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925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925A
KR20200037925A KR1020180117281A KR20180117281A KR20200037925A KR 20200037925 A KR20200037925 A KR 20200037925A KR 1020180117281 A KR1020180117281 A KR 1020180117281A KR 20180117281 A KR20180117281 A KR 20180117281A KR 20200037925 A KR20200037925 A KR 20200037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divider
lever
refrigerator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9962B1 (ko
Inventor
강완구
박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7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962B1/ko
Priority to US17/250,911 priority patent/US11774170B2/en
Priority to EP19869588.4A priority patent/EP3839389A4/en
Priority to PCT/KR2019/012347 priority patent/WO2020071673A1/ko
Publication of KR20200037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5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 A47B57/5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by sliding
    • A47B57/58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by sliding with connection means slidable in a rai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75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repositionable partition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0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r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냉장고가 개시된다. 개시된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에 인입되거나 상기 저장실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저장 공간을 갖는 저장 용기, 상기 저장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저장 용기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바이더, 상기 저장 용기에 배치되며 상기 디바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 샤프트, 및 상기 디바이더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지지 샤프트에 대해 구름 운동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볼 베어링을 갖는 가이드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 용기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시스템을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기기이다. 저장실은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과, 대략 섭씨 0 ~ 영하 30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포함한다.
저장실에는 선반이 구비되어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다. 저장실은 식품을 출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의 배면에는 저장실에 배치되는 선반과는 별도로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도어 포켓이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는 생활의 다양화와 함께 수납 량의 대형화 경향에 있고, 대형화된 냉장고에는 야채, 과일 등을 저장하도록 출납 가능하게 마련된 저장 용기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 용기는 내부에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마련되며, 근래에는 저장 공간에 다른 종류의 식품이 서로 혼재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저장 공간이 분할되는 저장 용기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저장 용기의 저장 공간을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디바이더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저장 용기의 저장 공간을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디바이더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에 인입되거나 상기 저장실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저장 공간을 갖는 저장 용기, 상기 저장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저장 용기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바이더, 상기 저장 용기에 배치되며 상기 디바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 샤프트, 및 상기 디바이더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지지 샤프트에 대해 구름 운동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볼 베어링을 갖는 가이드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장치는 상기 디바이더의 일 단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장치 및 상기 디바이더의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장치는 상기 디바이더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볼 베어링이 삽입되는 복수의 볼 삽입부를 갖는 가이드 몸체, 및 상기 복수의 볼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복수의 볼 베어링을 커버하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에 결합되는 볼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볼 베어링은 상기 지지 샤프트를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볼 베어링의 외면 또는 상기 지지 샤프트의 외면에는 윤활유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 용기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거나 상기 고정부로부터 고정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 샤프트가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디바이더에 대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레버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푸시 래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푸시 래치장치와 결합된 때, 상기 스토퍼를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푸시 래치장치로부터 결합 해제된 때, 상기 스토퍼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푸시 래치장치에 삽입 가능하도록 돌출되는 래치돌기, 및 상기 스토퍼의 일 부분에 접촉하며 상기 스토퍼를 가압하거나 상기 스토퍼로부터 가압되도록 배치되는 푸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배치되는 스토퍼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레버의 구동력을 상기 스토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디바이더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동력 전달장치는 상기 레버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토퍼를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토퍼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장치는 상기 레버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스토퍼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스토퍼와 연결되는 기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디바이더의 일 단에 배치되는 제1 스토퍼 헤드 및 상기 디바이더의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에 배치되는 제2 스토퍼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스토퍼 헤드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스토퍼 헤드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모듈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1 스토퍼 헤드를 상기 제1 고정부에 고정시키거나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고정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스토퍼 헤드로 힘을 전달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2 스토퍼 헤드를 상기 제2 고정부에 고정시키거나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고정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 스토퍼 헤드로 힘을 전달하는 제3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1 스토퍼 헤드와 상기 제2 스토퍼 헤드가 각각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스토퍼 헤드와 상기 제2 스토퍼 헤드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배치되는 지지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에 인입되거나 상기 저장실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저장 공간을 갖는 저장 용기, 상기 저장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저장 용기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바이더, 상기 저장 용기에 배치되며, 상기 디바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 샤프트, 상기 디바이더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지지 샤프트를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볼 베어링을 갖는 가이드장치, 상기 저장 용기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샤프트가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장치는 상기 디바이더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양 단부에 상기 복수의 볼 베어링이 삽입되는 복수의 볼 삽입부를 갖는 가이드 몸체, 및 상기 복수의 볼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복수의 볼 베어링을 커버하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볼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볼 베어링은 상기 지지 샤프트 및 상기 복수의 볼 삽입부에 대해 구름 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디바이더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디바이더에 대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를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방향 또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에 인입되거나 상기 저장실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저장 공간을 갖는 저장 용기, 상기 저장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저장 용기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바이더, 상기 디바이더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볼 베어링을 갖는 가이드장치, 상기 저장 용기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며, 요철 형상을 갖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요철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스토퍼 헤드를 갖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디바이더의 구동장치가 저장 용기의 지지 샤프트에 구름 운동하도록 구성되므로, 디바이더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디바이더의 스토퍼가 저장 용기의 내측면에 마련된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디바이더의 위치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하부 저장실에 배치되는 저장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바이더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바이더 구동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디바이더가 저장 용기에 고정 해제된 때, 디바이더의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바이더의 스토퍼와 저장 용기의 고정부의 상태를 상측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디바이더가 저장 용기에 고정된 때, 디바이더의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디바이더의 스토퍼와 저장 용기의 고정부의 상태를 상측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더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디바이더가 저장 용기에 고정 해제된 때, 디바이더의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디바이더가 저장 용기에 고정된 때, 디바이더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저장실(25, 26)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저장실(25, 26)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27, 28, 29)와, 저장실(25, 26)에 냉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냉기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냉기 공급 장치는 증발기와,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 장치를 포함하고,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5, 26)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2)와, 내상(11)과 외상(12)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미도시)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체(10)는 상부벽(14)과, 하부벽과, 좌측벽(15)과, 우측벽(16)과, 후벽(17)과, 중간벽(18)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5, 26)은 중간벽(18)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상부 저장실(25)은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할 수 있는 냉장실로 사용될 수 있고, 하부 저장실(26)은 대략 섭씨 영하 30 ~ 0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할 수 있는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다.
하부 저장실(26)은 상부 저장실(25)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하부 저장실(26a)과, 제1 하부 저장실(26a)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하부 저장실(2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저장실(26a)과 제2 하부 저장실(26b)은 서로 상이한 음식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획될 수 있다.
저장실(25, 26)은 식품을 출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게 마련되고, 저장실(25, 26)은 도어(27, 28, 29)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부 저장실(25)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회전 도어(27, 28)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하부 저장실(26)은 슬라이딩 인입 및 인출되는 드로어 도어(29)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드로어 도어(29)는 제1 하부 저장실(26a)을 개폐하는 제1 드로어 도어(29a)와, 제2 하부 저장실(26b)을 개폐하는 제2 드로어 도어(2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저장실(25)의 내부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장치(24)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저장실(25)의 내부에는 식품을 놓을 수 있는 선반(31)과, 식품을 밀폐 보관할 수 있는 밀폐 용기(32)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저장실(25)의 후방에는 선반(31)을 지지하도록 선반 지지부(33)가 마련되며, 선반(31)은 선반 지지부(33)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반(31)의 후단이 선반 지지부(33)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선반(31)의 전단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선반 지지부(33)는 본체(10)의 후벽(17) 및/또는 덕트 커버(40)에 설치될 수 있다. 덕트 커버(40)는 상부 저장실(25)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유로(미도시)를 형성하도록 후벽(17)에 설치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에 의해 형성된 냉기는 냉기 유로를 거쳐 상부 저장실(25)에 공급될 수 있다.
덕트 커버(40)에는 냉기 유로의 냉기를 상부 저장실(25)로 공급하도록 토출공(41)이 형성될 수 있다. 덕트 커버(40)에는 선반 지지부(3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하부 저장실(26a)의 내부에는 저장 용기(100)가 배치될 수 있다. 저장 용기(100)는 제1 드로어 도어(29a)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저장 용기(100)는 제1 하부 저장실(26a)에 인입되거나 제1 하부 저장실(26a)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용기(100)는 제1 드로어 도어(29a)를 개폐함에 따라 제1 하부 저장실(26a)에 인입되거나 제1 하부 저장실(26a)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저장 용기(100)는 내부에 식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저장 공간(1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하부 저장실에 배치되는 저장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바이더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바이더 구동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디바이더가 저장 용기에 고정 해제된 때, 디바이더의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바이더의 스토퍼와 저장 용기의 고정부의 상태를 상측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디바이더가 저장 용기에 고정된 때, 디바이더의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디바이더의 스토퍼와 저장 용기의 고정부의 상태를 상측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저장 용기(100)는 저장 공간(101)을 분리하기 위한 디바이더(110)와, 디바이더(11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장치(120)와, 디바이더(1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 샤프트(102)와, 디바이더(1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샤프트(102)는 저장 용기(100)의 내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샤프트(102)는 디바이더(11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지지 샤프트(102)는 저장 용기(100)의 내측벽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바이더(110)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 지지 샤프트(10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저장 용기(100)의 좌우측 내측벽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지지 샤프트(102)는 디바이더(110)의 이동을 디바이더(110)의 양 단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저장 용기(100)의 내측벽 중에서 전방 내측벽과 후방 내측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샤프트(102)는 저장 용기(100)의 전방 내측벽에 배치되는 제1 지지 샤프트(102a)와, 저장 용기(100)의 후방 내측벽에 배치되는 제2 지지 샤프트(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샤프트(102a)와 제2 지지 샤프트(102b)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지지 샤프트(102a)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1 지지 샤프트(102a)를 지지 샤프트(102)라고 한다.
고정부(103)는 저장 용기(10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03)는 지지 샤프트(102)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부(103)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바이더(110)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 고정부(103)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저장 용기(100)의 좌우 내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03)는 스토퍼(140)와 맞물려 디바이더(1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103)는 스토퍼(140)의 스토퍼 헤드(141, 146)에 대응되도록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103)는 랙 기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103)는 디바이더(110)의 위치를 디바이더(110)의 양 측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저장 용기(100)의 전방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103a)와, 저장 용기(100)의 후방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2 고정부(10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03a)와 제2 고정부(103b)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고정부(103a)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1 고정부(103a)를 고정부(103)라고 한다.
디바이더(110)는 저장 공간(101)을 구획하도록 저장 용기(10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디바이더(110)는 대략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저장 공간(101)을 좌우로 분리할 수 있다. 반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바이더(110)는 대략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저장 공간(101)을 전후로 분리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디바이더(110)는 외부 케이스(111)와, 내부 케이스(114)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11)는 내부 케이스(114)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11)는 내부에 내부 케이스(114)를 수용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11)는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11)는 레버(130)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 장착부(112)와, 레버(130)의 일 부분이 외부 케이스(111)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레버 삽입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 장착부(112)는 레버(130)가 장착된 때, 레버(130)의 노출부(131)의 상면이 외부 케이스(111)의 상면과 대략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레버 장착부(112)는 레버(13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레버 장착부(112)는 외부 케이스(11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레버 장착부(112)는 외부 케이스(111)의 상면에 대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레버 삽입구(113)는 레버(130)의 래치돌기(133)와 푸시부(135)가 외부 케이스(11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레버 삽입구(113)는 레버 장착부(112)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레버 삽입구(113)는 레버 장착부(112)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레버 삽입구(113)는 외부 케이스(111)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114)는 외부 케이스(11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114)는 레버(130)의 푸시부(135)의 상하 방향에 따른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버 가이드(115)와, 레버(13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푸시 래치장치(116)와, 스토퍼(14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117)와, 스토퍼(1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스토퍼 가이드(118)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 가이드(115)는 레버 삽입구(113)를 통해 외부 케이스(111)의 내부에 삽입된 레버(130)의 푸시부(135)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레버 가이드(115)는 푸시부(135)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푸시 래치장치(116)는 레버(130)의 래치돌기(133)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푸시 래치장치(116)는 레버(130)의 노출부(131)를 푸시함에 따라 래치돌기(133)가 삽입될 때, 래치돌기(133)와 결합되고, 노출부(131)를 다시 한번 푸시함에 따라 래치돌기(133)와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푸시 래치장치(116)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동 제한부(117)는 스토퍼(140)의 스토퍼 테일(144, 149)와 간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동 제한부(117)는 내부 케이스(114)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스토퍼(140)가 고정부(103)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이동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 가이드(118)는 스토퍼(140)의 스토퍼 샤프트(142, 147)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스토퍼 가이드(118)는 스토퍼 샤프트(142, 147)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장치(120)는 디바이더(110)의 일 단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장치(120a)와, 디바이더(110)의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장치(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장치(120a)는 디바이더(110)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장치(120b)는 디바이더(110)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장치(120a) 및 제2가이드장치(120b)는 디바이더(110)의 양 단에서 디바이더(110)의 슬라이딩 구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가이드장치(120a)의 구성과 제2 가이드장치(120b)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가이드장치(120a)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1 가이드장치(120a)를 가이드장치(120)라 한다.
가이드장치(120)는 디바이더(11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몸체(121)와, 지지 샤프트(102)에 대해 구름 운동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볼 베어링(123)과, 복수의 볼 베어링(12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가이드 몸체(121)에 결합되는 볼 커버(12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몸체(121)는 내부 케이스(114)의 단부로부터 지지 샤프트(102)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몸체(121)는 내부 케이스(11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이드 몸체(121)는 내부 케이스(114)와 별도로 마련되어 내부 케이스(114)의 단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가이드 몸체(121)는 복수의 볼 베어링(123)이 삽입되는 복수의 볼 삽입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볼 삽입부(122)는 복수의 볼 베어링(123)을 롤링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볼 삽입부(122)는 복수의 볼 베어링(123)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몸체(121)는 스토퍼 헤드(141, 146)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헤드 안착부(121a)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안착부(121a)는 가이드 몸체(121)의 대략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헤드 안착부(121a)는 스토퍼 헤드(141, 146)의 형상 및/또는 크기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몸체(121)는 내부에 지지 샤프트(102)가 삽입되는 샤프트 중공(121b)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샤프트(102)는 샤프트 중공(121b)의 내부에서 복수의 볼 베어링(123)과 접촉할 수 있다. 샤프트 중공(121b)은 지지 샤프트(10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몸체(121)는 볼 커버(125)가 결합되는 볼 커버 결합홈(121c)을 포함할 수 있다. 볼 커버 결합홈(121c)은 가이드 몸체(121)의 외주면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볼 커버 결합홈(121c)에는 볼 커버(125)의 커버 돌기(125a)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 커버(125)는 가이드 몸체(121)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볼 베어링(123)은 가이드 몸체(121)의 복수의 볼 삽입부(122)에 롤링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볼 베어링(123)은 복수의 볼 삽입부(122)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 샤프트(102)에 구름 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볼 베어링(123)은 지지 샤프트(102)를 둘러싸도록 지지 샤프트(102)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볼 베어링(123)은 지지 샤프트(10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볼 베어링(123)은 가이드 몸체(121)의 양 단부에 각각 3개씩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볼 베어링(123)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가이드 몸체(121)의 양 단부에 각각 2개 이하 또는 4개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지지 샤프트(102)는 복수의 볼 베어링(123)과만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디바이더(110)가 저장 용기(100)에 대해 이동할 때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복수의 볼 베어링(123)은 지지 샤프트(102)에 대해 구름 운동할 때,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외면에 윤활유가 마련될 수 있다.
볼 커버(125)는 복수의 볼 삽입부(122)에 삽입된 복수의 볼 베어링(123)을 커버할 수 있다. 볼 커버(125)는 커버 돌기(125a)가 가이드 몸체(121)의 볼 커버 결합홈(121c)에 삽입됨에 따라 가이드 몸체(121)에 결합될 수 있다. 볼 커버(125)가 가이드 몸체(121)에 결합됨에 따라, 복수의 삽입부(122)에 삽입된 복수의 볼 베어링(123)은 가이드 몸체(121)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볼 커버(125)는 가이드 몸체(121)의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볼 커버(125)는 복수의 볼 베어링(123)을 롤링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 홈(126)을 포함할 수 있다. 볼 홈(126)은 복수의 볼 삽입부(122)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디바이더(110)에는 디바이더(1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레버(130)와, 스토퍼(140)가 마련될 수 있다. 레버(130)는 디바이더(110)에 대해 이동함에 따라 스토퍼(14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버(130)는 디바이더(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131)와, 푸시 래치장치(116)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래치돌기(133)와, 스토퍼(140)를 가압하거나 스토퍼(140)로부터 가압되도록 형성되는 푸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노출부(131)는 외부 케이스(111)의 레버 장착부(112)에 안착되어 외부 케이스(11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바이더(110)의 위치를 고정하고자 할 때, 노출부(131)를 디바이더(110)의 내부로 가압할 수 있다.
래치돌기(133)는 푸시 래치장치(116)에 삽입 가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래치돌기(133)는 노출부(13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래치돌기(133)는 노출부(131)가 가압됨에 따라 푸시 래치장치(116)에 삽입될 때, 푸시 래치장치(116)와 결합될 수 있고, 푸시 래치장치(116)에 삽입된 상태에서 노출부(131)가 가압될 때, 푸시 래치장치(116)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푸시부(135)는 노출부(13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푸시부(135)는 래치돌기(133)의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푸시부(135)는 스토퍼(140)의 스토퍼 테일(144, 149)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푸시부(135)는 래치돌기(133)가 푸시 래치장치(116)에 고정될 때, 스토퍼 테일(144, 149)을 가압하여 스토퍼(140)를 고정부(103)와 고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푸시부(135)는 래치돌기(133)가 푸시 래치장치(116)로부터 분리될 때, 스토퍼 테일(144, 149)에 의해 가압되며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토퍼(140)는 고정부(103)에 고정되거나 고정부(103)로부터 고정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140)는 제1 스토퍼 헤드(141)와, 제1 스토퍼 샤프트(142)와, 제1 스토퍼 탄성부재(143)와, 제1 스토퍼 테일(144)과, 제2 스토퍼 헤드(146)와, 제2 스토퍼 샤프트(147)와, 제2 스토퍼 탄성부재(148)와, 제2 스토퍼 테일(14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 헤드(141)는 제1 고정부(103a)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헤드(141)는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스토퍼 헤드(141)는 헤드 안착부(12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헤드(141)는 제1 스토퍼 샤프트(14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샤프트(142)는 스토퍼(14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샤프트(142)는 일 단부가 제1 스토퍼 헤드(14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샤프트(142)는 타 단부가 제1 스토퍼 테일(144)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샤프트(142)의 외측에는 제1 스토퍼 탄성부재(14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샤프트(142)는 제1 스토퍼 탄성부재(143)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탄성부재(143)는 일 단부가 내부 케이스(114)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제1 스토퍼 테일(144)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탄성부재(143)는 제1 스토퍼 테일(144)이 레버(130)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제1 스토퍼 테일(144)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탄성부재(143)는 스토퍼 헤드(141)가 제1 고정부(103a)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테일(144)은 제1 스토퍼 샤프트(14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테일(144)은 제1 스토퍼 탄성부재(143)에 의해 이동 제한부(117) 를 향해 가압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테일(144)은 레버(130)의 푸시부(135)와 접촉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테일(144)은 푸시부(135)와 접촉되는 제1 가이드면(144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면(144a)은 레버(130)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면(144a)은 스토퍼(140)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면(144a)은 레버(130)의 수직 방향에 따른 힘을 스토퍼(140)의 수평 방향에 따른 힘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면(144a)은 스토퍼(140)의 수평 방향에 따른 힘을 레버(130)의 수직 방향에 따른 힘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2 스토퍼 헤드(146)와, 제2 스토퍼 샤프트(147)와, 제2 스토퍼 탄성부재(148)와, 제2 스토퍼 테일(149)과, 제2 가이드면(149a)의 구성은 제1 스토퍼 헤드(141)와, 제1 스토퍼 샤프트(142)와, 제1 스토퍼 탄성부재(143)와, 제1 스토퍼 테일(144)과, 제1 가이드면(144a)의 구성과 동일하며, 레버(130)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차이만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스토퍼(14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레버(130)가 가압되지 않은 때, 스토퍼 탄성부재(143, 148)는 스토퍼 테일(144, 149)을 이동 제한부(117)를 향해 가압한다. 스토퍼 테일(144, 149)은 레버(130)의 푸시부(135)와 접촉하며 레버(130)를 상측으로 지지할 수 있다. 래치돌기(133)는 푸시 래치장치(116)와 분리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레버(130)의 노출부(131)가 가압된 때, 래치돌기(133)는 푸시 래치장치(116)와 결합된다. 레버(130)의 푸시부(135)는 스토퍼(140)의 스토퍼 테일(144, 149)을 가압한다. 스토퍼 테일(144, 149)은 스토퍼(140)의 스토퍼 헤드(141, 146)가 고정부(103)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스토퍼 헤드(141, 146)는 고정부(103)와 맞물려 고정부(103)에 고정될 수 있다.
이후, 래치돌기(133)가 푸시 래치장치(116)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버(130)의 노출부(131)가 가압될 때, 래치돌기(133)는 푸시 래치장치(116)로부터 분리된다. 스토퍼 탄성부재(143, 148)는 스토퍼 헤드(141, 146)가 고정부(103)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방향으로 스토퍼 테일(144, 149)을 가압한다. 레버(130)의 푸시부(135)는 스토퍼(140)의 스토퍼 테일(144, 149)에 의해 가압되며 상승하게 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더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디바이더가 저장 용기에 고정 해제된 때, 디바이더의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디바이더가 저장 용기에 고정된 때, 디바이더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디바이더를 설명함에 있어,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디바이더(210)는 저장 공간(101)을 구획하도록 저장 용기(10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디바이더(210)는 외부 케이스(211)와, 내부 케이스(214)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211)는 내부 케이스(214)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211)는 레버(230)의 노출부(232)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 장착부(211a)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 장착부(211a)는 레버(230)가 장착된 때, 레버(230)의 노출부(232)가 외부 케이스(21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레버 장착부(211a)는 레버(23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레버 장착부(211a)는 외부 케이스(21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214)는 외부 케이스(21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214)는 레버(2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레버 안착부(212)와, 제1 기어(235)가 결합되는 제1 결합부(217)와, 제2 기어(236)가 결합되는 제2 결합부(218)와, 제3 기어(237)가 결합되는 제3 결합부(219)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 안착부(212)는 레버(2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레버 안착부(212)는 디바이더(21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레버(230)가 이동하도록 레버(23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결합부(217)는 제1 기어(23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18)는 제2 기어(23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3 결합부(219)는 제3 기어(23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장치(120)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바이더(210)에는 디바이더(2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레버(230)와, 스토퍼(240)가 마련될 수 있다. 레버(230)는 디바이더(210)에 대해 이동함에 따라 스토퍼(24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버(230)는 레버 몸체(231)와, 디바이더(2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232)와, 연결 샤프트(234)의 단부(234a)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233)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 몸체(231)는 레버 안착부(2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레버 몸체(231)는 내부 케이스(214)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노출부(232)는 레버 몸체(23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노출부(232)는 사용자가 레버(230)를 작동시킬 때, 사용자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노출부(232)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될 때,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홈(233)은 연결 샤프트(234)의 단부(234a)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레버(230)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 삽입홈(233)은 연결 샤프트(234)의 단부(234a)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내부 케이스(214)의 내부에는 동력 전달장치(234, 235, 236, 237)가 마련될 수 있다. 동력 전달장치(234, 235, 236, 237)는 레버(230)의 구동력을 스토퍼(240)에 전달하여 스토퍼(240)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력 전달장치(234, 235, 236, 237)는 레버(23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스토퍼(240)를 고정부(103)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레버(230)가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스토퍼(240)를 고정부(103)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력 전달장치(234, 235, 236, 237)는 연결 샤프트(234)와, 제1 기어(235)와, 기여모듈(236, 237)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샤프트(234)는 제1 기어(235)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연결 샤프트(234)의 단부(234a)는 삽입홈(23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기어(235)는 레버(23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제1 기어(235)는 연결 샤프트(234)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어(235)는 제1 결합부(21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기어(235)는 레버(230)와 결합된 연결 샤프트(234)의 단부(234a)가 레버(230)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연결 샤프트(234a)의 단부(235a)는 레버(230)의 삽입홉(233)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며 이동될 수 있다.
기어모듈(236, 237)은 제1 기어(235)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기어모듈(236, 237)은 스토퍼(240)를 이동시키도록 스토퍼(240)와 연결될 수 있다. 기어모듈(236, 237)은 제2 기어(236)와, 제3 기어(2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어(236)는 제2 결합부(2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기어(236)는 제1 기어(235)와 맞물려 회전하며, 제1 스토퍼 헤드(241)를 제1 고정부(103a)에 고정시키거나 제1 고정부(103a)로부터 고정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기어(236)는 제1 스토퍼 헤드(241)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제2 기어(236)는 제1 기어 홈(236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 홈(236a)은 제1 스토퍼 테일(244)의 제1 가이드 돌기(244a)와 결합되어 제1 스토퍼 테일(244)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제3 기어(237)는 제3 결합부(21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3 기어(237)는 제2 기어(236)와 맞물려 회전하며 제2 스토퍼 헤드(246)를 제2 고정부(103b)에 고정시키거나 제2 고정부(103b)로부터 고정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3 기어(237)는 제2 스토퍼 헤드(246)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제3 기어(237)는 제2 기어 홈(237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어 홈(237a)은 제2 스토퍼 테일(249)의 제2 가이드 돌기(249a)와 결합되어 제2 스토퍼 테일(249)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기어(235)와, 제2 기어(236)와, 제3 기어(237)는 기어 커버(216)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스토퍼(240)는 고정부(103)에 고정되거나 고정부(103)로부터 고정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240)는 제1 스토퍼 헤드(241)와, 제1 스토퍼 샤프트(242)와, 제1 스토퍼 테일(244)과, 제2 스토퍼 헤드(246)와, 제2 스토퍼 샤프트(247)와, 제2 스토퍼 테일(249)과, 지지 탄성부재(2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 헤드(241)는 제1 고정부(103a)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헤드(241)는 제1 스토퍼 샤프트(24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샤프트(242)는 스토퍼(24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샤프트(242)는 일 단부가 제1 스토퍼 헤드(24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샤프트(242)는 타 단부가 제1 스토퍼 테일(244)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테일(244)은 제1 스토퍼 샤프트(24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테일(244)은 지지 탄성부재(245)에 의해 제2 스토퍼 테일(244)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제1 스토퍼 테일(244)은 제1 가이드 돌기(24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기(244a)는 제1 기어 홈(236a)에 삽입되어 제2 기어(236)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2 스토퍼 헤드(246)와, 제2 스토퍼 샤프트(247)와, 제2 스토퍼 테일(249)과, 제2 가이드 돌기(249a)의 구성은 제1 스토퍼 헤드(241)와, 제1 스토퍼 샤프트(242)와, 제1 스토퍼 테일(244)과, 제1 가이드 돌기(244a)의 구성과 동일하며, 레버(230)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차이만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스토퍼(24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디바이더(21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레버(230)를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스토퍼(240)가 고정부(103)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레버(230)의 노출부(232)를 이동시킴에 따라 레버 몸체(231)가 이동된다. 레버 몸체(231)가 이동함에 따라 연결 샤프트(234)에 의해 제1 기어(23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기어(23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기어(236)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3 기어(237)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기어(236)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스토퍼 테일(244)과, 제1 스토퍼 샤프트(242)와, 제1 스토퍼 헤드(241)는 제1 고정부(103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3 기어(237)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스토퍼 테일(249)과, 제2 스토퍼 샤프트(247)와, 제2 스토퍼 헤드(246)는 제2 고정부(103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디바이더(210)의 위치를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레버(230)의 노출부(232)에 가하던 힘을 해제한다. 지지 탄성부재(245)는 제1 스토퍼 테일(244)과 제2 스토퍼 테일(249)을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스토퍼 테일(244)과 제2 스토퍼 테일(249)에 힘을 가한다. 이에 따라, 제1 스토퍼 헤드(241)는 제1 고정부(103a)에 고정되고, 제2 스토퍼 헤드(246)는 제2 고정부(103b)에 고정된다. 제2 기어(236)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3 기어(237)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기어(235)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연결 샤프트(234)에 의해 레버 몸체(231)는 왼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냉장고
100; 저장 용기
102; 지지 샤프트
103; 고정부
110, 210; 디바이더
120; 가이드장치
123; 볼 베어링
130, 230; 레버
140, 240; 스토퍼

Claims (20)

  1.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에 인입되거나 상기 저장실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저장 공간을 갖는 저장 용기;
    상기 저장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저장 용기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바이더;
    상기 저장 용기에 배치되며, 상기 디바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 샤프트; 및
    상기 디바이더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지지 샤프트에 대해 구름 운동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볼 베어링을 갖는 가이드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장치는 상기 디바이더의 일 단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장치 및 상기 디바이더의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장치는,
    상기 디바이더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볼 베어링이 삽입되는 복수의 볼 삽입부를 갖는 가이드 몸체; 및
    상기 복수의 볼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복수의 볼 베어링을 커버하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에 결합되는 볼 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 베어링은 상기 지지 샤프트를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 베어링의 외면 또는 상기 지지 샤프트의 외면에는 윤활유가 마련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거나 상기 고정부로부터 고정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 샤프트가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냉장고.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더에 대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레버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푸시 래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푸시 래치장치와 결합된 때, 상기 스토퍼를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푸시 래치장치로부터 결합 해제된 때, 상기 스토퍼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푸시 래치장치에 삽입 가능하도록 돌출되는 래치돌기; 및
    상기 스토퍼의 일 부분에 접촉하며 상기 스토퍼를 가압하거나 상기 스토퍼로부터 가압되도록 배치되는 푸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배치되는 스토퍼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레버의 구동력을 상기 스토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디바이더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동력 전달장치는,
    상기 레버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토퍼를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토퍼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장치는,
    상기 레버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스토퍼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스토퍼와 연결되는 기어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디바이더의 일 단에 배치되는 제1 스토퍼 헤드 및 상기 디바이더의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에 배치되는 제2 스토퍼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스토퍼 헤드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스토퍼 헤드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모듈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1 스토퍼 헤드를 상기 제1 고정부에 고정시키거나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고정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스토퍼 헤드로 힘을 전달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2 스토퍼 헤드를 상기 제2 고정부에 고정시키거나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고정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 스토퍼 헤드로 힘을 전달하는 제3 기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 헤드와 상기 제2 스토퍼 헤드가 각각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스토퍼 헤드와 상기 제2 스토퍼 헤드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배치되는 지지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6.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에 인입되거나 상기 저장실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저장 공간을 갖는 저장 용기;
    상기 저장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저장 용기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바이더;
    상기 저장 용기에 배치되며, 상기 디바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 샤프트;
    상기 디바이더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지지 샤프트를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볼 베어링을 갖는 가이드장치;
    상기 저장 용기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샤프트가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장치는,
    상기 디바이더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양 단부에 상기 복수의 볼 베어링이 삽입되는 복수의 볼 삽입부를 갖는 가이드 몸체; 및
    상기 복수의 볼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복수의 볼 베어링을 커버하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볼 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 베어링은 상기 지지 샤프트 및 상기 복수의 볼 삽입부에 대해 구름 운동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디바이더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디바이더에 대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를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방향 또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고정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20.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에 인입되거나 상기 저장실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저장 공간을 갖는 저장 용기;
    상기 저장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저장 용기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바이더;
    상기 디바이더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볼 베어링을 갖는 가이드장치;
    상기 저장 용기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며, 요철 형상을 갖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요철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스토퍼 헤드를 갖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80117281A 2018-10-02 2018-10-02 냉장고 KR102629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281A KR102629962B1 (ko) 2018-10-02 2018-10-02 냉장고
US17/250,911 US11774170B2 (en) 2018-10-02 2019-09-23 Refrigerator
EP19869588.4A EP3839389A4 (en) 2018-10-02 2019-09-23 FRIDGE
PCT/KR2019/012347 WO2020071673A1 (ko) 2018-10-02 2019-09-23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281A KR102629962B1 (ko) 2018-10-02 2018-10-02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925A true KR20200037925A (ko) 2020-04-10
KR102629962B1 KR102629962B1 (ko) 2024-01-30

Family

ID=7005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281A KR102629962B1 (ko) 2018-10-02 2018-10-02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74170B2 (ko)
EP (1) EP3839389A4 (ko)
KR (1) KR102629962B1 (ko)
WO (1) WO2020071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59406A4 (en) * 2018-03-02 2022-03-02 Electrolux Do Brasil S.A. DOOR WARMER FOR A REFRIGERATOR
KR102613450B1 (ko) * 2018-10-02 2023-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TR202021196A1 (tr) * 2020-12-22 2022-07-21 Bsh Ev Aletleri San Ve Tic As Bi̇r soğutucu ci̇haz i̇çi̇n bi̇r sürgüye sahi̇p bi̇r bölme terti̇bati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1209A (ja) * 2004-02-27 2005-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KR20070025348A (ko) * 2005-09-01 200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의 틸팅구조
KR20100098021A (ko) * 2009-02-27 2010-09-06 조철환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20110001699A (ko) * 2009-06-30 201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
KR20110079934A (ko) * 2010-01-04 2011-07-12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냉장고 수납용기의 디바이더
KR20130044959A (ko) * 2011-10-25 201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드로워
KR20150062662A (ko) * 2013-11-29 201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50073540A (ko) * 2013-12-23 201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바이더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60114869A (ko) * 2015-03-25 2016-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148225A (ko) * 2015-06-16 201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40731A (en) * 1928-12-03 1933-12-26 Oscar A Ross Electric sadiron
US2472593A (en) * 1945-05-16 1949-06-07 Earl W King Ball bearing drawer
US2655422A (en) * 1951-04-24 1953-10-13 Grant Pulley & Hardware Corp Pivotally movable sliding bracket for drawers or shelves and locking means therefor
US2881040A (en) * 1957-11-20 1959-04-07 Hartridge Virginia Masden Disappearing and slidable step-chair for kitchen cabinets and the like
DE1940731C3 (de) * 1969-08-09 1978-12-21 Matthias 6619 Weiskirchen Scherer Gefach, insbesondere für Apotheken
US3679834A (en) * 1970-12-21 1972-07-25 Bell Telephone Labor Inc Bylink circuit
KR100484660B1 (ko) 2002-04-04 200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량 가변형 냉장고
KR20100137342A (ko) 2009-06-22 201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8590992B2 (en) * 2009-06-22 2013-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DE202009015649U1 (de) 2009-11-25 2011-04-14 Paul Hettich Gmbh & Co. Kg Schubkasten und Trennelement für einen Schubkasten
KR101199975B1 (ko) 2010-11-15 2012-11-12 (주)세고스 수납 공간 분할 장치
US20130063014A1 (en) * 2011-09-13 2013-03-14 Shun-Teng Chen Combination Drawer with Adjustable Dividing Function
DE102013102846B4 (de) 2012-08-30 2024-03-21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führung, Haushaltsgerät und Möbel mit einer Auszugsführung und Nachrüstsatz
KR102143016B1 (ko) * 2013-09-09 2020-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바스켓
US9534833B2 (en) * 2013-09-09 2017-01-03 Lg Electronics Inc. Basket for refrigerator
KR20160046123A (ko) * 2014-10-20 2016-04-28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냉장고용 서랍
KR102010038B1 (ko) * 2015-07-15 2019-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캡 조립체
KR102591765B1 (ko) * 2016-11-30 2023-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206410424U (zh) 2016-12-21 2017-08-15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的抽屉组件及冰箱
KR101838029B1 (ko) 2016-12-22 2018-03-13 (주)청호시스템 수납장치용 롤러어셈블리
CN113945057B (zh) * 2017-11-21 2022-12-20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CN108278806B (zh) 2017-12-25 2020-12-11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CN108253722A (zh) * 2018-02-09 2018-07-06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抽屉及具有该抽屉的冰箱
US10408532B1 (en) * 2018-06-20 2019-09-1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lluminated adjustable divider for a storage bin of a refrigerator appliance
US10451339B1 (en) * 2018-06-20 2019-10-2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lluminated adjustable divider for a storage bin of a refrigerator appliance
CN109708359B (zh) * 2018-08-03 2020-12-01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柔性分割抽屉及具有该抽屉的冰箱
CN109708411B (zh) * 2018-08-03 2020-12-04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柔性分割抽屉及具有该抽屉的冰箱
CN208817848U (zh) * 2018-08-08 2019-05-0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抽屉组件
KR102613450B1 (ko) * 2018-10-02 2023-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26471A (ko) * 2019-08-30 2021-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1209A (ja) * 2004-02-27 2005-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KR20070025348A (ko) * 2005-09-01 200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의 틸팅구조
KR20100098021A (ko) * 2009-02-27 2010-09-06 조철환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20110001699A (ko) * 2009-06-30 201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
KR20110079934A (ko) * 2010-01-04 2011-07-12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냉장고 수납용기의 디바이더
KR20130044959A (ko) * 2011-10-25 201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드로워
KR20150062662A (ko) * 2013-11-29 201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50073540A (ko) * 2013-12-23 201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바이더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60114869A (ko) * 2015-03-25 2016-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148225A (ko) * 2015-06-16 201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39389A1 (en) 2021-06-23
EP3839389A4 (en) 2021-10-20
WO2020071673A1 (ko) 2020-04-09
KR102629962B1 (ko) 2024-01-30
US11774170B2 (en) 2023-10-03
US20210341215A1 (en)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852B1 (ko) 냉장고
US10041728B2 (en) Refrigerator
KR101995427B1 (ko) 냉장고
JP6599458B2 (ja) 冷蔵庫
US9897371B2 (en) Refrigerator
US10228186B2 (en) Refrigerator
JP2006003063A (ja) 冷蔵庫
KR102567530B1 (ko) 냉장고
KR20200037925A (ko) 냉장고
KR101741392B1 (ko) 자동 인출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1810467B1 (ko) 냉장고
US20100175419A1 (en) Refrigerator
JP4749199B2 (ja) 貯蔵庫
KR101838065B1 (ko) 냉장고
KR20200037532A (ko) 냉장고
KR20080079107A (ko) 냉장고
JP4667288B2 (ja) 貯蔵庫
JP2009228956A (ja) 冷蔵庫
KR20140119970A (ko) 냉장고
KR20170001698A (ko) 냉장고
JP2020115071A (ja) レール装置及び冷蔵庫
JP6203030B2 (ja) 冷蔵庫
KR20050017603A (ko) 슬라이딩 레일의 스토퍼
KR101858066B1 (ko) 냉장고
JP2020060310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