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723A - 전광판용 전광 케이스 - Google Patents

전광판용 전광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723A
KR20200042723A KR1020180123236A KR20180123236A KR20200042723A KR 20200042723 A KR20200042723 A KR 20200042723A KR 1020180123236 A KR1020180123236 A KR 1020180123236A KR 20180123236 A KR20180123236 A KR 20180123236A KR 20200042723 A KR20200042723 A KR 20200042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ase
vertical frame
unit
side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9099B1 (ko
Inventor
김재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전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전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전광
Priority to KR1020180123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099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광판 모듈 간의 정밀한 조립으로 LED 오차 발생을 없앨 수 있어 화면 표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고, 전광판 전체의 유닛 규격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주문자나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이즈 또는 사용 환경에 맞는 사이즈로 쉽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이고 조립이 용이하여 조립성 및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광판 LED모듈이 결합되는 케이스 구조체로서, 전광판용 단위 LED모듈에 상응하는 사이즈로 형성되는 단위모듈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모듈 케이스는 소정 높이를 갖는 사각 수직틀; 상기 사각 수직틀의 네 측벽 중 이웃하는 두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직교되게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 플랜지; 및 상기 사각 수직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형성되는 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ASSEMBLY ELECTRIC SIGNBOARD CASE STRUCTURE}
본 발명은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광판 모듈 간의 정밀한 조립으로 LED 오차 발생을 없앨 수 있어 화면 표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고, 전광판 전체의 유닛 규격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주문자나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이즈 또는 사용 환경에 맞는 사이즈로 쉽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이고 조립이 용이하여 조립성 및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광 표시판 케이스를 제작할 때, 철판이나 철골을 사용하므로 결합시 용접이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용접 결합 후에는 용접 부분의 요철을 없애기 위해 요철부를 재가공하여 없애야 하고, 내장 부품이 변경 부착될 때에는 케이스를 재가공 제작해야 하는 불편과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090427에서는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을 외곽의 프레임 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으로,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1)과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1')은 그 전후면에 다수의 "T"형홈(12, 12')이 형성되고 알루미늄 압출프레임(1, 1')의 상, 하부 전, 후면에 "T"자형 홈(11) (11')이 형성되며, "T"형홈(12)에는 사각너트(4)와 보울트(3)에 의해 알루미늄 압출프레임(1, 1')에 내벽면에 고정되는 프레임 지지대(21) 및 부착물 지지대(22)가 구비되며, 양측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1, 1')의 모서리부 연결을 위하여 보울트(31)에 의해 고정되는 경첩(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을 외곽의 프레임 케이스는, 종전에 철판을 판금 하여 전광판 케이스를 제조해오다 고해상 전광판이 생기면서 모듈 간의 LED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예를 들면 250mm×250mm규격의 LED모듈이 4개 또는 8개 단위로 규격화하도록 한 것으로, 성형 밀링으로 정밀 가공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금형을 규격별로 제작해야 함으로 인해 설치 자유도가 떨어지고, 제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국내에서는 공해 산업으로 퇴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090427(1995.09.20. 공고)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72274(2014.06.13. 공개)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011101(1996.08.20. 공고) (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60291(2011.08.29.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광판 모듈 간의 정밀한 조립이 가능하여 LED 오차 발생을 없앨 수 있어 화면 표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광판 전체의 유닛 규격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주문자가 요구하는 사이즈나 사용 환경에 맞는 사이즈로 쉽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이고 조립이 용이하여 조립성과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르면, 성형모듈 케이스를 가지고 4개를 방향으로 90도씩 회전하여 상호 연결시켜서 구조적으로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용 전광 케이스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광판 LED모듈이 결합되는 케이스 구조체로서, 전광판용 단위 LED모듈에 상응하는 사이즈로 형성되는 단위모듈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모듈 케이스는 소정 높이를 갖는 사각 수직틀; 상기 사각 수직틀의 네 측벽 중 이웃하는 두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직교되게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 플랜지; 및 상기 사각 수직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형성되는 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각 수직틀의 네 측벽 중 이웃하는 제1 두 측벽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제1 두 측벽의 연결부는 모따기되어 모따기 면을 형성하며, 상기 모따기 면에는 전기접속구용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사각 수직틀의 네 측벽 중 다른 이웃하는 제2 두 측벽은 상부 개방된 이중 벽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두 측벽에 장착되어, 복수의 단위모듈 케이스가 조립되어 하나의 단위 케이스 유닛을 형성할 때, 상기 단위 케이스 유닛의 단위모듈 케이스 간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두 측벽의 연결부에는 금속 재질의 체결구가 구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사각 수직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 내벽에 형성되는 손잡이 프레임, 및 상기 손잡이 프레임의 하면에 파형으로 형성되는 파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각 수직틀은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꼭지점을 통과하는 대각선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각 수직틀은 상기 단위모듈 케이스의 연장 플랜지의 꼭지점을 통과하는 대각선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위모듈 케이스에 구비되어 이웃하는 다른 단위모듈 케이스와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록킹-록킹해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직 사각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이중 벽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중 벽 구조에는 상기 록킹-록킹해제 수단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록킹해제 수단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일측이 개방된 제1 록킹-록킹해제부재와, 상기 록킹-록킹해제부재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록킹 후크와, 상기 록킹 후크의 회전축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록킹-록킹해제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회전 조작홈, 및 상기 제1 록킹-록킹해제부재와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 공간에 상기 록킹 후크가 걸림고정 및 해제되도록 록킹 돌기가 형성되는 제2 록킹-록킹해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두 측벽의 이중 벽 사이에 구획 형성되고, 상기 두 측벽에는 상기 회전 조작홈이 노출되게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에 의하면, 전광판 모듈 간을 오차 없이 정밀하게 조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면이 정밀하게 표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광판 전체의 유닛 규격을 주문자가 요구하는 사이즈나 사용 환경에 맞는 사이즈로 쉽게 조립할 수 있어 설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이고 조립이 용이하며 몰딩 등으로 제작할 수 있어 조립성 및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의 후면 측을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의 후면 측을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를 2×2로 구성되는 케이스 유닛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후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를 2×2로 구성한 케이스 유닛의 후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를 2×2로 구성한 케이스 유닛의 후면 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전광판용 전광 케이스는 성형모듈 케이스(또는 단위모듈 케이스)를 가지고 4개를 방향으로 90도씩 회전하여 상호 연결시켜서 구조적으로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의 후면 측을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의 후면 측을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를 2×2로 구성되는 케이스 유닛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후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를 2×2로 구성한 케이스 유닛의 후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를 2×2로 구성한 케이스 유닛의 후면 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광판 LED모듈이 결합되는 케이스 구조체로서, 크게 소정 사이즈의 전광판 LED모듈에 상응하는 사이즈(전광판용 단위 LED모듈)로 형성되는 단위모듈 케이스(10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단위모듈 케이스(100)가 조립되어 소정 규격의 하나의 유닛을 구성할 때, 각 유닛을 구성하는 단위모듈 케이스(100) 간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수단(150)(도 4 참조)을 더 포함한다. 결합 수단(15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모듈 케이스(100)가 조립되어 소정 규격의 하나의 유닛을 구성할 때, 각 유닛 간을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록킹-록킹해제 수단(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록킹-록킹해제 수단(2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위모듈 케이스(100)는 전체적으로 사각 수직틀 형태를 갖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단위모듈 케이스(100)는 소정 높이를 갖는 사각 수직틀(110)과, 사각 수직틀(110)의 네 측벽(4개의 측벽) 중 이웃하는 두 측벽(도 1에서는 이웃하는 제1 두 측벽(111)) 하단으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되는 연장 플랜지(120), 및 사각 수직틀(1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파지부(130)로 이루어진다.
단위모듈 케이스(100)의 사각 수직틀(110)의 네 측벽 중 이웃하는 제1 두 측벽(111)(연장 플랜지(120)가 형성되는 이웃하는 두 측벽)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그 연결부(꼭지점부)는 모따기되어 모따기 면(111a)을 형성하며 이 모따기 면(111a)은 두 측벽을 연결하고 일체로 형성된다.
후술하겠지만, 모따기 면(111a)이 형성된 모따기된 부분은 그 모따기된 부분을 중심점으로 하여 단위모듈 케이스(100)를 90°씩 회전시켜, 예를 들면 2×2의 케이스로 형성하는 경우 그 중심부에서는 각 단위모듈 케이스(100)에 조립되는 각 전광판 LED모듈에 접속되는 전기회로배선들의 집합 또는 분배 공간으로서 제공된다.
또한, 모따기 면(111a)에는 그 단위모듈 케이스(100)에 조립되는 전광판 LED모듈(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접속구가 설치되기 위한 전기접속구용 구멍 또는 전기접속구용 개구(111b)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모따기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그 모따기 부분으로부터 전기회로배선들을 단위모듈 케이스(100)에 설치되는 전광판 LED모듈에 쉽게 전기접속시킬 수 있고, 전기배선들의 집적화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계속해서, 단위모듈 케이스(100)의 사각 수직틀(110)의 네 측벽 중 다른 이웃하는 제2 두 측벽(112)(연장 플랜지(120)가 형성되지 않은 이웃하는 두 측벽)은, 상부 개방된 이중 벽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 이중 벽 사이에는 복수의 보강 프레임(11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위모듈 케이스(100)의 사각 수직틀(110)의 제2 두 측벽(112)에는 각각 후술하는 결합 수단(150)이 고정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140)는 이중 벽으로 이루어지는 제2 두 측벽(112)의 소정 위치의 이중 벽 사이에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서의 이중 벽 모두에 상부로부터 소정 깊이 절개된 절개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절개부 대신에 후술하는 결합 수단(150)의 결합구멍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장착부(140)에는 후술하는 결합 수단(150)인 결합 체결판이 장착 고정되고, 상대적으로 수직 사각틀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철)로 이루어지는 결합체결판(결합 수단(150))이 별개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게 된다.
또한, 제2 두 측벽(112)의 연결부(꼭지점부)는 모따기되어 이중 벽의 모따기 부를 형성하며 이 모따기부는 두 측벽을 연결하고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2 두 측벽(112)의 모따기부에는 전광판 설치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금속 재질의 체결구(예를 들면, 나사결합이 가능한 금속 체결구)(112b)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단위모듈 케이스(100)에서 사각 수직틀(110)은 그 단위모듈 케이스(100)의 연장 플랜지(120)의 꼭지점을 통과하는 대각선(도 1 "D"라인 참조)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단위모듈 케이스(100)에서 이웃하는 두 측벽(제1 측벽(111))과 다른 이웃하는 두 측벽(제2 측벽(112))은 그 이웃하는 두 측벽(제1 측벽(111))과 다른 이웃하는 두 측벽(제2 측벽(112))의 꼭지점을 통과하는 대각선(D)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연장 플랜지(120)는 사각 수직틀(110)의 두 측벽(제1 측벽(111))의 하단으로부터 그 측벽에 직교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장 플랜지(120)에는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관통구(121), 예를 들면 타원형 등 장공의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 과정에서 해당 관통구(121)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재료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장 플랜지(120)는 단위모듈 케이스(100)가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사이즈의 단위 전광판 모듈을 형성할 때, 그 연장 플랜지(120)에 의해 이웃하는 단위모듈 케이스(110)와 소정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 공간에는 전광판 LED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제어보드, 전기회로배선 등이 설치되고 통과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제어보드 및 전기회로배선 등의 집적화가 용이하고, 해당 단위모듈 케이스(100)에 대한 전광판 LED모듈의 연결 관계를 쉽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각 수직틀(1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파지부(130)는, 사각 수직틀(110)의 제2 두 측벽(112) 중 하나의 측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파지부(130)는 사각 수직틀(110)의 제2 두 측벽(112)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 내벽에 형성되는 손잡이 프레임(131), 및 손잡이 프레임(131)의 하면에 파형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 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형부(132)를 포함한다.
상기한 단위모듈 케이스(100)는 몰딩(molding) 등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 수단(150)은 사각 수직틀보다 강성 높이 재질(예를 들면, 철)로 이루어지며, 일측(바람직하게는 중심부)에 나사결합공이 형성되는 결합 체결판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단위모듈 케이스(100)가 조립되어 소정 규격의 하나의 유닛을 구성할 때, 서로 면하는 결합 체결판 간을 결합 부재로 체결하여 이웃하는 유닛 간을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록킹-록킹해제 수단(200)은 단위모듈 케이스(100)가 조립되어 연장 플랜지(120)가 형성되는 측의 두 단위모듈 케이스(100) 간의 단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일측이 개방된 제1 록킹-록킹해제부재(210)와, 상기 제1 록킹-록킹해제부재(210)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록킹 후크(211)(도 5 참조), 상기 록킹 후크(211)의 회전축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록킹-록킹해제부재(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회전 조작홈(220), 및 상기 제1 록킹-록킹해제부재(110)와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 공간에 상기 록킹 후크(211)가 걸림 고정되는 록킹 돌기(미도시)가 형성되는 제2 록킹-록킹해제부재(2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록킹-록킹해제부재(210) 및 제2 록킹-록킹해제부재(230)는 일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내부 공간의 일측에 록킹 후크가 구비되고, 타측에 록킹 돌기가 구비되어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조작홈(220)은 렌치 등을 끼워 회전 조작시켜 록킹 후크(211)를 회동시킬 수 있는 단면 다각형(예를 들면, 사각형 또는 육각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록킹-록킹해제 수단(200)은 상기한 결합 수단(150)에 의한 결합과 함께, 렌치 등을 이용하여 록킹 후크(211)의 회전 조작홈(220)을 회전 조작하여 이웃하는 유닛의 록킹-록킹해제 수단(300)의 록킹 돌기에 걸림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록킹-록킹해제 수단(20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개수의 단위모듈 케이스(100)가 조립되어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고, 이들 각각의 유닛이 서로 결합될 때 제1 록킹-록킹해제부재(210)의 록킹 후크(211)가, 이웃하여 조립될 유닛의 단위모듈 케이스(100)의 제2 록킹-록킹해제부재(230)(또는 일체형의 록킹-록킹해제부재)의 록킹 돌기에 록킹됨으로써 유닛 간을 일체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러한 결합으로 단위모듈 케이스가 2×2의 단위모듈 케이스로 구성된 단위유닛을 통해 4×4 등 전체 유닛 사이즈는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한 결합 수단(150)은 생략될 수 있으며, 단위모듈 케이스(100) 자체에 형성되어, 단위모듈 케이스(100)가 소정 규격으로 조립된 각각의 단위유닛(예를 들면, 2×2의 단위모듈 케이스) 간을 결합 및 결합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광판 케이스 구조체에 의하면, 전광판 모듈 간을 오차 없이 정밀하게 조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면이 정밀하게 표출될 수 있으며, 전광판 전체의 유닛 규격을 주문자가 요구하는 사이즈나 사용 환경에 맞는 사이즈로 쉽게 조립할 수 있어 설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이고 조립이 용이하며 몰딩 등으로 제작할 수 있어 조립성 및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단위모듈 케이스
110: 사각 수직틀
111: 제1 두 측벽
111a: 모따기 면
111b: 전기접속구용 구멍(또는 전기접속구용 개구)
112: 제2 두 측벽
112a: 보강 프레임
120: 연장 플랜지
121: 관통구
130: 파지부
131: 손잡이 프레임
132: 파형부
200: 록킹-록킹해제 수단
210: 제1 록킹-록킹해제부재
220: 회전 조작홈
230: 제2 록킹-록킹해제부재
D: 가상 대각선

Claims (5)

  1. 성형모듈 케이스를 가지고 4개를 방향으로 90도씩 회전하여 상호 연결시켜서 구조적으로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용 전광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모듈 케이스는
    소정 높이를 갖는 사각 수직틀;
    상기 사각 수직틀의 네 측벽 중 이웃하는 두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직교되게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 플랜지; 및
    상기 사각 수직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형성되는 파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각 수직틀의 네 측벽 중 이웃하는 제1 두 측벽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제1 두 측벽의 연결부는 모따기되어 모따기 면을 형성하며, 상기 모따기 면에는 전기접속구용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사각 수직틀의 네 측벽 중 다른 이웃하는 제2 두 측벽은 상부 개방된 이중 벽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두 측벽에 장착되어, 복수의 성형모듈 케이스가 조립되어 하나의 단위 케이스 유닛을 형성할 때, 상기 단위 케이스 유닛의 성형모듈 케이스 간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두 측벽의 연결부에는 금속 재질의 체결구가 구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사각 수직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 내벽에 형성되는 손잡이 프레임, 및 상기 손잡이 프레임의 하면에 파형으로 형성되는 파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용 전광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수직틀은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꼭지점을 통과하는 대각선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거나, 상기 성형모듈 케이스의 연장 플랜지의 꼭지점을 통과하는 대각선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성형모듈 케이스에 구비되어 이웃하는 다른 성형모듈 케이스와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록킹-록킹해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용 전광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사각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이중 벽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중 벽 구조에는 상기 록킹-록킹해제 수단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록킹해제 수단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일측이 개방된 록킹-록킹해제부재와, 상기 록킹-록킹해제부재 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록킹 후크와, 상기 록킹 후크의 회전축에 형성되고 상기 록킹-록킹해제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회전 조작홈, 및 상기 록킹-록킹해제부재 내의 타측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다른 록킹해제부재의 록킹 후크가 걸림 및 걸림해제되도록 구비되는 록킹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용 전광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두 측벽의 이중 벽 사이에 구획 형성되고,
    상기 두 측벽에는 상기 회전 조작홈이 노출되게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용 전광 케이스.
KR1020180123236A 2018-10-16 2018-10-16 전광판용 전광 케이스 KR102219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236A KR102219099B1 (ko) 2018-10-16 2018-10-16 전광판용 전광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236A KR102219099B1 (ko) 2018-10-16 2018-10-16 전광판용 전광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723A true KR20200042723A (ko) 2020-04-24
KR102219099B1 KR102219099B1 (ko) 2021-02-23

Family

ID=7046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236A KR102219099B1 (ko) 2018-10-16 2018-10-16 전광판용 전광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0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174B1 (ko) * 2023-09-13 2023-12-13 주식회사 에스티엘 바닥형 전광판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042B1 (ko) * 2009-10-15 2010-03-19 갤럭시아일렉트로닉스(주) 엘이디 전광판
KR200452386Y1 (ko) * 2010-04-20 2011-02-22 주식회사 나노시스 전광판 모듈 고정 잠금장치
KR101060291B1 (ko) 2010-06-10 2011-08-29 주식회사 스타넷 후면 케이스 공유화기능을 갖는 전광판용 픽셀 모듈
US20140003050A1 (en) * 2012-06-28 2014-01-02 Daktronics, Inc. Display module mounting
KR20140072274A (ko) 2012-11-29 2014-06-13 주식회사 비에쓰엠커뮤니케이션즈 옥외 전광판 유닛 케이스 장치
KR20150048358A (ko) * 2013-10-28 2015-05-07 (주)디콘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KR20150111808A (ko) * 2014-03-26 201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일드 디스플레이 및 무베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05512B1 (ko) * 2015-10-08 2017-02-09 주식회사 에이블테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05508B1 (ko) * 2015-10-08 2017-02-13 주식회사 에이블테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15408A (ko) * 2016-04-07 2017-10-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80066493A (ko) * 2016-12-09 201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042B1 (ko) * 2009-10-15 2010-03-19 갤럭시아일렉트로닉스(주) 엘이디 전광판
KR200452386Y1 (ko) * 2010-04-20 2011-02-22 주식회사 나노시스 전광판 모듈 고정 잠금장치
KR101060291B1 (ko) 2010-06-10 2011-08-29 주식회사 스타넷 후면 케이스 공유화기능을 갖는 전광판용 픽셀 모듈
US20140003050A1 (en) * 2012-06-28 2014-01-02 Daktronics, Inc. Display module mounting
KR20140072274A (ko) 2012-11-29 2014-06-13 주식회사 비에쓰엠커뮤니케이션즈 옥외 전광판 유닛 케이스 장치
KR20150048358A (ko) * 2013-10-28 2015-05-07 (주)디콘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KR20150111808A (ko) * 2014-03-26 201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일드 디스플레이 및 무베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05512B1 (ko) * 2015-10-08 2017-02-09 주식회사 에이블테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05508B1 (ko) * 2015-10-08 2017-02-13 주식회사 에이블테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15408A (ko) * 2016-04-07 2017-10-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80066493A (ko) * 2016-12-09 201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174B1 (ko) * 2023-09-13 2023-12-13 주식회사 에스티엘 바닥형 전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099B1 (ko)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08744A1 (en) Board member mounting structure
US20200381333A1 (en) Rivet spacer for compromising assembling between two parts secured to each other via screw structure
JP2022540440A (ja) 多機能コネクタ
JPH0967869A (ja) ユニット建物の継手金具
KR20200042723A (ko) 전광판용 전광 케이스
JP4921927B2 (ja) ボックスパレット
JP2022114237A (ja) トレーラハウス
JPH08329917A (ja) バッテリの取付構造
JP2014136916A (ja) 縦庇式太陽電池モジュールユニット
KR100976934B1 (ko) 조립식 건물 구조체
JP5520059B2 (ja) ラック用台座及び二重床構造
KR102149412B1 (ko) 조립식 전광판 제작 방법
JP5927651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箱における側板取付金具
KR200492538Y1 (ko) 통신기기용 랙
JP4753139B2 (ja) 組立式台板
JP5218237B2 (ja) 棚の連結部構造
JP2004084762A (ja) ラック用連結部材
TW201943357A (zh) 箱板及設有此箱板的壓縮機或發電機
JP2008049927A (ja) 組立式台車フレーム
JPH0810102Y2 (ja) 間仕切用パネル
JP2002309679A (ja) 建物ユニット柱頭接合構造
KR200433295Y1 (ko) 스위치 고정판의 금속편 이탈방지구조
JP4307818B2 (ja) 組立式収納家具
KR200188580Y1 (ko) 패널고정브래킷
JPH0628887Y2 (ja) 分電盤の内器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