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053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053A
KR20160136053A KR1020150069737A KR20150069737A KR20160136053A KR 20160136053 A KR20160136053 A KR 20160136053A KR 1020150069737 A KR1020150069737 A KR 1020150069737A KR 20150069737 A KR20150069737 A KR 20150069737A KR 20160136053 A KR20160136053 A KR 20160136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a water
water tank
tank
fuel tank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현수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9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6053A/ko
Publication of KR20160136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여유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요소수 탱크를 추가 탑재한 콤바인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은, 하부에 크롤러 주행장치가 구비된 기체 프레임 및 기체 프레임 상부에 기체 좌, 우 폭방향에 대해 일측과 타측에 대향 설치되는 탈곡·선별장치와 곡물탱크를 포함하며, 탈곡·선별장치 후단 보다 기체 후방 측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기체 프레임이 연장 형성되며, 기체 후방으로 연장된 기체 프레임 후단 상부에 연료 탱크가 탑재되고, 상기 연료 탱크 인접 측부에 요소수 탱크가 배치되되, 연료 탱크와 곡물탱크 후방의 곡물 배출관 사이에 위치하도록 요소수 탱크가 배치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화된 배기가스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해 요소수 탱크를 추가 탑재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Combine)은 강력한 힘을 필요로 하는 작업특성상 디젤엔진을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디젤엔진은 잘 알려진 것처럼 다른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에 비해 유해가스, 공해물질이 많이 배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배기가스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에서 그 규제를 총족시키기 위한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오염도를 낮추려는 시도로서 배기가스 정화처리를 위한 장치의 장착을 예로 들 수 있다. 배기가스 내 정화 대상물은 주로 질소 산화물(NOx)과 입자상 물질(이하 'PM'이라 함)이며, 이를 위해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디젤입자필터)나 NOx 촉매(DOC, Diesel Oxidation Catalyst)로 구성된 후처리 장치를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특히 최근 유럽이나 북미 등 선진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Tier 4 수준의 강력한 배기가스 규제를 총족시키기 위하여, 기존 대형트럭 등에나 적용되던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촉매 환원 장치)을 상기 콤바인에도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
참고로 SCR은 배기가스에 요소수(NH3 성분)를 분사하여 배기가스 중의 NOx를 인체에 무해한 질소(N2)d와 물(H2O)로 변환되는 원리를 이용한 배기가스 저감장치이다.
그러나 콤바인(combine)은 다른 농작업 차량과는 다르게 수확장치, 탈곡장치, 선별장치, 곡물탱크(grain tank) 등의 다양한 장치들이 하나의 기체에 탑재된 구성을 이룸에 따라 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며, 따라서 상기 요소수가 저장되는 요소수 탱크를 추가 취부함에 있어 공간적인 제약이 상당히 크다.
콤바인의 전체적인 구조 및 다른 장치들과의 간섭 등을 고려한 종래 기술로 후처리 장치 및 요소수 탱크를 탈곡장치 상부 또는 주행기체의 하부에 취부하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후처리 장치와 요소수 탱크 취부를 위한 지지구조가 상당히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고, 장치 유지 보수를 위한 정비 측면에서도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8-031955호 (공개일 2008. 02. 1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공간확보나 레이아웃(ray-out)을 바꾸지 않고도 장치 유지 보수가 용이한 위치에 요소수 탱크를 추가 탑재한 콤바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부에 크롤러 주행장치가 구비된 기체 프레임; 및 상기 기체 프레임 상부에 기체 좌, 우 폭방향에 대해 일측과 타측에 대향 설치되는 탈곡·선별장치와 곡물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탈곡·선별장치 후단 보다 기체 후방 측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상기 기체 프레임이 연장 형성되며, 기체 후방으로 연장된 상기 기체 프레임 후단 상부에 연료 탱크가 탑재되고 연료 탱크 인접 측부에 요소수 탱크가 배치되되, 상기 연료 탱크와 곡물탱크 후방의 곡물 배출관 사이에 위치하도록 요소수 탱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탈곡·선별장치 후방의 기체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연료 탱크가 탑재된 상기 기체 프레임 후단 측방에 요소수 탱크 장착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요소수 탱크 장착대에 요소수 탱크가 안착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소수 탱크 장착대는, 상기 기체 프레임 후단 측방에 일체로 형성된 요소수 탱크 장착 프레임과; 상기 요소수 탱크 장착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요소수 탱크의 하부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로 장착 요입부가 형성된 판상의 장착패널;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탱크의 길이방향 축선과 둔각으로 교차하는 사선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위치하도록 요소수 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소수 탱크의 요소수 주입구는 기체 측후방을 향하고, 상기 요소수 주입구 반대편의 요소수 탱크 후면부가 상기 연료 탱크 측면과 비스듬히 마주하도록 요소수 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료 탱크에는 상기 요소수 탱크 후면부와 마주하는 면 반대편 면에 연료 주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에 의하면, 기체 후방 연료 탱크 인접 측부의 여유공간에 요소수 탱크가 배치됨으로써, 여유공간의 유효한 활용이라는 공간적인 측면에서의 장점과 더불어, 강화된 배기가스 규제에 대응하여 요소수 탱크를 추가 장착함에 있어 별도의 공간 확보나 레이아웃(ray-out) 변경을 위한 노력과 이에 수반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접근이 용이하고 외부에 쉽게 노출되는 위치인 기체 후방의 연료 탱크 인접 측부의 여유공간에 요소수 탱크가 배치됨에 따라, 요소수 탱크를 탈곡장치 상부에 배치하거나 주행기체의 하부에 취부시킨 종래 기술에 비해 장치, 즉 요소수 탱크의 유지 보수에 있어서도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구조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요소수 탱크가 견고한 중량체인 기체 프레임의 장착대에 삽입되어 견고히 고정되는 구성임에 따라, 진동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초음파 레벨링 시스템 구현에도 유리하고,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가 기체 일 측면부를 향하도록 비스듬히 배치됨에 따라 요소수 탱크를 여유공간에 배치하면서도 요소수 주입에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우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을 구성하는 탈곡·선별장치의 개략도.
도 5는 곡물탱크를 생략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측면도.
도 6은 도 5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연료 탱크와 요소수 탱크가 배치된 기체 프레임 후방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8은 요소수 탱크 설치된 기체 후단부를 기체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을 우측과 좌측에서 각각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과 도 2를 통해 도시된 콤바인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전체적인 구성부터 먼저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은 크게, 기체(1)와, 기체(1) 전방의 예취부(3)로 구성된다. 기체(1)는 크롤러 형태의 주행장치(2)를 갖고, 예취부(3)는 상기 주행기체(1) 전단에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예취부 프레임(32)을 매개로 주행기체(1)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취부(3)는 작동방향이 상반되는 2조의 바리칸 타입(bariquant type)의 예취기를 구비하며, 예취기에 의해 베어진 작물은 예취부(3)를 구성하는 반송수단(부호 생략)을 통해 기체(1) 측의 공급체인(4)으로 안전하게 반송되고, 공급체인(4)에 의해 기체(1) 일측의 탈곡·선별장치(8)로 이동된다.
탈곡·선별장치(8)를 거치면서 작물 이삭에 대한 탈곡과 동시에, 탈곡 처리된 작물의 낟알과 함께 포함되어 있던 나락과 지푸라기 등을 걸러내기 위한 선별작업이 행해지며, 선별작업을 거쳐 최종 선별된 낟알은 기체의 다른 측방 내측의 곡물탱크(9)로 반송되어 임시 저장되고 오거(auger, 6)를 통해 기체(1) 밖으로 배출된다.
예취부(3) 승강 및 기체 주행과 관련한 조작은 기체(1) 타측 전방에 마련되는 기체 조작부(7, 운전석)의 여러 레버조작을 통해 행해지고, 기체 조작부(7) 즉, 운전석 하방과 곡물탱크(9) 사이의 여유공간으로는 실질적으로 기체 주행 및 콤바인에 마련되는 다양한 장치 구동을 위한 출력을 발생시키는 엔진(10)이 배치된다.
기체 조작부(7)는 도면과 같이 외부에 노출된 구조이거나 캐빈에 의해 보호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곡물탱크(9)와 기체 조작부(7) 사이로 엔진 룸(부호 생략)이 형성된다. 그리고 출력축이 기체의 좌우 폭방향을 향하도록 엔진 룸에 엔진(10)이 횡행 탑재되며, 기체 조작부(7)와 곡물탱크(9) 사이의 개폐 가능한 방진커버어셈블리(11)가 엔진 룸을 측면에서 덮는다.
방진커버어셈블리(11)는 외기와 함께 도입되는 이물 여과를 위한 로터리 스크린을 비롯해 엔진 냉각을 위한 순환수와 각종 유압장치 구동용 오일, 그리고 흡기 냉각을 위한 냉각 유닛(인터쿨러(110), 오일쿨러(115), 라디에이터(미도시) 등등, 도 5 참조)들을 모듈화시킨 구성이며, 엔진(10)과 방진커버어셈블리(11) 사이에 엔진(10)의 냉각팬(106)이 위치한다.
도 4는 예취부로부터 제공되는 작물의 탈곡 및 선별을 위한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를 개략 도시한 개략도이다.
탈곡·선별장치(8)는 탈곡용 탈곡통(50)과, 탈곡통(50) 하방에 배치되는 수망(54)으로 이루어진 탈곡부를 포함한다. 탈곡통(50)의 둘레면에는 작물 이삭에 붙은 낟알을 훑어 내는 급치(52)가 일정한 배열로 부착되어 있으며, 수망(54)은 상기 탈곡통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탈곡통의 하부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탈곡통(50)은 엔진 동력으로 회전되며, 탈곡통(50)의 회전에 따른 충격작용과, 급치에 의한 훑음 작용, 그리고 탈곡통(50)과 수망(54) 사이에서의 마찰작용 등에 의해 탈곡부(5)로 반송된 작물에 대한 탈곡(脫穀)이 행해지고, 탈곡과정을 거쳐 탈곡된 낟알은 수망(54)을 통과해 그 하방의 선별부로 낙하 공급된다.
선별부는 상기 탈곡부를 통해 탈곡 처리된 곡물을 요동선별하는 요동선별체(80)와, 중량선별을 위해 바람을 일으키는 선별풍 발생기(85)를 포함한다. 요동선별체(80)는 쭉정이나 티클을 걸러낼 때 사용되는 도구인 키를 까부르는 듯 한 형태로 전후좌우로 요동되며, 상기 선별풍 발생기(85)는 요동선별체(80)를 향해 선별을 위한 바람을 제공한다.
다단에 걸친 보다 정밀한 선별을 위해, 요동선별체(80)는 피드 팬(feed pan, 82)과, 피드 팬 후방으로 연속된 채프시브(chaff sieve, 83), 그리고 이들을 감싸는 시브 케이스(81)로 구성된다. 피드 팬(82)은 곡물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진 쐐기형 요철편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채프시브(83)는 다수의 채프 핀을 구비한다.
채프시브(83)를 통과한 낟알 중 비중이 비교적 무거운 낟알은 상기 선별풍 발생기(85) 후방의 제1 이송스크류(87) 측으로 낙하되고 이를 통해 기체 다른 측방 내측의 상기 곡물탱크(9)로 반송되며, 채프시브(83)를 통과한 낟알 중 비교적 가벼운 낟알과 검불 등은 선별풍 발생기(85)가 일으키는 바람의 영향을 받아 제2 이송스크류(89) 쪽으로 날려진다.
제2 이송스크류(89)로 보내진 선별 대상물(낟알과 검불 등)은 상기 제2 이송 스크류(89)를 통해 상기 피드 팬(82)으로 다시 반송되며, 중량 선별과정에서 걸러진 나락이나 지푸라기와 같은 검불 등은 상기 탈곡부(5)의 후방에 배치된 배진 팬(86)에 흡입된 뒤 기체의 후방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해 기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 배기라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기 위해 곡물탱크를 생략 도시한 측면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을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배기라인에 대해 살펴본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배기라인(15)은 엔진(10) 배기 측 배기매니폴드(104)에서 시작해 곡물탱크(9)와 탈곡·선별장치(8) 사이를 경유하여 곡물탱크(9) 상부로 연장되며, 엔진(10) 후방의 곡물탱크(9)와 이 곡물탱크(9)의 대향부 측에 설치된 상기 탈곡·선별장치(8) 사이의 상기 배기라인(15) 중간에는 후처리 장치(16)가 배치된다.
엔진(10)은 배기 측 배기매니폴드(104)가 상기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16) 측을 향하고 반대편 흡기매니폴드(102)가 기체 전방을 향하도록 엔진(10) 룸에 횡행 배치될 수 있고, 배기매니폴드(104)에는 배출 배기가스로 구동되어 흡기 측으로 도입될 외부공기를 압축시키는 터보차져(108, 사양에 따라 생략 가능)가 연결된다.
터보차져(108)를 통해 압축된 공기는 전술한 방진커버어셈블리(11)의 인터쿨러(110)를 거치면서 냉각되어 압축과정에서 저하된 공기 밀도를 회복하며, 인터쿨러(110)와 엔진(10)의 흡기 측을 잇는 흡기라인을 통해 엔진(10)의 상기 흡기매니폴드(102)로 제공된다. 그리고 흡기매니폴드(102)를 거쳐 엔진(10)의 각 실린더 내에 균등하게 배분된다.
터보차져(108)의 배출 측은 곡물탱크(9)와 탈곡·선별장치(8) 사이의 배기라인(15) 상에 설치되는 후처리 장치(16)와 인렛파이프(150)를 통해 배기가스가 유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에 따라, 터보차져(108)에서 나온 배기가스는 후처리 장치(16)로 유입되고 일련의 정화처리를 거쳐 오염물질이 극히 저감된 상태로 테일파이프(155)를 통해 대기로 방출된다.
후처리 장치(16)는 DOC(17, 디젤 산화 촉매, Diesel Oxidation Catalyst)와 SCR(19, 촉매 환원 장치,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로 구성될 수 있다. DOC(17)는 질소 산화물(NOx)의 온도를 상승시켜 흡착 제거하며, SCR(19)은 질소 산화물(NOx)에 요소수를 촉매로 하여 가수분해된 암모니아를 반응시켜 환경에 무해한 질소로 전환시킨다.
DOC(17)는 벌집 형태의 허니컴 담체(擔體)에 금속 촉매 예컨대, 백금(Pt)을 채워 SOF(Soluble Organic Fraction, 용해성 유기물질) 성분을 산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DOC(17)는 구체적으로, 단면이 다각형인 복수의 통공을 갖는 셀 구조체와 이를 둘러싸는 외벽으로 구성되며, 배기가스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SCR(19)에 앞서 배치된다.
DOC(17)는 엔진(10) 인접 후방의 탈곡·선별장치(8)와 곡물탱크(9) 사이, 바람직하게는 엔진(10) 후방의 곡물탱크(9) 하류 측의 경사부 하방의 여유공간에 취부되되, 엔진(10) 배기 측에 배치되는 상기 터보차져(108)보다 낮은 위치의 중량체인 기체 프레임(14) 상에 브라켓(B)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엔진(10) 구동 시 진동에 의해 유발되는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SCR(19)은 DOC(17)의 배기가스 배출 측에서 연장되는 아울렛파이프(152)를 통해 DOC(17)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DOC(17)를 통해 1차 정화 처리된 배기가스는 연이어 SCR(19)로 흘러 들어가 2차 정화 처리를 거치게 되며, 최종 정화 처리된 배출 배기가스는 SCR(19)의 배기가스 배출 측에 연결되는 상기 테일파이프(155)를 통해 대기로 방출된다.
SCR(19)은 탈곡·선별장치(8)와 곡물탱크(9) 사이에 기체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상기 기체의 전후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에 DOC(17)에서 연장된 상기 아울렛파이프(152)가 접속되는 배기가스 입구(190)를 구비하고, 반대편 후단에 상기 테일파이프(155)가 연결되는 배기가스 출구(192)를 형성한 원통형 구성일 수 있다.
SCR(19) 배출 측에서 뻗은 상기 테일파이프(155)는 탈곡·선별장치(8)와 곡물탱크(9) 사이를 따라 곡물탱크(9)의 상면보다 높게 상향 연장되어 기체 상부로 노출됨으로써, 배출 배기가스의 엔진(10) 재유입 및 고온 배출 배기가스에 의한 화재가 방지되고, 습전 작업 또는 우천 시 침수로부터 상기 테일파이프(155)가 보호된다.
배출 배기가스가 기체 후방을 향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곡물탱크(9) 상부로 상향 연장된 상기 테일파이프(155)의 말단부는 기체 후방을 향해 수평 절곡된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테일파이프(155) 엔드부에는 배출 배기가스의 고른 분산 배출을 위한 배기가스 분산장치, 예컨대 배기 디퓨져(diffuser, 미도시)가 장착될 수도 있다.
엔진(10)과 상기 후처리 장치(16), 그리고 기체 좌, 우 폭방향에 대해 일측과 타측에 대향 설치된 상기 탈곡·선별장치(8)와 곡물탱크(9)는 플랫폼을 구성하는 기체 프레임(14) 상에 탑재되고, 상기 탈곡·선별장치(8) 후방의 기체 프레임(14) 후단 상부에는 연료 탱크(22)가 탑재되고 연료 탱크 인접 측부에 요소수 탱크(24)가 배치된다.
도 7은 연료 탱크와 요소수 탱크가 설치된 기체 프레임 후방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앞선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기체 프레임(14)의 후단이 상기 탈곡·선별장치(8) 후단 보다 기체 후방 측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기체 후방으로 연장된 상기 기체 프레임(14) 후단 상부에 연료 탱크(22)가 탑재되며, 연료 탱크(22) 인접 측부에는 상기 SCR(19)에 공급될 요소수가 저장되는 요소수 탱크(24)가 배치된다.
요소수 탱크(24)는 상기 연료 탱크(22)와 곡물탱크(9) 후방의 곡물 배출관(60, 전술한 오거(6)의 일단이 연결되는 관)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연료 탱크(22)가 탑재된 상기 기체 프레임(14) 후단 측방에 요소수 탱크 장착대(140)가 일체 형성되고, 요소수 탱크 장착대(140)에 상기 요소수 탱크(24)가 탑재된다.
요소수 탱크(24)는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료 탱크(22)의 길이방향 축선(A1)과 둔각(α)으로 교차하는 사선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위치하도록 요소수 탱크 장착대(140)에 설치된다. 요소수 탱크(24)에는 요소수 주입구(240) 구비되되, 요소수 주입구(240)가 기체(1) 측후방을 향하도록 요소수 탱크(24)가 장착대(140)에 설치된다.
요소수 주입구(240) 반대편의 요소수 탱크(24) 후면부는 상기 연료 탱크(24) 측면과 비스듬히 마주하는 배치를 이루며, 상기 요소수 탱크(24) 후면부와 마주하는 연료 탱크(24)의 일 측면 반대편 면(탈곡·선별장치(8)의 외측면과 같은 방향에 위치한 면)에 연료 주입구(240)가 구비됨으로써 연료와 요소수의 혼입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요소수 탱크를 기체 후미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과 같이, 기체 프레임(14)에 일체 형성된 요소수 탱크 장착대(140)는, 기체 프레임(14) 후단 측방에 일체로 형성된 요소수 탱크 장착 프레임(142)과, 요소수 탱크 장착 프레임(142) 상에 설치되며 상기 요소수 탱크(24)의 하부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로 장착 요입부(144)가 형성된 판상의 장착패널(142)로 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패널(142)의 장착 요입부(142)에 상기 요소수 탱크(24)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탑재되고, 용접이나 밴드 클램프 등을 통해 요소수 탱크 장착대(140)로부터 상기 요소수 탱크(24)가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즉 요소수 탱크(24)가 견고한 중량체인 기체 프레임(14)에 일체로 형성된 요소수 탱크 장착대(140)에 일부가 삽입되어 용접이나 밴드 클램프 등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는 구성을 이룸으로써, 엔진 구동에 따른 자체 진동 또는 주행 충격에 의한 진동이 요소수 탱크(24)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초음파 레벨링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 유리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기체 후방 연료 탱크 인접 측부의 여유공간에 요소수 탱크가 배치됨으로써, 여유공간의 유효한 활용이라는 공간적인 측면에서의 장점과 더불어, 강화된 배기가스 규제에 대응하여 요소수 탱크를 추가 장착함에 있어 별도의 공간 확보나 레이아웃(ray-out) 변경을 위한 노력과 이에 수반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접근이 용이하고 외부에 쉽게 노출되는 위치인 기체 후방의 연료 탱크 인접 측부의 여유공간에 요소수 탱크가 배치됨에 따라, 요소수 탱크를 탈곡장치 상부에 배치하거나 주행기체의 하부에 취부시킨 종래 기술에 비해 장치, 즉 요소수 탱크의 유지 보수에 있어서도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구조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요소수 탱크가 견고한 중량체인 기체 프레임의 장착대에 삽입되어 견고히 고정되는 구성임에 따라, 진동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초음파 레벨링 시스템 구현에도 유리하고,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가 기체 일 측면부를 향하도록 비스듬히 배치됨에 따라 요소수 탱크를 여유공간에 배치하면서도 요소수 주입에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기체 2 : 주행륜
3 : 예취부 4 : 공급체인
6 : 오거 7 : 기체 조작부(운전석)
8 : 탈곡·선별장치 9 : 곡물탱크
10 : 엔진 11 : 방진커버어셈블리
14 : 기체 프레임 15 : 배기라인
16 : 후처리 장치
17 : DOC 19 : SCR
22 : 연료 탱크 24 : 요소수 탱크
102 : 흡기매니폴드 104 : 배기매니폴드
106 : 냉각팬 108 : 터보차져
110 : 인터쿨러 115 : 오일쿨러
140 : 요소수 탱크 장착대 142 : 장착 요입부
150 : 인렛파이프 152 : 아울렛파이프
155 : 테일파이프 220 : 연료 주입구
240 : 요소수 주입구

Claims (6)

  1. 하부에 크롤러 주행장치가 구비된 기체 프레임; 및
    상기 기체 프레임 상부에 기체 좌, 우 폭방향에 대해 일측과 타측에 대향 설치되는 탈곡·선별장치와 곡물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탈곡·선별장치 후단 보다 상기 기체 프레임이 기체 후방으로 연장되고,
    기체 후방으로 연장된 상기 기체 프레임 후단 상부에 연료 탱크가 탑재되고 연료 탱크 인접 측부에 요소수 탱크가 배치되되,
    상기 연료 탱크와 곡물탱크 후방의 곡물 배출관 사이에 요소수 탱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탈곡·선별장치 후방의 기체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연료 탱크가 탑재된 상기 기체 프레임 후단 측방에 요소수 탱크 장착대가 일체 형성되고, 상기 요소수 탱크 장착대에 요소수 탱크가 안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수 탱크 장착대는,
    상기 기체 프레임 후단 측방에 일체로 형성된 요소수 탱크 장착 프레임과;
    상기 요소수 탱크 장착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요소수 탱크의 하부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로 장착 요입부가 형성된 판상의 장착패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의 길이방향 축선(A1)과 둔각으로 교차하는 사선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위치하도록 요소수 탱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수 탱크의 요소수 주입구는 기체 측후방을 향하고, 상기 요소수 주입구 반대편의 요소수 탱크 후면부가 상기 연료 탱크 측면과 비스듬히 마주하도록 요소수 탱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에는 상기 요소수 탱크 후면부와 마주하는 면 반대편 면에 연료 주입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50069737A 2015-05-19 2015-05-19 콤바인 KR20160136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737A KR20160136053A (ko) 2015-05-19 2015-05-19 콤바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737A KR20160136053A (ko) 2015-05-19 2015-05-19 콤바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053A true KR20160136053A (ko) 2016-11-29

Family

ID=5770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737A KR20160136053A (ko) 2015-05-19 2015-05-19 콤바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60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794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CN105051340B (zh) 作业车辆的发动机装置
JP6512996B2 (ja) コンバイン
KR20180034574A (ko) 콤바인
JP2010084541A (ja) コンバイン
JP2010063417A (ja) コンバイン
TWI681708B (zh) 聯合收割機
JP2010051216A (ja) コンバイン
JP5085491B2 (ja) コンバイン
KR101993720B1 (ko) 콤바인
JP2016029895A (ja) コンバイン
KR20170052310A (ko) 콤바인
KR20150111174A (ko) 콤바인
KR20150083671A (ko) 콤바인
JP5828601B2 (ja) コンバイン
KR20160136053A (ko) 콤바인
KR20140014477A (ko) 콤바인
KR20160065640A (ko) 콤바인
JP6921887B2 (ja) コンバイン
JP7404189B2 (ja) コンバイン
KR20200047935A (ko) 콤바인
KR20230068798A (ko) 콤바인
JP6652188B2 (ja) コンバイン
JP6558381B2 (ja) コンバイン
JP2016029894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