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654A -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 Google Patents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654A
KR20200041654A KR1020180122023A KR20180122023A KR20200041654A KR 20200041654 A KR20200041654 A KR 20200041654A KR 1020180122023 A KR1020180122023 A KR 1020180122023A KR 20180122023 A KR20180122023 A KR 20180122023A KR 20200041654 A KR20200041654 A KR 20200041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length
boom
hammer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686B1 (ko
Inventor
김도훈
윤병섭
Original Assignee
김도훈
윤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훈, 윤병섭 filed Critical 김도훈
Priority to KR1020180122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6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18Placing by vibr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절이 용이하면서도 굴절각도범위가 넓고, 붐대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진동저감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하는 붐대(10)와; 상기 붐대(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래킷(20)과; 상기 브래킷(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진동저감유닛(30)과; 상기 진동저감유닛(30)의 하부에 마련되어서 선회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유닛(40)과; 상기 회전유닛(40)의 하부에 마련되면서 굴절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진동발생유닛(50)과; 상기 진동발생유닛(5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Bending Type Vibro-Hammer Apparatus for Controlling Length and Preventing Impact}
본 발명은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굴절이 용이하면서도 확실한 동작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굴절 각도범위가 넓고,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저감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기계중, 예를 들어 파일의 항타작업 또는 파일을 취출하기 위한 인발작업시 바이브로 햄머장치가 이용된다.
이러한 바이브로 햄머장치에 의한 항타 및 인발작업은 척에 파일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진동기를 작동시켜서 척을 항타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파일의 진동은 파일과 지반간의 마찰력을 줄여줌으로써 원활한 항타 및 인발 작업이 가능하게 해준다.
이러한 바이브로 햄머장치는 크레인, 백호(back hoe), 쇼벨(shovel)과 같은 건설기계(또는 작업차량)의 붐대에 장착되어 사용되므로, 파일이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척에 설치된 드라이버를 붐대에 대해 회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햄머장치가 붐대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는 경우, 햄머장치로부터 발생된 진동의 분력이 발생되어 파일의 항타작업 또는 인발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붐대로부터 햄머장치에 작용하는 힘 또한 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척의 측면에 실린더를 마련하여 회동가능하게 하여 척의 굴절시키도록 한 건설장비가 있었으나, 이러한 건설장비는 실린더와 링크에 의해 굴절동작이 이루어지므로, 굴절각도가 제한적이고, 실린더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작업 도중에 충격 등에 의해 손상을 받아 고장을 일으킬 가능성이 많은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78276(공고일자 : 2012년 08월 29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지부의 굴절이 용이하면서도 굴절각도의 범위가 대폭 확대되고, 붐대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건설기계의 상부에 위치하는 붐대와; 상기 붐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하부에 설치되는 진동저감유닛과; 상기 진동저감유닛의 하부에 마련되어서 선회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유닛과; 상기 회전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면서 굴절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진동발생유닛과; 상기 진동발생유닛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저감유닛은, 상,하부에 구비되는 체결판의 사이에 중공형의 탄성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체의 내부에는 탄성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지지부재가 외부로 돌출되게 고정되고, 상기 탄성 지지체의 외부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진동 흡수 댐퍼가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 흡수 댐퍼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체결판에 고정되면서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사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로드와, 실린더의 개방된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탄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편과 로드는 나사결합되어 연동되도록 구성되고, 커버는 로드가 관통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진동 흡수댐퍼의 외주면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도록 하는 보호관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보호관은 진동 흡수댐퍼의 외주면에 고정되지 않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호관은 진동 발생시 진동 흡수댐퍼의 길이가 가변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진동 흡수댐퍼의 전체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은, 진동저감유닛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공간부안의 하부판에 고정되는 스윙모터와, 상기 스윙모터의 하부이면서 하부판의 하부에 연결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하부판의 하부에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서 회전되도록 하는 스윙기어와, 상기 스윙기어의 안쪽에 마련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어링은 외륜과 내륜으로 구성되고, 외륜은 스윙기어와 일체로 결합되어 고정되면서 그 하부에 구비되는 진동발생유닛의 제 1프레임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유닛은, 회동수단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 2프레임과, 상기 제 2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는 진동발생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발생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간격을 두고 굴절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동수단이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동수단은 제 2프레임의 안쪽면에 형성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형성되면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2프레임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리고 직선운동을 하면서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랙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프레임의 양쪽 외측면에 상기 회전기어를 감싸면서 맞물리는 고정기어가 형성되어서 제 2 프레임 및 진동발생부의 굴절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랙크는 회전기어의 상부 및 하부에 맞물리는 한쌍의 랙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의 하부에 진동발생유닛 대신에 굴삭기용 버켓을 결합할 수 있는 체결 브래킷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붐대와 붐대 사이에는 한쪽 붐대의 길이조정을 위한 길이조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길이 조정부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 구비되어서 붐대를 연결관의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붐대와 연결되어서 길이가 조정되도록 하는 길이조정 실린더와, 연결관의 외부 일측면에 고정되어서 붐대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록킹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관의 내주면에는 붐대가 길이 조정을 위해 연결관의 내부를 이동할때 원활하게 이동가능하게 하면서 연결관의 내부에서 요동없이 타이트하게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슬라이딩 패드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붐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록킹공이 형성되어서 록킹 실린더의 로드가 록킹되어서 붐대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관과 붐대는 각진 형태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바이브로 햄머장치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진동발생유닛으로부터 1차 저감시키고, 진동저감유닛을 통해 2차 저감시켜서 바이브로 햄머장치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어태치먼트가 결합되는 진동발생유닛이 회동수단에 의해 굴절동작이 확실하게 이루어져서 각종 공사 작업시 정확한 항타력을 제공하여 공사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유닛에 의해 선회동작이 가능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진동발생유닛을 분리하고 건설기계인 굴삭기의 버켓과 같은 다양한 어태치먼트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그 만큼 다양한 형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붐대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어, 작업상태에 따라 적절한 붐대 길이로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동흡수댐퍼를 구성하는 탄성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진동흡수댐퍼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회동수단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 1프레임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절식 건설기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진동발생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에 있어서, 진동발생유닛의 회동수단의 단동식 유압회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회동수단의 복동식 유압회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에서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B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의 결합 단면도로서, 건설기계의 상부에 위치하는 붐대(10)와, 상기 붐대(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래킷(20)과, 상기 브래킷(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진동저감유닛(30)과, 상기 진동저감유닛(30)의 하부에 마련되는 회전유닛(40)과, 상기 회전유닛(40)의 하부에 마련되는 진동발생유닛(50)과, 상기 진동발생유닛(50)의 하부에 설치되는 어태치먼트(attachmen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브래킷(20)은 양쪽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측면부(21)와, 상기 측면부(21)의 사이에 붐대(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22)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측면부(21)의 하단부는 진동저감유닛(30)에 결합되는 베이스판(23)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진동저감유닛(30)은 상,하부에 구비되는 체결판(31)의 사이에 중공형의 탄성 지지체(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체(32)의 내부에는 탄성부재(33)가 포함되고, 상기 탄성부재(33)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지지부재(34)가 외부로 돌출되게 고정된다.
상기 탄성 지지체(32)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무재와 같은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에 배치되는 체결판(31)에는 통기공(31a)이 형성되는데, 이 통기공(31a)은 중공형의 탄성 지지체(32)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중공부(32a)에 채워진 공기압을 제거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3)는 하나의 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고, 탄성부재(33)의 상,하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34)는 원통형의 핀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부재(33)의 상,하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4)는 각각 체결판(31)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체(32)는 체결판(31)의 사이에 지지됨과 동시에, 중앙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탄성 지지체(32)의 외부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진동 흡수 댐퍼(35)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진동 흡수 댐퍼(35)는 체결판(31)의 사이에 마련되는데,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체결판(31) 고정되면서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실린더(70)(70a)와, 상기 실린더(70)(70a)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편(71)(71a)과, 상기 이동편(71)(71a)사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로드(72)와, 실린더(70)(70a)의 개방된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73)(73a)와, 상기 로드(72)의 외주면에 탄지되는 탄성부재(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편(71)(71a)과 로드(72)는 나사결합되어 연동되도록 구성되고, 커버(73)(73a)는 로드(72)가 관통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73)(73a)는 각각 실린더(70)(70a)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4)는 커버(73)(73a)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탄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진동 흡수댐퍼(35)의 외주면에는 보호관(75)이 삽입되어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보호관(75)은 진동 흡수댐퍼(35)의 외주면에 고정되지 않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진동 흡수댐퍼(35)의 전체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진동 발생시 진동 흡수댐퍼(35)의 길이가 가변될때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체(32)의 중공부(32a)에는 상기 1대의 진동 흡수 댐퍼(35)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탄성 지지체(32)의 중공부(32a)안에 1대의 진동 흡수 댐퍼(35)를 구비하는 경우, 탄성 지지체(32)의 외부 둘레에 진동 흡수 댐퍼(35)를 구비할 수 있지만,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탄성 지지체(32)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공부(32a)안에만 진동 흡수 댐퍼(35)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이런 경우에는 탄성 지지체(32)의 사이즈를 탄성 지지체(32)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되는 체결판(31) 사이에서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 흡수는 물론 진동에 따른 밸런스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40)은 상기 진동저감유닛(30)의 하부에 배치되는데, 진동저감유닛(30)을 구성하는 체결판(3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케이스(41)가 마련된다.
상기 케이스(41)는 도면상 전,후면에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41a)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회전유닛(40)은 공간부(41a)안의 하부판(41b)에 스윙모터(42)를 고정하고, 상기 스윙모터(42)의 하부이면서 하부판(41b)의 하부에는 구동기어(43)가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판(41b)의 중앙에는 전선 등이 통과되도록 하는 관통공(41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판(41b)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기어(43)와 맞물려서 회전되도록 하는 링기어인 스윙기어(44)가 설치되고, 상기 스윙기어(44)는 그 안쪽에 베어링(45)이 갖추어진다.
상기 베어링(45)은 외륜(45a)과 내륜(45b)으로 구성되고, 외륜(45a)은 스윙기어(44)와 일체로 결합되어 고정되면서 그 하부에 구비되는 진동발생유닛(50)의 제 1프레임(51)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제 1프레임(51)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82)를 통해 상기 베어링(45)의 외륜(45a)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륜(45b)은 케이스(41)의 하부판(41b)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80)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유닛(50)은 제 1프레임(51)과, 상기 제 1프레임(5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 2프레임(52)과, 상기 제 2프레임(52)의 내부에 구비되는 진동발생부(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프레임(51)은 대략 역 U자형으로 형성되어서, 좌우 측면 및 상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면 중앙 위치에는 전선 등이 통과될 수 있는 관통공(5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53)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회동수단(54)이 설치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수단(54)은 제 2프레임(52)의 안쪽면에 형성되는 챔버(54a)와, 상기 챔버(54a)의 내부에 형성되면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2프레임(51)(52)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회전기어(54b)와, 상기 회전기어(54b)의 상부 및 하부에 직교방향으로 형성되어 직선운동을 하면서 회전기어(54b)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한쌍의 랙크(54c)(54c-1)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쌍의 랙크(54c)(54c-1)는 유압에 의해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유압실(54a-1)(54a-2)이 형성되고, 도면상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랙크(54c)(54c-1)의 양측에는 압유가 공급 및 배출되도록 하는 출입공(h1)(h2)(h3)(h4)이 각각 형성되어서 압유의 공급에 따라 랙크(54c)가 도면상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랙크(54c)의 사이에 구비된 회전기어(54b)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프레임(51)의 양쪽 외측면에는 상기 회전기어(54b)를 감싸면서 맞물리는 고정기어(54d)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회전기어(54b)는 지지축(54b-1)의 양측에 형성되어 각각 랙크(54c)(54c-1)와 고정기어(54d)와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53)의 상부 및 좌,우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진구(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진구(55)는 예를 들어 고무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랙크(54c)는 챔버(54a)안으로 유압이 공급되어서 도면상 좌,우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맞물린 회전기어(54b)가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53)의 하부에는 여러가지 어태치먼트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파지부(60)가 결합되어 공사 현장에서 파일(pile)을 항타 및 인발작업시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파지부(60)는 회동가능한 훅크형태로 이루어져서 파일(P), 다짐기 등을 걸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절식 건설기계의 사용상태도로서, 건설기계(1)의 붐대에 설치하여 파일(P)을 파지하여 항타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회전유닛(40)의 하부에 진동발생유닛(50)을 분리하고, 체결 브래킷(100)을 구비하며, 체결 브래킷(100)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훅크부(102)가 갖추어지고, 이러한 훅크부(102)에 어태치먼트, 예를 들어 굴삭기의 붐대와 결합되는 버켓의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핀(110)을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랙크는 회전기어(54b)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맞물리는 한쌍의 랙크를 설치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랙크만으로 작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사용 예로서, 상기 체결 브래킷(100)과 다른 구조의 체결 브래킷(1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브래킷(120)은 하부에 복수(2개)의 훅크부(122)가 형성되는데, 상기 훅크부(122)는 한쪽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훅크부(122)는 한쪽은 회동가능한 회동 훅크부(122a)로 이루어지고, 다른쪽은 일체형으로 고정된 고정 훅크부(12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브래킷(120)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붐대(10)가 결합되는 상부에 다른 구조의 브래킷(130)이 갖추어질 수 있다. 즉, 붐대(20)가 결합되는 ㅎ회전핀(132)의 방향이 브래킷(20)의 회전핀(22)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유닛(40)의 하부에 결합되는 진동발생유닛(50)의 구조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9에 도시된 진동발생유닛은 새로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즉, 다른 구조의 진동발생유닛(90)은 최 외곽에 배치되는 제 1프레임(51)의 안쪽에 제 2프레임(91)이 갖추어지고, 제 2프레임(91)의 내부에는 진동발생부(92)가 갖추어진다.
상기 제 2프레임(91)은 진동발생부(92)의 전,후면 및 좌,우 측면에 형성되어서 진동발생부(92)를 구속하고, 상부는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진동발생부(9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92a)와, 도면상 상기 본체부(92a)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측면부(92b)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92a)의 내부에는 진동발생을 위한 회전부가 갖추어지고, 측면부(92b)는 본체부(92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본체부(92a)는 측면부(92b)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서 진동발생부(92)의 상부(도 9 기준)에는 공간부가 마련된다. 도 10에 있어서, 본체부(92a) 위치에는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측면부(92b)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발생부(92)의 양측에는 각각 회동수단(93)이 고정되는데, 상기 회동수단(93)은 도 1에 도시된 회동수단(54)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92)와 제 2프레임(91)의 사이인 전,후면에는 복수의 방진구(94)가 결합된다.
상기 회동수단(93)은 도면상 좌,우측으로 회전기어(93a)가 돌출되어서 제 1프레임(51)의 양 측면에 고정된 고정기어(54d)에 맞물려서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에 있어서, 진동발생유닛의 회동수단의 단동식 유압회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 저장탱크(200)로부터 작동유를 이송시키는 유압펌프(210)와, 유압펌프(210)로부터 이송되는 작동유가 회동수단(54)안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라인(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220)은 회동수단(54)의 2개의 출입공(h1)(h4)을 통해 작동유가 공급되도록 분기 공급라인(221)(222)이 마련된다.
또한, 공급라인(220)상에는 체크밸브(C)가 갖추어지고, 체크밸브(C) 이후의 공급라인(220)상에는 작동유가 다시 작동유 저장탱크(200)안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회수라인(224)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2는 도 11의 회동수단의 복동식 유압회로도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 저장탱크(200)로부터 작동유를 이송시키는 유압펌프(210)와, 상기 유압펌프(210)로부터 공급라인(220)을 통해 이송되는 작동유의 이동경로를 변경해주는 솔밸브(230)와, 솔밸브(230)를 거친 작동유가 2개의 경로로 공급되도록 하는 이송라인(P1)(P2)과, 상기 각 이송라인(P1)(P2)으로부터 회동수단(54)으로 작동유가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제 1,2공급라인(A)(B)과, 상기 각 제 1,2공급라인(A)(B)으로부터 분기되어서 회동수단(54)의 챔버(54a)에 형성된 출입공(h1)(h2)(h3)(h4)로 작동유가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분기 공급라인(A1)(A2) 및 분기 공급라인(B1)(B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라인(P1)(P2)상에는 각각 체크밸브(C1)(C2)와 방향제어밸브(D1)(D2)가 갖추어지고, 작동유를 다시 작동유 저장탱크(200)로 회수시키도록 하는 회수라인(224)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방향제어밸브(D1)(D2)와 이송라인(P1)(P2) 사이에는 체크밸브(C1)(C2)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라인(BP1)(BP2)이 각각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2에 있어서, 유압펌프(210)의 우측에 마련된 것은 유압펌프(210)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바이브로 햄머장치가 마련된 건설기계의 엔진(E)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대(10)와 붐대(12) 사이에는 길이조정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정부(15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관(151)과, 상기 연결관(151)의 내부에 구비되는 길이조정 실린더(152)와, 연결관(151)의 외부 일측면에 고정되는 록킹 실린더(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관(151)의 내주면에는 붐대(10)가 길이 조정을 위해 연결관(151)의 내부를 이동할때 원활하게 이동가능하게 하면서 연결관(151)의 내부에서 요동없이 타이트하게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전체에 걸쳐서 슬라이딩 패드(154)가 갖추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패드(154)는 예를 들어 테프론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151)의 일측 단부에는 덮개판(155)이 분해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붐대(1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록킹공(10a)(10b)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 실린더(153)는 연결관(151)의 외주면에 지지대(15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연결관(151)의 일측면에도 상기 록킹공(10a)(10b)과 연통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슬라이딩 패드(154)의 해당위치에도 관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정 실린더(152)는 로드(152a)가 붐대(10)의 단부와 연결되어 연동되는데, 연결핀(11)으로 분해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151)은 원형이 아닌 각진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6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연결관(151)의 내부에 삽입되는 붐대(10)도 각진 형상으로 형성하여 연결관(151)의 내부에서 요동 또는 헛돌려는 현상 없이 삽입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5는 연결관(151)의 끝단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 13의 B부 확대도로서, 길이조정 실린더(152)의 단부와 덮개판(155)이 체결부재(보울트 등)(157)를 통해 분해가능하게 결합되고, 연결관(151)도 덮개판(155)과 체결부재(158)(보울트 및 너트)를 통해 분해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덮개판(155)은 붐대(12)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부재(14)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파일(P)을 파지하여 항타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파지부(60)를 통해 파일(P)을 파지한 다음, 진동발생부(53)로부터 진동이 발생하여 파일(P)을 지면에 박는 항타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항타 작업시, 발생되는 진동은 진동발생부(53)로부터 상부로 전달되는데, 이때, 진동발생부(53)의 상부 및 좌,우 측면에는 방진구(55)가 마련되어 있어 전달되어오는 진동을 흡수하게 되어서 1차 진동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부측에는 진동저감유닛(30)이 설치되어 있어, 전달되어오는 진동을 현저하게 저감시켜서 붐대(10)에는 거의 진동에 의한 영향이 대폭 감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탄성 지지체(32)는 고무재로 구성되어 하부에서 전달되어 오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또한, 탄성 지지체(32)의 내부에는 탄성부재(33)가 갖추어져 있어, 더욱 확실하게 진동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탄성 지지체(32)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33)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각각 지지부재(34)가 결합되면서 외부로 각각 돌출되게 고정되어 있어, 탄성 지지체(32)를 확실하게 지지해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에 위치한 체결판(31)이 수직방향으로 진동에 의해 승강되는 힘이 작용하면, 탄성 지지체(32)의 신축에 의한 진동 저감과 더불어, 탄성 지지체(32)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33)의 신축에 의해 2차 진동 저감이 발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탄성 지지체(32)의 외부 주변에는 복수의 진동 흡수 댐퍼(35)가 갖추어져 있어, 3차로 진동 저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진동 흡수 댐퍼(35)는 상,하부에 실린더(70)(70a)가 마련되고, 그 사이에 로드(72) 및 탄성부재(74)가 탄지되어 있어, 진동에 의한 체결판(31)의 승강 동작시 하부의 실린더(70a)가 상승하면서 탄성부재(74)를 압축하게 되고, 이때 로드(72)는 상단부 및 하단부에 이동편(71)(71a)이 나사결합되어 있어, 이동편(71)(71a)은 각각 실린더(70)(70a)의 내부에서 이동하게 되면서 진동에 의한 이동거리를 수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태치먼트인 파지부(60)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전달되어 오는 경우에, 탄성 지지체(32), 탄성부재(33), 진동 흡수 댐퍼(35)에 의해 진동을 동시에 저감시킬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진동저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한쌍의 체결판(31)의 사이에 탄성부재(코일 스프링 등)만이 탄지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가 진동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의 떨림이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2개의 체결판(31) 사이를 확실하게 지지해주지 못하여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균형을 잃어 바이브로 햄머장치의 작동시 어태치먼트의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저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진동 흡수 댐퍼(35)에 의해 체결판(31)의 사이에서 지지해줌으로써, 밸런스를 유지하여 체결판(31)의 수평상태가 변화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생되어 전달되어오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탄성 지지체(32)가 체결판(31)의 사이에서 상당한 면적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소음 발생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파지부(60)가 결합된 진동발생유닛(50)의 선회 동작이 가능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발생유닛(50)의 상부에 위치하는 케이스(41)의 내부 공간부(41a)에 고정된 스윙모터(42)를 가동시키면, 그 하부에 마련된 구동기어(43)가 회전하게 되고, 그러면 구동기어(43)와 맞물린 스윙기어(44)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 스윙기어(44)는 베어링(45)의 외륜(45a)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베어링(45)의 외륜(45a)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외륜(45a)은 그 하부에 구비되는 진동발생유닛(50)을 이루는 제 1프레임(51)의 상부면과 체결부재(82)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제 1프레임(51)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외륜(45a)의 안쪽에 구비된 내륜(45b)은 케이스(41)의 하부판(41b)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80)로 체결되어 있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 1프레임(51)이 회전함에 따라 그 안쪽에 구비된 제 2프레임(52) 및 진동발생부(53)도 동시에 회전하여 선회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발생유닛(50)의 굴절 동작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제 1,2프레임(51)(52)의 양쪽 측면에 걸쳐서 회동수단(54)이 구비되어서 진동발생유닛(50)의 굴절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챔버(54a)안에 마련된 랙크(54c)를 유압에 의해 동작시켜서 직선 운동이 이루어지면, 회전기어(54b)가 회전하게 되고, 그러면 회전기어(54b)에서 연장된 부분 즉, 제 1프레임(51)의 양쪽 외측면에서 고정기어(54d)와 맞물려 있는데,, 고정기어(54d)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회전기어(54b)가 회전하면서 제 2프레임(52) 및 그 안쪽의 진동발생부(53)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굴절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기어(54b)는 제 2프레임(52)의 측면을 통과되는 부분은 일체로 연동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제 1프레임(51)의 측면을 통과하는 부분은 간격을 두어서 제 1프레임(51)과 관계없이 회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제 1프레임(51)은 고정된 상태에서 제 2프레임(52)이 회전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챔버(54a)의 출입공(h1)을 통해 압유를 공급하면, 유압실(54a-1)안에 있는 랙크(54c)는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때 챔버(54a)의 하부에 형성된 출입공(h4)을 통해 압유가 공급되어서 유압실(54a-2)내의 랙크(54c-1)는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회전기어(54b)가 회전하게 되고, 그러면, 제 1프레임(51)의 외측면에 형성된 고정기어(54d)와의 맞물림 상태에서 회전기어(54b)가 회전하여 제 2프레임(52) 및 진동발생부(53)가 제 1프레임(51)이 고정된 상태에서 굴절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전수단(54)에 의해 진동발생유닛(50)이 원하는 정도의 굴절각도를 구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파일(P)의 시공동작시 수직방향이 아니더라도 항타력이 분산되지 않고 제공되어 파일의 항타작업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사용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유닛(40)의 하부에 결합되는 진동발생유닛(50)을 분리하고, 굴삭기용 버켓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 브래킷(100)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그 만큼 공사 작업에 따라 적합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사용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방향으로 개구부를 가지는 훅크부(122)가 마련된 체결 브래킷(120)을 구비하여 굴삭기의 버켓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예시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진동발생유닛의 평면도로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유닛(40)의 하부에 다른 진동발생유닛(90)을 가지며, 큰 사이즈를 가지고, 보다 큰 힘이 요구되는 작업시 사용되도록 두께 및 중량을 가진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에 있어서, 진동발생유닛을 이루는 회동수단의 단동식 유압 회로도로서, 유압펌프(210)의 가동으로 작동유를 작동유 저장탱크(200)로부터 공급라인(220)을 통해 이송시키면, 체크밸브(C)를 통과하여 분기 공급라인(221)(222)을 통해 회동수단(54)을 이루는 챔버(54a)안으로 공급된다.
상기 챔버(54a)에 형성된 출입공(h1)(h2)을 통해 작동유가 공급되면, 챔버(54a)안에 마련된 랙크(54c)(54c-1)가 수평이동하게 되고, 그러면 랙크(54c)(54c-1)사이에 구비된 회전기어(54c)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기어(54c)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기어(54d)와 맞물려 있어, 진동발생유닛(50)(90)의 진동발생부(50) 및 진동발생부(92)가 제 1프레임(51)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90도 각도로 굴절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랙크(54c)는 출입공(h1)을 통해 유입된 작동유에 의해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그러면, 랙크(54c)의 오른쪽 공간부에는 공기만 존재하고 있어, 랙크(54c)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랙크(54c)의 오른쪽 공간부의 공기는 랙크(54c)의 수평 이동시 통기공(미도시)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랙크(54c)의 하부에 배치된 랙크(54c-1)는 출입공(h4)을 통해 작동유가 공급되어서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랙크(54c-1)의 왼쪽 공간부의 공기는 통기공(미도시)을 통해 배출되며, 그에 따라 한쌍의 랙크(54c)(54c-1)의 우측 및 좌측 이동에 따라 그 사이에 마련된 회전기어(54b)가 회전되어서 굴절동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굴절된 진동발생부(92)를 다시 원위치 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압펌프(210)의 동작을 정지시키며, 그러면 굴절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진동발생부(53)의 챔버(54a)안에 있는 작동유가 출입공(h1)을 통해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배출되어서 분기 공급라인(221)을 통해 회수라인(224)을 통해 작동유 저장탱크(200)로 회수되고, 이때 랙크(54c)는 자연적으로 하강하게 되며, 그에 따라 회전기어(54b)가 역회전되면서 맞은편의 랙크(54c-1)는 상승 이동하게 되면서, 출입공(h4)을 통해 작동유가 배출되어서 분기 공급라인(222)을 거쳐서 회수라인(224)을 통해 작동유 저장탱크(200)로 회수되며, 이때 체크밸브(C)쪽으로 이동하여 공급라인(220)으로 이동하려는 작동유는 체크밸브(C)에 의해 차단되어서 오로지 회수라인(224)쪽으로만 이동하여 작동유 저장탱크(200)로 회수된다.
그에 따라, 굴절되었던 진동발생부(53)은 원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2는 도 11의 회동수단의 복동식 유압회로도로서, 회동수단(54)의 챔버(54a)안으로 작동유가 2군데로 공급 및 배출되어서 진동발생부(53)의 보다 확실한 굴절동작 및 복귀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유압펌프(210)의 가동으로 작동유 저장탱크(200)안의 작동유가 공급라인(220)을 통해 이송되어서 솔밸브(230)을 거쳐서 이송라인(P1)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맞은편 이송라인(P2)는 솔밸브(230)에 의해 차단된 상태이다.
상기 이송라인(P1)을 통해 이송되는 작동유는 체크밸브(C1)를 통과하여 제 1공급라인(A)을 거쳐서 분기 공급라인(A1)(A2)를 통해 출입공(h1)(h4)을 통해 공급되어서 랙크(54c)(54c-1)를 수평 이동시키며, 그에 따라 회전기어(54b)는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진동발생부(53)의 굴절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체크밸브(C1)를 통과한 작동유는 제 1공급라인(A)쪽으로 이송되는데, 방향제어밸브(D1)는 차단된 상태로 있게된다.
한편, 굴절되었던 진동발생부(53)를 다시 원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 솔밸브(230)의 동작으로 이송라인(P1)은 차단되고, 맞은편 이송라인(P2)이 연결되면서 작동유는 이송라인(P2)을 따라 이송되어서 체크밸브(C2)를 거쳐서 제 2공급라인(B)을 통해 분리 공급라인(B1)(B2)을 지나 출입공(h2)(h3)을 통해 공급되어서 랙크(54c)(54c-1)를 밀어 원위치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회전기어(54b)는 역회전하여 진동발생부(53)를 원래의 위치로 복구시킨다.
회동수단(54)의 동작으로 진동발생부(53)가 굴절되는 경우에는 제 1공급라인(A) 및 분기 공급라인(A1)(A2)을 통해 작동유가 챔버(54a)안으로 공급되는데, 이때 맞은편 분기 공급라인(B1)(B2)를 통해 랙크(54c)(54c-1)의 이동에 따른 작동유가 배출되어서 제 2공급라인(B)을 거쳐서 방향제어밸브(D2)와 체크밸브(C2)의 사이로 이동하게 되는데, 체크밸브(C2)쪽으로는 차단되고, 방향제어밸브(D2)를 도면상 수직방향으로 통과하여 연결된 회수라인(224)쪽으로 이동하여 작동유 저장탱크(200)로 회수된다.
굴절된 진동발생부(53)를 다시 원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 2공급라인(B) 및 분기공급라인(B1)(b2)을 통해 작동유가 회동수단(54)의 챔버(54a)안으로 공급되고, 이때 분기 공급라인(A1)(A2) 및 제 1공급라인(A)을 통해 챔버(54a)안에서 배출된 작동유가 역 이동하여 방향제어밸브(D1)를 거쳐서 회수라인(224)을 통해 작동유 저장탱크(200)로 회수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고 설명한 유압 회로도에서 회동수단(54)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진동발생유닛(90)의 진동발생부(93)에 마련되는 회동수단(93)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대(10)의 길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연결관(151)의 내부에 갖추어진 길이조정 실린더(152)를 작동시켜서 로드(152a)를 수축시키면, 로드(152a)와 연결된 붐대(10)가 잡아당겨져서 연결관(151)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되는데, 이때 연결관(151)의 외주면에 마련된 록킹 실린더(153)의 로드(153a)는 수축되어서 붐대(10)의 록킹공(10a)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이다.
이렇게 하여 붐대(10)가 연결관(151)의 내부에 삽입되면 전체적인 길이가 줄어들게 되어 길이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연결관(151)의 내주면에는 슬라이딩 패드(154)가 구비되어 있어, 붐대(10)의 삽입 이동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붐대(10)와 연결관(151) 내부간의 갭을 제거해서 타이트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준다.
또한, 필요에 따라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체결부재(158)를 풀어서 덮개판(155)을 연결관(151)의 단부로부터 분리하고, 그러면 길이조정 실린더(152)와 붐대(10)가 연결관(151)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도면(도 13 참조)상 우측으로 이동하여 붐대(10)와 길이조정 실린더(152)의 로드(152a)를 연결해주는 연결핀(11)을 풀어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미리 붐대(10)는 진동저감유닛(30)과 분리한 상태로 하면 된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한다.
1 : 건설기계
10,12 : 붐대
10a,10b : 록킹공
11 : 연결핀
14 : 연결부재
20 : 브래킷
21 : 측면부
22 : 회전핀
23 : 베이스판
24 : 체결부재
30 : 진동저감유닛
31 : 체결판
32 : 탄성지지체
32a : 중공부
33 : 탄성부재
34 : 지지부재
35 : 진동흡수댐퍼
40 : 회전유닛
41 : 케이스
41a : 공간부
41b : 하부판
41c : 관통공
42 : 스윙모터
43 : 구동기어
44 : 스윙기어
45 : 베어링
45a : 외륜
45b : 내륜
50 : 진동발생유닛
51 : 제 1프레임
51a : 관통공
52 : 제 2프레임
53 : 진동발생부
54 : 회동수단
54a : 챔버
54a-1,54a-2 : 유압실
54b : 회전기어
54b-1 : 지지축
54c : 랙크
54d : 고정기어
55 : 방진구
60 : 파지부
70,70a : 실린더
71,71a : 이동편
72 : 로드
73,73a : 커버
74 : 탄성부재
75 : 보호관
80,82 : 채결부재
90 : 진동발생유닛
91 : 제 2프레임
92 : 진동발생부
92a : 본체부
92b : 측면부
93 : 회동수단
93a : 회전기어
94 : 방진구
100 : 체결 브래킷
102 : 훅크부
110 : 결합핀
120 : 체결 브래킷
122 : 훅크부
122a ; 회동 훅크부
122b : 고정 훅크부
130 : 브래킷
132 : 회전핀
150 : 길이조정부
151 : 연결관
152 : 길이조정 실린더
152a : 로드
153 : 록킹 실린더
153a : 로드
154 : 슬라이딩 패드
155 : 덮개판
156 : 지지대
157,158 : 체결부재
200 : 작동유 저장탱크
210 : 유압펌프
220 : 공급라인
221,222 : 분기공급라인
224 : 회수라인
230 : 솔밸브
A : 제 1공급라인
B : 제 2공급라인
BP1,BP2 : 바이패스 라인
A1,A2,B1,B2 : 분기 공급라인
C,C1,C2 : 체크밸브
D1,D2 : 방향제어밸브
E : 엔진
h1,h2,h3,h4 : 출입공
P : 파일
P1,P2 : 이송라인

Claims (17)

  1. 건설기계의 상부에 위치하는 붐대(10)와;
    상기 붐대(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래킷(20)과;
    상기 브래킷(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진동저감유닛(30)과;
    상기 진동저감유닛(30)의 하부에 마련되어서 선회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유닛(40)과;
    상기 회전유닛(40)의 하부에 마련되면서 굴절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진동발생유닛(50)과;
    상기 진동발생유닛(5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태치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저감유닛(30)은,
    상,하부에 구비되는 체결판(31)의 사이에 중공형의 탄성 지지체(32)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체(32)의 내부에는 탄성부재(33)가 포함되며, 상기 탄성부재(33)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지지부재(34)가 외부로 돌출되게 고정되고, 상기 탄성 지지체(32)의 외부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진동 흡수 댐퍼(35)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동 흡수 댐퍼(35)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체결판(31)에 고정되면서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실린더(70)(70a)와, 상기 실린더(70)(70a)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편(71)(71a)과, 상기 이동편(71)(71a)사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로드(72)와, 실린더(70)(70a)의 개방된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73)(73a)와, 상기 로드(72)의 외주면에 탄지되는 탄성부재(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편(71)(71a)과 로드(72)는 나사결합되어 연동되도록 구성되고, 커버(73)(73a)는 로드(72)가 관통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진동 흡수댐퍼(35)의 외주면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도록 하는 보호관(75)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75)은 진동 흡수댐퍼(35)의 외주면에 고정되지 않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75)은 진동 발생시 진동 흡수댐퍼(35)의 길이가 가변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진동 흡수댐퍼(35)의 전체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40)은,
    진동저감유닛(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41)의 공간부(41a)안의 하부판(41b)에 고정되는 스윙모터(42)와,
    상기 스윙모터(42)의 하부이면서 하부판(41b)의 하부에 연결되는 구동기어(43)와,
    상기 하부판(41b)의 하부에 상기 구동기어(43)와 맞물려서 회전되도록 하는 스윙기어(44)와,
    상기 스윙기어(44)의 안쪽에 마련되는 베어링(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45)은 외륜(45a)과 내륜(45b)으로 구성되고, 외륜(45a)은 스윙기어(44)와 일체로 결합되어 고정되면서 그 하부에 구비되는 진동발생유닛(50)의 제 1프레임(51)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유닛(50)은,
    회동수단(4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프레임(51)과, 상기 제 1프레임(5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 2프레임(52)과, 상기 제 2프레임(52)의 내부에 구비되는 진동발생부(53)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발생부(53)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간격을 두고 굴절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동수단(5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54)은 제 2프레임(52)의 안쪽면에 형성되는 챔버(54a)와, 상기 챔버(54a)의 내부에 형성되면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2프레임(51)(52)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회전기어(54b)와, 상기 회전기어(54b)와 맞물리고 직선운동을 하면서 회전기어(54b)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랙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프레임(51)의 양쪽 외측면에 상기 회전기어(54b)를 감싸면서 맞물리는 고정기어(54d)가 형성되어서 제 2 프레임(52) 및 진동발생부(53)의 굴절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랙크는 회전기어(54b)의 상부 및 하부에 맞물리는 한쌍의 랙크(54c)(54c-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40)의 하부에 진동발생유닛(50) 대신에 굴삭기용 버켓을 결합할 수 있는 체결 브래킷(10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붐대(10)와 붐대(12) 사이에는 붐대(10)의 길이조정을 위한 길이조정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길이 조정부(15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관(151)과, 상기 연결관(151)의 내부에 구비되어서 붐대(10)를 연결관(151)의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붐대(10)와 연결되어서 길이가 조정되도록 하는 길이조정 실린더(152)와, 연결관(151)의 외부 일측면에 고정되어서 붐대(10)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록킹 실린더(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51)의 내주면에는 붐대(10)가 길이 조정을 위해 연결관(151)의 내부를 이동할때 원활하게 이동가능하게 하면서 연결관(151)의 내부에서 요동없이 타이트하게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슬라이딩 패드(15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붐대(1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록킹공(10a)(10b)이 형성되어서 록킹 실린더(153)의 로드(153a)가 록킹되어 붐대(100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51)과 붐대(10)는 각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KR1020180122023A 2018-10-12 2018-10-12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KR102149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023A KR102149686B1 (ko) 2018-10-12 2018-10-12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023A KR102149686B1 (ko) 2018-10-12 2018-10-12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654A true KR20200041654A (ko) 2020-04-22
KR102149686B1 KR102149686B1 (ko) 2020-09-01

Family

ID=70473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023A KR102149686B1 (ko) 2018-10-12 2018-10-12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6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5865A1 (ko) * 2020-04-24 2021-10-28 Kwon Dae Ryuk 진동 항타에 의한 파손을 감소시킨 진동식 항타기
KR102555294B1 (ko) * 2023-01-02 2023-07-13 김충구 파일 인발용 바이브레이터 해머
KR20240004168A (ko) 2023-12-22 2024-01-11 (주) 대동이엔지 4축 진동발생유닛과 이를 이용한 파일드라이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430B1 (ko) * 2008-02-14 2008-08-11 박정열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KR20090067515A (ko) * 2007-12-21 2009-06-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수평강성이 작은 면진장치
KR101046249B1 (ko) * 2011-04-15 2011-07-04 강토아이디테크 (주) 내진용 댐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시스템
KR101178276B1 (ko) 2011-10-17 2012-08-29 박정열 진폭 가변형 바이브로 햄머와 이를 이용한 파일시공 시스템 및 미진동 정밀제어 파일 시공방법
KR20140095042A (ko) * 2014-07-08 2014-07-31 (주) 대동이엔지 고하중 진동완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515A (ko) * 2007-12-21 2009-06-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수평강성이 작은 면진장치
KR100851430B1 (ko) * 2008-02-14 2008-08-11 박정열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KR101046249B1 (ko) * 2011-04-15 2011-07-04 강토아이디테크 (주) 내진용 댐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시스템
KR101178276B1 (ko) 2011-10-17 2012-08-29 박정열 진폭 가변형 바이브로 햄머와 이를 이용한 파일시공 시스템 및 미진동 정밀제어 파일 시공방법
KR20140095042A (ko) * 2014-07-08 2014-07-31 (주) 대동이엔지 고하중 진동완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5865A1 (ko) * 2020-04-24 2021-10-28 Kwon Dae Ryuk 진동 항타에 의한 파손을 감소시킨 진동식 항타기
KR102555294B1 (ko) * 2023-01-02 2023-07-13 김충구 파일 인발용 바이브레이터 해머
KR20240004168A (ko) 2023-12-22 2024-01-11 (주) 대동이엔지 4축 진동발생유닛과 이를 이용한 파일드라이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686B1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1654A (ko)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JP6170243B2 (ja) 高荷重振動ダンパー
CN102667011B (zh) 建筑机械的发动机罩
KR101340247B1 (ko) 캔틸레버드 아암들을 구비한 카운터웨이트 장치를 가진 매니퓰레이터
KR101379831B1 (ko) 진동리퍼용 완충장치
CN109906294A (zh) 塔架振动阻尼器
US8919725B2 (en) Exterior mounting apparatus for interior component
WO2019049879A1 (ja) サスペンション機構及びシート構造
KR101562185B1 (ko) 고하중 진동완충기
JP5559879B2 (ja) 掘削機のための油圧ハンマーリッパー
JP2010235020A (ja) 作業機械
KR102017851B1 (ko) 진동 저감이 가능한 퀵 클램프장치
JP2021008741A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及び作業機
US11142882B2 (en) Small hydraulic excavator
JP2017002625A (ja) 建設機械
JP5753123B2 (ja) 建設機械
JP6905749B2 (ja) 農作業機
JP6557019B2 (ja) 建設機械
WO2017072845A1 (ja) フロントローダ
JP2017214033A (ja) 作業機械
CN217974558U (zh) 抗倾翻装置及工程机械
SE463216B (sv) Jordpacknings- och avjaemningsvibrator
JP6816444B2 (ja) 建設機械の制振装置
JP2012057321A (ja) 走行車両の建屋の支持フレーム
JP6382410B1 (ja) ふとん篭用防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