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849A - 마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 - Google Patents

마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849A
KR20200045849A KR1020180126888A KR20180126888A KR20200045849A KR 20200045849 A KR20200045849 A KR 20200045849A KR 1020180126888 A KR1020180126888 A KR 1020180126888A KR 20180126888 A KR20180126888 A KR 20180126888A KR 20200045849 A KR20200045849 A KR 20200045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master cylinder
friction member
body portion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291B1 (ko
Inventor
조주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126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291B1/ko
Priority to CN201980069709.8A priority patent/CN112888873B/zh
Priority to PCT/KR2019/013978 priority patent/WO2020085792A1/ko
Priority to US17/287,624 priority patent/US20210394730A1/en
Publication of KR20200045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165Single master cylinders for pressurise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8Stroke limiting stops, e.g. arranged on the piston rod outside the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1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transmitting brake actuation force, e.g. elements interposed between brake piston and p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18Connection thereof to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16F7/09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in dampers of the cylinder-and-pist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00/00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 F16D2200/0034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non-metallic
    • F16D2200/0056Elasto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4F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마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스터실린더로부터 돌출된 피스톤을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 사이에 마련되는 마찰부재로서, 길이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피스톤을 향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경이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마련되는 마찰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Friction member and master cylind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페달감을 향상시키며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시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는 마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각 차륜에 장착된 캘리퍼 브레이크로 전달되는 제동 유압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유닛(BAU : Brake Actuation Unit)이 마련된다.
상기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유닛은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실린더, 마스터실린더에 오일을 공급하는 리저버, 마스터실린더로부터 발생된 유압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블럭 및 밸브블럭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ECU)을 구비한다. 이러한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유닛은 차량에 장착되어 각 차륜에 설치된 캘리퍼 브레이크로 유압을 제공함으로써 제동작용을 수행하고 있다.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유닛의 마스터실린더는 실린더몸체(밸브블록) 내부에 진퇴 가능하게 마련된 피스톤이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유압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스터실린더는 실린더몸체의 보어 내부에 직렬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을 구비하며, 이 제1 피스톤과 제2 피스톤에 의해 보어 내부는 각각 제1 액압실과 제2 액압실로 구획된다. 이 마스터실린더는 하우징을 통하여 차량에 장착되며, 유압 발생을 위해 제1 피스톤은 브레이크 페달과 결합된 인풋로드와 연결된다. 여기서, 하우징에는 가압된 제1 피스톤이 원위치로 복귀시 하우징과의 접촉에 따른 충격음(이하 '딱 노이즈'라고 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씰(seal)부재가 마련된다.
한편,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유닛에는 제동 시 운전자에게 페달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페달 시뮬레이터(또는 페달감 모사장치라고도 함)를 설치하여 페달감을 제공하고 있다. 즉, 페달 시뮬레이터는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른 유압에 의해 가압되며 브레이크 페달에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예컨대, 페달감을 제공하기 위한 페달 시뮬레이터는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9-227172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문헌에 따르면, 페달 시뮬레이터는 일반적인 유압 브레이크 장치(CBS : Conventional Brake System)의 페달 시뮬레이터와 유사한 반력을 제공하도록 다수의 스프링과 다수의 고무댐퍼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하우징에 충격음을 해소하기 위한 씰부재가 마련되더라도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 해제(release) 시 충격하중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하여 딱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페달 시뮬레이터에 마련된 다수의 고무댐퍼는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 시 이력현상(Hysteresis)에 따른 특성의 기여도가 높으나,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초기 구간에는 이력현상(Hysteresis)의 특성이 작아 페달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JP 공개특허 특개2009-227172 (ADVICS CO LTD) 2009. 10. 08.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는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 해제 시 딱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동 초기 구간의 이력현상 특성을 증대시켜 페달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스터실린더로부터 돌출된 피스톤을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 사이에 마련되는 마찰부재로서, 길이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피스톤을 향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경이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마련되는 마찰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탄성가압부의 타측 끝단부에서 내측으로 요입된 챔퍼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요철형상의 주름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보어가 형성된 실린더몸체; 상기 보어에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부가 상기 실린더몸체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몸체로부터 돌출된 피스톤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기 위한 브레이크 페달과 연결된 인풋로드가 삽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피스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의 진퇴 시 상기 피스톤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돌출된 탄성가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경이 피스톤의 후퇴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가압부는 일정구간이 피스톤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탄성가압부의 타측 끝단부에서 내측으로 요입된 챔퍼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요철형상의 주름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스토퍼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스토퍼가 끼워지는 스토퍼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는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의해 가압되는 피스톤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제동 초기 구간의 이력현상의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페달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동 해제 시 피스톤이 복귀할 때 마찰부재와의 마찰력 증대에 따라 부드럽게 원상태로 복귀하여 딱 노이즈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일체로 구성된 마찰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부품의 제조비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체로서 제공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찰부재가 마련된 마스터실린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찰부재와 피스톤과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실린더의 피스톤이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라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실린더의 피스톤이 작동 해제 시 원상태로 복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찰부재가 마련된 마스터실린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찰부재와 피스톤과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스터실린더(100)는 보어(111)가 형성된 실린더몸체(110)와, 실린더몸체(110)의 보어(111)어 내부에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121, 122)과, 실린더몸체(110)에 설치되는 하우징(140) 및 상기 하우징(140) 내에 설치되는 마찰부재(200)를 구비한다.
실린더몸체(110)는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보어(111)를 갖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마스터실린더(100)는 제동 유압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유닛의 밸브블록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실린더몸체(110)는 밸브블록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실린더몸체(110)는 하우징(140)과 결합되어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보어(111)에는 브레이크 페달(미도시)과 결합된 인풋로드(10)의 동작에 의해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121, 122)이 진퇴가능하게 마련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피스톤(121, 122)은 제1 피스톤(121)과 제2 피스톤(122)으로 마련되어 보어(111)에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몸체(110)의 내부에는 제1 피스톤(121)과 제2 피스톤(122) 사이에 액압이 형성되는 공간인 제1 액압챔버(121a)가 형성되고, 제2 피스톤(122)과 보어(111)의 말단 내벽 사이에 액압이 형성되는 공간이 제2 액압챔버(122a)가 형성된다. 제1 액압챔버(121a, 122a)에는 제1 피스톤(121)을 복원시키기 위한 제1 리턴 스프링(121b)이 마련되고, 제2 액압챔버(122a)에는 제2 피스톤(122)을 복원시키기 위한 제2 리턴 스프링(122b)이 마련된다.
한편, 제1 피스톤(121)은 개방된 보어(111)를 통하여 실린더몸체(110)로부터 일부가 돌출되게 마련된다.
하우징(140)은 실린더몸체(110)로부터 돌출된 제1 피스톤(121)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차체에 장착되어 실린더몸체(110)를 지지하도록 실린더몸체(110)에 설치된다. 이러한 하우징(140)을 관통하여 인풋로드(10)가 제1 피스톤(121)과 연결되도록 하우징(140)에는 관통공(141)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40) 내에서는 후술할 마찰부재(200)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스토퍼홈(145)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홈(145)과 마찰부재(200)의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미설명된 참조부호 '131'은 실린더몸체(110)의 보어(111)에 설치되어 제1 피스톤(121)의 직진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시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찰부재(200)는 하우징(140)과 제1 피스톤(121) 사이에 마련되어 제1 피스톤(121)의 진퇴 시 상기 제1 피스톤(121)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마찰부재(200)는 하나의 몸체를 갖는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긴밀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며 제1 피스톤(121)과의 마찰력 증대를 위하여 탄성변형 가능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찰부재(200)는 길이방향으로 중공부(211)가 형성된 몸체부(210) 및 몸체부(21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는 탄성가압부(220)를 포함한다.
몸체부(210)는 하우징(140) 내에 배치되어 실린더몸체(110)로부터 돌출된 제1 피스톤(121)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몸체부(210)는 하우징(140)과 제1 피스톤(121)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몸체부(210)의 끝단부가 제1 피스톤(121)의 후방 단부와 접촉되어 지지하도록 꺽여져 형성된 지지턱(212)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탄성가압부(220)는 몸체부(210)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제1 피스톤(121)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탄성가압부(220)는 제1 피스톤(121)이 진퇴할 때 제1 피스톤(121)과의 접촉되는 시점부터 탄성가압하도록 마련된다. 즉, 탄성가압부(220)는 일정구간(G)이 제1 피스톤(121)의 직경(d1)보다 작은 직경(d2 ~ d2') 구간을 갖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가압부(220)는 몸체부(210)의 내경이 상기 몸체부(21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탄성가압부(220)는 재1 피스톤(121)의 후퇴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두께가 두꺼워 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피스톤(121)의 직경(d1)과 대응되는 직경(d2)을 갖는 시점으로부터 제1 피스톤(121)의 직경(d1)보다 작은 직경(d2')을 갖는 일정구간(G)까지 제1 피스톤(121)이 탄성가압부(220)에 의하여 탄성가압됨에 따라 제1 피스톤(121)과 마찰부재(200)와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피스톤(121)이 원위치로 복귀시 마찰력에 의하여 부드럽게 복귀하게 된다.
한편, 몸체부(210)의 내주면에는 탄성가압부(220)의 타측 끝단부에서 내측으로 요입된 챔퍼(230)가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탄성가압부(220)와 지지턱(212) 사이에 챔퍼(230)가 마련된다. 이 챔퍼(230)는 제1 피스톤(121)과 탄성가압부(220)가 접촉되며 탄성가압부(220)가 탄성변형 시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몸체부(210)의 외주면에는 일정구간 주름부(240)가 형성된다. 주름부(240)는 요철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하우징(140)의 내주면과 밀착된다. 이에, 요철형상을 갖는 주름부(240)에 의하여 하우징(140)과 몸체부(210) 사이에는 소정패턴의 보조공간부(242)가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공간부(242)에 의하여 탄성가압부(220)가 탄성변형 시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마찰부재(200)가 하우징(140) 내에 마련되어 제1 피스톤(121)과 밀착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제1 피스톤(121)의 진퇴 시 마찰부재(200)의 움직임이 고정되도록 몸체부(210)의 외주면에는 스토퍼(250)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스토퍼(250)는 몸체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스토퍼(250)는 몸체부(210)의 타측 단부에서 동일 위상차를 갖는 두 개의 스토퍼(250)로 마련된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찰부재(200)가 제1 피스톤(121)의 진퇴 시 하우징(140) 내에서 움직임이 고정된다면 스토퍼(250)의 개수는 선택적으로 증감될 수 있으며, 그 형상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스토퍼(250)는 하우징(140)에 형성된 스토퍼홈(145)에 끼워져 고정된다. 스토퍼홈(145)은 상기 스토퍼(250)의 위치 및 그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마찰부재(200)가 구비된 마스터실린더(100)의 피스톤(121, 122)이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라 작동되는 상태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실린더의 피스톤이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라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미도시)의 답력에 따라 인풋로드(10)에 의해 제1 피스톤(121)이 가압된다. 즉, 제1 피스톤(121)은 마찰부재(200)와 밀착된 상태로 제1 액압챔버(121a)를 가압하며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피스톤(121)은 마찰부재(200)의 탄성가압부(220)에 의하여 탄성가압되며 밀착된 상태로 마련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라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피스톤(121)은 탄성가압부(220)에 의해 마찰력이 증가된 상태로서 즉, 종래에 비하여 제동 초기 구간의 이력현상의 특성이 향상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초기 구간의 페달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력현상은 제1 피스톤(121)의 이동 시 탄성가압부(220)와의 마찰력이 발생되는 구간(G)에만 작용하며, 제1 피스톤(121)이 탄성가압부(220)와의 마찰력이 발생되는 구간(G)을 벗어나는 경우 작용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 해제(Release) 시 인풋로드(10)와 함께 제1 피스톤(121)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실린더의 피스톤이 작동 해제 시 원상태로 복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피스톤(121)이 제1 리턴 스프링(121b)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 시 제1 피스톤(121)의 직경(d1)과 대응되는 직경(d2)을 갖는 탄성가압부(220)와 접촉되는 시점으로부터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즉, 탄성가압부(220)가 일정구간(G) 동안의 직경(d2 ~ d2')이 제1 피스톤(121)의 직경(d1)보다 감소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제1 피스톤(121)이 복귀될 때 탄성가압부(220)와 접촉되어 제1 피스톤(121)의 외주면과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즉, 제1 피스톤(121)은 복귀 시 탄성가압부(220)를 탄성변형시키며 이동함에 따라 부드럽게 이동하며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제1 피스톤(121)의 단부가 마찰부재(200)의 지지턱(212)과 접촉 시 딱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피스톤(121)이 복귀 시 탄성가압부(220)가 탄성변형될 때 몸체부(2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챔퍼(230) 및 주름부(240)와 하우징(140) 사이의 보조공간부(242)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마스터실린더 110 : 실린더몸체
121 : 제1 피스톤 122 : 제2 피스톤
140 : 하우징 145 : 스토퍼홈
200 : 마찰부재 210 : 몸체부
212 : 지지턱 220 : 탄성가압부
230 : 챔퍼 240 : 주름부
242 : 보조공간부 250 : 스토퍼

Claims (12)

  1. 마스터실린더로부터 돌출된 피스톤을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 사이에 마련되는 마찰부재로서,
    길이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피스톤을 향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경이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마련되는 마찰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탄성가압부의 타측 끝단부에서 내측으로 요입된 챔퍼가 마련되는 마찰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요철형상의 주름부가 마련되는 마찰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스토퍼가 마련되는 마찰부재.
  5. 내부에 보어가 형성된 실린더몸체;
    상기 보어에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부가 상기 실린더몸체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몸체로부터 돌출된 피스톤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기 위한 브레이크 페달과 연결된 인풋로드가 삽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피스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의 진퇴 시 상기 피스톤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돌출된 탄성가압부;를 구비하는 마스터실린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경이 피스톤의 후퇴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마련되는 마스터실린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일정구간이 피스톤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는 마스터실린더.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탄성가압부의 타측 끝단부에서 내측으로 요입된 챔퍼가 마련되는 마스터실린더.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요철형상의 주름부가 마련되는 마스터실린더.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스토퍼가 마련되는 마스터실린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스토퍼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스토퍼가 끼워지는 스토퍼홈이 마련되는 마스터실린더.
KR1020180126888A 2018-10-23 2018-10-23 마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 KR102650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888A KR102650291B1 (ko) 2018-10-23 2018-10-23 마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
CN201980069709.8A CN112888873B (zh) 2018-10-23 2019-10-23 摩擦构件和包括该摩擦构件的主缸
PCT/KR2019/013978 WO2020085792A1 (ko) 2018-10-23 2019-10-23 마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
US17/287,624 US20210394730A1 (en) 2018-10-23 2019-10-23 Friction member and master cylinder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888A KR102650291B1 (ko) 2018-10-23 2018-10-23 마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849A true KR20200045849A (ko) 2020-05-06
KR102650291B1 KR102650291B1 (ko) 2024-03-22

Family

ID=70330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888A KR102650291B1 (ko) 2018-10-23 2018-10-23 마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394730A1 (ko)
KR (1) KR102650291B1 (ko)
CN (1) CN112888873B (ko)
WO (1) WO20200857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1029B2 (en) * 2020-04-03 2024-02-06 Hl Mando Corporation Brake system for a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9076A (ja) * 2000-11-02 2002-05-17 Koyo Seiko Co Ltd 油圧式クラッチ遮断装置
KR100483152B1 (ko) * 2002-07-16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조작기구의 릴리스 실린더 어셈블리
JP2005104333A (ja) * 2003-09-30 2005-04-21 Hitachi Ltd マスタシリンダ装置
KR100779484B1 (ko) * 2002-10-04 2007-11-26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유압브레이크의 마스터실린더
KR20180034315A (ko) * 2015-07-31 2018-04-04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마스터 실린더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75417A (en) * 1943-07-19 1946-02-18 Steve Schnell Compound master cylinder
US2808302A (en) * 1953-12-09 1957-10-01 Hulie E Bowerman Piston sealing means
GB1122701A (en) * 1965-09-08 1968-08-07 Clarence Clancey Fay Master cylinders for hydraulic braking systems
DE19523215B4 (de) * 1995-06-27 2004-09-16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Ausbildung eines Kolbens für einen Geberzylinder
JP3148157B2 (ja) * 1996-07-31 2001-03-19 ボッシュ ブレーキ システム株式会社 マスタシリンダのセンターバルブ構造
DE19652486A1 (de) * 1996-12-17 1998-06-18 Schaeffler Waelzlager Ohg Unterdruckausgleich für einen Geberzylinder eines hydraulischen Kupplungsausrücksystems
DE10049913A1 (de) * 1999-10-18 2001-04-19 Luk Lamellen & Kupplungsbau Geberzylinder
FR2811389B1 (fr) * 2000-07-07 2002-10-1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Frein a disque perfectionne a rappel et rattrapage d'usure de plaquette par deformation elastique et plastique, et procede
FR2829450B1 (fr) * 2001-09-10 2004-02-27 Bosch Gmbh Robert Maitre cylindre comportant un clapet a course reduite
WO2006087338A1 (de) * 2005-02-18 2006-08-2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JP2009143254A (ja) * 2007-12-11 2009-07-02 Toyota Motor Corp マスタシリンダ
CN201496553U (zh) * 2009-08-18 2010-06-02 青岛开世密封工业有限公司 组合式毛毡防泥水油封
CN102506093A (zh) * 2011-12-19 2012-06-20 芜湖盛力制动有限责任公司 工程机械制动系统离合器操纵缸
JP5708549B2 (ja) * 2012-03-30 2015-04-30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用制動装置
KR101361353B1 (ko) * 2012-07-20 2014-02-11 주식회사 만도 캘리퍼 주차브레이크
CN202827546U (zh) * 2012-08-28 2013-03-2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中心阀式制动主缸
JP2015009705A (ja) * 2013-06-28 2015-01-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制動装置
JP2015009704A (ja) * 2013-06-28 2015-01-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制動装置
JP6354980B2 (ja) * 2014-04-14 2018-07-11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用制動装置
CN206749774U (zh) * 2017-04-12 2017-12-15 潘泓冰 一种带踏板感模拟器的多腔制动主缸系统
KR102404349B1 (ko) * 2017-10-26 2022-06-02 주식회사 만도 마스터 실린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9076A (ja) * 2000-11-02 2002-05-17 Koyo Seiko Co Ltd 油圧式クラッチ遮断装置
KR100483152B1 (ko) * 2002-07-16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조작기구의 릴리스 실린더 어셈블리
KR100779484B1 (ko) * 2002-10-04 2007-11-26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유압브레이크의 마스터실린더
JP2005104333A (ja) * 2003-09-30 2005-04-21 Hitachi Ltd マスタシリンダ装置
KR20180034315A (ko) * 2015-07-31 2018-04-04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마스터 실린더 유닛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공개특허 특개2009-227172 (ADVICS CO LTD) 2009. 10. 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88873A (zh) 2021-06-01
KR102650291B1 (ko) 2024-03-22
WO2020085792A1 (ko) 2020-04-30
CN112888873B (zh) 2023-03-10
US20210394730A1 (en)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039B1 (ko) 능동형 제동 장치의 페달 시뮬레이터
KR101853771B1 (ko) 가변 페달감 조절 장치
US8881874B2 (en) Disk brake
EP2165898B1 (en) Cylinder apparatus
US9175738B2 (en) Disc brake
EP2548776B1 (en) Stroke simulator, master cylinder having stroke simulator and brake system using master cylinder
KR102352414B1 (ko) 차량의 제동 장치 및 제동 제어 방법
US11623623B2 (en) Stroke simulator and brake op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troke simulator
KR20200045849A (ko) 마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
JP6347522B2 (ja) 入力装置
JP2009270715A (ja) 3箇所で面取りされたシール溝
KR20220009037A (ko) 캘리퍼 브레이크용 부트 및 이를 포함하는 캘리퍼 브레이크
KR20180094274A (ko) 페달감 모사 장치
KR102180435B1 (ko) 제동 장치의 페달 시뮬레이터
WO2021153702A1 (ja) 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
KR102404349B1 (ko) 마스터 실린더
KR101447467B1 (ko) 능동형 제동 장치의 페달 시뮬레이터
KR20210048321A (ko)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
KR102559437B1 (ko) 차량의 제동 장치 및 제동 제어 방법
KR102398041B1 (ko) 페달 시뮬레이터
KR102413492B1 (ko) 능동형 제동 장치의 페달 시뮬레이터
KR20210128662A (ko) 플런저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 실린더
EP3095653B1 (en) Master cylinder operating mechanism
CN113135167A (zh) 制动踏板力回馈装置以及制动系统
KR20230133140A (ko)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