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292A - 록킹 클립 - Google Patents

록킹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292A
KR20200040292A KR1020207008028A KR20207008028A KR20200040292A KR 20200040292 A KR20200040292 A KR 20200040292A KR 1020207008028 A KR1020207008028 A KR 1020207008028A KR 20207008028 A KR20207008028 A KR 20207008028A KR 20200040292 A KR20200040292 A KR 20200040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locking device
locking
connector housing
p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2053B1 (ko
Inventor
니콜레 슈필커
하이코 헤어브레히츠마이어
세바스티안 그리펜슈트로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filed Critical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ublication of KR2020004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 7)을 위한 록킹 장치(1)에 관한 것이며, 상기 록킹 장치는 후벽부(2)와, 이 후벽부에 일체로 형성된 측벽 부재들(3, 3')로 구성되며, 록킹 클립(1)은 U자형 횡단면을 보유하며, 측면 부재들(3, 3')은 각각 하나의 베어링 수용부(4, 4')를 포함하고, 이 베어링 수용부를 통해서는 록킹 장치(1)가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록킹 장치(1)는 각각의 베어링 수용부(4, 4')의 영역에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 쪽으로 지향되는 압인 리세스(11)를 포함한다. 그렇게 하여, 록킹 장치는 플러그인 커넥터 몸체 상에서 전체 표면에 걸쳐 지지되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더욱 저마모식의 잠금 고정 과정이 보장되게 된다.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과,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과, 청구범위의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면서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 상에 베어링 핀들(8)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록킹 장치(1)로 구성되는 시스템에도 관한 것이며, 록킹 장치(1)는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 상에서 록킹 핀들(9) 상에 잠금 고정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과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은 상호 간에 잠금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록킹 장치(1)는 베어링 핀들(8)의 영역 및 록킹 핀들(9)의 영역에서만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6, 7)과 맞닿아 접촉한다.

Description

록킹 클립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록킹 클립(locking clip)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과,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록킹 장치로 구성되는 시스템에도 관한 것이다.
상기 유형의 록킹 장치들은 상호 간에 끼워진 2개의 플러그인 커넥터 내지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의 가역적인 잠금 고정을 위해 사용된다.
DE 29 15 574 A1호는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과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가역적으로 잠금 고정하기 위한 록킹 클립을 개시하고 있다. 록킹 클립은 스프링 탄성 와이어로 제조된다.
DE 10 2004 061 046 B4호는 금속 박판 피스에서 천공되어 2개의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 간의 탄력 있는 잠금 고정을 야기하는 록킹 클립을 개시하고 있다.
전술한 두 록킹 클립들은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록킹 클립들은,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의 록킹 핀(locking pin) 위쪽을 파지하는 록킹 수용부를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과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은 탄력적으로 상호 간에 압착되게 된다. 그런 다음, 두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은 상호 간에 잠금 고정된다. 잠금 고정 과정 동안,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과 록킹 핀들은 강하게 마모되는데, 그 이유는 록킹 장치들이 회동 과정 동안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에 대해, 그리고 특히 그의 베어링 핀(bearing pin)들에 대해 마찰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특정 횟수의 잠금 고정 주기들에서, 잠금 고정의 신뢰성은 감소한다.
독일 특허 및 상표청은 본 출원에 대한 우선권 출원에서 DE 42 41 256 A1호 및 DE 198 30 182 A1호와 같은 선행 기술을 조사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2개의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의 저마모식 잠금 고정을 보장하는 신뢰성 있는 록킹 클립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 제1항의 대상을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는 2개의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을 상호 간에 잠금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록킹 장치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후벽부와 이 후벽부에 일체로 형성된 측면 부재(side part)들로 구성되며, 이때 록킹 클립은 U자형 횡단면을 보유한다. 측면 부재들은 각각 하나의 베어링 수용부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베어링 수용부는 원형 개구부로서 형성된다. 베어링 수용부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의 그에 부합하는 베어링 핀 위쪽을 파지한다. 베어링 수용부를 통해, 록킹 장치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각각의 베어링 수용부의 영역에서, 록킹 장치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쪽으로 지향되는 압인 리세스를 포함한다.
그렇게 하여, 록킹 장치는 플러그인 커넥터 몸체 상에서 전체 표면에 걸쳐서 지지되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더욱 저마모식의 잠금 고정 과정(locking process)이 보장되게 된다.
베어링 수용부들의 영역 내 각각의 압인 리세스를 통해, 록킹 장치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영구적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회동 과정 동안, 보다 더 적은 맞닿은 접촉이 발생하게 된다. 그렇게 하여, 록킹 장치는 보다 더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하우징 상에서는 잠금 고정 과정 동안 마멸을 통해 보다 더 적은 마모가 발생한다.
록킹 장치는, 측면 부재들이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후벽부로 구성된다. 록킹 장치는 U자형 횡단면을 갖는다. 측면 부재들은 베어링 수용부들을 포함하고, 이 베어링 수용부들을 통해서는 록킹 장치가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측면 부재들은,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상의 록킹 핀들 위쪽을 파지할 수 있는 록킹 수용부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록킹 장치는 단일 부재형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록킹 장치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탄성 재료로 제조되며, 그리고 예컨대 천공 및 굽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런 유형의 제조 형태들은 특히 가격면에서 유리하다.
록킹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과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이용된다. 이 경우, 록킹 장치는 베어링 핀들을 통해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상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회동 과정에서, 록킹 장치는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 록킹 핀들을 넘어 회동할 수 있고 그들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과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은 상호 간에 가역적으로 잠금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은, 록킹 장치가 베어링 핀들의 영역 및 록킹 핀들의 영역에서만 각각의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과 맞닿아 접촉한다는 점에 있다. 록킹 장치는 잔여 하우징 몸체 상에서는 마찰하지 않는다. 그렇게 하여, 특히 저마모식의 잠금 고정 과정이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형의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은 매우 유리한 가격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형의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은, 금속 부품들에 의해 스크래치가 발생한다면, 매우 손상되기 쉽다. 여기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의 미려함이 변경될 뿐만 아니라, 그 기능성 역시도 위험해진다.
전술한 베어링 핀들 및/또는 록킹 핀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기둥형 윤곽부가 그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기본 형태를 보유한다. 이 경우, 각기둥형 윤곽부는 바람직하게는 3각형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윤곽부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의 제조 공정,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공정에서 매우 용이하게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제조 공정에서 추가 비용은 발생하지 않는다.
각기둥형 윤곽부는, 잠금 고정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상에서 록킹 장치를 지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록킹 장치의 측면 부재들은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로부터 실질적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격 간격은 십 분의 수 밀리미터에서부터 3㎜까지로 설정될 수 있다. 후벽부 역시도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과 맞닿아 접촉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베어링 핀들 및 록킹 핀들 및 각각 그에 일체로 형성된 윤곽부들은 자신들의 대칭축을 따라서 각각의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에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다. 이 경우, 베어링 핀들과 록킹 핀들은 각각의 윤곽부보다 각각 더 길다. 이는, 예컨대 록킹 장치의 록킹 수용부가 록킹 핀들 위쪽을 파지할 수 있고 보다 더 짧은 윤곽부에 의해 지지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윤곽부는, 록킹 클립이 잠금 고정 과정 동안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따라 연마하고, 잠금 고정된 상태 동안에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상에 기대는 점을 방지한다.
록킹 장치는 각각의 베어링 수용부의 영역에,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쪽으로 지향되는 압인 리세스를 포함한다. 록킹 장치의 압인 리세스는 잠금 고정된 상태에서 베어링 핀의 윤곽부 상에서 지지된다. 잠금 해제된 상태에서는, 록킹 장치는 잠금 고정 과정 동안 압인 리세스와 윤곽부의 상호 작용을 통해 확장된다. 잠금 해제 과정에서도, 록킹 장치는 반대로 회동할 때 윤곽부를 통해 우선 확장된다. 이렇게, 잠금 고정 과정과 잠금 해제 과정은 각각 저마모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고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끼워진 상태에서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과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록킹 클립과 함께 끼워진 상태에서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투명한 록킹 클립과 함께 끼워진 상태에서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들은 부분적으로 간소화된 개략도들을 포함한다. 부분적으로, 유사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동일하지 않은 요소들을 위해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이용된다. 동일한 요소들의 다양한 모습들은 상이한 축척으로 도시될 수 있다.
도 1에는, 록킹 장치(1)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록킹 장치는 하나의 후벽부(2)와 이 후벽부에 일체로 형성된 2개의 측면 부재들(3, 3')로 구성된다. 록킹 장치(1)는 실질적으로 U자형인 횡단면을 갖는다. 측면 부재들(3, 3') 내에는 각각 하부 영역에 각각 베어링 수용부(4, 4')로서 이용되는 개구부가 제공된다. 상부 영역에서, 측면 부재들(3, 3')은 각각 록킹 수용부(5, 5')로서 기능하는 리세스를 각각 포함한다. 후벽부(2)에서 상부 영역에는 후벽부(2)로부터 뒤로 만곡된 작동 수단(6)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런 작동 수단(6)은 회동 과정 동안 사용자에 의해 힘 인가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과 함께 끼워진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의 측면도가 확인된다. 록킹 장치(1)의 베어링 수용부들(4, 4')은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의 베어링 핀들(8) 위쪽을 파지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록킹 장치(1)는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의 협폭 측면들에는 록킹 핀들(9)이 일체로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록킹 클립(1)의 록킹 수용부들(5, 5')이 잠금 고정된 상태에서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의 록킹 핀들(9) 위쪽을 어떻게 파지하는지가 나타난다. 그렇게 하여, 제1 및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 7)은 상호 간에 가역적으로 잠금 고정된다.
베어링 핀들(8) 및 록킹 핀들(9)에는 각각 각기둥형 윤곽부(10)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의 록킹 핀(9)은 윤곽부(10)의 정확한 도시를 위해 도 2의 우측 부분에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윤곽부(10)는 각기둥형이고 자신의 대칭축을 따라서 3각형 횡단면을 보유한다. 베어링 핀들(8) 및 록킹 핀들(9)은 각각의 윤곽부(10, 10')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이는, 베어링 핀들(8) 및 록킹 핀들(9)이 각각의 윤곽부(10, 10')보다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에서부터 수직으로 더 멀리 돌출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록킹 장치(1)는 베어링 수용부들(4, 4')의 영역에 안쪽으로 지향되는 각각 하나의 압인 리세스(11, 11')를 포함한다. 압인 리세스들(11, 11')과, 베어링 핀들(8)에 일체로 형성된 윤곽부들(10, 10')에 의해, 록킹 장치(1)는, 잠금 고정 과정 동안 탄력성 있게 확장된다. 록킹 장치(1)는 자신의 측면 부재들(3, 3')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6, 7) 상에서 마찰하지 않는다. 그 밖에도, 각각의 록킹 수용부(5, 5')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6, 7) 상에서 마찰하지 않는다. 최종적인 잠금 고정 시 저항은 사용자에 의해 분명하게 인지될 수 있다.
윤곽부들(10, 10') 및 대응하는 압인 리세스들(11, 11')의 형태를 통해, 록킹 클립(1)은 폐쇄된 상태에서 자신의 위치에서 파지된다. 잠금 해제 과정 동안, 다시 저항이 극복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록킹 장치(1)가 다시 탄력성 있게 확장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여, 시스템의 실수로 인한 개방이 배제된다. 또한, 록킹 장치(1)는 자신의 측면 부재들(3, 3')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6, 7) 상에서 마찰하지 않는다. 또한, 각각의 록킹 수용부(5, 5')도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6, 7) 상에서 마찰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1)의 경우, 측면 부재들(3, 3')은 록킹 수용부들(5, 5')과 대응하는 록킹 핀들(9) 사이의 영역에 유격을 가질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록킹 수용부(5, 5')는 잠금 고정된 상태에서 록킹 핀들(9)의 표면에 걸쳐서 마찰하지 않게 된다.
비록, 도면들에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 또는 특징들이 각각 조합되어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다른 방식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은 한) 도시되고 논의되는 조합물들이 유일하게 가능한 조합물이 아니라는 점은 분명하다. 특히 여러 실시예들에서 서로 상응하는 유닛들 또는 복합 특징들은 상호 교환될 수 있다.
1: 록킹 장치
2: 후벽부
3: 측면 부재
4: 베어링 수용부
5: 록킹 수용부
6: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7: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8: 베어링 핀
9: 록킹 핀
10: 윤곽부
11: 압인 리세스

Claims (10)

  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 7)용 록킹 장치(1)로서, 상기 록킹 장치는 후벽부(2)와 상기 후벽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면 부재들(3, 3')로 구성되며, 록킹 클립(1)은 U자형 횡단면을 보유하며, 측면 부재들(3, 3')은 각각 하나의 베어링 수용부(4, 4')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수용부를 통해서는 록킹 장치(1)가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상기 록킹 장치에 있어서,
    록킹 장치(1)는 각각의 베어링 수용부(4, 4')의 영역에,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 쪽으로 지향되는 압인 리세스(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록킹 장치(1)는 단일 부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록킹 장치(1)는 탄성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4.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과,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과,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면서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 상에 베어링 핀들(8)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록킹 장치(1)로 구성되는 시스템으로서, 록킹 장치(1)는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 상에서 록킹 핀들(9) 상에 잠금 고정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과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은 상호 간에 잠금 고정되는, 상기 시스템에 있어서,
    록킹 장치(1)는 베어링 핀들(8)의 영역 및 록킹 핀들(9)의 영역에서만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6, 7)과 맞닿아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들(6, 7)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베어링 핀들(8) 및/또는 록킹 핀들(9)은 각기둥형 윤곽부(10)가 그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기본 형태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각기둥형 윤곽부(10)는 3각형 횡단면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베어링 핀들(8) 및 록킹 핀들(9) 및 각각 그에 일체로 형성된 윤곽부들(10)은 자신들의 대칭축을 따라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 7)에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며, 그리고
    베어링 핀들(8)과 록킹 핀들(9)은 각각의 윤곽부들(10)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록킹 장치(1)는,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의 베어링 핀들(8) 위쪽을 파지하는 베어링 수용부들(4)을 포함하고,
    록킹 장치(1)는 각각의 베어링 수용부(4)의 영역에 제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 쪽으로 지향되는 압인 리세스(11)를 포함하며, 그리고
    록킹 장치(1)의 압인 리세스(11)는 잠금 고정된 상태에서 베어링 핀(8)의 윤곽부(10') 상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록킹 장치(1)는, 제2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의 록킹 핀들(9) 위쪽을 파지하는 록킹 수용부들(5)을 포함하며, 그리고
    록킹 장치(1)의 측면 부재들(3, 3')은 잠금 고정된 상태에서 각각 록킹 핀들(9)의 윤곽부(10) 상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KR1020207008028A 2017-08-21 2018-08-07 록킹 클립 KR102322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19057.0 2017-08-21
DE102017119057.0A DE102017119057B3 (de) 2017-08-21 2017-08-21 System aus zwei Steckverbindergehäusen und einer Verriegelungsvorrichtung
PCT/DE2018/100692 WO2019037814A1 (de) 2017-08-21 2018-08-07 Verriegelungsbüg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292A true KR20200040292A (ko) 2020-04-17
KR102322053B1 KR102322053B1 (ko) 2021-11-08

Family

ID=6335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028A KR102322053B1 (ko) 2017-08-21 2018-08-07 록킹 클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95073B2 (ko)
EP (1) EP3673540B1 (ko)
KR (1) KR102322053B1 (ko)
CN (1) CN110998985B (ko)
DE (1) DE102017119057B3 (ko)
WO (1) WO20190378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0005530U1 (de) 2020-04-20 2021-07-19 Amphenol Tuchel Industrial GmbH Primärverriegelung
DE102020110647A1 (de) 2020-04-20 2021-10-21 Amphenol Tuchel Industrial GmbH Primärverriegelung
DE102021128633A1 (de) 2021-11-03 2023-05-04 Harting Electric Stiftung & Co. Kg Steckverbindergehäuse mit Verriegelungszapfen
DE102021133011B3 (de) 2021-12-14 2023-04-20 Amphenol Tuchel Industrial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Steckverbindungen sowie Steckverbindung mit einer solchen Verriegelungsvorricht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1256A1 (de) * 1992-12-08 1994-06-09 Framatome Connectors In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EP2451021A2 (de) * 2010-11-05 2012-05-09 Lapp Engineering & Co. Gehäuse für einen Steckverbinder
EP2961005A1 (de) * 2014-06-24 2015-12-30 Lapp Engineering & Co. Steckverbinder und Anschlusskabe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15574A1 (de) * 1979-04-18 1980-10-23 Harting Elektronik Gmbh Gehaeusehaelften-verschluss fuer mehrpolige elektrische steckvorrichtungen
US5954528A (en) * 1996-02-27 1999-09-21 Harness System Technologies Research, Ltd.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DE19830182A1 (de) * 1998-07-06 2000-01-20 Wieland Electric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3566606B2 (ja) * 1999-12-10 2004-09-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支持機構
JP3804558B2 (ja) * 2002-03-25 2006-08-02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ITMI20030136U1 (it) * 2003-03-25 2004-09-26 Ilme Spa Dispositivo meccanico di chiusura per custodie di connettore elettrico
DE102004013476A1 (de) * 2003-04-16 2004-11-04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verbinderanordnung
DE102004061046B4 (de) * 2004-12-18 2007-02-0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Gehäuse-Verschlußvorrichtung
US7241155B2 (en) * 2005-07-28 2007-07-1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ist
US7361036B2 (en) * 2005-10-06 2008-04-2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lever and latch
DE102008019016B4 (de) * 2008-04-15 2014-12-1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nd Verriegelungsbügel zur Verriegelung zweier Gehäuseteile
DE102013111760B3 (de) 2013-10-25 2015-04-09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teckverbinder
EP3012922B8 (de) * 2014-10-20 2017-11-01 Stäubli Electrical Connectors AG Schwenkhebelanordnung für Gehäuseanordnung
CN104505660A (zh) * 2014-12-22 2015-04-08 魏德米勒电联接(上海)有限公司 一种外壳锁扣装置
CN106911043A (zh) * 2017-03-31 2017-06-30 沈阳兴华航空电器有限责任公司 一种锁紧机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1256A1 (de) * 1992-12-08 1994-06-09 Framatome Connectors In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EP2451021A2 (de) * 2010-11-05 2012-05-09 Lapp Engineering & Co. Gehäuse für einen Steckverbinder
US20120115346A1 (en) * 2010-11-05 2012-05-10 Michael Zwanger Housing for a connector
EP2961005A1 (de) * 2014-06-24 2015-12-30 Lapp Engineering & Co. Steckverbinder und Anschlusskab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053B1 (ko) 2021-11-08
EP3673540B1 (de) 2023-10-04
DE102017119057B3 (de) 2018-11-08
CN110998985A (zh) 2020-04-10
CN110998985B (zh) 2021-07-16
US11095073B2 (en) 2021-08-17
US20200119492A1 (en) 2020-04-16
EP3673540A1 (de) 2020-07-01
WO2019037814A1 (de)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0292A (ko) 록킹 클립
CN105977693B (zh) 用于容置模块式接触嵌件的托架
US9340128B2 (en) Vehicle seat
KR100895547B1 (ko) 커넥터 요소를 위한 고정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한커넥터
CN110087952B (zh) 用于将物体固持在交通工具内衬上的装置以及交通工具
CN108352647B (zh) 具有用于容置模块化接触嵌件的保持架的插式连接器部件的组件
EP2626240B1 (en) Assist grip
KR880009316A (ko) 코드화 비밀보호장치를 갖춘 액세스카드
CN111092310B (zh) 端子台、三连端子台和车载装置
JP2011235823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KR101305018B1 (ko) 케이블용 커넥터
JP2016029648A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部品
CN107709091B (zh) 辅助把手
KR20140143338A (ko) 체결 클립
WO2020031564A1 (ja)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US9877548B2 (en) Buckle for seatbelt device
US9969308B2 (en) Lock device
JP2011521419A (ja) 90°の角度をなす2つのアームを有するケーシングにより形成される電気接続部品
JP6706864B2 (ja) 回転コネクタおよび回転コネクタの固定構造
CN109228973B (zh) 用于倾斜车辆座椅靠背的装置以及用于安装这种倾斜装置的方法
US20200256364A1 (en) Latch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two components
CN106891850B (zh) 安全带带扣组件及座椅总成
US6598925B2 (en) Fixing structure for storage device
US11441606B2 (en) Slide bearing and accessory using same with pivotally mounted bearing
US1152231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