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7833A - 프로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7833A
KR20200047833A KR1020180127442A KR20180127442A KR20200047833A KR 20200047833 A KR20200047833 A KR 20200047833A KR 1020180127442 A KR1020180127442 A KR 1020180127442A KR 20180127442 A KR20180127442 A KR 20180127442A KR 20200047833 A KR20200047833 A KR 20200047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ubstrate
optical fiber
integrated circuit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4414B1 (ko
Inventor
지호철
조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7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414B1/ko
Priority to US16/416,727 priority patent/US11448836B2/en
Priority to CN201910826110.6A priority patent/CN111090038A/zh
Publication of KR20200047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02Contactless testing
    • G01R31/308Contactless testing using non-ioni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radiation
    • G01R31/311Contactless testing using non-ioni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radiation of integrated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06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 having redirecting reflective means, e.g. mirrors, prisms for deflecting the radiation from horizontal to down- or upward direction toward a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30Testing of optical devices, constituted by fibre optics or optical waveguides
    • G01M11/33Testing of optical devices, constituted by fibre optics or optical waveguides with a light emitter being disposed at one fibre or waveguide end-face, and a light receiver at the other end-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02Contactless testing
    • G01R31/304Contactless testing of printed or hybrid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4Optical coupling means utilising prism or gr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02B6/4228Passive alignment, i.e. without a detection of the degree of coupling or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49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comprising arrays of active devices and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32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01L31/02327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the optical elements being integrated or being directly associated to the device, e.g. back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133Functions
    • G02B2006/12142Modula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xicology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장치는, 광 커플링 소자 및 반사 미러를 포함하는 광 집적회로 기판에 광 신호를 출력하는 광 섬유 및 상기 광 섬유를 고정시키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는 광 섬유 어레이, 및 상기 광 섬유가 삽입되는 홀, 및 상기 반사 미러에 의해 반사된 상기 광 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광 커플링 소자로 입사시키는 프로브 미러를 포함하는 중간 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PROBE DEVICE AND TEST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로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에서 대용량의 데이터에 대한 고속 송수신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금속 배선을 통한 신호 전달을 광 신호를 이용한 방식으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광 신호를 이용한 신호 전달 방식에서는 광 커플링 소자 등이 집적된 광 집적회로 기판이 필요하다. 광 집적회로 기판에 대해서는, 광 신호가 정확하게 전달되는지 여부에 대한 테스트가 필요하다.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한 광 신호를 광 집적회로 기판에 입력하기 위해, 광 신호를 출력하는 광 섬유와 광 집적회로 기판 사이의 정렬이 필요하며, 정렬을 진행하는 데에 긴 시간이 소요되어 테스트 공정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 중 하나는, 광 집적회로 기판에 대한 테스트 공정에서 광 신호를 출력하는 광 섬유와 광 집적회로 기판의 정렬을 간편하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프로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장치는, 광 커플링 소자 및 반사 미러를 포함하는 광 집적회로 기판에 광 신호를 출력하는 광 섬유 및 상기 광 섬유를 고정시키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는 광 섬유 어레이, 및 상기 광 섬유가 삽입되는 홀, 및 상기 반사 미러에 의해 반사된 상기 광 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광 커플링 소자로 입사시키는 프로브 미러를 포함하는 중간 기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장치는, 광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광 섬유들, 및 상기 복수의 광 섬유들이 배치되는 복수의 그루브들을 갖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광 섬유들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외부로 연장되는 돌출 영역을 갖는 광 섬유 어레이, 상기 돌출 영역이 삽입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홀들,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홀들과 소정의 간격만큼 분리 배치되는 복수의 프로브 미러들을 갖는 중간 기판, 및 상기 중간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광 투과성 물질로 형성되는 스페이서 기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는, 제1 및 제2 광 커플링 소자들이 형성되는 도파로, 제1 광 커플링 소자에 인접하는 제1 반사 미러, 및 제2 광 커플링 소자에 인접하는 제2 반사 미러를 갖는 광 집적회로 기판을 테스트하기 위한 광 신호를 출력하는 광원, 상기 광 신호를 상기 제1 반사 미러에 입사시키는 광 섬유, 및 상기 광 섬유를 고정하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는 광 섬유 어레이, 상기 광 섬유 어레이와 상기 광 집적회로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 섬유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끼워지는 홀, 및 상기 제1 반사 미러에서 반사된 상기 광 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제1 광 커플링 소자로 진행시키는 프로브 미러를 갖는 중간 기판, 상기 도파로를 진행하여 상기 제2 광 커플링 소자로 출력되는 상기 광 신호를 검출하는 광 검출기, 및 상기 광 검출기가 검출한 상기 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광 집적회로 기판을 검사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 집적회로 기판의 정렬 마크와 중간 기판의 정렬 마크를 이용하여 광 집적회로 기판과 중간 기판을 수동 정렬하고, 중간 기판의 홀에 광 섬유 어레이의 광 섬유를 삽입하여 광 섬유와 광 집적회로 기판을 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광 집적회로 기판의 테스트를 위한 정렬 과정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으며, 테스트 공정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는 광 집적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광 집적회로 패키지를 간단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는 광 집적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광 집적회로 패키지를 간단히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장치를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장치를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장치와 광 집적회로 기판의 정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도 10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장치와 광 집적회로 기판의 정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프로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들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간단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는 광 집적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광 집적회로 패키지를 간단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 집적회로 패키지(10)는 광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광통신 장치일 수 있다. 광 집적회로 패키지(10)는 광원(11), 집적회로 소자(12), 및 광 변조기(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집적회로 패키지(10)는 이외에도 광 검출기, 파장 분할 다중(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M) 소자 등과 같은 능동 광 소자, 및/또는 광 도파로, 광 커플링 소자, 리플렉터(reflector) 등과 같은 수동 광 소자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 집적회로 패키지(10)는 이외에도 광 섬유 어레이와 같은 광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집적회로 소자(12)는 외부에서 입력받은 데이터(DATA)를 기초로, 전기 신호(VD)를 생성할 수 있다. 광 변조기(13)는 송신된 전기 신호(VD)에 따라 광원(11)이 생성한 광 신호(LI)를 변조하여 변조된 광 신호(LM)를 생성할 수 있다. 변조된 광 신호(LM)는 광 섬유 등을 통해 외부 기기 등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일례로 광 변조기(13)는 광 신호(LI)의 세기나 위상 등을 변조하여 변조된 광 신호(LM)를 생성할 수 있다.
광 집적회로 패키지(10)에 포함되는 광원(11), 집적회로 소자(12), 광 변조기(13) 등은 하나의 기판에 배치되거나 또는 복수의 기판들에 분리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광원(11)과 광 변조기(13)가 별도의 기판에 배치되는 경우, 광원(11)이 출력하는 광 신호(LI)를 광 변조기(13)에 전달하기 위한 도파로 및 리플렉터 등이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는 광 집적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광 집적회로 패키지를 간단히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광 집적회로 패키지(100)는 광 집적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제1 기판(S1), 제1 기판(S1) 상에 적층되는 투광성의 제2 기판(S2), 및 제2 기판(S2) 상에 적층되며 광원(140)이 배치되는 제3 기판(S3)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제1 기판(S1)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과 구별되도록, 제3 기판(S3)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점 해칭을 추가하여 표시하였다. 제1 내지 제3 기판들(S1, S2, S3)은 수직 방향, 예를 들어 Z축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및 제2 기판들(S1, S2)의 사이, 및 제2 및 제3 기판들(S2, S3)의 사이에는 접착층 등이 추가되어 제1 내지 제3 기판들(S1, S2, S3)을 접합시킬 수 있다.
제1 기판(S1)은 지지 기판(111), 제1 절연층(112), 광 소자들이 배치된 광 코어층(113), 및 제2 절연층(114)을 포함하는 바디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코어층(113)에는 광 소자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기판(S1)은 광 집적회로 기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기판(S1)은 제1 및 제2 절연층(112, 114)을 리세스하며 배치되는 제1 반사 미러(162) 및 제2 반사 미러(16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되는 정렬 마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기판(S1)은 패키지 기판 등에 실장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전기 신호 전송부를 통하여 상기 패키지 기판과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S1)에는 광 변조기(124) 및/또는 광 변조기(124)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집적회로 소자가 더 실장될 수 있다.
지지 기판(111) 및 광 코어층(113)은 반도체 물질, 예컨대 실리콘, 게르마늄 또는 실리콘-게르마늄과 같은 Ⅳ족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판(111)은 벌크 웨이퍼 또는 에피택셜층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광 코어층(113)도 에피택셜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절연층들(112, 114)은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2 절연층(114)은 광 코어층(113)보다 굴절률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기판(111), 제1 절연층(112), 및 광 코어층(113)은 SOI(silicon-on-insulator) 기판을 구성할 수 있다.
광 코어층(113)에는 광 커플링 소자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광 소자들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코어층(113)에는 광 도파로(126), 및 광 도파로(126)에 의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광 커플링 소자들(122A, 122B)과 광 변조기(12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광 커플링 소자들(122A, 122B)은 각각 광의 입력 및 출력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광 커플링 소자들(122A, 12B)은 제1 기판(S1)에서 수평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을 상부를 향하는 수직한 방향으로, 또는 수직한 방향에서 소정 각도로 틸팅된 방향으로 커플링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광 커플링 소자들(122A, 122B)은 광 도파로(126)의 양단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광 변조기(124)는 제1 및 제2 광 커플링 소자들(122A, 122B)의 사이에 위치하며, 광의 세기, 위상 등을 변경하여 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광 변조기(124)는 예를 들어, 전계 흡수형 변조기 또는 간섭형 변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변조기(124)는 광을 두 개 이상의 경로로 분리하고 그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에서 빛의 위상을 변조하며, 위상이 변조된 빛과 위상이 그대로 유지된 빛 사이의 상쇄 및 보강 간섭을 이용하여 빛을 변조하는 마흐-젠더(Mach-Zehnder) 간섭계형 변조기일 수 있다. 광 도파로(126)는 제1 및 제2 광 커플링 소자들(122A, 122B) 및 광 변조기(124)의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며, 광이 진행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영역에서, 광 코어층(113)에는 광 검출기와 같은 광전 변환 소자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제1 반사 미러(162) 및 제2 반사 미러(164)는 광 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제1 반사 미러(162)와 제2 반사 미러(164)는 상부의 제3 기판(S3)으로부터 전달된 광 신호를 다시 상부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 반사 미러(162)는 제3 기판(S3)의 광원(140) 또는 제1 리플렉터(152)로부터 전송된 광 신호를 반사시켜 제3 기판(S3)의 제3 반사 미러(166)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반사 미러(164)는 제3 기판(S3)의 제4 반사 미러(168)로부터 전송된 광 신호를 반사시켜 제3 기판(S3)의 광 섬유(180) 또는 제2 리플렉터(154)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반사 미러(162) 및 제2 반사 미러(164)는 제1 기판(S1)의 상면에서 제1 및 제2 절연층들(112, 114)을 리세스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오목(concave) 미러일 수 있다. 제1 반사 미러(162)의 하부에 잔존하는 제1 절연층(112)의 두께(D5)는 0 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 반사 미러(162)가 제1 절연층(112) 전체를 리세스하도록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반사 미러(162)의 중심부는 지지 기판(111)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지지 기판(111)의 상면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반사 미러(162)가 가장 깊게 배치되는 경우, 제1 반사 미러(162)의 하면이 지지 기판(111)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제2 반사 미러(164)의 배치 및 구조는 제1 반사 미러(162)의 배치 및 구조와 유사할 수 있으며, 제1 반사 미러(162)에 대한 상기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반사 미러(162)는 광 코어층(113)으로부터 일측으로(laterally) 제1 거리(D1)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거리(D1)는 예를 들어, 수 마이크로 미터 내지 수십 마이크로 미터일 수 있다. 제1 반사 미러(162)는 제1 및 제2 광 커플링 소자들(122A, 122B)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반사 미러(164) 역시 제1 및 제2 광 커플링 소자들(122A, 122B)로부터 일측으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반사 미러(162) 및 제2 반사 미러(164)의 지름은 예를 들어, 50 ㎛ 내지 200 ㎛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반사 미러(162) 및 제2 반사 미러(164)는 리세스된 표면에 반사층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평면 상에서 적어도 리세스된 영역을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반사층은 광 신호의 경로를 제외한 영역들 전체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반사층은 고반사율 특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구리(Cu), 금(Au), 및 은(A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마크(190)는 제1 기판(S1)뿐 아니라 제3 기판(S3)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정렬 마크(190)는 제1 기판(S1)과 제3 기판(S3)의 결합 시 정합성 향상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렬 마크(190)를 이용하여, 제1 반사 미러(162)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로 표현되는 좌표값으로 위치를 정의함으로써, 제1 기판(S1)과 제3 기판(S3)이 정렬될 수 있다.
제2 기판(S2)은 제1 기판(S1)과 제3 기판(S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투광성 물질의 바디부(10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기판(S2)은 제1 기판(S1)과 제3 기판(S3)의 사이에서 초점 거리(focal length)를 조절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2 기판(S2)은 제1 기판(S1) 및 제3 기판(S3)과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사이에 접착층이 추가될 수 있다. 제2 기판(S2)의 바디부(102)는 광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광 신호를 투과시킬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iO2, SiNx, SiON, Al2O3, HfO, TiO2 또는 ZrO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S2)은 제3 기판(S3)에 실장된 광원(14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수납되는 캐비티(CA)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제2 기판(S2)은 실시예들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기판(S1)과 제3 기판(S3)의 사이의 공간은 예를 들어, 공기로만 채워질 수도 있다.
제3 기판(S3)은 제2 기판(S2)을 사이에 두고 제1 기판(S1)과 광학적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S3)은 바디부(103), 광원(140), 제1 리플렉터(152), 제2 미러(166), 제3 미러(168), 제2 리플렉터(154), 및 광 섬유(18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40)은 광 신호를 출력하여 제1 기판(S1)의 제1 반사 미러(162)에 광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광원(140)은 전광 변환 소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광원(140)은 제3 기판(S3)의 하면의 리세스 영역(RC) 내에 실장될 수 있다. 광원(140)은 예를 들어, 제3 기판(S3)에 플립칩 본딩되어 실장될 수 있으며, 다만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리플렉터(152)는 광원(140)으로부터 출력된 광 신호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여 제1 기판(S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리플렉터(152)는 일종의 평탄 미러(flat mirror)일 수 있으며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리플렉터(152)는 상기 경사면 상에 배치된 고반사율의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플렉터(152)는 제1 기판(S1)의 제1 반사 미러(162)와 소정 길이(D3)만큼 상하로 중첩(overlap)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리플렉터(152)는 제1 기판(S1)의 제1 반사 미러(162)와 평면 상에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3 반사 미러(166)와 제4 반사 미러(168)는 제3 기판(S3)의 하면으로부터 바디부(103)를 리세스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기판(S1)의 제1 반사 미러(162) 및 제2 반사 미러(164)와 제3 기판(S3)의 제3 반사 미러(166) 및 제4 반사 미러(168)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2 미러(166)는 광원(140)으로부터 제2 거리(D2)만큼 일 방향(Y축 방향)으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 반사 미러(166)는 제1 기판(S1)의 제1 반사 미러(162)와 소정 길이(D4)만큼 상하로 중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3 반사 미러(166)는 제1 기판(S1)의 제1 반사 미러(162)와 평면 상에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3 반사 미러(166)는 제1 기판(S1)의 광 커플링 소자들(122A, 122B)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되는 영역을 갖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례로 제1 리플렉터(152), 제1 반사 미러(162), 제3 반사 미러(166), 및 제1 광 커플링 소자(122A) 중 적어도 일부가 일 방향(Y축 방향)에서 서로 중첩되어 배치되는 경우, 집적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3 반사 미러(166)와 제4 반사 미러(168)는 오목 미러일 수 있으며, 바디부(103)의 리세스된 표면에 배치된 반사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고반사율 특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구리(Cu), 금(Au), 및 은(A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제1 반사 미러(162) 및 제2 반사 미러(164)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 리플렉터(154)는 제1 기판(S1)의 제2 반사 미러(164)로부터 전송된 광 신호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여 광 섬유(18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리플렉터(154)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 상에 배치된 고반사율의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리플렉터(154)는 제1 리플렉터(152)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광 섬유(180)는 제1 기판(S1)을 거쳐 전송받은 광 신호를 외부 장치로 출력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광 섬유(180)는 광 신호를 전반사 시킬 수 있도록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을 둘러싸는 클래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들에 따라 광 섬유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광 집적회로 패키지(100)에서 광 신호는, 도 2에 화살표를 이용하여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기판(S3)의 광원(140)에서 생성된 광 신호는 제1 반사 미러(162)와 제3 반사 미러(166)을 거쳐 제1 기판(S1) 내의 광 코어층(1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광 커플링 소자(122A)는 수신한 광 신호를 광 도파로(126)를 통해 수평한 방향, 예를 들어 x 방향으로 전송하여 광 변조기(124)로 전달할 수 있다. 광 변조기(124)는 제1 기판(S1) 내의 집적회로 소자 등으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광 신호의 세기 및/또는 위상 등을 변조할 수 있다. 변조된 광 신호는 제3 기판(S3)으로 전송되어 제4 반사 미러(168) 및 제2 반사 미러(164)을 거쳐 광 섬유(180) 등과 같은 광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광 신호는 제1 내지 제3 기판(S1, S2, S3)이 적층되면서, 제1 내지 제4 반사 미러들(162, 164, 166, 168)이 상호 정렬되어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진행되고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광원(140)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내는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 변조기(124)도 각각의 광원들(140)로부터의 광의 세기, 위상 등을 변경하도록 복수 개가 어레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반사 미러들(162, 164, 166, 168)도 각각의 광원들(140) 및 광 섬유들(180)의 어레이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들(140)로부터 복수의 광 변조기들(124) 각각에 전달되어 생성된 복수의 광 신호들은 서로 다른 데이터, 정보 들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신호들은 서로 간섭 및 중첩없이 상기 복수의 광 섬유들(18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다만, 광원(140), 광 변조기(124), 제1 내지 제4 반사 미러들(162, 164, 166, 168), 및 광 섬유(180)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장치를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장치(300)는 중간 기판(310) 및 광 섬유 어레이(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브 장치(300)는 광 집적회로 기판(200)과 정렬되도록 광 집적회로 기판(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브 장치(300)가 광 집적회로 기판(200)과 정렬된 상태에서 광 신호가 광 섬유(321)를 통해 광 집적회로 기판(200)에 입사될 수 있다. 광 집적회로 기판(200)은 상기 광 신호를 다시 외부로 내보낼 수 있으며, 프로브 장치(300)가 장착된 테스트 장치가 광 검출기를 통해 상기 광 신호를 검출하여 광 집적회로 기판(200)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광 집적회로 기판(200)은 지지 기판(211), 제1 절연층(212), 광 소자들이 배치된 광 코어층(213), 및 제2 절연층(214) 등과 같이 복수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판(211)과 광 코어층(213)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 코어층(213)에는 광 도파로(226)와 광 변조기(224), 제1 및 제2 광 커플링 소자들(222A, 222B)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 집적회로 기판(200)은 일 방향(Y축 방향)에서 광 코어층(213)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반사 미러(262) 및 제2 반사 미러(26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 미러(262)와 제2 반사 미러(268)는 제1 절연층(212)과 제2 절연층(214)을 리세스한 영역에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반사층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장치(300)는, 중간 기판(310) 및 광 섬유 어레이(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섬유 어레이(320)는 광 섬유(321), 광 섬유(321)가 장착되는 그루브(324)를 갖는 베이스 기판(323, 32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중간 기판(310)은 광 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는 프로브 미러(311), 및 프로브 미러(311)와 일 방향(Y축 방향)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분리 배치되는 홀(313)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섬유 어레이(320)와 중간 기판(310)은, 광 섬유(321)를 홀(313)에 끼워넣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홀(313)에 광 섬유(321)가 수납될 수 있도록, 광 섬유(32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베이스 기판(323, 325)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 섬유 어레이(3230)는,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광 섬유들(32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 섬유들(321)은 V자 형태의 홈을 제공하는 그루브(324)에 수납될 수 있다. 일례로 그루브(324)는 제1 베이스 기판(323) 및 제2 베이스 기판(325)에 모두 형성되거나, 또는 제1 베이스 기판(323)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루브(324)가 제1 베이스 기판(323)에만 형성되는 경우, 제1 베이스 기판(323)과 마주보는 제2 베이스 기판(325)의 표면은 평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간 기판(310)은 복수의 광 섬유들(321)을 끼워 넣기 위한, 복수의 홀들(313)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섬유(321)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홀(313)은 광 섬유(321)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홀(313)의 직경과 광 섬유(321)의 직경의 차이는, 광 섬유(321)와 홀(313)의 제조 공차, 광 섬유(321)가 수납되는 그루브(324)의 제조 공차, 그루브(324)가 형성된 베이스 기판(323, 325)과 광 섬유(321)의 결합 공차, 및 광 섬유 어레이(320)와 중간 기판(310)의 정렬 공차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테스트 공정이 시작되면, 중간 기판(310)의 정렬 마크(390)와 광 집적회로 기판(200)의 정렬 마크(290)를 이용하여 광 집적회로 기판(200) 상에 중간 기판(310)을 정렬시킬 수 있다. 광 집적회로 기판(200)과 중간 기판(310)이 정렬되면, 중간 기판(310)의 홀(313)에 광 섬유(321)를 끼워 넣음으로써 광 섬유 어레이(320)와 중간 기판(31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간편한 과정만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섬유(321)가 광 집적회로 기판(200)의 제1 반사 미러(262)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테스트 장치에서 생성된 광 신호는 광 섬유(321)를 통해 제1 반사 미러(262), 및 프로브 미러(311)에 의해 반사되어 제1 광 커플링 소자(222A)에 입사할 수 있다. 제1 광 커플링 소자(222A)로 입사된 상기 광 신호는, 광 도파로(226)를 거쳐 제2 광 커플링 소자(222B)에서 테스트 장치의 광 검출기로 출력될 수 있다. 테스트 장치는, 광 검출기로 출력되는 상기 광 신호의 세기, 파장, 위상 등을 분석하여 광 집적회로 기판(200)에 대한 테스트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광 집적회로 기판(200)에 대한 테스트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테스트 장치의 광원과 제1 광 커플링 소자(222A)를 정렬하고, 테스트 장치의 광 검출기와 제2 광 커플링 소자(222B)를 정렬하는 공정이 필요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광원과 광 검출기 각각을 제1 및 제2 광 커플링 소자들(222A, 222B) 상에 배치하고 그 위치를 조금씩 변경하면서 광 검출기로 광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방식의 능동 정렬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능동 정렬 방식은 상대적으로 매우 긴 시간을 소모함으로써 테스트 공정의 효율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광 집적회로 기판(200)과 중간 기판(310) 각각에 형성된 정렬 마크들(290, 390)을 이용하여 광 집적회로 기판(200)과 중간 기판(310)을 간편하게 정렬하고, 중간 기판(310)의 홀(313)에 광 섬유(321)를 끼워 넣음으로써 광 섬유 어레이(320)를 광 집적회로 기판(200)과 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테스트 공정에 필요한 정렬 과정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테스트 공정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장치(300)는, 광 도파로(226)의 양측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광 커플링 소자(222B)에 의해 광 도파로(226)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는, 중간 기판(310)의 프로브 미러(311)와, 제2 반사 미러(264)에 의해 반사되어 광 섬유(321)에 입사할 수 있다. 테스트 장치의 광 검출기는 광 섬유(321)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2 반사 미러(264)에 의해 반사되어 광 섬유(321)로 입사된 상기 광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광 도파로(226)의 양측에 프로브 장치(300)를 배치함으로써, 테스트 공정에 필요한 정렬 과정을 더욱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장치를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프로브 장치(300)는 중간 기판(310)과 광 섬유 어레이(320) 외에 스페이서 기판(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 기판(330)은 중간 기판(310)과, 테스트 대상인 광 집적회로 기판(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 기판(330)은 광 투과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SiO2, SiNx, SiON, Al2O3, HfO, TiO2 또는 ZrO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 기판(330)의 두께는 제1 반사 미러(262)와 프로브 미러(311)의 초점 거리와 광 신호의 파장, 위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스페이서 기판(330)은 광 신호가 제1 반사 미러(262)와 프로브 미러(311)에 의해 반사되어 제1 광 커플링 소자(262A)에 정확하게 입사될 수 있도록, 제1 반사 미러(262)와 프로브 미러(311)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 기판(330)의 두께가 중간 기판(310)의 두께보다 크게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 스페이서 기판(330)의 두께는 중간 기판(310)보다 작을 수도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광 집적회로 기판(200), 중간 기판(310) 및 광 섬유 어레이(320)의 구성은, 앞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장치와 광 집적회로 기판의 정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공정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광 집적회로 기판(400)을 나타낸 도면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장치의 중간 기판(510)을 나타낸 도면일 수 있다. 우선 도 8(a)와 도 8(b)를 참조하면, 광 집적회로 기판(400)은 지지 기판(411), 제1 절연층(412), 제2 절연층(414), 및 제1 절연층(412)과 제2 절연층(414) 사이에 정의되는 광 코어층(4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코어층(413)은 광 도파로(426)와 제1 광 커플링 소자(222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광 커플링 소자(222A)에 인접한 영역에 제1 반사 미러(462)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반사 미러(462)는 제1 절연층(412)과 제2 절연층(414)의 일부 영역을 리세스하여 형성한 영역에 반사층을 배치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중간 기판(510)은 프로브 미러(511)와 홀(513)을 포함할 수 있다. 홀(513)은 광 섬유가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광 섬유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홀(513)의 직경은 광 섬유와 홀(513) 등의 제조 공차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프로브 미러(511)는 제1 반사 미러(462)와 같은 오목 미러일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광 집적회로 기판(400)과 중간 기판(510)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들일 수 있다. 도 10와 도 11을 참조하면, 광 집적회로 기판(400) 상에 중간 기판(510)이 배치될 수 있다. 광 집적회로 기판(400) 상에 중간 기판(510)을 배치하고 정렬하기 위해, 광 집적회로 기판(400)과 중간 기판(510) 각각에 형성되는 정렬 마크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0(a)와 도 10(b)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는, 정렬이 완료됨에 따라 중간 기판(510)의 홀(513)이 제1 반사 미러(46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반사 미러(462)와 프로브 미러(511)가 일 방향(Y축 방향)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으며, 프로브 미러(511)는 제1 광 커플링 소자(422A)와도 상기 일 방향(Y축 방향)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도 11(a)와 도 11(b)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는, 정렬이 완료됨에 따라 중간 기판(510)의 홀(513)이 제1 반사 미러(462)의 상부에 위치하고, 프로브 미러(511A)는 일 방향(Y축 방향)에서 제1 반사 미러(462) 및 제1 광 커플링 소자(422A)와 중첩될 수 있다. 즉, 도 11(a)와 도 11(b)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보다 프로브 미러(511A)와 제1 반사 미러(462) 및 제1 광 커플링 소자(422A)가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실시예들에서 제1 반사 미러(462)와 제1 광 커플링 소자(422A) 및 프로브 미러(511, 511A) 사이의 거리는, 제1 반사 미러(462)와 프로브 미러(511, 511A)의 초점 거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광 집적회로 기판(400)과 중간 기판(510)의 정렬 과정은, 광 집적회로 기판(400)과 중간 기판(510) 각각에 형성된 정렬 마크(AM)를 이용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정렬 마크(AM)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2에서는 십자가 형상으로 예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 기판(510)의 정렬 마크(AM)는, 프로브 미러(511)를 기준으로 제1 방향(X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 각각에서 소정의 오프셋만큼 분리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 집적회로 기판(400)의 정렬 마크(AM)는, 제1 반사 미러(462)를 기준으로 제1 방향(X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 각각에서 소정의 오프셋만큼 분리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간 기판(510)에 적용되는 오프셋 값과, 광 집적회로 기판(400)에 적용되는 오프셋 값은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서로 같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방향(Y축 방향)에서는, 실시예들에 따라 오프셋 값들이 서로 같거나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광 집적회로 기판(400)과 중간 기판(510) 각각에 형성된 정렬 마크(AM)를 서로 일치시킴으로써 광 집적회로 기판(400)과 중간 기판(510)이 정렬될 수 있다. 일례로, 시각적으로 광 집적회로 기판(400)과 중간 기판(510) 각각에 형성된 정렬 마크(AM)가 일치하도록 중간 기판(51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광 집적회로 기판(400)과 중간 기판(510)을 정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중간 기판(510)과 광 집적회로 기판(400)을 먼저 정렬시킨 후, 광 섬유가 포함된 광 섬유 어레이를 중간 기판(510)과 결합하여 광 집적회로 기판(400)의 제1 반사 미러(462)를 광 섬유와 손쉽게 정렬시킬 수 있다. 광 섬유 어레이와 중간 기판(510)은, 광 섬유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중간 기판(510)의 홀(513)에 끼워넣음으로써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장치(500)와 광 집적회로 기판(400)의 정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정렬 마크(AM)에 의해 중간 기판(510)과 광 집적회로 기판(400)이 정렬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 기판(510)과 광 집적회로 기판(400)이 먼저 정렬된 이후, 광 섬유(521)를 포함하는 광 섬유 어레이(520)를 중간 기판(510)에 결합하여 광 섬유(521)와 제1 반사 미러(462)를 정렬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광 섬유 어레이(520)는 광 섬유(521) 및 광 섬유(521)를 고정하는 베이스 기판(523, 525)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섬유(521)는 그 길이 방향에서 베이스 기판(523, 525)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523, 525)의 하부에서 광 섬유(52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돌출될 수 있다. 중간 기판(510)과 광 집적회로 기판(400)이 정렬된 후, 베이스 기판(523, 525)의 하부에서 돌출된 광 섬유(521)의 일부 영역은, 중간 기판(510)의 홀(513)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광 섬유(521)와 광 집적회로 기판(400)을 직접 정렬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중간 기판(510)을 이용하여 광 섬유(521)와 광 집적회로 기판(400)을 간편하고 빠르게 정렬할 수 있다.
광 섬유(521)를 홀(513)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광 섬유 어레이(520)와 중간 기판(510)이 결합되므로 홀(513)의 직경은 광 섬유(521)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홀(513)의 직경은 광 섬유(521)와 홀(513)의 제조 공차, 광 섬유(521)를 베이스 기판(523, 525)에 배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차 등을 다양하게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프로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들이다.
도 14(a)는 광 섬유 어레이(6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b)는 중간 기판(700)을 나타낸 도면일 수 있다. 광 섬유 어레이(600)는 베이스 기판(603, 605)에 고정되는 복수의 광 섬유들(601)을 포함하며, 복수의 광 섬유들(601)은 제1 베이스 기판(603)에 형성된 그루브들(604)에 수납될 수 있다. 복수의 광 섬유들(601)은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중간 기판(700)은 복수의 홀들(701)과 복수의 프로브 미러들(70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홀들(701)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복수의 광 섬유들(60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프로브 미러들(703)은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복수의 홀들(701)과 소정의 간격만큼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테스트 대상인 광 집적회로 기판과 중간 기판(700)이 먼저 정렬된 후, 중간 기판(700)의 홀들(701)에 광 섬유들(601)이 삽입되어 광 섬유 어레이(600)와 중간 기판(700)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홀들(701) 각각의 직경은, 광 섬유들(601) 각각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홀들(701) 각각의 직경과 광 섬유들(601) 각각의 직경의 차이는, 다양한 제조 공차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광 섬유들(601) 또는 홀들(701)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공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광 섬유들(601)을 고정하기 위해 제1 베이스 기판(603)에 형성되는 그루브들(604) 각각의 크기와 형상 차이로 인한 공차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그루브들(604)에 광 섬유들(601)을 배치하고 고정하는 과정에서 공차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제조 공차를 고려하여, 복수의 홀들(701)의 직경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광 섬유 어레이(600)와 중간 기판(700)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홀(701)의 중심과 광 섬유(601)의 중심이 일치하거나 또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5(a)는 제조 공차가 발생하지 않은 이상적인 경우로서, 홀(701)의 중심과 광 섬유(601)의 중심이 완전히 일치할 수 있다. 반면, 도 15(b)와 도 15(c)는 각각 특정 방향(X축 또는 Y축 방향)에서 공차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으며, 도 15(d)는 양 방향 모두에서 공차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섬유들(601) 및 제1 베이스 기판(603)을 제조하고 광 섬유들(601)을 제1 베이스 기판(603)의 그루브들(604)에 결합하는 제조 공정, 및 복수의 홀들(701)을 형성하는 공정 등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공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공차를 고려하여 복수의 홀들(701)의 직경을 결정함으로써, 제조 공차에 의해 광 섬유 어레이(600)와 중간 기판(700)이 결합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들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1000)는 컨트롤러(1010), 광원(1020), 프로브 장치(1030), 및 광 검출기(10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 장치(1000)는 프로브 장치(1030)를 통해 광 집적회로 기판(2000)에 광 신호를 입력하고, 광 집적회로 기판(2000)으로부터 광 신호를 검출하여 테스트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1010)는 광원(1020)을 제어하여 테스트 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광원(1020)이 출력하는 광 신호는 프로브 장치(1030)를 통해 광 집적회로 기판(2000)에 입사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브 장치(1030)는 광 신호를 전달하는 광 섬유를 포함하는 광 섬유 어레이 및 광 섬유를 광 집적회로 기판(2000)과 정렬하기 위한 중간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집적회로 기판(2000)으로 입사한 광 신호는 다시 프로브 장치(1030)를 통해 광 검출기(1040)로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브 장치(1030)는 광 집적회로 기판(2000)의 송신 측과 수광 측에 각각 연결되어 광원(1020) 및 광 검출기(1040)를 광 집적회로 기판(2000)에 정렬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10)는 광 검출기(1040)가 검출한 광 신호의 세기, 위상 등을 분석하여 광 집적회로 기판(2000)에 대한 테스트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광 집적회로 기판(2000)은 지지 기판(2011), 제1 절연층(2012), 광 코어층(2013), 및 제2 절연층(2014) 등을 가질 수 있다. 광 코어층(2013)은 광 도파로(2026)를 포함하며, 광 도파로(2026)는 일 방향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1 광 커플링 소자(2022A)와 제2 광 커플링 소자(2022B)를 가질 수 있다. 제1 광 커플링 소자(2022A)와 제2 광 커플링 소자(2022B) 각각에 인접한 위치에는, 제1 절연층(2012)과 제2 절연층(2014)의 적어도 일부를 리세스하고 반사층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제1 반사 미러(2062) 및 제2 반사 미러(2068)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테스트 장치의 컨트롤러(1010)는 광원(1020)과 광 검출기(1040)를 제어할 수 있다. 광원(1020)과 광 검출기(1040)는 프로브 장치(1030A, 1030B)를 통해 광 집적회로 기판(2000)에 광 신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광 집적회로 기판(2000)에서 출력되는 광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브 장치(1030A, 1030B)는 제1 프로브 장치(1030A)와 제2 프로브 장치(10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로브 장치(1030A)는 중간 기판(1031A)과 광 섬유 어레이(1035A)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섬유 어레이(1035A)는 광 섬유(1036A) 및 광 섬유(1036A)가 고정되는 그루브를 갖는 베이스 기판(1037A, 1038A)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기판(1031A)은 프로브 미러(1033A) 및 홀(1034A)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광 섬유(1036A)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홀(1034A)에 끼워지는 형태로 중간 기판(1031A)과 광 섬유 어레이(1035A)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로브 장치(1030B)는 제1 프로브 장치(1030A)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프로브 장치(1030A)와 제2 프로브 장치(1030B) 각각의 중간 기판들(1031A, 1031B)을 광 집적회로 기판(2000) 상에 정렬시킨 후, 광 섬유 어레이들(1035A, 1035B)을 중간 기판들(1031A, 1031B) 각각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브 장치들(1030)과 광 집적회로 기판(2000)이 간편하게 정렬될 수 있으므로, 테스트 공정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프로브 장치들(1030)과 광 집적회로 기판(2000)의 정렬이 완료되면, 컨트롤러(1010)는 광원(1020)을 이용하여 광 신호를 출력하고, 광 검출기(1040)를 통해 광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테스트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간단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컴퓨터 시스템(1100)은 신호 처리 시스템, 디스플레이(display) 시스템, 통신(communication) 시스템, 또는 신호가 광적으로 전송될 수 있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100)은 프로세서(1110), 반도체 메모리 장치(1120), 사용자 인터페이스(1130), 전원 공급 장치(1140), 및 광 버스(1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광 버스(1150)에 의해 다른 요소와 통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도 1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테스트 공정을 통과한 광 집적회로 기판 또는 광 집적회로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1120)는 광 버스(1150)에 커플링되어 있을 수 있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1120)는 도 1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테스트 공정을 통과한 광 집적회로 기판 또는 광 집적회로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메모리 장치(1120)는 광 버스(1150)에 의해 다른 요소와 통신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140)는 광 버스(1150)에 의해 다른 요소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1130)는 사용자쪽으로 및 그로부터 입력/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100: 광 집적회로 패키지
S1, 200, 400, 2000: 광 집적회로 기판
300, 500: 프로브 장치
310, 510, 700: 중간 기판
320, 520, 600: 광 섬유 어레이

Claims (20)

  1. 광 커플링 소자 및 반사 미러를 포함하는 광 집적회로 기판에 광 신호를 출력하는 광 섬유 및 상기 광 섬유를 고정시키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는 광 섬유 어레이; 및
    상기 광 섬유가 삽입되는 홀, 및 상기 반사 미러에 의해 반사된 상기 광 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광 커플링 소자로 입사시키는 프로브 미러를 포함하는 중간 기판; 을 포함하는 프로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섬유는 복수의 광 섬유들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복수의 광 섬유들이 고정되는 복수의 그루브들을 갖는 프로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섬유 어레이는, 상기 복수의 그루브들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 기판 및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광 섬유들을 고정하는 제2 베이스 기판을 갖는 프로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길이는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길이보다 큰 프로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섬유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광 섬유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외부로 연장되는 돌출 영역을 갖는 프로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중간 기판의 상기 홀에 삽입되는 프로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직경은 상기 광 섬유의 직경보다 큰 프로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직경은, 상기 광 섬유의 직경, 상기 광 섬유의 제조 공차, 상기 홀의 제조 공차,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광 섬유의 결합 공차, 및 상기 광 섬유 어레이와 상기 중간 기판의 정렬 공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프로브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미러는 오목 미러(concave mirror)인 프로브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기판은 상기 광 집적회로 기판과의 정렬에 필요한 정렬 마크를 포함하는 프로브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마크는 상기 프로브 미러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 방향들 각각에서 소정의 오프셋만큼 분리 배치되는 프로브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마크에 의해, 상기 중간 기판은 상기 프로브 미러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반사 미러와 중첩되도록 상기 광 집적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프로브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마크에 의해, 상기 중간 기판은 상기 프로브 미러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광 커플링 소자와 중첩되도록 상기 광 집적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프로브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기판; 을 더 포함하는 프로브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섬유가 출력하는 상기 광 신호는, 상기 스페이서 기판을 통과하여 상기 반사 미러로 입사하는 프로브 장치.
  16. 광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광 섬유들, 및 상기 복수의 광 섬유들이 배치되는 복수의 그루브들을 갖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광 섬유들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외부로 연장되는 돌출 영역을 갖는 광 섬유 어레이;
    상기 돌출 영역이 삽입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홀들,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홀들과 소정의 간격만큼 분리 배치되는 복수의 프로브 미러들을 갖는 중간 기판; 및
    상기 중간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광 투과성 물질로 형성되는 스페이서 기판; 을 포함하는 프로브 장치.
  17. 제1 및 제2 광 커플링 소자들이 형성되는 도파로, 제1 광 커플링 소자에 인접하는 제1 반사 미러, 및 제2 광 커플링 소자에 인접하는 제2 반사 미러를 갖는 광 집적회로 기판을 테스트하기 위한 광 신호를 출력하는 광원;
    상기 광 신호를 상기 제1 반사 미러에 입사시키는 광 섬유, 및 상기 광 섬유를 고정하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는 광 섬유 어레이;
    상기 광 섬유 어레이와 상기 광 집적회로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 섬유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끼워지는 홀, 및 상기 제1 반사 미러에서 반사된 상기 광 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제1 광 커플링 소자로 진행시키는 프로브 미러를 갖는 중간 기판;
    상기 도파로를 진행하여 상기 제2 광 커플링 소자로 출력되는 상기 광 신호를 검출하는 광 검출기; 및
    상기 광 검출기가 검출한 상기 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광 집적회로 기판을 검사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기판과 상기 광 집적회로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기판; 을 더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기판의 두께는, 상기 프로브 미러와 상기 제1 반사 미러 중 적어도 하나의 초점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테스트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광 검출기가 검출한 상기 광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광 집적회로 기판을 검사하는 테스트 장치.

KR1020180127442A 2018-10-24 2018-10-24 프로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 KR102594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442A KR102594414B1 (ko) 2018-10-24 2018-10-24 프로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
US16/416,727 US11448836B2 (en) 2018-10-24 2019-05-20 Probe device and test device including the same comprising an optical fiber inserted into a hole of an intermediate substrate having a probe mirror
CN201910826110.6A CN111090038A (zh) 2018-10-24 2019-09-03 探测装置及包括探测装置的测试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442A KR102594414B1 (ko) 2018-10-24 2018-10-24 프로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833A true KR20200047833A (ko) 2020-05-08
KR102594414B1 KR102594414B1 (ko) 2023-10-30

Family

ID=70328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442A KR102594414B1 (ko) 2018-10-24 2018-10-24 프로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48836B2 (ko)
KR (1) KR102594414B1 (ko)
CN (1) CN1110900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8765B (zh) * 2020-07-03 2022-04-08 中国计量科学研究院 基于硅基刻蚀的超导光学探测器与光纤对准方法及装置
CN112363041B (zh) * 2020-11-21 2021-09-28 深圳中科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半导体的全自动aa设备
US20220163583A1 (en) * 2020-11-24 2022-05-26 Intel Corporation CONTACTLESS OPTICAL PROBING OF EDGE-COUPLED PHOTONIC ICs
WO2024029011A1 (ja) * 2022-08-03 2024-02-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変調器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0284A (ja) * 2000-07-26 2002-02-0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ァイバアレイ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導波路型多層光波回路モジュール
US6406196B1 (en) * 1995-08-03 2002-06-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2303654A (ja) * 2000-12-21 2002-10-18 Schlumberger Technol Inc 集積回路デバイス検査のための光結合システム
JP2005508015A (ja) * 2001-07-03 2005-03-24 大崎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レー構造の光ファイバコリメータを製造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50194990A1 (en) * 2004-03-08 2005-09-08 Sioptical, Inc. Wafer-level opto-electronic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80310852A1 (en) * 2007-06-18 2008-12-18 Tan Michael R T Misalignment tolerant free space optical transceiver
US7586608B1 (en) * 2003-04-07 2009-09-08 Luxtera, Inc. Wafer-level testing of optical and optoelectronic chips
US20140203830A1 (en) * 2013-01-24 2014-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st system and method for wafer including optical component
JP2015518184A (ja) * 2012-05-29 2015-06-2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光配線
JP2015194689A (ja) * 2014-03-24 2015-11-05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実装部品、光モジュールおよび製造方法
US20180011250A1 (en) * 2016-07-11 2018-01-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ber attach assembly and test auto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76C (zh) * 1995-03-17 2001-06-13 中国大恒公司 新型集成电路管脚偏差检测装置及其数据处理方法
KR100211985B1 (ko) * 1996-12-11 1999-08-02 이계철 하이브리드 광집적회로용 마이크로 거울, 그의 제조방법, 마이크로 거울-광검출기 어셈블리 및 광수신용 하이브리드 광집적회로 어셈블리
JP2000028871A (ja) * 1998-07-15 2000-01-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半導体モジュールの実装形態
US6243508B1 (en) 1999-06-01 2001-06-05 Picolight Incorporated Electro-opto-mechanical assembly for coupling a light source or receiver to an optical waveguide
JP2001056952A (ja) * 1999-08-19 2001-02-27 Hitachi Ltd 光ヘッ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75026A (ja) * 1999-09-07 2001-03-23 Seikoh Giken Co Ltd 反射ミラー形光ファイバスイッチ
CN1265229C (zh) * 2003-03-20 2006-07-19 株式会社日立制作所 光开关及光开关系统
KR20070110882A (ko) * 2005-02-16 2007-11-20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Ic 칩에 대한 광 결합
US8530818B2 (en) * 2010-06-28 2013-09-10 Intel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flection of an optical signal
CN202083817U (zh) * 2011-05-03 2011-12-21 苏州旭创科技有限公司 用于高速传输的并行光收发组件
US9104039B2 (en) 2012-05-08 2015-08-11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vision-aided passive alignment during the assembly of an optical communications module
JP6358092B2 (ja) 2012-08-31 2018-07-18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プローブ、検査装置、検査方法
US10180402B2 (en) * 2012-12-14 2019-01-15 Sri International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automated integrated circuit analysis
TWM464674U (zh) * 2013-07-11 2013-11-01 Foci Fiber Optic Communications Inc 陣列式光電替換模組及光纖接頭
US9435961B2 (en) * 2014-10-15 2016-09-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Stacked photonic chip coupler for SOI chip-fiber coupling
JP6051253B2 (ja) * 2015-03-30 2016-12-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光双方向通信モジュール
US9804334B2 (en) * 2015-10-08 2017-10-31 Teramount Ltd. Fiber to chip optical coupler
CN205427247U (zh) * 2015-12-23 2016-08-03 福州高意通讯有限公司 一种用于多路并行传输的光收发组件
US9854336B2 (en) * 2015-12-31 2017-12-26 Infiner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upling a fiber to a polarization sensitive photonic integrated circuit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6196B1 (en) * 1995-08-03 2002-06-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2040284A (ja) * 2000-07-26 2002-02-0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ァイバアレイ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導波路型多層光波回路モジュール
JP2002303654A (ja) * 2000-12-21 2002-10-18 Schlumberger Technol Inc 集積回路デバイス検査のための光結合システム
JP2005508015A (ja) * 2001-07-03 2005-03-24 大崎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レー構造の光ファイバコリメータを製造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7586608B1 (en) * 2003-04-07 2009-09-08 Luxtera, Inc. Wafer-level testing of optical and optoelectronic chips
US20050194990A1 (en) * 2004-03-08 2005-09-08 Sioptical, Inc. Wafer-level opto-electronic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US7109739B2 (en) * 2004-03-08 2006-09-19 Sioptical, Inc. Wafer-level opto-electronic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80310852A1 (en) * 2007-06-18 2008-12-18 Tan Michael R T Misalignment tolerant free space optical transceiver
US8315526B2 (en) * 2007-06-18 2012-11-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isalignment tolerant free space optical transceiver
JP2015518184A (ja) * 2012-05-29 2015-06-2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光配線
US20140203830A1 (en) * 2013-01-24 2014-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st system and method for wafer including optical component
JP2015194689A (ja) * 2014-03-24 2015-11-05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実装部品、光モジュールおよび製造方法
US20180011250A1 (en) * 2016-07-11 2018-01-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ber attach assembly and test auto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48836B2 (en) 2022-09-20
KR102594414B1 (ko) 2023-10-30
CN111090038A (zh) 2020-05-01
US20200132947A1 (en)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7111B2 (en) Optical interposer
KR102594414B1 (ko) 프로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
TWI627457B (zh) 光纖至晶片之光學耦合器
US8929693B2 (en) Semiconductor packag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US5499309A (en) Method of fabricating optical component including first and second optical waveguide chips having opposed inclined surfaces
CN110196473B (zh) 光子集成电路封装件
KR101054174B1 (ko) 반도체 칩 모듈 및 모듈
TWI601992B (zh) 光插座以及光模組
US9581772B2 (en) Optical electrical module used for optical communication
US5497438A (en) Optic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having coupled optical waveguide chips
US20120241600A1 (en) Optical electrical module
KR20110101247A (ko) 점대점 통신을 위한 광학 엔진
US10613279B2 (en) Photonic waveguide coupling using offset light source
US6408121B1 (e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JP2007187793A (ja) 光モジュール
US20220155537A1 (en) Optical module
KR100452136B1 (ko) 광도파로가 매몰된 다층 광기판에서 광연결봉을 이용한광연결 구조
JP2007114583A (ja) 光素子モジュール、光電気配線基板、および光電子複合組立体
JP7188841B2 (ja) シリコンレンズを有するマルチチャネルモードコンバータ
JP2008020721A (ja) 並列光送受信装置
JP2004317630A (ja) 光送信モジュール
KR102513083B1 (ko) 광 집적 회로 패키지
CN220568968U (zh) 封装结构
TWI766444B (zh) 光通訊模組
WO2022190351A1 (ja) 光接続構造、パッケージ構造、光モジュールおよびパッケージ構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