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283A - 타일드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타일드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283A
KR20190079283A KR1020170181377A KR20170181377A KR20190079283A KR 20190079283 A KR20190079283 A KR 20190079283A KR 1020170181377 A KR1020170181377 A KR 1020170181377A KR 20170181377 A KR20170181377 A KR 20170181377A KR 20190079283 A KR20190079283 A KR 20190079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panel
display panels
display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256B1 (ko
Inventor
하용민
최낙봉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1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2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는 둘 이상의 표시패널들과, 상기 표시패널들 간의 경계 영역 상에 접합되어 상기 표시패널들과 함께 화상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일드 디스플레이{TILED DISPLAY}
본 발명은 다수의 표시패널들을 이용하여 대화면을 구현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상업 공간에서 대화면으로 시각 정보를 재현한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멀티 비젼(multi vision) 또는 비디오 월(video wall)로 알려진 대화면 디스플레이이다.
타일드 디스플레이는 대화면으로 접합된 다수의 표시패널들을 포함한다. 타일드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표시패널들을 연결하여 대형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때문에 표시패널들 간의 경계 영역에 화면이 구동되지 않는 데드 존(Dead Zone)이 생긴다. 이러한 데드 존은 표시패널들의 베젤 영역들로 인해 생기며, 화면이 분할되어 보이게 한다. 데드 존이 클수록 그리고 연결되는 표시패널들의 개수가 많을수록 화면 분할 현상이 심해진다.
디지털 사이니지의 표시 품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표시패널들 간의 경계 영역을 줄이고 데드 존을 최소화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시패널들 간의 경계 영역을 최소화하여 화면 분할 현상을 줄이고 표시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는 둘 이상의 표시패널들과, 상기 표시패널들 간의 경계 영역 상에 접합되어 상기 표시패널들과 함께 화상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타일드 디스플레이는 표시패널들 간의 경계 영역 상에 화상 표시용 보조 패널을 접합하여 화면 분할 현상을 줄이고 표시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 화면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구동부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픽셀 회로에 연결된 외부 보상 회로를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타일드 디스플레이의 배면을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일반적인 타일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패널들 간의 경계 영역에 생기는 데드 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패널들 간의 경계 영역에 접합되는 보조 패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에서 보조 패널들에 의해 데드 존이 최소화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패널들과 보조 패널들 간의 단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보조 패널에서 액티브 영역, 베젤 영역, 및 에지 벤딩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보조 패널의 에지 벤딩 영역에서 보조 편광 필름에 가공된 홈 패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보조 편광 필름의 홈 패턴에 의해 에지 벤딩 영역에서의 스트레스가 완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보조 패널의 에지 벤딩 영역에서 보조 편광 필름에 가공된 홈 패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보조 편광 필름에 가공된 홈 패턴의 다양한 구현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보조 패널의 에지 벤딩 영역과 베젤 영역에서 보조 편광 필름이 제거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보조 패널의 에지 벤딩 영역과 베젤 영역에서 보조 편광 필름을 제거하는 대신 보호막을 코팅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구비한다",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 ~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로 해석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 ~ 상에', ' ~ 상부에', ' ~ 하부에', ' ~ 옆에' 등으로 두 구성요소들 간에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그 구성요소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제1, 제2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 구성 요소들은 구성 요소 앞에 붙은 서수나 구성 요소 명칭으로 그 기능이나 구조가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다.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타일드 디스플레이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Display),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의 표시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표시장치의 일 예로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픽셀들은 OLED와, 게이트-소스간 전압에 따라 OLED에 전류를 공급하여 OLED를 구동하는 구동소자를 포함한다. 구동 소자는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구조의 TFT로 구현될 수 있다. 픽셀들 간에 OLED와 구동 소자의 전기적 특성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OLED와 구동 소자의 전기적 특성이 화면 전체에서 균일하여야 하지만 공정 편차와 구동 시간의 경과에 따른 소자 특성 편차로 인하여 픽셀들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OLED와 구동 소자의 전기적 특성 편차를 보상하기 위해,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내부 보상 방법과 외부 보상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내부 보상 방법은 구동 소자의 전기적 특성에 따라 변하는 구동 소자의 게이트-소스 간 전압을 샘플링하고 그 게이트-소스간 전압만큼 데이터 전압을 보상한다. 외부 보상 방법은 OLED와 구동 소자의 전기적 특성에 따라 변하는 픽셀의 전기적 특성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따라 결정된 보상값으로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변조함으로써 픽셀들 간의 전기적 특성 편차와 픽셀들의 경시 변화에 따른 열화를 보상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타일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패널들 각각에 외부 보상 회로가 적용된 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표시패널들(PNL1~PNL12)과, 다수의 표시패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N(N은 자연수) 표시패널(PNL(N))의 화면은 입력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AA)을 포함한다. 액티브 영역(AA)에 픽셀 어레이가 배치된다. 픽셀 어레이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102), 데이터 라인들(102)과 교차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104), 및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픽셀들을 포함한다. 픽셀들 각각은 컬러 구현을 위하여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픽셀들 각각은 도 2의 예와 같이 백색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W”는 백색 서브 픽셀, “R”은 적색 서브 픽셀, “G”는 적색 서브 픽셀, “B”는 청색 서브 픽셀을 각각 나타낸다. 서브 픽셀들 각각은 도 3과 같은 픽셀 회로를 포함한다.
표시패널들(PNL1~PNL12) 상에 터치 센서들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입력은 별도의 터치 센서들을 이용하여 센싱되거나 픽셀들을 통해 센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들은 온-셀(On-cell type) 또는 애드 온 타입(Add on type)으로 표시패널의 화면 상에 배치되거나, 픽셀 어레이에 내장되는 인-셀(In-cell type)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들(PNL1~PNL12) 각각은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표시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들(PNL1~PNL12)은 표시패널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패널 구동부는 외부 보상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 구동부는 입력 영상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노멀 구동 모드(Normal driving mode)와, 픽셀들의 전기적 특성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모드(sensing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노멀 구동 모드에서, 표시패널 구동부(110, 112, 120)는 타이밍 콘트롤러(130)의 제어 하에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픽셀들에 기입한다. 센싱 모드에서 표시패널 구동부(110, 112, 120)는 타이밍 콘트롤러(130)의 제어 하에 서브 픽셀별로 구동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센싱하고, 그 센싱 결과에 따라 보상값을 선택하여 구동 소자(DT)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표시패널 구동부(110, 112, 120)는 표시패널들에 1:1로 연결되어 하나의 표시패널을 구동한다. 표시패널 구동부(110, 112, 120)는 데이터 구동부(110)와 게이트 구동부(120)를 구비한다. 데이터 구동부(110)와 데이터 라인들(102) 사이에 배치된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112)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디멀티플렉서(112)는 생략될 수 있다.
표시패널 구동부(110, 112, 120)는 노멀 구동 모드에서 타이밍 콘트롤러(130)의 제어 하에 표시패널의 픽셀들에 입력 영상의 데이터를 기입하여 화면 상에 입력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패널 구동부(110, 112, 120)는 터치 센서들을 구동하기 위한 터치 센서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터치 센서 구동부는 도 2에서 생략되어 있다. 모바일 기기나 웨어러블 기기에서 표시패널 구동부(110, 112, 120), 타이밍 콘트롤러(130), 그리고 도면에서 생략된 디스플레이 모듈 전원부는 하나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전원부는 메인 전원을 입력 받아 표시패널 구동부(110, 112, 120)의 구동 전원과, 표시패널(PNL(N))의 아날로그 전원을 발생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 전원부는 감마 기준 전압, 기준 전압, 게이트 하이 전압, 게이트 로우 전압 등의 구동 전원을 출력한다. 감마 기준 전압은 분압 회로에 의해 분압되어 픽셀 데이터의 계조 전압에 해당하는 감마 보상 전압으로 변환되어 데이터 구동부(110)에 공급된다. 전원부는 차지 펌프(Charge pump), 레귤레이터(Regulator), 벅 변환기(Buck Converter), 부스트 변환기(Boost Conver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er, 이하 “DAC”라 함)를 이용하여 매 프레임 기간마다 타이밍 콘트롤러(13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영상의 디지털 데이터를 감마 보상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전압(Vdata)을 출력한다. 데이터 전압(Vdata)은 디멀티플렉서(112)와 데이터 라인(102)을 통해 픽셀들에 인가된다. 디멀티플렉서(112)는 다수의 스위치 소자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구동부(110)와 데이터 라인들(102) 사이에 배치되어 데이터 구동부(11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전압(Vdata)을 데이터 라인들(102)로 분배한다. 디멀티플렉서(112)에 의해 데이터 구동부(110)의 한 채널이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에 시분할 연결되기 때문에 데이터 라인들(102)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20)는 액티브 영역(AA)의 TFT 어레이와 함께 표시패널 상의 베젤(bezel) 영역 상에 직접 형성되는 GIP(Gate in panel)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20)는 타이밍 콘트롤러(130)의 제어 하에 게이트 신호(또는 스캔 신호)를 게이트 라인들(104)로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120)는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를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를 시프트시킴으로써 그 신호들을 게이트 라인들(104)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게이트 신호는 스캔 신호(SCAN)와 센싱 신호(SENS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캔 신호(SCAN)와 센싱 신호(SENS)는 입력 영상의 데이터 전압(Vdata) 또는 센싱용 데이터 전압(Vdata)에 동기될 수 있다. 입력 영상의 데이터 전압(Vdata)은 노멀 구동 모드에서 입력되는 픽셀 데이터의 계조 전압이다. 센싱용 데이터 전압(Vdata)은 입력 영상 데이터와 무관하게 설정된 소정의 전압으로서 구동 소자(DT)의 문턱 전압(Vth)을 센싱하기 위하여 구동 소자(DT)의 게이트 전압을 적절히 충전하는 전압이다.
게이트 신호(SCAN, SENSE)는 게이트 하이 전압과 게이트 로우 전압 사이에서 스윙(swing)하는 펄스로 발생될 수 있다. 픽셀 회로의 스위치 소자들(M1, M2)은 게이트 신호(SCAN, SENSE)의 게이트 온 전압에 응답하여 턴-온(turn-on)된다.
타이밍 콘트롤러(130)는 노멀 구동 모드(Normal driving mode)와 센싱 모드(sensing mode)에서 표시패널 구동부(110, 112, 1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30)는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와, 그와 동기되는 타이밍 신호를 수신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30)에 수신된 타이밍 신호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클럭 신호(DCLK) 및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은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표시패널들(PNL1~PNL12)의 표시패널 구동부들에 입력 영상을 분배하고, 표시패널 구동부들을 동기시킨다.
타이밍 콘트롤러(130)는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입력 프레임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밍 콘트롤러(130)는 입력 프레임 주파수를 i 배 체배하여 프레임 주파수×i(i는 0 보다 큰 양의 정수) Hz의 프레임 주파수로 표시패널 구동부(110, 112, 1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프레임 주파수는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 방식에서 60Hz이며, PAL(Phase-Alternating Line) 방식에서 50Hz이다.
타이밍 콘트롤러(130)는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타이밍 신호(Vsync, Hsync, DE)를 바탕으로 표시패널 구동부(110, 112, 1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발생하여 표시패널 구동부(110, 112, 120)를 제어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30)로부터 출력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은 도시하지 않은 레벨 시프터(Level shifter)를 통해 게이트 온 전압과 게이트 오프 전압으로 변환되어 게이트 구동부(120)에 공급될 수 있다. 레벨 시프터는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의 로우 레벨 전압(low level voltage)을 게이트 로우 전압으로 변환하고,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의 하이 레벨 전압(high level voltage)을 게이트 하이 전압으로 변환한다.
외부 보상 회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셀 회로에 연결된 센싱 라인(103), 센싱부(111) 및 센싱부(111)로부터 센싱 데이터(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보상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DAC와 센싱부(111)는 데이터 구동부(110)의 IC(integrated circuit)에 집적될 수 있다. 데이터 보상부(131)는 타이밍 콘트롤러(130)에 내장될 수 있다.
외부 보상 회로는 기준 전압으로 센싱 라인(103)과 구동 소자(DT)의 소스 전압 즉, 제2 노드(n2)의 전압을 초기화한 후, 구동 소자(DT)의 소스 전압을 센싱하여 구동 소자(DT)의 전기적 특성(Vth, μ)을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11)는 센싱 모드에서 센싱 라인(103) 상의 전압을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전압을 ADC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센싱 데이터로 출력한다.
데이터 보상부(131)의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에 서브 픽셀별로 OLED와 구동 소자(DT)의 문턱 전압(Vth), 구동 소자(DT)의 이동도(μ)의 초기값이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 보상부(131)는 ADC를 통해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초기값과 비교하여 서브 픽셀의 구동 특성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값을 결정하고, 이 보상값으로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서브 픽셀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보상한다. 데이터 보상부(131)에 의해 보정된 픽셀 데이터는 데이터 구동부(110)로 전송되어 데이터 구동부(110)의 DAC에 의해 데이터 전압(Vdata)으로 변환되어 데이터 라인(102)으로 공급된다.
픽셀 회로는 도 3의 예와 같이, OLED와, OLED에 연결된 구동 소자(DT), 다수의 스위치 TFT(M1, M2), 및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소자(DT)와 스위치 TFT(M1, M2)는 n 채널 트랜지스터(NMOS)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OLED는 데이터 전압(Vdata)에 따라 변하는 구동 소자(D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로 발광된다. OLED는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형성된 유기 화합물층을 포함한다. 유기 화합물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OLED의 애노드는 제2 노드(n2)를 통해 구동 소자(DT)에 연결되고, OLED의 캐소드는 저전위 전원 전압(VSS)이 인가되는 VSS 전극에 연결된다. 도 3에서 “Coled”는 OLED의 용량(Capacitance)이다.
제1 스위치 TFT(M1)는 스캔 신호(SCAN)에 따라 턴-온되어 데이터 라인(102)을 제1 노드(n1)에 연결하여 데이터 전압(Vdata)을 제1 노드(n1)에 연결된 구동 소자(DT)의 게이트에 공급한다. 제1 스위치 TFT(M1)는 제1 스캔 신호(SCAN)가 인가되는 제1 게이트 라인(1041)에 연결된 게이트, 데이터 라인(102)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2 스위치 TFT(M2)는 센싱 신호(SENSE)에 따라 턴-온되어 기준 전압을 제2 노드(n2)에 공급한다. 제2 스위치 TFT(M2)는 센싱 신호(SENSE)가 인가되는 제2 게이트 라인(1042)에 연결된 게이트,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센싱 라인(103)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노드(n2)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구동 소자(DT)는 자신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에 따라 OLED에 전류를 공급한다. 구동 소자(DT)는 제1 노드(n1)에 연결된 게이트, 픽셀 구동 전압(VDD)이 공급되는 VDD 라인(105)에 연결된 제1 전극(또는 드레인), 및 제2 노드(n2)를 통해 OLED의 애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또는 소스)을 포함한다.
커패시터(Cst)는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 연결된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소자(D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을 저장한다.
도 4 및 도 5는 타일드 디스플레이의 배면을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타일드 디스플레이는 통합 콘트롤 박스(40), 다수의 콘트롤 보드들(control board, 44), 콘트롤 보드들(44)을 통합 콘트롤 박스(40)에 연결하는 케이블(42)을 포함한다.
통합 콘트롤 박스(40)는 호스트 시스템, 외부 주변 기기를 호스트 시스템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및 메인 전원부를 포함한다. 통합 콘트롤 박스(40)는 입력 영상의 해상도를 표시패널들(PNL1~PNL12) 각각의 해상도에 맞게 변환하여 케이블(42)을 통해 표시패널들(PNL1~PNL12)로 분배한다. 그리고 콘트롤 박스(40)는 메인 전원부로부터 생성된 메인 전원을 케이블(42)을 통해 콘트롤 보드들(44)에 공급한다.
콘트롤 보드(44)는 표시패널들(PNL1~PNL12)을 구동하기 위한 표시패널 구동부(110, 112, 120)에 연결된다. 콘트롤 보드들(44) 각각은 타이밍 콘트롤러(130)와 디스플레이 모듈 전원부를 포함한다. 콘트롤 보드들(4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들(PNL1~PNL12)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타일드 디스플레이의 설치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 보드들(44)이 표시패널들(PNL1~PNL12)로부터 분리되어 별도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패널들(PNL1~PNL12)의 배면에 작은 인터페이스 보드들(48)이 배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보드들(48)은 케이블(46)을 통해 콘트롤 보드들(44)에 연결되고, 표시패널 구동부(110, 112, 120)에 연결된다. 인터페이스 보드(48)는 콘트롤 보드들(44)로부터의 신호와 전원을 표시패널 구동부(110, 112, 120)에 공급한다.
도 6a 및 도 6b는 일반적인 타일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패널들 간의 경계 영역에 생기는 데드 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타일드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표시패널들(PNL1~ PNL4)을 연결하여 대형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때문에 표시패널들(PNL1~ PNL4) 간의 경계 영역에 화면이 구동되지 않는 데드 존(Dead Zone)이 생긴다. 이러한 데드 존은 표시패널들에서 액티브 영역들(AA) 바깥에 위치하는 베젤 영역들(BZ)로 인해 생기며, 화면이 분할되어 보이게 한다. 데드 존이 클수록 그리고 연결되는 표시패널들의 개수가 많을수록 화면 분할 현상이 심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패널들 간의 경계 영역에 접합되는 보조 패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표시패널들(PNL1~ PNL4)을 연결하여 대형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되, 표시패널들(PNL1~ PNL4) 간의 경계 영역 상에 접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패널(HD)을 더 포함한다. 보조 패널(HD)은 표시패널들(PNL1~ PNL4)과 함께 화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상기 경계 영역에서 데드 존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보조 패널(HD)은 표시패널들(PNL1~ PNL4) 간의 경계 영역을 줄이고 데드 존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므로, 경계 영역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예로서, 경계 영역이 바(Bar) 형태를 띠는 경우, 보조 패널(HD)은 바 타입(Bar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패널(HD)은 마더 기판(Mother substrate)에서 표시패널들을 면취하고 남은 여분 영역을 활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마더 기판에 대한 면취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에서 보조 패널들에 의해 데드 존이 최소화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패널(HD)은 화상이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AA1) 바깥에 베젤 영역(BZ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베젤 영역(BZ1)이 화면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조 패널(HD)은 에지 벤딩(Edge Bending)을 통해 베젤 리스(Bezel less)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베젤 리스 구조에 따르면, 베젤 영역(BZ1)이 액티브 영역(AA1)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보조 패널(HD)의 가장자리 영역들이 뒤로 접힌다.
이러한 에지 벤딩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보조 패널(HD)은 보강 부재(RF)를 감싸면서 뒤로 접힐 수 있다. 보강 부재(RF)는 메탈 포일(Metal foil), 베이스 기판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와 같이 베젤 리스 보조 패널들(HD)이 표시패널들(PNL1~ PNL4) 간의 경계 영역들에 접착 공정 등을 통해 부착되면, 데드 존이 없는 디지털 사이니지가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패널들(HD)은 별도의 구동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별도의 구동회로부는 콘트롤 보드(44)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패널들과 보조 패널들 간의 단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패널들(OPNL1,OPNL2)은 OLED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들(OPNL1,OPNL2) 상에는 외부광 반사로 인한 대비비(Contrast Ratio)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최외곽 편광 필름들(POL1,POL2)이 부착될 수 있다. 최외곽 편광 필름들(POL1,POL2)은 표시패널들(OPNL1,OPNL2) 간의 경계 영역에서 제거되고, 그 대신 경계 영역에 보조 패널(HD)이 접합될 수 있다. 보조 패널(HD)은 최외곽 편광 필름들(POL1,POL2)이 제거된 경계 영역에 접합되기 때문에, 표시패널들(OPNL1,OPNL2)과 보조 패널들(HD) 간의 단차가 최소화되고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패널들(OPNL1,OPNL2)은 LCD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들(OPNL1,OPNL2) 에는 백라이트 유닛들(BLU1,BLU2)로부터의 광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내부 편광 필름들(POL2,POL4)과 최외곽 편광 필름들(POL1,POL3)이 부착될 수 있다. 최외곽 편광 필름들(POL1,POL3)은 표시패널들(OPNL1,OPNL2) 간의 경계 영역에서 제거되고, 그 대신 경계 영역에 보조 패널(HD)이 접합될 수 있다. 보조 패널(HD)은 최외곽 편광 필름들(POL1,POL3)이 제거된 경계 영역에 접합되기 때문에, 표시패널들(OPNL1,OPNL2)과 보조 패널들(HD) 간의 단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타일드 디스플레이는 보조 패널(HD)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회로부는 표시패널들(OPNL1,OPNL2)의 배면에 위치하며, 표시패널들(OPNL1,OPNL2) 간의 경계 영역 사이에 마련된 회로 결선 부재(FPCB)를 통해 보조 패널(HD)과 콘트롤 보드(44)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2는 보조 패널에서 액티브 영역, 베젤 영역, 및 에지 벤딩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보조 패널의 에지 벤딩 영역에서 보조 편광 필름에 가공된 홈 패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보조 편광 필름의 홈 패턴에 의해 에지 벤딩 영역에서의 스트레스가 완화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5는 보조 패널의 에지 벤딩 영역에서 보조 편광 필름에 가공된 홈 패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에서 보조 패널(HD)은 화상이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AA1)과, 액티브 영역(AA1) 바깥의 베젤 영역(BZ1)과, 액티브 영역(AA1) 및 베젤 영역(BZ1) 사이의 에지 벤딩 영역(EBA)을 포함한다.
보조 패널(HD)은 베젤 영역(BZ1)이 액티브 영역(AA1)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에지 벤딩 영역(EBA)에서 뒤로 접힐 수 있다. 이때, 보조 패널(HD)은 자발광 소자를 포함한 폴더블 타입(Foldable type)으로 구현됨으로써, 데드 존을 최소화하고 표시패널들(OPNL1,OPNL2)과의 단차를 줄이는 데 유리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보조 패널(HD)은 액티브 영역(AA1), 에지 벤딩 영역(EBA), 및 베젤 영역(BZ1)에 대응되게 접합되는 보조 편광 필름(HPO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보조 편광 필름(HPOL)은 외부광 반사로 인한 대비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 패널(HD)은 보조 편광 필름(HPOL)과 베이스 기판(BP) 사이에 위치한 OLED 어레이(OAR)와 TFT 어레이(TAR)를 더 포함한다. OLED 어레이(OAR)와 TFT 어레이(TAR)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한편, 표시패널들(OPNL1,OPNL2)과 보조 패널들(HD) 간의 단차가 최소화되도록, 보조 편광 필름(HPOL)의 두께는 표시패널들의 최외곽 편광 필름(POL1,POL3)에 비해 더 얇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 편광 필름(HPOL)의 재질, 접착체 등은 표시패널들의 최외곽 편광 필름(POL1,POL3)의 그것들과 다를 수 있다. 보조 편광 필름(HPOL)은 얇을수록 폴딩(folding) 하기에 유리하다.
도 14와 같이 에지 베딩시 보조 편광 필름(HPOL)의 내측/외측 간 곡률이 달라져 외측 인장력 증가할 수 있고, 이러한 외측 인장력 증가로 인해 벤딩 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벤딩 스트레스를 완화하면서 에지 벤딩이 용이하도록, 보조 편광 필름(HPOL)에는 복수의 홈 패턴들(HPAT)이 마련될 수 있다.
홈 패턴들(HPAT)의 단면 구조는 도 13과 같은 직각 형태, 또는 도 15와 같은 물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6은 보조 편광 필름에 가공된 홈 패턴의 다양한 구현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의 (A) 및 (B)와 같이 홈 패턴들(HPAT)은 벤딩 스트레스가 더욱 최소화되도록 복수의 스트라이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스트라이프 홈 패턴들(HPAT)은 벤딩 방향과 수직으로 나란히 형성되므로 보조 편광 필름(HPOL)이 벤딩 방향으로 쉽게 접힐 수 있게 한다. 스트라이프형 홈패턴(HPAT)의 개수는 에지 벤딩 영역(EBA)의 넓이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홈 패턴들(HPAT)을 스트라이트형으로 구현하면 벤딩 스트레스가 가장 적으나 외부 이물 등이 홈 패턴(HPAT) 방향과 동일하게 가해지는 경우, 그러한 충격에 약할 수 있다. 이러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도 16의 (C)와 같이 홈 패턴들(HPAT)은 일 직선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도트들을 각각 포함한 복수의 도트 라인들로 구현될 수 있다. 홈 패턴들(HPAT)을 도트 라인들로 구현하면, 이물 등에 의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조 편광 필름(HPOL)을 보호하기 용이하다. 이때, 특정 위치들로 벤딩 스트레스가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서로 이웃한 도트 라인들에서 상기 도트들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도트들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면, 벤딩 스트레스가 여러 위치들로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도 17은 보조 패널의 에지 벤딩 영역과 베젤 영역에서 보조 편광 필름이 제거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8은 보조 패널의 에지 벤딩 영역과 베젤 영역에서 보조 편광 필름을 제거하는 대신 보호막을 코팅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보조 패널(HD)은 액티브 영역(AA1)에만 대응되게 접합되는 보조 편광 필름(HPO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벤딩 스트레스를 완화하면서 에지 벤딩이 용이하도록, 보조 편광 필름(HPOL)이 에지 벤딩 영역(EBA) 및 베젤 영역(BZ)에서 제거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보조 패널(HD)은 에지 벤딩 영역(EBA) 및 베젤 영역(BZ)에 대응되게 코팅되는 보호막(CO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지 벤딩 영역(EBA) 및 베젤 영역(BZ)에서 보조 편광 필름(HPOL)이 제거되면 외부 충격 및 환경 조건에 취약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만회하기 위해 보호막(COT)이 더 필요할 수 있다. 보호막(COT)은 벤딩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어야 하고 아울러, 외부 충격 등을 완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보호막(COT)은 보조 편광 필름(HPOL)보다 더 얇고 탄성 계수가 낮은 재질, 예컨대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PNL1~PNL12, PNL(N) : 표시패널 HD : 보조 패널

Claims (17)

  1. 둘 이상의 표시패널들; 및
    상기 표시패널들 간의 경계 영역 상에 접합되어 상기 표시패널들과 함께 화상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패널을 포함한 타일드 디스플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널은 바 타입(Bar type)으로 구현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들 간의 경계 영역에서 상기 표시패널들의 최외곽 편광 필름이 제거된 타일드 디스플레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널은 자발광 소자를 포함한 폴더블 타입(Foldable type)으로 구현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널은,
    상기 화상이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 바깥의 베젤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 및 상기 베젤 영역 사이의 에지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널은,
    상기 베젤 영역이 상기 액티브 영역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에지 벤딩 영역에서 뒤로 접히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널은 보강 부재를 감싸면서 뒤로 접히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널은 상기 액티브 영역, 상기 에지 벤딩 영역, 및 상기 베젤 영역에 대응되게 접합되는 보조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지 벤딩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보조 편광 필름에는 복수의 홈 패턴들이 마련된 타일드 디스플레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편광 필름은 상기 표시패널들의 최외곽 편광 필름에 비해 두께가 더 얇은 타일드 디스플레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홈 패턴들의 단면 구조는 직각 형태 또는 물결 형태로 구현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홈 패턴들은 스트라이프 형태로 구현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홈 패턴들은 일 직선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도트들을 각각 포함한 복수의 도트 라인들로 구현되고,
    서로 이웃한 도트 라인들에서 상기 도트들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널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만 대응되게 접합되는 보조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편광 필름이 상기 에지 벤딩 영역 및 상기 베젤 영역에서 제거된 타일드 디스플레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널은 상기 에지 벤딩 영역 및 상기 베젤 영역에 대응되게 코팅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막은 상기 보조 편광 필름보다 더 얇은 타일드 디스플레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상기 보조 편광 필름보다 탄성계수가 더 낮은 타일드 디스플레이.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널을 구동하기 구동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회로부는 상기 표시패널들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패널들 간의 경계 영역 사이에 마련된 회로 결선 부재를 통해 상기 보조 패널에 연결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KR1020170181377A 2017-12-27 2017-12-27 타일드 디스플레이 KR102488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377A KR102488256B1 (ko) 2017-12-27 2017-12-27 타일드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377A KR102488256B1 (ko) 2017-12-27 2017-12-27 타일드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283A true KR20190079283A (ko) 2019-07-05
KR102488256B1 KR102488256B1 (ko) 2023-01-13

Family

ID=6722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377A KR102488256B1 (ko) 2017-12-27 2017-12-27 타일드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25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1407A1 (ko) * 2020-01-09 2021-07-15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538441B2 (en) 2020-12-28 2022-12-27 Samsung Display Co., Ltd. Tiled display and image correction method
US11706963B2 (en) 2019-12-31 2023-07-18 L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lar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576287B1 (ko) * 2022-04-27 2023-09-08 티씨엘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자 장치
US11903270B2 (en) 2020-03-05 2024-0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tile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2368A (ko) * 2007-02-02 2008-08-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링 액정표시장치
KR20080078263A (ko) * 2007-02-22 2008-08-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영상표시 시스템
KR20150111808A (ko) * 2014-03-26 201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일드 디스플레이 및 무베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2368A (ko) * 2007-02-02 2008-08-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링 액정표시장치
KR20080078263A (ko) * 2007-02-22 2008-08-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영상표시 시스템
KR20150111808A (ko) * 2014-03-26 201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일드 디스플레이 및 무베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6963B2 (en) 2019-12-31 2023-07-18 L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lar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21141407A1 (ko) * 2020-01-09 2021-07-15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881473B2 (en) 2020-01-09 2024-01-23 Seoul Semiconductor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903270B2 (en) 2020-03-05 2024-0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tile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538441B2 (en) 2020-12-28 2022-12-27 Samsung Display Co., Ltd. Tiled display and image correction method
KR102576287B1 (ko) * 2022-04-27 2023-09-08 티씨엘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256B1 (ko)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8256B1 (ko) 타일드 디스플레이
EP3462436A1 (en) Double sided display
US10769980B2 (en) Tiled display and optical compensation method thereof
KR20180047242A (ko) 벤더블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벤더블 표시장치
US11798489B2 (en) Gate driv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4116964A1 (en) Gate driv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566579B1 (ko) Oled 표시 장치
US20230178033A1 (en) Data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30008552A1 (en) Pixel circuit and display panel including same
KR20180024376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US11694631B2 (en) Gate driving circuit having a repair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62057B2 (en) Gate driv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11810518B2 (en)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panel including the same
US11735116B2 (en) Pixel circuit, method for driving the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or improving data charging
US11715428B2 (en)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670235B2 (en)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663971B2 (en)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87548B2 (en) Gate dri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30897B1 (ko) 표시패널 모듈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230009261A (ko) 픽셀 회로와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KR20230009262A (ko) 픽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KR20230034823A (ko) 픽셀 회로와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KR20230009251A (ko) 픽셀 회로와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KR20230009296A (ko) 픽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KR20230034821A (ko) 픽셀 회로와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