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061A -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nd rescue method using external mobile wireless repeater - Google Patents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nd rescue method using external mobile wireless rep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061A
KR20200040061A KR1020180119848A KR20180119848A KR20200040061A KR 20200040061 A KR20200040061 A KR 20200040061A KR 1020180119848 A KR1020180119848 A KR 1020180119848A KR 20180119848 A KR20180119848 A KR 20180119848A KR 20200040061 A KR20200040061 A KR 20200040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information
rescue
fire
evacu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8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7274B1 (en
Inventor
오기용
최해진
유홍선
유재영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9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274B1/en
Publication of KR20200040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0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2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8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64C2201/1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rescue system and a rescue method for a high-rise building using a mobile radio repeater outside the building which is to establis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entering on a mobile radio repeater outside the building and to repeatedly update a real-time location of evacuees to provide optimal rescue route information with high survival rate regardless of whether there is a power outage or damage to equipment in the building due to fire in the event of fire.

Description

건물 외부의 무선중계기를 이용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및 구난방법{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ND RESCUE METHOD USING EXTERNAL MOBILE WIRELESS REPEATER}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nd rescue method using a wireless repeater outside the building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ND RESCUE METHOD USING EXTERNAL MOBILE WIRELESS REPEATER}

본 발명은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및 구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층빌딩의 화재 발생시 화재로 인한 건물의 정전 및 건물 내 장비들의 파손 여부와 관계없이 건물 외부의 이동식 무선중계기를 중심으로 무선통신망을 구축하고 반복적으로 갱신하면서 피구난자들의 실시간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높은 생존율을 갖는 최적의 구난루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건물 외부의 이동식 무선중계기를 이용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및 구난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rescue system and a rescue method for a high-rise building. In particular, when a fire occurs in a high-rise buil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built around a mobile wireless repeater outside the building regardless of whether there is a power outage or damage to equipment in the building. It is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nd a rescue method using a mobile wireless repeater outside a build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optimal rescue route information with high survival rate by accurately grasping the real-time location of the evacuees while repeatedly updating.

현대에는 건축물 내부의 거주 공간을 확대함과 더불어 좁은 부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건축 구조물이 점차 고층화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소방시설을 갖추고 있으나 한번 화재가 발생하면 대형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도 상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In modern times, in addition to expanding the living space inside the building, the building structure is gradually increasing in order to use the narrow site more effectively, and there are fire fighting facilities accordingly, but there is a problem that once a fire occurs, it can lead to large human injury. It is a situation.

고층 빌딩에서 일단 화재가 발생하면 건물 내부에 갇힌 사람들은 자신의 위치에서 자신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최적의 구난루트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을 뿐만 아니라, 패닉으로 인해 우왕좌왕하다가 올바른 구난루트를 못하고 사망에 이르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Once a fire occurs in a high-rise building, people trapped inside the building have no way of knowing the best rescue route to increase their survival rate at their location, and panic can make a right or wrong turn and die without having the right rescue rout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easy to reach.

이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공개특허 제2017-0106665호의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은 고층빌딩이나 사람이 많이 모이는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RFID 신호를 수신하여 건물 내 사람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들에게 대피로를 안내하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였었다.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the 'Intelligent Emergency Evacuation Induction Method and System'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7-0106665 receives RFID signals when there is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or a crowded building and places people in the building. And disclosed a technique to guide them to evacuation routes.

그러나, 이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건물 내부에 설치된 장비들을 이용하여 RFID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으로 사람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들에게 대피로를 안내하도록 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단 화재가 발생하면 건물 내 장비들의 파손으로 인해 제대로 된 동작을 보장받지 못하는데다가 RFID 신호의 수신거리가 매우 짧기 때문에 실제 현장에 적용해서 실효성을 거둘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prior art, even though it is intended to identify people's location and guide them to evacuation routes using equipment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once a fire occurs, the build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oper operation cannot be guaranteed due to damage to the equipment, and since the reception distance of the RFID signal is very short, it cannot be applied to the actual site.

한국공개특허 제2017-0106665호(2017.09.2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7-0106665 (2017.09.2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층빌딩의 화재 발생시 화재로 인한 건물의 정전 및 건물 내 장비들의 파손 여부와 관계없이 건물 외부의 이동식 무선중계기를 중심으로 무선통신망을 구축하고 반복적으로 갱신하면서 피구난자들의 실시간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높은 생존율을 갖는 최적의 구난루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건물 외부의 이동식 무선중계기를 이용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및 구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radio outside of the building regardless of whether there is a power outage or damage to equipment in the building due to a fire in the event of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using a mobile wireless repeater outside the building to buil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entering on the repeater and repeatedly update it to accurately identify the real-time location of the evacuees and provide optimal rescue route information with a high survival rate. And to provide a rescue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은, 고층빌딩에서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에 위치한 피구난자들을 구난하기 위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으로서, 화재가 발생한 고층빌딩의 건물 외부를 적어도 3대가 하나의 조를 이루어 편대 비행을 하면서 건물을 반복적으로 스캐닝할 수 있도록 한 드론; 편대 비행을 하는 같은 조의 드론 각각에 탑재되어 건물 내 위치한 피구난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통신신호를 수집하여 무선통신망을 구축하고 드론의 스캐닝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실시간 갱신하면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피구난자들의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적어도 3개의 무선중계기; 상기 무선중계기에 의해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무선통신망 정보로부터 산출된 피구난자들의 좌표값과 건물의 구조정보를 맵핑하여 건물 내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맵핑부; 상기 맵핑부에서 생성된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와 함께 건물의 구조정보, 건물의 화재정보를 근거로 피구난자들 각자의 생존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하는 구난루트 창출부;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에서 창출한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피구난자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for rescued refugees located inside a building when a fire occurs in a high-rise building, A drone that allows the building to be repeatedly scanned while flying in formation in a group of at least three outside the building; It is mounted on each drone of the same group flying in formation and collects the communicati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evacuees located in the building, build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pdat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canning of the drone, and carri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least three radio repeaters that enable real-time identification of the exact location of the evacuees; A mapping unit that generates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fugees in the building by mapp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evacuees calcula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updated in real time by the wireless repeater and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 rescue route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that is determined to have a high survivability for each of the refugees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fugees generated in the mapping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the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to each of the evacuee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여기서, 상기 드론 각각에 탑재되어 건물 내 각 영역에 위치하는 피구난자들을 감지하는 라이다를 더 구비하며, 상기 맵핑부는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 생성시 무선통신망 정보와 함께 라이다에 의한 피구난자 감지정보까지 함께 고려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피구난자들까지 포함하는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drone is mounted on each of the drones to detect the evacuees located in each area of the building further comprises, the mapping unit detects the evacuees by the lidar with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when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Considering together, it may be characterized by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including the evacuees who do not hav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라이다가 건물을 대상으로 3D 스캔하여 스캐닝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라이다가 생성한 스캐닝 데이터를 전송받아 건물의 구조정보를 생성하는 구조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구조정보 생성부는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가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할 때 건물의 구조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IDAR scans the building to generate 3D scanning data, and receives the scanning data generated by the LIDA, and further includes a structur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o generat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structure information generation The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rescue route generating unit generates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s provided.

또한, 상기 구조정보 생성부에서 생성한 건물의 구조정보를 외부기관 DB로부터 제공받은 건물의 구조정보와 비교하거나, 상기 구조정보 생성부에서 시간차를 두고 생성한 건물의 구조정보를 비교하여 건물의 파손정보를 생성하는 파손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손정보 생성부는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에 건물의 파손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는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할 때 건물의 파손정보를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generated by the structur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is compared to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provided from the external institution DB, or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generated by the structur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is compared with the structural damage of the building. Further comprising a dama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information, the dama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provides the da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o the rescue route generation unit, the rescue route generation unit reflects the da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when creating a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It can be characterized by doing.

또한, 상기 드론 각각에 탑재되어 열감지에 의해 건물 내 각 영역에 위치하는 피구난자들을 감지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더 구비하며, 상기 맵핑부는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 생성시 무선통신망 정보와 함께 적외선 카메라에 의한 피구난자 감지정보까지 함께 고려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피구난자들까지 포함하는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mounted on each of the drones further comprises an infrared camera that detects the refugees located in each area of the building by thermal sensing, the mapping unit is genera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and the infrared camera when gene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ctims It may be characterized by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including evacuees who do not hav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evacuee detec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적외선 카메라의 실시간 열감지에 의해 생성되는 건물의 열영상을 근거로 건물의 화재정보를 실시간 생성하는 화재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정보 생성부는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가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할 때 건물의 화재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ncludes a fir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the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n real time based on the thermal image of the building generated by the real-time heat detection of the infrared camera, the fir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is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It can be characterized by providing the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when creating.

또한, 상기 맵핑부, 구난루트 창출부, 통신부, 구조정보 생성부, 화재정보 생성부는 지상 컨트롤스테이션에 설치되며, 상기 지상 컨트롤스테이션에서는 피구난자들에게 제공하는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외부 송출하여 소방대원들과 정보를 공유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pping unit, the rescue route generating unit, the communication unit, the rescu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nd the fir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re installed in the ground control station, and the ground control station transmits the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victims externally to firefighters. It can be characterized by having to share information with the field.

또한, 상기 지상 컨트롤스테이션에서는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 건물의 구조정보, 건물의 화재정보를 외부 송출하여 소방대원들과 정보를 공유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ound control sta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r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o share the information with the firefighters.

또한,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는 피구난자들을 건물 내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각각의 위치군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위치군에 대한 위치정보, 건물의 구조정보, 빌딩의 화재정보를 화재 구난 시뮬레이션(Fire rescue simulation) 프로그램에 입력함으로써 각각의 위치군 별로 차별화하여 피구난자들의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divides the evacuees into each location group based on the location in the building and fire rescue simul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 By entering into the program, it is possible to differentiate each location group and create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for the evacuees.

또한,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피구난자들의 개인정보를 통신사로부터 제공받고, 피구난자들의 성별, 연령에 따라 상대적으로 신체활동이 가장 자유롭다고 판단되는 군으로부터 신체활동이 가장 자유롭지 못하다고 판단되는 군에 이르기까지 적어도 2종의 활동군으로 순차적으로 차별화하여 구분하고, 신체활동이 가장 자유롭지 못하다고 판단되는 활동군의 경우 맞춤식 구난루트 중 최단거리 구난루트에 배치하며, 나머지 활동군의 경우 다른 구난루트에 배치하여 구난루트를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receive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evacuees who ha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and the physical activity is not the most free from the group that is judged to be the most physically free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ge of the evacuee. It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types of activity groups in order to reach the judged group, and is classified into the shortest distance rescue route among the customized rescue routes in the case of the activity groups judged to be the most free of physical activity.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on the rescue route to disperse the rescue route.

또한, 상기 드론의 군집 자율비행을 관리하는 모선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thership to manage the autonomous flight of the drone cluster.

또한, 상기 모선은 배터리 충전을 위해 편대에서 교대로 이탈하는 드론을 대신하여 남아 있는 드론들과 함께 편대 비행하면서 빌딩에 대한 스캐닝 작업을 지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ther ship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inues to perform a scanning operation for the building while flying in formation with the remaining drones instead of drones alternately leaving the flight to charge the battery.

또한, 상기 드론 각각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드론은 상기 전원공급부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비행 중에도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each of the drones is further included, and the dron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in a wired manner to receive power during flight.

또한, 상기 무선통신망 구축에 이용되는 통신신호는 LTE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signal used to buil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LT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은, 고층빌딩에서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에 위치한 피구난자들을 구난하기 위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으로서, 화재가 발생한 고층빌딩의 건물 외부를 적어도 3대의 드론이 하나의 조를 이루어 편대 비행을 하면서 건물을 반복적으로 스캐닝하고, 상기 드론 각각에 탑재되어 건물 외부에 적어도 3대 구비된 무선중계기가 건물 내 피구난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부터 송출되는 통신신호를 수집하여 무선통신망을 구축하고 반복 갱신함으로써 건물 내 위치한 피구난자들의 위치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to rescue the refugees located inside the building when a fire occurs in the high-rise building, at least three drones outside the building of the high-rise building where the fire occurred. The aircraft are repeatedly scanned while flying in groups, and the wireless repeaters installed on each of the drones are equipped with at least three radio repeaters outside the building to collect communication signals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evacuees in the building to establis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is characterized by its technical composition that it is possible to locate and locate the refugees located in the building in real time by constructing and updating it repeatedly.

여기서,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한 고층빌딩의 건물 외부를 적어도 3대의 드론이 하나의 조를 이루어 편대 비행을 하면서 건물을 반복적으로 스캐닝하는 단계; 편대 비행을 하는 같은 조의 드론 각각에 탑재된 적어도 3개의 무선중계기에 의해 건물 내 위치한 피구난자들의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부터 송출되는 통신신호를 수집하여 무선통신망을 구축하고 반복 갱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중계기에 의해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무선통신망 정보로부터 산출된 피구난자들의 좌표값과 건물의 구조정보를 맵핑부가 맵핑하여 피구난자들의 건물 내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맵핑부에서 생성된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와 함께 건물의 구조정보, 건물의 화재정보를 근거로 하여 구난루트 창출부가 피구난자들 각자의 생존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하는 단계;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에서 창출한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통신부가 각 피구난자의 무선통신기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peatedly scanning the building while flying in formation in a group of at least three drones in a building outside the building of the high-rise building where the fire occurred; By building at least three wireless repeaters mounted in each drone of the same group flying in formation, the communication signals sen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collected to establis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dly, so that the exact location of the refugees located in the building can be determined in real time. step; A mapping unit mapp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evacuees calcula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updated in real time by the wireless repeater and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in real time; A step of generating a rescue route customized by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fugees generated in the mapping unit. ;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to each of the evacuee'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본 발명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및 구난방법은, 고층빌딩의 화재 발생시 화재로 인한 건물의 정전 및 건물 내 장비들의 파손 여부와 관계없이 건물 외부의 이동식 무선중계기를 중심으로 무선통신망을 구축하고 반복적으로 갱신하면서 피구난자들의 실시간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높은 생존율을 갖는 최적의 구난루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nd rescu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stablishe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round a mobile wireless repeater outside the building regardless of whether there is a power outage of the building due to a fire or damage to equipment in the building when a high-rise building fire occurs and repeat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optimal rescue route information with high survival rate by accurately grasping the real-time location of the refugees while updating t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에서 건물의 구조정보 취득 및 생성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에서 피구난자 위치정보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에서 건물의 화재정보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에서 맞춤식 구난루트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에서 피구난자 구난루트 분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fire rescue method of a high-ris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and acquisition of structure information in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victim in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generating fire information of a building in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ustomized rescue route generation method in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istributing a rescue route for a refugee in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및 구난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nd a rescu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ure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actual ones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or reduced in scale than actual ones in order to understand a schematic configuration.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Further,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On the other hand,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은, 고층빌딩(B11)의 건물 외부를 자율비행하면서 편대를 이루는 다수의 드론(110)과 모선(CS), 각각의 드론(110)에 장착된 무선중계기(120),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130), 적외선 카메라(140), 구조정보 생성부(150a), 파손정보 생성부(150b), 맵핑부(160), 화재정보 생성부(170), 구난루트 창출부(180), 통신부(190)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As shown, the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rones 110 and a mother ship (CS), each drone (1) forming a formation while autonomously flying outside the building of the high-rise building (B11) The wireless repeater 120, the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130, the infrared camera 140, the structur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50a, the dama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50b, and the mapping unit (110) mounted on the 110) 160), the fir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70,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18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90 as a main component.

본 발명은 이같은 주요 구성요소들에 의해 고층빌딩(B11)에서 화재 발생시 드론(110)에 탑재되어 건물 외부에서 이동하는 이동식 무선중계기(120)를 중심으로 피구난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구축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갱신하면서 피구난자들의 실시간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높은 생존율을 갖는 최적의 구난루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건물 내 장비들이 화재로 인해 파손되었는지 여부와 전혀 관계없이 정상 작동하면서 피구난자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evacuees centered on the mobile radio repeater 120 mounted on the drone 110 when a fire occurs in a high-rise building (B11) by these main components and moves outside the building. By establish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repeatedly updating i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real-time location of the evacuees and provide the optimal rescue route with a high survival rate. This allows the evacuees to safely evacuate while operating normally regardless of whether the equipment in the building has been damaged by fire.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상기 드론(110)은 화재가 발생한 고층빌딩의 건물의 외부를 자율적으로 비행하면서 건물을 스캐닝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드론(110)은 적어도 3대, 더 많은 대수의 드론(110)이 하나의 조를 이루어 편대 비행을 하며, 이같은 비행조는 건물을 신속하게 반복 스캐닝할 수 있도록 건물 규모에 따라 다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30층 규모의 90미터 높이의 고층빌딩 건물인 경우 30미터씩 세 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이들 영역에 편대 비행을 하는 비행조들을 각각 투입하여 각 비행조들은 자신에게 할당된 영역에 대해서만 이동하면서 건물 스캐닝 작업을 반복 실시한다. 이때 각 비행조에는 각각 적어도 3대의 드론(110)이 포함되어야 하는데 6대가 하나의 비행조에 포함된다면 3대인 경우보다 맡고 있는 영역에 대한 스캐닝을 보다 신속하게 보다 자주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The drone 110 serves to scan the building while autonomously flying outside the building of the high-rise building where the fire occurred. To this end, at least three drones 110 and a larger number of drones 110 form one pair to fly in formation, and such flight tanks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uilding so that the building can be quickly and repeatedly scanned. It is preferr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30-story high-rise building with a height of 90 meters, it is divided into three zones of 30 meters each, and each of the flying tanks flying in these zones is injected, and each flying tank scans only the area assigned to it. Repeat the work. At this time, at least three drones 110 should be included in each tank, and if six are included in one tank, scanning of the area in charge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more frequently than in the case of three.

이같은 드론(110)의 경우 군집 자율비행을 종합 관리하는 모선의 명령을 받으면서 건물을 따라 상하이동을 위주로 비행하고 건물의 둘레방향으로도 수평이동을 함께 병행하여 건물을 스캐닝할 수 있도록 한다. 단, 드론의 군집 자율비행시 위와 같이 모선이 관여하여 모든 드론을 제어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할 수 있으나, 모선이 도착하지 않았거나 그 외 필요에 의해 모선을 배제한 상태에서 드론끼리 상호 통신하면서 본인의 위치를 파악하고 자율적으로 비행하는 일반적인 방식을 단독으로 실시하거나 위 전술된 모선 중심의 방식과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드론(110)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피구난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 통신신호를 기반으로 무선통신망을 구축해주는 무선중계기(120)와 더불어 라이다(130) 및 적외선 카메라(140)까지 탑재된다. 이같은 상태에서 드론(110)이 건물 외부를 인접하여 이동하면서 반복적으로 스캐닝 작업을 실시하게 되면 드론(110)에 탑재된 무선중계기(120)가 피구난자들에 대해 가까운 거리에서 지나칠 때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신호를 강한 세기로 포착할 수 있으므로 무선통신망 구축을 통해 피구난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라이다(130)에 의한 감지 및 적외선 카메라(140) 촬영도 보다 정확하고 세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case of such a drone 110, while under the command of a mother ship that comprehensively manages the autonomous flight of the cluster, it can fly over Shanghai-dong along the building and horizontally mov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uilding to scan the building. However, in the case of autonomous flight of drones, it may be more desirable to control all drones because the mothership is involved as above, but the dron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state that the mothership has not arrived or other necessities have excluded the mothership. The general method of locating and flying autonomously may be performed alone or in parallel with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centering the mothership. As shown in FIG. 1, the drone 110 is equipped with a wireless repeater 120 that build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evacuee'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well as a lidar 130 and an infrared camera 140. In this state, when the drone 110 repeatedly scans while moving adjacent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when the wireless repeater 120 mounted on the drone 110 passes at a close distance to the evacue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the communication signal can be captured with a strong intensity,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grasp the position of the evacue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detection by the lidar 130 and the infrared camera 140 can also be made more accurately and precisely.

한편, 상기 드론(110)의 경우 배터리의 제약으로 인해 현시점에서 한번 충전으로 비행할 수 있는 시간이 30분 정도이므로 건물을 반복 스캐닝하는 중간에 충전을 위해 비행대열에서 이탈이 불가피하다. 이를 대비하여 편대 비행하고 있는 드론(110)들이 충전을 위해 동시에 비행 대열에서 이탈하는 대신 교대로 이탈하도록 하며, 이때 이탈한 드론(110)을 대신하여 모선이 나머지 드론(110)들과 편대를 이루면서 건물에 대한 스캐닝 작업을 계속 진행하도록 한다. 그러면 드론(110)의 배터리 충전으로 인한 작업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drone 110, it is inevitable to leave the flight line for charging in the middle of repetitively scanning the building because the time to fly with a single charge at the present time is about 30 minutes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battery. To prepare for this, the drones 110 flying in formation are alternately deviating from the flight line at the same time for charging, and the mother ship forms a formation with the rest of the drones 110 in place of the drones 110 that have escaped. Continue to scan the building. The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lay in work due to battery charging of the drone 110.

상기 무선중계기(120)는 편대 비행을 하는 갖은 조의 드론(110)에 각각에 탑재되어 건물 내 위치한 피구난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부터 송출되는 통신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건물 내 피구난자들과의 무선통신망을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건물에 대한 드론(110)의 이동을 통한 반복 스캐닝에 따라 기 구축된 무선통신망을 실시간 갱신한다. 드론(110)이 건물 외부를 인접하여 반복적으로 스캐닝하게 되면 드론(110)에 탑재된 무선중계기(120)는 피구난자들과 가장 인접한 거리가 되면 상대적으로 강한 세기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신호를 포착할 수 있으므로 피구난자들에 대한 정확한 좌표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적어도 3대를 한조로 하여 편대 비행하는 드론(110) 각각에 무선중계기(120)가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피구난자들에 대한 정확한 x, y, z 좌표값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얻어진 좌표값은 드론(110)의 이동에 따른 반복적인 스캐닝 작업을 통해 실시간으로 갱신된다. The wireless repeater 120 is mounted on each drone 110 of a group that is in flight, collects communication signals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evacuees located in the building, and based on this, with the evacuees in the building. It will establis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pre-establish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upda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repetitive scanning through the movement of the drone 110 to the building. When the drone 110 repeatedly scans adjacent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 wireless repeater 120 mounted on the drone 110 transmits a communication sig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elatively strong strength when the distance to the evacuee is the closest. Since it can be captured, it is possible to obtain accurate coordinate values for the victims. In particular, since the wireless repeaters 120 are mounted on each of the drones 110 flying in formation with at least three as one set, it is possible to obtain accurate x, y, and z coordinate values for the evacuees. And the coordinate values thus obtained are updated in real time through repetitive scanning operation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one 110.

이같은 무선중계기(120)의 역할에서 주목할 점은 건물 내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장비를 이용하여 피구난자들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한 것이 아니라 드론(110)에 탑재되어 동적 상태에 있는 무선중계기(120)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망을 구축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건물 내 피구난자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며 화재시 정전으로 인해 건물 내 시설들이 무용지물이 되는 치명적인 문제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있는 것이다. Note that the role of the wireless repeater 120 is not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evacuees using the equipment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but is mounted on the drone 110 and uses the wireless repeater 120 in a dynamic state. This is to establis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locate the refugees in the building and be completely free from the fatal problem that the facilities in the building become useless due to a power outage in the event of a fire.

여기서, 무선통신망 구축을 위해 사용하는 통신신호는 5G, LTE, WIFI 등 건물 내 피구난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하는 모든 통신신호들을 망라할 수 있으며, 특히 LTE의 경우 광대역이므로 신호거리가 길어 규모가 큰 고층빌딩의 건물에서도 무선통신망을 구축하여 피구난자들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하는 통신신호들 가운데 광대역 LTE를 무선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한 최우선 순위로 고려함을 마땅하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의도하는 무선통신망을 구축하는데 더 유리한 통신신호가 있다면 그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the communication signal used to buil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n cover all communication signals u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evacuees in the building such as 5G, LTE, WIFI,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LTE, since the signal distance is long, the signal distance is long. Even in a large high-rise building, it is advantageous to establis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ccurately locate the refugees. Therefore, it is worthy to consider broadband LTE as the highest priority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mong communication signals used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t the present time.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if there is a more advantageous communication signal to construc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ten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상기 라이다(130)는 드론(110) 각각에 탑재된 상태에서 알려진 것처럼 펄스 레이저의 탐색기능을 이용하여 건물 내 각 영역에 위치하는 피구난자들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드론(110)이 건물 인근 외측을 따라 이동하면서 건물 유리창을 통해 라이다(130)로 건물 내 피구난자들을 감지하며, 이같은 라이다(130)에 의한 피구난자들의 감지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피구난자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므로 무선중계기(120)의 무선통신망을 통해 피구난자의 위치를 파악할 때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The lidar 130 serves to detect the refugees located in each area of the building by using a pulse laser search function as known from the state mounted on each drone 110. To this end, as the drone 110 moves along the outside of the building near the building, it detects the refugees in the building through the glass window of the building, and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refugees by the lidar 130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it is useful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refugee who does not have,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locating the victim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wireless repeater 120.

또한, 상기 라이다(130)는 건물 인근을 인접 이동하는 드론(110)에 탑재된 상태에서 건물을 3D 스캔하여 스캐닝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구조정보 생성부(150a)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구조정보 생성부(150a)는 스캐닝 데이터를 전송받아 건물의 구조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맵핑부(160)가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거나 구난루트 창출부(180)가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할 때 건물의 구조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라이다(130)의 경우 레이저를 발사하여 산란되거나 반사되는 레이저가 돌아오는 시간과 강도, 주파수의 변화, 편광 상태의 변화 등으로부터 측정 대상물의 거리와 농도, 속도, 형상 등 물리적 성질을 측정하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연기와 화염을 뚫고 정확한 감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lidar 130 serves to generate scanning data by 3D scanning the building while being mounted on the drone 110 moving adjacent to the building and transmitting it to the structur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50a. Then, the structur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50a receives the scanning data and generates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so that the mapping unit 160 gener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or the rescue route generator 180 generates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When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s provided. In the case of the lidar 130, physical properties such as distance, concentration, speed, and shape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are measured from the time, intensity, frequency change, polarization state change, etc. when the scattered or reflected laser returns by firing the las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netrate smoke and flames from fire and perform accurate detection.

뿐만 아니라 상기 라이다(130)는 건물에 대한 스캐닝 데이터를 파손정보 생성부(150b)에도 전송하여 건물의 구조정보와는 별도로 건물의 파손정보를 생성하도록 돕기도 하는데 이처럼 건물의 파손정보를 생성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차후에 상세히 다루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rider 130 also transmits the scanning data for the building to the dama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50b to help generate da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separately from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Contents will be discussed in detail later.

상기 적외선 카메라(140)는 드론(110) 각각에 탑재되어 촬영을 통해 열영상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건물 내 각 영역에 위치하는 피구난자들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맵핑부(160)가 무선통신망 정보를 기반으로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때 라이다(130)에 의한 피구난들의 감지정보와 적외선 카메라(140)에 의한 피구난자들의 촬영정보를 함께 고려할 수 있게 되어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피구난자들까지 포함하는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 The infrared camera 140 is mounted on each of the drones 110 to prepare a thermal image through shooting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tect refugees located in each area of the building. Accordingly, when the mapping unit 160 gener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ba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by the lidar 130 and the photographed information of the evacuees by the infrared camera 140 are together. Since it can be considered,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including those who do not hav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적외선 카메라(140)는 열영상 정보를 전송하여 화재정보 생성부(170)가 화재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적외선 카메라(140)의 실시간 변화하는 열영상 정보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화재상태가 어떻게 변화할지 예측하는데도 많은 도움이 된다. In addition, the infrared camera 140 transmits thermal image information to enable the fire information generator 170 to generate fire information. The thermal image information changing in real time of the infrared camera 140 is also very helpful in predicting how the fire state will change through simulation.

상기 구조정보 생성부(150a)는 건물의 구조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며, 드론(110)에 탑재된 라이다(130)가 건물을 3D 스캔하여 생성한 스캐닝 데이터를 전송받아 건물의 구조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구조정보는 맵핑부(160)가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때와 구난루트 창출부(180)가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할 때 필요한 건물의 구조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단, 상기 구조정보 생성부(150a)에서 생성된 건물의 구조정보는 보조적인 것으로 최우선적으로는 소방청 등의 외부기관 DB로부터 그대로 전달받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만일 외부기관 DB에 해당 건물의 구조정보가 보관되어 있지 않다면 구조정보 생성부(150a)에 의해 생성된 건물의 구조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The structur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50a serves to generat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receives the scanning data generated by 3D scanning the building by the rider 130 mounted on the drone 110 to receive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o create. In this case, the generated structural information provides structural information of a building required when the mapping unit 160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and when the rescue route generating unit 180 generates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generated by the structur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50a is auxiliary and, first of all, that received from the external agency DB such as the fire department is used. However, if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s not stored in the external institution DB,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generated by the structur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50a may be used.

상기 파손정보 생성부(150b)는 건물의 구조정보와는 별도로 건물의 파손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파손정보 생성부(150b)는 건물을 반복적으로 3D 스캔하여 얻은 스캐닝 데이터를 건물의 구조정보와 비교하여 파손된 부위를 찾고 그 파손 부위의 위치와 파손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파손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건물의 구조정보는 외부기관 DB로부터 제공받은 것일 수도 있고 구조정보 생성부(150a)에서 생성한 것일 수도 있다. 이렇게 생성된 건물의 파손정보는 구난루트 창출부(180)에 전송되어 맞춤식 구난루트를 생성하는데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ama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50b serves to generate da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separately from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o this end, the dama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50b compares the scanning data obtained by repeatedly 3D-scanning the building with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finds a damaged area, and includes damage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and extent of the damage. Will generate At this time,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ay be provided by an external institution DB or may be generated by the structur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50a. The generated da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s transmitted to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180 so that it can be reflected in creating a customized rescue route.

상기 맵핑부(160)는 무선중계기(120)에 의해 구축되고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무선통신망 정보로부터 얻어진 피구난자들의 좌표값을 건물의 구조정보와 맵핑하여 건물 내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게 된다. 이같이 맵핑부(160)에서 생성된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는 건물의 구조정보, 건물의 화재정보와 함께 구난루트 창출부(180)에서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할 때 중요한 근거가 된다. The mapping unit 160 map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evacuees obtain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constructed by the wireless repeater 120 and updated in real time with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in the building in real time. d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generated in the mapping unit 160 is an important basis when the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rescue route generator 180 along with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상기 화재정보 생성부(170)는 적외선 카메라(140)의 촬영을 통해 생성되는 열영상으로부터 건물의 화재정보를 실시간 생성한다. 상기 화재정보 생성부(170)는 이같이 생성된 건물의 화재정보를 구난루트 창출부(180)에 제공하여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할 때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70 generates fire information of a building in real time from a thermal image generated through shooting of an infrared camera 140. The fir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70 provides the fire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building to the rescue route generating unit 180 so that it can be reflected when generating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180)는 맵핑부(160)에서 생성된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와 함께 건물의 구조정보, 건물의 파손정보, 건물의 화재정보를 근거로 피구난자들 각자의 생존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한다. 이때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180)는 피구난자들을 건물 내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각각의 위치군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위치군에 대한 위치정보, 건물의 구조정보, 건물의 파손정보, 빌딩의 화재정보를 화재 구난 시뮬레이션(Fire rescue simulation) 프로그램에 입력함으로써 각각의 위치군 별로 차별화하여 피구난자들의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하게 된다. 여기서 구난루트 창출부(180)는 각각의 위치군에 대한 위치정보와 건물의 구조정보를 통해 건물의 최종 비상구가 위치한 지점까지 최단거리를 갖는 구난루트를 검색하되, 건물의 파손정보, 빌딩의 화재정보를 고려하여 피구난자들의 이동이 불가능한 구난루트들은 제거해나가는 방식으로 최종 구난루트를 선정할 수 있다.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180 has a high survivability for each of the evacuees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e da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long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fugees generated in the mapping unit 160. We create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that is judged to be. At this time,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180 divides the evacuees into each location group based on the location in the building,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location group,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e da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s input into the fire rescue simulation program to differentiate each location group to create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for the evacuees. Here,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180 searches for a rescue route having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point where the final emergency exit of the building is located through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location group and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but da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fire of the building Considering the information, the final rescue route can be selected by removing the rescue routes where the refugees cannot move.

이렇게 창출된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는 통신부(190)를 통해 해당하는 피구난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된다. 그러면 피구난자들은 자신에게 최적화된 생존성 높은 맞춤형 구난루트 정보를 제공받고 맞춤형 구난루트를 따라 건물을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The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generated in this way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corresponding victim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90. Then, the evacuees ar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a customized survival route optimized for them, and they can safely escape the building along the customized rescue route.

나아가,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180)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피구난자들의 개인정보를 통신사로부터 제공받고, 피구난자들의 성별, 연령에 따라 상대적으로 신체활동이 가장 자유롭다고 판단되는 군으로부터 신체활동이 가장 자유롭지 못하다고 판단되는 군에 이르기까지 단계별로 차별화하여 구분하고, 신체활동이 가장 자유롭지 못하다고 판단되는 활동군의 경우 맞춤식 구난루트 중 최단거리 구난루트에 배치하며, 나머지 활동군의 경우 다른 구난루트에 배치하여 구난루트를 분산시킬 수도 있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구난루트를 분산함으로써 한 곳으로만 피구난자들이 몰리는 문제점을 차단하고 특히 연로자들을 배려하여 안전하게 건물을 탈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Furthermore, the rescue route generating unit 180 receives personal information of the refugees who hav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 communication company, and physical activity from a group that is determined to be relatively free from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ge of the refugee. The groups that are judged to be the least free are differentiated and differentiated in stages, and in the case of the groups that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free, physical activities are placed in the shortest distance route among the customized rescue routes, and in the case of the remaining activities, to the other rescue route. It can also be deployed to disperse the rescue route.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block the problem of evacuating the refugees to only one place by dispersing the rescue route, and to make it possible to safely escape the building, especially considering the elderly.

상기 구조정보 생성부(150a), 파손정보 생성부(150b), 맵핑부(160), 화재정보 생성부(170), 구난루트 창출부(180), 통신부(190)는 지상 컨트롤스테이션(GCS)에 함께 설치되어 제어되며, 상기 지상 컨트롤스테이션(GCS)에서는 피구난자들(P1)에게 제공하는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통신부(190)를 통해 외부 송출하여 소방대원들(P2), 구난 도우미들(P3), 구급부원들(P4)과도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지상 컨트롤스테이션(GCS)에서는 피구난자들에게 제공되지 않는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 건물의 구조정보, 건물의 파손정보, 건물의 화재정보의 경우에도 외부 송출하여 소방대원들(P2), 구난 도우미들(P3), 구급부원들(P4)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ructur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50a, the damag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50b, the mapping unit 160, the fir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70, the rescue route generating unit 18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90 are ground control stations (GCS). It is installed and controlled together, and the ground control station (GCS) transmits the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evacuees (P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90) to the firefighters (P2), rescue helpers (P3) ), It is desirable to share information with the paramedics (P4). In addition, the ground control station (GCS) sends out firefighters (P2) and rescues by sending external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s, the da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s, and the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s that are not provided to the evacuees. It is desirable to allow the helpers P3 and paramedics P4 to share information.

계속해서 아래에서는 전술된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Subsequently,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에서 건물의 구조정보 취득 및 생성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에서 피구난자 위치정보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에서 건물의 화재정보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에서 맞춤식 구난루트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에서 피구난자 구난루트 분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Figure, Figure 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 in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generating fire information, FIG. 7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generating a customized rescue route in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high-r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how to distribute the rescue route of the evacuee in th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드론의 건물 스캐닝 단계(S110), 무선통신망 구축 단계(S120), 감지 및 촬영 단계(S130), 구조정보 생성 단계(S140a), 파손정보 생성 단계(S140a), 위치정보 생성 단계(S150), 화재정보 생성 단계(S160),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 창출 단계(S170),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 송출 단계(S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building scanning step of the drone (S1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ion step (S120), detection and shooting step (S130), structural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140a) ), Damage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140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150), fire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160),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creation step (S170), and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90).

상기 드론(110)의 건물 스캐닝 단계(S110)에서는 화재가 발생한 고층빌딩의 건물 외부를 적어도 3대의 드론(110)이 하나의 조를 이루어 편대 비행을 하면서 건물을 반복적으로 스캐닝한다. 여기서 드론(110)의 비행조는 건물을 신속하게 반복 스캐닝할 수 있도록 건물 규모에 따라 다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드론(110)은 군집 자율비행을 종합 관리하는 모선의 명령을 따라 비행하면서 건물을 따라 상하이동을 위주로 하고 건물의 둘레방향으로 수평이동을 함께 병행하면서 건물을 전체적으로 스캐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드론(110)에는 피구난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함께 무선통신망을 구축하는 무선중계기(120)를 포함하여 라이다(130) 및 적외선 카메라(140)가 탑재된 상태이다. In the building scanning step (S110) of the drone 110, at least three drones 110 form a pair of buildings in a fire-fighting high-rise building and repeatedly scan the building while flying. Here, the drone 11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ank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uilding so that the building can be quickly and repeatedly scanned. At this time, the drone 110 allows the entire building to be scanned while horizontally mov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uilding along with the Shanghai-dong centering around the building while flying under the command of the mothership that comprehensively manages the autonomous flight of the cluster. The drone 110 is equipped with a lidar 130 and an infrared camera 140 including a wireless repeater 120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gether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evacuees.

상기 드론(110)의 경우 배터리의 제약으로 인해 현시점에서 한번 충전으로 비행할 수 있는 시간이 30분 정도이므로 건물을 반복 스캐닝하는 중간에 충전을 위해 비행대열에서 이탈이 불가피하지만, 이를 대비하여 편대 비행하고 있는 드론(110)들이 충전을 위해 동시에 비행 대열에서 이탈하는 대신 교대로 이탈하도록 마련하며, 이때 이탈한 드론(110)을 대신하여 모선이 나머지 드론(110)들과 편대를 이루면서 건물에 대한 스캐닝 작업을 계속 진행하도록 한다. 그러면 드론(110)의 배터리 충전으로 인한 스캐닝 작업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drone 110, it is inevitable to leave the flight line for charging in the middle of repetitively scanning the building because the time required to fly with a single charge at the present time is about 30 minutes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battery. The drones 110 doing so are provided to alternately exit instead of departing from the flight line at the same time for charging, and at this time, instead of the detached drones 110, the mothership forms a formation with the rest of the drones 110 to scan the building. Keep working. Then, the delay of the scanning operation due to the battery charging of the drone 110 can be prevented.

상기 무선통신망 구축 단계(S120)에서는 편대 비행을 하는 같은 비행조의 드론(110) 각각에 탑재된 적어도 3개의 무선중계기(120)에 의해 건물 내 위치한 피구난자들의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부터 송출되는 통신신호를 수집하여 무선통신망을 구축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갱신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같은 무선통신망 구축은 드론(110)이 건물 외부를 인접하여 이동하면서 반복적으로 스캐닝하는 작업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드론(110)에 탑재된 무선중계기(120)는 피구난자들을 가까운 거리에서 지나갈 때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신호를 강한 세기로 포착할 수 있으므로 피구난자들에 대한 정확한 좌표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적어도 3대를 한조로 하여 편대 비행하는 드론(110) 각각에 무선중계기(120)가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3대의 무선중계기(120)가 피구난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신호를 포착하여 이들에 대한 정확한 x, y, z 좌표값을 얻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얻어진 좌표값은 드론(110)의 이동에 따른 반복적인 스캐닝을 통해 실시간으로 갱신된다.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ion step (S120), at least three wireless repeaters 120 mounted on each drone 110 of the same flight group flying in form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cognize the exact location of the refugees located in the building in real time. The task is to collect the communication signals sent from and buil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update it repeatedly. The construc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based on the task of repeatedly scanning the drone 110 while moving outside the building, and the wireless repeater 120 mounted on the drone 110 passes the evacuees at a short distance. At this time, since th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aptured with a strong intensity, it is possible to obtain accurate coordinate values for the evacuees. In particular, since the wireless repeaters 120 are mounted on each of the drones 110 flying in formation in at least three sets, the three wireless repeaters 120 capture the communication signal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evacuees. You get the exact x, y, and z coordinate values. And the coordinate values thus obtained are updated in real time through repetitive scann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one 110.

이 단계에서 주목할 점은 피구난자들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건물 내부에 고정 설치된 장비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드론(110)에 탑재되어 이동하는 무선중계기(120)를 이용하여 건물 외부에서 무선통신망을 구축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피구난자들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물론 화재시 정전으로 인해 건물 내 시설들이 무용지물이 되는 치명적인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무선통신망 구축을 위해 사용하는 통신신호는 5G, LTE, WIFI 등 건물 내 피구난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하는 모든 통신신호들을 망라할 수 있는데, LTE의 경우 광대역이므로 신호거리가 길어 규모가 큰 고층빌딩의 건물에서 피구난자들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하는 통신신호들 가운데 광대역 LTE를 무선통신망을 구축하기 최우선 순위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시점이나 미래시점에서 본 발명이 의도하는 무선통신망을 구축하는데 더 유리한 통신신호가 존재한다면 그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t this stage, it should be noted that instead of using equipment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to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of the evacue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uilt outside the building is built using the wireless repeater 120 mounted on the drone 110 and moved. It is a poi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exact location of the evacuees as well as be free from the fatal problem that the facilities in the building become useless due to a power outage in the event of a fire.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signal used to buil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n cover all communication signals u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evacuees in the building, such as 5G, LTE, WIFI, etc. It is advantageous to locate the evacuees in the building. Therefore, at the present time, among the communication signals u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roadband LTE may be considered as the highest priority to establis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owever, it is of course possible to use a communication signal that is more advantageous for constru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ten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t present or in the future.

상기 감지 및 촬영 단계(S130)에서는 드론(110)이 건물 외부를 이동하면서 건물을 스캐닝할 때 드론(110)에 탑재된 라이다(130) 및 적외선 카메라(140)를 이용하여 피구난자들과 건물을 감지 및 촬영함으로써, 건물에 대한 구조정보 생성, 피구난자들에 대한 위치정보 생성, 화재정보 생성,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 창출 등의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는데 기반이 되는 정보를 마련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In the detection and photographing step (S130), when the drone 110 moves outside the building and scans the building, the victims and the building are mounted using the lidar 130 and the infrared camera 140 mounted on the drone 110. By detecting and photographing, to provide and provide information that is the basis for smoothly performing tasks such as generating structural information about buildings,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for evacuees, creating fire information, and creating customized rescue routes. Do it.

먼저 라이다(130)를 이용하여 건물 내 각 영역에 위치하는 피구난자들을 감지하는 작업은 드론(110)이 건물 인근 외측을 따라 이동할 때 건물 유리창을 통해 이루어지며, 연기와 화염을 뚫고 피구난자들에 대한 감지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라이다(130)에 의한 피구난자들의 감지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피구난자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므로 무선중계기(120)의 무선통신망을 통해 피구난자의 위치를 파악할 때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라이다(130)는 건물을 대상으로 3D 스캔하여 스캐닝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구조정보 생성부(150a)와 파손정보 생성부(150b)에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라이다(130)가 파손정보 생성부에 전송하는 스캐닝 데이터는 반복적인 3D 스캐닝을 통해 얻어진 최신의 데이터로서 실시간 변화하는 건물의 손상 및 파손 부위를 판단하고 손상평가를 수행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First, the operation of detecting the refugees located in each area of the building using the lidar 130 is performed through the building glass window when the drone 110 moves along the outside of the building, piercing smoke and flames and evacuating the refugees It is possible to perform detection on. At this time,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by the lidar 130 is useful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evacuee who does not hav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e disadvantages of identifying the evacuee's loc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wireless repeater 120 are described. It can be supplemented. In addition, the rider 130 generates a scanning data by scanning the building 3D, and transmits it to the structur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50a and the damag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50b. Here, the scanning data transmitted by the rider 130 to the damag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is the latest data obtained through repetitive 3D scanning, and is an important data for determining damage and damage parts of a building in real time and performing damage evaluation.

한편, 적외선 카메라(140)를 이용한 열영상 촬영에 의해 건물 내 각 영역에 위치하는 피구난자들을 감지함으로써 차후에 맵핑부(160)가 무선통신망 정보를 기반으로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때 라이다(130)에 의한 피구난들의 감지정보와 적외선 카메라(140)에 의한 피구난자들의 촬영정보를 함께 고려할 수 있게 되어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피구난자들에 대해서도 위치정보를 정확히 생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상기 적외선 카메라(140)는 건물에 대한 열영상 촬영정보를 전송하여 화재정보 생성부(170)가 화재정보를 생성하는데 기반이 되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by detecting the refugees located in each area of the building by thermal imaging using the infrared camera 140, the mapping unit 160 later gener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fugees ba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by 130 and the photographed information of the evacuees by the infrared camera 140, which helps to accuratel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for evacuees who do not hav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In addition, the infrared camera 140 transmits thermal imaging information on a building t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hat is the basis for the fir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70 to generate fire information.

상기 구조정보 생성 단계(S140a)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라이다(130)가 건물을 3D 스캔하여 생성한 스캐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구조정보 생성부(150a)가 건물의 구조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생성된 구조정보는 맵핑부(160)가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때와 구난루트 창출부(180)가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할 때 사용된다. 구조정보 생성부(150a)에서 생성한 건물의 구조정보는 외부기관 DB에 해당 건물의 구조정보가 보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 특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단, 해당 건물의 구조정보가 소방청 등의 외부기관 DB에 보관되어 있는 경우 해당 DB로부터 건물의 구조정보를 제공받아 구조정보 생성부(150a)에서 생성된 건물의 구조정보와 함께 병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기관 DB에 보관된 건물의 구조정보는 해당 건물에 대한 원상의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는 반면, 구조정보 생성부(150a)에서 생성한 구조정보는 화재로 인한 파손 부위가 반영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으므로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In the structure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140a), the structur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50a generates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scanning data generated by the 3D scan of the building by the liner 130 as shown in FIG. 4. do. The generated structural information is used when the mapping unit 160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and when the rescue route generating unit 180 generates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generated by the structur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50a can be particularly useful when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s not stored in an external institution DB. However, when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s stored in the DB of the external agency such as the fire department, it is desirable to receive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from the DB and use it in parallel with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generated by the structur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50a. Do.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stored in the external institution DB has an advantage in that it provides original information about the building, while the structura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tructur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50a is real-time information reflecting the damaged part due to the fire. It has an advantage in that it provide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상기 파손정보 생성 단계(S140b)에서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라이다(130)가 건물을 3D 스캔하여 생성한 스캐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파손정보 생성부(150b)가 건물의 파손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파손정보 생성부(150b)는 반복 갱신된 최신의 스캐닝 데이터와 기 구축된 건물의 구조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한 부위를 찾아 별도로 표시함으로써 건물의 파손된 부위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이같은 파손정보 생성 단계(S140b)의 경우 반복되면서 변이(evolution)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게 된다. 파손정보 생성 단계(S140b)에서 얻어진 건물의 파손정보는 차후에 화재 구난 시뮬레이션(Fire rescue simulation) 프로그램에서 추가 파손을 고려해 구난루트를 선정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In the damage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140b), as shown in FIG. 5, the dama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50b generates da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scanning data generated by the 3D scan of the building. do. At this time, the dama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50b compares the latest updated scanning data repeatedly and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re-built building to find a different part and displays it separately to determine the damaged part of the building. And in the case of such a damage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140b) it is repeated to monitor the state of the evolution (evolution) in real time. The da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obtained in the damage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140b) becomes important data in selecting a rescue route in consideration of additional damages in a fire rescue simulation program.

상기 위치정보 생성 단계(S150)에서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무선통신망, 라이다(130) 감지, 적외선 카메라(140) 촬영을 기반으로 산출된 피구난자의 좌표값과 건물의 구조정보를 맵핑하여 건물 내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맵핑부(160)에서 생성된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는 드론(110)의 반복적인 스캐닝 작업에 따라 실시간으로 갱신되며 건물의 구조정보, 건물의 화재정보와 함께 구난루트 창출부(180)에서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할 때 매우 중요한 근거가 된다.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S150), as shown in FIG. 5,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evacuee calculated ba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lidar 130 detection, and the infrared camera 140 photographed and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re mappe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fugees in the building is generated. 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ctims generated by the mapping unit 160 is upda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repetitive scanning operation of the drone 110, and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re customized by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180. This is a very important basis when creating information on the rescue route.

상기 화재정보 생성 단계(S160)에서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건물의 구조정보, 적외선 카메라(140)의 열영상 촬영정보를 모두 고려하여 건물의 화재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게 된다.In the fire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160), the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s generated in real time in consideration of both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thermal imaging information of the infrared camera 140 as shown in FIG. 6.

상기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 창출 단계(S170)에서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건물의 구조정보,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 건물의 화재정보, 건물의 파손정보를 근거로 피구난자들 각자의 생존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구난루트 창출부(180)를 통해 창출하게 된다. 이때 구난루트 창출부(180)는 피구난자들을 건물 내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각각의 위치군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위치군에 대한 위치정보, 건물의 구조정보, 건물의 파손정보, 빌딩의 화재정보를 화재 구난 시뮬레이션(Fire rescue simulation) 프로그램에 입력함으로써 각각의 위치군 별로 차별화하여 피구난자들의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하게 된다. In the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creation step (S170), as shown in FIG. 7, the survivability of each of the evacuees is high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the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s, and the da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s. The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generated is generated through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180. At this time,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180 divides the evacuees into each location group based on the location in the building, and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location group,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da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By inputting it into a fire rescue simulation program, it is possible to differentiate each location group and create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for the evacuees.

나아가, 이같은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 창출 단계(S170)에서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구난루트 창출부(180)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피구난자들의 개인정보를 통신사로부터 제공받고, 피구난자들의 성별, 연령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신체활동이 가장 자유롭다고 판단되는 군으로부터 신체활동이 가장 자유롭지 못하다고 판단되는 군에 이르기까지 단계별로 차별화하여 구분한다. 그리고나서 신체활동이 가장 자유롭지 못하다고 판단되는 활동군의 경우에는 맞춤식 구난루트 중 최단거리 구난루트에 배치하며, 나머지 활동군의 경우 다른 구난루트에 배치하여 구난루트를 분산시키게 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구난루트를 분산함으로써 한 곳으로만 피구난자들이 몰리는 문제점을 차단하고 특히 연로자들을 배려하여 안전하게 건물을 탈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Further, in the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170), as shown in FIG. 8, the rescue route 180 receives personal information of the refugees carr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communication company, and the gender and age of the refugees. Taking into account, it is differentiated and differentiated step by step from the group that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free to physical activity to the group that is considered to be the least free to physical activity. Then, in the case of the active groups that are considered to be the least free of physical activity, they are placed in the shortest distance rescue route among the customized rescue routes, and the rest of the active groups are distributed in the other rescue routes to distribute the rescue routes.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block the problem of evacuating the refugees to only one place by dispersing the rescue route, and to make it possible to safely escape the building, especially considering the elderly.

상기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 송출 단계(S180)에서는, 창출된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통신부(190)를 통해 해당하는 피구난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게 된다. 그러면 피구난자들은 자신에게 최적화된 생존성 높은 맞춤형 구난루트 정보를 제공받고 맞춤형 구난루트를 따라 건물을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피구난자들의 경우에도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유한 주변 피구난자들을 따라 안전하게 건물을 탈출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S180), the generated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corresponding victim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90. Then, the evacuees ar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a customized survival route optimized for them, and they can safely escape the building along the customized rescue route. At this time, even in the case of evacuees who do not hav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induce them to safely escape the building by following the survivors who 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여기서, 피구난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는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는 문자 및 음성통화를 비롯하여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 Here, the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evacuees can be transmitted in a multimedia form, such as text and voice calls, and video.

한편 상기 구조정보 생성부(150a), 맵핑부(160), 화재정보 생성부(170), 구난루트 창출부(180), 통신부(190)는 지상 컨트롤스테이션(GCS)에 함께 설치되어 제어되며, 상기 지상 컨트롤스테이션(GCS)에서는 피구난자들(P1)에게 제공하는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통신부(190)를 통해 외부 송출하여 소방대원들(P2), 구난 도우미들(P3), 구급부원들(P4)과도 정보를 공유하며, 피구난자들(P1)에게 제공되지 않는 피구난자들(P1)의 위치정보, 건물의 구조정보, 건물의 화재정보의 경우에도 외부 송출하여 소방대원들(P2), 구난 도우미들(P3), 구급부원들(P4)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structur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50a, the mapping unit 160, the fir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70, the rescue route generating unit 18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90 are installed and controlled together in the ground control station (GCS), The ground control station (GCS) transmits the personal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evacuees (P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90 to the outside, and firefighters (P2), rescue helpers (P3), and paramedics (P4) Firefighters (P2) and rescue by sharing externa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P1) that are not provided to the evacuees (P1),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s, and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s. It is desirable to allow the helpers P3 and paramedics P4 to share informa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10 : 드론 120 : 무선중계기
130 : 라이다 140 : 적외선 카메라
150a : 구조정보 생성부 150b : 파손정보 생성부
160 : 맵핑부 170 : 화재정보 생성부
180 : 구난루트 창출부 190 : 통신부
110: drone 120: wireless repeater
130: lidar 140: infrared camera
150a: structura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50b: dama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60: mapping unit 170: fir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80: rescue route creation unit 190: communication unit

Claims (28)

고층빌딩에서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에 위치한 피구난자들을 구난하기 위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으로서,
화재가 발생한 고층빌딩의 건물 외부를 적어도 3대가 하나의 조를 이루어 편대 비행을 하면서 건물을 반복적으로 스캐닝할 수 있도록 한 드론;
편대 비행을 하는 같은 조의 드론 각각에 탑재되어 건물 내 위치한 피구난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통신신호를 수집하여 무선통신망을 구축하고 드론의 스캐닝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실시간 갱신하면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피구난자들의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적어도 3개의 무선중계기;
상기 무선중계기에 의해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무선통신망 정보로부터 산출된 피구난자들의 좌표값과 건물의 구조정보를 맵핑하여 건물 내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맵핑부;
상기 맵핑부에서 생성된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와 함께 건물의 구조정보, 건물의 화재정보를 근거로 피구난자들 각자의 생존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하는 구난루트 창출부;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에서 창출한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피구난자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to rescue the evacuees located inside the building in case of fire in high-rise building,
A drone that allows the building to be repeatedly scanned while flying in formation in a group of at least three outside the building of a high-rise building in a fire;
It is mounted on each drone of the same group flying in formation and collects the communicati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evacuees located in the building, build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pdat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canning of the drone, and carri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least three radio repeaters that enable real-time identification of the exact location of the evacuees;
A mapping unit that generates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fugees in the building by mapp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evacuees calcula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updated in real time by the wireless repeater and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 rescue route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that is determined to have a high survivability for each of the refugees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fugees generated in the mapping unit;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to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evacu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각각에 탑재되어 건물 내 각 영역에 위치하는 피구난자들을 감지하는 라이다를 더 구비하며,
상기 맵핑부는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 생성시 무선통신망 정보와 함께 라이다에 의한 피구난자 감지정보까지 함께 고려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피구난자들까지 포함하는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mounted on each of the drones are equipped with a rider to detect the refugees located in each area of the building,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is generate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including the evacuees who do not ha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generated by considering the information of the evacuees by the rider along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다가 건물을 대상으로 3D 스캔하여 스캐닝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라이다가 생성한 스캐닝 데이터를 전송받아 건물의 구조정보를 생성하는 구조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조정보 생성부는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가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할 때 건물의 구조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lidar is subjected to 3D scanning of a building to generate scanning data,
Further comprising a structur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that receives the scanning data generated by the rider to generat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structur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provides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when the rescue route generating unit generates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다가 건물을 대상으로 3D 스캔하여 스캐닝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라이다가 생성한 스캐닝 데이터를 전송받고 이를 건물의 구조정보와 비교하여 건물의 파손정보를 생성하는 파손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손정보 생성부는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에 건물의 파손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는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할 때 건물의 파손정보를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lidar is subjected to 3D scanning of a building to generate scanning data,
Further comprising a dama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receiving the scanning data generated by the lidar and comparing it with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o generate da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e damag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provides da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o the rescue route generating unit, and the rescue route generating unit reflects the da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when generating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각각에 탑재되어 열감지에 의해 건물 내 각 영역에 위치하는 피구난자들을 감지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더 구비하며,
상기 맵핑부는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 생성시 무선통신망 정보와 함께 적외선 카메라에 의한 피구난자 감지정보까지 함께 고려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피구난자들까지 포함하는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It is further equipped with an infrared camera mounted on each of the drones to detect refugees located in each area of the building by heat sensing,
The mapping unit gener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including the evacuees who do not ha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considering the evacuation information by the infrared camera together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when gene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카메라의 실시간 열감지에 의해 생성되는 건물의 열영상을 근거로 건물의 화재정보를 실시간 생성하는 화재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정보 생성부는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가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할 때 건물의 화재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It includes a fir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real-time generating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thermal image of the building generated by the real-time thermal detection of the infrared camera,
The fir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is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the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when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generates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부, 구난루트 창출부, 통신부, 구조정보 생성부, 화재정보 생성부는 지상 컨트롤스테이션에 설치되며, 상기 지상 컨트롤스테이션에서는 피구난자들에게 제공하는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외부 송출하여 소방대원들과 정보를 공유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mapping unit, rescue route generating unit, communication unit, rescu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nd fir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re installed on the ground control station, and the ground control station transmits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victims externally to communicate with firefighters.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characterized by sharing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컨트롤스테이션에서는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 건물의 구조정보, 건물의 화재정보를 외부 송출하여 소방대원들과 정보를 공유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ground control station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so that the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is shared with firefight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는 피구난자들을 건물 내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각각의 위치군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위치군에 대한 위치정보, 건물의 구조정보, 빌딩의 화재정보를 화재 구난 시뮬레이션(Fire rescue simulation) 프로그램에 입력함으로써 각각의 위치군 별로 차별화하여 피구난자들의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divides the evacuees into each location group based on the location in the building, and fire rescue simulation program for location information, structure information, and fire information of each location group.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characterized by creating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of the evacuees by differentiating them for each location group by inputting them into each location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피구난자들의 개인정보를 통신사로부터 제공받고, 피구난자들의 성별, 연령에 따라 상대적으로 신체활동이 가장 자유롭다고 판단되는 군으로부터 신체활동이 가장 자유롭지 못하다고 판단되는 군에 이르기까지 적어도 2종의 활동군으로 순차적으로 차별화하여 구분하고, 신체활동이 가장 자유롭지 못하다고 판단되는 활동군의 경우 맞춤식 구난루트 중 최단거리 구난루트에 배치하며, 나머지 활동군의 경우 다른 구난루트에 배치하여 구난루트를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physical activity is not the most free from the group that receive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refugees who ha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communication company and determines that the physical activity is relatively free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ge of the refugee. It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types of activity groups in order, ranging from groups to groups, and in the case of activity groups that are considered to be the least free of physical activity, they are placed in the shortest range of customized rescue routes and the other rescue groups are used for other rescue routes.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characterized by dispersing the rescue route by placing 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군집 자율비행을 관리하는 모선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thership that manages the autonomous flight of the dro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은 배터리 충전을 위해 편대에서 교대로 이탈하는 드론을 대신하여 남아 있는 드론들과 함께 편대 비행하면서 빌딩에 대한 스캐닝 작업을 지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mother ship is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inue the scanning operation for the building while flying in formation with the remaining drones instead of drones alternately leaving the flight to charge the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각각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드론은 상기 전원공급부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비행 중에도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compris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each of the drones, and the dron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by wire to receive power during fl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망 구축에 이용되는 통신신호는 L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signal used to buil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LTE.
고층빌딩에서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에 위치한 피구난자들을 구난하기 위한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으로서,
화재가 발생한 고층빌딩의 건물 외부를 적어도 3대의 드론이 하나의 조를 이루어 편대 비행을 하면서 건물을 반복적으로 스캐닝하고, 상기 드론 각각에 탑재되어 건물 외부에 적어도 3대 구비된 무선중계기가 건물 내 피구난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부터 송출되는 통신신호를 수집하여 무선통신망을 구축하고 반복 갱신함으로써 건물 내 위치한 피구난자들의 위치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
As a fire rescue method for high-rise buildings to rescue the refugees located inside the building in case of fire in high-rise buildings,
At least three drones form a set of flights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of a high-rise building where a fire has occurred, repeatedly scanning the building, and mounted on each of the drones.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characterized by collecting the communicati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eggs and establishing and repeatedly upda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 location of the refugees located in the building can be identified in real tim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망 구축에 이용되는 통신신호는 L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mmunication signal used for build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LTE.
제15항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한 고층빌딩의 건물 외부를 적어도 3대의 드론이 하나의 조를 이루어 편대 비행을 하면서 건물을 반복적으로 스캐닝하는 단계;
편대 비행을 하는 같은 조의 드론 각각에 탑재된 적어도 3개의 무선중계기에 의해 건물 내 위치한 피구난자들의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부터 송출되는 통신신호를 수집하여 무선통신망을 구축하고 반복 갱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중계기에 의해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무선통신망 정보로부터 산출된 피구난자들의 좌표값과 건물의 구조정보를 맵핑부가 맵핑하여 피구난자들의 건물 내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맵핑부에서 생성된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와 함께 건물의 구조정보, 건물의 화재정보를 근거로 하여 구난루트 창출부가 피구난자들 각자의 생존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하는 단계;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에서 창출한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통신부가 각 피구난자의 무선통신기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Repetitively scanning the building while flying in formation in at least three drones in a group outside the building of the high-rise building where the fire occurred;
By building at least three wireless repeaters mounted in each drone of the same group flying in formation, the communication signals sen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collected to establis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dly, so that the exact location of the refugees located in the building can be determined in real time. step;
A mapping unit mapp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evacuees calcula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updated in real time by the wireless repeater and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in real time;
A step of generating a rescue route customized by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fugees generated in the mapping unit. ;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of each refuge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각각에 탑재된 라이다에 의해 건물 내 각 영역에 위치하는 피구난자들을 추가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맵핑부가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 생성시 무선통신망 정보와 함께 라이다에 의한 피구난자 감지정보까지 함께 고려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피구난자들까지 포함하는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By detecting the evacuees located in each area of the building by the rider mounted on each of the drones, the mapping unit considers the evacuee detection information by the rider together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when gene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including the evacuees who do not hav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다가 피구난자들을 감지할 때 건물을 대상으로 3D 스캔하여 스캐닝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고, 구조정보 생성부는 상기 라이다가 생성한 스캐닝 데이터를 전송받아 건물의 구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난루트 창출부가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할 때 건물의 구조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When the lidar detects the evacuees, 3D scans the building to generate scanning data, and the structur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receives the scanning data generated by the lidar and generates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further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provides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provides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다가 피구난자들을 감지할 때 건물을 대상으로 3D 스캔하여 스캐닝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고,
파손정보 생성부는 상기 라이다가 생성한 스캐닝 데이터를 전송받고 이를 건물의 구조정보와 비교하여 건물의 파손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손정보 생성부는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에 건물의 파손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는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할 때 건물의 파손정보를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When the lidar detects the victims, 3D scans the building to generate scanning data,
The dama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receives the scanning data generated by the rider and compares it with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o generate da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e damag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provides the da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o the rescue route generating unit, and the rescue route generating unit reflects the da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when generating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각각에 탑재된 적외선 카메라가 열감지에 의해 건물 내 각 영역에 위치하는 피구난자들을 감지하며,
상기 맵핑부는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 생성시 무선통신망 정보와 함께 적외선 카메라에 의한 피구난자 감지정보까지 함께 고려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피구난자들까지 포함하는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An infrared camera mounted on each of the drones detects the refugees located in each area of the building by thermal sensing,
The mapping unit gener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including the evacuees who do not ha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considering the evacuation information by the infrared camera together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when gene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카메라의 실시간 열감지에 의해 생성되는 건물의 열영상을 근거로 화재정보 생성부가 건물의 화재정보를 실시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재정보 생성부는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가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할 때 건물의 화재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
The method of claim 21,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generating a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n real time based on the thermal image of the building generated by the real-time heat detection of the infrared camera;
The fir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provides a fire rescue method of a high-ris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rescue route generating unit generates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the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s provided.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부, 구난루트 창출부, 통신부, 구조정보 생성부, 화재정보 생성부를 구비하는 지상 컨트롤스테이션에 의해서 피구난자들에게 제공하는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외부 송출하여 소방대원들과 정보를 공유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The mapping unit, rescue route generating unit, communication unit, rescu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nd fir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re provided by the ground control station to transmit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victims externally to share information with firefighters.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컨트롤스테이션에 의해 피구난자들의 위치정보, 건물의 구조정보, 건물의 화재정보를 외부 송출하여 소방대원들과 정보를 공유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
The method of claim 23,
A fire rescue method for a high-ris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nd control station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s,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o share information with firefighter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에 의해 피구난자들을 건물 내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각각의 위치군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위치군에 대한 위치정보, 건물의 구조정보, 빌딩의 화재정보를 화재 구난 시뮬레이션(Fire rescue simulation) 프로그램에 입력함으로써 각각의 위치군 별로 차별화하여 피구난자들의 맞춤식 구난루트 정보를 창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The rescue route is divided into each location group based on the location in the building by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and fire rescue simul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location group,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fir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 A fire rescue method for high-rise buildings, characterized by creating customized rescue route information for the evacuees by differentiating each location group by entering it into the program.
제17항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피구난자들의 개인정보를 통신사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구난루트 창출부에 의해, 피구난자들의 성별, 연령에 따라 상대적으로 신체활동이 가장 자유롭다고 판단되는 군으로부터 신체활동이 가장 자유롭지 못하다고 판단되는 군에 이르기까지 적어도 2종의 활동군으로 순차적으로 차별화하여 구분하고, 신체활동이 가장 자유롭지 못하다고 판단되는 활동군의 경우 맞춤식 구난루트 중 최단거리 구난루트에 배치하며, 나머지 활동군의 경우 다른 구난루트에 배치하여 구난루트를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According to the rescue route creation unit provided with personal information of the refugees carr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communication company, physical activity is not the most free from the group that is determined to be relatively free from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ge of the refugee It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types of activity groups in order to reach the judged group, and is classified into the shortest distance rescue route among the customized rescue routes in the case of the activity groups judged to be the most free of physical activity. A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characterized by distributing the rescue route by placing it on the rescue route.
제17항에 있어서,
모선에 의해 상기 드론의 군집 자율비행을 관리하며, 배터리 충전을 위해 편대에서 교대로 이탈하는 드론을 대신하여 상기 모선이 남아 있는 드론들과 함께 편대 비행하면서 빌딩에 대한 스캐닝 작업을 지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It manages the autonomous flight of the drone's cluster by the mothership, and maintains the scanning operation of the building while flying in formation with the remaining drones in place of drones that alternately leave the flight for battery charging.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각각을 전원공급부와 유선으로 연결하여 드론이 비행 중에도 전원을 공급받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빌딩 화재 구난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drones ar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by a wire so that the drone is supplied with power even during flight.
KR1020180119848A 2018-10-08 2018-10-08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nd rescue method using external mobile wireless repeater KR1021772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848A KR102177274B1 (en) 2018-10-08 2018-10-08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nd rescue method using external mobile wireless rep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848A KR102177274B1 (en) 2018-10-08 2018-10-08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nd rescue method using external mobile wireless repe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061A true KR20200040061A (en) 2020-04-17
KR102177274B1 KR102177274B1 (en) 2020-11-10

Family

ID=7046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848A KR102177274B1 (en) 2018-10-08 2018-10-08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nd rescue method using external mobile wireless rep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27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30084A (en) * 2022-09-13 2022-12-06 邓秋波 High-rise building indoor rescue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1057A (en) * 2001-11-19 2003-05-23 Toshiba Eng Co Ltd Escape guiding system at disaster in limited facilities
KR101634207B1 (en) * 2015-11-20 2016-07-01 손제욱 Emergency escape system using bluetooth beacons
KR20170072429A (en) * 2015-12-16 2017-06-2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Rssi-based rescuer localization method using external drones and indoor wi-fi access points
KR20170106665A (en) 2016-03-14 2017-09-22 이현기 An intelligence type emergency shunting incitement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KR101828512B1 (en) * 2016-10-10 2018-02-12 울산과학기술원 Operation system of unmanned aerial vehicle
JP2018045519A (en) * 2016-09-15 2018-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vacuation guidance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and evacuation guidan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KR101842194B1 (en) * 2017-08-28 2018-03-26 주식회사 이든이엔지 Life-saving drone system and lifesaving method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1057A (en) * 2001-11-19 2003-05-23 Toshiba Eng Co Ltd Escape guiding system at disaster in limited facilities
KR101634207B1 (en) * 2015-11-20 2016-07-01 손제욱 Emergency escape system using bluetooth beacons
KR20170072429A (en) * 2015-12-16 2017-06-2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Rssi-based rescuer localization method using external drones and indoor wi-fi access points
KR20170106665A (en) 2016-03-14 2017-09-22 이현기 An intelligence type emergency shunting incitement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JP2018045519A (en) * 2016-09-15 2018-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vacuation guidance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and evacuation guidan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KR101828512B1 (en) * 2016-10-10 2018-02-12 울산과학기술원 Operation system of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842194B1 (en) * 2017-08-28 2018-03-26 주식회사 이든이엔지 Life-saving drone system and lifesaving method using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30084A (en) * 2022-09-13 2022-12-06 邓秋波 High-rise building indoor rescue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CN115430084B (en) * 2022-09-13 2023-04-14 邓秋波 High-rise building indoor rescue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274B1 (en)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36584B1 (en) Rescue support in large-scale emergency situations
US201302371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ed emergency exit
US11272500B2 (en) Unified facility communications system with device location
KR102192028B1 (en) Digital twin-based disaster guidance system for each floor
KR101944354B1 (en) Disaster evacuation guide system and method using disaster maneuver drone
CN107510914B (en) Intelligent fire-fighting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park
KR101536876B1 (en) System of evacuation and rescue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JP6080568B2 (en) Monitoring system
KR101650774B1 (en) Meht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Safety Shelter Course
CN110883772B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potential safety hazard of railway station by using robot
KR102079596B1 (en) Disaster rescue system using receving radar of RF signal
US201900144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vehicle mission operations
KR20160050992A (en) Interaction apparatus for rescue informa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040061A (en)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and rescue method using external mobile wireless repeater
KR1021529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disaster scene based multiple robot
Filippoupolitis et al. Autonomous navigation systems for emergency management in buildings
KR101687701B1 (en) Fire vehicle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833977B1 (en) The system which tracks/controls the location/state of the misfortune rescuer
KR10216191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rescue in mountain area using UAS
Friedrich et al. Respondrone-a situation awareness platform for first responders
CN109979133A (en) Escaping guide device
CN115361675A (en) Emergency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system and medium based on temporary communication link
KR20220115021A (en) System of Controlling Swarm Robots for Safety Inspection And Surveillance Patrol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TWI652557B (en) Evacuation route guid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60105155A (en) Course guid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beacon n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