해 기체(1) 측의 공급체인(4)으로 안전하게 반송되고, 공급체인(4)에 의해 기체(1) 일측의 탈곡 및 선별장치(8)로 이동된다.
탈곡 및 선별장치(8)를 거치면서 작물 이삭에 대한 탈곡과 동시에, 탈곡 처리된 작물의 낟알과 함께 포함되어 있던 나락과 지푸라기 등을 걸러내기 위한 선별작업이 행해지며, 선별작업을 거쳐 최종 선별된 낟알은 기체의 다른 측방 내측의 곡물탱크(9)로 반송되어 임시 저장되고 오거(auger, 6)를 통해 기체(1) 밖으로 배출된다.
예취부(3) 승강 및 기체 주행과 관련한 조작은 기체(1) 타측 전방에 마련되는 기체 조작부(7, 운전석)의 여러 레버조작을 통해 행해지고, 기체 조작부(7) 즉, 운전석 하방과 곡물탱크(9) 사이의 여유공간으로는 실질적으로 기체 주행 및 콤바인에 마련되는 다양한 장치 구동을 위한 출력을 발생시키는 엔진(10)이 배치된다.
기체 조작부(7)는 도면과 같이 외부에 노출된 구조이거나 캐빈에 의해 보호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곡물탱크(9)와 기체 조작부(7) 사이로 엔진 룸(부호 생략)이 형성된다. 그리고 출력축이 기체의 좌우 폭방향을 향하도록 엔진 룸에 엔진(10)이 횡행 탑재되며, 기체 조작부(7)와 곡물탱크(9) 사이의 개폐 가능한 방진커버어셈블리(11)가 엔진 룸을 측면에서 덮는다.
방진커버어셈블리(11)는 외기와 함께 도입되는 이물 여과를 위한 로터리 스크린을 비롯해 엔진 냉각을 위한 순환수와 각종 유압장치 구동용 오일, 그리고 흡기 냉각을 위한 냉각 유닛(인터쿨러(110), 오일쿨러(115), 라디에이터(미도시) 등등, 도 5 참조)들을 모듈화시킨 구성이며, 엔진(10)과 방진커버어셈블리(11) 사이에 엔진(10)의 냉각팬(106)이 위치한다.
도 4는 예취부로부터 제공되는 작물의 탈곡 및 선별을 위한 콤바인의 탈곡 및 선별장치를 개략 도시한 개략도이다.
탈곡 및 선별장치(8)는 탈곡용 탈곡통(50)과, 탈곡통(50) 하방에 배치되는 수망(54)으로 이루어진 탈곡부를 포함한다. 탈곡통(50)의 둘레면에는 작물 이삭에 붙은 낟알을 훑어 내는 급치(52)가 일정한 배열로 부착되어 있으며, 수망(54)은 상기 탈곡통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탈곡통의 하부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탈곡통(50)은 엔진 동력으로 회전되며, 탈곡통(50)의 회전에 따른 충격작용과, 급치에 의한 훑음 작용, 그리고 탈곡통(50)과 수망(54) 사이에서의 마찰작용 등에 의해 탈곡부(5)로 반송된 작물에 대한 탈곡(脫穀)이 행해지고, 탈곡과정을 거쳐 탈곡된 낟알은 수망(54)을 통과해 그 하방의 선별부로 낙하 공급된다.
선별부는 상기 탈곡부를 통해 탈곡 처리된 곡물을 요동선별하는 요동선별체(80)와, 중량선별을 위해 바람을 일으키는 선별풍 발생기(85)를 포함한다. 요동선별체(80)는 쭉정이나 티클을 걸러낼 때 사용되는 도구인 키를 까부르는 듯 한 형태로 전후좌우로 요동되며, 상기 선별풍 발생기(85)는 요동선별체(80)를 향해 선별을 위한 바람을 제공한다.
다단에 걸친 보다 정밀한 선별을 위해, 요동선별체(80)는 피드 팬(feed pan, 82)과, 피드 팬 후방으로 연속된 채프시브(chaff sieve, 83), 그리고 이들을 감싸는 시브 케이스(81)로 구성된다. 피드 팬(82)은 곡물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진 쐐기형 요철편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채프시브(83)는 다수의 채프 핀을 구비한다.
채프시브(83)를 통과한 낟알 중 비중이 비교적 무거운 낟알은 상기 선별풍 발생기(85) 후방의 제1 이송스크류(87) 측으로 낙하되고 이를 통해 기체 다른 측방 내측의 상기 곡물탱크(9)로 반송되며, 채프시브(83)를 통과한 낟알 중 비교적 가벼운 낟알과 검불 등은 선별풍 발생기(85)가 일으키는 바람의 영향을 받아 제2 이송스크류(89) 쪽으로 날려진다.
제2 이송스크류(89)로 보내진 선별 대상물(낟알과 검불 등)은 상기 제2 이송 스크류(89)를 통해 상기 피드 팬(82)으로 다시 반송되며, 중량 선별과정에서 걸러진 나락이나 지푸라기와 같은 검불 등은 상기 탈곡부(5)의 후방에 배치된 배진 팬(86)에 흡입된 뒤 기체의 후방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해 기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 배기라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기 위해 곡물탱크를 생략 도시한 측면 개략도이며, 도 6은 도 5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콤바인의 배기라인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배기라인(15)은 엔진(10) 배기 측 배기매니폴드(104)에서 시작해 곡물탱크(9)와 탈곡 및 선별장치(8) 사이를 경유하여 곡물탱크(9) 상부로 연장되며, 엔진(10) 후방의 곡물탱크(9)와 이 곡물탱크(9)의 대향부 측에 설치된 상기 탈곡 및 선별장치(8) 사이의 상기 배기라인(15) 중간에는 후처리 장치(16)가 배치된다.
엔진(10)은 배기 측 배기매니폴드(104)가 상기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16) 측을 향하고 반대편 흡기매니폴드(102)가 기체 전방을 향하도록 엔진(10) 룸에 횡행 배치될 수 있고, 배기매니폴드(104)에는 배출 배기가스로 구동되어 흡기 측으로 도입될 외부공기를 압축시키는 터보차져(108, 사양에 따라 생략 가능)가 연결된다.
터보차져(108)를 통해 압축된 공기는 전술한 방진커버어셈블리(11)의 인터쿨러(110)를 거치면서 냉각되어 압축과정에서 저하된 공기 밀도를 회복하며, 인터쿨러(110)와 엔진(10)의 흡기 측을 잇는 흡기라인을 통해 엔진(10)의 상기 흡기매니폴드(102)로 제공된다. 그리고 흡기매니폴드(102)를 거쳐 엔진(10)의 각 실린더 내에 균등하게 배분된다.
터보차져(108)의 배출 측은 곡물탱크(9)와 탈곡 및 선별장치(8) 사이의 배기라인(15) 상에 설치되는 후처리 장치(16)와 인렛파이프(150)를 통해 배기가스가 유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에 따라, 터보차져(108)에서 나온 배기가스는 후처리 장치(16)로 유입되고 일련의 정화처리를 거쳐 오염물질이 극히 저감된 상태로 테일파이프(155)를 통해 대기로 방출된다.
후처리 장치(16)는 DOC(17, 디젤 산화 촉매, Diesel Oxidation Catalyst)와 SCR(19, 촉매 환원 장치,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로 구성될 수 있다. DOC(17)는 질소 산화물(NOx)의 온도를 상승시켜 흡착 제거하며, SCR(19)은 질소 산화물(NOx)에 요소수를 촉매로 하여 가수분해된 암모니아를 반응시켜 환경에 무해한 질소로 전환시킨다.
DOC(17)는 벌집 형태의 허니컴 담체(擔體)에 금속 촉매 예컨대, 백금(Pt)을 채워 SOF(Soluble Organic Fraction, 용해성 유기물질) 성분을 산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DOC(17)는 구체적으로, 단면이 다각형인 복수의 통공을 갖는 셀 구조체와 이를 둘러싸는 외벽으로 구성되며, 배기가스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SCR(19)에 앞서 배치된다.
DOC(17)는 엔진(10) 인접 후방의 탈곡 및 선별장치(8)와 곡물탱크(9) 사이, 바람직하게는 엔진(10) 후방의 곡물탱크(9) 하류 측의 경사부 하방의 여유공간에 취부되되, 엔진(10) 배기 측에 배치되는 상기 터보차져(108)보다 낮은 위치의 중량체인 기체 프레임(14) 상에 브라켓(B)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엔진(10) 구동 시 진동에 의해 유발되는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SCR(19)은 DOC(17)의 배기가스 배출 측에서 연장되는 아울렛파이프(152)를 통해 DOC(17)와 연결됨으로써, DOC(17)를 통해 1차 정화 처리된 배기가스는 연이어 SCR(19)로 흘러 들어가 2차 정화 처리를 거치게 되며, 최종 정화 처리된 배출 배기가스는 SCR(19)의 배기가스 배출 측에 연결되는 상기 테일파이프(155)를 통해 대기로 방출된다.
SCR(19)은 탈곡 및 선별장치(8)와 곡물탱크(9) 사이에 기체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상기 기체의 전후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에 DOC(17)에서 연장된 상기 아울렛파이프(152)가 접속되는 배기가스 입구(190)를 구비하고, 반대편 후단에 상기 테일파이프(155)가 연결되는 배기가스 출구(192)를 형성한 원통형 구성일 수 있다.
SCR(19) 배출 측에서 뻗은 상기 테일파이프(155)는 탈곡 및 선별장치(8)와 곡물탱크(9) 사이를 따라 곡물탱크(9)의 상면보다 높게 상향 연장되어 기체 상부로 노출됨으로써, 배출 배기가스의 엔진(10) 재유입 및 고온 배출 배기가스에 의한 화재가 방지되고, 습전 작업 또는 우천 시 침수로부터 상기 테일파이프(155)가 보호된다.
배출 배기가스가 기체 후방을 향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곡물탱크(9) 상부로 상향 연장된 상기 테일파이프(155)의 말단부는 기체 후방을 향해 수평 절곡된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테일파이프(155) 엔드부에는 배출 배기가스의 고른 분산 배출을 위한 배기가스 분산장치, 예컨대 배기 디퓨져(diffuser, 미도시)가 장착될 수도 있다.
엔진(10)과 상기 후처리 장치(16), 그리고 기체 좌, 우 폭방향에 대해 일측과 타측에 대향 설치된 상기 탈곡 및 선별장치(8)와 곡물탱크(9)는 차체 기본 골격을 구성하는 기체 프레임(14) 상부에 탑재되어 고정되고, 상기 탈곡 및 선별장치(8) 후방의 기체 프레임(14) 후단 상부에는 연료탱크(22)가 탑재되고 연료탱크 인접 측부에 요소수탱크(24)가 배치된다.
도 7은 연료탱크와 요소수탱크가 설치된 기체 프레임 후방부를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따른 사시도이다.
도 7의 일 실시 예와 같이, 탈곡 및 선별장치(8) 후방의 기체 프레임(14) 후단 상부 바깥쪽에 상기 요소수탱크(24)가 배치되고, 상기 요소수탱크(24) 안쪽의 기체 프레임 후단 상부 중앙에 연료탱크(22)가 탑재된다. 이때 상기 연료탱크(22)의 연료 주입구(220)와 요소수탱크(24)의 요소수 주입구(240)는 상기 탈곡 및 선별장치(8) 후방의 기체 일 측면 외측을 향하도록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도 7의 일 실시 예는 기체 프레임 후단 상부에 기체 폭방향에 대해 서로 나란히 위치하도록 요소수탱크(24)와 연료탱크(22)를 배치하되, 연료탱크(22)의 연료 주입구(220)와 요소수탱크(24)의 요소수 주입구(240)가 상기 탈곡 및 선별장치(8) 후방의 기체 일 측면 외측을 향하여 동향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연료와 요소수의 주입방향의 통일성을 확보한 것이다.
요소수탱크(24)의 외면부 일부에는 요입부(244)가 형성된다. 요입부(244)는 요소수탱크(24)의 상부 일측 모서리부를 요소수탱크(24)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입부(244)를 연료탱크(22)의 연료 주입관(222)이 경유하여 기체 측면부로 연장되며, 이로 인해 연료 주입관(222)을 기체 측부를 향해 배관함에 있어 공간확보나 다른 구성품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요입부(244)의 단면형태나 높이와 폭은 이를 지나가는 상기 연료 주입관(222)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그 단면형태나 높이와 폭이 특정 형태나 수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입부(244)를 지나가는 연료 주입관(222)이 외면부 일부가 요소수탱크(24)의 상면이나 측면 외측으로 심하게 돌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나 형상이면 된다.
이와 같은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연료탱크(22)의 연료 주입구(220)와 요소수탱크(24)의 요소수 주입구(240)가 상기 탈곡 및 선별장치(8) 후방의 기체 일 측면 외측을 향하여 동향 배치됨으로써 주입방향의 통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이에 따라 연료 또는 요소수 주입에 따른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어 주입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은 연료?v크와 요소수탱크가 설치된 기체 프레임 후방부를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기체 프레임 후방부를 기체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는, 탈곡 및 선별장치(8) 후방의 기체 프레임(14) 후단 상부 바깥쪽에 상기 연료탱크(22)를 배치하고, 상기 연료탱크(22) 안쪽의 기체 프레임 후단 상부 중앙에 요소수탱크(24)를 배치하여, 곡물탱크(9) 일측벽 하류 측 경사부 하방의 여유공간(S)에 요소수탱크(24) 일부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요소수 탱크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8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연료탱크(22)의 연료 주입구(220)는 상기 탈곡 및 선별장치(8) 후방의 기체 일 측면 외측을 향하도록 구성되고, 요소수탱크(24)의 요소수 주입구(240)는 상기 연료 주입구(220) 반대편 요소수탱크(24) 일측에서 기체 후방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즉 연료 주입구(220)와 요소수 주입구(240)의 위치가 서로 달라 요소수와 연료의 혼입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요소수 탱크의 일부가 상기 탈곡 및 선별장치(8)와 마주하는 측 곡물탱크 일측벽 하류 측 경사부 하방에 형성되는 여유공간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콤바인의 여유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별도의 공간 확보나 레이아웃을 변경하지 않고도 요소수 탱크의 용량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에 의하면, 기체 후방 연료탱크 인접 측부의 여유공간에 요소수 탱크를 탑재한 구성을 이룸으로써, 여유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공간적인 측면에서 장점이 있고, 요소수 탱크의 추가 설치함에 있어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나 차량의 레이아웃(ray-out) 변경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기체 2 : 주행륜
3 : 예취부 4 : 공급체인
6 : 오거 7 : 기체 조작부(운전석)
8 : 탈곡 및 선별장치 9 : 곡물탱크
10 : 엔진 11 : 방진커버어셈블리
14 : 기체 프레임 15 : 배기라인
16 : 후처리 장치
17 : DOC(Diesel Oxidation Catalyst)
19 :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22 : 연료탱크 24 : 요소수탱크
102 : 흡기매니폴드 104 : 배기매니폴드
106 : 냉각팬 108 : 터보차져
110 : 인터쿨러 115 : 오일쿨러
150 : 인렛파이프 152 : 아울렛파이프
155 : 테일파이프 220 : 연료 주입구
222 : 연료 주입관 240 : 요소수 주입구
244 : 요입부

Claims (8)

  1. 하부에 크롤러 형태의 주행장치를 구비한 기체 프레임을 포함하고, 기체 프레임 상부에는 기체 좌, 우 폭방향에 대해 일측과 타측에 탈곡 및 선별장치와 곡물탱크가 대향 설치되며, 상기 탈곡 및 선별장치 후방의 기체 프레임 후단 상부에는 연료탱크가 탑재되고 연료탱크 인접 측부에 요소수탱크가 배치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탈곡 및 선별장치 후방의 기체 프레임 후단 상부 바깥쪽에 상기 요소수탱크가 배치되고, 상기 요소수탱크 안쪽의 기체 프레임 후단 상부 중앙에 연료탱크가 탑재되며,
    상기 요소수탱크의 외면부 일부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상기 연료탱크에서 연장된 연료 주입관이 지나가는 요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의 연료 주입구와 요소수탱크의 요소수 주입구가 상기 탈곡 및 선별장치 후방의 기체 일 측면 외측을 향하여 동향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가 요소수탱크의 상부 일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169894A 2014-12-01 2014-12-01 콤바인 KR102385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894A KR102385750B1 (ko) 2014-12-01 2014-12-01 콤바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894A KR102385750B1 (ko) 2014-12-01 2014-12-01 콤바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640A KR20160065640A (ko) 2016-06-09
KR102385750B1 true KR102385750B1 (ko) 2022-04-13

Family

ID=5613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894A KR102385750B1 (ko) 2014-12-01 2014-12-01 콤바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7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8064A (ja) * 2012-11-30 2014-06-12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14144001A (ja) 2014-02-28 2014-08-14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14177914A (ja) 2013-03-15 2014-09-25 Yanmar Co Ltd 作業車両のエンジ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88352C (zh) * 2004-07-29 2009-05-20 洋马株式会社 联合收割机
JP2008031955A (ja) 2006-07-31 2008-02-14 Iseki &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
KR20070035577A (ko) * 2007-01-19 2007-03-30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8064A (ja) * 2012-11-30 2014-06-12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14177914A (ja) 2013-03-15 2014-09-25 Yanmar Co Ltd 作業車両のエンジン装置
JP2014144001A (ja) 2014-02-28 2014-08-14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640A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06024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KR102708260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KR20180034574A (ko) 콤바인
KR101993720B1 (ko) 콤바인
KR102549840B1 (ko) 콤바인
KR20150111174A (ko) 콤바인
JP2014003961A (ja) コンバイン
KR20150083671A (ko) 콤바인
KR102385750B1 (ko) 콤바인
JP2016054742A (ja) コンバイン
KR20140014477A (ko) 콤바인
JP2016131547A (ja) コンバイン
KR20200047935A (ko) 콤바인
JP7404189B2 (ja) コンバイン
KR20230068798A (ko) 콤바인
KR20160136053A (ko) 콤바인
JP6652188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