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808A - 타일드 디스플레이 및 무베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타일드 디스플레이 및 무베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808A
KR20150111808A KR1020140101785A KR20140101785A KR20150111808A KR 20150111808 A KR20150111808 A KR 20150111808A KR 1020140101785 A KR1020140101785 A KR 1020140101785A KR 20140101785 A KR20140101785 A KR 20140101785A KR 20150111808 A KR20150111808 A KR 20150111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bezel
display panel
beze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3914B1 (ko
Inventor
정종훈
박영목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590,547 priority Critical patent/US9709838B2/en
Publication of KR20150111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는 타일드 디스플레이는 상측면, 하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일 측면으로 액정 픽셀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bezelless liquid crystal dispaly panel); 및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하부에 설치되며,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액정 픽셀이 노출되는 측면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백라이트 유닛은 각각 상기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조명하는 복수의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엘이디는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 서로 연결된 부분에서도 인접하는 2개의 엘이디는 등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일드 디스플레이 및 무베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Tiled display, and Bezelless li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타일드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일 측면의 액정 픽셀이 노출되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여러 개 이용하여 형성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및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일드 디스플레이는 2개 이상의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연결하여 형성한다. 그런데, 2개의 액정 디스플레이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베젤이 존재하게 되므로 타일드 디스플레이로 영상을 출력하면 베젤이 위치하는 곳에서는 영상이 끊어져 불연속 구간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불연속 구간을 최소화하거나 없애기 위해 베젤이 위치하는 연결 부분에 광학부재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구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연결부분에 광학부재나 서브 디스플레이를 설치한 타일드 디스플레이는 불연속 구간을 줄일 수는 있으나 추가적인 부품이 필요하고, 광학부재나 서브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별도의 영상처리가 필요하며, 시야각이 좁으며,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불연속 구간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설치가 용이한 타일드 디스플레이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불연속 구간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설치가 용이하도록 적어도 한 개의 측면으로 액정 픽셀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형성한 타일드 디스플레이 및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타일드 디스플레이는, 상측면, 하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일 측면으로 액정 픽셀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bezelless liquid crystal dispaly panel); 및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하부에 설치되며,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액정 픽셀이 노출되는 측면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백라이트 유닛은 각각 상기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조명하는 복수의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엘이디는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 서로 연결된 부분에서도 인접하는 2개의 엘이디는 등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중 적어도 한 개는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상기 액정 픽셀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gate drive IC)가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좌측단 또는 우측단에 블랙 매트릭스가 없는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중 적어도 한 개는 좌측면과 우측면에 상기 액정 픽셀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마주보는 상단과 하단에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gate drive IC)와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source drive IC)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좌측단 및 우측단에 블랙 매트릭스가 없는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중 적어도 한 개는 3개의 측면에 상기 액정 픽셀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와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가 동일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한 개의 게이트 신호로 한 줄의 영상 또는 두 줄의 영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중 인접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액정 픽셀이 노출된 측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중 인접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액정 픽셀이 노출된 측면의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이 서로 겹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측에 위치하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겹치는 액정 픽셀 라인에 대응하는 하부 편광부재의 부분이 제거되고, 하측에 위치하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겹치는 액정 픽셀 라인에 대응하는 상부 편광부재의 부분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픽셀이 노출된 측면에 형성된 투명 더미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중 인접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투명 더미 패널이 노출된 액정 픽셀 라인과 겹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각각 상기 액정 픽셀이 노출된 측면을 실링하는 투명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중 인접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투명 실링부재가 노출된 액정 픽셀 라인과 겹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은 인접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위치관계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검출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양 측면에 게이트 부분을 구비한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측면의 게이트 부분을 절단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는 좌측면과 우측면 중 적어도 일 측면으로 액정 픽셀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bezelless liquid crystal dispaly panel); 상기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하부에 설치되며, 광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 및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탠드에는 상기 하우징을 상하 및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유닛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위치검출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용 패턴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타일드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타일드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양면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타일드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삼면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의한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양측면에 게이트 부분이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여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일측면에만 게이트 부분이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여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스 및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스 및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스 및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소스 라인과 게이트 라인을 연결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소스 라인과 게이트 라인을 연결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a는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기 직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b는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 내지 도 25는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는 다양한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6은 동일 측면을 절단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여 2x2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설치되는 위치검출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설치되는 위치검출센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도 29에 도시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연결용 패턴이 출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2는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하로 어긋나게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도 32와 같이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가 어긋나게 설치된 경우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타일드 디스플레이 및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타일드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타일드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타일드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0,20,30)은 4개의 측면 중 적어도 한 개의 측면은 액정 픽셀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4개의 측면 중 한 개의 측면으로 액정 픽셀이 노출되고, 나머지 3개의 측면은 베젤(15)로 둘러싸인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0)을 개시하고 있다.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0)은 도 1의 (a)와 같이 우측면의 베젤이 제거되어 우측단 액정 픽셀 라인(11)이 노출되도록 형성하거나, 도 1의 (b)와 같이 좌측면의 베젤이 제거되어 좌측단 액정 픽셀 라인(12)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0)은 도 1의 (c)와 같이 하측면의 베젤이 제거되어 하단 액정 픽셀 라인(13)이 노출되도록 형성하거나, 도 1의 (d)와 같이 상측면의 베젤이 제거되어 상단 액정 픽셀 라인(14)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4개의 측면 중 2개의 측면으로 액정 픽셀이 노출되고, 나머지 2개의 측면은 베젤(25)로 둘러싸인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0)을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0)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과 하측면의 베젤이 제거되어 우측단 및 하단 액정 픽셀 라인(21,22)이 노출되도록 형성하거나, 도 2의 (b)와 같이 좌측면과 하측면의 베젤이 제거되어 좌측단 및 하단 액정 픽셀 라인(23,22)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0)은 도 2의 (c)와 같이 좌측면과 상측면의 베젤이 제거되어 좌측단 및 상단 액정 픽셀 라인(23,24)이 노출되도록 형성하거나, 도 2의 (d)와 같이 우측면과 상측면의 베젤이 제거되어 우측단 및 상단 액정 픽셀 라인(21,24)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2의 (e)와 같이, 좌측면과 우측면의 베젤이 제거되어 좌측단과 우측단 액정 픽셀 라인(23,21)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4개의 측면 중 3개의 측면으로 액정 픽셀이 노출되고, 나머지 한 개의 측면은 베젤(35)로 둘러싸인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30)을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 우측면, 및 하측면의 베젤이 제거되어 우측단, 하단, 및 좌측단 액정 픽셀 라인(31,32,33)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3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좌측면, 우측면, 및 하측면 중 한 곳의 베젤을 유지하고, 다른 부분의 베젤을 제거하여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30)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단면, 양면, 및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0,20,30)은 각각 하면에 설치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여 단면, 양면, 및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이 광을 방출하면 단면, 양면, 및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면, 양면, 및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는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0-2), 디퓨저 판(10-3), 및 백라이트 유닛(10-7)을 포함한다.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0-2)과 디퓨저 판(10-3)은 도 1과 같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0)의 3면을 감싸는 베젤(15)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10-4)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상부 하우징(10-4)은 직사각형의 프레임에서 일측면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된다. 디퓨저 판(103)은 백라이트 유닛(107)의 복수의 엘이디(10-6)에서 방출된 광을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0-2)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되는 프리즘 시트 등과 같은 광학 시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0-7)은 하부 하우징(10-5)과 하부 하우징(10-5)의 상면에 설치되며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0-2)을 향해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엘이디(10-6)를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10-5)은 볼트,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10-8)에 의해 상부 하우징(10-4)에 결합된다. 하부 하우징(10-5)도 상부 하우징(10-4)과 마찬가지로 일 측면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면으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0-2), 디퓨저 판(10-3)의 일 측면이 노출된다. 또한, 도 4에는 하부 하우징(10-5)에 5개의 엘이디(10-6)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엘이디(10-6)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엘이디(10-6)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0-2)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20-1)는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0-2_, 디퓨저 판(20-3), 및 백라이트 유닛(20-7)을 포함한다.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0-2)과 디퓨저 판(20-3)은 도 2와 같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0)의 2면을 감싸는 베젤(25)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20-4)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상부 하우징(20-4)은 직사각형의 프레임에서 양 측면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된다. 디퓨저 판(20-3)은 백라이트 유닛(20-7)의 복수의 엘이디(20-6)에서 방출된 광을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0-2)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되는 프리즘 시트 등과 같은 광학 시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0-7)은 하부 하우징(20-5)과 하부 하우징(20-5)의 상면에 설치되며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0-2)을 향해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엘이디(20-6)를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20-5)은 볼트,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20-8)에 의해 상부 하우징(20-4)에 결합된다. 하부 하우징(20-5)도 상부 하우징(20-4)과 마찬가지로 양 측면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20-1)는 양 측면으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0-2), 디퓨저 판(20-3)의 2개의 측면이 노출된다. 도 5에는 하부 하우징(20-5)에 5개의 엘이디(20-6)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엘이디(20-6)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엘이디(20-6)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0-2)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30-1)는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30-2), 디퓨저 판(30-2), 및 백라이트 유닛(30-4)을 포함할 수 있다.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30-2), 디퓨저 판(30-3), 및 백라이트 유닛(30-4)은 도 3과 같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30)의 일 측면을 감싸는 베젤(35)을 형성하는 고정 프레임(30-8)에 의해 지지된다. 고정 프레임(30-8)은 일 측면에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30-2), 디퓨저 판(30-2), 및 백라이트 유닛(30-4)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액정디스플레이 패널(30-2)과 디퓨저 판(30-3)의 지지를 위해 광가이드 판(30-5)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30-4)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라이트 유닛(30-4)은 디퓨저 판(30-3) 아래에 설치되는 광가이드 판(30-5), 광가이드 판(30-5)의 일 측으로 고정 프레임(30-8) 쪽에 설치되는 복수의 엘이디(30-6), 및 하부 판(30-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 고정 프레임의 반대쪽으로 액정디스플레이 패널(30-2), 디퓨저 판(30-3), 광가이드 판(30-5), 및 하부 판(30-7) 사이는 옵티컬 본딩(30-9)으로 고정할 수 있다. 옵디컬 본딩(30-9)은 광학성 투명 수지(optical clear resin)나 광학성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를 사용한다. 디퓨저 판(30-3)은 백라이트 유닛(30-4)의 광가이드 판(30-5)을 통해 나오는 광을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30-2)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되는 프리즘 시트 등과 같은 광학 시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30-4)을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예로서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도 백라이트 유닛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렉트형 백라이트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상술한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및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여 형성한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경우에는 원하는 형태의 타일드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지지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은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단면, 양면, 및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에서, 지지 프레임은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아래에 설치되어 있다.
도 7a는 6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2x3의 형태로 배열한 타일드 디스플레이(100)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4개의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10,120,150,160)과 2개의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30,140)을 이용하고 있다. 제1디스플레이(110)는 상측면과 좌측면에는 베젤(115)이 존재하고 우측면(111)과 하측면(112)으로 액정 픽셀 라인이 노출되는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고, 제2디스플레이(120)는 좌측면과 하측면에는 베젤(125)이 존재하고, 우측면(121)과 상측면(124)으로 액정 픽셀 라인이 노출되는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제3디스플레이(130)는 좌측면(133), 우측면(131), 및 하측면으로 액정 픽셀 라인이 노출되고 상측면에 베젤(135)이 존재하는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고, 제4디스플레이(140)는 좌측면(141), 우측면(143) 및 상측면으로 액정 픽셀 라인이 노출되고 하측면에 베젤(145)이 존재하는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제5디스플레이(150)는 상측면과 우측면에 베젤(155)이 존재하고, 좌측면(151)과 하측면(152)으로 액정 픽셀 라인이 노출되는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고, 제6디스플레이(160)는 하측면과 우측면에 베젤(165)이 존재하고 좌측면(163)과 상측면(164)으로 액정 픽셀 라인이 노출되는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다. 도 7a에 도시된 타일드 디스플레이(100)는 6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10,120,130,140,150,160)의 노출된 액정 픽셀 라인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는 연결된 부분에서 끊어짐이 없거나 최소화되는 영상을 대화면으로 시청할 수 있다.
도 7b는 4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10,220,230,240)을 2x2의 형태로 배열한 타일드 디스플레이(200)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4개의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10,220,230,240)을 이용하고 있다. 제1디스플레이(210)는 우측면과 하측면으로 액정 픽셀 라인이 노출되는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고, 제2디스플레이(220)는 우측면과 상측면으로 액정 픽셀 라인이 노출되는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제3디스플레이(230)는 좌측면과 하측면으로 액정 픽셀 라인이 노출되는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고, 제4디스플레이(240)는 좌측면과 상측면으로 액정 픽셀 라인이 노출되는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다. 도 4b에서 참조기호 215,225,235,245는 각각 제1 내지 제4디스플레이(210,220,230,240)의 베젤을 나타낸다.
도 7c는 3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310,320,330)을 1x3의 형태로 배열한 타일드 디스플레이(300)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2개의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310,330)과 한 개의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320)을 사용한다. 제1디스플레이(310)는 우측면으로 액정 픽셀 라인이 노출되는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고, 제2디스플레이(320)는 좌측면과 우측면으로 액정 픽셀 라인이 노출되는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며, 제3디스플레이(330)는 좌측면으로 액정 픽셀 라인이 노출되는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다. 도 7c에서 참조기호 315,325,335는 각각 제1 내지 제3디스플레이(310,320,330)의 베젤을 나타낸다.
도 7d는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410,420)을 1x2의 형태로 배열한 타일드 디스플레이(400)이다. 이 경우에는 2개의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410,420)을 사용한다. 제1디스플레이(410)는 우측면(411)으로 액정 픽셀 라인이 노출되는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고, 제2디스플레이(420)는 좌측면(421)으로 액정 픽셀 라인이 노출되는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다. 도 7d에서 참조기호 415와 425는 각각 제1 및 제2디스플레이(410,420)의 베젤을 나타낸다.
도 7a 내지 도 7d의 타일드 디스플레이(100,200,300,400)에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82)이 서로 맞닿는 부분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80)를 사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80)는 사각 블록(80-1)에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82)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는 홈(80-2)을 형성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80)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하우징과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80)를 사용하면, 2개의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82)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9는 9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3x3의 형태로 배열한 타일드 디스플레이(500)이다. 이 경우에는 4개의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510,530,550,570)과 5개의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520, 540,560,580,590)을 이용하고 있다. 제1, 제3, 제5, 제7디스플레이(510,530,550,570)는 양 측면에는 베젤(515,535,555,575)이 존재하고 나머지 양 측면으로는 액정 픽셀 라인이 노출되는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제2, 제4, 제6, 및 제8디스플레이(520,540,560,580)는 일 측면에만 베젤(525,545,565,585)이 존재하고, 나머지 3개의 측면으로는 액정 픽셀 라인이 노출되는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다. 또한, 정중앙에 위치하는 제9디스플레이(590)도 일측면에만 베젤(595)이 존재하고, 나머지 3개의 측면으로는 액정 픽셀 라인이 노출되는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다. 따라서, 제9디스플레이(590)의 베젤 부분(595)에서 영상의 끊어짐을 최소로 하기 위해 베젤 부분(595)에는 렌즈와 같은 광학 부재나 서브 디스플레이를 설치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타일드 디스플레이(500)는 9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510,520,530,540,550,560,570,580,590)의 노출된 액정 픽셀 라인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는 연결된 부분에서 끊어짐이 최소화되는 영상을 대화면으로 시청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양측면에 게이트 부분이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여 제작하거나, 일측면에만 게이트 부분이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10은 양측면에 게이트 부분이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여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일측면에만 게이트 부분이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여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양측면에 게이트 부분(611,612)이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610)을 사용하여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0(a)와 같이 양측면에 게이트 부분(611,612)이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610)을 준비한다. 이어서, 도 10(b)와 같이 액정 픽셀을 노출시킬 일측면에서 상부 편광부재(613)의 일부를 박리시킨다. 이때, 상부 편광부재(613)는 블랙 매트릭스의 폭에 대응하는 폭만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610)에서 벗겨낸다. 도 10(b)에서 613a는 상부 편광부재(613)가 박리된 부분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10(c)와 같이 화살표(615)를 따라 상부 편광부재(613)를 벗겨낸 부분을 잘라내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610)의 일측단의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이 노출되도록 한다. 그 후, 도 10(d)와 같이 노출된 액정 픽셀 라인의 측면(616)을 실링(sealing)하면,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610')의 제작이 완료된다. 따라서, 도 10(d)와 같이 제작된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610')은 상부의 소스 부분(617)에 설치된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와 좌측의 게이트 부분(611)에 설치된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일측면에 게이트 부분이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여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1(a)와 같이 일측면에 게이트 부분(621)이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620)을 준비한다. 이때,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620)은 컬러 필터(623)와 상부 편광부재(624)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이다. 즉,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620)은 하부 편광부재와 액정 층으로 구성된 하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또한, 하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620)의 게이트 부분이 없는 측면에는 게이트 라인이 형성될 수 있는 일정 폭의 블랙 매트릭스가 되는 측면부(622)가 존재하므로 최외곽의 액정 픽셀 라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어서, 도 11(b)와 같이 블랙 매트릭스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컬러 필터(623)를 액정 층의 상부에 부착한다. 이때, 액정 층에는 미리 실링제를 발라 컬러 필터(623)가 액정 층에 부착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 11(c)와 같이 컬러 필터(623)가 부착되지 않은 하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620)의 측면부(622)가 노출된다. 다음으로, 도 11(c)와 같이 블랙 매트릭스가 제거된 컬러 필터(623)의 측면, 즉 화살표(625)를 따라 하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620)을 잘라내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620)의 일측단의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626)이 노출되도록 한다. 그 후, 도 11(d)와 같이 컬러 필터(623)의 상면에 상부 편광부재(624)를 부착한다. 그리고, 노출된 액정 픽셀 라인(626)을 실링(sealing)하면,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620')의 제작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된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620')은 상부의 소스 부분(627)에 설치된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와 좌측의 게이트 부분(621)에 설치된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면으로 액정 픽셀이 노출되는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과 일측면과 하측면 또는 상측면으로 액정 픽셀이 노출되는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일측 블랙 매트릭스 부분이 절단된 컬러 필터가 사용된다. 그러나, 좌우측면의 액정 픽셀이 노출되는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에는 좌우측 블랙 매트릭스 부분이 절단된 컬러 필터가 사용된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 픽셀의 구동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스 및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710)에서 상부 편광부재, 컬러 필터, 및 베젤을 제거하여 액정 층(711)이 노출된 상태이다. 도 12에서는 도시의 편의성을 위해 액정 픽셀(712)을 일부만 나타내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액정 층(711)의 상측부에는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7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액정 층(711)의 좌측부에는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715)가 설치되어 있다.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713)와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715)는 소스 라인(714)과 게이트 라인(716)을 통해 각 액정 픽셀(712)에 연결되어 있다. 도 12에서는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713)가 액정 층(711)의 상측부에 설치되고,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715)가 액정 층(711)의 좌측부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713)는 액정 층(711)의 하측부에 설치되고,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715)는 액정 층(711)의 우측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도 소스 및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는 상술한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710)과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액정 픽셀 라인이 좌우측면으로 노출되는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도 12와 같은 구조로 소스 및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713,715)를 배치할 수 없다.
도 2의 (e)와 같이 액정 픽셀 라인이 좌우측면(21,23)으로 노출되는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20)의 소스 및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는 도 13과 같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720)은 액정 층(721)의 상측부에는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723)가 설치되고, 액정 층(721)의 하측부에는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725)가 설치된다. 복수의 액정 픽셀들은 소스 라인(724)과 게이트 라인(726)을 통해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723)와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725)에 연결된다.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730)은 액정 층의 일측면에만 소스 및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733)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층(731)의 상측부에 소스 및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733)를 모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와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를 동일한 측면에 설치하는 구조의 액정 층(731)의 경우에는 소스 및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733)와 액정 픽셀(732)을 2가지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와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를 복수의 액정 픽셀(732-1,732-2,732-3)과 연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좌우로 배선된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와 복수의 액정 픽셀(732-1,732-2,732-3)을 연결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G1, G2, G3...)을 순차적으로 상측부로 연결 라인을 형성하여 연결하는 구조이다. 이때,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와 복수의 액정 픽셀(732-1,732-2,732-3)을 연결하는 복수의 소스 라인(S1, S2, S3, S4...)은 상하로 배선된다. 이 경우에는 한 개의 게이트 라인(예를 들면, G1)이 온(on)되면 이 게이트 라인(G1)에 연결된 한 줄의 액정 픽셀(732-1)이 작동하게 된다.
다른 예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와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를 복수의 액정 픽셀(732-1,732-2,732-3,732-4)과 연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좌우로 배선된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와 복수의 액정 픽셀(732-1,732-2,732-3,732-4)을 연결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G1, G2, G3, G4...)을 순차적으로 상측부로 연결 라인을 형성하여 연결하는 구조이다. 이때, 게이트 라인은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두 줄의 액정 픽셀 라인(732-1,732-2)의 사이에 한 개씩 배치되는 구조로서, 한 줄의 액정 픽셀 라인에 한 개의 게이트 라인이 배치되는 상술한 예와 상이하다. 또한,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와 복수의 액정 픽셀(732-1,732-2,732-3,732-4)을 연결하는 복수의 소스 라인(S1, S2,S3,S4,S5...)은 상하로 배선된다. 따라서, 한 개의 게이트 라인(예를 들면, G1)이 온(ON)되면 이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두 줄의 액정 픽셀 라인(732-1,732-2)이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게이트 라인을 배선하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서로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7a는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기 직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b는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은 하부에 설치되는 백라이트 유닛(820)과 결합되어 무베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801,802)를 형성한다. 백라이트 유닛(820)은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821)에 복수의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823)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백라이트 유닛(820)의 엘이디(823) 상측에는 디퓨저 판(diffuser plate)(830)이 설치된다. 백라이트 유닛(820)의 엘이디(823)가 설치된 바닥판(821)의 내면은 반사판으로 되어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820)의 후면으로는 빛이 새지않도록 형성된다. 백라이트 유닛(820)의 디퓨저 판(830) 상측으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이 설치된다.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액정 픽셀이 노출되는 측면(816)과 이에 대응하는 백라이트 유닛(820)의 측면(826)에는 분리 가능한 커버(840)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840)는 고무,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802)의 액정 픽셀이 노출되는 측면을 쉽게 벗길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17a에서 우측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는 액정 픽셀이 노출되는 측면(816)에서 커버(84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된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픽셀이 노출되는 한 개의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커버가 마련된다.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된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픽셀이 노출되는 2개의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커버가 마련된다.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된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픽셀이 노출되는 3개의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커버가 마련된다.
2개의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802)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840)를 벗긴 후에, 도 17b와 같이 커버(840)가 벗겨진 일 측면(816)을 서로 접촉시킨다. 이와 같이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802)를 연결하면, 2개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810)이 중간에 베젤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므로 끊김이 없는 넓은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서로 연결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802)의 최외곽 엘이디(823-1,823'-1) 사이의 거리(d)는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의 엘이디(823-1,823-2) 사이의 간격(d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엘이디 (823'-1,823'-2) 사이의 간격(d2)와 동일하게 되므로(즉, d=d1=d2), 연결된 부분의 액정 픽셀에도 다른 부분의 액정 픽셀과 동일한 광량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802)의 액정 픽셀이 노출된 면을 서로 접촉시켜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겹치는 구조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겹치는 형태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 내지 도 25에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두께를 매우 두껍게 도시하였으나, 실제의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두께는 약 1mm 이하이므로 2개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810)을 겹쳐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18 내지 도 25에서는 무베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810)과 백라이트 유닛(820)의 연결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18은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 810')의 노출된 액정 픽셀 라인(811-1, 811-2), 즉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을 서로 겹치는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이때,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은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은 한 개의 액정 픽셀(811-1)의 폭(w)만큼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아래로 삽입되며,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하부 편광부재(814)는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상부 편광부재(813)와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서로 연결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802)의 최외곽 엘이디(823-1,823'-1) 사이의 거리(d)는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의 엘이디 간격(d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2)의 엘이디 간격(d2)와 동일하게 되므로(즉, d=d1=d2), 연결된 부분의 액정 픽셀에도 다른 부분의 액정 픽셀과 동일한 광량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9는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1,802)의 노출된 액정 픽셀 라인(811-1,811-2), 즉 최외각 액정 픽셀 라인을 서로 겹치는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다만,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1)은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1)에 대응하는 하부 편광부재(814)의 부분이 제거된 상태이고,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2)은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2)에 대응하는 상부 편광부재(813)가 제거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2)이 한 개의 액정 픽셀의 폭(w)만큼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1)의 아래로 삽입되면,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1)의 액정 층(811)과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2)의 컬러 필터(812)가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서로 연결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802)의 최외곽 엘이디(823-1,823'-1) 사이의 거리(d)는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의 엘이디 간격(d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2)의 엘이디 간격(d2)와 동일하게 된다(즉, d=d1=d2).
도 20은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1,802)의 노출된 액정 픽셀 라인(811-1,811-2), 즉 최외각 액정 픽셀 라인을 서로 겹치는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다만,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2)은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2)에 대응하는 상부 및 하부 편광부재(813,814)의 부분이 제거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2)이 한 개의 액정 픽셀의 폭(w)만큼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1)의 아래로 삽입되면,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1)의 하부 편광부재(813)와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2)의 컬러 필터(812)가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서로 연결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802)의 최외곽 엘이디(823-1,823'-1) 사이의 거리(d)는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의 엘이디 간격(d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2)의 엘이디 간격(d2)과 동일하게 된다(즉, d=d1=d2).
도 21은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1,802)의 액정 픽셀이 노출된 측면에 설치된 더미 패널(850)과 최외각 액정 픽셀 라인(811-1.811-2)을 서로 겹치는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여기서, 더미 패널(850)은 노출되는 액정 픽셀을 실링하기 위해 투명한 재질로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1,811-2)의 일측에 형성된다. 도 21에서는 더미 패널(850)의 폭이 한 개의 액정 픽셀의 폭(w)에 대응하는 크기로 도시되어 있으나, 더미 패널(850)의 폭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미 패널(850)은 최외각 액정 픽셀 라인(811-1,811-2)을 실링할 수 있는 한 액정 픽셀의 폭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2)의 더미 패널(850)이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1)의 아래로 삽입된다. 이때,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2)의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2)의 끝단이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1)의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1)의 끝단과 일치할 때까지 삽입한다. 이 경우에는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2)의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2)의 상측에 위치하는 더미 패널(850)이 투명하므로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2)의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2)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볼 수 있다. 또한, 서로 연결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802)의 최외곽 엘이디(823-1,823'-1) 사이의 거리(d)는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의 엘이디 간격(d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2)의 엘이디 간격(d2)와 동일하게 된다(즉, d=d1=d2).
도 22는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01,802)의 액정 픽셀이 노출된 측면에 형성된 실링부(860)와 최외각 액정 픽셀 라인(811-1,811-2)을 서로 겹치는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 여기서, 실링부(860)는 노출되는 액정 픽셀을 실링하기 위해 투명한 실링제로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1,811-2)의 노출된 측면을 실링한 부분을 말한다. 도 22에서는 실링부(860)의 폭이 한 개의 액정 픽셀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링부(860)의 폭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링부(860)는 최외각 액정 픽셀 라인(811-1,811-2)을 실링할 수 있는 한 액정 픽셀의 폭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20)의 실링부(860)는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아래로 삽입된다. 이때,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2)의 끝단이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2)의 끝단과 일치할 때까지 삽입한다. 이 경우에는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2)의 상측에 위치하는 실링부(860)가 투명하므로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2)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볼 수 있다. 또한, 서로 연결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802)의 최외곽 엘이디(823-1,823'-1) 사이의 거리(d)는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의 엘이디 간격(d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2)의 엘이디 간격(d2)와 동일하게 된다(즉, d=d1=d2).
도 23은 도 22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802)의 연결 구조와 유사한 연결 구조이나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삽입 깊이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도 22의 경우에는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810')의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1,811-2)이 서로 겹치지 않는 구조이나, 도 23의 경우에는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810')의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1,811-2)이 서로 겹칠 수 있도록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이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아래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실링부(860)는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내측 액정 픽셀 라인의 위쪽에 위치하고,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실링부는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내측 액정 픽셀 라인의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서로 연결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802)의 최외곽 엘이디(823-1,823'-1) 사이의 거리(d)는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의 엘이디 간격(d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2)의 엘이디 간격(d2)과 동일하게 된다(즉, d=d1=d2).
도 24는 도 22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802)의 연결 구조와 유사한 연결 구조이나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배치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은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을 180도 회전시킨 상태이다. 그러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810')의 최외곽 액정 픽셀(811-1,811-2)을 구성하는 적색 픽셀(red pixel), 녹색 픽셀(green pixel) 및 청색 픽셀(blue pixel)(이하, RGB 픽셀이라 함)의 배열 순서가 동일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최외곽 액정 픽셀(811-1)의 RGB 픽셀의 배열이 적색, 녹색, 청색의 순서이면,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최외곽 액정 픽셀(811-2)의 RGB 픽셀의 배열도 적색, 녹색, 청색의 순서가 된다.
이때,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실링부(860)는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아래로 삽입된다. 또한,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2)의 끝단이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1)의 끝단과 일치할 때까지 삽입한다. 그리고, 서로 연결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802)의 최외곽 엘이디(823-1,823'-1) 사이의 거리(d)는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의 엘이디 간격(d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2)의 엘이디 간격(d2)과 동일하게 된다(즉, d=d1=d2).
도 25는 도 24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802)의 연결구조와 유사한 연결구조이나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삽입 깊이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도 24의 경우에는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810')의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1,811-2)이 서로 겹치지 않는 구조이나, 도 25의 경우에는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810')의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1,811-2)의 RGB 픽셀 중 마지막 픽셀이 서로 겹칠 수 있도록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이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아래에 삽입된다. 예를 들면,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811-1)의 RGB 픽셀 중 마지막 픽셀이 청색 픽셀인 경우에는,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은 청색 픽셀만 겹칠 수 있도록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아래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실링부(860)는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위쪽에 위치하고,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실링부(860)는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810)의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서로 연결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802)의 최외곽 엘이디(823-1,823'-1) 사이의 거리(d)는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1)의 엘이디 간격(d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802)의 엘이디 간격(d2)와 동일하게 된다(즉, d=d1=d2).
이상에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서, 도 17a 내지 도 25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가 패널의 바로 아래에 엘이디가 설치된 다이렉트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이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로서, 엘이디가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에 설치되는 에지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양 측면에 게이트 부분(611,612)을 가진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610)을 이용하여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610')을 제작할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절단하여 제작하는 경우에는, 제작 효율을 위해 액정 디스플레이의 동일 측면만을 절단하고 이를 이용하여 필요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만드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모든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우측면만 절단한다면, 좌측면이 절단면이 되어야하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우측면이 잘린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 액정 층을 180도 회전시킨다. 이때,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나오는 빛의 편광성분이 동일하도록 액정 층의 상면과 하면에 부착되는 상부 및 하부 편광부재는 함께 회전시키지 않는다.
이하, 도 26을 참조하여 우측면과 하측면이 절단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여 2X2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우측면(911)과 하측면(912)이 절단된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901)을 4개 준비한다.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901)은 우측면(911)과 하측면(912)이 절단된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한다. 이때, 상부 편광부재(921)는 수직방향의 빛만 통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측 편광부재(922)는 수평방향의 빛만 통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6에서 화살표는 편광방향을 나타낸다.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902)은 상부 편광부재(921)와 하부 편광부재(902)는 그대로 두고 액정 층(910)만 180도 회전시킨다. 즉, 상측의 소스 부분(913)은 그대로 위치하고 좌측의 게이트 부분(911)이 우측에 위치하도록 X축을 중심으로 액정 층(910)을 180도 회전시키고, 회전된 액정 층(9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부 편광부재(921)와 하부 편광부재(922)를 부착시킨다. 그러면,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902)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좌우로 반전된다. 따라서,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902)에는 좌우 반전된 영상을 입력하면 좌우로 반전되지 않은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제3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903)은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901)을 Z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다. 이 경우에도, 제3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903)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좌우로 반전되므로, 제3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903)에는 좌우 반전된 영상을 입력한다.
제4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904)은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901)을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902)과 같이 만든 후,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902)을 Z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다. 이 경우에는 제4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904)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좌우로 반전되지 않으므로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902)과 달리 제4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좌우 반전된 영상을 입력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종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901)을 제작한 후,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902,903,904)을 만들 수 있으므로 제조가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는 연결작업의 편의를 위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연결할 다른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검출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7은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설치되는 위치검출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위치검출센서(1001)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후면의 4 모서리에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4개의 위치검출센서(1001)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상하 및 좌우에 연결되는 다른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검출할 수 있다.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주변에 설치되는 다른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후면에도 4개의 위치검출센서(100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위치검출센서(1001)로 적외선 센서나 레이저 센서를 사용하면, 연결할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00) 사이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위치검출센서(1001)에서 출력되는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00) 사이의 위치, 구체적으로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의 거리를 모니터링하면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정확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27에서는 위치검출센서(1001)가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후면의 모서리에 4개가 설치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위치검출센서(1001)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후면의 중앙에 한 개의 위치검출센서(1002)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앙에 설치된 위치검출센서(1002)는 상하 및 좌우로 적외선이나 레이저를 방출하여 연결할 다른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위치검출센서를 구비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는 평면 텔레비젼이나 평면 모니터가 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위치검출센서를 구비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020)과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을 지지하며 고정하는 하우징(1030)을 포함한다. 하우징(1030)의 후면에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0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할 다른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1001)가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1030)의 하부에는 하우징(1030)을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지지하는 스탠드(1040)가 설치된다.
하우징(1030)과 스탠드(1040) 사이에는 하우징(103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유닛(105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동유닛(1050)은 하우징(1030)을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전후 방향은 도 29에서 도면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이동유닛(1050)은 위치검출센서(1001)의 신호에 따라 하우징(1030)을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30)을 전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이러한 이동유닛(1050)은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는 위치검출센서(1001)의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유닛(1050)을 제어하여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020)이 수용된 하우징(103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20)의 화면에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020)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연결용 패턴(1101, 도 31 참조)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1020)에 화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종래의 제어장치와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별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9에서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는 우측면(1011)이 절단된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이므로 하우징(1030)의 후면 우측에 2개의 위치검출센서(1001)가 설치되어 있다.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는 좌우측면(1011',1012')이 절단된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이므로 하우징(1030)의 후면에 4개의 위치검출센서(1001)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를 연결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를 도 29와 같이 일정한 거리에 위치시킨다. 이때,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 사이의 거리는 이동유닛(105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최대 거리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의 제어부는 위치검출센서(1001)로부터 적외선을 출력하여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의 위치를 검출한다. 도 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를 기준으로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가 앞으로 돌출되고 우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경우에,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의 제어부는 이동유닛(1050)을 제어하여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의 하우징(1030)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제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1021,1021')이 일치되도록 한다. 그 후, 제어부는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의 이동유닛(1050)을 제어하여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의 하우징(1030)이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의 우측면(1011)이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의 좌측면(1012')과 접촉하도록 한다. 그러면, 도 30의 (C)와 같이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가 정확하게 연결된다. 이상에서는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가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가 이동하여 제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가 모두 이동하여 제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3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의 일측에 제3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위치시키고 위치검출센서(1001)를 이용하여 제3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을 이동시킴으로써 제3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에 연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자동으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를 연결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는 수동으로도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스탠드(1040)와 하우징(1030) 사이에 이동유닛(1050)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위치검출센서(1001)는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를 기준으로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의 위치를 검출하고, 제어부는 이 센서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를 이동시킬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현재 위치에서 우측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좌측으로 5 cm이동하여 주십시오'라고 소리로 알려줄 수 있다.
그 후, 제어부는 제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의 화면에 도 31과 같은 연결용 패턴(1101,1101')을 출력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연결용 패턴(1101,1101')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를 좀더 정확하게 연결할 수 있다. 연결용 패턴(1101,1101')은 검정색 바탕에 흰색선을 수평 방향으로 그은 여러 개의 직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가 정확하게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연결용 패턴(1101,1101')이 이어지는 면(1100)에서 단차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를 연결하였을 때, 연결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32와 같이 제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의 화면에 출력된 연결용 패턴(1101,1101') 사이에 상하로 단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에 출력된 연결용 패턴(1101,1101') 사이에 발생한 단차가 없어지도록 제1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나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를 이동시킨다. 제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에 디스플레이된 2개의 연결용 패턴(1101,1101')이 도 31과 같이 단차가 없이 일직선을 이루면 제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는 정확하게 연결된 것이다.
그러나, 만일 사용자가 제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를 도 31에 도시된 상태처럼 정확하게 연결하지 못하고 도 32과 같이 상하로 틀어진 상태로 연결한 경우에는 제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의 제어부는 위치검출센서(1001)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가 상하로 서로 어긋난 양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검출된 어긋난 양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 어긋나 있는 픽셀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20,1020')에서 어긋난 픽셀 부분(1111b,1111'b)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으로 하고 서로 이어진 픽셀 부분(1111a, 1111'a)만 영상을 표시하는 유효 영역으로 계산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제1 및 제2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1010,1010')를 상하로 정확하게 연결하지 못한 경우에도 끊어짐이 없는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0;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픽셀 15; 베젤
20;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25; 베젤
30;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35; 베젤
100,200,300,400,500; 타일드 디시플레이
610;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611,612,621; 게이트 부분
613,624; 상부 편광부재 617,627; 소스 부분
620; 하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623; 컬러 필터
710,720,730;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711,721,731; 액정층 712,722,732; 액정 픽셀
713,723,733;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
715,725,735;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
801,802;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810,810';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811; 액정 층 812; 컬러 필터
813; 상부 편광부재 814; 하부 편광부재
820; 백라이트 유닛 823,823'; 엘이디
840; 커버 850; 더미 패널
860; 실링부
901,902,903,904;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910; 액정 층 921; 상부 편광부재
922; 하부 편광부재
1000,1010,1010';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1001,1002; 위치검출센서 1030; 하우징
1040; 스탠드 1050; 이동유닛
1101,1101'; 연결용 패턴

Claims (20)

  1. 상측면, 하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일 측면으로 액정 픽셀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bezelless liquid crystal dispaly panel); 및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하부에 설치되며,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액정 픽셀이 노출되는 측면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백라이트 유닛은 각각 상기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조명하는 복수의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엘이디는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이 서로 연결된 부분에서도 인접하는 2개의 엘이디는 등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중 적어도 한 개는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상기 액정 픽셀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gate drive IC)가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좌측단 또는 우측단에 블랙 매트릭스가 없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중 적어도 한 개는 좌측면과 우측면에 상기 액정 픽셀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마주보는 상단과 하단에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gate drive IC)와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source drive IC)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좌측단 및 우측단에 블랙 매트릭스가 없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8.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중 적어도 한 개는 3개의 측면에 상기 액정 픽셀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와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가 동일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삼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한 개의 게이트 신호로 한 줄의 영상 또는 두 줄의 영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중 인접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액정 픽셀이 노출된 측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중 인접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액정 픽셀이 노출된 측면의 최외곽 액정 픽셀 라인이 서로 겹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측에 위치하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겹치는 액정 픽셀 라인에 대응하는 하부 편광부재의 부분이 제거되고, 하측에 위치하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겹치는 액정 픽셀 라인에 대응하는 상부 편광부재의 부분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픽셀이 노출된 측면에 형성된 투명 더미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중 인접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투명 더미 패널이 노출된 액정 픽셀 라인과 겹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각각 상기 액정 픽셀이 노출된 측면을 실링하는 투명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중 인접한 2개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투명 실링부재가 노출된 액정 픽셀 라인과 겹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은 인접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위치관계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양 측면에 게이트 부분을 구비한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측면의 게이트 부분을 절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18. 좌측면과 우측면 중 적어도 일 측면으로 액정 픽셀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bezelless liquid crystal dispaly panel);
    상기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하부에 설치되며, 광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 및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에는 상기 하우징을 상하 및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유닛이 더 설치되며,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위치검출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용 패턴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베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01785A 2014-03-26 2014-08-07 타일드 디스플레이 및 무베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33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90,547 US9709838B2 (en) 2014-03-26 2015-01-06 Tiled display and bezelless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70489P 2014-03-26 2014-03-26
US61/970,489 2014-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808A true KR20150111808A (ko) 2015-10-06
KR102133914B1 KR102133914B1 (ko) 2020-07-14

Family

ID=54345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785A KR102133914B1 (ko) 2014-03-26 2014-08-07 타일드 디스플레이 및 무베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91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285A1 (en) * 2017-10-25 2019-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D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90079283A (ko) * 2017-12-27 2019-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드 디스플레이
KR20200024930A (ko) * 2017-07-11 2020-03-0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타일링된 디스플레이들 및 그 제조 방법들
KR20200042722A (ko) * 2018-10-16 2020-04-24 주식회사 대한전광 조립식 전광판 제작 방법
KR20200042723A (ko) * 2018-10-16 2020-04-24 주식회사 대한전광 전광판용 전광 케이스
KR102211928B1 (ko) * 2019-12-31 2021-0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US11201202B2 (en) 2018-11-16 2021-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an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11841568B2 (en) 2018-12-28 2023-12-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tile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944A (ko) * 2021-12-15 2023-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7236A (en) * 1996-05-21 1999-02-02 Rainbow Displays, Inc. Construction and sealing of tiled, flat-panel displays
US20020118321A1 (en) * 1998-03-12 2002-08-29 Shichao Ge Seamless tiled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JP2004304679A (ja) * 2003-04-01 2004-10-28 Matoba Denki Seisakusho:Kk ディスプレイ用電動回転機構
US20050185114A1 (en) * 2004-02-24 2005-08-25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a tiled display and tiled display comprising faceplate
KR20090047689A (ko) * 2007-11-08 2009-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US20130222722A1 (en) * 2012-02-27 2013-08-29 Lenovo (Beijing) Co., Ltd. Display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7236A (en) * 1996-05-21 1999-02-02 Rainbow Displays, Inc. Construction and sealing of tiled, flat-panel displays
US20020118321A1 (en) * 1998-03-12 2002-08-29 Shichao Ge Seamless tiled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JP2004304679A (ja) * 2003-04-01 2004-10-28 Matoba Denki Seisakusho:Kk ディスプレイ用電動回転機構
US20050185114A1 (en) * 2004-02-24 2005-08-25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a tiled display and tiled display comprising faceplate
KR20090047689A (ko) * 2007-11-08 2009-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US20130222722A1 (en) * 2012-02-27 2013-08-29 Lenovo (Beijing) Co., Ltd. Display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System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930A (ko) * 2017-07-11 2020-03-0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타일링된 디스플레이들 및 그 제조 방법들
WO2019083285A1 (en) * 2017-10-25 2019-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D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263933B2 (en) 2017-10-25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D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90079283A (ko) * 2017-12-27 2019-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드 디스플레이
KR20200042722A (ko) * 2018-10-16 2020-04-24 주식회사 대한전광 조립식 전광판 제작 방법
KR20200042723A (ko) * 2018-10-16 2020-04-24 주식회사 대한전광 전광판용 전광 케이스
US11201202B2 (en) 2018-11-16 2021-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an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11849613B2 (en) 2018-11-16 2023-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comprising side wirings an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11841568B2 (en) 2018-12-28 2023-12-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tile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211928B1 (ko) * 2019-12-31 2021-0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914B1 (ko)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1808A (ko) 타일드 디스플레이 및 무베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9709838B2 (en) Tiled display and bezelless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8579454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EP302954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17629B1 (ko) 곡면 디스플레이용 지지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US10353132B2 (en) Display device
US20120281153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20170081153A (ko)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보더리스 표시장치
JP7058162B2 (ja) 連結表示装置
US20130038799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130265503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ing device
US9129833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KR101741821B1 (ko) 액정표시장치
JP2012150366A (ja) 導光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EP2607946A1 (en) Display apparatus
WO2014196235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11096631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6009174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0860277B2 (en) Coupled display device
US9116277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20110018233A (ko) 액정표시장치
KR20140114960A (ko) 액정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JP2013019924A (ja) 偏光モジュール及び画像表示装置
US8087812B2 (en) Light guide device and backlight module
WO2012173077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